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0670B1 - 베이스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베이스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0670B1
KR101250670B1 KR1020110139990A KR20110139990A KR101250670B1 KR 101250670 B1 KR101250670 B1 KR 101250670B1 KR 1020110139990 A KR1020110139990 A KR 1020110139990A KR 20110139990 A KR20110139990 A KR 20110139990A KR 101250670 B1 KR101250670 B1 KR 101250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ing portion
base member
cleaning liquid
disk
rotor h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9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태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9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0670B1/ko
Priority to US13/653,953 priority patent/US20130162076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0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0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20Driving; Starting; Stopping; Control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20Driving; Starting; Stopping; Control thereof
    • G11B19/2009Turntables, hubs and motors for disk drives; Mounting of motors in the driv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0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on from ingress, e.g. water or fi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otational Drive Of Disk (AREA)
  • Cleaning Or Drying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크가 설치되는 로터 허브를 구비하는 로터와, 상기 로터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테이터 및 상기 스테이터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로터 허브와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베이스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향 배치되는 상기 로터 허브의 대향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세정액 침투 방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로터 허브는 원반 형상을 가지는 바디와, 상기 바디로부터 축방향 하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마그넷 장착부 및 상기 마그넷 장착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디스크 안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세정액 침투 방지부는 상기 디스크 안착부와, 상기 디스크 안착부에 대향 배치되는 베이스부재의 대향면 중 적어도 하나에 도포되는 세정액 차단제를 구비하고, 상기 세정액 차단제는 불소계 수지가 불소계 용제에 용해되어 형성되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베이스 어셈블리{Base assembly}
본 발명은 베이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기록 디스크 구동장치는 소형화와 대용량화가 진행되어, 모바일형의 퍼스널 컴퓨터에 기억 장치로서 탑재되어 있는 것 외에 최근에는 휴대형 뮤직 플레이어나 비디오 카메라에 있어서도 악곡이나 음성, 영상을 기록하기 위한 장치로서 탑재되고 있다.
이러한 기록 디스크 구동장치는 고속 회전 구동되는 하나 이상의 디스크와, 디스크의 표면에 접촉 또는 부상하여 정보의 판독을 행하는 헤드를 기본적으로 구비한다.
한편, 최근에는 기록 용량의 증가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보다 많은 수의 디스크를 탑재하고, 더하여 디스크와 헤드 사이의 간격이 점점 더 좁아지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보다 작은 크기의 이물질 관리가 요구된다. 즉, 디스크와 헤드 사이의 간격이 점점 더 좁아지므로, 미세 크기의 이물질에 의한 작동불량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스핀들 모터(즉, 스테이터와 로터의 결합체)를 베이스부재에 조립하기 전에 부품을 세정한 후 클린룸 환경에서 부품을 조립하고, 포장하기 전 고압의 공기를 불어서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진공환경 하에서 클리닝을 통해 이물질을 제거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이물질 제거방법에 의해서는 미세 크기의 이물질을 제거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세정액에 베이스 어셈블리를 침지시켜 베이스 어셈블리를 세정할 수 있는 베이스 어셈블리의 구조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하기의 특허문헌 1에는 베이스부재를 구비하는 기록 디스크 구동장치가 개시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0080875호
세정액에 의한 세정작업이 가능한 베이스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크가 설치되는 로터 허브를 구비하는 로터와, 상기 로터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테이터 및 상기 스테이터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로터 허브와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베이스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향 배치되는 상기 로터 허브의 대향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세정액 침투 방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로터 허브는 원반 형상을 가지는 바디와, 상기 바디로부터 축방향 하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마그넷 장착부 및 상기 마그넷 장착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디스크 안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세정액 침투 방지부는 상기 디스크 안착부와, 상기 디스크 안착부에 대향 배치되는 베이스부재의 대향면 중 적어도 하나에 도포되는 세정액 차단제를 구비하고, 상기 세정액 차단제는 불소계 수지가 불소계 용제에 용해되어 형성되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삭제
상기 베이스부재에는 상기 로터 허브와 함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세정액 침투 방지부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 배치되는 상기 디스크 안착부와, 상기 디스크 안착부에 대향 배치되는 베이스부재의 대향면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정액 침투 방지부는 상기 디스크 안착부와, 상기 디스크 안착부에 대향 배치되는 베이스부재의 대향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만입홈을 더 구비하며, 상기 세정액 차단제는 상기 만입홈에 충진될 수 있다.
상기 만입홈은 상기 디스크 안착부의 외주면과, 상기 디스크 안착부의 외주면에 대향 배치되는 삽입홈을 형성하는 측벽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만입홈은 상기 디스크 안착부의 저면과, 상기 디스크 안착부의 저면에 대향 배치되는 삽입홈을 형성하는 바닥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세정액 침투 방지부를 통해 세정액이 로터 허브와 베이스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으로 유입되지 못하므로, 세정액에 의한 세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베이스부재와 로터 허브가 형성하는 간극이 0.3mm 이하로 형성됨으로써, 세정액이 로터 허브와 베이스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으로 유입되지 못하므로, 세정액에 의한 세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B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어셈블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C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어셈블리의 도 3의 B부에 대응되는 부분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한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2의 B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어셈블리(100)는 일예로서, 로터(120), 스테이터(140), 베이스부재(160) 및 세정액 침투 방지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 어셈블리(100)는 기록 디스크에 읽기/쓰기를 수행하는 기록 디스크 구동장치에 구비되는 베이스 어셈블리일 수 있다.
로터(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크가 설치되는 로터 허브(122)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로터(120)는 스테이터(14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회전하는 부재를 말하며, 로터 허브(122)와 샤프트(1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여기서 방향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면, 축 방향은 도 2에서 볼 때, 상,하 방향, 즉 샤프트(124)의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하는 방향, 또는 샤프트(124)의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며, 반경방향은 도 2에서 볼 때, 좌,우 방향, 즉 샤프트(124)로부터 로터 허브(122)의 외주면을 향하는 방향, 또는 로터 허브(122)의 외주면으로부터 샤프트(124)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그리고, 원주방향은 샤프트(124)의 외주면 또는 로터 허브(122)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로터 허브(122)는 샤프트(124)의 상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샤프트(124)와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로터 허브(122)는 샤프트(124)에 고정 설치되는 원반 형상의 바디(122a)와, 바디(122a)로부터 축방향 하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마그넷 장착부(122b) 및 상기 마그넷 장착부(122b)로부터 반경방향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디스크 안착부(122c)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마그넷 장착부(122b)의 내부면에는 구동 마그넷(126)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구동 마그넷(126)은 환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원주방향을 따라 N극, S극이 교대로 착자되어 일정 세기의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영구자석일 수 있다.
또한, 디스크 안착부(122c)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크(미도시)가 안착될 수 있다.
샤프트(124)는 스테이터(14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샤프트(124)의 상단부에 로터 허브(122)가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스테이터(140)는 로터(1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즉, 스테이터(140)는 로터(1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말하며, 슬리브(142), 커버부재(144), 스테이터 코어(146)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슬리브(14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재(160)의 설치부(162)에 고정 설치된다. 즉, 슬리브(142)의 외주면이 설치부(162)의 내주면에 압입 또는/및 접착제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그리고, 슬리브(142)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슬리브(142)에는 축공(142a)이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슬리브(142)의 축공(142a)에 샤프트(124)가 삽입 배치되는 경우, 슬리브(142)의 내주면과 샤프트(124)의 외주면은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어 베어링 간극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 베어링 간극에 윤활유체가 충진될 수 잇다.
커버부재(144)는 슬리브(142)의 하단부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커버부재(144)는 베어링 간극에 충진되는 윤활유체가 슬리브(142)의 하부측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스테이터 코어(146)는 설치부(162)의 외주면에 고정 설치되며, 스테이터 코어(146)에는 코일(146a)이 권선된다. 한편, 스테이터 코어(146)의 선단부는 구동 마그넷(126)의 내주면에 대향 배치된다.
여기서, 로터 허브(122)의 회전 구동에 대하여 간략하게 살펴보면, 스테이터 코어(146)에 권선된 코일(146a)에 전원이 공급되면, 구동 마그넷(126)과 코일(146a)이 권선된 스테이터 코어(146)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로터 허브(122)가 회전될 수 있는 구동력이 발생된다.
이에 따라, 로터 허브(122)가 회전되며, 결국 로터 허브(122)가 고정 결합되는 샤프트(124)가 로터 허브(122)와 연동하여 회전된다.
베이스부재(160)는 스테이터(140)가 고정 설치되며, 로터 허브(122)와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한편, 베이스부재(160)에는 디스크(미도시)가 상부에 배치되는 디스크 배치부(164)와, 디스크 배치부(164)에 인접 배치되는 엑츄에이터 설치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크 배치부(164)는 디스크가 내부에 삽입 배치될 수 있도록 상부에서 바라볼 때, 대략 원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디스크 배치부(164)의 중앙부에는 로터 허브(122)와 함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삽입홈(168)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삽입홈(168)은 디스크 배치부(164)로부터 축방향 하측으로 만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설치부(162)는 삽입홈(168)의 중앙부로부터 축방향 상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로터 허브(122)의 디스크 안착부(122c)는 로터 허브(122)가 샤프트(124)에 결합되는 경우 삽입홈(168)의 내부에 삽입 배치된다. 이에 따라, 로터 허브(122)와 삽입홈(168)에 의해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스테이터 코어(146)는 로터 허브(122)와 삽입홈(168)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세정액 침투 방지부(180)는 베이스부재(160)와, 베이스부재(160)에 대향 배치되는 로터 허브(122)의 대향면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세정액 침투 방지부(180)는 삽입홈(168)에 삽입 배치되는 디스크 안착부(122c)와, 디스크 안착부(122c)에 대향 배치되는 베이스부재(160)의 대향면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세정액 침투 방지부(180)는 디스크 안착부(122c)와, 디스크 안착부(122c)에 대향 배치되는 베이스부재(160)의 대향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만입홈(182)과, 만입홈(182)에 충진되는 세정액 차단제(18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만입홈(182)은 디스크 안착부(122c)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만입 형성되는 제1 만입홈(182a)과, 디스크 안착부(122c)의 외주면에 대향 배치되는 삽입홈(168)을 형성하는 측벽(168a)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만입 형성되는 제2 만입홈(182b)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만입홈(182)이 디스크 안착부(122c)의 외주면과, 삽입홈(168)을 형성하는 측벽(168a) 모두에 형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만입홈(182)은 디스크 안착부(122c) 및 삽입홈(168)을 형성하는 측벽(168a)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만입홈(182)에 충진되는 세정액 차단제(184)는 세정액이 로터 허브(122)와 삽입홈(168)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세정액 차단제(184)는 불소계 수지가 불소계 용제에 용해되어 형성되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정액 차단제(184)는 일예로서, 하베스(Harves)사의 Durasurf 1100 시리즈 제품일 수 있다.
여기서, 세정액으로 사용되는 물질을 살펴보면, 세정액은 게면활성제, 알코올(IPA), 염소계열물질(HCFC 등), 탄화수소계열 물질(FRK 100, FRK 4)을 물에 희석한 용액일 수 있다.
그리고, 세정액 차단제(18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세정액이 일정 크기의 액적을 형성하도록 하여 세정액 차단제(184) 사이를 통과하지 못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세정액 차단제(184)에 의해 디스크 안착부(122c)와, 삽입홈(168)을 형성하는 측벽(168a) 사이 공간으로 유입되는 세정액이 일정 크기의 액적을 형성하도록 하여 액적이 세정액 차단제(184)의 하부측으로 유동되지 못하게 함으로써 세정액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세정액 차단제(184)에 의해 유입된 세정액은 일정 크기의 액적을 형성하나, 액적의 크기가 점차적으로 커져 일정 크기 이상의 표면장력이 발생되기 전까지는 액적은 세정액 차단제(184)의 사이를 통과할 수 없는데, 디스크 안착부(122c)와 삽입홈(168)을 형성하는 측벽(168a) 사이 공간에서는 액적의 크기가 커질 수 없기 때문에 세정액은 세정책 차단제(184)를 통과하지 못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베이스 어셈블리(100)를 세정액에 침수시키더라도 디스크 안착부(122c)와 삽입홈(168)이 형성하는 내부 공간으로 세정액이 유입되지 못하므로, 베이스 어셈블리(100)를 세정액에 침수시켜 세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 어셈블리(100)에 잔류하는 미세 크기의 이물질을 세정액에 의해 베이스 어셈블리(100)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세정액 차단제(184)가 만입홈(182)에 충진되는 경우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세정액 차단제(184)는 만입홈(182)에 충진될 뿐만 아니라 디스크 안착부(122c)의 외주면과, 삽입홈(168)을 형성하는 측벽(168a)에 도포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세정액 침투 방지부(180)를 통해 세정액이 로터 허브(122)와 베이스부재(16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으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세정액에 의한 세정이 가능할 수 있다.
즉, 베이스 어셈블리(100)에 잔류하는 미세 크기의 이물질을 세정액에 의한 세정에 의해 베이스 어셈블리(100)로부터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어셈블리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상기한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C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어셈블리(200)는 일예로서, 로터(220), 스테이터(240), 베이스부재(260) 및 세정액 침투 방지부(2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어셈블리(200)에 구비되는 로터(220), 스테이터(240), 베이스부재(260)는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어셈블리(100)에 구비되는 로터(120), 스테이터(140), 베이스부재(16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으로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상기한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
세정액 침투 방지부(280)는 베이스부재(260)와, 베이스부재(260)에 대향 배치되는 로터 허브(222)의 대향면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세정액 침투 방지부(280)는 삽입홈(268)에 삽입 배치되는 디스크 안착부(222c)와, 디스크 안착부(222c)에 대향 배치되는 베이스부재(260)의 대향면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세정액 침투 방지부(280)는 디스크 안착부(222c)와, 디스크 안착부(222c)에 대향 배치되는 베이스부재(260)의 대향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만입홈(282)과, 만입홈(282)에 충진되는 세정액 차단제(28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만입홈(282)은 디스크 안착부(222c)의 저면으로부터 축방향 상부측으로 만입 형성되는 제1 만입홈(282a)과, 디스크 안착부(222c)의 저면에 대향 배치되는 삽입홈(268)을 형성하는 바닥면(268b)에 축방향 하측으로 만입 형성되는 제2 만입홈(282b)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만입홈(282)이 디스크 안착부(222c)의 외주면과, 삽입홈(268)을 형성하는 바닥면(268b) 모두에 형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만입홈(282)은 디스크 안착부(222c) 및 삽입홈(268)을 형성하는 바닥면(268b)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만입홈(282)에 충진되는 세정액 차단제(284)는 세정액이 로터 허브(222)와 삽입홈(268)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세정액 차단제(284)는 상기한 세정액이 일정 크기의 액적을 형성하도록 하여 세정액 차단제(284) 사이를 통과하지 못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세정액 차단제(284)에 의해 디스크 안착부(222c)와, 삽입홈(28)을 형성하는 바닥면(168b) 사이 공간으로 유입되는 세정액이 일정 크기의 액적을 형성하도록 하여 액적이 세정액 차단제(284)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유동되지 못하게 함으로써 세정액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세정액 차단제(284)에 의해 유입된 세정액은 일정 크기으 액적을 형성하나, 액적의 크기가 점차적으로 커져 일정 크기 이상의 표면장력이 발생되기 전까지는 액적은 세정액 차단제(284)의 사이를 통과할 수 없는데, 디스크 안착부(222c)와 삽입홈(268)을 형성하는 바닥면(268b) 사이 공간에서는 액적의 크기가 커질 수 없기 때문에 세정액은 세정책 차단제(284)를 통과하지 못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베이스 어셈블리(200)를 세정액에 침수시키더라도 디스크 안착부(222c)와 삽입홈(268)이 형성하는 내부 공간으로 세정액이 유입되지 못하므로, 베이스 어셈블리(200)를 세정액에 침수시켜 세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 어셈블리(200)에 잔류하는 미세 크기의 이물질을 세정액에 의해 베이스 어셈블리(200)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어셈블리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여기서도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상기한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어셈블리의 도 3에 대응되는 부분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베이스부재(360)와, 베이스부재(360)에 대향 배치되는 로터 허브(322)의 대향면의 간극의 폭(t)은 0.3mm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디스크 안착부(322c)의 외주면과, 베이스부재(360)의 삽입홈(368)의 측벽(368a)에 의해 형성되는 간극의 폭(t)이 0.3mm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아래의 표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정액이 로터 허브(322)와 삽입홈(368)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지 못한다.
간극의 폭(t, 단위 mm) 세정액 침투 여부
0.05 ×
0.1 ×
0.2 ×
0.4 ×
0.6 ×
1.0
2.0
상기한 바와 같이, 디스크 안착부(322c)의 외주면과, 베이스부재(360)의 삽입홈(368)의 측벽(368a)에 의해 형성되는 간극의 폭(t)이 0.6 mm 이하인 경우 세정액이 로터 허브(322)와 삽입홈(368)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지 못한다.
다만, 세정액 수조에 담겨져 있는 세정액의 깊이에 의해 세정액이 디스크 안착부(322c)의 외주면과, 베이스부재(360)의 삽입홈(368)의 측벽(368a)에 의해 형성되는 간극을 통과하여 내부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상기한 간극의 폭(t)은 0.3mm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세정액의 침투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100, 200 : 베이스 어셈블리
120, 220 : 로터
140, 240 : 스테이터
160, 260, 360 : 베이스부재
180, 280 : 세정액 침투 방지부

Claims (11)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크가 설치되는 로터 허브를 구비하는 로터;
    상기 로터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테이터; 및
    상기 스테이터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로터 허브와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베이스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향 배치되는 상기 로터 허브의 대향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세정액 침투 방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로터 허브는 원반 형상을 가지는 바디와, 상기 바디로부터 축방향 하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마그넷 장착부 및 상기 마그넷 장착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디스크 안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세정액 침투 방지부는 상기 디스크 안착부와, 상기 디스크 안착부에 대향 배치되는 베이스부재의 대향면 중 적어도 하나에 도포되는 세정액 차단제를 구비하고,
    상기 세정액 차단제는 불소계 수지가 불소계 용제에 용해되어 형성되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어셈블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에는 상기 로터 허브와 함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세정액 침투 방지부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 배치되는 상기 디스크 안착부와, 상기 디스크 안착부에 대향 배치되는 베이스부재의 대향면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는 베이스 어셈블리.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 침투 방지부는 상기 디스크 안착부와, 상기 디스크 안착부에 대향 배치되는 베이스부재의 대향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만입홈을 더 구비하며, 상기 세정액 차단제는 상기 만입홈에 충진되는 베이스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만입홈은 상기 디스크 안착부의 외주면과, 상기 디스크 안착부의 외주면에 대향 배치되는 삽입홈을 형성하는 측벽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베이스 어셈블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만입홈은 상기 디스크 안착부의 저면과, 상기 디스크 안착부의 저면에 대향 배치되는 삽입홈을 형성하는 바닥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베이스 어셈블리.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10139990A 2011-12-22 2011-12-22 베이스 어셈블리 KR101250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990A KR101250670B1 (ko) 2011-12-22 2011-12-22 베이스 어셈블리
US13/653,953 US20130162076A1 (en) 2011-12-22 2012-10-17 Base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990A KR101250670B1 (ko) 2011-12-22 2011-12-22 베이스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0670B1 true KR101250670B1 (ko) 2013-04-03

Family

ID=48442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9990A KR101250670B1 (ko) 2011-12-22 2011-12-22 베이스 어셈블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30162076A1 (ko)
KR (1) KR10125067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719A (ja) 1996-06-28 1998-01-23 Sankyo Seiki Mfg Co Ltd ディスク駆動モータ及びそのロータ並びにロータの製造方法
JPH10336942A (ja) 1997-05-28 1998-12-18 Sankyo Seiki Mfg Co Ltd スピンドルモータ
JP2009176369A (ja) 2008-01-25 2009-08-06 Alphana Technology Kk ディスク駆動装置
JP2012105521A (ja) 2010-11-08 2012-05-3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モーター及びこれを含む記録ディスク駆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1478A (en) * 1975-05-22 1976-04-20 Gte Laboratories Incorporated Vacuum assembly
US4734606A (en) * 1985-11-20 1988-03-29 Hajec Chester S Electric motor with ferrofluid bearing
US20080067899A1 (en) * 2006-09-18 2008-03-20 Gun Son BLDC motor
WO2008129675A1 (ja) * 2007-04-18 2008-10-30 Fujitsu Limited スピンドルモータおよびキャリッジアセンブリ並びに記憶媒体駆動装置
JP2009148132A (ja) * 2007-12-18 2009-07-02 Nippon Densan Corp 撥油膜形成方法およびモータの製造方法、並びに、モー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719A (ja) 1996-06-28 1998-01-23 Sankyo Seiki Mfg Co Ltd ディスク駆動モータ及びそのロータ並びにロータの製造方法
JPH10336942A (ja) 1997-05-28 1998-12-18 Sankyo Seiki Mfg Co Ltd スピンドルモータ
JP2009176369A (ja) 2008-01-25 2009-08-06 Alphana Technology Kk ディスク駆動装置
JP2012105521A (ja) 2010-11-08 2012-05-3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モーター及びこれを含む記録ディスク駆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62076A1 (en) 201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002024A (ja) 軸受装置、スピンドルモータ、及びディスク駆動装置
CN100406194C (zh) 制造流体动压轴承和主轴电机的方法以及主轴电机
JPH11285195A (ja) モータ
JP2011052828A (ja) 流体動圧軸受、モータおよび記録媒体駆動装置
JP2006153269A (ja) 動圧軸受装置
KR101422913B1 (ko) 유체 동압 베어링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스핀들 모터
JP2017089708A (ja) 軸受装置、スピンドルモータおよびディスク駆動装置
KR101250670B1 (ko) 베이스 어셈블리
JP2006353058A (ja) スピンドルモータおよび該スピンドルモータを搭載した記録ディスク駆動装置
JP2015143576A (ja) 動圧軸受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スピンドルモータ
JP4194610B2 (ja) 動圧軸受装置
KR101240863B1 (ko) 스핀들 모터
KR20130035679A (ko) 스핀들 모터
KR101376946B1 (ko) 스핀들 모터
JP4275982B2 (ja) 軸受機構、モータおよびディスク駆動装置
US9287748B2 (en) Spindle motor
KR20130055279A (ko) 스핀들 모터
KR20090070223A (ko) 스핀들 모터
JP2003269445A (ja) モータおよびディスク装置
KR101512542B1 (ko) 스핀들 모터
JP2007185073A (ja) 軸受機構、モータおよび記録ディスク駆動装置
JP2006230106A (ja) 磁気ディスク装置
KR101020793B1 (ko) 스핀들 모터
KR20160081055A (ko) 스핀들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KR20130052876A (ko) 스핀들 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