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5717B1 - 광 전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광 전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5717B1
KR101245717B1 KR1020077022955A KR20077022955A KR101245717B1 KR 101245717 B1 KR101245717 B1 KR 101245717B1 KR 1020077022955 A KR1020077022955 A KR 1020077022955A KR 20077022955 A KR20077022955 A KR 20077022955A KR 101245717 B1 KR101245717 B1 KR 101245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ro
access
optical
transmission system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2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21721A (ko
Inventor
토마스 나겔
슈테판 베어
안스가 디르크만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지멘스 네트웍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지멘스 네트웍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노키아 지멘스 네트웍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070121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21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5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5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04B10/2581Multimode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27Operation, administration, maintenance or provisioning [OAMP] of WDM networks, e.g. media access, routing or wavelength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27Operation, administration, maintenance or provisioning [OAMP] of WDM networks, e.g. media access, routing or wavelength allocation
    • H04J14/0241Wavelength allocation for communications one-to-one, e.g. unicasting wavelengt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78WDM optical network architectures
    • H04J14/0283WDM ring archite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87Protection in WDM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52Metropolitan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2Loop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2Loop networks
    • H04L12/427Loop networks with decentralised control
    • H04L12/43Loop networks with decentralised control with synchronous transmission, e.g. time division multiplex [TDM], slotted r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78WDM optical network architectures
    • H04J14/0282WDM tree archite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광 전송 시스템은, 파장 분할 다중화 모드에서 작동되고 수동 광 스플리터(SPL)를 통해 접속된 광 네트워크 단말들(ONU)로의 액세스 접속부들(AC1, AC2)에 메트로 접속 장치들(MAP)을 통해 접속된 메트로폴리탄 코어 네트워크(MET)를 포함한다. 메트로 접속 장치들(MAP)은 데이터 재생이 네트워크 단말들(ONU)과 중앙 관리 및 스위칭 유닛(ZEN) 사이에서 이루어지도록 재생기들 및 파장 변환기들을 포함한다. 상기는 약 100 km의 거리를 커버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광 전송 시스템{OPTICAL TRANSMISSION SYSTEM}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광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광 네트워크들에서는, SONET 또는 SDH 권고안들에 따라 설계된 광대역 네트워크들(코어 네트워크들)과 로컬 루프들 또는 액세스 네트워크들 사이에 차이가 구별된다. 액세스 네트워크들은 소위 수동 광 네트워크(PON : Passive Optic Network)들로서 설계되고,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에서는 데이터 전송이 특별 PON 프로토콜들에 따라 제 1 "파장 채널"에서 이루어진다. "다운스트림 방향"에서는, 전송이 시간-분할 방송 모드에서 "광 라인 단말(OLT : Optical Line Terminal)"로 대부분 라벨링되는 교환기로부터 개별적으로 주소 지정되는 다수의 접속된 광 네트워크 단말들(ONU/ONT)로 이루어진다. "업스트림" 네트워크 단말(ONU/ONT)들은 마찬가지로 데이터를 상기 교환기에 시간-분할 동작으로 버스트들 또는 셀들로 송신하기 위하여 제 2 파장 채널을 분할한다. 교환기와 네트워크 단말 사이에 "대역폭"으로 언급되는 전송 용량은 가변적일 수 있다. 페이로드로 불리는 참조 데이터는 예컨대 "비동기 전송 모드(ATM : Asynchronous Transfer Mode)"로 또는 비용적 이유로 이더넷 권고안으로 전송된다. 이더넷(PON)의 주요 장점은 복잡성 및 그에 따른 값비싼 ATM 또는 SONET 엘리먼트들의 회피에 있다. 상기 네트워크들에 대한 개선안은 Gerry Pesavento Senior 및 Mark Kelsey(Alloptic Inc., Livermore, CA 94550)에 의해 기술된 문건 "Gigabit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s"에 나타나 있다.
미국 특허 US 제 2003/0002776호에서는, 파장 다중화 모드에서 실행되는 그물형 메트로 코어 네트워크를 갖는 전송 시스템이 개시된다. 종래 PON 네트워크들과 대조적으로 파장 다중화 모드에서 작동되고 그에 따라 접속의 상응하는 복잡성이 필요한 양방향 액세스 접속들이 메트로 코어 네트워크에 부착된다.
더 높은 데이터 속도를 위하여 기술된 상기 시스템의 추가 개선안이 ITU 권고안 G984에서 GPON으로서 개진된다. "슈퍼 PON"보다 최신의 개선안들이 2000년 2월 IEEE 통신 잡지의 74 내지 82 쪽의 제목 "The SuperPON Demonstrator : An Exploration of Possible Evolution Path for Optical Access Networks"에서 다루어진다. 상기 개선안의 목표는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들의 범위를 확장시키고 가능한 사용자 접속들의 개수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그에 의해 간략화가 이루어지는데, 소위 액세스 노드들 "협대역 스위치들"이 액세스 영역으로부터 코어 네트워크(도 1, 도 2)로 다시 위치된다. 그러나, 액세스 영역은 전과 같이 활성(증폭된) 스플리터 장치들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활성 스플리터 장치들은 충분한 광 용량을 광 네트워크 단말(ONT/ONO)들에 제공한다.
또한, 여기서 기술되는 상기 네트워크는 또한 하기의 단점들을 특징으로 한다 : 액세스 영역에서 광 재생기(ORU : Optical Repeater Unit)들이 요구된다; 설치된 재생기들은 활성 엘리먼트들로서 유지되어야 한다. 메트로 영역과 순수한 수동 영역(도 2에서 "drop(10km)"로 지시됨)의 더 큰 네트워크 구조들을 위해서는 범위가 너무 작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더 큰 범위 및 단순한 구조를 갖는 광 전송 시스템을 특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시스템은 청구항 제1항에 특정된다.
본 발명의 유용한 다른 개선예들이 종속항들에 특정된다.
상기 전송 시스템에서는, 메트로 영역과 액세스 영역, 보다 정확하게는 메트로 코어 영역과 액세스 접속들 사이에 차이가 구별된다. 메트로 영역과 액세스 영역 사이의 교집합 지점에 재생기들 및/또는 파장 변환기들을 갖는 메트로 접속 장치들이 삽입된다. 상기는 다운스트림 및 업스트림 방향을 위한 재생기들(증폭기들)을 포함하고, 이로써 관리 및 스위칭 센터와 네트워크 단말들 사이에 걸쳐 있는 범위가 실질적으로 확장된다.
메트로 접속 장치들까지의 메트로 영역에서만이 전기 공급을 또한 필요로 한다. 활성 구성요소들은 상기 영역에만 존재하고, 마찬가지로 유지 작업들은 실제로 상기 영역에 국한된다. 대조적으로, 메트로 접속 지점들과 광 네트워크 단말들(ONU/ONT) 사이의 액세스 접속은 순수 수동으로 그리고 그에 따라 유지가 필요 없도록 설계된다.
메트로 영역에서는, 바람직하게 파장 다중화 모드에서 전송이 이루어지고, 결과적으로 방대한 데이터 부피의 다수 액세스 접속들이 전송될 수 있다. 관리 및 스위칭 센터는 임의의 지점의 기본 장치들에 집중되고, 그럼으로써 문제 없이 확장이 또한 이루어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센터로부터 감독이 수행된다.
메트로 영역은 최소 비용으로 최적 영역 커버리지를 달성하는 링 네트워크로서 설계된다. 동작 보안성이 제 2 쓰레드를 갖는 보안 링을 통해 상당히 상승할 수 있다.
동일한 파장들이 모든 액세스 접속들을 통한 동일한 서비스들을 위해 사용됨으로써, 단일화된 광 네트워크 단말들이 사용될 수 있다.
비용적 이유로, 액세스 영역에서의 전송은 오직 하나의 쓰레드만을 통해 양방향으로 이루어지고, 결과적으로 상이한 파장들이 상호적 신호 중단들(reciprocative signal disruptions)을 방지하기 위해 각각의 전송 방향을 위하여 사용된다. 부가하여, 상이한 파장들을 이용하는 다수의 상이한 서비스들이 상기 쓰레드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가 지금까지 존재해 온 네트워크들보다 더 큰 범위를 특징으로 하므로, 수정된 PON 프로토콜이 데이터 교환을 규제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는 도면들을 통해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전송 시스템에 대한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메트로 접속 장치를 도시한다.
도 3은 전송 시스템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전송 시스템은 관리 및 스위칭 센터(ZEN)를 갖는 메트로 코어 네트워크(MET)와 광 네트워크 유닛(ONU)들로의 다수 액세스 접속들로 구성된다. 관리 및 스위칭 센터(ZEN)는 기능적 측면에서 확장된 광 라인 단말(OLT)과 다소 비교될 수 있다. 데이터 전송은 PON 프로토콜에 따라 관리 및 스위칭 센터(ZEN)와 네트워크 유닛(ONU)들 사이에서 양방향으로 이루어진다.
메트로 코어 네트워크(MET)는 도 1에서 두 개의 쓰레드들(F1, F2)을 갖는 양방향 링 네트워크로서 설계된다. 메트로 코어 네트워크(MET)는 동등하게 하나의 쓰레드를 갖는 양방향 링 네트워크로서 또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쓰레드를 갖는 단방향 링 네트워크로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메트로 코어 네트워크(MET)는 또한 그물형 네트워크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에 따른 메트로 네트워크(MET)에서, 데이터는 파장 다중화 모드에서 상이한 메트로 접속 장치들(MAP1 내지 MAP3)까지 관리 및 스위칭 센터(ZEN) 사이에서 양방향으로 전송된다. 그에 의해 메트로 코어 네트워크에서의 전송은 하나의 쓰레드 ― 예컨대 각각의 전송 방향에 대하여 별도의 쓰레드 ― 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쓰레드들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제 2 쓰레드의 사용은 실제로 동작 보안성을 향상시키는데, 중단의 경우 관리 및 스위칭 센터(ZEN)와 메트로 접속 장치들(MAP1-MAP4) 각각의 사이에서의 동작이 공지된 등가 네트워크 절차들을 통해 유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메트로 코어 네트워크(MET)의 메트로 접속 장치들(MAP1 내지 MAP3)과 광 네트워크 유닛(ONU)들(광 네트워크 유닛(ONU)들 또는 광 네트워크 단말(ONT)들) 사이에는 순수 수동 광 "액세스 접속"이 각각 존재하는데, 상기 순수 수동 광 "액세스 접속"을 통해 데이터가 마찬가지로 양방향 전송된다. 제 1 액세스 접속(AC1)은 다수의 광 네트워크 유닛(ONU)들의 추가 접속이 부착되는 수동 스플리터(SP1) 및 메트로 접속 장치(MAP1)에 부착된 액세스 섬유 광 케이블(FI1)에 의해 예시(instantiate)된다. 상기 추가 액세스 접속들(AC2-AC4)은 상응하게 구성된다. 그러나, 자신에 부착된 네트워크 유닛(ONU)들의 처분시 수신 전력은 분할 비율에 따라 스플리터들(SP1, SP2,...)에 의해 각각 감소한다. 순간적으로, 약 1:100의 분할 비율이 목표로 되고, 이때 상응하는 고성능 레이저들, 보다 정확하게는 증폭기들이 메트로 접속 장치들에 제공되고, 필요하다면 중단성 비선형 효과들에 대한 측정들이 이루어져야 한다. 가입자 유닛들은 대부분 광-전기 변환 이후에 네트워크 유닛(ONU)들에 부착된다.
전송 시스템은 액세스 접속들(AC1-AC4)(도 1에 부분적으로만 도시됨)이 활성 엘리먼트들을 포함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단독으로 메트로 접속 장치들(MAP)과 네트워크 유닛들(ONU)은 활성 엘리먼트들과 전기 에너지를 표시한다. 기존의 전송 시스템, 메트로 코어 네트워크는 또한 바람직하게도 증폭기들이 메트로 접속 장치들(MAP)과 관리 및 스위칭 센터(ZEN) 사이에 필요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또한, 등가 네트워크가 두 개의 쓰레드들의 사용하는 것이 물론 가능하다.
다운스트림 방향(관리 및 스위칭 센터(ZEN)로부터 메트로 접속 장치(MAP)를 통해 상기 메트로 접속 장치(MAP)에 부착된 네트워크 유닛(ONU)들로)으로, 데이터의 전송은 수동 광 네트워크들에 대하여 유효한 ITU 권고안들, 보다 정확하게는 다운스트림 펄스 프레임워크에서 각각의 경우에 수정된 권고안들에 따르는 브로드캐스트 시분할 다중화 모드로 수행된다. 상기 다중화 신호는 여기서 메트로 다운스트림 신호로 불릴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이한 파장들(λD1, λD2, λD3,...)을 갖는 다수의 메트로 다운스트림 신호들(SλD1, SλD2, SλD3,...)(도 1에서 괄호들 안)은 관리 및 스위칭 센터(ZEN)로부터 메트로 코어 네트워크(MET)의 제 1 쓰레드(F1)를 통해 다양한 메트로 접속 장치들(MAP1, MAP2, MAP3, MAP4)에 송신된다. 이는 상기 부착된 액세스 접속을 위해 각각의 경우에 적합한 "파장"을 선택(drop)하고 그런 다음 상기 선택된 메트로 다운스트림 신호의 파장을 액세스 다운스트림 신호들의 파장(λD)(모든 액세스 접속들에 대하여 동일함)으로 변환한다. 그래서, 메트로 다운스트림 신호(SλD1)는 제 1 메트로 접속 장치(MAP1)에서 선택되고 액세스 다운스트림 신호(λD1)로 변환된다. 그렇지 않으면, 상기 신호들은 중앙 관리 및 스위칭 센터(ZEN)와 광 네트워크 유닛들(ONU) 사이에 직접 전송되도록 신호들은 변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된다. 비용 측면에서 유용한 변형예에서, 상기 다운스트림 신호들은 간단하게 증폭되지만; 그러나, 그들의 파장들이 유지된다. 네트워크 유닛(ONU)들의 스플리터들을 통해 부착된 개별 광대역 수신 회로들이 상기 파장들을 수용한다. 개별 광대역 수신 회로들은 상이한 주소들에 걸쳐 활성화되고 자신에 특정된 정보를 선택한다. 추가 서비스들이 다른 주파대에서 전송되면, 한편으로 관리 및 스위칭 센터(ZEN) 사이의 상기 동작의 모든 파장들(λD1, λD2, λD3,...)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다른 서비스들을 포함하는 ONU들에 대한 주파대에 기초하여 선택이 이루어진다.
업스트림 방향으로, 전송은 마찬가지로 - 광 네트워크 단말의 한 번의 선행 동기화 이후에 - 수동 광 네트워크들에 유효한 ITU 권고안들, 보다 정확하게는 수정된 ITU 권고안들에 따라 시분할 다중화 모드에서 이루어진다. 자신에 특히 할당된 시간 슬롯들에서 네트워크 유닛들(ONU)에 의해 전송되는 데이터 블록들 또는 데이터 패킷들 - 필요하다면 보안 홀들을 특징으로 함 - 은 TDM 신호로 요약되고 업스트림 펄스 프레임워크에서 전송된다. 그들은 또한 신호 품질, 요구되는 대역폭들, 라우팅-정보 등에 관한 페이로드(실제로 전송될 데이터)에 부가하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대역폭들, 보다 정확하게는 전송 용량에 대한 지시는 고정적으로 이루어지고, 또는 대안적으로 관리 및 스위칭 센터를 통한 요구사항들 또는 우선순위들에 따라 동적으로 이루어진다.
메트로 다운스트림 신호들(SλD1, SλD2, SλD3,...)은 모두 동일한 파장들(λD)의 액세스 다운스트림 신호들로 변환되거나 불변하는 파장들을 이용하는 ONU들에 전송된다. 액세스 접속들을 통해 동일한 파장들(λD)로 전송되는 모든 액세스 업스트림 신호들(λU1, λU2, λU3,...)은 그러나 상이한 파장들(λU1, λU2, λU3)을 갖는 메트로 업스트림 신호들(SλU1, SλU2, SλU3,...)로 변환되어야만 하고, 상기 메트로 업스트림 신호들은 그런 다음 메트로 네트워크(MET)의 제 2 쓰레드(F2)를 통해 관리 및 스위칭 센터(ZEN)로 전송된다. 업스트림 신호들의 "논리적" 전환도 마찬가지로 이루어지지 않고, 그들은 파장 외에는 변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된다. 요약하면 : 관리 및 스위칭 센터(ZEN)와 네트워크 유닛(ONU)들 사이의 전송은 사용되는 "PON" 프로토콜에 상응하는 논리적 변환들 없이 직접적으로 수행된다.
관리 및 스위칭 센터(ZEN)는 광대역 네트워크(WAN) 및/또는 다른 메트로 네트워크들에 접속된다; 그들을 통해 모든 접속들, 예컨대 상이한 액세스 접속들(AC1, AC2)에 부착된 두 개의 ONU 사이의 접속이 이루어진다.
도 1에 단 하나(ZDλ)가 도시된, 다수의 상이한 타입들의 신호들(ZDλ)(추가 서비스들)은 링 네트워크와 액세스 접속들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들 또한 그들 사이에 있을 수 있다. 예로써 주어진 액세스 신호 대신에, 예컨대 λD1, 그런 다음 상이한 파장들의 번들이 액세스 접속을 통해 전송된다. 그리고나서 상이한 가입자 유닛들이 파장 역다중화기에 의해 네트워크 유닛들(ONU)에 부착된다.
광 전송 시스템은 더 넓은 영역들의 커버리지에 대하여 인식되는데, 즉 약 70 km의 메트로 네트워크 거리들을 통해 그리고 약 추가의 30 km 및 그 보다 먼 액세스 접속 거리들을 통해 브릿징될 수 있다. 상기 재생기들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3R 재생기들이 메트로 접속 장치들(MAP1, MAP2, MAP3)에서 제공되고 증폭, 펄스 형태 및 주기에 관하여 수신된 신호들을 재생한다. 현재의 종래 기술에서는, 이를 위해 입력 도중에 광-전기 변환이 요구되고 출력 도중에 전기-광 변환이 요구된다. 관리 및 스위칭 센터(ZEN)에 의해 부착된 메트로 접속 장치는 훨씬 더 용이하게, 보다 정확하게는 액세스 접속(AC4)이 관리 및 스위칭 센터에 직접 부착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일반적으로, 메트로 접속 장치(MAP)의 파장 변환기 기능은 증폭 기능과 결합된다. 도 2는 광-전기-광 변환을 갖는 메트로 접속 장치(MAP)의 원칙적인 설계를 나타낸다. 수신된 광 메트로 다운스트림 신호, 예컨대 SλD1은 포토다이오드(PD)에 의해 전기 신호(DS1)로 변환되고, 상기 전기 신호(DS1)는 수신 증폭기(V1)에 의해 증폭된다. 위상 서보 루프(PLL)는 주기 복구에서 서빙한다. 재생된 클록 신호(TS)를 사용하여 전기 데이터 신호(DS)는 스캐닝 장치(AS)에서 스캔된다. 결과적으로 주기에 대해서 재생되는 스캔된 데이터 신호는 원하는 새로운 파장을 생성하는 레이저 다이오드(LD)를 변조한다. 그에 따라 생성된 다운스트림 신호(λD1)는 전력 증폭기(LV)를 통해 송신된다. 데이터 속도, 전송 및 수신 장치들의 품질 및 커플링을 포함하는 전송 거리에 따라, 3R 재생기는 필요하다면 비용적 이유로 적어도 다운스트림 방향에서 회피(eschew)될 수 있고 간단히 증폭이 제공된다.
업스트림 방향의 경우, 재생기 어셈블리가 또한 이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업스트림 방향으로 버스트 신호들이 수신되고, 이는 신호 포즈(pause)들뿐만 아니라 상이한 비트 위상들 및 상이한 게이지들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아날로그 수신기를 포함하는 재생기 집합은 더욱 정교하게 설계되어야만 한다. 상기 재생기들은 완벽하게 그리고 가능한 한 에러 없이 데이터 버스트들을 재생해야 한다. 또한, 데이터 재생은 여기에서 (부분적) 광 재생기들에 의해 수행되고, 그럼으로써 비선형 효과들이 또한 파장 변환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종종, 3R 재생이 필요하게 될 것이다. 업스트림 방향에서는, 더 큰 위상 변동들이 없는 점-대-점 동작이 접속 장치와 관리 및 스위칭 센터(ZEN) 사이에서 이진 신호들에 의해 예시될 수 있다. 물론, 관리 및 스위칭 센터(ZEN)에 인접하여 배치된 메트로 접속 장치(MAP4)의 경우에 재생은 회피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도 3에서 쓰레드(F1)와 다수의 메트로 접속 장치들(MAP11-MAP13)을 갖는 단방향 링 네트워크가 도시되고, 단방향 외부 및 내부 커플링(unidirectional outward and inward coupling)에 적합하다. 메트로 다운스트림 신호들(SλD1, SλD2, SλD3,...)은 메트로 접속 장치들(MAP11-MAP13)에서의 그들의 파장에 따라 선택되고, 증폭되고 ONU에 송신된다. 업스트림 방향에서, 버스트 신호들(λU1, λU2, λU3,...)은 파장에 따라 메트로 업스트림 신호들(SλU1, SλU2, SλU3,...)로 변환되고, 각 경우에 상기 선택된 메트로 다운스트림 신호들과 함께 동일한 파장들을 갖고 링으로 커플링된다. 상기 구현은 먼저 양방향 링보다 더 간단하게 여겨진다. 여기서, 제 2 쓰레드(F2) (점선)가 또한 보안을 위해 제공될 수 있으며, 또는 쓰레드(F1)가 보안을 위해 양방향 모두에서 실행된다.
참조들
MET 메트로 코어 네트워크
F1 제 1 쓰레드
F2 제 2 쓰레드
ZEN 관리 및 스위칭 센터(OLT)
AC1, AC2, AC3 액세스 접속
FI1, FI2, FI3 액세스 광섬유
MAP1, MAP2, MAP3 메트로 접속 장치
ONU 광 네트워크 유닛
SP 스플리터
WAN 광대역 네트워크
λD1 액세스 다운스트림 신호(다운스트림)
λU1 액세스 업스트림 신호(업스트림)
SDλ1, SDλ2,... 메트로 다운스트림 신호
SUλ1, SUλ2,... 메트로 업스트림 신호
ZDλ 보충 신호

Claims (10)

  1. 광 전송 시스템(SPON)으로서,
    중앙 관리 및 스위칭 센터(ZEN);
    파장 다중화 모드에서 실행되는 링형 메트로 코어 네트워크(MET);
    파장 변환기들 및 데이터 재생기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파장-선택형의 메트로 접속 장치들(MAP1, MAP2,...); 및
    상기 메트로 접속 장치들(MAP1, MAP2,...) 및 광 네트워크 유닛(ONU)들 사이의 양방향 수동 광 액세스 접속부들(AC1, AC2,...) ― 상기 광 네트워크 유닛(ONU)들은 수동 광 네트워크(PON)들을 위한 시간 분할 다중화 동작을 통해 상기 중앙 관리 및 스위칭 센터(ZEN)와 논리적으로 직접 통신하는 광 스플리터(SP1, SP2,...)에 각각 부착됨 ―
    을 포함하고,
    상기 메트로 접속 장치들(MAP1, MAP2,...)에서, 메트로 다운스트림 신호들 중 각각 하나가 선택되고 재생되어, 상기 광 네트워크 유닛(ONU)들과 액세스 접속부(AC1, AC2,...)의 상기 메트로 접속 장치들(MAP1, MAP2) 사이에서 PON을 통해 액세스 접속부(AC1, AC2) 상에서 액세스 다운스트림 신호(λD1, λD2)로서 전송되고,
    상기 광 네트워크 유닛(ONU)들로부터, 동일한 파장들(λU, λD) 또는 전송 대역 내에서 선택가능한 파장을 갖는 액세스 업스트림 신호들(λU1, λU2)이 PON을 통해 전송되며,
    상기 메트로 접속 장치들(MAP1, MAP2,...)에서, 상기 액세스 업스트림 신호들(λU1, λU2)이 재생되어 파장에 따라 메트로 업스트림 신호들(SλU1, SλU2,...)로 변환되어 상기 관리 및 스위칭 센터(ZEN)로 상기 메트로 코어 네트워크에서 전송되는,
    광 전송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트로 코어 네트워크(MET)는 양방향 링 네트워크로서 설계되고, 상기 메트로 다운스트림 신호들(SλD1, SλD2) 및 상응하는 메트로 업스트림 신호들(SλU1, SλU2)은 상이한 파장들(λD1, λD2,...; λU1, λU2,...)로 전송되는,
    광 전송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트로 코어 네트워크(MET)는 단방향 링 네트워크로서 설계되고, 상기 메트로 다운스트림 신호들(SλD1, SλD2) 및 상응하는 메트로 업스트림 신호들(SλU1, SλU2)은 상이한 파장들(λD1, λD2,...; λU1, λU2,...)로 전송되는,
    광 전송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트로 코어 네트워크(MET)는 보안 기능을 갖는 단상 또는 이상 링 네트워크로서 구성되는,
    광 전송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네트워크 유닛(ONU)들 및 상기 메트로 접속 장치들(MAP1, MAP2,...) 사이의 모든 액세스 접속부들(AC1, AC2,...) 상에서, 단일화된 파장(λU)을 갖는 액세스 업스트림 신호들(λU1, λU2) 및 단일화된 파장(λD)을 갖는 액세스 다운스트림 신호들(λD1, λD2) 중 적어도 하나가 전송되는,
    광 전송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트로 접속 장치(MAP1, MAP2,...)는 상기 메트로 코어 네트워크(MET)에서 상이한 파장들(Zλ1; Zλ2,...)을 통해 각각 그리고 액세스 접속부들(AC1, AC2,...)을 통해 각각 파장 다중화 동작시 모든 액세스 접속부들(AC1, AC2,...)에서 동일한 파장들을 갖는 신호들(λZD1, λZD2,...)로서 전송되는 다수의 상이한 서비스들(ZD)에 할당되는 신호들을 위한 파장 변환기들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전송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메트로 접속 장치(MAP1)와 스플리터(SP1) 사이의 액세스 접속이 양방향 신호들이 전송되는 단일 광섬유(FI1)를 통해 실현되는,
    광 전송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트로 코어 네트워크(MET)는 링 네트워크 또는 메쉬 네트워크로서 구성되고, 상기 메트로 코어 네트워크 내에서의 보안 접속부들은 제 2 광섬유(F2)를 사용하여 상기 메트로 접속 장치(MAP)에 부착가능한,
    광 전송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및 스위칭 센터(ZEN)는 중간 증폭기 없이도 적어도 하나의 쓰레드(F1)에 의해 상기 메트로 접속 장치들(MAP1, MAP2,...)과 접속되는,
    광 전송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메트로 접속 장치들(MAP1, MAP2,...)과 네트워크 유닛(ONU)들 사이의 상기 액세스 접속부들(AC1, AC2,...)은 전기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엘리먼트들을 갖지 않는,
    광 전송 시스템.
KR1020077022955A 2005-03-08 2006-03-06 광 전송 시스템 KR1012457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10610A DE102005010610A1 (de) 2005-03-08 2005-03-08 Optisches Übertragungssystem
DE102005010610.2 2005-03-08
PCT/EP2006/060481 WO2006094960A1 (de) 2005-03-08 2006-03-06 Optisches übertragungs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1721A KR20070121721A (ko) 2007-12-27
KR101245717B1 true KR101245717B1 (ko) 2013-03-25

Family

ID=36228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2955A KR101245717B1 (ko) 2005-03-08 2006-03-06 광 전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8811818B2 (ko)
EP (1) EP1859579B1 (ko)
JP (1) JP2008532448A (ko)
KR (1) KR101245717B1 (ko)
CN (1) CN101189836B (ko)
AT (1) ATE403999T1 (ko)
BR (1) BRPI0608569A2 (ko)
CA (1) CA2600223A1 (ko)
DE (2) DE102005010610A1 (ko)
ES (1) ES2312128T3 (ko)
PL (1) PL1859579T3 (ko)
RU (1) RU2388159C2 (ko)
WO (1) WO20060949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PQ617500A0 (en) * 2000-03-10 2000-04-06 Telstra R & D Management Pty Ltd A communications network architecture
DE102005010610A1 (de) * 2005-03-08 2006-09-21 Siemens Ag Optisches Übertragungssystem
US8902812B1 (en) 2006-03-14 2014-12-02 Sprint Spectrum L.P. System and method for passive optical network backhaul
DE102006055928A1 (de) 2006-11-27 2008-06-12 Siemens Ag Verfahren und Anordnung zur Steuerung eines Regenerators für Datenburst-Signale eines Systems mit Punkt-zu-Multipunkt-Verbindungen, Übertagungssystem mit Punkt-zu-Multipunkt-Verbindungen und Regenerator
WO2008072356A1 (ja) 2006-12-15 2008-06-19 Fujitsu Limited 光通信システムならびにその光通信方法および通信装置
US8472804B2 (en) 2007-03-16 2013-06-2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 for long backhaul link extension in a passive optical network
CN101378388B (zh) * 2007-08-28 2012-10-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无源光网络数据传输的方法、系统和设备
EP2109242A1 (en) * 2008-04-07 2009-10-14 Nokia Siemens Networks Oy Upgradeable passive optical Network
JP5092895B2 (ja) * 2008-05-23 2012-12-05 富士通株式会社 光通信装置および光通信システム
US9389750B2 (en) * 2008-11-30 2016-07-12 Lenovo (Singapore) Pte. Ltd. Wireless interface for access connections
CN101998185B (zh) 2009-08-13 2015-05-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光电处理装置及约束信息的处理方法
RU2454004C2 (ru) * 2010-02-15 2012-06-20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ибир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телекоммуникаций и информатики" (ГОУ ВПО "СибГУТИ") 3r регенератор для полностью оптических систем с временным разделением каналов
JPWO2011145218A1 (ja) * 2010-05-21 2013-07-22 三菱電機株式会社 光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装置
JPWO2012014444A1 (ja) * 2010-07-29 2013-09-12 日本電気株式会社 光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光通信処理装置およびその波長変換方法
JP5404972B2 (ja) * 2011-08-09 2014-02-05 三菱電機株式会社 光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および帯域制御方法
CN102801466B (zh) * 2012-08-17 2017-05-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单光纤故障处理方法及装置
CN104426739B (zh) * 2013-09-10 2018-08-10 上海诺基亚贝尔股份有限公司 一种融合城域网和接入网的方法、远程节点以及光线路终端
CN104125009B (zh) * 2014-07-24 2017-01-11 华中科技大学 一种水下遥控通信网络
CN107852242B (zh) * 2015-05-11 2020-08-04 海王星海底Ip有限公司 光网络、光网络装置以及配置光网络的方法
CN109120348B (zh) * 2018-10-31 2021-05-25 宁波华讯通信服务有限公司 一种城域网络系统及其网络接入系统
WO2021176694A1 (ja) * 2020-03-06 2021-09-10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及びoltシステ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63687A1 (en) * 2001-04-23 2002-11-07 Lars Boden Optical CWDM-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42840B2 (ja) * 1993-12-27 2003-09-02 株式会社東芝 光通信システム
FR2745453B1 (fr) * 1996-02-23 1998-04-03 Hamel Andre Systeme de surveillance d'un reseau en anneau multi-longueur d'onde
JPH09261259A (ja) * 1996-03-27 1997-10-03 Canon Inc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ノード装置及びその伝送制御方法
US6839514B1 (en) * 1999-09-29 2005-01-04 Cien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on, protection, and restoration of heterogeneous optical communication networks
DE19714650A1 (de) * 1997-04-09 1998-10-15 Bosch Gmbh Robert Zugangsnetz zur Übertragung von optischen Signalen
JPH1141270A (ja) * 1997-07-16 1999-02-12 Oki Electric Ind Co Ltd 光波長多重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US6426815B1 (en) * 1998-06-19 2002-07-30 Ciena Corporation WDM ring transmission system having two hubs
US6947670B1 (en) * 1999-06-30 2005-09-20 Lucent Technologies Inc. Optical add/drop arrangement for ring networks employing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US6643464B1 (en) * 1999-07-07 2003-11-04 Nortel Networks Limited Constrained optical mesh protection for transmission systems
US6728484B1 (en) * 1999-09-07 2004-04-27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hannel provisioning in optical WDM networks
EP1087556B1 (en) * 1999-09-22 2008-07-02 Lucent Technologies Inc. Optical network with power splitters
JP2001251252A (ja) 2000-03-03 2001-09-1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光アクセス網、幹線ノード装置及び支線ノード装置
EP1241913A1 (en) * 2001-03-16 2002-09-18 Alcatel Optical packet node and optical packet add drop multiplexer
US7599620B2 (en) * 2001-06-01 2009-10-06 Nortel Networks Limited Communications network for a metropolitan area
US6728848B2 (en) * 2001-06-11 2004-04-27 Hitachi, Ltd. Method and system for backing up storage system data
WO2003001707A1 (en) * 2001-06-25 2003-01-03 Corvis Corporation Optical transmissio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US6690848B2 (en) * 2001-06-29 2004-02-10 Nortel Networks Limited Metropolitan photonic switch
US20030223405A1 (en) * 2002-05-31 2003-12-04 El-Bawab Tarek S. WDM metropolitan access network architecture based on hybrid switching
JP4007860B2 (ja) * 2002-06-10 2007-11-14 富士通株式会社 伝送装置
RU2261530C2 (ru) 2003-05-12 2005-09-27 Войсковая часть 30895-111 Унифицированный комплекс внутрикорабельной связи
US7321729B2 (en) * 2003-05-29 2008-01-22 Fujitsu Limited Optical ring network with selective signal regeneration and wavelength conversion
KR100569825B1 (ko) * 2003-08-07 2006-04-11 최준국 절체형 미디어 변환기와 그를 포함하는 상하향 동일파장의 링형 wdm pon 시스템
US7548695B2 (en) * 2004-10-19 2009-06-16 Nextg Networks, Inc. Wireless signal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RU47154U1 (ru) 2005-02-21 2005-08-10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Проектно-конструкторское бюро" "РИО" Корабельный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ый комплекс связи
DE102005010610A1 (de) * 2005-03-08 2006-09-21 Siemens Ag Optisches Übertragungs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63687A1 (en) * 2001-04-23 2002-11-07 Lars Boden Optical CWDM-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532448A (ja) 2008-08-14
RU2007137033A (ru) 2009-04-20
DE102005010610A1 (de) 2006-09-21
EP1859579B1 (de) 2008-08-06
BRPI0608569A2 (pt) 2010-01-12
CA2600223A1 (en) 2006-09-14
KR20070121721A (ko) 2007-12-27
ES2312128T3 (es) 2009-02-16
PL1859579T3 (pl) 2009-01-30
US8811818B2 (en) 2014-08-19
CN101189836B (zh) 2011-11-23
CN101189836A (zh) 2008-05-28
US20090052893A1 (en) 2009-02-26
DE502006001284D1 (de) 2008-09-18
ATE403999T1 (de) 2008-08-15
RU2388159C2 (ru) 2010-04-27
EP1859579A1 (de) 2007-11-28
WO2006094960A1 (de) 2006-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5717B1 (ko) 광 전송 시스템
JP4240602B2 (ja) 各ノードにおける受動パススルーを備えた波長分割多重化光通信網
Iwatsuki et al. Access and metro networks based on WDM technologies
Bock et al. Hybrid WDM/TDM PON using the AWG FSR and featuring centralized light generation and dynamic bandwidth allocation
US5889600A (en) Cross-connect for an optical network
US20040042796A1 (en) Photonic communication system with &#34;sub-line rate&#34; bandwidth granularity, protocol transparency and deterministic mesh connectivity
KR20070052669A (ko) 수동 광학 네트워크의 통신 설비를 위한 개선된 데이터전송 디바이스
US7024121B2 (en) Optical clock signal distribution system in WDM network
Maier et al. AWG-based metro WDM networking
KR100465317B1 (ko) 광통신 노드 시스템, 전광 패킷 라우팅 시스템, 그리고이를 이용한 광패킷 전광 라우팅 방법 및 광패킷 전광라우팅 네트워크 시스템
US7542420B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utilizing port dimensioning strategies
Ossieur et al. An overview of passive optical networks
JP2001251252A (ja) 光アクセス網、幹線ノード装置及び支線ノード装置
KR100979365B1 (ko) Wdm/tdm 복합 광 네트워크
EP1953941B1 (en) WDM laser sources for PON
Wan Multichannel optical networks
Bock et al. Resilient single-fiber ring access network using coupler-based OADMs and RSOA-based ONUs
EP2517390B1 (en) Method and device for data protection in an optical communication network
KR20090100083A (ko) Tdm-pon 기반의 원격 중계 장치 및 그 시스템
Koonen Optical network architectures
Cadeddu et al. An optical bidirectional self-healing ring with increased capacity using WDM
EP0733298B1 (en) A cross-connect for an optical network
Liu et al. Architecture design and key technologies for hybrid TDM/WDM optical access networks
Kim et al. Design and analysis of scalable WDM-based ethernet hybrid-PON architecture
Jim Design of Survivabl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d Passive Optical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