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2216B1 - 사진보정용 광학파라미터 조정카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사진보정용 광학파라미터 조정카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2216B1
KR101242216B1 KR1020090127551A KR20090127551A KR101242216B1 KR 101242216 B1 KR101242216 B1 KR 101242216B1 KR 1020090127551 A KR1020090127551 A KR 1020090127551A KR 20090127551 A KR20090127551 A KR 20090127551A KR 101242216 B1 KR101242216 B1 KR 101242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patch
card
white
l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7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0640A (ko
Inventor
민의기
Original Assignee
민의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의기 filed Critical 민의기
Priority to KR1020090127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2216B1/ko
Publication of KR20110070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0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2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2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951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001Texturing; Colouring; Generation of texture or colou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73Colour balance circuits, e.g. white balance circuits or colour temperatur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lor Image Communication System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진보정용 광학파라미터 조정카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판상의 합성수지재 상하부면에 흰색의 패치인쇄지(1)를 압압접착하여 접착된 전체색상이 흰색을 나타내도록 형성하는 패치접착단계(S100)와; 상기 패치접착단계를 통해 마련된 상기 판상의 합성수지재를 직사각형상의 카드(MK-Card)로 재단하는 재단단계(S200)와; 상기 재단단계를 거쳐 형성된 흰색 바탕의 카드 상부면에 엘에이비 컬러(Lab color)와 알지비 컬러(RGB color)를 9단계 계조영역(100)로 형성한 사각의 바둑판배치의 패치영역 인쇄단계(S300)와; 상기 패치영역 인쇄단계를 통해 사각의 바둑판배치의 9단계 사각의 각부 꼭지점 외측에 "ㄱ"자 형상으로 제1자동보정표시 인식부(200)를 인쇄하는 제1자동인식부 인쇄단계(S400);를 포함하는 사진보정용 광학파라미터 조정카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진보정, 그레이카드.

Description

사진보정용 광학파라미터 조정카드의 제조방법{A manufacturing method of optical parameter adjusting-card for photograph correction}
본 발명은 사진보정용 광학파라미터 조정카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카메라로 촬영되는 사진을 보다 선명하고, 실사에 가까운 색감을 얻도록 화이트 밸런스 등의 광학적 파라미터를 조정이 가능한 사진보정용 광학파라미터 조정카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디지털 카메라, 핸드폰 등의 보급에 따라 대다수의 사람들이 장소와 시간의 구애를 받지 않고 다양한 디지털 사진을 촬영하고, 출력하여 자신만의 추억을 만들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준비없이 촬영되는 사진은 대부분이 선명하지 못하고, 카메라의 종류, 날씨 등의 여건에 따라 색감의 차이는 현저히 달라진다. 이에 사람들은 보다 선명하고, 색감이 뛰어난 사진을 촬영하고 싶은 욕구가 늘어가고 있다.
그러나, 사실상 전문가가 아닌 이상 색감과 뛰어난 화질의 사진을 얻기란 상 당히 힘든 문제점이 있고, 디지털 카메라의 특성상 필름을 사용하지 않고 쉽게 촬영하고 지우고 하는 기능을 활용하여 무조건 많이 촬영한 후, 그 중 색감이나 선명도가 우수한 사진을 고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즉, 원하는 사진을 얻기 위해서는 수많은 시간과 수고를 거쳐야만 비로서 한 장의 만족할 만한 사진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최근들어 출시되고 있는 카메라는 사용자의 입장에서 흔들림방지, 화이트 밸런스(White Balance) 조정 등의 다양한 사진 보정기능을 내장하고 있으나, 이 역시 사용자의 숙달미숙으로 사용하기란 상당히 힘들고, 품질이 좋은 사진을 얻기란 한계가 있어 별도의 보정작업을 수행하여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여기서, 잠시 촬영 장치인 최근 카메라의 동향을 살펴보면 촬영된 영상이 저장되는 매체 즉, 필름에 의한 수동식 카메라인지 메모리에 저장되는 디지털 카메라인지에 따라 나뉘고, CCD(Charged Coupled Device)나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와 같은 전기적인 저장매체인지의 여부에 따라 필름에 의한 수동식 카메라와 디지털 카메라로 구별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동영상 촬영기능을 갖추고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스틸 카메라와 동영상 카메라로 구별될 수 있다. 여기서, 이와 같은 종류의 카메라는 모두가 빛에 의한 색과 피사체의 형상을 나타내도록 된 공통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이하 설명에서는 통칭하여 "카메라"라 한다.
상기와 같은 종류의 카메라 중, 통상의 디지털 카메라를 살펴보면 화이트 밸런스(White Balance) 조정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사용자가 색온도를 태양광, 흐린 날, 저녁녘, 백열등, 형광등 또는 그늘과 같은 각종 상황별로 지정할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색온도 지정 기능 이외에도 센서에 의한 자동 화이트 밸런스 조정이 가능한 오토 화이트 밸런스 기능도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화이트 밸런스(White Balance)는 백색을 기준으로 촬영할 때 디지털 카메라가 백색을 정확하게 백색으로 인식하도록 조정하는 기능이다. 이와 같은 화이트 밸런스를 조정하는 것은 우리가 살아가는 환경은 대부분 단일의 광원으로만 이루어져 있지 않다. 따라서, 실내의 경우를 살펴보면 형광등 빛, 자연채광에 의한 빛 등 다양한 복합광원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정확한 화이트 밸런스의 조정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를 감안하여 많은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또한 '프리셋 모드'로 널리 알려져 있는 커스텀 화이트 밸런스(Custom White Balance) 기능이라는 것을 구비하고 있는데, 이 기능은 다양한 광원으로 이루어진 촬영상황에서 카메라에게 흰색의 기준을 잡아주고 그것을 기준으로 R/G/B(적/녹/청) 컬러 밸런스 작업을 진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커스텀 화이트 밸런스는 통상적으로 그레이 카드의 회색면으로 노출을 측정하고 화이트 카드의 백색면을 촬영해서 그 결과물을 카메라의 프리셋 값 으로 설정하는 식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종래 카메라의 광학 파라미터 조정용 그레이 카드를 살펴보면 직사각형 전체에 인쇄된 형상으로 한쪽 면이 18%의 반사율을 갖는 회색면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면은 90%의 반사율을 갖는 백색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카메라에서 화이트 밸런스의 조정이나 커스텀 화이트 밸런스 기능을 구비하는 것은 사진촬영이 빛의 밝기를 필름이나 CCD(혹은 CMOS)에 도달한 빛을 분석하여 흰색과 검정색 그리고 중간단계의 회색들로 구별하여 그 밝기를 알아냄으로써, 보다 선명한 컬러와 또렷한 피사체의 촬영이 가능하기 때문에 구비되는 기능으로써, 사진이 지나치게 밝거나 어둡다면 노출과다나 노출부족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여기서, 카메라는 사람들의 눈과는 다르게 색(빛)을 풀컬러(Full Color)로 인식하지 못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카메라 렌즈를 통해 담고자 하는 피사체를 포착하게 되면 그 순간 흑백으로 이를 인식하고 100%는 흰색, 0%는 검정색, 18%는 회색으로 인식하며 그 비율 값을 통해 노출값을 산출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카메라의 노출계는 이른바 표준반사판이라고 불리는 앞서 잠시 업급한 18%의 그레이카드(graycard)에 노출의 기준을 잡는다. 즉, 각 요수의 합산 이 18% 그레이(회색)보다 밝으면 노출을 낮추고, 어두우면 노출을 높여주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그레이 카드를 이용하여 카메라의 광학파라미터를 조정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즉, 그레이카드의 18%의 그레이영역에서의 기준값과 검정색 0%와 흰색의 100%기준값의 영역이 사이값이 상당한 차이를 두고 있어 정확한 광학파라미터를 계산해내기란 사실상 어려운 점이 있었다. 즉, 현재의 그레이카드로는 검정색과 회색, 흰색의 3단계 영역의 기준값만을 산출하여 카메라의 촬영 및 촬영된 사진의 농도와 색의 보정은 가능하나, 검정색과 회색, 흰색 사이의 잡색에 대한 보정은 사실상 수동이나 자동 모두가 불가능하여 카메라의 화이트 밸런스, 사진의 보정에는 한계가 있다.
더욱이, 이라한 그레이카드를 보완하기 위해 화이트밸런스 등의 광학파라미터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검정색과 흰색, 회색 사이의 색상을 표현하여 나타낸 큐피카드(QPcard)가 출시되어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큐피카드는 검정색과 흰색, 회색조 이외에 검정색과 회색 사이의 어느 하나의 색상과 흰색과 회색 사이의 어느 하나의 색상을 두어 모두 5가지의 색상값을 두고 화이트밸런스의 조정 및 사진보정을 수행하도록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그레이카드에 비해 다양한 색상영역의 값을 기준으로 화이트 밸런스와 색상보정이 가능하다고는 하나 종래의 그레이카드에 대비하여 그 효과는 현저히 높지 않고, 그 제조과정에서 검정색, 흰색, 회색 의 중간값을 찾아내기란 상당히 어려운 문제점과 상당히 고가인 문제점 있었고, 종래의 그레이카드에 대비하여 대량생산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상기 큐피카드 역시, 각각의 기준색에 대한 잡색을 수동 및 자동으로 보정하기란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즉, 검정색, 흰색, 회색, 그 사이의 하나의 색상 이외의 영역에서의 색농도, 색상의 보정은 일정부분 가능하나, 기준 영역 이외의 잡색은 제거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계속적으로 잔존하고 있었다. 또한, 이러한 잡색의 제거를 위해 검정색, 흰색, 회색 사이에 상당히 많은 기준 색상값을 둔다고 하더라도 잡색을 제거함에 있어서는 어려움이 따른다. 즉, 기준색상값이 다수 존재함에 따라 오히려 어느 측의 기준값을 설정할 지가 문제가 되고, 이로 인해 화이트 밸런스 및 사진의 보정시, 어느 측의 기준값을 적용이 가능한 지가 불분명하여 사실상 화이트 밸런스 및 사진의 보정 등의 광학적 파라미터의 조정은 더욱 어려운 문제점으로 남아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 최적의 광학적 파라미터값을 통해 화이트 밸런스 및 사진의 보정을 가능하도록 하여 카메라 촬영시, 높은 품질의 촬영이 가능하고, 촬영된 사진의 보정시, 가장 선명하고, 가장 색감이 우수하며, 잡색 없이 뛰어난 사진을 제공함으로써, 많은 사람들에게 보다 우수한 이미지 컨텐츠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사진보정용 광학파라미터 조정카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생산성이 용이하여 대량생산을 통해 제조단가를 현저히 낮추고, 이를 통해 많은 사람들에게 저렴한 비용으로 공급이 가능하여 누구나 손쉽게 품질이 우수한 사진촬영 및 사진을 얻을 수 있도록 구비된 사진보정용 광학파라미터 조정카드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진보정용 광학파라미터 조정카드의 제조방법은 판상의 합성수지재 상하부면에 흰색의 패치인쇄지(1)를 압압접착하여 접착된 전체색상이 흰색을 나타내도록 형성하는 패치접착단계(S100)와; 상기 패치접착단계를 통해 마련된 상기 판상의 합성수지재를 직사각형상의 카드(MK-Card)로 재단하는 재단단계(S200)와; 상기 재단단계를 거쳐 형성된 흰색 바탕의 카드 상부면에 엘에이비 컬러(Lab color)와 알지비 컬러(RGB color)를 9단계 계조영역(100)로 형성한 사각의 바둑판배치의 패치영역 인쇄단계(S300)와; 상기 패치영역 인쇄단계를 통해 사각의 바둑판배치의 9단계 사각의 각부 꼭지점 외측에 "ㄱ"자 형상으로 제1자동보정표시 인식부(200)를 인쇄하는 제1자동인식부 인쇄단계(S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패치접착단계(S100)의 판상의 합성수지재 상하부면에 압압되어 접착되는 흰색의 패치인쇄지(1)는 무광 내재 반광의 중성지, 프린트용 인화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패치영역 인쇄단계(S300)의 9단계 계조영역(100)은 정사각형을 3행 3열로 Lab color 0~100 사이의 값을 가지도록 형성하여 촬영 및 사진의 색상을 분석하고, 컬러 밸런스를 조정하기위해 형성되되, 상부의 1행 3열의 중앙은 100에 가까운 Lab color를 가지고, 좌우측은 0측에 가까운 Lab color를 가지도록 구비되는 제1랜덤계조패치(110)와; 중앙의 2행 3열은 Lab color 0~100 중 중간값 50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10이 감소하고, 우측으로 10이 증가하는 기준계조패치(120)와; 하부의 3행 3열은 중앙은 0에 가까운 Lab color를 가지고, 좌우측은 100측에 가까운 Lab color를 가지도록 구비되는 제2랜덤계조패치(13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재단단계(S200)를 거쳐 형성된 흰색바탕의 카드 하부면에 엘에이비 컬러(Lab color)와 알지비 컬러(RGB color)의 회색조영역(300)을 정사각형상으로 인쇄하는 그레이영역 인쇄단계(S500)와; 정사각형상의 상기 회색조영역(300) 사각의 꼭지점 외측에 "ㄱ"자 형상으로 제2자동보정표시 인식부(400)를 인쇄하는 제2자동인식부 인쇄단계(S60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그레이영역 인쇄단계(S500)의 회색조영역(300)은 엘에이비 컬러(Lab color)는 54이고, 알지비 컬러(RGB color)는 128,128,128 그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최적의 광학적 파라미터값을 통해 화이트 밸런스 및 사진의 보정을 가능하도록 하여 카메라 촬영시, 높은 품질의 촬영이 가능하고, 촬영된 사진의 보정시, 가장 선명하고, 가장 색감이 우수하며, 잡색 없이 뛰어난 사진을 제공함으로써, 많은 사람들에게 보다 우수한 이미지 컨텐츠의 제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생산성이 용이하여 대량생산을 통해 제조단가를 현저히 낮추고, 이를 통해 많은 사람들에게 저렴한 비용으로 공급이 가능하여 누구나 손쉽게 품질이 우수한 사진촬영 및 사진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사진보정용 광학파라미터 조정카드의 제조방법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진보정용 광학파라미터 조정카드의 제조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진보정용 광학파라미터 조정카드의 제조방법에 의해 상부면에 9단계 계조영역을 표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진보정용 광학파라미터 조정카드의 제조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진보정용 광학파라미터 조정카드의 제조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카드 부분을 표시한 저면도이다.
본 발명은 최적의 광학적 파라미터값을 통해 화이트 밸런스 및 사진의 보정을 가능하도록 하여 카메라 촬영시, 높은 품질의 촬영이 가능하고, 촬영된 사진의 보정시, 가장 선명하고, 가장 색감이 우수하며, 잡색 없이 뛰어난 사진을 제공함으로써, 많은 사람들에게 보다 우수한 이미지 컨텐츠의 제공이 가능하고, 생산성이 용이하여 대량생산을 통해 제조단가를 현저히 낮추고, 이를 통해 많은 사람들에게 저렴한 비용으로 공급이 가능하여 누구나 손쉽게 품질이 우수한 사진촬영 및 사진을 얻을 수 있는 사진보정용 광학파라미터 조정카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패치접착단계(S100), 재단단계(S200), 패치영역 인쇄단계(S300), 제1자동인식부 인쇄단계(400)를 포함한다.
상기 패치접착단계(S100)는 광학파라미터 조정을 위한 검정색과 흰색 및 회색의 계조영역을 인쇄가 가능하도록 전처리로 행하여지는 것으로, 판상의 합성수지재 상하부면에 흰색의 패치인쇄지(1)를 압압접착하여 편평한 면을 이루도록 하고, 접착된 상기 패치인쇄지(1)의 전체 색상이 광학파라미터 조정시, Lab color 100%를 나타내는 흰색을 나타내도록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패치접착단계(S100)의 판상의 합성수지재 상하부면에 압압되어 접착되는 흰색의 패치인쇄지(1)는 무광 내재 반광의 중성지, 프린트용 인화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빛에 의한 반사율을 낮추어 정확한 광학파라미터값을 얻기 위한 것이다.
상기 재단단계(S200)는 앞서 상술한 상기 패치접착단계(S100)를 통해 합성수지재 상하부면에 패치인쇄지(1)가 고르게 편평한 면을 이루어 접착된 후, 실제 사용이 가능한 크기로 상기 판상의 합성수지재를 직사각형상의 카드(MK-Card)로 재단한다.
상기 패치영역 인쇄단계(S300)는 흰색과 검정색의 계조색상을 인쇄하는 것으로서, 전술한 상기 재단단계를 거쳐 형성된 흰색 바탕의 카드 상부면에 엘에이비 컬러(Lab color)와 알지비 컬러(RGB color)를 9단계 계조영역(100)으로 형성한 사 각의 바둑판배치로 형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엘에이비 컬러(Lab color)와 알지비 컬러(RGB color)의 작용에 대해 잠시 언급하면 먼저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하거나 스캐너로 스캔한 이미지의 경우, 적색(Red), 녹색(Green), 청색(Blue) 채널로 구성된 알지비 컬러(RGB color)로 작업하게 되며, 흑백 이미지의 경우 단일의 회색 채널로 구성된 회색음영 모드로 작업하게 된다. 그리고, 엘에이비 컬러(Lab color)는 CMS를 하기 위해 사용되는 표준 컬러 색공간인 동시에 다양한 리터칭 기법에 응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엘에이비(Lab)란? 1976년 씨아이이(CIE;Colmmission Internationale d' Eclairage, 국제조명위원회)에서 표준화한 국제 규격화된 색체계로 모든 색채는 적색과 녹색, 청색과 황색이 동시에 지각될 수 없다는 반대색설을 기반으로 한 컬러 개념이다.
일반적으로 씨아이이 엘에이비(CIE Lab)는 혹은 L*a*b*로 표기하며 사용되고 있다. 이것은 여러 가지 색상 체계와의 호환성을 높이기 위한 기준이 되는 색체계로, 인간의 눈으로 지각할 수 있는 모든 색을 포함하며, 동시에 디지털 장비의 색특성에 관계없이 동일한 색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한 색체계이다. 엘에이비(Lab)는 출력 장비, 디스플레이 장비, 입력 장비의 색특성에 관계없는 장치 독립적인 색상체계(Device Independent Color System)이기 때문에 CMS에서 장치간의 색을 연결해주는 중심이 되는 색공간(Profile Connection Space)의 역할을 한다. 또한 국제적으로 물체의 색을 표현할 때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색체계로 이미 디자이너나 컬러에 관한 연구를 하는 사람들은 엘에이비(Lab)를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엘에이비(Lab)에서의 L채널은 Lightness의 약자로 이미지의 밝고 어두운 정도인 명도를 말한다. a*채널은 녹색과 적색의 관계를 의미하는데 음수 쪽으로 가면 녹색, 양수 쪽으로 가면 적색을 띄며, b*채널은 청색과 황색의 관계를 의미하는데 음수 쪽으로 가면 청색 양수 쪽으로 가면 황색을 띈다.
엘에이비(Lab)로 된 이미지를 보면 L, a, b 세 개의 채널로 구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이것은 알지비(RGB) 컬러로 구성된 이미지가 R, G, B 세 개의 채널로 구분되는 것과 동일하다. 하지만 알지비(RGB)의 경우 각각의 채널이 채널 별 색에 대한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알지비(RGB) 세 개의 채널을 각각 조정하여 작업하는 경우에 작업자의 의도와는 관계없이 특정한 색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어 이미지의 색상이 원본과 다르게 다소 변하게 된다.
반면 엘에이비(Lab)의 경우 밝기 정보인 L과 컬러 정보인 a, b 채널이 명확하게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명도 정보가 포함된 L 채널을 이용하여 보정하는 경우, 이미지의 색에는 어떠한 영향도 주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미지에 샤프니스(sharpness)를 주고자 할 때, 또는 이미지에 노이즈(Noise)를 추가하거나 제거하고자 할 때에 L 채널만을 독립적으로 선택하여 작업할 수 있기 때문에 알지비(RGB)에서와 같이 컬러 채널을 조절하여 작업하는 것보다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컬러 조정 작업에서도 엘에이비(Lab)는 특정 피사체의 색을 바꾸고 싶은 경우, 또는 이미지의 계조에 손상을 입히지 않고 컬러만을 조정하고 싶은 경우에 알지비(RGB)로 작업하는 것 보다 유리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앞서 언급했듯이 엘에이비(Lab)는 장치에 따라 변하지 않고 자연에 존재하는 모든 색을 포함하고 있는 특성으로 인해 색체계의 중요한 기준이 될 수 있다. 근본적으로 빛을 이용하는 카메라, 스캐너, 그리고 모니터와 같이 알지비(RGB) 색체계를 기반으로 한 장비들과 잉크를 사용하는 다양한 CMYK 색체계 기반의 출력 장비들 간의 색을 정확하게 변환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는 마치 같은 색의 물감과 색연필이 종이 위에서 다르게 표현되는 것과 같다.
그러나, 엘에이비(Lab)는 장치 간 컬러 변환에 있어서 동일한 변환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CMS의 기준 색체계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디지털 이미지를 알지비(RGB)에서 리터칭을 한 후 CMYK 모드로 전환하는 것 보다는 엘에이비(Lab)에서 리터칭한 후 CMYK 모드로 전환하는 것이 컬러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중요한 기준이 된다. 즉, 이와 같은 엘에이비 컬러를 이용하여 검정색과 흰색, 회색의 계조영역을 통해 사진보정이 우수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즉, 전술한 상기 패치영역 인쇄단계(S300)의 9단계 계조영역(100)을 인쇄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사각형상으로 3행 3열로 Lab color 0~100 사이의 값을 가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사진 촬영 및 사진의 색상을 분석하고, 컬러 밸런스를 조정이 최적으로 가능한 것으로, 제1랜덤계조패치(110), 기준계조패치(120), 제2랜덤계조패치(130)로 구분된다. 여기서, 상기 제1랜덤계조패치(110), 기준계조패치(120), 제2랜덤계조패치(130)의 구분은 도 2의 A, B, C, D, E, F, G, H, I, J의 9단계의 계조영역(100)의 엘에이비(Lab)과 알지비(RGB)의 광학파라미터 값이 아래의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다.
Figure 112009078680765-pat00001
즉, 표 1과 도 2를 기준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제1랜덤계조패치(110)는 상부의 1행 3열의 중앙은 100에 가까운 Lab color를 가지고, 좌우측은 0측에 가까운 Lab color를 가지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기준계조패치(120)는 중앙의 2행 3열은 Lab color 0~100 중 중간값 50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10이 감소하고, 우측으로 10이 증가한다. 또한, 상기 제2랜덤계조패치(130)는 하부의 3행 3열은 중앙은 0에 가까운 Lab color를 가지고, 좌우측은 100측에 가까운 Lab color를 가지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제1자동인식부 인쇄단계(S400)는 전술한 상기 패치영역 인쇄단계를 통해 사각의 바둑판배치의 9단계 계조영역(100)의 사각의 각부 꼭지점 외측에 "ㄱ"자 형상으로 제1자동보정표시 인식부(200)를 인쇄하는 것으로, 별도의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에 의한 화이트 밸런스, 사진 보정 등을 하고자 하기 위해 카드의 위치, 색상교정을 자동으로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사진의 화이트 밸런스, 사진 보정 등의 기준 데이터값을 빠르게 찾도록 마련된다.
한편, 도 3에 나타난 본 발명에 따른 사진보정용 광학파라미터 조정카드의 제조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앞서 상술한 광학파라미터 조정카드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작된 카드의 후면을 활용하도록 제조하는 단계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레이영역 인쇄단계(S500), 제2자동인식부 인쇄단계(S6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그레이영역 인쇄단계(S500)는 상기 재단단계(S200)를 거쳐 형성된 흰색바탕의 카드 하부면에 엘에이비 컬러(Lab color)와 알지비 컬러(RGB color)의 회색조영역(300) 즉, 알지비(128,128,128)의 데이터값과 엘에이비(54,0,0)의 데이터값을 갇는 표준반사판인 18% 회색조영역(300)을 정사각형상으로 인쇄하는 단계이다. 즉, 기존의 표준반사판인 그레이카드의 역할을 후면부가 수행이 가능하도록 하여 전후면을 모두 사용하여 화이트밸런스와 사진 보정 등의 광학파라미터 값의 조정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제2자동인식부 인쇄단계(S600)는 전술한 상기 그레이영역 인쇄단계를 통해 사각의 회색조영역(300)의 사각의 각부 꼭지점 외측에 "ㄱ"자 형상으로 제2자동보정표시 인식부(200)를 인쇄하는 것으로, 이 역시, 앞서 상술한 제1자동인식부 인쇄단계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별도의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에 의한 화이트 밸런스, 사진 보정 등을 하고자 하기 위해 카드의 위치, 색상교정을 자동으로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사진의 화이트 밸런스, 사진 보정 등의 기준 데이터값을 빠르게 찾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사진보정용 광학파라미터 조정카드의 제조방법을 통해 광학 파라미터 조정카드의 전후면에 9단계의 계조영역을 가진 패치와 그레이영역을 동시에 둠으로써, 카드 한장으로 복합적인 기능의 수행이 가능하여 화이트밸런스를 조절하고, 사진보정 등의 조정시, 색손실을 줄이고, 잡색의 제거가 우수하여 가장 선명하고, 가장 색감이 우수한 뛰어난 사진을 제공함으로써, 많은 사람들에게 보다 우수한 이미지 컨텐츠의 제공이 가능한 것은 자명한 것으로, 다양한 이미지가 적용되는 산업분야에 적용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패치접착단계에 의해 흰색의 패치를 접착한 후, 9단계의 계조영역을 인쇄하지 않고, 판상의 합성수지재 상하부면에 흰색과 9단계의 계조영역을 직접인쇄하여도 동일한 범주안에 든다 할 것이며, 당해업자라면 본 발명을 토대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인 것은 자명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그와 같은 변형은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진보정용 광학파라미터 조정카드의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진보정용 광학파라미터 조정카드의 제조방법에 의해 상부면에 9단계 계조영역을 표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진보정용 광학파라미터 조정카드의 제조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진보정용 광학파라미터 조정카드의 제조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카드 부분을 표시한 저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 : 흰색의 패치인쇄지
100 : 9단계 계조영역 110 : 제1랜덤계조패치
120 : 기준계조패치 130 : 제2랜덤계조패치
200 : 제1자동보정표시 인식부 300 : 제2자동보정표시 인식부
S100 : 패치접착단계 S200 : 재단단계
S300 : 패치영역 인쇄단계 S400 : 제1자동인식부 인쇄단계
S500 : 그레이영역 인쇄단계 S600 : 제2자동인식부 인쇄단계

Claims (5)

  1. 판상의 합성수지재 상하부면에 흰색의 패치인쇄지(1)를 압압접착하여 접착된 전체색상이 흰색을 나타내도록 형성하는 패치접착단계(S100)와; 상기 패치접착단계를 통해 마련된 상기 판상의 합성수지재를 직사각형상의 카드(MK-Card)로 재단하는 재단단계(S200)와; 상기 재단단계를 거쳐 형성된 흰색 바탕의 카드 상부면에 엘에이비 컬러(Lab color)와 알지비 컬러(RGB color)를 9단계 계조영역(100)로 형성한 사각의 바둑판배치의 패치영역 인쇄단계(S300)와; 상기 패치영역 인쇄단계를 통해 사각의 바둑판배치의 9단계 4각의 각부 꼭지점 외측에 "ㄱ"자 형상으로 제1자동보정표시 인식부(200)를 인쇄하는 제1자동인식부 인쇄단계(S4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패치영역 인쇄단계(S300)의 9단계 계조영역(100)은 정사각형을 3행 3열로 Lab color 0~100 사이의 값을 가지도록 형성하여 촬영 및 사진의 색상을 분석하고, 컬러 밸런스를 조정하기위해 형성되되,
    상기 패치인쇄지(1)는 백색의 Lab color인 100의 Lab color를 가지고,
    상부의 1행 3열의 중앙은 백색의 Lab color인 100에 가까운 80의 Lab color를 가지고, 좌우측은 검정색의 Lab color인 0측에 가까운 9의 Lab color와 30의 Lab color를 가지도록 구비되는 제1랜덤계조패치(110)와; 중앙의 2행 3열은 Lab color 0~100 중 중간값 50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10이 감소하고, 우측으로 10이 증가하는 기준계조패치(120)와; 하부의 3행 3열은 중앙은 검정색의 Lab color인 0에 가까운 19의 Lab color를 가지고, 좌우측은 백색의 Lab color인 100측에 가까운 70의 Lab color와 90의 Lab color를 가지도록 구비되는 제2랜덤계조패치(13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보정용 광학파라미터 조정카드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90127551A 2009-12-18 2009-12-18 사진보정용 광학파라미터 조정카드의 제조방법 KR101242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551A KR101242216B1 (ko) 2009-12-18 2009-12-18 사진보정용 광학파라미터 조정카드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551A KR101242216B1 (ko) 2009-12-18 2009-12-18 사진보정용 광학파라미터 조정카드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0640A KR20110070640A (ko) 2011-06-24
KR101242216B1 true KR101242216B1 (ko) 2013-03-19

Family

ID=44402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7551A KR101242216B1 (ko) 2009-12-18 2009-12-18 사진보정용 광학파라미터 조정카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221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164A (ja) * 1995-04-14 1997-01-10 Kiyoshi Matsuo 画像記録用カラーチャート及び色補正方法
JP2003525427A (ja) * 1999-09-23 2003-08-26 キューペー・カード・アクチボラゲット 基準照合カード
KR100616521B1 (ko) * 2006-05-10 2006-08-28 김현주 카메라의 광학 파라미터 조정용 그레이 카드
JP2008072337A (ja) * 2006-09-13 2008-03-27 Nippon Hoso Kyokai <Nhk> 色補正装置及び色補正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164A (ja) * 1995-04-14 1997-01-10 Kiyoshi Matsuo 画像記録用カラーチャート及び色補正方法
JP2003525427A (ja) * 1999-09-23 2003-08-26 キューペー・カード・アクチボラゲット 基準照合カード
KR100616521B1 (ko) * 2006-05-10 2006-08-28 김현주 카메라의 광학 파라미터 조정용 그레이 카드
JP2008072337A (ja) * 2006-09-13 2008-03-27 Nippon Hoso Kyokai <Nhk> 色補正装置及び色補正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0640A (ko) 2011-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30566B2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enabling faithful reproduction of appearance and further preferred color reproduction of appearance, image output device and digital camera using the same,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KR101243335B1 (ko) 화상처리장치 및 방법, 프로그램 및 촬상장치
EP1139653A2 (en) Color image reproduction of scenes with preferential color mapping
US20030007076A1 (en) Image-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quality control method
WO2004032524A1 (ja) 画像処理装置
JP2006121612A (ja) 撮像装置
US8040412B2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e data correcting method
JP2008052428A (ja) 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プログラム、撮像装置
US20050046703A1 (en) Color calibration in photographic devices
WO2022253014A1 (zh) 水下图像色彩还原方法和装置
US2018002547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and storage medium
CN101444083B (zh) 针对数字图像上相对照度现象的处理方法和相关处理系统
JP7156302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2007202128A (ja) 撮像装置および画像データ補正方法
JP2509624B2 (ja) カラ−スライドのプリント方法
KR101242216B1 (ko) 사진보정용 광학파라미터 조정카드의 제조방법
KR101242215B1 (ko) 사진보정용 광학파라미터 조정카드
TWI313362B (en) Image capturing device and its image adjusting method
JP2004088408A (ja) デジタルカメラ
JP5752993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08228185A (ja) 撮像装置
Brown Color processing for digital cameras
JP2006295774A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デジタルカメラ用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4034027B2 (ja) 機種色特性プロファイル作成方法
Wueller Proposal for a standard procedure to test mobile phone camer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