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9614B1 - Display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 Google Patents

Display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9614B1
KR101249614B1 KR1020110100472A KR20110100472A KR101249614B1 KR 101249614 B1 KR101249614 B1 KR 101249614B1 KR 1020110100472 A KR1020110100472 A KR 1020110100472A KR 20110100472 A KR20110100472 A KR 20110100472A KR 101249614 B1 KR101249614 B1 KR 101249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isplay unit
display
rotating
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04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태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to KR1020110100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961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9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96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5Housing aspects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PURPOSE: A display device capable of moving at various angles and a bank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re provided to move the display device at various angles, thereby improving the visibility of the customers when using the banking apparatus. CONSTITUTION: A banking apparatus(1) senses the upside-down inversion of a display unit(21) using a rotation sensing unit(24) and controls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to be inversed in case the display unit is rotated. The banking apparatus includes a media entry unit(13) for depositing and withdrawing media, a media depository units(14-16) for keeping the media, the display unit capable of rotating up and down by being placed on the media entry unit and displaying the processing state of the media, and a display device(20) including the rotation sensing unit which senses the upside-down inversion of the display unit. [Reference numerals] (14) First media depository unit; (15) Second media depository unit; (16) Third media depository unit;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금융기기{Display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Display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금융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a financial device.

일반적으로 금융기기는, 고객이 원하는 금융 업무를 자동으로 처리하는 기기이다. 상기 금융기기는 매체(예를 들면, 지폐, 수표, 유가증권, 상품권 등)를 입금 또는 출금하거나, 매체를 자동으로 이체할 수 있다.Generally, a financial device is a device that automatically handles a financial business desired by a customer. The financial device may deposit or withdraw a medium (eg, a bill, a check, a security, a gift certificate, or the like), or automatically transfer the medium.

이와 같은 금융기기는 무인으로 운영되며 고객이 스스로 조작하여 금융 업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형태가 일반적이나, 최근에는 계원이 자리한 창구에 배치되어 고객의 매체를 계원이 처리하여 자동으로 정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계원용 금융기기가 많이 활용되고 있다.Such financial devices are operated unattended and allow customers to handle their financial operations by themselves, but recently they are placed in the window where the clerk is located so that the clerk can process the customer's media automatically. The financial instruments for cashiers are used a lot.

종래에 사용되는 계원용 금융기기는, 매체의 입출금 상태를 표시하여 주는 표시부가 계원측에 구비되는데, 이때 계원은 계원용 금융기기의 측면에 자리하여 업무를 수행하기 때문에 표시부를 바라볼 때 시인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conventional banking instrument for cashiers, a display unit for indicating the deposit and withdrawal status of the media is provided on the cashier's side, where the cashier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cashier's financial instrument to perform business. There is a problem of falling.

또한 고객은 계원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서 표시부를 바라보게 되므로 시안성이 떨어져서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고객용 표시부를 별도로 고객측에 설치하여 고객에게 매체의 입출금 상태를 알려주는 발명이 개발되었으나, 이는 제조 단가가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ustomer looks at the display unit at a relatively high position compared to the attendan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yan is inconvenient. Therefore, the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to notify the customer of the state of the deposit and withdrawal of the medium by installing the customer display unit on the customer side separately, which has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각도로 움직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계원 및 고객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금융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play device and a financial device that can increase the visibility of the accountants and customers by using a display device that can move at various angles.

일 측면에 따른 금융기기는, 매체를 출입금하기 위한 매체 출입부; 상기 매체를 보관하기 위한 매체 보관부; 및 상기 매체 출입부에 구비되며 상기 매체의 처리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매체의 처리 상태를 보여주는 화면을 상하로 승강하거나 또는 일정 각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a financial device includes a media access unit for accessing and depositing a medium; A medium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medium; And a display device provided in the medium access unit to display a processing state of the medium, wherein the display device is capable of elevating or rotating the screen up or down a screen showing the processing state of the medium.

다른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금융기기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매체의 처리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에 결합되어 상기 표시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 및 상기 승강된 표시부를 일정 각도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a display apparatus includes: a display device used in a financial device, the display unit including a processing state of a medium; A lift unit coupled to the display unit to lift the display unit; And a rotating unit rotating the elevated display unit at an angle.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각도로 움직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계원 및 고객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isibility of the cashier and the customer can be improved by using the display device which can move at various angle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정면도.
도 3 및 도 4는 표시부가 상승한 상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표시부가 회전한 상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6 및 도 7은 표시부가 상승한 상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표시부가 회전한 상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표시부가 계원측을 향하는 상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표시부가 고객측을 향하는 상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nancial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a financial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illustrate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xemplary embodiment in a state in which a display unit is raised;
5 illustrates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xemplary embodiment in a state in which a display unit is rotated.
6 and 7 illustrate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in a state in which a display unit is raised.
8 illustrates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in a state in which a display unit is rotated.
9 is a view show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a state in which a display portion faces the source side.
10 is a view show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a state in which a display portion faces a customer side;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difference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conclusiv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to distinguish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der, etc.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If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ere may be another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는 일례로 지폐, 증권, 지로, 동전, 상품권 등과 같은 다양한 매체를 입수하여 입금처리, 지로수납, 상품권 교환 등과 같은 처리 및/또는 출금처리, 지로방출, 상품권 방출 등과 같은 처리와 같은 매체 처리를 수행하는 금융 업무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금융기기의 예로는 현금방출기(CD:Cash Dispenser), 현금 입출금기(Cash Recycling Device) 등과 같은 금융자동화기기(ATM : Automated Teller Machine) 등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금융기기는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FIS(Financial Information System)와 같이 금융업무를 자동화하는 장치가 될 수도 있다.The financi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obtains various media such as banknotes, securities, giro, coins, gift certificates, etc., and processes such as deposit processing, giro storage, gift certificate exchange, and / or withdrawal processing, release of giro, gift certificates. It is a device for performing financial affairs to perform media processing, such as processing such as release. An example of such a financial device may be an ATM (Automated Teller Machine) such as a Cash Dispenser (CD) and a Cash Recycling Device. However, the financial instrumen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and may be a device for automating financial business such as FIS (Financial Information System).

이하에서는 금융기기가 금융자동화기기인 것으로 가정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가정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금융자동화기기에 한정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financial instrument is a financial automatic instrument. However, this assumption i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inancial automation equipment.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금융기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display device and a financi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정면도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nancial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of the financial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1)는, 내부에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는 본체(1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매체를 출금하기 위한 매체 출금부(11)와, 매체를 입금하기 위한 매체 입금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매체 출금부(11)와 상기 매체 입금부(12)는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고, 또는 상기 본체(10)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1 and 2, the financial device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in which a plurality of parts are embedded. The main body 10 may include a medium withdrawal unit 11 for withdrawing a medium and a medium withdrawal unit 12 for depositing a medium. In this case, the medium withdrawal unit 11 and the medium depositing unit 12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or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

이하에서는 상기 매체 출금부(11)와 상기 매체 입금부(12)가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구비된 경우로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물론 상기 매체 출금부(11)와 상기 매체 입금부(12)의 위치를 상기와 같이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매체 출금부(11)와 매체 입금부(12)는 매체 출입부(13)로 이름하기로 한다. Hereinafter, only the case where the medium withdrawal unit 11 and the medium depositing unit 12 are provided above the main body 10 will be described. Of course, the position of the medium withdrawal unit 11 and the medium depositing unit 12 is not limited as described above. Also,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media withdrawal unit 11 and the media depositing unit 12 will be referred to as the media access unit 13.

본원 발명은 계원용으로 사용되는 금융기기(1)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때 매체 출입부(13)는 본체(10)의 전면에 구비된다. 계원이 고객으로부터 매체를 건네받아 매체 출입부(13)에 투입하게 되면, 후술할 디스플레이 장치(20)에 상기 매체의 입금 상태가 표시되며, 계원은 이를 확인하여 업무를 처리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financial device (1) used for accounting, wherein the media access portion 13 is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 When the accountant receives the media from the customer and inputs the media to the media access unit 13, the deposit status of the media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2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accountant can check the processing and process the work.

다만 계원에게 매체를 건넨 고객은 계원이 정확하게 매체를 입금하는지를 의심할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는 매체의 처리 상태를 보여주는 화면을 움직여서 고객이 매체 처리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However, since the customer who handed the media to the accountant may doubt whether the accountant correctly deposits the media, the present embodiment moves the screen showing the processing status of the media so that the customer can visually check the media processing status.

상기 본체(10)는, 매체를 보관하기 위한 매체 보관부(14, 15, 16)와, 상기 매체 출입부(13)에 구비되며 상기 매체의 처리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20: display)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body 10 includes a media storage unit 14, 15, 16 for storing a medium, and a display device 20 provided in the media access unit 13 to display a processing state of the medium. It may include.

상기 매체 보관부(14, 15, 16)는, 사용자가 수납한 매체를 임시로 저장하는 임시 집적부(도시하지 않음), 입금되는 매체를 보관하는 리싸이클 박스(도시하지 않음: recycle box), 이상매체가 보관되는 회수부(도시하지 않음), 매체가 저장되는 카세트(도시하지 않음: cassette) 등과 같이 금융기기(1) 내에 구비되고 매체가 유입되어 보관될 수 있는 모든 모듈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이다.The media storage unit 14, 15, 16 may include a temporary accumulator (not shown) for temporarily storing a user-received medium, a recycle box (not shown) for storing a deposited medium, or more. Comprehensive concept including all the modules provided in the financial device 1, such as a recovery unit (not shown) in which the medium is stored, a cassette (not shown: cassette) in which the medium is stored, and which can be stored in the medium. to be.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는, 매체의 처리 상태를 보여주는 화면을 일정 각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계원은 상기 금융기기(1)의 측면에 자리하게 되므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를 옆에서 바라보게 된다. 따라서 시인성이 떨어져 업무의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는 화면을 움직여서 계원의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The display apparatus 20 may rotate the screen showing the processing state of the medium by an angle. Since the accountant is located at the side of the financial device 1, the accountant is looking at the display device 20 from the side. Therefore, since the visibility may be reduced, the efficiency of the work, the display device 20 in this embodiment to ensure the visibility of the cashier by moving the screen.

또한 고객은 계원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금융기기(1)로부터 먼 위치에서 화면을 바라보게 되거나 또는 화면을 전혀 보지 못할 수 있다. 이는 상기 화면이 상기 본체(10)에서 계원에 가까운 부분에 구비되기 때문이다. 이때 고객의 불만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는 화면을 회전시키거나 뒤집어서 고객이 매체의 처리 상태를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customer may look at the screen from a position far from the financial device 1 or may not see the screen at all relative to the cashier. This is because the screen is provided at a portion near the field source in the main body 10. In this case, in order to solve the customer's dissatisfaction, the present embodiment rotates or flips the screen so that the customer can directly check the processing state of the medium.

이하 제1 실시예에서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에 대해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display apparatus 2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도 3 및 도 4는 표시부가 상승한 상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표시부가 회전한 상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3 and 4 are views illustrating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xemplary embodiment in a state where a display unit is raised, and FIG. 5 illustrates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xemplary embodiment in which a display unit is rotated.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는, 표시부(21), 안착부(22), 승강부(23), 회전부(도시하지 않음), 구동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3 to 5, the display apparatus 20 includes a display unit 21, a seating unit 22, a lifting unit 23, a rotating unit (not shown), and a driving unit (not shown). .

상기 표시부(21)는, 매체의 처리 상태를 표시한다. LCD 등을 이용하여 매체의 처리 상태에 대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21 displays the processing state of the medium. An LCD or the like may output a screen about the processing state of the medium.

상기 안착부(22)는, 상기 표시부(21)의 적어도 일면을 감싸 보호한다. 상기 안착부(22)는 상기 표시부(21)의 양측면과 하면을 감싸서 상기 표시부(21)가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착부(22)의 내측면에는 상기 표시부(21)의 측면을 보호하기 위한 완충재(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The seating part 22 surrounds and protects at least one surface of the display part 21. The seating part 22 may surround both sides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display part 21 to allow the display part 21 to be seated. In this case, a cushioning material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ating part 22 to protect the side surface of the display part 21.

상기 안착부(22)에서 상기 표시부(21)가 안착되는 일면에는, 상기 표시부(21)의 측면 중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하는 함몰부(221)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22)는 상기 표시부(21)의 3면을 감싸게 되는데, 이때 상기 안착부(22)의 내측면과 상기 안착부(22)의 측면이 모두 밀착되어 있다면 계원은 상기 표시부(21)를 움직일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안착부(22)에 함몰부(221)를 형성하여, 계원이 손가락 등을 상기 함몰부(221)에 삽입하여 상기 표시부(21)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표시부(21)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한다.On one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22 on which the display portion 21 is seated, a depression 221 is formed to expose a port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display portion 21. The seating portion 22 surrounds three surfaces of the display portion 21. At this time, if both the inne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22 and the side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meter is the display portion 21. Can not move. Therefore, the recess 221 is formed in the seating part 22, so that a staff member can lift the display part 21 by inserting a finger or the like into the recess 221 to press the display part 21. .

상기 안착부(22)는 상기 본체(10)의 전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상기 안착부(22)의 일면에 실린더 또는 레일 등으로 구성되는 전후진부(미도시)를 구비하여, 상기 안착부(22)가 상기 본체(10)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이격되거나 또는 상기 본체(10)의 전면에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계원은 상기 전후진부 및 후술할 승강부(23)와 회전부를 통해 상기 표시부(21)의 위치를 자유자재로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전후진부는 상기 표시부(21)에 직접 결합되어, 상기 표시부(21)가 상기 안착부(22)로부터 이격되어 전진 또는 후진하도록 할 수도 있다.The seating part 22 may be movable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 That is,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front and rear advancing part (not shown) formed of a cylinder or a rail on one surface of the seating part 22, and the seating part 22 protrudes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 or is spaced apart. Or it may be in contact with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 Therefore, the operator can freely control the position of the display unit 21 through the forward and backward parts, the lifting unit 23 and the rotating unit to be described later. Of course, the forward and backward portions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display portion 21 so that the display portion 21 is spaced apart from the seating portion 22 to move forward or backward.

상기 승강부(23)는, 상기 표시부(21)에 결합되어 상기 표시부(21)를 승강시킨다. 상기 승강부(23)는 상기 표시부(21)의 배면에 결합된 승강 바(231)를 포함할 수 있고, 상승 또는 하강하여 상기 표시부(2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 바(231)는 전동기, 유압 또는 공기압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승강할 수 있으며, 또는 계원에 의해 수동적으로 승강할 수 있다.The elevating unit 23 is coupled to the display unit 21 to elevate the display unit 21. The elevating unit 23 may include an elevating bar 231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21 and may adjust the height of the display unit 21 by raising or lowering. In this case, the lifting bar 231 may be automatically lifted or lifted by an electric motor, hydraulic pressure or air pressure, or manually lifted by a meter.

상기 회전부(도시하지 않음)는, 상기 승강된 표시부(21)를 일정 각도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회전부는 상기 표시부(21)가 좌우로 회전되는 방향으로 상기 승강 바(23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계원은 상기 표시부(21)를 승강시킨 뒤 좌우로 적절히 회전시켜서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The rotating unit (not shown) rotates the elevated display unit 21 by a predetermined angle. In this case, the rotating unit may rotate the lifting bar 231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isplay unit 21 rotates left and right.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ccountant may increase visibility by lifting the display unit 21 up and down and rotating the display unit 21 appropriately.

상기 구동부는, 상기 승강부(23) 또는 상기 회전부를 구동하여 상기 표시부(21)의 승강 또는 회전을 제어한다. 모터 및 기어 등을 사용하여 상기 표시부(21)를 움직일 수 있다. 상기 구동부의 세부적인 구성은 공지된 구조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driving unit controls the lifting or rotating of the display unit 21 by driving the lifting unit 23 or the rotating unit. The display unit 21 may be moved using a motor, a gear, or the like.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driving unit may use a known structure,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apparatus 2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계원은 상기 함몰부(221)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부(21)를 밀어 올려서 상기 표시부(21)를 상승시키거나 또는 구동부를 사용하여 상기 표시부(21)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때 승강 바(231)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표시부(21)는 상기 계원의 시인성을 위해 일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상승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 and 4, the operator may push up the display unit 21 by using the depression 221 to raise the display unit 21 or use the driving unit to raise the display unit 21. Can be. In this case, the lifting bar 231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However, the display unit 21 may rise in a tilted state at an angle for visibility of the accountant.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금융기기(1)의 측면에 자리한 계원은 구동부를 사용하거나 또는 수동으로 상기 표시부(21)를 일정 각도 좌우로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계원은 상기 표시부(21)에 표시된 매체의 처리 상태를 명확히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표시부(21)를 회전시켜서 시인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accounting member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financial device 1 may rotate the display unit 21 by a predetermined angle or by using a driving unit or manually. That is, the accountant can secure the visibility sufficiently by rotating the display unit 21 so that the processing state of the medium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1 can be clearly confirmed.

따라서 본 실시예는 상기 표시부(21)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계원이 자신의 위치와 상관없이 상기 매체의 처리 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하여 효율적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the present embodiment allows the display unit 21 to rotate freely, so that the accountant can perform the work efficiently by accurately checking the processing state of the medium regardless of its position.

또한 상기 계원과 맞은 편에 자리한 고객이 매체의 처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계원은 상기 표시부(21)를 상승시킨 뒤 약 180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표시부(21)는 고객을 향하게 되며, 따라서 고객은 계원이 어떻게 업무를 처리하고 있는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고객은 계원을 신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shier can raise the display unit 21 and rotate about 180 degrees so that the customer who is opposite to the cashier can check the processing state of the medium. At this time, the display unit 21 is directed to the customer, so that the customer can easily check how the clerk is handling the work, and thereby the customer can trust the clerk.

상기 표시부(21)를 원위치로 움직이는 과정은 앞서 설명한 작동의 역순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Since the process of moving the display unit 21 to the original position is the reverse of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display apparatus 20 according to the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8.

도 6 및 도 7은 표시부가 상승한 상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표시부가 회전한 상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6 and 7 illustrate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in a state where the display unit is raised, and FIG. 8 illustrates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xemplary embodiment in which the display unit is rotated.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할 때 승강부(23)와 회전부(24)가 상이할 수 있다. 다만 제2 실시예에서 표시부(21)와 안착부(22) 및 구동부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6 to 8, in the display device 20 according to the second exemplary embodiment, the lifting unit 23 and the rotating unit 24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comparison with the first exemplary embodiment. However, in the second embodiment, since the display unit 21, the mounting unit 22, and the driving unit are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승강부(23)는, 상기 표시부(21)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표시부(21)를 상기 안착부(22)에 대하여 슬라이딩시키는 레일(232)을 포함한다. 즉 표시부(21)는 상기 레일(232)을 따라 상기 안착부(22)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The lifting unit 23 includes rails 232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isplay unit 21 to slide the display unit 21 with respect to the seating unit 22. That is, the display portion 21 may be separated from the seating portion 22 along the rail 232.

이때 상기 안착부(22)에서 상기 표시부(21)가 안착되는 내부 양측면에는, 상기 레일(232)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레일 가이드(222)가 구비된다. 즉 상기 레일(232)은 상기 레일 가이드(222)를 따라 이동하게 되며, 상기 레일(232)의 일면에는 후술할 회전축(241)이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홀(233)(또는 가이드 홈)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표시부(21)는 상기 레일 가이드(222)와 레일(232) 간의 슬라이딩 및 상기 회전축(241)과 상기 레일(232) 간의 슬라이딩에 의해 2중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표시부(21)가 회전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을 정도의 높이까지 충분히 상승될 수 있다.In this case, rail guides 222 for guiding the sliding of the rails 232 are provided on both inner side surfaces of the seating part 22 where the display part 21 is seated. That is, the rail 232 moves along the rail guide 222, and a guide hole 233 (or guide groove) for allowing the rotating shaft 241 to be described later to slide on one surface of the rail 232. Is formed. Accordingly, the display unit 21 is slid twice by sliding between the rail guide 222 and the rail 232 and sliding between the rotating shaft 241 and the rail 232, so that the display unit 21 can be rotated. It can be raised enough to secure enough space.

상기 회전부(24)는, 상기 레일(232)의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표시부(21)를 상하로 뒤집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축(241)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회전축(241)의 끝단과 상기 가이드 홀(233)에는 기어이(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회전축(241)은 상기 레일(232)의 가이드 홀(233)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The rotating part 24 includes a rotating shaft 241 which is connected to an end of the rail 232 and rotates the display part 21 in an upside down direction. In this case, a gear (not shown) may be formed at an end of the rotating shaft 241 and the guide hole 233, and the rotating shaft 241 may slide along the guide hole 233 of the rail 232. have.

본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는 달리 상기 표시부(21)를 고객이 볼 수 있도록 회전시킬 경우 상기 표시부(21)가 상하로 반전될 수 있으며, 이때 화면의 출력을 그대로 유지한다면 고객은 매체의 처리 상태를 거꾸로 보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상기 표시부(21)의 상하 반전을 감지하여 상기 표시부(21)의 출력 방향을 제어하는 회전 감지부(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unlike the first embodiment, when the display unit 21 is rotated for viewing by the customer, the display unit 21 may be reversed up and down. You can see the processing status of upside down. Therefore,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rotation detector (not shown) for detecting the vertical inversion of the display unit 21 to control the output direction of the display unit 21.

또한 본 실시예서는 상기 표시부(21)가 충분히 높은 위치까지 상승하지 않은 경우, 계원이 상기 표시부(21)를 뒤집는 과정에서 상기 표시부(21)의 일면이 상기 매체 출입부(13)에 충돌하여 상기 표시부(21)가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는, 상기 표시부(21)의 일 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표시부(21)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완충부(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when the display unit 21 does not rise to a sufficiently high position, one surface of the display unit 21 collides with the medium access unit 13 in a process of inverting the display unit 21. The display unit 21 may be damaged.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buffer unit (not show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unit 21 and protecting the display unit 21 from impact.

이하에서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apparatus 2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계원은 상기 함몰부(221) 또는 상기 구동부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부(21)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레일(232)이 상기 레일 가이드(222)를 따라 슬라이딩 된 후 상기 회전축(241)이 상기 가이드 홀(233)을 따라 슬라이딩 될 수 있으며, 상기 표시부(21)에서 상기 매체의 처리 상태가 표시되는 화면은 계원측을 향할 수 있다.6 and 7, the accountant may raise the display unit 21 by using the depression 221 or the driving unit. In this case, after the rail 232 is slid along the rail guide 222, the rotating shaft 241 may be slid along the guide hole 233, and the processing state of the medium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1. The screen to be turned may face the accountant side.

도 8을 참조하면, 계원은 상기 회전축(241)을 이용하여 상기 표시부(21)를 뒤집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시부(21)를 통해 보이는 화면은 뒤집힌 상태이므로, 상기 고객이 매체의 처리 상태를 제대로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회전 감지부는 상기 표시부(21)가 뒤집힌 것을 감지하여 상기 화면을 상하 반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표시부(21)에서 상기 매체의 처리 상태가 표시되는 부분은 고객측을 향한다.Referring to FIG. 8, the accountant may flip the display unit 21 using the rotation shaft 241. In this case, since the screen viewed through the display unit 21 is in an inverted state, the customer cannot properly check the processing state of the medium. Accordingly, the rotation detector detects that the display unit 21 is upside down and thereby inverts the screen up and down. In this case, the portion in which the processing state of the medium is displayed on the display portion 21 faces the customer side.

이하에서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display apparatus 20 according to the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and 10.

도 9는 표시부가 계원측을 향하는 상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은 표시부가 고객측을 향하는 상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9 is a view show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with the display unit facing the customer side, and FIG. 10 is a view showing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with the display unit facing the customer side.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제2 실시예와 비교할 때 승강부를 생략할 수 있고, 상이한 구성의 회전부(24) 및 안착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3 실시예에서 표시부(21)는 제2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9 and 10, the display device 2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omit the lifting portion as compared with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rotating portion 24 and the seating portion having different configurations ( 22). However, in the third embodiment, since the display unit 21 is the same as the second embodiment,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회전부(24)는, 상기 표시부(21)에 결합되며 일측에 형성된 구면을 이용하여 상기 표시부(21)를 일정 각도 회전시킨다. 상기 회전부(24)는 후술할 안착부(22)와 구면 접촉하여, 상기 회전부(24)의 일측이 가압될 경우 상기 회전부(24)에 결합된 표시부(21)의 각도가 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The rotating unit 24 is coupled to the display unit 21 and rotates the display unit 21 by a predetermined angle using a spherical surface formed on one side. The rotating part 24 is in spherical contact with the mounting part 22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when one side of the rotating part 24 is pressed, the angle of the display part 21 coupled to the rotating part 24 can be controlled.

이때 상기 회전부(24)는 반구 형태일 수 있고, 평면 부분에 상기 표시부(21)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반구 형태의 상기 회전부(24)는 안착부(22)의 구면에 놓이게 되고, 계원이 상기 회전부(24)의 측면을 누르게 되면 회전부(24)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표시부(21)의 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otating part 24 may have a hemispherical shape, and the display part 21 may be provided on a flat portion. That is, the hemisphere-shaped rotating part 24 is placed on the spherical surface of the seating part 22, and when the circle member presses the side of the rotating part 24, the angle of the display part 21 is changed as the rotating part 24 rotates. Can be.

상기 안착부(22)는, 일측에 상기 회전부(24)의 구면과 대응되는 구면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24)의 적어도 일면을 감싼다. 즉 상기 회전부(24)의 구면은 상기 안착부(22)의 구면에 안착되며, 상기 회전부(24)는 상기 안착부(22)에 안착된 상태로 회전될 수 있다.The seating part 22 has a spherical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spherical surface of the rotating part 24 is formed on one side to surround at least one surface of the rotating part 24. That is, the spherical surface of the rotating part 24 may be seated on the spherical surface of the seating part 22, and the rotating part 24 may be rotated while seated on the seating part 22.

이때 상기 회전부(24)의 원활한 회전을 위하여 상기 회전부(24)의 구면과 상기 안착부(22)의 구면에는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재질이 코팅될 수 있다. In this case, a material capable of reducing friction may be coated on the spherical surface of the rotating part 24 and the spherical surface of the seating part 22 to smoothly rotate the rotating part 24.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부(24)는 상기 안착부(22)에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회전부(24)의 이탈이 우려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부(24)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부(24)의 구면에는 돌기(미도시)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22)의 구면에는 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부(24)가 회전할 시 상기 돌기가 상기 홈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상기 회전부(24)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rotation part 24 is not fixed to the seating part 22, so the separation of the rotation part 24 is concerned.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art 24, a protrusion (not shown) may be formed on the spherical surface of the rotating part 24, and a groove (not shown) may be formed on the spherical surface of the seating part 22. When the rotating unit 24 rotates, the protrusion may be maintained in the groove inserted to prevent the detachment of the rotating unit 24.

이때 상기 돌기는 상기 회전부(24)의 구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단면이 큰 형태일 수 있고, 상기 홈은 상기 돌기에 대응되는 단면을 가지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이 교차되는 형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홈이 십자 형태일 경우 상기 돌기는 십자 모양으로 가이드 될 수 있고, 상기 회전부(24)는 상기 돌기의 움직임에 대응되어 회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회전부(24)의 구면에 상기 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22)의 구면에 상기 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protrusion may have a larger cross section as it moves away from the spherical surface of the rotating unit 24, and the groove may have a cross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and at least one line may cross. In one embodiment, when the groove has a cross shape, the protrusion may be guided in a cross shape, and the rotating part 24 may be rotated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protrusion. Of course, the groove may be formed in the spherical surface of the rotating part 24, and the protrusion may be formed in the spherical surface of the seating part 22.

또는 상기 회전부(24)의 하단부에는 상기 회전부(24)가 상기 안착부(22)의 구면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무게추(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무게추는 상기 회전부(24)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부(24)의 회전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게추는 자성체일 수 있으며, 상기 안착부(22)의 구면에는 상기 무게추를 끌어당기는 자력을 갖는 무게추 고정체(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계원이 상기 회전부(24)를 회전시킬 시, 상기 무게추는 상기 무게추 고정체에 의해 인력을 받게 되므로 상기 회전부(24)는 상기 안착부(22)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상기 표시부(21)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Alternatively, a lower weight of the rotating part 24 may be provided with a weight (not shown) to prevent the rotating part 24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pherical surface of the seating part 22. At this time, the weight is provided inside the rotating part 24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art (24). In addition, the weight may be a magnetic body, a weight fixing body (not shown) having a magnetic force to attract the weight on the spherical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22 may be provided. Therefore, when a circle member rotates the rotating part 24, the weight is attracted by the weight fixing body, so that the rotating part 24 is not separated from the seating part 22, but the angle of the display part 21 is reduced. Can be adjusted.

상기 회전부(24)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표시부(21)가 고객측을 향할 경우, 상기 표시부(21)에 출력된 화면은 상기 표시부(21)가 계원측을 향할 경우와 대비할 때 상하 반전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실시예는 상기 회전 감지부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부(21)가 뒤집힌 것을 감지하고 상기 화면을 상하 반전시켜서, 고객이 명확하게 상기 표시부(21)의 화면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display unit 21 faces the customer side as the rotating unit 24 is rotated, the screen output on the display unit 21 may be reversed up and down in contrast to the case where the display unit 21 faces the cashier side. . Accordingly, the third embodiment senses that the display unit 21 is inverted by using the rotation detecting unit and reverses the screen up and down so that the customer can clearly identify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21.

따라서 본원 발명은, 계원용 디스플레이 장치 외에 고객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더라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20)를 이용하여 계원과 고객이 모두 매체의 처리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고 고객의 신뢰를 획득할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making it easy for both the cashier and the customer to check the processing state of the medium by using one display device 20, even if the customer display device is not provided in addition to the cashier display device.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and customer trust can be obtain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구성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the above description, it is described that all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or operated in on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one or more of them. In addition, the terms "comprise", "comprise" or "having" described above mean that a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included unless otherwise stated, and thus, other components are excluded. It should be construed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instea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used generally,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to coincide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금융기기 10: 본체
13: 매체 출입부 20: 디스플레이 장치
21: 표시부 22: 안착부
23: 승강부 24: 회전부
1: financial device 10: main unit
13: Media entrance 20: Display device
21: display part 22: seating part
23: lifting unit 24: rotating unit

Claims (13)

매체를 출입금하기 위한 매체 출입부;
상기 매체를 보관하기 위한 매체 보관부; 및
상기 매체 출입부에 구비되며 상기 매체의 처리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매체의 처리 상태를 표시하며, 상하 방향으로 회전가능한 표시부;
상기 표시부의 상하 반전을 감지하는 회전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가 회전되는 경우, 상기 회전 감지부는 상기 표시부의 상하 반전을 감지하여 상기 표시부의 화면이 상하 반전되도록 제어하는 금융기기.
A media access section for accessing and depositing the media;
A medium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medium; And
A display device provided in the media access unit and displaying a processing state of the media;
The display device,
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a processing state of the medium and is rotat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Rotation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vertical inversion of the display unit,
When the display unit is rotated, the rotation detector detects the vertical inversion of the display unit to control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to reverse up and dow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표시부에 결합되어 상기 표시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 및
상기 승강된 표시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금융기기.
The display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display device
A lift unit coupled to the display unit to lift the display unit; And
And a rotating unit for rotating the elevated display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의 일 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표시부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금융기기.
The method of claim 2,
And a buffer uni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display unit to protect the display unit from impac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의 적어도 일면을 감싸 보호하는 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금융기기.
The method of claim 2,
And a seating unit surrounding and protecting at least one surface of the display uni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에서 상기 표시부가 안착되는 일면에는, 상기 표시부의 측면 중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하는 함몰부가 형성되는 금융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a reces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in which the display portion is seated so that a port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display portion is exposed.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표시부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표시부를 상기 안착부에 대하여 슬라이딩시키는 레일을 포함하는 금융기기.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lifting unit,
And a rail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isplay unit to slide the display unit with respect to the seating uni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에서 상기 표시부가 안착되는 내부 양측면에는, 상기 레일의 슬라이딩을 가이드 하는 레일 가이드가 구비되는 금융기기.
The method of claim 8,
A financial device having rail guides for guiding sliding of the rails on both inner side surfaces of the seating portion in which the display portion is seated.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레일의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표시부를 상하로 뒤집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금융기기.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rotating unit,
And a rotating shaft connected to an end of the rail and rotating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display unit.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일면에는 상기 회전축이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홀이 형성되는 금융기기.
11. The method of claim 10,
One side of the rail is a financial device that is formed with a guide hole to allow the rotating shaft to slide.
매체를 출입금하기 위한 매체 출입부;
상기 매체를 보관하기 위한 매체 보관부; 및
상기 매체 출입부에 구비되며 상기 매체의 처리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매체의 처리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에 결합되며 일측에 형성된 구면을 이용하여 상기 표시부를 일정 각도 회전시키는 회전부; 및
일측에 상기 회전부의 구면과 대응되는 구면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의 적어도 일면을 감싸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금융기기.
A media access section for accessing and depositing the media;
A medium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medium; And
A display device provided in the media access unit and displaying a processing state of the media;
The display device,
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a processing state of the medium;
A rotating unit coupled to the display unit and rotating the display unit at an angle using a spherical surface formed on one side; And
A spherical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spherical surface of the rotating unit is formed on one side, and includes a seating unit surrounding at least one surface of the rotating unit.
삭제delete
KR1020110100472A 2011-10-04 2011-10-04 Display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KR1012496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0472A KR101249614B1 (en) 2011-10-04 2011-10-04 Display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0472A KR101249614B1 (en) 2011-10-04 2011-10-04 Display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9614B1 true KR101249614B1 (en) 2013-04-01

Family

ID=48442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0472A KR101249614B1 (en) 2011-10-04 2011-10-04 Display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961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8652A (en) * 2011-12-30 2013-07-10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Automatic teller machine
KR101527657B1 (en) * 2013-12-19 2015-06-09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Automated Teller Machine with easy maintenance of Liquid Crystal Displa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6113A (en) * 1997-08-13 1999-03-05 윤종용 Cash register with rotating display and its control method
KR20110053724A (en) * 2009-11-16 2011-05-24 (주) 퓨처로봇 Intelligent display apparu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6113A (en) * 1997-08-13 1999-03-05 윤종용 Cash register with rotating display and its control method
KR20110053724A (en) * 2009-11-16 2011-05-24 (주) 퓨처로봇 Intelligent display apparutu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8652A (en) * 2011-12-30 2013-07-10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Automatic teller machine
KR101881023B1 (en) 2011-12-30 2018-07-24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Automatic teller machine
KR101527657B1 (en) * 2013-12-19 2015-06-09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Automated Teller Machine with easy maintenance of Liquid Crystal Displa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21095B (en) Automatic trading apparatus
WO2011065050A1 (en) Banknote depositing and dispensing apparatus
JP5280976B2 (en) Paper handling equipment
US10297099B2 (en) Media transaction device
KR101911711B1 (en) Core module for automated financial transaction terminals
KR101249614B1 (en) Display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KR101513963B1 (en) Media processing device
JP5342965B2 (en) Paper handling equipment
JP5268687B2 (en) Automatic transaction equipment
JP6070358B2 (en) Medium communication system and automatic transaction apparatus
JP6310800B2 (en) Banknote handling equipment
JP2009301098A (en) Automatic transaction device
CN102376122B (en) Medium receiving box and medium processing device
US20140209435A1 (en) Bunch presentation
WO2016194541A1 (en) Medium identification device and medium handling device
KR100722876B1 (en) Method of rejecting bills in apparatus for drawing bills in a cash transaction machine
JP6007824B2 (en) Automatic transaction equipment
KR20160077908A (en) Teller cash recycler
JP5500146B2 (en) Media transaction equipment
JP2011258116A (en) Automatic machine
KR101628204B1 (en) Teller cash recycler
JP2015125624A (en) Medium processor and medium storage cassette
KR20100052101A (en) Pickup device used in automatic teller machine for bundle note
JP5303479B2 (en) Recording medium reader and automatic transac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JP6763223B2 (en) Media stacker and automated teller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