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9919B1 - 진동을 완충시키는 캡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진동을 완충시키는 캡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9919B1
KR101249919B1 KR1020110088575A KR20110088575A KR101249919B1 KR 101249919 B1 KR101249919 B1 KR 101249919B1 KR 1020110088575 A KR1020110088575 A KR 1020110088575A KR 20110088575 A KR20110088575 A KR 20110088575A KR 101249919 B1 KR101249919 B1 KR 101249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adhesive
cap assembly
conductive
secondary battery
metal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8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5198A (ko
Inventor
황만용
김기린
김종호
이상훈
유승정
김정순
Original Assignee
신흥에스이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흥에스이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흥에스이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8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9919B1/ko
Publication of KR20130025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5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9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9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H01M50/171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using adhesives or sealing ag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7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H01M50/167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by crim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08Detachable arrangements, e.g. detachable vent plugs or plug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7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shoc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전극 조립체가 수용된 캔을 밀봉하는 캡 조립체의 안전벤트를 원통형으로 형성하고 원통형 안전벤트의 내부 바닥에 도전성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부캡을 삽입한 후 클림핑 공정에 의해 원통형 안전벤트의 상부를 원통중심을 향하여 절곡하여 상부캡을 도전성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하게 함과 동시에 안전벤트를 절곡하여 클림핑을 형성하여 클림핑의 압착력이 상부캡과 안전벤트 사이에 상호작용하도록 한다.
이러한 도전성 접착제의 완충력과 클림핑의 압착력에 의해 낙하, 전동공구의 진동 등에 의해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이나 연속적으로 가해지는 진동을 완충시킴과 동시에 압착력을 지속적으로 인가하여 상부캡과 안전벤트 사이에 접촉저항이 증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진동을 완충시키는 캡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secondary cell incluing a cap assembly able to mitigate vibrations}
본 발명은 진동을 완충시키는 캡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안전벤트를 원통체로 형성하고 상부 캡과 피시티 서미스터를 안전벤트에 삽입하여 도전성 접착제로 접착하고 안전벤트의 상부를 절곡하여 클림핑함으로써 진동이나 낙하 등의 외부 충격에 의해 접촉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접촉저항이 증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진동을 완충시키는 캡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많이 사용되는 리튬계 이차전지는 전지전압이 3.6V로 높고, 고에너지 밀도를 갖기 때문에 전지의 소형경량화가 가능하다. 또한 자기방전도 작아서 사이클 특성에서도 우수하기 때문에 휴대용기기의 전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리튬계 이차전지는 리튬 자체가 높은 활성을 가지므로 전지 이상발생시 발화나 폭발의 위험이 크다. 리튬 이온전지의 경우는 금속상태의 리튬이 아닌 이온상태의 리튬만 존재하므로 금속리튬을 사용하는 전지에 비해 안전성이 향상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전지에 사용되는 음극이나 비수성 전해액 등의 재료들은 가연성을 가지는 등의 이유로 일정 전압 이상으로 과충전되는 경우에는 양극 활물질과 전해액의 부반응이 많아지고, 심하면 양극 활물질의 구조붕괴 및 전해액의 산화 반응 등이 동반되며, 음극 활물질에서 리튬이 석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계속하여 충전이 이루어지면 리튬이온 이차전지가 발화하거나 폭발할 수 있다.
따라서 이차전지는 충전된 상태에서 혹은 충전하는 과정에서 전지 자체의 이상으로 인한 발화나 폭발을 막기 위해 여러가지 안전장치가 구비된다. 이들 안전장치는 전지의 고온상승이나 과도한 충방전 등으로 전지의 전압이 급상승하는 등의 경우에 전류를 차단해 전지의 파열, 발화 등 위험을 방지하게 한다.
안전장치로서 전극 조립체에 연결되는 것으로는 이상전류나 전압을 감지하여 전류흐름을 막는 보호회로, 이상전류에 의한 과열로 작동하는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소자, 바이메탈 등이 있다.
또한, 이차 전지의 캡 조립체는 일반적으로 전지의 내부 압력 또는 내부 온도가 일정 수준 이상이면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고, 내부 기체를 외부로 유출할 수 있는 안전장치를 포함하게 된다. 이러한 안전 장치의 예로는 전류차단소자, 안전벤트, 피티시 서미스터 등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캡 조립체에 전류차단소자, 안전벤트, 피티시 서미스터 등과 같은 이차 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단을 추가하는 경우 진동 등과 같은 외부 충격시 캡조립체를 구성하는 소자들 간에 접촉면의 저항이 증가되어 균일한 출력을 제공하기 어렵다.
도 1에는 피티시 서미스터를 구비하는 종래의 원통형 이차전지의 구조를 나타내는 수직 단면도가 도시된다.
종래의 원통형 이차전지(1)는 원통형 캔(2), 캔(2)의 내부에 수용되는 젤리롤형의 전극조립체(3), 캔(2)의 상부에 결합되는 캡 어셈블리(4), 및 캡 어셈블리(4)를 장착하기 위한 클림핑 부위(5)로 구성되어 있다.
전극조립체(3)는 양극(3a)과 음극(3b) 사이에 분리막(3c)을 개재한 상태로 젤리-롤형으로 감은 구조로 되어 있으며, 양극(3a)에는 양극 탭(3d)이 부착되어 캡 어셈블리(4)에 접속되어 있고, 음극(3b)에는 음극 탭 (도시하지 않음)이 부착되어 캔(2)의 하단에 접속되어 있다.
캡 조립체(4)는 양극 단자를 형성하는 상단 캡(4a), 전지 내부의 온도 상승시 전지저항이 크게 증가하여 전류를 차단하는 PTC 소자(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element; 4b), 전지 내부의 압력 상승시 전류를 차단하거나 및/또는 가스를 배기하는 안전벤트(4c), 특정 부분을 제외하고 안전벤트(4c)를 캡 플레이트 (4e)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절연부재(4d), 양극(3a)에 연결된 양극 탭(3d)이 접속되어 있는 캡 플레이트(4e)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클림핑 부위(5)는 캡 조립체(4)를 캔(2)의 개방 상단에 장착할 수 있도록 캔(2)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클림핑 부위(5)는, 캔(2)의 상단부를 비딩 가공함으로써 내측으로 만입부(2a)를 형성하고, 가스켓(6)에 캡 플레이트(4e), 절연부재(4d), 안전벤트(4c) 및 상단 캡(4a)의 외주면을 차례로 삽입한 다음, 상단부를 절곡함으로써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클림핑 부위(5)의 내측면에 위치하는 가스켓(6)을 감싸는 형태로 되고, 클림핑(crimping) 및 프레싱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캡 어셈블리(4)를 장착한다.
이와 같이 캔의 상부에 결합되는 캡 조립체 및 캡 조립체를 장착하기 위한 클림핑 구조로 구성되어 PTC 소자는 일반적으로 상온에서도 대략 7 ~ 32 mΩ 정도의 전기 저항을 나타낸다.
또한 PTC 소자는 온도의 상승시에 가파른 저항 상승을 유발하여 진동 등의 외부 충격시 상단 캡, PTC 소자, 안전 벤트 및 캡 플레이트의 접촉면은 저항의 변화가 20 ~ 30 mΩ 정도 증가하게 되므로 균일한 출력을 제공하지 못한다.
이러한 내부 저항의 증가는 이차전지에서 발열을 유발하여 전지의 안전성이 문제될 수 있으며, 전지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속적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전동공구 등과 같은 휴대용기기에 사용되는 이차전지는 안전벤트(4c)와 상단캡(4a) 사이의 접촉저항의 증가를 방지하기 위해 스폿용접(spot welding)을 실시하여 접착하였다.
그러나 연속적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전동공구 등과 같은 휴대용기기에서는 이러한 스폿용접도 탈리가 발생하여 다시 접촉저항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이차 전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연속적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휴대용기기에 사용하여도 캡조립체의 접촉저항이 증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진동을 완충시키는 캡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캡조립체의 상단캡과 안전벤트 사이를 도전성 접착제로 접합시켜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서도 탈리가 발생하지 않아서 접촉저항이 증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진동을 완충시키는 캡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 조립체는 전극 단자 역할을 하는 상부 캡, 상부 캡의 하부에 순서대로 위치하는 원통캔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부 캡을 클림핑하고 내부 바닥면에 도전성 접착제가 도포된 안전 벤트, 절연재, 전류차단소자 및 서브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 조립체는 진동을 완충시키는 도전성 접착제를 상부 캡과 안전벤트 사이에 도포하여 접착하도록 함으로써 외부에서 전달되는 지속적인 진동을 도전성 접착제에서 일부 흡수하여 완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접착제는 접착력이 우수한 에폭시 수지, 아크릴수지, 변성 우레탄 수지의 합성수지와 합성고무에 도전성이 우수한 금속가루와 카본을 균일하게 혼합분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접착제의 필러로서 사용되는 도전성 입자는 은, 구리, 니켈, 알루미늄의 도전성이 좋은 금속분말 또는 카본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접착제는 에폭시계 바인더에 도전성 입자의 직경이 3∼40 ㎛ 이고, 바람직하게는 5∼17 ㎛인 스파이크 타입, 플레이크 타입, 구형으로 구성되는 금속가루를 혼합시켜 분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접착제는 은, 구리, 니켈, 알루미늄의 도전성이 좋은 금속분말 또는 카본 분말로 구성되는 도전성 입자와 저융점 합금필러(LMPA: Low Melting Point Alloy) 입자를 함께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접착제는 열경화성 수지를 사용하여 상기 열경화성 합성수지가 완전히 경화되기 전에 저융점 합금필러가 용융되어 상기 도전성 접착제를 구성하는 도전성 입자와 금속학적 결합을 이루어 전기적 특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접착제를 구성하는 도전성 입자는 스파이크타입 금속 분말가루이고, 은, 구리, 니켈, 알루미늄과 같이 도전성이 좋은 금속분말 또는 카본 분말을 사용하거나 구리, 니켈, 알루미늄과 같이 도전성이 좋은 금속분말에 은을 코팅한 금속분말을 도전성 입자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접착제를 구성하는 도전성 입자는 구형 타입 또는 플레이크(flake) 타입 금속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의 캡 조립체에 따르면, 원통형 안전벤트의 내부 바닥에 도전성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부캡을 삽입한 후 클림핑 공정에 의해 원통형 안전벤트의 상부를 원통중심을 향하여 절곡하여 상부캡을 도전성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하게 함과 동시에 안전벤트를 절곡하여 클림핑을 형성하여 클림핑의 압착력이 상부캡과 안전벤트 사이에 상호작용하도록 함으로써 낙하, 전동공구의 진동 등에 의해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이나 연속적으로 가해지는 진동을 완충시킴과 동시에 압착력을 지속적으로 인가하여 상부캡과 안전벤트 사이에 접촉저항이 증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피티시 서미스터를 구비하는 종래의 원통형 이차전지의 구조를 나타내는 수직 단면도가 도시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캡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캔에 수용되는 전극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상부 캡에 클림핑되고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접착된 안전벤트를 나타내는 캡 조립체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도전성 접착제에 사용되는 스파이크 타입 금속분말의 전자현미경 사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도전성 접착제에 사용되는 구형 타입 금속분말과 플레이크 타입 금속분말의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캡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캔에 수용되는 전극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상부 캡에 클림핑되고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접착된 안전벤트를 나타내는 캡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전극 조립체(10), 상기 전극 조립체(10)를 수용하는 캔(20) 및 상기 캔(20)을 밀봉하는 캡 조립체(3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차 전지는 하부 절연판(40), 상부 절연판(50), 센터 핀(60) 및 절연 가스켓(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연 가스켓(70)은 캔(20)과 캡 조립체(30) 사이에 위치하여,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캔(20)과 캡 조립체(30)를 절연시키면서, 상기 캡 조립체(30)와 함께 캔(20)을 밀봉한다.
상기 캡 조립체(30)는 상기 절연 가스켓(70) 내에 삽입되며, 전극 단자 역할을 하는 상부 캡(31), 상기 상부 캡(31)의 하부에 순서대로 위치하는 원통캔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캡(31)을 클림핑하고 내부 바닥면에 도전성 접착제(332)가 도포된 안전 벤트(33), 절연재(34), 전류차단소자(35) 및 서브 플레이트(36)를 포함한다.
전류차단소자(35)는 전극 조립체(10)의 상부에 위치하고, 전극 조립체(10)의 제1 전극탭(17)에 서브 플레이트(36)를 개재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전류차단소자(35)는 전지의 비정상적인 작동시 전류를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안전벤트(33)는 도전성 접착제(332)에 의해 상부 캡(31)에 접착되고, 그 원통형상의 측면부(33a)는 원통중심 쪽으로 절곡되어 상부 캡(31)을 압착하는 클림핑이 형성되도록 한다.
안전벤트(33)는 상부 캡(31)을 클림핑하고 그 내부 바닥면에 도전성 접착제(332)가 도포되어 상기 상부 캡(31)의 밑면과 접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류차단소자(34)의 상부에 위치하고, 서브 플레이트(36)에 용접부(333)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안전벤트(33)는 전극 조립체(10)에서 발생한 가스에 의하여 캔의 내부 압력이 증가하는 경우, 파단되어 캔 내부의 압력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한다. 안전벤트(33)는 전류차단소자(34)와 접촉하도록 하부로 돌출된 돌출부(331)를 구비한다.
이러한 돌출부(331)는 전지의 정상상태에서는 하부로 돌출되어 용접부(333)에 의해 서브 플레이트(36)에 전기적으로 접합되어 있으나, 전지의 비정상적인 동작으로 캔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는 경우 상부방향으로 돌출하여 이동하게 되고, 그 결과, 용접부(333)는 파단되어 안전벤트(33)와 서브 플레이트(36)는 전기적으로 개방되어 전류의 흐름이 차단된다.
안전벤트(33)와 전류차단소자(34)가 분리되어 전류가 차단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캔 내부의 압력이 계속 증가하는 경우, 안전벤트(33)가 파열되어 캔 내부의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전지가 폭발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안전벤트(33)의 내부 바닥면에 도포되는 도전성 접착제(332)는 접착력이 우수한 에폭시 수지, 아크릴수지, 변성 우레탄 수지의 합성수지와 합성고무에 도전성이 우수한 금속가루와 카본을 균일하게 혼합분산시킨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도전성 접착제(332)의 필러로서 사용되는 도전성 입자는 은, 구리, 니켈, 알루미늄 등의 도전성이 좋은 금속분말 또는 카본 분말 등을 사용한다.
특히 에폭시게 바인더에 도전성 입자의 직경이 3∼40 ㎛ 이고, 바람직하게는 5∼17 ㎛인 스파이크 타입, 플레이크 타입, 구형 등으로 구성되는 금속가루를 혼합시켜 분산시킨 것을 사용한다.
또한 도전성 접착제의 도전 메커니즘은 합성수지 내부에 포함된 도전성 입자(도전성 필러:Conductive Filler)가 기계적/물리적 접촉에 의해 도전이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기존의 납땜에 비해 낮은 도전성, 불안정한 접촉저항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도전성 입자(예, Ag 입자, Cu 입자 등)와 저융점 합금필러(LMPA: Low Melting Point Alloy) 입자를 함께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전성 접착제를 구성하는 합성수지를 열경화성 수지(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 등)를 사용하여 합성수지가 완전히 경화되기 전에 저융점 합금필러가 용융되어 도전성 접착제를 구성하는 도전성 입자와 금속학적 결합을 이루어 전기적 특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도전성 접착제(332)는 접착력이 우수한 에폭시 수지, 아크릴수지, 변성 우레탄 수지의 합성수지와 합성고무를 주성분으로 하기 때문에 우수한 탄성력을 가지며 이러한 탄성력에 의해 외부에서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진동을 흡수하여 상부 캡(31)과 안전벤트(33) 사이에 접촉저항이 진동의 영향으로 증가하지 않도록 한다.
도 5에 본 발명에 의한 도전성 접착제에 사용되는 스파이크 타입 금속분말의 전자현미경 사진이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성 접착제에 사용되는 스파이크타입 금속 분말가루는 은, 구리, 니켈, 알루미늄 등의 도전성이 좋은 금속분말 또는 카본 분말 등을 사용하거나 구리, 니켈, 알루미늄 등의 도전성이 좋은 금속분말에 은을 코팅한 금속분말을 도전성 입자로 사용할 수 있다.
도 6에 본 발명에 의한 도전성 접착제에 사용되는 구형 타입 금속분말과 플레이크 타입 금속분말의 전자현미경 사진이 상하 2단으로 도시된다.
상부에 도시된 구형 타입 금속분말은 은이 코팅된 니켈 금속분말의 전자현미경 사진이며, 하부에 도시된 사진은 플레이크(flake) 타입 금속분말의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전성 접착제(332)의 기재로서 에폭시계 바인더를 사용함으로써 에폭시계 바인더 자체가 가지고 있는 탄성력에 의해 외부에서 가해지는 진동을 흡수하는 완충효과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 전동기구와 같이 계속적으로 진동이 가해지는 기구에 사용해도 진동은 도전성 접착제(332)가 일부 흡수하고 동시에 안전벤트(33)에 형성된 클림핑에 의해 상부 캡(31)과 안전벤트(33)를 압착하여 상부 캡(31)과 안전벤트(33) 사이에 전기적 결합은 탈리되지 않고 유지됨으로써 접촉저항을 증가시키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이차 전지에 따르면, 이차 전지의 캡 조립체를 구성하는 상부 캡과 안전벤트 사이에 도전성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시킴으로써 도전성 접착제의 탄성력에 의해 외부에서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도전성 접착제의 도전입자로서 저융점 합금필러를 혼합하여 사용하고 도전성 접착제의 기재를 열경화성 수지로 사용함으로써 열경화 온도에 의해 저융점 합금필러가 용융되어 도전성 입자와 금속적 결합을 이루어 전기적 특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한 캡조립체(30)는 안전벤트(33)에 클림핑을 형성하고 상부 캡(31)과 안전벤트(33) 사이에 도전성 접착제(332)를 도포하여 접착시킴으로써 외부에서 전달되는 지속적인 진동을 도전성 접착제에서 일부 흡수하여 완화시킴으로써 스폿용접과 같은 기계적 용접에서 얻을 수 없는 완충력에 의해 진동의 영향을 일부 제거할 수 있다.
10 : 전극 조립체 20 : 캔
30 : 캡조립체 31: 상부 캡
33: 안전벤트 34 : 절연재 35: 전류차단소자 36 : 서브 플레이트
332 : 도전성 접착제 331: 돌출부 333: 용접부 40 : 하부 절연판
50 : 상부 절연판 60 : 센터 핀
70 : 절연 가스켓

Claims (8)

  1. 전극 조립체(10), 상기 전극 조립체(10)를 수용하는 캔(20) 및 상기 캔(20)을 밀봉하는 캡 조립체(30)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에 있어서,
    상기 캡 조립체(30)는 전극 단자 역할을 하는 상부 캡(31), 상기 상부 캡(31)의 하부에 순서대로 위치하는 원통캔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캡(31)을 클림핑하고 내부 바닥면에 도전성 접착제(332)가 도포된 안전 벤트(33), 절연재(34), 전류차단소자(35) 및 서브 플레이트(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을 완충시키는 캡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접착제(332)는 접착력이 우수한 에폭시 수지, 아크릴수지, 변성 우레탄 수지의 합성수지와 합성고무에 도전성이 우수한 금속가루와 카본을 균일하게 혼합분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을 완충시키는 캡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접착제(332)의 필러로서 사용되는 도전성 입자는 은, 구리, 니켈, 알루미늄의 도전성이 좋은 금속분말 또는 카본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을 완충시키는 캡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접착제(332)는 에폭시게 바인더에 도전성 입자의 직경이 3∼40 ㎛ 이고, 5∼17 ㎛인 스파이크 타입, 플레이크 타입, 구형으로 구성되는 금속가루를 혼합시켜 분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을 완충시키는 캡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접착제는 은, 구리, 니켈, 알루미늄의 도전성이 좋은 금속분말 또는 카본 분말로 구성되는 도전성 입자와 저융점 합금필러(LMPA: Low Melting Point Alloy) 입자를 함께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을 완충시키는 캡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접착제는 열경화성 수지를 사용하여 상기 열경화성 합성수지가 완전히 경화되기 전에 저융점 합금필러가 용융되어 상기 도전성 접착제를 구성하는 도전성 입자와 금속학적 결합을 이루어 전기적 특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을 완충시키는 캡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접착제를 구성하는 도전성 입자는 스파이크타입 금속 분말가루이고, 은, 구리, 니켈, 알루미늄과 같이 도전성이 좋은 금속분말 또는 카본 분말 을 사용하거나 구리, 니켈, 알루미늄과 같이 도전성이 좋은 금속분말에 은을 코팅한 금속분말을 도전성 입자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을 완충시키는 캡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접착제를 구성하는 도전성 입자는 구형 타입 또는 플레이크(flake) 타입 금속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을 완충시키는 캡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20110088575A 2011-09-01 2011-09-01 진동을 완충시키는 캡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1249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575A KR101249919B1 (ko) 2011-09-01 2011-09-01 진동을 완충시키는 캡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575A KR101249919B1 (ko) 2011-09-01 2011-09-01 진동을 완충시키는 캡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5198A KR20130025198A (ko) 2013-03-11
KR101249919B1 true KR101249919B1 (ko) 2013-04-03

Family

ID=48176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8575A KR101249919B1 (ko) 2011-09-01 2011-09-01 진동을 완충시키는 캡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991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33663A1 (ko) * 2014-03-07 2015-09-11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소듐 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9151646A1 (ko) * 2018-02-01 2019-08-08 삼성에스디아이(주) 이차 전지
WO2020111646A1 (ko) * 2018-11-28 2020-06-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캡조립체, 이차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전지팩
US12009533B2 (en) 2018-11-28 2024-06-11 Lg Energy Solution, Ltd. Cap assembly,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battery pac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2531B1 (ko) 2014-09-22 2021-03-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내열성 절연층을 갖는 이차 전지
KR102275422B1 (ko) 2015-01-08 2021-07-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원통형 리튬 이온 이차 전지
KR102010038B1 (ko) * 2015-07-15 2019-10-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캡 조립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2707A (ja) * 2002-11-01 2004-05-27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二次電池及び該製造方法
KR20060118722A (ko) * 2005-05-17 2006-11-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20070093171A (ko) * 2006-03-13 2007-09-18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율 충방전 원통형 이차전지
KR20080036248A (ko) * 2006-10-23 2008-04-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누액 차단에 의해 안전성이 향상된 캡 어셈블리 및 이를포함하고 있는 원통형 이차전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2707A (ja) * 2002-11-01 2004-05-27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二次電池及び該製造方法
KR20060118722A (ko) * 2005-05-17 2006-11-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20070093171A (ko) * 2006-03-13 2007-09-18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율 충방전 원통형 이차전지
KR20080036248A (ko) * 2006-10-23 2008-04-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누액 차단에 의해 안전성이 향상된 캡 어셈블리 및 이를포함하고 있는 원통형 이차전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33663A1 (ko) * 2014-03-07 2015-09-11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소듐 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9151646A1 (ko) * 2018-02-01 2019-08-08 삼성에스디아이(주) 이차 전지
WO2020111646A1 (ko) * 2018-11-28 2020-06-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캡조립체, 이차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전지팩
US12009533B2 (en) 2018-11-28 2024-06-11 Lg Energy Solution, Ltd. Cap assembly,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battery p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5198A (ko) 2013-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99684B2 (ja) 缶型リチウム二次電池
KR101249919B1 (ko) 진동을 완충시키는 캡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JP4619221B2 (ja) 缶型二次電池
JP4414212B2 (ja) リチウム二次電池
US10553837B2 (en) Secondary battery
JP5319596B2 (ja) 電流遮断素子及びこれを備えた二次電池
KR101004401B1 (ko) 배터리 팩
CN101400209B (zh) 保护电路板及使用该保护电路板的电池组
KR101772266B1 (ko) 우수한 전기차단성을 구비한 이차전지용 캡조립체 및 그 이차전지
KR101249918B1 (ko) 부품을 접착시킨 캡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JP5389368B2 (ja) 密閉型電池
JP5606426B2 (ja) 部品を接着させたキャップ組立体を含む二次電池
EP2854201B1 (en) Rechargeable battery
JP2001135301A (ja) 密封電池
JP2008103324A (ja) 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393032B1 (ko) 과충전을 방지하기 위한 원통형 이차전지
JP2021052020A (ja) 二次電池および二次電池集合体
JP2007184248A (ja) 二次電池
WO2014033827A1 (ja) 二次電池
JP4737947B2 (ja) 電池パック
KR20180126934A (ko) 이차 전지
JP2007200630A (ja) 電池パック及びその組立て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携帯電子機器
KR20150039381A (ko)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070101566A (ko) 리튬 이차전지
KR101050536B1 (ko) 배터리 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