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6851B1 - stacker robot - Google Patents
stacker robo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46851B1 KR101246851B1 KR1020100108679A KR20100108679A KR101246851B1 KR 101246851 B1 KR101246851 B1 KR 101246851B1 KR 1020100108679 A KR1020100108679 A KR 1020100108679A KR 20100108679 A KR20100108679 A KR 20100108679A KR 101246851 B1 KR101246851 B1 KR 1012468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ock absorbing
- stacker robot
- hole
- fork
- body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Conveying cassettes, containers or carri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091—Shock absorber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6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wafers being stored in a carrier,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 H01L21/67766—Mechanical parts of transfer devic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4/00—Material or article handling
- Y10S414/135—Associated with semiconductor wafer handling
- Y10S414/14—Wafer cassette transpor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obo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태커 로봇에 관한 것으로서, 카세트를 운반하는 암의 끝단에 소정의 두께와 길이를 가지는 포크부가 수평장착되고 상기 포크부의 끝단에는 간격을 두고 상기 포크부의 폭과 대응되게 형성되면서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관통공들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의 사이에는 삽입공들이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전면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상기 관통공 및 삽입공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연결 관통공과 유입홈이 각각 형성되는 연결부재들과, 상기 몸체부의 관통공 및 연결부재의 연결 관통공에 삽입장착되면서 물체와 충돌시 전·후 작동하는 가이드 봉들과, 상기 가이드 봉의 전면에 각각 삽입장착되어 물체와 충격시 압축과 탄성을 이용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스프링들과, 상기 연결부재의 전면에 각각 위치하면서 가이드 봉의 끝단과 볼팅 결합되고, 전면에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가 장착되며, 상기 유입홈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삽입돌기가 장착되는 충격흡수부와,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상기 포크부의 끝단과 몸체부를 연결고정하는 연결고정구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충격흡수수단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태커로봇을 구성하는 포크부에 충격흡수수단을 장착하여 충격이 스태커로봇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스태커로봇의 손상이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cker robot, wherein a fork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length is horizontally mounted at an end of an arm for carrying a cassette, and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fork portion at intervals at the end of the fork portion, and spaced horizontally. Through-holes are formed to be formed between the through-hole and the body portion in which the insertion holes are formed, and are mounted at intervals on the front of the body portion and the connecting through-hole and the inlet groove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through-hole and the insertion hole, respectively And connecting rods which ar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s of the body and the connecting through holes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guide rods that operate before and after the collision with an object, and are respectively inserted and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guide rod to compress and Shock absorbing springs that absorb shock using elasticity, and guide rods respectively position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onnecting member. It is coupled to the end bolted, the front is equipped with a shock absorbing member, and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let groove is fixed to the shock absorbing portion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rojection, the end and the body portion of the fork portion mounted at intervals Characterized in that the shock absorbing means made of a connecting fix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mounting the shock absorbing means in the fork portion constituting the stacker robot can not only prevent the shock is transmitted to the stacker robo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malfunction of the stacker robot accordingly.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태커 로봇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카세트를 운반하는 암의 끝단에 포크부를 수평장착하고 상기 포크부의 끝단에 물체의 충격을 흡수하면서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 스태커 로봇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cker robot,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acker robot that horizontally mounts the fork portion at the end of the arm carrying the cassette and recognizes it while absorbing the impact of the object at the end of the fork portion.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표시장치들 중의 하나인 CRT(cathode ray tube)는 TV를 비롯해서 계측기기, 정보단말기기 등의 모니터에 주로 이용되어 오고 있으나, CRT 자체의 큰 무게나 크기로 인하여 전자 제품의 소형화, 경량화의 요구에 적극 대응할 수 없었다.Cathode ray tube (CRT), one of the widely used display devices, has been mainly used for monitors such as TVs, measuring devices, information terminal devices, etc., but the miniaturization of electronic products due to the large weight and size of CRT itself It could not respond actively to the demand for weight reduction.
이러한 CRT를 대체하기 위해 소형, 경량화의 장점을 갖고 있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LCD),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 PDP) 등이 활발하게 개발되어 왔다.In order to replace the CRT,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LCDs), plasma display panel devices (PDPs), and the like, which have advantages of small size and light weight, have been actively developed.
이들은 공통적으로 고유의 형광 또는 편광층을 사이에 두고 한쌍의 투명기판을 대면 합착시킨 평판표시패널(flat display panel)을 필수적인 구성요소로 갖추고 있는데, 이와 같은 패널은 소정물질의 박막을 형성하는 증착(deposition)공정, 포토리소그라피(photo lithography)공정, 식각(etching)공정을 여러 번 반복하여 구성하며 이 외에 세정, 합착, 절단 등의 여러 가지 서로 다른 공정이 수반된다.They commonly have a flat display panel in which a pair of transparent substrates are bonded to each other with a unique fluorescent or polarizing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as an essential component. The deposition process, the photolithography process, and the etching process are repeated several times, and various other processes such as cleaning, bonding, and cutting are involved.
그리고 이들 각각의 공정진행을 위해 기판은 해당공정을 수행하는 공정장비로 운반 및 공급되며, 이 과정 중에 기판의 운반 및 보관에 드는 시간과 노력을 절감하고자 복수의 기판을 수납하는 카세트(cassette)가 사용되며, 현재 평판표시장치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기판 보관 및 운반의 최소단위를 이루고 있다.Substrate is transported and supplied to the process equipment to perform the process for each of these processes, and a cassette for storing a plurality of substrates to reduce the time and effort required to transport and store the substrate during the process It is us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flat panel display devices, and it is the smallest unit of substrate storage and transportation.
아울러 일반적인 평판표시장치의 제조설비에는 일정한 청정도를 유지하면서 카세트를 보관하는 창고 역할의 스토커(stocker)가 마련되어, 대기 중의 카세트 가 보관된다.In addition, a manufacturing apparatus of a general flat panel display device is provided with a stocker serving as a warehouse for storing a cassette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cleanness, and the cassette in the air is stored.
그리고 도시된 도 1은 일반적인 스토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스토커(10) 내에는 다수의 쉘프(12)가 제공되며, 스태커로봇(20)은 스토커(10) 하부면을 가로 지르는 트롤리 레일(36) 상에 안착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는데, AGV(미도시)에 의해 스토커(10)의 입고포트(32)로 카세트(미도시)가 운반되면 스태커로봇(20)이 이를 옮겨 받아 적절한 쉘프(12)로 운반 및 적재하게 된다.In addition, FIG. 1 schematically illustrates a general stocker, and a plurality of
즉, 상기 카세트(미도시)가 AGV(미도시)를 통해 스토커(10) 내부로 이송되면, 상기 스태커로봇(20)의 암을 통해 각 카세트(미도시)를 지정된 쉘프(12)에 로딩(loading)하게 되고, 상기 카세트(미도시)를 다음 공정으로 이동시킬 때에도 상기 스태커로봇(20)의 암이 지정된 쉘프(12)에서 카세트(미도시)를 언로딩(unloading)하여 스토커(10)의 출고포트(34)로 옮기면 AGV(미도시)에 의해 목적하는 장소로 운반된다.That is, when the cassette (not shown) is transferred into the
도 2a는 카세트가 스토커의 쉘프 내에 안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스토커(10)는 다수의 카세트(C)가 수납될 수 있도록 다수의 쉘프(12)가 상하좌우로 구획(區劃)되어 구성되며, 이들 각각의 쉘프(12)는 개구된 입구면을 비롯하여 하측플레이트(14)와 측면플레이트(16)를 통해 카세트수납공간을 형성하게 된다.Figure 2a schematically shows the cassette seated in the shelf of the stocker, the
즉, 하측플레이트(14)가 상기 쉘프(12)내에 안착되는 카세트(C)를 지지하게 되는 바닥 역할을 담당하는데, 상기 하측플레이트(14)는 다수개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성되어, 상기 하측플레이트(14) 상에 안착되는 카세트(C)는 서로 이웃하는 하측플레이트(14)에 의해 양단부가 지지되어 안착되게 된다. That is, the
또한, 측면플레이트(16)는 상기 하측플레이트(14)의 중심부에서 수직하게 구성되어, 상기 카세트(C)가 안착될 구획을 정의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ide plate 16 is configured vertically in the center of the
한편, 각각의 쉘프(12)에 안착되는 카세트(C)는 상기 하측플레이트(14)에 의해 양단부가 지지된 체 일부 하부면을 노출하게 되는데, 상기 카세트(C)의 하부면을 노출하는 하측플레이트(14) 간의 이격된 간격을 통해 상기 스태커로봇(도 1의 20)의 암(21)이 진입하여, 상기 카세트(C)의 노출된 하부면을 지지하면서 상기 카세트(C)를 로딩(loading) 또는 언로딩(unloading)하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cassette (C) seated on each
그러나, 스태커로봇(도 1의 20) 암(21)의 위치정렬된 진입을 통해, 상기 다수의 프레임(F)으로 이루어진 박스형 카세트(C)의 밑면측 프레임(F)에 형성된 위치정렬구(J1)와, 상기 스태커로봇(20)의 암(21)의 포크(23)에 돌출형성된 위치정렬돌기(J2)가 정합되어야만 카세트(C)가 하측플레이트(14)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면서 재차 다른 공정 처리를 위해 운반되도록 함에 있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세트(C)와 암(21)의 포크(23) 간의 위치정렬이 부정합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발되어, 이를 시정하는 조치가 절실히 대두되게 되었다.However, through the aligned alignment of the stacker robot (20 in FIG. 1)
또한, 상기한 위치정렬의 부정합이 발생되는 바, 상기 스태커로봇(20)이 상기 트롤리 레일(36) 상에 안착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스태커로봇(20)이 흔들리는 등의 사유에 기인하여 정위치에서 각도 상의 변위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isalignment of the position alignment occurs, the
이러한 스태커로봇(20)과 트롤리 레일(36)에서의 위치정렬 상의 부정합은 도 2c와 같이 복수의 스태커로봇(20)이 하나의 트롤리 레일(36) 상에 탑재되어 구름 이동할 경우에는, 더욱 심각해진다. 이는 복수호기에서 상호간의 제작설치 상의 공차를 비롯한 여러 제반 사유가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침에 따라, 하나의 스태커로봇(20)이 이송한 카세트(C)를 다른 쪽의 스태커로봇(20')이 운반할 경우에는 더 큰 위치정렬 상의 부정합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This misalignment in the alignment of the
이는, 상기 쉘프(12)내에 안착되어 하측플레이트(14)에 의해 지지되는 카세트(C)의 파손을 야기하게 된다.This causes breakage of the cassette C seated in the
또한, 상기 스토커(10) 내에 카세트(C)가 복층으로 수납됨을 감안하면, 전체 카세트(C)에 손상을 가하게 되고, 이는 기판(미도시)을 손상시키게 되는 대형사고로 직결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considering that the cassette C is stored in multiple layers in the
한편, 종래의 스태커로봇은 카세트의 운반시 좌·우 또는 상·하 작동에 따른 물체의 충돌시 이를 인지하면서 충격을 흡수하는 장치가 구비되지 않음으로써 작업에 있어서 애로점이 있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stacker robot has a difficulty in working because it is not provided with a device for absorbing the shock while recognizing the impact of the object due to the left, right or up and down operation during the transport of the cassette.
즉, 종래의 스태커로봇(20)은 카세트의 운반이 오작동에 따른 물체와 충돌시 충격이 그대로 전달됨으로써 오류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그 충격에 의해 카세트가 손상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That is, th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스태커로봇을 구성하는 포크부에 충격흡수수단을 장착하여 충격이 스태커로봇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shock absorbing means in the fork portion of the stacker robot to prevent the shock is transmitted to the stacker robot.
또한, 상기 충격흡수수단 및 반대 측에 충격감지수단을 장착하여 충돌시 이를 작업자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shock absorbing means and the opposite side is equipped with a shock detection means to be able to deliver it to the worker in the event of a collision.
또한, 스태커 로봇을 구성하는 포크부에 위치정렬수단을 장착하여 레일을 타고 좌우이동되는 스태커로봇의 위치정렬상태를 항상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urpose is to be equipped with a position alignment means in the fork portion constituting the stacker robot to always maintain the position alignment state of the stacker robot is moved left and right by the rail.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카세트를 운반하는 암의 끝단에 소정의 두께와 길이를 가지는 포크부가 수평장착되고 상기 포크부의 끝단에는 간격을 두고 물체의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수단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fork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length is horizontally mounted at the end of the arm for carrying the cassette, and at the end of the fork portion, shock absorbing means for absorbing an impact when an object collides at an interval is mounted.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충격흡수수단은 상기 포크부의 폭과 대응되게 형성되면서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관통공들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의 사이에는 삽입공들이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전면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상기 관통공 및 삽입공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연결 관통공과 유입홈이 각각 형성되는 연결부재들과, 상기 몸체부의 관통공 및 연결부재의 연결 관통공에 삽입장착되면서 물체와 충돌시 전·후 작동하는 가이드 봉들과, 상기 가이드 봉의 전면에 각각 삽입장착되어 물체와 충격시 압축과 탄성을 이용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스프링들과, 상기 연결부재의 전면에 각각 위치하면서 가이드 봉의 끝단과 볼팅 결합되고, 전면에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가 장착되며, 상기 유입홈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삽입돌기가 장착되는 충격흡수부와,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상기 포크부의 끝단과 몸체부를 연결고정하는 연결고정구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hock absorbing means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fork portion, the through holes are formed at interval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between the through holes and the body portion in which the insertion holes are formed, and are mounted at intervals on the front of the body portion And a connection member formed with a connection through hole and an inflow groove, respectively,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and the insertion hole, and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through hole of the through hole and the connection member of the body to operate before and after the collision with an object. Guide rods, and shock absorbing springs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front of the guide rod to absorb the impact using compression and elasticity when the object and the impact, and are located on the front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bolted to the end of the guide rod, A shock absorbing member is mounted on the front side of the shock absorbing member, and a shock absorbing part mounted with an insertion protrusio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flow groove.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necting fixture for fixing the end of the fork and the body portion that is mounted at intervals.
또한, 상기 충격흡수수단을 구성하는 몸체부의 양측 끝단과 반대 측에는 물체의 충돌시 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의 전면 상부에 형성되는 삽입홈에 장착되고 축공이 구비된 연결구들과, 상기 연결구의 축공에 장착되는 베어링과, 상기 축공에 삽입장착되는 한 쌍의 회동축과, 상기 유입홈과 대응하는 회동축에 장착되고 삽입돌기와 접촉시 후방으로 회동작동하면서 회동축을 회동작동시키는 회동판과, 상기 회동축의 끝단에 장착되면서 연동작동하는 절곡판과, 상기 연결부재의 양측 끝단에 장착되고 수신부가 장착되는 측면 고정부와, 상기 절곡판과 측면 고정부를 연결하는 스프링과, 상기 수신부의 반대 측에 위치하면서 상기 절곡판의 회동작동시 수신부를 감지하여 충돌 여부를 확인하는 레이저 센서로 구성되는 충격감지수단이 더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opposite ends and opposite sides of the body portion constituting the shock absorbing means are connected to the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of the body portion to detect the impact of the object and the shaft hole, the shaft hole of the connector A bearing mounted to the bearing, a pair of rotating shafts inserted into and mounted on the shaft hole, a rotating plate mounted on the rotating shaft corresponding to the inflow groove, and rotating the rotating shaft while rotating backward when contacted with the insertion protrusion; A bending plate mounted at an end of the rotation shaft and interlocked with each other, a side fixing part mounted at both ends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mounted with a receiving part, a spring connecting the bending plate and the side fixing part, and an opposite side of the receiving part; It is located in the shock sensing means consisting of a laser sensor for detecting the collision by detecting the receiving unit during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bending plate is longer It is characterized.
본 발명에 따르면, 스태커로봇을 구성하는 포크부에 충격흡수수단을 장착하여 충격이 스태커로봇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스태커로봇의 손상이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mounting the shock absorbing means in the fork portion constituting the stacker robot can not only prevent the shock is transmitted to the stacker robo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malfunction of the stacker robot accordingly.
또한, 상기 충격흡수수단 및 반대 측에 충격감지수단을 장착하여 충돌시 이를 작업자에게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수정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져 충돌에 따른 스태커로봇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shock absorbing means and the opposite side is equipped with a shock detection means can be delivered to the worker when a collision, as well as the modification is made in real tim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malfunction of the stacker robot due to the collision.
또한, 스태커 로봇을 구성하는 포크부에 위치정렬수단을 장착하여 레일을 타고 좌우이동되는 스태커로봇의 위치정렬상태를 항상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position alignment means of the stacker robot that is moved left and right by the rail mounted on the fork portion constituting the stacker robot at all times.
도 1은 일반적인 스토커에 대한 내부사시도.
도 2a는 카세트가 스토커의 쉘프 내에 안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b는 쉘프를 이루는 스태커로봇의 경사변위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태커로봇의 요부를 나타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태커로봇을 구성하는 충격흡수수단 및 충격감지수단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태커로봇을 구성하는 충격흡수수단 및 충격감지수단을 나타낸 조립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태커로봇을 구성하는 충격흡수수단 및 충격감지수단을 나타낸 단면도.
도 7, 8a 및 8b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태커로봇을 구성하는 위치정렬수단을 나타낸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태커로봇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태커 로봇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요부도. 1 i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of a typical stocker.
FIG. 2A is a schematic illustration of the cassette seated in the shelf of the stocker; FIG.
Figure 2b schematically shows a tilted displacement of the stacker robot forming a shelf.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stacker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ock absorbing means and the impact detecting means constituting the stacker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ock absorbing means and the impact detecting means constituting the stacker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hock absorbing means and the impact detecting means constituting the stacker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8a and 8b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position alignment means constituting the stacker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stacker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main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stacker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follows.
본 발명인 스태커로봇(100)은 카세트를 운반하는 암(200)에 장착되는 포크부(300)와, 상기 포크부(300)의 끝단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충격흡수수단(400)과, 상기 충격흡수수단(400)과 반대 측에 장착되는 충격감지수단(500)과, 상기 충격흡수수단(400)이 장착되는 포크부(300)의 반대 측에는 장착되는 위치정렬수단(600) 등으로 구성된다. The present
여기서, 카세트를 운반하는 암(200)은 공지된 기술을 택일하여 형성됨으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고, 상기 암(200)에 장착되는 포크부(300)는 사용하고자 하는 장소와 위치에 따라 크기가 다르게 형성된다. Here, the
상기 포크부(300)의 끝단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충격흡수수단(400)은 몸체부(410)와, 상기 몸체부(410)의 전면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연결부재(420)들과, 상기 몸체부(410)와 연결부재(420)에 삽입장착되는 가이드 봉(430)들과, 상기 가이드 봉(430)에 장착되는 충격흡수스프링(440)들과, 상기 연결부재(420)의 전면에 각각 장착되면서 가이드 봉(430)과 결합되는 충격흡수부(450)들과, 상기 포크부(300)와 몸체(410)를 연결하는 연결고정구(460)들로 구성된다. The
즉, 상기 충격흡수수단(400)은 물체와 충돌시 충격흡수부(450)와 충격흡수스프링(440)을 통해 물체의 충격이 스태커로봇(100)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at is, the
그리고 상기 몸체(410)는 포크부(300)의 폭과 대응되게 형성되면서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관통공(411)들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411)의 사이에는 삽입공(412)들이 형성된다. And the
상기 몸체부(410)는 소정의 크기와 폭을 가지고 형성되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포크부(300)의 폭과 대응되게 형성되면서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관통공(411)들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411)과 관통공(411)의 사이에는 삽입공(412)들이 형성되고, 전면 상부에는 삽입홈(414)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The
즉, 상기 몸체부(410)는 간격을 두고 관통공(411)들을 형성하면서 사이에 삽입공(412)을 형성하고 전면 상부에 삽입홈(414)들을 형성한 것이다. That is, the
그리고 상기 몸체부(410)의 상부에는 충격감지수단(500)을 감싸면서 지지할 수 있도록 케이스(900)가 장착되되, 상기 케이스(900)는 절곡형성되면서 연결부분이 상기 몸체부(410)와 연결부재(420)에 볼팅결합된다.And the upper portion of the
상기 몸체부(410)의 전면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연결부재(420)는 소정의 두께와 폭을 가지는 금속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411)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연결 관통공(421)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412)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유입홈(422)이 각각 형성된다. The connecting
즉, 상기 연결부재(420)는 몸체부(410)의 전면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면서 양측에 연결 관통공(421)이 형성되고 상부 중앙에는 유입홈(422)이 형성되는 것이다. That is, the connecting
상기 몸체부(410)와 연결부재(420)에 장착되는 가이드 봉(430)들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일측 끝단에는 상기 관통공(411)의 둘레에 지지될 수 있도록 단턱부(431)가 형성된다. The
즉, 상기 가이드 봉(430)은 몸체부(410)의 관통공(411) 및 연결부재(420)의 연결 관통공(421)에 삽입장착되면서 단턱부(431)가 관통공(411)의 둘레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at is, the
상기 가이드 봉(430)의 전면에 삽입장착되는 충격흡수스프링(440)은 공지된 스프링을 택일하여 형성된다.The
여기서, 상기 충격흡수스프링(440)은 원형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되면서 가이드 봉(430)에 장착되어 물체의 충돌시 탄성을 이용하여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Here, the
상기 연결부재(420)의 전면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충격흡수부(450)는 가이드 봉(430)의 끝단과 볼팅(453) 또는 나사결합되고, 전면에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부재(451)가 장착되며, 상기 유입홈(422)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삽입돌기(452)가 장착된다. The
여기서, 상기 완충부재(451)는 우레탄,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중 택일하여 형성되고, 상기 삽입돌기(452)는 작동시 후설 할 회동판을 부하 없이 수월하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곡면지게 형성된다. Here, the
상기 포크부(300)의 일측 끝단과 몸체(410)를 연결하는 연결고정구(46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끝단은 각각 포크부(300)와 몸체부(410)에 볼팅 또는 끼움 결합된다. The connecting
상기 충격흡수수단(400)과 반대 측에 장착되는 충격감지수단(500)은 연결구(510)와 상기 연결구(510)에 장착되는 베어링(520) 및 한 쌍의 회동축(530)과, 상기 회동축(530)과 연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판(590)과, 상기 회동축(530)의 끝단에 장착되는 절곡판(540)과, 상기 연결부재(420)의 양측 끝단에 각각 장착되고 수신부(560)가 장착되는 측면 고정부(550)와, 상기 절곡판(540)과 측면 고정부(550)에 끝단이 각각 연결되는 스프링(570)과, 상기 수신부(560)의 반대 측에 위치하면서 절곡판(540)의 회동작동시 수신부(560)를 감지하는 레이저 센서(580)로 구성된다. The shock detecting means 500 mount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상기 몸체부(410)에 결합되는 연결구(510)들은 몸체부(410)의 삽입홈(414)에 각각 삽입되면서 볼팅 또는 나사 결합되는 몸체 연결부(512)와 상기 몸체 연결부(511)의 전방에 돌출형성되는 축공(511)이 일체로 형성된다. The
그리고 상기 축공(511)의 내면에는 회동축(530)의 원활한 회동작동을 위해 베어링(520)이 장착된다. In addition, a
상기 연결구(510)에 장착되는 한 쌍의 회동축(53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환봉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구(510)의 축공(511)에 장착된다. The pair of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회동축(530)은 몸체부(410)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위치하면서 연결구(510)의 축공(511)에 장착되는 것이다. To further explain this, the
상기 회동축(530)과 연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판(590)은 소정의 두께와 크기를 가지는 금속판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유입홈(422)과 대응하는 회동축(530)에 각각 장착된다. The
즉, 상기 회동판(590)은 물체의 충격시 후방으로 이동하는 충격흡수부(450)와 접촉되면서 후방으로 상기 회동축(530)과 함께 회동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pivoting
상기 회동축(530)의 끝단에 장착되는 절곡판(540)은 회동축(530)과 결합되는 수평부(541)와, 상기 수평부(541)의 후방에 장착되고 물체와 충돌시 접촉되는 접촉부(542)와, 상기 수평부(541)의 전방에 장착되고 후설 할 수신부를 개방 또는 차단하는 차단부(543)가 일체로 형성된다. The bending
즉, 상기 절곡판(540)은 수평부(541)를 기준으로 접촉부(542)가 물체와 접촉시 차단부(543)가 상부로 회동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bending
상기 연결부재(420)의 양측 끝단에 각각 장착되는 측면 고정부(550)는 연결부재(420)에 결합되는 부재 연결부(551)와 상기 부재 연결부(551)에 돌출형성되면서 후면에 수신부(560)가 장착되는 수신 연결부(552)로 구성된다.
즉, 상기 측면 고정부(550)는 수신부(560)가 배면에 형성된 수신 연결부(552)를 부재 연결부(551)에 결합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That is, the
상기 절곡판(540)과 측면 고정부(550)를 연결하는 스프링(570)은 일측이 절곡판(540)의 차단부(543)에 결합되고 반대 측은 측면 고정부(550)의 수신 연결부(552)에 각각 결합된다. The
상기 수신부(560)의 반대 측에 장착되는 레이저 센서(580)는 수신부(560)의 반대 측에 위치하면서 상기 절곡판(540)의 회동작동시 수신부(560)를 감지하여 충돌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The
상기 충격흡수수단(400)이 장착되는 포크부(300)의 반대 측에는 스태커로봇(100)의 경사변위를 감지하여 컨트롤러를 매개로 이를 바로잡아 레일을 타고 좌·우 이동시 일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변위센서(700)가 구비된 위치정렬수단(600)이 선택적으로 장착된다. On the opposite side of the
그리고 상기 변위센서(700)는 물체가 이동한 거리나 위치 변화를 측정하는 센서로써 상기 스태커로봇(100)의 회전축에 편심형 돌출부를 합체하고, 이 합체부의 측방부에 추가로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변위센서(700)는 전면부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로부터 조사된 레이저가 반사되어 입사되는 수광부로 구성된다.Here, the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변위센서(700)는 트롤리 레일(800)의 측부에 대응되어 위치하는 상기 트롤리 레일(800)과의 거리를 센싱하여 상기 스태커로봇(100)의 본체(100a)의 경사변위 각도를 측정하게 된다. In more detail, the
상기 충격흡수수단(400)이 장착되는 포크부(300)의 반대 측에는 장착되는 위치정렬수단(600)은 카세트(C)의 밑면 프레임(F) 중 중간 프레임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하나씩 대응하여 배치된다. Positioning means 600 which is moun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그리고 상기 위치정렬수단(600)의 구성은 암(200)의 포크(612)에 수평으로 매입설치된 단면이 ㄴ 자형의 지지대(610)와, 상기 지지대(610)의 하부 측면에 수평으로 배치된 리니어모터(620)와, 상기 리니어모터(620) 상에서 진퇴운동하는 상부-경사돌기(631)-구비-슬라이더(630)와, 상기 상부-경사돌기(631)-구비-슬라이더(630)의 측면 경사부(633)를 밀어내면서 하향운동하는 볼캐스터(640)와, 상기 볼캐스터(640)에 하방운동에 연동하여 상기 지지대(610)측으로 이동하는 상기 슬라이더(630)에 복원력을 인가하도록 상기 지지대(610)의 기립부(611)와 상기 슬라이더(630) 사이에 탄지 배열된 복원스프링(650)으로 구성된다.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alignment means 600 is a cross-sectional support B-shaped cross-section embedded in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스태커 로봇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n embodiment of a stacker robot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먼저,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관통공(411)들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411)의 사이에는 삽입공(412)들이 형성되는 몸체부(410)를 형성한 후 상기 몸체부(410)의 전면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상기 관통공(411) 및 삽입공(412)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연결 관통공(421)과 유입홈(422)이 각각 형성되는 연결부재(420)들을 장착한다. First, the through
그리고 상기 몸체부(410)의 관통공(411) 및 연결부재(420)의 연결 관통공(421)에 가이드 봉(430)을 삽입장착한 후 상기 가이드 봉(430)의 전면에 충격흡수스프링(440)들을 각각 장착한다.The
다음으로 상기 연결부재(420)의 전면에 가이드 봉(430)의 끝단과 볼팅 결합되고, 전면에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451)가 장착되며, 상기 유입홈(422)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삽입돌기(452)가 장착되는 충격흡수부(450)를 장착하여 충격흡수수단(400)을 구성한다. Next, the front end of the connecting
그리고 상기 몸체부(410)의 전면 상부에 형성되는 삽입홈(414)에 축공(511)이 구비된 연결구(510)들 각각 장착한 후, 상기 연결구(510)의 축공(511)에 베어링(520)을 장착한 다음, 상기 축공(511)에 회동축(530)을 장착한다. And after mounting each of the
다음으로 상기 유입홈(422)과 대응하는 회동축(530)에 회동판(590)을 각각 장착한 후, 상기 회동축(530)의 끝단에 절곡판(540)을 장착한 다음, 상기 연결부재(420)의 양측 끝단에 수신부(560)가 장착되는 측면 고정부(550)를 장착한다. Next, after mounting the
그리고 상기 절곡판(540)과 측면 고정부(550)를 스프링(570)을 장착한 후 상기 수신부(560)의 반대 측에 상기 수신부(560)를 감지하여 충돌 여부를 확인하는 레이저 센서(580)를 장착하여 충격감지수단(500)을 구성한다. After mounting the
다음으로 상기 충격감지수단(500)이 구비된 충격흡수수단(400)을 연결고정구(460)를 이용하여 상기 포크부(300)와 연결하면 스태커로봇(100)의 조립은 완료되는 것이다. Next, when the shock absorbing means 400 provided with the impact detecting means 500 is connected to the
여기서 상기 스태커 로봇의 조립 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Here, the assembly order of the stacker robot reveals that it can be configured differently from the above.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스태커 로봇(100)은 암(200)을 이용하여 카세트를 운반하게 된다. In the above state, the
그리고 상기 암(200)과 결합되는 포크부(300)가 외부 물체와 충돌하게 되면, 상기 포크부(300)는 외부 끝단에 장착되는 충격흡수수단(400)과 충격감지수단(500)을 통해서 충격흡수와 함께 작업자에게 포크부(300)의 충격 여부를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When the
다음으로 상기 스태커로봇(100)의 오작동이나 레일의 이동에 따른 오차로 인해 포크부(300)가 외부의 물체가 충돌하게 될 경우, 상기 포크부(300)는 충격흡수수단(400)의 끝단에 위치하는 충격흡수부(450)를 통해 일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Next, when the
즉, 외부 물체와 충돌시 상기 충격흡수부(450)의 완충부재(451)는 물체의 충력량을 흡수하면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That is, the
그리고 상기 외부 물체의 충격량이 충격흡수부(450)를 구성하는 완충부재(451)의 완충량보다 클 경우 상기 충격흡수부(450)는 가이드 봉(430)과 함께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충격흡수스프링(440)을 압축하여 이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And when the impact amount of the external object is larger than the buffer amount of the
이때, 상기 충격흡수부(450)의 삽입돌기(452)는 유입홈(422)에 위치한 회동판(590)을 가압지지하여 상기 회동판(590)과 회동축(530) 및 절곡판(540)을 회동작동시키면서 지지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더불어, 상기 레이저 센서(580)는 절곡판(540)의 회동작동에 따라 측면 고정부(550)에 장착되는 수신부(560)를 감지하여 충돌 여부 및 충격상태를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다음으로 작업자의 조작으로 상기 포크부(300)가 물체와 떨어지게 되면, 상기 충격흡수부(450)와 가이드 봉(430)은 충격흡수스프링(440)의 탄성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처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Next, when the
그리고 상기 회동판(590)과 회동축(530) 및 절곡판(540)은 상기 충격흡수부(450)의 가압돌기(452)가 회동판(590)과 떨어짐과 동시에 상기 절곡판(540)과 측면 고정부(550)를 연결하는 스프링(570)에 의하여 회동작동하여 처음 상태를 유지하면서 수신부(560)를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The pivoting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스태커 로봇을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stacker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ased on a specific shape and direc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100 : 스태커로봇, 200 : 암,
300 : 포크부, 400 : 충격흡수수단,
410 : 몸체부, 420 : 연결부재,
430 : 가이드 봉, 440 : 충격흡수스프링,
450 : 충격흡수부, 460 : 연결고정구,
500 : 충격감지수단, 510 : 연결구,
520 : 베어링, 530 : 회동축,
540 : 절곡판, 550 : 측면 고정부,
560 : 수신부, 570 : 스프링,
580 : 레이저 센서, 590 : 회동판. 100: stacker robot, 200: arm,
300: fork portion, 400: shock absorbing means,
410: body portion, 420: connecting member,
430: guide rod, 440: shock absorbing spring,
450: shock absorbing part, 460: connecting fixture,
500: shock detection means, 510: connector,
520: bearing, 530: rotating shaft,
540: bending plate, 550: side fixing part,
560: receiver, 570: spring,
580: laser sensor, 590: rotating plate.
Claims (7)
카세트를 운반하는 암(200)의 끝단에 소정의 두께와 길이를 가지는 포크부(300)가 수평장착되고 상기 포크부(300)의 끝단에는 간격을 두고 물체의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수단(400)이 장착되며,
상기 충격흡수수단(400)은,
상기 포크부(300)의 폭과 대응되게 형성되면서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관통공(411)들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411)의 사이에는 삽입공(412)들이 형성되는 몸체부(410)와,
상기 몸체부(410)의 전면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상기 관통공(411) 및 삽입공(412)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연결 관통공(421)과 유입홈(422)이 각각 형성되는 연결부재(420)들과,
상기 몸체부(410)의 관통공(411) 및 연결부재(420)의 연결 관통공(421)에 삽입장착되면서 물체와 충돌시 전·후 작동하는 가이드 봉(430)들과,
상기 가이드 봉(430)의 전면에 각각 삽입장착되어 물체와 충격시 압축과 탄성을 이용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스프링(440)들과,
상기 연결부재(420)의 전면에 각각 위치하면서 가이드 봉(430)의 끝단과 볼팅(453) 결합되고, 전면에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451)가 장착되며, 상기 유입홈(422)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삽입돌기(452)가 장착되는 충격흡수부(450)와,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상기 포크부(300)의 끝단과 몸체부(410)를 연결고정하는 연결고정구(460)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커로봇.
In the stacker robot 100,
Shock absorbing means for horizontally mounted fork 300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length at the end of the arm (200) carrying the cassette and absorbing the impact when the object collides at the end of the fork (300) 400 is equipped,
The shock absorbing means 400,
Through-holes 411 are formed at interval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ile being formed to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fork 300, the body portion 410 and the insertion hole 412 is formed between the through-holes 411 and ,
A connection member mounted at intervals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portion 410 and having a connection through hole 421 and an inlet groove 422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411 and the insertion hole 412, respectively; 420),
Guide rods 430 that are inserted into and mounted in the through-hole 411 of the body 410 and the connection through-hole 421 of the connection member 420, and operate before and after the collision with an object;
Shock absorbing springs 440 that are inserted into the front of the guide rod 430, respectively, to absorb the impact using compression and elasticity when the object and the impact, and
Located at the front of the connecting member 420, respectively, the end of the guide rod 430 and the bolting (453) is coupled, the front surface is equipped with a shock absorbing member 451 to absorb the shock, and corresponds to the inlet groove 422 Shock absorbing portion 45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rotrusion 452, and
Stacker robo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nection fixture 460 for fixing the end portion and the body portion 410 of the fork portion 300 is mounted at intervals.
상기 충격흡수수단(400)을 구성하는 몸체부(410)의 양측 끝단과 반대 측에는 물체의 충돌시 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충격감지수단(500)이 더 장착되되,
상기 충격감지수단(500)은, 상기 몸체부(410)의 전면 상부에 형성되는 삽입홈(414)에 장착되고 축공(511)이 구비된 연결구(510)들과, 상기 연결구(510)의 축공(511)에 장착되는 베어링(520)과, 상기 축공(511)에 삽입장착되는 한 쌍의 회동축(530)과, 상기 유입홈(422)과 대응하는 회동축(530)에 장착되고 삽입돌기(452)와 접촉시 후방으로 회동작동하면서 회동축(530)을 회동작동시키는 회동판(590)과, 상기 회동축(530)의 끝단에 장착되면서 연동작동하는 절곡판(540)과, 상기 연결부재(420)의 양측 끝단에 장착되고 수신부(560)가 장착되는 측면 고정부(550)와, 상기 절곡판(540)과 측면 고정부(550)를 연결하는 스프링(570)과, 상기 수신부(560)의 반대 측에 위치하면서 상기 절곡판(540)의 회동작동시 수신부(560)를 감지하여 충돌 여부를 확인하는 레이저 센서(5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커로봇.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n both ends and opposite sides of the body portion 410 constituting the shock absorbing means 400 is further equipped with a shock detection means 500 to detect this when the object collides,
The impact detecting means 500 is mounted in the insertion groove 414 formed in the upper front of the body portion 410, the connector 510 is provided with a shaft hole 511 and the shaft hole of the connector 510 511 is mounted on the bearing 520, a pair of rotating shaft 530 inserted into the shaft hole 511, and the rotating shaft 530 corresponding to the inlet groove 422, the insertion projection A rotating plate 590 for rotating the rotating shaft 530 while being rotated backwards when contacted with the 452; a bending plate 540 interlocked with the end of the rotating shaft 530; Side fixing parts 550 mounted at both ends of the member 420 and mounted with the receiving part 560, a spring 570 connecting the bent plate 540 and the side fixing part 550, and the receiving part (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560, including a laser sensor 580 for detecting the collision by detecting the receiving unit 560 during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bending plate 540 Stacker robot features.
상기 포크부(300)의 반대 측에는 스태커로봇(100)의 경사변위를 감지하여 컨트롤러를 매개로 이를 바로잡아 레일을 타고 좌·우 이동시 일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변위센서(700)가 구비된 위치정렬수단(600)이 더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커로봇.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ork part 300 detects the inclination displacement of the stacker robot 100 and corrects it via a controller to position the position sensor equipped with a displacement sensor 700 to maintain a constant state when moving left and right on the rail Stacker robot, characterized in that the means 600 is further mounted.
상기 변위센서(700)는 상기 스태커로봇(100)의 회전축에 편심형 돌출부를 합체하고, 이 합체부의 측방부에 추가로 구성되되,
상기 변위센서(700)는 물체가 이동한 거리나 위치 변화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일면은 반사부이고, 상기 반사부와 대응하는 타면은 발광부 및 수광부가 구성된 레이저 변위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커로봇.
The method of claim 4,
The displacement sensor 700 incorporates an eccentric protrusion on the axis of rotation of the stacker robot 100, and is further configured on the side of the coalescing portion,
The displacement sensor 700 is a sensor for measuring a distance or a position change of an object moved, one surface is a reflector, and the other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reflector is a laser displacement sensor comprising a light emitting unit and a light receiving unit robot.
상기 위치정렬수단(600)은 카세트의 밑면 프레임 중 중간 프레임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하나씩 대응하여 배치되고,
암(200)의 포크(612)에 수평으로 매입설치된 단면이 ㄴ 자형의 지지대(610)와, 상기 지지대(610)의 하부 측면에 수평으로 배치된 리니어모터(620)와, 상기 리니어모터(620) 상에서 진퇴운동하는 상부-경사돌기(631)-구비-슬라이더(630)와, 상기 상부-경사돌기(631)-구비-슬라이더(630)의 측면 경사부(633)를 밀어내면서 하향운동하는 볼캐스터(640)와, 상기 볼캐스터(640)에 하방운동에 연동하여 상기 지지대(610)측으로 이동하는 상기 슬라이더(630)에 복원력을 인가하도록 상기 지지대(610)의 기립부(611)와 상기 슬라이더(630) 사이에 탄지 배열된 복원스프링(6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커로봇.
The method of claim 4,
The positioning means 600 is disposed corresponding to one on both sides with an intermediate frame among the bottom frame of the cassette,
Cross-section embedded in the fork 612 of the arm 20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B-shaped support 610, the linear motor 620 disposed horizontally on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610, and the linear motor 620 The ball tilting downward while pushing the upper-tilt protrusion 631-gutter-slider 630 and the side-inclined part 633 of the upper-tilt protrusion 631-gutter-slider 630). The standing portion 611 and the slider of the support 610 to apply a restoring force to the caster 640 and the slider 630 moving in the downward direction to the support 610 in conjunction with the downward movement to the ball caster 640. Stacker robo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storing spring 650 arranged in tangent between (630).
상기 몸체부(410)의 상부에는 충격감지수단(500)을 감싸면서 지지할 수 있도록 케이스(900)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커로봇.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Stacker robot, characterized in that the case 900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410 to support while surrounding the impact sensing means (500).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90108999 | 2009-11-12 | ||
KR1020090108999 | 2009-11-12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52468A KR20110052468A (en) | 2011-05-18 |
KR101246851B1 true KR101246851B1 (en) | 2013-03-25 |
Family
ID=44362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08679A KR101246851B1 (en) | 2009-11-12 | 2010-11-03 | stacker robo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46851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60004A (en) * | 2001-08-20 | 2003-02-28 | Yaskawa Electric Corp | Robot hand |
KR20040072221A (en) * | 2003-02-10 | 2004-08-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Equipment and method for storing carriers |
KR100676683B1 (en) | 2006-09-26 | 2007-02-02 | 위아무역주식회사 | Table up and down apparatus on apparatus for rubbing |
KR20090070387A (en) * | 2007-12-27 | 2009-07-01 |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wafer cassette and a method of transmitting the wafer cassette |
-
2010
- 2010-11-03 KR KR1020100108679A patent/KR101246851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60004A (en) * | 2001-08-20 | 2003-02-28 | Yaskawa Electric Corp | Robot hand |
KR20040072221A (en) * | 2003-02-10 | 2004-08-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Equipment and method for storing carriers |
KR100676683B1 (en) | 2006-09-26 | 2007-02-02 | 위아무역주식회사 | Table up and down apparatus on apparatus for rubbing |
KR20090070387A (en) * | 2007-12-27 | 2009-07-01 |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wafer cassette and a method of transmitting the wafer cassett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52468A (en) | 2011-05-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314344B2 (en) | Substrate-transporting device | |
US6984097B1 (en) | Mounting/demounting device for wafer carrier lid | |
US20100135761A1 (en) | Substrate transport apparatus and substrate transport method | |
US20060245860A1 (en) | Cassette storage equipment | |
CN110814546B (en) | Turnover mechanism | |
JP2010109039A (en) | Cassette for substrate | |
JP4891348B2 (en) | Component mounting detection device | |
KR101246851B1 (en) | stacker robot | |
CN109496350A (en) | Substrate guide part and carrier | |
US20140182122A1 (en) | Assembler mechanism | |
KR20090069544A (en) | Cassette loa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loading cassette using the same | |
KR102562778B1 (en) | Automatic exchanging apparatus of cassette for ultra thin glass | |
TW201833537A (en) | Panel-transporting robot | |
CN211957607U (en) | Cassette arrangement unit and conveyance system | |
KR101245367B1 (en) | Stocker | |
JP2008118014A (en) | Substrate holding cassette | |
US7828164B2 (en) | Suspended platform for overhead traveling carriage | |
JP2018091657A (en) | Inspection apparatus | |
CN100386629C (en) | Inspection apparatus | |
CN219488906U (en) | Lamination machine | |
JP3120134U (en) | Aging test system | |
KR101014748B1 (en) | Apparatus for transferring substrate | |
KR100987865B1 (en) | Robot arm for carrying cassette | |
CN113911670B (en) | Conveying equipment and coagulometer detection system | |
WO2022097754A1 (en) | Industrial robo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