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5208B1 - 세라믹 막 분리 배양기 - Google Patents
세라믹 막 분리 배양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45208B1 KR101245208B1 KR1020110054070A KR20110054070A KR101245208B1 KR 101245208 B1 KR101245208 B1 KR 101245208B1 KR 1020110054070 A KR1020110054070 A KR 1020110054070A KR 20110054070 A KR20110054070 A KR 20110054070A KR 101245208 B1 KR101245208 B1 KR 10124520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cubator
- membrane
- membrane separation
- ceramic membrane
- cultu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9/00—Means for introduction, extraction or recirculation of materials, e.g. pumps
- C12M29/04—Filters; Permeable or porous membranes or plates, e.g. dialysi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3/00—Means for introduction, transport, positioning, extraction, harvesting, peeling or sampling of biological material in or from the apparatus
- C12M33/14—Means for introduction, transport, positioning, extraction, harvesting, peeling or sampling of biological material in or from the apparatus with filters, sieves or membrane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7/00—Means for sterilizing, maintaining sterile conditions or avoiding chemical or biological contamination
- C12M37/02—Filt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12—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temperature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7/0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배양기 (types) |
미생물 종 (species) |
E- area (m2) |
Biomass (g L-1, dcw) |
배양시간 (hours) |
Dilution rate ( h -1) |
Ref (No) |
ISCMBR | L. lactis | 0.08 | 248 | 643 | 0.4 - 0.2 | 1 |
ECMBR | L. casei | 125 | 60 | 0.6 | 2 | |
ECMBR | L. helveticus | 63 | 90 | 0.33 | 3 | |
EPMBR | L. delbruecki | 0.023 | 18 | 25 | 0.2 | 4 |
ISPMBR | B. bifidum | 25 | 12 | 36 | 0.075 | 5 |
ESCMBR | L. lactis | 0.06 | 141 | 238 | 0.3 | 6 |
ESCMBR |
Propionibacterium
acidipropionici L. delbruecki L. plantarum |
0.1 | 140 148 73 |
180 180 180 |
0.3 0.4 0.4 |
7 |
ESCMBR | L. cremoris | 0.2 | 88 | 50 | 1.05 | 8 |
외장형 막 배양기 | 침지형 막 배양기 | ||
장점 | 단점 | 장점 | 단점 |
-Cleaning 작업이 간편하다 -오염에 강하다 -외부 가압식 방법으로 액을 순환하여 membrane flux 조절이 쉽다 -Shear rate를 조절하여 membrane fouling에 저항성이 강하다. -배양기 부분과 막 부분의 압력을 별도로 조절할 수 있다 -막의 추가와 제거가 간편하여 scale-up이나 scale-down이 쉽다. |
-Shear stress가 강하다. |
-Shear에 민감한 공정에 유리하다. -점도가 높은 fluids의 공정에 유리하다. |
-cleaning작업이 어렵다. -오염에 약하다. -배양기 부분과 막 분리 부분의 압력을 다르게 조절할 수 없다. -Scale-up 이나 scale-down이 어렵다. -외부 흡입 식으로 막 여과 속도를 조절하여 막 여과 속도의 조절이 어렵다. |
표준 유기산, 당 | The 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 substance concentration (mM) and the HPLC peak area (mV). | Reference |
Lactate | Y = 314005 X + 6566.08 (t = 0.996) | 도 6 (a) |
Acetate | Y = 94949.64 X + 3573.26 (t = 0.999) | 도 6 (b) |
Glucose | Y = 93485.46 X + 5388.07 (t = 0.999) | 도 6 (c) |
Fructose | Y = 29998.77 X - 1099.45 (t = 0.998) | 도 6 (d) |
Culture mode | B. longum | L. plantarum |
Vial | 12 h μ = 0.385 /h Total X = 2.7 g/L |
12 h μ = 0.086 /h Total X = 1.55 g/L |
생산성 증가 (times) | 1.0 | 1.0 |
Batch | 12 h μ1 = 1.13 /h μ2 = 0.31 /h Total X = 5.46 g/L Viable cells = 1.1 X 1012 cfu/L |
12 h μ1 = 0.505 /h μ2 = 0.208 /h Total X = 4.33 g/L Viable cells = 6.9 X 1012 cfu/L |
생산성 증가 (times) | 2.02 (1) | 2.79 (1) |
Fed-batch | 12 h μ1 = 1.102 /h μ2 = 0.456 /h Total X = 6.96 g/L Viable cells = 1.8 X 1012 cfu /L |
12 h μ1 = 0.460 /h μ2 = 0.267 /h Total X = 6.26 g/L Viable cells = 28 X 1012 cfu/L |
생산성 증가 (times) | 1.27 (2.01) | 1.45 (5.86) |
MBR | 12 h μ = 0.134 /h D = 0.65 ~ 0.47 /h Total X = 22.18 g/L Viable cells = 5.2 X 1012 cfu/L |
20 h μ = 0.076 /h D = 0.136 ~ 0.56 /h Total X = 29.48 g/L Viable cells = 130 X 1012 cfu/L |
생산성 증가 (times) | 3.19 (9.21) | 2.82 (13.14) |
도 2는 특허에 사용된 막 분리 배양기의 flow chart, pump 1, 2, 3은 magnetic co-centrifugal pumps로서 hygienic control하에서 작동되었으며 pump의 speed는 중앙 control panel (1)에 의해서 조절되었다. 각각의 부호에 대한 내용은 아래와 같다.
1 : 중앙 control panel
2 : 70 L 배양기
3 : Zircon-alumina 또는 Zircon-titanium 재질의 ceramic 막 필터(효과 면적, 0.7 m2, 0.17 micro-meter pore size, 3.0 mm fiber diameter, 1 m 길이, 25 mm diameter)
4 : 배지 살균용 막 필터 (효과 면적, 0.7 m2, 0.17 micro-meter pore size, 3.0 mm fiber diameter, 1 m 길이, 25 mm diameter)
5 : 100 L 배지 제조 탱크
6 : 열 교환기 (배양 온도 조절용)
7 : level 조절기
8 : 로드 셀 (소비된 알칼리 측량)
9 : 솔레노이드 발브 (열 교환기의 온도 조절용)
10 : 유량계
11 : 압력계 (P1)
12 : 압력계 (P3)
13 : 압력계 (P2)
14 : 온도계
15 : bubbling bottle
16 : 유량계
17 : pH 전극
18 : 다이아 프람 발브 (diaphragm valve)
도 3은 magnetic co-centrifugal pump에서 pump speed증가에 따른 wall shear stress의 변화에 관한 것이다. 각 sample은 막 분리 배양기에서 얻은 B. longum의 발효 액과 water(●, ○)를 사용하였으며, B. longum의 발효 액은 dynamic viscosity가 2.38 X 10-3 kg-f m2/sec (▲, △)와 6.1 X 10-3 kg-f m2/sec(■, □)이었으며, 온도는 37℃ 이었다. 참고로 37℃에서 물의 dynamic viscosity는 6.92 X 10-4이었다.
도 4는 ceramic membrane과 composite membrane사이의 wall shear stress의 비교에 관한 것이다. Ceramic membrane(●)의 dimension은 1 m 길이, 2.5 X 10-2 m cartridge의 직경 (3 X 10-3 m 내부 fiber의 직경), 0.35 m2 효과 면적을 가진 Zircon-alumina 또는 Zircon-titanium 재질의 막이었다. Composite membrane(○)은 GE health life science에서 구입된 polypropylene 재질의 막이었으며, dimension은 6.0 X 10-1 m 길이, 5.0 X 10-2 m 직경 (1.0 X 10-3 m 내부 fiber의 직경), 1.8 m2 효과 면적을 가지고 있었다.
도 5는 전 배양과 vial culture를 위한 10 ml 압력 튜브와 50 ml vials, butyl rubber stopper, aluminum seals에 관한 것이다.
도 6은 표준 시약을 이용한 standard curve에 관한 것이다. a)는 lactic acid (mM), b)는 acetic acid (mM), c)는 glucose (mM) 그리고 d)는 fructose (mM)에 대한 표준 곡선이다.
도 7은 L. plantarum 의 성장에서 glucose, yeast extract, soy peptone의 효과에 관한 것이다. a)는 glucose 의 농도(mM)에 대한 균체 농도(X, ●)의 변화와 따르는 대당 수율(Yx /s, ○)을, b)는 yeast extract의 첨가 농도에 대한 L. plantarum 성장 속도(μ)의 변화를 보인다. C)는 첨가된 soy peptone의 농도에 대한 배양 종료 시 균체 농도의 변화를 보이고 있으며, d)는 첨가된 soy peptone의 농도에 대한 L. plantarum 성장 속도에서의 변화를 보인다.
도 8은 B. longum의 성장에서 glucose, fructose, yeast extract, ammonium sulfate 농도의 영향에 관한 것이다. a)는 함수 포도당의 농도(mM)에 따른 균체 농도(●)의 증가와 대당 수율(○), b) 100 mM 함수 포도당과 함께 fructose의 농도 증가에 따른 B. longum 성장 속도(μ)에서의 증가, c)는 yeast extract의 농도 증가 (%(w/v))에 따른 성장 속도의 증가, d) 효모 추출물 없이 ammonium sulfate의 농도 증가에 따른 성장 속도의 변화 e)효모 추출물 없이 ammonium sulfate의 농도 증가에 따른 균체 농도에서의 변화, f) 효모 추출물 (Y)과 soy peptone (S)을 ammonium sulfate (A)와 함께 첨가한 경우 성장 속도에서의 변화이며, 이 때 Y (1.0%(w/v)), S (1.0%(w/v)), YS (0.5%(w/v) + 0.5%(w/v))로서 각각의 경우에 ammonium sulfate (10 mM)이 첨가되었다.
도 9는 vial 배양에서 B. longum과 L. plantarum의 배양 표준 곡선에 관한 것이다. Vial culture 에서 a) L. plantarum과 b) B. longum의 배양 표준 곡선. L. plantarum의 경우 성장 속도는 0.086 /h으로 1.55 g/L의 균체를 얻었으며, B. longum의 경우 0.385/h의 성장 속도로 성장하여 2.7 g/L의 균체를 얻었다. pH는 L. plantarum의 배양 초기 pH 5.5에서 시작하여 pH 2.5 주변까지 감소되었으며, B. longum의 경우 초기 pH 6.3에서 시작하여 pH 3.5까지 떨어졌다.
도 10은 L. plantarum과 B. longum의 유기산에 대한 성장 억제 효과에 관한 것이다. a) L. plantarum과 b) B. longum의 lactic acid(○)와 acetic acid(△)에 대한 성장 억제 효과. μ는 각 유기산 농도 (mM)에서의 초기 6시간 내의 성장속도이고 μo는 유기산이 초기에 첨가되지 않은 경우의 초기 성장속도이다.
도 11은 STR에서 B. longum의 batch 배양과 fed-batch 배양의 표준 성장 곡선에 관한 것이다. STR에서 batch 배양(●)을 한 경우와 vial culture에서 선정된 배지의 조성을 이용하여 fed-batch(○)를 한 경우를 비교하였다. 12 h의 배양 동안 batch culture는 5.46 g/L의 건조 균체를, fed-batch의 경우 6.96 g/L를 건조 균체를 생산하였다. 이때 비교 배양으로 batch 배양의 배지는 2.5%(w/v) 함수 포도당, 1.0%(w/v) soy peptone, 1.5%(w/v) 효모 추출물, 제 1인산 칼륨, K-citrate, Na-glutamate, L-cycteine, 황산 마그네슘, 황산 망간을 첨가하였다. 생균수로는 fed-batch 배양의 경우 2.8 X 109 cfu/ml가, batch 배양의 경우 1.1 X 109 cfu/ml가 분석되었다. 배지에 함수 포도당(○)을 첨가하여 B. longum을 배양 한 경우 Lactic acid(△) 와 acetic acid(□)가 형성되었다. 또한 배양 동안 첨가된 alkali (5.0 mole NaOH /L)는 batch 배양(●)과 fed-batch(○)의 각각 축적된 양으로 표시되었다.
도 12는 STR에서 L. plantarum의 batch 배양과 fed-batch 배양의 표준 성장 곡선에 관한 것이다. STR에서 batch 배양(●)을 한 경우와 vial culture에서 선정된 배지 조성을 이용하여 fed-batch 실험(○)을 한 경우 비교하였다. 이때 비교로서 batch 배양의 배지는 4.0%(w/v) 함수 포도당, 1.0%(w/v) soy peptone, 1.5%(w/v) 효모 추출물, K-citrate, 황산 마그네슘, 황산 망간을 첨가하였다. 12 h의 배양 시간 동안 L. plantarum은 batch culture를 통하여 4.33 g/L까지 성장하였으며 fed-batch를 통하여 6.26 g/L까지 증식하였다. 이때 batch culture 동안 균체 증식속도 μ = 0.287 /h이었으며 fed batch 동안 균체 증식속도 μ = 0.324 /h이었다. 생균수로는 fed-batch 배양의 경우 2.8 X 1010 cfu/ml가, batch 배양의 경우 6.9 X 109 cfu/ml가 분석되었다. 또한 함수 포도당(○)을 이용하여 L. plantarum을 배양한 경우 Lactic acid(△)가 형성되었다. 또한 배양 중에 첨가된 alkali (5.0 mole NaOH /L)는 batch 배양(●) 과 fed-batch 배양(○) 에서 각각의 시간 당 축적된 양으로서 표시되었다.
도 13은 막 분리 배양기에서 B. longum의 배양에 관한 것이다. B. longum은 막 분리 배양기에서 12 h의 배양 동안 총 X = 22.18 g/L의 건조 균체 중량(●)을 생산하였으며, 성장 속도는 0.134 /h이었다. 또한 배양의 초기 4시간 까지 dilution rate(●)는 D = 0.65 h-1까지 증가할 수 있었지만, 균체 농도의 증가와 함께 빠르게 감소되어 D = 0.47 h-1에서 안정화되었다. 배양 동안 함수 포도당(●)과 fructose(▲)가 feed 배지와 함께 연속 공급되었으며 배양기 내에 lactic acid( )는 50 mmole L- 1이하로 유지되었으며, acetic acid (r)는 200 mmole L-1 주변에서 유지될 수 있었다. 배양 종료 시 생균수는 5.2 X 109 cfu/mL이었다.
도 14는 막 분리 배양기에서 L. plantarum의 배양에 관한 것이다. L. plantarum은 막 분리 배양기에서 총 20 h의 배양 동안 X = 29.48 g/L의 건조 균체(●) 중량을 생산하였으며, 균체 증식속도 (μ) = 0.076 h- 1 이었다. 배양 동안 dilution rate (○) D = 0.136 h-1에서 시작하여 최고 D = 0.56 h-1까지 증가되었으며 더 이상 증가되지는 않았다. 배양 중에 함수 포도당(●)의 농도는 50 mmole/L 주변에서 유지되었으며, lactic acid (○)는 초기 100 mmole/L에서 균체 농도와 함께 증가하기 시작하여 발효 말기 325 mmole/L까지 증가되었다. 배양 종료 시 배양액 내의 생균수는 1.3 X 1011 cfu/ml이었다.
도 15는 Wall shear stress에 따른 L. plantarum과 B. longum의 안정성 (stability)에 관한 것이다. 막 배양기에서 a) L. plantarum과 b) B. longum의 배양 시, wall shear stress가 균체의 viability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고 있다. 균체의 안정성 (stability)를 분석하기 위해서 40℃에서 총 4 주 동안 생균수는 분석되었다. 두 균주를 발효 후, pellet은 원심 분리를 통해 회수되었으며, 보호제로 20.0%(w/w) trehalose, 10.0%(w/w) malto-dextrin, 1.0%(w/w) skim milk, 2.0%(w/w) K-phosphate buffer (2.5 mole/L, pH 8.5), 1.2%(w/w) xanthan gum이 pellet 대비로 첨가되어 동결 건조되었다.
Claims (15)
- Zircon-alumina 또는 Zircon-titanium 재질의 ceramic 막 필터(3), 배지 살균용 막 필터(4), 배양기(2) 및 배지 제조 탱크(5)를 포함하는 세라믹 막 분리 배양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 분리 배양기에 중앙 control panel(1), 배양 온도 조절용 열 교환기(6), level 조절기(7), 소비된 알칼리 측량용 로드 셀(8), 열 교환기의 온도 조절용 솔레노이드 발브(9), 유량계(10), 압력계(11), 온도계(14), bubbling bottle(15), pH 전극(17) 및 diaphragm valve(1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막 분리 배양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Zircon-alumina 또는 Zircon-titanium 재질의 ceramic 막은0.1~1.0 micron 다공 크기의 세라믹 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막 분리 배양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Zircon-alumina 또는 Zircon-titanium 재질의 ceramic 막은 상기 배양기(2)와 별도로 분리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막 분리 배양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Zircon-alumina 또는 Zircon-titanium 재질의 ceramic 막에서 발생하는 wall shear stress를 줄이기 위해서, fiber의 내경이 2~4mm임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막 분리 배양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 살균용 막 필터(4)와 배양기(2) 사이에 배지 저장용 탱크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막 분리 배양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 배양기의 wall shear stress를 줄여 생산되는 균체의 viability와 stability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gear pump, diaphragm pump 및 lobe pump 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막 분리 배양기.
- (i) 제1항의 세라믹 막 분리 배양기를 이용하고, (ii) feed 배지 내 단백질원은 1.0%(w/v), 탄소원은 1.0 ~ 2.0%(w/v)로 유지함으로써, 유기산 농도는 감소시키되 균체 성장속도는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호기적 배양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균체는 Lactobacillus , Bifidobacterium , Leuconostoc , Oenococcus, Weisella 속에 속하는 유산간균; Clostridium butyricum; Actinobacillus succinogenes; 및 Streptococcus , Enterococcus 속에 속하는 유산구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호기적 배양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Lactobacillus 속에 속하는 유산간균은 Lactobacillus plantarum 이고, 상기Bifidobacterium속에 속하는 유산간균은 Bifidobacterium longu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호기적 배양방법.
- 제8항의 비호기적 배양방법을 이용하여 succinic acid, lactic acid 및 butyric acid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탄소화합물을 생산하는 방법.
- 제1항의 세라믹 막 분리 배양기를 이용하여 생활하수(municipal sewages), 생활 슬러지(sludge), 공업 슬러지, 농업 슬러지 및 수산 슬러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분해하는 방법.
- 제1항의 세라믹 막 분리 배양기를 이용하여 메탄(CH4) 또는 수소(H2)를 생산할 수 있는 비호기성 균을 배양함으로써 bio-gas를 생산하는 방법.
- 제1항의 세라믹 막 분리 배양기를 이용하여 배양된 유산균을 이용함으로써 mannitol, trehalose, sorbitol 및 xylitol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생산하는 방법.
- 제1항의 세라믹 막 분리 배양기를 이용하여 배양된 유산균을 이용함으로써 알코올 농도가 13%(w/v) 이하인 저 알코올음료(alcoholic beverage)를 숙성(maturation)하는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54070A KR101245208B1 (ko) | 2011-06-03 | 2011-06-03 | 세라믹 막 분리 배양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54070A KR101245208B1 (ko) | 2011-06-03 | 2011-06-03 | 세라믹 막 분리 배양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35450A KR20120135450A (ko) | 2012-12-14 |
KR101245208B1 true KR101245208B1 (ko) | 2013-03-20 |
Family
ID=47903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54070A KR101245208B1 (ko) | 2011-06-03 | 2011-06-03 | 세라믹 막 분리 배양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4520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141207A1 (ko) * | 2020-01-09 | 2021-07-15 | 주식회사 엠디뮨 | 세포 압출기 및 세포 압출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944572A (zh) * | 2015-06-18 | 2015-09-30 | 河海大学 | 一种陶瓷膜生物反应器及其应用 |
KR101990388B1 (ko) * | 2016-11-30 | 2019-06-19 | 주식회사 락토메이슨 | 막 필터를 이용한 유산균 성장용 배지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유산균 성장용 배지 |
KR101943622B1 (ko) * | 2016-12-02 | 2019-01-30 | 주식회사 락토메이슨 | 막 필터를 이용한 유산균 크기의 조절방법 |
CN109179631A (zh) * | 2018-08-06 | 2019-01-11 | 清华大学 | 可同步除磷的厌氧电化学膜生物反应器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262320A (en) * | 1990-06-18 | 1993-11-16 |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 Cell-culturing apparatus and method employing a macroporous support |
-
2011
- 2011-06-03 KR KR1020110054070A patent/KR101245208B1/ko active IP Right Review Reques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262320A (en) * | 1990-06-18 | 1993-11-16 |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 Cell-culturing apparatus and method employing a macroporous support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141207A1 (ko) * | 2020-01-09 | 2021-07-15 | 주식회사 엠디뮨 | 세포 압출기 및 세포 압출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35450A (ko) | 2012-12-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otzamanidis et al. | Optimization of lactic acid production from beet molasses by Lactobacillus delbrueckii NCIMB 8130 | |
Panesar et al. | Bioutilisation of whey for lactic acid production | |
Looijesteijn et al. | Uncoupling of growth and exopolysaccharide production by Lactococcus lactis subsp. cremoris NIZO B40 and optimization of its synthesis | |
Krischke et al. | Continuous production of L-lactic acid from whey permeate by immobilized Lactobacillus casei subsp. casei | |
RU2613365C1 (ru) | Штамм метанокисляющих бактерий Methylococcus capsulatus ГБС-15 для получения микробной белковой массы | |
KR101245208B1 (ko) | 세라믹 막 분리 배양기 | |
US20240102058A1 (en) | Caproate-producing bacterium with multiple substrate utilization capabilities and its applications | |
CN106754524B (zh) | 副干酪乳杆菌n1115培养基及其应用 | |
CN106434483B (zh) | 一种布氏乳杆菌及其应用 | |
Talabardon et al. | Anaerobic thermophilic fermentation for acetic acid production from milk permeate | |
CN106399195B (zh) | 一种干酪乳杆菌及其应用 | |
CN114015729B (zh) | 植物乳杆菌在制备乳酸菌素、乳酸和苯乳酸中的应用 | |
CN112239738B (zh) | 一株产琥珀酸的大肠杆菌及其应用 | |
Taleghani et al. | A study on the effect of parameters on lactic acid production from whey | |
WO2021073011A1 (zh) | 一种生产长链二元酸的菌株及其发酵方法 | |
Holst et al. | Cultivation using membrane filtration and cell recycling | |
CN117551592B (zh) | 乳酸菌发酵用碳源及采用该碳源的乳酸菌培养方法及应用 | |
John et al. | Production of L (+) lactic acid from cassava starch hydrolyzate by immobilized Lactobacillus delbrueckii | |
JP2017514526A (ja) | プロピオン酸菌と酵母との共培養 | |
CN115537364B (zh) | 一种鼠李糖乳杆菌jl1高密度发酵的方法 | |
Van de Lagemaat et al. | Solid‐state fermentation: A continuous process for fungal tannase production | |
CN101701202A (zh) | 一株屎肠球菌及其应用 | |
WO2016033886A1 (zh) | 一种嗜热厌氧杆菌及利用其生产乙醇的方法 | |
Jung et al. | The viability to a wall shear stress and propagation of Bifidobacterium longum in the intensive membrane bioreactor | |
CN114958655A (zh) | 一株源自白酒酿造窖泥中的产丁酸型梭菌及其应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J204 |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30614 Effective date: 20141121 |
|
J2X1 |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
|
J202 |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150216 Effective date: 2015103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29 Year of fee payment: 4 |
|
J302 |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41223 Effective date: 20160205 |
|
J204 |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 ||
J203 | Request for trial for invalidation of correction [invalidation of limitat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0002391; TRIAL FOR INVALIDATION OF CORRECTION FOR INVALID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5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0002391;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OF CORRECTION REQUESTED 20160808 Effective date: 2017061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6 |
|
J302 |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200004846;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OF CORRECTION REQUESTED 20170711 Effective date: 20180209 |
|
J221 |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30000113;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INVALIDATION OF CORRECTION |
|
J303 |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300010565;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OF CORRECTION REQUESTED 20180228 Effective date: 20180628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30000113;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OF CORRECTION REQUESTED 20180807 Effective date: 20180831 |
|
G170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J302 |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240005488;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80705 Effective date: 2018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