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8594B1 - 석션 기능을 갖는 칫솔 - Google Patents

석션 기능을 갖는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8594B1
KR101248594B1 KR1020110009492A KR20110009492A KR101248594B1 KR 101248594 B1 KR101248594 B1 KR 101248594B1 KR 1020110009492 A KR1020110009492 A KR 1020110009492A KR 20110009492 A KR20110009492 A KR 20110009492A KR 101248594 B1 KR101248594 B1 KR 101248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suction
suction port
sewage
suction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9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8255A (ko
Inventor
이승민
박혜진
Original Assignee
박혜진
이승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혜진, 이승민 filed Critical 박혜진
Priority to KR1020110009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8594B1/ko
Publication of KR20120088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8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8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8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53Brushes fitted with ventilation suction, e.g. for removing dus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6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connected to supply pipe or to other external supply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석션 기능을 갖춘 칫솔이 개시된다. 상기 칫솔은, 헤드부와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칫솔대와, 헤드부에 형성된 브러쉬와, 헤드부에 형성된 것으로, 구강 내의 오수를 흡입 제거하기 위한 흡입구와, 흡입구를 통해 음압을 제공하기 위한 유체 펌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치아 세정시 사용자의 편이성이 향상되는 석션 기능을 갖춘 칫솔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석션 기능을 갖는 칫솔{Toothbrush with suction function}
본 발명은 칫솔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석션 기능을 갖는 칫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 세정시에는 칫솔의 브러쉬를 치아에 대고 문지르면서 구강 내의 오수를 제거하는 행동을 반복하게 되며, 브러쉬를 마치면 세정 수로 구강 내를 세척하고 오수를 제거하게 된다. 이때, 구강 내의 오수 제거에는 사용자의 동작이 필요하므로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동작이 불편한 노약자에게 있어서, 브러쉬 동작은 전동 칫솔에 의해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나, 구강 내의 오수를 제거하는 동작은 여전히 사용자의 수동 행위가 요구되므로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치아 세정시 사용자의 편이성이 향상되는 석션 기능을 갖춘 칫솔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 및 그 밖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칫솔은,
헤드부와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칫솔대;
상기 헤드부에 형성된 브러쉬;
상기 헤드부에 형성된 것으로, 구강 내의 오수를 흡입 제거하기 위한 흡입구; 및
상기 흡입구를 통해 음압을 제공하기 위한 유체 펌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흡입구는 상기 브러쉬 형성 면과 수직으로 만나는 헤드부의 측면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흡입구는 상기 칫솔대의 연장 방향으로 헤드부의 끝면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석션 기능을 갖춘 칫솔은, 헤드부에 형성된 것으로, 세정 수를 구강 내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구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공급구는 브러쉬 형성 면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공급구는 치아 세정을 위한 세정 수압을 제공하기 위한 유체 펌프와 연결된다.
예를 들어, 상기 석션 기능을 갖춘 칫솔은, 칫솔대에 형성된 것으로, 오수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용기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칫솔대는 분리 가능하게 조립된 제1,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 부분의 상호 분리에 의해 상기 수용 용기가 개방된다.
예를 들어, 상기 석션 기능을 갖춘 칫솔은, 칫솔대를 통하여 형성된 것으로, 흡입구와 연결된 유도관을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유도관은 칫솔대의 외부로 연장된다.
예를 들어, 상기 유체 펌프는 칫솔대에 내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칫솔대의 배면에는 충전을 위한 외부접속단자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치아 세정시 구강 내의 오수를 제거하기 위한 일체의 사용자 동작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치아 세정시 사용자의 편이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칫솔에 의하면, 치아 세정시 구강 내부로 깨끗한 세정 수를 공급하기 위한 세정공급기능과, 구강 내의 오수를 제거하기 위한 오수흡입기능이 함께 제공되므로, 세정 수의 취급을 위한 일체의 사용자 동작이 불필요하게 되며, 치아 세정시 사용자의 편이성이 더욱 향상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관한 석션 기능을 갖춘 칫솔이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헤드부의 상면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적용될 수 있는 헤드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적용될 수 있는 헤드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석션 기능을 갖춘 칫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칫솔의 분리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석션 기능을 갖춘 칫솔을 도시한 도면으로, 분리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석션 기능을 갖춘 칫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석션 기능을 갖춘 칫솔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한 석션 기능을 갖춘 칫솔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칫솔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시된 칫솔(100)은, 헤드부(120)와 손잡이부(130)를 갖는 칫솔대(110)와, 상기 헤드부(120)에 설치된 브러쉬(111)와, 상기 헤드부(120)에 형성된 것으로 구강 내의 오수를 흡입 제거하기 위한 흡입구(125)와, 상기 흡입구(125)를 통하여 오수를 흡입하기 위한 음압을 제공하는 유체 펌프(P)를 포함한다.
상기 칫솔대(110)는 브러쉬(111)가 부착된 일단의 헤드부(120)로부터 타단으로 연장되는 대략 로드(rod)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타단 측에는 손잡이부(130)가 마련된다. 상기 손잡이부(130)는 칫솔대(110)의 대략 중앙위치로부터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칫솔대(110)의 헤드부(120)에는 구강 내의 오수를 제거하기 위한 흡입구(125)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구(125)는 칫솔대(110)에 내장되어 있는 유체 펌프(P)와 연결되어 있으며, 유체 펌프(P)의 작동에 따라 흡입구(125)에는 음압이 작용하게 되고, 구강 내에 존재하는 오수는 음압의 작용에 따라 흡입구(125)로 강제 유입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치아 세정을 지속하면서 별도의 동작 없이, 구강 내의 오수를 구강 밖으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흡입구(125)는 오수를 안내하기 위한 유도관(15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유도관(150)은 칫솔대(110) 내부에서 칫솔대(110)를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도관(150)은 유체 펌프(P)와 연결되어 흡입구(125)를 통해 오수를 흡입하기 위한 부 압력(음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유도관(150)은 칫솔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칫솔대(11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도관(150) 내부의 오수는 유도관(150)의 안내를 받고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유도관(150)은 칫솔대(110) 외부로 연장되지 않고 칫솔대(110) 내부에 온전히 내장되며, 유도관(110)의 하류는 오수를 수용하기 위한 수집용기(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집용기(미도시)는 칫솔대(110) 내에 내장될 수 있으며, 수집용기(미도시)에 수집된 오수는 사용자의 편리한 때에 버려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는 칫솔대(110)의 외부로 연장 형성되는 유도관(150)이 필요하지 않게 되므로, 칫솔 외형이 소형화되고 외형 구조가 간소화되므로, 치아 세정 동작이 한결 자유로워진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칫솔대(110)의 대략 중앙위치에는 오수 흡입동작을 턴-온/턴-오프 하기 위한 작동 스위치(140)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작동 스위치(140)의 조작에 따라 흡입구(125)와 연결되어 있는 유체 펌프(P)가 턴-온/턴-오프 되면서 오수의 흡입동작을 가동/중단시킬 수 있다.
상기 칫솔대(110)의 배면에는 미도시된 전원공급장치로부터의 충전을 위한 충전용 접속단자(E)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충전용 접속단자(E)는 서로 다른 정극성과 부극성을 갖는 2개의 전극단자로 마련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칫솔대(110)의 끝단을 통하여 유도관(150)이 인출되므로, 직립 자세로 거치대(미도시)를 통한 충전이 어려울 수 있는바, 칫솔대(110)의 배면 측에 충전을 위한 충전용 접속단자(E)를 구성할 수 있다.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헤드부(120)를 상면에서 도시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하여, 헤드부의 정면(120f)이란, 헤드부(120) 중에서 브러쉬(111)가 형성된 브러쉬(111) 형성 면을 의미하고, 헤드부의 배면(120r)이란, 상기 브러쉬(111) 형성 면의 이면 측을 의미한다. 그리고, 헤드부의 상면(120u)이란, 칫솔대(111)의 연장방향으로 헤드부(120)의 끝 면을 의미하며, 헤드부의 측면(120s)이란, 상기 브러쉬(111) 형성 면과 수직으로 만나는 면을 의미한다. 여기서, 수직이란 수학적인 의미를 포함하고, 여기에 실질적인 수직을 포괄하는 광의적 개념이며, 수학적으로 정확한 90도의 각도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구강 내의 오수를 제거하기 위한 흡입구(125)는 헤드부(120)의 상면(120u)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흡입구(125)가 치아 세정시 구강 내부로 삽입되는 헤드부(120)에 형성되는 한, 형성공정을 고려하고 효율적인 오수의 제거를 위해 헤드부(120)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흡입구(125)를 헤드부(120)의 상면(120u)에 형성함으로써 흡입구(125)로부터 유체 펌프(P)를 경유하는 직선상 또는 대략 직선상에 근접하게 연장되는 유도관(150)이 형성될 수 있고, 유체 흐름의 유동 저항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3a 및 도 3b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적용될 수 있는 헤드부(120)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오수 제거를 위한 흡입구(125)는 헤드부의 측면(120s)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측면(120s)은 브러쉬(111) 형성 면과 수직으로 만나는 면을 의미하고, 치아 세정시 바닥을 구성할 수 있는 면을 의미한다. 따라서, 중력의 작용에 따라 오수가 집중될 수 있는 바닥면(상기 측면 120s 에 해당)에 흡입구(125)를 형성함으로써 오수가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흡입구(125)는 헤드부(120)의 양쪽 측면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세정하려는 치아의 위치 및 칫솔의 거치상태에 따라, 양편 중 어느 한편의 측면(120s)이 바닥면이 되었다가 다른 한편의 측면(120s)이 바닥면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바닥면은 치아 세정시 칫솔의 가장 낮은 위치를 점하게 되는 면을 말한다.
도 4a 및 도 4b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적용될 수 있는 헤드부(120)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오수 제거를 위한 흡입구(125)는 브러쉬(111)가 형성된 헤드부의 정면(120f)에 형성될 수도 있다. 브러쉬(111)와 같은 방향에 배치됨으로써 브러쉬(111)에 의한 치아 세척 후 곧바로 오수나 오물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치아 세정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입구(125)는 하나 이상 다수로 마련될 수 있으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쉬(111)가 형성된 헤드부(120)의 정면(120s)에 둘 이상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흡입구(125)의 형성위치는 예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위치의 흡입구(125)는 단독이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위치의 흡입구(125)가 조합된 예로서, 예를 들어, 헤드부의 정면(120f)에 제1 흡입구가 형성되면서, 헤드부의 측면(120s)에 제2 흡입구가 마련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칫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칫솔대(110)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칫솔은 헤드부(120)와 손잡이부(130)를 포함하는 칫솔대(110)와, 상기 헤드부(120)에 형성된 브러쉬(111)와, 상기 헤드부(120)에 형성된 것으로 구강 내 오수를 제거하기 위한 흡입구(125)와, 상기 흡입구(125)와 연결된 유체 펌프(P)를 포함한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입구(125)를 통하여 유도관(150) 내로 유입된 오수를 수집하기 위한 오수 수집용기(C)가 칫솔대(110) 내부에 내장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흡입구(125)는 유도관(150)을 통하여 유체 펌프(P)와 연결되고, 유체 펌프(P)를 통하여 유도관(150) 내부로 유입된 오수는 칫솔대(110) 내에 내장되어 있는 오수 수집용기(C) 내에 수용된다.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칫솔대(110)는 서로에 대해 분리 가능한 제1 부분(110a)과 제2 부분(110b)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칫솔대(110)를 제1, 제2 부분(110a,110b)으로 분리 가능하게 설계함으로써, 칫솔대(110)에 내장된 오수 수집용기(C)로부터 오수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오수 수집용기(C)는 제1, 제2 부분(110a,110b)으로 분리 가능하게 조립된 칫솔대(110) 내에 내장되고, 제1, 제2 부분(110a,110b)으로 분리됨에 따라 오수 수집용기(C)가 개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오수 수집용기(C)는 제1, 제2 부분(110a,110b)에 속하는 부분들을 포함하여, 제1, 제2 부분(110a,110b)이 분리됨에 따라 수집용기(C)가 개방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다만, 제1, 제2 부분(110a,110b)의 분리에 따라 수집용기(C) 내의 오수가 급격히 쏟아지지 않도록 제1, 제2 부분(110a,110b)의 조립부(180)는 수집용기(C)의 벽체 부근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제2 부분(110a,110b)의 조립부(180)는 나사 체결부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외에 후크 결합을 포함하는 다양한 공지의 기계적인 결합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분리 가능한 부분(110a,110b)들로 조립된 칫솔대(110)를 구비함으로써 오수 폐기가 용이하게 구성되어 있으나, 이러한 구성은 오수 폐기를 위한 용도와 무관하게, 칫솔대(110)에 내장된 유체 펌프(P)의 수리 점검, 교환을 위한 목적에도 기여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브러쉬(111)의 교체, 교환 등을 위한 목적에도 기여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노후된 브러쉬(111)를 포함하는 제1 부분(110a)을 제거하고, 새로운 브러쉬(111)를 포함하는 제1 부분(110a)으로 교체할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칫솔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칫솔대(110)는 제1 내지 제3 부분(110a,110b,110c)으로 분리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칫솔대(110)의 제3 부분(110c)이 분리 가능하게 설계된 것은, 브러쉬(111) 교체를 위한 목적에 기여할 수 있다. 노후된 브러쉬(111)를 포함하는 제3 부분(110c)을 폐기하고, 새로운 브러쉬(111)를 포함하는 제3 부분(110c)으로 교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칫솔대(110)의 제1 부분(110a)이 분리 가능하게 설계된 것은, 유체 펌프(P)의 수리, 교환을 위한 목적에 기여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칫솔대(110) 내에는 흡입구(125)와 연결된 유체 펌프(P)가 내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칫솔대(110)의 제1 부분(110a)이 분리 가능하게 조립됨으로써 유체 펌프(P)의 수리 점검이나 교환의 편이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칫솔대(110) 내에는 흡입구(125)를 통하여 흡입된 오수를 수집하기 위한 오수 수집용기(C)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칫솔대(110)가 제1, 제2 부분(110a,110b)으로 분리 가능하게 조립됨으로써 오수 수집용기(C)로부터 오수를 용이하게 폐기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칫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칫솔은, 헤드부(120)와 손잡이부(130)를 갖춘 칫솔대(110)와, 상기 헤드부(120)에 형성된 브러쉬(111)와, 상기 헤드부(120)에 형성된 것으로 깨끗한 세정 수를 구강 내부로 공급을 위한 공급구(124)와, 상기 헤드부(120)에 형성된 것으로 구강 내의 오수를 제거하기 위한 흡입구(125)를 구비하고, 상기 공급구(124)와 연결되어 정 압력을 제공하는 제1 유체 펌프(P1)와, 상기 흡입구(125)와 연결되어 부 압력(음압)을 제공하는 제2 유체 펌프(P2)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의 칫솔은 깨끗한 세정 수를 구강 내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구(124)와, 구강 내의 오수를 구강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흡입구(125)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120)의 상면(120u)에 공급구(124)와 흡입구(125)가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세정 수를 취급하기 위한 일체의 사용자의 동작이 불필요하게 되므로, 치아 세정의 편이성이 한층 향상된다. 세정 수를 구강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구(124)와, 구강 내의 오수를 구강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흡입구(125)는 각각 제1, 제2 유체 펌프(P1,P2)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유체 펌프(P1)는 공급구(124)에 대해 정 압력을 제공하고, 제2 유체 펌프(P2)는 흡입구(125)에 대해 부 압력(음압)을 제공할 수 있다. 대안으로, 상기 제1, 제2 유체 펌프(P1,P2)는 공급구(124) 및 흡입구(125)에 대해 동시에 작용하는 하나의 펌프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칫솔대(110)의 대략 중앙위치에는 세정 수 공급동작 및 오수 흡입동작을 턴-온/턴-오프 하기 위한 작동 스위치(140)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세정 수 공급동작 및 오수 흡입동작이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세정 수 공급동작 및 오수 흡입동작이 별개로 제어될 수도 있다.
상기 공급구(124)는 제1 유체 펌프(P1)를 통하여 세정 수 공급원(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세정 수 공급원(미도시)으로는 세정 수를 담아둔 용기로 예시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유도관(151)을 통하여 칫솔 외부의 용기(미도시)로부터 세정 수가 공급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세정 수 용기(미도시)는 세정 수를 공급할 수 있는 여하의 공급원을 포괄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반드시 칫솔과 함께 세트 단위로 마련될 필요는 없으며, 세정 수를 공급하기 위한 용도이면 충분하고 사용 전에 미리 사용자에 의해 준비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125)는 제2 유체 펌프(P2)를 통하여 오수 드레인(drain, 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오수 드레인(drain, 미도시)으로는 칫솔 외부에 마련된 오수 용기(미도시)가 예시될 수 있다. 흡입구(125)를 통하여 강제 흡입된 오수는 제2 유도관(150)을 통하여 칫솔 외부의 오수 용기(미도시)로 버려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오수 용기(미도시)를 거치지 않고, 제2 유도관(150)을 통하여 직접 하수구 등으로 버려질 수도 있다.
상기 제1, 제2 유체 펌프(P1,P2)는 칫솔대(110) 내에 내장될 수 있으나,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제2 유체 펌프(P1,P2)는 칫솔의 외부에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칫솔대(110)를 통하여 연장되는 유도관(150,151)은, 공급구(124)와 연결된 제1 유도관(151)과, 흡입구(125)과 연결된 제2 유도관(152)을 포함할 수 있으며, 두 개의 유도관(150,151)이 함께 묶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칫솔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도 세정 수를 구강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구(124)와, 구강 내의 오수를 구강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흡입구(125)가 마련된다. 상기 공급구(124)와 흡입구(125)는 헤드부(120)에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공급구(124)는 브러쉬(111)가 형성된 헤드부(120)의 정면(120f)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공급구(124)에서는 제1 유체 펌프(P1)에 의해 부여된 소정의 압력으로 세정 수가 분사될 수 있다. 이때, 세정 수의 분사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치아의 세정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러쉬(111)에 의한 직접 마찰 이외에, 소정의 수압으로 제공되는 세정 수의 분사에 의해 치 간의 이물질 제거와 같은 치아 세정 효과를 거둘 수 있다. 한편, 구강 내의 오수 제거를 위한 흡입구(125)는 헤드부(120)의 상면(120u)이나 측면(120s)을 포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여하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급구(124)는 제1 유체 펌프(P1)를 통하여 세정 수 공급원(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칫솔대(110) 외부로 인출되는 제1 유도관(151)을 통하여 세정 수 공급원(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125)는 제2 유체 펌프(P2)를 통하여 오수 드레인(drain, 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칫솔대(110)의 외부로 인출되는 유도관(150)을 통하여 오수 드레인(drain, 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유체 펌프(P1,P2)는 칫솔대(110)에 내장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칫솔 외부에 마련될 수도 있다. 공급구(124) 및 흡입구(125)를 통해 적정 압력을 제공할 수 있는 한, 예를 들어, 제1, 제2 유체 펌프(P1,P2)와 연결된 유도관(150,151)을 경유하여 상기 공급구(124)를 통해 적정의 정 압력을 제공하고, 상기 흡입구(125)를 통해 적정의 부 압력(음압)을 제공할 수 있는 한, 제1, 제2 유체 펌프(P1,P2)의 위치에 관한 특별한 한정은 없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원리는 수동식 핸드 칫솔이나,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브러쉬(111)를 자동으로 회전 또는 진동시키는 전동 칫솔의 양자에 대해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행동이 불편한 장애우나 노인 등 노약자에게 전동 브러쉬 기능과 석션 기능을 함께 갖춘 칫솔을 제공함으로써 치아 세정의 편이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칫솔대 110a: 칫솔대의 제1 부분
110b: 칫솔대의 제2 부분 110c: 칫솔대의 제3 부분
111: 브러쉬 120: 헤드부
120f: 헤드부의 정면 120s: 헤드부의 측면
120u: 헤드부의 상면 124: 공급구
125: 흡입구 130: 손잡이부
140: 작동 스위치 150: 유도관(제2 유도관)
151: 제1 유도관 180: 결합부
P: 유체 펌프 P1: 제1 유체 펌프
P2: 제2 유체 펌프 E: 충전용 단자
C: 오수 수집용기

Claims (12)

  1. 헤드부와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칫솔대;
    상기 헤드부에 형성된 브러쉬;
    상기 헤드부에 형성된 것으로, 구강 내의 오수를 흡입 제거하기 위한 흡입구; 및
    상기 흡입구를 통해 음압을 제공하기 위한 유체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칫솔대에 형성된 것으로, 오수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용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 기능을 갖춘 칫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는 상기 브러쉬 형성 면과 수직으로 만나는 헤드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 기능을 갖춘 칫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는 상기 칫솔대의 연장 방향으로 헤드부의 끝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 기능을 갖춘 칫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에 형성된 것으로, 세정 수를 구강 내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 기능을 갖춘 칫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구는 상기 브러쉬 형성 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 기능을 갖춘 칫솔.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구는 치아 세정을 위한 세정 수압을 제공하기 위한 유체 펌프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 기능을 갖춘 칫솔.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대는 분리 가능하게 조립된 제1,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 부분의 상호 분리에 의해 상기 수용 용기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 기능을 갖춘 칫솔.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대를 통하여 형성된 것으로, 상기 흡입구와 연결된 유도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 기능을 갖춘 칫솔.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관은 상기 칫솔대의 외부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 기능을 갖춘 칫솔.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펌프는 상기 칫솔대에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 기능을 갖춘 칫솔.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대의 배면에는 충전을 위한 외부접속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 기능을 갖춘 칫솔.
KR1020110009492A 2011-01-31 2011-01-31 석션 기능을 갖는 칫솔 KR101248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492A KR101248594B1 (ko) 2011-01-31 2011-01-31 석션 기능을 갖는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492A KR101248594B1 (ko) 2011-01-31 2011-01-31 석션 기능을 갖는 칫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8255A KR20120088255A (ko) 2012-08-08
KR101248594B1 true KR101248594B1 (ko) 2013-03-28

Family

ID=46873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9492A KR101248594B1 (ko) 2011-01-31 2011-01-31 석션 기능을 갖는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859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3239B1 (ko) 2015-03-09 2016-03-14 이승민 석션 및 세정 기능을 갖는 칫솔
CN106031552A (zh) * 2016-01-27 2016-10-19 四川英奈德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口腔护理的牙刷
KR101710308B1 (ko) * 2016-08-03 2017-02-24 서동영 수돗물의 압력을 이용한 맥동 고압 물 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 수압 이용 장치
KR20190060456A (ko) * 2017-11-24 2019-06-03 주식회사 블루레오 구강 세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889Y1 (ko) * 2014-05-15 2014-08-14 윤창호 석션기능을 가지는 칫솔
US11000352B2 (en) 2015-03-09 2021-05-11 Bluereo Inc. Toothbrush and oral cleaner with suctioning and cleaning functions
KR101671273B1 (ko) 2016-01-08 2016-11-03 주식회사 블루레오 밀폐형 치아세정기구
US10639467B2 (en) * 2017-06-27 2020-05-05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1233A (ja) * 1996-01-24 1997-08-05 Natl Dentaru Lab:Kk 給排水機能を備えた歯ブラシ
JPH1066625A (ja) 1996-06-17 1998-03-10 Ricoh Elemex Corp 給排液機能付き歯ブラシ装置
JPH10113231A (ja) 1996-10-11 1998-05-06 Lion Corp 口腔洗浄用ブラシ
KR20100009218U (ko) * 2009-03-11 2010-09-24 오상환 석션기능을 갖춘 칫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1233A (ja) * 1996-01-24 1997-08-05 Natl Dentaru Lab:Kk 給排水機能を備えた歯ブラシ
JPH1066625A (ja) 1996-06-17 1998-03-10 Ricoh Elemex Corp 給排液機能付き歯ブラシ装置
JPH10113231A (ja) 1996-10-11 1998-05-06 Lion Corp 口腔洗浄用ブラシ
KR20100009218U (ko) * 2009-03-11 2010-09-24 오상환 석션기능을 갖춘 칫솔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3239B1 (ko) 2015-03-09 2016-03-14 이승민 석션 및 세정 기능을 갖는 칫솔
CN106031552A (zh) * 2016-01-27 2016-10-19 四川英奈德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口腔护理的牙刷
KR101710308B1 (ko) * 2016-08-03 2017-02-24 서동영 수돗물의 압력을 이용한 맥동 고압 물 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 수압 이용 장치
KR20190060456A (ko) * 2017-11-24 2019-06-03 주식회사 블루레오 구강 세정기
KR101995573B1 (ko) 2017-11-24 2019-07-03 주식회사 블루레오 구강 세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8255A (ko) 2012-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8594B1 (ko) 석션 기능을 갖는 칫솔
TWI251049B (en) Portable electric pool cleaner
CN201268868Y (zh) 管道自动防堵处理器
EP2525020A3 (en) Hand-held submersible pool and spa power cleaner
JP2005349206A (ja) 掃除機のノズル
KR100539757B1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파워 스위치 장치
CN209252676U (zh) 一种手持式吸尘器
CN209186549U (zh) 一种手持式吸尘器
CN210931971U (zh) 一种医用口腔护理装置
CN209529377U (zh) 一种儿科口腔清洗装置
CN207101376U (zh) 防呛水洗牙器
CN211187059U (zh) 电动马桶便器刷
JP2007319266A (ja) 電気掃除機
CN208081164U (zh) 一种具有吸尘功能的拖地车
CN214484696U (zh) 口腔清洁装置
CN220125085U (zh) 便携式保健护理设备及便携式污水回收装置
CN215306928U (zh) 一种接负压吸引器的电动牙刷
CN218165173U (zh) 一种清洁设备的基站及湿式表面清洁系统
CN216020708U (zh) 一种带有自清洗的双层浴缸
CN216627763U (zh) 一次性防喷溅专用口护刷
CN217547935U (zh) 一种洗地机系统
CN217390625U (zh) 一种清洁装置
CN220293740U (zh) 一种洗耳器
CN216495790U (zh) 一种带冲洗功能的负压抽吸式u型电动牙刷
CN211535912U (zh) 一种消化内科用灌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