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0324B1 - 발바닥 센서부를 구비한 착용 로봇 - Google Patents

발바닥 센서부를 구비한 착용 로봇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0324B1
KR101250324B1 KR1020120114575A KR20120114575A KR101250324B1 KR 101250324 B1 KR101250324 B1 KR 101250324B1 KR 1020120114575 A KR1020120114575 A KR 1020120114575A KR 20120114575 A KR20120114575 A KR 20120114575A KR 101250324 B1 KR101250324 B1 KR 101250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ing
contact surface
sole
robot
wea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4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관
최호진
백주현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4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03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0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0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6Exoskeletons, i.e. resembling a human figur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2Helicoidal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66Fo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Manipulator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반 구조부에서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다리 구조부가 형성된 착용 로봇으로서, 상기 한 쌍의 다리 구조부의 단부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발을 수용하는 신발 착용부와, 착용자의 뒤꿈치가 위치하는 상기 신발 착용부의 후방 밑창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뒤꿈치와 접촉하는 제1 접촉면과 지면과 접촉하는 제2 접촉면을 포함하여 압력 정보를 획득하는 발바닥 센서부를 포함하는 착용 로봇을 제공하여, 보행 시 지면을 지지하는데 있어서 이질감을 최소화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발바닥 센서부를 구비한 착용 로봇{Wearable robot with foot sensor}
본 발명은 착용 로봇에 관한 것으로, 지면과 접촉할 때, 발생하는 압력 정보를 획득하는 발바닥 센서부를 구비한 착용 로봇에 관한 것이다.
착용 로봇이란, 사용자가 착용하여 근력을 지원하도록 사용자와 로봇의 동기화를 이용한 입는 형태의 로봇을 의미한다. 이러한 착용 로봇은 상지 근력 지원 타입과 하지 근력 지원 타입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하지 근력 지원 타입의 경우, 보행 시 발생하는 하중을 보상하기 위한 외골격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하지 근력 지원 타입의 착용 로봇은, 높은 하중의 군장을 착용하거나 특수 군사 장비를 착용하고 장시간 전술 이동 또는 작전을 수행하는 군인, 또는 보행 시 근력 보조가 필요한 장애인 및 노약자, 또는 높은 하중의 장비를 취급하는 산업 근로자 등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착용 로봇에는 보행 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의도 또는 보행 구간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가 마련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센서부는 발바닥의 지지 구간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해. 사용자의 발에 착용하는 군화 또는 운동화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 이를 발바닥 센서부라 칭한다.
이때, 발바닥 센서부는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착용하는 군화 또는 운동화 아래에 설치되기 때문에, 보행 시 지면을 지지하는데 있어서 사용자가 이질감을 느끼게 되고 전체적으로 착용 로봇과 이질감을 느끼게 된다.
특히, 험지에서 훈련 또는 군사 작전을 수행하는 군인의 경우, 지면에 대한 감각이 떨어지기 때문에 기동력이 저하되고 종국적으로 작전 수행 능력이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76418(2011.07.06)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행 시 지면을 지지하는데 있어서 이질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발바닥 센서부를 구비한 착용 로봇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쉽게 교체 가능한 발바닥 센서부를 구비한 착용 로봇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골반 구조부에서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다리 구조부가 형성된 착용 로봇으로서, 상기 한 쌍의 다리 구조부의 단부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발을 수용하는 신발 착용부와, 착용자의 뒤꿈치가 위치하는 상기 신발 착용부의 후방 밑창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뒤꿈치와 접촉하는 제1 접촉면과 지면과 접촉하는 제2 접촉면을 포함하여 압력 정보를 획득하는 발바닥 센서부를 포함하는 착용 로봇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바닥 센서부는, 상기 제1 접촉면이 형성되고 상기 신발 착용부에 결합하는 몸체와, 상기 제2 접촉면이 형성되고, 압력 센서가 형성되는 저면부 및 상기 몸체 및 상기 저면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에서 전달되는 압력을 상기 저면부에 전달하는 힘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 및 상기 저면부는 말굽 형태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접촉면은 말굽 형태의 상기 몸체의 내측 저면에서 내향하여 확장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는 상기 신발 착용부에 탈 부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힘 전달부는, 상기 몸체 및 상기 저면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컬럼부와, 각각의 상기 컬럼부에 끼워져, 높이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 및 상기 저면부는 말굽 형태로 이루어 지고 상기 힘 전달부는 상기 말굽 형태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바닥 센서부는 상기 신발 안착부에 탈 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착용 로봇에 따르면, 신발 착용부의 후방 밑창을 착용자의 뒤꿈치 및 지면을 접촉하는 발바닥 센서부로 구비함으로써, 보행 시 지면을 지지하는데 있어서 이질감을 최소화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착용 로봇에 따르면, 발바닥 센서부를 말굽 형태로 구성하고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한 힘 전달부를 구비함으로써, 보행시 지면과의 이질감을 최소화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착용 로봇에 따르면, 말굽 형태의 발바닥 센서부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유지 보수의 편의성을 높인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하지 근력 지원 타입의 착용 로봇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착용 로봇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서 도시한 발바닥 센서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서 도시한 발바닥 센서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착용자의 뒤꿈치가 닿는 착용 로봇의 신발 착용부의 후방 솔(sole)부분을 발바닥 센서로 구성하여 지면을 지지하는데 있어서 이질감을 최소화하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도 1은 하지 근력 지원 타입의 착용 로봇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착용 로봇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1 및 도 2를 병행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착용 로봇(100)은 신발 착용부(110)와, 신발 착용부(110)의 후방 솔(sole)부분에 형성되는 발바닥 센서부(120)를 포함한다.
신발 착용부(110)는, 착용자의 발을 수용하는 것으로, 착용자의 발과 접촉하는 동시에 지면과 직접 접촉하는 솔(sole)이 형성된다. 하지 근력 지원 타입의 착용 로봇은 골반 구조(10)에서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다리 구조부(20)가 형성된다. 신발 착용부(110)는 다리 구조부(20)의 단부에 형성된다. 여기서는 다리 구조부(20)는 복수 개의 관절과 링크로 구성될 수 있고, 관절 또는 링크를 구동시키는 액츄에이터와 그 콘트롤러가 설치될 수 있다.
발바닥 센서부(120)는 지면을 지지함으로써 발생하는 압력 정보를 감지하는 역활을 한다. 도 3은 도 2에서 도시한 발바닥 센서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서 도시한 발바닥 센서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이러한 발바닥 센서부(120)는 상술한 신발 착용부(110)의 후방 밑창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착용자의 뒤꿈치와 접촉하는 제1 접촉면(121a)과 지면과 접촉하는 제2 접촉면(122a)을 포함하여 착용자의 발바닥과 지면을 연결하여 지면에 대한 지지 감각을 착용자에게 전달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도 3을 참조하면, 발바닥 센서부(120)는 말굽 형태로 구성되어 신발 착용부(110)의 후방 밑창의 일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발바닥 센서부(120)는, 외부 골격을 이루는 몸체(121)와, 저면부(122)와, 힘 전달부(123)를 포함한다.
몸체(121)는 상술한 신발 착용부(110)와 직접적으로 결합하고 말굽 형태의 골격을 이룬다. 그리고, 몸체(121)에는 제1 접촉면(121a)이 형성된다. 제1 접촉면(121a)은 말굽 형태의 몸체(121)의 저면에서 소정의 폭으로 내향하여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접촉면(121a)에는 착용자의 발바닥이 닿는다. 이에 착용자의 하중 또는 가압력이 제1 접촉면(121a)을 통해 발바닥 센서부(120) 전체에 전달된다. 한편, 몸체(121)는 신발 착용부(110)에 탈 부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발바닥 센서부(120)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저면부(122)에는 지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제2 접촉면(122a)이 형성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저면부(122)는 상술한 몸체(121)에 대응하여 말굽 형태로 구성되고 테프론 소재로 구성되는 다층 구조의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최하단에 위한 저면부(122)에 압력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접촉면(122a)은 저면부(122)의 최하단 플레이트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힘 전달부(123)는 상술한 몸체(121)와 저면부(122) 사이에 위치하여 착용자의 하중 또는 가압력을 압력센서가 설치된 저면부(122)에 전달하는 역활을 한다. 일실시예 있어서, 이러한 힘 전달부(123)는, 몸체(121) 및 저면부(122)를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복수 개의 컬럼부(123a)와, 컬럼부(123a)에 끼워져 착용자의 하중 또는 가압력에 대항하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23b)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힘 전달부(123)는 말굽 형태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힘 전달부(123)는 착용자가 지면을 지지하는데 있어서, 이질감을 최소화 한다.
이렇게 신발 착용부(110)의 일부로서 장착되어 지면과의 지지 감각을 전달함과 동시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발바닥 센서부(120)를 구비함으로써, 착용자의 이질감을 최소화하면서도 지면에 대한 지지로 발생하는 압력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된 압력 정보를 활용하여 착용자의 무게 중심과 지면의 지지 상태를 추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착용 로봇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신발 착용부
120 : 발바닥 센서부
121 : 몸체
122 : 저면부
123 : 힘 전달부
121a : 제1 접촉면
122a : 제2 접촉면
123a : 컬럼부
123b : 탄성부재

Claims (8)

  1. 골반 구조부에서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다리 구조부가 형성된 착용 로봇으로서,
    상기 한 쌍의 다리 구조부의 단부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발을 수용하는 신발 착용부;
    착용자의 뒤꿈치가 위치하는 상기 신발 착용부의 후방 밑창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뒤꿈치와 접촉하는 제1 접촉면과 지면과 접촉하는 제2 접촉면을 포함하여 압력 정보를 획득하는 발바닥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바닥 센서부는, 상기 제1 접촉면이 형성되고 상기 신발 착용부에 결합하는 몸체와, 상기 제2 접촉면이 형성되고 압력 센서가 형성되는 저면부 및, 상기 몸체 및 상기 저면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 및 상기 저면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컬럼부와 각각의 상기 컬럼부에 끼워져 높이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몸체에서 전달되는 압력을 상기 저면부에 전달하는 힘 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 로봇.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및 상기 저면부는 말굽 형태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 로봇.
  4. 제3 항에 있어서,
    제1 접촉면은 말굽 형태의 상기 몸체의 내측 저면에서 내향하여 확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착용 로봇.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신발 착용부에 탈 부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착용 로봇.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및 상기 저면부는 말굽 형태로 이루어 지고 상기 힘 전달부는 상기 말굽 형태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 로봇.
  8. 제1 항, 제3항 내지 제5 항 및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바닥 센서부는 상기 신발 안착부에 탈 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 로봇.
KR1020120114575A 2012-10-16 2012-10-16 발바닥 센서부를 구비한 착용 로봇 KR101250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575A KR101250324B1 (ko) 2012-10-16 2012-10-16 발바닥 센서부를 구비한 착용 로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575A KR101250324B1 (ko) 2012-10-16 2012-10-16 발바닥 센서부를 구비한 착용 로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0324B1 true KR101250324B1 (ko) 2013-04-08

Family

ID=48442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4575A KR101250324B1 (ko) 2012-10-16 2012-10-16 발바닥 센서부를 구비한 착용 로봇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032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087B1 (ko) * 2013-09-09 2014-12-31 현대로템 주식회사 착용식 로봇용 압력검출장치
KR101619297B1 (ko) * 2014-09-16 2016-05-10 국방과학연구소 충격흡수와 지면반력 측정이 가능한 착용로봇의 탄성 발바닥 어셈블리
KR20160095885A (ko) * 2015-02-04 2016-08-1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감지부의 기능을 향상시킨 로봇의 발판
KR20170007502A (ko) * 2017-01-09 2017-01-18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보행 재활 로봇의 무게 중심 추정 시스템 및 방법
US10533913B2 (en) 2014-12-19 2020-01-14 Korea Polytechnic University Industry 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center of gravity of walking rehabilitation robot
US10722418B2 (en) 2016-06-15 2020-07-28 Hyundai Motor Company Ankle-less walking assistan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0102A (ja) * 2002-01-29 2003-08-05 Hitachi Ltd 動作支援装置
JP2004299045A (ja) 2003-03-14 2004-10-28 Sony Corp ロボット装置
US20090210093A1 (en) 2006-07-17 2009-08-20 Jacobsen Stephen C Contact displacement actuator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0102A (ja) * 2002-01-29 2003-08-05 Hitachi Ltd 動作支援装置
JP2004299045A (ja) 2003-03-14 2004-10-28 Sony Corp ロボット装置
US20090210093A1 (en) 2006-07-17 2009-08-20 Jacobsen Stephen C Contact displacement actuator system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087B1 (ko) * 2013-09-09 2014-12-31 현대로템 주식회사 착용식 로봇용 압력검출장치
KR101619297B1 (ko) * 2014-09-16 2016-05-10 국방과학연구소 충격흡수와 지면반력 측정이 가능한 착용로봇의 탄성 발바닥 어셈블리
US10533913B2 (en) 2014-12-19 2020-01-14 Korea Polytechnic University Industry 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center of gravity of walking rehabilitation robot
KR20160095885A (ko) * 2015-02-04 2016-08-1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감지부의 기능을 향상시킨 로봇의 발판
KR102311565B1 (ko) 2015-02-04 2021-10-13 큐렉소 주식회사 감지부의 기능을 향상시킨 로봇의 발판
US10722418B2 (en) 2016-06-15 2020-07-28 Hyundai Motor Company Ankle-less walking assistan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622906B2 (en) 2016-06-15 2023-04-11 Hyundai Motor Company Ankle-less walking assistan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70007502A (ko) * 2017-01-09 2017-01-18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보행 재활 로봇의 무게 중심 추정 시스템 및 방법
KR101709665B1 (ko) 2017-01-09 2017-02-24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보행 재활 로봇의 무게 중심 추정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0324B1 (ko) 발바닥 센서부를 구비한 착용 로봇
KR100770564B1 (ko) 다탄성(多彈性) 신발 안창의 구조
JP6767002B2 (ja) 歩行支援装置用の靴アセンブリ
JP5765826B2 (ja) フットウエア用ソール構造体
US9713359B2 (en) Shoe body with arch suspended support
JP6125549B2 (ja) フットウエア用ソール構造体
JP4590455B2 (ja) ソールおよびこれを備えた履物
KR100651639B1 (ko) 지능형 근력 및 보행 보조용 로봇의 발바닥 압력 센서
WO2010060009A3 (en) Article of footwear
JP2015188740A (ja) 歩行アシスト装置
KR20170006632A (ko) 착용식 로봇 의자
JP5993016B2 (ja) 歩行修正または歩行保存のための靴底
JP2009101139A (ja) ハイヒール用の機能性中敷
KR20150006708A (ko) 족저압 측정 장치
TW201433276A (zh) 拖鞋
KR101711333B1 (ko) 보행 가이드용 깔창
CN206119356U (zh) 一种智能矫正鞋垫
JP6353479B2 (ja) シューズ用ソール構造およびそれを用いたシューズ
KR102235366B1 (ko) 족저압을 측정하기 위한 스마트 슈즈
KR102109680B1 (ko) 스마트 보행 관리 시스템
KR101619297B1 (ko) 충격흡수와 지면반력 측정이 가능한 착용로봇의 탄성 발바닥 어셈블리
JP2007244521A (ja) インソールおよび靴
JP3227793U (ja) ソール及び靴
KR101940508B1 (ko) 좌우가 동일한 유아 신발
KR101353528B1 (ko) 디딤면의 형상에 따라 가변하는 가변부를 구비한 인간형 로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