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4406B1 - 태양광발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태양광발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4406B1
KR101244406B1 KR1020110115385A KR20110115385A KR101244406B1 KR 101244406 B1 KR101244406 B1 KR 101244406B1 KR 1020110115385 A KR1020110115385 A KR 1020110115385A KR 20110115385 A KR20110115385 A KR 20110115385A KR 101244406 B1 KR101244406 B1 KR 101244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unit
light
power generation
sun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5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택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5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4406B1/ko
Priority to US14/356,876 priority patent/US9293621B2/en
Priority to PCT/KR2012/005553 priority patent/WO2013069874A1/ko
Priority to JP2014539863A priority patent/JP5810227B2/ja
Priority to CN201280054637.8A priority patent/CN103931100B/zh
Priority to EP12847515.9A priority patent/EP277925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4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4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52Cooling means directly associated or integrated with the PV cell, e.g. integrated Peltier elements for active cooling or heat sinks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PV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20Optical components
    • H02S40/22Light-reflecting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52Cooling means directly associated or integrated with the PV cell, e.g. integrated Peltier elements for active cooling or heat sinks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PV cells
    • H01L31/0525Cooling means directly associated or integrated with the PV cell, e.g. integrated Peltier elements for active cooling or heat sinks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PV cells including means to utilise heat energy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PV cell, e.g. integrated Seebeck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54Optical elements directly associated or integrated with the PV cell, e.g. light-reflecting means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H01L31/0543Optical elements directly associated or integrated with the PV cell, e.g. light-reflecting means or light-concentrating means comprising light concentrating means of the refractive type, e.g. len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54Optical elements directly associated or integrated with the PV cell, e.g. light-reflecting means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H01L31/0547Optical elements directly associated or integrated with the PV cell, e.g. light-reflecting means or light-concentrating means comprising light concentrating means of the reflecting type, e.g. parabolic mirrors, concentrators using total internal refl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2PV systems with concentr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Mounting And Adjusting Of Optic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태양광발전 시스템은, 외측으로 볼록한 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입사하는 태양광을 집광하는 집광렌즈부를 갖는 집광부; 상기 집광부에 의해 집광된 태양광을 산란하는 산광렌즈부를 갖는 산광부; 및 상기 산광부로부터 산광된 태양광이 조사되어 태양광발전을 수행하는 솔라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태양광발전 시스템{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본 발명은 태양광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집광효율이 향상되고 수직방향으로 적층가능하여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태양광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친환경 에너지 자원으로 여러 가지 대체 에너지가 개발되고 있으며, 태양광 발전은 그 중에서도 주목받는 분야 중에 하나이다. 태양광발전은 발전단가에 영향을 주는 연료비가 소요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대신에, 태양광발전은 부지비용, 설치비용 및 유지보수 비용 등의 높은 비용이 발전단가에 큰 영향을 미친다.
종래 태양광발전은 태양광을 수광하여 발전을 수행하는 솔라패널을 일정범위에 배치하는 방식을 취한다. 구체적으로, 단층형으로 넓은 지역에 솔라패널을 배치하는 방식이 사용된다. 대규모로서 사막 혹은 염전지역에 운영되거나, 소규모로 건물의 지붕에 설치하여 운영된다.
이와 같은 종래 방식은 솔라패널이 평판형이므로 태양광을 수광하는데 한계가 있다. 그 일례로 공개특허공보 제2011-0087134호(공개번호)에는 평판형의 솔라패널이 개시된다. 하편, 종래 방식은 단층형으로 구성하기 때문에 태양광발전설비의 설치를 위한 부지확보에 상당한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태양광의 집광 효율을 높이고, 수직방향으로 적층 가능하여 공간활용도를 높임으로써 태양광 발전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태양광발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발전 시스템은, 외측으로 볼록한 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입사하는 태양광을 집광하는 집광렌즈부를 갖는 집광부; 상기 집광부에 의해 집광된 태양광을 산란하는 산광렌즈부를 갖는 산광부; 및 상기 산광부로부터 산광된 태양광이 조사되어 태양광발전을 수행하는 솔라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집광렌즈부는 상기 집광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볼록렌즈 또는 프리즈넬 렌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집광렌즈부는 상기 집광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볼록렌즈 또는 프리즈넬 렌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산광렌즈부는 오목렌즈, 프리즘렌즈, 또는 로드렌즈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집광부에 의해 집광된 태양광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집광부와 상기 산광부 사이에 커버부가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집광부와 상기 산광부 사이에 상기 집광부에 의해 집광된 태양광을 상기 산광부 측으로 반사시키는 제1 반사판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산광부와 상기 솔라패널 사이에 상기 산광부를 경유한 태양광이 반사되는 제2 반사판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솔라패널이 안착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상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지지기둥과, 상기 지지판의 하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지지기둥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지지기둥은 상기 제1 지지기둥이 삽입되어 적층가능하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발전 시스템은, 태양광의 집광 효율을 높이고, 수직방향으로 적층 가능하여 공간활용도를 높임으로써 태양광 발전 효율을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발전 시스템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분리 사시도,
도3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발전 시스템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4은 집광 및 산광의 프로세스 개념도,
도5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발전 시스템의 적층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6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발전 시스템의 사용상태도
도7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발전 시스템의 단면도,
도8은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발전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발전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3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발전 시스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4은 집광 및 산광의 프로세스 개념도이고, 도5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발전 시스템의 적층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6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발전 시스템의 사용상태도이다.
먼저,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발전시스템은, 집광부(10), 산광부(20), 및 솔라패널(30)을 포함한다.
상기 집광부(10)는 태양광을 집광한다. 상기 집광부(10)는 태양광발전을 위한 솔라패널(30)에 일반광량(1-sun) 이상의 충분한 태양광을 집광시키기 위해서 충분한 면적을 갖는다. 상기 집광부(10)는 외측으로 볼록한 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입사하는 태양광을 집광하는 집광렌즈부(11)가 구비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집광렌즈부(11)는 상기 집광부(10)의 내주면에 형성된 볼록렌즈 또는 프리즈넬 렌즈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집광렌즈부(11)는 집광부(10)의 내주면 전체가 하나의 볼록렌즈를 형성하도록 구성되거나 다수의 곡면을 갖는 볼록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집광부(10)의 내주면에 작은 볼록렌즈가 복수개 조합되어 하나의 집광렌즈부(11)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프레즈넬 렌즈(Fresnel Lens 또는 Fresnel Prismlens 또는 Fresnel Convex Sphere Lens)는 볼록렌즈의 일종이다. 상기 프레즈넬 렌즈의 형상은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가능하다. 집광을 수행하는 형태이면 충분하다. 프레즈넬 렌즈의 특성은 공지된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결국, 상기 집광부(10)는 볼록렌즈를 이용하여 태양광을 집광하는 것으로 요약된다.
또한, 도7을 참조하면, 상기 집광렌즈부(11)는 상기 집광부(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볼록렌즈 또는 프리즈넬 렌즈일 수 있다. 상기 볼록렌즈 또는 프리즈넬 렌즈가 상기 집광부(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경우는, 상술한 상기 볼록렌즈 또는 프리즈넬 렌즈가 상기 집광부(1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동일한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다만, 돔 형의 집광부(10)의 내주면에 집광렌즈부(11)를 형성하고, 외주면을 매끄러운 곡면으로 설계하면 태양광발전 설비의 설치 후 외주면의 유지보수가 간편해진다.
태양광발전 설비의 설치 후에 유지보수에는 상당한 비용이 소요되는데, 외주면에 집광렌즈부(11)를 형성하는 경우에 유지관리가 까다로워 외주면의 세척 등에 소요되는 시간이 과다하고 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산광부(20)는 상기 집광부(10)에 의해 집광된 태양광을 산란시킨다. 상기 산광부(20)는 집광된 태양광에너지를 솔라패널(30)로 산광시키기 위해서 구비된다.
상기 산광부(20)는 상기 집광부(10)에 의해 집광된 태양광을 산란하는 산광렌즈부(21)를 구비한다. 상기 산광렌즈부(21)는 오목렌즈, 프리즘렌즈(prism lens), 또는 로드렌즈(rod lens)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채용된다.
상기 오목렌즈, 프리즘렌즈, 또는 로드렌즈의 형상은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가능하다. 그 형태는 수광을 수행하는 형태이면 충분하다. 프리즘렌즈, 로드렌즈의 특성은 공지된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산광렌즈부(21)는 오목렌즈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산광렌즈부(21)는 상기 집광렌즈부(11)와 대향하는 면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산광렌즈부(21)와 산기 집광렌즈부(11)는 양 렌즈의 초점거리의 합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한편, 도7을 참조하면, 상기 산광렌즈부(21)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는데, 상기 산광렌즈부(21)는 복수의 오목렌즈가 결합되어 하나의 산광부(20)를 구성하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광렌즈부(21)는 그 양면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산광부(20)는 산광렌즈부(21)를 구비하여 집광부(10)에 의해 집광된 태양광을 솔라패널(30) 측으로 산광시킨다.
도4는 태양광이 집광부(10)와 산광부(20)를 경유할 때의 태양광의 진행경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돔 형태의 집광부(10)는 외측에서 들어오는 태양광을 광범위한 범위에서 집광할 수 있다.
프레즈넬 렌즈는 일정한 두께로 형성하더라도 집광시 좋은 성능을 유지한다. 또한 태양의 위치에 무관하게 집광부(10)로 들어오는 태양광은 일정한 방향으로 산광부(20)로 굴절되어 산광부(20)에 충분한 광원을 전달한다.
상기 집광부(10)에 의해 집광된 태양광이 산광부(20)를 거쳐 산광되어 솔라패널(30) 측으로 진행한다. 따라서, 집광부(10)를 평면 형태로 구성하여 집광을 수행하는 것보다 넓은 면적에서의 집광이 가능하고, 산광부(20)를 구비하여 넓게 태양광을 산광시켜 태양광발전이 수행되는 면적을 넓게 확보하게 되므로 태양광발전 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솔라패널(30)은 상기 산광부(20)로부터 산광된 태양광이 조사되어 태양광발전을 수행한다. 상기 솔라패널(30)의 세부 구성은 이미 공지된 구성에 의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솔라패널(30)은 산광부(20)로부터 산광된 태양광을 조사받기 위해서 산광부(20)마다 구비된다. 물론,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솔라패널(30)은 여러 개의 산광부(20)로부터 산광된 태양광을 조사받도록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발전 시스템은 커버부(60), 제1 반사판(40), 제2 반사판(50), 지지판(70), 지1,2 지지기둥(80,90)을 포함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60)는 상기 집광부(10)에 의해 집광된 태양광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집광부(10)와 상기 산광부(2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집광부(10)와 상기 산광부(20) 사이의 공간은 커버부(60)에 의해 밀폐된다.
상기 제1 반사판(40)은 상기 집광부(10)와 상기 산광부(20) 사이에 상기 집광부(10)에 의해 집광된 태양광을 상기 산광부(20) 측으로 반사시키기 위해서 구비된다.
상기 제1 반사판(40)은 상기 커버부(60)의 내주면에 부착되어 상기 집광부(10)를 경유한 태양광을 상기 산광부(20) 측으로 반사시킨다. 상기 제1 반사판(40)으로는 알루미늄 반사판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반사판(50)은 상기 산광부(20)와 상기 솔라패널(30) 사이에 상기 산광부(20)를 경유한 태양광을 반사시키기 위해서 구비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반사판(50)은 상기 솔라패널(30)의 상측에서 상기 솔라패널(30)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곡면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제2 반사판(50)은 상기 산광부(20)를 경유한 태양광이 상기 솔라패널(30)의 상측부로 빠져나갈 때의 손실을 줄이기 위해서 마련된다. 상기 제2 반사판(50)으로는 알루미늄 반사판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70), 지1,2 지지기둥(80,90)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발전 시스템을 수직으로 적층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구비된다.
상기 지지판(70)은 상기 솔라패널(30)이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지지판(70)의 상측에 집광부(10), 산광부(20), 및 솔라패널(30)이 위치한다.
상기 제1 지지기둥(80)은 상기 지지판(70)의 상측방향으로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기둥(80)은 상기 지지판(70)의 모서리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2 지지기둥(90)은 상기 지지판(70)의 하측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2 지지기둥(90)은 상기 제1 지지기둥(80)과 마찬가지로 상기 지지판(70)의 모서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데, 상기 제1 지지기둥(80)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2 지지기둥(90)은 상기 제1 지지기둥(80)이 삽입가능하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지지기둥(90)이 제1 지지기둥(80)에 삽입됨으로써 태양광발전 시스템이 적층 가능하다.
상측에 배치되는 태양광발전 시스템의 제2 지지기둥(90)이 하측에 배치되는 태양광발전 시스템의 제1 지지기둥(80)에 삽입될 때, 하측에 배치되는 태양광발전 시스템의 집광부(10) 및 제2 반사판(50) 등과 간접되지 않도록 설계된다.
이처럼,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발전 시스템은, 돔 형태의 집광부(10)를 이용하여 태양광의 집광을 수행하고 산광부(20)를 통하여 태양광을 산란시켜 솔라패널(30)에 태양광을 조사함으로써 태양광발전을 수행하므로, 집광시 넓은 면적을 확보하여 집광가능하고 산광시 태양광발전을 수행하는 면적을 넓게 확보하여 발전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발전 시스템은, 돔 형태의 집광부(10)를 채용하므로 태양의 궤적을 추적해야하는 장치가 불필요하다. 따라서, 태양의 궤적을 추적하는 추적방식보다 비용이 감소하고, 상기 추적방식 못지 않은 발전효율을 보장한다.
또한, 빛의 굴절현상을 이용하므로,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전체적인 높이를 낮출 수 있으므로 공간활용도가 증가하고, 특히 수직으로 적층할 때 고밀도 적층이 가능하여 발전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킨다.
또한, 종래 솔라패널의 경우에 자연재해 방지를 위해 고가의 이중강화유리를 사용하여 태양광발전설비의 전체적 하중이 증가하고 비용이 증대되는 단점이 있으나,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발전 시스템은 이러한 이중강화유리가 불필요하므로 비용 및 하중을 감소시킨다.
또한,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발전 시스템은 수직으로 적층 가능하므로, 면적대비 발전효율을 현저히 향상되어 발전단가가 되고, 광범위한 부지확보를 위해 소요되는 비용을 감소시킨다.
그리고, 수직으로 적층 가능하므로 설치장소에 구속받지 않는다. 건물의 지붕, 건물벽, 평지 등 다양한 공간에 설치가 가능하다. 도6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발전 시스템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 것인데,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물의 옥상에 수직으로 설치하여 고출력의 발전이 가능하고, 건물의 독립발전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막이나 염전 지역과 같이 도심과 멀리 떨어져 있으면서 용지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지역에 설치하고 송전하여야 하는 태양광발전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발전 시스템은 지지판(70), 지1,2 지지기둥(80,90)을 이용하여 수직적층을 간편하게 하고,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설치하기 위한 구조재의 사용량을 감소시켜 실치비용을 감소시킨다. 종래 단층형의 태양광발전시스템의 경우에 개별적으로 태양광발전시스템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구비하여하는 것에 비하여, 수직적층시 소요되는 지지대의 비용을 절감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집광부(10) 및 산광부(20)의 구성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광부(10)의 집광렌즈부(11)는 집광부(10)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산광부(20)의 산광렌즈부(21)는 복수의 오목렌즈가 결합되어 하나의 산광부(20)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라패널(30)은 복수의 산광부(20)로부터 산광된 태양광을 조사받도록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10... 집광부 11... 집광렌즈부
20... 산광부 21... 산광렌즈부
30... 솔라패널 40... 제1 반사판
50... 제2 반사판 60... 커버부
70... 지지판 80... 제1 지지기둥
90... 제2 지지기둥

Claims (8)

  1. 외측으로 볼록한 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입사하는 태양광을 집광하는 집광렌즈부(11)를 갖는 집광부(10);
    상기 집광부(10)에 의해 집광된 태양광을 산란하는 산광렌즈부(21)를 갖는 산광부(20); 및
    상기 산광부(20)로부터 산광된 태양광이 조사되어 태양광발전을 수행하는 솔라패널(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렌즈부(11)는 상기 집광부(10)의 내주면에 형성된 볼록렌즈 또는 프리즈넬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렌즈부(11)는 상기 집광부(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볼록렌즈 또는 프리즈넬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광렌즈부(21)는 오목렌즈, 프리즘렌즈, 또는 로드렌즈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부(10)에 의해 집광된 태양광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집광부(10)와 상기 산광부(20) 사이에 커버부(60)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부(10)와 상기 산광부(20) 사이에 상기 집광부(10)에 의해 집광된 태양광을 상기 산광부(20) 측으로 반사시키는 제1 반사판(4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광부(20)와 상기 솔라패널(30) 사이에 상기 산광부(20)를 경유한 태양광이 반사되는 제2 반사판(50)이 구비된 것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솔라패널(30)이 안착되는 지지판(70)과, 상기 지지판(70)의 상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지지기둥(80)과, 상기 지지판(70)의 하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지지기둥(90)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지지기둥(90)은 상기 제1 지지기둥(80)이 삽입되어 적층가능하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 시스템.
KR1020110115385A 2011-11-07 2011-11-07 태양광발전 시스템 KR101244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5385A KR101244406B1 (ko) 2011-11-07 2011-11-07 태양광발전 시스템
US14/356,876 US9293621B2 (en) 2011-11-07 2012-07-13 System for generating photovoltaic power
PCT/KR2012/005553 WO2013069874A1 (ko) 2011-11-07 2012-07-13 태양광발전 시스템
JP2014539863A JP5810227B2 (ja) 2011-11-07 2012-07-13 太陽光発電システム
CN201280054637.8A CN103931100B (zh) 2011-11-07 2012-07-13 产生光伏电力的系统
EP12847515.9A EP2779254B1 (en) 2011-11-07 2012-07-13 System for generating photovoltaic pow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5385A KR101244406B1 (ko) 2011-11-07 2011-11-07 태양광발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4406B1 true KR101244406B1 (ko) 2013-03-18

Family

ID=48182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5385A KR101244406B1 (ko) 2011-11-07 2011-11-07 태양광발전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93621B2 (ko)
EP (1) EP2779254B1 (ko)
JP (1) JP5810227B2 (ko)
KR (1) KR101244406B1 (ko)
CN (1) CN103931100B (ko)
WO (1) WO201306987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699B1 (ko) * 2014-03-25 2015-02-10 해오름솔라(주) 태양광 집광렌즈
KR20170002155A (ko) * 2015-06-29 2017-01-06 이종은 태양광 발전장치
KR20240000113A (ko) 2022-06-23 2024-01-02 홍경일 입체형 구조를 이루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5404010B2 (en) * 2015-07-29 2019-08-01 Bolymedia Holdings Co. Ltd. Enclosed solar energy utilization device and system
JP6817380B1 (ja) * 2019-07-02 2021-01-20 株式会社リュウテック 太陽光集光拡散パネル
US10930800B2 (en) * 2019-07-10 2021-02-23 Carrick J. Pierce Modular photovoltaic system
CN115549275A (zh) * 2022-07-13 2022-12-30 新乡市镇华电力科技有限公司 一种高压互感器工作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1515A (ko) * 2003-03-13 2004-09-22 박화랑 태양광 집광 시스템
JP2009037242A (ja) 2007-08-03 2009-02-19 Prodisc Technology Inc 集光装置
KR20110041706A (ko) * 2009-10-16 2011-04-22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층식 고효율 태양광 발전장치
KR20110104487A (ko) * 2008-12-03 2011-09-22 제임스 호프만 태양 에너지 수집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11490A (en) * 1980-08-18 1983-10-25 Maurice Daniel Apparatus for collecting, distributing and utilizing solar radiation
JP2003258291A (ja) * 2001-12-27 2003-09-12 Daido Steel Co Ltd 集光式太陽光発電装置
US20080023060A1 (en) 2004-06-18 2008-01-31 Mihai Grumazescu Apparatus for Distributing Light Energy Particularly for Photovoltaic Conversion
US20090032085A1 (en) * 2004-06-18 2009-02-05 Mihai Grumazescu Apparatus for generating ac electric power from photovoltaic cells
JPWO2009066720A1 (ja) * 2007-11-22 2011-04-07 シャープ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太陽光発電ユニット
CN102113135B (zh) * 2008-05-12 2014-10-22 亚利桑那大学董事会 用于抛物面太阳能反射器的球面成像透镜的光伏发电机
CN101546032B (zh) 2008-06-11 2012-04-11 冯益安 被动式多功能球面或柱面聚光器
KR20100073084A (ko) 2008-12-22 2010-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태양광열 이용장치 및 그 조립방법
EP2221881A1 (en) 2009-01-28 2010-08-25 Progind S.r.L. System for irradiating photovoltaic cells with an electromagnetic radiation and photovoltaic module
CN101630696A (zh) * 2009-07-31 2010-01-20 无锡职业技术学院 太阳能面板调节装置
KR101182832B1 (ko) 2010-01-25 2012-09-14 (주)선케리어코리아 태양광 발전장치
CN102062938A (zh) 2010-08-27 2011-05-18 中国科学院长春光学精密机械与物理研究所 聚光装置及其设计方法、聚光光伏发电装置
CN201994880U (zh) 2011-02-16 2011-09-28 株洲县育红小学 双透镜折射式太阳能发电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1515A (ko) * 2003-03-13 2004-09-22 박화랑 태양광 집광 시스템
JP2009037242A (ja) 2007-08-03 2009-02-19 Prodisc Technology Inc 集光装置
KR20110104487A (ko) * 2008-12-03 2011-09-22 제임스 호프만 태양 에너지 수집 시스템
KR20110041706A (ko) * 2009-10-16 2011-04-22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층식 고효율 태양광 발전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699B1 (ko) * 2014-03-25 2015-02-10 해오름솔라(주) 태양광 집광렌즈
KR20170002155A (ko) * 2015-06-29 2017-01-06 이종은 태양광 발전장치
KR101697505B1 (ko) * 2015-06-29 2017-01-18 이종은 태양광 발전장치
KR20240000113A (ko) 2022-06-23 2024-01-02 홍경일 입체형 구조를 이루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501632A (ja) 2015-01-15
EP2779254A4 (en) 2015-07-01
JP5810227B2 (ja) 2015-11-11
EP2779254B1 (en) 2018-08-22
EP2779254A1 (en) 2014-09-17
WO2013069874A1 (ko) 2013-05-16
CN103931100A (zh) 2014-07-16
US20140338725A1 (en) 2014-11-20
CN103931100B (zh) 2016-09-28
US9293621B2 (en) 201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4406B1 (ko) 태양광발전 시스템
KR102115394B1 (ko) 햇빛전구와 반사판을 이용하는 양면태양광모듈 발전기와 그 발전방법
KR101083827B1 (ko) 태양광 발전장치
CN103022206A (zh) 一种槽式复合抛物面聚光发电组件
KR102165092B1 (ko) 골형 반사판을 이용한 양면형 태양광 집광장치
CN102074605A (zh) 聚光装置和太阳能收集装置
KR20190006472A (ko) 햇빛전구와 반사판을 구비한 양면태양광모듈
KR20090045474A (ko) 광학시트 부착형 태양광모듈
JP2008066133A (ja) 集光方法および集光板
KR102223870B1 (ko) 곡면형 반사판을 이용한 양면형 태양광 집광장치
KR100972424B1 (ko) 다방향성 태양광 집광장치
JP4313841B1 (ja) 太陽レンズと太陽光利用装置
KR101989451B1 (ko)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창호
KR101213768B1 (ko) 태양광발전장치
JP3172797U (ja) 太陽光線集光装置
KR101205462B1 (ko) 양면 태양 전지를 이용한 빛 가이딩 방식의 집광형 모듈
CN202977491U (zh) 一种槽式复合抛物面聚光发电组件
KR20200144804A (ko) 하부면반사체가 설치된 양면수광형태양전지 발전시스템
EP2052194A2 (en) Non-tracking solar collectors
KR101233053B1 (ko) 태양광 집광장치
KR102452965B1 (ko) 집광용 반사매트가 구비된 태양광 발전설비
JP2014103381A (ja) 太陽光発電装置
KR102466178B1 (ko) 집광효율 향상구조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시스템
CN210536589U (zh) 太阳能聚光装置
KR101254513B1 (ko) 프리즘을 이용한 자연채광장치의 집광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