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6667B1 - 통합 마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합 마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6667B1
KR101246667B1 KR1020110088202A KR20110088202A KR101246667B1 KR 101246667 B1 KR101246667 B1 KR 101246667B1 KR 1020110088202 A KR1020110088202 A KR 1020110088202A KR 20110088202 A KR20110088202 A KR 20110088202A KR 101246667 B1 KR101246667 B1 KR 101246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esthesia
information
patient
related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8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4641A (ko
Inventor
김현우
전기만
손재기
박창원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088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6667B1/ko
Priority to PCT/KR2012/006700 priority patent/WO2013032171A2/ko
Publication of KR20130024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4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6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6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1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specially adapted for anaesthet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21Determining level or depth of anaesthesia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16Measuring devices for examining respiratory frequenc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76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 A61M2205/3592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using telemetric means, e.g. radio or optical transmi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04Heartbeat characteristics, e.g. ECG, blood pressure modulation
    • A61M2230/06Heartbeat rate on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20Blood composition characteristics
    • A61M2230/205Blood composition characteristics partial oxygen pressure (P-O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40Respiratory characteristics
    • A61M2230/42Rat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chanical, radiation or invasive therapies, e.g. surgery, laser therapy, dialysis or acupun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esthes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통합 마취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통합 마취 관리 시스템은, 수술실들에 각각 마련된 마취용 의료기기들로부터 마취 관련 정보들을 수신하여 통합한 마취 관리 정보들을 이용하여, 수술실들에서 수술중인 환자들에 대한 마취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이에 의해, 수술환자들에 대한 마취 관련 정보들을 통합하여 관리/저장/모니터링할 수 있음은 물론, 여러 수술환자들에 대한 마취 관리 정보들 역시 통합하여 관리/저장/모니터링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통합 마취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anesthesia management}
본 발명은 마취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술환자에 대한 마취 관련 정보들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마취 관리를 위해 필요한 의료기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PMS(Patient Monitoring System), 약물전달장치, BIS(BISpectral index) 감시장치, 심박출량 감시장치, 혈액 감시장치 및 호흡 관리장치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수술실에는 많은 다양한 의료기기들이 준비되어야 하며, 수술 중에 각각의 의료기기들 모두를 주시하여야 하는 관계로, 의료진의 시술은 어렵고 복잡해진다.
또한, 의료기기들에 의해 측정된 정보들이 산발적으로 관리되는 관계로, 이들을 통합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또한, 수술환자들에 대한 마취 상태는 수술실에서만 확인 가능하여, 수술환자들에 대한 중첩적인 모니터링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여러 수술실에 있는 수술환자들에 대한 마취 관련 정보들을 통합하여 관리하기 위한 통합 마취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마취 관리 시스템은, 제1 수술실에 마련된 제1 마취용 의료기기들과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1 마취용 의료기기들로부터 제1 마취 관련 정보들을 수신하고, 수신된 제1 마취 관련 정보들을 통합한 제1 마취 관리 정보를 전송하는 제1 수집장치; 제2 수술실에 마련된 제2 마취용 의료기기들과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2 마취용 의료기기들로부터 제2 마취 관련 정보들을 수신하고, 수신된 제2 마취 관련 정보들을 통합한 제2 마취 관리 정보를 전송하는 제2 수집장치; 및 상기 제1 수집 장치로부터 수신한 제1 마취 관리 정보 및 상기 제2 수집 장치로부터 수신한 제2 마취 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수술실에서 수술중인 제1 환자에 대한 마취 상태 및 상기 제2 수술실에서 수술중인 제2 환자에 대한 마취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마취 관리 정보에는 제1 환자의 ID가 수록되고, 상기 제2 마취 관리 정보에는 제2 환자의 ID가 수록되며,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수록된 ID를 기초로, 상기 제1 마취 관리 정보와 상기 제2 마취 관리 정보를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제1 환자의 ID를 쿼리로, 환자정보 DB로부터 제1 환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1 마취 관리 정보와 함께 표시하고, 상기 제2 환자의 ID를 쿼리로, 환자정보 DB로부터 제2 환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2 마취 관리 정보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수집장치는, 상기 제1 마취 관련 정보들을 통합 표시하고, 상기 제2 수집장치는, 상기 제2 마취 관련 정보들을 통합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수집장치는, 상기 제1 마취 관련 정보들 중 현재 마취 단계에서 주요한 것으로 설정된 마취 관련 정보를 나머지 정보와 다른 방식으로 표시하고, 상기 제2 수집장치는, 상기 제2 마취 관련 정보들 중 현재 마취 단계에서 주요한 것으로 설정된 마취 관련 정보를 나머지 정보와 다른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주요한 마취 관련 정보는 단계별로 미리 정해져 있을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제1 마취용 의료기기들은, 상기 제1 마취 관련 정보들을 제1 암호화 방식으로 암호화하여 상기 제1 수집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1 수집장치는, 상기 제1 마취 관리 정보를 제1 암호화 방식으로 암호화하여 상기 모니터링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2 마취용 의료기기들은, 상기 제2 마취 관련 정보들을 제2 암호화 방식으로 암호화하여 상기 제2 수집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2 수집장치는, 상기 제2 마취 관리 정보를 제2 암호화 방식으로 암호화하여 상기 모니터링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합 마취 관리 방법은, 제1 수집장치가, 제1 수술실에 마련된 제1 마취용 의료기기들로부터 제1 마취 관련 정보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수집장치가, 수신된 제1 마취 관련 정보들을 통합한 제1 마취 관리 정보를 모니터링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제2 수집장치가, 제2 수술실에 마련된 제2 마취용 의료기기들로부터 제2 마취 관련 정보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수집장치가, 수신된 제2 마취 관련 정보들을 통합한 제2 마취 관리 정보를 모니터링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수술환자에 대한 마취 관련 정보들을 통합하여 관리/저장/모니터링할 수 있음은 물론, 여러 수술환자들에 대한 마취 관리 정보들 역시 통합하여 관리/저장/모니터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술환자에 대한 마취 관련 정보들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통합적으로 수술실의 의료진에게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여러 수술실에서 마취 중인 수술환자들에 대한 마취 관리 정보들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통합적으로 중앙의 마취 관리실에 있는 의료진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원격에서 통합적으로 수술환자들의 마취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술환자들에 대한 마취 관련 정보들을 통합적으로 저장함으로서, 추후 손쉽게 이용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마취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합 마취 관리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그리고,
도 3은 마취 관련 정보들이 디스플레이에 통합적으로 표시된 결과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마취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통합 마취관리 시스템은, 여러 수술실에서 마취 중인 수술환자들의 마취 관리를 위해, 수술환자들에 대한 마취 관련 정보들을 수집/통합하여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통합 마취관리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마취정보 수집 시스템들(100-1, 100-2, ... , 100-n), 마취상태 모니터링 서버(300) 및 환자정보 DB(400)가 상호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어 구축된다.
마취정보 수집 시스템들(100-1, 100-2, ... , 100-n)은 각 수술실 마다 개별적으로 구축된다. 구체적으로, 수술실-1(OR-1)에는 마취정보 수집 시스템-1(100-1)이 구축되고, 수술실-2(OR-2)에는 마취정보 수집 시스템-2(100-2)이 구축되며, ... , 수술실-n(OR-n)에는 마취정보 수집 시스템-n(100-n)이 구축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술실-1(OR-1)에 구축된 마취정보 수집 시스템-1(100-1)은 마취 의료기기들(110 내지 160), 마취정보 수집장치(200) 및 통신 모듈(250)을 포함한다.
마취 의료기기들(110 내지 160)은 수술환자의 마취상태를 파악하는데 참고되는 마취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의료기기들로, PMS(Patient Monitoring System : 환자감시장치)(110), 약물전달장치(120), BIS(BISpectral index) 감시장치(130), 심박출량 감시장치(140), 혈액 감시장치(150) 및 호흡 관리장치(160)를 포함한다.
PMS(110)는 마취 관련 정보로서 수술환자의 전반적인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데, 여기에는 심박수(HR), 산소포화도(SpO2), 호흡수(Resp.), 맥박 정보(NIBP 또는 IBP)이 포함된다.
약물 전달장치(120)는 수술환자에 약물 마취제를 투입하고, 마취관련정보로서 투입한 약물량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데, 투입하는 약물에는 Propofol과 Pemifentanil가 있다.
BIS 감시장치(130)는 마취관련정보로서 수술환자의 마취심도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데, 여기에는 BIS, 뇌파의 SQI(Signal Quality Index)와 SEF(Spectral Edge Frequency)가 포함된다.
심박출량 감시장치(140)는 마취관련정보로서 수술환자의 심박출량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데, 여기에는 CO(Cardiac Output : 심박출량)가 포함된다.
혈액 감시장치(150)는 마취관련정보로서 수술환자의 혈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데, 여기에는 SVV(Stroke Volume Variation)가 포함된다.
호흡 관리장치(160)는 수술환자에 대한 흡입마취와 호흡관리를 수행하며, 마취관련정보로서 수술환자의 호흡상태에 대한 정보를 생성한다.
마취정보 수집장치(200)는, 마취 의료기기들(110 내지 160)과 무선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마취정보 수집장치(200)와 마취 의료기기들(110 내지 160) 간의 무선 통신은 의료용 무선통신 대역인 WMTS(Wireless Medical Telemetry Service) 대역에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마취정보 수집장치(200)는, 마취 의료기기들(110 내지 160)로부터 마취 관련 정보들을 수신하고, 수신된 마취 관련 정보들을 통합하여 하나의 마취 관리 정보를 생성하여, 통신 모듈(250)을 통해 무선 송신한다.
한편, 마취정보 수집장치(200)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마취 의료기기들(110 내지 160)로부터 수신한 마취 관련 정보들을 표시하여, 수술실의 의료진이 볼 수 있도록 한다.
마취정보 수집 시스템-1(100-1) 이외의 다른 마취정보 수집 시스템들(100-2, ... 100-n)의 세부 구성도, 마취정보 수집 시스템-1(100-1)과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마취정보 수집 시스템들(100-2, ... 100-n)의 세부 구성에 대한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마취상태 모니터링 서버(300)는 중앙의 마취 관리실에 설치된 서버로, 통신 모듈(350) 및 환자정보 DB(400)와 상호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어 구축된다.
마취상태 모니터링 서버(300)는 통신 모듈(350)을 통해 마취정보 수집 시스템들(100-1, 100-2, ... 100-n)로부터 마취 관리 정보들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수신/저장된 마취 관리 정보들에 수록된 마취 관련 정보들을 수술실(수술환자) 별로 구분하여 표시하여, 중앙의 마취 관리실 의료진이 볼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마취상태 모니터링 서버(300)는 환자정보 DB(400)로부터 환자에 대한 신상 정보와 의료 정보를 요청/수신하여, 마취 관련 정보들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통합 마취관리 시스템에 의해 여러 수술실들의 수술환자들에 대한 마취 관리를 통합적으로 수행하는 과정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합 마취 관리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통합 마취 관리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마취 의료기기들(110 내지 160)이 수술환자의 마취상태를 파악하는데 참고되는 마취 관련 정보들을 생성한다(S510).
그리고, 마취 의료기기들(110 내지 160)은 S510단계에서 생성한 마취 관련 정보들을 마취정보 수집장치(200)로 무선 전송한다(S520). S520단계에서의 무선 전송은 WMTS(Wireless Medical Telemetry Service) 대역에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마취정보 수집장치(200)는 S520단계에서 수신한 마취 관련 정보들을 디스플레이에 통합적으로 표시한다(S530). S530단계에 의해 수술실의 의료진이 수술환자에 대한 마취 관련 정보들을 볼 수 있게 된다.
도 3에는 마취 관련 정보들(BIS, HR, Resp., SEF 및 SQI)이 디스플레이에 통합적으로 표시된 결과를 예시하였다. 도 3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도시된 마취 관련 정보들 이외의 다른 마취 관련 정보들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도 있고, 마취 관련 정보들이 교체되면서 표시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3에서 BIS는 표시된 다른 마취 관련 정보들(HR, Resp., SEF 및 SQI) 보다 크게 표시되어 있는데, 마취 관련 정보로서 BIS가 현재의 주요 정보이기 때문이다. 주요 정보는, 현재 마취 단계에서 주목하여야 하는 마취 관련 정보일 수도 있고, 허용 범위를 벗어나 주목하여야 하는 마취 관련 정보일 수도 있다.
또한, 도 3에서 주요 정보인 BIS를 다른 마취 관련 정보들 보다 크게 표시하는 방식으로 다른 마취 관련 정보들과 구별되도록 표시하였으나, 크기 이외에 색상이나 하이라이트, 점멸 등의 시각적 효과를 이용하여 다른 마취 관련 정보들과 구별되도록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마취정보 수집장치(200)는 S520단계에서 수신한 마취 관련 정보들을 통합하여 마취 관리 정보를 생성한다(S540). S540단계에서 생성되는 마취 관리 정보에는 S520단계에서 마취 관련 정보들 외에 수술환자의 ID가 수록된다.
이는, 마취 관리 정보에 수록된 마취 관련 정보들이 어느 수술환자에 대한 정보인지를 식별하기 위함이며, 마취상태 모니터링 서버(300)는 마취 관리 정보에 수록된 수술환자의 ID를 기초로, 마취 관리 정보에 수록된 마취 관련 정보들이 어느 수술환자에 대한 정보인지 구분할 수 있게 된다.
이후, 마취정보 수집장치(200)는 S540단계에서 생성한 마취 관리 정보를 통신 모듈(250)을 통해 마취상태 모니터링 서버(300)로 전송한다(S550).
S510단계 내지 S550단계는 마취정보 수집 시스템들(100-1, 100-2, ... , 100-n) 마다 개별적/병렬적으로 수행된다. 즉, S510단계 내지 S550단계에 의해,
1) 수술실-1(OR-1)의 마취정보 수집 시스템-1(100-1)은, 수술환자-1의 ID와 마취 관련 정보들이 통합적으로 수록된 마취 관리 정보를 생성하여 마취상태 모니터링 서버(300)로 전송하고,
2) 수술실-2(OR-2)의 마취정보 수집 시스템-2(100-2)는, 수술환자-2의 ID와 마취 관련 정보들이 통합적으로 수록된 마취 관리 정보를 생성하여 마취상태 모니터링 서버(300)로 전송하고,
...
n) 수술실-n(OR-n)의 마취정보 수집 시스템-n(100-n)은, 수술환자-n의 ID와 마취 관련 정보들이 통합적으로 수록된 마취 관리 정보를 생성하여 마취상태 모니터링 서버(300)로 전송하게 된다.
S550단계 이후, 마취상태 모니터링 서버(300)는 마취 관리 정보에서 수술환자의 ID를 추출하고(S560), 추출된 수술환자의 ID를 쿼리로 환자 정보 DB(300)로 환자 정보를 요청/수신한다(S570, S580).
그리고, 마취상태 모니터링 서버(300)는 S550단계에서 수신한 마취 관리 정보에 수록된 마취 관련정보들을 S580단계에서 수신한 수술환자의 정보와 함께 표시한다(S590).
S560단계 내지 S590단계는, S550단계를 통해 수신되는 마취 관리 정보들 마다 개별적/병렬적으로 수행된다. 즉, S560단계 내지 S590단계에 의해,
1) 수술실-1(OR-1)의 수술환자-1에 대한 환자정보와 마취 관련 정보들,
2) 수술실-2(OR-2)의 수술환자-2에 대한 환자정보와 마취 관련 정보들,
...
n) 수술실-n(OR-n)의 수술환자-n에 대한 환자정보와 마취 관련 정보들이 디스플레이에 함께 또는 순차적으로 표시된다.
이에 의해, 마취상태 모니터링 서버(300)가 설치된 중앙의 마취 관리실 의료진이 모든 수술환자들에 대한 마취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마취상태 모니터링 서버(300)는 S550단계에 의해 수신된 마취 관리 정보들을 저장하여, 추후 수술환자들에 대한 마취 이력에 참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저장된 정보들의 의료진의 모바일 기기(모바일 폰, 모바일 컴퓨터 등)으로 전달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지금까지, 통합 마취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다.
위 실시예에서 언급한 구체적인 마취 의료기기들(110 내지 160)은 예시적인 것으로, 예시된 마취 의료기기들 이외의 다른 것들이 이용되는 경우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인접한 수술실의 마취 의료기기들에 의해 생성된 마취 관련 정보들과 마취 관리 정보들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술실 별로 각기 다른 암호화 방식으로 마취 관련 정보들을 암호화하여 전송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1) 수술실-1(OR-1)에서는, 암호키-1을 이용하여 마취 관련 정보들과 마취 관리 정보를 암호화하여 전송하고, 2) 수술실-2(OR-2)에서는, 암호키-2를 이용하여 마취 관련 정보들과 마취 관리 정보를 암호화하여 전송하며, ... , n) 수술실-n(OR-n)에서는, 암호키-n을 이용하여 마취 관련 정보들과 마취 관리 정보를 암호화하여 전송하도록 구현가능하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1, 100-2, ... , 100-n : 마취정보 수집 시스템
110 내지 160 : 마취 의료기기
200: 마취정보 수집장치
300 : 마취상태 모니터링 서버
400 : 환자정보 DB

Claims (8)

  1. 제1 수술실에 마련된 제1 마취용 의료기기들과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1 마취용 의료기기들로부터 제1 마취 관련 정보들을 수신하고, 수신된 제1 마취 관련 정보들을 통합한 제1 마취 관리 정보를 전송하는 제1 수집장치;
    제2 수술실에 마련된 제2 마취용 의료기기들과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2 마취용 의료기기들로부터 제2 마취 관련 정보들을 수신하고, 수신된 제2 마취 관련 정보들을 통합한 제2 마취 관리 정보를 전송하는 제2 수집장치; 및
    상기 제1 수집 장치로부터 수신한 제1 마취 관리 정보 및 상기 제2 수집 장치로부터 수신한 제2 마취 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수술실에서 수술중인 제1 환자에 대한 마취 상태 및 상기 제2 수술실에서 수술중인 제2 환자에 대한 마취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마취 관리 정보에는 제1 환자의 ID가 수록되고,
    상기 제2 마취 관리 정보에는 제2 환자의 ID가 수록되며,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수록된 ID를 기초로, 상기 제1 마취 관리 정보와 상기 제2 마취 관리 정보를 구분하며,
    상기 제1 환자의 ID를 쿼리로, 환자정보 DB로부터 제1 환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1 마취 관리 정보와 함께 표시하고,
    상기 제2 환자의 ID를 쿼리로, 환자정보 DB로부터 제2 환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2 마취 관리 정보와 함께 표시하며,
    상기 제1 수집장치는,
    상기 제1 마취 관련 정보들 중 현재 마취 단계에서 주요한 것으로 설정된 마취 관련 정보를 나머지 정보와 다른 방식으로 표시하고,
    상기 제2 수집장치는,
    상기 제2 마취 관련 정보들 중 현재 마취 단계에서 주요한 것으로 설정된 마취 관련 정보를 나머지 정보와 다른 방식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마취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집장치는,
    상기 제1 마취 관련 정보들을 통합 표시하고,
    상기 제2 수집장치는,
    상기 제2 마취 관련 정보들을 통합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마취 관리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취용 의료기기들은,
    상기 제1 마취 관련 정보들을 제1 암호화 방식으로 암호화하여 상기 제1 수집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1 수집장치는,
    상기 제1 마취 관리 정보를 제1 암호화 방식으로 암호화하여 상기 모니터링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2 마취용 의료기기들은,
    상기 제2 마취 관련 정보들을 제2 암호화 방식으로 암호화하여 상기 제2 수집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2 수집장치는,
    상기 제2 마취 관리 정보를 제2 암호화 방식으로 암호화하여 상기 모니터링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마취 관리 시스템.
  8. 제1 수집장치가, 제1 수술실에 마련된 제1 마취용 의료기기들로부터 제1 마취 관련 정보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수집장치가, 상기 제1 마취 관련 정보들 중 현재 마취 단계에서 주요한 마취 관련 정보를 나머지 정보와 다른 방식으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수집장치가, 수신된 제1 마취 관련 정보들이 통합되고 제1 환자의 ID가 수록된 제1 마취 관리 정보를 모니터링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제2 수집장치가, 제2 수술실에 마련된 제2 마취용 의료기기들로부터 제2 마취 관련 정보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수집장치가, 상기 제2 마취 관련 정보들 중 현재 마취 단계에서 주요한 마취 관련 정보를 나머지 정보와 다른 방식으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2 수집장치가, 수신된 제2 마취 관련 정보들이 통합되고 제2 환자의 ID가 수록된 제2 마취 관리 정보를 모니터링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 장치가, 수록된 ID를 기초로, 상기 제1 마취 관리 정보와 상기 제2 마취 관리 정보를 구분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 장치가, 상기 제1 환자의 ID를 쿼리로, 환자정보 DB로부터 제1 환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1 마취 관리 정보와 함께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 장치가, 상기 제2 환자의 ID를 쿼리로, 환자정보 DB로부터 제2 환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2 마취 관리 정보와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마취 관리 방법.
KR1020110088202A 2011-08-31 2011-08-31 통합 마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246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202A KR101246667B1 (ko) 2011-08-31 2011-08-31 통합 마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CT/KR2012/006700 WO2013032171A2 (ko) 2011-08-31 2012-08-23 수술환자들에 대한 마취 관련 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202A KR101246667B1 (ko) 2011-08-31 2011-08-31 통합 마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4641A KR20130024641A (ko) 2013-03-08
KR101246667B1 true KR101246667B1 (ko) 2013-03-25

Family

ID=47757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8202A KR101246667B1 (ko) 2011-08-31 2011-08-31 통합 마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46667B1 (ko)
WO (1) WO2013032171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4861A1 (ko) * 2020-07-14 2022-01-2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강화학습을 이용한 약물 주입 조절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508B1 (ko) * 2013-03-12 2014-11-20 전자부품연구원 마취 관련 정보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의료용 통합 마취 관리장치
CN116884605B (zh) * 2023-08-24 2024-04-26 上海罗根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手术麻醉信息智能管理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6257A (ja) * 2001-10-22 2003-05-07 Senko Medical Instr Mfg Co Ltd 麻酔装置
JP2004267461A (ja) * 2003-03-07 2004-09-30 Olympus Corp 内視鏡手術システム
JP2006061702A (ja) * 1999-10-07 2006-03-09 Olympus Corp 手術システム
KR20090000679A (ko) * 2007-03-20 2009-01-08 주식회사메디아나 의료정보 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1702A (ja) * 1999-10-07 2006-03-09 Olympus Corp 手術システム
JP2003126257A (ja) * 2001-10-22 2003-05-07 Senko Medical Instr Mfg Co Ltd 麻酔装置
JP2004267461A (ja) * 2003-03-07 2004-09-30 Olympus Corp 内視鏡手術システム
KR20090000679A (ko) * 2007-03-20 2009-01-08 주식회사메디아나 의료정보 관리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4861A1 (ko) * 2020-07-14 2022-01-2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강화학습을 이용한 약물 주입 조절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32171A2 (ko) 2013-03-07
KR20130024641A (ko) 2013-03-08
WO2013032171A3 (ko) 2013-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90238B2 (ja) 機器の管理における臨床データの受け渡し及びデータ共有
KR102559598B1 (ko) 동글을 이용하여 의료 시스템을 네트워크 제어기에 페어링하기 위한 시스템
US20050102167A1 (en) Provisioning and controlling medical instruments using wireless data communication
US20160294927A1 (en) Variable data usage personal medical system and method
JP2015532021A (ja) データおよび音声並行通信経路を用いたリモートでの受診ならびに状態評価のためのシステムならびに方法
CN107106042A (zh) 持续葡萄糖监测仪与多个显示装置的通信
US20070156626A1 (en) Patient initiated on-demand remote medical service with integrated knowledge base and computer assisted diagnosing characteristics
KR20160078329A (ko) 무선 이동통신 플랫폼 기반의 양방향 청력 진단 및 치료 시스템
US1073411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from several respirators
US20220072321A1 (en) Medical Treatment System with Companion Device
KR101246667B1 (ko) 통합 마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2811242A (zh) 一种移动健康监控和服务网络系统
WO2015196570A1 (zh) 一种生命体征数据的获取方法、装置及系统
Isakovic et al. The Role of mHealth applications in societal and social challenges of the future
US20150065812A1 (en) Telemedicine information system, monitoring method and computer-accessible storage medium
WO2010126731A2 (en) Patient monitoring and alarm system
KR20190132826A (ko) 실시간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US20210118579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private, and trusted medical information monitoring and semi-autonomous prescription management
CN103251395A (zh) 基于无线网络的医疗监控系统
KR101246668B1 (ko) 마취 관리 정보 통합전달 방법 및 시스템
Holopainen et al. Use of smart phone technologies to offer easy-to-use and cost-effective telemedicine services
ÇETİN et al. A real-time life-care monitoring framework: WarnRed hardware and software design
TWM467972U (zh) 遠程醫療資訊系統
KR101505398B1 (ko) 환자감시장치와 연동된 스마트폰기반 환자 진료 시스템
Simpao et al. A technical evaluation of wireless connectivity from patient monitors to an anesthesia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during intensive care unit surg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