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6435B1 - 변형량 분석용 스텐실 - Google Patents

변형량 분석용 스텐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6435B1
KR101246435B1 KR1020100039970A KR20100039970A KR101246435B1 KR 101246435 B1 KR101246435 B1 KR 101246435B1 KR 1020100039970 A KR1020100039970 A KR 1020100039970A KR 20100039970 A KR20100039970 A KR 20100039970A KR 101246435 B1 KR101246435 B1 KR 101246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merical value
stencil
value
horizontal
nume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9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0523A (ko
Inventor
이동열
고강희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39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6435B1/ko
Publication of KR20110120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0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6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6435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형량 분석용 스텐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박판 소재의 성형성을 분석하기 위해 격자형태로 에칭한 후, 프레스 성형하고 이를 광학 또는 실측 장비를 이용하여 격자간격을 측정하여 변형량을 분석하는 변형량 분석용 스텐실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관통 형성된 다수 개의 홈이 격자 형상으로 형성된 판 형태의 격자부와, 상기 격자부 테두리에 형성되어 상기 격자부를 지탱하는 판 형태의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투명 소재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변형량 분석용 스텐실{STENCIL FOR STRAIN ANALYZING}
본 발명은 변형량 분석용 스텐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박판 소재의 성형성을 분석하기 위해 격자형태로 에칭한 후, 프레스 성형하고 이를 광학 또는 실측 장비를 이용하여 격자간격을 측정하여 변형량을 분석하는 변형량 분석용 스텐실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박판소재의 성형성을 분석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분석방법은 대부분 프레스 성형하기 전에 소재(BLANK) 표면을 점이나 사각 격자(MESH) 형상을 2~3㎜ 간격으로 에칭 한 후, 프레스 성형하고 이를 광학 혹은 실측 장비를 이용하여 점이나 격자간격을 측정하여 변형량을 분석하였다.
일반적으로, 에칭 가공은 판재 프레스 성형이나 하이드로포밍용 강관 성형시에 성형 전 소재에 격자무늬를 에칭하여 성형전과 성형 후를 비교함으로써, FLD 선도 및 확관율 등을 구할 수 있어 이것으로부터 소재마다 최적의 성형 조건을 찾을 수 있다.
이러한 에칭방법은 스텐레스 스틸, 즉 강판위에 격자무늬 스크린을 입히고, 그 위에 에칭액을 바른 후에, 전원을 연결하면 전기 화학적 작용으로 강판이 에칭되고 격자무늬가 생기도록 하는 방법이었다.
본 발명에 따른 변형량 분석용 스텐실은, 박판 소재의 성형성을 분석하기 위해 격자 형상으로 에칭하는 과정에서, 스텐실 하기 위한 도구에 의해 박판에 흔적이 남지 않도록 하여, 명확한 성형성을 분석할 수 있는 변형량 분석용 스텐실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변형량 분석용 스텐실은, 박판 소재의 성형성을 분석하기 위해 격자 형상으로 에칭하는 과정에서, 에칭한 부위와 에칭할 부위의 경계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변형량 분석용 스텐실을 제공하는데 그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변형량 분석용 스텐실은, 에칭할 위치가 쉽게 파악되기 때문에, 에칭완료 시간이 단축됨에 따라, 소재의 성형성 분석시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그 분석 결과도 보다 명확히 할 수 있는 변형량 분석용 스텐실을 제공하는데 그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관통 형성된 다수 개의 홈이 격자 형상으로 형성된 판 형태의 격자부와, 상기 격자부 테두리에 형성되어 상기 격자부를 지탱하는 판 형태의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투명 소재로 이루어진다.
이어서, 상기 홈은, 점 또는 도형 무늬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격자부 테두리를 따라, 간격을 두고 표시된 경계면을 포함한다.
이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경계면을 따라, 수치를 확인할 수 있는 수치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치부는, 일정하게 배열된 눈금과, 수치를 알 수 있도록 하는 숫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치부는, 상기 몸체부의 'ㄱ' 형태 부분에서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1횡수치면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제1종수치면을 더 포함한다,
이어서, 상기 제1횡수치면에 표시된 상기 숫자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갈수록 수치가 증가하고, 상기 제1종수치면에 표시된 상기 숫자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수치가 증가한다.
더불어, 상기 제1횡,종수치면은, 상호 교차점이 상기 제1횡,종수치면의 수치 시작점이다.
이어서, 상기 수치부는, 일정하게 배열된 눈금과, 수치를 알 수 있도록 하는 숫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치부는, 상기 몸체부의 'ㄴ' 형태 부분에서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2횡수치면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제2종수치면을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2횡수치면에 표시된 상기 숫자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수치가 증가하고, 상기 제2종수치면에 표시된 상기 숫자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수치가 증가한다.
이어서, 상기 몸체부는, 판 형태의 상면과 하면의 양면에서 상기 수치부의 눈금과, 숫자를 확인가능 하다.
특히, 상기 몸체부는, 부도체 소재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변형량 분석용 스텐실은, 전기화학시료에 반응하지 않고, 부도체로 이루어진 몸체부 때문에 에칭시 스텐실에 의한 박판 소재의 이물질 침투 등이 발생 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여, 명확한 성형성 분석을 할 수 있는 그 사용상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변형량 분석용 스텐실은, 박판 소재에 에칭된 부위와 에칭할 부위의 경계가 명확하게 파악되기 때문에, 박판 소재에 중복되게 에칭되는 것과, 일부분 에칭이 안 되는 부분이 발생 되지 않아, 박판 소재를 버리게 되는 것을 예방하여, 성형성 분석을 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경제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변형량 분석용 스텐실은, 에칭된 부위와 에칭될 부위의 경계가 간편하고 명확하게 확인되기 때문에, 에칭완료 시간이 단축되어 성형성 분석에 따른 시간을 단축하면서도 명확한 성형성 분석을 할 수 있는 그 사용상의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변형량 분석용 스텐실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변형량 분석용 스텐실을 나타낸 실시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변형량 분석용 스텐실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시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변형량 분석용 스텐실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른 실시도 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일 예로 박판 소재의 성형성을 분석하기 위해, 박판 소재에 에칭을 하되, 다수개의 격자홈(110)이 형성된 투명소재의 몸체부(200)를 통하여, 에칭 부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 및 조율하여 명확한 성형성 분석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변형량 분석용 스텐실을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텐실 기술분야 전반에 걸쳐 본 발명의 변형량 분석용 스텐실 [특히, 몸체부(200) ]의 기술적 구성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변형량 분석용 스텐실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변형량 분석용 스텐실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수개의 홈(110)이 관통된 채로, 상기 홈(110)이 격자 형상으로 된 판 형태의 격자부(100)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홈(110)은, 점 또는 다양한 도형 무늬를 갖는데, 바람직하게는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홈(110)은, 강철로 된 판인 강판(30)의 성형성을 분석하기 위해, 상기 강판(30)에 에칭을 하기 위해 형성된다.
이어서, 상기 격자부(100) 테두리에는, 그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격자부(100) 전체를 지탱하는 판 형태의 몸체부(200)를 갖는다.
이때, 상기 몸체부(200)는, 투명 소재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투명 소재는 합성수지를 사용하고, 바람직하게는, 화학성분에 의해 변형되지 않고, 투명성이 높은 것을 사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200)은, 전기가 흐르지 않는 부도체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몸체부(200)에는, 상기 격자부(100) 테두리를 따라, 간격을 두고 표시되는 경계면(210)이 형성된다.
이어서, 상기 경계면(210)은, 상기 격자부(100) 및 몸체부(200)를 통하여, 상기 강판(30)에 에칭시, 에칭된 부위와 에칭될 부위를 구분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상기 몸체부(200)가 투명 소재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경계면(210)을 통해 상기 강판(30) 면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200)는, 상기 경계면(210)을 따라 형성된 수치부(220)를 갖는다.
이러한, 상기 수치부(220)는, 외부에서 상기 강판(30)의 에칭된 부위를 수치로 나타내어 더욱 명확하게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외부에서 상기 강판(30)의 에칭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수치부(220)에는, 일정하게 배열된 눈금(222)과, 수치를 알 수 있도록 하는 숫자(224)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치부(220)에는, 상기 몸체부(200)의 사각형 형상중 'ㄱ' 자 형태 부분에서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1횡수치면(226)이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200)의 사각형 형상중 'ㄱ' 자 형태 부분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1종수치면(228)이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제1횡수치면(226)은, 수직방향으로 수치를 정확하게 확인할 때 사용하게 되고, 상기 제1종수치면(228)은, 수평방향으로 수치를 정확하게 확인할 때 사용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제1횡수치면(226)에 표시된 상기 숫자(224)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갈수록 수치가 증가하고, 상기 제1종수치면(228)에 표시된 상기 숫자(224)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수치가 증가 되도록 구비된다.
이는, 에칭되는 상기 강판(30)에서, 상기 몸체부(200)의 상부 및 오른쪽의 상태를 수치로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상기 제1횡,종수치면(226, 228)은, 상기 강판(30)의 에칭이 되는 부분 중에 상기 몸체부(200)의 상부와 오른쪽 부위 전까지 에칭을 하였다는 확인을 할 수 있게 되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횡,종수치면(226, 228)은, 상호 교차점이 상기 제1횡,종수치면(226, 228)의 수치 시작점으로 표시되어, 상기 몸체부(200) 상부 및 오른쪽 에칭 위치를 한눈에 파악하기 쉽게 하였다.
상기 수치부(220)에는, 상기 몸체부(200)의 사각형 형상중 'ㄴ' 자 형태 부분에서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2횡수치면(227)이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200)의 사각형 형상중 'ㄴ' 자 형태 부분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2종수치면(229)이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제2횡수치면(227)은, 수직방향으로 수치를 정확하게 확인할 때 사용하게 되고, 상기 제2종수치면(229)은, 수평방향으로 수치를 정확하게 확인할 때 사용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제2횡수치면(227)에 표시된 상기 숫자(224)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수치가 증가하고, 상기 제2종수치면(229)에 표시된 상기 숫자(224)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수치가 증가 되도록 구비된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제2횡,종수치면(227, 339)은, 상기 강판(30)의 에칭 시작부분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변형량 분석용 스텐실을 나타낸 실시도 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몸체부(200)에 형성된 상기 경계면(210)을 통해, 상기 강판(30)의 에칭이 된 부분과 에칭이 될 부분이 명확하게 구획되게 된다.
더불어, 상기 몸체부(200)에는, 상기 경계면(210)을 따라, 형성된 수치부(220), 특히, 상기 눈금(222)과 숫자(224)를 통해, 상기 강판(30)의 에칭 작업의 시작 부분과 완료부분을 수치로 체크 하여, 더욱 명확히 하게 된다.
또한, 상기 격자부(100)와 몸체부(200)를 다수 개 준비하여, 상기 강판(30)의 에칭부위를 수치로 체크 하면서 작업의 속도를 더욱 체계적으로 앞당길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강판(30)에 에칭된 부위에 중복적으로 에칭하는 실수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200)는 투명하게 형성되고, 상기 수치부(220)가 상기 몸체부(200)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판 형태로 된 상기 몸체부(200)의 상면과 하면에서 공통 적으로 상기 수치부(220)의 눈금(222)과 숫자(224)를 확인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변형량 분석용 스텐실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시도 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종수치면(228)을 통해, 상기 강판(30)의 오른쪽 수직 높이까지의 에칭완료 부분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제1횡수치면(226)을 통해, 상기 제1종수치면(228) 상부부터 왼쪽 방향으로 에칭완료 부분을 용이하게 확인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강판(30)의 에칭완료 경계 부분이나 에칭시작 경계부분은, 상기 격자부(100) 일 측 테두리 동일선상이나 테두리 외부선상부터 상기 경계면(210) 일 내측 선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종수치면(228)과 제1횡수치면(226)을 통해, 에칭된 부분과 에칭될 부분을 더욱 명확하게 수치화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변형량 분석용 스텐실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른 실시도 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2종수치면(229)을 통해, 상기 강판(30)의 왼쪽 수직 높이까지의 에칭시작 부분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제2횡수치면(227)을 통해, 상기 제2횡수치면(229) 하부부터 오른쪽 방향으로 에칭될 부분을 원활하게 확인 가능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종수치면(229)과 제2횡수치면(226)을 통해, 에칭의 시작부위를 명확하게 수치화하여 확인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 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30 : 강판
100 : 격자부 110 : 홈
200 : 몸체부 210 : 경계면
220 : 수치부 222 : 눈금
224 : 숫자
226 : 제1횡수치면 227 : 제2횡수치면
228 : 제1종수치면 229 : 제2종수치면

Claims (11)

  1. 관통 형성된 다수 개의 홈이 격자 형상으로 형성된 판 형태의 격자부와, 상기 격자부 테두리에 형성되어 상기 격자부를 지탱하는 판 형태의 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는 투명 및 부도체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격자부 테두리를 따라, 간격을 두고 표시된 경계면을 포함하고, 상기 경계면을 따라, 수치를 확인할 수 있는 수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치부는, 일정하게 배열된 눈금과, 수치를 알 수 있도록 하는 숫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치부는, 상기 몸체부의 'ㄱ' 형태 부분에서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1횡수치면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제1종수치면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치부는, 일정하게 배열된 눈금과, 수치를 알 수 있도록 하는 숫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치부는 상기 몸체부의 'ㄴ' 형태 부분에서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2횡수치면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제2종수치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량 분석용 스텐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점 또는 도형 무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량 분석용 스텐실.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횡수치면에 표시된 상기 숫자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갈수록 수치가 증가하고,
    상기 제1종수치면에 표시된 상기 숫자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수치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량 분석용 스텐실.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횡,종수치면은,
    상호 교차점이 상기 제1횡,종수치면의 수치 시작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량 분석용 스텐실.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횡수치면에 표시된 상기 숫자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수치가 증가하고,
    상기 제2종수치면에 표시된 상기 숫자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수치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량 분석용 스텐실.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판 형태의 상면과 하면의 양면에서 상기 수치부의 눈금과, 숫자를 확인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량 분석용 스텐실.
  11. 삭제
KR1020100039970A 2010-04-29 2010-04-29 변형량 분석용 스텐실 KR101246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970A KR101246435B1 (ko) 2010-04-29 2010-04-29 변형량 분석용 스텐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970A KR101246435B1 (ko) 2010-04-29 2010-04-29 변형량 분석용 스텐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0523A KR20110120523A (ko) 2011-11-04
KR101246435B1 true KR101246435B1 (ko) 2013-03-21

Family

ID=45391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9970A KR101246435B1 (ko) 2010-04-29 2010-04-29 변형량 분석용 스텐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64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7043B1 (ko) * 2012-09-27 2014-12-01 현대제철 주식회사 소재 에칭 스탠실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8532U (ja) * 1997-10-30 1998-05-15 光崇 渡邊 緯度・経度読み取り用スケール
KR20000018583U (ko) * 1999-03-23 2000-10-25 강인주 길이 측정이 가능한 도마
KR20010058314A (ko) * 1999-12-27 2001-07-05 박종섭 스텐실 마스크를 이용한 미세 패턴 형성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8532U (ja) * 1997-10-30 1998-05-15 光崇 渡邊 緯度・経度読み取り用スケール
KR20000018583U (ko) * 1999-03-23 2000-10-25 강인주 길이 측정이 가능한 도마
KR20010058314A (ko) * 1999-12-27 2001-07-05 박종섭 스텐실 마스크를 이용한 미세 패턴 형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0523A (ko) 201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39896B1 (en) Method for preparing forming limit diagram in press forming, method for predicting crack and method of producing press parts
JP5435352B2 (ja) 板状材料の破断ひずみ特定方法
US10467361B2 (en) Stretch flange crack prediction method, stretch flange crack prediction apparatus, compute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6558515B2 (ja) 金属板のせん断加工面での変形限界の評価方法、割れ予測方法およびプレス金型の設計方法
KR102271009B1 (ko) 금속판의 전단 가공면에서의 변형 한계의 평가 방법, 깨짐 예측 방법 및 프레스 금형의 설계 방법
JP2007245165A (ja) 打ち抜き加工用型および型の磨耗検出方法および型の研磨方法
CN110814086A (zh) 一种板材冲压成形后回弹量的测量方法
KR101246435B1 (ko) 변형량 분석용 스텐실
CN112950776A (zh) 三维钣金件模型拉深特征识别及设计要素合理性分析方法
CN113790977B (zh) 金属板材极限弯曲断裂应变测量方法
CN112685947B (zh) 一种板料回弹模型参数优化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KR101271853B1 (ko) 다수의 중첩된 그리드를 사용한 강판의 성형성 평가 방법
CN209945226U (zh) 一种五金冲压件快速变形校准治具
JP5900751B2 (ja) 曲げ内側割れの評価方法および予測方法
CN113865954A (zh) 一种非接触式成形极限图的构建方法
KR101203635B1 (ko)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성형성 평가방법
JP5423574B2 (ja) 金属板の曲げ加工時の限界条件の決定方法及びプレス成形時の金属板の曲げ加工部の不具合の予測方法
KR101467043B1 (ko) 소재 에칭 스탠실 및 그 제조 방법
CN209512685U (zh) 一种快速检测产品外形尺寸的检具
KR102179272B1 (ko) 용접상태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접상태 검사방법
CN215003294U (zh) 一种成型尺寸量测治具
KR101355790B1 (ko) 메쉬를 이용한 성형성 평가방법
CN208125309U (zh) 用于铝板内应力检测的装置
JP2022158538A (ja) 構造体の内部状態評価方法
KR20220146642A (ko) 금속판의 네킹 한계 왜곡 특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