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2650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공간-시간 확산을 이용하여 전송된 데이터 디코딩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공간-시간 확산을 이용하여 전송된 데이터 디코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2650B1
KR101242650B1 KR1020117028392A KR20117028392A KR101242650B1 KR 101242650 B1 KR101242650 B1 KR 101242650B1 KR 1020117028392 A KR1020117028392 A KR 1020117028392A KR 20117028392 A KR20117028392 A KR 20117028392A KR 101242650 B1 KR101242650 B1 KR 101242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mbol
time period
communication channel
chip block
symbol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8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8067A (ko
Inventor
예헤스켈 바-네스
아콜라체 코드조비
Original Assignee
뉴저지 인스티튜트 오브 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뉴저지 인스티튜트 오브 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뉴저지 인스티튜트 오브 테크놀로지
Publication of KR20120008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2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2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97Interference-related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23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 H04J11/0026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of multi-user interference
    • H04J11/003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of multi-user interference at the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0007Code type
    • H04J13/004Orthogo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 H04L1/0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using space diversity
    • H04L1/0618Space-time coding
    • H04L1/0675Space-tim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ing
    • H04L1/0681Space-tim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ing adapting space time parameters, i.e. modifying the space time matri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STS(공간-시간 확산)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것과 연관된 비트 에러율(bit error rate; BER)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공간-시간 확산을 이용하여 전송된 데이터 디코딩{DECODING DATA TRANSMITTED USING SPACE-TIME SPREAD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여기서 달리 지적되지 않는다면, 본 섹션에서 기술되는 접근법은 본 출원의 청구범위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본 섹션에서의 포함에 의해 종래 기술로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수의 안테나를 통해 데이터 스트림의 사본을 전송하기 위해 다중 안테나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한 유형은 전송 다이버시티(diversity)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칭해질 수 있다. 전송 다이버시티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전송기와 수신기 사이의 데이터-전달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데이터 스트림의 인코딩된 부분(예를 들면, 인코딩된 데이터 블록)을 공간-시간 변조할 수 있다. 인코딩된 데이터 블록을 공간-시간 변조하는 전형적인 기법은, 통신 채널을 통해 인코딩된 데이터 블록의 제1 사본이 제1 안테나로부터 전송되고 인코딩된 데이터 블록의 제2 사본이 제2 안테나로부터 전송되는 제1 및 제2 시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인코딩된 블록은 직교 확산 코드를 사용하여 확산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인코딩된 확산 데이터 블록의 공간-시간 변조를 STS(space-time spreading)이라 칭할 수 있다.
STS를 사용하는 몇몇 전송 다이버시티 무선 통신 시스템은, 인코딩된 데이터의 사본이 전송되는 각각의 시구간 사이에 통신 채널이 적어도 (예를 들어, 편차가 거의 없고 실질적으로 상관되는) 준정적(quasi-static)이라는 가정 하에 설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는, 통신 채널이 무선 통신 채널이 채용될 물리적 환경에 기인한 자연적인 시간 편차(산란, 반사, 굴절 등의 영향)를 경험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이해한다. 또한, 전송기와 수신기 간의 고속의 상대 이동으로 인해 무선 통신채널과 연관된 통신 신호가 빠르게 페이딩(fading)되고, 따라서 전송 시구간들 간에 통신채널에서의 편차를 또한 변경하거나 야기할 수 있다. 자연적인 시간 편차 및 고속의 페이딩 환경의 결과로서, 전송기와 수신기 간의 데이터-전달의 신뢰성이, 통신 채널이 준정적이라는 가정 하에 설계된 STS를 사용하는 전송 다이버시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문제가 될 수 있다.
통신 채널에서의 편차를 고려할 수 있는 STS를 사용하는 전송 다이버시티 무선 통신 시스템을 설계하고자 하는 몇몇 시도는 통신 채널이 독립적이거나 상관(correlation)이 없다고 가정한다. 그러나, 통신 채널에서의 편차는 어느 정도의 상관을 가질 수 있다. 상관은 통신 채널이 빠르게 페이딩되는 환경에서 채용될 때 감소할 수 있다. 무선 채널에서 시간 상관이 존재하는 결과로서, 전송기와 수신기 간의 데이터-전달의 신뢰성은, 전송 시구간들 사이에 상관이 없다는 가정 하에 설계된 STS를 사용하는 전송 다이버시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또한 문제가 될 수 있다.
본 개시는 제1 심볼 및 제2 심볼로 인코딩된 수신기 디코딩 데이터와 연관된 BER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구현하는 것을 기술한다. 제1 심볼 및 제2 심볼은 또한 제1 칩 블록 및 제2 칩 블록 모두에 포함될 수 있다. 제1 칩 블록 및 제2 칩 블록은 전송기의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를 통해 제1 심볼 시구간 동안 통신 채널을 거쳐 전송되었을 수 있다. 제1 칩 블록과 제2 칩 블록은 또한 전송기의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를 통해 제2 심볼 시구간 동안 통신 채널을 거쳐 전송되었을 수 있다. 본 방법에 따라, 제1 심볼 시구간 및 제2 심볼 시구간 동안 통신 채널을 통해 인코딩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기에 대한 입력 신호-대-잡음 비율 연산 매개 변수가 얻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방법에 따라, 통신 채널에 대한 채널 상관 계수가 얻어질 수 있다. 채널 상관 계수는 제1 심볼 시구간과 제2 심볼 시구간 간 통신 채널의 편차에 기초할 수 있다. 다음에, 제1 심볼 및 제2 심볼로 인코딩된 수신기 디코딩 데이터와 연관된 BER이 결정될 수 있다. BER은 얻어진 입력 신호-대-잡음 비율 연산 매개 변수 및 얻어진 채널 상관 계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개시는 또한 제1 심볼 및 제2 심볼로 인코딩된 수신기 디코딩 데이터와 연관된 비트 에러율을 결정하기 위한 예시적인 컴퓨팅 플랫폼을 기술한다. 제1 심볼 및 제2 심볼은 제1 칩 블록 및 제2 칩 블록 모두에 또한 포함될 수 있다. 제1 칩 블록 및 제2 칩 블록은 전송기의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를 통해 제1 심볼 시구간 동안 통신 채널을 거쳐 전송될 수 있다. 제1 칩 블록 및 제2 칩 블록은 또한 전송기의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를 통해 제2 심볼 시구간 동안 통신 채널을 거쳐 전송될 수 있다. 몇몇 예에서, 컴퓨팅 플랫폼은 로직을 갖는 품질 관리자를 포함한다. 로직은, 제1 심볼 시구간 및 제2 심볼 시구간 동안 통신 채널을 통해 인코딩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기에 대한 입력 신호-대-잡음 비율 매개 변수를 얻도록 구성될 수 있다. 로직은 또한 통신 채널에 대한 채널 상관 계수를 얻도록 구성될 수 있다. 채널 상관 계수는, 제1 심볼 시구간과 제2 심볼 시구간 간 통신 채널의 편차에 기초할 수 있다. 로직은 제1 심볼과 제2 심볼로 인코딩된 수신기 디코딩 데이터와 연관된 비트 에러율을 결정하도록 또한 구성되고, 여기서, 비트 에러율은 입력 신호-대-잡음 비율 연산 매개 변수와 채널 상관 계수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본 개시는 또한 예시적인 무선 컴퓨팅 시스템을 기술한다. 몇몇 예에서, 무선 컴퓨팅 시스템은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를 갖는 전송기를 포함한다. 전송기는 데이터를 제1 심볼 및 제2 심볼로 인코딩하고, 제1 심볼 및 제2 심볼을 제1 칩 블록에 그리고 또한 제2 칩 블록에 개별적으로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로직을 포함한다. 전송기는, 제1 칩 블록 및 제2 칩 블록이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를 통해 제1 심볼 시구간 동안 통신 채널을 거쳐 전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송기는 또한, 제1 칩 블록 및 제2 칩 블록이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를 통해 제2 심볼 시구간 동안 통신 채널을 거쳐 전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칩 블록 및 제2 칩 블록은 통신 채널을 거쳐 수신기로 전송될 수 있다.
예시적인 무선 컴퓨팅 시스템은 또한 컴퓨팅 플랫폼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플랫폼은 로직을 포함할 수 있는 품질 관리자를 가질 수 있다. 로직은, 제1 심볼 시구간 및 제2 심볼 시구간 동안 통신 채널을 통해 인코딩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기에 대한 입력 신호-대-잡음 비율 연산 매개 변수를 얻도록 구성될 수 있다. 로직은 또한 통신 채널에 대한 채널 상관 계수를 얻도록 구성될 수 있다. 채널 상관 계수는, 제1 심볼 시구간과 제2 심볼 시구간 간 통신 채널의 편차에 기초할 수 있다. 로직은 제1 심볼과 제2 심볼로 인코딩된 수신기 디코딩 데이터와 연관된 비트 에러율을 결정하도록 또한 구성될 수 있다. 비트 에러율은 입력 신호-대-잡음 비율 연산 매개 변수와 채널 상관 계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몇몇 다른 예에서, 본 개시는 또한 전송기에 의해 통신 채널을 거쳐 전송되는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을 기술한다. 전송기는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은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기는 통신 채널을 통해 전송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로직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수신된 신호로부터 데이터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는 제1 칩 블록 및 제2 칩 블록 모두에 포함된 제2 심볼 시구간 동안의 제1 심볼 및 제2 심볼로부터 디코딩될 수 있다. 제1 칩 블록 및 제2 칩 블록은 전송기의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로부터 제1 심볼 시구간 동안 통신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제1 칩 블록 및 제2 칩 블록은 또한 전송기의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로부터 제2 심볼 시구간 동안 통신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은 또한 컴퓨팅 플랫폼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플랫폼은 로직을 포함할 수 있는 품질 관리자를 가질 수 있다. 로직은, 제1 심볼 시구간 및 제2 심볼 시구간 동안 통신 채널을 통해 인코딩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기에 대한 입력 신호-대-잡음 비율 연산 매개 변수를 얻도록 구성될 수 있다. 로직은 또한 통신 채널에 대한 채널 상관 계수를 얻도록 구성될 수 있다. 채널 상관 계수는, 제1 심볼 시구간과 제2 심볼 시구간 간 통신 채널의 편차에 기초할 수 있다. 로직은 제1 심볼과 제2 심볼로 인코딩된 수신기 디코딩 데이터와 연관된 비트 에러율을 결정하도록 또한 구성될 수 있다. 비트 에러율은 입력 신호-대-잡음 비율 연산 매개 변수와 채널 상관 계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개시는 또한 예시적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기술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명령어를 갖는 신호 포함(bearing)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는 제1 심볼 및 제2 심볼로 인코딩된 수신기 디코딩 데이터와 연관된 비트 에러율을 결정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제1 심볼 및 제2 심볼은 또한 제1 칩 블록 및 제2 칩 블록 모두에 포함될 수 있다. 제1 칩 블록 및 제2 칩 블록은 전송기의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를 통해 제1 심볼 시구간 동안 통신 채널을 거쳐 전송될 수 있다. 제1 칩 블록 및 제2 칩 블록은 전송기의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를 통해 제2 심볼 시구간 동안 통신 채널을 거쳐 전송될 수 있다. 로직에 의해 실행될 때, 명령어는, 로직이 제1 심볼 시구간 및 제2 심볼 시구간 동안 통신 채널을 거쳐 인코딩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기에 대한 입력 신호-대-잡음 비율 연산 매개 변수를 얻도록 할 수 있다. 명령어는 로직이 통신 채널에 대한 채널 상관 계수를 얻도록 할 수 있다. 채널 상관 계수는 제1 심볼 시구간과 제2 심볼 시구간 간 통신 채널의 편차에 기초할 수 있다. 명령어는 로직이 제1 심볼과 제2 심볼로 인코딩된 수신기 디코딩 데이터와 연관된 비트 에러율을 결정할 수 있도록 또한 구성될 수 있다. 비트 에러율은 입력 신호-대-잡음 비율 연산 매개 변수와 채널 상관 계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전술한 특징 및 다른 특징은 첨부 도면과 결합하여 취해진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청구범위로부터 더 자명해질 것이다. 이들 도면은 단지 본 개시에 따른 몇몇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고려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을 이해하게 되면, 본 개시는 첨부 도면을 사용하여 추가적으로 더 특정적이고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전송 관리자에 대한 예시적인 아키텍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수신 관리자에 대한 예시적인 아키텍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4는 품질 관리자에 대한 예시적인 아키텍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5는 결정된 비트 에러율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6은 통신 채널을 통해 전송기로부터 전송된 수신기 디코딩 데이터와 연관된 비트 에러율을 결정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7은 예시적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개시에 따라 모두 배치된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를 도시한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의 일부를 형성하는 첨부 도면이 참조된다. 도면에서, 문맥상 다르게 기재되지 않는 한, 유사한 기호는 일반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도면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예시적 예 또는 실시예들은 제한적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여기에 제시된 청구 과제의 취지와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른 예 또는 실시예들이 사용될 수 있고, 다른 변경들이 가해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양상들은, 여기에 일반적으로 기재되고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서로 다른 구성들의 광범위한 변형 예에서 배열, 치환, 결합 및 설계될 수 있음이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고, 이것들은 명시적으로 의도되어 본 개시의 일부를 이룬다.
본 개시는 특히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STS(space-time spreading)을 사용하여 전송된 디코딩 데이터와 연관된 BER(bit error rate)를 결정하는 것과 관련된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에서 의도되는 바와 같이, STS를 사용하는 전송 다이버시티 무선 통신 시스템은, 통신 채널이 편차가 거의 없거나(예를 들면, 준정적(quasi-static)), 또는 편차들이 독립적이라는(예를 들면, 실질적으로 상관이 없다는) 가정 하에 설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에서 의도된 바와 같이, 이들 두 개의 설계 가정은 전송기와 수신기 간의 데이터-전달의 신뢰성에 문제가 될 수 있다. 더욱이, STS를 사용하는 전송 다이버시티 무선 통신 시스템이 데이터-전달의 품질에 대한 향상을 추구함에 따라, 통신 채널 편차의 부정확한 가정은 이들이 추구하는 품질 향상에 대해 상당한 도전 과제를 내포할 수 있다.
통신 채널 편차에 관한 부정확한 가정을 제거함으로써 이익을 얻을 수 있는 STS를 사용하는 전송 다이버시티 무선 통신 시스템의 예는 DC-CDMA(direct-sequence code-division-multiple-access) 액세스 방법론을 채용하는 전송 다이버시티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한다. STS를 사용하는 전송 다이버시티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DS-CDMA 채용은 데이터를 심볼로 인코딩할 수 있고, 그 심볼을 직교 확산 코드에 기초하여 칩 블록에 포함할 수 있다. 칩 블록은 심볼 시구간으로서 지칭되는 개별 시구간 동안 통신 채널을 통해 다중 안테나로부터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칩 블록 및 제2 칩 블록은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로부터 제1 심볼 시구간 동안 전송될 수 있다. 제1 칩 블록 및 제2 칩 블록은 다음에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로부터 제2 심볼 시구간 동안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DS-CDMA 채용에서, 제1 칩 블록 및 제2 칩 블록이 수신되는 통신 채널은 고속-페이딩 상관 채널 모델, 예를 들면, 레일리(Rayleigh) 고속 페이딩 모델 또는 리치안(Rician) 고속 페이딩 모델과 연관되거나 그에 의해 특정화될 수 있다.
몇몇 예에서, 제1 심볼 및 제2 심볼로 인코딩되는 수신기 디코딩 데이터와 연관된 BER을 결정하는 방법이 구현되고, 여기서, 제1 심볼 및 제2 심볼은 또한 제1 칩 블록 및 제2 칩 블록 모두에 포함된다. 제1 칩 블록 및 제2 칩 블록은 전송기의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를 통해 제1 심볼 시구간 동안 통신 채널을 거쳐 전송되었을 수 있다. 제1 칩 블록 및 제2 칩 블록은 또한 전송기의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를 통해 제2 심볼 시구간 동안 통신 채널을 거쳐 전송되었을 수 있다. 이 방법에 따라, 제1 심볼 시구간 및 제2 심볼 시구간 동안 통신 채널을 통해 인코딩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기에 대한 입력 신호-대-잡음 비율 연산 매개 변수가 얻어진다. 또한, 이 방법에 따라, 통신 채널에 대한 채널 상관 계수가 얻어질 수 있다. 채널 상관 계수는 제1 심볼 시구간과 제2 심볼 시구간 간 통신 채널의 편차에 기초할 수 있다. 다음에, 제1 심볼 및 제2 심볼로 인코딩된 수신기 디코딩 데이터와 연관된 BER이 결정될 수 있다. BER는 얻어진 입력 신호-대-잡음 비율 연산 매개 변수 및 얻어진 채널 상관 계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1은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100)을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전송기(110), 수신기(120) 및 컴퓨팅 플랫폼(140)을 포함한다. 몇몇 예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100)의 구성요소는 통신 링크 또는 채널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통신 링크 또는 채널은 전송기(110)를 수신기(120)에 연결하는 통신 채널(130) 및 컴퓨팅 플랫폼(140)을 전송기(110) 및 수신기(120)에 각각 연결하는 통신 링크(150 및 16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채널(130)은 무선 통신 채널일 수 있고, 통신 링크(150 및 160)는 무선 및/또는 유선 통신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예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전송 다이버시티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기(110)는 전송(Tx) 관리자(112) 및 Tx 안테나 어레이(114)를 포함한다. Tx 안테나 어레이(114)는 안테나의 i번째 번호, i=1, 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 더 기술되는 바와 같이, Tx 관리자(112)는 전송 안테나 어레이(114)로부터 적어도 두 개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데이터 스트림(이후 "데이터"로 칭함)을 인코딩하고 전송하도록 구성된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인코딩된 데이터는, 예를 들면, 통신 채널(130)을 통해 수신기(120)에 전송된다. 수신기(120)는, 본 개시가 단지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수신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인코딩된 데이터를 통신 채널(130)을 통해 수신하는 수신(Rx) 안테나(124)를 포함한다. 수신기(120)는 또한 수신된 인코딩된 데이터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된 로직(이하에 상술됨)을 갖는 Rx 관리자(1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품질 관리자(142)를 갖는 컴퓨팅 플랫폼(140)을 포함한다. 품질 관리자(142)는 전송기(110)로부터 수신된 수신기(120) 디코딩 데이터와 연관된 비트 에러율(BER)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로직(이하에 상술됨)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코딩된 데이터는 통신 채널(130)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몇몇 예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본 개시가 단지 DS-CDMA 방법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통신 채널을 구축하고 및/또는 유지하기 위해 DS-CDMA(direct-sequence code-division-multiple-access) 액세스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DS-CDMA 채용에서, 전송기(110)의 Tx 관리자(112)는 데이터를 심볼로 인코딩하고 그 심볼을 직교 확산 코드에 기초하여 칩 블록에 포함되도록 구성된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에, 칩 블록은 통신 채널(예를 들면, 통신 채널(130))을 통해 Tx 안테나 어레이(114) 중 두 개 이상의 안테나로부터 개별 심볼 시구간 동안 전송될 수 있다. 수신기(120)의 Rx 관리자(122)는 전송기(110)로부터 통신 채널을 통해 전송된 칩 블록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및/또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수신된 칩 블록에 포함된 심볼로 인코딩된 데이터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DS-CDMA 채용의 일부로서, 몇몇 예에서, 컴퓨팅 플랫폼(140)의 품질 관리자(142)는 통신 채널을 통해 전송기(110)로부터 전송된 인코딩된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Rx 관리자(122)와 연관된 BER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BER을 결정하기 위해, 품질 관리자(142)는 전송기(110)로부터 인코딩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기(120)에 대한입력 신호-대-잡음 비율 연산 매개 변수를 얻을 수 있다. 품질 관리자(142)는 또한 통신 채널에 대한 채널 상관 계수를 얻도록 배치될 수 있다. 통신 채널에 대한 채널 상관 계수는 심볼 시구간들 간통신 채널의 편차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송기(110) 및 수신기(120)의 자연적인 시간 편차 및/또는 상대적인 이동은, 본 개시가 통신 채널에서의 이들 가능한 편차의 원인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통신 채널의 편차를 야기할 수 있다. 품질 관리자(142)는 얻어진 신호-대-잡음 비율 연산 매개 변수 및 얻어진 채널 상관 계수를 알고리즘 또는 수학식에의 입력으로 사용하여 BER을 결정할 수 있다.
도 2는 전송(Tx) 관리자(112)에 대한 예시적 아키텍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의 무선 통신 시스템(100)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이, 전송기(110)는 Tx 관리자(112)를 포함한다. 몇몇 예에서, Tx 관리자(112)는 통신 채널(예를 들면, 통신 채널(130))을 통해 안테나 어레이(114)로부터 데이터를 인코딩하고 전송하도록 구성되거나 배치된 피처(feature) 및/또는 로직을 포함한다.
도 2의 예시적인 Tx 관리자(112)는 Tx 로직(210), 제어 로직(220), 메모리(230), 입력/출력(I/O) 인터페이스(240) 및 선택적인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250)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Tx 로직(210)은 제어 로직(220), 메모리(230) 및 I/O 인터페이스(240)에 연결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적 애플리케이션(250)은 제어 로직(220)과 협력하여 배치된다. Tx 로직(210)은 또한 인코드 피처(212) 및 전송 피처(214)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예에서, 도 2의 블록도에 도시된 구성요소는 본 개시에서 기술되는 바와 같이 Tx 관리자(112)를 지원하거나 인에이블링하도록 구성된다. 주어진 Tx 관리자(112)는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 중 몇몇, 모두 또는 그 이상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Tx 로직(210) 및 제어 로직(220)은 Tx 관리자(112)의 피처를 구현하기 위해 광범위한 로직 장치(들)을 개별적으로 또는 집합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예시적인 로직 장치는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컨트롤러,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멀티-코어/멀티-스레디드(multi-core/multi-threaded)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격리 스레드(sequestered thread) 또는 코어, 또는 그들의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예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Tx 로직(210)은 인코드 피처(212) 및 전송 피처(214)를 포함한다. 아래에 더 기술되는 바와 같이, Tx 로직(210)은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해 이들 피처를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동작들은 데이터를 (예를 들면, 심볼들로) 인코딩하고, 개별 시구간(예를 들면, 심볼 시구간) 동안 통신 채널을 통해 Tx 안테나 어레이(114)로부터 두 개 이상의 안테나로부터 인코딩된 데이터를 (예를 들면, 칩 블록들을 통해) 전송하는 것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예에서, 제어 로직(220)은 Tx 관리자(112)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 로직(220)은 Tx 관리자(112)의 제어를 구현하기 위해 실행가능한 콘텐츠 또는 명령어와 결합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광범위한 로직 장치(들)을 나타낼 수 있다. 몇몇 대체예에서, 제어 로직(220)의 피처 및 기능은 Tx 로직(210)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몇몇 예에 따라, 메모리(230)는 실행가능한 콘텐츠 또는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실행가능한 콘텐츠 또는 명령어는 제어 로직(220) 및/또는 Tx 로직(210)에 의해 사용되어 Tx 관리자(112)의 피처 또는 구성요소를 구현하거나 활성화할 수 있다. 메모리(230)는 전송기(110)로부터 인코딩되고 전송될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유지하도록 또한 배치될 수 있다.
메모리(230)는,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프로그래밍가능 변수 또는 상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only memory), 또는 다른 정적 또는 동적 저장 매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메모리 매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예에서, I/O 인터페이스(240)는 Tx 관리자(112)와 전송기(110) 상에 상주하거나 또는 위치되는 구성요소들 간의 내부 통신 매체 또는 링크를 통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I/O 인터페이스(240)는 내부 통신 링크(예를 들면, I2C(Inter-Integrated Circuit), SMBus(System Management Bus) 또는 SPI(Serial Perihperal Interface Bus) 등)를 통해 통신하도록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I/O 인터페이스(240)는 Tx 관리자(112)와, 전송기(110)에 연결된 수신기(120) 및 컴퓨팅 플랫폼(140)과 같은 구성요소들 간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에 대해 전술된 바와 같이, 전송기(110)는 이들 구성요소를 통신 링크(150) 및 통신 채널(130)을 통해 연결할 수 있다. I/O 인터페이스(240)는, 예를 들면, Tx 관리자(112)가 통신 링크(150) 또는 통신 채널(130)(예를 들면, CDMA2000, 이더넷, USB(Universal Serial Bus) 등)을 통해 통신할 수 있도록 다양한 유선 또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된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몇몇 예에서, Tx 관리자(112)는 제어 로직(220) 및/또는 Tx 로직(210)에 명령어를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250)을 포함한다.
도 3은 수신기(Rx) 관리자(122)에 대한 예시적 아키텍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의 무선 통신 시스템(100)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이, 수신기(120)는 Rx 관리자(122)를 포함한다. 몇몇 예에서, Rx 관리자(122)는 통신 채널(예를 들면, 통신 채널(130))을 통해 안테나(110)로부터 전송된 인코딩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거나 배치되고, 또한 수신된 인코딩된 데이터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되거나 배치된 피처 및/또는 로직을 포함한다.
도 3의 예시적인 Rx 관리자(122)는 Rx 로직(310), 제어 로직(320), 메모리(330), 입력/출력(I/O) 인터페이스(340) 및 선택적인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350)을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Rx 로직(310)은 제어 로직(320), 메모리(330) 및 I/O 인터페이스(340)에 연결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적 애플리케이션(350)은 제어 로직(320)과 협력하여 배치된다. Rx 로직(310)은 또한 디코드 피처(312) 및 수신 피처(314)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예에서, 도 3의 블록도에 도시된 구성요소는 본 개시에서 기술되는 바와 같이 Rx 관리자(122)를 지원하거나 인에이블링하도록 구성된다. 주어진 Rx 관리자(122)는 도 3에 도시된 구성 요소 중 몇몇, 모두 또는 그 이상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Rx 로직(310) 및 제어 로직(320)은 Rx 관리자(122)의 피처를 구현하기 위해 광범위한 로직 장치(들)을 개별적으로 또는 집합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예시적인 로직 장치는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컨트롤러, FPGA, ASIC, 멀티-코어/멀티-스레디드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격리 스레드 또는 코어, 또는 그들의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예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Rx 로직(310)은 수신 피처(312) 및 디코드 피처(314)를 포함한다. 아래에 더 기술되는 바와 같이, Rx 로직(310)은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해 이들 피처를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동작들은 (예를 들면, 전송기(110)로부터 통신 채널(130)을 통해) 인코딩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또는 수신된 인코딩된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것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예에서, 제어 로직(320)은 Rx 관리자(122)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 로직(320)은 Rx 관리자(122)의 제어를 구현하기 위해 실행가능한 콘텐츠 또는 명령어와 결합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광범위한 로직 장치(들)을 나타낼 수 있다. 몇몇 대체예에서, 제어 로직(320)의 피처 및 기능은 Rx 로직(310)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몇몇 예에 따라, 메모리(330)는 실행가능한 콘텐츠 또는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실행가능한 콘텐츠 또는 명령어는 제어 로직(320) 및/또는 Rx 로직(310)에 의해 사용되어 Rx 관리자(122)의 피처 또는 구성요소를 구현하거나 활성화할 수 있다. 메모리(330)는 (예를 들면, 전송기(110)로부터 수신된) 디코딩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유지하거나 또는 수신 인코딩된 데이터에 대한 입력 신호-대-잡음 비율을 포함하도록 연산 매개 변수를 일시적으로 유지하도록 또한 배치될 수 있다.
메모리(330)는,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프로그래밍가능 변수 또는 상태, RAM, ROM, 또는 다른 정적 또는 동적 저장 매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메모리 매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예에서, I/O 인터페이스(340)는 Rx 관리자(122)와, 수신기(120) 상에 상주하거나 또는 위치되는 구성요소들 간의 내부 통신 매체 또는 링크를 통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I/O 인터페이스(340)는 내부 통신 링크(예를 들면, I2C, SMBus 또는 SPI 등)를 통해 통신하기 위해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I/O 인터페이스(340)는 Rx 관리자(122)와, 수신기(120)에 연결된 전송기(110) 및 컴퓨팅 플랫폼(140)과 같은 구성요소들 간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에 대해 전술된 바와 같이, 수신기(120)는 이들 구성요소를 통신 링크(160) 및 통신 채널(130)을 통해 연결할 수 있다. I/O 인터페이스(340)는, 예를 들면, Rx 관리자(122)가 통신 링크(160) 또는 통신 채널(130)(예를 들면, CDMA2000, 이더넷, USB 등)을 통해 통신할 수 있도록 다양한 유선 또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된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몇몇 예에서, Rx 관리자(122)는 제어 로직(320) 및/또는 Rx 로직(310)에 명령어를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350)을 포함한다.
도 4는 품질 관리자(142)에 대한 예시적인 아키텍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의 무선 통신 시스템(100)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이, 컴퓨팅 플랫폼(140)은 품질 관리자(142)를 포함한다. 몇몇 예에서, 품질 관리자(142)는 통신 채널(예를 들면, 통신 채널(130))을 통해 전송기(예를 들면, 전송기(110))로부터 전송된 수신기(예를 들면, 수신기(120)) 디코딩 데이터와 연관된 BER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거나 배치된 피처 및/또는 로직을 포함한다.
도 4의 예시적인 품질 관리자(142)는 BER 로직(410), 제어 로직(420), 메모리(430), 입력/출력(I/O) 인터페이스(440) 및 선택적인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450)을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BER 로직(410)은 제어 로직(420), 메모리(430) 및 I/O 인터페이스(440)에 연결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적인 애플리케이션(450)은 제어 로직(420)과 협력하여 배치된다. BER 로직(410)은 또한 입력 신호-대-잡음 피처(412), 상관 피처(414), 결정 피처(416) 및 조정 피처(418)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예에서, 도 4의 블록도에 도시된 구성요소는 본 개시에서 기술되는 바와 같이 품질 관리자(142)를 지원하거나 인에이블링하도록 구성된다. 주어진 품질 관리자(142)는 도 4에 도시된 구성 요소 중 몇몇, 모두 또는 그 이상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BER 로직(410) 및 제어 로직(420)은 품질 관리자(142)의 피처를 구현하기 위해 광범위한 로직 장치(들) 또는 실행가능한 콘텐츠를 개별적으로 또는 집합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예시적인 로직 장치는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컨트롤러, FPGA, ASIC, 멀티-코어/멀티-스레디드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격리 스레드 또는 코어, 또는 그들의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예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BER 로직(410)은 입력 신호-대-잡음 피처(412), 상관 피처(414), 결정 피처(416) 및 조정 피처(418)를 포함한다. BER 로직(410)은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해 이들 피처를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래에 더 기술되는 바와 같이, 예시적인 동작들은 통신 채널(예를 들면, 통신 채널(130))을 통해 인코딩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기(예를 들면, 수신기(120))에 대한 입력 신호-대-잡음 비율 연산 매개 변수를 포함하는 정보를 얻는 것, 통신 채널에 대한 채널 상관 계수를 얻는 것, 및 얻어진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된 인코딩된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수신기와 연관된 BER을 결정하는 것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동작은 또한 결정된 BER에 기초하여 연산 매개 변수를 조정하거나 수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예에서, 제어 로직(420)은 품질 관리자(142)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 로직(420)은 품질 관리자(142)의 제어를 구현하기 위해 실행가능한 콘텐츠 또는 명령어와 결합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광범위한 로직 장치(들)을 나타낼 수 있다. 몇몇 대체예에서, 제어 로직(420)의 피처 및 기능은 BER 로직(410)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몇몇 예에 따라, 메모리(430)는 실행가능한 콘텐츠 또는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실행가능한 콘텐츠 또는 명령어는 제어 로직(420) 및/또는 BER 로직(410)에 의해 사용되어 품질 관리자(142)의 피처 또는 구성요소를 구현하거나 활성화할 수 있다. 메모리(430)는 정보(예를 들면, 신호-대-잡음 비율(들), 채널 상관 계수(들) 등)를 일시적으로 유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유지된 정보는 전송기로부터 통신 채널을 통해 전송된 인코딩된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수신기에 대한 하나 이상의 BER을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430)는 또한 하나 이상의 BER 결정을 일시적으로 유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메모리(430)는,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프로그래밍가능 변수 또는 상태, RAM, ROM, 또는 다른 정적 또는 동적 저장 매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메모리 매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예에서, I/O 인터페이스(440)는 품질 관리자(142)와, 수신기(120) 상에 상주하거나 또는 위치되는 구성요소들 간의 내부 통신 매체 또는 링크를 통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I/O 인터페이스(440)는 내부 통신 링크(예를 들면, I2C, SMBus 또는 SPI 등)를 통해 통신하기 위한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I/O 인터페이스(440)는 또한, 품질 관리자(142)와, 컴퓨팅 플랫폼(140)에 연결된 전송기(110) 및 수신기(120) 같은 구성요소들 간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에 대해 전술된 바와 같이, 컴퓨팅 플랫폼(140)는 이들 구성요소를 통신 링크(150 및 160)를 통해 연결할 수 있다. I/O 인터페이스(440)는, 예를 들면, 품질 관리자(142)가 통신 링크(150 또는 160)(예를 들면, CDMA2000, 이더넷, USB 등)을 통해 통신할 수 있도록 다양한 유선 또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된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몇몇 예에서, 품질 관리자(142)는 제어 로직(420) 및/또는 BER 로직(410)에 명령어를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450)을 포함한다.
몇몇 예에서, 품질 관리자(142)는 하나 이상의 방정식 또는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전송기로부터 통신 채널을 통해 전송된 수신기 디코딩 데이터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BER을 결정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방정식은, DS-CDMA 액세스 방법론을 채용하고 또한 STS를 사용하여 통신 채널을 통해 인코딩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 다이버시티 무선 통신 시스템을 고려할 수 있다. 이 예를 위해, 한 쌍의 칩 블록 x1 및 x2이, 시간 가변 및 주파수 플랫(flat) 레일리 페이딩 채널로서 특정화된 통신 채널을 통해 전송된다.
Figure 112011094282933-pct00001
(여기서, i=1, 2)가, 인코딩된 데이터를 통신 채널을 통해 전송하기 위해 k번째 심볼 시간 동안의, 수신기의 Rx 안테나와 전송기의 i번째 Tx 안테나 간의 복소 채널 충격 응답(complex channel impulse response)을 표시한다고 하자. 각각의
Figure 112011094282933-pct00002
는 단위 편차(unit variance)를 갖는 제로-평균(zero-mean), 즉,
Figure 112011094282933-pct00003
으로 동일하게 분포된다고 가정될 수 있다. Tx 안테나는
Figure 112011094282933-pct00004
Figure 112011094282933-pct00005
와 독립적이 되도록 충분히 이격되어 있다. 제이크(Jake)의 채널 모델로 알려진 통신 채널 모델의 한 유형을 또한 사용하여, 각각의 Tx 안테나에 연관된 통신 채널을 특성화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채널에 대한 가능한 신호 페이딩이, i=1, 2에 대하여 페이딩 자기상관 함수가 제1 종류의 0번째 차수 베셀(Bessel) 함수(J0)가 되도록 시간적으로 대칭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예시적인 수학식 1은 전술한 가정 및 모델에 기초하여 통신 채널에 대해 채널 상관 계수 ρ를 결정하기 위한 방정식이다.
Figure 112011094282933-pct00006
예시적인 수학식 1에 대하여, Ts는 심볼 시구간이고 fD는 최대 도플러 확산이다. 에시적인 수학신 1에 대하여, 완전한 채널 지식은 수신기에서만 이용가능할 수 있다. Tx 안테나로부터 각각 전송된 신호 1 및 2는 칩 블록 x1 및 x2로 표현되고 예시적인 수학식 2에 도시되어 있다.
Figure 112011094282933-pct00007
예시적인 수학식 2에 대하여, S1 및 S2
Figure 112011094282933-pct00008
를 갖는 칩 블록 x1 및 x2에 포함될 수 있는 인코딩된 데이터의 사본을 나타낸다. 또한, 예시적인 수학식 2에 대해, c1 및 c2는 칩 블록 x1 및 x2 모두에서 s1 및 s2를 포함하도록 사용될 수 있는 제1 및 제2 직교 확산 코드를 나타낸다. k번째 및 (k+1)번째 심볼 시구간에 대응하는 수신된 신호는 예시적으로 수학식 3에 의해 각각 주어진다.
Figure 112011094282933-pct00009
예시적인 수학식 3에 대하여, w(k)는 k번째 수신된 신호에 편차 N0가 부가된 제로 평균의 순환적인 대칭 부가 백색 가우션 잡음(additive white Gaussian noise; AWGN)을 나타낸다. 두 개의 연속하는 심볼 시구간 동안, 예를 들면, 동일한 칩 블록이 전송된다. 예시적인 수학식 3의 수신된 신호 r(k)에 직교 확산 코드
Figure 112011094282933-pct00010
Figure 112011094282933-pct00011
를 각각 곱함으로써, 예시적인 수학식 4의 결과를 얻는다.
Figure 112011094282933-pct00012
예시적인 수학식 4와 유사하게, 예시적인 수학식 3의 수신된 신호 r(k+1)에 직교 확산 코드
Figure 112011094282933-pct00013
Figure 112011094282933-pct00014
를 각각 곱함으로써, 예시적인 수학식 4의 결과를 얻는다.
Figure 112011094282933-pct00015
예시적인 수학식 4와 5에서, 확산 코드의 직교성, 즉,
Figure 112011094282933-pct00016
Figure 112011094282933-pct00017
이 사용되었다. 수신기는 예시적인 수학식 6에 따라 k번째 수신기 신호에 대해 신호 결합을 수행할 수 있다.
Figure 112011094282933-pct00018
(k+1)번째 수신된 신호에 대하여, 수신기는 예시적인 수학식 7에 따라 신호 결합을 수행할 수 있다.
Figure 112011094282933-pct00019
예시적인 수학식 6 및 7에 대하여,
Figure 112011094282933-pct00020
이고
Figure 112011094282933-pct00021
이다. 더욱이,
Figure 112011094282933-pct00022
Figure 112011094282933-pct00023
를 부가하여 예시적인 수학식 6과 7을 결합하면, 예시적인 수학식 8이 얻어진다.
Figure 112011094282933-pct00024
몇몇 예에서, 전술한 기법은 두 개의 칩 블록(x1 및 x2)에 포함된 두 개의 심볼(s1 및 s2)이 두 개의 심볼 시구간 내에 전송됨에 따라 완전한 레이트를 달성한다. 예시적인 수학식 8로부터, 수신기에서 입력 신호-대-잡음 비율 연산 매개 변수는 예시적인 수학식 9로 주어진다는 것을 볼 수 있다.
Figure 112011094282933-pct00025
예시적인 수학식 9에 대하여,
Figure 112011094282933-pct00026
이다. 예시적인 수학식 1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Figure 112011094282933-pct00027
Figure 112011094282933-pct00028
이 채널 상관 계수 ρ로 상관되기 때문에,
Figure 112011094282933-pct00029
로 표현되는 랜덤 변수의 확률 밀도 함수(pdf)는 예시적인 수학식 10으로 주어진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Figure 112011094282933-pct00030
Figure 112011094282933-pct00031
Figure 112011094282933-pct00032
와 독립적이기 때문에, 랜덤 변수
Figure 112011094282933-pct00033
Figure 112011094282933-pct00034
또한 독립적이다; 이에 따라, 입력 신호-대-잡음 비율의 pdf
Figure 112011094282933-pct00035
는 예시적인 수학식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견될 수 있다.
Figure 112013010635632-pct00067
예시적인 수학식 11에 대하여,
Figure 112011094282933-pct00037
는 선형 컨볼루션 연산(linear convolution operation)을 나타내고 몇몇의 조작 후에 수학식 12를 얻는다.
Figure 112011094282933-pct00038
예시적인 수학식 12에서,
Figure 112011094282933-pct00039
이다. 몇몇 예에서, 평균 BER은, BPSK(binary phase-shift keying) 변조를 가정하면, 예시적인 수학식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견될 수 있다.
Figure 112011094282933-pct00040
다음에, 예시적인 수학식 14는 아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될 수 있다.
Figure 112013010635632-pct00068
몇몇 예에서, 예의
Figure 112011094282933-pct00042
,
Figure 112011094282933-pct00043
Figure 112011094282933-pct00044
에 대해 수학식 14는 아래에 도시된 예시적 수학식 15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11094282933-pct00045
예시적인 수학식 14 및 15는 0보다 크고 1보다 작은 채널 상관 계수의 범위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BER을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예시적인 수학식 14 및 15는 심볼 주기들 간 통신 채널에서의 편차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관될 때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채널이 두 개의 심볼 주기 동안 변하지 않고 가변하지 않는 정적 또는 준정적 채널에서, 즉, ρ=1이면, 예시적 수학식 14 및 15에 의해 결정된 BER은 예시적 수학식 16을 사용하여 결정된 BER까지 감소된다.
Figure 112011094282933-pct00046
예시적인 수학식 16에 대하여,
Figure 112011094282933-pct00047
이다. 몇몇 예에서, 통신 채널에서의 편차가 독립적이거나 하나의 심볼 주기로부터 다른 심볼 주기로 실질적으로 상관되지 않는다면, 즉, ρ=0이라면, BER은 예시적인 수학식 17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11094282933-pct00048
예시적인 수학식 17에 대하여,
Figure 112011094282933-pct00049
이다.
예시적인 수학식 14 내지 17은 ρ=0부터 ρ=1까지의 통신 채널 상관 계수의 범위에 기초하여, 그리고 통신 채널 상관 계수와 연관된 통신채널을 통해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기에 대한 입력 신호-대-잡음 비율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BER을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결정된 BER(bit error rate)를 도시하는 예시적인 그래프(500)를 도시한다. 그래프(500)는 DS-CDMA 액세스 방법을 채용하고, 또한 STS를 사용하여 인코딩된 데이터를 통신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전송 다이버시티 무선 통신 시스템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수학식 14 내지 17 중 하나 이상은, 하나 이상의 BER을 결정하기 위한 이러한 유형의 채용에서 유도될 수 있다. BER 곡선 510-5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ρ=0, ρ=0.7, ρ=0.9, 및 ρ=1인 네 개의 통신 채널 계수 및 -10dB(decibel)에서 10dB까지의 입력 신호-대-잡음 비율의 범위에 기초한 BER을 그래픽적으로 도시할 수 있다.
도 6은 전송기로부터 통신 채널을 통해 전송된 수신기 디코딩 데이터와 연관된 BER(bit error rate)를결정하기 위한 예시적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몇몇 예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하는데 사용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Tx, Rx 및 품질 관리자를 각각 갖는 전송기(110), 수신기(120) 및 컴퓨팅 플랫폼(140) 또한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기술된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100) 상에서의 구현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또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다양한 관리자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시적인 방법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 중 하나 이상을 갖는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 상에서 구현될수 있다.
프로세싱은 블록(610)(BER 결정 시작)에서 시작하는데, 여기서, 전송기(110)로부터 통신 채널(130)을 통해 전송되는 수신기(120) 디코딩 데이터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BER이 결정될 것이다. 예시적인 예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시스템설계자는 하나 이상의 결정된 BER에 기초하여 연산 매개 변수(예를 들면, 전송 신호 세기, 수신기 임계값, 수용가능한 입력 신호-대-잡음 비율, 수용가능한 수신/전송 데이터 레이트 등)를 조정하거나 수정하기 위해 BER 결정을 시작하기를 원할 수 있다.
프로세싱은 블록(610)으로부터 블록(620)(입력 신호-대-잡음 비율 연산 매개 변수를 얻음)으로 계속해서 진행하는데, 여기서, 수신기(110)에 대한 입력 신호-대-잡음 비율 연산 매개 변수가 (예를 들면, 입력 신호-대-잡음 비율 피처(412)를 통해) 얻어지고, 메모리(예를 들면, 메모리(430))에 일시적으로 유지된다. 몇몇 예에서, 수신기(110)에 대한 입력 신호-대-잡음 비율 연산 매개 변수가 수신기(110)로부터 통신 링크(160)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몇몇 다른 예에서, 시스템 설계자는 수신기(110)의 특성(예를 들면, 통신 장치의 유형, 제조자, 연산 능력, 예상되는 동작 환경 등)에 기초하여 주어진 입력 신호-대-잡음 비율 연산 매개 변수를 가정할 수 있다.
프로세싱은 블록(630)(채널 상관 계수를 얻음)으로 계속해서 진행하는데, 여기서, 프로세스는 (예를 들면, 상관 피처(414)를 통해) 통신 채널에 대한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 상관 계수를 얻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통신 채널 상관 계수의 범위는 ρ=0에서 ρ=1까지의 값일 수 있다. 통신 채널(130)에 대한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 상관 계수는 메모리(예를 들면, 메모리(430))에 일시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계속해서 블록(640)(BER 결정)으로 진행하는데, 여기서, BER이 결정된다. 몇몇 예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DS-CDMA 액세스 방법론을 채용하고, 또한 STS를 사용하여 통신 채널(130)을 통해 인코딩된 데이터를 전송한다. 시스템 설계자는 BER을 결정하기 위해 수학식 14 내지 17 중 하나 이상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로직을 갖는 품질 관리자(142)를 포함하는 컴퓨팅 플랫폼(140)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정 피처(414)는 블록(620)에서 얻어진 수신기(120)에 대한 입력 신호-대-잡음 비율 연산 매개 변수, 및 블록(630)에서 얻어진 통신 채널 상관 계수들 중 하나를 예시적인 수학식 14 내지 17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입력으로 사용하여 BER을 결정할 수 있다.
블록(650)(연산 매개 변수(들)을 조정)으로 진행하는데, 여기서, 결정된 BER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연산 매개 변수가 (조정 피처(418)를 통해) 조정되거나 수정된다. 몇몇 예에서, Tx(110)의 Tx 안테나 어레이(114) 중 하나 이상의 안테나에 대해 전송기 신호 세기 같은 연산 매개 변수가 조정될 수 있다. 전송 전력을 조정함으로써, 시스템 설계자는 BER에 대해 높거나 낮은 값이 결정되었을 때를 보상할 수 있다. 또한, 몇몇 예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Rx(120)에 대한 수신기 임계값과 같은 연산 매개 변수가 조정될 수 있다. 수신기 임계값을 조정함으로써, 시스템 설계자는 BER에 대해 높거나 낮은 값이 결정되었을 때를 또한 보상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연산 매개 변수에 대한 전술한 조정 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결정된 BER에 기초하여 연산 파라미터에 대한 임의의 수의 조정을 포함할 수 있다.
계속해서 결정 블록(650)(또 다른 BER 결정?)으로 진행하여, 프로세스는 또 다른 BER이 결정될 것인지 여부를 (예를 들면, 결정 피처(416)를 통해) 결정한다. 프로세싱은 또 다른 BER이 결정될 예정이면 결정 블록(650)에서 다시 블록(640)으로 계속된다. 몇몇 예에서, 시스템 설계자는 주어진 수의 통신 채널 상관 계수 및/또는 입력 신호-대-잡음 비율 연산 매개 변수에만 관심이 있을 수 있다. 주어진 수에 도달할 대까지, 부가의 BER이 결정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프로세싱은 결정 블록(650)에서 블록(660)으로 계속된다.
블록(660)(BER 결정 종료)에서, BER 결정이 완료된다. 몇몇 예에서, 토신 채널(130)에 대한 통신 채널 상관 계수의 범위 및 수신기(120)에 대한 입력 신호-대-잡음 비율의 범위에 기초하는 결정된 BER로부터 도 5에 도시된 예시적인 차트(500)와 같은 차트가 생성될 수 있다.
도 7은 예시적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7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몇몇 예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700)은 명령어(704)를 또한 포함할 수 있는 신호 포함 매체(signal bearing medium; 702)를 포함한다. 명령어(704)는 제1 및 제2 심볼로 인코딩된 수신기 디코딩 데이터와 연관 BER을 결정하기 위한 것일 수 있고, 여기서, 제1 심볼 및 제2 심볼은 제1 칩 블록 및 제2 칩 블록 모두에 또한 포함된다. 제1 칩 블록 및 제2 칩 블록은 전송기의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를 통해 제1 심볼 주기 동안 통신 채널을 거쳐 전송되었을 수 있다. 제1 칩 블록 및 제2 칩 블록은 또한 전송기의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를 통해 제2 심볼 주기 동안 통신 채널을 거쳐 전송되었을 수 있다. 명령어(704)는, 로직(예를 들면, BER 로직(410))에 의해 실행될 때, 로직이, 제1 심볼 시구간 및 제2 심볼시구간 동안 통신 채널(예를 들면, 통신 채널(130))을 통해 인코딩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기(예를 들면, 수신기(120))에 대한 입력 신호-대 잡음 비율 연산 매개 변수를 얻도록 할 수 있다. 명령어(704)는 또한 로직이 통신 채널에 대한 채널 상관 계수를 얻도록 할 수 있다. 채널 상관 계수는 제1 심볼 시구간과 제2 심볼 시구간 간 통신 채널의 편차에 기초할 수 있다. 명령어(704)는 또한, 로직이 제1 심볼 및 제2 심볼로 인코딩되고 제1 칩 블록 및 제2 칩 블록 모두에 포함된 수신된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수신기와 연관된 BER을 결정하게 할 수 있다. BER은 입력 신호-대-잡음 비율 연산 매개 변수 및 채널 상관 계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몇몇 예에서, 컴퓨터 제품(700)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706), 기록가능 매체(708) 및 통신 매체(710)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구성요소 주위의 점선 상자는 신호 포함 매체(702) 내에 포함된 상이한 유형의 매체를 도시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유형의 매체는 로직(예를 들면, BER 로직(410))에 의해 실행될 명령어(704)를 배포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706) 및 기록가능 매체(708)는 플렉시블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컴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 디지털 테이프, 컴퓨터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신 매체(710)는 디지털 및/또는 아날로그 통신 매체(예를 들면, 광섬유 케이블, 도파관, 유선 통신 링크, 무선 통신 링크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은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800)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몇몇 예에서, 도 1에 도시된 컴퓨팅 플랫폼(140)이 컴퓨팅 장치(800) 상에 구현될 수 있다. 이들 예에서, 컴퓨팅 장치(800)의 구성요소는 전송기로부터 통신 채널을 통해 전송된 수신기 디코딩 데이터와 연관된 BER을 결정하도록 배치되거나 구성될 수 있다. 매우 기본적인 구성(801)에서, 컴퓨팅 장치(800)는 전형적으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810) 및 시스템 메모리(820)를 포함한다. 메모리 버스(830)는 프로세서(810)와 시스템 메모리(820) 간 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원하는 구성에 따라, 프로세서(810)는 마이크로프로세서(μP), 마이크로컨트롤러(μ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또는 그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임의의 유형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810)는 레벨 1 캐시(811) 및 레벨 2 캐시(812) 같은 하나 이상의 레벨의 캐싱, 프로세서 코어(813) 및 레지스터(81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코어(813)는 ALU(alrighmetric logic unit), FPU(floating point unit), DSP Core(digital signal processing core), 또는 그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컨트롤러(815)는 또한 프로세서(810)와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몇몇 구현에서, 메모리 컨트롤러(815)는 프로세서(810)의 내부 부품일 수 있다.
원하는 구성에 따라, 시스템 메모리(820)는 (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RO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그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스템메모리(820)는 전형적으로 운영 체제(821),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822), 및 프로그램 데이터(824)를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822)은, 도 4에 도시된 품질 관리자(142) 아키텍처에 관해 기술된 동작을 포함하거나 또는 도 6에 도시된 흐름도에 관해 기술된 동작을 포함하는 여기서 기술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배치된 명령어(823)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데이터(824)는, 명령어(823)(예를 들면, BER 결정 방정식, 통신채널 상관 계수, 입력 신호-대-잡음 비율 연산 매개 변수, 채널 모델 등)을 구현하는데 유용한 데이터(825)를 포함한다. 몇몇 예에서, 애플리케이션(822)은, 전송기로부터 통신 채널을 통해 전송된 수신기 디코딩 데이터와 연관된 BER을 결정하는 구현이 여기서 기술된 바와 같이 제공될 수 있도록, 운영 체제(821) 상에서 프로그램 데이터(824)와 동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개시된 본 기본 구성은 점선(801) 내의 컴포넌트에 의해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컴퓨팅 장치(800)는 부가의 특징 또는 기능, 및, 기본 구성(801)과 임의의 요구되는 장치과 인터페이스 간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부가의 인터페이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버스/인터페이스 컨트롤러(840)는 저장 인터페이스 버스(841)를 통해 기본 구성(801)과 하나 이상의 데이터 저장 장치(850) 간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데이터 저장 장치(850)는 분리형 저장 장치(851), 비분리형 저장 장치(852), 또는 그들의 조합일 수 있다. 분리형 저장 장치 및 비분리형 저장 장치의 예로는, 몇 가지 말하자면, 플렉시블 디스크 드라이브 및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컴팩트 디스크(CD) 드라이브 또는 디지털 휘발성 디스크(DVD) 같은 광디스크 드라이브, 고체 상태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SSD), 및 테이프 드라이브가 포함된다. 예시적인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데이터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메모리(820), 분리형 저장 장치(851) 및 비분리형 저장 장치(852) 모두 컴퓨터 저장 매체의 예이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RAM, 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다른 메모리 기술, CE-ROM, 디지털 휘발성 디스크(DVD) 또는 다른 광학 저장 장치, 자기 카세트,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도는 다른 자기 저장 장치, 또는 원하는 정보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컴퓨팅 장치(800)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한 임의의 컴퓨터 저장 매체는 장치(800)의 일부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800)는 다양한 인터페이스 장치(예를 들면, 출력 인터페이스, 주변 인터페이스 및 통신 인터페이스)로부터 버스/인터페이스 컨트롤러(840)를 통해 기본 구성(801)으로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인터페이스 버스(842)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860)의 예로는 그래픽 처리 유닛(861) 및 오디오 처리 유닛(862)이 포함되는데, 이들은 하나 이상의 A/V 포트(863)를 통해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 같은 다양한 외부 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주변 장치(860)는 직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871) 또는 병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872)를 포함하는데, 이들은 하나 이상의 I/O 포트(873)를 통해 입력 장치(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 펜, 음성 입력 장치, 터치 입력 장치 등)과 같은 외부 장치 또는 다른 주변 장치(예를 들면, 프린터, 스캐너 등)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통신 인터페이스(880)는 네트워크 컨트롤러(881)를 포함하는데, 이 컨트롤러는 하나 이상의 통신 포트(882)를 통해 네트워크 통신을 거쳐 하나 이상의 다른 컴퓨팅 장치(890)와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네트워크 통신 접속은 통신 매체의 일 예이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반송파 또는 다른 전송 메커니즘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 내의 다른 데이터에 의해 구체화될 수 있고,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변조된 데이터 신호"는 신호에서 정보를 인코딩하기 위한 방식으로 설정되거나 변경된 하나 이상의 특성을 갖는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매체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직접-배선 접속 같은 유선 매체, 및 음파, 무선 주파수(RF), 적외선(IR) 같은 무선 매체 및 다른 무선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800)는, 셀 폰, 스마트 폰, PDA(personal data assistant), 개인용 미디어 플레이어 장치, 무선 웹-보기(watch) 장치, 개인용 헤드셋 장치, 애플리케이션 특정 장치, 또는 임의의 상기 기능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장치 같은 소형 폼 팩터(small-form factor)의 휴대용(또는 모바일) 전자 장치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800)는 또한 랩톱 컴퓨터 및 비랩톱 컴퓨터 구성을 포함하는 개인용 컴퓨터로서 구현되거나, 워크 스테이션 또는 서버 구성에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참조되는 용어 "응답하는" 또는 "응답하여"는 단지 특정 피처(feature) 및/또는 구조에만 응답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피처는 또 다른 피처 및/또는 구조에 응답할 수 있고, 또한 그 피처 및/또는 구조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더욱이, "연결" 또는 "응답" 또는 "응답하여" 또는 "통신하여" 등의 용어 또는 구절이 본 개시 및 이하 청구범위에 사용될 때, 이들 용어는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연결"이라는 용어는, 그 용어가 사용되는 문맥에 적합하도록, 통신상으로, 전기적으로 및/또는 동작하도록 연결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당업자라면, 여기서 설명된 형식으로 장치 및/또는 프로세스를 기술하고, 이후, 공학 실무를 사용하여 그러한 기술된 장치(예를 들면, 전송기, 수신기, 컴퓨팅 플랫폼, 컴퓨팅 장치 등) 및/또는 방법을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 통합한다는 것은 당해 분야에서는 일반적이란 것을 인식할 것이다. 즉, 여기서 기술된 장치 및/또는 방법의 적어도 일부는 합당한 실험량을 통해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 통합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전형적인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시스템 유닛 하우징,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 휘발성 및 불휘발성 메모리 같은 메모리,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같은 프로세서, 운영 체제, 드라이버,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같은 컴퓨터 엔티티(computational entities), 터치 패드 또는 스크린 같은 하나 이상의 인터액션 장치, 및/또는 패드백 루프 및 제어 모터(예를 들면, 위치 및/또는 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피드백; 컴포넌트 및/또는 양(quantities)을 이동하고 및/또는 조정하기 위한 제어 모터)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을 일반적으로 포함한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전형적인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데이터 컴퓨팅/통신 및/또는 네트워크 컴퓨팅/통신 시스템에서 전형적으로 발견되는 바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컴포넌트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개시된 청구 대상은 때때로 상이한 다른 컴포넌트 또는 구성요소 내에 포함되거나 접속된 상이한 컴포넌트 또는 구성요소를 도시한다. 도시된 그러한 아키텍처는 단순히 예시적인 것이고, 사실상 동일한 기능을 달성하는 다른 많은 아키텍처가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개념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달성하기 위한 컴포넌트의 임의의 배치는 원하는 기능이 달성되도록 유효하게 "연관"된다. 이에 따라, 특정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여기서 결합된 임의의 두 개의 컴포넌트는, 아키텍처 또는 중간 컴포넌트와는 무관하게, 원하는 기능이 달성되도록 서로 "연관"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연관된 임의의 두 개의 컴포넌트는 또한 원하는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서로 "동작적으로 접속"되거나 또는 "동작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고, 그와 같이 연관될 수 있는 임의의 두 개의 컴포넌트는 또한 원하는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서로 "동작적으로 연결가능"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동작적으로 연결가능하다는 것의 특정예는 물리적으로 양립가능(mateable)하고 및/또는 물리적으로 인터액팅하는 컴포넌트 및/또는 무선으로 인터액팅이 가능하고 및/또는 무선으로 인터액팅하는 컴포넌트 및/또는 논리적으로 인터액팅하고 및/또는 논리적으로 인터액팅이 가능한 컴포넌트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실질적으로 어떠한 복수 및/또는 단수 용어들의 사용에 관해서, 당업자라면 문맥 및/또는 응용에 적합하도록 복수를 단수로 해석하거나 단수를 복구로 해석할 수 있다. 다양한 단수/복수 조합은 명확성을 위해 본 개시에 명시적으로 기재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일반적으로 본 개시에 사용되며 특히 첨부된 청구범위(예를 들어, 첨부된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들이 일반적으로 개방적(open) 용어(예를 들어, 용어 "포함하는"은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으로, 용어 "갖는"는 "적어도 갖는"으로, 용어 "포함하다"는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등으로 해석되어야 함)로 의도되었음을 이해할 것이다. 당업자라면, 도입된 청구항의 기재사항의 특정 수가 의도된 경우, 그러한 의도가 청구항에 명시적으로 기재될 것이며, 그러한 기재사항이 없는 경우, 그러한 의도가 없음을 또한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이해를 돕기 위해, 이하의 첨부 청구범위는 "적어도 하나" 및 "하나 이상" 등의 도입 구절의 사용을 포함하여 청구항 기재사항을 도입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구절의 사용이, 부정관사 "하나"(“a” 또는 "an”)에 의한 청구항 기재사항의 도입이, 그러한 하나의 기재사항을 포함하는 발명으로, 그러한 도입된 청구항 기재사항을 포함하는 특정 청구항을 제한함을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동일한 청구항이 도입 구절인 "하나 이상" 또는 "적어도 하나" 및 "하나"(“a” 또는 "an”)과 같은 부정관사(예를 들어, "하나"는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해석되어야 함)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는 청구항 기재사항을 도입하기 위해 사용된 정관사의 경우에도 적용된다. 또한, 도입된 청구항 기재사항의 특정 수가 명시적으로 기재되는 경우에도, 당업자라면 그러한 기재가 일반적으로 적어도 기재된 수(예를 들어, 다른 수식어가 없는 "이중 기재"를 단순히 기재한 것은, 일반적으로 적어도 두 개의 기재사항 또는 두 개 이상의 기재사항을 의미함)를 의미하도록 해석되어야 함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A, B 및 C 중의 적어도 하나"와 유사한 규칙이 사용된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그러한 해석은 당업자가 그 규칙을 이해할 것이라는 전제가 의도된 것이다(예를 들어, "A, B 또는 C 중의 적어도 하나를 갖는 시스템"은, A만을 갖거나, B만을 갖거나, C만을 갖거나, A 및 B를 함께 갖거나, A 및 C를 함께 갖거나, B 및 C를 함께 갖거나, A, B, 및 C를 함께 갖는 시스템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 "A, B 또는 C 중의 적어도 하나"와 유사한 규칙이 사용된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그러한 해석은 당업자가 그 규칙을 이해할 것이라는 전제가 의도된 것이다(예를 들어, "A, B 및 C 중의 적어도 하나를 갖는 시스템"은, A만을 갖거나, B만을 갖거나, C만을 갖거나, A 및 B를 함께 갖거나, A 및 C를 함께 갖거나, B 및 C를 함께 갖거나, A, B, 및 C를 함께 갖는 시스템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 또한 당업자라면, 실질적으로 어떠한 이접 접속어(disjunctive word) 및/또는 두 개 이상의 대안적인 용어들을 나타내는 구절은, 그것이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또는 도면에 있는지와 상관없이, 그 용어들 중의 하나, 그 용어들 중의 어느 하나, 또는 그 용어들 두 개 모두를 포함하는 가능성을 고려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A 또는 B”라는 구절은 “A” 또는 "B” 또는 "A 및 B”의 가능성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Claims (30)

  1. 제1 심볼 및 제2 심볼로 인코딩된 수신기 디코딩 데이터와 연관된 비트 에러율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심볼 및 상기 제2 심볼은 또한 제1 칩 블록 및 제2 칩 블록 모두에 포함되고, 상기 제1 칩 블록 및 상기 제2 칩 블록은 전송기의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를 통해 제1 심볼 시구간 동안 통신 채널을 거쳐 전송되고, 상기 제1 칩 블록과 상기 제2 칩 블록은 또한 상기 전송기의 상기 제1 안테나와 상기 제2 안테나를 통해 제2 심볼 시구간 동안 상기 통신 채널을 거쳐 전송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심볼 시구간 및 상기 제2 심볼 시구간 동안 통신 채널을 통해 인코딩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기에 대한 입력 신호-대-잡음 비율 연산 매개 변수를 얻는 단계;
    상기 통신 채널에 대한 채널 상관 계수를 얻는 단계 - 상기 채널 상관 계수는 상기 제1 심볼 시구간과 상기 제2 심볼 시구간 간 상기 통신 채널의 편차(variation)에 기초함 -; 및
    상기 제1 심볼 및 상기 제2 심볼로 인코딩된 상기 수신기 디코딩 데이터와 연관된 상기 비트 에러율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비트 에러율은 상기 입력 신호-대-잡음 비율 연산 매개 변수 및 상기 채널 상관 계수에 기초하여 결정됨 -
    를 포함하는, 비트 에러율 결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심볼 및 상기 제2 심볼 모두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칩 블록 및 상기 제2 칩 블록은, 제1 직교 확산 코드 및 제2 직교 확산 코드에 기초한 상기 제1 심볼 및 상기 제2 심볼 모두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칩 블록 및 상기 제2 칩 블록을 포함하는, 비트 에러율 결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채널은 DS-CDMA(direct-sequence code-division-multiple-access)에 기초하여 구축되는, 비트 에러율 결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채널은 시간 가변 및 주파수 플랫 레일리 고속 페이딩 통신 채널(time varying and frequency flat Rayleigh fast fading communication channel)로서 특정되는, 비트 에러율 결정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채널은 또한, 상기 제1 안테나에 연관하여 상기 통신 채널을 특정하고 상기 제2 안테나에 연관하여 상기 통신 채널을 특정하는 제이크 채널 모델(Jake's channel model)을 이용하여 특정되는, 비트 에러율 결정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채널에 대한 상기 채널 상관 계수를 얻는 단계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관되는 상기 제1 심볼 시구간과 상기 제2 심볼 시구간 간의 상기 통신 채널의 상기 편차에 기초하여 상기 채널 상관 계수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트 에러율 결정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관되는 상기 제1 심볼 시구간과 상기 제2 심볼 시구간 간의 상기 통신 채널의 상기 편차는 0보다 크고 1보다 작은 값의 채널 상관 계수를 포함하는, 비트 에러율 결정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심볼 및 상기 제2 심볼로 인코딩된 상기 수신기 디코딩 데이터와 연관된 상기 비트 에러율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비트 에러율을 나타내기 위해 Pb에 대한 값을 결정하기 위한 수학식을 구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학식은,
    Figure 112013010635632-pct00069

    을 포함하고,
    여기서,
    Figure 112013010635632-pct00070
    이고
    Figure 112013010635632-pct00071
    이며, ρ는 상기 채널 상관 계수를 나타내고,
    Figure 112013010635632-pct00072
    는 상기 입력 신호-대-잡음 비율 연산 매개 변수를 나타내고,
    Figure 112013010635632-pct00073
    은 상기 제1 심볼 시구간 동안의 입력 신호-대-잡음 비율을 나타내며,
    Figure 112013010635632-pct00074
    는 상기 제2 심볼 시구간 동안의 입력 신호-대 잡음 비율을 나타내는, 비트 에러율 결정 방법.
  9. 제1 심볼 및 제2 심볼로 인코딩된 수신기 디코딩 데이터와 연관된 비트 에러율을 결정하기 위한 컴퓨팅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심볼 및 상기 제2 심볼은 또한 제1 칩 블록 및 제2 칩 블록 모두에 포함되고, 상기 제1 칩 블록 및 상기 제2 칩 블록은 전송기의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를 통해 제1 심볼 시구간 동안 통신 채널을 거쳐 전송되고, 상기 제1 칩 블록과 상기 제2 칩 블록은 또한 상기 전송기의 상기 제1 안테나와 상기 제2 안테나를 통해 제2 심볼 시구간 동안 통신 채널을 거쳐 전송되며,
    상기 컴퓨팅 시스템은, 품질 관리기를 포함하고,
    상기 품질 관리기는,
    상기 제1 심볼 시구간 및 상기 제2 심볼 시구간 동안 상기 통신 채널을 통해 인코딩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기에 대한 입력 신호-대-잡음 비율 연산 매개 변수를 얻고;
    상기 통신 채널에 대한 채널 상관 계수를 얻으며 - 상기 채널 상관 계수는 상기 제1 심볼 시구간과 상기 제2 심볼 시구간 간 상기 통신 채널의 편차에 기초함 -; 및
    상기 제1 심볼 및 상기 제2 심볼로 인코딩된 상기 수신기 디코딩 데이터와 연관된 상기 비트 에러율을 결정하도록 - 상기 비트 에러율은 상기 입력 신호-대-잡음 비율 연산 매개 변수 및 상기 채널 상관 계수에 기초하여 결정됨 -
    구성된 로직을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심볼 및 상기 제2 심볼 모두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칩 블록 및 상기 제2 칩 블록은, 제1 직교 확산 코드 및 제2 직교 확산 코드에 기초한 상기 제1 심볼 및 상기 제2 심볼 모두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칩 블록 및 상기 제2 칩 블록을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채널에 대한 상기 채널 상관 계수를 얻는 것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관되는 상기 제1 심볼 시구간과 상기 제2 심볼 시구간 간의 상기 통신 채널의 상기 편차에 기초하여 상기 채널 상관 계수를 얻는 것을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관되는 상기 제1 심볼 시구간과 상기 제2 심볼 시구간 간의 상기 통신 채널의 상기 편차는 0보다 크고 1보다 작은 값의 채널 상관 계수를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심볼 및 상기 제2 심볼로 인코딩된 상기 수신기 디코딩 데이터와 연관된 상기 비트 에러율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비트 에러율을 나타내기 위해 Pb에 대한 값을 결정하기 위한 수학식을 구현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수학식은,
    Figure 112013010635632-pct00075

    을 포함하고,
    여기서,
    Figure 112013010635632-pct00076
    이고
    Figure 112013010635632-pct00077
    이며, ρ는 상기 채널 상관 계수를 나타내고,
    Figure 112013010635632-pct00078
    는 상기 입력 신호-대-잡음 비율 연산 매개 변수를 나타내고,
    Figure 112013010635632-pct00079
    은 상기 제1 심볼 시구간 동안의 입력 신호-대-잡음 비율을 나타내며,
    Figure 112013010635632-pct00080
    는 상기 제2 심볼 시구간 동안의 입력 신호-대 잡음 비율을 나타내는, 컴퓨팅 시스템.
  14.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를 갖는 전송기 - 상기 전송기는, 데이터를 제1 심볼 및 제2 심볼로 인코딩하고 제1 칩 블록에 그리고 또한 제2 칩 블록에 상기 제1 심볼 및 상기 제2 심볼을 개별적으로 포함하도록 구성된 로직을 포함하고, 상기 전송기는 상기 제1 칩 블록 및 상기 제2 칩 블록이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를 통해 제1 심볼 시구간 동안 통신 채널을 거쳐 전송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송기는 상기 제1 칩 블록 및 상기 제2 칩 블록이 또한 상기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를 통해 제2 심볼 시구간 동안 상기 통신 채널을 거쳐 전송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칩 블록 및 상기 제2 칩 블록은 상기 통신 채널을 통해 수신기로 전송됨 - 및
    품질 관리기를 포함하는 컴퓨팅 플랫폼
    을 포함하고,
    상기 품질 관리기는,
    상기 제1 심볼 시구간 및 상기 제2 심볼 시구간 동안 상기 통신 채널을 통해 인코딩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상기 수신기에 대한 입력 신호-대-잡음 비율 연산 매개 변수를 얻고;
    상기 통신 채널에 대한 채널 상관 계수를 얻으며 - 상기 채널 상관 계수는 상기 제1 심볼 시구간과 상기 제2 심볼 시구간 간 상기 통신 채널의 편차에 기초함 -; 및
    상기 제1 심볼 및 상기 제2 심볼로 인코딩된 상기 수신기 디코딩 데이터와 연관된 비트 에러율을 결정하도록 - 상기 비트 에러율은 상기 입력 신호-대-잡음 비율 연산 매개 변수 및 상기 채널 상관 계수에 기초하여 결정됨 -
    구성된 로직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데이터를 제1 심볼 및 제2 심볼로 인코딩하고 제1 칩 블록에 그리고 또한 제2 칩 블록에 상기 제1 심볼 및 상기 제2 심볼을 개별적으로 포함하는 것은, 제1 직교 확산 코드 및 제2 직교 확산 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칩 블록 그리고 또한 상기 제2 칩 블록에 상기 제1 심볼 및 상기 제2 심볼을 개별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채널에 대한 상기 채널 상관 계수를 얻는 것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관되는 상기 제1 심볼 시구간과 상기 제2 심볼 시구간 간의 상기 통신 채널의 상기 편차에 기초하여 상기 채널 상관 계수를 얻는 것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관되는 상기 제1 심볼 시구간과 상기 제2 심볼 시구간 간의 상기 통신 채널의 상기 편차는 0보다 크고 1보다 작은 값의 상기 채널 상관 계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기에 대한 연산 매개 변수는 상기 결정된 비트 에러율에 기초하여 조정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9.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송기에 의해 통신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전송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수신된 신호로부터 데이터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된 로직을 포함하는 수신기 - 상기 데이터는제1 칩 블록 및 제2 칩 블록에 포함된 제2 심볼 시구간 동안 제1 심볼 및 제2 심볼로부터 디코딩되고, 상기 제1 칩 블록 및 상기 제2 칩 블록이 상기 전송기에서의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로부터 제1 심볼 시구간 동안 상기 통신 채널을 거쳐 전송되고, 상기 제1 칩 블록 및 상기 제2 칩 블록이 또한 상기 전송기에서의 상기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를 통해 제2 심볼 시구간 동안 통신 채널을 거쳐 전송됨 -; 및
    품질 관리기를 포함하는 컴퓨팅 플랫폼
    을 포함하고,
    상기 품질 관리기는,
    상기 제1 심볼 시구간 및 상기 제2 심볼 시구간 동안 상기 통신 채널을 통해 인코딩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상기 수신기에 대한 입력 신호-대-잡음 비율 연산 매개 변수를 얻고;
    상기 통신 채널에 대한 채널 상관 계수를 얻으며 - 상기 채널 상관 계수는 상기 제1 심볼 시구간과 상기 제2 심볼 시구간 간 상기 통신 채널의 편차에 기초함 -; 및
    상기 제1 심볼 및 상기 제2 심볼로 인코딩된 상기 수신기 디코딩 데이터와 연관된 비트 에러율을 결정하도록 - 상기 비트 에러율은 상기 입력 신호-대-잡음 비율 연산 매개 변수 및 상기 채널 상관 계수에 기초하여 결정됨 -
    구성된 로직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심볼 및 상기 제2 심볼 모두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칩 블록 및 상기 제2 칩 블록은, 제1 직교 확산 코드 및 제2 직교 확산 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심볼 및 상기 제2 심볼 모두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칩 블록 및 상기 제2 칩 블록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채널에 대한 상기 채널 상관 계수를 얻는 것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관되는 상기 제1 심볼 시구간과 상기 제2 심볼 시구간 간의 상기 통신 채널의 상기 편차에 기초하여 상기 채널 상관 계수를 얻는 것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관되는 상기 제1 심볼 시구간과 상기 제2 심볼 시구간 간의 상기 통신 채널의 상기 편차는 0보다 크고 1보다 작은 값의 상기 채널 상관 계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에 대한 연산 매개 변수는 상기 결정된 비트 에러율에 기초하여 조정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4. 제1 심볼 및 제2 심볼로 인코딩된 수신기 디코딩 데이터와 연관된 비트 에러율을 결정하기 위한 명령어를 갖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로서,
    상기 제1 심볼 및 상기 제2 심볼은 또한 제1 칩 블록 및 제2 칩 블록 모두에 포함되고, 상기 제1 칩 블록 및 상기 제2 칩 블록은 전송기의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를 통해 제1 심볼 시구간 동안 통신 채널을 거쳐 전송되고, 상기 제1 칩 블록과 상기 제2 칩 블록은 또한 상기 전송기의 상기 제1 안테나와 상기 제2 안테나를 통해 제2 심볼 시구간 동안 상기 통신 채널을 거쳐 전송되며,
    로직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로직이,
    상기 제1 심볼 시구간 및 상기 제2 심볼 시구간 동안 상기 통신 채널을 통해 인코딩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기에 대한 입력 신호-대-잡음 비율 연산 매개 변수를 얻고;
    상기 통신 채널에 대한 채널 상관 계수를 얻으며 - 상기 채널 상관 계수는 상기 제1 심볼 시구간과 상기 제2 심볼 시구간 간 상기 통신 채널의 편차에 기초함 -; 및
    상기 제1 심볼 및 상기 제2 심볼로 인코딩된 상기 수신기 디코딩 데이터와 연관된 상기 비트 에러율을 결정하도록 - 상기 비트 에러율은 상기 입력 신호-대-잡음 비율 연산 매개 변수 및 상기 채널 상관 계수에 기초하여 결정됨 -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심볼 및 상기 제2 심볼 모두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칩 블록 및 상기 제2 칩 블록은, 제1 직교 확산 코드 및 제2 직교 확산 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심볼 및 상기 제2 심볼 모두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칩 블록 및 상기 제2 칩 블록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채널에 대한 상기 채널 상관 계수를 얻는 것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관되는 상기 제1 심볼 시구간과 상기 제2 심볼 시구간 간의 상기 통신 채널의 상기 편차에 기초하여 상기 채널 상관 계수를 얻는 것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27. 제26항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관되는 상기 제1 심볼 시구간과 상기 제2 심볼 시구간 간의 상기 통신 채널의 상기 편차는 0보다 크고 1보다 작은 값의 상기 채널 상관 계수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심볼 및 상기 제2 심볼로 인코딩된 상기 수신기 디코딩 데이터와 연관된 상기 비트 에러율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비트 에러율을 나타내기 위해 Pb에 대한 값을 결정하기 위한 수학식을 구현하는 로직을 포함하고,
    상기 수학식은,
    Figure 112013010635632-pct00081

    을 포함하고,
    여기서,
    Figure 112013010635632-pct00082
    이고
    Figure 112013010635632-pct00083
    이며, ρ는 상기 채널 상관 계수를 나타내고,
    Figure 112013010635632-pct00084
    는 상기 입력 신호-대-잡음 비율 연산 매개 변수를 나타내고,
    Figure 112013010635632-pct00085
    은 상기 제1 심볼 시구간 동안의 입력 신호-대-잡음 비율을 나타내며,
    Figure 112013010635632-pct00086
    는 상기 제2 심볼 시구간 동안의 입력 신호-대 잡음 비율을 나타내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29.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기에 대한 연산 매개 변수는 상기 결정된 비트 에러율에 기초하여 조정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30.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에 대한 연산 매개 변수는 상기 결정된 비트 에러율에 기초하여 조정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KR1020117028392A 2009-04-27 2010-04-2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공간-시간 확산을 이용하여 전송된 데이터 디코딩 KR1012426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430,788 US8355426B2 (en) 2009-04-27 2009-04-27 Decoding data transmitted using space-time spread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2/430,788 2009-04-27
PCT/US2010/001235 WO2010126582A1 (en) 2009-04-27 2010-04-26 Decoding data transmitted using space-time spread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067A KR20120008067A (ko) 2012-01-25
KR101242650B1 true KR101242650B1 (ko) 2013-03-22

Family

ID=42992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8392A KR101242650B1 (ko) 2009-04-27 2010-04-2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공간-시간 확산을 이용하여 전송된 데이터 디코딩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355426B2 (ko)
KR (1) KR101242650B1 (ko)
CN (1) CN101944969B (ko)
WO (1) WO20101265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523428C2 (ru) * 2009-08-13 2014-07-20 Сони Корпорейшн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устройство передачи сигналов и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сигналов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0860A (ko) * 2001-01-12 2002-07-19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공간-시간 확산 방식을 이용한 다중전송주파수 다이버시티 송수신 방법
KR20070054717A (ko) * 2004-09-03 2007-05-29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공간-시간 또는 공간-주파수 전송 다이버시티를 이용한공간 확산을 위한 수신기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684200A (en) 2000-06-20 2002-01-02 Nokia Corporation Error estimation method and apparatus
US7386076B2 (en) * 2001-03-29 2008-06-1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pace time encod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th multipath resolution receivers
EP1357693B1 (en) * 2002-04-25 2010-06-09 Imec CDMA transceiver techniques fo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wireless communications
GB2395637B (en) 2002-11-19 2006-10-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Block Error Estimator
US7587211B2 (en) * 2005-12-21 2009-09-08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daptive multi rate (AMR) and measurements downlink adaptation
JP2006109270A (ja) * 2004-10-07 2006-04-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パケット通信機
JP4213660B2 (ja) * 2004-12-22 2009-01-21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送信機
US8553818B2 (en) 2006-11-02 2013-10-0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determining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KR100866615B1 (ko) 2007-01-18 2008-11-0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8116411B2 (en) * 2007-08-06 2012-02-14 Indian Institute Of Science Method to detect data transmitted from multiple antennas and system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0860A (ko) * 2001-01-12 2002-07-19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공간-시간 확산 방식을 이용한 다중전송주파수 다이버시티 송수신 방법
KR20070054717A (ko) * 2004-09-03 2007-05-29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공간-시간 또는 공간-주파수 전송 다이버시티를 이용한공간 확산을 위한 수신기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355426B2 (en) 2013-01-15
CN101944969A (zh) 2011-01-12
CN101944969B (zh) 2013-10-09
US20100272160A1 (en) 2010-10-28
KR20120008067A (ko) 2012-01-25
WO2010126582A1 (en) 2010-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18116B2 (en) Acoustic data transmission based on groups of audio receivers
WO2021002939A1 (en) Blurring to improve visual quality in an area of interest in a frame
US8903325B2 (en) Using out-band information to improve wireless communications
MX2012000905A (es) Control de ganancia adaptativa para muestras de audio digital en una transmision de medios.
KR20160019041A (ko) 채널 폴라리제이션 메커니즘으로 데이터를 인코딩 및 디코딩하는 시스템
WO2013070188A1 (en) Redundant key frame transmission
US20210006976A1 (en) Privacy restrictions for audio rendering
US20210004452A1 (en) Password-based authorization for audio rendering
EP3994566A1 (en) Audio capture and rendering for extended reality experiences
JP2009509422A (ja) 制御ループ応答時間最適化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124265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공간-시간 확산을 이용하여 전송된 데이터 디코딩
KR102267723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유효 잡음을 기반으로 채널 복호 동작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WO2012100557A1 (zh) 一种带宽扩展方法及装置
US8275019B2 (en) Transmitting and receiving schemes for multiuser single-carrier space time spreading with frequency domain equalization
US20170041048A1 (en) Signal sequence estimation
US9979576B2 (en) Drift robust convolutional induced reception scheme with noise prediction
US8867515B2 (en) Transmitting or receiving data vi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sing highly correlated spreading codes assigned to a user
JP2019118108A (ja) 通信システム、送信装置、受信装置、通信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361356B1 (ko) 보안 구역이 존재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상대적 거리 변수를 이용한 보안 전송량 산출 방법 및 시스템
US9735847B2 (en) Spatial modulation multiple-input-multiple-output (SM-MIMO) system
EP285666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30052005A (ko) 전달된 채널 상태 정보에 기초한 데이터 프리코딩
JP2010183561A (ja) 直交時空間符号の改善された復号化
KR20240008827A (ko) 가상 현실 환경에서 오디오 소스의 지향성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510232B1 (ko) 지연된 피드백을 가진 에르고딕 간섭 정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