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1476B1 - 단열공간을 구비한 이중 탱크 - Google Patents

단열공간을 구비한 이중 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1476B1
KR101221476B1 KR1020120147652A KR20120147652A KR101221476B1 KR 101221476 B1 KR101221476 B1 KR 101221476B1 KR 1020120147652 A KR1020120147652 A KR 1020120147652A KR 20120147652 A KR20120147652 A KR 20120147652A KR 101221476 B1 KR101221476 B1 KR 101221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opening
tank
closing member
ho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7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경
Original Assignee
대진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진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진기업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1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1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in the form of a barrel or vat
    • B65D81/380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in the form of a barrel or vat formed with double walls, i.e. hol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6Arrangements using an air layer or vacuum
    • F16L59/065Arrangements using an air layer or vacuum using vacu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181Construction of the tank
    • F24H1/182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4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subatmospheric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122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the refrigerator is characterised by a water tank for the water/ice dispenser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공간을 구비한 이중 탱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수기, 냉온수기, 이온수기 등의 먹는물 공급장치에 사용되는 정수통, 냉수통 또는 온수통, 무엇보다도 온수통을 단열공간(바람직하기로는 진공공간)을 구비하도록 상호 이격된 이중 탱크로 구성하여 열손실을 줄이고, 이에 따라 전력 소모량까지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이중 탱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공간을 구비한 이중 탱크는 둘레에 제1플렌지를 갖는 제1개구부를 구비한 외부용기; 외부용기의 제1개구부에 삽입되고, 제1플렌지와 접촉하도록 둘레에 제2플렌지를 갖는 제2개구부를 구비하고 저장공간을 제공하는 내부용기; 내부용기와 외부용기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단열공간; 및 내부용기의 제2개구부를 막고 접촉부를 갖는 폐쇄부재;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호 접촉하는 제1플렌지와 제2플렌지의 제1용접결합부에 함께 용접 결합되는 제3플렌지와, 제3플렌지와 연결된 제4플렌지를 갖고 상기 제2개구부와 연통되는 제3개구부를 구비한 중계체를 더 포함하고, 중계체의 제4플렌지에 상기 폐쇄부재의 접촉부가 맞닿은 상태에서 제2용접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열공간을 구비한 이중 탱크{DOUBLE LAYERED TANK}
본 발명은 단열공간을 구비한 이중 탱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수기, 냉온수기, 이온수기 등의 먹는물 공급장치에 사용되는 정수통, 냉수통 또는 온수통, 무엇보다도 온수통을 구성함에 있어 단열공간(바람직하기로는 진공공간)을 구비하도록 상호 이격된 이중 물탱크로 구성하여 열손실을 줄이고, 이에 따라 전력 소모량까지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이중 탱크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의 물탱크, 특히 온수탱크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실용신안공개 제20-2009-0005244호(공개일자 2009년06월01일) [냉온정수기용 온수탱크]가 있는데,
상기 공개실용신안은 냉온정수기의 내에 설치되어 원수를 가열하여 공급하도록 하는 냉온정수기용 온수탱크에 관한 것인데, 특히 온수를 가열할 수 있는 히터가 장착되는 탱크몸체에 원수공급관 및 온수배출관 등이 연결되는 냉온정수기용 온수탱크에 있어서의 히터가 히터고정원판에 장착되도록 하여, 탱크몸체의 개구부에 히터고정원판을 덮고 탱크몸체에 대하여 히터고정원판이 고정밴드에 의하여 패킹과 함께 견고히 걸림이 유지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뚜껑의 기밀을 확실하게 유지하여 탱크몸체내의 온수 등이 외부로 누수되는 일이 없도록 하며, 또한 탱크몸체와 히터고정원판을 분리 제작하여 결합 고정에 의하여 제작원가를 낮출 수 있기 때문에, 온수탱크의 생산원가를 대폭으로 줄일 수 있으며, 또한 탱크몸체와 히터고정원판을 고정밴드의 양쪽 끝단을 고정볼트로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분리 결합이 용이하여, 탱크몸체로부터 히터고정원판을 분리하여 탱크몸체 내의 청소가 가능하도록 한 냉온정수기용 온수탱크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공개실용신안에서는 단순히 스티로폼 등의 단열재를 이요하는 종래 단열방법에 대한 개선안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
이에 비해 특허공개 제10-2010-0015220호(공개일자 2010년02월12일) [전극 수위센서가 장착된 온수탱크를 구비하는 정수기]에서는
전극 수위센서가 장착된 온수탱크를 구비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며, 특히 정수기의 온수탱크에 수위센서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고 온수탱크의 히터의 고장을 줄일 수 있는 전극 수위센서가 장착된 온수탱크를 구비하는 정수기를 제시하고 있다.
이 공개특허에서는 특히 외통과 내통의 사이에 구비된 단열재로 구성된 통상의 단열수단을 제시하고 있다.
다음으로 특허공개 제10-2012-0056194호(공개일자 2012년06월01일) [정수기용 온수탱크]가 있는데,
상기 공개특허는 온수탱크 내부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온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정수기용 온수탱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히팅챔버모듈을 감싸서 상기 히팅챔버모듈을 보온시키는 것과 더불어 상기 히팅챔버모듈의 열이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인슐레이터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두 공개특허는 단열 성능이 가장 우수하고 양산성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진 단열공간, 특히 진공공간을 갖는 통상의 보온병의 이중 구조를 채용한 것이 아니어서 단열 및 보온 성능이 제한적이다.
한편, 등록특허 제10-0909040호(등록일자 2009년07월16일) [정수기용 온수탱크]가 있는데,
상기 등록특허는 정수기의 물을 가열 제공하는 온수탱크와 관련하여 탱크 본체, 덮개판 및 고정캡의 결합 구조로 제공되어 내부 소제의 편리 및 위생적 관리가 우수함은 물론 본체를 이중구조로 형성하여 열 보존 효율을 우수하게 제공하는 정수기용 온수탱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탱크 본체가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이중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는 탱크를 이중구조로 하고 중공부의 배기를 이룩하는 경우 현실적인 진공방식과 함께, 온수탱크 특유의 캡(통상 히터가 장착되어 있다)까지 용접 결합하는 경우, 추가적인 용접으로 인한 진공공간의 누설 불량 발생 문제에 대한 해결책 등에 대한 현실적인 방안을 전혀 제시하고 있지 못하다.
이에 본 발명은 정수기, 냉온수기, 이온수기 등의 먹는물 공급장치에 사용되는 정수통, 냉수통 또는 온수통, 무엇보다도 온수통을 구성함에 있어 단열공간(바람직하기로는 진공공간)을 구비하도록 상호 이격된 이중 물탱크로 구성하여 열손실을 줄이고, 이에 따라 전력 소모량까지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이중 탱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외부용기 및 내부용기 각각의, 상호 접촉하는 제1플렌지와 제2플렌지의 제1용접결합부를 형성하며, 이 제1용접결합부에 함께 용접 결합되는 제3플렌지를 갖는 중계체를 더 도입하여, 중계체의 제3개구부 둘레의 제4플렌지와 맞닿는 폐쇄부재의 접촉부에 제2용접결합부를 형성함으로써 2번의 용접으로 인하여 제1용접결합부가 파손되고 이이 따라 내외 용기 사이에 형성되는 단열공간의 누설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이중 탱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 상기 중계체는 제3 및 제4 플렌지를 잇는 연결부를 통하여 제1 및 제2 용접결합부가 상호 이격 배열되도록 구성한 이중 탱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단열공간을 구비한 이중 탱크는
둘레에 제1플렌지를 갖는 제1개구부를 구비한 외부용기;
외부용기의 제1개구부에 삽입되고, 제1플렌지와 접촉하도록 둘레에 제2플렌지를 갖는 제2개구부를 구비하고 저장공간을 제공하는 내부용기;
내부용기와 외부용기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단열공간; 및
내부용기의 제2개구부를 막고 접촉부를 갖는 폐쇄부재;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호 접촉하는 제1플렌지와 제2플렌지의 제1용접결합부에 함께 용접 결합되는 제3플렌지와, 제3플렌지와 연결된 제4플렌지를 갖고 상기 제2개구부와 연통되는 제3개구부를 구비한 중계체를 더 포함하고,
중계체의 제4플렌지에 상기 폐쇄부재의 접촉부가 맞닿은 상태에서 제2용접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단열공간을 구비한 이중 탱크에서
제1 및 제2 용접결합부는 상호 이격 배열되어 있고,
상기 폐쇄부재 또는 그 반대편 내부 및 외부 용기 벽체에는 입수 파이프가 삽입 결합되어 있고,
상기 내부용기의 저장공간에 배열된 상기 입수 파이프 부분 단부가 굽은 절곡부를 가져 출수부가 하향 배열되어 있고,
상기 단열공간은 진공공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공간을 구비한 이중 탱크는 정수기, 냉온수기, 이온수기 등의 먹는물 공급장치에 사용되는 정수통, 냉수통 또는 온수통, 무엇보다도 온수통을 단열공간(바람직하기로는 진공공간)을 구비하도록 상호 이격된 이중 탱크로 구성하여 열손실을 줄이고, 이에 따라 전력 소모량까지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고, 또 외부용기 및 내부용기 각각의, 상호 접촉하는 제1플렌지와 제2플렌지의 제1용접결합부를 형성하며, 이 제1용접결합부에 함께 용접 결합되는 제3플렌지를 갖는 중계체를 더 도입하여, 중계체의 제3개구부 둘레의 제4플렌지와 맞닿는 폐쇄부재의 접촉부에 제2용접결합부를 형성함으로써 2번의 용접으로 인하여 제1용접결합부가 파손되고 이이 따라 내외 용기 사이에 형성되는 단열공간의 누설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나아가 상기 중계체는 제3 및 제4 플렌지를 잇는 연결부를 통하여 제1 및 제2 용접결합부가 상호 이격 배열되도록 구성하여 용접결합부의 재가열로 인한 파손 발생 가능성을 원천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공간을 구비한 이중 탱크, 특히 온수탱크에 대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제3~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공간을 구비한 이중 탱크, 특히 온수탱크(T)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도 1 [B]의 정면도로 도시한 그대로의 상태에서 상하, 좌우, 전후를 나누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먼저 도 1 [A]의 평면도, [B]의 정면도, [C]의 저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공간을 구비한 이중 탱크, 특히 온수탱크(T)는 크게 외부용기(10), 내부용기(20), 두 용기(10)(20) 사이에 형성되는 단열공간(30), 내부용기의 제2개구부(21)를 막는 폐쇄부재(40), 그리고 이 폐쇄부재의 용접 밀봉을 위하여 도입되는 중계체(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주로 온수탱크를 위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의 기술은 온수탱크는 물론 정수기, 냉온수기, 이온수기 등의 먹는물 공급장치에 사용되는 정수통, 냉수통 등이나 기타 물탱크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 내부용기의 저장공간에 담기는 물체가 '물' 외에 다양한 액체나 기체 등의 유체이거나, 단열이 필요한 분말, 입상체, 기타 고체를 저장하는 용도를 위한 탱크를 배제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물"탱크라는 지칭에 의하여 보호범위 및 적용범위가 제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또 상기 내부 및 외부 용기는 대략 원통형상이나 그 외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고, 외부용기에 내부용기가 수용될 수 있는 형상 및 크기를 갖는다는 제한조건을 충족하는 한 상호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외부용기(10)는 둘레에 제1플렌지(13)를 갖는 제1개구부(11) 갖고, 벽체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다. 상기 제1플렌지(13)는 특히 측면 방향(도시된 형태는 수평 방향이나 그 외 다양한 각도를 가질 수 있다)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내부용기(20)는 외부용기(10)의 제1개구부(11)에 삽입되는 형상과 크기를 갖는다. 또 제1플렌지(13)와 접촉하도록 둘레에 제2플렌지(23)를 갖는 제2개구부(21)를 구비하며, 물이나 기타 유체 등의 물품이 담기는 저장공간(27)을 제공한다.
상기 제2플렌지 역시 제1플렌지에 상응하도록 측면 방향(역시 도시된 바는 수평 방향이나 그 외 다양한 각도를 가질 수 있다)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단열공간(30)은 내부용기와 외부용기의 결합으로 두 용기 사이에 형성되며, 바람직하기로는 진공공간인 것이 좋다.
또 진공화를 위한 배기를 위하여 진공노즐(31)이 연통 결합되는데, 특히 외부용기의 상벽체(15)에 관통 결합되어 있고, 진공 배기 후 진공노즐(31)은 폐쇄된다.
상기 폐쇄부재(40)(일종의 '캡'임)는 내부용기의 제2개구부(21)를 막고 접촉부(43)를 갖는데, 물탱크가 온수탱크인 경우에는 저장공간(27) 내부에 배열되는 히터(H)(도 1 [B] 우측의 일점 쇄선 원 내 도면 대용 편집 사진 참조)의 도입을 위한 히터장착부(47)(도 1 [C] 저면도 참조)가 구비되어 있고, 도 1 [B] 우측의 일점 쇄선 원 내에서는 이 히터에 전원을 도입하기 위한 전원연결부(H1)를 확인할 수 있다.
또 온수 온도 측정을 통한 히터 가열 제어를 위한 온도센서 장착관(45A)이 관통 결합되어 구비되며, 측면에는 센서고정볼트(45a)가 돌출 결합되어 있다.
나아가 상기 폐쇄부재에는 이중 안전수단으로 온도 제어 및 비상시의 전원차단 확실성 보장을 위하여 바이메탈 센서(미도시 됨)가 고정되는 홀더가 도입되는데, 특히 판스프링 타입의 홀더(45B)가 저면에 결합되어 있다.
필요에 따라 바이메탈 센서나 온도센서는 내부용기에 직접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폐쇄부재에는 공지의 온수탱크에 맞게 입수파이프(41) 및 드레인(41B)을 갖고, 물탱크, 즉 온수탱크를 정수기의 하우징에 고정하기 위한 장착 브라켓(49)이 2개 저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입수파이프(41)는 실온의 물이 공급되는 경우 기존 온수탱크의 물과 섞이지 않고 배출되는 사태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내부용기의 저장공간에 배열된 상기 입수 파이프 부분 단부가 굽은 절곡부(41A) 가져 입수파이프의 최종 출수부가 하향 배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입수파이프의 출수부는 드레인(41B)과 일체되는 부위, 특히 폐쇄부재 중앙에 배열되어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입수파이프는 내부 및 외부 용기 벽체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또 내부 및 외부 용기 벽체, 특히 상벽체(15)(25)에는 출수 파이프(P1) 및 수증기 배출을 위한 에어벤트(P2)가 관통 결합되어 있다. 역시 대안적으로 출수 파이프는 폐쇄부재에 결합·배열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핵심을 이루는 중계체(50)는 상호 접촉하는 제1플렌지(13)와 제2플렌지(23)의 제1용접결합부(W1)에 함께 용접 결합되는 제3플렌지(53A)를 갖고, 제3플렌지와 연결된 제4플렌지(53B)를 갖고 상기 제2개구부(21)와 연통되는 제3개구부(51)를 갖는다.
제3 및 제4 플렌지(53A,53B)는 연결부(53C)를 통하여 상호 이어져 있다.
만약 단순히 중계체 없이 외부용기와 내부용기의 접합부, 즉 제1용접결합부(W1)에 폐쇄부재를 용접 결합하는 경우 재용접-재가열로 인하여 단열공간(30)에 누설이 발생되어 치명적인 단열 파괴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제1용접결합부(W1) 부근에 폐쇄부재를 용접하는 경우 역시 마찬가지의 문제가 발생된다.
이는 내외 용기(20)(10)에 제1용접결합부(W1)를 형성한 후, 단열공간, 즉 진공공간(30) 형성을 위하여 진공로(약 400℃ 정도로 가열된)에서 진공-배기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 제1용접결합부에 재차 스트레스가 가해지기 때문에 용접부위가 파손되기 쉬워지므로 더 문제가 된다.
통상적으로 온수탱크를 진공공간을 갖는 이중 탱크로 구성하는 경우,
(a) 내외 용기(20)(10)의 용접 결합 → (b) 내외 공기 사이의 단열공간을 진공화하여 진공공간 형성 → (c) 상호 결합된 내외 용기 및 폐쇄부재의 세척(특히 전해 연마) → (d) 내외 용기와 폐쇄부재의 용접 결합
의 제조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제조 공정에서 단열-보온 성능의 향상을 위한 (b)단계나, 음용수를 제공하는 온수 탱크로 활용되기 위한 (c)단계는 필수적이다.
여기에 (d)단계를 시차를 두고 형성하며, 제1용접결합부(W1)와 중첩되게 또는 인접하여 제2용접결합부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제1용접결합부의 파손 위험성이 높고, (b)단계의 진공화를 위한 가열로 인하여 제1용접결합부의 파손 위험성이 더 증가된다.
따라서 이중 탱크를 제조함에 있어 첫 번째로 가능한 용접부위를 최소화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외부용기(10) 및 내부용기(20)는 강판, 특허 SUS 강판을 롤링하여 원통형상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프레스 가공, 특히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 프레스 가공을 통하여 용접부위가 없는 보울(bowl)을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진공공간(30)의 누설 방지를 위하여 상호 경합된 내외 이중용기(T1)에 결합되고, 물탱크, 특히 온수탱크를 위하여 필수적인 출수파이프(P1) 및 진공노즐(31) 등이 배열되어 있는데, 그 외 필요에 따라 선택 도입되는 에어벤트(P2)를 완벽하게 용접하는 것이 필요하다. 만약 입수파이프(41)이나 드레인(41B) 등이 내외 용기(T1)에 도입된다면 역시 용접 작업에 만전일 기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외부용기 및 내부용기 각각의 제1플렌지(13)와 제2플렌지(23)의 제1용접결합부(W1)와 중계체(50)의 제4플렌지(53B)에 상기 폐쇄부재(40)의 접촉부(43)가 맞닿은 상태에서 제2용접결합부(W2)를 가능한 이격 배열되도록 하는 것이 2차 용접으로 인한 제1용접결합부의 파손으로 발생될 수 있는 진공공간(30)의 누설 가능성을 제거하기 위하여 필수적이다.
이를 위하여, 그리고 더 나아가 컴팩트한 형상을 제공하고, 용접 작업의 용이성을 확보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중계체(50)의 제3플렌지(53A)는 제1플렌지(13)와 제2플렌지(23)의 상응하는 형상으로 측면으로 절곡되어 있고,
제4플렌지(53B)는 개구부, 특히 중계체(50)의 제3개구부(51)에 결합되어 내부용기(20) 저장공간(27)을 위한 제2개구부(21)까지 닫는 폐쇄부재(40)의 접촉부(43)의 형상에 상응하도록 하향 절곡되어 있으며,
중계체(50)의 연결부(53C)를 통하여 제3 및 제4 플렌지는 가능한 멀리 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용접결합부(W1)(W2)는 상호 이격 배열되어 있고, 특히 제1 및 제2 플렌지(13)(23) 및 중계체(50)의 제3플렌지(53A)의 특유 형상으로 제1용접결합부(W1)는 측방향으로 형성되는데 용접(특히 SUS에 대한 알곤용접) 장비의 특성상 상하에서 용접하는 방식은 공간확보 등이 용이하여 생산성이 극대화되며, 나아가 제2용접결합부가 제1용접결합부와는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어 용접 장비(팁)의 접근 용이성이 보다 강화되어 생산성 증대 효과는 더욱 커지게 된다.
또 제2용접결합부(W2)는 중계체(50)의 제4플렌지(53B)에 상기 폐쇄부재(40)의 접촉부(43)가 맞닿는 부위로, 뚜껑 역할을 하는 폐쇄부재의 특성에 맞게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 제4플렌지 및 접촉부에 따른 형상을 갖는다.
필요에 따라 제4플렌지 및 접촉부는 수직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이 아니라 외측면으로 벌어진 경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 용접 장비 특성에 맞게 제4플렌지 및 접촉부는 내측면으로 좁아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내외 용기(20)(10)의 상호 경합으로 형성되는 이중용기(T1) 중 내부용기의 제2플렌지(23)에 중계체(50)의 제3플렌지(53a)가 접촉한 상태에서 제1용접결합부(W1)가 형성된 후,
다시 중계체(50)의 제4플렌지(53A)에 폐쇄부재(40)의 접촉부(43)가 결합되는 경우,
제2플렌지(23)에 의하여 둘러싸인 내부용기(50)의 제2개구부(21)의 내경(크기)이 제4플렌지(53B)에 의하여 둘러싸인 중계체(50)의 제3개구부(51)의 내경(크기)보다 큰 경우, 폐쇄부재(40)의 접촉부(43)가 형성하는 외경(크기)은 제3개구부의 크기에 상응한 것이므로
긴민하게 접촉하는 폐쇄부재를 제3개구부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압력을 가하거나 충격을 가해야 하는데,
이때 폐쇄부재가 내부용기(50)의 제2개구부(21) 영역을 넘어서 내부 저장공간(27) 안으로 빠질 위험이 상존하게 되고, 그만큼 주의를 요하므로 작업효율성이 저하된다.
이를 방지·해결하기 위하여 내부용기(50)의 제2개구부(21)의 내경(크기)이 제4플렌지(53B)에 의하여 둘러싸인 중계체(50)의 제3개구부(51)의 내경(크기)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제1 및 제2 용접결합부(W1,W2)로 인하여 [외부용기+내부용기+중계체 결합체]가 형성된 상태에서
중계체(50)의 제3개구부(51) 측에서 관찰하면 내부용기(50)의 제2개구부(21)가 보이고, 나아가 그만큼 작은 내부용기의 제3플렌지(23) 내측 부위 역시 보이며,
이 제3플렌지(23) 내측 부위가 걸림턱(23A)을 형성하고, 이 걸림턱에 폐쇄부재(40)의 접촉부(43) 내측 내면 테두리부분이 걸리게 되므로 약간 과도한 압력 또는 충격을 가하여 폐쇄부재를 중계체(50)의 제3개구부(51)에 결합하여도 폐쇄부재가 내부용기의 저장공간으로 넘어가 빠져 버리는 사태는 발생되지 않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온수탱크의 구조 및 구성, 정수기의 구성, 진공방법 등과 관련된 통상의 공지된 기술을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를 추측 및 추론하고 재현할 수 있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탱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 탱크 10: 외부용기
20: 내부용기 30: 단열공간
40: 폐쇄부재 50: 중계체

Claims (4)

  1. 둘레에 제1플렌지를 갖는 제1개구부를 구비한 외부용기;
    외부용기의 제1개구부에 삽입되고, 제1플렌지와 접촉하도록 둘레에 제2플렌지를 갖는 제2개구부를 구비하고 저장공간을 제공하는 내부용기;
    내부용기와 외부용기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단열공간; 및
    내부용기의 제2개구부를 막고 접촉부를 갖는 폐쇄부재;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호 접촉하는 제1플렌지와 제2플렌지의 제1용접결합부에 함께 용접 결합되는 제3플렌지와, 제3플렌지와 연결된 제4플렌지를 갖고 상기 제2개구부와 연통되는 제3개구부를 구비한 중계체를 더 포함하고,

    중계체의 제4플렌지에 상기 폐쇄부재의 접촉부가 맞닿은 상태에서 제2용접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탱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용접결합부는 상호 이격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탱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재 또는 그 반대편 내부 및 외부 용기 벽체에는 입수 파이프가 삽입 결합되어 있고,
    상기 내부용기의 저장공간에 배열된 상기 입수 파이프 부분 단부가 굽은 절곡부를 가져 출수부가 하향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탱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공간은 진공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탱크.
KR1020120147652A 2012-11-30 2012-12-17 단열공간을 구비한 이중 탱크 KR1012214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38344 2012-11-30
KR1020120138344 2012-11-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1476B1 true KR101221476B1 (ko) 2013-01-14

Family

ID=47841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7652A KR101221476B1 (ko) 2012-11-30 2012-12-17 단열공간을 구비한 이중 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14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7499B1 (ko) * 2018-09-18 2020-04-07 홍종국 예열히터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순간 온수장치
KR20210017987A (ko) * 2019-08-05 2021-02-17 홍종국 예열히터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순간 온수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3074A (ja) 1997-12-26 1999-07-21 Pip Fujimoto Co Ltd ウエットティッシュの保温・保冷装置
JP2004361076A (ja) 2003-05-30 2004-12-24 Chart Inc 増補水ヒータータンク及び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3074A (ja) 1997-12-26 1999-07-21 Pip Fujimoto Co Ltd ウエットティッシュの保温・保冷装置
JP2004361076A (ja) 2003-05-30 2004-12-24 Chart Inc 増補水ヒータータンク及びシステ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7499B1 (ko) * 2018-09-18 2020-04-07 홍종국 예열히터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순간 온수장치
KR20210017987A (ko) * 2019-08-05 2021-02-17 홍종국 예열히터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순간 온수장치
KR102319453B1 (ko) * 2019-08-05 2021-10-29 홍종국 예열히터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순간 온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1172B1 (ko) 알콜 음료 양조기
CN102001478A (zh) 带有密封件的水箱
JP2009257729A (ja) 分離可能な温水槽
KR101221476B1 (ko) 단열공간을 구비한 이중 탱크
KR101171477B1 (ko) 냉온수기용 온수탱크
KR200472171Y1 (ko) 진공 단열 물통
KR200472172Y1 (ko) 진공 단열 물통
KR100761865B1 (ko) 온수기의 히터장치
CN104110835B (zh) 电热水器
US517777A (en) Receptacle or tank for the storage of compressed air
CN103836797B (zh) 一种双夹层热水器内胆及其组装工艺方法
KR200434987Y1 (ko) 에어로겔 단열재가 내장된 보온병
CN202666037U (zh) 一种用于隧道式灭菌烘箱内外箱体的连接结构
KR20090005244U (ko) 냉온정수기용 온수탱크
KR101292247B1 (ko) 진공단열 수조
KR20100113016A (ko) 단열 온수조
KR20100105173A (ko) 단열 온수조
KR200278961Y1 (ko) 정수기의 수통구조
CN201303864Y (zh) 一种紫砂加热内胆
CN208058050U (zh) 一种电热水器用温度压力安全阀
KR200409237Y1 (ko) 전기 압력 밥솥의 증기 배출 장치
KR200434562Y1 (ko) 온수기의 히터장치
KR200409239Y1 (ko) 전기 압력 밥솥의 증기 배출 장치
KR20110111114A (ko) 진공단열 수조
KR101497080B1 (ko) 진공 단열 온수통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