KR101250756B1 - 구철(鉤綴) 방식 및 그 관리에 필요한 도구 - Google Patents

구철(鉤綴) 방식 및 그 관리에 필요한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0756B1
KR101250756B1 KR1020090089069A KR20090089069A KR101250756B1 KR 101250756 B1 KR101250756 B1 KR 101250756B1 KR 1020090089069 A KR1020090089069 A KR 1020090089069A KR 20090089069 A KR20090089069 A KR 20090089069A KR 101250756 B1 KR101250756 B1 KR 101250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ing
fixing plate
cover
hook
docu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9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1710A (ko
Inventor
강성모
Original Assignee
강성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모 filed Critical 강성모
Priority to KR1020090089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0756B1/ko
Publication of KR20110031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1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0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0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16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claw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7/00Filing appliances without fastening means
    • B42F7/02Filing appliances comprising only one pocket or compartment, e.g. single gussetted pocke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 G09F23/1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on paper articles, e.g. booklets, newspap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리어파일과 개인 또는 단체가 생산한 문서 및 악보를 비롯한 서적 등의 종이 또는 그 대체재에 대한 지철(紙綴) 및 제본과, 출판 및 출판물 관리 도구 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클리어파일 또는 바인더 등의 표지(외피) 내측 중앙에 위치한 고정판의 아랫단에 걸림부(걸림部)를 형성시키고, 그 고정판과 짝이 되어 개폐하면서 걸림 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덮개를 구비하고, 적어도 한 장 이상으로 구성된 클리어파일 비닐 속지 및 종이의 지철부(紙綴部) 또는 서적의 제본부(製本部)에, 상기의 클리어파일 또는 바인더의 걸림부에 걸리도록 돌출된 갈고리부(갈고리部)를 형성시켜 걸림부와 갈고리부의 걸림작용으로 문서 등을 외피에 결속시키는 방법으로; 기존의 지철 또는 제본 개념에서 외피에의 결속이라는 개념을 독립시켜, 하위가 되는 문서의 낱장에 대해서는 기존의 방식대로 지철 또는 제본하는 형태를 갖지만, 그 지철되거나 제본된 단위별로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외피에 결속 또는 해체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임의의 범주에 특정되거나 동일한 주제 등 사용자가 정하는 일정한 분류의 내용을 구성하는 다수의 클리어파일 속지 또는 문서 또는 서적을 하나의 갈고리부에 지철 또는 제본된 단위로 클리어파일이나 바인더에 비순차적으로 고정시키는 방법을 제공하고; 이에 따라 일정한 분류별로 분철(分綴)됨에 따라 자료의 열람 및 분류작업에서의 편의를 제고하고; 내용 변경에 수반되는 작업 절차를 간소화시켜서 문서 및 자료의 수정과 보완이 수시로 이루어지는 업무분야에서의 문서관리 효율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으며; 낱장의 문서를 삽입할 수 있는 클리어파일 비닐 속지로부터 가정 및 회사 등에서 프린터로 출력한 문서는 물론, 인쇄소 등에서 대량생산한 인쇄물 및 서적까지 그 연원을 막론하고 어떤 형태의 문서든지 갈고리부를 설치함으로써 동일하게 통합 이용·관리함으로써 자료 관리의 효율성을 기할 수 있으며; 특히 가장 많이 복사되기 때문에 저작권의 침해가 극심한 음악 악보 서적에 적용하여, 갈고리부를 갖춘 1곡짜리 악보 서적을 출판·유통하게 함으로써 음악 저작권 보호의 실효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으며; 학교·학원·학습지회사를 비롯한 각종 교육기관의 교재와, 회사에서 사용하는 매뉴얼·업무편람 등의 각종 기업자료와, 은행 등에서 고객을 위해 비치하는 잡지 또는 소식지 등 개인의 필요와 개개의 상황에 따라 그 내용을 수시로 편집해야하는 분야에서 사용하게 함으로써 서적과 문헌 관리의 효율을 높히는 등 여러 가지 효과와 특징을 가진 문서·자료의 외피 결속 방식과, 그에 수반되는 각종 문구류 및 관리를 위한 각종 도구의 태양과, 출판 및 출판물 관리 도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클리어파일 또는 바인더의 내측 중앙의 고정판의 걸림부와, 클리어파일 비닐 속지나 종이 일측부의 지철부 또는 서적의 제본부에 위치한 갈고리부 간의 결속 과정에 있어 편리한 착탈과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한 구조를 창안하고; 비닐 클리어파일, 개인이 생산한 문서, 인쇄장치를 통한 대량인쇄물 등을 공통적으로 결속할 수 있도록 기존의 지철 또는 제본의 방법에 적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본 발명에 의한 각종 개별파일 및 서적출판물들의 보관·유통 등에 필요한 관리도구의 태양을 제안하고;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걸림부와 갈고리부 간의 결속 방식은 기존의 지철 또는 제본방식과는 달리, 내용이 되는 종이류들의 결합기 능과 외피에의 결속기능을 분리하여 외피와의 결속기능에 주안점을 둔 새로운 방법으로서, 구철(鉤綴)이라 명명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구철, 결속기능, 걸림을 이용한 고정, 갈고리부, 제본, 지철, 클리어파일, 음악 악보, 저작권 보호, 개인별 맞춤교재

Description

구철(鉤綴) 방식 및 그 관리에 필요한 도구 {GooChul(Hooked Filing) System And Tools For Its Management}
본 발명에 의한 구철(鉤綴) 방식은, 기존의 지철 또는 제본 방식과 근본적으로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기존의 방식들은 지철 또는 제본된 형태로, 클리어파일이나 바인더 또는 책의 표지 등에 직접 결합시키므로, 그 내용이 되는 여러 장의 종이 또는 비닐들을 철하는 기능과 그것을 일정한 외피에 고정시키는 기능이 구분되지 않지만, 본 발명에 의한 구철 방식은 내용을 철하는 기능과 외피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나누고; 내용을 철하는 기능은 기존의 지철 방식이나 제본 방식을 인용하되, 외피에 고정시키는 기능은 갈고리부를 걸림부에 걸어서 결속시키고,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결속·제거·이동시킬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을 창안하여 적용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구철방식은 기존의 클리어파일, 바인더 등 외피만 있는 문구류들에서 개인 또는 단체가 생산해내는 제반 문서자료와 악보·교재·서적·화보·잡지·홍보물 등 인쇄물에 이르기까지 종이류 및 그 대체재를 매개로 자료를 관리하는 제 분야 및 범위에 걸쳐서 적용되며, 또한 구철에 의한 문구류 또는 서적·인쇄물의 보관·유통·비치를 위한 각종 관리도구가 속한 분야도 그 범위에 포함 된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클리어파일의 사용상 불편 사항을 개선하려는 목적이었으나, 도출된 개선방안은 클리어파일에 국한되지 않고, 종이류 또는 그 대체재를 매개로 한 자료관리 방식 전반에서 발생하는 불편 사항을 고루 개선할 수 있다.
1)
클리어파일은 표지 내측부의 고정판의 막대에 천공구멍을 꿰어서 고정시키거나 또는 열융착의 방법으로 고정시킨 다수의 투명한 비닐 속지에 각종 문서와 자료를 삽입한 후, 사용자가 필요할 때 열람하거나 타인에게 열람케 함으로써 업무에 사용되고 있는 문구의 일종으로, 많은 회사와 단체 및 개인에게 걸쳐 광범위하고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그 사용례를 자세히 보면, 도 1a의 (가)와 같이 비닐 속지의 천공 구멍을 파일 표지 내측 중심부에 있는 고정판의 고정막대에 꿰어서 고정시키거나 혹은 도 1a의 (나)와 같이 열융착 즉, 가열하여 파일 표지의 내부에 부착시킨 5매 내지 40매 정도의 투명한 비닐 속지가 있고; 사용자는 특정 주제에 속하거나 하나의 사상(事象)에 해당되거나 또는 일정한 공통성을 지니고 연관성있게 구성된 적어도 한 장 이상의 문서 또는 자료를 순서에 따라 한 장씩 또는 한 비닐 속지의 앞뒤를 채울만한 분량을 비닐 속지 안에 삽입시킴으로써; 여러 가지의 주제나 범주에 속한 다양한 문서 또는 자료를 개연성과 일관성을 가지고 순서대로 구성하며; 실제적인 자료의 이용 행태는 자료의 지속적인 보관 행위와 소유자 자신이 열람하거나 타인에게 열람케하는 행위로 나타난다.
클리어파일의 사용에 있어서 가장 불편하고 번거로운 작업은, 이미 완성되어 사용 중인 자료나 문서 중에서 기존 자료 또는 문서를 빼내고 갱신된 것을 넣을 때 그 자료·문서 간의 분량이 상이하거나, 혹은 전혀 새로운 자료 또는 문서를 중간에 끼워 넣어야 하는 경우로서, 클리어파일은 그 비닐 속지가 표지에 고정되어있기 때문에 변경이 발생한 지점 이후에 위치한 모든 자료 및 문서를 일일이 빼서, 중간에 삽입되어지는 분량만큼씩 뒤로 이동시켜서 다시 순차적으로 비닐 속지 안에 자료 또는 문서를 일일이 손으로 넣어야만 한다. 도해를 곁들여 설명하면, 도 1b의 (다-1)과 같이 일반적으로 쓰는 클리어파일 안에, (다-1)과 (다-2) 사이에 화살표로 표시된 대응관계대로 하나의 비닐 속지에 두 페이지의 문서가 삽입되어, 소정의 순서에 따라 배치된 상태로 일정기간 보관·사용되다가; 도 1b의 (다-1)의 우측에 있는 "자" 자료 1,2 또는 "축" 자료 1,2,3을 이미 배치되어있는 자료 "갑"과 "을"사이에 끼워넣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예컨대, 회사에서, 클리어파일을 이용하여 신문기사 클리핑을 하는 중에 시기가 앞선 것이 뒤늦게 발견된 경우에 부득이하게 먼저 구축·배치된 자료 사이에 끼워넣어야 하며, 또 다른 예로 이동통신 대리점이나 보험 또는 자동차 외판사원들의 경우, 다양한 상품의 내용이 수시로 변하기 때문에 클리어파일에 다양한 각각의 상품에 해당되는 여러 장의 자료를 넣어서 만든 사제 카탈로그를 고객에게 열람시키면서 상담에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회사의 마케팅 전략에 따라 주력제품군이 바뀌거나 각종 혜택 또는 이벤트의 변경 등 상품 내용 변화가 생길 때 순서를 바꿔야하는 상황이 빈발하며, 이런 식으로 이 미 배치된 자료를 바꿔야하는 상황은 비단 상기의 경우 외에도 각종 디자인 작업의 포트폴리오로 쓰일 경우, 교회 및 성당 등의 성가대에서 클리어파일을 악보집으로 사용하는 경우, 텔레마케팅 회사 등에서 클리어파일을 이용해 고객 응대 매뉴얼이나 혹은 상품 설명 매뉴얼 등을 작성하는 경우 등등 클리어파일을 이용하는 직종·분야·업무의 전반에 걸쳐서 이루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빈번하게 발생한다. 변경시켜야할 상황이 발생하면, 도 1b의 (다-3)이나 (다-4)와 같이 "을" 이후의 문서 또는 자료를 새로 추가삽입되어지는 분량만큼 밀쳐야 하는데, 엄밀히 말하면 고정된 비닐 속지 안에서 기존의 문서를 빼내서 뒤에 있는 비닐 속지 안에 옮겨 넣는 작업으로, 이동시킬 모든 문서와 비닐속지에 관해 동일하게 반복 작업해야하므로 꽤 번거로우며, 특히 대개의 클리어파일은 안에 삽입되어지는 문서의 규격에 맞게끔 제작되어서 비닐 속지에서 문서를 빼내거나, 문서를 넣을 때 주의력을 상당히 필요로 하고, 정확히 작업하지 않으면 문서 또는 자료가 찢기거나 구겨지거나 간혹 클리어파일의 비닐 속지의 옆부분이 찢어지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불편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도 1c의 (라)와 같이 낱개의 비닐 속지를 O링에 결속시켜 사용하는 클리어파일이 있는데, 중간에 추가삽입하는 경우에 해당 위치에서 O링을 개방한 후에 추가되는 자료를 삽입함으로써 손쉽게 자료 구성을 바꿀 수는 있으나, 하나의 주제 또는 범주에 속한 자료 또는 문서들이 구별 장치없이 낱장 단위로 단순하게 나열되어있기 때문에, 주의하지 않으면 이미 배치된 하나의 주제에 속하는 여러 장의 문서·자료 중간에 신규 추가자료를 삽입하는 실수를 범할 수 있으며, 특히 전체적인 갱신을 하거나 특정 주제의 자료를 다른 파일 로 옮겨야할 때 등의 상황에서 자료들이 섞이는 불편이 따른다.
한편, 바인더는 도 1c의 (마-1)에서 보듯 비닐 속지없이 문서 또는 자료를 직접 천공하여 D링 또는 O링에 결속시켜 사용하는 것인데, 이러한 바인더의 가장 큰 단점은 각각 여러 장으로 구성된 여러 가지의 문서 또는 자료를 식별 장치없이 단순나열식으로 관리하면 혼동 또는 분실의 우려가 크다는 점이며; 그를 방지하기 위해 도 1c의 (마-2)와 같이 한 범주 또는 한 주제에 해당되는 여러 장의 자료를 스태플러 등을 이용해서 결합시키기도 하는데, 이럴 경우 보관시에는 문제가 없으나, 열람해서 사용할 경우에는 (마-3)에서 보듯 스태플러로 묶인 종이가 제대로 펴지지 않고, 페이지를 넘길 때도 거추장스러워 작업 효율을 떨어뜨리고 자료의 손실까지도 야기하게 된다. 이러한 불편은 상기의 O링을 이용한 클리어파일에 비닐 속지 없이 문서를 천공하여 직접 O링에 결속시켜 사용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클리어파일 또는 바인더를 이용한 자료관리 시에, 자료를 주제별로 모아서 편리하고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면서; 비닐 속지에 넣는 클리어파일과 문서 자체로 보관하는 것을 아울러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새로운 지철 및 제본 방식이 요구된다.
2)
현재 국내에서 불법복제로 인한 저작권 피해가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사례 는 악보 복사에 의한 음악저작권 침해인데, 개신교를 비롯한 기독교 단체에서는 매주 일요일 예배 시간에 다수의 찬송가 및 성가곡을 연주하는 것이 중요한 절차이며, 매번 그 곡목을 바꾸기 때문에, 지휘자와 반주자 및 성가대를 구성하는 다수의 사람이 연주에 사용할 악보를 매주 수급해야만 하는데, 그 대부분이 악보에 관련된 여러 가지 특성 때문에 부득이하게 불법복제를 통해 악보를 수급·관리하고 있다.
이를 상세하게 살펴보면, 악보출판물에 관련한 저작권을 보호하면서 악보를 수급하는 바람직한 방법은, 도 1d의 (바) 및 (사)와 같이 정식으로 출간된 악보책을 필요한 만큼 즉 지휘자, 반주자 및 성가대원의 수만큼 구매하고, 개인에게 지급하여 해당 곡을 연주해야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그렇게 이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그럴 수 밖에 없는 이유는 첫 번째로, 하나의 악보책에서 사용되는 곡은 한 곡이거나 소수이고 책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나머지 곡은 필요없기 때문에 대량구매의 필요를 느끼지 못하고, 책에서 필요한 곡을 그때그때 복사해서 사용하게 되며; 두 번째로, 도 1d의 (바)에서 보이는, 접착제로 제본된 책의 경우에는 내려놓고 봤을 때, 무거운 것으로 눌러주지 않으면 책이 저절로 닫히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며, 지휘자나 반주자가 책장을 잘못 넘길 때 여러 장이 통째로 넘겨지거나 아예 책이 닫혀지는 경우가 있어서 실제로 사용하기 불편하며, (바) 및 (사)와 같이 판매되는 악보는 기본적으로 그 무게가 꽤 되기 때문에 성가대에서의 다수를 차지하는 여성 성가대원들이 그 무게로 인한 불편, 즉 불필요한 악보가 더 많은 책을 왜 들고 봐야하느냐는 불편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으며; 세 번째로, 지속적으로 활동하는 성가대는, 당장 연주할 곡 외에 여러 개의 곡, 예컨대 다음 주에 연주할 곡, 그 다음 주에 연주할 곡, 지속적으로 연습이 필요한 곡, 종교 명절 및 행사에 필요한 곡 등을 구비하고서 연주 및 연습을 하는 것이 보편적인 행태이기 때문에, 동시에 사용 및 관리해야하는 악보가 적게는 3∼4곡 많으면 십여 곡이며, 이처럼 정식으로 연주하는 곡 외에도 예배의 시작과 끝, 헌금 등의 예배 내 절차에서 배경음악처럼 연주하는 곡이 몇 곡 더 있기 때문에, 이 악보들을 책을 사서 사용한다면 모든 성가대원마다 적게는 3∼4권, 많게는 십여 권의 책을 들고 다니거나 혹은 관리해야하는데, 이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이러한 세 가지의 이유로 인해 대개의 성가대는 그때그때 필요한 악보를 불법복사해서 하나의 클리어파일에 넣어서 편리하게 사용하고 있는데, 도 1e의 (아)에서 보듯 클리어파일에 넣어서 사용·관리하기도 하며, 도 1e의 (자)와 같이 필요한 악보만을 모아 불법복제한 후 와이어, 링 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제본한 것을 사용하는 경우도 수시로 발생한다. 클리어파일 또는 제본된 악보 책의 내부를 살펴보면, 도 1f의 (차)처럼 원본의 천공구멍까지 그대로 복사되어 복사본임을 한눈에 알 수 있고, (카)에서 보듯 악보 전체가 흐릿하고 삐딱하게 복사되어 있거나, 링의 확대사진에서 볼 수 있듯 이전 원본의 천공구멍들이 중복되어 보이는 등 여러 차례 복사된 흔적이 그대로 남아있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그러나 이런 방식으로 필요한 악보를 복사해 개인별 클리어파일에 넣고 사용한 후, 사용이 끝나면 빼서 반납하거나 버리는 것이 가장 편리하면서도 현실적인 방법이기에 대개의 성가대에서 악보 복사가 불법복제행위임을 알면서도 그대로 행하고 있다.
한편 도 1g의 (타)에서 보듯 성가 악보 관련 출판사들은 악보의 하단에 저작권 표시를 명확히 하고, 불법복제를 지양해달라는 호소를 하기도 하며, 도 1g의 (파)에서 보듯 인터넷 성가 악보 판매사이트에서 판매되는 악보는 여지없이 저작권 표시와 함께 불법복제를 자제해달라는 호소를 하고 있는데, 악보 출판사나 인터넷 악보 판매자들로서는 악보가 불법복제되어 사용되어온 관례를 익히 알고 있기는 하지만, 위에서 열거한 세 가지의 난점이 개선되지 않으면 악보의 불법복제를 막아낼 실제적인 방법이 없기에 호소를 할뿐 적극적으로 불법복제를 단속하거나 다른 제재조치를 취하는 등의 방법을 쓰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불법복제는 거의 매주 대부분의 성가대에서 행해지고 있는 셈인데, 문화체육관광부가 2009년 1월에 발표한 [2008 한국의 종교현황] 통계에 따르면, 전국의 개신교 교회는 58,404개소이며 신자의 수는 11,944,174명인데, 이에 근거하여 매주 최소 2만여 종의 악보를 불법복제해서 최소 20만명 정도가 사용할 것으로 추산할 수 있다. 이 추산치의 전제는, 전체 교회 중 인적 규모로 상위 35%에 해당되는 2만개의 교회만이 성가대를 운영하고, 그 교회에 하나의 성가대만 있으며, 각 성가대는 10명으로 구성되어있다는 가정인데, 현실은 아마도 이보다 훨씬 많은 수의 성가대와 성가대원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개신교의 교회는 천주교의 성당처럼 산하 교당이 균일한 규모를 가지지 않고 개별 교회의 교세에 따라 신자가 십수명에 불과한 초소형 교회에서부터 신자의 수가 수만에 이르는 초대형 교회까지 천차만별인데, 개척교회와 같은 초소형 교회의 경우는 성가대가 없는 반면, 초대형교회의 경우는 신자가 많아 여러 회에 나누어 예배를 진행하고 그에 따라 성가대도 여러 개가 운영되며, 성인예배의 성가대뿐만 아니라 초등부, 중등부, 고등부 등의 주일학교 및 대학부, 청년회 등 개별 부서의 예배마다 고유의 성가대를 운영하고 있어서 한 교회 안에 운영되는 성가대의 수가 십여 개를 넘기며, 각 성가대마다 적어도 30여명 많으면 백여명 이상으로 구성되기도 할 정도로 교회의 규모에 따른 성가대 규모의 편차가 매우 큰데, 가장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중소형 교회의 경우에도 기본적으로 성인예배의 성인성가대 외에 주일학교의 성가대가 2 내지 3개 운영되며, 성인성가대는 15 내지 40명 정도로 구성되고, 주일학교의 성가대는 그보다는 적은 십여명 정도로 구성되고 있기 때문에, 상기에 '매주 2만여종의 악보를 10부씩 복사해서 20만명 정도가 불법복제 악보를 사용'한다고 본 추산치는 최대한 보수적으로 예상한 수치이다.
한편, 개신교 외에도 매주 성가대가 성가를 연주하는 천주교 성당은, 상기 [2008 한국의 종교현황] 통계에 따르면 전국에 1,511개소가 있고 신자의 수는 4,873,447명인데, 개신교의 교회 분류를 적용하면 거의 모든 성당이 대형교회에 준하기 때문에 개신교 추정치를 인구 비례로 적용하는 것에 큰 무리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불교의 경우도 최근 법회에 찬불가를 부르는 경우가 많고, 찬불가를 위한 합창단이 활동 중인 것을 감안하면 종교적인 행사와 절차를 위해 불법적으로 복사되는 악보에 의한 재산권 피해는 매주 엄청나다고 할 것이다.
이러한 불법복제는 저작권 침해 외에도 복사에 소요되는 종이 및 전력 등의 자원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를 안고 있다. 하나의 성가대가 매주 다른 곡을 연주한 다고는 하지만, 성가곡에도 '인기곡' 혹은 'All time request'라는 게 있기 마련이어서 예전에 연주했던 곡을 다시 연주하는 경우가 많아서, 동일한 곡을 짧게는 몇 주만에 길게는 수년 만에 반복하는 경우가 허다하며, 종교 상의 명절 등에 쓰여지는 곡은 매년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고, 특히 한 교회에서 여러 개의 성가대가 활동하는 경우에는 동일한 곡에 대한 반복이 매우 빈번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그때그때 악보를 복사해서 사용하고, 그 곡이 그 다음 번에 쓰일 때까지의 기간이 길기 때문에 그 전에 관리부실로 인해 악보를 잃어버리거나 훼손하게 됨에 따라 그 다음 번에 또다시 동일한 악보를 복사하는 낭비가 발생한다.
대부분 성가대의 악보 관리 행태의 특징을 살펴보면, 첫 번째로 양면복사보다 단면복사를 압도적으로 많이 하는데, 양면복사를 하기 위해서는 복사된 뒷면에 위치할 페이지를 맞추고, 복사될 방향을 일치시켜서 복사해야하는 등 단면복사보다 업무가 복잡해지며, 방향이나 페이지가 일치되지 않으면 이미 복사했던 것까지 파기해야 하는 위험까지 늘어날 뿐만 아니라, 노후화된 복사기 등은 이미 복사된 종이를 사용할 때 고장을 일으키는 경우도 있어서, 각 성가대의 악보관리자들은 양면복사보다 단면복사를 압도적으로 선호하기 때문에 종이가 낭비될 수 밖에 없으며; 두 번째로 대개의 성가대원들은 자발적으로 활동하는 사람들로서 매주 연주 및 연습에 참가하는 인원이 들쭉날쭉하고, 여러 명이 사용함에 따라 관리부실로 분실하거나 짝이 안맞는 악보가 발생하는 등의 손실이 발생하므로, 대개의 성가대 악보 관리자들은 늘 인원수보다 많은 양의 악보를 복사하게 되므로, 여기에서도 종이의 낭비가 발생하게 되며; 세 번째로 연주가 끝난 악보는 다음 번에 쓸 목적으로 캐비 넷 등에 적치하여 보관하는데, 대개의 성가곡 악보는 두 세 페이지 이상 여러 장에 걸쳐서 구성되기 때문에, 여러 명의 성가대원의 클리어파일에서 꺼낸 여러 장으로 이루어진 악보들을 순서대로 모은 후, 악보를 한 사람의 몫 즉 악보의 첫장부터 마지막 장까지 1부씩 스태플링하고, 그렇게 모인 동일한 악보를 황파일 등에 넣어서 인덱싱을 해서 캐비넷에 관리하는 것이 재사용을 위한 원칙적인 관리 활동이지만, 대개의 성가대 악보 관리자들은 자발적으로 봉사하는 입장이어서 관리책임이 사실상 없을뿐 아니라, 특정한 임기없이 수시로 바뀌기도 하며, 때로는 관리자 외에 다른 사람들이 관리행위를 자발적으로 대리하는 경우도 비일비재하기 때문에, 상기에서 열거한 원칙적인 악보관리 활동은 원천적으로 불가능해서, 실제적인 관리양상은 연주가 끝난 악보들을 단순히 모아서, 캐비넷 적절한 곳에 적치하고, 그 다음 곡을 그 위에 또 적치하고, 그러한 상황이 반복되면서 원하는 악보를 적시에 찾을 수 없게 되고, 더러는 예전 것을 찾느라고 적치된 악보들을 옮기다가 서로 다른 악보간에 섞이게 되며, 그러한 것이 몇 차례 반복되면 캐비넷에 적치된 악보들은 섞여서 사용이 어려워지고, 사용가치가 떨어짐에 따라 관리가 더욱 부실해져서 훼손되며 결국은 쓰레기로 버려지게 되며; 한편으로는 임의의 악보가 캐비넷에 남아있건 혹은 버려진 후이건, 그와 동일한 악보는 또 다시 필요할 때 불법복제되어서 클리어파일에 넣어지고 연주에 쓰이고 또 다시 캐비넷에 적치된 후 결국 나중에 버려지게 되는 악순환을 계속 반복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저작권 침해와 함께 종이낭비가 대량으로 발생하는 것이다. 결국 매주 2만여건의 악보를 불법복제해서 20만명 정도가 사용하고, 70만장의 종이가 이에 소요된다고 추산할 수 있으며, 거듭 말하지만 이는 최소수치로 현실적으로는 이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무차별적으로 불법복제되면서 저작권 침해는 물론 종이 낭비를 초래하는 종교단체 성가대의 악보 불법복제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악보 단위의 이동 및 관리가 편리하면서; 재사용 및 반복사용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면서; 악보 단위로 판매될 수 있으면서; 기존에 행해지는 불법복제 악보의 이용행태를 흡수할 수 있도록 현재의 지철 방식을 수용할 수 있는 즉 현재 클리어파일을 사용하는 행태와 혼용될 수 있도록 개별 악보를 제책하여 판매할 수 있는 제본방식이 요구된다.
더불어 악보와 비슷한 사용상의 특징을 지닌, 각종 학교·학원 등의 교재와 각 회사에서 하부 체인점에 배포하는 매뉴얼 등에도 아울러 적용할 수 있어서 사회적인 비용 절감의 효과를 낼 수 있는 제본 및 지철 방식이 요구된다.
상기 1)과 2)의 필요성을 동시에 만족시켜줄 수 있는 제본 및 지철방식에 관한 문헌은 찾을 수 없었다.
다만 본 발명에 의한 구철방식처럼 지철 또는 제본과 결속의 개념을 분리한 경우는 [문헌 1]에서 찾을 수 있었으나, [문헌 1]은 쫄대에 의해 묶여진 문서에만 해당되는 것으로, 보관수단을 쫄대에서 바인더로 옮기는 경우만 적용되는 것이며, 근본적으로는 지철을 이중으로 한 것일뿐, 결속이라는 개념을 독립시키고 발전시킨 것은 아니어서, 구철처럼 다양한 제본·지철 방식에 아울러 적용하고, 악보 및 각종 인쇄물에까지 보편적으로 적용하는 등 본 발명에 의한 구철 방식이 제공하는 해결수단과 개선효과를 전혀 기대할 수 없다.
[문헌 1] 실용신안등록번호 20-0339968 "지철부가 형성된 파일 쫄대" (출원번호 10-2005-0071581)
[문헌 2] 실용신안등록번호 20-0433937 "클리어파일용 속지결합장치" (출원번호 20-2006-0027063)
[문헌 3] 특허등록번호 10-0673083 "학습용 화일" (출원번호 10-2005-0062809)
[문헌 4] 실용신안등록번호 20-0372871 "서류 보관용 클리어 화일" (출원번호 20-2004-0029254)
[문헌 5] 실용신안등록번호 20-0373682 "천공, 접합가공된 내지를 철하는 클리어파일" (출원번호 20-2004-0017853)
본 발명은 클리어파일의 사용 상의 단점인, 기 사용 중인 클리어파일 내에서 문서 또는 자료를 이동시킬 때 발생하는 불편을 효과적으로 개선하는 방법으로, 하나의 주제나 범주에 해당되는 문서 또는 자료를 넣은 소량 혹은 적절 분량의 비닐 속지 단위로 동일 클리어파일 내에서 또는 다른 클리어파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지철·제본의 기능에서 외피에의 결속 기능을 별도로 분리시켜, 지철·제본된 소량 또는 적절 분량 단위로 자유롭게 탈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결속방식을 제공하며; 이를 바탕으로 악보를 비롯한 출판물과, 기업 및 단체가 대량으로 인쇄하는 인쇄물과, 개인 또는 단체가 생산하는 다양한 문서와 자료 등에 본 발명에 의한 결속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재사용과 다양한 조합이 가능한 방안을 제공하며; 비닐 속지에 넣어 사용하는 클리어파일 방식과, 문서 또는 자료를 노출시켜 사용하는 바인더 방식과, 출판물 및 인쇄물까지 본 발명에 의한 결속 방식으로 통합 관리함으로써 다양한 업무에서 문서 관리·사용의 효율을 높이는 방안을 제공하며; 상기 결속 방식에 따른 출판물, 인쇄물, 클리어파일, 지철 도구 등을 판매하고 보관·관리할 수 있는 관리도구의 태양 및 사용방법을 제안하며; 본 발명에 의한 결속 방식을 통해 종래보다 합리적으로 음악 저작권을 비롯한 각종 저작권을 보호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원리는 소량의 비닐 속지 또는 소량의 문서 단위로 지철하고 그 지철부에 잇대어 갈고리부를 형성하여 클리어파일 또는 바인더 내부의 고정판의 걸림부에 걸어서 결속시키고, 필요할 때 지철된 단위대로 빼거나 순서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 기본적인 원리에 기존의 다양한 사용 양상을 적용하여 여러 가지 개선점을 만들어 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래로 볼만한 선례 또는 본 발명처럼 '결속'의 개념을 발전시킨 예가 없는 바, 본 발명에 의한 결속 방식을, 본 발명의 가장 특징적인 태양인 갈고리부에서 착안하여 구철(鉤綴)이라 명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구철의 가장 큰 특징은, 지철 또는 제본과는 별개로 결속의 개념을 추출해서 발전시켰다는 점으로서, 종이류 또는 그 대체재를 매개로 자료를 집결시켜 관리하는 기존의 모든 방식은 지철 또는 제본이 외피에의 결합 방식을 구속하는 개념으로서, 예컨대 천공된 자료는 천공된 것을 꿸 수 있는 외피에 결합시켜야만 하고, 접착제로 제본된 자료는 그 표지 내에 영구 결합되어 개별 책으로만 관리될 수 밖에 없는 등 지철 또는 제본의 방식에 포함된 외피와의 결합 방식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구철은 지철 또는 제본으로부터 별개로 독립되는 결속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제시한 것으로, 하위 개념인 낱장의 문서·자료들을 지철 또는 제본의 방식으로 결합한 소량 또는 적절 분량의 문서묶음 단위를, 상위 개념인 외피에 결합시킬 때에 갈고리부와 걸림부의 걸림작용을 통해 착탈시킬 수 있는 결속방식을 적용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구철은 기존의 모든 지철 및 제본의 방식을 수용하여 구철이라는 통합된 방식으로 결속시킬 수 있으므로 서로 다른 제본·지철 방식으로 존재하는 다양한 자료 간의 통합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본 명세서의 모든 도면에서는 A4지 규격의 클리어파일을 기준으로 설명하였고, 일부 도해에서는 mm단위의 규격을 예시하였는데, 이해의 편의를 위해 예시한 것일 뿐, 그 규격에 한정됨을 의미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한 구철은 용지 규격에 구애받지않고 적용할 수 있으며, 각 규격의 용지에 따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제원과 수치는 지속적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상업화 과정에서 편의 및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변경될 수 있다.
1) 구철(鉤綴)의 기본적인 원리
도 2에서 보듯 기존의 클리어파일 또는 바인더와 비슷한 외형과 재질을 지닌 표지(1) 안에 금속 또는 강인한 플라스틱 수지로 만들어진 고정판(2)이 있으며, 고정판의 내부는 비어있는 상태이며, 고정판의 하단은 전면부를 벽처럼 막아서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시키며; 고정판의 중간부분은 빗살부(22)로서 고정판 하단에서 시작된 여러 개의 가늘고 긴 막대가 상단 일정부분까지 뻗어있고, 이러한 막대들은 빗살의 형태를 띠며; 고정판의 상단은 고정판의 양 옆만 있을뿐 전면부는 개방되어있는 상태로 내부의 빈 공간이 그대로 노출되는 형태를 띠며; 적어도 한 장 이상의 비닐 속지(41)들이 하나의 지철부(42)에 결합·고정되고, 그 지철부는 지철부(42)보다 얇고 짧은 연결부(43)를 거쳐, 연결부(43)보다 두껍고 길게 돌출된 막대 또는 갈고리의 형태를 띠고 있어서 고정판 하단의 공간에 꽂을 수 있는 갈고리부(44)에 연결되어, 갈고리부(44)가 빗살부(22)의 틈 사이에 끼워진 후 고정판의 하단에 걸림으로써 개별 파일(4)이 클리어파일 표지 내부 고정판(2)에 결속되어지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개별 파일을 빗살부(22)와 고정판 하단의 걸림부(21)를 이용해 결속한 후, 고정판에 물려서 상단 덮개(3)를 덮어서 갈고리부(44)의 상단을 덮개의 하단부를 이용해 결속하고, 적절한 잠금장치(24),(32)로써 상단 덮개(3)를 고정시켜, 클리어파일을 사용할 때 개별 파일들이 클리어파일 밖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지철부(42) 및 갈고리부(44)와 고정판(2) 하단의 걸림부(21) 및 빗살부(22)의 결합관계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도 3a의 (가)는 고정판을 정면에서 본 도해인데,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세로에 비해 가로를 확대시킨 도면으로서 고정판(2) 하단은 개별 파일의 갈고리부(44)가 걸릴 수 있도록 전면부 전체가 막힌 상태로서 걸림부(21)가 되며; 중간의 빗살부(22)는 빗살모양을 가지고 있어서 빗살부의 틈 사이로 내부의 공간(20)이 보이는 상태를 유지하고; 차후 덮개가 덮힐 상단은 빗살부 없이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며, 고정을 위한 지지대 역할을 하는 측면과 표지 내부에 결합되어있는 고정판의 후면부는 하단으로부터 상단까지 이어지되, 상단의 측부(23)는 덮개(3)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전후간의 길이는 좁아지고, 양측 방향으로는 좀 더 넓어지는 형태를 띠고 있다. 도 3a의 (나)는 개별 파일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해로서 비닐 속지 또는 문서(41)가 지철부(42)에 결합되어있고, 지철 부(42)는 연결부(43)를 거쳐 갈고리부(44)와 이어지는데, 갈고리부(44) 하단이 빗살부의 틈을 따라 걸림부(21)에 걸리고, 갈고리부(44) 상단이 덮개(3)에 의해 걸림으로써, 개별 파일(4)이 고정판(2)에 결속된다. 연결부(43)는 빗살부의 틈을 통과해 지철부와 갈고리부를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고정판(2)의 하단의 걸림부(21)로부터 빗살부(22)의 끝단까지의 거리보다 약간 짧은 길이이며 빗살부(22)의 틈을 통과할 수 있는 두께로 제작한다.
도 3a의 (다)는 (가)에서 A의 점선을 따라 고정판을 수평으로 절개했을 때의 단면도로서, 고정판은 그 내부에 빈 공간(20)이 있고, 그 전면에 여러 개의 빗살(22)이 위치해있어서, 개별 파일의 갈고리부를 고정판 내부에 걸 수 있으며; 도 3a의 (라)는 (나)에서 A의 점선을 따라 개별파일을 수평으로 절개했을 때의 단면도로서 비닐 속지 또는 문서(41)가 열융착 또는 천공을 통한 고정 등의 방법으로 지철부(42)에 고정·결합되어있고, 고정판의 빗살부(22)의 틈에 끼울 수 있는 두께로 만들어진 연결부(43)가 지철부(42)와 갈고리부(44)를 연결시켜주며; 고정판 안의 걸림부에 걸리는 갈고리부(44)는 빗살의 틈에 걸리도록 두께가 두껍고, 길이 역시 빗살부보다 길어서 고정판에 안전하게 결속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원칙적으로 지철부(42)와 연결부(43)와 갈고리부(44)는 사출성형 등의 방법으로 일체로 제작하여 그 연결력을 높히며; 고정판(2)의 소재는 폴리프로필렌 등 강도가 좋은 플라스틱 수지를 재료로 만들 수도 있으며, 내구성을 높히기 위해 알루미늄 등의 금속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그 사용 상의 편의와 생산여건에 따라 소재를 변경할 수 있다.
도 3b의 (마)의 고정판(2)을 측면에서 본 단면도와 개별 파일의 측면도에서 보듯, 갈고리부 하단(44x)를 빗살부(22)의 틈에 끼워서 끝까지 인입시키고, 인입이 완료된 후에는 갈고리부의 상단(44y)을 고정판의 공간(20) 안에 갈무리하고, 고정판의 상단에 물려 덮개(3)를 덮으면, 갈고리부 하단(44x)과 상단(44y)이 각각 고정판 하단의 걸림부(21)와 덮개(3)에 의해 걸리게 됨으로써 개별파일이 고정판에 결속되며; 도 3a의 (다) 및 (라)가 결합된 단면도인 도 3b의 (바)에서 보듯, 빗살부(22)의 틈 사이로 연결부(43)가 끼워지고, 갈고리부는 고정판 내의 공간에 위치되어지며; 이때 개별 파일(4)들을 고정판에 결속시키고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은 고정판 하단의 걸림부(21)와 고정판 상단에 착탈되는 덮개(3)에 의한 것으로, 갈고리부의 중간 부분을 결속시키는 빗살부는 개별파일의 가로 상의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할 뿐이다. 또한 도 3a의 (나) 및 도 3b의 (마)에서 보듯 갈고리부는 고정판 내부와 고정판 덮개(3) 안에 인입되는 점을 고려하여 그 상단과 하단의 길이를 다소 짧게 제작할 수 있다.
2) 지철되는 비닐 속지 및 문서의 분량에 대한 적용
개별 파일은 지철부에 지철되는 비닐 속지 또는 문서의 분량에 대응하여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3b의 (바)에서 보듯 지철되는 비닐 속지 또는 문서가 한 장이거나 매우 소량이어서 빗살부의 틈 하나만 차지하는 기본형 개별 파일과, 많은 분량의 문서나 비닐 속지를 지철할 수 있도록 두 칸 혹은 여러 칸의 빗살부의 틈에 걸쳐서 연결부와 갈고리부를 결속할 수 있는 대형 개별 파일 등에서 필 요에 따라 분량을 선택하여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구철은 지철 또는 제본이 어떤 것이건 간에 갈고리부를 설치함으로써 결속해서 사용하는 것이므로, 분량, 용지의 규격, 지철 또는 제본의 형태에 전혀 구애받지 않는다.
3) 지철부 또는 제본부와의 다양한 결합 방식
이러한 개별 파일의 지철 과정을 자세히 설명하면 도 4a의 (가)에서 보듯, 적어도 한 장 이상의 투명 비닐 속지 또는 문서의 좌측 부분에 소정의 방식에 따라 천공(410)을 하고, 갈고리부(44)와 연결부(43)와 일체로 제작된 지철부의 본체(421)에 형성된 천공 막대(422)에 비닐 속지 또는 문서의 천공 구멍(410)을 맞춰 비닐 속지 또는 문서를 지철부 본체(421)에 정렬시키고, 천공 막대와 일치하는 천공 구멍(425)을 가진 지철부 덮개(424)를 문서 위에 결합시키고, 최종적으로 천공 구멍(425)으로 통해 돌출되는 천공 막대(422)를 열융착하여 지철부 덮개(424)에 고정시키는 등의 방법으로 영구적으로 결합시켜 도 4a의 (나)에서 보듯 하나의 개별 파일이 될 수 있도록 지철한다. 한편, 지철부의 천공 막대(422)를 지철부 덮개(424)에 열융착하지 않고 착탈이 가능한 형태로도 제작할 수 있는데, 도 4b의 (다)에서 보는 것처럼 지철부 본체(421)의 천공 막대(422)의 몸체를 천공 막대의 머리보다 가늘면서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으로 성형하고, 지철부 덮개(424)의 천공 구멍(425)을 열쇠구멍 형태로 천공하여, 지철부 본체(421)의 천공 막대(422)에 지철될 문서들의 지철 구멍(410)을 끼우고 정렬시킨 후 지철부 덮개(424)를 덮고, 천공 구멍(425)의 큰 구멍에 천공 막대(422) 머리를 통과시킨 후, 지철부 덮 개(425)를 아랫쪽으로 내림으로써 지철부 덮개의 천공 구멍(425)의 좁은 구멍에 천공 막대 몸체가 위치하도록 하여, 천공 막대(422) 머리가 천공 구멍(425)의 작은 구멍에 걸리도록 하여 이탈을 방지하도록 제작하며, 이 지철도구는 사용자가 필요한 문서를 직접 지철할 수 있도록 단품으로 제작·판매될 수 있으며, 고정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판스프링을 추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지철의 방식에 있어 통상적으로 클리어파일이 많이 채택하고 있는 3공의 천공 방식을 예로 들었으나, 제작 편의, 관리 상의 효율 등을 감안하여 다른 천공 방식을 채택할 수도 있다.
지철 방식은 천공 외에 다른 방법도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접착제로 제본한 다량의 문서를 지철하는 방식을 설명하고 있는데, 도 5의 (가)는 인쇄소 등에서 대량으로 제작하는 경우를 예시하는 단면도로서, 사전에 정해진 분량의 문서를 지철할 수 있는 내부 너비를 가진 지철부 내측에, 제본에 사용되는 접착제(426)와 접착제 고정을 위한 망사(427)를 이용하여 다량의 문서 즉 종이(41)를 제본한 상태이며; 도 5의 (나)는 (가)에 의해 제본된 것을 도시한 사면도이며; 도 5의 (다)에서 보듯 4페이지씩 인쇄된 문서를 접어서 중앙부분에 타카, 스태플 또는 바느질 등의 방법(415)으로 제본하여 지철부(42)에 고정시켜서 사용할 수도 있으며; 도 5의 (라)는 이미 인쇄되고 접착 등의 방법으로 제본되어진 문서를 사후에 천공의 방법으로 지철부에 지철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해로서, 도 4a의 (가) 및 (나)와 그 원리와 과정은 동일하다.
대량 인쇄된 인쇄물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개인이나 회사가 직접 작성하고 프린터 등의 개별 출력 수단을 통해 생산한 문서를 사용할 때가 많은데, 도 6이 그러한 경우에 적용되는 것으로, 지철부의 천공 막대(422) 등이 있는 자리에 링 등을 대신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도 6의 (가)에서 보듯 지철부를 최소화하고 지철부의 측부에 제본용 링(428)을 비스(4285) 등의 고정수단을 이용해서 결합시킨 후에, (나)에서 보듯 링이 결합된 지철부에 링제본기를 이용하여 생산된 문서를 제본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링 제본 외에 와이어 제본, 스트립 제본, 열 제본 등도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구철은 기존의 지철·제본 방식을 대체하는 관계가 아니라 보완하는 관계이므로, 본 명세서에 언급하지 않은 다른 어떠한 제본·지철 방식이라도 갈고리부를 설치함으로써 결속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 통용되는 모든 지철·제본 방식에 본 발명에 의한 구철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4) 빗살부의 다양한 형태
한편 빗살부(22)와 갈고리부(44)와 연결부(43)는 사용하는데 보다 효율적이고 외관이 미려한 형태로 바꿀 수 있는데, 도 7의 (가)는 본 명세서에서 예시하고 있는 형태의 단면도로서 연결부(43a)의 세로폭이 빗살부(22a)의 세로폭보다 길기 때문에 개별 파일이 고정판에 결속된 후에도 앞뒤로 움직일 수 있게 되는데, 연결부의 세로폭을 빗살부보다 크게 한 것은 개별 파일을 빗살부에 넣고 뺄 때 원활하 게 움직일 수 있도록 여유를 주기 위함이다. 도 7의 (나)는 (가)의 다른 실시 예로서 빗살부(22b)와 갈고리부(44b)와 연결부(43b)를 모두 원형과 유선형으로 처리하여 연결부를 빗살부보다 크게 하지 않더라도, 빗살부에 갈고리부를 걸어서 넣고 뺄 때 한층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실제 생산과정 및 사용과정에서 이보다 개선된 실시 예를 적용할 수 있다.
5) 개별 파일과 고정판의 다양한 결속 방식
본 발명에 의한 구철 방식은 개별 파일의 갈고리부가 클리어파일 표지 고정판 걸림부와 덮개에 의해 걸리면서 개별 파일이 고정판에 결속되는 것이며, 빗살부는 순서를 유지하는 등의 관리 상의 편의를 위한 기능을 주로 담당하는데, 걸림부와 빗살부를 다 갖춘 형태를 빗살형이라고 명명한다. 즉, 도 2 내지 도 7에서의 설명은 구철의 기본형이라 할 수 있는 빗살형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도 8a에서 보듯 빗살부를 제거하고 고정판 하단의 걸림부(21)와 덮개(3)의 하단 걸림부에 의해 개별 파일을 결속시키며, 개별 파일들 간의 순서를 훨씬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자유형 고정판을 병행하여 제공하는데; 빗살형 고정판에서는 개별 파일이 빗살부의 틈에 의해 절대적인 위치가 지정되기 때문에 기존의 빗살부의 틈에서 빼내어 옆의 빗살부의 틈으로 개별 파일을 이동시켜야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할 수 있지만, 자유형은 새로운 개별 파일을 임의의 곳 어디나 삽입할 수 있으므로, 빗살형 고정판을 사용할 때와 같은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다.
한편, 빗살형과 자유형의 중간 형태로, 도 8b와 같은 절충형이 있는데, 빗살 부는 존재하지 않지만 고정판 내부에 하단부터 덮개에 접하는 위치까지 지지대(215)를 설치하여, 자유형의 고정판을 사용할 경우 개별 파일들이 고정판 내에서 좌우로 심하게 요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자료관리 양상에서는 지지대(215)를 구분자로 이용하여 개별 파일들을 대주제별로 분류하고, 그 대분류 안에서 순서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는 잇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자유형과 절충형에서는 빗살형의 경우보다 갈고리부(44)와 연결부(43)를 두껍고 크게 만들 수 있어서 분량이 많은 자료나 서적을 사용하는데 유리하다. 한편, 빗살형 고정판에서 사용되는 개별파일의 갈고리부는 같은 용지 규격의 절충형이나 자유형의 고정판에서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6) 고정판과 덮개의 결합 원리
덮개(3)는 개별파일의 상단 갈고리부를 견고하게 결속시키고 지지함으로써 개별 파일이 고정판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며, 변동이 생겼을 때 신속하게 개별 파일의 착탈이 가능하도록 덮개 역시도 쉽게 착탈될 수 있도록 제작되어야 한다. 덮개는 도 2, 도 8a, 도 8b에서 보듯 개별 파일을 고정판 내부에 삽입한 후에 클리어파일 위로부터 아래로 고정판 상단(23)에 물려서 덮는 것이 기본적인 사용 양상으로, 고정판 상단(23)과 덮개가 교합되고 고정되는 것을 단면으로 설명하면, 도 9의 (가) 내지 (다)와 같은데, 고정판 상단(23)과 덮개(3)의 교합 부위는 각자 안으로 파인 사선 형태로 성형되어, 덮개(3)의 돌출부위(311)와 고정판 상단(23)의 돌출부위가 서로 교합되고 고정됨으로써 고정판 내부에 결속되었던 개별 파일의 무게 에 의해 덮개(3)가 앞쪽으로 이탈하거나 또는 클리어파일이 엎어질 때 등의 상황에서 덮개(3)가 앞쪽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9의 (가)는 고정판의 단면도로서 도3a와 도 8a와 도 8b의 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며, 도 9의 (나)는 덮개의 단면도로서 도 8a와 도 8b의 C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며, (다)는 (가)와 (나)가 교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한편 도 9의 (라)는 덮개가 제거된 상태에서 고정판을 위에서 내려다본 상면부감도(上面俯瞰圖)로서 고정판 상단(23)과 빗살부(22)의 외형을 비교하여 이해를 돕기위한 도면이다.
7) 덮개 잠금장치의 다양한 적용
클리어파일 또는 바인더가 위 아래로 흔들리거나 혹은 거꾸로 보관될 때 등의 상황에서 덮개(3)가 삽입되어진 반대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덮개(3)에 잠금장치를 설치하는데, 도 10a의 (가)에서 보듯 고정판 상단에 잠금장치 구멍(240)을 설치하고, 도 10a의 (나)에서 보듯 덮개의 상단에 고정판 상단의 잠금장치 구멍(240)과 일치되는 구멍(300,310)을 설치하되, 덮개(3)의 구멍 중 멈치의 끝이 나오는 열쇠구멍(310)은 멈치보다 작은 직경의 구멍과 멈치의 직경과 비슷한 길이의 직선을 조합한 형상의 구멍으로 만들고, 도 10b의 (다) 및 (라)처럼 고정판 상단에 덮개를 덮고, 멈치(32)를 큰 구멍(300)이 있는 쪽으로부터 작은 열쇠구멍(310)이 있는 쪽으로 통과시켜 멈치에 의해 고정판 상단에 덮개(3)가 고정되도록 한다. 멈치(32)는 직각의 형태를 지닌 작은 기둥의 형상으로써 그 끝의 걸림쇠(325)는 맞은편 열쇠구 멍(310)에 걸릴 수 있도록 열쇠구멍과 동일한 형상으로 만들어서 누운 고정판에 대해 멈치(32)를 수직으로, 클리어파일을 기준으로는 멈치를 수평으로, 멈치를 넣어 걸림쇠(325)가 열쇠구멍(310) 밖으로 나온 후에 멈치 손잡이의 무게에 의해 자연스럽게 90도 정도 회전하게 되면, 열쇠구멍(310)과 걸림쇠(325)의 형상이 90도 정도로 엇갈리게 되어 멈치가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b의 (마)는 열쇠구멍을 통과하는 순간의 걸림쇠(325)를 도해한 것이며, 도 10b의 (바)는 걸림쇠(325)가 열쇠구멍을 빠져나온 후 멈치가 자연스럽게 90도 정도 회전한 상태를 도해한 것이며, 도 10b의 (사)는 클리어파일이 눕혀져있는 상황에서 멈치의 회전을 도해한 것으로, 점선은 멈치를 넣거나 뺄 때의 위치로서 멈치 끝의 걸림쇠가 도 10b의 (마)와 같은 상태이고, 실선은 클리어파일의 평소 사용시 즉 열람을 위해 책상 위에 펴놓았을 때 등의 상황에서 멈치가 자연스럽게 아래로 쏠려있는 상황을 도해한 것으로, 멈치 끝의 걸림쇠가 도 10b의 (바)에 가까운 상태이다. 한편, 클리어파일을 보관하기 위해 세워놓을 경우 등에서도 멈치는 그 무게 때문에 (사)의 실선에 가까운 형태를 띠며, 도 10b의 (바)의 상태가 된다.
하지만 클리어파일을 엎어서 놓을 때 등의 상황에서 우연히 멈치(32)가 빠질 수 있으므로, 도 11과 같이 용수철을 이용한 용수철 멈치(33)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단 덮개의 잠금장치 구멍(240)과 덮개의 구멍(300)을 일치시켜 멈치를 통과시켜 고정하는 기본적인 원리는 기본적인 멈치(32)와 같지만, 도 11 (나) 내지 (마)에서 보듯 양쪽 구멍에 용수철(333)에 의해 수축력을 갖는 양쪽 멈치머리(332)을 넣어 고정하고 필요할 때 한쪽 끝의 멈치머리(332)를 당겨서 잠금을 해제하고 덮개를 열 수 있어서, 앞서의 열쇠구멍을 이용한 멈치처럼 우연히 잠금장치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용수철 멈치(33)는 작은 원통(331)속에서 양쪽 멈치머리(332)를 용수철(333)로 연결하고, 도 11의 (마)의 확대도면에서 볼 수 있듯, 멈치머리(332)의 끝은 돌출시키고 원통(331)의 양끝의 구경을 좁게 접어서 양쪽의 멈치머리(332)가 원통 밖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제작하여, 평소에는 도 11의 (라)와 같은 형태를 유지하여 (나)처럼 덮개 위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한쪽의 멈치머리(332)를 손으로 당기면 도 11의 (마)와 같이 양쪽 멈치머리(332)의 간격이 벌어짐에 따라 덮개의 구멍(300) 밖으로 멈치머리(332)가 노출되며, 사용자는 나머지 반대편의 멈치머리(322)를 마저 빼냄으로써 용수철 멈치(33)를 완전히 덮개에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멈치를 이용할 경우 멈치를 분실할 수도 있기 때문에 도 12와 같이 상단 덮개에 잠금장치를 포함시키는 방법으로 실시할 수도 있다. 고정판 상단에 요철 형태를 갖춘 고정쇠(25)를 형성시키고, 덮개 내부의 상단에 역시 요철 형태의 고정쇠(355)를 형성시키되, 덮개의 고정쇠(355)는 덮개의 구멍(350)을 통해 밖에서 사용자가 열림과 잠금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손잡이(356)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어서, 도 12의 (라)에서 보듯 조절손잡이(356)가 열림 상태에 있을 때에는 그 안쪽에 연결된 덮개의 고정쇠(355)와 고정판의 고정쇠(25)가 서로 떨어져 있어서 덮개를 위아래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으며, 조절손잡이(356)를 잠김 상태로 밀면, 안쪽에 연결된 덮개의 고정쇠(355)가 고정판의 고정쇠(25)의 사이로 들어가서 맞물리게 되어 덮개를 고정판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상과 같은 다양한 잠금장치를 제공하며, 실 제작과정에서 더욱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잠금장치로 개선할 수 있다.
8) 빗살부와 덮개의 정합 관계
고정판 위에 덮개가 겹쳐질 때 빗살형 고정판의 경우 빗살부(22) 상단과 덮개의 하단이 서로 맞물리는 부분에 있어서 도 13의 (가)와 같이, 편평하게 맞물리도록 할 수도 있으나, 좀더 안전하게 빗살부를 덮개 안으로 갈무리할 수 있도록 도 13의 (나) 내지 (라)에서 보듯 빗살부와 덮개 하단을 경사지게 처리하여 서로 교합되었을 때 경사면이 정합(整合)될 수 있도록 제작할 수도 있다.
9) 판매 및 관리를 위한 진열 및 보관 도구
본 발명에 의한 구철방식으로 제작된 클리어파일 및 문서 등의 자료를 관리하는데 사용되는 도구는 매우 다양한 태양을 가질 수 있다. 우선 도 14a에서 보듯 구철된 개별 클리어파일이나 혹은 문서를 벽에 괘도처럼 걸어서 보관·비치·진열할 수 있는데, 이때 사용되는 걸이(6)는 직접 벽에 고정되거나 혹은 도 15a 및 도 16의 경우처럼 걸이(6) 자체는 이동시킬 수 있되, 거치할 수 있는 다른 수단을 통해 벽부에 거치하는 방법으로도 제작될 수 있다. 걸이(6)에는 두 개의 걸림막대(61)이 있는데, 이 두 개의 걸림막대(61)는 클리어파일에서 걸림부(21)와 덮개 하단의 걸림작용을 하는 걸림부의 역할을 하는 것이며, 두 개의 걸림막대는 그 간격을 조절할 수 없으므로, 도 14a의 점선의 이동방향에 따라 개별 파일을 걸림막대에 걸어서 사용한다. 걸림막대는 도 14a에서 보듯 넓적한 형태로 만들 수도 있고, 도 14b에서 보듯 원형 걸림막대(62)로 만들 수도 있으며, 그외 다른 형태로도 제작이 가능하다.
도 14a와 도 14b와 도 14c는 걸이(6)와 걸림막대(61), (62)를 설명하는 것 외에 다양한 두께의 구철 파일을 걸이에 사용할 수 있다는 것과, 구철 파일을 이용한 대상 즉 문서 및 자료의 내용에 관한 것을 설명하고 있는데, 14a의 경우는 문구점에서 판매하는 비닐 속지의 형태를 사용한 예이며; 도 14b의 경우는 출판사에서 구철방식으로 제본하여 판매하는 악보를 예시한 것인데, 본 명세서의 배경기술 항목에서 상술한 바 있는 악보 관리의 불편 사항의 대부분은 구철방식을 채택함으로써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의한 개선효과가 가장 두드러지는 분야가 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악보를 출판한 것을 예시한 것이며; 도 14c의 경우는 개인 및 회사에서 자체 생산한 문서를 이용한 예를 보여준 것으로 지철부가 링으로 되어있어서 링 제본을 한 후 구철하여 사용하는 것을 예시한 것이며, 회사 및 개인은 이러한 방법으로 하나의 표지에서 그 내용을 지속적으로 갱신해가면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걸이(6)는 앞서 말한 바처럼 캐비넷 등의 보관장소 벽부 혹은 가옥 등의 벽에 직접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도 15a 및 도 15b에서 보듯 별도의 거치장치를 벽부에 고정시키거나 혹은 큰 거치장치를 마련하여, 걸이 단위로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15a는 그중 벽부에 거치판(63)를 설치한 경우를 도해한 것으로, 거치판에 주머니 형태로 거치대(630)를 마련하고, 걸이(6)의 하단에 거치판(631)을 형성하여 도 15b와 같이 거치대에 삽입하여 보관한다.
한편 도 16에서 보듯 벽부에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별도로 거치장치(64)를 마련할 수 있는데, 특히 구철 클리어파일 속지를 판매하는 경우나 혹은 서점 등에서 구철 악보를 파는 경우와, 다량의 자료를 보관할 때도 적용할 수 있으며, 거치장치는 하단에 축받이 회전장치를 설치하여 거치장치(64)를 회전시켜 자료를 찾을 수 있도록 만들 수 있다.
대량의 자료를 보관하는 장치로 도 17과 같은 구철걸이장(65)을 제작할 수 있다. 도 17의 (가)에서 보듯 옷걸이 모양의 고리(651)가 구철된 파일의 갈고리부에 일치되도록 형성하고, 고리(651)는 구철걸이장 상판(652) 하단에 위치한 홈(650)에 슬라이드처럼 넣었다 뺐다 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 각 고리에 자료들이 수납되어진 상태로 슬라이드처럼 구철걸이장 상판(652) 밖으로 끌어내서 자료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구철걸이장은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제작가능하며, 캐비넷에 넣을 수 있는 형태로 제작하거나 혹은 독자적으로 대형의 구철걸이장을 제작할 수 있으며, 상판(652)과 지지대(654)를 모듈(Module)형태로 나누어 판매하여 앵글을 짜듯 사용자의 필요에 맞춰 제작할 수 있다. 고리(651)는 도 17의 (다)와 같이 옷걸이의 모양을 지니며, 보다 많은 자료를 걸 수 있도록 도 17의 (라)와 같은 모양으로도 제작할 수 있다.
한편 문구점이나 서점에서 다른 판매대 위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나의 걸이(6)만을 가진 작은 스탠드를 제작할 수 있는데, 도 18의 (가)의 경우는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 재질로 만들고, 개별 파일들만을 걸 수 있도록 최소화하여 만든 경우이고, 도 18의 (나)는 마케팅을 위한 선전물 등을 비치할 수 있도록 목 재, 코르크, 플라스틱 수지 등으로 벽면을 형성한 경우이다.
상기 도 15 내지 도 18에서 설명한 보관 및 거치도구들은 도 14a 내지 도 14c에서 볼 수 있듯 구철된 개별 파일을 갈고리부를 위로 걸어서 보관하는 방식인데, 그 외에 구철된 개별 파일을 세워서 보관하는 방식으로도 보관 및 거치도구를 제작할 수 있다. 도 18a는 보관하다가 필요에 따라 휴대도 할 수 있는 개폐형 걸림도구(66)로서, 클리어파일의 하단 걸림부(21)의 역할을 하는 아랫고리(664)가 아랫판(662)에 고정되어있고, 클리어파일의 덮개 하단의 걸림부 역할을 하는 윗고리(663)가 윗판(661)에 고정되어있고, 윗판(661)중심부가 아랫판(662)의 내부로 인입되어 슬라이드처럼 접을 수 있으며, 다 접혔을 때 윗판 측면 구멍(665)과 아랫판 측면 구멍(666)에 멈치(667)를 끼워 윗판과 아랫판이 열리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는데, 멈치(667)는 윗판 측면 구멍(665)의 안쪽에 용수철(668)로 연결되어 윗판 측면 구멍(665)에 항상 끼워져 있으므로 멈치(667)가 측면 구멍을 이용해 윗판과 아랫판을 결속시키고 있을 때 윗판(661)과 아랫판(662)이 사용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열리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결속과정을 살펴보면, 멈치를 빼내고 윗판과 아랫판의 간격을 넓힌 후에 결속시키고자 하는 개별 파일들의 갈고리부(44)를 아랫고리(664)에 건 후에, 윗판을 내려서 윗고리(663)를 개별 파일들의 갈고리부(44)에 건 후에 측면의 멈치(667)을 아랫판 측면 구멍(666)에 맞춰서 고정시키면 도 19b와 같은 상태가 되어 멈치를 빼지 않는 한 개별 파일을 개폐형 걸림도구(66)에서 꺼낼 수 없게 되며, 실 제작 과정에서는 윗고리와 아랫고리 사이에서 개별 파일들이 비스듬히 놓이면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윗고리와 아랫고리의 중간 중간 에 돌출부를 설치한다.
한편 판매 또는 보관시에도 개별파일을 세워서 보관할 수 있도록 서가형 고정대(67)를 제작할 수 있는데, 도 20 (가)에서 보듯 내부에 공간이 생기도록 다수의 칸막이를 설치하고, 그 하단 전면부에는 걸림부(671)를 설치해서, 개별 파일들의 갈고리부 하단을 끼워서 비치할 수 있도록 하고, 각 칸막이마다 두 개의 세로 홈을 만들고 그 각 세로홈에는 개별 파일들의 갈고리부 상단을 끼워서 고정시킬 수 있는 걸쇠(673)를 끼우고, 각 걸쇠의 끝에 나사산을 만들어서 세로홈(674)을 통과한 후 너트(675)를 결합하여 걸쇠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되, 각각 앞쪽 세로홈(674a)에는 짧은 걸쇠(673a)를 통과시키고, 뒤쪽 세로홈(674b)에는 긴 걸쇠(673b)를 통과시켜서, 긴 걸쇠와 짧은 걸쇠를 번갈아 배치하여, 작동과정에서 각 걸쇠가 서로 옆 칸막이의 걸쇠와 겹치지 않도록 하며, 도 20의 (나)에서 보듯 위에서 봤을 때 짧은 걸쇠(673a)와 긴 걸쇠(673b)가 일직선으로 정렬할 수 있도록 하여 개별 파일들을 비치했을 때 가지런히 정렬할 수 있도록 제작한다. 이 서가형 고정대는 목재, 플라스틱 수지 또는 금속 등 다양한 소재로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구철 방식은, 클리어파일 속지·인쇄물·출력물 등 그 외형과 연원을 막론하고, 문서와 자료 및 서적을 주제별·범주별 또는 필요에 따른 분류 단위별로 분량에 상관없이 클리어파일 표지 또는 바인더에 비순차적으로 결속시켜 사용·관리할 수 있으므로, 개인과 회사 및 각종 단체에서의 자료 관리 효율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으며; 종교기관의 성가대 등에서 악보를 불법복제할 수 밖에 없는 취약점을 개선하여 정식출간된 악보를 통해 수급할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함으로써 불법복제를 억제시키고, 그로 인해 저작권 침해를 방지하는데 기여하고; 불법복제에 소요되는 막대한 종이, 전력, 복사안료 등을 절감하며; 각종 학교·학원 등 교육 기관·단체에서 교재의 형식으로 채택할 경우, 다수의 피교육생이 개인의 특성 또는 필요에 따라 단원별·항목별로 편집하여 각 개인에 최적화된 교재를 만들어 사용할 수 있어서 학습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구철을 이용하여 초등학교 교재를 만들 경우, 파일 하나에 그날의 해당과목 교재를 다 결속시켜 사용하는 등 교재의 양을 줄여서 어린 학생들의 부담을 덜게 할 수 있으며; 각종 회사에서 대리점, 하부 체인점 또는 각종 점포 및 영업사원에게 배포하는 각종 상품 카탈록·홍보물·매뉴얼 등의 기업의 인쇄물 및 은행 등의 점포에서 고객용으로 비치하는 잡지 또는 소식지 등등 동일한 장소·인물에게서 지속적으로 사용되면서도 그 내용이 수시로 변하는 인쇄물을 필요에 따라 조합해 사용하게 함으로써 다양한 업무의 효율성을 높히고, 표지 등에 소요되는 자원 및 비용을 줄일 수 있어서, 다양한 분야에서 경제적, 사회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한편 사진·일러스트·화집 등의 각종 화보서적에 적용하여 출판할 경우 다양한 콘텐츠 중에서 소비자가 원하는 화보만을 구매·편집하여 개인맞춤형 화보서적으로 만들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함으로써 소비자에게는 구매욕구를 촉발시키고, 생산자에게는 콘텐츠의 다양화에 대한 동기를 유발시킴으로써 관련 산업 진흥에 이바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통상 사용하는 클리어파일의 실제모습으로서, (가)는 40여매의 클리어파일 비닐 속지를 천공하고, 그 천공 구멍에 고정막대를 꿰어서 클리어파일 표지에 완전 고정시켜 사용하도록 제작된 것이며, (나)는 10매 정도의 클리어파일 비닐 속지를 클리어파일 표지에 열융착의 방법으로 완전히 고정시킨 것이다. 이렇게 고정되어있기 때문에 각 비닐 속지 안에 배치된 문서나 자료를 옮기려면 비닐 속지를 벌리고 문서나 자료를 꺼내서 일일이 새로운 비닐 속지에 넣어야 하며, 이러한 점이 클리어파일 사용시 가장 큰 단점이다.
도 1b는 클리어파일 사용시의 문제점을 도해한 것으로, (다-1)는 일반적인 클리어파일의 사면도이며, (다-2)는 점선으로 표시된 각 비닐 속지에 두 페이지 분량씩 자료가 있는 것을 표시한 도해이며, (다-1)과 (다-2) 사이의 화살표는 비닐 속지 간의 대응관계를 표시한 것으로, (다-2)와 같이 자료를 사용하다가 (다-1) 우측의 "자" 자료 또는 "축" 자료를 기존에 사용하던 자료 사이로 새로 끼어넣어야 할 상황이 상당히 많이 발생하는데, 그럴 경우 (다-3)이나 (다-4)에서 보듯 새로 삽입될 자료 이후에 위치되어있는 자료는 이미 배치된 비닐 속지에서 일일이 꺼내서 새로 배치되는 비닐 속지에 일일이 끼워넣어야하며, (다-4)의 경우에는 페이지 자체가 바뀌어서 서로 맞대는 문서까지 바꿔서 끼워야하는데, 이럴 경우 순서를 잘못 맞추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번거롭고 시간이 낭비된다는 단점 외에도 단순 수작업의 반복이면서도 비닐 속지가 용지규격에 거의 맞춰져 있어서 자료를 넣고 뺄 때 주의를 집중해서 해야하며, 때로는 이 과정에서 자료 혹은 비닐 속지가 파손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도 1c는 개선된 클리어파일과 바인더의 문제점을 표현한 실제 모습으로서, (라)는 클리어파일에 비닐 속지를 완전 고정시키지 않고, O링을 설치해서 천공된 비닐 속지를 자유롭게 넣거나 뺄 수 있도록 개량한 것인데, 각 비닐 속지가 낱장 단위로 관리되므로, 다양한 자료를 옮길 경우 섞이기 쉬우며, 사용 도중 새로운 자료를 추가할 경우에도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다른 주제 또는 분류 사이로 잘못 넣을 수 있게 되는 단점이 여전히 남아있으며; (마-1)은 바인더를 이용해 문서를 정리한 경우로, 지철된 자료를 열람하기 위해서는 D링의 반대편 쪽으로 책장을 넘겨서 보게 되는데, (마-2)와 같이 관리상의 편의를 위해 같은 주제 또는 같은 분류의 문서를 스태플링했을 경우, (마-3)에서 보듯 스태플러 침 때문에 문서를 제대로 펼 수 없고, 억지가 폈을 경우 문서가 찢어지는 등의 사용상의 불편이 따르고, 반대로 스태플러를 제거하고 바인더에 넣었을 경우에는 (라)에서 살펴봤던 단점 즉 한 주제를 이루는 여러 장의 문서가 별개로 나뉘어지기 때문에 자료가 섞이거나 대량의 자료 이동시에 업무가 매우 복잡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도 1d 이하는 저작권 침해가 가장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는 악보 불법복제에 관한 현황을 설명하기 위한 실제 모습들로서, 도 1d의 (바)는 접착제로 제본을 해서 판매되는 악보책자들이고, (사)는 (바)의 단점인, 뭔가로 눌러주지 않으면 책장이 덮히는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와이어 제본형태로 출판되는 악보책자이다.
악보를 사용하는 모든 사람이 이러한 책자를 구입하여 그 속의 악보를 보고 연습하고 연주하는 것이 악보에 존재하는 음악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한 바람직한 이용방법이다. 그러나 앞서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대로, 첫째, 악보 책 중에 필요한 악보는 한 두곡이어서 여러 사람 몫의 책을 구매하는게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점, 둘째, 책이라서 사용에 불편하고 또한 무겁다는 점, 셋째, 동시에 사용·휴대해야 하는 악보가 여러 개여서 그 각각의 모든 악보를 정식출간된 악보 서적으로 수급할 수 없다는 점 때문에 많은 종교단체의 성가대 등에서 악보를 발췌 복사해서 하나의 클리어파일에 넣어서 사용하고 있다.
도 1e는 불법복제된 악보의 실제 예를 보여주는 사진으로서 (아)는 여러 종의 복사된 악보들을 넣어서 일습(一襲)을 구비해 사용하는 클리어파일의 첫 장을 촬영한 사진으로, 윗부분이 검게 그슬린 자국이 복사한 악보임을 한눈에 알아 볼 수 있으며, 하단에는 저작권를 표시한 고지 문구가 보인다. (자)는 하나의 성가대가 일정기간 사용할 악보를 모아 제본한 것을 촬영한 것으로, 발표회, 종교명절 등 각종 행사를 위해 제작할 경우도 있고, 일정한 기간동안 예배에 연주할 곡을 모음집으로 제작하는 경우도 있는데, 제본의 형태는 윗부분 좌측처럼 와이어 제본, 윗부분 우측처럼 링 제본을 하거나 아랫부분처럼 접착제를 이용한 책 제본을 하는 경우 등 다양하다.
도 1f는 앞서의 제본된 책자들의 내부의 실제 예를 보여주는 사진으로서, 도 1e에서 봤던 제본된 악보책자들은 책에서 복사하거나, 또는 인터넷 악보 사이트를 통해 하나를 구매·출력한 악보를 복사하거나, 또는 그 전에 이미 복사되어서 사용했던 악보를 재복사하여 제작되므로, 도 1f의 (차)에서 보듯 이전 악보의 천공구멍 자국이 우측에 선명하게 드러나있거나, (카)에서 보듯 복사를 수차례 반복한 결과 음표를 제대로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조악한 상태가 되었고, 확대도면에서 보듯 링 제본을 위한 천공 구멍의 복사 흔적이 중복된 것에서 여러 차례 복사된 악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g는 여러 가지의 복사된 악보에서 찾을 수 있는 저작권 표시를 촬영한 사진인데, 교회 및 성당에서 사용하는 악보 중에는 저작권이 소멸된 악보, 예컨대 G.F.헨델의 메시아라던가 오래된 찬송가인 Amazing Grace처럼 저작권이 만료된 악보가 있기는 하지만, 대개의 성가대는 새로 창작된 곡 혹은 예전의 곡을 현대적으로 편곡한 곡 등을 더욱 많이 연주하고 있어서, 복사되어서 쓰여지는 상당수의 악보들은 그 하단에 저작권을 표시하고 있으며, 불법복제를 삼가달라는 호소를 덧붙이고 있는데, 도 1g의 (타)의 경우는 서적에서 복사된 악보에 나타나는 저작권 표시이며, (파)의 경우는 인터넷 악보 사이트에서 출력한 후 복사한 악보에 나타나는 저작권 표시이다.
이렇게 무차별적으로 악보를 복사해 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피해는 저작권 침해 뿐만 아니라 복사된 대부분의 악보가 재사용되지 않고 폐기되면서 종이 및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는 것인데, 앞에서 상세하게 살펴본 바 있는 대로 성가대의 악보 관리 상의 취약점 즉, 대개의 성가대 악보 관리자들이 관리책임이 거의 없는 자원봉사자들인데다가; 중구난방으로 여러 명이 간여하기 때문에 체계적인 관리가 불가능하고; 복사의 편의 때문에 양면복사보다는 단면복사를 압도적으로 선호하고; 하나의 악보를 다시 재사용하기까지의 기간이 너무 길기 때문에, 복사된 거의 모든 악보들이 재사용을 위해 보관되지만 관리부실로 결국 버려지고, 한편으로는 예전에 복사했던 악보를 찾지 못해 또 다시 같은 악보를 복사해 사용하는 악순환이 반복되면서 종이 및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구철을 적용한 클리어파일 또는 바인더의 실시 예로서, 그 중에서 빗살형 구철을 적용한 분해사시도로서, 표지(1)는 통상의 사용하는 클리어파일 또는 바인더의 표지와 같은 재질과 외형으로 만들어지며, 표지의 내측에 금속 또는 강인한 플라스틱 수지로 만들어진 고정판(2)이 있고, 그 내부는 비어있는 상태인데, 고정판의 하단은 전면부를 벽처럼 막아서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시키며; 고정판의 중간부분은 빗살부(22)로서 고정판 하단에서 시작된 여러 개의 가늘고 긴 막대가 상단 일정부분까지 뻗어있고, 이러한 막대들은 빗살의 형태를 띠며; 고정판의 상단은 고정판의 양 옆만 있을뿐 전면부는 개방되어있는 상태로 내부의 빈 공간이 그대로 노출되는 형태를 띠며; 적어도 한 장 이상의 비닐 속지(41)들이 하나의 지철부(42)에 결합·고정되고, 그 지철부는 지철부(42)보다 얇고 짧은 연결부(43)를 거쳐, 연결부(43)보다 두껍고 길게 돌출된 막대 또는 갈고리의 형태를 띠고 있어서 고정판 하단의 공간에 꽂을 수 있는 갈고리부(44)에 연결되어, 갈고리부(44)가 빗살부(22)의 틈 사이에 끼워진 후 고정판의 하단에 걸림으로써 개별 파일(4)이 클리어파일 표지 내부 고정판(2)에 결속되어지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개별 파일을 빗살부와 고정판 하단을 이용해 결속한 후, 상단 덮개(3)를 덮어서, 갈고리부(44)의 상단을 덮개의 하단부를 통해 결속하고, 적절한 잠금장치(24),(32) 로써 상단 덮개(3)를 고정시켜, 클리어파일을 사용할 때 개별 파일들이 클리어파일 밖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도면에서 비닐 속지(41)로 표현된 것은, 클리어파일용 비닐 속지에 국한되지 않고, 각종 인쇄된 종이, 프린터 같은 소량 인쇄장치를 이용한 출력물 등의 다양한 종이류 및 그 대체재 전체에 적용된다.
도 3a는 본 구철 방식의 핵심적인 원리 즉 지철부(42) 및 갈고리부(44)와 고정판(2) 하단의 걸림부(21) 및 빗살부(22)의 결합관계를 설명하는 도해들로서, (가)는 고정판을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인데, 고정판의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세로에 비해 가로를 확대시킨 도면으로서, 고정판(2) 하단은 개별 파일의 갈고리부(44)가 걸릴 수 있도록 전면부 전체가 막힌 상태로서 걸림부(21)가 되며; 중간의 빗살부(22)는 빗살모양을 가지고 있어서 빗살부의 틈 사이로 내부의 공간(20)이 보이는 상태를 유지하고; 차후 덮개가 덮힐 상단은 빗살부 없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덮개의 고정을 위한 지지대 역할을 하는 측면과 클리어파일 내부에 결합되어있는 고정판의 후면부는 하단으로부터 상단까지 이어지되, 상단의 측부(23)는 덮개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전후간의 길이는 좁아지고, 양 측방향으로는 좀 더 넓어지는 형태를 띠고 있다.
도 3a의 (나)는 개별 파일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해로서 비닐 속지 또는 문서(41)가 지철부(42)에 결합되어있고, 지철부(42)는 연결부(43)를 거쳐 갈고리부(44)와 이어지는데, 갈고리부(44) 하단이 빗살부의 틈을 따라 내려가서 걸림부(21)에 걸리고, 갈고리부(44) 상단이 덮개(3)에 의해 걸림으로써, 개별 파일(4)이 고정판(2)에 결속된다. 연결부는 빗살부의 틈을 통해 지철부와 갈고리부를 연결 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고정판(2)의 하단의 걸림부(21)로부터 빗살부(22)의 끝단까지의 거리보다 약간 짧은 길이이며 빗살부(22)의 틈을 통과할 수 있는 두께로 제작한다.
도 3a의 (다)는 (가)에서 A의 점선에 따라 고정판을 수평으로 절개했을 때의 단면도로서 고정판은 그 내부에 빈 공간(20)이 있고, 그 전면에 여러 개의 빗살(22)이 위치해있어서, 개별 파일의 갈고리부를 고정판 내부에 걸 수 있으며; 도 3a의 (라)는 (나)에서 A의 점선에 따라 개별 파일을 수평으로 절개했을 때의 단면도로서 비닐 속지 또는 문서(41)가 열융착 또는 천공을 통한 고정 등의 방법으로 지철부(42)에 고정·결합되어있고, 고정판의 빗살부(22)의 틈에 끼울 수 있는 두께로 만들어진 연결부(43)가 지철부(42)와 갈고리부(44)를 연결시켜주며; 고정판 안의 걸림부에 걸리는 갈고리부(44)는 빗살부의 틈보다 두께가 두껍고, 길이가 빗살부보다 길어서 고정판에 안전하게 결속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원칙적으로 지철부(42)와 연결부(43)와 갈고리부(44)는 사출성형 등의 방법으로 일체로 제작하여 그 연결력을 높히며, 고정판의 소재는 폴리프로필렌 등 강도가 좋은 플라스틱 수지를 재료로 만들 수도 있으며, 내구성을 높히기 위해 알루미늄 등의 금속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그 사용 상의 편의와 생산여건에 따라 소재를 변경할 수 있다.
도 3b는 앞서의 도 3a에서 제시된 고정판의 빗살부(22)와 개별 파일의 갈고리부(44) 및 지철부의 결합을 설명하는 도해로서, (마)는 고정판(2)과 개별 파일(4)의 결합을 측면에서 바라본 상태로, 개별 파일의 갈고리부 하단(44x)을 빗살 부(22)의 틈 사이로 끼워 고정판(2) 내부의 공간에 들어가도록 한 후 밑으로 내려서 고정판 하단(2)의 걸림부(21)에 갈고리부 하단(44x)이 걸리게 한 후, 상단 덮개로 갈고리부의 상단(44y)과 고정판의 상단을 아울러 덮음으로써 갈고리부(44)를 매개로 개별 파일을 고정판에 결속시키는 과정이다. 이때 갈고리부가 고정판에 결속되고 지지될 수 있는 근원적인 요소는 갈고리부 하단(44x)과 상단(44y)이 각각 고정판의 하단의 걸림부(21)와 상단 덮개(3)에 걸림에 따라 지탱되는 것이므로, 실 제작과정에서 갈고리부의 상단(44y)과 하단(44x)이 견딜 수 있는 개별파일의 무게에 따라 갈고리부를 비롯한 지철부 등의 재질과 규격를 가변적으로 적용한다. 한편, 도 3a의 (나) 및 도 3b의 (마)에서 보듯 갈고리부는 고정판 내부와 고정판 덮개(3) 안에 인입되는 점을 고려하여 그 상단과 하단을 다소 짧게 제작할 수 있다.
도 3b의 (바)는 고정판과 개별 파일의 결속된 상태를 표현하는데, 도 3a의 (가) 및 (나)의 A에 의한 단면도로서, 빗살부(22)의 틈 사이로 연결부(43)가 끼워지고, 갈고리부는 고정판 내의 공간에 위치되어진 상태이며, 지철부 및 갈고리부 등은 지철되는 양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만들 수 있는데, 빗살부의 틈 하나를 차지하는 크기에서 여러 개의 빗살부의 틈을 차지하는 분량까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3a 및 도 3b에서 제시된 mm단위의 규격은 구철 방식의 결속 원리의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해 작성한 수치일 뿐이며, 실제적인 생산 과정 및 상업화 과정에서 보다 효율적인 규격으로 개선될 수 있다.
도 4a의 (가)는 지철부에 비닐 속지 또는 문서를 결합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분해사시도로서, 적어도 한 장 이상의 투명 비닐 속지 또는 문서의 좌측 부분에 소정의 방식에 따라 천공(410)을 하고, 갈고리부(44) 및 연결부(43)와 일체로 제작된 지철부의 본체(421)에 형성된 천공 막대(422)에 비닐 속지 또는 문서의 천공 구멍(410)을 맞춰 비닐 속지 또는 문서를 지철부 본체(421)와 정렬시키고, 천공 막대와 일치하는 천공 구멍(425)을 가진 지철부 덮개(424)를 문서 위에 결합시키고, 최종적으로 지철부 덮개의 천공 구멍(425)으로 통해 돌출되는 천공 막대(422)를 열융착하여 지철부 덮개(424)에 고정시키는 등의 방법으로 영구적으로 결합시키며, 그 결과 도 4a의 (나)의 결합사시도와 같은 상태로 제작된다.
도 4b의 (다)는 착탈식 지철도구의 기본적인 태양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지철부 본체(421)의 천공 막대(422)의 몸체를 천공 막대의 머리보다 가늘고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으로 성형하고, 지철부 덮개(424)의 천공 구멍(425)을 열쇠구멍 형태로 천공하여, 지철부 본체(421)의 천공 막대에 지철될 문서의 지철 구멍을 끼우고 정렬시킨 후 지철부 덮개(424)를 덮고, 천공 구멍(425)의 큰 구멍에 천공 막대(422) 머리를 통과시킨 후, 지철부 덮개(425)를 아랫쪽으로 내림으로써 지철부 덮개의 천공 구멍(425)의 좁은 구멍에 천공 막대 몸체가 위치하도록 하여, 천공 막대(422) 머리가 천공 구멍(425)의 작은 구멍에 걸리도록 하여 이탈을 방지하며, 이것은 사용자가 지철부만을 구매하여 필요한 문서를 직접 지철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착탈의 방식은 상기의 방식 외에 보다 효과적인 방식으로 개선될 수 있으며, 지철될 수 있는 양에 따라 그 규격을 다양하게 제공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지철의 방식에 있어 일반적으로 클리어파일이 많이 채택하고 있는 3공의 천공 방식을 예로 들었으나, 제작 편의, 관리 상의 효율 등을 감안하여 2공, 4공 등 다른 천공 방식을 채택할 수도 있다.
도 5는 출판사·인쇄소 등에서 대량으로 인쇄하여 제작할 때 접착제 제본 또는 여러 가지 인쇄제본을 이용한 실시 예에 관한 도해인데, (가)는 접착제 제본을 이용한 경우의 단면도로서, 인쇄소 등에서 많은 페이지의 서적을 대량으로 제작하는 경우를 예시하는 것으로 사전에 정해진 분량을 지철할 수 있는 내부 너비를 가진 지철부 내측에, 제본에 사용되는 접착제(426)와 접착제 고정을 위한 망사(427)를 이용하여 다량의 문서 즉 종이(41)를 제본한 상태로서 앞서 설명한 학교·학원의 교재 또는 기업체의 업무편람 등으로 대량으로 생산되는 인쇄물에 적당한 방식이며; (나)는 (가)의 사면도이다. 도 5의 (다)는 소량의 인쇄물을 제본할 때를 단면으로 표현한 것으로, (가)에 비해 페이지 수가 적은 인쇄물에 해당되는 것으로, 4페이지씩 인쇄된 문서를 접어서 중앙부분에 타카, 스태플 또는 바느질 등의 방법(415)으로 제본하여 지철부(42)에 고정시켜서 사용하는 것을 도해한 것이며; 도 5의 (라)는 이미 인쇄되고 접착 등의 방법으로 제본되어진 문서를 사후에 천공의 방법으로 지철부에 지철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해로서, 도 4a의 (가) 및 (나)와 그 원리와 과정은 동일하며, 이미 제본된 책 등의 일부를 분철하여 구철하는 경우에도 이를 적용할 수 있으며, 상기 도 4b에서처럼 별도로 판매되는 지철 도구를 이용할 수 있다.
도 6은 링 제본을 이용한 실시 예에 관한 도해인데, (가)는 분해사시도로서, 지철부에 천공 막대(422) 등을 생략해 지철부를 최소화하고 지철부의 측부에 제본용 링(428)을 비스(4285) 등의 고정수단을 이용해서 결합시키고, (나)는 링 제본 지철부의 결합사시도에 문서의 결합관계를 추가한 사면도로서, (가)의 공정을 통해 제작된 링 제본 지철부에 일반적으로 판매·사용되는 링 제본기를 이용하여 생산한 문서를 제본할 수 있으며, 링 제본의 과정은 본 발명과 상관이 없으므로 생략한다. 이외에 와이어제본, 스트립제본, 열제본 등등 회사에서 많이 사용되는 제본방식도 적용할 수 있는데, 그 구체적인 적용 실시 예는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구철은 기존의 지철·제본 방식을 대체하는 관계가 아니라 보완하는 관계이므로, 본 명세서에 언급하지 않은 다른 어떠한 제본·지철 방식이라도 갈고리부를 설치함으로써 결속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 통용되는 모든 지철·제본 방식에 본 발명에 의한 구철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도 7은 빗살부와 갈고리부의 단면도들로서 (가)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의 기준으로 삼고 있는 빗살형의 기본적인 형태로서, 개별 파일을 빗살부에 넣고 뺄 때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여유를 주기 위해서 연결부(43a)의 세로폭을 빗살부(22a)의 세로폭보다 크게 만드는데, 이로 인해 개별 파일이 고정판에 결속된 후에도 앞뒤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도 7의 (나)는 (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빗살부(22b)와 갈고리부(44b)와 연결부(43b)를 모두 원형과 유선형으로 처리하여 연결부에 여유가 없더라도, 빗살부에 갈고리부를 걸어서 넣고 뺄 때 한층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실제 생산과정 및 사용과정에서 이들보다 개선된 실시 예를 적용할 수 있다.
도 8a는 자유형 고정판을 가진 클리어파일의 사면도로서, 도 2 내지 도 7까지에서 설명한 빗살형과는 달리, 고정판 중간에 빗살부가 전혀 없으며, 오직 고정판 하단의 걸림부(21)와 덮개(3)에 의해 개별파일의 갈고리부(44)를 결속시키고, 이로 인해 개별 파일들 간의 순서를 훨씬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기본적인 사용법은 도 2 내지 도 7의 빗살형과 동일하기 때문에 생략한다.
도 8b는 절충형 고정판을 가진 클리어파일의 사면도로서, 절충형 고정판이란 빗살형과 자유형의 중간 형태로서 빗살부는 없지만, D에 의한 확대단면도에서 볼 수 있듯 고정판 내부에 빗살부의 길이와 동일한 지지대(215)가 있어서 개별파일을 대분류별로 정리할 수 있는 것으로서, 자유형의 고정판을 사용할 때 개별 파일들이 고정판 내에서 좌우로 심하게 요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자료관리 양상에서는 개별 파일들을 대주제별로 분류하고, 그 대분류 안에서 순서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는 잇점을 제공한다. 한편, 도 8a의 자유형과 도 8b의 절충형에서는 빗살형의 경우보다 걸림부(44)와 연결부(43)를 두껍고 크게 만들 수 있어서 분량이 많은 자료나 서적을 사용하는데 유리하다. 한편, 빗살형 고정판에서 사용되는 개별파일의 갈고리부는 같은 용지 규격의 절충형이나 자유형의 고정판에서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도 9는 고정판 상단(23)과 덮개(3)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인데, (가)는 도 3a의 B와 도 8a 및 도 8b의 B에 의한 단면도로서, 표지(1)에 고정판(2)의 후면이 고정된 상태이며, (나)는 도 8a 및 도 8b의 C에 의한 단면도로서, 고정판 상단(23)과 덮개(3)의 교합 부위는 각자 안으로 파인 사선 형태로 성형되어, 덮개(3) 의 돌출부위(311)와 고정판 상단(23)의 돌출부위가, (가)와 (나) 사이에 연결된 점선을 따라 대응되어 서로 맞물려서 (다)와 같이 덮개가 고정판에 고정되고, 이렇게 맞물리는 형태를 하기 때문에 고정판 내부에 결속되었던 개별 파일의 무게에 의해 덮개(3)가 앞쪽으로 이탈하거나 또는 클리어파일이 엎어질 때 등의 상황에서 덮개(3)가 앞쪽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도 9의 (라)는 고정판을 위에서 내려다본 상면부감도(上面俯瞰圖)로서 각 단계별로 고정판 상단(23)과 빗살부(22)의 외형을 비교하여 이해를 돕기위한 도면이다.
도 10a는 잠금장치의 실시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고정판(2)과 덮개(3)의 사면도인데, (가)는 고정판(2)의 사면도로서, 앞서의 도 9의 (라)의 상면부감도와는 180도 회전된 상태인데다가 잠금장치(24)가 추가된 것이며, (나)는 덮개를 젖혀놓은 상태의 사면도로서, (가)의 고정판(2)에 (나)의 덮개(3)를 뒤집어서, 고정판(2)과 덮개(3) 간에 점선으로 대응되는 부분이 맞춰지도록 덮는 방향과 덮히는 방향에 따라서 덮게 되면, 도 10b의 (다)와 같이 덮히게 되는 구조를 가진다.
도 10a의 (가)에서 보듯 고정판 상단에 잠금장치 구멍(240)을 설치하고, 도 10a의 (나)에서 보듯 덮개의 상단에도 고정판 상단의 잠금장치 구멍(240)과 일치되는 구멍(300)을 설치하되, (나)의 확대도면과 같이 덮개의 고정판 상단의 구멍 중 멈치의 끝이 나오는 열쇠구멍(310)은 멈치보다 작은 직경의 구멍과 그 중심으로부터 직선상의 구멍을 조합한 형태로 만든다.
도 10b의 (다)는 앞서의 도 10a의 (가) 및 (나)를 결합한 결합사시도이며, (라)는 (다)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면도로서 (다)에서 보이는 열쇠구멍(310)과 (라)의 멈치 구멍(300)은 연결되어있어서, 멈치(32)를 멈치 구멍(300)으로 넣으면 멈치의 끝에 있는 걸림쇠(325)가 열쇠구멍(310)을 통해 나오게 되는 구조를 가지며, 멈치 구멍(300)과 열쇠 구멍(310) 사이의 내부로 고정판 상단의 잠금 장치(24)의 잠금장치 구멍(240)이 위치하기 때문에 멈치(32)가 고정판(2)의 구멍(240)과 덮개의 구멍(300,310)을 관통함으로써 고정판에 덮개를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덮개의 잠금장치로서 작용한다.
도 10b의 (마) 및 (바)는 멈치의 끝에 위치한 걸림쇠(325)를 확대한 것인데, (마)는 멈치가 열쇠구멍을 통과해서 나올 때, 즉 사용자가 열거나 닫는 동작을 하기 때문에 덮개 상단의 열쇠구멍(310)과 일치하는 각도를 가지게 되며, (바)는 사용자가 멈치를 조작하지 않으면서 클리어파일이 세워져있거나 뉩혀져 있기 때문에 멈치가 그 손잡이의 무게에 의해 자연스럽게 닫힘으로써 걸림쇠(325)가 덮개의 열쇠구멍(310)과 엇갈리는 각도를 유지하므로 자연스럽게 잠겨지는 상태이다. 도 10b의 (사)에서 멈치가 점선의 각도를 가지는 때는 사용자가 덮개를 열기 위해 멈치를 빼거나 혹은 덮개를 덮은 후 멈치를 넣는 때로서 이때 걸림쇠(325)는 도 10b의 (마)의 상태를 갖게되고, 멈치가 실선의 각도를 가지는 때는 사용자가 덮개를 덮은 후 멈치를 놓음에 따라 멈치 손잡이가 그 무게에 의해 아래로 기울어지면서 점선의 위치와는 약 90도의 각도를 유지하기 때문에 이미 열쇠구멍(310) 밖으로 노출된 걸림쇠(325)가 열쇠구멍과 엇갈리는 각도를 유지하게 되어 고정된 상태로서, 이때 걸림쇠는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멈치의 끝 걸림쇠(325)가 열쇠구멍(310)에서 벗어날 수 있는 각도는 클리어파일을 기준으로 90도 되는 각도를 유지할 경우인데, 클리어파일을 세로로 보관할 경우에는 손잡이가 수평을 유지해야하므로, 외력이 없다면 잠긴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클리어파일을 눕혀놓고 펴서 사용할 경우라면, 도 10b의 (사)의 점선과 같이 손잡이가 하늘을 향해야 하는 상황이므로, 이때도 외력이 없이는 잠겨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특이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우연히 멈치가 열릴 가능성은 그리 높지 않다.
도 11은 잠금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해한 것으로, (가)는 앞서의 도 10b의 (다)와 동일한 사면도인데, 덮개의 양쪽에 모두 멈치 구멍(300)이 설치되어있으며, (나)에서 보듯 용수철 멈치(33)를 양쪽 멈치 구멍(300)에 끼워서 사용하며, (다)는 용수철 멈치(33)의 외형도이며, (라)는 용수철 멈치(33)의 내부를 투시한 도면이며, (마)는 용수철 멈치(33)가 작동할 때 내부를 투시한 도면인데, 용수철 멈치(33)는 작은 원통(331)속에서 양쪽의 멈치머리(332)를 용수철(333)로 연결하고, 원통(331) 양끝의 아가리를 좁히는 대신, 원통 안으로 인입된 양쪽의 멈치머리(332)의 끝은 돌출시켜서 양쪽의 멈치머리(332)가 원통 밖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제작한다. 평상시 즉 멈치 구멍에 꽂혀있을 때는 (다) 및 (라)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나)와 같이 덮개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지만, 사용자가 덮개를 열 때 (마)와 같이 한쪽의 멈치머리를 당겨서 덮개의 멈치구멍(300)으로부터 용수철 멈치(33)를 제거함으로써 덮개의 잠금을 해제한다.
도 12는 잠금장치에 관한 또 다른 실시 예로서, (가)는 고정판의 사면도, (나)는 덮개 내부를 위로 향하게 한 상태의 사면도이며 (다)는 덮개 외부를 위로 향하게 한 상태의 사면도로서, 앞서 두 가지 실시 예의 경우에는 멈치(32) 또는 용 수철 멈치(33)가 덮개와 분리되어있기 때문에 사용 과정에서 멈치를 분실하는 경우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데 도 12에서 제시하는 잠금장치의 실시 예는 덮개에 잠금장치를 포함시키는 방법으로서, 도 12 (가)에서 보듯 고정판 상단에 요철 형태를 갖춘 고정쇠(25)를 형성시키고, (나)에서 보듯 덮개 내부의 상단에 역시 요철 형태의 고정쇠(355)를 형성시키되, 덮개의 고정쇠(355)는 덮개의 구멍(350)을 통해 밖에서 사용자가 열림과 잠금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손잡이(356)와 결합되어 있어서, 덮개를 고정판 상단에 끼워서 완전히 밀착시키면, (라)와 같이 고정판 상단의 고정쇠(25)와 덮개 내부의 고정쇠(355)가 번갈아서 교합이 가능한 위치가 되고, (마)에서 보듯 사용자가 덮개 외부의 조절손잡이를 잠김 위치로 밀면 고정판 상단의 고정쇠(25)와 덮개 내부의 고정쇠(355)가 교합되어, 덮개가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라)는 덮개가 고정판에 결속되어있지만 잠기지 않은 상태의 내부를 투시한 부감도이며 (마)는 잠긴 상태의 내부를 투시한 부감도이다.
도 13은 빗살부와 덮개의 정합을 설명하는 도해로서, (가)는 기본적인 빗살부를 채택한 경우에 덮개(3)를 고정판 상단(23)에 결합시키기 직전의 상태에서 내부를 투시한 측면도로서, 빗살부(22a)와 덮개의 하단 부분(3a)이 단순하게 절개되어있어서 단지 접촉되는 상태를 가지며; (나)는 빗살부(22b)와 덮개의 하단 부분(3b)이 경사면을 이루기 때문에 덮개를 완전히 밀착시켰을 때 빗살부가 덮개 안으로 갈무리될 수 있게 된다. (다)는 빗살부(22)의 사면도로서 빗살부의 끝이 비스듬히 깍여있으며, (라)는 덮개 하단의 사면도로서 빗살부와 접하는 면이 비스듬히 깍여있다.
도 14a 내지 도 19는 구철을 적용한 클리어파일용 속지, 각종 인쇄물, 지철도구 등을 사용 또는 판매할 때 사용하는 거치·보관 도구들이다.
도 14a는 걸이(6)의 기본적인 작용을 표현하는 도해로서, 걸이(6)는 구철된 개별 클리어파일이나 혹은 문서를 벽에 괘도처럼 걸어서 보관·비치·진열할 수 있는데, 이때 사용되는 걸이(6)는 캐비넷 등 보관장소의 벽부 또는 가옥 등의 벽에 직접 고정되거나 혹은 도 15a 및 도 15b와 도 16의 경우처럼 걸이(6) 자체는 이동시킬 수 있되, 거치할 수 있는 다른 수단을 통해 벽부에 거치하는 방법으로도 제작될 수 있다. 걸이(6)에는 두 개의 걸림막대(61)가 있는데, 이 두 개의 걸림막대(61)는 클리어파일에서 걸림부(21)와 덮개 하단의 걸림작용을 하는 걸림부의 역할을 하는 것이며, 두 개의 걸림막대는 그 간격을 조절할 수 없으므로, 도 14a의 점선의 이동방향에 따라 개별 파일을 걸림막대에 걸어서 사용한다.
도 14b는 걸림막대의 다른 실시 예로서 걸림막대(62)의 형상을 원형으로 처리한 것이며, 이 외의 다른 형태로도 제작이 가능하다.
도 14a와 도 14b와 도 14c는 걸이(6)와 걸림막대(61), (62)를 설명하는 외에 다양한 두께의 구철 파일을 걸이에 사용할 수 있다는 것과, 구철 파일을 이용한 대상 즉 문서 및 자료의 내용에 관한 것을 설명하고 있는데, 14a의 경우는 문구점에서 판매하는 비닐 속지의 형태를 사용한 예이며; 도 14b의 경우는 출판사에서 구철방식으로 제본하여 판매하는 악보를 예시한 것인데, 본 명세서의 배경기술 항목에 서 상술한 바 있는 악보 관리의 불편 사항의 대부분은 구철방식을 채택함으로써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의한 개선효과가 가장 두드러지는 분야가 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악보를 출판한 것을 예시한 것이며, 도 14c의 경우는 개인 및 회사에서 자체 생산한 문서를 이용한 예를 보여준 것인데, 지철부가 링으로 되어있어서 링 제본을 한 후 구철하여 사용하는 것을 예시한 것으로서 회사 및 개인은 이러한 방법으로 하나의 표지에서 그 내용을 지속적으로 갱신해가면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5a 내지 도 15b는 도 14a 내지 도 14c의 걸이를 이동시키면서 사용하는 예를 보여주는 것으로, 도 15a는 벽부에 거치판(63)를 설치한 경우의 사면도로서, 거치판에 주머니 형태로 거치대(630)를 마련하고, 걸이(6)의 하단에 거치판(631)을 형성하여 점선을 따라 거치대에 걸어서 보관하며; 도 15b는 도 15a의 점선에 따라 거치대에 걸이를 결합한 상태의 사면도이다.
도 16은 별도의 거치장치(64)를 도해한 것으로, 구철 클리어파일 속지를 판매하는 경우나 혹은 서점 등에서 구철방식으로 출판된 악보를 파는 경우와, 다량의 자료를 보관할 때 등에 적용할 수 있으며, 거치장치는 하단에 축받이 장치를 설치하여 거치장치(64)를 회전시켜 자료를 찾을 수 있도록 만들 수 있다.
도 17은 구철걸이장(65)의 실시 예로서, 구철걸이장(65)은 대량의 자료를 효과적으로 보관하는 장치로, 도 17의 (가)에서 보듯 옷걸이 모양의 고리(651)가 구철된 파일의 갈고리부에 일치되도록 형성하고, 고리(651)는 구철걸이장 상판(652) 하단에 위치한 홈(650)에 슬라이드처럼 넣었다 뺐다 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 각 고 리에 자료들이 수납되어진 상태로 슬라이드처럼 구철걸이장 상판(652) 밖으로 끌어내서 자료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구철걸이장은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제작가능하며, 캐비넷에 넣을 수 있는 형태로 제작하거나 혹은 독자적으로 대형의 구철걸이장을 제작할 수 있으며, 상판(652)과 지지대(654)는 모듈(Module)형태로 나누어 판매하여 앵글을 짜듯 사용자가 상황에 필요에 맞춰 제작할 수 있다. 도 17의 (다)는 구철걸이장에 쓰이는 고리의 기본형이며, (라)는 (다)보다 많은 분량의 자료를 걸 수 있도록 개량된 것이다.
도 18은 비치용 스탠드에 관한 도해로서, 이는 문구점이나 서점에서 다른 판매대 위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나의 걸이(6)만을 가진 작은 스탠드로 제작된 것인데, (가)의 경우는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 재질로 만들고, 개별 파일들만을 걸 수 있도록 최소화하여 만든 경우이고, (나)는 마케팅을 위한 선전물 등을 비치할 수 있도록 목재, 코르크, 플라스틱 수지 등으로 벽면을 형성한 경우이다.
이상의 도 15 내지 도 18에서 설명한 보관 및 거치도구들은 도 14a 내지 도 14c에서 볼 수 있듯 구철된 개별 파일을 갈고리부를 위로 걸어서 보관하는 방식이다.
도 19a 내지 도 19b는 개별 파일들을 세로로 보관하면서 필요에 따라 휴대할 수 있는 개폐형 걸림도구(66)의 사면도로서, 클리어파일의 하단 걸림부(21)의 역할을 하는 아랫고리(664)가 아랫판(662)에 고정되어있고, 클리어파일의 덮개(3) 하단의 걸림부 역할을 하는 윗고리(663)가 윗판(661)에 고정되어있고, 윗판(661)의 중 심부가 아랫판(662)의 내부로 인입되어 슬라이드처럼 접을 수 있으며, 다 접혔을 때 윗판 측면 구멍(665)과 아랫판 측면 구멍(666)에 멈치(667)를 끼워 윗판과 아랫판이 열리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는데, 멈치(667)는 윗판 측면 구멍(665)의 안쪽에 용수철(668)로 연결되어 윗판 측면 구멍(665)에 항상 끼워져 있으므로, 멈치(667)가 측면 구멍을 이용해 윗판과 아랫판을 결속시킨 후에 윗판(661)과 아랫판(662)이 사용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열리는 것을 방지한다. 결속과정은 다음과 같은데, 멈치를 빼내고 윗판과 아랫판의 간격을 넓힌 후에 결속시키고자 하는 개별 파일들의 갈고리부(44)를 아랫고리(664)에 건 후에, 윗판을 내려서 윗고리(663)를 개별 파일들의 갈고리부(44)에 결속시킨 후에 측면의 멈치(667)을 아랫판 측면 구멍(666)에 맞춰서 고정시킨다.
도 19b는 도 19a에서의 결속방법대로 결속을 완료했을 경우의 사면도로서, 멈치를 빼지 않는 한 개별 파일을 개폐형 걸림도구(66)에서 꺼낼 수 없게 되며, 실 제작 과정에서는 윗고리와 아랫고리 사이에서 개별 파일들이 비스듬히 놓이면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윗고리와 아랫고리의 중간 중간에 돌출부를 설치할 수 있다.
도 20는 서가형 고정대(67)의 실시 예로서, 서가형 고정대는 판매 또는 보관시에도 개별파일을 세워서 보관할 수 있도록 제작되는데, 도 20 (가)에서 보듯 내부에 공간이 생기도록 다수의 칸막이를 설치하고, 그 하단 전면부에는 걸림부(671)를 설치해서, 개별 파일들의 갈고리부 하단을 끼워서 비치할 수 있도록 하고, 각 칸막이마다 두 개의 세로 홈을 만들고 그 각 세로홈에는 개별 파일들의 갈고리부 상단을 끼워서 고정시킬 수 있는 걸쇠(673)를 끼우고, 각 걸쇠의 끝에 나사산을 만들어서 세로홈(674)을 통과한 후 너트(675)를 결합하여 걸쇠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되, 각각 앞쪽 세로홈(674a)에는 짧은 걸쇠(673a)를 통과시키고, 뒤쪽 세로홈(674b)에는 긴 걸쇠(673b)를 통과시켜서, 긴 걸쇠와 짧은 걸쇠를 번갈아 배치하여, 작동과정에서 각 걸쇠가 서로 옆 칸막이의 걸쇠와 겹치지 않도록 하며, 도 20의 (나)에서 보듯 위에서 봤을 때 짧은 걸쇠(673a)와 긴 걸쇠(673b)가 일직선으로 정렬할 수 있도록 하여 개별 파일들을 비치했을 때 가지런히 정렬할 수 있도록 제작한다. 이 서가형 고정대는 목재, 플라스틱 수지 또는 금속 등 다양한 소재로 제작할 수 있다.
도 1a는 기존의 클리어파일의 태양을 보여주는 사진
도 1b는 기존의 클리어파일의 사용상의 불편을 표현한 도해
도 1c는 낱장의 비닐 속지 단위로 사용할 수 있는 클리어파일과 바인더의 사용양상을 보여주는 사진
도 1d는 출판되어 판매되는 악보 책의 외양을 보여주는 사진
도 1e는 불법복제한 악보를 이용한 클리어파일 및 책자를 보여주는 사진
도 1f는 불법복제되어 사용되는 악보의 태양을 보여주는 사진
도 1g는 각종 악보의 저작권을 표시하는 고지와 불법복제 자제를 호소하는 고지를 보여주는 사진
도 2는 구철 방식의 클리어파일 또는 바인더의 분해사시도 (빗살형 고정판)
도 3a는 갈고리부와 걸림부의 결속 원리를 설명하는 전면도, 측면도 및 단면도
도 3b는 결속 과정을 설명하는 측면도 및 단면도
도 4a는 천공을 이용한 구철방식의 지철 과정을 설명하는 사면도
도 4b는 재사용이 가능한 판매용 구철방식 지철 도구의 사면도 및 확대도
도 5는 대량의 인쇄·출판물의 여러 가지 제본을 적용한 구철의 실시 예
도 6는 소량의 링 제본을 적용한 구철의 실시 예
도 7은 갈고리부와 빗살부의 실시 예를 표현한 단면도
도 8a는 자유형 고정판을 가진 구철 방식의 클리어파일 또는 바인더의 분해 사시도
도 8b는 절충형 고정판을 가진 구철 방식의 클리어파일 또는 바인더의 분해사시도
도 9는 고정판 상단과 덮개의 결합단면도 및 상면부감도
도 10a는 멈치를 이용한 잠금장치의 설명을 위한 고정판과 덮개의 사면도
도 10b는 멈치를 이용한 잠금장치의 결합사면도 및 멈치의 부분확대도
도 11은 용수철 멈치를 이용한 잠금장치의 사면도 및 투시도
도 12는 일체형 잠금장치를 표현한 사면도 및 투시도
도 13은 빗살부와 덮개의 정합을 설명하는 측면도 및 사면도
도 14a는 구철된 개별 파일을 걸이에 결합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사면도
도 14b는 구철을 적용하여 출판된 악보책자를 원형 걸이에 결합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사면도
도 14c는 구철을 적용하여 링 제본된 교육자료를 걸이에 결합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사면도
도 15a는 걸이를 벽부 거치대에 거치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사면도
도 15b는 걸이와 벽부 거치대의 결합사시도
도 16은 거치 장치의 사면도
도 17은 구철걸이장의 사면도와 그 부속품의 도해
도 18은 비치용 스탠드의 사면도
도 19a는 휴대가능한 개폐형 걸림도구의 작동과정을 표현하는 사면도
도 19b는 휴대가능한 개폐형 걸림도구와 개별 파일의 결합 사시도
도 20은 서가형 고정대의 분해사시도 및 걸쇠들의 작용 양상을 설명하는 평면도

Claims (16)

  1. 중공형태를 갖는 고정판의 내부에 삽입되는 갈고리부;
    상기 갈고리부의 형성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상기 갈고리부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연결부;
    복수 개의 문서 또는 내지를 연결하도록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지철부;
    표지의 소정 위치에 형성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 및 상기 갈고리부의 상부 일부를 포함하도록 상기 고정판의 상부 일단에 끼워지는 상단덮개;
    상기 고정판은 하단에 전면부를 차단시키는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의 상부에 형성되되, 막대형태를 갖는 복수 개의 캐비티가 형성되는 빗살부;
    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갈고리부의 폭은 상기 캐비티의 폭 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철 결합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빗살부의 캐비티 사이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철 결합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빗살부 또는 상기 갈고리부의 단면은 사각형, 원형, 타원형 또는 유선형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철 결합구조.
  7. 제1항 또는 제5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지철 결합구조를 포함하는 바인더.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090089069A 2009-09-21 2009-09-21 구철(鉤綴) 방식 및 그 관리에 필요한 도구 KR101250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9069A KR101250756B1 (ko) 2009-09-21 2009-09-21 구철(鉤綴) 방식 및 그 관리에 필요한 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9069A KR101250756B1 (ko) 2009-09-21 2009-09-21 구철(鉤綴) 방식 및 그 관리에 필요한 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1710A KR20110031710A (ko) 2011-03-29
KR101250756B1 true KR101250756B1 (ko) 2013-04-04

Family

ID=43936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9069A KR101250756B1 (ko) 2009-09-21 2009-09-21 구철(鉤綴) 방식 및 그 관리에 필요한 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075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9090A (ja) * 1993-05-24 1995-06-13 Morningstar Inc ノートバインダ
JP2533807B2 (ja) * 1989-09-26 1996-09-11 スライデックス株式会社 ファイルシ―ト用ファイル装置及びそれに使用するためのバイン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3807B2 (ja) * 1989-09-26 1996-09-11 スライデックス株式会社 ファイルシ―ト用ファイル装置及びそれに使用するためのバインダ―
JPH07149090A (ja) * 1993-05-24 1995-06-13 Morningstar Inc ノートバイン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1710A (ko) 2011-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58498B2 (en) Indexing system package and display system
US5683111A (en) Binder system and kit
US20070252377A1 (en) Devices for supporting printed matter
US6712396B2 (en) Soft book
US6926307B2 (en) Photo journal scrapbook
US6386784B1 (en) Fully interchangeable and recyclable binder cover and binding mechanism
US20140016989A1 (en) Recyclable ring binder apparatus with quick release ring metals
US20070024048A1 (en) Scrapbook Component System Which Includes Cover Insert
US6607215B2 (en) Scrapbook
US7568853B2 (en) Document binder assembly
US6752559B2 (en) Indexing system package and display system
KR101250756B1 (ko) 구철(鉤綴) 방식 및 그 관리에 필요한 도구
WO2005077229A1 (en) Shadow box page
US5529418A (en) Binder for planning calendar/appointment book and kit
JPH11115364A (ja) 差し替えシート体
US20070086839A1 (en) Securing tool with swing clip and indicia area
JP3059237U (ja) コーム形バインダのためのカバー体
JP3865389B2 (ja)
JP2012066523A (ja) 集冊ファイル用別冊、集冊ファイル用別冊の表紙部及び集冊ファイル用別冊の綴じ込み方法
Aduriz Pastelería Cristina Egutegia 1998 [Material grafikoa]= Calendario de Pasteleria Cristina, 1998
CA2485895C (en) Indexing system package and display system
JP3125541U (ja) カタログ式ギフトファイル
JPH11291661A (ja) システム手帳に綴じられる文庫本
Goode The care of pamphlets
KR20100004507U (ko) 재활용이 가능한 전단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