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4614B1 - 수용액내 암모니아성질소의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수용액내 암모니아성질소의 측정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44614B1 KR101244614B1 KR1020100124990A KR20100124990A KR101244614B1 KR 101244614 B1 KR101244614 B1 KR 101244614B1 KR 1020100124990 A KR1020100124990 A KR 1020100124990A KR 20100124990 A KR20100124990 A KR 20100124990A KR 101244614 B1 KR101244614 B1 KR 1012446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nochloramine
- content
- aqueous solution
- ammonia nitrogen
- dichloramin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G01N33/188—Determining the state of nitrification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7/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weighing material of special form or property
- G01G17/04—Apparatus for or methods of weighing material of special form or property for weighing fluids, e.g. gases, past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5/00—Analysing materials by weighing, e.g. weighing small particles separated from a gas or liqu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용액내 암모니아성질소의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수용액내 모노클로라민과 디클로라민의 양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 암모니아성질소의 함량을 빠르고 정확하게 측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염소 사용량을 줄이고, 소독부산물 제거에 투입되는 약품 및 시설에 대한 투자를 줄임으로써 비용 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용액내 암모니아성질소의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수용액내 모노클로라민과 디클로라민의 양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 암모니아성질소의 함량을 빠르고 정확하게 측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암모니아성질소는 수중에 용해되어 있는 암모늄염을 질소량으로 나타낸 것으로, 자연계에 존재하는 암모니아성질소는 유기물이 부패하면서 동시에 발생하는 CO2와 결합하여 (NH4)2CO3형으로 존재하고, 빗물 등의 암모니아성질소는 미량의 탄산염으로 존재하며, 또한 대기오염지역에서 SO2의 양이 많은 경우에는 (NH4)2SO4의 형을 포함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물이 유기성 질소로 오염된 경우 점차 부패, 발효, 산화 등에 의하여 분해되어 우선 암모니아를 생성하므로 암모니아성질소는 물의 오염도를 나타내는 하나의 지표로 쓰이고 있다.
최근, 갈수기에 초기강우에 의한 암모니아성질소가 원수로 유입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므로, 급변하는 원수수질에 즉각적인 대처가 필요하다. 원수내 암모니아성질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파과점 염소주입(Breakpoint Chlorination)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파과점 염소주입 방법은 원수에 파과점 이상으로 염소를 주입하여 암모니아성질소를 산화시켜 질소 가스나 기타 안정된 화합물로 바꾸는 방법이다. 따라서, 암모니아성질소의 완전파과처리를 위한 염소요구량을 정확하게 산정하기 위하여, 수중 암모니아성질소의 농도를 빠르고 정확하게 측정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현재 널리 이용되고 있는 암모니아성질소의 분석방법으로는 흡광광도법(인도페놀법) 및 이온전극법이 있다. 흡광광도법은 암모니아성질소가 차아염소산나트륨의 존재하에 모노클로라민과 반응한 후, 페놀과 반응하여 생성되는 인도 페놀의 청색을 640nm에서 측정하는 방법이며, 비교적 깨끗한 하천수에 많이 적용되고 있다. 흡광광도법은 온라인 및 오프라인으로 계측 가능하지만, 분석시간이 1시간 이상 소요되며, 전염소처리한 원수를 분석하는 경우 모노클로라민이 발해물질로 작용하여 오차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이온전극법은 시료에 수산화나트륨을 넣고 pH를 11~13으로 조정하여 암모늄이온을 암모니아로 변화시킨 다음 암모니아 이온전극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온전극법도 온라인 및 오프라인으로 계측 가능하지만, 온라인 측정시 12분 이상이 소요되어 급변하는 원수수질에 대처하기 힘들고, 저수온이나 저농도인 경우 오차가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암모니아성질소의 함량을 빠르고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새로운 분석 방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자는 수용액내 모노클로라민과 디클로라민의 양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 암모니아성질소의 함량을 빠르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수내 암모니아성질소의 양을 빠르고 정확하게 측정하여, 염소 사용량을 최적화하고 소독부산물의 생성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염소 사용량을 줄이고, 소독부산물 제거에 투입되는 약품 및 시설에 대한 투자를 줄임으로써 비용 절감효과가 크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용액내 암모니아성질소의 함량을 측정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수용액내 유리잔류염소의 함량을 측정하는 단계(I);
수용액내 유리잔류염소와 모노클로라민의 합량을 측정하는 단계(II);
수용액내 유리잔류염소, 모노클로라민 및 디클로라민의 합량을 측정하는 단계(III);
상기 I, II 및 III단계에서 측정된 합량으로부터 수용액내 모노클로라민 및 디클로라민의 함량을 각각 산출하는 단계(IV); 및
상기 IV단계에서 산출된 모노클로라민 및 디클로라민의 함량을 화학양론적으로 해석하여 암모니아성질소의 함량을 산출하는 단계(v)를 포함한다.
총잔류염소는 유리잔류염소와 결합잔류염소의 합으로 표현된다. 유리잔류염소는 수중에 존재하는 염소의 HOCI 또는 OCI-형태를 의미하고, 결합잔류염소는 염소가 수중의 암모니아성질소와 반응하여 존재하는 클로라민 형태를 의미한다. 클로라민의 대표적인 형성반응은 다음과 같다:
·Cl2 + H2O → HOCl + HCl
·NH3 + HOCl → NH2Cl(모노클로라민) + H2O : pH 7.5-8.3 (식 1)
·NH2Cl + HOCl → NHCl2 (디클로라민) + H2O : pH 5.0-6.5 (식 2)
·NHCl2 + HOCl → NCl3 (트리클로라민) + H2O : pH 4 이하 (식 3)
pH 7에서 모노클라라민과 디클로라민은 거의 같은 양으로 존재하지만, 트리클로라민은 거의 생성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단계(I)에서, 수용액내 유리잔류염소의 함량은 N,N-디에틸페닐렌 디아민(DPD)을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계(I)에서, 수용액은 지표수, 지하수, 수돗물, 하천수, 호수수, 생활용수, 오염된 물, 식음수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계(I)에서, 수용액은 염소 처리된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단계(II)에서, 수용액내 유리잔류염소와 모노클로라민의 합량은 단계(Ⅰ)에서 유리잔류염소를 측정한 후 추가로 요오트칼륨(KI)을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계(III)에서, 수용액내 유리잔류염소, 모노클로라민 및 디클로라민의 합량은 DPD을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계(IV)에서, I, II 및 III단계에서 측정된 합량으로부터 수용액내 모노클로라민 및 디클로라민의 함량을 산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디클로라민의 함량: 단계(III)의 유리잔류염소, 모노클로라민 및 디클로라민의 합량 - 단계(II)의 유리잔류염소 및 모노클로라민의 합량
·모노클로라민의 함량: 단계(II)의 유리잔류염소 및 모노클로라민의 합량 - 단계(I)의 유리잔류염소의 양
본 발명의 단계(V)에서, IV단계에서 산출된 모노클로라민 및 디클로라민의 함량을 화학양론적으로 해석하여 암모니아성질소의 함량을 산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식 1 : NH3 + HOCl → NH2Cl + H2O 이므로
질소 : 모노클로라민 = 14 : 51.5 이고,
·식 2 : NH2Cl + HOCl → NHCl2 + H2O 이므로
모노클로라민 : 디클로라민 = 51.5 : 86 이다.
따라서, 암모니아성질소의 함량은 하기의 계산식으로부터 산출될 수 있다:
NH3-N = 0.272 {모노클로라민 + (0.598 X 디클로라민)} (계산식 1)
원수내 암모니아성질소의 양을 빠르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므로, 염소 사용량을 최적화하고 소독부산물의 생성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암모니아성질소가 저농도(0.05mg/L이하)로 유입되는 경우에도 측정이 가능하다.
도 1은 본원발명과 종래 분석법을 비교한 분석 흐름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비교예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시료는 서울시 소재 풍납취수장에서 채취하였다. 상기 시료내 암모니아성질소의 함량을 수질오염공정시험법 제11항에 따른 인도페놀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측정된 암모니아성질소의 함량은 0.38mg/L이었다.
2. 실시예
단계(I)
서울시 소재 풍납취수장에서 채취한 시료의 암모니아성질소의 함량을 인도페놀법에 의해 측정한 후(0.38 mg/L)를 암모니아성질소농도의 10배로 염소 처리하였다. 염소처리된 시료에 DPD을 첨가한 후, 잔류염소계측기 (HACH사 us/4670000)를 사용하여 유리잔류염소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유리잔류염소의 함량은 0.22mg/L이었다.
단계(
II
)
단계 I의 혼합물에 1000mg/L의KI 약 0.5ml를 첨가하여 유리잔류염소와 모노클로라민의 합량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유리잔류염소와 모노클로라민의 합량은 1.02mg/L이었다.
단계(
III
)
단계(II)의 혼합물에 DPD를 첨가하여 유리잔류염소, 모노클로라민, 및 디클로라민의 합량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유리잔류염소, 모노클로라민, 및 디클로라민의 합량은 2.03mg/L이었다.
단계(
IV
)
상기 단계(I) 내지 단계(III)으로부터 측정된 값으로부터 모노클로라민 및 디클로라민의 함량을 산출하였다. 산출된 모노클로라민과 디클로라민의 함량은 다음과 같았다:
·모노클로라민 : 1.02mg/L 0.22mg/L = 0.80mg/L
·디클로라민 : 2.03mg/L 1.02mg/L = 1.01mg/L
단계(V)
단계(IV)의 모노클로라민과 디클로라민의 함량을 이용하여 암모니아성질소의 함량을 계산식 1에 따라 산출하였다. 산출된 암모니아성질소의 함량은 다음과 같다:
·NH3-N = 0.272 {0.08 + (0.598 X 1.01)} = 0.3818mg/L
시간 경과 및 염소주입농도에 따른
암모니아성질소의
함량 측정
상기의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염소주입농도를 달리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암모니아성질소의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정확도는 98%로 나타났으며, 상대표준편차는 4.0%이었다.
3. 결과
원수내 암모니아성질소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종래의 인도페놀법을 사용한 경우 0.38 mg/L로 측정되었고, 본원발명에 따른 방법을 사용한 경우에도 약 0.38 mg/L로 측정되었다. 본원발명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한 경우, 온라인 계측시 약 2.5분 내에 암모니아성질소의 함량을 알 수 있었다.
본원발명에 따라 원수내 암모니아성질소의 양을 빠르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므로, 염소 사용량을 최적화하여 소독부산물의 생성을 최소화시킬 수 있었다. 앞으로, 염소 사용량을 줄이고, 소독부산물 제거에 투입되는 약품 및 시설에 대한 투자를 줄임으로써 비용 절감의 효과가 기대된다.
Claims (5)
- 수용액내 암모니아성질소의 함량을 측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수용액내 유리잔류염소의 함량을 측정하는 단계(I);
수용액내 유리잔류염소와 모노클로라민의 합량을 측정하는 단계(II);
수용액내 유리잔류염소, 모노클로라민 및 디클로라민의 합량을 측정하는 단계(III);
상기 I, II 및 III단계에서 측정된 합량으로부터 수용액내 모노클로라민 및 디클로라민의 함량을 각각 산출하는 단계(IV); 및
상기 IV단계에서 산출된 모노클로라민 및 디클로라민의 함량을 하기의 식에 대입하여 암모니아성질소의 함량을 산출하는 단계(v)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NH3-N = 0.272 {모노클로라민의 함량 + (0.598 X 디클로라민의 함량)}. - 제1항에 있어서, 수용액내 유리잔류염소의 함량은 N,N-디에틸페닐렌디아민(DPD)을 사용하여 측정되는 것인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수용액내 유리잔류염소와 모노클로라민의 합량은 요오드칼륨(KI)을 사용하여 측정되는 것인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수용액내 유리잔류염소, 모노클로라민 및 디클로라민의 합량은 N,N-디에틸페닐렌디아민(DPD)을 사용하여 측정되는 것인 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24990A KR101244614B1 (ko) | 2010-12-08 | 2010-12-08 | 수용액내 암모니아성질소의 측정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24990A KR101244614B1 (ko) | 2010-12-08 | 2010-12-08 | 수용액내 암모니아성질소의 측정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63838A KR20120063838A (ko) | 2012-06-18 |
KR101244614B1 true KR101244614B1 (ko) | 2013-03-25 |
Family
ID=46684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24990A KR101244614B1 (ko) | 2010-12-08 | 2010-12-08 | 수용액내 암모니아성질소의 측정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4461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6693012A (zh) * | 2023-05-06 | 2023-09-05 | 同济大学 | 一种含氯消毒剂的排水管道溢流污水消毒协同快速除氨氮方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214153A (ja) | 1999-01-27 | 2000-08-04 | Suido Kiko Kaisha Ltd | 全残留塩素測定用ヨウ化カリウム試薬 |
JP2001349866A (ja) * | 2000-06-06 | 2001-12-21 | Dkk Toa Corp | 残留塩素測定装置 |
US7438796B2 (en) * | 2006-08-28 | 2008-10-21 | Hach Company | Electrochemical chlorine sensor |
-
2010
- 2010-12-08 KR KR1020100124990A patent/KR10124461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214153A (ja) | 1999-01-27 | 2000-08-04 | Suido Kiko Kaisha Ltd | 全残留塩素測定用ヨウ化カリウム試薬 |
JP2001349866A (ja) * | 2000-06-06 | 2001-12-21 | Dkk Toa Corp | 残留塩素測定装置 |
US7438796B2 (en) * | 2006-08-28 | 2008-10-21 | Hach Company | Electrochemical chlorine sens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63838A (ko) | 2012-06-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Pinkernell et al. | Methods for the photometric determination of reactive bromine and chlorine species with ABTS | |
Yang et al. | Formation of disinfection by-products after pre-oxidation with chlorine dioxide or ferrate | |
Adam et al. | Hypochlorous acid decomposition in the pH 5-8 region | |
Uyak et al. | Seasonal variations of disinfection by-product precursors profile and their removal through surface water treatment plants | |
Demutskaya et al. | Photometric determination of ammonium nitrogen with the nessler reagent in drinking water after its chlorination | |
Pan et al. | Total organic iodine measurement: A new approach with UPLC/ESI-MS for off-line iodide separation/detection | |
Brandao et al. | Development of a simple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nitrite and nitrate in groundwater by high-resolution continuum source electrothermal molecular absorption spectrometry | |
CN106680228A (zh) | 一种紫外‑可见分光光度法快速测定水中有效氯的方法 | |
Song et al. | Determination of rapid chlorination rate constants by a stopped-flow spectrophotometric competition kinetics method | |
JP4944740B2 (ja) | 亜塩素酸イオンの測定方法 | |
Laszakovits et al. | Diethyl phenylene diamine (DPD) oxidation to measure low concentration permanganate in environmental systems | |
Wang et al. | Factors influencing the formation of chlorination brominated trihalomethanes in drinking water | |
Hollowell et al. | Selective determination of chlorine dioxide using gas diffusion flow injection analysis | |
Duirk et al. | Modeling dichloroacetic acid formation from the reaction of monochloramine with natural organic matter | |
CN101532998B (zh) | 一种检测生活饮用水中二氧化氯含量的方法 | |
KR101244614B1 (ko) | 수용액내 암모니아성질소의 측정방법 | |
US20150285779A1 (en) | Kinetic chlorine measurement | |
Galil et al. | A simple and rapid spectrophotometric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nitrite by its decolorizing effect on peroxovanadate complex | |
JP6777915B2 (ja) | 分析方法および分析装置 | |
Chiswell et al. | Spectrophotometric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chlorite and chlorate | |
Hosseini et al. | Spectrophotometric determination of chlorate ions in drinking water | |
Kinani et al. | A Critical Review on Chemical Speciation of Chlorine-Produced Oxidants (CPOs) in Seawater. Part 2: Sampling, Sample Preparation and Non-Chromatographic and Mass Spectrometric-Based Methods | |
Xia et al. | Ammonia nitrogen speciation analysis in aquatic environments | |
Zhong et al. | Determination of hexavalent chromium in solid waste hypochlorite treated leachates by headspace gas chromatography | |
Johnson et al. | Photolytic spectroscopic quantification of residual chlorine in potable water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