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6053B1 - 충격흡수용 탄성부재 및 그 탄성부재가 장착된 신발창 - Google Patents

충격흡수용 탄성부재 및 그 탄성부재가 장착된 신발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6053B1
KR101246053B1 KR1020110088729A KR20110088729A KR101246053B1 KR 101246053 B1 KR101246053 B1 KR 101246053B1 KR 1020110088729 A KR1020110088729 A KR 1020110088729A KR 20110088729 A KR20110088729 A KR 20110088729A KR 101246053 B1 KR101246053 B1 KR 101246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
elastic
elastic member
elastic body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8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5292A (ko
Inventor
김준희
Original Assignee
김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희 filed Critical 김준희
Priority to KR1020110088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6053B1/ko
Publication of KR20130025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5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6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6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2Helicoidal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격흡수용 탄서부재 및 그 탄성부재가 장착된 신발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행 시 지면으로부터 발생되는 보행충격으로 인해 발목이나 무릎 등의 관절을 보호하기 위해 신발창의 뒤꿈치 부분에 반발탄성이 뛰어난 쐐기형상의 탄성부재를 장착하여 보행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완화 또는 상쇄시켜 편안하고 착지감이 좋은 보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더불어 신발창의 뒤꿈치 부분에 쉽고 간편하게 설치시킬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을 생산할 경우 조립이 용이하여 조립공정이 쉽고 그에 따른 작업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켜 생산효율과 작업능률을 극대화시키며,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하는 충격흡수용 탄성부재 및 그 탄서부재가 장착된 신발창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발등을 보호하는 갑피의 하부에 형성되어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밑창과 충격을 흡수하는 중창으로 이루어지는 신발창의 뒤꿈치 부분에 장착되는 충격흡수용 탄성부재 및 그 탄성부재가 장착된 신발창에 있어서,
상기 신발창은 신발창 뒤꿈치 부분의 밑창과 중창 경계면에 “<”형상으로 형성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 보강지지부와 충격에 대한 반발력을 가지는 탄성체와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보강심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가 장착되며,
상기 탄성체는 내측으로 “C”자형 개구부가 형성된 구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의 상, 하 말단에는 서로 경사지게 대응되는 탄성부와 탄성부의 말단에 수평으로 절곡 형성된 접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보강심은 일측에 견고하게 삽입되는 축부와 타측에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수축부로 형성되고, 상기 축부와 수축부는 상기 탄성체의 구심부와 탄성부의 내부로 삽입 형성되며,
상기 보강지지부는 내부 전체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외측 말단에 수평으로 절곡 형성된 접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에 보강심이 일체로 형성된 탄성체가 삽입되어 보강지지부의 외측에 형성된 접착부의 내측면과 탄성체의 말단에 형성된 접착부의 외측면이 서로 견고하게 접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충격흡수용 탄성부재 및 그 탄성부재가 장착된 신발창{Shock absorption for elasticity absence and elasticity absence a built-in shoe sole}
본 발명은 충격흡수용 탄성부재 및 그 탄성부재가 장착된 신발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행 시 지면으로부터 발생되는 보행충격으로 인해 발목이나 무릎 등의 관절을 보호하기 위해 신발창의 뒤꿈치 부분에 반발탄성이 뛰어난 쐐기형상의 탄성부재를 장착하여 보행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완화 또는 상쇄시켜 편안하고 착지감이 좋은 보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더불어 신발창의 뒤꿈치 부분에 쉽고 간편하게 설치시킬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을 생산할 경우 조립이 용이하여 조립공정이 쉽고 그에 따른 작업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켜 생산효율과 작업능률을 극대화시키며,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하는 충격흡수용 탄성부재 및 그 탄서부재가 장착된 신발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인체의 발 부위를 보호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신발이 제공되고 있으며, 특히 바닥 부분은 신발창으로서 보행 시 충격을 완화시켜서 신체를 보호하도록 되어 있다.
신발은 크게 발등 전체를 감싸는 갑피 부분과 이 갑피에 결합되어 발바닥의 저면을 보호하는 바닥재 즉, 신발창으로 구분되며, 이 신발창은 통상 신발밑창과 신발중창 및 안창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신발밑창은 실제 지면과 직접 맞닿는 부분으로서 어느 정도의 강성을 가지며 마찰에 잘 견디는 소재로 제작되고, 신발중창은 신발밑창의 윗면에 적층식으로 설치되는 한편, 보행 시 쿠션을 제공하는 소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안창은 발바닥과 직접 맞닿는 요소로서 신발중창의 윗면에 적층된다.
이러한 신발창의 경우 보행 시 지면으로부터 발바닥으로 전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신발의 내측 바닥면에 안창을 깔거나, 신발밑창 또는 뒤꿈치 부분을 완충력이 우수한 고무 또는 발포 스폰지 등의 재질로 제조한 것들이 알려져 있으며, 근래에는 신발창에 에어백이나 스프링 등의 탄성체를 형성하여 탄성효과를 높인 것도 널리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이 고무나 발포 스폰지 재질로 신발밑창을 제조하거나 또는 에어백이나 스프링 등의 탄성체를 신발창에 내장시킨 경우에는 그 구조가 너무 복잡하여 생산 시 작업공정이 매우 까다롭고 그로 인한 생산성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신발에 적용시킬 수 있는 각종 기능으로서, 미끄럼 방지기능과 충격흡수기능 및 통풍에 따른 무좀방지와 악취제거 기능은 이미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충격흡수기능이 가능토록 하는 신발창으로서,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034656호(등록일자:2011년05월04일)로 특허 등록된 조립성 및 작동성능이 향상된 충격흡수신발이 알려져 있다.
상기 특허 등록된 조립성 및 작동성능이 향상된 충격흡수신발은, 밑창(10)의 상부에 배열되고 가이드부를 갖는 중창(20)과 상기 밑창(10)에 연결되는 제 1 지지체(30A)와 상기 중창(20)과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부에 대응하는 안내부를 갖는 제 2 지지체(30B)를 포함하는 지지부재(30)와 상기 지지부재(30)의 제 1 지지체 및 제 2 지지체(30A)(30B) 사이에 배열되는 탄성부재(40)와 상기 지지부재(30)의 제 1 지지체 및 제 2 지지체(30A)(30B)와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부 및 상기 제 2 지지체(30B)의 안내부를 통하여 상승 및 하강함과 동시에 상기 탄성부재(40)의 이탈 및 분리방지를 위한 서포팅부재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조립성 및 작동성능이 향상된 충격흡수신발은 보행 시 탄성부재(40)가 압축 및 압축 후, 복원 시 서포팅부재의 상대적인 움직임, 즉 승하강하는 경우 중창(20)의 하부에 형성된 지지부재(30)의 제 2 지지체(30B)에 각각의 가이드부와 안내부가 형성되어 서포팅부재의 상대적인 동작을 수용하고, 가이드하여 탄성부재(40)와 서포팅부재의 작동이 원활하게 되며, 상기 탄성부재(40)와 이를 상부 및 하부에서 고정하는 지지부재(30)를 서포팅부재에 의하여 결합시킬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조립성 및 작동성능이 향상된 충격흡수신발은 일정한 하중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므로 인하여, 상기 서포팅부재의 상부에 형성된 머리부분이 신발의 중창(20) 하부에 형성된 홈을 주기적으로 가격하므로 인해 상기 신발의 중창(20) 하부에 형성된 홈 부분이 조금씩 파손되어 상기 서포팅부재의 머리 부분이 신발의 중창(20)을 뚫고 신발 내부로 돌출되는 안전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상기 제 1 지지체(30A) 및 제 2 지지체(30B)에 탄성부재(40)인 코일스프링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어렵고, 일정한 하중이 가해져 코일스프링이 압축되는 경우 코일스프링 간의 접촉으로 인해 심한 충격이 전해져 파손 및 손상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며, 그리고 상기의 파손 및 손상된 코일스프링을 교체하거나 수리하기 위한 불필요한 사후 작업을 통한 경제적인 부담이 노출되고, 그로 인해 소비자들의 신뢰성에 치명적인 타격을 입히는 문제점 또한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 여러 가지의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을 보완하여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충격흡수용 탄성부재 및 그 탄성부재가 장착된 신발창은 신발창 뒤꿈치 부분의 밑창과 중창 경계면에 “<”형상으로 형성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 보강지지부와 충격에 대한 반발력이 뛰어난 탄성체와 수축과 팽창이 용이하여 충격에 대한 흡수율이 탁월한 보강심으로 이루어진 간단한 구조의 탄성부재가 장착되어 보행 시 또는 착지 시 지면과의 충격을 보다 더 완벽하게 흡수하여 올바른 보행이나 착지감을 향상시키고 그리고 착용자의 체중에 관계없이 누구나 편리하고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게 하였으며,
또한, 상기의 탄성부재는 탄성부재를 구성하는 부속품이 간단하여 신발창의 뒤꿈치 부분에 형성된 홈에 간편하고 쉽게 장착할 수 있어서, 상기의 반발탄성이 뛰어난 탄성부재의 조립을 안정적으로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고, 또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진 부속품을 조립하므로 인해 작업공정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되어 작업공정으로 인한 작업시간이 현저하게 줄어 생산성 효율을 높일 수 있음과 동시에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는 것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발등을 보호하는 갑피의 하부에 형성되어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밑창과 충격을 흡수하는 중창으로 이루어지는 신발창의 뒤꿈치 부분에 장착되는 충격흡수용 탄성부재 및 그 탄성부재가 장착된 신발창에 있어서,
상기 신발창은 신발창 뒤꿈치 부분의 밑창과 중창 경계면에 “<”형상으로 형성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 보강지지부와 충격에 대한 반발력을 가지는 탄성체와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보강심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가 장착되며,
상기 탄성체는 내측으로 “C”자형 개구부가 형성된 구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의 상, 하 말단에는 서로 경사지게 대응되는 탄성부와 탄성부의 말단에 수평으로 절곡 형성된 접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보강심은 일측에 견고하게 삽입되는 축부와 타측에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수축부로 형성되고, 상기 축부와 수축부는 상기 탄성체의 구심부와 탄성부의 내부로 삽입 형성되며, 상기 보강지지부는 내부 전체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외측 말단에 수평으로 절곡 형성된 접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에 보강심이 일체로 형성된 탄성체가 삽입되어 보강지지부의 외측에 형성된 접착부의 내측면과 탄성체의 말단에 형성된 접착부의 외측면이 서로 견고하게 접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보강심이 삽입된 탄성체는 신발창의 뒤꿈치 부분에 형성된 삽입홈에 신발창의 길이 방향으로 1개 내지 3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과 삽입홈에 삽입되는 보강지지부는 신발창의 중앙부에서 후방부까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탄성체는 수직방향으로 지그재그형상으로 형성되며, 탄성체의 내측으로 보강심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심이 삽입된 탄성체는 신발창의 길이방향으로 1개 내지 3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보강지지부의 말단 접착부의 내측면과 탄성체의 말단 접착부의 외측면이 서로 견고하게 접착되는 부분의 신발창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쐐기형상의 틈새에 틈새마감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충격흡수용 탄성부재 및 그 탄성부재가 장착된 신발창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신발창의 뒤꿈치 부분에 장착되어 보행 시 지면으로부터 발생되는 강한 보행충격을 아무런 부담 없이 쉽게 흡수하여 완화 및 상쇄시킴과 동시에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진 탄성부재는 그 탄성부재를 이루는 부속품이 현저하게 적어 조립 시 조립공정이 간편하고 조립공정이 간편하여 조립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작업능률 즉, 생산성이 향상되며, 또한 비숙련자가 손쉽고 간편하게 작업을 행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조립이 용이하고 생산성이 향상되어 제조 단가를 줄일 수 있고 보다 더 안정적인 구성으로 인해 착용자가 안심하고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도 1은 종래의 충격흡수신발을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탄성부재 및 그 탄성부재가 장착된 신발창에 따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탄성부재 및 그 탄성부재가 장착된 신발창에 따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설치상태 측면도.
도 4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탄성부재 및 그 탄성부재가 장착된 신발창에 따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가)는 본 발명의 작용 전 상태의 일부 측단면이고, (나)는 본 발명의 작용 후 상태의 일부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탄성부재 및 그 탄성부재가 장착된 신발창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설치상태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탄성부재 및 그 탄성부재가 장착된 신발창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탄성부재 및 그 탄성부재가 장착된 신발창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설치상태의 측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탄성부재 및 그 탄성부재가 장착된 신발창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탄성부재 및 그 탄성부재가 장착된 신발창은, 신발창(50) 뒤꿈치 부분의 밑창(10)과 중창(20) 경계면에 “<”형상으로 형성되는 삽입홈(50a)이 구비되어, 보강지지부(43)와 탄성체(42) 그리고 보강심(41)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40)가 장착된다.
상기 탄성부재(40)의 탄성체(42)는 내측으로 “C”자형 개구부(42b)로 이루어진 구심부(42a)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42b)의 상, 하 말단에 서로 경사지게 대응되는 탄성부(42c)와 탄성부(42c)의 말단에 수평으로 절곡 형성된 접착부(42d)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40)의 보강심(41)은 일측에 형성되어 견고하게 삽입되는 축부(41a)와 타측에 형성되어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수축부(41b)가 서로 일체로 이루어져, 상기 축부(41a)와 수축부(41b)는 상기 탄성체(42)의 구심부(42a)와 탄성부(42c)의 내부로 삽입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40)의 보강지지부(43)는 내부 전체에 공간부(43a)가 형성되고 외측 말단에 수평으로 절곡 형성된 접착부(43b)로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43a)에 보강심(41)이 일체로 형성된 탄성체(42)가 삽입되고, 보강지지부(43)의 외측에 형성된 접착부(43b)의 내측면과 탄성체(42)의 말단에 형성된 접착부(42d)의 외측면이 서로 견고하게 접착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체(42)는 열처리된 스프링강(Spring steel)이나 고탄소강(Hihg carbon steel) 또는 카본 화이버(Carbon fiber), 그래스 화이버(Grass fiber) 등의 재질로 형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충격흡수용 탄성부재 및 그 탄성부재가 장착된 신발창의 작용관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탄성부재 및 그 탄성부재가 장착된 신발창은, 도 3 내지 도 4 의 (가) 및 (나)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신발창(50) 뒤꿈치 부분에 형성된 밑창(10)과 중창(20)의 경계면에 즉, 밑창(10)의 윗면과 중창(20)의 아랫면 사이에 “<”형상으로 형성되게 삽입홈(50a)을 형성하되, 상기 삽입홈(50a)은 탄성부재(40)의 보강지지부(43)가 견고하게 삽입될 수 있게 알맞은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삽입홈(50a)에 외측으로 형성되는 보강지지부(43)와 반발탄성을 가지는 탄성체(42) 그리고 수축과 팽창이 용이하여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보강심(41)으로 이루어지는 탄성부재(40)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것이다.
상기 탄성부재(40)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보강지지부(43)는 신발창(50)의 밑창(10)과 중창(20) 사이에 견고하게 삽입되어 탄성부재(40)의 파손 및 훼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착지 시 발생되는 충격을 1차적으로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40)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탄성체(42)는 보강지지부(43)의 내부에 접착 형성되어 보강지지부(43)와 연동되어 착지 시 발생되는 충격을 2차적으로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탄성부재(40)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보강심(41)은 보강지지부(43)와 탄성체(42)가 충격을 흡수할 때, 충격을 순간적으로 흡수하지 않고 천천히 흡수할 수 있도록 충분한 쿠션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순간적인 충격을 원활하게 흡수 한 후, 탄성부재(40)의 보강지지부(43)와 탄성체(42)를 빠르게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충격에 대한 충격흡수 및 완충작용을 원활하게 수행하는 탄성부재(40)가 장착된 신발창(50)은 착지 시 발생되는 지면으로 부터의 상당한 충격이 해소되어 보다 더 편안한 착지감과 착용감을 느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 및 또 다른 실시예를 도 5 내지 도 7를 참조하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보강심(41)이 일체로 삽입 형성되어 있는 탄성체(42)는 신발창(50)의 뒤꿈치 부분에 형성된 삽입홈(50a)에 신발창(50)의 길이 방향으로 1개 내지 3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체(42)가 삽입되는 신발창(50)의 삽입홈(50a)과 탄성부재(40)의 외측에 형성되는 보강지지부(43)는 탄성체(42)의 개수에 알맞은 크기로 형성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40)는, 사람마다 그 체중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지면에서 발생되는 보행충격 또한 각각 다르게 작용하기 마련이다.
사람의 체중에 따라 그에 알맞게 탄성체(42)가 1개가 장착된 신발창(50)이나 2개 또는 3개가 장착된 신발창(50)을 선택하여 착용하면 되는 것이다.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은, 반발력이 발생되는 탄성체(42)가 수직방향으로 지그재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탄성체(42)는 신발창(50)의 길이방향으로 1개 내지 3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체(42)가 삽입되는 보강지지부(43)와 신발창(50)에 형성되는 삽입홈(50a)은 탄성체(42)의 개수에 알맞은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반발력이 발생되는 탄성체(42)의 구심부(42a)와 탄성부(42c) 사이에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보강심(41)이 삽입 형성된다.
또한, 탄성부재(40)의 외측에 형성되는 보강지지부(43)의 말단에 형성된 접착부(43b)의 내측부와 탄성부재(40)의 중앙에 형성되는 탄성체(42)의 말단에 형성된 접착부(42d)의 외측부가 접착되는 부분에 신발창(50)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쐐기형상의 틈새부분에 틈새마감재(60)가 구비된다.
상기 틈새마감재(60)는 외부의 이물질로부터 탄성부재(40)의 파손 및 훼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신발창(50)과 탄성부재(40)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40)의 작용관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동일하게 되어 있는 것이다.
1 : 갑피 10 : 밑창
11 : 돌출부 20 : 중창
30 : 지지부재 30A : 제 1 지지체
30B : 제 2 지지체 40 : 탄성부재
41 : 보강심 41a : 축부
41b : 수축부 42 : 탄성체
42a : 구심부 42b : 개구부
42c : 탄성부 42d, 43b : 접착부
43 : 보강지지부 43a : 공간부
50 : 신발창 50a : 삽입홈
60 : 틈새마감재

Claims (5)

  1. 발등을 보호하는 갑피(1)의 하부에 형성되어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밑창(10)과 충격을 흡수하는 중창(20)으로 이루어지는 신발창(50)의 뒤꿈치 부분에 장착되는 충격흡수용 탄성부재 및 그 탄성부재가 장착된 신발창에 있어서,
    상기 신발창(50)은 신발창(50) 뒤꿈치 부분의 밑창(10)과 중창(20) 경계면에 “<”형상으로 형성되는 삽입홈(50a)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50a)에 보강지지부(43)와 충격에 대한 반발력을 가지는 탄성체(42)와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보강심(41)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40)가 장착되며,
    상기 탄성체(42)는 내측으로 “C”자형 개구부(42b)가 형성된 구심부(42a)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42b)의 상, 하 말단에는 서로 경사지게 대응되는 탄성부(42c)와 탄성부(42c)의 말단에 수평으로 절곡 형성된 접착부(42d)가 형성되며,
    상기 보강심(41)은 일측에 견고하게 삽입되는 축부(41a)와 타측에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수축부(41b)로 형성되고, 상기 축부(41a)와 수축부(41b)는 상기 탄성체(42)의 구심부(42a)와 탄성부(42c)의 내부로 삽입 형성되며,
    상기 보강지지부(43)는 내부 전체에 공간부(43a)가 형성되고 외측 말단에 수평으로 절곡 형성된 접착부(43b)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43a)에 보강심(41)이 일체로 형성된 탄성체(42)가 삽입되어 보강지지부(43)의 외측에 형성된 접착부(43b)의 내측면과 탄성체(42)의 말단에 형성된 접착부(42d)의 외측면이 서로 견고하게 접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탄성부재 및 그 탄성부재가 장착된 신발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심(41)이 삽입된 탄성체(42)는 신발창(50)의 뒤꿈치 부분에 형성된 삽입홈(50a)에 신발창(50)의 길이 방향으로 1개 내지 3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50a)과 삽입홈(50a)에 삽입되는 보강지지부(43)는 신발창(50)의 중앙부에서 후방부까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탄성부재 및 그 탄성부재가 장착된 신발창.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42)는 수직방향으로 지그재그형상으로 형성되고, 탄성체(42)의 내측으로 보강심(4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탄성부재 및 그 탄성부재가 장착된 신발창.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심(41)이 삽입된 탄성체(42)는 신발창(50)의 길이방향으로 1개 내지 3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탄서부재 및 그 탄성부재가 장착된 신발창.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지지부(43)의 말단 접착부(43b)의 내측면과 탄성체(42)의 말단 접착부(42d)의 외측면이 서로 견고하게 접착되는 부분의 신발창(50)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쐐기형상의 틈새에 틈새마감재(6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탄성부재 및 그 탄성부재가 장착된 신발창.
KR1020110088729A 2011-09-01 2011-09-01 충격흡수용 탄성부재 및 그 탄성부재가 장착된 신발창 KR101246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729A KR101246053B1 (ko) 2011-09-01 2011-09-01 충격흡수용 탄성부재 및 그 탄성부재가 장착된 신발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729A KR101246053B1 (ko) 2011-09-01 2011-09-01 충격흡수용 탄성부재 및 그 탄성부재가 장착된 신발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5292A KR20130025292A (ko) 2013-03-11
KR101246053B1 true KR101246053B1 (ko) 2013-03-21

Family

ID=48177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8729A KR101246053B1 (ko) 2011-09-01 2011-09-01 충격흡수용 탄성부재 및 그 탄성부재가 장착된 신발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605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273Y1 (ko) 2001-04-03 2001-10-11 김광우 판스프링이 내장된 신발밑창.
KR20080001767U (ko) * 2006-12-08 2008-06-12 (주)강남우레탄 <형태의 스프링 탄성 신발창
KR101034656B1 (ko) 2010-05-27 2011-05-16 박철수 조립성 및 작동성능이 향상된 충격흡수신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273Y1 (ko) 2001-04-03 2001-10-11 김광우 판스프링이 내장된 신발밑창.
KR20080001767U (ko) * 2006-12-08 2008-06-12 (주)강남우레탄 <형태의 스프링 탄성 신발창
KR101034656B1 (ko) 2010-05-27 2011-05-16 박철수 조립성 및 작동성능이 향상된 충격흡수신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5292A (ko) 2013-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15531B1 (en) Footwear cushioning spring
KR100902651B1 (ko) 충격흡수와 반발탄성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기능성 신발
JP5298130B2 (ja) 衝撃吸収性および反発弾性を有する弾性ソールおよびその靴
KR100959406B1 (ko) 삼단 쿠션신발창
US20100281709A1 (en) Elastic Shoes For Cushioning Against Impact
KR100518307B1 (ko) 신발
KR101166572B1 (ko) 신발창
KR101251572B1 (ko) 트라이앵글 충격흡수부를 구비한 충격흡수 신발
KR101319821B1 (ko) 신발창
KR101246053B1 (ko) 충격흡수용 탄성부재 및 그 탄성부재가 장착된 신발창
KR101208487B1 (ko) 보행추진부재가 내장된 신발
KR101075787B1 (ko) 충격분산기능과 구름보행기능을 가지는 신발중창
KR101429377B1 (ko) 운동화용 아웃솔
JP7115860B2 (ja) シューズ用ソールの衝撃緩衝部材およびそれを備えるシューズ
KR101762709B1 (ko) 미드솔 충격 흡수 구조를 갖는 신발
KR101217094B1 (ko) 충격흡수 신발
KR101288691B1 (ko) 신발 밑창
KR100996559B1 (ko) 고탄력 충격 흡수기능을 갖는 관절보호 건강신발
KR102670412B1 (ko) 아치 스프링 결합 구조의 신발 물품
KR200414220Y1 (ko) 좌우대칭형 샌들
KR102421694B1 (ko) 완충 신발
KR200410356Y1 (ko) 충격 흡수 신발
CN216089164U (zh) 一种新型吸震长寿命鞋底
CN220654895U (zh) 一种缓震休闲鞋
KR20230123797A (ko) 아치 스프링 결합 구조의 신발 물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