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6668B1 - 마취 관리 정보 통합전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마취 관리 정보 통합전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6668B1
KR101246668B1 KR1020110088205A KR20110088205A KR101246668B1 KR 101246668 B1 KR101246668 B1 KR 101246668B1 KR 1020110088205 A KR1020110088205 A KR 1020110088205A KR 20110088205 A KR20110088205 A KR 20110088205A KR 101246668 B1 KR101246668 B1 KR 101246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esthesia
information
related information
management information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8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4643A (ko
Inventor
김현우
전기만
손재기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088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6668B1/ko
Priority to PCT/KR2012/006699 priority patent/WO2013032170A1/ko
Publication of KR20130024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4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6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6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마취 관리 정보 통합전달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마취 관리 정보 통합전달 방법은, 수술실에 마련된 마취용 의료기기들로부터 수신한 마취 관련 정보들을 통합하여 마취 관리 정보를 생성하여 서버로 전송하는데, 마취 관리 정보를 생성함에 있어 일부 마취 관련 정보에 대해서는 데이터 비중을 가변시킨다. 이에 의해, 수술환자에 대한 마취 관련 정보들을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통합할 수 있게 되어, 요구되는 통신 자원을 줄이고 통신 속도와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마취 관리 정보 통합전달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ing and transmitting anesthesia management data}
본 발명은 마취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술환자에 대한 마취 관련 정보들을 관리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마취 관리를 위해 필요한 의료기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PMS(Patient Monitoring System), 약물전달장치, BIS(BISpectral index) 감시장치, 심박출량 감시장치, 혈액 감시장치 및 호흡 관리장치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마취를 위해 필요한 의료기기들이 매우 많고 다양하며, 이들에 의해 측정된 정보들이 산발적으로 관리되는 관계로, 이들을 통합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마취에 이용되는 의료기기들로부터 생성되는 정보들을 통합하여 관리하되,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통합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여러 수술실에 있는 수술환자들에 대한 마취 관련 정보들을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통합하기 위한 마취 관리 정보 통합전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취 관리 정보 통합전달 방법은, 수술실에 마련된 마취용 의료기기들로부터 마취 관련 정보들을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마취 관련 정보들을 통합하여 마취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마취 관리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마취 관리 정보 생성단계는, 상기 마취 관련 정보들 중 특정 마취 관련 정보에 대한 데이터 비중을 가변시키면서, 상기 마취 관리 정보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마취 관리 정보 생성단계는, 상기 특정 마취 관련 정보를 상기 마취 관리 정보에 수록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취 관리 정보 생성단계는, 상기 특정 마취 관련 정보가 이전과 동일한 경우, 상기 특정 마취 관련 정보를 상기 마취 관리 정보에 수록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취 관리 정보 생성단계는, 상기 특정 마취 관련 정보의 수집 주기가 도래하지 않은 경우, 상기 특정 마취 관련 정보를 상기 마취 관리 정보에 수록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취 관리 정보 생성단계는, 상기 특정 마취 관련 정보가 이전과 동일한 경우, 상기 특정 마취 관련 정보 대신 '상기 특정 마취 관련 정보가 이전과 동일함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수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특정 마취 관련 정보는, 다른 마취 관련 정보들 보다 변화도가 낮은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마취 관련 정보는, 다른 마취 관련 정보들 보다 수집 주기가 긴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취 관리 정보 통합전달 시스템은, 수술실에 마련된 마취용 의료기기들; 및 상기 마취용 의료기기들로부터 수신한 마취 관련 정보들을 통합하여 생성한 마취 관리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수집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수집장치는, 상기 마취 관련 정보들 중 특정 마취 관련 정보에 대한 데이터 비중을 가변시키면서, 상기 마취 관리 정보 생성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수술환자에 대한 마취 관련 정보들을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통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마취 정보들을 수집함에 있어 요구되는 통신 자원을 줄일 수 있게 되어, 통신 속도와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마취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통합 마취 관리 시스템에 의한 통합 마취 관리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그리고,
도 3은 마취 관리 정보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마취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통합 마취 관리 시스템은, 여러 수술실에서 마취 중인 수술환자들의 마취 관리를 위해, 수술환자들에 대한 마취 관련 정보들을 수집/통합하여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통합 마취 관리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마취정보 수집 시스템들(100-1, 100-2, ... , 100-n), 마취상태 모니터링 서버(300) 및 환자정보 DB(400)가 상호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어 구축된다.
마취정보 수집 시스템들(100-1, 100-2, ... , 100-n)은 각 수술실 마다 개별적으로 구축된다. 구체적으로, 수술실-1(OR-1)에는 마취정보 수집 시스템-1(100-1)이 구축되고, 수술실-2(OR-2)에는 마취정보 수집 시스템-2(100-2)이 구축되며, ... , 수술실-n(OR-n)에는 마취정보 수집 시스템-n(100-n)이 구축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술실-1(OR-1)에 구축된 마취정보 수집 시스템-1(100-1)은 마취 의료기기들(110 내지 160), 마취정보 수집장치(200) 및 통신 모듈(250)을 포함한다.
마취 의료기기들(110 내지 160)은 수술환자의 마취상태를 파악하는데 참고되는 마취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의료기기들로, PMS(Patient Monitoring System : 환자감시장치)(110), 약물전달장치(120), BIS(BISpectral index) 감시장치(130), 심박출량 감시장치(140), 혈액 감시장치(150) 및 호흡 관리장치(160)를 포함한다.
PMS(110)는 마취 관련 정보로서 수술환자의 전반적인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데, 여기에는 심박수(HR), 산소포화도(SpO2), 호흡수(Resp.), 맥박 정보(NIBP 또는 IBP)이 포함된다.
약물 전달장치(120)는 수술환자에 약물 마취제를 투입하고, 마취 관련정보로서 투입한 약물량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데, 투입하는 약물에는 Propofol과 Pemifentanil가 있다.
BIS 감시장치(130)는 마취 관련정보로서 수술환자의 마취심도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데, 여기에는 BIS, 뇌파의 SQI(Signal Quality Index)와 SEF(Spectral Edge Frequency)가 포함된다.
심박출량 감시장치(140)는 마취 관련정보로서 수술환자의 심박출량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데, 여기에는 CO(Cardiac Output : 심박출량)가 포함된다.
혈액 감시장치(150)는 마취 관련정보로서 수술환자의 혈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데, 여기에는 SVV(Stroke Volume Variation)가 포함된다.
호흡 관리장치(160)는 수술환자에 대한 흡입마취와 호흡관리를 수행하며, 마취 관련정보로서 수술환자의 호흡상태에 대한 정보를 생성한다.
마취정보 수집장치(200)는, 마취 의료기기들(110 내지 160)과 무선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마취정보 수집장치(200)와 마취 의료기기들(110 내지 160) 간의 무선 통신은 의료용 무선통신 대역인 WMTS(Wireless Medical Telemetry Service) 대역에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마취정보 수집장치(200)는, 마취 의료기기들(110 내지 160)로부터 마취 관련 정보들을 수신하고, 수신된 마취 관련 정보들을 통합하여 하나의 마취 관리 정보를 생성하여, 통신 모듈(250)을 통해 무선 송신한다.
한편, 마취정보 수집장치(200)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마취 의료기기들(110 내지 160)로부터 수신한 마취 관련 정보들을 표시하여, 수술실의 의료진이 볼 수 있도록 한다.
마취정보 수집 시스템-1(100-1) 이외의 다른 마취정보 수집 시스템들(100-2, ... 100-n)의 세부 구성도, 마취정보 수집 시스템-1(100-1)과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마취정보 수집 시스템들(100-2, ... 100-n)의 세부 구성에 대한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마취상태 모니터링 서버(300)는 중앙의 마취 관리실에 설치된 서버로, 통신 모듈(350) 및 환자정보 DB(400)와 상호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어 구축된다.
마취상태 모니터링 서버(300)는 통신 모듈(350)을 통해 마취정보 수집 시스템들(100-1, 100-2, ... 100-n)로부터 마취 관리 정보들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수신/저장된 마취 관리 정보들에 수록된 마취 관련 정보들을 수술실(수술환자) 별로 구분하여 표시하여, 중앙의 마취 관리실 의료진이 볼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마취상태 모니터링 서버(300)는 환자정보 DB(400)로부터 환자에 대한 신상 정보와 의료 정보를 요청/수신하여, 마취 관련 정보들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통합 마취 관리 시스템에 의해 여러 수술실들의 수술환자들에 대한 마취 관리를 통합적으로 수행하는 과정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통합 마취 관리 시스템에 의한 통합 마취 관리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마취 의료기기들(110 내지 160)이 수술환자의 마취상태를 파악하는데 참고되는 마취 관련 정보들을 생성한다(S510).
그리고, 마취 의료기기들(110 내지 160)은 S510단계에서 생성한 마취 관련 정보들을 마취정보 수집장치(200)로 무선 전송한다(S520). S520단계에서의 무선 전송은 WMTS(Wireless Medical Telemetry Service) 대역에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마취정보 수집장치(200)는 S520단계에서 수신한 마취 관련 정보들을 디스플레이에 통합적으로 표시한다(S530). S530단계에 의해 수술실의 의료진이 수술환자에 대한 마취 관련 정보들을 볼 수 있게 된다.
또한, 마취정보 수집장치(200)는 S520단계에서 수신한 마취 관련 정보들을 통합하여 마취 관리 정보를 생성한다(S540).
이하에서는, S540단계에서 생성되는 마취 관리 정보에 대한 프로토콜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마취 관리 정보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취 관리 정보에는 S-BIT, Patient ID, Patient Monitoring Data, Drug Pump, Depth of anesthesia, Hemodynamic Monitor, Ventilator 및 E-BIT가 수록된다.
S-BIT에는 마취 관리 정보의 시작을 나타내는 Start 비트가 수록되고, E-BIT에는 마취 관리 정보의 끝을 지시하는 END 비트가 수록된다.
Patient ID에는 수술환자의 ID가 수록되는데, 이는 마취 관리 정보에 수록된 마취 관련 정보들이 어느 수술환자에 대한 정보인지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마취상태 모니터링 서버(300)는 Patient ID를 기초로, 마취 관리 정보에 수록된 마취 관련 정보들이 어느 수술환자에 대한 정보인지 구분할 수 있게 된다.
Patient Monitoring Data에는 PMS(110)로부터 수신한 수술환자의 전반적인 상태에 대한 정보가 수록되는데, 여기에는 HR(심박수), SpO2(산소포화도), Resp.(호흡수) 및 NIBP/IBP sys, dia, mean(맥박 정보)가 포함된다.
Drug Pump에는 약물 전달장치(120)로부터 수신한 투입 약물량에 대한 정보가 수록되는데, 여기에는 Propofol 투입량과 Pemifentanil 투입량이 포함된다.
Depth of anesthesia에는 BIS 감시장치(130)로부터 수신한 수술환자의 마취심도에 대한 정보가 수록되는데, 여기에는 BIS, 뇌파의 SQI(Signal Quality Index)와 SEF(Spectral Edge Frequency)가 포함된다.
Hemodynamic Monitor에는 심박출량 감시장치(140)로부터 수신한 수술환자의 심박출량에 대한 정보인 CO(Cardiac Output : 심박출량)와 혈액 감시장치(150)로부터 수신한 수술환자의 혈류에 대한 정보인 SVV(Stroke Volume Variation)가 수록된다.
Ventilator에는 호흡 관리장치(160)로부터 수신한 수술환자의 호흡상태에 대한 정보가 수록된다.
마취 관련 정보들 중 Drug Pump에 수록되는 "Propofol 투입량"과 "Pemifentanil 투입량"은 다른 마취 관련 정보들(Patient Monitoring Data, Depth of anesthesia 등)에 비해 변화도가 낮다.
즉, Drug Pump는 이전에 전송했었던 마취 관리 정보에 수록되었었던 Drug Pump와 동일한 경우가 빈번하다. 따라서, S540단계에서 마취 관리 정보를 생성함에 있어, 이전과 변화가 없는 경우(즉, 이전과 동일한 경우), Drug Pump를 마취 관리 정보에 수록하지 않음으로서, 마취 관리 정보의 데이터 용량을 줄일 수 있다.
이와 달리, S540단계에서 마취 관리 정보를 생성함에 있어, 이전과 변화가 없는 경우(즉, 이전과 동일한 경우), Drug Pump에 "Propofol 투입량과 Pemifentanil 투입량" 대신 "Drug Pump이 이전과 동일함을 나타내는 데이터(비트)'를 수록하여, 마취 관리 정보의 데이터 용량을 줄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마취 관련 정보들 중 변화도가 낮은 마취 관련 정보에 대해서는 데이터 비중을 가변시킴으로서, 마취 관리 정보의 데이터 용량을 줄여 전송 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S540단계 이후, 마취정보 수집장치(200)는 S540단계에서 생성한 마취 관리 정보를 통신 모듈(250)을 통해 마취상태 모니터링 서버(300)로 전송한다(S550).
S510단계 내지 S550단계는 마취정보 수집 시스템들(100-1, 100-2, ... , 100-n) 마다 개별적/병렬적으로 수행된다. 즉, S510단계 내지 S550단계에 의해,
1) 수술실-1(OR-1)의 마취정보 수집 시스템-1(100-1)은, 수술환자-1의 ID와 마취 관련 정보들이 통합적으로 수록된 마취 관리 정보를 생성하여 마취상태 모니터링 서버(300)로 전송하고,
2) 수술실-2(OR-2)의 마취정보 수집 시스템-2(100-2)는, 수술환자-2의 ID와 마취 관련 정보들이 통합적으로 수록된 마취 관리 정보를 생성하여 마취상태 모니터링 서버(300)로 전송하고,
...
n) 수술실-n(OR-n)의 마취정보 수집 시스템-n(100-n)은, 수술환자-n의 ID와 마취 관련 정보들이 통합적으로 수록된 마취 관리 정보를 생성하여 마취상태 모니터링 서버(300)로 전송하게 된다.
S550단계 이후, 마취상태 모니터링 서버(300)는 마취 관리 정보에서 수술환자의 ID를 추출하고(S560), 추출된 수술환자의 ID를 쿼리로 환자 정보 DB(300)로 환자 정보를 요청/수신한다(S570, S580).
그리고, 마취상태 모니터링 서버(300)는 S550단계에서 수신한 마취 관리 정보에 수록된 마취 관련정보들을 S580단계에서 수신한 수술환자의 정보와 함께 표시한다(S590).
S560단계 내지 S590단계는, S550단계를 통해 수신되는 마취 관리 정보들 마다 개별적/병렬적으로 수행된다. 즉, S560단계 내지 S590단계에 의해,
1) 수술실-1(OR-1)의 수술환자-1에 대한 환자정보와 마취 관련 정보들,
2) 수술실-2(OR-2)의 수술환자-2에 대한 환자정보와 마취 관련 정보들,
...
n) 수술실-n(OR-n)의 수술환자-n에 대한 환자정보와 마취 관련 정보들이 디스플레이에 함께 또는 순차적으로 표시된다.
이에 의해, 마취상태 모니터링 서버(300)가 설치된 중앙의 마취 관리실 의료진이 모든 수술환자들에 대한 마취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마취상태 모니터링 서버(300)는 S550단계에 의해 수신된 마취 관리 정보들을 저장하여, 추후 수술환자들에 대한 마취 이력에 참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저장된 정보들의 의료진의 모바일 기기(모바일 폰, 모바일 컴퓨터 등)으로 전달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지금까지, 통합 마취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다.
위 실시예에서 언급한 구체적인 마취 의료기기들(110 내지 160)은 예시적인 것으로, 예시된 마취 의료기기들 이외의 다른 것들이 이용되는 경우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위 실시예에서 마취 관련 정보들 중 Drug Pump에 대한 데이터 비중을 가변시키는 것을 상정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예에 해당한다. Drug Pump 이외의 다른 마취 관련 정보에 대한 데이터 비중이 가변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2개 이상의 마취 관련 정보들에 대한 데이터 비중이 가변되는 것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마취 관련 정보들 중에는 수집/모니터링 주기가 긴 정보가 있을 수 있는데, 이 경우에도 위 기법이 적용가능하다. 즉, 마취 관리 정보를 생성해야 하는 시점까지 수집 주기가 도래하지 않아 수집되지 않은 마취 관리 정보를 마취 관리 정보에 수록하지 않음으로서, 마취 관리 정보의 데이터 용량을 줄이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1, 100-2, ... , 100-n : 마취정보 수집 시스템
110 내지 160 : 마취 의료기기
200: 마취정보 수집장치
300 : 마취상태 모니터링 서버
400 : 환자정보 DB

Claims (8)

  1. 마취정보 수집장치가, 수술실에 마련된 마취용 의료기기들로부터 마취 관련 정보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마취정보 수집장치가, 수신된 마취 관련 정보들을 통합하여 마취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마취정보 수집장치가, 생성된 마취 관리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마취 관리 정보 생성단계는,
    상기 마취 관련 정보들 중 특정 마취 관련 정보가 이전과 동일한 경우, 상기 특정 마취 관련 정보를 상기 마취 관리 정보에 수록하지 않고,
    상기 특정 마취 관련 정보는,
    다른 마취 관련 정보들 보다 변화도가 낮은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취 관리 정보 통합전달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취 관리 정보 생성단계는,
    상기 특정 마취 관련 정보의 수집 주기가 도래하지 않은 경우, 상기 특정 마취 관련 정보를 상기 마취 관리 정보에 수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취 관리 정보 통합전달 방법.
  5. 마취정보 수집장치가, 수술실에 마련된 마취용 의료기기들로부터 마취 관련 정보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마취정보 수집장치가, 수신된 마취 관련 정보들을 통합하여 마취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마취정보 수집장치가, 생성된 마취 관리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마취 관리 정보 생성단계는,
    상기 특정 마취 관련 정보가 이전과 동일한 경우, 상기 특정 마취 관련 정보 대신 '상기 특정 마취 관련 정보가 이전과 동일함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수록하고,
    상기 특정 마취 관련 정보는,
    다른 마취 관련 정보들 보다 변화도가 낮은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취 관리 정보 통합전달 방법.
  6. 삭제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마취 관련 정보는,
    다른 마취 관련 정보들 보다 수집 주기가 긴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취 관리 정보 통합전달 방법.
  8. 수술실에 마련된 마취용 의료기기들; 및
    상기 마취용 의료기기들로부터 수신한 마취 관련 정보들을 통합하여 생성한 마취 관리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수집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수집장치는,
    상기 마취 관련 정보들 중 특정 마취 관련 정보가 이전과 동일한 경우, 상기 특정 마취 관련 정보를 상기 마취 관리 정보에 수록하지 않고,
    상기 특정 마취 관련 정보는,
    다른 마취 관련 정보들 보다 변화도가 낮은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취 관리 정보 통합전달 시스템.
KR1020110088205A 2011-08-31 2011-08-31 마취 관리 정보 통합전달 방법 및 시스템 KR101246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205A KR101246668B1 (ko) 2011-08-31 2011-08-31 마취 관리 정보 통합전달 방법 및 시스템
PCT/KR2012/006699 WO2013032170A1 (ko) 2011-08-31 2012-08-23 마취용 의료기기들에 대한 마취 정보 수집/전송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205A KR101246668B1 (ko) 2011-08-31 2011-08-31 마취 관리 정보 통합전달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4643A KR20130024643A (ko) 2013-03-08
KR101246668B1 true KR101246668B1 (ko) 2013-03-25

Family

ID=47756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8205A KR101246668B1 (ko) 2011-08-31 2011-08-31 마취 관리 정보 통합전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46668B1 (ko)
WO (1) WO20130321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8527B1 (ko) 2019-03-18 2020-12-0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보닐 아세테이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트레스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0052A (ko) * 1995-10-12 1997-05-28 김광호 내시경 수술시스템 주변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4267461A (ja) * 2003-03-07 2004-09-30 Olympus Corp 内視鏡手術システム
JP2006061702A (ja) * 1999-10-07 2006-03-09 Olympus Corp 手術システム
KR20090000679A (ko) * 2007-03-20 2009-01-08 주식회사메디아나 의료정보 관리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8581B1 (ko) * 2003-06-14 2005-12-22 이지케어텍(주) 온라인 상에서의 검사실용 의료정보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0052A (ko) * 1995-10-12 1997-05-28 김광호 내시경 수술시스템 주변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6061702A (ja) * 1999-10-07 2006-03-09 Olympus Corp 手術システム
JP2004267461A (ja) * 2003-03-07 2004-09-30 Olympus Corp 内視鏡手術システム
KR20090000679A (ko) * 2007-03-20 2009-01-08 주식회사메디아나 의료정보 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32170A1 (ko) 2013-03-07
KR20130024643A (ko) 2013-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27905B2 (en) Patient initiated on-demand remote medical service with integrated knowledge base and computer assisted diagnosing characteristics
Jara et al. Interconnection framework for mHealth and remote monitoring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US20160294927A1 (en) Variable data usage personal medical system and method
US20110295560A1 (en) Criticality of data
CN105049525A (zh) 一种便携式多功能远程医疗健康管理系统
CN102054118A (zh) 一种远程医疗系统
US8838136B2 (en) System, method, and software for configuring communication with medical devices
CN101483690A (zh) 移动通讯终端及健康信息采集方法
Hameed et al. Health monitoring system based on wearable sensors and cloud platform
Isakovic et al. The Role of mHealth applications in societal and social challenges of the future
BRPI1006705B1 (pt) sistema configurado para monitorar a congestão pulmonar em um indivíduo
JP2007160089A (ja) 携帯型患者装置及び外部操作部品を備えるシステム
CA2922795C (en) Presenting data generated by a continuous glucose monitor
KR101246667B1 (ko) 통합 마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1521683A (ja) 医学的ユニット及びディスプレー・モニターを有する医学的システム
KR101246668B1 (ko) 마취 관리 정보 통합전달 방법 및 시스템
Rotariu et al. An integrated system for wireless monitoring of chronic patients and elderly people
KR20190132826A (ko) 실시간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CN103251395A (zh) 基于无线网络的医疗监控系统
ÇETİN et al. A real-time life-care monitoring framework: WarnRed hardware and software design
WO2010126731A2 (en) Patient monitoring and alarm system
KR101505398B1 (ko) 환자감시장치와 연동된 스마트폰기반 환자 진료 시스템
CN114588395A (zh) 镇痛系统、镇痛终端及镇痛方法
CN107229829A (zh) 临床重症远程辅助诊疗的管理方法
Kumpusch et al. A Mobile Phone Based Telemonitoring Concept for the Simultanous Acquisition of Biosignals Physiological Paramet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