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0526B1 - 섬유제품 관리장치 - Google Patents

섬유제품 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0526B1
KR101250526B1 KR1020110129757A KR20110129757A KR101250526B1 KR 101250526 B1 KR101250526 B1 KR 101250526B1 KR 1020110129757 A KR1020110129757 A KR 1020110129757A KR 20110129757 A KR20110129757 A KR 20110129757A KR 101250526 B1 KR101250526 B1 KR 101250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discharge
flow path
opening
clo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9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태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비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비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비포
Priority to KR1020110129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05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0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0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4Chests of drawers;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91Electronic or electric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섬유제품이 보관되는 보관실을 갖는 가구에 설치되어 제습, 살균 및 탈취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보관실에 보관된 섬유제품을 청결하고 위생적인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섬유제품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섬유제품 관리장치는 내부 공간과 보관실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내부 흡입구와 공기를 보관실로 토출시키기 위한 내부 토출구와 가구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외부 흡입구 및 공기를 가구의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외부 토출구를 갖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 중에 함유된 수분을 흡착하기 위한 수분 흡착모듈, 수분 흡착모듈을 가열하여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용 히터, 하우징으로 흡입되는 흡입 공기의 유로를 가변시키는 흡입유로 가변유닛, 하우징에서 토출되는 토출 공기의 유로를 가변시키기 위한 토출유로 가변유닛, 하우징의 내외부로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기 위한 송풍팬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섬유제품 관리장치{Caring apparatus for textile goods}
본 발명은 섬유제품 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섬유제품이 보관되는 보관실을 갖는 가구에 설치되어 제습, 살균 및 탈취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보관실에 보관된 섬유제품을 청결하고 위생적인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섬유제품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나 침구류는 먼지가 묻거나 이물질에 의해 더렵혀지지 않도록 옷장이나 장롱 등의 가구에 보관된다. 그런데 가구 내의 보관실은 공기가 잘 통하지 않아 습기가 차기 쉽고, 곰팡이나 세균이 서식하기 쉽다. 특히 일반 세탁이 안되는 고가의 의류나, 두꺼운 의류, 이불이나 베개 등은 세탁이 쉽지 않아 곰팡이나 세균 등 미생물의 서식 가능성이 더욱 높다.
최근 조사에 따르면 일반 가정의 침구류에서 천식 유발균 등을 비롯해 십수개의 유해한 곰팡이균이 검출되었고, 일부 합성섬유 제품에서는 폐에 침투해 치명적인 폐질환을 일으키는 유해균이 나왔다는 보고가 있다. 특히, 섬유제품에 서식하는 미생물 중 집먼지 진드기는 사람의 피부 각질이나 비듬 등을 먹고 살고 그 분비물과 사체로 섬유제품을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아토피, 비염, 천식 등 알레르기성 질환을 유발한다.
전문가들은 섬유제품에 서식하는 각종 세균이나 진드기 등의 미생물을 제거하려면, 60℃ 이상의 물로 섬유제품을 세탁하고, 일주일에 한번 이상 섬유제품을 세게 털어 각질과 비듬, 진드기의 사체나 분비물을 제거하고, 햇볕에 30분 이상 말려야 한다고 충고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매우 번거로워 실행하기가 어렵다. 그리고 날씨의 변화가 심하고 섬유제품을 외부에 널어 놓을 수 있는 장소가 부족한 곳에서는 섬유제품을 털거나 햇볕에 말리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섬유제품을 안전하게 위생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섬유제품을 곰팡이나 세균이 번식하기 좋은 습한 환경을 피하여 보관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습도가 높은 여름철에는 옷장이나 장롱의 보관실에 습기가 차기 쉬우므로 수분 제거에 더욱 신경을 써야 한다.
가구 내의 보관실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실리카겔 등 화학적 반응을 통해 수분을 제거하는 제습제를 이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제습제를 주기적으로 교체해 주어야해서 번거롭고, 사용 후 제습제가 수용된 용기를 통체로 폐기해야 하므로 쓰레기가 많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가구 내의 보관실에서 수분을 제거할 수 있는 제습 기능을 갖는 다양한 장치가 소개되고 있다. 일예로, 한국공개특허 제2005-118772호(2005. 12. 20. 공개)에는 옷장과 같은 밀폐된 국소부위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는 옷장용 제습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옷장용 제습기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와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를 갖는 본체, 본체의 흡입구 측에 설치되어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고 토출구 측으로 제습된 공기를 토출하는 송풍팬, 본체에 내장되어 흡입된 공기를 제습하는 열전소자, 열전소자의 하부에 설치되어 열전소자의 제습 작용으로 생성된 응축수를 수거하는 응축수 탱크를 포함한다.
그런데 상술한 것과 같은 종래 옷장용 제습기는 열전소자의 제습 작용으로 생성된 응축수를 응축수 탱크에 수거하므로, 응축수 탱크를 주기적으로 비워주어야 한다. 또한 응축수 탱크가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해야 하므로 설치 장소에 제약이 따른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습 작용시 포집한 수분을 자동으로 외부로 방출시킴으로써, 사용이 편리하고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자세로 설치가 가능한 섬유제품 관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습 기능 이외에 탈취 및 살균 기능을 구비하여 가구 내의 보관실에 보관된 섬유제품의 보관 상태를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섬유제품 관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저전력으로 작동하여 유지 관리가 용이하고 운전 비용이 적게 소요되는 섬유제품 관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섬유제품 관리장치는, 섬유제품이 보관되는 보관실을 갖는 가구에 설치되어 상기 보관실 내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 공간과 상기 보관실의 공기를 상기 내부 공간으로 흡입하기 위한 내부 흡입구와 상기 내부 공간의 공기를 상기 보관실로 토출시키기 위한 내부 토출구와 상기 가구 외부의 공기를 상기 내부 공간으로 흡입하기 위한 외부 흡입구 및 상기 내부 공간의 공기를 상기 가구의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외부 토출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 중에 함유된 수분을 흡착하기 위한 수분 흡착제를 갖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수분 흡착모듈, 상기 수분 흡착모듈을 가열하여 상기 수분 흡착모듈에 흡착된 수분을 증발시키기 위한 건조용 히터,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상기 내부 흡입구 또는 상기 외부 흡입구와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흡입유로 가변유닛,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상기 내부 토출구 또는 상기 외부 토출구와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토출유로 가변유닛, 상기 하우징의 내외부로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기 위한 송풍팬, 상기 흡입유로 가변유닛과 상기 토출유로 가변유닛 및 상기 송풍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섬유제품 관리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통과하는 공기 중의 산소분자를 이온화시켜 산소 클러스터 이온을 생성하는 플라즈마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섬유제품 관리장치는 상기 내부 흡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습도를 검출하기 위한 습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섬유제품 관리장치는 상기 보관실을 개폐하기 위해 상기 가구에 구비되는 도어의 개폐 동작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유닛에 감지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가구에 설치되는 도어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분 흡착모듈은 상기 수분 흡착제가 수용되는 수용실과 상기 수용실과 연결되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분 흡착모듈의 케이스는 상기 건조용 히터의 측면에 탈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흡입유로 가변유닛은, 상기 내부 흡입구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 사이의 유로와 상기 외부 흡입구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 사이의 유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흡입유로 개폐부재, 상기 흡입유로 개폐부재를 상기 외부 흡입구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 사이의 유로를 차단하고 상기 내부 흡입구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 사이의 유로는 개방하는 제 1 흡입 가이드 위치 또는 상기 내부 흡입구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 사이의 유로를 차단하고 상기 외부 흡입구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 사이의 유로를 개방하는 제 2 흡입 가이드 위치로 움직이는 개폐부재 작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은 상기 수분흡착 모듈이 설치되는 제습실, 상기 내부 흡입구와 상기 외부 흡입구 및 상기 제습실과 각각 연결되는 흡입실, 상기 내부 토출구와 상기 외부 토출구 및 상기 제습실과 각각 연결되는 토출실로 구획되고, 상기 흡입유로 개폐부재는 상기 흡입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내부 흡입구와 상기 제습실 사이의 유로와 상기 외부 흡입구와 상기 제습실 사이의 유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 작동장치는, 온도 변화에 따라 신축하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흡입유로 개폐부재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흡입유로 개폐부재를 당김으로써 상기 흡입유로 개폐부재를 회전시키는 신축부재, 상기 신축부재에 열을 가하기 위한 신축부재 가열 히터, 상기 흡입유로 개폐부재의 다른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신축부재가 상기 흡입유로 개폐부재를 당기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흡입유로 개폐부재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유로 가변유닛은, 상기 흡입실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유로 개폐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흡입유로 개폐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흡입유로와 상기 흡입유로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흡입구를 연결하는 제 1 흡입구와 상기 흡입유로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 흡입구를 연결하는 제 2 흡입구 및 상기 흡입유로와 상기 제습실을 연결하는 개방구를 갖는 흡입덕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팬은 상기 흡입덕트의 제 1 흡입구 및 제 2 흡입구에 각각 하나씩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토출유로 가변유닛은, 상기 내부 토출구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 사이의 유로와 상기 외부 토출구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 사이의 유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토출유로 개폐부재, 상기 토출유로 개폐부재를 상기 외부 토출구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 사이의 유로를 차단하고 상기 내부 토출구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 사이의 유로는 개방하는 제 1 토출 가이드 위치 또는 상기 내부 토출구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 사이의 유로를 차단하고 상기 외부 토출구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 사이의 유로를 개방하는 제 2 토출 가이드 위치로 움직이는 개폐부재 작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은 상기 수분흡착 모듈이 설치되는 제습실, 상기 내부 흡입구와 상기 외부 흡입구 및 상기 제습실과 각각 연결되는 흡입실, 상기 내부 토출구와 상기 외부 토출구 및 상기 제습실과 각각 연결되는 토출실로 구획되고, 상기 토출유로 개폐부재는 상기 토출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내부 토출구와 상기 제습실 사이의 유로와 상기 외부 토출구와 상기 제습실 사이의 유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 작동장치는, 온도 변화에 따라 신축하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토출유로 개폐부재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토출유로 개폐부재를 당김으로써 상기 토출유로 개폐부재를 회전시키는 신축부재, 상기 신축부재에 열을 가하기 위한 신축부재 가열 히터, 상기 토출유로 개폐부재의 다른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신축부재가 상기 토출유로 개폐부재를 당기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토출유로 개폐부재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유로 가변유닛은, 상기 토출실에 배치되어 상기 토출유로 개폐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토출유로 개폐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토출유로와 상기 토출유로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토출구를 연결하는 제 1 토출구와 상기 토출유로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 토출구를 연결하는 제 2 토출구 및 상기 토출유로와 상기 제습실을 연결하는 개방구를 갖는 토출덕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섬유제품 관리장치는, 섬유제품이 보관되는 보관실을 갖는 가구에 설치되어 상기 보관실 내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제습실과 상기 제습실과 제 1 연결구를 통해 연결되는 흡입실과 상기 제습실과 제 2 연결구를 통해 연결되는 토출실과 상기 보관실 내의 공기를 상기 흡입실로 흡입하기 위한 내부 흡입구, 상기 토출실 내의 공기를 상기 보관실로 토출시키기 위한 내부 토출구, 상기 가구 외부의 공기를 상기 흡입실로 흡입하기 위한 외부 흡입구 및 상기 토출실 내의 공기를 상기 가구의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외부 토출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제습실로 유입된 공기 중에 함유된 수분을 흡착하기 위한 수분 흡착제를 갖는 수분 흡착모듈, 상기 수분 흡착모듈을 가열하여 상기 수분 흡착모듈에 흡착된 수분을 증발시키기 위해 상기 제습실에 설치되는 건조용 히터, 상기 흡입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내부 흡입구와 상기 제 1 연결구 사이의 유로와 상기 외부 흡입구와 상기 제 1 연결구 사이의 유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흡입유로 개폐부재, 상기 토출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내부 토출구와 상기 제 2 연결구 사이의 유로와 상기 외부 토출구와 상기 제 2 연결구 사이의 유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토출유로 개폐부재, 온도 변화에 따라 신축하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고 일단은 상기 흡입유로 개폐부재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토출유로 개폐부재의 일측에 결합되어 수축시 상기 흡입유로 개폐부재 및 상기 토출유로 개폐부재를 동시에 회전시키는 신축부재, 상기 신축부재에 열을 가하기 위한 신축부재 가열 히터, 상기 흡입유로 개폐부재의 다른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신축부재가 상기 흡입유로 개폐부재를 당기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흡입유로 개폐부재에 탄성력을 가하는 제 1 탄성부재, 상기 토출유로 개폐부재의 다른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신축부재가 상기 토출유로 개폐부재를 당기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토출유로 개폐부재에 탄성력을 가하는 제 2 탄성부재, 상기 하우징의 내외부로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기 위한 송풍팬, 상기 건조용 히터, 상기 신축부재 가열 히터 및 상기 송풍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섬유제품 관리장치는 각종 섬유제품이 보관되는 보관실을 갖는 가구에 설치되어 제습, 살균, 탈취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보관실에 보관된 섬유제품을 청결하고 위생적인 보관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섬유제품 관리장치는 제습시 포집한 수분을 증발시켜 가구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종래 기술과 같이 응축수를 사용자가 직접 처리할 필요가 없어 사용이 편리하고,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자세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섬유제품 관리장치는 구조가 간단하고 구성 부품 간의 조립이 쉬운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제조 시간 및 제조 비용이 적게 소요되고, 유지 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섬유제품 관리장치는 저전력으로 작동함으로써 유지 비용이 적게 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섬유제품 관리장치가 가구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섬유제품 관리장치의 보호 커버를 분리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섬유제품 관리장치의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섬유제품 관리장치를 외부 케이스와 제 2 커버를 제거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섬유제품 관리장치의 제습실에 설치되는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섬유제품 관리장치의 제습 모드 운전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섬유제품 관리장치의 수분 방출 모드 운전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섬유제품 관리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섬유제품 관리장치가 가구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섬유제품 관리장치의 보호 커버를 분리하여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섬유제품 관리장치의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섬유제품 관리장치를 외부 케이스와 제 2 커버를 제거하여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섬유제품 관리장치의 제습실에 설치되는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섬유제품 관리장치(10)는 외부 공간과 차단될 수 있는 보관실(2)을 갖는 가구(1)에 설치되어 보관실(2)의 공기에 대해 제습, 탈취 및 살균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섬유제품 관리장치(10)는 가구(1) 외부의 공기를 가구(1)의 보관실(2)로 유입시키거나, 보관실(2)의 공기를 가구(1)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그 일부가 가구(1) 외측으로 노출된다. 도면에는 섬유제품 관리장치(10)가 가구(1)의 천장에 설치된 것으로 나타냈으나, 섬유제품 관리장치(10)는 가구(1)의 측면에 설치될 수도 있고, 가구(1)의 바닥면이 떠있는 경우 가구(1)의 바닥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섬유제품 관리장치(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 케이스(11) 및 보호 커버(14), 외부 케이스(11)의 내부에 수용되는 하우징(20), 하우징(20) 내부에 유입되는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복수의 수분 흡착모듈(35), 하우징(2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로를 가변시키기 위한 흡입유로 가변유닛(45), 하우징(20) 내부에서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로를 가변시키기 위한 토출유로 가변유닛(65), 하우징(20) 내부의 공기를 강제로 유동시키기 위한 제 1 송풍팬(80) 및 제 2 송풍팬(81),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82)을 포함한다.
외부 케이스(11)는 일면이 개방되고, 개방된 일면은 보호 커버(14)에 의해 덮인다. 외부 케이스(11)의 다른 일면에는 가구(1) 외부의 공기를 외부 케이스(11)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외부 유입구(12)와 외부 케이스(11) 내부의 공기를 가구(1)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외부 배출구(13)가 마련된다. 외부 유입구(12)와 외부 배출구(13)가 마련된 외부 케이스(11)의 일면은 가구(1)의 외부로 노출된다.
보호 커버(14)는 가구(1)의 보관실(2)에 배치되고, 보관실(2)의 공기를 외부 케이스(11)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내부 유입구(15)와 외부 케이스(11) 내부의 공기를 보관실(2)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내부 배출구(16)를 갖는다. 보호 커버(14)의 외측면에는 측면 유로(18)를 갖는 한 쌍의 공기 가이드 부재(17)가 결합된다. 한 쌍의 공기 가이드 부재(17) 중 어느 하나는 내부 유입구(15)를 덮고, 다른 하나는 내부 배출구(16)를 덮는다. 따라서 보호 커버(14)의 내부 유입구(15)와 내부 배출구(16)는 외부로 직접 노출되지 않고, 공기 가이드 부재(17)의 측면 유로(18)를 통해 보관실(2)과 연결된다.
따라서 보관실(2)의 공기는 공기 가이드 부재(17)의 측면 유로(18)를 통하여 내부 유입구(15)로 유입되고, 외부 케이스(11) 내부의 공기는 내부 배출구(16)를 통과한 후 다른 공기 가이드 부재(17)의 측면 유로(18)를 통해 보관실(2)으로 배출된다. 이렇게 공기 가이드 부재(17)를 이용하면 보호 커버(14)의 내부 유입구(15)와 내부 배출구(16)가 보호 커버(14)의 전면으로 드러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제품의 외관 디자인 향상 및 유로를 확대시킬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우징(20)은 제 1 커버(21)와 제 2 커버(22)로 구성된다. 제 1 커버(21)는 보호 커버(14)의 내부 유입구(15)와 연결되는 내부 흡입구(23) 및 내부 배출구(16)와 연결되는 내부 토출구(24)를 갖는다. 제 1 커버(21)의 내측에는 복수의 격벽(25)이 마련되고 제 1 커버(21)의 외면에는 냉각핀(26)이 구비된다. 제 2 커버(22)는 외부 케이스(11)의 외부 유입구(12)와 연결되는 외부 흡입구(27)와 외부 배출구(13)와 연결되는 외부 토출구(28)를 갖는다. 제 2 커버(22)의 내측에는 제 1 커버(21)의 격벽(25)에 대응하는 격벽(미도시)이 마련되고 제 2 커버(22)의 외면에는 냉각핀(26)이 구비된다.
제 1 커버(21)와 제 2 커버(22)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하우징(20)의 내부 공간은 격벽(25)에 의해 제습실(29), 흡입실(30) 및 토출실(31)로 구획된다. 제습실(29)은 제 1 연결구(32)를 통해 흡입실(30)과 연결되고 제 2 연결구(33)를 통해 토출실(31)과 연결된다. 제 1 연결구(32)와 제 2 연결구(33)는 격벽(25) 사이사이에 마련된다.
흡입실(30)은 내부 흡입구(23) 및 외부 흡입구(27)와 연결되고, 토출실(31)은 내부 토출구(24) 및 외부 토출구(28)와 연결된다. 내부 흡입구(23)나 외부 흡입구(27)를 통해 흡입실(30)로 공기가 유입되고, 흡입실(30)의 공기는 제 1 연결구(32)를 통해 제습실(29)로 유입된다. 그리고 제습실(29)의 공기는 제 2 연결구(33)를 통해 토출실(31)로 유동한 후 내부 토출구(24)나 외부 토출구(28)를 통해 하우징(20) 외부로 토출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분 흡착모듈(35)은 하우징(20)의 제습실(29)에 복수로 배치되며, 수분 흡착제(미도시)와 수분 흡착제를 수용하는 케이스(36)를 포함한다. 케이스(36)에는 커버(37)가 구비되어 이에 수용되는 수분 흡착제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수분 흡착제는 활성탄, 실라카겔, 제올라이트 등 다공성으로 내부 표면적이 커서 수분을 흡착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진다. 케이스(36)와 커버(37)에는 수분 흡착제가 수용되는 케이스(36)의 수용실과 케이스(36) 외부 공간을 연결하는 복수의 통공(38)이 마련된다.
제습실(29)로 유입된 공기는 복수의 통공(38)을 통해 케이스(36)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케이스(36) 내부의 공기는 복수의 통공(38)을 통해 케이스(36)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습실(29)로 유입된 공기가 수분 흡착제가 수용된 케이스(36)의 수용실을 통과할 때 공기 중에 함유된 수분이 수분 흡착제에 흡착됨으로써 공기 중의 수분이 제거된다.
수분 흡착모듈(35)은 제습실(29) 내의 지지 플레이트(40)에 결합된 건조용 히터(41)에 탈착식으로 결합된다. 지지 플레이트(40)는 하우징(20)의 제 1 커버(21)에 고정되고, 건조용 히터(41)는 지지 플레이트(40)에 결합된다. 도면에는 건조용 히터(41)가 나사에 의해 지지 플레이트(40)에 고정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건조용 히터(41)의 결합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건조용 히터(41)는 제어유닛(82)에 의해 작동하며, 수분 흡착모듈(35)에 열을 가하여 수분 흡착제에 함유된 수분을 증발시킨다. 건조용 히터(41)로는 전기를 공급받아 발열할 수 있는 공지된 다양한 구조의 것이 이용될 수 있다.
건조용 히터(41)의 양쪽 끝단에는 수분 흡착모듈(35)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42)이 마련된다. 수분 흡착모듈(35)의 양쪽 끝단에는 결합홈(42)에 대응하는 결합편(39)이 구비되며, 이 결합편(39)이 건조용 히터(41)의 결합홈(42)에 삽입됨으로써 수분 흡착모듈(35)이 건조용 히터(41)에 쉽게 결합될 수 있다. 건조용 히터(41)의 측면 넓이는 수분 흡착모듈(35)의 측면 넓이에 대응하는 크기로 이루어지고, 수분 흡착모듈(35)이 건조용 히터(41)에 결합될 때 수분 흡착모듈(35)의 측면이 건조용 히터(41)의 측면에 접한다. 따라서 건조용 히터(41)의 열이 수분 흡착모듈(35) 전체에 신속하게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분 흡착모듈(35)의 구조, 건조용 히터(41)의 구조, 수분 흡착모듈(35)과 건조용 히터(41)의 결합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수분 흡착모듈(35)의 개수나 건조용 히터(41)의 개수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수분 흡착모듈(35) 하나당 건조용 히터(41)가 하나씩 설치될 수도 있고, 수분 흡착모듈(35) 여러 개에 하나의 건조용 히터(41)가 설치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흡입유로 가변유닛(45)과 토출유로 가변유닛(65)은 하우징(20) 내부의 흡입실(30) 및 토출실(31)에 각각 설치된다. 흡입유로 가변유닛(45)은 제습실(29)과 연결되는 제 1 연결구(32)를 내부 흡입구(23) 또는 외부 흡입구(27)와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내부 흡입구(23)와 외부 흡입구(27) 중 어느 한 쪽에서 흡입되는 공기가 제습실(29)로 유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토출유로 가변유닛(65)은 제습실(29)과 연결되는 제 2 연결구(33)를 내부 토출구(24) 또는 외부 토출구(28)와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제습실(29)을 통과한 공기가 내부 토출구(24)와 외부 토출구(28) 중 어느 한 쪽을 통해 토출되도록 한다.
흡입유로 가변유닛(45)은 흡입덕트(46)와 흡입덕트(46)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흡입유로 개폐부재(52)를 포함한다. 흡입덕트(46)는 제 1 흡입유로 형성부재(46a)와 제 2 흡입유로 형성부재(46b)로 구성되고, 흡입유로 개폐부재(5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흡입유로(47), 흡입유로(47)와 내부 흡입구(23)를 연결하는 제 1 흡입구(48), 흡입유로(47)와 외부 흡입구(27)를 연결하는 제 2 흡입구(49) 및 흡입유로(47)와 제 1 연결구(32)를 연결하는 개방구(50)를 갖는다.
흡입유로 개폐부재(52)는 그 중간에 마련되는 회전축(53)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흡입덕트(46) 안에 배치된다. 흡입덕트(46)의 내부에는 흡입유로 개폐부재(52)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복수의 스토퍼부(51a)(51b)(51c)(51d)가 마련된다. 제 1 스토퍼부(51a)와 제 2 스토퍼부(51b)는 일직선상에 배치되고, 제 3 스토퍼부(51c)와 제 4 스토퍼부(51d)는 이들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일직선상에 배치된다. 이들 스토퍼부(51a)(51b)(51c)(51d)는 흡입유로 개폐부재(52)와 접함으로써 회전한 흡입유로 개폐부재(52)를 정지시킨다.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각 스토퍼부(51a)(51b)(51c)(51d)와 흡입유로 개폐부재(52)의 사이에는 이들 사이의 틈새를 실링하기 위한 실링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제 1 스토퍼부(51a)와 제 2 스토퍼부(51b)는 흡입유로 개폐부재(52)와 접함으로써 흡입유로 개폐부재(52)를 내부 흡입구(23)와 제 1 연결구(32) 사이의 유로를 개방하는 제 1 흡입 가이드 위치에 정지시킨다. 제 3 스토퍼부(51c)와 제 4 스토퍼부(51d)는 흡입유로 개폐부재(52)와 접함으로써 흡입유로 개폐부재(52)를 외부 흡입구(27)와 제 1 연결구(32) 사이의 유로를 개방하는 제 2 흡입 가이드 위치에 정지시킨다.
즉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흡입유로 개폐부재(52)가 제 1 스토퍼부(51a) 및 제 2 스토퍼부(51b)에 접하는 제 1 흡입 가이드 위치에 있을 때, 흡입유로 개폐부재(52)는 외부 흡입구(27)와 제 1 연결구(32) 사이의 유로를 차단하고 내부 흡입구(23)와 제 1 연결구(32) 사이의 유로를 개방한다. 이때 내부 흡입구(23)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가 제 1 연결구(32)를 통해 제습실(29)로 유동할 수 있다. 반대로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흡입유로 개폐부재(52)가 제 3 스토퍼부(51c) 및 제 4 스토퍼부(51d)에 접하는 제 2 흡입 가이드 위치에 있을 때, 흡입유로 개폐부재(52)는 내부 흡입구(23)와 제 1 연결구(32) 사이의 유로를 차단하고 외부 흡입구(27)와 제 1 연결구(32) 사이의 유로를 개방한다. 이때 외부 흡입구(27)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가 제 1 연결구(32)를 통해 제습실(29)로 유동할 수 있다.
흡입유로 개폐부재(52)는 신축부재(56), 제 1 탄성부재(57) 및 신축부재 가열 히터(59)의 작용에 의해 회전한다. 즉 이들 신축부재(56), 제 1 탄성부재(57) 및 신축부재 가열 히터(59)는 흡입유로 개폐부재(52)를 제 1 흡입 가이드 위치 또는 제 2 흡입 가이드 위치로 움직이는 개폐부재 작동장치를 구성한다.
신축부재(56)는 온도 변화에 따라 신축하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는 것으로 한쪽 끝이 흡입유로 개폐부재(52)의 일측에 결합된다. 흡입유로 개폐부재(52)의 일측에는 결합 와이어(54)가 구비되며, 결합 와이어(54) 끝단의 고리부가 신축부재(56)의 일단에 마련되는 구멍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신축부재(56)가 흡입유로 개폐부재(52)에 쉽게 결합될 수 있다.
제 1 탄성부재(57)는 흡입유로 개폐부재(52)의 다른 쪽 일측에 결합된다. 제 1 탄성부재(57)의 한쪽 끝단은 지지 플레이트(40)에 고정된 제 1 탄성부재 지지대(58)에 결합된다.
신축부재(56)는 신축부재 가열 히터(59)에 의해 작동한다. 신축부재 가열 히터(59)가 작동하여 신축부재(56)에 열을 가하면 신축부재(56)가 수축되고, 신축부재 가열 히터(59)가 작동 정지하여 온도가 떨어지면 신축부재(56)는 신장된다. 신축부재(56)에 대한 가열 효율을 높이기 위해 신축부재(56)는 신축부재 가열 히터(59)에 마련된 관통구멍(60)에 삽입된다.
신축부재(56)는 가열되어 수축할 때 흡입유로 개폐부재(52)를 끌어당긴다. 이때 흡입유로 개폐부재(52)는 회전축(53)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 2 흡입 가이드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흡입유로 개폐부재(52)가 제 2 흡입 가이드 위치로 회전할 때 제 1 탄성부재(57)는 늘어난다. 반면 신축부재 가열 히터(59)가 작동 정지하여 신축부재(56)의 온도가 떨어지면, 신축부재(56)는 신장되고 제 1 탄성부재(57)의 탄성력에 의해 흡입유로 개폐부재(52)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1 흡입 가이드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흡입덕트(46)의 개방구(50) 쪽에는 칸막이 부재(62)가 결합된다. 칸막이 부재(62)는 일정 각도로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 2 스토퍼부(51b)와 평행한 벽면(62a)과 제 4 스토퍼부(51d)와 평행한 벽면(62b)을 갖는다. 각각의 벽면(62a)(62b)에는 관통구(63)(64)가 구비되어 흡입유로(47) 내의 공기가 이들 관통구(63)(64)를 통해 제 1 연결구(32) 쪽으로 유동할 수 있다. 그리고 각 관통구(63)(64)를 통해 제 1 탄성부재(57)와 신축부재(56)가 흡입유로 개폐부재(52)에 결합된다. 칸막이 부재(62)는 흡입유로(47)에서 제습실(29)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속을 높여주고 유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흡입덕트(46)의 제 1 흡입구(48)에는 제 1 송풍팬(80)이 설치되고, 제 2 흡입구(49)에는 제 2 송풍팬(81)이 설치된다. 제 1 송풍팬(80)은 가구(1) 내부의 공기가 하우징(20)의 제습실(29)을 통과하여 다시 가구(1)의 내부로 토출되도록 하우징(20) 내외부로 공기를 강제 유동시킨다. 그리고 제 2 송풍팬(81)은 가구(1) 외부의 공기가 하우징(20)의 제습실(29)을 통과하여 다시 가구(1)의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우징(20) 내외부로 공기를 강제 유동시킨다.
즉 흡입유로 개폐부재(52)가 제 1 흡입 가이드 위치에 있고 토출유로 개폐부재(72)가 제 1 토출 가이드 위치에 있을 때 제 1 송풍팬(80)이 작동하면, 가구(1) 내부의 공기가 내부 흡입구(23)를 통해 흡입되어 흡입덕트(46)의 제 1 흡입구(48) 및 개방구(50)를 통해 제습실(29)로 유입되었다가, 토출덕트(66)의 개방구(70) 및 제 1 토출구(68)를 통과하여 내부 토출구(24)를 통해 다시 가구(1)의 내부로 토출된다. 그리고 흡입유로 개폐부재(52)가 제 2 흡입 가이드 위치에 있고 토출유로 개폐부재(72)가 제 2 토출 가이드 위치에 있을 때 제 2 송풍팬(80)이 작동하면, 가구(1) 외부의 공기가 외부 흡입구(27)를 통해 흡입되어 흡입덕트(46)의 제 2 흡입구(49) 및 개방구(50)를 통해 제습실(29)로 유입되었다가, 토출덕트(66)의 개방구(70) 및 제 2 토출구(69)를 통과하여 외부 토출구(28)를 통해 다시 가구(1)의 외부로 토출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송풍팬(80)(81)의 설치 위치는 흡입덕트(46)로 한정되지 않고 하우징(20)의 내외부로 공기를 강제 유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위치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송풍팬(80)(81)의 설치 개수도 하나 또는 세 개 이상으로 바뀔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토출유로 가변유닛(65)은 토출덕트(66)와 토출덕트(66)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토출유로 개폐부재(72)를 포함한다. 토출덕트(66)는 제 1 토출유로 형성부재(66a)와 제 2 토출유로 형성부재(66b)로 구성되고, 토출유로 개폐부재(7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토출유로(67), 토출유로(67)와 내부 토출구(24)를 연결하는 제 1 토출구(68), 토출유로(67)와 외부 토출구(28)를 연결하는 제 2 토출구(69) 및 토출유로(67)와 제 2 연결구(33)를 연결하는 개방구(70)를 갖는다.
토출유로 개폐부재(72)는 그 중간에 마련되는 회전축(73)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토출덕트(66)의 내면에 결합된다. 토출덕트(66)의 내부에는 토출유로 개폐부재(72)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복수의 스토퍼부(71a)(71b)(71c)(71d)가 마련된다. 제 1 스토퍼부(71a)와 제 2 스토퍼부(71b)는 일직선상에 배치되고, 제 3 스토퍼부(71c)와 제 4 스토퍼부(71d)는 이들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일직선상에 배치된다. 이들 스토퍼부(71a)(71b)(71c)(71d)는 토출유로 개폐부재(72)와 접함으로써 회전하는 토출유로 개폐부재(72)를 정지시킨다.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각 스토퍼부(71a)(71b)(71c)(71d)와 토출유로 개폐부재(72)의 사이에는 이들 사이의 틈새를 실링하기 위한 실링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제 1 스토퍼부(71a)와 제 2 스토퍼부(71b)는 토출유로 개폐부재(72)와 접함으로써 토출유로 개폐부재(72)를 내부 토출구(24)와 제 2 연결구(33) 사이의 유로를 개방하는 제 1 토출 가이드 위치에 정지시킨다. 제 3 스토퍼부(71c)와 제 4 스토퍼부(71d)는 토출유로 개폐부재(72)와 접함으로써 토출유로 개폐부재(72)를 외부 토출구(28)와 제 2 연결구(33) 사이의 유로를 개방하는 제 2 토출 가이드 위치에 정지시킨다.
즉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토출유로 개폐부재(72)가 제 1 스토퍼부(71a) 및 제 2 스토퍼부(71b)에 접하는 제 1 토출 가이드 위치에 있을 때, 토출유로 개폐부재(72)는 외부 토출구(28)와 제 2 연결구(33) 사이의 유로를 차단하고 내부 토출구(24)와 제 2 연결구(33) 사이의 유로를 개방한다. 이때 제습실(29)을 통과하여 토출유로(67)로 유입된 공기가 내부 토출구(24)를 통해 토출된다. 반대로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토출유로 개폐부재(72)가 제 3 스토퍼부(71c) 및 제 4 스토퍼부(71d)에 접하는 제 2 토출 가이드 위치에 있을 때, 토출유로 개폐부재(72)는 내부 토출구(24)와 제 2 연결구(33) 사이의 유로를 차단하고 외부 토출구(28)와 제 2 연결구(33) 사이의 유로를 개방한다. 이때 제습실(29)을 통과하여 토출유로(67)로 유입된 공기는 외부 토출구(28)를 통해 토출된다.
토출유로 개폐부재(72)는 신축부재(56), 신축부재 가열 히터(59) 및 제 2 탄성부재(76)의 작용에 의해 회전한다. 즉 이들 신축부재(56), 신축부재 가열 히터(59) 및 제 2 탄성부재(76)는 토출유로 개폐부재(72)를 제 1 토출 가이드 위치 또는 제 2 토출 가이드 위치로 움직이는 개폐부재 작동장치를 구성한다.
한쪽 끝단이 흡입유로 개폐부재(52)에 결합된 신축부재(56)는 다른 쪽 끝단이 토출유로 개폐부재(72)의 일측에 결합된다. 토출유로 개폐부재(72)의 일측에는 결합 와이어(74)가 구비되며, 결합 와이어(74) 끝단의 고리부가 신축부재(56)의 끝단에 마련되는 구멍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신축부재(56)가 토출유로 개폐부재(72)에 결합된다. 제 2 탄성부재(76)는 토출유로 개폐부재(72)의 다른 쪽 일측에 결합된다. 제 2 탄성부재(76)의 한쪽 끝단은 지지 플레이트(40)에 고정된 제 2 탄성부재 지지대(77)에 결합된다.
토출덕트(66)의 양쪽 끝단에는 관통구멍(79)을 갖는 덮개판(78)이 각각 결합된다. 토출덕트(66)의 한쪽 끝단에 결합되는 덮개판(78)의 관통구멍(79)은 토출덕트(66)의 제 1 토출구(68)와 연결되고, 토출덕트(66)의 다른 쪽 끝단에 결합되는 덮개판(78)의 관통구멍(79)은 토출덕트(66)의 제 2 토출구(69)와 연결된다.
이러한 토출유로 가변유닛(65)은 신축부재(56)와 제 2 탄성부재(76)에 의해 움직이는 토출유로 개폐부재(72)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로를 가변시킨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신축부재(56)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져 온도 변화에 따라 수축되거나 신장된다.
신축부재 가열 히터(59)가 작동하여 신축부재(56)에 열을 가하면, 신축부재(56)가 수축되면서 토출유로 개폐부재(72)를 당기게 된다. 이때 토출유로 개폐부재(72)는 회전축(73)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 2 토출 가이드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토출유로 개폐부재(72)가 제 2 토출 가이드 위치로 회전할 때 제 2 탄성부재(76)는 늘어난다. 반면 신축부재 가열 히터(59)가 작동 정지하여 신축부재(56)의 온도가 떨어지면, 신축부재(56)는 신장되고 제 2 탄성부재(76)의 탄성력에 의해 토출유로 개폐부재(72)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1 토출 가이드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섬유제품 관리장치(10)는 공기 유로를 가변시키기 위한 흡입유로 개폐부재(52)와 토출유로 개폐부재(72)가 단순한 구조의 신축부재(56)와 탄성부재(56)(76)에 의해 움직이므로, 제품의 전체적인 구조가 단순해 질 있다. 더욱이 하나의 신축부재(56)에 의해 흡입유로 개폐부재(52)와 토출유로 개폐부재(72)가 동시에 움직이므로, 흡입유로 개폐부재(52)와 토출유로 개폐부재(72)에 대한 제어가 용이하고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하우징(20) 내에서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고, 흡입유로 가변유닛(45)과 토출유로 가변유닛(65)의 구조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흡입유로 개폐부재(52)나 토출유로 개폐부재(72)는 평판형 구조 이외에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고, 유로 변경시의 움직임도 회전식이 아닌 슬라이드식으로 바뀔 수 있다.
흡입유로 개폐부재(52)나 토출유로 개폐부재(72)를 움직이기 위한 개폐부재 작동장치도 형상기억합금의 신축부재(56)와 신축부재 가열 히터(59) 및 탄성부재(57)(76)를 이용하는 구조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개폐부재 작동장치는 흡입유로 개폐부재(52)나 토출유로 개폐부재(72)의 구조나 움직임 형태에 따라 직선력을 제공하는 장치, 회전력을 제공하는 장치 등 다양한 구조의 것으로 바뀔 수 있다.
또한 흡입유로 개폐부재(52)나 토출유로 개폐부재(72)에 대한 신축부재(56) 및 탄성부재(57)(76)의 결합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신축부재(56)는 온도가 상승하면 신장되는 구조로 바뀔 수 있고, 탄성부재(57)(76)는 도시된 것과 같이 흡입유로 개폐부재(52)나 토출유로 개폐부재(72)에 수축하면서 탄성력을 가하는 구조가 아닌 신장되면서 탄성력을 가하는 구조로 바뀔 수 있다.
이 밖에 본 발명에 의한 섬유제품 관리장치(10)는 플라즈마 모듈(84), 습도 센서(86), 조작패널(88) 및 도어 센서(90)를 더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플라즈마 모듈(84)은 탈취와 살균을 위한 것으로 하우징(20)의 내부 토출구(24)에 설치된다. 플라즈마 모듈(84)은 플라즈마 방전으로 산소 클러스터 이온을 발생시키고, 이를 내부 토출구(24)를 통해 가구(1) 내부로 토출되는 공기 중으로 공급한다. 잘 알려진 것과 같이, 산소 클러스터 이온은 세균이나 진균에 달라붙어 질소 공급을 차단하여 세균이나 진균을 인체에 무해한 단백질로 분해한다. 또한 산소 클러스터 이온은 악취 성분에 달라붙어 악취 성분을 무취 분자로 분해한다. 플라즈마 모듈(84)의 설치 위치는 내부 토출구(24)로 한정되지 않고, 하우징(20)의 내부 공간을 통과하는 공기 중의 산소분자를 이온화시켜 가구(1) 내로 공급할 수 있는 다양한 위치로 변경될 수 있다.
습도 센서(86)는 하우징(20)의 내부 흡입구(23)에 설치되어 하우징(20)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 중에 함유된 습도를 검출하고, 검출 신호를 제어유닛(82)에 제공한다. 제어유닛(82)은 습도 센서(86)의 검출 신호를 수신하고, 공기 중의 습도가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면 섬유제품 관리장치(10)의 제습 운전을 정지시켜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습도 센서(86)의 설치 위치는 내부 흡입구(23) 이외에 제습실(29)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습도를 검출할 수 있는 다양한 위치로 변경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조작패널(88)은 하우징(20)의 외부에 결합된다. 조작패널(88)에는 사용자 조작을 위한 조작버튼과 표시 램프 등이 구비된다. 조작버튼과 표시 램프는 보호 커버(14)에 마련되는 구멍을 통해 보호 커버(14)의 외부로 노출된다. 사용자는 보호 커버(14)의 외부로 노출되는 표시 램프를 보고 섬유제품 관리장치(10)의 작동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고, 조작 버튼을 조작하여 섬유제품 관리장치(10)의 동작를 작동시키거나 정지시킬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어 센서(90)는 가구(1)의 보관실(2)을 개폐하는 도어(3)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가구(1)의 내면 등 도어(3)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도어 센서(90)는 도어(3)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제어유닛(82)에 제공한다. 제어유닛(82)은 도어 센서(90)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도어(3)의 개폐 상태에 따라 섬유제품 관리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유닛(82)은 도어(3)가 닫힌 상태에서만 섬유제품 관리장치(10)가 작동하도록 할 수 있고, 섬유제품 관리장치(10)가 작동할 때 도어(3)가 개방되면 섬유제품 관리장치(10)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섬유제품 관리장치(1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섬유제품 관리장치(10)는 제습 모드와 수분 방출 모드로 운전될 수 있다. 섬유제품 관리장치(10)가 제습 모드로 운전될 때, 섬유제품 관리장치(10)는 가구(1) 내의 공기를 제습실(29)로 흡입하여 공기 중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한 후 다시 가구(1) 내로 토출시킨다. 이때 플라즈마 모듈(84)도 함께 작동하여 제습과 함께 살균 및 탈취도 이루어진다. 수분 방출 모드에서 섬유제품 관리장치(10)는 수분 흡착모듈(35)을 가열하여 수분 흡착모듈(35)에 흡착된 수분을 증발시키고, 증발된 수분을 가구(1)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와 함께 가구(1)의 외부로 배출한다. 수분 흡착모듈(35)에 일정량 이상의 수분이 흡착되면 수분 흡착 능력이 떨어져 제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는데, 수분 방출 모드 운전을 통해 수분 흡착모듈(35)을 건조시키면 수분 흡착모듈(35)의 제습 능력을 다시 높일 수 있다.
먼저, 도 4 및 도 6을 참조하여 섬유제품 관리장치(10)의 제습 모드 운전에 대해 설명한다. 제습 모드에서 신축부재 가열 히터(59)는 작동하지 않아 흡입유로 개폐부재(52)가 제 1 흡입 가이드 위치에 위치하고, 토출유로 개폐부재(72)가 제 1 토출 가이드 위치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어유닛(82)은 제 1 송풍팬(80)과 플라즈마 모듈(84)을 작동시킨다.
제 1 송풍팬(80)이 작동하면, 가구(1) 내의 공기가 내부 흡입구(23)를 통해 흡입된다. 내부 흡입구(23)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는 흡입덕트(46)의 흡입유로(47) 및 개방구(50)를 통해 제습실(29)로 유입된다. 제습실(29)로 유입된 공기는 복수의 수분 흡착모듈(35)을 통과하고, 이때 공기 중에 함유된 수분이 수분 흡착모듈(35)의 수분 흡착제에 흡착되어 제거된다. 이렇게 수분이 제거된 공기는 토출덕트(66)의 개방구(70) 및 토출유로(67)를 거쳐 내부 토출구(24)를 통해 다시 가구(1) 내로 유입된다.
이렇게 가구(1) 내의 공기에 대한 제습이 이루어지는 동안, 습도 센서(86)는 가구(1) 내의 습도를 검출하여 그 검출 신호를 제어유닛(82)에 제공한다. 제어유닛(82)은 습도 센서(86)를 통해 실시간으로 가구(1) 내의 습도를 검출하여 습도가 일정 수준 이하로 되면 제습 모드 운전을 종료한다. 그리고 가구(1) 내의 습도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높아지면 다시 제습 모드 운전을 실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섬유제품 관리장치(10)의 수분 방출 모드 운전에 대해 설명한다. 수분 방출 모드에서 제어유닛(82)은 신축부재 가열 히터(59)를 작동시킨다. 신축부재 가열 히터(59)의 작동으로 신축부재(56)가 가열되면 신축부재(56)는 수축되면서 흡입유로 개폐부재(52) 및 토출유로 개폐부재(72)를 회전시킨다. 이때 흡입유로 개폐부재(52)는 회전하여 제 2 흡입 가이드 위치에 위치하게 되고, 토출유로 개폐부재(72)는 회전하여 제 2 토출 가이드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제어유닛(82)은 건조용 히터(41)와 제 2 송풍팬(81)을 작동시킨다. 이때 수분 흡착모듈(35)이 가열되어 수분 흡착모듈(35)에 흡착된 수분이 제습실(29)의 공기 중으로 증발되고, 증발된 수분은 가구(1)의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와 함께 가구(1)의 외부로 배출된다.
즉 제 2 송풍팬(81)이 작동하면 가구(1) 외부의 공기가 외부 흡입구(27)를 통해 흡입되고, 외부 흡입구(27)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흡입덕트(46)의 흡입유로(47) 및 개방구(50)를 통해 제습실(29)로 유입된다. 제습실(29)로 유입된 공기는 수분 흡착모듈(35)에서 증발된 수분과 함께 토출덕트(66)의 개방구(70) 및 토출유로(67)를 거쳐 외부 토출구(28)를 통해 가구(1)의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수분 흡착모듈(35)은 건조되며, 수분 흡착모듈(35)의 제습 성능이 다시 향상된다.
이러한 수분 방출 모드 운전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진행될 수 있다. 수분 방출 모드 운전 시간은 수분 흡착모듈(35)의 용량이나 건조용 히터(41)의 성능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수분 흡착모듈(35)에 흡착된 수분의 양을 검출할 수 있는 장치를 설치할 경우, 수분 흡착모듈(35)의 수분 흡착량을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수분 방출 모드 운전 시간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 수분 흡착모듈(35)에 흡착된 수분의 양을 검출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수분 흡착모듈(35)의 무게를 측정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섬유제품 관리장치(10)는 각종 섬유제품이 보관되는 보관실(2)을 갖는 가구(1)에 설치되어 제습, 살균, 탈취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보관실(2)에 보관된 섬유제품을 청결하고 위생적인 보관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섬유제품 관리장치(10)는 제습시 포집한 수분을 증발시켜 가구(1)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종래 기술과 같이 응축수를 사용자가 직접 처리할 필요가 없어 사용이 편리하고,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자세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섬유제품 관리장치(10)는 구조가 간단하고 구성 부품 간의 조립이 쉬운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제조 시간 및 제조 비용이 적게 소요되고, 유지 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섬유제품 관리장치(10)는 저전력으로 작동함으로써 유지 비용이 적게 든다.
본 발명에 의한 섬유제품 관리장치(10)는 의류나 침구류 등의 섬유제품을 보관하는 옷장이나 장롱 이외에 신발장이나 싱크대, 또는 습기를 피해야 하는 제품을 보관하는 다양한 가구에 설치되어 편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및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 섬유제품 관리장치 11 : 외부 케이스
12 : 외부 유입구 13 : 외부 배출구
14 : 보호 커버 15 : 내부 유입구
16 : 내부 배출구 17 : 공기 가이드 부재
20 : 하우징 21, 22 : 제 1, 2 커버
23 : 내부 흡입구 24 : 내부 토출구
27 : 외부 흡입구 28 : 외부 토출구
29 : 제습실 30 : 흡입실
31 : 토출실 32, 33 : 제 1, 2 연결구
35 : 수분 흡착모듈 36 : 케이스
40 : 지지 플레이트 41 : 건조용 히터
45 : 흡입유로 가변유닛 46 : 흡입덕트
47 : 흡입유로 48, 49 : 제 1, 2 흡입구
50, 70 : 개방구 52 : 흡입유로 개폐부재
53, 73 : 회전축 56 : 신축부재
57, 76 : 제 1, 2 탄성부재 59 : 신축부재 가열 히터
62 : 칸막이 부재 65 : 토출유로 가변유닛
66 : 토출덕트 67 : 토출유로
68, 69 : 제 1, 2 토출구 72 : 토출유로 개폐부재
78 : 덮개판 80, 81 : 제 1, 2 송풍팬
82 : 제어유닛 84 : 플라즈마 모듈
86 : 습도 센서 88 : 조작패널
90 : 도어 센서

Claims (16)

  1. 섬유제품이 보관되는 보관실을 갖는 가구에 설치되어 상기 보관실 내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섬유제품 관리장치에 있어서,
    내부 공간, 상기 보관실의 공기를 상기 내부 공간으로 흡입하기 위한 내부 흡입구, 상기 내부 공간의 공기를 상기 보관실로 토출시키기 위한 내부 토출구, 상기 가구 외부의 공기를 상기 내부 공간으로 흡입하기 위한 외부 흡입구 및 상기 내부 공간의 공기를 상기 가구의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외부 토출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 중에 함유된 수분을 흡착하기 위한 수분 흡착제를 갖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수분 흡착모듈;
    상기 수분 흡착모듈을 가열하여 상기 수분 흡착모듈에 흡착된 수분을 증발시키기 위한 건조용 히터;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상기 내부 흡입구 또는 상기 외부 흡입구와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흡입유로 가변유닛;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상기 내부 토출구 또는 상기 외부 토출구와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토출유로 가변유닛;
    상기 하우징의 내외부로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기 위한 송풍팬; 및
    상기 흡입유로 가변유닛, 상기 토출유로 가변유닛 및 상기 송풍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제품 관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통과하는 공기 중의 산소분자를 이온화시켜 산소 클러스터 이온을 생성하는 플라즈마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제품 관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흡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습도를 검출하기 위한 습도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제품 관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실을 개폐하기 위해 상기 가구에 구비되는 도어의 개폐 동작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유닛에 감지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가구에 설치되는 도어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제품 관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흡착모듈은 상기 수분 흡착제가 수용되는 수용실과 상기 수용실과 연결되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제품 관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흡착모듈의 케이스는 상기 건조용 히터의 측면에 탈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제품 관리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유로 가변유닛은,
    상기 내부 흡입구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 사이의 유로와 상기 외부 흡입구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 사이의 유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흡입유로 개폐부재, 및
    상기 흡입유로 개폐부재를 상기 외부 흡입구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 사이의 유로를 차단하고 상기 내부 흡입구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 사이의 유로는 개방하는 제 1 흡입 가이드 위치 또는 상기 내부 흡입구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 사이의 유로를 차단하고 상기 외부 흡입구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 사이의 유로를 개방하는 제 2 흡입 가이드 위치로 움직이는 개폐부재 작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제품 관리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은 상기 수분흡착 모듈이 설치되는 제습실, 상기 내부 흡입구와 상기 외부 흡입구 및 상기 제습실과 각각 연결되는 흡입실, 상기 내부 토출구와 상기 외부 토출구 및 상기 제습실과 각각 연결되는 토출실로 구획되고,
    상기 흡입유로 개폐부재는 상기 흡입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내부 흡입구와 상기 제습실 사이의 유로와 상기 외부 흡입구와 상기 제습실 사이의 유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제품 관리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 작동장치는,
    온도 변화에 따라 신축하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흡입유로 개폐부재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흡입유로 개폐부재를 당김으로써 상기 흡입유로 개폐부재를 회전시키는 신축부재,
    상기 신축부재에 열을 가하기 위한 신축부재 가열 히터, 및
    상기 흡입유로 개폐부재의 다른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신축부재가 상기 흡입유로 개폐부재를 당기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흡입유로 개폐부재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제품 관리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유로 가변유닛은,
    상기 흡입실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유로 개폐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흡입유로 개폐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흡입유로, 상기 흡입유로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흡입구를 연결하는 제 1 흡입구, 상기 흡입유로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 흡입구를 연결하는 제 2 흡입구 및 상기 흡입유로와 상기 제습실을 연결하는 개방구를 갖는 흡입덕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제품 관리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은 상기 흡입덕트의 제 1 흡입구 및 제 2 흡입구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제품 관리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유로 가변유닛은,
    상기 내부 토출구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 사이의 유로와 상기 외부 토출구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 사이의 유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토출유로 개폐부재, 및
    상기 토출유로 개폐부재를 상기 외부 토출구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 사이의 유로를 차단하고 상기 내부 토출구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 사이의 유로는 개방하는 제 1 토출 가이드 위치 또는 상기 내부 토출구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 사이의 유로를 차단하고 상기 외부 토출구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 사이의 유로를 개방하는 제 2 토출 가이드 위치로 움직이는 개폐부재 작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제품 관리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은 상기 수분흡착 모듈이 설치되는 제습실, 상기 내부 흡입구와 상기 외부 흡입구 및 상기 제습실과 각각 연결되는 흡입실, 상기 내부 토출구와 상기 외부 토출구 및 상기 제습실과 각각 연결되는 토출실로 구획되고,
    상기 토출유로 개폐부재는 상기 토출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내부 토출구와 상기 제습실 사이의 유로와 상기 외부 토출구와 상기 제습실 사이의 유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제품 관리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 작동장치는,
    온도 변화에 따라 신축하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토출유로 개폐부재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토출유로 개폐부재를 당김으로써 상기 토출유로 개폐부재를 회전시키는 신축부재,
    상기 신축부재에 열을 가하기 위한 신축부재 가열 히터, 및
    상기 토출유로 개폐부재의 다른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신축부재가 상기 토출유로 개폐부재를 당기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토출유로 개폐부재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제품 관리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유로 가변유닛은,
    상기 토출실에 배치되어 상기 토출유로 개폐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토출유로 개폐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토출유로, 상기 토출유로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토출구를 연결하는 제 1 토출구, 상기 토출유로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 토출구를 연결하는 제 2 토출구 및 상기 토출유로와 상기 제습실을 연결하는 개방구를 갖는 토출덕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제품 관리장치.
  16. 섬유제품이 보관되는 보관실을 갖는 가구에 설치되어 상기 보관실 내의 습기를 제거하는 섬유제품 관리장치에 있어서,
    제습실, 상기 제습실과 제 1 연결구를 통해 연결되는 흡입실, 상기 제습실과 제 2 연결구를 통해 연결되는 토출실, 상기 보관실 내의 공기를 상기 흡입실로 흡입하기 위한 내부 흡입구, 상기 토출실 내의 공기를 상기 보관실로 토출시키기 위한 내부 토출구, 상기 가구 외부의 공기를 상기 흡입실로 흡입하기 위한 외부 흡입구 및 상기 토출실 내의 공기를 상기 가구의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외부 토출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제습실로 유입된 공기 중에 함유된 수분을 흡착하기 위한 수분 흡착제를 갖는 수분 흡착모듈;
    상기 수분 흡착모듈을 가열하여 상기 수분 흡착모듈에 흡착된 수분을 증발시키기 위해 상기 제습실에 설치되는 건조용 히터;
    상기 흡입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내부 흡입구와 상기 제 1 연결구 사이의 유로와 상기 외부 흡입구와 상기 제 1 연결구 사이의 유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흡입유로 개폐부재;
    상기 토출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내부 토출구와 상기 제 2 연결구 사이의 유로와 상기 외부 토출구와 상기 제 2 연결구 사이의 유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토출유로 개폐부재;
    온도 변화에 따라 신축하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고 일단은 상기 흡입유로 개폐부재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토출유로 개폐부재의 일측에 결합되어 수축시 상기 흡입유로 개폐부재 및 상기 토출유로 개폐부재를 동시에 회전시키는 신축부재;
    상기 신축부재에 열을 가하기 위한 신축부재 가열 히터;
    상기 흡입유로 개폐부재의 다른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신축부재가 상기 흡입유로 개폐부재를 당기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흡입유로 개폐부재에 탄성력을 가하는 제 1 탄성부재;
    상기 토출유로 개폐부재의 다른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신축부재가 상기 토출유로 개폐부재를 당기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토출유로 개폐부재에 탄성력을 가하는 제 2 탄성부재;
    상기 하우징의 내외부로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기 위한 송풍팬; 및
    상기 건조용 히터, 상기 신축부재 가열 히터 및 상기 송풍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제품 관리장치.
KR1020110129757A 2011-12-06 2011-12-06 섬유제품 관리장치 KR101250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757A KR101250526B1 (ko) 2011-12-06 2011-12-06 섬유제품 관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757A KR101250526B1 (ko) 2011-12-06 2011-12-06 섬유제품 관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0526B1 true KR101250526B1 (ko) 2013-04-04

Family

ID=48442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9757A KR101250526B1 (ko) 2011-12-06 2011-12-06 섬유제품 관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05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5557A (ko) 2019-10-16 2021-04-27 주식회사 코섹 가구용 청정 관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77537U (ko) 1986-11-11 1988-05-23
JPH07265138A (ja) * 1994-03-31 1995-10-17 Aisin Seiki Co Ltd 保管装置
JPH0929054A (ja) * 1995-07-18 1997-02-04 Sanyo Electric Co Ltd 除湿乾燥装置
KR20010036313A (ko) * 1999-10-07 2001-05-07 김병덕 의류 청결 보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77537U (ko) 1986-11-11 1988-05-23
JPH07265138A (ja) * 1994-03-31 1995-10-17 Aisin Seiki Co Ltd 保管装置
JPH0929054A (ja) * 1995-07-18 1997-02-04 Sanyo Electric Co Ltd 除湿乾燥装置
KR20010036313A (ko) * 1999-10-07 2001-05-07 김병덕 의류 청결 보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5557A (ko) 2019-10-16 2021-04-27 주식회사 코섹 가구용 청정 관리장치
KR102332250B1 (ko) 2019-10-16 2021-12-01 주식회사 코섹 가구용 청정 관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0070055A (ja) 衣服収納ロッカー
JP2000201752A (ja) 殺菌乾燥ボックス
TWI809619B (zh) 乾燥裝置
KR20130111808A (ko) 살균 기능을 갖는 수납박스
KR101465190B1 (ko) 의류 건조기
KR101250526B1 (ko) 섬유제품 관리장치
KR102370613B1 (ko) 청정 유로가 별도로 분리된 다기능 수납 시스템
TWI809618B (zh) 乾燥裝置
KR102249080B1 (ko) 현열 교환형 급속건조 의류관리 장치
KR20140144891A (ko) 냉각부를 포함하는 제습 및 살균장치
KR102662599B1 (ko) 신발 관리기
JP2007313141A (ja) 臭気成分分解フィルタ,洗濯乾燥機,真空掃除機,空調機及び冷蔵庫
US20240148229A1 (en) Shoe care device
KR102601790B1 (ko) 신발 관리기
KR101595511B1 (ko) 가변형 건조 살균기
KR102667372B1 (ko) 의류 먼지 털기용 에어 토출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KR102588058B1 (ko) 제습 모듈
KR102639852B1 (ko) 시스템 옷장
EP4066676B1 (en) Shoe care device
US20240156323A1 (en) Shoe care apparatus
US20240156324A1 (en) Shoe care apparatus
KR20190006337A (ko) 다기능 건조 수납 시스템
KR200357805Y1 (ko) 건조탈취기능을 갖는 옷장
KR20210141249A (ko) 의류관리시스템
KR20140112268A (ko) 발 살균 탈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