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2497A - 양봉용 봉솔장치 - Google Patents

양봉용 봉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2497A
KR20150102497A KR1020140024441A KR20140024441A KR20150102497A KR 20150102497 A KR20150102497 A KR 20150102497A KR 1020140024441 A KR1020140024441 A KR 1020140024441A KR 20140024441 A KR20140024441 A KR 20140024441A KR 20150102497 A KR20150102497 A KR 201501024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ehive
main body
bee
pair
moun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4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남수
Original Assignee
박남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남수 filed Critical 박남수
Priority to KR1020140024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2497A/ko
Publication of KR20150102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24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9/00Honey collection
    • A01K59/02Devices for uncapping honeycomb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1/00Appliances for treating beehives or parts thereof, e.g.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봉용 봉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비의 표면에 붙은 벌을 털어내는 양봉용 봉솔장치를 벌통의 상측에 직접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봉솔부가 설치된 본체가 벌통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가능하게 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소비에서 털어내진 벌이 바로 벌통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양봉용 봉솔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회전되는 한 쌍의 봉솔부가 구비된 상태로 상기 봉솔부에 의해 소비의 표면에 붙은 벌을 떨어낼 수 있도록 된 양봉용 봉솔장치에 있어서, 상기 봉솔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중공형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내부에 구동신호에 의해 구동하여 상기 봉솔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가 설치된 박스체의 설치부; 및 상기 본체의 하측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소비가 수용된 벌통의 상측에 올려지는 틀체의 장착부;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본체는 상기 장착부의 상측에 이동부재를 매개로 연결되게 설치되어 그 장착부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양봉용 봉솔장치{HONEYBEE SEPARATION MACHINE FOR USE OF APICULTURE}
본 발명은 양봉용 봉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비의 표면에 붙은 벌을 털어내는 양봉용 봉솔장치를 벌통의 상측에 직접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봉솔부가 설치된 본체가 벌통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가능하게 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소비에서 털어내진 벌이 바로 벌통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양봉용 봉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봉산업은 벌꿀과 밀랍을 생산하기 위해 꿀벌을 키우는 산업으로서, 꿀벌을 이용하여 자연에 존재하는 꽃에서 꿀과 화분을 수집하여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특성 때문에, 유익한 밀원인 꽃을 찾아 산간오지 등으로 이동하면서 양봉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양봉산업의 이동성과 산간오지 등에서 이루어지는 지역적 특수성으로 인하여 그 기계화가 더디게 진행되며, 주로 양봉 전문가인 기술인력의 노동력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양봉 전문인력의 경우 그 한계가 있어 노동력 부족현상이 심화되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품앗이로 노동력을 보완하고 있다.
종래에는 벌꿀을 수확하는 채밀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 소비에 붙은 벌을 작업자가 봉솔을 이용하여 일일이 떨어낸 후, 채밀기 등을 이용하여 원심력에 의해 소비에서 꿀을 분리시키곤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사람의 노동력에 의해 소비에 붙은 벌을 일일이 떨어내기 위해서는 많은 노동력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이처럼 벌꿀을 수확하는 시기에 노동력 부족이 발생할 경우에는 적절한 수확시기를 놓치게 되어 소득의 감소를 초래하거나 양봉 산물의 품질저하를 야기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된 등록특허 제10-1211561호의 양봉용 소비의 표면에 붙은 벌들을 그 소비의 표면으로부터 떨어내기 위한 봉솔장치에 있어서, 상기소비를 파지할 수 있는 다수개의 파지체가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베이스와, 상기 파지체에 파지된 소비가 내측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가이드봉의 안내를 받으면서 상하왕복이동되는 이송프레임부재과, 상기 이송프레임부재의 내측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일렬되게 설치되되 일측이 상기 이송프레임부재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회전브러쉬와, 상기 이송프레임부재에 설치된 제1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회전브러쉬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제2모터의 회전구동력을 직선구동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이송프레임부재가 상하왕복이동되게 하는 구동력방향전환부재와, 상기 이송프레임부재의 상하왕복이동을 감지하여 상기 제1,2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재로 구성된 양봉용 자동 봉솔장치를 제안한 방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양봉용 자동 봉솔장치는 기계적인 동력수단, 동력을 전달하는 기계적인 구조,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등의 복잡한 구성이 요구되어 장치의 단가가 높아 사용범용성이 낮을 뿐만 아니라 장치의 크기가 커서 이송이 불편하고, 다수의 벌통을 장치가 설치되는 장소로 직접 이송하여 채밀작업을 수행해야 함으로, 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하며 많은 시간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벌통에서 소비를 외부로 꺼내어 소비에 붙은 벌을 털어내어 수용한 후, 다시 벌통에 넣어야 하는 불편함으로 인해 현장에서의 사용성이 현저히 감소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벌통의 상측에 양봉용 봉솔장치를 직접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탈봉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봉솔부가 설치된 본체가 벌통이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가능하게 함으로써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며, 소비에서 털어내진 벌이 바로 벌통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양봉용 봉솔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회전되는 한 쌍의 봉솔부가 구비된 상태로 상기 봉솔부에 의해 소비의 표면에 붙은 벌을 떨어낼 수 있도록 된 양봉용 봉솔장치에 있어서, 상기 봉솔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중공형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내부에 구동신호에 의해 구동하여 상기 봉솔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가 설치된 박스체의 설치부; 및 상기 본체의 하측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소비가 수용된 벌통의 상측에 올려지는 틀체의 장착부;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본체는 상기 장착부의 상측에 이동부재를 매개로 연결되게 설치되어 그 장착부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착부는,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되 폭방향 일측면이 외측방향으로 개구된 한 쌍의 중공형 레일프레임과, 상기 레일프레임의 일측단과 타측단을 상호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연결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레일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어 그 레일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왕복롤러와, 일측이 상기 왕복롤러에 연결된 상태로 타측이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연결편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일측단이 상기 설치부로 관통되어 노출되는 상기 봉솔부의 회전봉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제1기어구와, 상기 한 쌍의 제1기어구중 어느 하나의 제1기어구에 연결되는 제2기어구와, 상기 제2기어구(32) 및 그 제2기어구(32)가 연결되지 않은 상기 제1기어구에 연결된 상태로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기어구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의 하측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본체와 상기 레일프레임 사이의 공간을 차단하여 소비에 붙은 벌의 인입을 방지하는 차단편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레일프레임은, 상기 소비가 수용된 벌통의 크기에 대응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신축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 설치된 한 쌍의 봉솔부 사이로 일측을 인입하여 상기 벌통에 수용된 소비를 물어 상기 한 쌍의 봉솔부 사이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는 소비파지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가 탈봉작업을 수행할 벌통의 상측에 양봉용 봉솔장치를 직접 설치한 상태로 탈봉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되므로 탈봉작업의 효율성 및 본체의 이동성으로 인한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본체의 봉솔부에 의해 털어내진 벌이 바로 벌통으로 떨어지게 됨므로 별도의 수용체에 벌을 수용한 후, 벌통에 다시 벌을 인입시키는 작업이 생략되어 탈봉작업에 따른 소요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봉용 봉솔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봉용 봉솔장치가 벌통에 안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봉용 봉솔장치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봉용 봉솔장치의 측면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양봉용 봉솔장치를 통과하여 벌통에 수용된 소비를 꺼내는 소비파지체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비파지체를 이용한 작업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양봉용 봉솔장치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며,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봉용 봉솔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봉용 봉솔장치가 벌통에 안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봉용 봉솔장치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봉용 봉솔장치의 측면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양봉용 봉솔장치를 통과하여 벌통에 수용된 소비를 꺼내는 소비파지체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비파지체를 이용한 작업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봉용 봉솔장치는 회전되는 한 쌍의 봉솔부(20)가 구비된 상태로 상기 봉솔부(20)에 의해 소비(2)의 표면에 붙은 벌을 떨어낼 수 있도록 된 양봉용 봉솔장치에 있어서, 상기 봉솔부(20)가 설치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설치되는 설치부(40)와, 상기 본체(10)가 올려져 설치되는 장착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직육면체의 중공형 통체로, 상기 본체(10)의 내측에는 한 쌍의 봉솔부(2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봉솔부(20)는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봉(21)과 그 회전봉의 외주연에 식모된 솔부(22)로 구성된다.
상기 설치부(40)는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박스체로 일측면에는 내부를 개폐하는 개폐도어(41)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설치부(40)의 내부에는 구동신호에 의해 구동하여 상기 봉솔부(2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가 설치되는 데, 상기 구동부는 일측단이 상기 설치부(40)의 내부로 관통되어 노출되는 상기 봉솔부(20)의 회전봉(21)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제1기어구(31)와, 상기 한 쌍의 제1기어구중 어느 하나의 제1기어구에 연결되는 제2기어구(32)와, 상기 제2기어구(32) 및 그 제2기어구(32)가 연결되지 않은 상기 제1기어구(31)에 연결된 상태로 구동모터(34)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기어구(33)로 구성된다.
즉, 상기 구동모터(34)의 구동축에 상기 구동기어구(33)가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하게 되면 한 쌍의 제1기어구(31)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그로 인해 상기 봉솔부(20)가 상호 방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한 쌍의 봉솔부 사이로 소비가 들어 올려지는 경우, 그 소비의 표면에 붙은 벌을 탈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장착부(50)는 상기 본체(10)의 하측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소비(2)가 수용된 벌통(1)의 상측에 올려지는 틀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벌통(1)에 대해 살펴보면, 벌통의 좌우폭은 규격화된 소비의 크기에 대응할 수 있도록 일정한 폭으로 규격화되고, 길이방향은 사용환경이나 양봉의 규모 즉 설치되는 소비의 개수에 따라 그 크기를 달리하여 사용자가 편의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벌통의 좌우측은 상기 소비의 양단이 거치되는 방향이며, 상기 벌토의 길이는 다수개의 소비가 일정간격으로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방향임을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와 같은 벌통(1)의 상측에 상기 장착부(50)를 올려 그 장착부(50)의 상측에서 상기 본체(10)가 왕복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장착부(50)는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되 폭방향 일측면이 외측방향으로 개구된 한 쌍의 중공형 레일프레임(51)과, 상기 레일프레임(51)의 일측단과 타측단을 상호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연결프레임(55)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레일프레임(51)은 단면상 "ㄷ"의 형상을 갖는 것으로, 개구된 일측면이 외측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개구된 일측면을 통해 후술되는 상기 이동부재(60)의 왕복롤러(61)가 설치되어 그 레일프레임(51)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된다.
이때, 상기 레일프레임(51)은 상기 소비(2)가 수용된 벌통의 크기에 대응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신축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벌통(1)의 좌우 폭은 일정하나 길이방향의 길이가 다양함으로 상기 벌통(1)의 상측단에 올려지는 상기 레일프레임(51)이 길이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벌통(1)의 길이에 용이하게 대응하여 그 벌통의 상측에 올려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레일프레임(51)의 일 실시예를 간략히 살펴보면, 먼저 일정길이를 갖는 단면상 "ㄷ" 형상의 설치프레임(52)와, 상기 설치프레임(52)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상태로 그 설치프레임의 내측에 수용되어 필요에 따라 상기 설치프레임(52)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이동프레임(53)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레일프레임(51)을 설치프레임(52)과 이동프레임(53)으로 구성하여 상기 이동프레임(53)이 상기 설치프레임(52)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됨으로써 상기 레일프레임(51)의 길이가 변화될 수 있도록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레일프레임(51)이 길이방향으로 신축가능한 구조를 갖음으로써 그 레일프레임(51)의 길이가 변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본체(10)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장착부(50)의 상측에 상기 이동부재(60)를 매개로 연결되게 설치되어 그 장착부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본체(10)가 상기 장착부(50)의 상측에 설치되어 왕복이동가능하도록 하는 이유는, 상기 본체(10)가 상기 벌통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다수개의 소비를 순차적으로 들어올려 탈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이동부재(60)는 상기 레일프레임(51)의 내측에 설치되어 그 레일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왕복롤러(61)와, 일측이 상기 왕복롤러(61)에 연결된 상태로 타측이 상기 본체(10)에 결합되는 연결편(63)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왕복롤러(61)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본체(10)가 상기 레일프레임(51)의 상측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더욱 자연스러운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10)이 하측에는 차단편(15)이 설치되는데, 그 차단편은 상기 본체(10)의 하측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본체(10)와 상기 레일프레임(51) 사이의 공간을 차단하여 소비에 붙은 벌의 인입을 방지하는 것이다.
즉, 벌통의 내측에 설치된 소비를 들어올려 상기 본체(10)에 설치된 봉솔부(20)에 의해 탈봉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소비에서 떨어진 벌이 상기 본체(10)와 레일프레임(51) 사이의 공간에 끼워지거나 인입되어 상기 본체(10)의 이동시 죽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인 것이다.
또한, 상기 벌통(1)의 내측에 수용된 소비(2)를 상기 한 쌍의 봉솔부 사이로 들어올리는 경우, 소비파지체(70)를 이용하여 들어올리게 되는데, 상기 소비파지체(70)는 상기 본체(10)에 설치된 한 쌍의 봉솔부(20) 사이로 일측을 인입하여 상기 벌통(1)에 수용된 소비를 물어 상기 한 쌍의 봉솔부 사이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작업자가 손으로 상기 소비를 들어올리게 되면 상기 봉솔부(20)에 묻어 있는 밀랍이나 꿀이 작업자의 신체에 들러붙게 되어 장시간 작업시 상당한 불편함을 초래할 뿐 아니라 상기 봉솔부 사이로 손을 밀어 넣어 상기 소비(2)를 들어올리는 경우 또한 상당한 불편함을 초래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소비파지체(70)를 이용하여 상기 소비(2)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소비파지체(70)는 고정가압대(80)와 유동가압대(90)를 'X'자로 설치한 상태로 상호 일정간격을 두고 대칭되게 설치되는 제1,2집게(71,72)와, 상기 고정가압대(80)와 유동가압대(90)의 상단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대(73)와, 상기 고정가압대(80)와 상기 유동가압대(90)에 양측이 연결되어 상기 제1,2집게(71,72)가 접혀진 후, 탄성에 의해 다시 벌어질 수 있도록 하는 탄성스프링(7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유동가압대(90)에는 호 형상의 제한공(9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가압대(80)에는 상기 제한공(91)에 끼워지게 설치되어 상기 제1,2집게(71,72)가 접혀진 후, 상기 탄성스프링(74)의 탄성에 의해 펴지는 경우, 그 제1,2집게(71,72)의 벌어진 각을 제한하도록 하는 제한돌기(81)가 형성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연결대(73)를 파지하게 되면 상기 제1,2집게(71,72)가 접혀지게 되는 것이고, 상기 연결대(73)의 파지 상태를 해제하게 되면 상기 탄성스프링(74), 제한공(91) 및 제한돌기(81)에 의해 일정한 각도로 벌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2집게(71,72)의 고정가압대(80) 및 유동가압대(90)의 하부에는 파지홈(85)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소비파지체(70)의 사용상태를 간략히 살펴보면, 상기 파지홈(85)이 형성된 상기 제1,2집게(71,72)의 일측을 상기 한 쌍의 봉솔부(20)사이를 통해 상기 벌통(1)의 내측으로 인입한다.
이후, 상기 연결대(73)를 파지함으로써 소비(2)의 상측을 물게 되고, 그런 상태로 들어올리게 되면 상기 소비(2)의 표면에 붙은 벌이 회전되는 봉솔부(20)에 의해 떨어지게 된다.
그후, 상기 소비(2)를 다시 원래의 위치로 밀어 넣은 후, 상기 연결대(73)의 파지 상태를 해제하면 상기 제1,2집게(71,72)가 벌어지게 되고, 그런 상태로 상기 소비파지체(70)의 일측을 상기 본체(10)의 외측으로 빼내면 되는 것이다.
그런 다음, 벌통의 내측에 수용된 다른 소비의 탈봉 작업을 위해 상기 본체(10)를 상기 레일프레임(51)상에서 이동시켜 다른 소비의 상측에 위치시킨 후, 상기 소비파지체(70)를 이용하여 상기와 같은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며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벌통 2: 소비
10: 본체 15: 차단편
20: 봉솔부 40: 설치부
41: 개폐도어 50: 장착부
51: 레일프레임 55: 연결프레임
60: 이동부재 61: 왕복롤러
63: 연결편 70: 소비파지체
71: 제1집게 72: 제2집게
73: 연결대 74: 탄성스프링
80: 고정가압대 81: 제한돌기
90: 유동가압대 91: 제한공

Claims (6)

  1. 회전되는 한 쌍의 봉솔부가 구비된 상태로 상기 봉솔부에 의해 소비의 표면에 붙은 벌을 떨어낼 수 있도록 된 양봉용 봉솔장치에 있어서,
    상기 봉솔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중공형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내부에 구동신호에 의해 구동하여 상기 봉솔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가 설치된 박스체의 설치부; 및
    상기 본체의 하측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소비가 수용된 벌통의 상측에 올려지는 틀체의 장착부;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본체는 상기 장착부의 상측에 이동부재를 매개로 연결되게 설치되어 그 장착부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봉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되 폭방향 일측면이 외측방향으로 개구된 한 쌍의 중공형 레일프레임과, 상기 레일프레임의 일측단과 타측단을 상호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연결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레일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어 그 레일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왕복롤러와, 일측이 상기 왕복롤러에 연결된 상태로 타측이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연결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봉솔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일측단이 상기 설치부로 관통되어 노출되는 상기 봉솔부의 회전봉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제1기어구와, 상기 한 쌍의 제1기어구중 어느 하나의 제1기어구에 연결되는 제2기어구와, 상기 제2기어구(32) 및 그 제2기어구(32)가 연결되지 않은 상기 제1기어구에 연결된 상태로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기어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봉솔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측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본체와 상기 레일프레임 사이의 공간을 차단하여 소비에 붙은 벌의 인입을 방지하는 차단편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봉솔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프레임은, 상기 소비가 수용된 벌통의 크기에 대응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신축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봉솔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설치된 한 쌍의 봉솔부 사이로 일측을 인입하여 상기 벌통에 수용된 소비를 물어 상기 한 쌍의 봉솔부 사이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는 소비파지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봉솔장치.
KR1020140024441A 2014-02-28 2014-02-28 양봉용 봉솔장치 KR201501024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441A KR20150102497A (ko) 2014-02-28 2014-02-28 양봉용 봉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441A KR20150102497A (ko) 2014-02-28 2014-02-28 양봉용 봉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2497A true KR20150102497A (ko) 2015-09-07

Family

ID=54243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4441A KR20150102497A (ko) 2014-02-28 2014-02-28 양봉용 봉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249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06260A (zh) * 2016-08-04 2016-11-16 正安县正江蜜蜂养殖场 一种摇蜜方法
KR20180054182A (ko) * 2016-11-15 2018-05-24 이미옥 자동 탈봉기
US20220201986A1 (en) * 2019-09-20 2022-06-30 Hyuk Jeong Automatic bee separation device
US20220369602A1 (en) * 2019-09-24 2022-11-24 Beewise Technologies Ltd. Structures and methods for removal of frames from beehives and a bee-gate
US11991993B2 (en) 2017-11-13 2024-05-28 Beewise Technologies Ltd Autonomous beehives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06260A (zh) * 2016-08-04 2016-11-16 正安县正江蜜蜂养殖场 一种摇蜜方法
CN106106260B (zh) * 2016-08-04 2019-02-15 正安县正江蜜蜂养殖场 一种摇蜜方法
KR20180054182A (ko) * 2016-11-15 2018-05-24 이미옥 자동 탈봉기
US11991993B2 (en) 2017-11-13 2024-05-28 Beewise Technologies Ltd Autonomous beehives
US20220201986A1 (en) * 2019-09-20 2022-06-30 Hyuk Jeong Automatic bee separation device
US11778988B2 (en) * 2019-09-20 2023-10-10 Hyuk Jeong Automatic bee separation device
US20220369602A1 (en) * 2019-09-24 2022-11-24 Beewise Technologies Ltd. Structures and methods for removal of frames from beehives and a bee-ga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02497A (ko) 양봉용 봉솔장치
KR200475229Y1 (ko) 휴대용 탈봉장치
KR200460083Y1 (ko) 채밀작업용 탈봉기
KR20120045211A (ko) 양봉용 자동 탈봉장치
ES2728512T3 (es) Dispositivo para arrancar pelos muertos de la piel de un perro
CN107647442B (zh) 一种食用菌上料装置
CN109529069A (zh) 应用于服装零售店的服装消毒除尘设备及消毒除尘方法
KR20120129715A (ko) 양봉용 자동 탈봉장치
CN111074013B (zh) 一种皮革开槽后修平装置
KR101211561B1 (ko) 양봉용 자동 봉솔장치
CN107347704A (zh) 一种牵引带长度可调节的装置
CN207573966U (zh) 一种带有果实导向机构的果实采摘器
CN107836495A (zh) 一种杀猪用固定装置
CN203289908U (zh) 采茶机
WO2016085242A1 (ko) 적과장치
KR101722214B1 (ko) 휴대용 양봉 봉솔장치
KR20160002897U (ko) 벌통에서 소비판을 인출하기 위한 집게
CN205462355U (zh) 一种采血标本旋转收集盘
KR101244803B1 (ko) 자동 원형 봉 브러시장치
CN112042551B (zh) 一种羊毛梳理装置
CN210642079U (zh) 一种无污染灭蝇装置
KR200474636Y1 (ko) 채밀용 탈봉장치
US9877815B1 (en) Electric flossing device
CN107647452B (zh) 一种食用菌刮削机构
CN111919592A (zh) 一种能辅助消灭茶蚕的自动采茶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