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7151B1 - 단열 온수조 - Google Patents

단열 온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7151B1
KR101247151B1 KR1020090124828A KR20090124828A KR101247151B1 KR 101247151 B1 KR101247151 B1 KR 101247151B1 KR 1020090124828 A KR1020090124828 A KR 1020090124828A KR 20090124828 A KR20090124828 A KR 20090124828A KR 101247151 B1 KR101247151 B1 KR 101247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hot water
cover
insulating material
heat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4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3016A (ko
Inventor
최상필
Original Assignee
최상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90039327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00113432A/ko
Application filed by 최상필 filed Critical 최상필
Publication of KR20100113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3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7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7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181Construction of the tank
    • F24H1/182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20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 F24H1/201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2Casings; Cover lids; Ornamental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Fluid Heaters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온수기, 정수기, 또는 자판기 등에 장착되는 온수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온수조의 외측으로 단열재가 감싸지되 온수조의 덮개 부위에는 난연성 보온재가 감싸져 화재의 염려가 없으면서 단열성이 향상되는 단열 온수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단열 온수조는, 내부에 저수 공간이 형성된 원통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개방된 상측으로 결합되어 상기 저수 공간을 밀폐시키는 덮개와, 상기 몸체 또는 덮개에 관통 결합되어 상기 저수공간으로 연결되는 파이프 히터와, 상기 몸체 또는 덮개에 구비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온수조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저면 및 측면을 감싸는 단열재; 및 상기 덮개의 상측을 덮는 난연성 또는 불연성의 덮개 보온재;가 포함되고, 또한 상기 몸체의 저면 및 측면을 감싸는 단열재와 상기 상부 몸체의 상면 및 측면을 감싸는 상부보온재의 외부를 감싸는 플라스틱커버를 더 포함한다.
온수조, 단열재, 보온재

Description

단열 온수조 {Insulating hot-water tank}
본 발명은 냉·온수기, 정수기, 또는 자판기 등에 장착되는 온수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온수조의 외측으로 단열재가 감싸지되 온수조의 덮개 부위에는 난연성 보온재가 감싸져 화재의 염려가 없으면서 단열성이 향상되는 단열 온수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온수기, 정수기, 또는 자판기 등의 내부에는 내부로 유입되는 식수를 급탕 가열하여 배출하는 온수조가 구비된다.
온수조의 경우, 온수조 내부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수단으로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가열되는 히터가 흔히 사용된다. 그리고 히터는 온수조 내부로 관통 연결되거나 혹은 온수조 외부에 구비된다.
히터는 온수조 일측, 보통은 덮개에 구비되는 온도센서에 의해 작동이 제어됨으로써 온수조 내부에 저장된 물을 일정한 온도로 유지시키게 된다.
즉, 온수조 내부의 물이 일정한 온도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히터가 작동하여 물을 가열하게 되며, 일정한 온도 이상으로 높아지게 되면 히터의 작동이 멈춰 물의 가열이 중단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온수조 내부의 물은 가급적 빨리 식지 않는 것이 전력을 아끼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온수조의 가열에 따른 전력 소비를 절감하기 위하여 여러 방안이 제시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 온수조의 외측으로 단열재를 감싸는 방법이 시도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히터의 작동시 온수조의 덮개 쪽으로 대부분의 열이 전달되며, 특히 온수조 내부의 물이 적거나 없는 경우에는 온도 센서의 감지에 따른 히터의 작동 제어시까지 히터가 계속적으로 작동하여 덮개 부위를 빠른 시간 내에 높은 온도로 가열시키게 된다. 이 때문에 덮개 부위에 단열재를 부착하는 경우 덮개 부위의 높은 온도에 의해 단열재가 쉽게 녹거나 연기가 발생하는 등 화재의 염려가 있었으며, 단열재가 녹아 내림에 따라 온수조 외측에 구비되는 여러 부품, 예컨대 온도 센서나 히터 등의 부품을 손상시켜 결국 온수조를 교체해야 하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온수조 각 부위의 온도 상승 차이를 고려하여 온수조의 외측으로 단열재가 감싸지되, 특히 상측 부위에는 난연성 또는 불연성 보온재가 감싸지는 단열 온수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온수조 외부 몸체에 난연성 플라스틱 커버를 결합하여 뜨거운 열이나 온도센서부의 스파크 등으로 인한 불꽃이 튀어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단열 온수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단열 온수조는, 내부에 저수 공간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개방된 상측으로 결합되어 상기 저수 공간을 밀폐시키는 덮개와, 상기 몸체 또는 덮개에 구비되는 히터 및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온수조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저면 및 측면을 감싸는 단열재; 및 상기 덮개의 상측을 덮는 난연성 또는 불연성의 덮개 보온재;가 포함된다.
이때, 상기 단열재는 발포 폴리스티렌 또는 발포 우레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열재는, 상기 몸체의 저면 및 측면을 감싸며, 상단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된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 보온재는, 상기 연장부의 내부로 수용 결합되면서 상기 덮개를 덮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열재는, 상기 몸체의 저면 및 측면을 감싸며, 상단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된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열재와 상기 몸체의 사이에는 난연성 또는 불연성의 몸체 보온재가 상기 몸체의 측면을 감싸거나 측면 및 저면을 함께 감싸도록 개재되며, 상기 덮개 보온재는 상기 연장부의 내부로 수용 결합되면서 상기 덮개를 덮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단열 온수조는, 내부에 밀폐된 저수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호 결합되는 상, 하부 몸체와, 상기 상부 몸체 또는 하부 몸체에 구비되는 히터 및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온수조에 있어서, 상기 하부 몸체의 저면 및 측면을 감싸는 단열재; 및 상기 상부 몸체의 상면 및 측면을 감싸는 난연성 또는 불연성의 상부 보온재;가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단열재는 발포 폴리스티렌 또는 발포 우레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열재는, 상기 하부 몸체의 저면 및 측면을 감싸며, 상단 외측에는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상부 몸체 하단부의 외측면과 이격되는 제1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보온재는, 상기 상부 몸체의 상면 및 측면을 감싸며, 하단 내측에는 상기 단열재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상부 몸체의 하단부 외측면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삽입 결합되는 제2 연장부가 하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열재와 상기 하부 몸체의 사이에는 난연성 또는 불연성의 하부 보온재가 상기 하부 몸체의 측면을 감싸도록 개재되며, 상기 단열재는 상기 상, 하 부 보온재의 측면 및 상기 하부 몸체의 저면을 감쌀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저면 및 측면을 감싸는 단열재와 상기 상부 몸체의 상면 및 측면을 감싸는 상부보온재의 외부를 감싸는 플라스틱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라스틱커버는 난연성 재질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라스틱커버는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벤츠이미다졸 또는 폴리아미드이미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열이 온수조의 저면 및 측면 방향보다 상면 방향으로 더 많이 전달됨을 고려하여 온수조의 상면 쪽으로는 난연성 또는 불연성 보온재로 감싸 덮고, 온수조의 저면 및 측면으로는 단열재를 감싸거나 난연성 또는 불연성 보온재 및 단열재를 이중으로 감쌈으로써 단열 향상을 고려한온수조의 제조비용을 절감시키는 동시에 단열 효율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단열재와 보온재를 끼워 결합하는 것만으로 조립과정이 완료되어 제조 편의성, 제조 시간 측면에서 유리한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되,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 기능을 하는 동일 부재 또는 동일한 형상적 특징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열 온수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열 온수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단열 온수조의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몸체 및 덮개의 다양한 결합 구조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단열 온수조에서 몸체 보온재가 포함되는 단열 온수조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단열 온수조의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단열 온수조에서 하부 보온재가 포함되는 단열 온수조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단열온수조 몸체에 난연성 플라스틱커버가 결합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단열 온수조에 난연성 플라스틱커버를 결합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열 온수조(1')는, 몸체(100)와, 덮개(200)와, 파이프 히터(10)와, 온도센서(20)와, 단열재(300)와, 덮개 보온재(400)가 포함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는, 원통 형상이면서 내부에 저수 공간(101)이 형성되며, 일측(도시된 바에서는 상측)이 개방되어 있다. 몸체(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으로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며, 그 외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하기에서 설명되는 몸체(100)에도 동일하게 설명될 수 있는 것이며, 다만 하기에서는 몸체(100) 형상이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몸체(100)의 개방된 상측으로는 덮개(200)가 결합된다. 그리고 덮개(200)의 결합에 의해 몸체(100)의 내부 공간은 밀폐된다. 이때 밀폐성을 보다 향상시키고자 몸체(100) 및 덮개(200)의 상호 결합 부위에는 패킹(90)이 개재될 수 있다. 그리고 패킹(90)은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100)와 덮개(200)의 결합 구조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 도 4(a) 및 도 4(b)에서는 몸체(100) 및 덮개(200)의 각 테두리 부위가 서로 중첩된 상태에서 압착하여 컬링(curling) 가공됨으로써 서로 밀봉 결합되는 구조의 예가 제시되어 있다. 특히 도 4(a)에서는 원형으로 압착 컬링 가공된 구조의 예가 제시되고 있다.
도 4(c)에서는 몸체(100) 및 덮개(200)의 각 테두리 부위를 중첩시킨 상태에서 그 단부를 용접함으로써 밀봉 결합되는 구조의 예가 제시되고 있다.
몸체(100)와 덮개(200)가 상술한 구조로 결합된 상태에서 몸체(100) 또는 덮개(200)에는 히터와 온도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히터의 일 예로 도시된 바에서는 몸체(100) 내부의 저수 공간(101)으로 연결되도록 관통 결합되는 파이프 히터(10)가 제시되며, 결합 위치의 일 예로 파이프 히터(10)가 덮개(200)에 관통 결합된 예가 제시되고 있다. 파이프 히터(10)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가열되는 것으로 몸체(100) 내부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수단이 된다.
또한, 몸체(100) 또는 덮개(200)에는 온도센서(20)가 구비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에서는 온도센서(20)가 덮개(200)에 구비된 예가 제시된다. 온도센서(20)는 몸체(100) 내부에 저장된 물의 온도에 따라 파이프 히터(1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수단이 된다.
파이프 히터(10)와 온도센서(20)가 온수조에 형성되는 위치는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예컨대 파이프 히터(10)가 몸체(100)의 저면에서 관통 결합될 수도 있고, 온도센서(20)가 몸체(100)의 측면 외주면에 구비될 수도 있는 등, 파이프 히터(10)와 온도센서(20)는 필요에 따라 몸체(100) 또는 덮개(200)의 다른 위치에서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덮개(200)에는 입수관(40)과 출수관(30), 정수기 등의 내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브라켓(60)이 구비될 수 있으며, 몸체(100)의 하측에는 드레인관(50)이 구비될 수 있다. 입수관(40), 출수관(30) 및 드레인관(50)은 온수조에서 일반적으로 구비될 수 있는 구성으로 여기서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재(300)는 몸체(100)의 저면 및 측면을 감싸게 된다. 단열재(300)는 발포 폴리스티렌 또는 발포 우레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열재(300)는 몸체(100)의 저면 및 측면을 밀착하여 감싸는 것이 바람직하며, 형상의 일 예로 원통 형상의 몸체(100)에 대응하여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재(300)는 상측이 개방됨으로써 개방 측으로 몸체(100)를 삽입하여 몸체(100)와 결합할 수 있다.
단열재(300)의 상단에는 후술할 덮개 보온재(400)와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연 장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310)는 단열재(300)의 상단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연장부(310)는 원통형의 단열재(300)에 몸체(100)를 결합한 상태에서 덮개(200)의 위치보다 다소 상측으로 연장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연장부(310)의 내부로는 덮개(200)의 상면을 저면으로 하는 원통형의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으로 후술할 덮개 보온재(400)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단열재(300)는 전술한 드레인관(50)과 간섭되지 않으면서 몸체(100)와 결합될 수 있도록 단열재(300)의 하측에 드레인관(50)이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파이프 히터(10)와 온도센서(20)가 덮개(200)에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몸체(100)에서 구비되는 경우라면, 단열재(300)에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이 파이프 히터(10) 및 온도센서(20)와 간섭되지 않도록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덮개 보온재(4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단열재(300)의 연장부(310) 내부로 수용 결합되어 덮개(200)의 상측을 덮어 감싸게 된다. 이때, 덮개 보온재(400)는 연장부(310)의 내부 공간으로 다소 억지끼움 되듯이 결합될 수 있다.
덮개 보온재(400)는 난연성 또는 불연성 덮개 보온재(400)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이프 히터(10)가 작동함으로써 몸체(100)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은 몸체(100)의 저면 및 측면보다 몸체(100)의 상면 방향으로 더 많이 전달되기 때문에 온수조의 각 부위에서 덮개(200)가 특히 많이 뜨겁다. 더군다나, 온소조 내부의 물이 적거나 없는 경우에는 파이프 히터(10)의 작동에 따라 발생된 열이 덮개(200) 부위를 빠른 시간 내에 가열시키게 되는데, 이 경우 온도센서(20)의 감지에 따른 파이프 히터(10)의 작동 제어까지는 어느 정도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만약 덮개(200) 쪽에 난연성 또는 불연성 덮개 보온재(400)가 아닌 일반 단열재(300), 예컨대 발포 폴리스티렌이나 발포 우레탄이 감싸진 경우에는 단열재(300)가 쉽게 녹거나 연기를 내뿜는 등의 문제가 있다. 그렇다고 덮개(200) 부위에 단열재(300)나 덮개 보온재(400)를 덮어 감싸지 않는 경우에는 덮개(200) 부위를 통해 빠져나가는 열을 차단하지 못해 단열의 효과를 얻을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덮개(200)의 상측을 덮어 감싸는 덮개 보온재(400)를 구비하되, 그 덮개 보온재(400)는 난연성 또는 불연성 덮개 보온재(400)가 사용되는 것이다. 그리고 몸체(100)의 저면 및 측면으로는 단열재(300)를 녹일 정도로 높은 열이 전달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굳이 난연성 또는 불연성 덮개 보온재(400)를 감싸는 것이 아니라 단열재(300)를 감쌈으로써 온수조의 제조 비용, 단열 효과의 측면에서 보다 유리한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난연성 또는 불연성 덮개 보온재(400)는 이미 다수 공지된 덮개 보온재(400)로서, 여기서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덮개 보온재(400)에는 온도센서(20)나 입수관(40), 출수관(30), 파이프 히터(10), 고정 브라켓(60) 등과 간섭되지 않으면서 덮개(200)를 감싸 덮을 수 있도록 다수의 구멍 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온도센서(20)가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200)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입수관(40), 출수관(30)에 연결된 호스의 찢어짐 등으로 인해 혹시나 누수가 발생하더라도 새어나온 물이 온도센서(20)에 닿지 않고 온수조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덮개 보온재(400)의 일측에는 온도센서(20) 부위에 간섭되지 않음과 동시에 누수된 물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게 하는 절개부(401)가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단열재(300)의 연장부(310)에도 이 절개부(401)와 연통하는 절개부(311)가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온도센서(20)에 물이 닿아 발생할 수 있는 누전 등에 의한 화재의 예방을 위함이다.
한편, 도 5에서는 도 3에서 참조되는 단열 온수조(1′)에서 몸체 보온재(410)가 포함되는 단열 온수조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몸체 보온재(410)는 덮개 보온재(400)와 마찬가지로 난연성 또는 불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몸체(100)의 측면을 감싸면서 몸체(100)와 단열재(300)의 사이에 개재된다. 이때, 몸체 보온재(410)는 몸체(100)의 측면만을 감쌀 수도 있고, 몸체(100)의 측면 및 저면을 모두 함께 감쌀 수도 있다.
단열 온수조(1′)에 몸체 보온재(410)가 포함됨으로써, 몸체(100)가 예상치 못한 온도로 상승하는 경우가 있더라도 몸체(100)의 단열 수단이 단열재(300)가 녹거나 변형되지 않는다.
상술한 설명 외의 도 5에서 표시된 부호에 관하여는 도 1 내지 도 3에서 참조되는 상술한 단열 온수조(1′)의 설명으로 대신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열 온수 조(1")는 상, 하부 몸체(510, 520)와, 파이프 히터(10)와, 온도센서(20)와, 단열재(600)와, 상부 보온재(700)가 포함된다.
상, 하부 몸체(510, 520)는 각각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호 결합됨으로써 내부에 밀폐된 저수 공간(515)이 마련된다. 다만, 본 실시예의 상, 하부 몸체(510, 520)가 꼭 원통 형상으로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아니며, 그 외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하기에서는 상, 하부 몸체(510, 520) 형상의 일 예로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저수 공간(515)의 밀폐성이 보다 향상되도록 상, 하부 몸체(510, 520)의 상호 결합 부위에는 전술한 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패킹(90)이 개재될 수 있다.
상부 몸체(510) 또는 하부 몸체(520)에는 히터가 구비되며, 히터의 일 예로 파이프 히터(10)가 관통 결합되어 저수 공간(515)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바에서는 일 예로 상부 몸체(510)의 상측에 파이프 히터(10)가 관통 결합된 예가 제시되고 있다. 또한 상부 몸체(510) 또는 하부 몸체(520)에는 온도센서(20)가 구비되며, 도시된 바에서는 그 일 예로 상부 몸체(510)의 상측에 구비된 예가 제시된다. 그리고, 상부 몸체(510)의 상측에는 입수관(40), 출수관(30), 고정 브라켓(60)이 구비될 수 있으며, 하부 몸체(520)의 하측에는 드레인관(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부 몸체(510)와 하부 몸체(520)의 결합 구조로는 전술한 일 실시예에서의 몸체(100) 및 덮개(200)의 결합 구조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결합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에서는 그 일 예로 상부 몸체(510)와 하부 몸체(520)의 각 테두리 부위를 중첩한 상태에서 그 단부를 용접함으로써 밀봉 결합하는 구조의 예가 제시되 고 있다.
단열재(600)는 하부 몸체(520)의 저면 및 측면을 감싸게 되며, 상부 보온재(700)는 상부 몸체(510)의 상면 및 측면을 감싸게 된다. 단열재(600) 및 상부 보온재(700)의 재질 및 기능은 전술한 일 실시예에서 단열재(300) 및 덮개 보온재(400)의 설명과 같다.
단열재(600)는 하부 몸체(520)의 저면 및 측면을 밀착하여 감싸도록 형성되며, 형상의 일 예로 원통 형상의 하부 몸체(520) 형상에 대응하여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 보온재(700) 또한 상부 몸체(510)의 상면 및 측면을 밀착하여 감싸는 형상의 일 예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열재(600)의 하측에는 드레인관(50)에 간섭되지 않도록 드레인관(50)이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 보온재(700)의 상측에도 입수관(40), 출수관(30), 온도센서(20), 파이프 히터(10)에 간섭되지 않도록 다수의 구멍, 홈 내지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음은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다.
단열재(600)와 상부 보온재(700)의 상호 결합을 위하여, 단열재(600)의 상단 외측에는 단열재(6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제1 연장부(610)가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1 연장부(610)는 상, 하부 몸체(510, 520)의 상호 결합 부위보다 다소 높은 위치에 이르게 되며, 상부 몸체(510)의 하단부 외주면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다.
그리고 상부 보온재(700)의 하단 내측에는 제2 연장부(710)가 상부 보온재(7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2 연장부(710)는 제1 연장 부(610)과 상부 몸체(510)의 하단부 외주면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삽입 결합되며, 그 내주면이 상부 몸체(510)의 하단부 외주면과 밀착된다.
따라서, 단열재(600)와 상부 보온재(700)는 각각의 내부 공간으로 하부 몸체(520)와 상부 몸체(510)을 수용하면서 결합하되, 제1 연장부(610)과 제2 연장부(710)가 상호 결합됨으로써 상, 하부 몸체(510, 520)의 외측 전체를 감싸 덮게 된다.
한편, 도 7에서는 도 6으로 참조되는 단열 온수조(1″)에서 하부 보온재(750)가 포함되는 단열 온수조의 예가 도시되고 있다.
하부 보온재(750)는 하부 몸체(520)의 측면을 감싸면서 단열재(600)와 하부 몸체(520)의 사이에 개재되며, 상부 보온재(700)와 마찬가지로 난연성 또는 불연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하부 보온재(7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달리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하부 몸체(520)의 측면뿐만 아니라 저면까지 함께 감싸도록 원통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본 예에서의 단열재(600)는 하부 몸체(520) 만이 아니라 상부 몸체(510)까지도 단열 범위를 갖도록 상, 하부 보온재(700, 750)의 측면 모두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단열재(600)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단이 상부 보온재(700)의 상단 측면까지 이를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하부 보온재(750)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상, 하부 보온재(700, 750)가 상, 하부 몸체(510, 520)의 측면을 밀착하여 감싸게 하고 또한, 단열재(600)가 상, 하부 보온재(700, 750)를 밀착하여 감싸도록 하여, 전체적인 부피가 불필요하게 커지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서는 상, 하부 보온재((700, 750)가 동일한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열재(600)는 상, 하부 보온재(700, 750)의 외측면을 밀착하여 감쌀 수 있게 형성되어 단열재(600)의 개구된 상측을 통해 상, 하부 보온재(700, 750)가 결합된 상, 하부 몸체(510, 520)를 삽입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 하부 몸체(510, 520)의 저면 및 측면을 감싸는 단열재(600)와 상기 상부 몸체(510)의 상면 및 측면을 감싸는 상부보온재(700)의 외부를 감싸는 플라스틱커버(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커버(500)는 난연성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플라스틱커버(500)를 외부에 감싸는 이유는 상기 보온재가 난연성 또는 불연성으로 이루어지긴 하지만, 만약 온수조의 온도가 너무 뜨거워지는 경우에는 상기 단열재(600)가 녹을 수 있는 가능성을 배재 할 수 없으므로, 이중으로 안전사고를 보호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난연성 또는 불연성 단열재(600)가 상기 온수조의 고온으로 인하여 녹게 되면, 유독가스의 발생과 더불어 화재의 위험도 내포하고 있다.
더군다나, 상기 파이프히터(10)는 단시간에 고온으로 가열되므로 상기와 같은 위험이 생길 수 있고, 또한 상기 온도센서(20)가 갑자기 뜨거워진 상기 파이프 히터(10)에 작동하지 못하고, 순간 스파크나 방전 등이 일어나면 불이 붙을 수 있는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난연성 재질로 이루어진 플라스틱커버(500)를 외부에 감쌈으로 해서 상기와 같은 불의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플라스틱커버(500)의 재질로서는 단시간이면 1,000℃에도 견딜 수 있는 폴리이미드·폴리벤츠이미다졸·폴리아미드이미드 등의 내열 플라스틱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거하여 정의되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당업자들에 의하여 변형 또는 수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열 온수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열 온수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단열 온수조의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몸체 및 덮개의 다양한 결합 구조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단열 온수조에서 몸체 보온재가 포함되는 단열 온수조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단열 온수조의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단열 온수조에서 하부 보온재가 포함되는 단열 온수조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
1',1"; 단열 온수조 10; 파이프 히터
20; 온도 센서 30; 출수관
40; 입수관 50; 드레인관
60; 고정 브라켓 90; 패킹
100; 몸체 101; 저수 공간
200; 덮개 300; 단열재
310; 연장부 400; 덮개 보온재
410; 몸체 보온재 500 : 플라스틱커버
510; 상부 몸체 515; 저수 공간
520; 하부 몸체 600; 단열재
610; 제1 연장부 700; 상부 보온재
710; 제2 연장부 720; 돌출턱
750; 하부 보온재

Claims (11)

  1. 내부에 저수 공간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개방된 상측으로 결합되어 상기 저수 공간을 밀폐시키는 덮개와, 상기 덮개에 구비되는 히터 및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온수조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저면 및 측면을 감싸는 단열재; 및
    상기 덮개의 상측을 덮는 난연성 또는 불연성의 덮개 보온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단열 온수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는 발포 폴리스티렌 또는 발포 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온수조.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는, 상기 몸체의 저면 및 측면을 감싸며, 상단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된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 보온재는, 상기 연장부의 내부로 수용 결합되면서 상기 덮개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온수조.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는, 상기 몸체의 저면 및 측면을 감싸며, 상단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된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열재와 상기 몸체의 사이에는 난연성 또는 불연성의 몸체 보온재가 상기 몸체의 측면을 감싸거나 측면 및 저면을 함께 감싸도록 개재되며,
    상기 덮개 보온재는 상기 연장부의 내부로 수용 결합되면서 상기 덮개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온수조.
  5. 내부에 밀폐된 저수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호 결합되는 상, 하부 몸체와, 상기 상부 몸체에 구비되는 히터 및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온수조에 있어서,
    상기 하부 몸체의 저면 및 측면을 감싸는 단열재; 및
    상기 상부 몸체의 상면 및 측면을 감싸는 난연성 또는 불연성의 상부 보온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단열 온수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는 발포 폴리스티렌 또는 발포 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온수조.
  7. 청구항 5 또는 6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는, 상기 하부 몸체의 저면 및 측면을 감싸며, 상단 외측에는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상부 몸체 하단부의 외측면과 이격되는 제1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보온재는, 상기 상부 몸체의 상면 및 측면을 감싸며, 하단 내측에는 상기 단열재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상부 몸체의 하단부 외측면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삽입 결합되는 제2 연장부가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온수조.
  8. 청구항 5 또는 6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와 상기 하부 몸체의 사이에는 난연성 또는 불연성의 하부 보온재가 상기 하부 몸체의 측면을 감싸도록 개재되며,
    상기 단열재는 상기 상, 하부 보온재의 측면 및 상기 하부 몸체의 저면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온수조.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저면 및 측면을 감싸는 단열재와 상기 상부 몸체의 상면 및 측면을 감싸는 상부보온재의 외부를 감싸는 플라스틱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온수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커버는 난연성 재질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온수조.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커버는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벤츠이미다졸 또는 폴리아미드이미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온수조.
KR1020090124828A 2009-04-10 2009-12-15 단열 온수조 KR1012471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4224 2009-04-10
KR20090004224 2009-04-10
KR1020090039327A KR20100113432A (ko) 2009-04-10 2009-05-06 단열 온수조
KR1020090039327 2009-05-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3016A KR20100113016A (ko) 2010-10-20
KR101247151B1 true KR101247151B1 (ko) 2013-03-29

Family

ID=43132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4828A KR101247151B1 (ko) 2009-04-10 2009-12-15 단열 온수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71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628B1 (ko) * 2012-03-02 2014-02-04 이종용 온수통 뚜껑
KR102144341B1 (ko) * 2019-01-08 2020-08-13 주식회사 귀뚜라미 순간 가열 기능을 갖는 저장식 온수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4788A (ko) * 1999-04-19 2002-02-25 헨리 버나드 페테리 수도 본관에 연결되는 진공 단열 온수 설비
JP2003240353A (ja) * 2002-02-15 2003-08-27 Inax Corp 温水タンク
KR20080054595A (ko) * 2006-12-13 2008-06-18 김창태 간접가열식 축열형 전기온수기
JP2008217553A (ja) * 2007-03-06 2008-09-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動販売機用温水タン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4788A (ko) * 1999-04-19 2002-02-25 헨리 버나드 페테리 수도 본관에 연결되는 진공 단열 온수 설비
JP2003240353A (ja) * 2002-02-15 2003-08-27 Inax Corp 温水タンク
KR20080054595A (ko) * 2006-12-13 2008-06-18 김창태 간접가열식 축열형 전기온수기
JP2008217553A (ja) * 2007-03-06 2008-09-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動販売機用温水タン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3016A (ko) 2010-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95887A2 (en) Water tank with sealing element
KR101790173B1 (ko) 청소용 스팀 장치
KR101247151B1 (ko) 단열 온수조
JP5622932B2 (ja) ガス安全装置
KR102148527B1 (ko) 온도 퓨즈에 대한 단열 차폐 구조를 갖는 배터리용 냉각수 가열 장치
KR20100113432A (ko) 단열 온수조
JP6332123B2 (ja) 貯湯式給湯機
KR100761865B1 (ko) 온수기의 히터장치
KR101221476B1 (ko) 단열공간을 구비한 이중 탱크
KR20130015842A (ko) 온수조 탱크의 난연장치
US2620431A (en) Combined electric hot water heater, flue, and chimney unit
KR100689145B1 (ko) 보일러의 열교환장치
KR20100105173A (ko) 단열 온수조
RU92281U1 (ru) Электронагреватель взрывозащищенный (варианты)
KR101476823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찜질기
KR200434562Y1 (ko) 온수기의 히터장치
KR101185587B1 (ko) 증기 배관의 단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20010069455A (ko) 축열물질을 이용한 전기난방장치
TW201942515A (zh) 袋式鋼瓶加熱裝置
KR200241006Y1 (ko) 난방용 축열물질 및 이를 이용한 전기난방장치
JP2006223488A (ja) 保温具
KR102466207B1 (ko) 순간온수장치
KR20120016682A (ko) 에너지 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온수 장치
US20220026107A1 (en) Gas-fueled water heater appliance having a foam barrier
KR100985792B1 (ko) 전열 온수관의 단부 밀폐 구조 및 전열 온수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