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0209B1 - 탁주병 마개 - Google Patents

탁주병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0209B1
KR101250209B1 KR1020120081789A KR20120081789A KR101250209B1 KR 101250209 B1 KR101250209 B1 KR 101250209B1 KR 1020120081789 A KR1020120081789 A KR 1020120081789A KR 20120081789 A KR20120081789 A KR 20120081789A KR 101250209 B1 KR101250209 B1 KR 101250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ttle cap
stopper
contact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1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우기술연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우기술연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우기술연구
Priority to KR1020120081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02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0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0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0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 B65D51/162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by means of a passage for the escape of gas between the closure and the lip of the container mou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탁주병 마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 탁주병 마개에 사용되는 필터와 발포시트 없이, 용기 내부 압력이 일정한 압력에 이르면 발효 가스가 배출되도록 하여 용기 내에 일정한 내압을 유지하면서 발효식품의 맛과 향을 유지시킬 수 있는 탁주병 마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탁주병 마개는 용기 주입부에 형성된 나사부보다 더 긴 나사산을 구비하는 동시에 용기 주입구 상면과 밀착되는 마개 밀착면에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돌출된 미세 돌기를 형성시킴으로써, 종래 탁주병 마개에 구비되는 패킹부재 없이 병 주입부와 밀접하게 접촉하여 액상 내용물의 유출을 방지하고, 발효 가스를 미세 돌기들 사이로 순차적으로 배출시켜 급격한 가스 배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용기 내부의 압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켜 탁주 등과 같은 발효식품의 향과 풍미를 보존할 수 있다.
또한, 종래 용기 주입부의 밴트라인와 마개의 밴트라인(홈부) 중에서 마개의 밴트라인(홈부)을 없애고, 나사선을 길게함으로써 일정량의 탄산가스를 유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탁주병 마개{Bottle Cap of Fermentation Makgeolli}
본 발명은 탁주병 마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 탁주병 마개에 사용되는 필터와 발포시트 없이, 용기 내부 압력이 일정한 압력에 이르면 발효 가스가 배출되도록 하여 용기 내에 일정한 내압을 유지하면서 발효식품의 맛과 향을 유지시킬 수 있는 탁주병용 마개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발효식품으로는 된장, 고추장, 김치, 젓갈, 식초, 식혜, 술 등이 있으며, 막걸리는 대표적인 지속적 발효식품 가운데 하나이다. 유통기간을 연장하기 위하여 열처리과정을 통해 막걸리 내에 들어 있는 균을 모두 죽인 살균막걸리는 오랫동안 보관이 가능하지만, 막걸리의 맛을 결정하는 좋은 균 역시 죽어버리므로 본래의 맛과 향을 잃는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달리 생막걸리는 효모와 유산균이 그대로 살아 있어 맛과 영양면에서 우수하다.
그러나, 단점은 살균막걸리에 비해 유통기간이 짧다는 것이다. 막걸리뿐 아니라 김치 등과 같은 대부분의 발효식품은 일정 기간 이상 보관하면 외부에서 산소가 유입됨에 따라 초산균이 활발하게 활동하여 맛이 시어져 제품으로서의 가치를 잃는다.
그러므로, 산소호흡을 하는 초산균의 활동을 막기 위해 외부의 산소 유입을 차단한다면 막걸리를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마개를 밀폐시키면 산소의 유입을 막을 수는 있으나, 효모의 발효과정에서 생긴 이산화탄소가 용기 속에서 빠져나갈 곳을 찾지 못해 압력이 계속 증가하여 용기의 변형이 오거나 마개가 파열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우리나라의 전통 발효식품인 생막걸리는 생산 후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유통과정을 거치는 동안 지속적으로 발효 가스가 생성되므로 플라스틱 용기에 담아 포장하는 경우, 용기 내 압력이 증가하고, 팽창압력이 용기 내에 고르게 발생하여 용기 입구가 완전히 밀폐되는 경우 계속적인 내압의 증가로 용기의 변형이나 마개가 파열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반면에 밀폐가 불완전한 경우에는 용기가 기울어졌을 때 내용물이 유출되어 주변을 오염시키거나, 발효 가스가 너무 많이 빠져나가 막걸리 본래의 향과 맛을 상실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생막걸리 등의 발효식품의 포장을 위해서는 발효식품이 담겨진 용기 내에 일정량의 발효 가스를 유지시켜 식품의 맛과 향을 보존하면서도, 과도한 내압 증가에 의한 용기나 마개의 파열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량의 발효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종래에 용기 내에서 발생하는 발효 가스를 배출하면서, 용기 내부와 외부의 기밀을 유지하는 다양한 종류의 용기 마개용 패킹들이 개발되었다.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를 1 ∼ 2장 겹친 패킹, 원형의 고분자 발포시트의 한쪽 면에 부직포 또는 통기성 필터를 접착한 패킹, 부직포를 고분자 발포면에 접착시키기 위하여 부직포에 접착층 또는 고분자 피막을 별도로 형성시켜 접착한 패킹 등이 있다.
그러나 종래에 제조된 일부의 용기 마개용 패킹들은 부직포와 발포시트의 단순한 조합으로서 용기가 넘어졌을 때, 내용물이 누출되기 쉽고, 발효식품의 저장 또는 운반시 용기 내 발효 가스가 다량 외부로 배출되어 용기에 담겨 있는 발효식품의 맛과 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외부의 공기 중 산소가 용기 내부로 침투하여 초산발효에 의한 용기 내 발효식품의 맛이 변질되어 유통기간이 제한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편 일부의 용기 마개용 패킹들은 발효 가스를 용기의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하지 못하여 용기 내에 생성된 발효 가스로 인해 용기의 형태가 변형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막걸리와 같은 발효식품의 경우에는 마개의 개봉 전에 용기를 흔들어서 내용물이 균일하게 섞이도록 한 후에 개봉을 하게 되는데, 이 경우 갑작스런 용기 내압증가로 인하여 개봉시 발효 가스가 급격히 분출됨에 따라 액상 내용물이 함께 분출되어 손에 묻게 되므로 위생적이지 않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예의 노력한 결과, 용기 주입구 상면과 밀착되는 마개 밀착면에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돌출된 미세 돌기를 형성하고, 종래 탁주병 마개 내주연에 형성된 나사산 보다 더 긴 나사산을 형성시킬 경우, 필터와 발포시트의 구비 없이, 용기 내에 일정한 내압을 유지시킴과 동시에, 막걸리 등과 같은 발효식품의 맛과 향을 유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종래 탁주병 마개에 구비되는 패킹 부재 없이, 용기 내부 압력이 일정한 압력에 이르면 발효 가스가 배출되도록 하여 용기 내에 일정한 내압을 유지하면서, 발효식품의 맛과 향을 유지할 수 있는 탁주병 마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용기를 나선체결에 의해 밀폐하는 탁주병 마개에 있어서, 상기 용기 주입구 상면과 밀착되는 마개의 밀착면은 용기 주입구 상면과 밀접하게 접촉되도록 미세 돌기가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돌출되어 있고, 마개 내주연에는 나사산이 2 내지 3줄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주병 마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미세 돌기는 다수의 사선 돌기로 이루어져 용기 주입구 상면과 선 접촉되도록 하되, 상기 사선 돌기가 일 방향 또는 교차방향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주병 마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미세 돌기는 용기 주입구 상면과 점 접촉 또는 면 접촉되도록 다수의 다각형상 또는 다수의 원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주병 마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다각형상은 육각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주병 마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탁주병 마개는 용기 주입부에 형성된 나사부보다 더 긴 나사산을 구비하는 동시에 용기 주입구 상면과 밀착되는 마개 밀착면에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돌출된 미세 돌기를 형성시킴으로써, 종래 탁주병 마개에 구비되는 패킹부재 없이 병 주입부와 밀접하게 접촉하여 액상 내용물의 유출을 방지하고, 발효 가스를 미세 돌기들 사이로 순차적으로 배출시켜 급격한 가스 배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용기 내부의 압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켜 탁주 등과 같은 발효식품의 향과 풍미를 보존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탁주병 마개의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탁주병 마개의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a) 및 확대 단면도(b)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탁주병 마개의 미세 돌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탁주병 마개의 미세 돌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탁주병 마개의 미세 돌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탁주병 마개의 미세 돌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탁주병 마개의 미세 돌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탁주병 마개의 미세 돌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 은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용기를 나선체결에 의해 밀폐하는 탁주병 마개에 있어서, 상기 용기 주입구 상면과 밀착되는 마개의 밀착면은 용기 상면과 밀접하게 접촉되는 미세 돌기가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돌출되어 있고, 마개 내주연에는 나사산이 2 내지 3줄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주병 마개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탁주병 마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탁주병 마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와 확대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탁주병 마개(100)는 막걸리라 불리우는 주류가 담아지는 용기(10)를 밀폐시키는 것을 기본으로 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경우에 따라 다른 주류, 음료 등의 마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용기(10)는 내부에 탁주 등이 담아지는 수용공간(11)을 가지고, 용기 주입부(12) 상부측 외주연에는 나사부(13)가 형성된 통상적인 용기일 수 있고, 합성수지, 유리 등에 의해 성형되며, 용기 주입부의 상면 내측으로 탁주의 주입 및 배출을 가능하게 하는 주입구(14)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탁주병 마개(100)는 상기 용기의 재질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탁주병 마개로 사용되고 있는 재질이면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수지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탁주병 마개(100)는 용기의 주입구(14)가 원통형인 경우, 이에 대응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탁주병 마개는 막음판부(101)와 막음판부의 저부로 관체부(102)가 일체로 성형되어 그 내측으로 공간(103)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103)으로 용기 주입부(12)까지 덮어지도록 하되, 상기 관체부(102)의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용기 주입부(12)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부(13)와 나사결합되어 용기의 주입구(14)를 밀폐시키는 구성이다.
상기 용기의 주입구 상면(15)과 밀착되는, 막음판부(101)의 저면인 밀착면(105)에는 다수의 미세 돌기(110)가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돌출되어 용기의 주입구 상면(15)과 선 접촉, 점 접촉 및/또는 면 접촉하여 밀폐되고, 마개의 관체부(102) 내주연에는 나사산(104)이 2 내지 3줄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탁주 등의 발효식품을 저장하는 마개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용기 주입구 상면과 밀착되는 밀착면에 기체를 배출시키기 위한 필터나 부직포 등의 패킹 부재(50)가 구비되고, 마개 내주연에는 탄산가스가 배출되는 홈부(밴트라인)(55)를 형성시키며, 용기 주입부에 형성된 나사부와 대응되도록 1줄 내지 2줄의 나사산(104)을 구비한다. 그러나, 막걸리의 경우 음용 전에 내용물을 흔들어 마시게 되는데, 이때 용기에 형성된 홈부(55)와 패킹 부재(50)를 통하여 액체가 유출되거나 또는 유통중에도 액체가 유출되어 막걸리의 선호도가 다른 주류에 비해 떨어지는 원인이 된다.
이에, 본 발명의 탁주병 마개는 종래 탁주병 마개에 구비된 홈부와 패킹 부재를 없애고, 종래 탁주병 마개에 형성된 나사산 보다 더 긴 나사산(104)을 형성시켜 마개의 밀착면(105)과 용기 주입구(12) 상면이 더욱 밀착되도록 나사결합시켜 용기에 함유된 액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마개의 내주연에 형성된 나사산(104)은 용기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되는 각도와 위치로 형성하되, 종래 마개에 형성된 나사산이나, 용기에 형성된 나사부 보다 긴, 2 내지 3줄로 형성될 수 있다. 만약, 나사산(104)이 2 미만으로 형성된 경우, 마개와 용기가 밀접하게 체결되지 않아 용기에 담겨진 액상이 내용물이 유출될 뿐만 아니라, 용기의 내압이 일정 수준 이하인 경우에도 발효 가스가 외부로 누출되어 탁주의 청량감을 저하시킬 수 있고, 나사산(104)이 3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용기와 마개의 나사결합이 밀려 마개가 공회전하게 됨에 따라 용기와 마개가 완전하게 나사결합시킬 수 없게 된다.
한편, 탁주병 마개의 밀착면(105)에 형성된 미세 돌기(110)는 마개 성형시 금형에 의해 제조되는 것으로, 상기 미세 돌기를 전체적으로 보면 무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미세 돌기는 다수의 사선 돌기로 이루어져 용기 주입구 상면과 선 접촉되도록 하되, 상기 사선 돌기는 일 방향 또는 교차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고, 또한, 다수의 다각형상 또는 다수의 원형상으로 돌출되어 용기 주입구 상면과 점 접촉 또는 면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의 선, 원형상 또는 다각형상의 돌기가 혼합으로 구성되어 용기 주입구 상면과 선, 점 및/또는 면 접촉할 수 있다.
이때, 미세 돌기(110)의 개수와 형상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조절하여 미세 돌기(110) 면적이 밀착면(105)의 면적 전체에 대하여, 50 ~ 80%를 차지할 수 있으며, 특히, 미세 돌기 간의 거리를 조절하여 미세 돌기의 수를 조절할 수 있다.또한, 미세 돌기의 높이는 20 ~ 50㎛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 40㎛로 유지할 수 있다.
만일, 미세 돌기의 높이가 20㎛ 미만인 경우, 발효 가스가 배출시킬 수 있는 가스 배출공간(111)이 협소하여 용기의 변형이나 마개의 파손이 발생될 수 있고, 미세 돌기의 높이가 5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가스 배출공간(111)이 넓어져 용기의 내압이 일정 수준 이하인 경우에도 용이하게 발효 가스가 외부로 누출될 수 있어 막걸리의 청량감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 돌기의 구현 예로, 도 3은 사선이 교차된 교차방식의 돌기를 나타낸 것으로, 이러한, 미세 돌기는 용기의 주입구 상면(15)과 선 접촉되고, 돌기와 돌기 즉 교착된 돌기들 사이에 가스 배출공간(111)을 갖는 구성으로, 유통 혹은 진열과정에서 발생하는 발효 가스가 용기에 채워지면서 용기의 팽창압(내압)이 마개에 작용하면, 미세 돌기(110)와 용기의 주입구 상면(15) 사이에 발생되는 간극을 통해 발효 가스가 가스 배출공간(111)으로 유입되고, 상기 가스 배출공간(111)에 채워지는 발효 가스는 점차 외측으로 밀리면서 마개의 관체부(102)와 용기 주입부(12) 사이의 간극 즉, 용기의 나사부와 마개의 나사산이 결합된 부분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발효 가스가 배출되는 팽창압은 용기와 마개의 재질 등에 따라 상이하나, 10℃에서 2,000mbar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026 ~ 4,052mbar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미세 돌기는 다른 실시예로,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불규칙적으로 미세 돌기(110)를 주어 용기의 주입구 상면과 접촉되는 구성으로, 이들 돌기들 사이에 가스 배출공간(111)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세 돌기의 또 다른 실시예로,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미세 돌기(110)는 용기의 주입구 상면과의 사각선 접촉에 의해 밀폐가 이루어지고, 이들 사이에 가스 배출공간(11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세 돌기는 다각형상으로 돌출되어 점 접촉 또는 면 접촉으로 용기 주입구 상면에 접촉되도록 형성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육각형상(거북이 등 형상)일 수 있다(도 6).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미세 돌기(110)는 삼각형상으로 돌출되어 용기 주입구 상면(15)과 면 접촉할 수 있고, 이들 사이에 형성된 가스 배출공간(111)들 사이로 서서히 가스가 배출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다시 말해, 상기 미세 돌기(110)들은 용기 주입구 상면(15)과 점 접촉 또는 면 접촉되는 상태로 구성되는데, 이때 이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 즉, 가스 배출공간(111)은 상면과 이격된 상태로, 이들 공간으로 서서히 가스가 빠져나가면서 용기 내부의 가스량이 조절되도록 한다.
도 8은 상기 미세 돌기의 또 다른 실시예로, 이 미세 돌기(110)는 선 접촉 및 면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즉, 사선으로 돌출되는 돌기와, 이 사선들 사이에 다각 형상의 미세 돌기를 두어 사선을 통해서는 선 접촉이, 삼각이나 사각형상 등의 다각 형상의 미세 돌기를 통해서는 면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가스는 가스 배출공간(111)으로 순차 배출되도록 하고, 액상의 내용물은 유출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탁주병 마개는 용기 주입구 상면과 밀착되는 마개의 밀착면에 미세 돌기를 형성시키는 동시에 용기 주입부에 형성된 나사부보다 더 긴 나사산을 마개 내주연에 구비하여 마개의 밀착면과 용기 주입구 상면이 선, 점 및/또는 면 접촉하되, 접촉부분을 더욱 밀착시켜 액체의 누출을 방지하는 동시에 용기 내에 일정한 내압을 유지할 수 있고, 유통 혹은 진열 과정에서 발생하는 발효 가스가 채워져 일정한 내압 이상의 내압(팽창압)이 존재하면, 미세 돌기들 사이에 형성된 가스 배출공간으로 발효가스가 이동하여 외부로 배출되므로, 종래 마개 내주연에 형성된 홈부와 필터, 부직포 등의 패킹부재 구비 없이, 용기 내에 일정한 내압을 유지하면서, 발효식품의 맛과 향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0 : 용기 11: 수용공간
12: 용기 주입부 13: 나사부
14: 주입구 15: 주입구 상면
100: 마개 101: 막음판부
102: 관체부 103: 공간
104: 나사산 105: 밀착면
110: 미세 돌기 111: 가스 배출공간

Claims (4)

  1. 용기를 나선체결에 의해 밀폐하는 탁주병 마개에 있어서,
    상기 용기 주입구 상면과 밀착되는 마개의 밀착면은 용기 주입구 상면과 밀접하게 접촉되도록 높이가 20 ~ 50㎛인 미세 돌기가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돌출되어 있고, 마개 내주연에는 나사산이 2 내지 3줄로 형성되어 용기의 내압을 2,026mbar ~ 4,052mbar(10℃)으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주병 마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돌기는 사선 돌기로 이루어져 용기 주입구 상면과 선 접촉되도록 하되, 상기 사선 돌기가 일 방향 또는 교차방향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주병 마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돌기는 용기 주입구 상면과 점 접촉 또는 면 접촉되도록 다각형상 또는 원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주병 마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형상은 육각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주병 마개.
KR1020120081789A 2012-07-26 2012-07-26 탁주병 마개 KR101250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789A KR101250209B1 (ko) 2012-07-26 2012-07-26 탁주병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789A KR101250209B1 (ko) 2012-07-26 2012-07-26 탁주병 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0209B1 true KR101250209B1 (ko) 2013-04-03

Family

ID=48442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1789A KR101250209B1 (ko) 2012-07-26 2012-07-26 탁주병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020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4530A (ja) * 2001-08-20 2003-02-26 Medic:Kk ペットボトルの本体とキャップの間の気密性を高める構造
KR100691864B1 (ko) * 2004-10-26 2007-03-12 방귀원 탁주병용 마개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4530A (ja) * 2001-08-20 2003-02-26 Medic:Kk ペットボトルの本体とキャップの間の気密性を高める構造
KR100691864B1 (ko) * 2004-10-26 2007-03-12 방귀원 탁주병용 마개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9562B2 (en) Stackable drinkware
KR102016771B1 (ko) 음료수 글라스 및 음료수 글라스 조립체
CA3038664A1 (en) Retaining member and insulating vessel incorporating same
RU2007144971A (ru) Сжимаемый контейнер для молочных продуктов
JP5059979B1 (ja) 容量可変容器
US20110094991A1 (en) Holder for effervescent liquids
KR101127415B1 (ko) 발효가스 배출조절용 패킹 및 이를 이용한 마개
KR20090060258A (ko) 밀폐장치 시스템
KR101250209B1 (ko) 탁주병 마개
KR200477513Y1 (ko) 발효 식품 밀폐 용기
KR101157390B1 (ko) 발효가스 배출조절용 패킹 및 이를 이용한 마개
US20160297557A1 (en) Vacuum-resistant containers having offset horizontal ribs and panels
KR101208187B1 (ko) 탁주병용 합성수지마개
KR100716208B1 (ko) 탁주 병 뚜껑용 패킹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43341B1 (ko) 누출방지용 중공부가 구비된 캡슐캡
CN207890286U (zh) 一种按压式储物盒
KR20110052968A (ko) 발효가스 배출조절용 패킹 및 이를 이용한 마개
KR200465393Y1 (ko) 발효 막걸리병 마개
KR101511998B1 (ko) 막걸리 병뚜껑에 장착되는 패킹
KR20110113353A (ko) 발효가스 배출조절용 패킹 및 이를 이용한 마개
KR20090059567A (ko) 병마개
KR101913611B1 (ko) 팩 용기
KR200474538Y1 (ko) 음료용기의 가스 자동 방출 캡
KR20120008838U (ko) 발효 막걸리병 마개
KR200396029Y1 (ko) 가스 누출 방지 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