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7356B1 -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7356B1
KR101247356B1 KR1020100077679A KR20100077679A KR101247356B1 KR 101247356 B1 KR101247356 B1 KR 101247356B1 KR 1020100077679 A KR1020100077679 A KR 1020100077679A KR 20100077679 A KR20100077679 A KR 20100077679A KR 101247356 B1 KR101247356 B1 KR 101247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gate
float
level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7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5520A (ko
Inventor
나필찬
이수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필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필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필택
Priority to KR1020100077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7356B1/ko
Publication of KR20120015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5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7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7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격벽으로 구분된 일측의 수조에 구비되는 게이트를 이용해 타측 수조의 수위가 조절되면서 그 수표면의 부유물이 월류방식으로 분리 처리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게이트 조절을 통한 수위 조절 방식으로 오폐수의 처리가 이루어지므로, 안정적이고 정밀하면서 연속적인 처리가 가능하며, 또한 부유물이 월류되는 수위가 게이트를 통해 정밀 제어됨으로써 부유물 수거처리기로 흘러들어가는 물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분리 후에도 물과 부유물을 다시 분리하는 재처리 과정이 불요하여 오폐수 처리비용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THEREOF}
본 발명은 오폐수 처리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위조절을 통해 월류방식으로 처리수 내의 기름이나 그 이외 이물질 등의 부유물을 분리하는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폐수 등의 처리수 내에 함유된 기름 또는 이물질들은 현저한 비중 차이와 서로 혼합되지 않는 물리적 특성으로 인해 물의 상부에 부상하게 되지만, 기계적인 원인이나 화학적인 원인에 의하여 기름의 미세한 분자가 수중에 존재하면서 떠오르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다. 즉, 물속에 기름 성분이 혼합되는 경우는 물리적인 원인으로써 회전하는 스크류에 의한 와류가 형성되거나 펌프의 흡입력으로 관체 내에서 빠른 유속 상태가 되면서 기름이 물속에 혼합될 수 있고, 화학적인 방법으로는 계면활성제의 화학적 반응에 의하여 물과 기름의 특성이 중화되어 서로 혼합될 수 있으며, 또한 초음파에 의하여 혼합되기도 한다.
이렇게 물속에 존재하는 기름 성분은 환경오염에 심각한 영향을 주게 되므로 물속에 혼합된 기름 성분을 물로부터 분리시킬 필요가 있다. 특히, 대량의 오폐수가 오폐수 처리장에 유입되면 처리약품을 과도하게 사용하여야 하는 등 오폐수 처리에 어려움이 많기 때문에 사전에 유수 분리를 수행할 필요성이 있다.
일반적으로 유수를 분리하는 방법은 유성오수를 유수분리기 내에 체류시켜 유수 중에 포함되어 있는 유립(油粒)의 비중차를 이용하여 분리시키거나, 유수에 전류를 가하여 기름의 전기적 평형을 깨뜨려 응결을 유도하고,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기포에 의해 응결, 응집된 기름을 부상시키는 방법이 각각 별도로 적용되어 사용된다.
상기 유립의 비중차를 이용하여 유수를 분리하는 방법은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비중차에 의해 기름이 부상하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그로 인해 유수분리기의 전체 크기가 커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절삭공정이나 압연공정을 원활하게 실시하기 위한 유화유 등의 경우 수중에 분산된 기름의 직경이 l㎛ 이하로 매우 작아 장시간 방치하여도 부상하지 않음으로써 물과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비중차를 이용한 분리방법을 적용할 수 없다.
또, 상기 전해부상을 이용하여 유수를 분리하는 방법은 전기적 평형을 이루고 있는 유화(emulsified)된 기름에 전류를 가하여 응결, 응집시키고, 이때 발생된 기포에 의해 기름을 부상시켜 유수를 분리한다. 이러한 전해부상법은 기름을 응집 및 응결시키는 데는 효과가 있으나 기름을 부상시키는 기포의 부상거리가 상기 비중차 분리방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기 때문에, 기포가 부상하는 동안 기름이 물과 접촉하는 시간이 길어져 기름이 기포로부터 다시 이탈됨으로써 분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기름과 같은 오폐수를 처리하는 방식에 있어, 물의 상부에 부상된 기름을 버켓(bucket) 등을 이용하여 외부로 제거하고 있으나, 물과 기름이 함께 제거됨으로 인해 2차적으로 물과 기름을 재처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격벽으로 구분된 수조의 일측 수조에서 게이트를 통해 수위를 조절하여 타측 수조의 수위를 조절함으로써 타측 수조에서 월류방식으로 부유물을 분리하는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처리장치는, 입수된 물과 부유물이 분리되어 상기 부유물이 수면상으로 부상되는 분리조와 분리된 물을 배출하는 배출조를 구분하는, 하부가 개구된 격벽; 상기 분리조에 설치되어 상기 부유물이 월류되어 저장 및 처리되는 부유물 수거처리기; 상기 분리조에 설치되어 상기 부유물의 두께를 측정하는 경계층센서; 상기 배출조의 수위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격벽과 상,하 교호적으로 개구를 갖는 수위조절용 격벽에 설치된 게이트를 조절하는 게이트 조절기; 상기 배출조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 및 상기 부유물의 두께가 기준치 이상일 경우에 상기 부유물 수거처리기로 상기 부유물이 월류될 수 있도록 분리조의 수위를 높이기 위해 상기 게이트를 제어하는 게이트 제어신호를 상기 게이트 조절기로 출력하며, 상기 부유물이 월류되어 상기 부유물의 두께가 기준치 미만이 될 때까지 상기 수위센서로부터 측정된 수위에 대응하여 상기 분리조의 수위가 상기 부유물 수거처리기에서의 상기 부유물이 월류높이로 될 수 있도록 상기 게이트를 제어하는 게이트 제어신호를 상기 게이트 조절기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처리장치는, 입수된 물과 부유물이 분리되어 상기 부유물이 수면상으로 부상되는 분리조와 분리된 물을 배출하는 배출조를 구분하는, 하부가 개구된 격벽; 상기 분리조에 설치되어 상기 부유물이 월류되어 저장 및 처리되는 부유물 수거처리기; 상기 부유물 수거처리기에서의 상기 부유물의 월류높이를 측정하는 경계층센서; 상기 배출조의 수위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격벽과 상,하 교호적으로 개구를 갖는 수위조절용 격벽에 설치된 게이트를 조절하는 게이트 조절기; 상기 배출조의 수위를 측정하며, 상기 경계층센서보다 아래에 설치된 상부수위센서 및 하부수위센서; 및 상기 하부수위센서, 상부수위센서 및 경계층센서 순으로 물이 센싱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배출조에서의 월류높이를 낮출 수 있도록 단계적으로 상기 게이트를 제어하는 게이트 제어신호를 상기 게이트 조절기로 출력하며, 상기 경계층센서, 상부수위센서 및 하부수위센서 순으로 물이 센싱되는 않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배출조에서의 월류높이를 높일 수 있도록 단계적으로 상기 게이트를 제어하는 게이트 제어신호를 상기 게이트 조절기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분리조에는 상기 입수된 물과 부유물을 응집시켜 수표면으로 부상시키는 응집기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리조와 격벽에 의해 분리되며, 격벽의 개구된 하부를 통해 상기 응집기로 입수된 물과 부유물을 공급하는 유입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유물 수거처리기는 부유물 수집 레벨을 센싱하여 부유물 레벨신호를 출력하는 부유물 레벨센서와, 상기 부유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펌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전달된 상기 부유물 레벨신호로부터 부유물을 제거하기 위한 펌프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펌프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펌프에 의한 부유물의 펌핑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처리방법은, 하부가 개구된 격벽에 의해, 입수된 물과 부유물이 분리되어 상기 부유물이 수면상으로 부상되는 분리조와, 상기 분리조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배출조의 수위조절용 격벽에 설치된 게이트를 구비하는 배출조로 구분되는 수처리장치에 적용되는데, 상기 분리조에 설치된 경계층센서를 통해 상기 부유물의 두께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부유물의 두께가 기준치 이상일 경우에 부유물 수거처리기로 상기 부유물이 월류될 수 있도록 상기 게이트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부유물의 두께가 기준치 미만이 될 때까지 상기 배출조에 설치된 수위센서로부터 측정된 수위에 대응하여 상기 분리조의 수위가 상기 부유물 수거처리기에서의 상기 부유물의 월류높이로 될 수 있도록 상기 게이트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처리방법은, 하부가 개구된 격벽에 의해, 입수된 물과 부유물이 분리되어 상기 부유물이 수면상으로 부상되는 분리조와, 상기 분리조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배출조의 수위조절용 격벽에 설치된 게이트를 구비하는 배출조로 구분되며, 상기 분리조에는 상기 부유물의 월류높이를 측정하는 경계층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배출조에 상기 경계층센서보다 아래에 설치된 상부수위센서 및 하부수위센서가 설치되어 있는 수처리장치에 적용되는데, 상기 하부수위센서, 상부수위센서 및 경계층센서 순으로 물이 센싱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배출조에서의 월류높이를 낮출 수 있도록 단계적으로 상기 게이트를 제어하는 게이트 제어신호를 상기 게이트 조절기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경계층센서, 상부수위센서 및 하부수위센서 순으로 물이 센싱되는 않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배출조에서의 월류높이를 높일 수 있도록 단계적으로 상기 게이트를 제어하는 게이트 제어신호를 상기 게이트 조절기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부유물이 월류되는 수위가 게이트를 통해 정밀 제어됨으로써 부유물 수거처리기로 흘러들어가는 물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분리 후에도 물과 부유물을 다시 분리하는 재처리 과정이 불요하여 오폐수 처리비용을 줄일 수 있다.
게이트 조절을 통한 수위 조절 방식으로 오폐수의 처리가 이루어지므로, 안정적이고 정밀하면서 연속적인 처리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장치의 제어회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의 수처리방법을 위한 센서 위치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히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처리장치는 케이스(1) 내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교호적으로 개구를 갖는 제1격벽(2), 제2격벽(3), 제3격벽(4)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1격벽(2)과 제2격벽(3)에 의해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조(P1)와, 물과 부유물을 분리하는 분리조(P2)와, 그리고 분리된 물을 배출하는 배출조(P3)로 구분되어 진다.
유입조(P1)는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5)와 연통되며, 원수가 제1격벽(2)의 하부를 통해 분리조(P2)측으로 흐르게 된다.
분리조(P2)는 제1격벽(2)의 하부를 통해 유입된 원수 내의 부유물(기름, 오니 등)을 응집시켜 수표면으로 부상시키는 응집기(6)가 구비되어 있으며, 응집기(6)를 통과한 처리수 수표면에 부상된 부유물을 월류방식으로 분리해 수집하는 부유물 수거처리기(7)가 구비되어 있다. 부유물 수거처리기(7)에는 부유물 수집 레벨을 센싱하여 부유물 레벨신호를 출력하는 부유물 레벨센서(8)를 설치할 수 있다. 부유물 수거처리기(7)는 부유물을 수처리장치 외부로 배출하는 펌프(미도시)를 포함한다. 한편, 분리조(P2)에는 분리조(P2)의 수면을 기준점으로 하여 부유물의 두께를 측정하거나 수위를 측정하는 경계층센서(9)가 설치될 수 있다.
배출조(P3)는 분리조(P2)로부터 부유물이 분리된 처리수를 제3격벽(4)의 상단을 이용해 월류방식으로 배출시키게 되는데, 이때 제3격벽(4)의 상단에는 게이트 조절기(10)가 설치되어 있다. 게이트 조절기(10)를 구성하는 판형 바(Bar) 형태의 게이트(101)는 하부는 경첩으로 고정되고 상부는 자유단으로 와이어로 연결되어 엑츄에이터, 일례로서 게이트 모터 등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게이트(101)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수위를 조절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승하강 등의 다양한 방식에 의해 수위를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게이트(101)는, 게이트(101) 회전에 의해, 부유물 수거처리기(7)에서 부유물이 월류되는 높이와 동일하거나 그 이상이 되는 크기를 갖는다. 그리고, 배출조(P3)에는 배출조(P3)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1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수위센서(11)는 선형적으로 수위변화를 센싱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배출조(P3)는 배출구(12)와 연통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입조(P1)를 마련하여 제1격벽(2)의 하부를 통해 원수를 응집기(6)로 공급하고 있으나, 유입구(5)를 응집기(6)로 직접 연결시킬 수 있다. 즉, 제1격벽(2)을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경계층센서(9)와 수위센서(11)를 구성하고 있으나, 어느 하나의 센서만을 이용하여 게이트 조절기(10)를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센서를 더 부가하여 게이트 조절기(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장치의 제어회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처리장치의 제어회로는, 분리조(P2)의 수면을 기준점으로 하여 부유물의 두께를 측정하여 경계층신호를 출력하는 경계층센서(9)와, 배출조(P3)의 수위를 측정하여 수위신호를 출력하는 수위센서(11)와, 부유물 수거처리기(7)의 부유물 수집 레벨을 센싱하여 부유물 레벨신호를 출력하는 부유물 레벨센서(8)와, 경계층신호의 발생여부에 대응하여 분리조(P2) 수면의 승하강을 조절하기 위해 수위신호에 대응하여 게이트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부유물 레벨신호로부터 부유물을 제거하기 위한 펌프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3)와, 게이트 제어신호에 의해 게이트(101)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게이트 조절기(10)와, 펌프제어신호에 의해 부유물의 펌핑이 이루어지는 펌프(14)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경계층센서(9)가 부유물의 두께를 측정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이 경계층센서(9)는 분리조(P2)의 수위를 측정하여 분리조(P2)의 수위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즉, 경계층센서(9)가 수위센서(11)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그러면, 여기서 본 발명의 수처리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5)를 통해 입수되어 들어온 오폐수, 예를 들어 물과 기름 등이 유입조(P1)를 거쳐 응집기(6)를 통과하면서 부유물은 응집되어 유적이 커지면서 밀도차에 의해 상부로 부상하고(S1), 부유물이 제거된 물은 제2격벽(3) 하부를 통과해 제3격벽(4)을 월류하여 배출구(12)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 이때, 누적된 부유물의 두께가 기준치 이상이 되면 이를 경계층센서(9)가 감지하여 경계층신호를 출력하게 된다(S2~S4). 이에 제어부(13)에서는 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키게 되고(S5), 이에 따라 게이트(101)가 부유물 수거처리기(7)에서 부유물이 월류되는 높이와 동일하게 조절된다(S6). 결국, 분리조(P2)의 수면이 부유물 수거처리기(7)에서 부유물이 월류되는 높이와 동일하게 되어, 누적된 부유물이 월류방식으로 부유물 수거처리기(7)로 넘어가게 된다(S7). 이때, 입수량이 많아져 분리조(P2) 및 배출조(P3)의 수위가 상승하게 되면, 제어부(13)에서는 게이트(101) 높이를 낮추어 배출조(P3)의 수위를 낮춤으로써 분리조(P2)에서 물이 월류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입수량이 적어져 분리조(P2) 및 배출조(P3)의 수위가 낮아지게 되면, 제어부(13)에서는 게이트(101) 높이를 높여 배출조(P3)의 수위를 상승시킴으로써 분리조(P2)에서의 부유물의 월류를 돕는다(S8~S9). 이후, 부유물의 두께가 기준치 이하가 되면(S10), 게이트(101)를 수평으로 제어하여 분리조(P2) 및 배출조(P3)의 수위를 낮추어 부유물이 누적되도록 한다(S11).
한편, 부유물 수거처리기(7)의 부유물 층이 일정량 차게 되면, 부유물 레벨센서(8)가 부유물 레벨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이에 제어부(13)에서 펌프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펌프(14)를 구동시킴으로써 부유물을 외부 저장조로 이동시키게 된다(S12).
이와 같이, 수위센서(11)와 게이트(101)를 통해 수시로 배출조(P3)의 수위를 조절하여 분리조(P2)의 수면을 조절함으로써 유입수를 물과 부유물로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수처리장치의 작동이 멈추면 배출구(12)에 연결된 드레인 밸브를 열고 물을 분사하여 퇴적물을 제거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경계층센서(9), 상부수위센서(11a)및 하부수위센서(11b)를 이용하여 게이트(101)를 조절하는 경우이다. 즉, 수위센서(11)가 선형적으로 수위를 감지하는 것이 아니라 상부수위센서(11a) 및 하부수위센서(11b) 각각에서 출력되는 하이레벨과 로우레벨을 통해 수위를 감지하는 것이며, 경계층센서(9)는 부유물의 두께를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수위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이다.
이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계층센서(9)는 부유물 수거처리기(7)에서 부유물이 월류되는 높이에 설치되며, 상부수위센서(11a)는 경계층센서(9)와 동일높이에 설치되거나 낮은 위치에 설치되고, 하부수위센서(11b)는 게이트(101)의 회전축높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부수위센서(11a)의 설치 높이가 조절되는 이유는, 분리조(P2)와 배출조(P3)의 수면 상승 또는 하강하는 시간차에 따라 분리조(P2)에서 부유물이 월류되는 높이 이상으로 수면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수위센서(11b)를 게이트(101) 회전축의 높이에 설치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상부수위센서(11a) 아래의 어느 위치에도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수처리장치는 최초 게이트(101)가 수직상태로 세팅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게이트(101)는 수직상태를 유지하며(S21), 경계층센서(9), 상부수위센서(11a) 및 하부수위센서(11b) 모두로부터 센싱신호가 발생하지 않는 상태에서 수위가 상승하여 최초 하부수위센서(11b)가 동작하면 게이트(101)를 수직상태(부유물 수거처리기(7)에서 부유물이 월류되는 높이)로 계속 유지시킨다(S22). 계속하여 수면이 상승하여 상부수위센서(11a)가 동작하면 제어부(13)에서는 게이트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게이트(101)를 수직상태로 계속 유지시키거나 게이트(101)를 일정각도로 회전시켜 배출조(P3)에서의 월류높이를 낮춘다(S23). 이는 게이트(101)를 수평상태로 제어하여 수면을 낮추는 제어가 이루어지기 이전의 완충작용을 수행함으로써 분리조(P2)에서 부유물이 월류되는 높이의 정밀 제어를 수행하기 위함이다. 이후, 경계층센서(9)가 동작하면 제어부(13)에서는 게이트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게이트(101)를 수평상태로 제어하여 배출조(P3)의 수면을 낮춤으로써 분리조(P2)의 수면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한다(S24).
한편, 수면이 하강하여 경계층센서(9)가 동작하지 않으면 제어부(13)에서는 게이트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게이트(101)를 수평상태로 유지하거나 일정각도로 회전시켜 배출조(P3)에서의 월류높이를 높인다(S25). 이어서 계속 수면이 낮아져 상부수위센서(11a)가 동작하지 않으면 게이트(101)를 일정각도로 회전시켜 배출조(P3)에서의 월류높이를 높인다(S26). 이는 게이트(101)를 수직상태로 제어하여 수면을 높이는 제어가 이루어지기 이전의 완충작용을 수행함으로써 경계층 높이의 정밀 제어를 수행하기 위함이다. 이후, 하부수위센서(11b)가 동작하지 않으면 제어부(13)에서는 게이트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게이트(101)를 수직상태로 제어하여 배출조(P3)의 수면을 높임으로써 분리조(P2)의 수면이 상승하도록 한다(S27).
이와 같이, 경계층센서(9), 상부수위센서(11a)및 하부수위센서(11b)의 조합에 의해 연속적인 오폐수 처리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부유물이 누적된 두께에 상관없이 분리조(P2)와 배출조(P3)의 수위 조절을 통해 부유물 제거 과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경계층센서(9)가 수위를 측정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도 3에서와 제시한 바와 같이 경계층센서(9)가 부유물의 두께를 측정하도록 하고, 배출조(P3)에 상부수위센서(11a) 및 하부수위센서(11b)를 배치하여, 누적된 부유물의 두께가 기준치 이상이 되면 이를 경계층센서(9)가 감지하여 경계층신호를 출력하고, 하부수위센서(11b)가 동작함에 따라 게이트(101)를 월류높이로 높이고, 상부수위센서(11a)가 동작함에 따라 게이트(101)를 월류높이보다 낮추도록 제어함으로써 부유물을 제거할 수도 있다. 이때, 상부수위센서(11a)는 월류높이와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몇 가지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2 : 제1격벽 3 : 제2격벽
4 : 제3격벽 6 : 응집기
7 : 부유물 수거처리기 8 : 부유물 레벨센서
9 : 경계층센서 10 : 게이트 조절기
11 : 수위센서 13 : 제어부

Claims (9)

  1. 입수된 물과 부유물이 분리되어 상기 부유물이 수면상으로 부상되는 분리조와 분리된 물을 배출하는 배출조를 구분하는, 하부가 개구된 격벽;
    상기 분리조에 설치되어 상기 부유물이 월류되어 저장 및 처리되는 부유물 수거처리기;
    상기 분리조에 설치되어 상기 부유물의 두께를 측정하는 경계층센서;
    상기 배출조의 수위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격벽과 상,하 교호적으로 개구를 갖는 수위조절용 격벽에 설치된 게이트를 조절하는 게이트 조절기;
    상기 배출조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 및
    상기 부유물의 두께가 기준치 이상일 경우에 상기 부유물 수거처리기로 상기 부유물이 월류될 수 있도록 분리조의 수위를 높이기 위해 상기 게이트를 제어하는 게이트 제어신호를 상기 게이트 조절기로 출력하며, 상기 부유물이 월류되어 상기 부유물의 두께가 기준치 미만이 될 때까지 상기 수위센서로부터 측정된 수위에 대응하여 상기 분리조의 수위가 상기 부유물 수거처리기에서의 상기 부유물이 월류높이로 될 수 있도록 상기 게이트를 제어하는 게이트 제어신호를 상기 게이트 조절기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부유물 수거처리기는 부유물 수집 레벨을 센싱하여 부유물 레벨신호를 출력하는 부유물 레벨센서와, 상기 부유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전달된 상기 부유물 레벨신호로부터 부유물을 제거하기 위한 펌프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펌프제어신호를 상기 펌프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조에는 상기 입수된 물과 부유물을 응집시켜 수표면으로 부상시키는 응집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조와 격벽에 의해 분리되며, 격벽의 개구된 하부를 통해 상기 응집기로 입수된 물과 부유물을 공급하는 유입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4. 하부가 개구된 격벽에 의해, 입수된 물과 부유물이 분리되어 상기 부유물이 수면상으로 부상되는 분리조와, 상기 분리조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해 수위조절용 격벽에 설치된 게이트를 구비하는 배출조로 구분되는 수처리장치의 수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분리조에 설치된 경계층센서를 통해 상기 부유물의 두께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부유물의 두께가 기준치 이상일 경우에 부유물 수거처리기로 상기 부유물이 월류될 수 있도록 상기 게이트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부유물의 두께가 기준치 미만이 될 때까지 상기 배출조에 설치된 수위센서로부터 측정된 수위에 대응하여 상기 분리조의 수위가 상기 부유물 수거처리기에서의 상기 부유물의 월류높이로 될 수 있도록 상기 게이트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부유물 수거처리기로 월류된 부유물에 대해 부유물 수집 레벨을 센싱하여 부유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펌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방법.
  5. 입수된 물과 부유물이 분리되어 상기 부유물이 수면상으로 부상되는 분리조와 분리된 물을 배출하는 배출조를 구분하는, 하부가 개구된 격벽;
    상기 분리조에 설치되어 상기 부유물이 월류되어 저장 및 처리되는 부유물 수거처리기;
    상기 부유물 수거처리기에서의 상기 부유물의 월류높이를 측정하는 경계층센서;
    상기 배출조의 수위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격벽과 상,하 교호적으로 개구를 갖는 수위조절용 격벽에 설치된 게이트를 조절하는 게이트 조절기;
    상기 배출조의 수위를 측정하는 상부수위센서 및 하부수위센서; 및
    상기 하부수위센서, 상부수위센서 및 경계층센서 순으로 물이 센싱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배출조에서의 월류높이를 낮출 수 있도록 단계적으로 상기 게이트를 제어하는 게이트 제어신호를 상기 게이트 조절기로 출력하며, 상기 경계층센서, 상부수위센서 및 하부수위센서 순으로 물이 센싱되는 않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배출조에서의 월류높이를 높일 수 있도록 단계적으로 상기 게이트를 제어하는 게이트 제어신호를 상기 게이트 조절기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조에는 상기 입수된 물과 부유물을 응집시켜 수표면으로 부상시키는 응집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조와 격벽에 의해 분리되며, 격벽의 개구된 하부를 통해 상기 응집기로 입수된 물과 부유물을 공급하는 유입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물 수거처리기는 부유물 수집 레벨을 센싱하여 부유물 레벨신호를 출력하는 부유물 레벨센서와, 상기 부유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펌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전달된 상기 부유물 레벨신호로부터 부유물을 제거하기 위한 펌프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펌프제어신호를 상기 펌프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9. 하부가 개구된 격벽에 의해, 입수된 물과 부유물이 분리되어 상기 부유물이 수면상으로 부상되는 분리조와, 상기 분리조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해 수위조절용 격벽에 설치된 게이트를 구비하는 배출조로 구분되며, 상기 분리조에는 상기 부유물의 월류높이를 측정하는 경계층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배출조에 상부수위센서 및 하부수위센서가 설치되어 있는 수처리장치의 수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부수위센서, 상부수위센서 및 경계층센서 순으로 물이 센싱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배출조에서의 월류높이를 낮출 수 있도록 단계적으로 상기 게이트를 제어하는 게이트 제어신호를 상기 게이트 조절기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경계층센서, 상부수위센서 및 하부수위센서 순으로 물이 센싱되지 않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배출조에서의 월류높이를 높일 수 있도록 단계적으로 상기 게이트를 제어하는 게이트 제어신호를 상기 게이트 조절기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방법.
KR1020100077679A 2010-08-12 2010-08-12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101247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7679A KR101247356B1 (ko) 2010-08-12 2010-08-12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7679A KR101247356B1 (ko) 2010-08-12 2010-08-12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5520A KR20120015520A (ko) 2012-02-22
KR101247356B1 true KR101247356B1 (ko) 2013-03-25

Family

ID=45838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7679A KR101247356B1 (ko) 2010-08-12 2010-08-12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73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1534A (ko) * 2016-10-14 2018-04-24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습식 정제 장치 일체형 타르 회수 장치
WO2020122911A1 (en) * 2018-12-13 2020-06-18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slop water treatment efficienc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2272B1 (ko) * 2013-02-07 2015-06-30 홍인규 스컴 및 부유물질 제거 장치 및 스컴 및 부유물질 제거 방법
KR20170100429A (ko) * 2016-02-24 2017-09-04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절삭유 재생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2115Y1 (ko) * 1996-02-05 1998-12-01 김유성 유수분리 장치
KR200259168Y1 (ko) 2001-10-15 2002-01-18 손을택 부상분리조
KR100447271B1 (ko) * 2004-05-13 2004-09-04 한국수자원공사 용존공기부상지의 가변형 유출웨어와 유출비치
KR100763876B1 (ko) 2004-06-08 2007-10-05 주식회사 호국이엔지 스컴 제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2115Y1 (ko) * 1996-02-05 1998-12-01 김유성 유수분리 장치
KR200259168Y1 (ko) 2001-10-15 2002-01-18 손을택 부상분리조
KR100447271B1 (ko) * 2004-05-13 2004-09-04 한국수자원공사 용존공기부상지의 가변형 유출웨어와 유출비치
KR100763876B1 (ko) 2004-06-08 2007-10-05 주식회사 호국이엔지 스컴 제거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1534A (ko) * 2016-10-14 2018-04-24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습식 정제 장치 일체형 타르 회수 장치
WO2020122911A1 (en) * 2018-12-13 2020-06-18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slop water treatment efficiency
GB2593325A (en) * 2018-12-13 2021-09-22 Haliburton Energy Services Inc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slop water treatment efficiency
US11401171B2 (en) 2018-12-13 2022-08-02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slop water treatment efficiency
GB2593325B (en) * 2018-12-13 2023-01-11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slop water treatment efficienc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5520A (ko) 2012-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72505B2 (en) Primary equalization settling tank
KR101247356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CA287340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vertical lift decanter system in a water treatment system
WO2011090820A2 (en) Screened decanter assembly for a settling tank
KR101663368B1 (ko) 계단형 가압부상분리장치
JP7006608B2 (ja) 浮上分離装置
KR101773379B1 (ko) 사이클론을 포함하는 수평형 유도가스 부상분리를 이용한 유수처리 장치 및 그 방법
CN104671321A (zh) 高效溶气气浮机
KR101701399B1 (ko) 이동형 약품반응 침사지
KR100777132B1 (ko) 비중 분리 고속 침전조
JP2001269663A (ja) 固形物回収装置
JP2009241045A (ja) スラリ循環型凝集沈殿処理装置、及びその運転方法
KR101761246B1 (ko) 수위조절식 부상분리조가 구비된 선회식 가압부상장치
JP4385311B2 (ja) スカム検出方法および装置
JP2008155104A (ja) 油水分離装置
KR100797170B1 (ko) 침전효율을 높일 수 있는 침전지
JP4718353B2 (ja) 沈殿槽
JP3274577B2 (ja) 濁水処理装置
KR100464716B1 (ko) 수처리 및 폐수처리용 고액분리기
KR100545746B1 (ko) 슬러지의 침전효율과 수처리효율이 우수한 개선된 구조의침전조
KR102278033B1 (ko) 역세 필터를 갖춘 전해응집을 이용한 폐수처리 장치
KR102066510B1 (ko) 경사형 스파이럴 슬러지수집기
JP4961294B2 (ja) 液体処理装置及び液体処理方法
KR101237412B1 (ko) 상향류 여과장치의 필터 세척장치
KR20080076877A (ko) 오수 부상분리처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