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4424B1 - 지폐 감별 장치 - Google Patents

지폐 감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4424B1
KR101244424B1 KR1020120010292A KR20120010292A KR101244424B1 KR 101244424 B1 KR101244424 B1 KR 101244424B1 KR 1020120010292 A KR1020120010292 A KR 1020120010292A KR 20120010292 A KR20120010292 A KR 20120010292A KR 101244424 B1 KR101244424 B1 KR 101244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light source
bill
open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0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옥유승
Original Assignee
(주)유일뱅킹앤시큐리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일뱅킹앤시큐리티 filed Critical (주)유일뱅킹앤시큐리티
Priority to KR1020120010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44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4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4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20Testing patterns thereon
    • G07D7/202Testing patterns thereon using pattern matching
    • G07D7/206Matching template patter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0007Image acquisi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1Testing electronic circuits therei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6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using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7D7/12Visible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07/00Paper-money test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Abstract

지폐 감별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감별 장치는, 지폐가 투입되는 개구부, 상기 지폐의 촬영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지폐의 감별 포인트 및 방법을 안내 매뉴얼로 상기 표시부에 제공하는 분석부, 및 상기 개구부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지폐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부는, 상기 지폐의 전면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 및 상기 지폐의 특정 영역을 확대 촬영하는 제2 카메라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폐 감별 장치{The device for determining the paper money}
본 발명은 지폐 감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카메라 및 복수의 광을 이용하여 위조 지폐 여부를 용이하게 감별할 수 있는 지폐 감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성능 칼라 복사기 및 칼라 프린터 등이 개발됨에 따라 지폐, 문서, 상품권, 수표 등을 위조하는 것이 용이해지면서 위조 지폐에 대한 문제가 사회적으로 큰 물의를 일으키고 있다.
위조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진폐와 위폐를 육안으로 구분하기 어려워 위폐와 진폐를 구분하기 위해 자외선, 적외선 등의 빛을 비추어 가시광선을 통해서 보이지 않았던 문자 및 문양을 나타나게 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즉, 현재 유통되고 있는 다수의 지폐에는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특수 감광 물질을 잉크로 사용한 인쇄마크가 표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인쇄마크는 특수 감광 물질에 반응하는 파장의 빛을 비추었을 때 나타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위폐 감별의 경우, 한 장의 위폐에 복수의 감별 포인트가 존재하므로, 각 감별 포인트에 대한 고유의 감별 수단을 돌아가면서 검사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점에 착안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각 지폐에 대한 감별을 한 장치 내에서 진행할 수 있는 지폐 감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복수의 카메라 유닛을 이용하여 다양한 지폐의 이미지를 확인함으로써, 위폐 등의 검출을 이용하게 수행할 수 있는 지폐 감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개구부를 차단하는 커버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지폐 감별시 광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인체에 유해한 자외선 등을 차단할 수 있는 지폐 감별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감별 장치는, 지폐가 투입되는 개구부, 상기 지폐의 촬영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지폐의 감별 포인트 및 방법을 안내 매뉴얼로 상기 표시부에 제공하는 분석부, 및 상기 개구부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지폐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부는, 상기 지폐의 전면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 및 상기 지폐의 특정 영역을 확대 촬영하는 제2 카메라를 포함한다.
상기 광원부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광원은 자외선 광원, 적외선 광원 또는 화이트 광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광원은 870nm 내지 950nm 파장일 수 있다.
상기 지폐 감별 장치는, 상기 감별 포인트에 대응하는 복수의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센서는, 상기 지폐의 마그네틱 잉크 사용 여부를 감지하는 마그네틱 센서, 상기 지폐의 UV 잉크의 사용 여부를 감지하는 UV 센서 또는 상기 지폐의 형광 잉크의 사용 여부를 감지하는 광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광원은 상기 개구부의 내측 측면에 형성되는 측면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광원은 상기 지폐의 볼록인쇄 영역에 음영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분석부는 상기 감별 포인트 별 상기 촬영 이미지를 미리 저장된 기준 이미지와 비교하여 분석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분석부는, 상기 촬영 이미지 또는 상기 분석 데이터를 외부의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분석부는, 상기 외부의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촬영 이미지 또는 상기 분석 데이터에 기초한 상기 지폐의 판독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지폐의 전체 영역이 상기 개구부의 바닥면과 밀착되도록 상기 지폐의 상면을 가압하는 투명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와 인접하게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광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커버부재의 개폐 상태에 따라 상기 복수의 광원을 점등 또는 멸등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보다 상세한 예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 부분에서 후술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폐별 복수의 감별 포인트를 포함하여 한 장치 내에서 수행함으로써 감별에 소요되는 시간 및 노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지폐별 감별 포인트에 대한 안내를 표시함으로써 감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감별 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외부 은행 등의 중앙 서버와 연계되어 송수신하여 지폐별 히스토리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다양한 지폐 이미지를 촬영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지폐를 식별할 수 있으며, 측면 광원을 이용함으로써 지폐의 볼록인쇄 영역에 음영을 형성하여 볼록인쇄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지폐를 가압하는 투명패널을 구비함으로써, 구겨진 지폐를 투입하더라도 선명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으며, 정밀한 식별이 가능해진다.
또한, 개구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커버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지폐 감별시 인체 특히 눈에 유해한 자외선 등을 차단할 수 있으며, 커버부재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광센서를 이용함으로써 커버부재가 개방된 경우 광원이 점등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감별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지폐 감별 장치의 안쪽 상단의 구성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지폐 감별 장치의 안쪽 상단 및 안쪽 측면의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석부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의 분석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b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감별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감별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지폐 감별 장치의 안쪽 상단의 구성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지폐 감별 장치의 안쪽 상단 및 안쪽 측면의 사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감별 장치는 하우징(100), 제어판(210) 및 표시부(31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면에 지폐를 투입할 수 있는 개구부(110)를 포함한다. 이때, 하우징(100)은 개구부(110)를 개폐할 수 있는 커버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광원은 자외선 광원을 포함할 수 있는데, 자외선은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끼칠 수 있으므로, 이를 차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커버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지폐가 개구부(1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지폐 감별 시에 광원으로부터 발생한 자외선 등을 차단할 수 있다.
커버부재가 개방된 상태인지 차단된 상태인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도 있으며, 별도의 광센서(미도시)를 구비하여 커버부재의 개폐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광센서에 의해 커버부재의 상태를 감지하여, 개구부(110)를 차단하는 상태인 경우 복수의 광원(120, 125, 130)이 자동으로 점등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으며, 반대로 커버부재에 의해 개구부(110)가 개방된 상태인 경우 복수의 광원(120, 125, 130)이 자동으로 멸등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커버부재에 의해 개구부(110)가 개방된 상태인 경우 사용자가 제어판의 버튼을 이용하여 복수의 광원(120, 125, 130)을 점등하려고 시도하더라도 점등되지 않도록 차단될 수도 있다.
또한, 도 3a, 도 3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100)은 개구부(110) 반대 측면이 막혀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지폐의 크기가 큰 경우, 한번에 지폐를 감별하기 어렵고, 이러한 지폐를 감별하기 위해서 지폐의 제1 부분을 감별하고, 제1 부분과 다른 지폐의 제2 부분을 감별하기 위해서 지폐를 개구부(110) 외부로 빼내었다가 다시 넣어야 하는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개구부(110) 반대쪽이 개방되어 제2 개구부(미도시)를 가지며 개구부(110)와 제2 개구부가 연통되어 있는 하우징(100)의 형태도 가능하다.
하우징(100)의 상면에는 상측 방향으로 개방되는 덮개(300) 내부에 표시부(3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 하단(200)의 일부가 돌출되어 사용자가 누름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버튼을 가지는 제어판(210)이 형성되어 있다. 표시부(310)는 다른 예에서 덮개(300)와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표시부(310)는 액정 표시 장치 또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일 수 있으며, 화면의 크기는 감별 표시 장치의 상면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여기서, 표시부(310)는 이미지 및/또는 텍스트를 보여줄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표시부(310)는 촬영부(140)에 의해 획득된 복수의 영상을 동시에 표시하도록 화면이 소정 개수만큼 분할될 수도 있으며, 분석부(150)로부터 제공된 지폐의 감별 포인트 및 방법에 대한 안내 매뉴얼 화면을 제공받아서 화면 상의 일부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러한 하우징(100)은 개구부(110) 안쪽으로 복수의 광원(120, 125, 130) 및 센서를 포함하고 있다. 복수의 광원(120, 125, 130)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으며, 각 광원은 서로 동일한 종류의 광원일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종류의 광원일 수도 있다.
하우징(100)의 개구부(110) 하단은 지폐를 올려놓는 바닥면으로서, 불투명한 지지대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지지대 하부에는 적외선(870 내지 950nm), 자외선 또는 화이트(가시광선) 광원을 포함하는 하부 광원(120)이 형성되어 있으며, 감별 포인트에 따라 선택적으로 발광하여 지폐의 숨은 그림 등을 찾을 수 있다. 이때, 광원으로 LED(light emitting diode)가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폐에 구김이 없는 경우에는 지폐가 지지대에 밀착되어 원하는 이미지를 촬상할 수 있으나, 구김이 많은 헌 지폐의 경우에는 지폐의 양면이 평평하지 않기 때문에, 카메라의 초점이 맞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위폐 등을 식별하는 과정이 수행되기 어렵다.
이를 위해, 지폐의 전체 영역이 개구부(110)의 바닥면과 밀착되도록 지폐의 상면을 가압하는 투명패널(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지폐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지폐를 투명패널로 가압하면, 지폐의 구김 등으로 인한 굴곡이 일시적으로 최소화될 수 있고 투명패널은 빛을 대부분 투과시키기 때문에, 지폐 감별을 위한 지폐의 이미지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투명패널은 투명 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과 같은 투명 플라스틱 소재일 수 있으며, 가압부재의 중량을 높여서 지폐 구김 방지 효과를 높이기 위해 투명 유리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투명패널은 작업자가 수동으로 장착 또는 탈착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며, 커버부재 등과 연결되어 커버부재를 닫으면 투명패널이 지폐와 밀착되는 구조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개구부(110)의 내측 측면(115)에는 적외선, 자외선 또는 화이트(가시광선) 광원을 포함하는 측면광원(125)이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115)에서 빛을 선택적으로 조사하여 지폐의 인쇄 상태 및 지폐의 측면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측면광원(125)은 지폐의 볼록인쇄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측면에서 광을 제공할 경우, 지폐의 특정 영역에 인쇄되어 있는 볼록인쇄 영역에 식별 가능한 음영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표시부(310) 상으로 사용자가 볼록인쇄에 따른 위조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한편, 개구부(110)의 상면은 도 2와 같이 제1 카메라(145) 및 제2 카메라(147)를 포함하는 촬영부(140) 및 상부 광원(130)을 포함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제1 및 제2 카메라(145, 147)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촬영부(140)는 필요에 따라 2개 이상의 카메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1 카메라(145)는 개구부(110)의 상면에 위치하며, 지지대 상의 지폐의 전체를 촬영하여 표시부(310)에 표시하는 것으로서, CCD(charge coupled device)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 카메라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 이미를 센서를 포함한 카메라일 수 있다.
제2 카메라(147)는 제1 카메라(145)의 왼쪽 영역 또는 오른쪽 영역에 형성되어 있고, 제1 카메라(145)와 같이 CCD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 카메라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 이미를 센서를 포함한 카메라일 수 있으며, 지지대 상의 지폐의 특정 영역을 확대 촬영하여 표시부(310)에 표시하는 것이다. 제2 카메라(147)는 10배 이상의 배율로 특정 영역을 촬영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카메라(145) 및 제2 카메라(147)는 카메라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되며 지지대 위의 지폐를 촬영하며, 촬영한 이미지를 전자 신호로 저장하였다가 저장한 전자 신호를 분석부(150)로 전달한다.
촬영부(140)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표시부(310)에 표시하게 되는데, 촬영부(140)는 위치가 가변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외부 포트와 연결되어 마우스와 같은 포인팅 장치(미도시)에 의해 촬영부(140)의 위치가 변경되어 촬영되는 지폐의 부분 확대 영상이 변경될 수 있다.
상부 광원(130)은 적외선, 자외선 또는 화이트(가시광선) 광원이 교대로 형성되어 상면 전체를 둘러싸며 형성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개구부(110) 내에 복수의 센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센서는 마그네틱 센서, 광 센서, 특수잉크 감지 센서, UV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서일 수 있다.
마그네틱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지폐 내에 마그네틱 성질을 가지는 잉크로 인쇄가 되어 있는 경우 감지할 수 있으며, 광 센서의 경우 형광 광원을 이용하여 빛을 조사하고, 지폐 내에 형광 잉크로 인쇄가 되어 있는 경우 반사되는 빛의 파장을 감지함으로써 위폐 여부를 감별할 수 있다.
UV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지폐 내에 UV 잉크 성분을 가지는 잉크로 인쇄가 되어 있는 경우 감지할 수 있으며, 특수잉크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지폐 내에 특수잉크 성분을 가지는 잉크로 인쇄가 되어 있는 경우 감지함으로써 위폐 여부를 감별할 수 있다.
UV 센서를 포함하고, 하우징(100)가 상기에서 언급한 개구부(110)를 닫거나 밀폐할 수 있는 덮개를 포함하는 경우, 지폐를 개구부(110)에 넣고 덮개를 닫았을때, 자동적으로 UV 센서를 동작하게 설정하여 위폐 여부를 감별할 수 있다.
한편, 지폐 감별 장치는 내부에 분석부(150)를 포함하며, 분석부(150)는 복수의 칩을 포함하며, 각각의 광원(120, 125, 130), 카메라 제어부 및 제어판(210)과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하여 각 영역을 제어한다.
또한, 분석부(150)는 외부로부터 지폐의 종류를 인식하면, 해당 지폐의 감별 포인트 및 감별 방법에 대하여 안내하는 매뉴얼을 표시부(310)에 표시한다.
이러한 분석부(150)는 제1 및 제2 카메라(145, 147)로 촬영되고 표시부(310)에 표시된 이미지를 저장하고, 이를 분석하여 지폐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산출한 후, 외부의 중앙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즉, 분석부(150)는 감별 포인트 별로 촬영 이미지를 미리 저장된 기준 이미지와 비교하여 분석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생성된 촬영 이미지 및/또는 분석 데이터를 외부의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의 서버는 이와 같이 수신된 촬영 이미지 및/또는 분석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지폐의 판독결과를 결정하고 이를 다시 분석부(150)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의 서버에서 소정의 알고리즘에 의해 자동으로 이미지를 비교 판독하여 결과를 결정할 수도 있으며, 소정의 감별 전문가가 직접 이미지를 판독하여 결과를 결정할 수도 있다. 판독결과를 수신한 분석부(150)는 상기 판독결과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부(310)에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지폐 감별 장치의 감별 동작에 대하여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석부의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분석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분석부(150)는 입/출력부(151), 이미지 분석부(155) 및 데이터 베이스(153)를 포함한다.
입/출력부(151)는 외부의 중앙 서버(500)와 송수신하며, 지폐 감별 장치 내의 카메라 제어부, 표시부(310), 및 제어판(210) 등과 송수신한다.
데이터 베이스(153)는 지폐별 감별 포인트 및 방법 매뉴얼을 기록하고 있으며, 감별 시 지폐의 촬영 이미지를 저장하고, 분석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미지 분석부(155)는 이미지 분석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여, 매뉴얼에 따라 촬영된 이미지와 감별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여 데이터 베이스(153)에 기록한다.
한편, 중앙 서버(500)는 금융 기관 등의 서버일 수 있으며, 각 지폐 감별 장치로부터 분석 데이터를 수신하는 입/출력부(510), 분석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530) 및 각 지폐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분류하고, 히스토리를 정리하여 관리하는 처리부(550)를 포함한다.
이러한 지폐 감별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사용자가 지폐 감별 장치의 감별을 시작하면, 개구부(110)의 지지대에 감별 대상 지폐를 올려놓고, 해당 지폐의 단위 정보를 제어판(210) 등을 통해 선택한다(S100).
분석부(150)는 지폐 단위가 인식되면 해당 지폐에 대한 감별 포인트 및 감별 방법에 대한 매뉴얼을 선택하여 표시부(310)에 표시하고 감별을 유도한다(S110).
이때, 각 감별 포인트 및 감별 방법에 따라 제어판(210)을 통해 해당 광원 또는 센서를 구동하면서 촬영을 수행한다.
각 감별 포인트마다 촬영이 진행되면, 촬영된 이미지를 표시부(310)에 표시함과 동시에 데이터 베이스(153)에 저장하고, 이미지 분석부(155)는 해당 이미지와 감별 포인트별 기준 이미지를 비교하여(S120), 양 이미지에 대한 차이점을 분석 데이터로 산출하여 데이터 베이스(153)에 기록한다(S130).
입/출력부(151)는 해당 분석 데이터를 중앙 서버(500)로 전송하고(S140), 중앙 서버(500)는 각 지폐에 대한 히스토리 정보를 기록하여 지폐가 감별 장치를 거칠 때마다 분석 데이터를 업데이트함으로써 위조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4)

  1. 지폐가 투입되는 개구부;
    상기 지폐의 촬영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지폐의 감별 포인트 및 방법을 안내 매뉴얼로 상기 표시부에 제공하는 분석부; 및
    상기 개구부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지폐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부는,
    상기 지폐의 전면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 및 상기 지폐의 특정 영역을 확대 촬영하는 제2 카메라를 포함하는 지폐 감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광원은 자외선 광원, 적외선 광원 및 화이트 광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지폐 감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광원은 870nm 내지 950nm 파장인 지폐 감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감별 장치는,
    상기 감별 포인트에 대응하는 복수의 센서를 더 포함하는 지폐 감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서는,
    상기 지폐의 마그네틱 잉크 사용 여부를 감지하는 마그네틱 센서, 상기 지폐의 UV 잉크의 사용 여부를 감지하는 UV 센서 또는 상기 지폐의 형광 잉크의 사용 여부를 감지하는 광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지폐 감별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광원은 상기 개구부의 내측 측면에 형성되는 측면광원을 포함하는 지폐 감별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광원은 상기 지폐의 볼록인쇄 영역에 음영을 형성하는 지폐 감별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감별 포인트 별 상기 촬영 이미지를 미리 저장된 기준 이미지와 비교하여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지폐 감별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촬영 이미지 또는 상기 분석 데이터를 외부의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지폐 감별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외부의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촬영 이미지 또는 상기 분석 데이터에 기초한 상기 지폐의 판독결과를 수신하는 지폐 감별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의 전체 영역이 상기 개구부의 바닥면과 밀착되도록 상기 지폐의 상면을 가압하는 투명패널을 더 포함하는 지폐 감별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와 인접하게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지폐 감별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광센서를 더 포함하는 지폐 감별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광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커버부재의 개폐 상태에 따라 상기 광원부를 점등 또는 멸등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지폐 감별 장치.
KR1020120010292A 2012-02-01 2012-02-01 지폐 감별 장치 KR101244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0292A KR101244424B1 (ko) 2012-02-01 2012-02-01 지폐 감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0292A KR101244424B1 (ko) 2012-02-01 2012-02-01 지폐 감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4424B1 true KR101244424B1 (ko) 2013-03-18

Family

ID=48182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0292A KR101244424B1 (ko) 2012-02-01 2012-02-01 지폐 감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44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48350A1 (en) * 2014-05-29 2015-12-03 Ncr Corporation Currency valid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9029A (ko) * 1999-07-07 2001-02-05 조영환 지폐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KR200249732Y1 (ko) 2001-07-19 2001-11-17 주식회사 청호컴넷 위조지폐 감별기
KR200285318Y1 (ko) 2002-05-16 2002-08-13 기산전자시스템 주식회사 적외선을 이용한 위조지폐 감식장치
KR100866922B1 (ko) 2007-02-22 2008-11-04 대원토질 주식회사 위조지폐식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9029A (ko) * 1999-07-07 2001-02-05 조영환 지폐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KR200249732Y1 (ko) 2001-07-19 2001-11-17 주식회사 청호컴넷 위조지폐 감별기
KR200285318Y1 (ko) 2002-05-16 2002-08-13 기산전자시스템 주식회사 적외선을 이용한 위조지폐 감식장치
KR100866922B1 (ko) 2007-02-22 2008-11-04 대원토질 주식회사 위조지폐식별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48350A1 (en) * 2014-05-29 2015-12-03 Ncr Corporation Currency validation
US10325435B2 (en) 2014-05-29 2019-06-18 Ncr Corporation Currency validation
US10762736B2 (en) * 2014-05-29 2020-09-01 Ncr Corporation Currency valid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15592B (zh) 银行票据检测鉴别的装置和方法
JP4699265B2 (ja) 取引処理装置
CN103493108B (zh) 介质图像检测装置、介质图像检测方法及金融设备
RU2562758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эталонного набора данных класса для классификации ценных документов
CN105321252B (zh) 用于查验安全文件的终端单元和方法、以及终端
JP2007052611A (ja) 真贋判定装置、真贋判定方法及び真贋判定システム
KR101992387B1 (ko) 계수기용 통합센서모듈 구조
KR101244424B1 (ko) 지폐 감별 장치
JP2015180981A (ja) 束状紙葉類の載置状態検出装置及び載置状態検出方法
KR101509399B1 (ko) 신분증 인식기를 이용한 신분증 인식 시스템 및 신분증 인식 방법
KR100871774B1 (ko)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한 위조지폐 감별 장치
KR101117359B1 (ko) 매체 인식장치 및 방법
KR101163591B1 (ko) 지폐 감별 장치
CN100573601C (zh) 伪件检测仪
US201602538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Value Documents
KR20010076926A (ko) 위폐 감별 방법과 이를 이용한 위폐 감별 장치
JP2010257349A (ja) 自動取引装置
JP2015180982A (ja) 異物検出装置及び異物検出方法
JP2003244434A (ja) 書類真偽判別装置およびその方法
CN107767537A (zh) 一种纸币或票据检测设备
CN101807323B (zh) 自动交易装置
KR100873965B1 (ko) 위폐 복합 식별장치
JP2010086386A (ja) 自動取引装置
JP2000113272A (ja) 紙幣鑑別装置
KR100923082B1 (ko) 지폐의 권종 감별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