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0499B1 - Block assembly for planting breast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Block assembly for planting breast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50499B1 KR101250499B1 KR1020120003128A KR20120003128A KR101250499B1 KR 101250499 B1 KR101250499 B1 KR 101250499B1 KR 1020120003128 A KR1020120003128 A KR 1020120003128A KR 20120003128 A KR20120003128 A KR 20120003128A KR 101250499 B1 KR101250499 B1 KR 1012504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retaining wall
- vegetation
- blocks
- founda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9
- 210000000481 breast Anatomy 0.000 title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2893 slag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9628 steelmak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1400 blast furnace cem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29910001385 heavy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828 e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40124024 weight reducing agent Drug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938605 Crocodyl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8631 Hexa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27 by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593 degra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90 disso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2010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266 hiber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5 lea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66 perme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35 plant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5 weight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06—Combustion residues, e.g. purification products of smoke, fumes or exhaust gases
- C04B18/067—Slag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42—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 E04B2/44—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Spacers for cavity walls
- E04B2/46—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Spacers for cavity walls by interlocking of projections or inserts with indentations, e.g. of tongues, grooves, dov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생 옹벽용 블록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화된 기초블록, 식생블록, 천단블록, 보강블록을 하나의 구조물로 일체화시켜 옹벽의 후면을 보강블록으로 지지함으로써 옹벽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고 시공이 용이한 블록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식생 옹벽용 블록조립체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서부터 식생블록들을 적층하여 다단 구조로 형성하되 상부로 진행할수록 후방으로 후퇴하여 적층되는 옹벽부와, 옹벽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배수로를 형성하는 마감부와, 옹벽부의 전도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옹벽부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옹벽부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옹벽부의 하중을 상기 베이스부로 분산시키는 보강블록을 구비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ck assembly for a vegetation retaining wall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by integrating the assembled base block, vegetation block, ceiling block, and reinforcement block into one structure to support the rear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as a reinforcement block.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ck assembly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which ensure structural stability of a retaining wall and are easy to construct.
The vegetation retaining wall block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multi-stage structure by stacking the vegetation blocks from the base portion, the base portion, the retaining wall portion to be laminated by stacking backwards as it proceeds upward, and is installed on the retaining wall portion to form a drainage path And a reinforcing block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retaining wall part to prevent the retaining wall part from falling, while supporting the retaining wall part and distributing the load of the retaining wall part to the base part.
Description
본 발명은 식생 옹벽용 블록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화된 기초블록, 식생블록, 천단블록, 보강블록을 하나의 구조물로 일체화시켜 옹벽의 후면을 보강블록으로 지지함으로써 옹벽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고 시공이 용이한 블록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ck assembly for a vegetation retaining wall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by integrating the assembled base block, vegetation block, ceiling block, and reinforcement block into one structure to support the rear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as a reinforcement block.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ck assembly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which ensure structural stability of a retaining wall and are easy to construct.
일반적으로 옹벽은 절성토 지반에 도로·철도·단지 공장 하천 등을 조성하는데 있어 배면의 토사를 지탱하여 사면을 안정시키기 위해 축조하는 토목구조물이다.In general, retaining walls are civil structures that are constructed to stabilize slopes by supporting the soils on the back in creating roads, railways, and factory rivers in cut soils.
이러한 옹벽은 지형적 여건과 옹벽시공 후 옹벽에 작용하는 요인 등을 고려하여 시공하는데, 전통적으로 시공지역의 토사를 절토하거나 또는 산간지역의 계곡부 및 낮은 지역을 메우기(성토) 위해 거푸집을 형성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킨 다음, 그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면에 토사 및 쇄석을 채워 축조하는 콘크리트 옹벽 또는 공장에서 미리 만든 콘크리트 블록을 현장에서 적층식으로 축조하는 블록 옹벽이 널리 시공되어 왔다.The retaining wall is constructed considering the topographical conditions and factors affecting the retaining wall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retaining wall, and traditionally forms a form to cut the soil of the construction area or fill the valley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mountain area, After the concrete is poured and cured, a concrete retaining wall for filling soil and crushed stone on the back of the concrete structure or a block retaining wall for constructing a factory-prepared concrete block in the field has been widely constructed.
콘크리트 옹벽은 소재의 견고함과 콘크리트 자체의 중량으로 지반의 붕괴를 효과적으로 막아낸다. 하지만 콘크리트 옹벽은 사면의 안정만 고려하여 초목이 생육될 수 있는 여지를 차단함으로써 주변의 환경과 어울리지 않는 이질적인 경관을 피할 수 없으며, 동물의 서식처가 사라지고 자연생태계가 파괴된다는 문제점이 있다.Concrete retaining walls effectively prevent the collapse of the ground due to the strength of the material and the weight of the concrete itself. However, the concrete retaining wall can not avoid the heterogeneous landscape that does not fit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by blocking the room for vegetation growth only considering the stability of the slop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abitat of the animal disappears and the natural ecosystem is destroyed.
특히나, 호안이나 산기슭에 수직으로 쌓아 올려진 옹벽은 동물들이 옹벽을 넘나들 수 없어 이동통로를 차단하여 동물 생태계를 고립 또는 단절시키는 문제점이 있다.In particular, the retaining wall vertically stacked on the shore or at the foot of the mountain has a problem in that the animals cannot cross the retaining wall and block or move the animal ecosystem by blocking the moving passage.
최근에는 이러한 환경문제를 심각하게 인식하고 주변경관과 조화되고 생태적인 블록 옹벽의 시도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Recently, these environmental problems are seriously recognized, and efforts have been actively made to harmonize with the surrounding landscape and ecological block retaining walls.
블록 옹벽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 콘크리트층을 미리 설치한 후 시공한다. 블록 옹벽은 전면벽을 형성하여 배면의 토사가 앞쪽으로 밀리는 것을 막아주는 콘크리트로 된 블록과, 블록의 후방쪽에 설치되는 부직포 및 뒷채움재, 적절한 앵커수단 등으로 이루어지며, 블록을 상하로 여러 단 겹쳐 쌓으면서 적층되는 블록들의 배면에 쇄석 등의 뒷채움재를 채워가며 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Block retaining walls are constructed after the concrete is laid in advance. Block retaining wall is made of concrete block that forms the front wall to prevent the back soil from being pushed forward, non-woven fabric and backfill material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block, and suitable anchor means. It is common to construct a backfill material such as crushed stone on the back of the stacked blocks.
하지만, 종래의 블록 옹벽은 높이가 높아질수록 구조적 안정성이 저하되어 주로 5m미만의 저성토 구간에서만 한정적으로 시공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옹벽 배면에 부직포를 설치하고 뒷채움재를 시공하고, 앵커수단을 매설하여야 하고 기초 콘크리트 시공에 따른 공사 비용 및 공사 기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block retaining wall has a problem in that the structural stability is lowered as the height is increased, so that the construction of the block retaining wall is limited only in the low soil section of less than 5 m.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non-woven fabric on the back of the retaining wall, the back filling material, and anchor means must be embedded, and the construction cost and construction period according to the foundation concrete construction is long.
또한, 옹벽 배면의 부직포와 뒷채움재는 옹벽에서 관목류의 성장을 어렵게 하며, 양서류나 파충류, 곤충 등이 동면이나 서식을 위해 옹벽 배면의 토양으로 진입을 어렵게 한다. In addition, the nonwoven fabric and backfill material on the back wall make it difficult for shrubs to grow on the retaining wall, and amphibians, reptiles, and insects make it difficult to enter the soil behind the retaining wall for hibernation or habitat.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본 발명의 식생 옹벽용 블록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은 조립화된 기초블록, 식생블록, 천단블록, 보강블록을 하나의 구조물로 일체화시키고 옹벽의 후면을 보강블록으로 지지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식물의 생장이 용이하고 동물들의 이동이 가능한 블록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 vegetation retaining wall block assembly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of the present invention creat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re integrated assembled base block, vegetation block, ceiling block, reinforcement block into one structure and support the back of the retaining wall as a reinforcement block.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lock assembly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ensuring structural stability and facilitating plant growth and moving animals.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식생 옹벽용 블록조립체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서부터 식생블록들을 적층하여 다단 구조로 형성하되 상부로 진행할수록 후방으로 후퇴하여 적층되는 옹벽부와; 상기 옹벽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배수로를 형성하는 마감부와; 상기 옹벽부의 전도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옹벽부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옹벽부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옹벽부의 하중을 상기 베이스부로 분산시키는 보강블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vegetation retaining wall block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base portion; A retaining wall portion formed by stacking vegetation blocks from the base portion to form a multi-stage structure, and retreating to the rear as the upper portion proceeds upward; A finishing part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retaining wall to form a drainage path; And a reinforcing block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retaining wall part to prevent the retaining wall part from falling, while supporting the retaining wall part and distributing the load of the retaining wall part to the base part.
상기 베이스부는 다수가 횡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옹벽부의 하부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갖는 제 1기초블록들과, 상기 제 1기초블록들 사이에 배치되어 좌우로 인접하는 제 1기초블록과 결합되며 상기 옹벽부의 하부가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보강블록의 하부가 장착되는 장착부가 형성된 제 2기초블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base portion is coupled to the first foundation blocks are install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 plurality of base blocks having a seating portion in which the retaining wall is seated, and the first foundation blocks disposed between the first foundation blocks to the left and right adjacent to the retaining wall And a second foundation block on which a lower portion of the portion is mounted and a mounting portion on which the lower portion of the reinforcement block is mounted.
상기 제 2기초블록은 상기 안착부 및 장착부가 상부에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 상부에 돌출되어 상기 안착부보다 더 높게 형성된 돌출턱과,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인접하는 제 1기초블록의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돌기와, 상기 본체의 타측면에 형성되어 인접하는 제 1기초블록의 결합돌기에 결합되는 결합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econd foundation block may include a main body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eating portion and a mounting portion, a protruding jaw protruding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to be higher than the seating portion, and a first base form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adjacent to the second basic block. And a coupling groove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of the block, and a coupling groov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and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of the adjacent first foundation block.
상기 마감부는 다수가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천단블록으로 구비되고, 상기 천단블록은 상기 식생블록의 상부에 안착되는 제 1플레이트부와, 상기 제 1플레이트부의 전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 1걸림턱과, 상기 제 1플레이트부의 후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 1걸림턱보다 더 길게 연장되는 제 2걸림턱과, 상기 제 2걸림턱의 하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 2플레이트부와, 상기 제 2플레이트부의 후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배면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 2걸림턱 및 상기 제 2플레이트부, 상기 배면판이 상기 배수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nishing par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nd blocks are install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first end block is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vegetation block, and a first catching jaw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first plate portion A second catching jaw extending down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first plate portion and extending longer than the first catching jaw, and a second plate portion extending rearward from a lower end of the second catching jaw; And a back plate extending upward from a rear end of the second plate portion, wherein the second catching jaw, the second plate portion, and the back plate form the drainage passage.
상기 보강블록은 상면이 상기 식생블록들 중 어느 하나인 제 1식생블록의 저면을 지지하고 전면이 상기 제 1식생블록의 하부에 위치한 제 2식생블록의 후면을 지지하는 제 1서포트부와, 상기 제 1서포트부의 후면에 형성되어 전면이 상기 제 1식생블록의 상부에 위치한 제 3식생블록의 후면을 지지하고 상면이 상기 제 3식생블록의 상부에 위치한 제 4식생블록의 저면을 지지하는 제 2서포트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reinforcement block may include a first support part having a top surface supporting a bottom surface of a first vegetation block, which is one of the vegetation blocks, and a front surface supporting a rear surface of a second vegetation block located below the first vegetation block; A second support portion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to support a rear surface of the third vegetation block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vegetation block, and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block to support a bottom surface of the fourth vegetation block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hird vegetation block;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support part.
상기 식생블록은 제강슬래그 80 내지 88중량%, 고로시멘트 5 내지 15중량%, 감수제 0.5 내지 2.5중량%, 물 3 내지 6중량%, 맥반석 0.01 내지 0.05중량%로 조성된 콘크리트 조성물을 성형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vegetation block is formed by molding a concrete composition composed of 80 to 88% by weight of steelmaking slag, 5 to 15% by weight of blast furnace cement, 0.5 to 2.5% by weight of water reducing agent, 3 to 6% by weight of water, 0.01 to 0.05% by weight of elvan. It features.
그리고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식생 옹벽용 블록조립체의 시공방법은 노면을 정리하여 베이스부를 설치하는 제 1단계와; 상기 베이스부에서부터 식생블록들을 다단 구조로 적층하되 후방에서 보강블록으로 상기 식생블록들을 지지하면서 적층하여 옹벽부를 형성하는 제 2단계와; 상기 옹벽부의 상부에 배수로를 형성하는 마감부를 설치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vegetation retaining wall block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the first step of arranging the road surface and the base unit; Stacking vegetation blocks from the base in a multi-stage structure while supporting the vegetation blocks with a reinforcement block from the rear to form a retaining wall; And a third step of installing a finishing part to form a drainage path on an upper portion of the retaining wall par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조립화된 기초블록, 식생블록, 천단블록, 보강블록을 하나의 구조물로 일체화시키고 보강블록으로 지지함으로써 옹벽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에는 옹벽의 시공 높이에 한계가 있으나 본 발명은 옹벽의 시스템화로 고성토용 옹벽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retaining wall can be secured by integrating the assembled base block, vegetation block, ceiling block, and reinforcement block into one structure and supporting the reinforcement block. Therefore, the existing construction height of the retaining wall is limi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possible to retain retaining wall for the system due to the retaining wall system.
또한, 옹벽 자체로 투수가 가능하여 뒷채움재가 불필요하며 연결홀을 통하여 관목류의 뿌리가 배면의 토사에 직접 활착되어 옹벽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고, 양서류나 곤충 등이 동면이나 서식을 위해 토양으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ermeate the retaining wall itself so that no backfilling material is required, and through the connecting hole, the roots of shrubs stick directly to the soil of the back, thereby increasing the safety of the retaining wall. You can enter.
또한, 옹벽 배면의 부직포 설치, 뒷채움재 시공 또는 지오그리드 매설을 생략할 수 있어 공사비용 및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omit the nonwoven fabric on the back of the retaining wall, backfill material construction or geogrid laying, thereby reducing the construction cost and construction period.
또한, 제강슬래그로 골재를 대체하여 자연환경 훼손을 방지하고, 맥반석을 첨가함으로써 미네랄 성분의 용출 및 중금속의 흡착이 증진되어 친환경적인 옹벽의 제작이 가능하다. In addition, by replacing the aggregate with steelmaking slag to prevent damage to the natural environment, by adding elvan rock it is possible to promote the elution of minerals and adsorption of heavy metals to produce an environmentally friendly retaining wal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적용된 블록조립체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적용된 식생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 적용된 보강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에 적용된 베이스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블록조립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적용된 보강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식생블록의 미네랄 용출 및 중금속 흡착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lock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ar surface of the block assembly applied to FIG. 1;
Fig. 3 is a side view of Fig. 1,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vegetation block applied in Figure 1,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inforcing block applied to FIG. 1,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ase part applied to FIG. 1;
7 is a side view showing a block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inforcement block applied to FIG. 7;
9 and 10 are graphs showing the results of mineral elution and heavy metal adsorption of vegetation block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조립체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a block assembl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블록 조립체는 크게 베이스부와, 옹벽부와, 마감부와, 보강블록(70)을 구비한다. 1 to 6, the block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art, a retaining wall part, a finish part, and a reinforcing
베이스부는 지면에 타설되는 기초 콘크리트층을 대체하여 옹벽부와 보강블록을 지지한다. 베이스부는 다수의 제 1기초블록들(10)과, 제 1기초블록들(10) 사이에 하나씩 배치되는 제 2기초블록(30)을 포함한다. 도시된 예에서 2개의 제 1기초블록들(10) 마다 제 2기초블록(30)이 하나씩 설치된다. 제 1 및 제 2기초블록(10)(30)은 횡방향으로 정렬되어 설치된다. 도시된 바와 달리 베이스부는 제 2기초블록들(30)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제 2기초블록이 횡방향으로 정렬되어 설치된다. 베이스부를 이루는 제 1 및 제 2기초블록(10)(30)은 통상적인 콘크리트 소재로 이루어진다. The base part supports the retaining wall part and the reinforcing block in place of the foundation concrete layer which is placed on the ground. The base part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제 1기초블록(10)은 상부에 안착부(12)가 마련된 본체(11)와, 본체(11)의 전면 상부에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턱(13)과, 본체(11)의 일측면에 형성된 결합돌기(17)와, 본체(11)의 타측면에 형성된 결합홈(미도시)을 구비한다. The
본체(11)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부에 식생블록(50)이 얹혀지는 안착부(12)가 마련된다. 본체(11)의 저면에는 우수가 배수될 수 있도록 배수홈(15)이 전후로 길게 형성된다. The
돌출턱(13)은 본체(11)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안착부(12)보다 더 높게 형성된다. 이러한 돌출턱(13)은 식생블록(50)이 제 1기초블록(10)에 용이하게 정렬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식생블록(50)의 시공시 돌출턱(13)의 후면에 식생블록(50)의 전면을 밀착시키는 것으로 식생블록(50)을 정렬시킬 수 있다. 또한, 돌출턱(13)은 식생블록(50)이 후방으로부터 압력을 받게 될때 식생블록(50)을 지지하는 역할을 동시에 한다. 본체(11)의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결합돌기(17)와 결합홈(19)은 인접하는 제 1기초블록 또는 제 2기초블록(30)과 횡방향으로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이다. The protruding
결합돌기(17)는 반원 형상으로 본체(11)의 일측면에서 돌출되어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홈(19)은 결합돌기(17)의 맞은편 측면에 인입되어 형성된다. 결합돌기(17)는 인접하는 제 1기초블록 또는 제 2기초블록(30)의 결합홈과 결합한다. 결합홈은 결합돌기(17)와 대응되는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결합홈(17)은 본체(11)의 측면에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결합홈(19)은 인접하는 제 1기초블록 또는 제 2기초블록(30)의 결합돌기에 결합된다.
제 2기초블록(30)은 도 6에 잘 나타난 바와 같이 상부에 안착부(12)가 마련된 본체(31)와, 본체(31)의 전면 상부에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턱(33)과, 본체(31)의 일측면에 형성된 결합돌기(37)와, 본체(31)의 타측면에 형성된 결합홈(39)을 구비한다. As shown in FIG. 6, the
제 2기초블록의 본체(31)는 제 1기초블록의 본체(11)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즉, 제 2기초블록은 장착부(34)를 더 갖도록 제 1기초블록의 본체(11)보다 후방으로 더 연장되어 형성된다. 장착부(3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32)에 T자 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진다. 장착부(34)는 식생블록(50)이 얹혀지는 영역을 벗어난 영역의 안착부(34)에 형성된다. 장착부(34)는 후술할 보강블록(70)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이다. The
제 2기초블록의 본체(31) 일측면에 형성된 결합돌기(37)는 인접하는 제 1기초블록(10)의 결합홈(19)과 결합한다. 그리고 제 2기초블록의 본체(31) 타측면에 형성된 결합홈(39)은 인접하는 제 1기초블록의 결합돌기에 결합된다. The
옹벽부는 다수의 식생블록들(50)을 적층한 다단 구조로 형성된다. 적층시 상부 식생블록이 하부 식생블록보다 후방으로 일정거리 후퇴되게 적층된다. The retaining wall portion is formed in a multi-stage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vegetation blocks 50 are stacked. When stacked, the upper vegetation blocks are stacked so as to retreat a certain distance backward from the lower vegetation blocks.
도 4에 잘 나타난 바와 같이 각 식생블록(50)은 본체(55)와, 본체(55)의 전면 하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식물이 식재될 수 있도록 상하로 관통되어 옹벽부 후면의 토사와 연결되는 연결홀(53)을 갖는 식생부(51)와, 상기 본체(55)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일측면 방향에서 인접하는 식생블록의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돌기(65)와, 상기 본체(55)의 타측면에 형성되어 타측면 방향에서 인접하는 식생블록의 결합돌기에 결합되는 결합홈(67)과, 본체(55)의 상부에 전후로 길게 형성되어 물이 배수될 수 있는 제 1배수홈(57)을 구비한다. 그리고 본체(55)의 후면에는 두 개의 배수홈(59)이 본체(55)의 후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소정깊이 인입되게 형성된다. As shown in FIG. 4, each
식생부(51)는 관목과 같은 식물의 식재를 위한 것이다. 식생부(51)에는 2개의 연결홀(53)이 좌우에 각각 형성된다. 연결홀(53)은 식생부(51)의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연결홀(53)은 하방으로 진행할수록 본체(55)의 후방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다. The
상술한 식생블록(50)은 적층시 상부가 하부보다 후방으로 후퇴하도록 적층한다. 즉, 하부의 식생블록이 상부의 식생블록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돌출되게 결합된다. 연결홀(53)은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식생블록(50)의 후방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기 때문에 연결홀(53)의 하단이 식생블록(50)의 하면을 통해 토양으로 노출됨으로써 관목류의 식재시 관목의 뿌리가 연결홀(53)을 통해 토양으로 뿌리내릴 수 있다. 또한 연결홀(53)이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으므로 연결홀(53)을 통한 토양의 유출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식생블록(50)이 계단과 같이 다단으로 적층되므로 동물이 옹벽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상술한 식생블록(50)은 바람직하게 투수성 블록이다. 통상적인 불투수성 옹벽 구조는 우수시 옹벽 배면의 하중을 증가시켜 구조적 안정성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투수성 옹벽은 우수시에 우수를 통과시켜 압력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통상적인 옹벽에 시공되는 부직포 또는 뒷채움재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The
본 발명에 적용된 식생블록은 시멘트에 제강슬래그 및 맥반석을 혼합한 콘크리트 조성물을 성형 후 양생하여 제작한다. 콘크리트 조성물의 구체적인 예로 제강슬래그 80 내지 88중량%, 고로시멘트 5 내지 15중량%, 감수제 0.5 내지 2.5중량%, 물 3 내지 6중량%, 맥반석 0.01 내지 0.05중량%로 조성된다. Vegetation block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duced by curing the concrete composition mixed with steelmaking slag and ganban stone in cement. Specific examples of the concrete composition is 80 to 88% by weight of steelmaking slag, 5 to 15% by weight of blast furnace cement, 0.5 to 2.5% by weight reducing agent, 3 to 6% by weight of water, 0.01 to 0.05% by weight of ganban stone.
제강슬래그로 골재를 대체할 수 있어 천연골재원을 보호하며 골재 채취에 따른 자연환경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산업부산물의 활용을 높이고 처리비용을 경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맥반석을 첨가함으로써 미네랄 성분의 용출 및 중금속의 흡착이 증진되는 친환경적인 옹벽의 제작이 가능하다. Steel aggregate slag can be used to replace aggregates, thus protecting natural aggregate sources and preventing damage to the natural environment caused by the collection of aggregates. It can als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industrial by-products and reduce processing cost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n environmentally friendly retaining wall in which eluting minerals and adsorbing heavy metals are enhanced by adding elvan.
상기 콘크리트 조성물을 성형 후 양생시키면 시멘트가 제강슬래그 입자의 사이에 온전히 충진되지 않기 때문에 공극이 자연스럽게 형성되어 투수성을 갖는다. When the concrete composition is cured after molding, the pores are naturally formed because the cement is not completely filled between the steelmaking slag particles, thereby having water permeability.
제강슬래그 2000kg/m3, 고로시멘트 290kg/m3, 감수제 3kg/m3, 물 115kg/m3, 맥반석 0.57kg/m3로 배합된 콘크리트 조성물(1m3)로 제작된 식생블록의 투수계수는 3.00×10-1cm/sec이며, 압축강도는 24MPa이다. 미네랄 성분의 용출 및 중금속의 흡착 실험 결과 도 9 및 도 10에 나타난 것처럼 맥반석의 첨가에 따른 미네랄(Na,K,Ca)의 용출 및 중금속(Pb,Cu)의 흡착을 확인할 수 있다. Slag 2000kg / m 3, blast furnace cement 290kg / m 3, water reducing agent 3kg / m 3, water 115kg / m 3, permeability of elvan 0.57kg / m 3 of the concrete composition formulated as a vegetation produced in (1m 3) block 3.00 × 10 −1 cm / sec, with a compressive strength of 24 MPa. As a result of elution of mineral components and adsorption of heavy metals, as shown in FIGS. 9 and 10, the dissolution of minerals (Na, K, Ca) and the adsorption of heavy metals (Pb, Cu) according to addition of elvan can be confirmed.
보강블록(70)은 옹벽부의 후방에 설치된다. 보강블록(70)은 옹벽부를 지지하여 옹벽부의 전도를 방지함과 동시에 옹벽부의 하중을 베이스부로 분산시킨다. The
보강블록(70)은 도 5에 잘 나타난 바와 같이 제 1서포트부(77), 제 2서포트부(75), 제 3서포트부(71)로 이루어진다. 제 3서포트부의 양 측면에는 홈이 형성된다. As shown in FIG. 5, the
제 2서포트부(75)는 제 1서포트부(77)의 후면에, 제 3서포트부(71)는 제 2서포트부(75)의 후면에 형성된다. 제 2서포트부(75)는 제 1서포트부(77)보다 상술한 식생블록(50)의 높이 만큼 더 높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 3서포트부(71) 역시 제 2서포트부(75)보다 상기 식생블록(50)의 높이 만큼 더 높게 형성된다. 따라서 보강블록(70)은 3단 구조로 형성된다. The
이러한 보강블록(70)은 제 2기초블록(30)의 장착부(34)에 하부가 삽입되어 장착된다. 제 2기초블록(30)에 장착된 보강블록(70)은 식생블록들을 지지한다. 설명의 편의상 도 3의 측면도에서 보강블록이 지지하는 식생블록들을 제 1식생블록(50a), 제 2식생블록(50b), 제 3식생블록(50c), 제 4식생블록(50d)이라 한다. The reinforcing
제 1서포트부(77)는 제 1식생블록(50a)의 하방에 배치되어 상면이 제 1식생블록(50a)의 저면을 지지한다. 그리고 제 1서포트부(77)의 전면은 제 1식생블록(50a)의 하부에 위치한 제 2식생블록(50b)의 후면을 지지한다. 제 2서포트부(75)는 제 3식생블록(50c)의 하방에 배치되어 상면이 제 3식생블록(50c)의 저면을 지지한다. 그리고 제 2서포트부(75)의 전면은 제 3식생블록(50c)의 하부에 위치한 제 1식생블록(50a)의 후면을 지지한다.The
제 3서포트부(71)는 제 4식생블록(50d)의 하방에 배치되어 상면이 제 4식생블록(50d)의 저면을 지지한다. 그리고 제 3서포트부(71)의 전면은 제 4식생블록(50d)의 하부에 위치한 제 3식생블록(50c)의 후면을 지지한다. The
도시된 바와 같이 총 10단의 높이로 형성된 옹벽부의 후방에서 보강블록(70)이 중간높이에 형성되는 식생블록들을 지지하므로 전도를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보강블록(70)에 의해 구조적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어 옹벽부를 5m이상의 높이로 시공할 수 있다. As shown, since the reinforcing
한편,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블록(80)은 제 1 및 제 2서포트부(87)(81)의 2단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서포트부(87)의 후면에 제 1서포트부(87)보다 식생블록(50)의 2배 높이만큼 더 높은 제 2서포트부(81)가 형성된다. 제 1서포트부(87)는 상면이 제 1식생블록(50a)의 저면을 지지하고 전면이 제 1식생블록(50a)의 하부에 위치한 제 2식생블록(50b)의 후면을 지지한다. 그리고 제 2서포트부(81)는 상면이 제 4식생블록(50d)의 저면을 지지하고, 전면이 제 3식생블록(50c)의 후면을 지지한다. Meanwhile, as shown in FIGS. 7 and 8, the
마감부는 옹벽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식생블록(50)의 상단부를 결속하여 옹벽부 자체의 안전성을 확보하며 옹벽부로 유입되는 우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로 기능을 한다. 이러한 마감부는 다수의 천단블록(90)이 횡방향으로 정렬되어 구성된다. The finishing part is installed at the upper part of the retaining wall to bind the upper end of the
각 천단블록(90)은 식생블록(50)의 상부에 안착되는 제 1플레이트부(91)와, 제 1플레이트부(91)의 전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 1걸림턱(93)과, 상기 제 1플레이트부(91)의 후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 1걸림턱보다 더 길게 연장되는 제 2걸림턱(94)과, 상기 제 2걸림턱(94)의 하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 2플레이트부(95)와, 상기 제 2플레이트부(95)의 후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배면판(97)을 구비한다.Each
제 1걸림턱(93)과 제 2걸림턱(94)의 간격은 식생블록(50) 본체(55)의 전후길이보다 조금 더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 1걸림턱(93)과 제 2걸림턱(94) 사이로 식생블록(50)의 본체(55)가 인입되어 천단블록(90)이 식생블록(50)에 결합된다. 그리고 제 2걸림턱(94) 및 제 2플레이트부(95), 배면판(97)은 우천시 우수가 배수되는 배수로(99)를 형성한다.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atching
이하, 상술한 블록 조립체의 시공방법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above-mentioned block assembly is demonstrated easily.
먼저, 베이스부를 설치하기 위해 노면을 정리한다. 그리고 제 1기초블록(10)과 제 2기초블록(30)을 횡방향으로 정렬시켜 배치한다. 이때 2개의 제 1기초블록(10) 다음에 하나의 제 2기초블록(30)이 배치되도록 한다. First, the road surface is cleaned to install the base part. The
다음으로 제 2기초블록의 장착부(34)에 보강블록(70)을 장착한 후 베이스부에서부터 식생블록들(50)을 다단 구조로 적층하여 옹벽부를 시공한다. 베이스부 위에 다수의 식생블록들(50)을 횡방향으로 연속으로 설치하여 1단을 쌓는다. 그리고 식생블록 후방의 빈 공간에 1단 높이에 맞춰 토사를 채운다. 이런 방식으로 10단으로 적층하여 옹벽부를 시공한다. 이때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4단째의 식생블록(50a)은 보강블록의 제 1서포트부(77)에, 5단째의 식생블록(50c)은 보강블록의 제 2서포트부(75)에, 6단째의 식생블록(50d)은 보강블록의 제 3서포트부(71)에 지지되도록 적층한다. Next, after the reinforcing
옹벽부가 완성되면 상부에 마감부를 설치한다. 천단블록(90)을 식생블록(50)의 상부에 얹어 다수를 연속으로 설치하여 시공을 마무리한다. When the retaining wall is completed, install the finish on the top. The
한편, 도 7에 도시된 실시 예 중에서 위에서 설명되지않은 구성요소는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Meanwhile, the components not described above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7 are the same as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10: 제 1기초블록 30: 제 2기초블록
50: 식생블록 90: 천단블록10: first basic block 30: second basic block
50: vegetation block 90: Temple of Heaven block
Claims (7)
상기 베이스부에서부터 식생블록들을 적층하여 다단 구조로 형성하되 상부로 진행할수록 후방으로 후퇴하여 적층되는 옹벽부와;
상기 옹벽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배수로를 형성하는 마감부와;
상기 옹벽부의 전도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옹벽부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옹벽부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옹벽부의 하중을 상기 베이스부로 분산시키는 보강블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옹벽용 블록조립체.A base portion;
A retaining wall portion formed by stacking vegetation blocks from the base portion to form a multi-stage structure, and retreating to the rear as the upper portion proceeds upward;
A finishing part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retaining wall to form a drainage path;
And a reinforcing block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retaining wall part to prevent the retaining wall from falling down, while supporting the retaining wall part and distributing the load of the retaining wall part to the base part.
상기 천단블록은 상기 식생블록의 상부에 안착되는 제 1플레이트부와, 상기 제 1플레이트부의 전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 1걸림턱과, 상기 제 1플레이트부의 후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 1걸림턱보다 더 길게 연장되는 제 2걸림턱과, 상기 제 2걸림턱의 하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 2플레이트부와, 상기 제 2플레이트부의 후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배면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 2걸림턱 및 상기 제 2플레이트부, 상기 배면판이 상기 배수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옹벽용 블록조립체.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nish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nd blocks are install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ceiling block is formed by extending the first plate portion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vegetation block, a first catching jaw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first plate portion, and from the rear end of the first plate portion A second catching jaw extending longer than the first catching jaw, a second plate portion extending rearward from a lower end of the second catching jaw, and a rear plate extending upward from a rear end of the second plate portion; Equipped,
And said second catching jaw, said second plate portion, and said back plate form said drainage path.
상기 베이스부에서부터 식생블록들을 다단 구조로 적층하되 후방에서 보강블록으로 상기 식생블록들을 지지하면서 적층하여 옹벽부를 형성하는 제 2단계와;
상기 옹벽부의 상부에 배수로를 형성하는 마감부를 설치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옹벽용 블록조립체의 시공방법.A first step of arranging the base by arranging the road surface;
Stacking vegetation blocks from the base in a multi-stage structure while supporting the vegetation blocks with a reinforcement block from the rear to form a retaining wall;
And a third step of installing a finishing part to form a drainage path on an upper portion of the retaining wall par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3128A KR101250499B1 (en) | 2012-01-10 | 2012-01-10 | Block assembly for planting breast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3128A KR101250499B1 (en) | 2012-01-10 | 2012-01-10 | Block assembly for planting breast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50499B1 true KR101250499B1 (en) | 2013-04-08 |
Family
ID=48442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03128A KR101250499B1 (en) | 2012-01-10 | 2012-01-10 | Block assembly for planting breast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50499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241849A (en) * | 2019-07-03 | 2019-09-17 | 中交第二公路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 An assembled concrete box retaining wal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KR102112678B1 (en) * | 2019-12-11 | 2020-05-19 | 주식회사 지인산업 | Retaining wall with connected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KR102367925B1 (en) * | 2021-05-06 | 2022-02-25 | 이성희 | Slope reinforcement method |
KR102755450B1 (en) * | 2024-05-17 | 2025-01-21 | 에스에스씨산업(주) | Horizontal and vertically reinforced integrated vegetated cut retaining wall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24831Y1 (en) | 2003-06-05 | 2003-08-27 | (주)레코기술 | Retaining Wall for Planting |
KR100839083B1 (en) | 2006-06-02 | 2008-06-20 | 박준성 | Stepped Vegetation Retaining Wall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
KR20080113999A (en) * | 2007-06-26 | 2008-12-31 | 안승한 | Vegetation retaining wall block and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
-
2012
- 2012-01-10 KR KR1020120003128A patent/KR101250499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24831Y1 (en) | 2003-06-05 | 2003-08-27 | (주)레코기술 | Retaining Wall for Planting |
KR100839083B1 (en) | 2006-06-02 | 2008-06-20 | 박준성 | Stepped Vegetation Retaining Wall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
KR20080113999A (en) * | 2007-06-26 | 2008-12-31 | 안승한 | Vegetation retaining wall block and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241849A (en) * | 2019-07-03 | 2019-09-17 | 中交第二公路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 An assembled concrete box retaining wal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KR102112678B1 (en) * | 2019-12-11 | 2020-05-19 | 주식회사 지인산업 | Retaining wall with connected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KR102367925B1 (en) * | 2021-05-06 | 2022-02-25 | 이성희 | Slope reinforcement method |
KR102755450B1 (en) * | 2024-05-17 | 2025-01-21 | 에스에스씨산업(주) | Horizontal and vertically reinforced integrated vegetated cut retaining wall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6759825B (en) | Construction method of sponge urban green land water storage system | |
CN103410159B (en) | Expansive soil cut slope support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CN203403426U (en) | Supporting structure of expensive earth road cutting side slope | |
CN202718138U (en) | Self-locking type ecological retaining wall structure | |
KR101250499B1 (en) | Block assembly for planting breast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CN104514216A (en) | Fill channel anti-frost heaving and anti-seepag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0965467B1 (en) | Eco-pillar debris barrier | |
CN104674842B (en) | Solidified earth barricade and constructional method thereof | |
CN210104786U (en) | Road shoulder retaining component capable of greening | |
CN202509502U (en) | Soft soil area composite soil nailing wall | |
CN204356788U (en) | Flexibility subtracts swollen ecological revetment structure | |
KR100660379B1 (en) | Plantable reinforced earth wall and its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of reinforced earth wall | |
CN102071696B (en) | Steep slope protective soft fram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CN202090355U (en) | An ecological protection structure for vegetation slopes that can prevent rainwater erosion | |
KR100888790B1 (en) | Slope greening | |
KR101334749B1 (en) | Vegetation block in tiers for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construction of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 |
JP5270748B2 (en) | Planting base structure | |
KR100960601B1 (en) | Vegetation block for slope protection | |
KR20150021098A (en) | Waterside structures reinforced method | |
JP7429922B2 (en) | storage system | |
CN214657144U (en) | Novel ecological bank protection suitable for northwest loess plateau area | |
KR200413303Y1 (en) | Mountain wall structure using steel beam | |
KR20140080597A (en) | Precast fabric form for assembling in field, and method for constructing planted slope protection using the same | |
CN107882062A (en) | Massif hillside fields is based on gravity type and the compound Retaining wall method of Fill Reinforced With Geogrids | |
CN208701738U (en) | A kind of solid reinforcement combination of rigidity and flexibility ecology retaining wal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2022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1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4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303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3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3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3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3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3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