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6934B1 - 스트립 라인 구조의 페이즈 쉬프터 - Google Patents

스트립 라인 구조의 페이즈 쉬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6934B1
KR101246934B1 KR1020110093349A KR20110093349A KR101246934B1 KR 101246934 B1 KR101246934 B1 KR 101246934B1 KR 1020110093349 A KR1020110093349 A KR 1020110093349A KR 20110093349 A KR20110093349 A KR 20110093349A KR 101246934 B1 KR101246934 B1 KR 101246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line
line
sub
dielectric
distrib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3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일나르 바타로브
박철근
오건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10093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69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6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6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18Phase-shif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3Strip line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4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with variable factor of coupling

Abstract

광대역을 구현하는 스트립 라인 구조의 페이즈 쉬프터가 개시된다. 상기 페이즈 쉬프터는 도체 판, 상기 도체 판 위에 배열된 입력 선로, 상기 도체 판 위에 배열된 제 1 출력 선로, 상기 도체 판 위에 배열된 제 2 출력 선로, 상기 입력 선로, 상기 제 1 출력 선로 및 상기 제 2 출력 선로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도체 판 사이에 배열되는 제 1 유전체부, 상기 입력 선로를 통하여 입력된 전력을 상기 제 1 출력 선로 및 상기 제 2 출력 선로로 분배하며, 상기 입력 선로와 상기 제 1 출력 선로를 연결하는 제 2 서브 분배부 및 상기 입력 선로와 상기 제 2 출력 선로를 연결하는 제 1 서브 분배부를 가지는 제 1 분배부 및 상기 제 1 출력 선로 및 상기 제 2 서브 분배부 중 일부분 위에 배열된 제 2 유전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서브 분배부 중 상기 제 2 유전체부가 위치한 부분의 폭은 상기 제 2 서브 분배부 중 상기 제 2 유전체부가 위치하지 않은 부분의 폭보다 작다.

Description

스트립 라인 구조의 페이즈 쉬프터{PHASE SHIFTER HAVING STRIP LINE STRUCTURE}
본 발명은 광대역을 구현하는 스트립 라인 구조의 페이즈 쉬프터에 관한 것이다.
페이즈 쉬프터는 안테나의 방사 소자들과 연결되어 상기 안테나의 경사각을 조정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페이즈 쉬프터는 구조 및 구동 방법이 복잡하였으며 충분한 광대역 및 반사 손실을 구현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광대역 특성 및 우수한 반사 손실 특성을 가지는 페이즈 쉬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즈 쉬프터는 도체 판; 상기 도체 판 위에 배열된 입력 선로; 상기 도체 판 위에 배열된 제 1 출력 선로; 상기 도체 판 위에 배열된 제 2 출력 선로; 상기 입력 선로, 상기 제 1 출력 선로 및 상기 제 2 출력 선로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도체 판 사이에 배열되는 제 1 유전체부; 상기 입력 선로를 통하여 입력된 전력을 상기 제 1 출력 선로 및 상기 제 2 출력 선로로 분배하며, 상기 입력 선로와 상기 제 1 출력 선로를 연결하는 제 2 서브 분배부 및 상기 입력 선로와 상기 제 2 출력 선로를 연결하는 제 1 서브 분배부를 가지는 제 1 분배부; 및 상기 제 1 출력 선로 및 상기 제 2 서브 분배부 중 일부분 위에 배열된 제 2 유전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서브 분배부 중 상기 제 2 유전체부가 위치한 부분의 폭은 상기 제 2 서브 분배부 중 상기 제 2 유전체부가 위치하지 않은 부분의 폭보다 작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페이즈 쉬프터는 도체 판; 상기 도체 판 위에 배열된 입력 선로; 상기 도체 판 위에 배열된 제 1 출력 선로; 상기 도체 판 위에 배열된 제 2 출력 선로; 상기 입력 선로, 상기 제 1 출력 선로 및 상기 제 2 출력 선로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도체 판 사이에 배열되는 제 1 유전체부; 및 상기 입력 선로를 통하여 입력된 전력을 상기 제 1 출력 선로 및 상기 제 2 출력 선로로 분배하며, 상기 입력 선로와 상기 제 1 출력 선로를 연결하는 제 2 서브 분배부 및 상기 입력 선로와 상기 제 2 출력 선로를 연결하는 제 1 서브 분배부를 가지는 제 1 분배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출력 선로는 상기 제 1 분배부를 기준으로 상기 입력 선로와 대향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 1 서브 분배부 중 상기 입력 선로와 만나는 지점에는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입력 선로의 폭은 상기 제 1 서브 분배부 중 상기 슬롯이 형성된 부분의 폭 또는 상기 제 2 서브 분배부의 폭보다 넓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페이즈 쉬프터는 도체 판; 상기 도체 판 위에 배열된 입력 선로; 상기 도체 판 위에 배열된 제 1 출력 선로; 상기 도체 판 위에 배열된 제 2 출력 선로; 상기 입력 선로, 상기 제 1 출력 선로 및 상기 제 2 출력 선로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도체 판 사이에 배열되는 제 1 유전체부; 상기 입력 선로를 통하여 입력된 전력을 상기 제 1 출력 선로 및 상기 제 2 출력 선로로 분배하며, 상기 입력 선로와 상기 제 1 출력 선로를 연결하는 제 2 서브 분배부 및 상기 입력 선로와 상기 제 2 출력 선로를 연결하는 제 1 서브 분배부를 가지는 제 1 분배부; 및 상기 제 1 출력 선로 위에 배열된 제 2 유전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유전체부 중 상기 제 1 출력 부재에 대응하는 부분의 일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슬롯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페이즈 쉬프터는 서브 분배부의 일부 폭을 다른 두께로 구현하고, 분배부에 슬롯을 형성하며, 유전체부의 일부분에 슬롯을 형성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페이즈 쉬프터를 사용하는 안테나가 광대역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즈 쉬프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페이즈 쉬프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분배부 및 주변 부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롯의 변화에 따른 반사 손실 특성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즈 쉬프터를 구동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즈 쉬프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페이즈 쉬프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페이즈 쉬프터는 안테나(예를 들어 기지국 안테나)에 포함되어 방사 소자들로 전력(RF 신호들)을 급전하는 소자로서, 상기 방사 소자들로 제공하는 RF 신호들의 위상을 가변시켜 상기 방사 소자들로부터 출력되는 방사 패턴의 경사각을 조정할 수 있다.
도 1,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페이즈 쉬프터는 도체 판(100), 입력 선로(102), 복수의 출력 선로들(104, 106, 108, 110 및 112), 분배부들(120, 122 및 124) 및 유전체부(114)를 포함한다.
도체 판(100)은 베이스 부재로서 금속 물질로 이루어지며, 접지판으로서 동작할 수 있다.
유전체부(114) 중 일부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체 판(100) 위에 배열될 수 있다.
입력 선로(102)는 도체로서 유전체부(114) 위에 소정 두께를 가지고 형성되며, 즉 스트립 라인 구조를 가지며, 소정 전력이 외부로부터 입력된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입력 선로(102)의 좌측 종단에 케이블이 연결되고, 케이블을 통하여 전력이 입력된다.
제 1 출력 선로(104)는 도체로서 유전체부(114) 위에 소정 두께를 가지고 형성되며, 제 1 방사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출력 선로(10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선로(102)와 평행하게 형성되며, 도 1에서 제 1 출력 선로(104)의 좌측 종단과 상기 제 1 방사 소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제 1 출력 선로(104)를 통하여 진행하는 RF 신호가 상기 제 1 방사 소자로 전송된다.
제 2 출력 선로(106)는 도체로서 유전체부(114) 위에 소정 두께를 가지고 형성되며, 제 2 방사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출력 선로(106)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분배부(120)를 기준으로 입력 선로(102)에 대향하여 형성되며, 도 1에서 제 2 출력 선로(106)의 우측 종단과 상기 제 2 방사 소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제 2 출력 선로(106)를 통하여 진행하는 RF 신호가 상기 제 2 방사 소자로 전송된다.
제 1 분배부(120)는 도체로서 입력 선로(104)를 통하여 입력된 전력을 제 1 출력 선로(104) 및 제 2 출력 선로(106)로 분배하며, 광대역을 구현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겠다.
제 3 출력 선로(108)는 도체로서 유전체부(114) 위에 소정 두께를 가지고 형성되며, 제 3 방사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3 출력 선로(108)는 제 1 출력 선로(104)와 평행하게 형성되며, 도 1에서 제 3 출력 선로(108)의 좌측 종단과 상기 제 3 방사 소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제 3 출력 선로(108)를 통하여 진행하는 RF 신호가 상기 제 3 방사 소자로 전송된다.
제 2 분배부(122)는 도체로서 제 1 출력 선로(104)를 통하여 입력된 전력을 제 3 출력 선로(108)로 분배시킨다.
제 4 출력 선로(110)는 도체로서 유전체부(114) 위에 소정 두께를 가지고 형성되며, 제 4 방사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4 출력 선로(110)는 제 2 출력 선로(106)와 평행하게 형성되며, 도 1에서 제 4 출력 선로(110)의 우측 종단과 상기 제 4 방사 소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제 4 출력 선로(110)를 통하여 진행하는 RF 신호가 상기 제 4 방사 소자로 전송된다.
제 5 출력 선로(112)는 도체로서 유전체부(114) 위에 소정 두께를 가지고 형성되며, 제 5 방사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5 출력 선로(112)는 제 4 출력 선로(110)와 평행하게 형성되며, 도 1에서 제 5 출력 선로(112)의 우측 종단과 상기 제 5 방사 소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제 5 출력 선로(112)를 통하여 진행하는 RF 신호가 상기 제 5 방사 소자로 전송된다.
제 3 분배부(124)는 도체로서 제 4 출력 선로(110)를 통하여 입력된 전력을 제 5 출력 선로(112)로 분배시킨다.
유전체부(114)는 소정 유전율을 가지는 유전체 물질로 이루어지며, 그의 일부분은 출력 선로들(104, 106, 108, 110 및 112)의 일부 및 분배부들(120, 122 및 124)의 일부 위에 위치한다. 즉, 유전체부(114)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 선로(104, 106, 108, 110 또는 112) 또는 분배부(120, 122 또는 124)의 상면 및 하면에 배열되며, 예를 들어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출력 선로(104) 및 제 4 출력 선로(110) 위에 위치하는 유전체부(114)의 길이는 제 3 출력 선로(108) 및 제 5 출력 선로(112) 위에 위치하는 유전체부(114)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이것은 방사 소자들로 입력되는 RF 신호들의 위상이 -2θ, -θ, 0, θ, 2θ로 일정한 규칙을 가지고 변화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유전체부(114)는 외부 기기의 제어에 따라 도 1에서 좌우 이동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유전체부(114)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면 출력 소자들(104, 108, 110 및 112)로부터 해당 방사 소자들로 전달되는 RF 신호들의 위상이 가변되므로, 상기 방사 소자들을 가지는 안테나의 경사각이 가변된다.
요컨대, 본 실시예의 페이즈 쉬프터는 도체 판(100) 위에 복수의 선형 선로들(102, 104, 106, 108, 110 및 112)을 배열하여 해당 방사 소자들로 전달되는 RF 신호들의 위상을 조정한다. 또한, 상기 페이즈 쉬프터는 유전체부(114)를 출력 선로들(104, 106, 108, 110 및 112)의 상면 및 하면에 위치시키고 움직임 가능하도록 구현하여 상기 페이즈 쉬프터와 연결된 안테나의 경사각을 제어한다. 위에서는 5개의 출력 선로들만을 도시하였으나 복수의 출력 선로들로 구현되는 한 구조의 제한은 없다. 다만, 6개 이상의 출력 선로들이 구현될 경우 해당 분배부의 수도 증가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체 판(100) 위에 제 1 유전체부(210), 선로, 예를 들어 제 3 출력 선로(108) 및 제 2 유전체부(114)가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안테나의 경사각을 조정할 때 제 2 유전체부(114)만이 움직일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 선로(104, 106, 108, 110 또는 112) 또는 분배부(120, 122 또는 124)에 라이트닝부(Lightning section, 200)가 형성될 수 있다. 라이트닝부(200)는 접지에 연결되며, 번개 등으로 인한 큰 전류가 선로(102, 104, 106, 108, 110 또는 112)로 흐를 경우 전류를 접지로 방전시켜 페이즈 쉬프터의 구성요소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하, 광대역을 구현할 수 있는 페이즈 쉬프터의 구조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분배부 및 주변 부분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롯의 변화에 따른 반사 손실 특성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유전체부(114)가 출력 선로(104 및 110) 위에 위치하는 것으로 가정하겠다.
도 3을 참조하면, 입력 선로(102)는 제 1 분배부(120)와 만나는 지점 부근에서 폭이 넓어지며, 즉 폭이 상대적으로 좁은 부분(330)과 상대적으로 넓은 부분(332)으로 이루어진다.
제 2 출력 선로(106)는 제 1 분배부(120)와 만나는 지점의 폭이 좁으며, 즉 폭이 상대적으로 좁은 부분(340)과 상대적으로 넓은 부분(342)으로 이루어진다.
제 1 분배부(120)는 입력 선로(102)로 입력된 전력을 제 1 출력 선로(104) 및 제 2 출력 선로(106)로 분배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제 1 서브 분배부(300), 제 2 서브 분배부(302) 및 제 3 서브 분배부(304)를 포함한다.
제 1 서브 분배부(300)는 입력 선로(102)와 제 2 출력 선로(106)를 연결시키며, 입력 선로(102)와 다른 폭을 가질 수 있다.
제 2 서브 분배부(302)는 입력 선로(102)와 제 1 출력 선로(104)를 연결시킨다.
제 3 서브 분배부(304)는 제 1 서브 분배부(300)와 제 4 출력 선로(110)를 연결시킨다. 결과적으로, 제 1 서브 분배부(300)로 입력된 전력이 제 4 출력 선로(110)로 분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선로(102) 중 제 1 분배부(120)와 만나는 부분의 폭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서브 분배부(300) 중 전단의 폭 및 제 2 서브 분배부(302)의 폭보다 넓다. 또한, 제 1 서브 분배부(300) 중 출력단의 폭은 제 3 출력 선로(106)의 전단(340)의 폭 및 제 3 서브 분배부(304)의 폭보다 넓다. 이러한 구조는 임피던스 분배를 고려한 것이다. 특히, 입력 선로(102) 중 후단(332), 제 1 서브 분배부(300) 및 제 2 출력 선로(106) 중 전단(340)은 각기 λ/4 물리적 길이를 가진다. 여기서, λ는 상기 페이즈 쉬프터와 연결된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의 파장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서브 분배부(302) 중 일부(312) 위에 유전체부(114)가 위치한다. 이 경우, 유전체부(114)가 위치한 부분(312)의 폭은 유전체부(114)가 위치하지 않은 부분(310)의 폭보다 좁다. 이것은 부분들(310 및 312)을 임피던스 정합시키기 위해서이며,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광대역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 3 서브 분배부(304) 중 일부(322) 위에 유전체부(114)가 위치한다. 이 경우, 유전체부(114)가 위치한 부분(322)의 폭은 유전체부(114)가 위치하지 않은 부분(320)의 폭보다 좁다. 이러한 구조 또한 임피던스 정합을 위해서이다. 여기서, 제 3 서브 분배부(304) 중 일부(322)의 폭은 제 2 서브 분배부(302) 중 일부(312)의 폭과 다를 수 있다.
즉, 유전체부(114)가 제 2 서브 분배부(302) 중 일부(312) 및 제 3 서브 분배부(304) 중 일부(322) 위에 위치하고, 임피던스 정합을 위하여 제 2 서브 분배부(302) 및 제 3 서브 분배부(304)는 각기 부분적으로 다른 폭을 가진다.
이러한 설계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분배부(122) 및 제 3 분배부(124)에도 적용된다. 즉, 유전체부(114)가 제 2 분배부(122)의 일부 위에 위치하며, 제 2 분배부(122) 중 유전체부(114)가 위치한 부분의 폭은 유전체부(114)가 위치하지 않은 부분의 폭보다 좁다. 또한, 유전체부(114)가 제 3 분배부(124)의 일부 위에 위치하며, 제 3 분배부(124) 중 유전체부(114)가 위치한 부분의 폭은 유전체부(114)가 위치하지 않은 부분의 폭보다 좁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서브 분배부(300) 중 입력 선로(102)와 만나는 부분에는 슬롯(334)이 형성되며, 슬롯(334)은 광대역을 구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실제로 슬롯(334)의 길이를 5㎜, 10㎜, 15㎜ 및 20㎜로 다르게 설계한 후 반사 손실 특성을 실험하였다.
도 4에서 도면 부호 400은 슬롯(334)의 길이가 5㎜일 때의 반사 손실 특성 곡선이고, 도면 부호 402는 슬롯(334)의 길이가 10㎜일 때의 반사 손실 특성 곡선이며, 도면 부호 404는 슬롯(334)의 길이가 15㎜일 때의 반사 손실 특성 곡선이고, 도면 부호 406은 슬롯(334)의 길이가 20㎜일 때의 반사 손실 특성 곡선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슬롯(334)의 길이가 가장 짧은 5㎜일 때 상기 안테나의 대역폭이 가장 좁고, 슬롯(334)의 길이가 가장 긴 20㎜일 때 상기 안테나의 대역폭이 가장 넓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슬롯(334)에 따라 대역폭이 달라짐을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페이즈 쉬프터는 위상 가변 및 전력 분배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최소 -20㏈의 반사 손실 특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페이즈 쉬프터는 -25㏈ 이상의 우수한 반사 손실 특성을 확보하며, 따라서 상기 페이즈 쉬프터가 위상 가변 및 전력 분배 역할을 충분히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선로(102) 중 후단(332)의 가상 중심 라인, 제 1 서브 분배부(300) 중 가상 중심 라인 및 제 2 출력 선로(106) 중 전단(340)의 가상 중심 라인 중 적어도 하나는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정리하면, 본 실시예의 페이즈 쉬프터는 광대역 구현을 위하여 제 2 서브 분배부(302) 또는 제 3 서브 분배부(304)의 일부 폭을 다르게 구현하고, 제 1 서브 분배부(300)에 슬롯(334)을 형성한다. 또한, 슬롯(334)의 사이즈를 적절하게 설정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출력 선로(108) 위에는 유전체부(114)가 위치하며, 제 3 출력 선로(108)에 대응하는 유전체부(114)의 부분 중 일부에 적어도 하나의 슬롯(500)이 형성된다. 여기서, 슬롯(500)은 임피던스 정합을 위해 사용되며, 광대역을 구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슬롯(500)은 λd/4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d는 정수이다.
이러한 슬롯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출력 선로(102)에 대응하는 유전체부(114)의 부분, 제 4 출력 선로(110)에 대응하는 유전체부(114)의 부분 및 제 5 출력 선로(112)에 대응하는 유전체부(114)의 부분에도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즈 쉬프터를 구동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유전체부(114)는 구동부(600)와 결합되며, 구동부(600)의 직선 운동에 따라 좌우로 직선 운동한다. 여기서, 구동부(600)는 바(bar)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사람이 외부에서 구동부(600)를 직선 운동시킬 수도 있고 외부 기기가 구동부(600)를 직선 운동시킬 수도 있다. 물론, 유전체부(114)를 좌우로 움직일 수 있는 한 구동부(600)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도체 판 102 : 입력 선로
104 : 제 1 출력 선로 106 : 제 2 출력 선로
108 : 제 3 출력 선로 110 : 제 4 출력 선로
112 : 제 5 출력 선로 114 : 유전체부
120 : 제 1 분배부 122 : 제 2 분배부
124 : 제 3 분배부 200 : 라이트닝부
300 : 제 1 서브 분배부 302 : 제 2 서브 분배부
304 : 제 3 서브 분배부 330 : 슬롯
500 : 슬롯 600 : 구동부

Claims (14)

  1. 도체 판;
    상기 도체 판 위에 배열된 입력 선로;
    상기 도체 판 위에 배열된 제 1 출력 선로;
    상기 도체 판 위에 배열된 제 2 출력 선로;
    상기 입력 선로, 상기 제 1 출력 선로 및 상기 제 2 출력 선로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도체 판 사이에 배열되는 제 1 유전체부;
    상기 입력 선로를 통하여 입력된 전력을 상기 제 1 출력 선로 및 상기 제 2 출력 선로로 분배하며, 상기 입력 선로와 상기 제 1 출력 선로를 연결하는 제 2 서브 분배부 및 상기 입력 선로와 상기 제 2 출력 선로를 연결하는 제 1 서브 분배부를 가지는 제 1 분배부; 및
    상기 제 1 출력 선로 및 상기 제 2 서브 분배부 중 일부분 위에 배열된 제 2 유전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서브 분배부 중 상기 제 2 유전체부가 위치한 부분의 폭은 상기 제 2 서브 분배부 중 상기 제 2 유전체부가 위치하지 않은 부분의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즈 쉬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선로의 폭은 상기 제 1 서브 분배부 및 상기 제 2 서브 분배부의 폭보다 넓고, 상기 제 1 서브 분배부 중 상기 입력 선로와 연결되는 지점에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서브 분배부의 물리적 길이는 λ/4이되,
    λ는 상기 페이즈 쉬프터를 사용하는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의 파장이고, 상기 제 2 유전체부는 상기 제 1 유전체부는 일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즈 쉬프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즈 쉬프터는,
    상기 제 1 유전체부 위에 배열된 제 3 출력 선로;
    상기 제 1 출력 선로와 상기 제 3 출력 선로를 연결시키는 제 2 분배부;
    상기 제 1 유전체부 위에 배열된 제 4 출력 선로;
    상기 제 1 유전체부 위에 배열된 제 5 출력 선로; 및
    상기 제 4 출력 선로와 상기 제 5 출력 선로를 연결시키는 제 3 분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분배부는 상기 제 2 출력 선로와 상기 제 4 출력 선로를 연결시키는 제 3 서브 분배부를 더 가지되,
    상기 입력 선로, 상기 제 1 출력 선로 및 상기 제 3 출력 선로는 상호 평행하게 배열되고, 상기 제 2 출력 선로, 상기 제 4 출력 선로 및 상기 제 5 출력 선로는 상호 평행하게 배열되며, 상기 입력 선로와 상기 제 2 출력 선로는 상기 제 1 분배부를 기준으로 대향하여 배열되고, 상기 제 2 유전체부는 상기 1 출력 선로, 상기 제 3 출력 선로, 상기 제 4 출력 선로 및 상기 제 5 출력 선로 위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즈 쉬프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전체부는 상기 제 3 서브 분배부 중 일부 위에 위치하며, 상기 제 3 서브 분배부 중 상기 제 2 유전체부가 위치한 부분의 폭은 상기 제 3 서브 분배부 중 상기 제 2 유전체부가 위치하지 않은 부분의 폭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즈 쉬프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 분배부의 폭은 상기 제 3 서브 분배부의 폭 및 상기 제 2 출력 선로 중 상기 제 1 분배부와 만나는 부분의 폭보다 넓고, 상기 제 2 출력 선로 중 상기 제 1 분배부와 만나는 부분은 λ/4 물리적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 2 출력 선로 중 나머지 부분은 상기 제 1 분배부와 만나는 부분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즈 쉬프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분배부 중 일부 및 상기 제 3 분배부 중 일부 위에 상기 제 2 유전체부가 배열되되,
    상기 제 2 분배부 중 상기 제 2 유전체부가 위치한 부분의 폭은 상기 제 2 분배부 중 상기 제 2 유전체부가 위치하지 않은 부분의 폭보다 좁고, 상기 제 3 분배부 중 상기 제 2 유전체부가 위치한 부분의 폭은 상기 제 3 분배부 중 상기 제 2 유전체부가 위치하지 않은 부분의 폭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즈 쉬프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전체부 중 상기 제 1 출력 부재에 대응하는 부분의 일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유전체부 중 상기 제 3 출력 부재에 대응하는 부분의 일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유전체부 중 상기 제 4 출력 부재에 대응하는 부분의 일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유전체부 중 상기 제 5 출력 부재에 대응하는 부분의 일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슬롯들 중 적어도 하나는 λd/4 (d는 정수임)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즈 쉬프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전체부는 상기 제 1 출력 부재, 상기 제 3 출력 부재, 상기 제 4 출력 부재 및 상기 제 5 출력 부재 위에 위치한 상태로 움직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즈 쉬프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선로의 가상 중심 라인, 상기 제 1 서브 분배부의 가상 중심 라인 및 상기 제 2 출력 선로의 가상 중심 라인 중 적어도 하나는 일치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즈 쉬프터.
  10. 도체 판;
    상기 도체 판 위에 배열된 입력 선로;
    상기 도체 판 위에 배열된 제 1 출력 선로;
    상기 도체 판 위에 배열된 제 2 출력 선로;
    상기 입력 선로, 상기 제 1 출력 선로 및 상기 제 2 출력 선로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도체 판 사이에 배열되는 제 1 유전체부; 및
    상기 입력 선로를 통하여 입력된 전력을 상기 제 1 출력 선로 및 상기 제 2 출력 선로로 분배하며, 상기 입력 선로와 상기 제 1 출력 선로를 연결하는 제 2 서브 분배부 및 상기 입력 선로와 상기 제 2 출력 선로를 연결하는 제 1 서브 분배부를 가지는 제 1 분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출력 선로는 상기 제 1 분배부를 기준으로 상기 입력 선로와 대향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 1 서브 분배부 중 상기 입력 선로와 만나는 지점에는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입력 선로의 폭은 상기 제 1 서브 분배부 중 상기 슬롯이 형성된 부분의 폭 또는 상기 제 2 서브 분배부의 폭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즈 쉬프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즈 쉬프터는,
    상기 제 1 유전체부 위에 배열된 제 3 출력 선로;
    상기 제 1 출력 선로와 상기 제 3 출력 선로를 연결시키는 제 2 분배부;
    상기 제 1 유전체부 위에 배열된 제 4 출력 선로;
    상기 제 1 유전체부 위에 배열된 제 5 출력 선로;
    상기 제 4 출력 선로와 상기 제 4 출력 선로를 연결시키는 제 3 분배부; 및
    상기 1 출력 선로, 상기 제 3 출력 선로, 상기 제 4 출력 선로 및 상기 제 5 출력 선로 위에 배열되는 제 2 유전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분배부는 상기 제 2 출력 선로와 상기 제 4 출력 선로를 연결시키는 제 3 서브 분배부를 더 가지되,
    상기 입력 선로, 상기 제 1 출력 선로 및 상기 제 3 출력 선로는 상호 평행하게 배열되고, 상기 제 2 출력 선로, 상기 제 4 출력 선로 및 상기 제 5 출력 선로는 상호 평행하게 배열되며, 상기 제 2 유전체부는 상기 제 2 서브 분배부 중 일부분 위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서브 분배부 중 상기 제 2 유전체부가 위치한 부분의 폭은 상기 제 2 서브 분배부 중 상기 제 2 유전체부가 위치하지 않은 부분의 폭보다 작으며, 상기 제 2 유전체부는 상기 제 3 서브 분배부 중 일부 위에 위치하고, 상기 제 3 서브 분배부 중 상기 제 2 유전체부가 위치한 부분의 폭은 상기 제 3 서브 분배부 중 상기 제 2 유전체부가 위치하지 않은 부분의 폭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즈 쉬프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전체부 중 상기 제 1 출력 부재에 대응하는 부분의 일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유전체부 중 상기 제 3 출력 부재에 대응하는 부분의 일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유전체부 중 상기 제 4 출력 부재에 대응하는 부분의 일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유전체부 중 상기 제 5 출력 부재에 대응하는 부분의 일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슬롯들 중 적어도 하나는 λd/4 (d는 정수임)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즈 쉬프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 분배부는 λ/4 물리적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즈 쉬프터.
  14. 도체 판;
    상기 도체 판 위에 배열된 입력 선로;
    상기 도체 판 위에 배열된 제 1 출력 선로;
    상기 도체 판 위에 배열된 제 2 출력 선로;
    상기 입력 선로, 상기 제 1 출력 선로 및 상기 제 2 출력 선로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도체 판 사이에 배열되는 제 1 유전체부;
    상기 입력 선로를 통하여 입력된 전력을 상기 제 1 출력 선로 및 상기 제 2 출력 선로로 분배하며, 상기 입력 선로와 상기 제 1 출력 선로를 연결하는 제 2 서브 분배부 및 상기 입력 선로와 상기 제 2 출력 선로를 연결하는 제 1 서브 분배부를 가지는 제 1 분배부; 및
    상기 제 1 출력 선로 위에 배열된 제 2 유전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유전체부 중 상기 제 1 출력 부재에 대응하는 부분의 일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슬롯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즈 쉬프터.




KR1020110093349A 2011-09-16 2011-09-16 스트립 라인 구조의 페이즈 쉬프터 KR101246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3349A KR101246934B1 (ko) 2011-09-16 2011-09-16 스트립 라인 구조의 페이즈 쉬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3349A KR101246934B1 (ko) 2011-09-16 2011-09-16 스트립 라인 구조의 페이즈 쉬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6934B1 true KR101246934B1 (ko) 2013-03-25

Family

ID=48182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3349A KR101246934B1 (ko) 2011-09-16 2011-09-16 스트립 라인 구조의 페이즈 쉬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693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6960B1 (ko) 2016-08-17 2017-10-25 주식회사 에이티앤에스 페이즈 쉬프터
CN109638391A (zh) * 2018-11-09 2019-04-16 华南理工大学 介质移动式移相器及基站天线
CN113113741A (zh) * 2019-12-24 2021-07-1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滤波器、移相器以及相关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9303A (en) 1995-05-24 1999-09-07 Allgon Ab Movable dielectric body for controlling propagation velocity in a feed line
KR20040027980A (ko) * 2001-08-24 2004-04-01 앤드류 코포레이션 통합된 위상 천이기를 구비한 조정 가능한 안테나 공급네트워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9303A (en) 1995-05-24 1999-09-07 Allgon Ab Movable dielectric body for controlling propagation velocity in a feed line
KR100282999B1 (ko) 1995-05-24 2001-03-02 펄 위 제이케 안테나의 빔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 및 그 공급라인구조
KR20040027980A (ko) * 2001-08-24 2004-04-01 앤드류 코포레이션 통합된 위상 천이기를 구비한 조정 가능한 안테나 공급네트워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6960B1 (ko) 2016-08-17 2017-10-25 주식회사 에이티앤에스 페이즈 쉬프터
CN109638391A (zh) * 2018-11-09 2019-04-16 华南理工大学 介质移动式移相器及基站天线
CN109638391B (zh) * 2018-11-09 2020-07-07 华南理工大学 介质移动式移相器及基站天线
CN113113741A (zh) * 2019-12-24 2021-07-1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滤波器、移相器以及相关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405558B2 (en) Antenna of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JP4118235B2 (ja) 統合位相シフタを伴う調整可能アンテナフィードネットワーク
JP5499161B2 (ja) 垂直ビームチルト制御アンテナのためのマルチライン移相器
JP2005501450A5 (ko)
US20080191940A1 (en) Electrically Steerable Phased Array Antenna System
JP6470930B2 (ja) 分配器及び平面アンテナ
US8130165B2 (en) Phase shifter with branched transmission lines having at least one sideways movable dielectric body and antenna array formed therefrom
JP2008533829A5 (ko)
US10270180B2 (en) Antenna apparatus
RU2009140108A (ru) Управляемая фазированная антенная решетка с высоким усилением
US10910688B2 (en) Dielectric phase shifting unit, dielectric phase shifter and base station antenna
KR101246934B1 (ko) 스트립 라인 구조의 페이즈 쉬프터
WO2016157374A1 (ja) 移相回路及びアンテナ装置
JPH08186436A (ja) マイクロストリップアレイアンテナ
US9065184B2 (en) N-port feeding system having a structure in which patterns are divided with in parallel and feeding element included in the same
KR101786960B1 (ko) 페이즈 쉬프터
GB2540800B (en) Antenna Array for Producing Beam Patterns Requiring a Large Phase Shift
KR20110057655A (ko) 슬로우 웨이브 구조를 이용하는 엔포트 피딩 시스템 및 이에 포함된 피딩 소자
Yamaguchi et al. Slotted waveguide array antenna covered by a dielectric slab with a post-wall cavity
KR101409541B1 (ko) 슬롯을 이용하여 광대역을 구현하는 엔포트 피딩 시스템
KR101211195B1 (ko) 슬로우 웨이브 구조를 이용하는 엔포트 급전 시스템 및 이에 포함된 급전 소자
CN109861009A (zh) 基站天线及通信基站系统
JP2011199368A (ja) 電力分配器
WO2016157375A1 (ja) 移相回路及びアンテナ装置
JP5674904B1 (ja) 分配回路及びアレイアンテ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