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7318B1 - 직선왕복 트래버스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풍력발전장치 - Google Patents

직선왕복 트래버스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풍력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7318B1
KR101247318B1 KR1020100042809A KR20100042809A KR101247318B1 KR 101247318 B1 KR101247318 B1 KR 101247318B1 KR 1020100042809 A KR1020100042809 A KR 1020100042809A KR 20100042809 A KR20100042809 A KR 20100042809A KR 101247318 B1 KR101247318 B1 KR 101247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
guide
cam
slider
gu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2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3370A (ko
Inventor
신중호
양현대
강옥례
신명철
Original Assignee
신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중호 filed Critical 신중호
Priority to KR1020100042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7318B1/ko
Publication of KR20110123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3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7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7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5/00Transmission of mechanical pow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80/00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3D1/00 - F03D17/00
    • F03D80/50Maintenance or rep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80/00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3D1/00 - F03D17/00
    • F03D80/70Bearing or lubrica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1/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 F16H21/1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 F16H21/16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for interconverting rotary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20/00Application
    • F05B2220/70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 F05B2220/706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an electrical generator
    • F05B2220/707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an electrical generator of the linear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선왕복 트래버스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풍력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캠과, 상기 캠의 외면에 형성되는 캠홈과, 상기 캠홈에 수용되는 복수의 가이드 및 상기 복수의 가이드가 모두 연결되고, 상기 캠의 외주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에 의해 이동하는 슬라이더가 포함되며, 상기 캠홈에는 상기 복수의 가이드 중 일부의 이동을 안내하며, 복수의 변곡점이 형성되는 제 1 패스와, 상기 제 1 패스와 대칭되는 형상으로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 1 패스와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가이드 중 나머지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 2 패스가 포함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방향이 상기 제 1 패스 및 제 2 패스의 변곡점에서 전환되며, 상기 제 1 패스와 제 2 패스에는 서로 연결되어 복수의 가이드가 순차적으로 경유하는 공유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방향전환 횟수는 상기 제 1 패스와 제 2 패스에 형성된 변곡점의 총합과 대응되며, 상기 변곡점 및 공유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이에 의하면, 슬라이더의 직선왕복운동 속도가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직선왕복 트래버스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풍력발전장치{ Linear reciprocating traverse unit and wind power generation device using of the same unit }
본 발명은 직선왕복 트래버스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풍력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선왕복운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기구에는 유압실린더 구동형, 볼나사 구동형 및 직선 가이드 구동형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들의 직선 이송운동은 양방향으로 회전하는 모터에 의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양방향 구동 모터가 포함되는 기구에서는, 방향 전환에 따른 모터의 과부하 발생이 문제점으로 제기되었다.
이에, 일 방향 회전으로 직선 왕복운동을 발생시키는 트래버스 캠 기구가 개발되었으며, 이는 주로 실을 보빈에 감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트래버스 캠 기구는 캠에 함몰 형성된 경로를 따라 가이드가 이동하면서 이와 연결된 슬라이더가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트래버스 캠 기구는 상기 슬라이더의 방향전환을 위해 상기 가이드가 경로의 끝단까지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캠에 형성된 가이드의 이동경로는 슬라이더의 일방향 진행을 위한 경로와, 반대방향 진행을 위한 경로가 서로 교차하면서 슬라이더가 진행방향을 유지하도록 하는 구간과, 단부에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슬라이더의 진행방향이 전환되도록 하는 구간이 포함되며, 가이드가 상기 이동경로를 모두 통과하게 될 경우 슬라이더가 1회 직선왕복운동 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이드가 전체 이동경로 즉, 캠의 리드를 모두 주행하지 않고서도 방향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캠의 1회전 시 복수의 스트로크가 형성되는 직선왕복 트래버스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슬라이더의 스트로크를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직선왕복 트래버스 유닛을 구비한 풍력발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외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캠과, 상기 캠의 외면에 형성되는 캠홈과, 상기 캠홈에 수용되는 복수의 가이드 및 상기 복수의 가이드가 모두 연결되고, 상기 캠의 외주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에 의해 이동하는 슬라이더가 포함되며, 상기 캠홈에는 상기 복수의 가이드 중 일부의 이동을 안내하며, 복수의 변곡점이 형성되는 제 1 패스와, 상기 제 1 패스와 대칭되는 형상으로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 1 패스와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가이드 중 나머지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 2 패스가 포함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방향이 상기 제 1 패스 및 제 2 패스의 변곡점에서 전환되며, 상기 제 1 패스와 제 2 패스에는 서로 연결되어 복수의 가이드가 순차적으로 경유하는 공유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방향전환 횟수는 상기 제 1 패스와 제 2 패스에 형성된 변곡점의 총합과 대응되며, 상기 변곡점 및 공유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기 제 1 패스와 제 2 패스를 이동하는 가이드 사이의 이격 거리는 상기 제 1 패스 또는 제 2 패스의 변곡점과 상기 공유부 사이의 거리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에는 상기 제 1 패스를 이동하는 제 1 가이드와, 상기 제 1 가이드와 쌍을 이루며 제 2 패스를 이동하는 제 2 가이드와, 상기 제 1 가이드의 대각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패스를 이동하는 제 3 가이드 및 상기 제 3 가이드와 쌍을 이루며 상기 제 2 가이드와 대각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제 2 패스를 이동하는 제 4 가이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에는 상기 캠홈의 내면과의 마찰을 줄이기 위한 구름운동 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장치는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유닛과, 직선왕복운동에 의해 전기가 발생되는 리니어 발전기와, 상기 회전유닛을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으로 캠을 회전시키고, 상기 캠에 형성되는 캠홈을 따라 복수의 가이드가 이동하면서 이와 연결된 슬라이더를 이동시켜 상기 리니어 발전기로 직선왕복운동을 전달하는 직선왕복 트래버스 유닛이 포함되며, 상기 캠홈은 복수의 변곡점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가이드 중 일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 1 패스와, 복수의 변곡점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가이드 중 나머지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 2 패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 1 패스와 제 2 패스가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가 제 1 패스 또는 제 2 패스의 변곡점을 이동하면서 상기 슬라이더의 진행방향을 전환하여 전기를 생성하기 위한 직선 왕복운동을 발생시키며, 상기 슬라이더의 진행방향 전환횟수는 상기 제 1 패스 및 제 2 패스에 형성된 변곡점의 총 개수와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기 회전유닛은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복수의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의 장착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이 고정되는 상판 및 하판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프레임에는 상대적으로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블레이드와, 상대적으로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블레이드가 포함되고, 상기 외측 블레이드 및 내측 블레이드는 모두 일단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은 일정범위 이내에서 요동가능하도록 고정되며, 상기 외측 블레이드와 내측 블레이드는 상호 반대 방향으로 굴곡 된 원호 형상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유닛은 상기 플레이트에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직선왕복 트래버스 유닛은 캠에 형성된 제 1 패스를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와, 제 2 패스를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가 각각 구분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패스와 제 2 패스는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되어 가이드가 서로 대칭되는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패스와 제 2 패스가 공유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경유에는 상기 가이드 사이의 거리가 제 1 패스 또는 제 2 패스의 변곡점과 공유부 사이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상기 슬라이더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 1 패스와 제 2 패스 사이에 연결되는 부분이 형성되지 않을 경우에는 제 1 패스의 가이드 이동 최상위 위상과 제 2 패스의 가이드 이동 최상위 위상 간의 최단거리가 유지될 수 있도록 슬라이더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가이드 간의 이격 거리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모든 가이드가 연결되는 슬라이더는 상기 제 1 패스를 이동하는 가이드에 의해 일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 2 패스를 이동하는 가이드에 의해 이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방향전환이 빠르고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향전환은 상기 캠의 1회전 시 복수의 슬라이더 스트로크를 형성하므로 빠른 속도의 직선왕복운동이 발생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장치는 상기와 같은 특징의 직선왕복 트래버스 유닛과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유닛을 연결하여 직선왕복운동을 발생시키고, 이를 리니어 발전기로 전달함으로써 전기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회전유닛의 회전력을 보다 효과적인 직선왕복운동으로 전환하게 되어 리니어 발전기의 발전효율이 상승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뿐만 아니라, 상기 직선왕복 트래버스 유닛과 회전유닛 사이에 회전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증속유닛을 더 구비함으로써 발전능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상기 회전유닛은 상기 증속유닛을 구성하는 플레이트에 별도의 기어결합 없이 체결부재를 통해 직접 연결될 수 있으므로, 결합 및 분해가 용이하며 이로 인하여 풍력발전장치의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 예인 직선왕복 트래버스 유닛의 외관을 보인 도면.
도 2는 도 1 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 에 도시된 캠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의 변위선도를 보인 도면.
도 4는 도 1 에 도시된 캠의 1회전 시 슬라이더의 스트로크 및 가이드의 이동 위치를 보이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인 직선왕복 트래버스 유닛의 슬라이더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6은 도 5 에 도시된 캠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의 변위선도를 보인 도면.
도 7 내지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직선왕복 트래버스 유닛이 0°에서 180°까지 회전하는 모습을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장치의 일실시 예를 보인 도면.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풍력발전장치의 요부구성 간 결합관계를 보이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도면.
도 13은 도 10 및 도 12 에 도시된 직선왕복 트래버스 유닛과 리니어 발전기가 연결된 모습을 보인 도면.
도 14는 도 13 의 분해 사시도.
도 15는 도 13에 증속유닛이 추가된 모습을 보인 도면.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증속유닛의 분해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하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 예인 직선왕복 트래버스 유닛의 외관을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 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는 도 1 에 도시된 캠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의 변위선도를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4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캠의 1회전 시 슬라이더의 스트로크 및 가이드의 이동 위치를 보이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 예인 직선왕복 트래버스 유닛(100)에는 외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캠(110)과, 상기 캠(110)의 외면에 구비되어 슬라이딩 직선 왕복운동하는 슬라이더(120) 및 상기 슬라이더(120)와 캠(110)을 연결하는 가이드(20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캠(110)은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캠축(112)을 통해 외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캠축(112)은 상기 캠(11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분리되어 조립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캠(110)의 외면에는 캠홈(140)이 형성된다.
상기 캠홈(140)은 아래에서 설명할 복수의 가이드(200)가 수용되어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관한 설명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캠(110)의 외주에는 상기 가이드(200)와 연결되어 직선왕복 운동하는 슬라이더(120)가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슬라이더(120)에는 상기 가이드(200)와 대응되는 크기의 가이드 수용홈(122)이 복수로 천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수용홈(122)에 수용되는 가이드(200)는 상기 캠홈(140)에 단부가 수용되어 상기 캠(110)의 회전시 상기 캠홈(14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캠홈(140)에는 상기 복수의 가이드(200) 중 일부가 이동하는 제 1 패스(142)와, 나머지 가이드(200)가 이동하는 제 2 패스(144) 및 상기 제 1 패스(142)와 제 2 패스(144)가 연결되면서 모든 가이드(200)가 순차적으로 경유하는 공유부(146)가 포함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직선왕복 트래버스 유닛(100)의 일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 1 패스(142)를 따라 제 1 가이드(220)와 제 3 가이드(260)가 이동하고, 상기 제 2 패스(144)를 따라 제 2 가이드(240)와 제 4 가이드(280)가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가이드(220)와 제 3 가이드(260) 그리고, 제 2 가이드(240)와 제 4 가이드(280)는 각각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연결되는 슬라이더(120)가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20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름운동 부재가 구비되어 캠홈(140)과 가이드(200) 사이의 마찰력을 줄이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구름운동 부재의 일실시 예로 복수의 베어링이 사용된다.
즉, 상기 제 1 가이드(220)에는 제 1 가이드 베어링(222)이 구비되어 제 1 패스(142)와 이에 수용되는 제 1 가이드(220)의 마찰을 줄이게 되고, 제 2 가이드(240)와 제 3 가이드(260) 및 제 4 가이드(280)에도 각각 동일한 기능의 제 2 가이드베어링(242)과, 제 3 가이드 베어링(262) 및 제 4 가이드 베어링(282)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베어링은 상기 캠홈(140)의 함몰 깊이와 이에 수용되는 가이드(200)의 삽입 위치에 따라 복수로 구비되거나 두께가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캠홈(140)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200)는 보다 안정적인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 패스(142)에는 상기 제 1 가이드(220) 또는 제 3 가이드(260)의 이동방향이 전환되는 제 1 변곡점(142A)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패스(144)에는 제 2 가이드(240) 및 제 4 가이드(280)의 이동방향이 전환되는 제 2 변곡점(144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패스(142)를 기준으로 제 1 변곡점(142A)은 상기 제 1 가이드(220) 및 제 3 가이드(260)의 상대적 최고점인 제 1 위상이 되고, 상기 공유부(146)는 상대적 최하점인 제 2 위상이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패스(144)를 기준으로 했을 경우에는 상기 공유부(146)가 상기 제 2 가이드(240) 및 제 4 가이드(280)의 상대적 최고점인 제 1 위상이 되고, 제 2 변곡점(144A)이 상대적 최하점인 제 2 위상이 된다.
즉, 상기 제 1 패스(142)와 제 2 패스(144)는 상기 공유부(146)를 중심으로 상하 대칭되고, 상기 제 1 가이드(220)와 제 2 가이드(240) 사이의 거리 또는 제 3 가이드(260)와 제 4 가이드(280)) 사이의 이격 거리는 각 패스의 제 1 위상 또는 제 2 위상 사이의 최단거리가 된다.
한편, 이와 같은 거리는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 1 패스(142) 또는 제 2 패스(144)의 변곡점과 상기 공유부(146) 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길이가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가이드(220) 및 제 3 가이드(260)가 상기 제 1 변곡점(142A)에 위치하게 될 경우 상기 제 2 가이드(240) 및 제 4 가이드(280)가 상기 공유부(146)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슬라이더(120)가 상기 제 1 가이드(220) 및 제 3 가이드(260)를 따라서 일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2 변곡점(144A)에 제 2 가이드(240) 및 제 4 가이드(280)가 위치하게 될 경우에는 상기 제 1 가이드(220) 및 제 3 가이드(260)가 상기 공유부(146)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슬라이더(120)가 상기 제 2 가이드(240) 및 제 4 가이드(280)를 따라서 타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인 직선왕복 트래버스 유닛의 슬라이더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도 5 에 도시된 캠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의 변위선도를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직선왕복 트래버스 유닛(100)의 다른 실시 예에서 설명되는 구성요소 중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면부호를 원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인 직선왕복 트래버스 유닛(100)은 캠홈(140)이 전술한 실시 예와 조금 다르게 형성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캠홈(140)은 전술한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일부의 가이드(200)가 이동하는 제 1 패스(142)와 나머지 가이드가 이동하는 제 2 패스(144)를 가지게 된다. 하지만, 상기 제 1 패스(142)와 제 2 패스(144)는 전술한 실시 예와는 달리 서로 교차되는 공유부(146)를 가지지 않는다.
즉, 각각 분리된 경로를 따라 수용된 가이드(200)를 이동시키게 되며, 이로 인해 전술한 실시 예와 가이드(200) 간의 이격거리 및 슬라이더(120)에 형성되는 가이드 수용홈(122)의 형성 위치가 차이를 가지게 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패스(142)에서 제 1 변곡점(142A)은 상기 제 1 가이드(220) 및 제 3 가이드(260)의 상대적 최고점인 제 1 위상이 되고, 제 3 변곡점(142B)은 상대적 최하점인 제 2 위상이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패스(144)에서 상기 제 2 변곡점(144A)은 상기 제 2 가이드(240) 및 제 4 가이드(280)의 상대적 최저점인 제 2 위상이 되고, 제 4 변곡점(144B)이 상대적 최상점인 제 1 위상이 된다.
그리고, 쌍을 이루는 가이드(200) 즉, 제 1 가이드(220)와 제 2 가이드(240) 또는 제 3 가이드(260)와 제 4 가이드(280) 사이의 이격 거리는 각 패스의 제 1 위상 또는 제 2 위상 간의 최단거리가 됨으로써, 가이드(200)와 연결된 슬라이더(120)의 방향전환이 변곡점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다양한 실시 예로 형성되는 직선왕복 트래버스 유닛(100)은 전체 경로 즉, 리드를 등분하는 변곡점의 개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슬라이더(120)의 스트로크 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직선 왕복 트래버스 유닛(100)의 회전에 따른 슬라이더(120)의 스트로크 변화를 살펴본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 예들 모두 동일한 방향전환 주기를 가지므로 슬라이더(120)의 이동위치가 동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1 에 도시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도 9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직선왕복 트래버스 유닛이 0°에서 180°까지 회전하는 모습을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캠(110)이 1 회전하는 동안 슬라이더(120)의 스트로크가 4회 변화되는 것이 확인된다.
상세히, 상기 캠(110)이 도 4 에 도시된 방향과 같이 회전을 시작하게 되면, 상기 제 1 가이드(220)와 제 3 가이드(260)가 상기 제 1 패스(142)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제 2 가이드(240)와 제 4 가이드(280)는 상기 제 2 패스(144)를 따라서 각각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도 3 을 통해 상기 캠(110)의 1회전에 따른 제 1 가이드(220)의 이동변위를 살펴보면, 상기 제 1 패스(142)에 형성된 제 1 변곡점(142A) 및 상기 공유부(146)에서 상기 제 1 가이드(220)의 이동방향이 전환되는 것이 확인된다.
즉, 상기 제 1 가이드(220) 및 제 3 가이드(260)는 상기 제 1 변곡점(142A)과, 공유부(146)를 교대로 통과하면서 진행방향이 변경되며, 상기 1 가이드(220)가 상기 제 1 변곡점(142A)을 통과할 때, 상기 제 2 가이드(240)는 상기 공유부(146)를 경유하여 상기 제 2 패스(144)로 진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가이드(220)와 제 2 가이드(240)의 이격거리에 의해 상기 제 2 가이드(240)가 제 2 패스(144)를 통해 이동하여 공유부(146)에 이르렀을 경우 공유부(146)를 통과하여 제 1 패스(142)로 진입하지 못하고, 상기 제 1 변곡점(142A)에서 방향이 전환되는 제 1 가이드(220)에 의해 상기 제 2 가이드(240)가 제 2 패스(144)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공유부(146)는 상기 제 1 패스(142)와 제 2 패스(144)가 교차되는 부분을 모두 함몰 되도록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을 이루게 되며, 상기 가이드(200)가 상기 제 1 패스(142) 또는 제 2 패스(144)로 용이하게 재 진입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200)가 접촉되는 부분이 라운드 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공유부(146)에서는 어느 하나의 가이드가 내측으로 진입하였을 경우 상기 제 1 패스(142)와 제 2 패스(144)가 교차되는 부분에서 진행방향이 결정되는데, 이때, 상기 제 1 패스(142) 또는 제 2 패스(144)를 이동하는 다른 가이드가 진행 방향이 전환되면서 공유부(146)를 통과하는 가이드의 진행방향을 결정하게 된다.
즉, 상기 제 2 가이드(240)는 도 5 내지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가이드(220)가 상기 공유부(146)를 통과할 때 상기 제 2 변곡점(144A)을 통과하여 상기 제 1 가이드(220)가 다시 제 1 패스(142)를 따라 이동하도록 강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가이드(240)가 공유부(146)를 통과하게 될 경우에는 상기 제 1 가이드(220)가 상기 제 1 변곡점(142A)를 통과하게 되어 상기 제 2 가이드(240)가 제 2 패스(144)로 재진입하여 이동하도록 강제되며, 상기 제 3 가이드(260)와 제 4 가이드(280)도 동일한 원리로 이동이 강제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캠(110)이 1회전 하는 동안 상기 슬라이더(120)에 4회의 스트로크가 발생하게 되며, 이를 이용하여 보다 빠른 속도로 슬라이더(120)의 직선 왕복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직선왕복 트래버스 유닛(100)은 이러한 효과에 의해 리니어발전기(600)와 연결되어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0에는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장치의 일실시 예를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도 10에 도시된 풍력발전장치의 요부구성 간 결합관계를 보이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12에는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도면이 더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풍력발전장치(900)는 회전축이 지면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수평축 형태(도 10 참조)에도 사용될 수 있고, 회전축이 지면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수직축 형태(도 12 참조)에도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상세히,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 예인 풍력발전장치(900)에서는 상기 회전유닛(960)의 회전축이 지면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바람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유닛(960)의 단부에는 전술한 직선왕복 트래버스 유닛(100)과, 아래에서 설명할 증속유닛(800) 및 리니어 발전기(600)가 유기적으로 연결된다.
상세히, 상기 회전유닛(960)의 회전축은 후단의 회전판(962)에 고정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회전판(962)은 상기 증속유닛(800)에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판(962)의 회전력은 상기 증속유닛(800)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증속유닛(800)은 전달된 회전력을 증폭하여 상기 직선왕복 트래버스 유닛(100)으로 전달하게 된다.
즉, 상기 증속유닛(800)은 증폭된 회전력을 상기 직선왕복 트래버스 유닛(100)을 구성하는 캠(110)에 전달하여 회전력을 제공하게 되며, 상기 캠(110)은 회전하면서 복수의 가이드(200)를 이동시켜 연결된 슬라이더(120)의 스트로크를 발생시킴으로써 회전운동을 직선왕복운동으로 전환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능의 직선왕복 트래버스 유닛(100)에는 상기 리니어 발전기(600)가 연결된다. 상기 리니어 발전기(600)는 직선왕복운동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발전 경로는 도 12에 도시된 수직축 형태에서도 형성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장치(900)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유닛(960)이 복수의 블레이드(964)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세히,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회전유닛(960)이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복수의 블레이드(964)와 상기 블레이드(964)의 장착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지지프레임(965) 및 상기 지지프레임(965)이 고정되는 상판(963) 및 하판(96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상판(963) 및 하판(961)이 상기 블레이드(964)의 높이만큼 이격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상판(963) 및 하판(961)에 각각 상기 블레이드(964)의 양단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지지프레임(965)이 쌍을 이루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965)에는 블레이드(964)가 복수개 결합되어 작은 바람에도 효과적인 토크를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상세히,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965)에는 상대적으로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블레이드(964A)와, 상대적으로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블레이드(964B)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외측 블레이드(964A) 및 내측 블레이드(964B)는 모두 일단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은 일정범위 이내에서 요동가능하도록 고정되며, 상기 외측 블레이드(964A)와 내측 블레이드(964B)는 상호 반대 방향으로 굴곡 된 원호 형상으로 성형된다.
즉, 상기 블레이드(964)는 전체적인 형상이 파형(Wave form)을 형성하게 되며, 요동 가능한 타단에는 요동범위를 제한하면서 요동 방향을 안내하는 요동제한편(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요동제한편은 일부분이 상기 지지프레임(965)에 고정되고, 다른 일부분에 상기 블레이드(964)의 일부분이 수용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슬릿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릿에는 관통한 이후 상기 슬릿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블레이드(964)의 일부분과 나사결합 또는 그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결합부재가 체결되어, 슬릿에 수용된 블레이드(964)의 일부분이 결합부재에 의해 슬릿에 유동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블레이드(964)의 타단은 상기 요동제한편에 형성된 슬릿의 범위 이내에서 요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블레이드(964)가 고정되는 지지프레임(965)에는 전술한 증속유닛(800)과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연결로드(968)가 결합된다.
즉, 상기 연결로드(968)는 상기 블레이드(964)와 증속유닛(800)을 결합하기 위한 체결부재로, 일단이 상기 지지프레임(965)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증속유닛(800)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증속유닛(800)과 결합되는 연결로드(968)의 타단에 나선이 형성되고, 상기 증속유닛(800)에는 이와 대응되는 위치에 나선홈이 마련될 경우 상기 연결로드(968)가 회전결합될 수 있다. 물론, 지지프레임(965)도 이와 동일한 체결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증속유닛(800)에는 전술한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직선왕복 트래버스 유닛(100)이 결합되고, 상기 직선왕복 트래버스 유닛(100)에 리니어 발전기(600)가 결합되어 발전을 위한 구성을 갖추게 된다.
또한, 상기 각 구성은 메인보드(922)와 복수의 지지로드(924)로 구성되는 지지부(920)에 의해 지면에서 소정 높이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회전유닛(960)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전환하여 전기를 생성하기 위한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에는 도 10 및 도 12 에 도시된 직선왕복 트래버스 유닛과 리니어 발전기가 연결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14에는 도 13 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직선왕복 트래버스 유닛(100)은 상기 회전유닛(960)을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을 이용할 수 있도록 베이스 플레이트(40)와 직선왕복 트래버스 유닛 마운트(60)에 장착되어 고정된 위치에서 직선왕복운동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직선왕복 트래버스 유닛 마운트(60)는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0)에서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직선왕복 트래버스 유닛(100)의 양단이 수용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천공 형성되는 캠 수용홈(64)을 가진다. 이를 위해 상기 캠 수용홈(64)에는 부시(1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슬라이더(120)에는 보다 안정적인 슬라이딩 직선 왕복운동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더(120)를 관통하여 상기 직선왕복 트래버스 유닛 마운트(60)에 연결되는 가이드바(1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가이드바(170)는 상기 슬라이더(120)의 상측 및 하측에 형성되는 가이드홀(124)을 통과하도록 한 쌍이 구비되며, 단부가 상기 직선왕복 트래버스 유닛 마운트(60)에 각각 고정되어 슬라이더(120)의 직선이동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직선왕복 트래버스 유닛 마운트(60)에는 상기 가이드바(170)의 단부 위치에 대응하여 가이드바 수용홈(66)이 더 구비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가이드홀(124)의 내부에는 황동부쉬가 더 구비되어 마찰을 줄임으로써 슬라이더(120)의 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직선왕복 트래버스 유닛 마운트(60)에는 상측을 서로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직선왕복 트래버스 유닛 마운트(60)의 틀어짐을 방지하면서 보다 견고한 지지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보강지지판(6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슬라이더(120)에는 상기 리니어 발전기(100)와 연결되는 연결링크(40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연결링크(400)는 대략“
Figure 112010029345963-pat00001
”형태로 상기 슬라이더(120)의 측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120)에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고정된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링크(400)의 측부에는 슬라이더 체결홀(460)이 천공 형성되며, 전측에는 상기 리니어 발전기(600)와 연결되는 발전기 이동자 연결홀(440)이 마련된다.
상세히, 상기 연결링크(400)는 상기 슬라이더(120)와 연결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리니어 발전기(600)로 직선왕복운동을 전달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발전기 이동자 연결홀(440)에 리니어 발전기(600)의 이동자(620)가 수용된 이후 연결링크(400) 내측에서 연결너트(420)를 이용해 상기 이동자(620)를 고정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더(120)의 직선왕복운동은 상기 연결링크(400)를 통해 전달되어 상기 이동자(620)를 빠른 속도로 직선왕복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리니어 발전기(600)는 상기 직선왕복 트래버스 유닛(100)과 대응되는 높이에 이동자(620)가 위치될 수 있도록 리니어 발전기 마운트(80)에 의해 지지된다.
상세히, 상기 리니어 발전기(600)는 코일이 권취된 원통 형상의 코일 하우징(640) 내부를 자석부(624)와 이동축(622)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이동자(620)가 빠른 속도로 이동하면서 유도전류를 발생시켜 전기가 생성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는 상기 코일하우징(640)이 상기 리니어 발전기 마운트(80)에 형성된 코일하우징 안착부(82)에 수용되어 고정되고, 상기 이동자(620)는 상기 코일하우징(640) 내부에 상기 자석부(624)가 위치된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축(622)이 상기 코일하우징(640)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링크(400)에 일측 단부가 연결너트(420)와 체결되면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코일하우징(640)의 양단에는 상기 이동축(622)만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코일하우징(640)과 자석부(624)는 수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캡(66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리니어 발전기(600)는 상기 연결링크(400)에 복수로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연결링크(400)에 복수의 발전기 이동자 연결홀(440)이 형성될 수 있도록 체결부분 크기를 크게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복수의 리니어 발전기(600)를 장착하게 될 경우, 하나의 직선왕복 트래버스 유닛(100)을 통해 복수의 리니어 발전기(600)를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장치에는 발전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증속유닛(8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15에는 도 13에 증속유닛이 추가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16에는 도 15에 도시된 증속유닛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증속유닛(800)은 상기 직선왕복 트래버스 유닛(100)의 전측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유닛(960)을 통해 제공되는 회전력을 증폭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증속유닛(800)에는 상기 회전유닛(960)과 연결되어 회전하는 플레이트(820)와, 상기 플레이트(82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복수의 플래닛기어(870)와, 상기 플래닛기어(870) 사이에서 각각의 플래닛기어(870)와 맞물려 회전하면서 회전력을 상기 직선왕복 트래버스 유닛(100)으로 전달하는 썬기어(850) 및 상기 플래닛기어(870)을 모두 감싸도록 위치하여 상기 플래닛기어(870)와 썬기어(850)가 고정된 위치에서 고속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링기어(86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플레이트(8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유닛(960)의 회전력이 출력되는 부분과 연결될 수 있도록 체결부재를 통해 단순 결합되어 연결될 수 있다. 즉, 도 11에서와 같이 회전판(962)이 상기 플레이트(820)에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고정될 수도 있고, 도 12에서와 같이 플레이트(820)의 측부에 연결로드(968)가 체결되는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플레이트(820)에는 상면 또는 측면에 체결부재의 결합을 위한 체결부재 체결홈(822)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회전하는 플레이트(820)에는 상기 썬기어(850)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썬기어축(851)과 상기 플래닛기어(870)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복수의 플래닛기어축(871)이 고정될 수 있도록 썬기어축 수용홀(822) 및 플래닛기어축 수용홀(824)이 더 마련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플레이트(820)에는 바디(840)가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바디(840)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0)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된 위치에서 지지하여 상기 직선왕복 트래버스 유닛(100)의 캠축(112)과 상기 썬기어축(851)의 단부가 대응되는 위치에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증속유닛 마운트(90)가 결합된다.
상기 바디(840)와 상기 플레이트(820) 사이에는 체결력을 견고히 하기 위하여 메인오링(88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840)와 플레이트(82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전술한 링기어(860)와, 복수의 플래닛기어(870) 및 썬기어(850)가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구성요소들이 수용된다.
상세히, 상기 플레이트(820)의 배면에는 상기 썬기어축(751)과 플래닛기어축(871)이 관통하는 기어축 위치고정 부시(872)가 구비된다.
즉, 상기 기어축 위치고정 부시(872)는 상기 썬기어(850)와 플래닛기어(870)가 일정한 위치를 유지하면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썬기어(850)와 플래닛기어(870)의 상측 및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플레이트(820)에 부시고정축(874)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썬기어(850)와 플래닛기어(870)는 상기 기어축 위치고정 부시(872)에 썬기어축 베어링(852)과 플래닛기어축 베어링(도면부호 부여되지 않음)과 함께 수용되므로 상기 플레이트(820)의 회전 시 상기 기어축 위치고정 부시(872)가 회전하면서 상기 복수의 플래닛기어(870)가 링기어(860)와 맞물려 회전하고, 상기 플래닛기어(870) 기어의 회전이 이와 맞물린 썬기어(850)로 전달되면서 썬기어(850)가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링기어(860)는 상기와 같이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기 위하여 복수의 지지링(880)를 이용하여 상기 플래닛기어(870)의 측부를 감싸도록 위치된다.
즉, 상기 링기어(860)는 내주에 형성된 치형과 상기 플래닛기어(870)의 외주에 형성된 치형이 서로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플레이트(820)의 회전에 의해 위치가 이동하면서 회전하는 복수의 플래닛기어(870)의 회전경로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플레이트(820)의 회전력을 상기 링기어(860)로 전달하는 기어구조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우선, 상기 링기어(860)의 내주에 형성된 치형과 맞물려 회전하는 플래닛기어(870)는 3개가 등 간격을 유지하면서 이격되어 외면이 각각 상기 링기어(860)와 연결되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등 간격을 이루는 3개의 플래닛기어(870) 내측에는 상기 3개의 플래닛기어(870)와 맞물리는 하나의 썬기어(850)가 구비된다.
즉, 가장 큰 기어 비의 링기어(860)에 그보다 작은 기어 비의 플래닛기어(870)가 맞물려 회전하면서 증속되고, 상기 플래닛기어(870)보다 작은 기어 비의 썬기어(850)가 상기 플래닛기어(870)와 맞물려 회전하면서 또 다시 증속되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썬기어축(851)의 단부는 썬기어축 부시(854) 및 바디(840)를 통과하여 상기 캠축(112)와 연결되어 보다 빠른 속도의 회전력을 상기 직선왕복 트래버스 유닛(100)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장치(900)에서는,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유닛(960)의 회전력이 증속유닛(800)으로 전달되면서 링기어(860)와 플래닛기어(870) 및 썬기어(850)를 통해 증속되고, 증속된 회전력이 상기 직선왕복 트래버스 유닛(100)의 캠축(112)으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캠축(112)으로 전달된 회전력은 캠홈(140)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의 가이드(200)와 이와 연결된 슬라이더(120)에 의해 직선왕복운동으로 전환된 이후, 연결링크(400)를 통해 상기 리니어 발전기(600)로 전달되도록 하여 이동자(620)가 코일하우징(640) 내부를 빠른 속도로 직선왕복운동하도록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움직임의 이동자(620)에 의해 코일하우징(640)에서는 유도전류가 발생하게 되어 발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100..... 직선왕복 트래버스 유닛 110..... 캠
112..... 캠축 120..... 슬라이더
140..... 캠홈 142..... 제 1 패스
144..... 제 2 패스 200..... 가이드
220..... 제 1 가이드 240..... 제 2 가이드
260..... 제 3 가이드 280..... 제 4 가이드
600..... 리니어 발전기 800..... 증속유닛
820..... 플레이트 840..... 바디
850..... 썬기어 860..... 링기어
870..... 플래닛기어 900..... 풍력발전장치
920..... 지지부 960..... 회전유닛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외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캠;
    상기 캠의 외면에 형성되는 캠홈;
    상기 캠홈에 수용되는 복수의 가이드; 및
    상기 복수의 가이드가 모두 연결되고, 상기 캠의 외주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에 의해 이동하는 슬라이더가 포함되며,
    상기 캠홈에는,
    상기 복수의 가이드 중 일부의 이동을 안내하며, 복수의 변곡점이 형성되는 제 1 패스와,
    상기 제 1 패스와 대칭되는 형상으로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 1 패스와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가이드 중 나머지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 2 패스가 포함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방향이 상기 제 1 패스 및 제 2 패스의 변곡점에서 전환되며,
    상기 제 1 패스와 제 2 패스에는 서로 연결되어 복수의 가이드가 순차적으로 경유하는 공유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방향전환 횟수는 상기 제 1 패스와 제 2 패스에 형성된 변곡점의 총합과 대응되며, 상기 변곡점 및 공유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직선왕복 트래버스 유닛.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스와 제 2 패스를 이동하는 가이드 사이의 이격 거리는 상기 제 1 패스 또는 제 2 패스의 변곡점과 상기 공유부 사이의 거리에 대응되는 직선왕복 트래버스 유닛.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에는,
    상기 제 1 패스를 이동하는 제 1 가이드와,
    상기 제 1 가이드와 쌍을 이루며 제 2 패스를 이동하는 제 2 가이드와,
    상기 제 1 가이드의 대각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패스를 이동하는 제 3 가이드 및
    상기 제 3 가이드와 쌍을 이루며 상기 제 2 가이드와 대각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제 2 패스를 이동하는 제 4 가이드가 포함되는 직선왕복 트래버스 유닛.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에는,
    상기 캠홈의 내면과의 마찰을 줄이기 위한 구름운동 부재가 더 구비되는 직선왕복 트래버스 유닛.
  7.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유닛;
    직선왕복운동에 의해 전기가 발생되는 리니어 발전기;
    상기 회전유닛을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으로 캠을 회전시키고, 상기 캠에 형성되는 캠홈을 따라 복수의 가이드가 이동하면서 이와 연결된 슬라이더를 이동시켜 상기 리니어 발전기로 직선왕복운동을 전달하는 직선왕복 트래버스 유닛;이 포함되며,
    상기 캠홈은
    복수의 변곡점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가이드 중 일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 1 패스와,
    복수의 변곡점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가이드 중 나머지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 2 패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 1 패스와 제 2 패스가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가 제 1 패스 또는 제 2 패스의 변곡점을 이동하면서 상기 슬라이더의 진행방향을 전환하여 전기를 생성하기 위한 직선 왕복운동을 발생시키며,
    상기 슬라이더의 진행방향 전환횟수는 상기 제 1 패스 및 제 2 패스에 형성된 변곡점의 총 개수와 대응되는 풍력발전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닛은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복수의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의 장착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이 고정되는 상판 및 하판;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프레임에는 상대적으로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블레이드와,
    상대적으로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블레이드가 포함되고,
    상기 외측 블레이드 및 내측 블레이드는 모두 일단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은 일정범위 이내에서 요동가능하도록 고정되며, 상기 외측 블레이드와 내측 블레이드는 상호 반대 방향으로 굴곡 된 원호 형상으로 성형되는 풍력발전장치.
KR1020100042809A 2010-05-07 2010-05-07 직선왕복 트래버스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풍력발전장치 KR101247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809A KR101247318B1 (ko) 2010-05-07 2010-05-07 직선왕복 트래버스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풍력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809A KR101247318B1 (ko) 2010-05-07 2010-05-07 직선왕복 트래버스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풍력발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3370A KR20110123370A (ko) 2011-11-15
KR101247318B1 true KR101247318B1 (ko) 2013-03-25

Family

ID=45393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2809A KR101247318B1 (ko) 2010-05-07 2010-05-07 직선왕복 트래버스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풍력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731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5366U (ja) * 1993-05-25 1994-12-06 村田機械株式会社 トラバースカム
JP2005105917A (ja) * 2003-09-30 2005-04-21 Mitsubishi Heavy Ind Ltd 風力発電用風車
KR20100018692A (ko) 2008-08-07 2010-02-18 김지왕 캠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5366U (ja) * 1993-05-25 1994-12-06 村田機械株式会社 トラバースカム
JP2005105917A (ja) * 2003-09-30 2005-04-21 Mitsubishi Heavy Ind Ltd 風力発電用風車
KR20100018692A (ko) 2008-08-07 2010-02-18 김지왕 캠 및 이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정밀공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pages:129-130(2009.10.) *
한국정밀공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pages:129-130(2009.1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3370A (ko) 2011-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8939B1 (ko) 전기 기계
KR101327413B1 (ko) 힘 전달기구
US20100276938A1 (en) Aerogenerator
US10316943B2 (en) Power transfer device
EP2860391B1 (en) Generator with vertical piston and reciprocal movement, with orientable blades and conversion of mechanical energy to electrical energy by means of a vertical solenoid device
KR101129525B1 (ko) 풍력발전기
KR101247318B1 (ko) 직선왕복 트래버스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풍력발전장치
CN106555728B (zh) 一种集成优化海流能发电装置
KR102239379B1 (ko) 자력을 이용한 회전운동장치
KR20130038045A (ko) 자력을 이용한 왕복운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왕복운동방법
US20100117462A1 (en) Damper Power-Generating System
KR101070320B1 (ko) 원호운동 변환 장치 및 그 방법
US10186941B2 (en) Torque amplifying magnetic drive
KR102301746B1 (ko) 자력을 이용한 회전운동장치
JP6409476B2 (ja) エンジン
KR20130036496A (ko) 영구자석에 의한 회전력 발생장치
CN102677185A (zh) 整体摆动式一阶变性偏心圆齿轮—二阶共轭非圆齿轮缫丝机络交机构
JP2010275980A (ja) 永久モーター
KR20070107302A (ko) 왕복회전 동력변환장치
KR101444375B1 (ko) 굴절크랭크암 구동장치
CN106026509B (zh) 一种可维持自身平衡的摇摆机构
CN104377882B (zh) 波浪能发电机
RU2007105068A (ru) Двухтактный магнитный двигатель
KR101238304B1 (ko) 유압을 이용한 발전시스템
KR20100099070A (ko) 영구자석 간의 척력 차이를 이용한 동력발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