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8395B1 - 음이온기능활성제를 이용한 다중 이용시설의 친환경 바닥재 및 이를 이용한 도장방법 - Google Patents

음이온기능활성제를 이용한 다중 이용시설의 친환경 바닥재 및 이를 이용한 도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8395B1
KR101248395B1 KR1020120053479A KR20120053479A KR101248395B1 KR 101248395 B1 KR101248395 B1 KR 101248395B1 KR 1020120053479 A KR1020120053479 A KR 1020120053479A KR 20120053479 A KR20120053479 A KR 20120053479A KR 101248395 B1 KR101248395 B1 KR 101248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arts
weight
curing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3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경
이진주
장양익
Original Assignee
(주)지앤테크
이대경
장양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앤테크, 이대경, 장양익 filed Critical (주)지앤테크
Priority to KR1020120053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83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8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8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2Flooring or floor layers made of masses in situ, e.g. seamless magnesite floors, terrazzo gypsum flo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0068Ingredients with a function or property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03/00
    • C04B2103/0097Anion- and far-infrared-emitting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3/00Specially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든 통행 도로를 이용하는 사람이 정화된 공기와 함께 제공되는 음이온 및 적외선 효과를 누릴 수 있도록 실내 및 지하공간에 제공되는 친건강 바닥재 및 이를 이용한 도포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표면을 평활하게 하면서 높이 충분히 양생한 후 건조시켜 이루어지는 기존 또는 신규 몰탈층 형성 단계와; 상기 몰탈층 상부 표면의 오염물질제거 및 평활하게 정리하여 형성되는 표면처리층 형성단계와; 상기 표면처리층의 표면에 도포 및 경화를 통해 형성되는 하도층 형성단계와; 상기 하도층의 표면을 그라인딩 또는 페이퍼작업을 통해 깊이로 스크래핑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스크래핑 된 하도층에 도포 및 경화를 통해 형성되어 접합부재 역할을 하는 중도층 형성단계와; 상기 중도층 내에 음이온기능성 활성제 투어마린 분말 및 합성향료를 함유한 1차부재를 도포하고 음이온기능성 활성제 투어마린 분말 및 합성향료를 함유한 2차부재를 추가 도포하여 흡착 및 침투시켜 음이온이 발생하도록 경화시켜 형성되는 마감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방법과, 상기 방법을 통해 형성된 친환경 바닥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음이온기능활성제를 이용한 다중 이용시설의 친환경 바닥재 및 이를 이용한 도장방법{eco-friendly flooring containing a negative ion radiating material in crowd facility and pav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친환경 바닥재와 이를 이용한 도장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음이온과 원적외선을 지속적으로 방출하여 공기정화를 통해 생활환경 및 건강에 유익하도록 한 음이온기능활성제를 이용한 다중 이용시설의 친환경 바닥재 및 이를 이용한 도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서비스 산업 발달과 더불어 실내 활동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실내오염 발생원의 증가로 공기의 질이 떨어져 개선해야 할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와 수요에 맞추어 다중 이용시설과 신축되는 공동주택 및 다중 공공시설 건축물의 실내 공기를 알맞게 유지하고 관리함으로써 그 시설을 이용하는 사람의 건강을 보호하고 환경상의 위해 등 우리 사회는 인구증가와 최첨단 산업기술의 발달과 함께 대기 오염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공기, 자동차배기가스, 부유먼지, 이산화탄소가스등 자연환경과 인간의 생활 속에 밀접한 관계가 있는 건강의 보호 및 생활 환경을 통한 중심적인 환경론에서 오늘날 산업사회는 일상생활의 대부분 여러 형태의 실내공간에서 생활할 때 지속되고 있다.
따라서, 실내환경은 인간을 둘러싸고 있는 실내의 개념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21세기에는 생활환경 측면에서 다뤄져야 할 분야이다.
현대인들은 보통 하루일과의 80~90%이상을 실내 또는 지하공간에서 생활함으로써 실내환경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며 실내오염으로 사람들이 병들어 가고 있다. 게다가 각종 산업분야에서 에너지 절감 및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실내 및 지하공간이 더욱더 밀폐되고 복합화합물질의구성 자동차매연, 먼지, 일산화탄소 등 공기의 질이 지하 및 실내 환기 부족으로 오염물질이 실내에 머물거나 떠돌아다니는 라돈 및 여러 오염물질이 위험에 노출되어 있어 지하공간 및 실내 공기의 질 문제가 새로운 환경에 대두되고 있다. 건축자재의 사용과 경제수준의 향상에 따른 다양한 생활패턴 및 생활용품의 사용으로 오염물질들이 방출되어 실내공간에서는 생활하는 사람들은 빌딩증후군(Sick Bulding Syndrome) 및 화학물질과민증(Mulite-Chensitivite)등에 대한 질환을 호소하게 됨으로써 실내 공기 오염에 대한 인식이 새로운 사회적 관심사로 부각되고 있다. 또한, 도시인들의 생활 양식과 직장인들의 근무양식에도 큰 변화를 가져와 현대인의 경우 약 80~90% 이상의 시간을 실내에서 영위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이로 인한 유해화학물질로 장기간 흡입시 각종 호흡기질환으로 유발되는 등 사람의 건강을 저해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당장 눈에는 증상이 나타나지 않더라도 사무실뿐 아니라 아파트, 지하철 자동차, 대형건축물 지하공간 등 하루 80%이상을 실내공간에서 생활하고 있는 현대인의 건강을 위협하기에 이르게 되었다.
첫째, 산업화와 자동차 증가로 인한 대기 오염은 일반적으로 도시인들의 생활은 대부분 지하철, 지하상가, 공공건물, 작업장 및 사무실 등의 각종 실내환경에서 생활하고 있으나, 실내공기는 자연 희석률이 부족하여 오염된 공기가 계속 순환되고 있다. 둘째, 생활양식 변화로 인한 건축자재의 재료의 다양화와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다양하고 새로운 건축자재 및 생활용품 등에서 오염물질이 방출되므로 실내 거주자들은 그들의 오감과 신체자극으로 실내공기의 오염 정도를 심함을 감지하게 된다. 셋째, 에너지 절약으로 인한 건물의 밀폐화로 인간의 신체감각이 독성보다는 쾌적성 감지에 더 민감하므로 일산화탄소, 부유미립자, 석면 등의 오염물질은 위험수준 이상에서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근래 환경과 녹색 성장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정부정책에 부응하는 제품으로서 웰빙(well-being)에 대한 관심이 세계적으로 고조되고 있는 지금에 21세기의 눈부신 물질문명의 발전은 삶을 영위하는 가장 기본적인 것이나 인구증가, 산업화, 공업화, 도시화 등 산업의 발달로 환경파괴, 인간의 생존에 가장 중요한 물, 먼지, 자동차배기가스, 유해화학물질 등이 오염되어 인간에게 유해한 환경으로 변하는 지금 이로 인하여 건강한 사람조차 이온 밸런스를 잃음으로써 우리가 호흡하는 공기에 함유된 음이온농도에 따라 생활환경이 변화되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한, 최근 아파트 같은 대규모시설이 보편화되면서 시멘트를 비롯한 많은 화학 재료들이 건축에 사용되면서 빠른 속도로 나쁜 공기가 증가되는 추세로 빠른 시공과 편리한 공법을 추구하다 보니 다중시설을 이용하는 대다수의 사람의 건강에는 소홀했던 실정이다.
지금까지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출 제품은 실내 또는 신변용품에 주종을 이루도록 개발되었으며, 구매를 통해 사용할 수 있는 생활용품 위주로 개발되어 대중성이 떨어져 많은 사람에게 효과를 주지 못하였다. 기존 바닥에 사용하고 있는 바닥재에 미치는 저탄소 녹색성장에 저해하고 산업화와 도시화가 진행된 오늘날의 거대도시에 사는 우리들의 삶의 환경에 주목할 필요함에도 지하공간 바닥재가 에폭시, 우레탄과 화학반응으로 부식 및 훼손되며 유독물질과 이로 인한 유해한 물질이 그간 사람의 건강에는 소홀한 상태에서 모든 실내 및 지하공간 바닥과 보도로 이용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바닥재로 시공된 실내공간, 역사, 백화점, 지하주차장 등 다중이용시설이 대부분인 내구성, 경제성으로 이루어져 자동차매연, 먼지, 일산화탄소 등 공기의 질이 지하 및 실내 환기 부족으로 오염물질이 실내에 머물거나 떠돌아다니는 라돈 및 여러 오염물질이 위험에 노출되어 있어 지하공간 및 실내 공기의 질 문제가 새로운 환경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인체건강에 미치는 영향 저하 및 이산화탄소배출량 증가뿐 아니라 기존의 모든 실내 및 지하공간 바닥재는 생활환경과는 거리가 먼 통행위주로 조성만 하고 있으므로 오염물질 및 매연 등으로부터 발생되는 양이온에 의해 자연 음이온이 거의 다 중화되어 도심에서 측정된 음이온은 거의 1cc(1㎤)당 50 이하의 수치를 보여주고 있으며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에 필요한 최소한의 음이온 농도인 1cc(1㎤)당 600~1,500개에 턱없이 부족한 음이온 수량을 볼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도시인들의 지하 및 실내의 생활공간 바닥재로 사용되는 소재는 보통 에폭시수지페인트 또는 우레탄수지페인트를 주원료로 사용하여 에폭시 수지폴리머로 조성 또는 시공한 표면에는 이산화탄소 발생 등 유해한 물질이 공기 중으로 방출되므로 인체 건강에 해를 입힘에도 소홀했다. 또한, 도시인들의 생활은 대부분 지하철, 지하상가, 공공건물, 작업장 및 사무실 등의 각종 실내환경에서 생활하고 있으나, 실내공기는 자연 희석률이 부족하여 오염된 공기가 계속 순환되고 있으므로 지하주차장 등 생활환경과 자연생태의 건강에도 효과를 얻지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음이온이 부족한 생활환경을 청정개발 녹색화 추진으로 삶의 질 개선 및 생활이 유익하도록 주거 등 생활 모든 곳에서 녹색생활 실천 및 녹색산업의 소비기반을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실내공간, 대형지하주차장, 아파트지하주차장의 생활 환경변화에 적극 대응함으로써 녹색성장을 국가발전의 새로운 목표로 활용하면서 일류 녹색선진국으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녹색 가교역할을 하여 효율적인 변화적응에 대처하고자 방출시켜 인체에 필요한 적정량의 음이온 및 원적외선을 발생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내 및 지하공간이 필요하게 되었다.
다음 표 1은 다중 이용시설의 바닥으로부터 발생하는 음이온 실태를 확인할 수 있다.
지역
(지명)
주변상황
이온수치 전경사진
사진 2
사진 3
(-)음이온


서울


롯데월드
지하주차장


18
Figure 112012040217832-pat00001
Figure 112012040217832-pat00002
Figure 112012040217832-pat00003


인천


인천국제공항
지하주차장


358
Figure 112012040217832-pat00004
Figure 112012040217832-pat00005
Figure 112012040217832-pat00006


서울


송파가든5
지하주차장


6
Figure 112012040217832-pat00007
Figure 112012040217832-pat00008
Figure 112012040217832-pat00009


서울


가락역
지하철


90
Figure 112012040217832-pat00010
Figure 112012040217832-pat00011
Figure 112012040217832-pat00012


서울


강남비지니스
지하주차장


18
Figure 112012040217832-pat00013
Figure 112012040217832-pat00014
Figure 112012040217832-pat00015


서울


송파
롯데마트


27
Figure 112012040217832-pat00016
Figure 112012040217832-pat00017
Figure 112012040217832-pat00018


용인

흥덕지구경남
아너스빌
지하주차장


99
Figure 112012040217832-pat00019
Figure 112012040217832-pat00020
Figure 112012040217832-pat00021
서울 강남
현대백화점
158
Figure 112012040217832-pat00022
Figure 112012040217832-pat00023
Figure 112012040217832-pat00024
상기 표 1의 다중 이용시설의 바닥으로부터 발생하는 음이온 실태를 분석한 결과,
첫째, 대형 공공건축물 지하주차장에서 발생하는 이온 수치는 거의 대부분이 90ion/cc 이하로 인체에 영향을 주지 못하는 수치로 나타난다. 둘째, 인천 국제공항은 섬지역으로서 타 건축물 지하주차장보다 많은 음이온 수치가 나타난다. 셋째. 지하주차장 내에 음이온수치가 300ion/cc 이상인 지역(인천국제공항)에서는 지하공간인 데도 공기가 시원한 기운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지하공간에서 1,000ion/cc 정도 발생하는 곳은 몸으로 느낄 수 있고 창문을 열면 시원한 느낌과 같다.
그러므로 실제 도시의 주변 환경은 아래의 표 2에서와 같이 폭포수나 숲에서 느낄 수 있는 상쾌한 마이너스(-)의 전하를 띤 음이온을 필요로 하게 된다.
측정장소 양이온(+) (ion/cc) 음이온(-) (ion/cc)
숲 속 50 2,500
폭포에서 10미터거리 0 4,730
목조가옥(맑음) 1,400 2,100
계곡 0 2,500
폭포 밑 0 10,000~18,000
농촌우천시 0 3,000
한편, 바닥재의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8-0002379호(2008.07.03.공개) "천연 희토류 광물층을 적층한 바닥재"는 다층구조로 이루어진 바닥재에 있어서, 입도 1~300㎛로 분쇄된 천연 희토류 광물로 이루어진 천연 희토류 광물층(30)을 한층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바닥재로서 다량의 희토류 광물 첨가에 의한 음이옴 방출, 항균, 탈취, 원적외선 방출 효과가 있다고 주장하나, 실제 인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음이온의 방출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기술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32422호(2009.12.09.등록) "친환경 바이오 바닥재"는 바인더, 폐고무칩, 안료를 포함하여 시공하는 바닥재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가 수지 바인더 및 식물성 오일로 이루어진 천연 바인더 조성물인 것으로, 상기 폐고무칩으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는 것이므로 음이온의 방출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기술인 등록특허 제10-0919415호(2009.09.22.등록) "친환경 음이온바닥재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친환경 음이온바닥재"는 35 내지 40 중량부의 이산화티탄(TiO2), 황화수은(HgS), 수산화구리(Cu(OH)3), 황화비소(As2S2), 산화납(Pb3O4), 탄산납(PbCO3), 탄산칼슘(CaCO3), 카본블랙(Carbon Black0, 산화납(ZnO) 및 황화구리(Cu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와 35 내지 40 중량부의 에폭시수지를 60 내지 90분 동안 1000 내지 1500 RPM으로 교반하고, 1 내지 2 중량부의 첨가제로 소포제, 분산제 또는 평활제를 추가로 투입하여 20 내지 40 분동안 혼합한 후, 여기에 5 내지 10 중량부의 모나자이트(Monazite), 터마린(Tourmalin) 및 맥반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와 15 내지 25 중량부의 백반분말을 추가로 투입하여 30 내지 60 분동안 1000 내지 1500RPM 속도로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공정과 이 공정으로 만들어지는 음이온바닥재에 관한 것으로, 인체활동에 이로운 도움을 주는 음이온을 방출하는 바닥재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식성과 내마모성이 우수하여 시공후에 강인한 도막의 바닥을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선행기술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34561호(2011.05.04.등록) "에폭시계 바닥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문양 바닥을 시공하는 방법"은 소포제 5 내지 7g, 분산제 5 내지 7g, 증점제 5 내지 7g, 아크릴계 분말수지 100 내지 150g, 실리카샌드 150 내지 200g 및 총 2kg이 되도록 하는 양의 백시멘트로 이루어진 베이스 파우더; 에폭시 수지 14 ℓ 및 경화제 4ℓ의 혼합액; 및 무기질 안료 300~500g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미끄러짐 현상 및 들뜸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다양한 무늬와 색상으로 도시 미관에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에폭시가 갖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8-0002379호(2008.07.03.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32422호(2009.12.09.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 등록특허 제10-0919415호(2009.09.22.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19415호(2009.09.22.등록)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외의 지하철, 지하상가, 공공건물, 작업장 및 사무실 등의 각종 실내환경,대형빌딩 주차장, 아파트 주차장, 모든 통행 도로를 이용하는 사람이 정화된 공기와 함께 제공되는 음이온 및 적외선 효과를 누릴 수 있도록 실내 및 지하공간에 함유된 폼알데히드(HCHO) 미세먼지(PM), 자동차매연배기가스, 아황산가스(SO₂), 일산화탄소(CO), 이산화탄소(CO₂), 휘발성유기화합물(VOC) 냄새의 유해물질 제거 및 중금속 등 분해작용할 수 있는 친환경 에폭시수지 페인트 바닥제를 주재료로 하면서 음이온기능성 활성제 분말, 투어마린(Tour maline), 휘발성 유기물 자극성 냄새제거용 향료와 실내의 불쾌한 냄새 및 오염가스를 흡착할 수 있는 코코넷 열매의 외피원료를 혼용하는 재료와 음이온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음이온공기를 마시거나 피부로 흡수하면서 체내의 부족한 음이온을 보충시켜 이온 밸런스를 정상적으로 돌아오게 함으로써 건강유지에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실내공간의 주차장 및 보행 도로에 적합한 친환경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든 통행로 포설된 기존 또는 신규 몰탈층에 안정적으로 결합되고 부착력, 내구성, 내약품성, 내수성, 내마모성을 유지하면서 음이온으로 정화된 공기와 함께 제공되는 음이온 및 적외선 효과를 누릴 수 있도록 인체에 필요한 적정량의 음이온을 발생하는 친환경 바닥재 및 이를 도장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친환경 바닥재는 표면을 평활하게 하면서 높이 30~50㎜, 20℃, 상대습도 80% 이하에서 최소 28일간 충분히 양생한 후 표면함수율은 6% 이하로 건조시켜 이루어지는 몰탈층과; 상기 몰탈층 상부 표면의 오염물질제거 및 평활하게 정리하여 형성되는 표면처리층과; 상기 표면처리층(10)의 표면에 도포 및 경화를 통해 형성되는 하도층과; 상기 하도층의 표면을 그라인딩 또는 페이퍼작업을 통해 0.5㎜~0.8㎜ 깊이로 스크래핑 작업한 후 도포 및 경화를 통해 형성되어 접합부재 역할을 하는 중도층과; 상기 중도층 내에 음이온기능성 활성제 분말 및 합성향료를 함유한 1차부재를 도포하고 음이온기능성 활성제 분말 및 합성향료를 함유한 2차부재를 추가 도포하여 흡착 및 침투시켜 음이온이 발생하도록 경화시켜 형성되는 마감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친환경 바닥재의 도장방법으로서, 모든 통행로의 바닥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초로서 표면에 마감재인 에폭시 도포를 위한 깨끗한 표면을 얻기 위해서 얇은 흙손으로 면을 평활하게 하면서 높이 30~50㎜, 20℃, 상대습도 80% 이하에서 최소 28일간 충분히 양생한 후 표면함수율은 6% 이하로 건조시켜 몰탈층을 형성하는 단계; 평탄하도록 포장된 몰탈층 표면을 깨끗한 헝겊에 희석제 No.003이나 톨루엔을 적셔 표면의 기름기 및 그리스 등을 완전히 제거하고 바닥은 블라스팅(Blister), 그라인딩, 산에칭 등 어느 한가지 방법으로 선택하여 표면의 레이턴스나 기타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표면을 평활하게 정리하여 표면처리층(1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몰탈층의 표면처리층에 도포 및 경화할 때 표면온도는 이슬점보다 3℃이상으로 하고 도포 및 경화중 대기온도는 10℃~28℃, 상대습도는 85% 이하로 도료온도는 20℃가 적합하도록 하고 도료 혼합시 폴리아마이드(에폭시계)를 주성분으로 한 수지2액형 투명 하도프라이머:PTB(경화제) 비율은 1:1로 혼합한 고형물용적비 30~35%에 대하여 희석제는 3~5중량부, 합성향료 0.05~0.2중량부를 2~3분 균일하게 고속 교반한 후 붓, 롤러, 스프레이(에어는 에어리스)로 도포 두께 50~70㎛ 도포 및 경화하여 접합부재 역할을 하도록 형성하여 하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도층 표면에 기공에 의한 기포 발생 또는 오염물질에 의한 하자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그라인딩 또는 페이퍼작업을 통해 0.5~0.8 깊이로 스크래핑 작업하는 단계; 상기 하도층에 형성된 스크래핑 표면에 도포 및 경화할 때 주위 및 표면온도 최적조건은 15℃~28℃, 상대습도는 85% 이하로 하고 도료의 자체온도는 20℃가 적합하도록 하며 도료혼합시 PTA(주제):PTB(경화제)비율은 3:1로 무용제 라이닝 에폭시 수지를 주성분으로 자체평활(Self - Levelling)이 가능한 무용제 중상도 겸용 바닥재로서 고형분 40~96중량부에 대하여 희석제는 3~5중량부, 투어마린 5~30중량부(ion/cc:600~1,500), 합성향료 0.05~0.2중량부를 고속 교반기로 약1~2분간 균일하게 1차 혼합한 후, 1차혼합된 도료를 다른 용기로 옮긴 후 고속 교반기로 1~2분간 균일하게 2차 혼합한 후 고데장치로 도포 두께 1,000~3,000㎛ 도포하고 경화시켜 도로 표면부 역할을 하는 중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중도층 표면에 도포시 주위온도가 5℃이상, 상대습도가 85%이하로 폴리아마이드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2액형 유색코팅 바닥재 수지 : PTB(경화제) 비율은 2:1로 혼합한 고형물 40~55중량부에 대하여 희석제는 3~5중량부, 투어마린 5~10중량부(600~3,000메쉬, ion/cc:600~1,500); 합성향료 0.05~0.2중량부를 고속 교반기로 3분간 균일하게 혼합하고 1회 도포 두께를 40~50㎛로 2회 붓, 롤러, 스프레이(에어는 에어리스) 중 어느 한 고정으로 도포하여 음이온이 고르게 흡착되고 경화하여 인체에 유용한 600~1,500개(ion/cc)의 음이온이 발생하도록 마감층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공정상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바닥재는 지하철, 지하상가, 공공건물, 작업장 및 사무실 등의 각종 실내환경, 대형빌딩 주차장, 아파트 주차장, 모든 통행에 사용되면서, 주재료는 폴리아마이드(에폭시계)를 주성분으로 하는 소재를 선택하므로 부착력, 내약품성, 내수성, 내충격성 등이 우수하고, 폴리아마이드(에폭시) 수지2액형 투명 하도프라이머 및 무용제라이닝 에폭시 수지는 자체평활(SELF-LBELLING)이 가능한 바닥재를 주성분으로 하는 우수한 친환경적 도료로 경화 후 단단하고 질기면서 매끈한 외관을 형성하고 심한 기계적 마모 환경하에서도 내구력이 우수함은 물론 사람이 정화된 공기와 함께 제공되는 음이온 효과를 누릴 수 있도록 실내 및 지하공간에 함유된 폼알데히드(HCHO) 미세먼지(PM), 자동차매연배기가스, 아황산가스(SO₂), 일산화탄소(CO), 이산화탄소(CO₂),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냄새의 유해물질 제거 및 중금속 분해작용할 수 있는 친환경 에폭시수지페인트 바닥재이므로 음이온기능성활성제 분말, 투어마린, 휘발성 유기물자극성 냄새제거용 향료와 실내의 불쾌한 냄새 및 오염가스를 흡착 혼용하는 재료와 함께 음이온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음이온공기를 마시거나 피부로 흡수하면서 체내의 부족한 음이온을 보충시켜 이온 밸런스를 정상적으로 돌아오게 함으로써 건강유지에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실내공간의 주차장 및 보행 도로에 적합하여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있다.
또한, 마감부재 역할을 하는 중도층에 음이온기능성활성제 분말과 투어마린을 2회 도포하여 침투시킴으로써 자연에서 발생하는 것과 동일한 인체에 대한 유익한 적정수의 음이온을 발생시켜 신체건강의 효과와 일반공기에 노출된 철재는 쉽게 녹이 발생하고 산화되지만 음이온의 공기와 접촉된 철재는 부식되지 않고 깨끗하여 건물구조에도 상당한 영향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하도층 및 중도층 그리고 마감층의 각 혼합소재는 각각의 성분이 적정비율로 혼합됨으로 인하여 각 성분의 사용량을 최소화하면서도 각 성분의 효과가 극대화되고, 내구성 증진이 탁월하여 훼손되는 사례를 최소화되며 바닥재인 에폭시계 수지의 환경 친화적 주성분으로 화학물질이 사람에게 직접적 영향을 주고 있는 오염물질 들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고 인체건강에도 활력을 주는 바닥재의 역할과 산업화, 도시화 등 산업의 발달로 인한 공기 중의 유해물을 흡착, 탈취할 수 있는 효과와 음이온을 방출하는 상기 재료의 특성과 역할이 자연환경 및 인체에 유익하도록 개선되어 그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새로이 조성되는 바닥재와 기 조성된 바닥재에도 본 발명의 공법을 적용하게 되면 모든 바닥재에서도 음이온이 발생하므로 이온밸런스를 잃은 모든 사람에게 발생하는 각종 질병을 치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기능활성제를 이용한 다중 이용시설의 친환경 바닥재를 일부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기능활성제를 이용한 다중 이용시설의 친환경 바닥재를 이용한 도장방법의 공정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 지하상가, 공공건물, 작업장 및 사무실 등의 각종 실내환경, 대형빌딩 주차장, 아파트 주차장 등 모든 통행로에 사용되는 바닥재를 구성하는 친환경 포장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재의 구조를 일부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의 실시 예로서 도 1에서와 같이 지하철, 지하상가, 공공건물, 작업장 및 사무실 등의 각종 실내환경, 대형빌딩 주차장, 아파트 주차장 등 모든 통행로에 포설된 기존 또는 신규 몰탈층(100) 상부 표면에 잔존하는 오염물질을 제거 및 표면을 평활하게 정리하여 이루어지는 표면처리층(10)과, 상기 표면처리층(10)에 형성되는 하도층(20)과, 상기 하도층(20)의 상부에 표면 스크래핑(30) 작업 후 형성되는 중도층(40)과, 중도층(20) 내에 음이온기능성 활성제 분말 및 합성향료 적정량을 1차 함유한 마감재를 2회 도포하여 흡착 및 침투시키면서 경화하여 형성되는 마감층(50)을 포함하며, 상기 중도층(40)과 마감층(50)을 통해 공기정화, 음이온 및 적외선이 발생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 바닥재의 실시 예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먼저, 몰탈층(100)은 바닥을 지지 및 방수하는 하부의 기초이다. 이러한 몰탈층(100)을 신규로 형성할 때에는 표면에 마감재인 에폭시 도장을 하기 위한 깨끗한 표면을 얻기 위해서 얇은 흙손으로 면을 평활하게 하며, 높이 30~50㎜ 이상, 20℃, 상대습도 80% 이하에서 최소 28일간 충분히 양생하여야 하고, 표면함수율은 6% 이하로 건조시킨 후 몰탈층(100) 표면을 깨끗한 헝겊에 희석제 No.003이나 톨루엔을 적셔 표면의 기름기 및 그리스(grease) 등을 완전히 제거하고 블라스팅(Blister), 그라인딩, 산에칭 등 어느 한가지 방법으로 선택하여 표면의 레이턴스나 기타 오염물질을 제거한 후 표면을 평활하게 정리하여 몰탈층(100) 상부에 표면처리층(10)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표면처리층(10) 위에 형성되는 하도층(20)은 에폭시계의 폴리아마이드를 포함하는 수지2액형 투명 하도프라이머 소재로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또한, 폴리아마이드(에폭시계)를 주성분으로 한 수지2액형 투명 하도프라이머 PTA(주제):PTB(경화제) 비율을 1:1로 혼합한 고형물용적비 30~35%에 대하여 합성향료 0.05~0.2%/kg 중량부, 도포량 0.12~0.19L/㎡, 건조막 도막두께 50~70㎛를 이루도록 혼합하여 형성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하도층(20)이 도포 및 경화된 후에는 하도층(20)의 표면을 그리인딩 또는 페이퍼작업을 통해 0.5~0.8㎜ 깊이로 표면 스크래핑(30) 작업을 행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표면 스크래핑(30)된 하도층(20)의 표면에 도포 및 경화되는 중도층(40)은 도포 및 경화할 때 주위 및 표면 온도는 이슬점보다 3℃이상으로 하고 대기온도의 최적조건은 10℃~28℃, 상대습도는 80% 이하로 하고 소재의 자체온도는 20℃가 적합하도록 하며 소재 혼합시 PTA(주제):PTB(경화제) 비율은 3:1로 무용제 라이닝 에폭시 수지를 소재로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또한, 주성분으로 자체평활(Self - Levelling)이 가능한 무용제 중상도 겸용 바닥 소재로서 고형물용적비 40~96%에 대하여 도포량 건조막 도포 두께 200㎛로 도장시 0.37ℓ/㎡, 건조막 도포 두께 1000㎛로 도장시 1.04~1.24L/㎡, 건조막 도포 두께 2000㎛로 도장시 2.08~2.49L/㎡, 건조막 도막 두께 3,000㎛로 도장시 3.12~3.4L/㎡, 비중 1.43~1.53kg/ℓ이고, 투어마린 5~30중량부(600~3,000메쉬, ion/cc:600~1,500), 합성향료 0.05~0.2중량부를 고속 교반기로 약 1~2분간 균일하게 1차 혼합한 후, 1차 혼합된 도료를 다른 용기에 부은 후 고속교반기로 1~2분간 균일하게 2차 혼합한 후 도장 두께 1,000~3,000㎛ 두께로 도포하여 음이온 기능성 활성제가 혼합 및 흡착되도록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마감층(50)은 폴리아마이드 수지 유색코팅재를 주성분으로 하는 마감재로 이루어지는 3RD 상도 마감코팅으로 합성향료, 음이온 기능활성재인 투어마린 파우더가 골고루 혼합되면서 부착력, 내구성, 내알카리성, 내후성 증진은 물론 음이온의 적정한 개수가 중도층(40)에 접착 및 흡착을 통해 표면의 강도 보강 및 음이온의 방출을 돕게 된다.
즉, 마감층(50)은 폴리아마이드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2액형 유색코팅 바닥재 수지 PTA(주제):PTB(경화제)비율은 2:1로 혼합한 고형물용적비 40~55%에 대하여 희석제는 3~5중량부, 투어마린(Tour maline) 5~30중량부(600~3,000메쉬, ion/cc:600~1,500), 합성향료 0.05~0.2중량부를 고속 교반기로 3분간 균일하게 혼합하고, 1회 도포 두께를 40~50㎛로 2회 도포 형성하여 이루어지면서, 폴리아마이드(에폭시) 수지2액형 투명 하도프라이머 1.0㎡당 0.12L/㎡ 미만으로 도포되면 적정 접착력과 흡착력을 제공하는 소정의 도포두께를 형성할 수 없으므로 접착력과 흡착력이 떨어지며, 반대로 1.0㎡당 0.19L/㎡을 초과하면 점도가 많아 먼지, 흙 등이 부착되고 통행시 묻어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아울러, 상기 합성향료 마감재가 만약 0.05중량부 미만으로 소량으로 첨가되면, 주성분에서 발생하는 휘발성 냄새제거에 역량을 잃어 향료가 목적하는 향기를 내는 과정에서 안정적이지 못하며, 반대로 0.2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하면 향기가 한층 강해져 오히려 작업자에게 거부감을 나타낼 수 있으며 장기간 머리아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어 향기로 인하여 휘발성 냄새 제거에 특별한 향상 없이 사용량만 증대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여기서 음이온기능성 활성제인 분말 투어마린(Tour maline)은 아파트 및 다중이용시설인 대형건축물의 지하공간에 공기 중에 떠다니는 실내 공기의 질 유지기준에 오염물질인 미세먼지(㎍/㎥), 이산화탄소(CO₂,ppm/일), 폼알데하이드(HCHO,ppm/일), 총 부유세균(CFU/㎥), 일산화탄소(CO,ppm/hr) 등 자동차배기가스, 담배연기 같은 유해성 오염물질을 끌어들여 바닥으로 낙하시키게 된다. 즉, 실내외의 지하철, 지하상가, 공공건물, 작업장 및 사무실 등의 각종 실내환경,대형빌딩 주차장, 아파트 주차장, 모든 통행 도로에 포장된 바닥재에서 자연의 수목원이나 휴양림에서 발생하는 인체에 유익한 음이온 개수인 600~1,500ion/cc가 풍부하게 발생함으로써 다중 인원에게 건강개선(신진대사촉진, 공기정화)등 인체에 대한 효과와 밀폐공간의 먼지제거 및 살균작용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신진대사촉진과 산성을 약알카리성으로 조절 가능함에 인체에 활력을 주게 됨은 물론 생체 활력을 증대시켜 인체에 건강을 증진시킬 뿐 아니라, 일반공기에 노출된 철재는 쉽게 녹이 발생하여 산화되지만 음이온의 공기와 접촉된 철재는 녹 발생이 방지되어 깨끗한 것처럼 사람의 몸도 산화되지 않고 병의 유발이 적고 몸도 건강해지고, 건물구조에도 상당한 영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합성향료는 Tincture천연물의 에탄올 추출액으로 희석 용매로서 에탄올을 그대로 함유하여 Amber(3%), Musk(3%), Orris(25%) anilla(15%), Labdanum(20%) Tincture의 다른 형태로 Infusion이라고 하는 것으로 추출로 형성된 향료로 소량을 첨가하여 목적하는 향기로 상기 재료의 주성분에서 발생하는 휘발성 냄새로 인하여 지하공간 작업시 작업자 및 주위사람에게 혐오감을 주지않고 작업공간 내를 좋은 작업환경으로 변화를 강구함으로써, 실내작업시 친화적인 효과를 응용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 표 3 ~ 표 13과 같이 각 소재의 물성시험의 결과치를 확인할 수 있다.
바닥재 음이온 측정
항 목 단위 구분 시험결과 시험방법
음이온-Blank 개/㎤ 1 70 KCL-FIR-1042:2011
음이온-Sample 개/㎤ 1 1489 KCL-FIR-1042:2011
폴리아마이드 수지:에폭시코팅(PTA)-녹색
항 목 단위 구분 시험결과 시험방법
불휘발성 % 1 74.6 KS M ISO 3251
밀도 g/mL 1 1.296 KS M ISO 2811-1
주도 K.U 1 68 KS M 5000
연화도 1 30 KS M 5000
은폐율 % 1 97 KS M ISO 2814
지촉건조시간 h 1 1 KS M 5000
경화건조시간 h 1 6 KS M 5000
광택(60℃) - 1 97 KS M ISO 2813
폴리아마이드 수지:에폭시코팅(PTB)
항 목 단위 구분 시험결과 시험방법
불휘발성 (혼합) % 1 67.8 KS M ISO 3251
밀도 g/mL 1 0.902 KS M ISO 2811-1
점도 - 1 A2 KS M 5000
무용제 라이닝 에폭시 수지
항 목 단위 구분 시험결과 시험방법
인장강도 N/㎟ 1 22.9 KS M 3006
신장률 % 1 2.6 KS M 3006
굴곡강도 N/㎟ 1 43.3 KS M 3015
압축강도 N/㎟ 1 75.3 KS M 3015
듀로미터 경도(D-Type) - 1 D/1:85 KS M ISO 868
흡수율 % 1 0.07 KS M 3015
인장접착강도 N/㎟ 1 9.7 KS M 3722
내마모성
(CS-17,1000g,1000회전
1 52 ASTM D 4060:10
무용제 라이닝 에폭시 수지PTA-녹색
항 목 단위 구분 시험결과 시험방법
불휘발분 % 92 KS M ISO 3251
비중 - 1.64 KS M ISO 2811-1
점도(25±1)℃ mPas 3,800 KS M 3705
연화도 45 KS M 5000
지촉건조시간(혼합) H 3 KS M 5000
경화건조시간(혼합) H 6 KS M 5000
무용제 라이닝 에폭시 수지PTB
항 목 단위 구분 시험결과 시험방법
비중 - 0.96 KS M ISO 2811-1
점도(25±1)℃,포드컵#4 15 KS M ISO 2431
폴리아마이드 수지:에폭시 라이닝코팅
항 목 단위 구분 시험결과 시험방법
부착강도 N/㎟ 1 3.1 KS F 5000
내마모성
(CS-17,1000g,1000회전
1 94 ASTM D 4060:10
에폭시 엠보 PTA-녹색
항 목 단위 구분 시험결과 시험방법
점도(#6,20rpm)-주제 mPas 1 34,500 KS M ISO 2555
연화도 1 38.1 KS M ISO 2555
용기내에서의 상태 - 1 이상없음 KS M ISO 2555
지촉건조시간 h 1 3 KS M ISO 2555
경화건조시간 h 1 15 KS M ISO 2555
불휘발분 % 1 95.1 KS M ISO 3251
에폭시 엠보 PTB
항 목 단위 구분 시험결과 시험방법
혼합안정성 - 1 이상없음 KS M 6080
점도(s) s 1 36 KS M ISO 2431
밀도 g/mL 1 1.02 KS M ISO 2811-1
에폭시 대전방지 PTA-회색기준
항 목 단위 구분 시험결과 시험방법
주도 K.U 1 85 KS M 5000
연화도 1 30 KS M 5000
경화건조시간 h 1 10 KS M 5000
불휘발분 % 1 67.8 KS M ISO 3251
밀도 g/mL 1 1.35 KS M ISO 2811-1
에폭시 대전방지 PTB
항 목 단위 구분 시험결과 시험방법
밀도 g/mL 1 0.91 KS M ISO 2811-1
불휘발분 % 1 51.3 KS M ISO 3251
한편, 상기 하도층(20)과 중도층(40)에 사용되는 에폭시계 수지는 먼지(DUST) 등을 방지하여 향상 표면을 청결하게 유지시켜 줍니다. 또한, 에폭시계 내수성, 내약품성, 내산성, 내알칼리성 및 기계적 물성이 증대되고, 포장 바닥재에서 인체에 유익한 음이온 개수인 600~1,500ion/cc가 풍부하게 발생함으로써 다중 인원에게 건강개선(신진대사촉진, 공기정화)등 인체에 매우 유익한 것이다.
특히, 라이닝, 무용제 타입의 자체 평활형(Self-Levelling) 이면서,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미려한 외관을 나타내며 이온밸런스균형과 건강 친화적 바닥재로서 반영구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석인 투어마린(Tour maline)은 음이온기능성 활성제 분말 파우더(희토류계)로 에폭시계 소재와 잘 혼합되어 투어마린의 입자가 표층으로부터 이탈됨을 방지하게 되고, 상기 투어마린은 주성분 재료 중량부에 대하여 5~30중량부(600~3,000메쉬, ion/cc:600~1,500)가 혼합된다. 만약 투어마린이 5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되면 인체에 유익한 음이온 개수를 방사할 수 없으며, 입자간의 결합이 약하여 표층 형성시 역할을 하지 못하고, 반대로 30중량부를 초과하여 혼합하면 음이온 개수가 많아 짐에 따라 오히려 인체에 해를 줄 수도 있어 인체에 유용한 음이온의 역할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즉, 아래의 그림 1에서와 같이 대기권의 마이너스 전자가 투어마린의 플러스 전극을 잡아당기는 전기장이 발생하면서 투어마린의 마이너스 전극으로 반발되는 마이너스전자가 인체 건강을 유익하게 한다.
(그림 1)
Figure 112012040217832-pat00025

또한, 투어마린은 아래의 그림 2와 같이 영구 전극은 전기분해를 일으키게 되고, 이 결과 생성된 히드록실은 계면활성효과를 가지며 다음과 같은 특징을 통해 노폐물을 분해하여 무해한 상태로 물 분자가 환원된다.
(그림 2)
Figure 112012040217832-pat00026

또한, 투어마린은 아래의 그림 3에서와 같이 공기중의 수분과 접촉하면 음이온을 방출하는데 우리들의 몸의 피부표면에서도 땀과 물 분자가 방출되고 있다. 투어마린을 물속에 넣지 않아도 이와 같은 공기 중의 습도와 피부에 닿는 것으로 아주 작은 물 분자와 반응하여 음이온을 방출하기도 하고 체내에 흡수되기도 하여 인체에 유용하며, 일반공기에 노출된 철재는 쉽게 녹이 발생하여 산화되지만 음이온의 공기와 접촉된 철재는 녹이 발생하지 않고 깨끗하여 건물구조에도 상당한 영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림 3)
Figure 112012040217832-pat00027

다음으로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외의 지하철, 지하상가, 공공건물, 작업장 및 사무실 등의 각종 실내환경, 대형빌딩 주차장, 아파트 주차장 바닥재를 시공하는 방법을 도 1의 바닥재 사시도 및 도 2의 공정도를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닥재 도포 방법의 제1단계는 상부에 포장된 콘크리트 또는 몰탈층(100) 중 어느 한 표면을 세척하여 정리하고 20℃, 상대습도 80% 이하에서 최소 28일간 충분히 양생하여야 하고, 표면함수율은 6% 이하로 건조한 후 기존 또는 신규 몰탈층(100)을 평활하게 형성하게 된다.
다음으로 제2단계로는 상기 몰탈층(100) 표면을 깨끗한 헝겊에 희석제 No.003이나 톨루엔을 적셔 표면의 기름기 및 그리스 등을 완전히 제거하고 바닥은 블라스팅(Blister), 그라인딩, 산에칭 등 어느 한가지 방법으로 선택하여 표면의 레이턴스나 기타오염물질을 제거하고 몰탈층(100) 표면을 평활(10)하도록 정리하여 표면처리층(10)을 형성하게 된다.
다음으로 제3단계는 몰탈층(100)의 표면처리층(10) 표면온도는 이슬점보다 3℃이상으로 하고 도장 및 경화할 때 대기온도는 10℃~28℃, 상대습도는 85% 이하로 도료온도는 20℃가 적합하도록 하고 도료 혼합시 에폭시계의 폴리아마이드를 포함하는 수지2액형 투명 하도프라이머 PTA(주제) : PTB(경화제) 비율은 1:1로 혼합한 고형물용적비 30~35%에 대하여 희석제는 3~5중량부, 합성향료 0.05~0.2중량부를 고속 교반기로 약2~3분간 균일하게 혼합한 후 붓, 롤러, 스프레이(에어는 에어리스)로 도포 두께 50~70㎛ 도포하여 접합부재 역할을 하도록 형성하는 하도층(20)을 형성하게 된다.
다음으로 제4단계는 상기 하도층(20)에 도포하기 전 표면 기공에 의한 기포 발생 또는 오염물질에 의한 하자발생을 예방하기 위하여 그라인딩 또는 페이퍼작업을 통해 0.5~0.8 깊이 스크래핑(30) 시공을 행하게 된다.
다음으로 제5단계는 상기 하도층에 형성된 스트레핑(30) 표면에 도포 및 경화할 때 주위 및 표면온도 최적조건은 15℃~28℃, 상대습도는 85% 이하로 하고 도료의 자체온도는 20℃가 적합하도록 하며 도료혼합시 PTA(주제):PTB(경화제)비율은 3:1로 무용제 라이닝 에폭시 수지를 주성분으로 자체평활(Self - Levelling)이 가능한 무용제 중상도 겸용 바닥 소재로서 고형분용적비 40~96%에 대하여 건조막 도포 두께 200㎛로 도장시 0.37L/㎡, 건조막 도포 두께 1000㎛로 도장시 1.04~1.24L/㎡, 건조막 도포 두께 2000㎛로 도장시 2.08~2.49L/㎡, 건조막 도포 두께 3,000㎛로 도장시 3.12~3.4L/㎡, 비중 1.43~1.53kg/L로 하고, 투어마린 5~30중량부((600~3,000메쉬, ion/cc:600~1,500), 합성향료 0.05~0.2중량부를 고속 교반기로 약1~2분간 균일하게 1차혼합한 후, 1차혼합된 도료를 다른 용기에 옮긴 후 고속교반기로 약 1~2분간 균일하게 혼합하고 고데장치로 도포 두께 1,000~3,000㎛ 도포하고 경화시켜 도로 표면부 역할을 하는 중도층(40)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제5단계는 상기 중도층(40) 표면에 도포시 주위온도가 5℃이상, 상대습도가 85%이하로 폴리아마이드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2액형 유색코팅 바닥재 수지 PTA(주제):PTB(경화제) 비율은 2:1로 혼합한 고형물용적비 40~55%에 대하여 희석제는 3~5중량부, 투어마린 5~10중량부(600~3,000메쉬, ion/cc:600~1,500); 합성향료 0.05~0.2중량부를 고속 교반기로 3분간 균일하게 혼합하고 1회 도포 두께를 40~50㎛로 2회 붓, 롤러, 스프레이(에어는 에어리스) 중 어느 한 공정으로 도포하여 음이온이 고르게 흡착되고 경화하여 인체에 유용한 600~1,500개(ion/cc)의 음이온이 발생하도록 마감층(50)을 형성한다.
상기 중도층(40)과 이 증도층(40)에 도포 및 경화된 마감층(50)은 음이온 기능 활성제가 혼합 및 흡착됨으로써 아파트 및 다중이용시설인 대형건축물의 지하공간에 공기 중에 떠다니는 실내공기 질 유지기준에 오염물질인 미세먼지(㎍/㎥), 이산화탄소(CO₂,ppm/일), 폼알데하이드(HCHO,ppm/일), 총부유세균(CFU/㎥), 일산화탄소(CO,ppm/hr)등 자동차배기가스, 담배연기 같은 유해성 물질과 만나 음이온으로 인해 다른 오염물질을 끌어들여 바닥으로 낙하시킴으로써 자연의 수목원이나 휴양림만큼 발생하는 음이온이 인체에 유익한 갯수가 600~1,500ion/cc로 풍부하게 발생되어 다중인원에게 건강개선(신진대사촉진, 공기정화) 등 인체에 대한 효과와 밀폐공간의 먼지제거 및 살균작용이 이루어진다. 또한, 신진대사촉진과 산성을 약알카리성으로 조절 가능함에 인체에 활력을 주게 됨은 물론 생체 활력을 증대시키는 것은 인체에 건강을 증진시킬 뿐 아니라, 일반공기에 노출된 철재는 쉽게 녹이 발생하고 산화되지만 음이온의 공기와 접촉된 철재는 녹이 발생하지 않고 깨끗한 것처럼 사람의 몸도 산화되지 않고 병의 유발이 적고 몸도 건강해지고, 건물구조에도 상당한 영향을 얻을 수 있는 친환경 바닥재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형성된 바닥재는 중도층(40) 및 마감층(50)으로부터 발생하는 원적외선 및 인체에 유용한 600~1,500개(ion/cc) 음이온이 발생하므로 삶의 질을 향상시키며 산업화와 도시화가 거대도시의 환경 음이온이 부족한 생활환경에 대처로 청정 개발체제에 적합한 도심속 매연 등 공해에 시달리는 대기를 정화하여 쾌적하고 신선한 생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바닥재의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제조예1>
표상이 편평해지도록 평탄 바닥을 이루도록 한 후 모래 240kg, 시멘트120kg, 사용수 54kg(w/c:45%)를 혼합하여 양생 공정 28일 거쳐 수분을 6%이하로 건조한 몰탈층(100)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몰탈층(100)의 표면(10)을 세척 및 정리하여 건조한 표면처리층(10)에 도포하기 위하여 폴리아마이드 수지2액형 투명 하도프라이머(에폭시) 16L, 희석재 5L, 합성향료 20g을 혼합하였다.
그리고, 폴리아마이드 수지2액형 투명 하도프라이머(에폭시) 1.0㎡당 0.19L를 도포두께 50㎛로 몰탈층(100)의 표면처리층(10)에 도포하여 하도층(20)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하도층(20) 표면에 0.5mm 깊이로 스크래핑(30) 작업을 선행하여 기포 및 오염물질을 제거하였다.
상기 하도층(20)의 스크래핑(30) 표면을 표면 최적온도를 17℃ 전후로 하고 도료 자체온도를 20℃전후로 하며 내구력, 내약품성, 내마모성, 내충격성이 뛰어난 무용제 라이닝 수지 PTA(주재):PTB(경화재) 비율을 12L:4L, 희석재 3중량부, 음이온 기능활성제인 투어마린 10.5중량부, 합성향료 0.015중량부를 고속 교반기로 1.7분 혼합한 후, 1차혼합된 도료를 오염되지 않은 다른 용기에 옮겨 담은 후 다시 고속 교반기로 1.5분 균일하게 2차 혼합하여 중도층(40)의 혼합물을 마련하였다.
상기 중도층(40)의 혼합물에서 도포 전 음이온 조정 이온치수가 2538ion/cc가 나타났다.
상기 하도층(20)의 스크래핑(30) 표면에 상기에서 2차에 걸쳐 혼합한 중도층(40) 조성물을 건조 도포 두께 3,000㎛로 부은 후 표면이 평활하도록 고데장치로 도포 하여 중도층(40)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중도층(40)은 2ND의 경화건조 35시간에 걸쳐 이후 완전 건조까지는 6일간을 행하였다.
다음으로 중도층(40)을 경화한 후 이 표면을 마무리하는 마감층(50)의 혼합물로는 폴리아드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2액형으로 PTA(주재):PTB(경화재) 비율은 10.7L:5.3L와 희석제 27중량부, 음이온 기능활성제인 투어마린 10.5중량부, 합성향료 0.015중량부를 전동 교반기로 2.5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고 이때 기존재료에서 나타나는 신나의 유독성 냄새로 인해 작업자 또는 주변에 혐오감을 주었던 휘발성 냄새가 없어지고 오히려 향료선택시 바나나향을 혼합한 향기로 작업공간 내가 주위환경 분위가 좋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마감층(50)의 혼합물을 1회 건조두께를 50㎛으로 2회 도포를 손 롤러로 마감코팅 하는 공정을 수행하였다.
이때 음이온 조정수치가 사람에게 필요한 도포 전 자체 음이온 개수가 1.0m3당 1,188ion/cc가 건조중에 나타나 성공적으로 혼합 및 도포에 성공하였다. 양생 건조 후의 음이온 방출개수는 1468ion/cc로 나타나 양생 중보다 건조 후에 음이온 개수가 더 많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비교 제조를 같은 조성물과 도포시공을 음이온 기술을 배제하고 시험 제조를 하였다. 이때 나타난 음이온 개수는 사람에게 영향이 못 미치는 60ion/cc로 나타나 25배가량 수치를 볼 수 있고, 본 발명은 음이온을 측정한 결과 상도층(50)에 나타난 음이온 개수는 1489ion/cc가 방출되어 인체에 유익한 수치를 얻었다.
상기 공정을 후 측정한 결과는 표 14 내지 15와 같다
시험항목
단위
도포전 혼합액
양생중 음이온
도포후 마감층 음이온 시험방법
음이온수
ion/cc
1,188 1,468 현장측정


측정사진
Figure 112012040217832-pat00028
Figure 112012040217832-pat00029
구 분 단 위 음이온 방출
측정수치
사진설명 비고
음이온 제조기술 적용시 ion/cc 1,489
Figure 112012040217832-pat00030
음이온 제조기술 미적용시 ion/cc 60
Figure 112012040217832-pat00031
따라서, 본 발명에 지하철, 지하상가, 공공건물, 작업장 및 사무실 등의 각종 실내환경,대형빌딩 주차장, 아파트 주차장, 모든 통행 바닥재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에폭시는 고분자화합물로서 강인한 도막을 형성하여 우수한 내충격성,내 마모성 및 부착력을 발휘하며 내산성,내알카리성등 내약품성이 탁월하고 일반 산업 및 화학공장,주차장등의 바닥재와, 특히 음이온 기능성활성제로부터 발생하는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주자장 또는 보행 도로에서 발생하므로 오염물질 또는 냄새 등 공기정화와 함께 인체에 적당한 음이온 개수를 방사함으로써 생활환경과 인체건강에 매우 효과적이다.
본 발명은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실시 예를 적절히 변형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하여야 할 것이다.
100: 몰탈층 10: 표면처리층
20: 하도층 30: 스크래핑
40: 중도층 50: 상도층

Claims (5)

  1. 표면을 평활하게 하면서 높이 30~50㎜, 20℃, 상대습도 80% 이하에서 최소 28일간 충분히 양생한 후 표면함수율은 6% 이하로 건조시켜 이루어지는 몰탈층(100)과;
    상기 몰탈층(100) 상부 표면의 오염물질제거 및 평활하게 정리하여 형성되는 표면처리층(10)과;
    상기 표면처리층(10)의 표면에 도포 및 경화를 통해 형성되는 하도층(20)과;
    상기 하도층(20)의 표면을 그라인딩 또는 페이퍼작업을 통해 0.50~0.8㎜ 깊이로 스크래핑(30) 작업한 후 도포 및 경화를 통해 형성되어 접합부재 역할을 하는 중도층(40)과;
    상기 중도층(40) 내에 음이온기능성 활성제 투어마린 분말 및 합성향료를 함유한 1차부재를 도포하고 음이온기능성 활성제 투어마린 분말 및 합성향료를 함유한 2차부재를 추가 도포하여 흡착 및 침투시켜 음이온이 발생하도록 경화시켜 형성되는 마감층(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바닥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도층(20)은 에폭시계의 폴리아마이드를 포함하는 수지2액형 투명 하도프라이머 PTA(주제):PTB(경화제) 비율을 1:1로 혼합한 고형물용적비 30~35%에 대하여 희석제 3~5중량부, 합성향료 0.05~0.2중량부를 2~3분 고속 교반한 후 도포량 0.12~0.19L/㎡, 도포 두께 50~70㎛로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바닥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도층(40)은 자체평활(Self - Levelling)이 가능한 무용제 라이닝 에폭시 수지 PTA(주제):PTB(경화제) 비율을 3:1로 혼합한 고형물용적비 40~96%에 대하여 희석제 3~5중량부, 600~3,000메쉬이고 900~1,500ion/cc인 투어마린(Tour maline) 5~30중량부, 합성향료 0.05~0.2중량부를 고속 교반기로 약1~2분간 균일하게 2차 혼합한 후, 도포 두께 1,000~3,000㎛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바닥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층(50)은 폴리아마이드 수지를 포함하는 2액형 유색코팅 바닥재 수지 PTA(주제):PTB(경화제) 비율은 2:1로 혼합한 고형물용적비 40~55%에 대하여 희석제는 3~5중량부, 600~3,000메쉬이고 900~1,500ion/cc인 투어마린 5~30중량부, 합성향료 0.05~0.2중량부를 고속 교반기로 3분간 균일하게 혼합하고. 1회 도포 두께를 40~50㎛로 2회 도포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바닥재.
  5. 모든 통행로의 바닥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초로서 표면에 마감재인 에폭시 도포를 위한 깨끗한 표면을 얻기 위해서 얇은 흙손으로 면을 평활하게 하면서 높이 30~50㎜, 20℃, 상대습도 80% 이하에서 최소 28일간 충분히 양생한 후 표면함수율은 6% 이하로 건조시켜 몰탈층(100)을 형성하는 단계;
    평탄하도록 포장된 몰탈층(100) 표면을 깨끗한 헝겊에 희석제 No.003이나 톨루엔을 적셔 표면의 기름기 및 그리스 등을 완전히 제거하고 바닥은 블라스팅(Blister), 그라인딩, 산에칭 등 어느 한가지 방법으로 선택하여 표면의 레이턴스나 기타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표면을 평활하게 정리하여 표면처리층(1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몰탈층(100)의 표면처리층(10)에 도포 및 경화할 때 표면온도는 이슬점보다 3℃이상으로 하고 도포 및 경화중 대기온도는 10℃~28℃, 상대습도는 85% 이하로 도료온도는 20℃가 적합하도록 하고 도료 혼합시 에폭시계 폴리아마이드를 포함하는 수지2액형 투명 하도프라이머 PTA(주제):PTB(경화제) 비율은 1:1로 혼합한 고형물용적비 30~35%에 대하여 희석제는 3~5중량부, 합성향료 0.05~0.2중량부를 2~3분 균일하게 고속 교반한 후 붓, 롤러, 스프레이(에어는 에어리스)로 도포 두께 50~70㎛ 도포 및 경화하여 접합부재 역할을 하도록 형성하여 하도층(2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도층(20) 표면에 기공에 의한 기포 발생 또는 오염물질에 의한 하자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그라인딩 또는 페이퍼작업을 통해 0.5~0.8 깊이로 스크래핑(30) 작업하는 단계;
    상기 하도층(20)에 형성된 스크래핑(30) 표면에 도포 및 경화할 때 주위 및 표면온도 최적조건은 15℃~28℃, 상대습도는 85% 이하로 하고 도료의 자체온도는 20℃가 적합하도록 하며 도료혼합시 PTA(주제):PTB(경화제) 비율은 3:1로 무용제 라이닝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고 자체평활(Self - Levelling)이 가능한 무용제 중상도 겸용 바닥재로서 고형물용적비 40~96%에 대하여 희석제는 3~5중량부, 600~3,000메쉬이고 900~1,500ion/cc인 투어마린 5~30중량부, 합성향료 0.05~0.2중량부를 고속 교반기로 약1~2분간 균일하게 1차 혼합한 후, 1차혼합된 도료를 다른 용기로 옮긴 후 고속 교반기로 1~2분간 균일하게 2차 혼합한 후 고데장치로 도포 두께 1,000~3,000㎛ 도포하고 경화시켜 도로 표면부 역할을 하는 중도층(4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중도층(40) 표면에 도포시 주위온도가 5℃이상, 상대습도가 85%이하로 폴리아마이드 수지를 포함하는 2액형 유색코팅 바닥재 수지 PTA(주제) : PTB(경화제) 비율은 2:1로 혼합한 고형물 40~55중량부에 대하여 희석제는 3~5중량부, 600~3,000메쉬이고 900~1,500ion/cc인 투어마린 5~10중량부, 합성향료 0.05~0.2중량부를 고속 교반기로 3분간 균일하게 혼합하고 1회 도포 두께를 40~50㎛로 2회 붓, 롤러, 스프레이(에어는 에어리스) 중 어느 한 공정으로 도포하여 음이온이 고르게 흡착되고 경화하여 인체에 유용한 900~1,500개(ion/cc)의 음이온이 발생하도록 마감층(50)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바닥재 도장방법.
KR1020120053479A 2012-05-21 2012-05-21 음이온기능활성제를 이용한 다중 이용시설의 친환경 바닥재 및 이를 이용한 도장방법 KR101248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479A KR101248395B1 (ko) 2012-05-21 2012-05-21 음이온기능활성제를 이용한 다중 이용시설의 친환경 바닥재 및 이를 이용한 도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479A KR101248395B1 (ko) 2012-05-21 2012-05-21 음이온기능활성제를 이용한 다중 이용시설의 친환경 바닥재 및 이를 이용한 도장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8395B1 true KR101248395B1 (ko) 2013-04-02

Family

ID=48441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3479A KR101248395B1 (ko) 2012-05-21 2012-05-21 음이온기능활성제를 이용한 다중 이용시설의 친환경 바닥재 및 이를 이용한 도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839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7002A (ja) * 2000-11-09 2002-05-22 Toyo Tex Co Ltd 建築用化粧床材
KR20040076340A (ko) * 2003-02-25 2004-09-01 고성재 건강바닥층의 시공방법
KR20090093743A (ko) * 2008-06-10 2009-09-02 (주)한국환경종합건축사사무소 원적외선 방사 및 항균 효과를 가지는 탄성 바닥재의시공방법
KR100919415B1 (ko) * 2009-02-23 2009-09-29 (주)휴먼텍코리아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친환경 음이온바닥재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친환경 음이온바닥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7002A (ja) * 2000-11-09 2002-05-22 Toyo Tex Co Ltd 建築用化粧床材
KR20040076340A (ko) * 2003-02-25 2004-09-01 고성재 건강바닥층의 시공방법
KR20090093743A (ko) * 2008-06-10 2009-09-02 (주)한국환경종합건축사사무소 원적외선 방사 및 항균 효과를 가지는 탄성 바닥재의시공방법
KR100919415B1 (ko) * 2009-02-23 2009-09-29 (주)휴먼텍코리아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친환경 음이온바닥재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친환경 음이온바닥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eydecker Nano materials: in architecture, interior architecture and design
Ohama et al. Application of titanium dioxide photocatalysis to construction materials: state-of-the-art report of the RILEM Technical Committee 194-TDP
Lettieri et al. Field performances of nanosized TiO2 coated limestone for a self-cleaning building surface in an urban environment
CN105315727B (zh) 可释放负氧离子的生态型多功能无机干粉涂料
KR100903686B1 (ko) 나노점토를 이용한 친환경 건축내장용 나노복합 도료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05004B1 (ko) 일라이트 담체를 함유하는 수용성 도료 조성물
Tsakas et al. Indoor air pollutants and the impact on human health
Pini et al. Environmental and human health assessment of life cycle of nanoTiO2 functionalized porcelain stoneware tile
CN212405859U (zh) 一种新型无机预涂板
CN204676832U (zh) 一种新型弹性地板
CN103619966B (zh) 具有高光催化性和清洁性作用的表面处理剂
Anous Nanomaterials and their applications in interior design
KR101248395B1 (ko) 음이온기능활성제를 이용한 다중 이용시설의 친환경 바닥재 및 이를 이용한 도장방법
CN103862792A (zh) 功能性复合材料及其制造方法和用于原位环境修复方法
JP2006341411A (ja) 積層体
KR20110128110A (ko) 음이온 방출 건강 강마루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050051596A (ko) 파티션 커버용 포텍스원단에 코팅되는 천연광석물 조성물및 이로부터 기능성 친환경 파티션을 제조하는 방법
JP4936159B2 (ja) 化粧付き吸放湿材
JP2006348574A (ja) 化粧付き吸放湿材
CN2828204Y (zh) 一种抗菌地板
KR100989823B1 (ko) 기능성 벽지도료와 이를 이용한 기능성 벽지 제조방법 및 기능성 벽지
Malhotra et al. Adapting sustainable materials for interiors-pre & post covid scenarios and applications
CN106193483A (zh) 氧源防雾霾高浓度负离子健康环保阻燃多功能壁布制作施工技术及产品
Hemeida Green nanoarchitecture
CN111473438A (zh) 一种空气净化用壁材及其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