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3138B1 - 하이브리드 링크 게이트웨이 장치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링크 게이트웨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3138B1
KR101243138B1 KR1020120058097A KR20120058097A KR101243138B1 KR 101243138 B1 KR101243138 B1 KR 101243138B1 KR 1020120058097 A KR1020120058097 A KR 1020120058097A KR 20120058097 A KR20120058097 A KR 20120058097A KR 101243138 B1 KR101243138 B1 KR 101243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raining
hybrid
simulation
equipmen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8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태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8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31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3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3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03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military purposes and tac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하이브리드 링크 게이트웨이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링크 게이트웨이 장치는, 하이브리드 훈련 시뮬레이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통신부;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실장비체계 연동을 통해서 수신된 데이터와 시뮬레이션 연동을 통해서 받은 데이터를 구분하여 분류하며, 분류된 각 데이터들의 전송에 관한 스케줄링을 처리하는 관리제어부; 및 관리제어부에 의해 처리된 실장비체계 데이터와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전송받아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링크 게이트웨이 장치{Hybrid Linked Gateway Apparatus}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링크 게이트웨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장비체계와 시뮬레이션 장비 간의 통합된 망 구성과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를 융합해주면서 인터페이스의 간소화 및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하이브리드 링크 게이트웨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 무기체계 연동 시뮬레이션은 현대 무기체계의 개발주기 동안 시험, 분석 및 훈련 등의 목적으로 소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요소를 충족하기 위해서 최근에는 모델링(Modeling) 및 시뮬레이션(Simulation)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이를 통한 시뮬레이션 기반 획득(Simulation Based Acquisition: SBA)이 확대되고 있다.
시뮬레이션 기반으로 획득된 무기체계에 대해서 현재는 실 기동 시험/훈련, 가상모의(Virtual) 훈련, 구성모의(Constructive) 훈련 등과 같이 별도로 수행하고 있으며, 각각의 모델 간 통합 및 연동을 시도하고 있다.
종래의 시뮬레이션 기반의 훈련 시뮬레이터는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에 맞는 개별 모의기 형태의 구조를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종래의 훈련 시뮬레이터는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를 제공해주는 형태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인터페이스 변경에 따라 새로운 형태의 모의기를 매번 개발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그에 따라 추가적인 형상이 필요하게 되고 추가 비용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실장비체계와 시뮬레이션 장비 간의 통합된 망 구성과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를 융합해주면서 인터페이스의 간소화 및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하이브리드 링크 게이트웨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링크 게이트웨이 장치는, 하이브리드 훈련 시뮬레이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통신부;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실장비체계 연동을 통해서 수신된 데이터와 시뮬레이션 연동을 통해서 받은 데이터를 구분하여 분류하며, 분류된 각 데이터들의 전송에 관한 스케줄링을 처리하는 관리제어부; 및 관리제어부에 의해 처리된 실장비체계 데이터와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전송받아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통신부는, 하이브리드 훈련 시뮬레이터의 실장비체계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와 인터페이스하는 실장비체계 처리부; 하이브리드 훈련 시뮬레이터의 모의기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와 인터페이스하는 모의체계 처리부; 및 하이브리드 훈련 시뮬레이터에 대한 연결상태정보를 전송하는 상태정보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장비체계 처리부는, 하이브리드 훈련 시뮬레이터로부터 실장비체계 교전정보, 트랙정보를 전송받는다.
상태정보 전송부는, 실장비체계 처리부를 통해 수신한 실장비체계 교전정보, 트랙정보의 데이터 포맷을 변경하여 하이브리드 훈련 시뮬레이터의 다른 모의기로 전송한다.
실장비체계 처리부는, 하이브리드 훈련 시뮬레이터로부터 발사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운동체 이탈정보를 판단하여 전송한다.
모의체계 처리부는, 하이브리드 훈련 시뮬레이터로부터 훈련시나리오 정보 훈련시작 정보, 훈련종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받는다.
관리제어부는, 시스템 내부의 기능을 관리하는 내부 관리부; 및 시스템 외부의 기능을 관리하는 외부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내부 관리부는, 실장비체계 처리부와 인터페이스되어 전술망과 연동하는 전술망 관리부; 모의체계 처리부와 인터페이스되어 시뮬레이션망과 연동하는 시뮬레이션망 관리부; 하이브리드 훈련 시뮬레이터의 훈련통제기와 인터페이스되어 서비스망과 연동하는 서비스망 관리부; 각각의 관리부의 통제를 위한 스케줄링을 제공하는 관리 통제부; 초기 환경정보 및 실장비체계 연동 파라미터를 관리하는 파라미터 관리부; 훈련 시나리오 데이터를 관리하는 시나리오 관리부; 및 인터페이스부와 인터페이스되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관리하는 인터페이스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 훈련 시뮬레이터는, 실장비체계 장비의 운용을 수행하는 장비 운용부; 구성모의 모델 기반의 모의기를 통하여 실장비체계와 연동하는 시뮬레이션 장비부; 장비 운용부와 상기 시뮬레이션 장비부를 연동시키는 중재부; 및 장비 운용부, 시뮬레이션 장비부, 및 중재부를 이용하여 훈련 시뮬레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훈련시나리오 생성, 훈련통제, 훈련관찰 및 관리를 수행하는 훈련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 훈련 시뮬레이터는, 실장비체계 장비의 운용을 수행하며, 구성모의 모델 기반의 모의기를 통하여 실장비체계를 시뮬레이션하고, 실장비체계 장비의 운용수행과 시뮬레이션을 연동시키며, 훈련 시뮬레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훈련시나리오 생성, 훈련통제, 훈련관찰 및 관리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이브리드 링크 게이트웨이는 실장비체계와 시뮬레이션 장비 간의 통합된 망 구성과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를 융합해 주면서 인터페이스의 간소화 및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이브리드 링크 게이트웨이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는 내부관리자와 외부관리자를 기능별로 구성하여 재사용 및 상호운용이 용이한 소프트웨어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훈련 시뮬레이터를 구성하는데 공통적으로 필요한 기능을 제공하는 재사용의 단위로 사용자가 쉽게 변경하거나 추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유연한 재사용 및 상호운용 방안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훈련 시뮬레이터의 비용절감, 개발기간 단축, 구현 용이성 증가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성능 향상을 통해 훈련 시뮬레이터 구성을 최적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링크 게이트웨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하이브리드 훈련 시뮬레이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내부관리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링크 게이트웨이 장치 및 그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링크 게이트웨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링크 게이트웨이 장치는 통신부(100), 관리제어부(200) 및 인터페이스부(300)를 포함한다. 하이브리드 훈련 시뮬레이션의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하이브리드 링크 게이트웨이는 재사용성과 확장성을 고려하여 3-tier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3-tier 중 가장 중요한 부분 중에 하나는 서로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때, 하이브리드 링크 게이트웨이는 각 Tier의 독립적인 역할을 정의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구조로 설계될 수 있으며, 또한 인터페이스의 최소화를 위해서 각 레이어의 기능을 수정하고 인터페이스 간의 수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3-Tier 구조로 설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통신부(100)는 Communication Layer로 구현되며, 관리부(200)는 Manager Control Layer로 구현되고, 인터페이스부(300)는 Human-Computer Interface Layer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00)는 하이브리드 훈련 시뮬레이터(1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다. 여기서, 훈련 시뮬레이터는 실장비체계(Live)와 구성모의 모델(Constructive)을 가진 구성으로 교육 및 실습을 위한 장비로서, 하이브리드 훈련 시뮬레이터(10)는 실장비체계(LIVE)와 구성모의 모델(Constructive)을 가진 모의기로 분류될 수 있다. 하이브리드 훈련 시뮬레이터(10)는 체계 시뮬레이터를 통해서 확보된 모델(Constructive)과 개발벤치를 통해서 실장비체계(Live) 검증이 끝난 모의기를 재사용하여 구성하게 된다. 이때, 하이브리드 훈련 시뮬레이터(10)의 구성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구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각 구성은 서로 독립적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실장비체계는 실무기체계에 상응하는 개념이다.
장비 운용부(12)는 물리적인 계층으로는 Real-World Equipment Lay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장비체계의 인터페이스를 그대로 사용하여 실장비체계 장비 운용을 동일하게 수행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때, 장비 운용부(12)는 훈련 시뮬레이터를 위해서 어떠한 수정도 하지 않을 수도 있다.
시뮬레이션 장비부(14)는 물리적인 계층으로는 Simulated Equipment Lay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장비체계와 연동되는 장비들을 구성모의 모델(Constructive) 기반의 모의기를 통해서 실장비체계와의 연동을 수행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때, 장비 운용부(12)와 시뮬레이션 장비부(14)의 연결은 중재부(16)를 통해서 유기적으로 연동될 수 있다. 이 경우, 중재부(16)는 물리적인 계층으로 Arbitrator Lay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장비 운용부(12) 및 시뮬레이션 장비부(14)와 서로 독립적인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 구조를 가지고 있다. 중재부(16)는 서로 이질적인 계층인 시뮬레이션과 실장비체계를 연동시켜 주기 위해서 데이터 해상도 변환, 메시지 분배를 통해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실장비체계의 인터페이스의 의존적인 시뮬레이션 인터페이스의 수정을 최소화시켜주고 장비의 충실도를 높여주기 위해서, 중재부(16)는 하이브리드 구성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훈련제어부(18)는 장비 운용부(12), 시뮬레이션 장비부(14), 및 중재부(16)를 이용하여 훈련 시뮬레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훈련시나리오 생성, 훈련통제, 훈련관찰 및 관리를 수행하며, 물리적인 계층으로는 Training Control Layer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00)는 하이브리드 훈련 시뮬레이터(10) 및 외부와 연동되는 네트워크 연결을 담당한다. 이때, 통신부(100)의 통신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 Safe queue가 사용될 수 있다. Safe queue는 통신하는 동안의 deadlock을 막아주고 다른 프로세스를 하는 동안에 데이터를 보내지 않는다.
여기서, 통신부(100)는 실장비체계 처리부(110), 모의체계 처리부(120) 및 상태정보 전송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장비체계 처리부(110)는 NDDS Middleware로서, 하이브리드 훈련 시뮬레이터(10)의 실장비체계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와 인터페이스를 담당한다. 이때, 실장비체계 처리부(110)는 하이브리드 훈련 시뮬레이터(10)로부터 실장비체계 교전정보, 트랙정보를 전송받는다. 또한, 실장비체계 처리부(110)는, 하이브리드 훈련 시뮬레이터(110)로부터 발사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운동체 이탈정보를 판단하여 전송할 수 있다.
모의체계 처리부(120)는 HLA-RTI Middleware로서, 하이브리드 훈련 시뮬레이터의 모의기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와 인터페이스를 담당한다. 여기서, 모의체계 처리부(120)는 하이브리드 훈련 시뮬레이터(10)로부터 훈련시나리오 정보 훈련시작 정보, 훈련종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받는다.
상태정보 전송부(130)는 하이브리드 훈련 시뮬레이터(10)에 대한 연결상태정보를 전송하며, TCP/IP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태정보 전송부(130)는 실장비체계 처리부(110)를 통해 수신한 실장비체계 교전정보, 트랙정보의 데이터 포맷을 변경하여 하이브리드 훈련 시뮬레이터(10)의 다른 모의기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제어부(200)는 물리적인 계층으로 Manager Control Lay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 계층 간의 중계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통신부(100)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실장비체계 연동을 통해서 수신된 데이터와 시뮬레이션 연동을 통해서 받은 데이터를 구분하여 분류하며, 분류된 각 데이터들의 전송에 관한 스케줄링을 처리한다.
인터페이스부(300)는 물리적인 계층으로 HCI(Human-Computer Interface) Lay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관리제어부(200)에 의해 처리된 실장비체계 데이터와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전송받아 출력한다. 즉, 인터페이스부(300)는 HCI Interface Manager를 통해서 처리된 실장비체계 데이터와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전송받아 전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한편, 관리제어부(200)는 내부 기능을 관리하는 내부관리부(210) 및 외부와의 연동을 담당하는 외부관리부(220)를 포함한다. 이때, 내부관리부(210)는 기능 단위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망 관리부(211), 시뮬레이션망 관리부(212), 서비스망 관리부(213), 관리통제부(214), 파라미터 관리부(215), 시나리오 관리부(216) 및 인터페이스 관리부(217)의 7개의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망 관리부(211)는 실장비체계 처리부(110)와 인터페이스되어 전술망과 연동한다. 즉, 전술망 관리부(211)는 실장비체계 외부 관리자와 연동되는 Domain의 가입과 탈퇴를 처리하는 기능을 담당하며, 실장비체계를 통해서 주고받는 메시지를 Subscribe/Publish하고 Domain의 연결된 상태를 확인한다.
시뮬레이션 관리부(212)는 모의체계 처리부(120)와 인터페이스되어 시뮬레이션망과 연동한다. 또한, 시뮬레이션 관리부(212)는 페더레이션과 페더레이트의 가입과 탈퇴를 처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모의체계를 통해서 연동되는 페더레이트에서 생성된 메시지의 Encoding과 Decoding을 통해서 Publish/Subscribe를 처리하게 된다.
서비스망 관리부(213)는 하이브리드 훈련 시뮬레이터(10)의 훈련통제기와 인터페이스되어 서비스망과 연동한다. 또한, 서비스망 관리부(213)는 훈련제어부(18)와의 연결을 담당하나. 시뮬레이션 망에서 처리하기 어려운 메시지와 실장비체계에서 전송되는 교전정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기 위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실장비체계와의 실시간성이 중요하기 때문에 이를 보장하기 위해서 사용하게 되었다.
관리통제부(214)는 각각의 관리부의 통제를 위한 스케줄링을 제공한다. 내부 관리자간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관리통제부(214)는 모든 관리자들로부터 송/수신되는 정보를 처리하고 입/출력되는 정보를 필요한 관리자에게 배포해준다. 또한, 관리통제부(214)는 각 관리자 별로 ID를 부여하여 식별하고 이벤트를 넘겨주는 형태로 내부 인터페이스를 단일화시킨다. 이때, 각 관리부들은 서로 모두 유연하게 결합되기 위해서 냅 단일 인터페이스를 사용한다.
파라미터 관리부(215)는 초기 환경정보 및 실장비체계 연동 파라미터를 관리한다. 즉, 파라미터 관리부(215)는 초기 환경정보 및 실장비체계 연동 파라미터의 설정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시나리오 관리부(216)는 훈련 시나리오 데이터를 관리한다. 또한, 시나리오 관리부(216)는 XML 파일 형태의 훈련시나리오를 해석(Parsing)하여 프레임워크에서 사용하는 형태로 변환하며, 시나리오 데이터를 RTI를 통해서 전달할 수 있는 형태로 인코딩/디코딩하는 기능을 가지고, 시나리오 데이터의 구성요소들 간의 무결성 및 값 검사를 수행한다.
인터페이스 관리부(217)는 인터페이스부(300)와 인터페이스되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관리한다. 이때, 인터페이스 관리부(217)는 내부 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인터페이스부(300)의 GUI(Graphic User Interface)와 분리되며, TCP/IP를 통해서 연결되는 구조를 사용하고, 관리통제부(214)에서 훈련정보/시나리오 저장정보를 보내주면 받은 정보를 인터페이스부(30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앞에서 살펴 본 관리자들을 통해서 사용자는 분산 시뮬레이션을 포함한 다양한 시뮬레이션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프레임워크를 상속받아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쉽게 추가할 수 있다.
외부관리부(220)에 의한 소프트웨어 연동기능 및 그 외부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이브리드 링크 게이트웨이는 서비스 데이터, 시뮬레이션 데이터와 실장비체계 데이터 간의 메시지를 연결시켜 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실장비체계 메시지를 전송받아 시뮬레이션 메시지 형태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실장비체계의 메시지를 서비스 데이터로 변환하여 훈련통제기로 전송한다. 초기 하이브리드 링크 게이트웨이는 실장비체계 간의 주고받는 교전정보, 발사명령, 운동체 이탈 응답 정보 등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NDDS를 사용하는 실장비체계와 연동하기 위해 같은 Domain을 사용하여 NDDS에 가입하게 되며 실장비체계 간의 메시지를 받게 된다. 전송받은 데이터를 시뮬레이션 망과 서비스 망으로 분리하여 운동체 모의기와 훈련통제기로 전송하여 준다. 하지만 실장비체계 메시지가 자주 변경되고 훈련 시뮬레이터의 요구되는 메시지 반영의 제약이 발생하게 된다. 운동체 이탈 응답 정보를 이용하다 보니 실장비체계에서 반영되는 운동체 이탈 정보와 시뮬레이션으로 처리되는 운동체 이탈 응답정보 시간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시간 Delay를 없애기 위해서 하이브리드 링크 게이트웨이에서 발사명령 이후의 시간을 계산하고 시뮬레이션 레졸류션으로 변환하여 운동체 이탈정보를 생성하여 운동체 모의기로 전송하여 준다. 실장비체계와의 연동에서는 실제 시간을 맞추어서 시뮬레이션을 해주어야 하기 때문에 시간 동기는 중요한 부분이다.
NDDS의 특성상 메시지의 손실을 보상해 줄 수 있으나 보상되는 경우에는 3초 정도의 Delay가 발생한다. 또한 NDDS 내의 설정을 통해서 가능하다. 설정을 하지 않게 된다면 메시지의 손실을 어느 정도는 감안하여 설계에 반영하여야 된다. NDDS 내의 설정 부분에 대한 메시지의 처리는 서로 동기화가 되어 있어야 한다. 하지만 훈련 시뮬레이터를 위해서 실장비체계의 인터페이스 설정을 쉽게 변경할 수 없는 어려움이 발생한다. 또한, NDDS 내의 메시지의 손실을 발생하게 되었을 경우에는 시뮬레이션이 불가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실장비체계의 인터페이스 설정을 변경하지 않더라도 발사명령과 운동체 이탈 응답정보를 가지고 있는 발사대 모의기를 통해서 전송받는 방법으로 인터페이스 설계를 개선하였다. 또한 실장비체계는 TCP/IP 통신을 이용해서 발사대 모의기와 연동되고 발사대 모의기로 발사명령을 전송하여 주면 전송받은 발사명령을 시뮬레이션 망을 이용하여 전송하게 된다. 하이브리드 링크 게이트웨이는 전송받은 시간을 기준으로 계산하게 되고 운동체 이탈 정보를 생성하여 운동체 모의기와 훈련통제기로 전송하여 준다. 이때 서비스 망과 시뮬레이션 망의 인터페이스를 맞추어 주고 레졸류션을 일치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하이브리드 링크 게이트웨이는 변경되는 메시지가 있더라도 실장비체계 인터페이스의 변경의 영향을 미치지 않고 실장비체계의 변형된 인터페이스에도 쉽게 반영할 수 있는 구조로 개선하였다.
M&S 기반의 실장비체계 연동을 위한 훈련 환경의 소요가 증가함에 따라 훈련 시뮬레이터의 하이브리드 구성과 시뮬레이션 설계 구조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하이브리드 링크 게이트웨이는 실장비체계와 시뮬레이션 장비 간의 통합된 망 구성과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를 융합해 주면서 인터페이스의 간소화 및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이브리드 링크 게이트웨이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는 내부 관리자와 외부 관리자를 기능별로 구성하여 재사용 및 상호운용이 용이한 소프트웨어 구조를 제공하였다. 또한 훈련 시뮬레이터를 구성하는데 공통적으로 필요한 기능을 제공하는 재사용의 단위로 사용자가 쉽게 변경하거나 추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유연한 재사용 및 상호운용 방안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서 훈련 시뮬레이터의 비용절감, 개발기간 단축, 구현 용이성 증가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성능 향상을 통해 훈련 시뮬레이터 구성을 최적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하이브리드 훈련 시뮬레이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실장비체계 연동을 통해서 수신된 데이터와 시뮬레이션 연동을 통해서 받은 데이터를 구분하여 분류하며, 분류된 각 데이터들의 전송에 관한 스케줄링을 처리하는 관리제어부; 및
    상기 관리제어부에 의해 처리된 실장비체계 데이터와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전송받아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링크 게이트웨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하이브리드 훈련 시뮬레이터의 실장비체계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와 인터페이스하는 실장비체계 처리부;
    상기 하이브리드 훈련 시뮬레이터의 모의기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와 인터페이스하는 모의체계 처리부; 및
    상기 하이브리드 훈련 시뮬레이터에 대한 연결상태정보를 전송하는 상태정보전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링크 게이트웨이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실장비체계 처리부는,
    상기 하이브리드 훈련 시뮬레이터로부터 실장비체계 교전정보, 트랙정보를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링크 게이트웨이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정보 전송부는,
    상기 실장비체계 처리부를 통해 수신한 실장비체계 교전정보, 트랙정보의 데이터 포맷을 변경하여 상기 하이브리드 훈련 시뮬레이터의 다른 모의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링크 게이트웨이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실장비체계 처리부는,
    상기 하이브리드 훈련 시뮬레이터로부터 발사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운동체 이탈정보를 판단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링크 게이트웨이 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의체계 처리부는,
    상기 하이브리드 훈련 시뮬레이터로부터 훈련시나리오 정보 훈련시작 정보, 훈련종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링크 게이트웨이 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제어부는,
    시스템 내부의 기능을 관리하는 내부 관리부; 및
    시스템 외부의 기능을 관리하는 외부 관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링크 게이트웨이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관리부는,
    상기 실장비체계 처리부와 인터페이스되어 전술망과 연동하는 전술망 관리부;
    상기 모의체계 처리부와 인터페이스되어 시뮬레이션망과 연동하는 시뮬레이션망 관리부;
    상기 하이브리드 훈련 시뮬레이터의 훈련통제기와 인터페이스되어 서비스망과 연동하는 서비스망 관리부;
    각각의 관리부의 통제를 위한 스케줄링을 제공하는 관리 통제부;
    초기 환경정보 및 실장비체계 연동 파라미터를 관리하는 파라미터 관리부;
    훈련 시나리오 데이터를 관리하는 시나리오 관리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와 인터페이스되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관리하는 인터페이스 관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링크 게이트웨이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훈련 시뮬레이터는,
    실장비체계 장비의 운용을 수행하는 장비 운용부;
    구성모의 모델 기반의 모의기를 통하여 실장비체계와 연동하는 시뮬레이션 장비부;
    상기 장비 운용부와 상기 시뮬레이션 장비부를 연동시키는 중재부; 및
    상기 장비 운용부, 상기 시뮬레이션 장비부, 및 상기 중재부를 이용하여 훈련 시뮬레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훈련시나리오 생성, 훈련통제, 훈련관찰 및 관리를 수행하는 훈련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링크 게이트웨이 장치.
KR1020120058097A 2012-05-31 2012-05-31 하이브리드 링크 게이트웨이 장치 KR101243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097A KR101243138B1 (ko) 2012-05-31 2012-05-31 하이브리드 링크 게이트웨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097A KR101243138B1 (ko) 2012-05-31 2012-05-31 하이브리드 링크 게이트웨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3138B1 true KR101243138B1 (ko) 2013-03-13

Family

ID=48181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8097A KR101243138B1 (ko) 2012-05-31 2012-05-31 하이브리드 링크 게이트웨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31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7710A (ko) * 2016-10-05 2018-04-1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함정체계 시뮬레이션을 위한 관성항법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KR20180037714A (ko) * 2016-10-05 2018-04-1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함정체계 시뮬레이션을 위한 기점판 시뮬레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2009A (ko) * 2004-02-17 2005-08-22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비행 시뮬레이션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WO2006019974A2 (en) 2004-07-15 2006-02-23 Cubic Corporation Enhancement of aimpoint in simulated training systems
KR100958372B1 (ko) 2003-02-25 2010-05-17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비행 시뮬레이션 호스트 시스템
KR101022356B1 (ko) 2010-04-09 2011-03-22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실제 장비와 시뮬레이션 장비를 중재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372B1 (ko) 2003-02-25 2010-05-17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비행 시뮬레이션 호스트 시스템
KR20050082009A (ko) * 2004-02-17 2005-08-22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비행 시뮬레이션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WO2006019974A2 (en) 2004-07-15 2006-02-23 Cubic Corporation Enhancement of aimpoint in simulated training systems
KR101022356B1 (ko) 2010-04-09 2011-03-22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실제 장비와 시뮬레이션 장비를 중재하는 방법 및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7710A (ko) * 2016-10-05 2018-04-1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함정체계 시뮬레이션을 위한 관성항법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KR20180037714A (ko) * 2016-10-05 2018-04-1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함정체계 시뮬레이션을 위한 기점판 시뮬레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방법
KR102555537B1 (ko) 2016-10-05 2023-07-12 한화오션 주식회사 함정체계 시뮬레이션을 위한 기점판 시뮬레이션 장치
KR102564579B1 (ko) 2016-10-05 2023-08-04 한화오션 주식회사 함정체계 시뮬레이션을 위한 관성항법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un et al. Data-centric middleware based digital twin platform for dependable cyber-physical systems
Hemingway et al. Rapid synthesis of high-level architecture-based heterogeneous simulation: a model-based integration approach
KR101548160B1 (ko) 워게임 모델의 연동 시스템 및 방법
KR101056682B1 (ko) 컴포넌트 기반의 무기체계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시뮬레이션 방법
KR101222532B1 (ko) 함정 전투 체계의 실장비와 기존 시뮬레이터를 연동하기 위한 실장비 연동 어댑터 및 방법
KR101670307B1 (ko) 컴포넌트기반 통합 시뮬레이션 환경과 matlab/simulink 레거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간 연동방법 및 연동인터페이스 설계방법
CN111860777B (zh) 面向超实时仿真环境的分布式强化学习训练方法及装置
KR101243138B1 (ko) 하이브리드 링크 게이트웨이 장치
CN110046383A (zh) 基于事件同步与筛选的电力系统信息物理混合仿真方法
CN102981415B (zh) 一种飞行仿真框架系统
CN109100952B (zh) 分布式半实物仿真航天器健康管理系统区域推理机
CN108427320A (zh) 一种高速动车组实时运行半实物仿真系统试验台
KR101245619B1 (ko) 하이브리드 링크 게이트웨이 방법
Pieper et al. Distributed co-simulation for software-in-the-loop testing of networked railway systems
Elias et al. The Cyber-Physical Metaverse-Where Digital Twins and Humans Come Together
Lee et al. Decoupling cognitive agents and virtual environments
Hodson et al. Characterizing, measuring, and validating the temporal consistency of live—virtual—constructive environments
CN101916206A (zh) 一种信号系统的建模方法及装置
Hildenbrand ED-247 (VISTAS) Gateway for Hybrid Test Systems
Nielsen et al. Extending VDM-RT to enable the formal modelling of system of systems
JP2013254492A (ja) 制御装置のバス通信に影響を及ぼす方法
Kaya et al. A configurable gateway for DDS-HLA interoperability
Köksal et al. A control architecture for integration of different simulation systems
Chen et al. Integrating base object model components into DEVS-based simulation
KR101948203B1 (ko) Hla/rti 기반의 페더레이트간 연동 방법 및 페더레이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