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3570B1 - 푸시 투 토크 (ptt) 통신 세션에의 참여의 제한 - Google Patents

푸시 투 토크 (ptt) 통신 세션에의 참여의 제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3570B1
KR101243570B1 KR1020117003438A KR20117003438A KR101243570B1 KR 101243570 B1 KR101243570 B1 KR 101243570B1 KR 1020117003438 A KR1020117003438 A KR 1020117003438A KR 20117003438 A KR20117003438 A KR 20117003438A KR 101243570 B1 KR101243570 B1 KR 101243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evice
server
communication session
s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3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0689A (ko
Inventor
아슈토시 아가왈
할린 질
베스 앤 브루어
마크 마겐티
아빈드 브이 산타남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2/502,007 external-priority patent/US20100014497A1/en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10030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0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3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3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10Push-to-Talk [PTT] or Push-On-Call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40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 H04W76/45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for Push-to-Talk [PTT] or Push-to-Talk over cellular [Po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183Processing at user equipment or user record carr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실시형태들은 무선 통신 시스템 내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의 서버 중재 통신 세션을 허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과 관련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서버 중재 통신 세션에 참여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획득된 정보가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서버 중재 통신 세션에의 참여에 대한 제한 및/또는 허용에 대한 하나 이상의 조건들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이 결정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그 자체가 서버 중재 통신 세션에 참여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제한한다.

Description

푸시 투 토크 (PTT) 통신 세션에의 참여의 제한{RESTRICTING PARTICIPATION IN A PUSH-TO-TALK (PTT) COMMUNICATION SESSION}
35 U.S.C. §119 에 따른 우선권 주장
본 특허 출원은 2008년 7월 15일자로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LY LIMITING COMMUNICATION CAPABILITY AT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인 가출원 제61/080,969호, 및 2009년 4월 6일자로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RESTRICTING COMMUNICATION SERVICE FEATURES FOR A USER OF AN ACCESS TERMINAL WITH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인 가출원 제61/167,074호를 우선권 주장하며, 이들 각각은 참조에 의해 완전히 통합된다.
본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디바이스에서의 통신 세션에의 참여를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것과 관련된다.
일반적으로 "푸시 투 토크" (push-to-talk; PTT) 능력으로 지칭되는, 모바일 전화기와 같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의 그룹들 간에 빠른 일 대 일 (one-to-one) 또는 일 대 다 (one-to-many) 통신을 제공하는 무선 전기통신 서비스가 존재한다. 통신하는 무선 디바이스를 위한 수신 디바이스들의 특정 PTT 그룹은 보통 캐리어 (carrier) 에 의해 셋업된다. PTT 통신 접속은 통상적으로 스피커와 특정 PTT 그룹의 각 멤버 디바이스 간의 반이중 (half-duplex) 링크를 활성화하는 무선 디바이스 상의 단일의 버튼-푸시 (button-push) 에 의해 개시되며, 일단 버튼이 해제되면, 디바이스는 인입 PTT 송신들을 수신할 수 있다. 일부 구성에서, PTT 스피커는, 그 스피커가 말하고 있는 동안에는 다른 그룹 멤버가 말할 수 없는 "플로어 (floor)" 를 가질 것이다. 일단 스피커가 PTT 버튼을 해제하면, 특정 PTT 그룹의 임의의 다른 개별 멤버가 그들의 PTT 버튼을 누를 수 있으며, 그들은 플로어를 가질 것이다.
소정의 상황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통신 기능성에 대한 액세스를 제한하는 것을 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그룹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의 세트의 오너 (owner) 가 디바이스들 간의 PTT 통신 및 다른 통신의 사용 시간의 대금을 지불해야 한다면, 그 오너는 돈이 많이 드는 사용을 제한하기 위해 위치 및/또는 시간에 기초하여 통신 서비스의 소정 사용을 제한하는 것을 바랄 수도 있다.
실시형태들은 무선 통신 시스템 내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의 서버 중재 (server-arbitrated) 통신 세션을 허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과 관련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서버 중재 통신 세션에 참여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획득된 정보가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서버 중재 통신 세션에의 참여에 대한 제한 및/또는 허용에 대한 하나 이상의 조건들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이 결정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그 자신이 서버 중재 통신 세션에 참여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제한한다.
도 1 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서버 및 다른 컴퓨터 디바이스들과 통신하는 무선 전기통신 디바이스들의 지정된 PTT 그룹을 가진 무선 네트워크의 일 실시형태의 대표도이다.
도 2 는 통상의 셀룰러 전기통신 구성의 무선 네트워크의 일 실시형태의 도면이다.
도 3 은 PTT 능력이 구비된 무선 전기통신 디바이스의 컴퓨터 플랫폼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4 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컴퓨터 플랫폼에 상주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계층들의 일 실시형태의 블록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위치에 기초하여 통신 세션들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프로세스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위치와 시간 양자에 기초하여 통신 세션들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프로세스를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양태들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형태들과 관련된 다음의 설명 및 관련 도면들에서 개시된다. 대안의 실시형태들이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 없이 고안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잘 알려진 엘리먼트들은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을 것이며, 본 발명의 관련 상세들을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될 것이다.
이 설명에서, "통신 디바이스", "무선 디바이스", "무선 통신 디바이스", "PTT 통신 디바이스", "핸드헬드 디바이스", "모바일 디바이스" 및 "핸드셋" 이란 용어들이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된다. "호 (call)" 및 "통신 (communication)" 이란 용어들이 또한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된다. "애플리케이션" 이란 용어는 본원에 사용한 바와 같이 실행가능한 및 비실행가능한 소프트웨어 파일, 원시 데이터 (raw data), 집합 데이터 (aggregated data), 패치 및 다른 코드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PTT" 란 용어는 푸시 투 토크 (push-to-talk) 음성 통신을 포함하며, "PTX" 는 푸시 투 셰어 (push-to-share) 데이터 통신을 포함하며, "PTT" 와 "PTX" 양자는 통상적으로 초기 빠른 셋업 반이중 (initial fast setup half-duplex) 통신을 통하여 발생한다.
"예시적인 (exemplary)" 및/또는 "예 (example)" 란 단어들은 "예, 실례 또는 예시로서 기능하는 것" 을 의미하기 위해 본원에 사용된다. "예시적인" 및/또는 "예" 로서 본원에 설명된 임의의 실시형태가 반드시 다른 실시형태들에 비해 바람직하거나 또는 이로운 것처럼 해석될 필요는 없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이란 어구는, 본 발명의 모든 실시형태들이 상기 개시된 특징, 이점 또는 동작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또한, 다수의 실시형태들은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의 엘리먼트들에 의해 수행될 액션들의 시퀀스들의 관점에서 설명된다. 본원에 설명된 다양한 액션들은 특정 회로 (예를 들어, 주문형 집적 회로 (ASIC)) 에 의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명령들에 의해, 또는 양자의 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추가적으로, 본원에 설명된 액션들의 이들 시퀀스는, 실행 시에, 관련 프로세서로 하여금 본원에 설명된 기능성을 수행하도록 하는 대응하는 컴퓨터 명령들의 세트를 저장하고 있는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내에 완전히 수록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들은, 모두가 청구 대상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생각되는 다수의 상이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원에 설명된 실시형태들 각각에 대해, 대응하는 형태의 임의의 이러한 실시형태들은 예를 들어, 상기 설명된 액션을 수행 "하도록 구성된 로직 (logic configured to)" 으로서 본원에 설명될 수도 있다.
액세스 네트워크는 액세스 네트워크 외부의 추가적인 네트워크들, 이를 테면, 기업 인트라넷 또는 인터넷에 또한 접속될 수도 있으며, 각 액세스 단말기와 이러한 외부 네트워크 간에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모뎀 풀 (modem pool) 트랜시버와 액티브 트래픽 채널 접속을 확립한 액세스 단말기는 액티브 액세스 단말기라 불리며, 트래픽 상태에 있다고 한다. 하나 이상의 모뎀 풀 트랜시버와 액티브 트래픽 채널 접속을 확립하는 과정에 있는 액세스 단말기는 접속 셋업 상태에 있다고 한다. 액세스 단말기는 예를 들어 광섬유 케이블 또는 동축 케이블을 이용하여, 무선 채널을 통하여 또는 유선 채널을 통하여 통신하는 임의의 데이터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액세스 단말기는 또한 PC 카드, 콤팩트 플래시, 외부 또는 내부 모뎀, 또는 무선 또는 유선 전화를 포함하는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다수의 타입의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것일 수도 있다. 액세스 단말기가 신호들을 모뎀 풀 트랜시버로 전송하는 통신 링크는 역방향 링크 또는 역방향 트래픽 채널이라 불린다. 모뎀 풀 트랜시버가 신호들을 액세스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 링크는 순방향 링크 또는 순방향 트래픽 채널이라 불린다. 본원에 사용한 바와 같이, 트래픽 채널이란 용어는 순방향 트래픽 채널 또는 역방향 트래픽 채널 중 어느 하나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이하 설명되는 실시형태들은 CDMA2000 네트워크 아키텍처 내의 구현과 관련된다.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는 CDMA2000 시스템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공지된 표준 및 구성이 참조될 수 있다. 다른 전기통신 표준, 이를 테면, CDMA2000 EvDO (Evolution Data Optimized) 또는 IMT-2000 이 본원에 개시된 실시형태들의 구현 시에 마찬가지로 이용될 수 있다.
동일한 번호가 동일한 엘리먼트들을 나타내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도 1 은 통신 서버 (32), 및 무선 네트워크 (20) 를 통해 다른 무선 전기통신 디바이스들과 통신하는, 통신 그룹 (12) 내의 하나 이상의 무선 전기통신 디바이스들, 이를 테면, 무선 전화기 (14), 스마트 페이저 (16) 및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PDA) (18) 를 가진 시스템 (10) 의 일 실시형태를 예시한다. 시스템 (10) 에서, 각 무선 전기통신 디바이스 (14, 16, 18) 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20) 를 통해 하나 이상의 다른 무선 전기통신 디바이스들의 타겟 세트와 선택적으로 및 직접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전화기 (14) 에 대한 타겟 세트는 통신 그룹 (12) 내의 모든 디바이스들일 수 있거나, 또는 그 디바이스들의 서브세트, 이를 테면 페이저 (16) 및/또는 PDA (18) 일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무선 전기통신 디바이스 (이를 테면, 모바일 전화기 (14)) 는 무선 네트워크 (20) 를 통해 서버측 LAN (30) 에 존재하는 통신 컴퓨터 디바이스 (여기에 통신 서버 (32) 로 도시) 에, 무선 디바이스가 무선 네트워크 (20) 에 존재, 즉 액세스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도록 통보한다. 통신 컴퓨터 디바이스 (32) 는 이 정보를 제 1 무선 전기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지정된 타겟 무선 전기통신 디바이스들의 세트와 공유할 수 있으며, 또는 이 정보를 서버측 LAN (30) 에 상주하거나 또는 무선 네트워크 (20) 를 통해 액세스가능한 다른 컴퓨터 디바이스들과도 공유할 수 있다. 통신 컴퓨터 디바이스 (32) 는 무선 디바이스들에 대한 그룹 식별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부속 또는 액세스가능한 데이터베이스 (34) 를 가질 수 있다.
일 예에서, 통신, 이를 테면, PTT 통신은 통신하는 무선 전기통신 디바이스 (14, 16, 18) 와 디바이스들의 타겟 세트의 하나 이상의 다른 무선 전기통신 디바이스들 간의 반이중 채널을 통하여 확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이 일반적으로 반이중 통신 세션과 관련되는 것으로 설명되지만, 다른 실시형태들이 전이중 (full-duplex) 통신 세션 (예를 들어, VoIP 등) 을 포함하는, 임의의 서버 중재 (server-arbitrated) 통신 세션과 관련될 수 있다는 것이 용이하게 명백할 것이다. 또한, 통신 컴퓨터 디바이스 (32) 는, 타겟 세트의 무선 전기통신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가 무선 네트워크 (20) 에의 그들의 존재에 대해 통신 컴퓨터 디바이스 (32) 에 통지했다면 타겟 세트와의 요청된 직접 통신의 다리 역할을 하려고 시도할 수 있다. 다른 반이중 통신 및 전이중 통신이 그에 따라 본원에 보다 완전히 설명된 바와 같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통신 컴퓨터 디바이스 (32) 는, 타겟 세트의 무선 전기통신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이 무선 네트워크 (20) 에의 그들의 존재에 대해 통신 컴퓨터 디바이스 (32) 에 통지하지 않았다면 타겟 세트 (12) 에 대한 직접 통신의 다리 역할을 할 수 없음을 무선 전기통신 디바이스 (14, 16, 18) 에 통지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컴퓨터 디바이스 (32) 가 그룹 식별 데이터의 부속 데이터베이스 (34) 를 갖는 것으로 여기에 도시되지만, 통신 컴퓨터 디바이스 (32) 는 상주하는 그룹 아이덴티티 데이터를 가질 수 있으며, 본원에 설명된 모든 저장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통신 그룹 (12) 및 통신 서버 (32) 에 액세스가능한 데이터의 저장을 위해 저장 서버 (36) 가 여기에 도시된다.
통신은 음성, 애플리케이션, 그래픽 미디어, 이를 테면 JPEG, TIF 등의 사진, 또는 MP3, MP4, WAV 등의 오디오 파일일 수 있다. 미디어는 또한 비디오 또는 스트리밍 미디어, 이를 테면,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 (파워포인트, MOV 파일 등) 일 수 있다. 또한, 일 예에서, 통신 세션은 통신 그룹 (12) 의 멤버들 간의 반이중 전화 회의에 대응할 수 있다. 알고 있는 바와 같이, 이런 타입의 그룹 통신 세션에서, 최종 사용자(들)에 대한 서비스 품질 (QoS) 을 유지하기 위해 접속 속도 및 미디어 (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 전달 품질이 중요하다.
도 2 는 PTT 시스템에서 세트 그룹 멤버들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 (디바이스들 (70, 72, 74, 76)) 간의 통신을 제어하는 일련의 통신 컴퓨터 디바이스, 이를 테면, 통신 서버 (32) 를 갖는, 통상의 셀룰러 전기통신 구성에서의 무선 네트워크의 일 실시형태의 대표도이다. 무선 네트워크는 단지 예시적이며, 원격 모듈들이 서로 간에 및/또는 제한 없이 무선 네트워크 캐리어 및/또는 서버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20) 의 컴포넌트들 간에 공중 경유 (over the air) 통신하는 임의의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일련의 통신 서버들 (32) 이 통신 서버 LAN (50) 에 접속된다. 무선 전화기는 데이터 서비스 옵션을 이용하여 통신 서버(들) (32) 로부터 패킷 데이터 세션을 요청할 수 있다.
통신 서버 (32) 는 여기에 캐리어 네트워크 (54) 에 상주하는 것으로 도시된, 무선 서비스 제공자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 (PDSN), 이를 테면, PDSN (52) 및/또는 브로드캐스트 서빙 노드 (BSN) (53) 에 접속된다. 관련 기지국들 (60) 을 가진 PDSN (52) 및 BSN (53) 은, 지역 통신 시스템 (예를 들어, 액세스 네트워크 또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을 구성할 수 있고, 지리적 또는 가상 영역에 대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 (70, 72, 74, 76) 로의 통신들을 일괄하여 제어할 다른 서버측 (50) 컴포넌트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각 PDSN (52) 또는 BSN (53) 은 PCF (packet control function) (62) 를 통하여 기지국 (60) 의 기지국 제어기 (64) 와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PCF (62) 는 통상적으로 기지국 (60) 에 위치된다. 캐리어 네트워크 (54) 는 모바일 스위칭 센터 ("MSC") (58) 로 전송된 (일반적으로 데이터 패킷 형태의) 메시지들을 제어한다. 캐리어 네트워크 (54) 는 네트워크, 인터넷 및/또는 POTS ("plain ordinary telephone system") 에 의해 MSC (58) 와 통신한다. 통상적으로, 캐리어 네트워크 (54) 와 MSC (58) 사이의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접속이 데이터를 전송하고, POTS 는 음성 정보를 전송한다. MSC (58) 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 (60) 에 접속될 수 있다. 캐리어 네트워크와 유사한 방식으로, MSC (58) 는 통상적으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네트워크 및/또는 인터넷과 음성 정보를 위한 POTS 양자에 의해 BTS (base transceiver station) (때때로 "branch-to-source" 로 지칭) (66) 에 접속된다. BTS (66) 는 궁극적으로는 단문 메시징 서비스 ("SMS") 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른 공중 경유 방법들에 의해, 무선 디바이스들, 이를 테면, 셀룰러 전화기들 (70, 72, 74, 76) 로/로부터 무선으로 메시지들을 브로드캐스팅 및 수신한다. 또한, 캐리어 경계들 및/또는 PTT 오퍼레이터 네트워크 경계들이 본원에 설명한 바와 같이 데이터의 공유를 억제 또는 금지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셀룰러 전화기 및 모바일 전기통신 디바이스, 예를 테면, 무선 전화기 (14) 는 컴퓨터 능력을 증가시키면서 제조되고 있으며, 개인용 컴퓨터 및 핸드헬드 PDA 와 동등해지고 있다. 이들 "스마트" 셀룰러 전화기들은, 소프트웨어 개발자들로 하여금 무선 디바이스의 프로세서 상에서 다운로드가능하고 실행가능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을 생성하는 것을 허용한다. 무선 디바이스, 이를 테면, 셀룰러 전화기 (14) 는 웹 페이지, 애플릿, 미들렛 (MIDlet), 게임 및 데이터와 같은 많은 타입의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통신 그룹 (12) (도 1) 을 지정하고 있는 무선 디바이스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세트의 다른 멤버와 직접 접속될 수 있고 음성 및 데이터 통신 세션에 관여할 수 있다. 그러나, 모든 이러한 그룹 직접 통신은 "서버 중재" 될 수도 있으며, 이 "서버 중재" 는, 통신 세션이 통신 서버 (32) 를 통하여 발생하거나, 또는 통신 서버 (32) 의 제어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디바이스의 각 데이터 패킷이 반드시 통신 서버 (32) 그 자체를 통하여 이동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통신 서버 (32) 가 통상적으로 통신 그룹의 멤버들의 아이덴티티를 알고 있고/있거나 통신 그룹의 멤버들의 아이덴티티를 검색할 수 있고, 또는 통신 그룹 (12) 의 멤버들의 아이덴티티를 다른 컴퓨터 디바이스로 보낼 수 있는 단지 서버측 (50) 컴포넌트이기 때문에, 그 통신 서버 (32) 가 통신 세션을 궁극적으로 제어가능할 수도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전기통신 디바이스 (14) (예를 들어, 모바일 전화기) 를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3 을 참조하면, 무선 전기통신 디바이스 (14) 는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통신 그룹 (12) 의 다른 멤버들) 의 타겟 세트와의 직접 통신을 시작하도록 구성되는 PTT 버튼 (78) 을 포함한다. 무선 디바이스 (14) 는 또한 무선 디바이스 (14) 의 사용자를 위하여 그래픽 디스플레이 (80) 를 갖는 것으로 도시된다. 무선 디바이스 (14) 는 음성 및 데이터 패킷을 다룰 수 있고, 통신을 포함하기 위해 무선 네트워크 (20) 를 통해 송신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신 및 실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플랫폼 (82) 을 포함한다.
컴퓨터 플랫폼 (82) 은 다른 컴포넌트들 중에서도, 주문형 집적 회로 ("ASIC") (84), 또는 다른 프로세서, 마이크로프로세서, 로직 회로, 프로그램가능한 게이트 어레이, 또는 다른 데이터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ASIC (84) 은 무선 디바이스의 제조 시에 인스톨되며, 보통은 업그레이드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다. ASIC (84) 또는 다른 프로세서는, 상주 애플리케이션 환경을 포함하고, ASIC (84) 상에 로드된 운영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API") 계층 (86) 을 실행한다. 상주 애플리케이션 환경은 무선 디바이스의 메모리 (88) 내의 임의의 상주 프로그램들과 인터페이스한다. 상주 애플리케이션 환경의 일 예는 무선 디바이스 플랫폼에 대해 QUALCOMM® 에 의해 개발된 "BREW (binary runtime environment for wireless)" 소프트웨어이다.
여기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디바이스 (14) 는 그래픽 디스플레이 (80) 를 가진 모바일 전화기일 수 있지만, 대안의 실시형태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 포털을 갖고, 다르게는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에 유선 접속될 수도 있는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PDA), 그래픽 디스플레이 (26) 를 가진 페이저, 또는 심지어는 개별 컴퓨터 플랫폼과 같이,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은 컴퓨터 플랫폼 (82) 을 가진 임의의 타입의 무선 디바이스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88) 는 판독 전용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M 및 ROM), EPROM, EEPROM, 플래시 카드 또는 컴퓨터 플랫폼에 공통인 임의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플랫폼 (82) 은 또한 메모리 (88) 에서 활발히 이용되지 않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의 저장을 위한 로컬 데이터베이스 (90) 를 포함할 수 있다. 로컬 데이터베이스 (90) 는 통상적으로 하나 이상의 플래시 메모리 셀들로 구성되지만, 자기 미디어, EPROM, EEPROM, 광학 미디어, 테이프, 또는 소프트 또는 하드 디스크와 같이,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은 임의의 2 차 또는 3 차 저장 디바이스일 수 있다.
도 3 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이런 실시형태에서, 컴퓨터 플랫폼 (82) 은 또한 (예를 들어, PTT 호에서의 반이중 음성 통신을 위해) 무선 디바이스로부터의 직접 통신 채널을 시작할 수 있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92) 를 포함한다.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92) 는 또한 무선 디바이스로/로부터 송신된 음성 및 데이터를 보통 운반하는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표준 통신 인터페이스의 일부일 수도 있다.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92) 는 통상적으로 당업계에 공지된 하드웨어를 포함한다.
도 4 는 PTT 기능 및 그룹-지향 통신 기능을 가진, 무선 통신 디바이스 (74) 의 컴퓨터 플랫폼 (82) 에 상주하는 소프트웨어 계층들의 일 실시형태의 도면이다. 이 실시형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 환경에서의 컴퓨터 플랫폼 (82) 은, QUALCOMM® 에 의해 개발된, 이동국 모뎀 (MSM) (100) 및 진보된 모바일 가입자 소프트웨어 (AMSS) (102) 의 위에 개발된 일련의 소프트웨어 "계층들" 로 이루어지고, 근본적인 MSM 칩셋을 구동하며, CDMA2000 1X 및 CDMA2000 1xEV-DO 를 포함하는 전체 세트의 CDMA 통신 테크놀로지들에 대해 소프트웨어 프로토콜 스택을 구현한다. QUALCOMM® 에 의해 또한 개발된 모바일 운영 시스템 계층 (104) (이 실시형태에서는, BREW®) 이 존재한다. 모바일 운영 시스템 계층 (104) 애플리케이션은 AMSS (102) 및 컴퓨터 플랫폼 상의 임의의 OEM 소프트웨어에 대한 직접 접촉을 제거하는 격리 계층을 제공하면서, 칩 특정 또는 디바이스 특정 동작들에 대한 인터페이스들을 프로그램한다. 모바일 운영 시스템 계층 (104) 은 디바이스 특정 소프트웨어의 새로운 릴리즈가 릴리징될 때마다 애플리케이션을 재기록할 필요 없이 모바일 디바이스 특징들을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가능하게 한다.
PTT 클라이언트 (108) 는 여기에 PTT-인식 UI (106) 로 도시된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PTT 서비스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다. PTT 클라이언트는 다른 상주 애플리케이션들 (110) 과 같은 모바일 운영 시스템 (104) 애플리케이션들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요구된 기능들 모두를 포함한다. PTT 서비스에 대한 액세스를 PTT 클라이언트 (108) 에게 제공하는 것에 더하여, PTT 클라이언트 (108) 는 모든 PTT 인식 애플리케이션들과 통신 컴퓨터 디바이스에 대한 인터페이스 (102) 간의 격리 계층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PTT 클라이언트 (108) 는 PTT 서비스에 대한 액세스를 유지하고, 통신 요청에 응답하고, PTT 서비스에 대한 모든 PTT 인식 모바일 운영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요청을 프로세싱하고, 모든 발신 (outgoing) PTT 요청을 프로세싱하고, PTT 토크 스퍼트를 개시하기 위한 보코더 패킷들을 수집 및 패키징하며, 종료된 PTT 토크 스퍼트에 대한 보코더 데이터의 패킷들을 파싱 (parse) 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핸들러는 외부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AMSS (102) 인터페이스에 대한 직접 액세스를 제공할 것이다. 미디어 핸들러는 다른 상주 애플리케이션들 (110) 로부터의 것과 같은 적절한 API 들을 인보크함으로써 그룹 지향 서비스들에 대한 PTT 요청들에 응답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요청을 서비스할 수 있으며, 임의의 그룹 지향 미디어 요청의 결과를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핸들러는 본원에 보다 완전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AMSS (102) 인터페이스를 액티브 상태에 이르게 하도록 인보크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브로드캐스팅하기 시작할 수 있다. 따라서, AMSS (102) 또는 다른 통신 인터페이스는 통상적으로 휴지 상태 (dormant state) 와 액티브 상태를 가져, 리소스들은 단지 통신 인터페이스의 액티브 상태에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요청받으며, 예를 들어, 디바이스 컴포넌트들이 파워 업되어 송신하기 시작한다.
제 1 실시형태에서, 도 3 및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디바이스 (14) 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의 그룹 (12) 의 하나 이상의 다른 멤버들로부터 통신들을 선택적으로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 (14) 는 컴퓨터 플랫폼 (82) 을 포함할 수 있으며, 컴퓨터 플랫폼 (82) 은 디바이스 기능성을 제어하며, 컴퓨터 플랫폼에 상주하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들 (110), 및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고 또는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 있는 컴퓨터 플랫폼 (82) 에 상주하는 위치확인 디바이스를 갖는다. 일 예에서, 위치확인 디바이스는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 (GPS) 디바이스, 또는 기지국(들) (60) 으로부터의 신호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디바이스의 지리적 포지션을 삼각측량하는 다른 디바이스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위치확인 디바이스는 지리적 위치 데이터를 임의의 상주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 (14) 상의 애플리케이션으로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위치는 또한 모바일 인프라스트럭처의 섹터와 같은 가상 위치 또는 서비스 식별자일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들 (110) 간에 포함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는 위치확인 디바이스로부터 위치 데이터를 획득하고 디바이스 (14) 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 능력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제어 애플리케이션이 컴퓨터 플랫폼 (82) 에 상주한다. 예를 들어, 이하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어 애플리케이션은 디바이스 (14) 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 디바이스 (14) 에서의 통신 세션들을 선택적으로 허용 또는 제한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컴퓨터 플랫폼 (82) 은 클록 또는 기지국 (60) 과의 통신에 기초하여 로컬 시간을 결정할 수 있는 다른 디바이스와 같은 시간 결정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 애플리케이션은 시간 데이터에 기초하여 통신 능력을 단독으로 제한할 수 있고, 또는 가능하다면 위치 기반 (예를 들어, 지리적) 제한에 더하여, 시간 데이터에 기초하여 통신 능력을 추가로 제한할 수 있다. 시간 데이터는 GMT (Greenwich Mean Time) (UTC 시간으로도 알려져 있음) 또는 GPS 시간과 같은 시간 기준에 기초할 수도 있으며,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14) 를 위한 로컬 시간일 수 있다. 통신 세션은 반이중 통신 세션, 전이중 통신 세션, PTT 세션, PTX 세션, VoIP (Voic-over-Internet-Protocol) 세션 및/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대응할 수 있다. 이하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위치 및/또는 시간 기반 제한은 상기 언급된 세션 타입들 중 임의의 타입에 적용될 수 있으며, 다수의 방식 (예를 들어, 디바이스 (14) 로부터의 호 요청을 차단, 제한된 호를 위해 알림 메시지 (announce message) 가 그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차단 등) 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디바이스 (14) 의 통신 세션의 제한은 다수의 파라미터들 또는 기준에 기초할 수 있으며, 이들 파라미터들은 상호의존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 기반 제한은 단지 디바이스 (14) 가 특정 영역 또는 위치에 있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에만 '액티브' 일 수도 있고 또는 실시 (enforce) 될 수도 있다. 반대로, 위치 기반 제한은 단지 특정 기간 내에만 '액티브' 일 수도 있고 또는 실시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한 파라미터가 통신 중에 변경된다면 (예를 들어, 시간이 오후 5 시를 지났거나,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14) 가 정의된 위치 영역을 벗어났다), 제어 애플리케이션은 (i) 액티브 통신 세션을 즉시 종료하거나, (ii) 통신 세션이 곧 종료할 것이라는 경고를 사용자에게 제공한 후 소정 시간 주기 후에 세션을 종료하거나, 또는 (iii) 디바이스 (14) 의 사용자에 의해 끝내질 때까지 통신을 허용하거나 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애플리케이션의 오너, 컨트롤러 또는 관리자 (예를 들어, 반드시 디바이스 (14) 의 실제 사용자여야 하는 것은 아님) 는, 제한 없이 개시되는 액티브 통신 세션이 후에 제한의 자격을 얻는 상황을 다루는 방법과 관련하여 디바이스 (14) 를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 (14) 의 제어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액세스는, 단지 캐리어만이 통신을 허용하기 위한 디바이스 설정을 변경할 수 있도록 캐리어에 의해 제한될 수도 있다. 대안으로, 제어 애플리케이션은 통신 능력에 대한 액세스의 파라미터들을 설정하기 위해 디바이스 (14) 의 오너 (반드시 사용자여야 하는 것은 아님) 에 의해 선택적으로 액세스될 수 있는 핀 또는 다른 코드와 같은 보안 코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각 개별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그 오너 위치 및/또는 시간 제한을 설정할 수 있으며, 또는 무선 통신의 그룹, 이를 테면 통신 그룹 (12) 은 유사하게 설정된 제한들 모두를 가질 수 있다.
이용 사례로, 건설 현장의 오너가 통신 그룹 (12) 을 포함하는 모바일 전화기들의 그룹을 구매하는 것을 요망한다는 것을 가정한다. 건설 현장 오너는 호의 사용 시간의 대금이 오너에게 청구되기 때문에, 노동자들이 그들의 통신 특권 (즉, PTT 호) 을 남용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 따라서, 오너는 근무 시간 (예를 들어, 오전 9 시 내지 오후 5 시) 에 전화 사용을 제한하는 것을 요망하고, 또한 건설 현장의 지리적 위치의 소정 근방 (proximity) 내에서 호를 제한하는 것을 원한다. 오너는, 캐리어가 각 모바일 전화에서의 통신 세션에 대한 위치 및/또는 시간 제한을 설정하는 것을 요청하거나, 또는 모바일 전화는, 오너가 이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보안 코드를 가질 수 있으며, 노동자들은 그 보안 코드를 바꿀 수 없다. 이런 시스템을 통하여, 통신 서버 (32) 는 제한을 알아야 할 필요가 없어, 통신 서버 (32) 에서 이런 제한을 실시하기 위해 어떤 오버헤드나 리소스도 전용될 필요가 없다. 즉, 이 예에서 위치와 시간 양자에 기초하는 세션 제한은 이 예에서는 핸드셋에 의해 실시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위치에 기초하여 통신 세션들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프로세스를 예시한다. 도 5 를 참조하면, 통신 세션에의 참여와 관련된 요청이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 수신된다 (120). 일 예에서, 통신 세션에의 참여와 관련된 요청은 새로운 통신 세션을 개시하기 위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 (14) 의 사용자에 의한 요청에 대응할 수 있으며, 또는 대안으로는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발신되는 통신 세션을 알리하는 호 알림 메시지의 수신에 대응할 수 있다. 120 에서 통신 세션 요청을 수신한 후에, 컴퓨터 플랫폼 (82) 상의 제어 애플리케이션은 위치확인 디바이스 (예를 들어, GPS 수신기, 또는 다른 타입의 포지션 삼각측량 디바이스) 에 질문하여, 무선 통신 디바이스 (14) 와 관련된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122). 대안으로, 제어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별개의 위치확인 디바이스, 이를 테면, GPS 수신기가 위치를 컴퓨팅하는데 이용되고 있지 않더라도 시간 추정치를 계산하는데 여전히 이용될 수 있지만) 무선 통신 디바이스 (14) 상의 별개의 위치확인 디바이스가 명시적으로 질문받을 필요가 없도록, 그 제어 애플리케이션의 현재 서빙 지역 (예를 들어, 서브넷, 섹터 등) 을 확인하기 위해 (예를 들어, SystemParameters 메시지 내의) 서비스 관련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위치 정보는 디바이스 (14) 의 현재 서빙 지역 (예를 들어, 섹터, 서브넷 등) 에 대응할 수 있으며, 또는 디바이스 (14) 의 지리적 좌표 (예를 들어, GPS, 위도/경도 등) 에 대응할 수 있다.
도 5 를 참조하면, 디바이스 (14) 와 관련된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한 후에, 디바이스 (14) 의 제어 애플리케이션은, 그 디바이스 (14) 의 현재 위치 정보가 그 디바이스 (14) 로 하여금 120 로부터의 요청된 통신 세션에 참여하는 것을 허용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124). 예를 들어, 124 의 결정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제어 애플리케이션은 122 에서 획득된 현재 위치 정보를, 디바이스 (14) 에 대해 통신 세션을 허용하는 구역이나 디바이스 (14) 에 대해 통신 세션을 제한하는 구역 중 어느 하나의 구역과 관련되는 미리 정의된 위치 영역과 비교할 수 있다. 이 비교 결과는 그 후 디바이스 (14) 가 120 으로부터의 통신 세션을 개시 또는 참가하도록 허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용 사례에 따르면, 디바이스 (14) 의 제어 애플리케이션은 122 로부터의 현재 위치 정보를, 건설 현장 (예를 들어, 건설 현장 근방의 서빙 섹터, 건설 현장 근방의 지리적 범위 등) 과 관련된 위치 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
당업자가 알고 있는 바와 같이, 미리 정의된 위치 영역은 세션이 참여를 위해 허용되는 영역에 대응할 수 있고, 또는 대안으로는 세션이 참여로부터 제한되는 영역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미리 정의된 위치 영역은 제한이나 허용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조건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미리 정의된 위치 영역은 포함 (예를 들어, 그 영역 내에서 세션을 허용) 또는 배제 (예를 들어, 그 영역 내에서 세션을 제한) 중 어느 하나를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비교가 무선 통신 디바이스 (14) 가 124 에서 요청된 통신 세션에 관여하도록 허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다는 것을 제어 애플리케이션이 결정한다면, 에러가 디바이스 (14) 의 사용자에게 출력되고, 디바이스 (14) 에 의한 통신 세션에의 참여가 차단되며, 프로세스는 종료된다 (126) (예를 들어, 통신은 부인 또는 거부된다). 그렇지 않고, 상기 비교가 무선 통신 디바이스 (14) 가 124 에서 요청된 통신 세션에 관여하도록 허용된다는 것을 나타낸다는 것을 제어 애플리케이션이 결정한다면, 통신 세션은 허용된다 (128).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위치와 시간 양자에 기초하여 통신 세션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프로세스를 예시한다. 도 6 을 참조하면, 통신 세션에의 참여와 관련된 요청이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 수신된다 (130). 일 예에서, 통신 세션에의 참여와 관련된 요청은 새로운 통신 세션을 개시하기 위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 (14) 의 사용자에 의한 요청에 대응할 수 있으며, 또는 대안으로는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발신되는 통신 세션을 알리는 호 알림 메시지의 수신에 대응할 수 있다. 130 에서 통신 세션 요청을 수신한 후에, 컴퓨터 플랫폼 (82) 상의 제어 애플리케이션인 제어 애플리케이션은 현재 시간 정보를 획득한다 (132). 일 예에서, 132 에서 획득된 현재 시간 정보는 디바이스 (14) 내의 내부 클록에 의해 유지된 시간에 대응할 수 있으며, 또는 대안으로는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도 6 을 참조하면, 디바이스 (14) 와 관련된 현재 시간 정보를 획득한 후에, 디바이스 (14) 의 제어 애플리케이션은 디바이스 (14) 의 현재 시간 정보가 그 디바이스 (14) 로 하여금 130 으로부터 요청된 통신 세션에 참여하는 것을 허용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134). 예를 들어, 134 의 결정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제어 애플리케이션은 132 에서 획득된 현재 시간 정보를, 디바이스 (14) 에 대해 통신 세션을 허용하는 것 또는 디바이스 (14) 에 대해 통신 세션을 제한하는 것 중 어느 하나와 관련되는 미리 정의된 시간 주기와 비교할 수 있다. 이 비교 결과는 그 후 디바이스 (14) 가 시간에 기초하여 130 으로부터의 통신 세션을 개시 또는 참가하는 것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당업자가 알고 있는 바와 같이, 미리 정의된 시간 주기는 세션이 참여를 위해 허용되는 주기에 대응할 수 있으며, 또는 대안으로는 세션이 참여로부터 제한되는 주기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미리 정의된 시간 주기는 제한이나 허용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조건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미리 정의된 시간 주기는 포함 (예를 들어, 주기 내에서 세션을 허용) 또는 배제 (예를 들어, 주기 내에서 세션을 제한) 중 어느 하나를 위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용 사례에 따라, 디바이스 (14) 의 제어 애플리케이션은 132 로부터의 현재 시간 정보를, 건설 현장과 관련된 미리 정의된 시간 주기 (예를 들어, 오전 9 시 내지 오후 5 시) 와 비교할 수 있다. 상기 비교가 134 에서 통신 세션의 제한을 나타낸다는 것을 제어 애플리케이션이 결정한다면, 에러가 디바이스 (14) 의 사용자에게 출력되며 (136), 디바이스 (14) 에 의한 통신 세션에의 참여가 차단된다. 대안으로, 상기 비교가 134 에서 통신 세션을 제한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다는 것을 제어 애플리케이션이 결정한다면, 프로세스는 138 로 진행된다. 일 예에서, 도 6 의 블록 138, 블록 140, 블록 142 및 블록 144 는 각각 도 5 의 블록 122, 블록 124, 블록 126 및 블록 128 에 대응하며, 간략화를 위해 추가 설명되지 않는다.
대안의 실시형태에서, 132 에서 획득된 현재 시간 정보는 블록 138 내지 블록 144 의 동작을 바꿀 수 있어, 이들 블록들이 반드시 각각 도 5 의 블록 122 내지 블록 128 에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이한 미리 정의된 시간 주기는 디바이스 (14) 에서의 통신 세션을 허용하는 상이한 위치 영역들과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로부터의 건설 현장 예에서, 디바이스 (14) 를 이용하는 건설 노동자는 오전 9 시부터 오후 12 시까지 제 1 건설 현장에서 스케줄링되고, 오후 1 시부터 오후 5 시까지 제 2 건설 현장에서 스케줄링된다는 것을 가정한다. 이 경우에, 일 예로는, 현재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디바이스 (14) 는 오전 9 시부터 오후 12 시까지는 통신 세션을 제 1 건설 현장으로 제한할 수 있고, 오후 12 시와 오후 1 시 사이에는 (예를 들어, 건설 노동자가 이동중인 것으로 가정되기 때문에) 통신 세션에 비제한된 액세스를 허용할 수 있으며, 오후 1 시부터 오후 5 시까지는 통신 세션을 제 2 건설 현장으로 제한할 수 있다. 이 예는 디바이스 (14) 의 현재 위치와의 비교를 위해 이용된 미리 정의된 위치 영역이 제한 및/또는 허용에 대한 다른 기준 또는 조건 (이 예에서는 시간) 에 의해 어떻게 영향을 받을 수 있는지를 예시한다.
다른 예에서, 디바이스 (14) 를 이용하는 학생이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수업 시간 (예를 들어, 오전 7 시 내지 오후 3 시) 동안 학교에 간다는 것을 가정한다. 이 경우에, 일 예로는, 현재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디바이스 (14) 는 수업 시간 중에 제한된 연락처 목록 (예를 들어, 단지 긴급 전화번호만) 에 연락하도록 학교 근방 내에서는 디바이스 (14) 의 사용을 제한할 수 있으며, 학교가 수업중에 있지 않을 때 디바이스 (14) 에 대해 비제한을 허용할 수 있다.
당업자는 정보 및 신호가 다양한 상이한 테크놀로지 및 기술 중 임의의 것을 이용하여 나타내질 수도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설명 전반에 걸쳐 참조될 수도 있는 데이터, 명령, 커맨드, 정보, 신호, 비트, 심볼 및 칩은 전압, 전류, 전자기파, 자계 또는 자기 입자, 광학계 또는 광학 입자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나타내질 수도 있다.
또한, 당업자는 본원에 개시된 실시형태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로직 블록, 모듈, 회로 및 알고리즘 단계가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양자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이런 상호교환가능성을 명확히 예시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 블록, 모듈, 회로 및 단계는 그들의 기능성의 관점에서 일반적으로 상술되고 있다. 이러한 기능성이 하드웨어로서 구현되는지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는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설계 제약에 의존한다. 당업자는 상기 설명된 기능성을 각 특정 애플리케이션마다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구현 결정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을 야기하는 것처럼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원에 개시된 실시형태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로직 블록, 모듈 및 회로는 본원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주문형 집적 회로 (ASIC), 필드 프로그램가능한 게이트 어레이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별개의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별개의 하드웨어 컴포넌트,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 또는 수행될 수도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대안으로, 프로세서는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 와 마이크로프로세서,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본원에 개시된 실시형태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시퀀스 및/또는 알고리즘은 직접 하드웨어에,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 소프트웨어 모듈에, 또는 이 둘의 조합에 수록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식 디스크, CD-ROM, 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일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커플링된다. 대안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 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 은 사용자 단말기 (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기) 에 상주할 수도 있다. 대안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별개의 컴포넌트들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에서, 본원에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에 구현한 경우, 상기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의 하나 이상의 명령 또는 코드로서 저장 또는 송신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일 장소로부터 타 장소로의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송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와 컴퓨터 저장 매체 양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가능한 매체일 수도 있다. 제한이 아닌 일 예로,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 또는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의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운반 또는 저장하는데 이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문맥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라 적절히 불린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티드 페어, 디지털 가입자 회선 (DSL),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테크놀로지를 이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송신된다면, 매체의 정의에는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티드 페어, DSL,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테크놀로지가 포함된다. 디스크 (disk) 및 디스크 (disc) 는 본원에 사용한 바와 같이, 콤팩트 디스크 (compact disc; CD), 레이저 디스크 (laser disc), 광학 디스크 (optical disc),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 (digital versatile disc; DVD), 플로피 디스크 (floppy disk) 및 블루-레이 디스크 (blu-ray disc) 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 (disk) 는 보통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시키는 한편, 디스크 (disc) 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광학적으로 재생시킨다. 상기의 조합이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전술한 개시물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을 도시하지만,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정의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 없이 본원에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행해질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본원에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에 따른 방법 청구항의 기능, 단계 및/또는 액션이 임의의 특정 순서로 수행될 필요는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엘리먼트들이 단수의 형태로 설명 또는 청구될 수도 있지만, 단수로의 제한이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다면 복수가 생각된다.

Claims (40)

  1. 무선 통신 시스템 내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의 서버 중재 (server-arbitrated) 통신 세션을 허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 상기 서버 중재 통신 세션에 참여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 상기 획득된 정보가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상기 서버 중재 통신 세션들에의 참여에 대한 제한 및/또는 허용에 대한 하나 이상의 조건들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하는 단계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서버 중재 통신 세션에 참여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버 중재 통신 세션을 허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중재 통신 세션은, 3 개 이상의 세션 참가자를 잠재적으로 포함하는 그룹 통신 세션, 일 대 일 (one-to-one) 통신 세션, 반이중 통신 세션, 전이중 통신 세션, 푸시 투 토크 (push-to-talk; PTT) 세션, 푸시 투 트랜스퍼 (push-to-transfer; PTX) 세션 및/또는 VoIP (Voice-over-Internet-Protocol) 세션 중 하나 이상인, 서버 중재 통신 세션을 허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요청은,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사용자에 의한, 상기 서버 중재 통신 세션을 개시하기 위한 요청에 대응하는, 서버 중재 통신 세션을 허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요청은,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발신된, 상기 서버 중재 통신 세션을 알리는 호 알림 메시지 (call announce message) 에 대응하는, 서버 중재 통신 세션을 허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정보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상기 현재 위치를 포함하고, 현재 시간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서버 중재 통신 세션을 허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정보는 현재 시간 정보를 더 포함하는, 서버 중재 통신 세션을 허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시간 정보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내부 클록에 기초하거나, 또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서비스하도록 구성된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 제공된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서버 중재 통신 세션을 허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상기 현재 위치는, 지리적 위치 또는 서비스 지역 식별자에 대응하는, 서버 중재 통신 세션을 허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리적 위치는, 위도 및 경도 좌표, 또는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 (GPS) 좌표에 대응하는, 서버 중재 통신 세션을 허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지역 식별자는, 섹터 식별자 및/또는 서브넷 식별자에 대응하는, 서버 중재 통신 세션을 허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정보가 제한에 대한 상기 하나 이상의 조건들을 충족하거나, 또는 허용에 대한 상기 하나 이상의 조건들을 충족하지 않는다는 것을 상기 결정하는 단계가 결정하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서버 중재 통신 세션에 참여하는 것을 제한하는, 서버 중재 통신 세션을 허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정보가 허용에 대한 상기 하나 이상의 조건들을 충족하거나, 또는 제한에 대한 상기 하나 이상의 조건들을 충족하지 않는다는 것을 상기 결정하는 단계가 결정하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서버 중재 통신 세션에 참여하는 것을 허용하는, 서버 중재 통신 세션을 허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및/또는 허용에 대한 하나 이상의 조건들은, 상기 수신하는 단계가 상기 요청을 수신할 때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사용자 이외의 엔티티에 의해 확립되는, 서버 중재 통신 세션을 허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엔티티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오너, 제어자 및/또는 관리자인, 서버 중재 통신 세션을 허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정보는 2 개 이상의 상호의존적인 기준을 포함하는, 서버 중재 통신 세션을 허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하는 단계의 초기 실행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 중재 통신 세션에 참여하도록 허용되는, 서버 중재 통신 세션을 허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중재 통신 세션 동안,
    상기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하는 단계의 후속 실행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상기 서버 중재 통신 세션들에의 참여에 대한 상기 제한 및/또는 허용에 대한 하나 이상의 조건들을 더 이상 충족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는, 서버 중재 통신 세션을 허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하는 단계의 상기 후속 실행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서버 중재 통신 세션에 더 참여하는 것을 제한하는, 서버 중재 통신 세션을 허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19. 무선 통신 시스템 내에서 서버 중재 통신 세션에 참여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 상기 서버 중재 통신 세션에 참여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는 수단;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수단;
    상기 획득된 정보가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상기 서버 중재 통신 세션들에의 참여에 대한 제한 및/또는 허용에 대한 하나 이상의 조건들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수단; 및
    상기 결정하는 수단의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서버 중재 통신 세션에 참여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정보는 현재 시간 정보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21. 무선 통신 시스템 내에서 서버 중재 통신 세션에 참여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 상기 서버 중재 통신 세션에 참여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로직;
    상기 획득된 정보가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상기 서버 중재 통신 세션들에의 참여에 대한 제한 및/또는 허용에 대한 하나 이상의 조건들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로직; 및
    상기 결정하도록 구성된 로직의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서버 중재 통신 세션에 참여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도록 구성된 로직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중재 통신 세션은, 3 개 이상의 세션 참가자를 잠재적으로 포함하는 그룹 통신 세션, 일 대 일 (one-to-one) 통신 세션, 반이중 통신 세션, 전이중 통신 세션, 푸시 투 토크 (push-to-talk; PTT) 세션, 푸시 투 트랜스퍼 (push-to-transfer; PTX) 세션 및/또는 VoIP (Voice-over-Internet-Protocol) 세션 중 하나 이상인, 무선 통신 디바이스.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요청은,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사용자에 의한, 상기 서버 중재 통신 세션을 개시하기 위한 요청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요청은,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발신된, 상기 서버 중재 통신 세션을 알리는 호 알림 메시지 (call announce message) 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정보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상기 현재 위치를 포함하고, 현재 시간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26.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정보는 현재 시간 정보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시간 정보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내부 클록에 기초하거나, 또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서비스하도록 구성된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 제공된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28.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상기 현재 위치는, 지리적 위치 또는 서비스 지역 식별자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지리적 위치는, 위도 및 경도 좌표, 또는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 (GPS) 좌표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지역 식별자는, 섹터 식별자 및/또는 서브넷 식별자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31.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으로 제한하도록 구성된 로직은, 상기 획득된 정보가 제한에 대한 상기 하나 이상의 조건들을 충족하거나, 또는 허용에 대한 상기 하나 이상의 조건들을 충족하지 않는다는 것을 상기 결정하도록 구성된 로직이 결정하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서버 중재 통신 세션에 참여하는 것을 제한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3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으로 제한하도록 구성된 로직은, 상기 획득된 정보가 허용에 대한 상기 하나 이상의 조건들을 충족하거나, 또는 제한에 대한 상기 하나 이상의 조건들을 충족하지 않는다는 것을 상기 결정하도록 구성된 로직이 결정하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서버 중재 통신 세션에 참여하는 것을 허용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3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및/또는 허용에 대한 하나 이상의 조건들은, 상기 수신하도록 구성된 로직이 상기 요청을 수신할 때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사용자 이외의 엔티티에 의해 확립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엔티티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오너, 제어자 및/또는 관리자인, 무선 통신 디바이스.
  3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정보는 2 개 이상의 상호의존적인 기준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36.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획득하도록 구성된 로직 및 상기 결정하도록 구성된 로직의 초기 실행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 중재 통신 세션에 참여하도록 허용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중재 통신 세션 동안,
    상기 획득하도록 구성된 로직 및 상기 결정하도록 구성된 로직의 후속 실행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상기 서버 중재 통신 세션들에의 참여에 대한 상기 제한 및/또는 허용에 대한 하나 이상의 조건들을 더 이상 충족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으로 제한하도록 구성된 로직은, 상기 획득하도록 구성된 로직 및 상기 결정하도록 구성된 로직의 상기 후속 실행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서버 중재 통신 세션에 더 참여하는 것을 제한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39. 무선 통신 시스템 내에서 서버 중재 통신 세션에 참여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 상기 서버 중재 통신 세션에 참여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상기 획득된 정보가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상기 서버 중재 통신 세션들에의 참여에 대한 제한 및/또는 허용에 대한 하나 이상의 조건들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및
    상기 결정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의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서버 중재 통신 세션에 참여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제한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정보는 현재 시간 정보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117003438A 2008-07-15 2009-07-15 푸시 투 토크 (ptt) 통신 세션에의 참여의 제한 KR1012435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086908P 2008-07-15 2008-07-15
US61/080,869 2008-07-15
US16707409P 2009-04-06 2009-04-06
US61/167,074 2009-04-06
US12/502,007 2009-07-13
US12/502,007 US20100014497A1 (en) 2008-07-15 2009-07-13 Selectively restricing participation in communication sessions at a communications device with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PCT/US2009/050740 WO2010009261A1 (en) 2008-07-15 2009-07-15 Restricing participation in a push-to-talk ( ptt) communication sess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0689A KR20110030689A (ko) 2011-03-23
KR101243570B1 true KR101243570B1 (ko) 2013-03-22

Family

ID=41020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3438A KR101243570B1 (ko) 2008-07-15 2009-07-15 푸시 투 토크 (ptt) 통신 세션에의 참여의 제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324650B1 (ko)
JP (1) JP5373078B2 (ko)
KR (1) KR101243570B1 (ko)
CN (1) CN102090085B (ko)
ES (1) ES2393244T3 (ko)
WO (1) WO20100092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94946B2 (en) * 2010-08-27 2016-03-22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automatic detail diagnostic log coll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091825B2 (en) 2015-02-03 2018-10-02 Kodiak Networks, Inc. Network-to-network interface gateway system for push-to-talk-over-cellular service
CN108650641B (zh) * 2018-04-16 2021-04-16 福建科立讯通信有限公司 一种无中心dmr中转台ip互联系统话权抢占与仲裁的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81808A1 (en) * 2004-02-12 2005-08-18 Lucent Technologies Inc. Location based service restrictions for mobile applications
US20050186970A1 (en) 2004-02-20 2005-08-25 Yates Charles R. Method of PoC instant temporary group chat based on presence and location
KR20060036031A (ko) * 2004-10-23 2006-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티티 서비스 제한방법
US20070037597A1 (en) 2005-08-03 2007-02-15 Deepankar Biswas Architecture and implementation of closed user groups and limiting mobility in wireless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11135A (en) 1997-12-08 2000-08-2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anufacture of 1,3-propanediol esters from formaldehyde and ethylene using a modified prins reaction
JP2003009238A (ja) * 2001-06-21 2003-01-10 Kyocera Corp 携帯通信システム及び携帯通信端末
GB2403622A (en) 2003-06-30 2005-01-05 Inquam Dynamically adding users to a group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US7558589B2 (en) * 2004-04-08 2009-07-07 Motorola, Inc. Talker arbitra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0640362B1 (ko) * 2004-08-18 2006-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Ptt서비스 방법
US20060111135A1 (en) * 2004-11-19 2006-05-25 Gray William M Method to facilitate distribution of group identifications for push-to-talk groups
JP2006203507A (ja) * 2005-01-20 2006-08-03 Oki Electric Ind Co Ltd 端末機能制限をなす移動端末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US20060252432A1 (en) 2005-05-09 2006-11-09 Sbc Knowledge Ventures, L.P.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venues to selectively block incoming calls to cellular phones present in venue premises
US20070233802A1 (en) * 2006-02-02 2007-10-04 Sonim Technology, Inc.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implementing whisper mode conversations during a multiparty telecommunication session
JP2007312053A (ja) * 2006-05-18 2007-11-29 Casio Hitachi Mobile Communications Co Ltd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81808A1 (en) * 2004-02-12 2005-08-18 Lucent Technologies Inc. Location based service restrictions for mobile applications
US20050186970A1 (en) 2004-02-20 2005-08-25 Yates Charles R. Method of PoC instant temporary group chat based on presence and location
KR20060036031A (ko) * 2004-10-23 2006-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티티 서비스 제한방법
US20070037597A1 (en) 2005-08-03 2007-02-15 Deepankar Biswas Architecture and implementation of closed user groups and limiting mobility in wireless networ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24650B1 (en) 2012-09-19
ES2393244T3 (es) 2012-12-19
KR20110030689A (ko) 2011-03-23
CN102090085B (zh) 2015-06-24
EP2324650A1 (en) 2011-05-25
JP2011528541A (ja) 2011-11-17
WO2010009261A1 (en) 2010-01-21
JP5373078B2 (ja) 2013-12-18
CN102090085A (zh) 201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2501B1 (ko)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 그룹 통신들의 우선순위화
US20100014497A1 (en) Selectively restricing participation in communication sessions at a communications device with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RU2480946C2 (ru) Установление сеанса полнодуплексной связи и переход между полудуплексным и полнодуплексным режимами в ходе сеанса связи в системе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US8811302B2 (en) Regulating the scope of service geographically in wireless networks
US20080146203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versation break-in based on selection priority
JP2010541394A (ja) ワイヤレス通信デバイスから送信された、束にされたメッセージの選択的レビュー
KR101243570B1 (ko) 푸시 투 토크 (ptt) 통신 세션에의 참여의 제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