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4803B1 - 자동 원형 봉 브러시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원형 봉 브러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4803B1
KR101244803B1 KR1020120062087A KR20120062087A KR101244803B1 KR 101244803 B1 KR101244803 B1 KR 101244803B1 KR 1020120062087 A KR1020120062087 A KR 1020120062087A KR 20120062087 A KR20120062087 A KR 20120062087A KR 101244803 B1 KR101244803 B1 KR 101244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pair
circular
collecting
auto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2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우열
Original Assignee
박우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우열 filed Critical 박우열
Priority to KR1020120062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48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4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4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7/00Appliances for providing, preventing or catching swarms; Drone-catch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원형 봉 브러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전후부, 양측부, 상부 및 저부를 형성하는 보호프레임부와; 상기 보호프레임부의 저부의 상면에 전후부에 걸쳐 일정 간격을 갖고 설치되는 한 쌍의 착탈가이드부와; 상기 착탈가이드부의 상면에 상기 보호프레임부의 전후부의 길이방향으로 재치되고 내부에 벌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포집통부와; 상기 포집통부의 상부에 맞닿도록 상기 보호프레임부의 양측부 내측에 고정 설치되고 내부에 한 쌍의 원형 브러시와 상기 한 쌍의 원형 브러시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가 설치되어 있는 본체부를 포함하는 자동 원형 봉 브러시장치가 제시된다.

Description

자동 원형 봉 브러시장치{Automatic Circular Brush Apparatus for Bees}
본 발명은 양봉용 자동 원형 봉 브러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양봉에서 벌집틀(소비장)에 붙어 있는 벌들을 떼어내는 장치에 있어서, 자동 원형 브러시가 설치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본체에서 상기 원형 브러시에 의해 탈리되는 벌들을 포집하기 위한 포집통을 구비하고, 상기 포집통은 상기 본체에서 분리 가능한 구성을 갖는 자동 원형 봉 브러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양봉에 있어서, 지역별로 개화시기에 맞추어 산간지방을 향한 이동작업이 빈번하며,현지에서 소비장을 채밀기에 넣어 꿀채집이 이루어진다. 채밀기는 원심분리방식이므로 반드시 소비장에 붙은 벌의 탈리작업이 필요하다. 소비장에서의 벌들을 탈리시키는 장치로서, 진동수단을 이용하거나 브러시를 이용하는 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05-0113400호(공개일 : 2005년12월2일)의 “양봉용 소비의 벌 탈리 장치”의 발명이 공개되어 있다.
상기 공개발명은 작업자가 벌에 쏘이는 것을 방지하며, 신속하고 완전하게 소비로부터 벌을 탈리시키며, 작업인원을 줄일 수 있는 양봉용 소비의 벌 탈리장치로서, 수거된 소비를 이송시키는 운송장치와, 상기 소비에 부착된 벌들을 진동에 의해 1차적으로 탈리시키는 진동장치와 상기 소비에 잔류하는 벌들을 회전하는 로울러에 의해 2차적으로 탈리시키는 브러싱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상기 공개 발명은 벌들을 소비장에서 진동으로 탈리시키고, 이어서 로울러를 이용하여 잔류 벌들을 탈리시키는 구성의 장치이다. 그러나 상기 진동에 의한 벌 들의 탈리는 벌들에게 스트레스를 주게 될 수 있으며, 상기 공개발명의 장치가 복잡하여 이동시 또는 작업시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열악한 환경의 야외에서 사용하기에는 장치의 구성에 구동수단이 너무 많아 고장이 잦아지는 문제점도 있고, 탈리된 벌들을 임시 수용할 수 있는 포집통의 구성이 없으므로 탈리된 벌들이 수용에 문제가 있다.
따라서, 구동수단이 단순하고, 열악한 야외 환경에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외부 충격 등에 대해서 견딜 수 있는 보호수단이 구비되고, 벌들을 소비장에서 탈리시키는 수단과 벌들을 임시 수용할 수 있는 수단이 착탈되는 구성과, 배터리 소모가 적은 구성의 자동 원형 봉 브러시 장치의 발명이 요망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05-0113400호(공개일:2005년 12월 2일)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비장에서 벌을 탈리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구동수단이 단순하고, 열악한 야외 환경에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외부 충격 등에 대해서 견딜 수 있는 보호수단이 구비되고, 벌들을 소비장에서 탈리시키는 수단과 벌들을 임시 수용할 수 있는 수단이 착탈되는 구성과, 배터리 소모가 적은 구성의 자동 원형 봉 브러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파이프를 이용하여 전후방부, 저부, 측부 및 상부가 일정 스페이스를 형성하도록 벤딩하여 구성된 보호프레임과; 상기 보호프레임의 저부의 상면에 전후방부에 걸쳐 일정 간격을 갖고 설치되는 한 쌍의 착탈가이드부와; 상기 착탈가이드부의 재치된 포집통부와; 상기 포집통부의 상측에 설치되고 내부에 한 쌍의 원형 브러시가 전후방부 방향으로 설치된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집통부의 상측 개방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측 개방부가 서로 맞닿아 있고, 상기 포집통부는 상기 착탈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본체부에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형 봉 브러시 장치가 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모터와 한 쌍의 원형 브러시로 이루어진 단순한 구동수단으로 인해 고장이 적고, 이용이 용이하고 열악한 야외 환경에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장치를 둘러싼 보호프레임에 의해 외부 충격 등에 대해서 견딜 수 있고, 벌들을 소비장에서 탈리시키는 본체부와 탈리된 벌들을 임시 수용할 수 있는 포집통부가 분리와 조립이 자유롭고, 벌의 소비장이 상기 본체부에 접근한 경우만 모터가 구동되도록 구성하여 배터리 소모가 적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동 원형 봉 브러시장치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주요부인 본체부와 포집통부의 분리 상태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자동 원형 봉 브러시장치의 실시예의 측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은 본 발명의 자동 원형 봉 브러시장치의 실시예의 정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자동 원형 봉 브러시장치의 실시예에서 주요부인 포집통부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자동 원형 봉 브러시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자동 원형 봉 브러시장치의 실시예에서 주요부인 스토퍼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자동 원형 봉 브러시장치의 실시예에서 주요부인 원형 브러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자동 원형 봉 브러시장치의 실시예에서 주요부인 원형 브러시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자동 원형 봉 브러시장치의 실시예에서 주요부인 본체부의 구동부에 관한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자동 원형 봉 브러시장치의 실시예에서 주요부인 본체부의 구동부에 관한 분해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자동 원형 봉 브러시장치의 실시예에서 주요부인 본체부의 구동부에 관한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자동 원형 봉 브러시장치의 실시예에서 주요부인 본체부의 원형브러시 착탈장치에 관한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동 원형 봉 브러시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 원형 봉 브러시장치는, 상부가 길이방향으로 일정 폭 개방된 개구부를 갖는 포집통부(100)와; 하부에 상기 포집통부(100)의 개구부와 대응하는 개구부를 갖고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한 쌍의 원형 브러시(210)(220) 및 상기 한 쌍의 원형브러시(210)(22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갖고, 상부가 개방된 본체부(200)와; 상기 본체부(200)를 수용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포집통부(100)와 상기 본체부(200)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구성된 보호프레임부(30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포집통부(100)는, 전방에 설치된 미도시된 착탈손잡이부 및 도어레버부와,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레버와 연동되는 도어부(110)와, 양 측면에 형성된 이동손잡이부(120) 및 스토퍼(13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도 2는 도 1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주요부인 본체부와 포집통부의 분리 상태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보호프레임부(300)는 하나의 일정 길이의 원형봉으로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도록 형성된 전후방의 저부와, 상기 전후방의 저부에서 각각 소정 각도를 갖도록 벤딩된 측부와, 상기 측부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각각 벤딩되어 형성된 손잡이부(320)를 갖도록 한 구성이다. 상기 보호프레임부(300)의 저부의 전후방에 걸쳐 일정 간격을 갖고 설치되는 한 쌍의 착탈가이드부(3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200)의 양측부는 상기 보호프레임부(300)의 각각의 측부의 내측에 고정된 구성이다. 상기 포집통부(100)는 상기 착탈가이드부(330)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조립되었을 때에는 상기 포집통부(100)의 상부 개구부와 상기 본체부(200)의 하부 개구부가 서로 맞닿아 있는 구성이다. 상기 본체부(200)에서 벌의 소비장에서 탈리가 수행되면, 상기 소비장에서 탈리된 벌들이 상기 본체부(200)의 하부 개구부와 상기 포집통부(100)의 상부 개구부를 통해 상기 포집통부(100)에 포집되도록 한 구성이다. 상기 본체부(200)에서 벌의 탈리가 완료된 후, 상기 포집통부(100)를 전방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포집통부(100)는 상기 착탈가이드부(330)를 따라 전방으로 빼내어져 상기 본체부(200)에서 분리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자동 원형 봉 브러시장치의 실시예의 측면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포집통부(100)는 상측의 힌지를 중심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설치된 도어부(110)와, 상기 포집통부(100)가 상기 착탈가이드부(330)에 재치되었을 때, 상기 포집통부(100)가 상기 본체부(2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130)와, 전방에 설치된 착탈손잡이부(140)와, 상기 착탈손잡이부(140)의 상측에 설치된 도어레버부(115)와, 일단이 상기 도어레버부(115)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도어부(110)의 하측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레버부(115)의 작동에 의해 상기 도어부(110)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도어개폐부(116)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포집통부(100)의 저면과 일부가 접촉되는 착탈가이드부(330)에 대해서, 상기 포집통부(100)의 저면은 상기 착탈가이드부(330)에 재치 되었을 때, 전방부와 후방부의 일부가 상기 착탈가이드부(330)에 접촉되고, 상기 포집통부(100)의 저면 대부분은 상기 착탈가이드부(330)와 접촉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포집통부(100)가 상기 착탈가이드부(300)에 재치되었을 때 상기 포집통부(100)의 저면과 상기 착탈가이드부(330)의 사이에 일정 간격의 공극부(500)가 형성된 구성이다. 상기 공극부(500)는 상기 포집통부(100)를 상기 착탈가이드부(330)를 따라 빼어낼 경우 및 넣을 경우에 상기 포집통부(100)의 저면과 상기 착탈가이드부(330) 사이의 마찰을 줄여 상기 포집통부(100)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상기 포집통부(100)의 이동손잡이부(120)는 상기 포집통부(100)를 상기 본체부(200)에서 분리한 후, 운송수단 또는 저장수단으로 이송할 때 작업자가 잡고 이동하기 위한 구성이다. 작업자가 상기 포집통부(100)를 상기 본체부(200)와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포집통부(100)를 이송할 때, 상기 착탈손잡이부(140)를 들고 이송할 수도 있지만, 그렇게 할 경우 상기 포집통부(100) 내에 있는 벌들이 상기 도어부(110) 쪽으로 몰려 짓눌리는 현상이 발생되기 때문에 내부의 벌들이 포집통부(100)에 골고루 수용되어 하중을 분산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상기 이동손잡이부(120)를 이용하여 양손으로 상기 포집통부(100)를 들고 이송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그러나 포집통부(100)에 수용된 벌의 개체수가 적을 때에는 한손으로 착탈손잡이부(140) 잡고 작업을 할 수 있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스토퍼(130)는, 상기 포집통부(100)가 상기 본체부(200)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포집통부(100)의 양측면에 형성된 스토퍼(130)가 상기 보호프레임부(300)의 내측에 걸려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포집통부(100)의 도어(11) 측 저면에는 미도시한 이탈방지용 스토퍼가 형성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도어(110)측의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저면의 스포퍼와, 착탈손잡이(140)측으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130)를 구비함으로서 상기 포집통부(1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포집통부(100)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보호프레임부(300)의 내측에 고정 설치된 상기 본체부(200)는, 상기 상측의 개방부로 상기 한 쌍의 원형 브러시(210)(220)가 일부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호프레임부(300)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200)의 상측에 형성된 한 쌍의 손잡이부(320)에는 상기 벌의 소비장이 상기 한 쌍의 원형 브러시(210)(220)로 접근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원형브러시(210)(220)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센서(400)가 설치되어 있다. 작업자가 벌의 소비장을 상기 한 쌍의 원형 브러시(210)(220)의 사이에 위치시키면, 상기 센서(400)가 상기 소비장을 감지하여 상기 한 쌍의 원형브러시(210)(220)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온(ON)시키는 구성이다.
도 4는 도 3은 본 발명의 자동 원형 봉 브러시장치의 실시예의 정면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포집통부(100)의 전방에 설치된 착탈손잡이부(140)와, 상기 착탈손잡이부(140)의 상측에 설치된 도어레버부(115)와, 상기 보호프레임부(300)의 전방부에 이탈이 억제되도록 형성된 양측면의 스토퍼(130)를 구비하고 있는 상기 포집통부(100)의 저면은 상기 한 쌍의 착탈가이드부(330)에 재치되어 슬라이드 될 수 있는 홈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구성이다. 상기 보호프레임부(300)의 양측부에 고정 설치되는 본체부(200)가 상기 포집통부(100)의 상부 개구부 위에 위치하는 구성이다. 상기 보호프레임부(300)의 4곳 하부에는 각각 받침부(31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호프레임부(300)와 일체로 구성된 상기 손잡이부(320)의 어느 한곳에는 소비장(600)의 접근을 감지하여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센서(400)가 설치된 구성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자동 원형 봉 브러시장치의 실시예에서 주요부인 포집통부의 분해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포집통부(100)의 상부 개구부를 막기 위한 포집통덮개(16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포집통부(100)의 저면에는 상기 착탈가이드부(330)와의 공극부(500)를 형성하기 위한 공극형성부(15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포집통부(100)의 착탈손잡이부(140)의 상측에 설치된 도어레버부(115)는 상기 포집통부(100)의 저면에서 상기 도어부(110)까지 이어지는 도어개폐부(116)의 일단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도어개폐부(116)의 타단은 상기 도어부(110)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도어레버부(115)를 누르면 상기 도어개폐부(116)가 당겨져서 상기 도어부(110)로부터 이탈되고, 상기 도어부(110)는 상측의 힌지를 중심으로 개방되도록 한 구성이다. 상기 본체부(200)에서 벌의 소비장의 탈리가 완료되면, 작업자는 상기 포집통부(100)의 착탈손잡이부(140)를 손으로 잡고 약간 상향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포집통부(100)의 저면 후방부가 상기 착탈가이드부(330)에 접촉하면서 상기 본체부(200)와 분리되어 빼내어진다. 상기 포집통부(100)를 상기 본체부(200)에서 분리한 후, 상기 포집통부(100) 내에 수용되어 있는 벌들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포집통부(100) 상부의 개구부를 상기 포집통덮개(160)를 이용하여 덮는다. 상기 포집통부(100)를 상기 본체부(200)에서 분리한 후, 상기 포집통부(100)를 이송시키기 위해서 다른 장소로 옮길 때에는 상기 포집통부(100)의 양측면에 형성된 이동손잡이부(120)를 양손으로 잡고 이송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포집통부(100)에 포집되어 있는 벌들을 상기 포집통부(100)로부터 빼어낼 때에는 상기 포집통부(100)의 살기 착탈손잡이부(140)를 작업자가 들고 상기 도어레버(115)를 누르면 상기 도어개폐부(116)가 작동하여 상기 도어(110)를 개방시킴으로써, 상기 포집통부(100)에 수용되어 있던 벌들이 밖으로 나올 수 있는 구성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자동 원형 봉 브러시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 구성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6의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인 스토퍼에 관한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 원형 봉 브러시장치는 상기 포집통부(100)를 상기 본체부(200)와 결합 및 분리시킬 때, 특히 벌들의 탈리가 완료된 상태에서 하중이 있는 상기 포집통부(100)를 상기 본체부(2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키기 위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 1 내지 도 5의 실시예와는 달리 상기 포집통부(100)의 스토퍼(160)가 상기 포집통부(100)의 저면에 설치된 구성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착탈가이드부(330)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포집통부(100)의 도어(110)측 제1 부분(335)이 상향 경사를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어지는 상기 포집통부(100)의 저면측은 상기 포집통부(100)의 공극형성부(150)와 공극이 형성되도록 수평으로 구성되고, 상기 포집통부(100)의 착탈손잡이부(140)측의 제2 부분(336)이 하향 경사를 이루도록 한 구성이다. 상기 착탈가이드부(330)의 제1 부분(335)이 상향 경사를 이루고 있는 것은 상기 포집통부(100)를 상기 본체부(200)와 분리하기 위해서 빼낼 때, 수평 유지 제한 동작에서 자유롭게 함으로써 작업속도를 상승시키기 위함이고, 상기 포집통부(100)의 상기 공극형성부(150)와 상기 착탈가이드부(330)의 수평부가 이루는 공극부(500)는 상기 포집통부(100)의 저면과 상기 착탈가이드부(330)의 마찰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상기 착탈가이드부(330)의 상기 제2 부분(336)의 하향 경사부는 상기 포집통부(100)의 삽입시 또는 분리시에 상기 착탈가이드부(330)의 전단부에 의한 저항을 저감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포집통부(100)의 상기 도어(100)에 가까운 위치의 저면에 스토퍼(160)가 돌출 설치된 구성이다. 상기 포집통부(100)를 상기 착탈가이드부(330)에 재치 했을 때, 상기 포집통부(100) 저면의 스토퍼(160)는 상기 포집통부(100)의 저면을 가로지르는 상기 보호프레임부(300)의 저부(305)에 걸리는 구성이다. 따라서, 포집통부(100)가 착탈가이드부(33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재치 위치를 결정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자동 원형 봉 브러시장치의 실시예에서 주요부인 원형 브러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자동 원형 봉 브러시의 실시예에서 주요부인 원형 브러시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원형 브러시는 전력소모의 최소화와 벌의 소비장에서의 용이한 탈리를 위한 구성이다. 본 발명의 원형 브러시는 소정 길이의 브러시축(210)에 브러시깃(215)을 45도 등간격으로 축방향으로 1줄 나사 패턴으로 심은 구성이다. 상기 브러시깃(215)의 1피치는 45도 간격에 따라서 8개의 브러시깃(215)의 길이가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브러시깃(215)의 축방향 피치는 브러시깃 8개에 해당하는 80mm로 결정하는 것이 좋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브러시깃(215)과 소비장(600)의 상대 각도는 15도를 이루도록 각을 넓힌 구성이다.
상기 원형 브러시의 회전시 하부로부터 상기 브러시축(210)에 수직으로 진입하는 공기는 원형 브러시에 스태그네이션 압력을 촉발하여 압력이 상승하므로 동일한 회전력을 유지하기 위한 전력 소모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원형 브러시의 1줄 나사 패턴의 구성은, 상기 수직으로 진입하는 공기의 유선 벡터를 1줄 나사패턴을 이루고 있는 브러시깃(215)에 의해서 사면을 이루도록 하여 공기의 저항을 줄여 공기에 의한 압력상승을 방지함으로써, 전력소모를 줄인 구성이다.
또한, 상기 브러시깃(215)과 소비장(600)이 이루는 각도가 예각일수록 벌의 탈리 작용시 상기 소비장(600)과 브러시깃(215)에 벌의 끼임 현상이 발생한다. 이렇게 되면, 원형 브러쉬의 회전으로 계속 벌을 소비장(600)에 압착시켜 벌을 탈리 할 수 없게 되고, 따라서 압착된 벌은 브러시깃과 반복 충돌로 인하여 벌이 감당하는 물리적 충격량 증가로 인해 수명단축과 결부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원형 브러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브러시깃(215)과 상기 소비장(600)이 이루는 각도를 최대한 넓혀, 바람직하게는 15도를 이루도록 한 구성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자동 원형 봉 브러시장치의 실시예에서 주요부인 본체부의 구동부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 원형 봉 브러시장치는 원형 브러시의 구동수단을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부(700)와, 동력을 전달받아 한 쌍의 원형 브러시(210)(220)를 회전시키기 위한 한 쌍의 제1 풀리(710)(720)와, 상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한 쌍의 제1 풀리(710)(720)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2 풀리(730)(740)와, 상기 한 쌍의 제1 풀리(710)(720)와 상기 한 쌍의 제2 풀리(730)(740)를 각각 연결하기 위한 한 쌍의 벨트(750)(760)와, 상기 동력을 발생하기 위한 모터(770)와, 상기 모터(770)의 동력을 상기 제2 풀리(730(740)에 전달하기 위한 기어부(78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1 풀리(710)(720)의 전면부에는 원형 브러시의 브러시축(215)(225)의 일단부를 삽입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브러시축삽입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원형 브러시(210)(220)를 상기 브러시축삽입부에 삽입하고 브러시의 교체시 쉽게 분리해낼 수 있는 구성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자동 원형 봉 브러시장치의 실시예에서 주요부인 본체부의 구동부의일부 구성에 관한 분해 구성도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제1 풀리(710)(720)용의 한 쌍의 제1 베어링(715)(725)과, 상기 제2 풀리용(730)(740)의 한 쌍의 제2 베어링(735)(745)가 각각의 풀리에 결합되고, 상기 각각의 베어링을 물어 고정시키기 위한 일정 높이의 턱부와 베어링수용부가 형성된 상부케이스(705) 및 하부케이스(706)와, 상기 상부케이스(705) 및 하부케이스(706)을 결합시키기 위해 각각 형성된 결합부(707)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상부케이스(705) 및 하부케이스(706)는, 본 발명의 자동 원형 봉 브러시장치에 원형 브러시의 조립 작업시에 상기 벨트(750)(760)를 각각의 풀리에 장착시킬 때, 벨트의 장력(750)(760)에 의하여, 기어부가 정위치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특히 베어링을 잡고 있는 하부케이스(706)의 베어링 수용부는 일정 높이의 턱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부(707)에는 잦은 나사 조립과 해체에 대비하여 나사부에 황동재질의 스터드 너트를 삽입시킨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자동 원형 봉 브러시장치의 실시예에서 주요부인 본체부의 구동부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10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모터(770)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부(780)와 상기 기어부(780)에 설치된 하나의 제2 풀리(790)가 상기 한 쌍의 제1 풀리(710)(720) 중 어느 한 측(710)에 더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1 풀리(710)(720)에 설치된 상기 한 쌍의 벨트(750)(760)는 상기 제2 풀리(790)에 각각 크로스 되도록 설치된 구성이다. 상기 제2 풀리(790)의 상기 한 쌍의 제1 풀리(710)(720)에 대한 축 편심 하중은 상기 각각 길이가 다른 한 쌍의 벨트(750)(760)에 의해서 상쇄되도록 한 구성이다. 또한, 상기 하나의 제2 풀리(790)에 상기 각각의 벨트(750)(760)를 크로스되도록 설치함으로써, 브러시의 역방향 회전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상기 도 10 및 도 12의 실시예에서 원형브러시를 용이하게 착탈시키기 위한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3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원형브러시(210)(220)의 착탈장치는, 브러시축(215)와 브러시깃(216)으로 구성된 원형브러시에서 브러시축(215)가 삽입되는 브러시축삽입부(217)와 상기 브러시축삽입부(217)의 후부에 이어지는 이동로드(218)과 상기 이동로드(218)의 단부와 연결되어 상방으로 당기면 상기 이동로드(218)가 이동되도록 한 구성을 갖는 당김레버(219)를 포함하고 있다. 도 13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당김레버(219)를 상방으로 당기면, 상기 당김레버(219)에 연결되어 있는 이동로드(218)가 당겨지고, 상기 이동로드(219)와 연결되어 있는 브러시축삽입부(217)가 구동부의 내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브러시축(215)은 단부가 상기 구동부에 걸려 있으므로, 상기 브러시축삽입부(217)에서 상기 원형브러시(210)가 분리되도록 한 구성이다. 본 발명의 자동 원형 봉 브러시장치에서 상기 원형브러시의 잦은 교체를 빠르고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자동 원형 봉 브러시장치의 실시예는 다양한 실시예 중 일부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소비장에서 벌을 탈리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구동수단이 단순하고, 열악한 야외 환경에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외부 충격 등에 대해서 견딜 수 있는 보호수단이 구비되고, 벌들을 소비장에서 탈리시키는 수단과 벌들을 임시 수용할 수 있는 수단이 착탈되는 구성과, 배터리 소모가 적은 구성의 자동 원형 봉 브러시 장치에 해당하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해당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포집통부
110 : 도어
120 : 이동손잡이부
130 : 스토퍼
140 : 착탈손잡이부
150 : 공극형성부
200 : 본체부
210, 220 : 원형 브러시
300 : 보호프레임
320 : 손잡이부

Claims (10)

  1. 전후부, 양측부, 상부 및 저부를 형성하는 보호프레임부와;
    상기 보호프레임부의 저부의 상면에 전후부에 걸쳐 일정 간격을 갖고 설치되는 한 쌍의 착탈가이드부와;
    상기 착탈가이드부의 상면에 상기 보호프레임부의 전후부의 길이방향으로 재치되고 내부에 벌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포집통부와;
    상기 포집통부의 상부에 맞닿도록 상기 보호프레임부의 양측부 내측에 고정 설치되고 내부에 한 쌍의 원형 브러시와 상기 한 쌍의 원형 브러시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가 설치되어 있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집통부는, 후방에 개폐가 가능하도록 설치된 도어와; 전방에 설치된 착탈손잡이부와; 상기 착탈손잡이부에 인접된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도어레버와; 상기 포집통부의 상기 착탈가이드부에서의 이탈 방지 및 재치 위치 결정을 위한 상기 포집통부의 저면에 설치된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형 봉 브러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호프레임부의 상부는 한 쌍의 손잡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형 봉 브러시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호프레임부의 상부에는 삽입되는 소비장을 감지하여 상기 한 쌍의 원형 브러시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센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형 봉 브러시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하부는 상기 포집통부의 상부 개구부와 대응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형 봉 브러시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집통부의 저면에는 상기 착탈가이드부와의 사이에 일정 길이의 공극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공극형성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형 봉 브러시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원형 브러시는 일정 길이의 브러시축에 브러시깃이 1줄의 나사 패턴의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형 봉 브러시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깃은 상기 한 쌍의 원형 브러시 사이에 수직으로 삽입되는 소비장에 대해서 15도의 각도를 갖도록 상기 브러시축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형 봉 브러시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한 쌍의 원형 브러시를 회전시키기 위한 한 쌍의 제1 풀리와; 모터와, 상기 모터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2 풀리와, 상기 한 쌍의 제1 풀리 및 상기 제2 풀리에 끼워진 한 쌍의 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형 봉 브러시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풀리는 상기 한 쌍의 원형 브러시의 브러시축 일단이 삽입되는 브러시축삽입부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브러시축삽입부는 당김레버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브러시축삽입부에 상기 브러시축이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당김레버를 당기면 상기 브러시축삽입부가 상기 브러시축과 분리되도록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형 봉 브러시장치.
KR1020120062087A 2012-06-11 2012-06-11 자동 원형 봉 브러시장치 KR101244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087A KR101244803B1 (ko) 2012-06-11 2012-06-11 자동 원형 봉 브러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087A KR101244803B1 (ko) 2012-06-11 2012-06-11 자동 원형 봉 브러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4803B1 true KR101244803B1 (ko) 2013-03-18

Family

ID=48182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2087A KR101244803B1 (ko) 2012-06-11 2012-06-11 자동 원형 봉 브러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48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69602A1 (en) * 2019-09-24 2022-11-24 Beewise Technologies Ltd. Structures and methods for removal of frames from beehives and a bee-gate
US11930794B2 (en) 2017-11-13 2024-03-19 Beewise Technologies Ltd. Autonomous beehiv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95894A (en) 1991-09-24 1994-03-22 Ludo De Cleroq Device for removing lids from honeycombs
KR200352966Y1 (ko) 2004-03-23 2004-06-09 경기도 광주시 벌꿀 수확용 탈봉기
KR200460083Y1 (ko) 2011-10-28 2012-05-07 김문석 채밀작업용 탈봉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95894A (en) 1991-09-24 1994-03-22 Ludo De Cleroq Device for removing lids from honeycombs
KR200352966Y1 (ko) 2004-03-23 2004-06-09 경기도 광주시 벌꿀 수확용 탈봉기
KR200460083Y1 (ko) 2011-10-28 2012-05-07 김문석 채밀작업용 탈봉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30794B2 (en) 2017-11-13 2024-03-19 Beewise Technologies Ltd. Autonomous beehives
US11957113B2 (en) 2017-11-13 2024-04-16 Beewise Technologies Ltd Automatic beehives
US11991993B2 (en) 2017-11-13 2024-05-28 Beewise Technologies Ltd Autonomous beehives
US20220369602A1 (en) * 2019-09-24 2022-11-24 Beewise Technologies Ltd. Structures and methods for removal of frames from beehives and a bee-ga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0083Y1 (ko) 채밀작업용 탈봉기
KR20120060253A (ko) 양봉용 소비 수거장치
KR101244803B1 (ko) 자동 원형 봉 브러시장치
KR20120129715A (ko) 양봉용 자동 탈봉장치
US6439629B1 (en) Post hole digger
CN103976000B (zh) 一种处理鳗鱼或黄鳝的组合工具
KR102043395B1 (ko) 원 터치 벌통 내검기
KR20150102497A (ko) 양봉용 봉솔장치
KR200469192Y1 (ko) 탈봉 장치
CN202157292U (zh) 易拆卸拉杆式宠物拾便器
KR102033447B1 (ko) 무동력 공 수집기
CN217117246U (zh) 一种便于使用的蜂蜜摇蜜机内用刮壁装置
KR200474636Y1 (ko) 채밀용 탈봉장치
US8286292B1 (en) Rug cleaning system
KR200471764Y1 (ko) 봉솔의 보관이 용이한 탈봉기
CN113567174A (zh) 一种土壤治理用土壤取样器
KR20090003866U (ko) 양봉용 소비의 자동 탈봉장치
CN103950661A (zh) 手自一体竹签收集器
CN204362842U (zh) 一种去鳞杀鱼装置
CN104430792B (zh) 一种去鳞杀鱼装置
CN209211373U (zh) 宠物拾便器
CN203233697U (zh) 手持式采棉花机
KR20070051248A (ko) 복분자 채취기
WO2022155719A1 (pt) Equipamento automatizado para desopercular o favo de mel
CN219589963U (zh) 一种礁体附着物采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