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2082B1 - 수하물 고속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수하물 고속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2082B1
KR101242082B1 KR1020100067986A KR20100067986A KR101242082B1 KR 101242082 B1 KR101242082 B1 KR 101242082B1 KR 1020100067986 A KR1020100067986 A KR 1020100067986A KR 20100067986 A KR20100067986 A KR 20100067986A KR 101242082 B1 KR101242082 B1 KR 101242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gage
transfer
unit
sensor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7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7291A (ko
Inventor
최의식
김승호
김효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to KR1020100067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2082B1/ko
Publication of KR20120007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2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208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Control Of Conveyor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하물을 저속 이송부에서 고속 이송부의 터브로 안전하게 적재하고, 적재되는 수하물 정보를 저속 이송부 측에서 고속 이송부 측으로 전송하여 정확하고 빠른 수하물 이송이 가능한 수하물 고속 이송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 고속 이송 장치는, 식별코드가 부착된 수하물을 이송하기 위한 수하물 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하물을 제1 위치로 이송하는 제1 이송부; 상기 제1 이송부 상에서 상기 수하물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제1 센서부; 상기 수하물을 적재하기 위한 이송용기;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와 다른 높이를 갖는 제2 위치로 낙하된 상기 수하물이 적재되는 상기 이송용기를 제3 위치로 이송하는 제2 이송부; 및 상기 제2 이송부 상에서 상기 이송용기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제2 센서부를 포함하고, 제2 이송부는 상기 제1 센서부의 검출신호 또는 상기 제2 센서부의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구동될 수 있다.

Description

수하물 고속 이송 장치{DEVICE FOR TRANSFERRING BAGGAGE AT HIGH SPEED}
본 발명은 수하물 고속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공항 등에서 수하물을 고속으로 이송하기 위한 수하물 고속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는 항공 교통수단의 발달로 전 세계가 1일 생활권에 들게 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항공기를 이용하고 있다.
항공기를 이용해서 해외로 출국하기 위해서는 공항에서 출국절차를 밟은 후, 일정무게 또는 일정크기 이상의 수하물에 소유자, 항공편 등이 기록된 바코드를 부착하고 항공기의 화물칸에 탑재함으로써 소유자와 함께 목적지로 향하게 된다.
수하물은 공항의 지하에 위치하는 수하물 이송 시스템에 의하여 항공기에 탑재되는데, 수하물 이송 시스템은 거미줄 같이 매우 복잡한 경로로 구성되어 있다. 지상에서 로딩되는 수하물은 컨베이어 벨트 등과 같은 이송 장치에 의해 이송되며, 이송 과정에서 수하물의 목적지에 따라 분류되어 이송되며, 이송을 마친 수하물은 항공기에 탑재되거나, 또는 반대로 항공기에서 하역된 수하물은 수하물 이송 시스템을 통하여 소유자가 회수할 수 있도록 수하물 회수 장소로 이송된다.
수하물은 인력에 의하여 수하물 이송 시스템에 로딩되거나 언로딩되는데, 수하물의 로딩 및 언로딩은 항공사 데스크 등과 같은 곳이 위치하는 지상에서 이루어지고, 이송은 지하에서 이루어지므로 수하물이 지상으로부터 지하로 이송되거나 지하로부터 지상으로 이송되는 과정이 필연적으로 수반된다. 이 과정은 일반적으로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이루어지며,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수하물이 이송된다.
수하물 이송 과정은 매우 복잡하며, 동시에 많은 항공기에 적재되거나, 또는 많은 항공기로부터 하역되는 수하물이 발생하는 경우에 수하물 이송 지연으로 인한 항공기 출발 지연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 과정에서 수하물을 고속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면 수하물의 빠른 처리가 가능할 것이다. 하지만, 각각의 컨베이어 벨트는 수하물을 적재 또는 하역하기 위하여 정지와 구동을 반복하고, 각각의 수하물을 서로 다른 목적지로 분류하여 이송하기 위하여 다른 컨베이어 벨트로 옮겨 실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고려하지 않고 고속으로 이송하는 경우 추락으로 인해 수하물이 파손되기 쉽다.
나아가, 동일 속력으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벨트에서는 시간 경과에 따라 수하물이 도달한 지점을 계산하기가 대체적으로 수월하나, 서로 속력이 상이한 제1 컨베이어 벨트에서 제2 컨베이어 벨트로 수하물을 전환하여 이송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직접 수하물 정보를 확인하지 않고는 수하물의 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할 방법이 없어 수하물의 처리가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수하물을 저속 이송부에서 고속 이송부의 터브로 정확하고 빠르게 적재할 수 있는 수하물 고속 이송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재되는 수하물 정보를 저속 이송부 측에서 고속 이송부 측으로 신속히 전송하여 수하물을 목적지로 정확히 이송하고, 수하물 처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수하물 고속 이송 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 고속 이송 장치는, 식별코드가 부착된 수하물을 이송하기 위한 수하물 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하물을 제1 위치로 이송하는 제1 이송부; 상기 제1 이송부 상에서 상기 수하물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제1 센서부; 상기 수하물을 적재하기 위한 이송용기;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와 다른 높이를 갖는 제2 위치로 낙하된 상기 수하물이 적재되는 상기 이송용기를 제3 위치로 이송하는 제2 이송부; 및 상기 제2 이송부 상에서 상기 이송용기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제2 센서부를 포함하고, 제2 이송부는 상기 제1 센서부의 검출신호 또는 상기 제2 센서부의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구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이송부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식별코드를 독출하기 위한 수하물 식별부; 상기 이송용기의 일측에 부착되어 상기 이송용기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식별 태그; 및 상기 제2 이송부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식별 태그의 식별 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수하물 식별부로부터 독출되는 상기 식별코드를 상기 식별 태그에 전송하기 위한 리드/라이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이송부, 상기 제2 이송부의 구동을 제어하고, 수신된 상기 식별코드를 상기 리드/라이트부에 전송하기 위한 중앙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센서부는, 상기 제1 이송부의 수하물 진입 지점에 배치되고, 상기 수하물을 감지하여 진입 신호를 발생시키는 진입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이송부는, 복수의 이송벨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진입 신호, 및 상기 이송벨트의 회전 이동 거리에 의해 상기 수하물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이송부는, 제 1 내지 제3 이송벨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센서부는, 상기 제3 이송벨트에 배치되어 상기 수하물을 감지하면 이송용기 이동 시작 신호를 발생시키는 이송용기 작동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이송용기 이동 시작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2 이송부의 구동을 시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센서부는, 상기 제1 이송벨트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하물의 감지에 따라 제1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제1 구간 센서; 및 상기 제1 구간 센서와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상기 제2 이송벨트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수하물의 감지에 따라 제2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제2 구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ㅇ있고,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제1 감지 신호의 수신 후 상기 제2 감지 신호의 수신 시까지 상기 수하물이 하나인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센서부는, 상기 제2 이송부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이송용기의 감지에 따라 제1 감속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 감속 센서; 및 상기 제2 이송부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감속 센서를 통과한 상기 이송용기의 감지에 따라 정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정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제1 감속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이송용기의 이송 속력을 감속시키고, 상기 정지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이송용기를 정지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센서부는, 상기 제3 이송벨트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수하물이 감지되면 제2 감속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 감속 센서를 더 포ㅎ함할 수 있고, 상기 제3 이송벨트는 상기 수하물이 낙하하는 단부가 소정 각도를 가지고 하측으로 기울어지며,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제2 감속 신호의 수신시 상기 제3 이송벨트의 구동 속력을 감속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센서부는, 상기 제2 이송벨트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수하물이 감지되면 조건 신호를 발생시키는 조건 센서; 및 상기 제3 이송벨트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3 이송벨트의 구동여부를 감지하여 구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구동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중앙 제어부가 상기 조건 신호와 상기 구동 신호, 또는 상기 조건 신호와 상기 정지 신호의 유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이송벨트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별 태그와 상기 (무선) 리드/라이트부는 RFID 방식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이송부의 양측부와 각각 소정 간격을 가지고 배치되고, 상기 이송용기로부터 추락하는 상기 수하물을 감지하기 위한 한 쌍의 적재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이송부의 이송 속력과 상기 제2 이송부의 이송 속력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이송부의 이송 방향과 상기 제2 이송부의 이송 방향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 고속 이송 장치는, 수하물을 저속 이송부에서 고속 이송부의 터브로 정확하고 빠르게 적재할 수 있으므로, 수하물 낙하로 인한 파손, 및 이의 처리를 위한 시간 지연을 방지할 수 있고, 수하물을 고속으로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적재되는 수하물 정보를 저속 이송부 측에서 고속 이송부 측으로 신속히 전송할 수 있으므로, 수하물을 목적지로 정확히 이송하고, 수하물 처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하물 고속 이송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하물 고속 이송 장치의 수하물 식별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하물 고속 이송 장치의 저속 이송부, 및 고속 이송부를 간략하게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하물 고속 이송 장치의 저속 이송부, 및 고속 이송부의 구동 제어를 간략하게 나타내는 도면,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하물 고속 이송 장치의 무선 리드/라이트부, 및 무선 태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하물 고속 이송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하물 고속 이송 장치의 수하물 식별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하물 고속 이송 장치의 저속 이송부, 및 고속 이송부를 간략하게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하물 고속 이송 장치의 저속 이송부, 및 고속 이송부의 구동 제어를 간략하게 나타내는 도면,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하물 고속 이송 장치의 무선 리드/라이트부, 및 무선 태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하물 고속이송 장치는 저속 이송부(100), 고속 이송부(200), 터브(Tub)(210), 수하물 식별부(300), 및 무선 리드(Read)/라이트(Write)부(2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무선 리드/라이트부(230)는 고속 이송부(200)의 가드레일(미도시) 내측면에 설치된다.
저속 이송부(10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복수의 컨베이어 벨트가 일렬로 구성되어 컨베이어 벨트 상에 수하물(10)을 적재하여 이송한다. 고속 이송부(200)는 수하물(10)이 적재된 터브(210)를 이송하는 것으로(도3 참조),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복수의 이송 벨트가 일렬로 구성된다. 터브(210)는 고속 이송부(200) 상에서 고속으로 이송될 수 있으며, 도 1, 및 도 3과 같이 수하물(10)이 저속 이송부(100)(A3)의 단부로부터 고속 이송부(200)의 터브(210)로 낙하하여 적재될 수 있도록 저속 이송부(100)(A3)의 단부는 고속 이송부(200) 수직상방에 위치한다. 즉, 수하물(10)이 터브(210)로 안전하게 낙하할 수 있도록 적어도 저속 이송부(100)(A3)의 단부는 수하물(10)이 낙하할 터브(210)의 수직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A1, A2, 및 A3의 저속 이송부(100), 그리고 B1, B2, 및 B3의 고속 이송부(200)만 도시하였으나, 더욱 많은 개수로 구성될 수 있다.
수하물(10)에는 수하물(10)의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코드가 부착된다. 수하물 식별부(300)는 프레임(310), 및 복수의 스캐너(320)를 포함하고, 저속 이송부(100)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어 저속 이송부(100)를 지나는 수하물(10)에 부착된 식별코드를 독출한다. 한편, 수하물(10)에 부착되는 식별코드는 수하물(10)의 적재 상태에 따라 독출 영역이 다양한 바(수하물(10)이 서 있거나, 누워 있거나, 측면으로 누워있는 경우 등), 프레임(310)의 전후좌우에 복수의 스캐너(320)가 구비되어 수하물(10)에 부착된 식별코드의 위치와 무관하게 식별코드를 독출할 수 있다.
터브(210)는 수하물(10)을 적재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바구니 형상으로서, 일측에 무선 태그(220)가 부착된다. 무선 리드/라이트부(230)는 무선 태그(220) 정보를 독출하거나 무선 태그(220)에 식별코드를 쓰기 위한 것으로, 고속 이송부(200)의 근방에 배치되어 무선 태그(220)와 무선으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여기서, 무선 리드/라이트부(230)는 고속 이송부(200)의 가드레일(미도시) 내측면에 설치되나, 무선 태그(220)와 무선으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범위 내의 어느 위치라도 설치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수하물(10)의 식별코드는 바코드일 수 있고, 무선 태그(220)는 RFID, 및 무선 리드/라이트부(230)는 RFID로 구현 가능하다.
이송되는 수하물(10), 및 터브(210)는 복수의 센서(400a~400g)에 의하여 감지될 수 있는데, 복수의 센서(400)는 제1 및 제2 구간 센서(400b, 400b'), 조건 센서(400a), 확인 센서(400c), 터브 작동 센서(400d), 터브 적재 센서(400e), 제1 감속 센서(400f), 정지 센서(400g), 및 제2 감속 센서(400h)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중앙 제어부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를 가지고, 센서(40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저속 이송부(100), 고속 이송부(200)를 정지, 및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무선 리드/라이트부(230)로부터 무선 태그(220) 정보를 수신하고, 수하물 식별부(300)로부터 전송되는 식별코드를 무선 리드/라이트부(230)로 전송할 수 있다.
한 개의 터브(210)에는 한 개의 수하물(10)이 적재되어야 하며, 이웃하는 수하물(10)과 수하물(10) 사이의 거리가 운전자가 설정한 범위보다 가까운 경우에 두 개 이상의 수하물(10)이 동시에 터브(210)로 낙하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1 구간 센서(400b), 제2 구간 센서(400b'), 및 확인 센서(400c)는 이웃하는 수하물(10)이 설정 범위 이상의 간격을 가지고 이송되는지의 여부를 하기와 같이 감지한다. 즉, 수하물(10)은 제1 구간 센서(400b) 위치를 통과하고, 제2 구간 센서(400b')에 도달하게 되는데, 수하물(10)이 제2 구간 센서(400b')에 도달하기 전까지 중앙 제어부는 a 구간에 수하물(10)이 하나인 것으로 가정한다. a 구간의 수하물(10)이 저속 이송부(100)(A2)에 완전히 진입하면, 중앙 제어부는 수하물(10) 이송이 종료된 저속 이송부(100)(A1)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저속 이송부(100)(A1)의 수하물(10) 이송 종료 및 저속 이송부(100)(A2)로의 수하물(10) 진입 완료는, 제1 구간 센서(400b) 그리고, 제1 구간 센서(400b)로부터 저속 이송부(100)(A1)의 우측단(위치표시)까지의 길이(b)에 의해 감지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제1 구간 센서(400b)로부터 저속 이송부(100)(A1)의 우측단(위치표시)까지의 길이(b)는 알려진 것이므로, 수하물(10)이 제1 구간 센서(400b)를 완전히 통과한 후 저속 이송부(100)(A1)의 구동 거리를 통하여 수하물(10)의 이송 종료를 알 수 있고, 저속 이송부(100)(A1)에서 이송 종료된 수하물은 저속 이송부(100)(A2)에 완전히 진입한 것으로 간주한다.
여기서, 저속 이송부(100)(A1)의 구동 거리는 저속 이송부(100)(A1)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에 설치된 엔코더를 이용하여 구동 모터의 회전수를 검출함으로써 계산 가능하다. 또한, 저속 이송부(100)(A1)는 수하물(10)이 제2 구간 센서(400b’), 또는 조건 센서(400a)를 통과할 때 재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수하물(10)이 a 구간에서 이송되는 동안에 후행하여 따라오는 수하물(10)은 저속 이송부(100)(A1)에서 정지되어 있다가 일정 간격을 가지고 이송을 재시작할 수 있으므로 이웃하는 수하물(10) 사이의 거리를 소정 간격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저속 이송부(100)(A2)는 상시 구동할 수도 있지만,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평시에 정지된 상태에서 대기하다가 제1 구간 센서(400b)에 수하물(10)이 감지되면 작동을 시작하고, 수하물(10)이 저속 이송부(100)(A2)를 완전히 통과한 후 정지될 수 있다. 수하물(10)의 저속 이송부(100)(A2) 통과 완료는, 저속 이송부(100)(A1)의 수하물(10) 이송 종료 감지 방법과 마찬가지로 제2 구간 센서(400b’) 및 제2 구간 센서(400b’)로부터 저속 이송부(100)(A2)의 우측단까지의 길이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구간 센서(400b’)의 단부에 별도의 감지 센서를 배치하거나, 감속 센서(400h)를 이용하여 수하물(10)이 저속 이송부(100)(A2)를 완전히 통과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확인 센서(400c)는 수하물(10)이 a 구간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즉, 확인 센서(400c)는 제1 구간 센서(400b), 및 제2 구간 센서(400b')와 함께 수하물(10)을 중복 감지함으로써 a 구간에서의 수하물(10) 이송 여부를 더욱 확실하게 알 수 있다.
제1 감속 센서(400f-본 발명에서는 모두 설치되는 것으로 되어있습니다.)는 고속으로 이동하는 터브(210)의 이송 속력을 줄이기 위한 센서로서, 제1 감속 센서(400f)에 터브(210)가 감지되면, 중앙 제어부는 고속 이송부(200)(B2)의 구동 속력을 저하시켜 터브(210)의 이송 속력을 감소시키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터브(210)는 0.4m/s까지 감속되어 이송된다.
정지 센서(400g)는 이동 중인 터브(210)를 정지시키기 위한 센서로서, 정지 센서(400g)에 터브(210)가 감지되면, 중앙 제어부는 고속 이송부(200)(B2)의 구동을 정지시켜 터브(210)를 정지시킨다. 고속 이송부(200)(B2) 뿐만 아니라 고속 이송부(200)(B1)에도 터브(210)와 함께 존재하는 경우에는 고속 이송부(200)(B1)의 터브(210) 또한 함께 정지한다.
고속 이송부(200)는 전체적으로 모든 구간에서 저속 이송(100)에 비하여 고속으로 이송되며, 일단 수하물(10)이 적재된 후 세팅된 고속의 속도로 이송된다. 빈 터브(210)가 소정의 속도 -예를 들어 3m/s로 가정함-로 이동하다가 고속 이동부(200)(B2)에서 멈추어 수하물(10)이 적재된 후 다시 3m/s의 속도로 이송되며, 일정 구간이 지난 후 직선 구간에서는 예를 들어 약 10m/s의 속도로 이송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장치가 설치된 장소, 곡선 구간 등의 제약이 있는 경우이며, 이와 같은 제약이 없다면, 터브(210)에 수하물(10)이 실린 후 바로 예를 들어 10m/s의 속도로 이송될 수 있다.
터브 적재 센서(400e)는 고속 이송부(200)(B2) 상의 터브(210)에 수하물(10)이 정상적으로 적재되는지의 여부를 감지한다. 수하물(10)이 터브(210)로 낙하하여 적재되는 경우에, 수하물(10)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특히 탄성이 높은 수하물(10)이 적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하물(10)은 경우에 터브(210)에 정확히 낙하하더라도 터브(210) 외측으로 튕겨 나오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터브 적재 센서(400e)는 수직 하방으로 터브(210) 양 측면의 외측을 센싱하고, 터브(210)로부터 바닥으로 이탈하는 수하물(10)이 감지되면 중앙 제어부는 수하물(10)이 추락한 것으로 간주한다.
제2 감속 센서(400h)는 저속 이송부(100)(A3)의 일측에 위치하여 수하물(10)이 감지되면, 중앙 제어부는 저속 이송부(100)(A3)의 속력을 감속시킨다. 도 4에 도시된 저속 이송부(100)(A3)의 우측부는 수하물(10)의 낙하를 위하여 소정 각도로 기울어져 있는데, 이는 수하물(10)이 터브(210)를 향하여 기울어 낙하함으로써 터브(210)에 부드럽게 적재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저속 이송부(100)(A3)의 우측부의 기울기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약 10° 내지 30°일 수 있으나, 수하물(10) 이송 속력 및 터브(210)의 이송 속력 등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송되던 속력과 동일한 속력으로 수하물(10)이 낙하하는 경우에, 수하물(10)은 과도한 속력으로 인하여 터브(210)로부터 튕겨나와 추락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감속 센서(400h)를 이용하여 저속 이송부(100)(A3)의 속력을 조절함으로써 수하물(10)을 터브(210)에 안전하게 적재할 수 있다. 저속 이송부(100)(A3)는 항상 동작되도록 할 수도 있고, 전력 소모 감소를 위하여 수하물(10)을 건네받고 일정시간 후에 멈추도록 하거나 수하물(10)을 건네 받은 후의 저속 이송부(100)(A3) 회전 수를 계산하여 멈추게 하는 등 다양하게 세팅될 수 있다. 또한, 저속 이송부(100)(A3)는 센서(400a ~ 400c)중의 하나를 택하여 수하물(10) 신호에 대응해 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 즉, 저속 이송부(100)(A3)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다양한 경우의 수에 따라 임의로 세팅할 수 있다.
한편, 저속 이송부(100)(A3)의 단부에 위치하는 터브 작동 센서(400d)가, 수하물(10)을 감지하면, 중앙 제어부는 고속 이송부(200)를 구동시키고, 이에 따라 저속 이송부(100)(A3)의 단부 하방에서 정지 상태에 있던 터브(210)는 이동하기 시작한다. 터브(210)가 고속 이송부(200)(B2)로부터 이송된 후 이웃하는 후속 터브(210)가 고속 이송부(200)(B2)로 이송되어 감속 및 정지되어 대기한다. 수하물(10)은 소정의 속력으로 터브(210)에 낙하하기 때문에 터브(210)가 정지되어 있는 경우, 터브(210)로부터 튕겨나와 추락할 수 있다. 따라서, 터브(210)는 수하물(10)의 낙하 속력에 상응하여 이동 중인 것이 바람직하고, 수하물(10)은 저속 이송부(100)(A3)로부터 낙하하여, 이동을 시작한 터브(210)에 안전하게 적재될 수 있다. 수하물(10)이 적재된 터브(210)가 이동한 후, 고속 이송부(200)(B1)에 정지해 있던 터브(210)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고속 이송부(200)(B1) 이전의 이송 벨트로부터 이송되는 터브(210)가 이동하여 고속 이송부(200)(B2)에서 정지 및 대기한다.
조건 센서(400a)는 감지되는 수하물(10)이 고속 이송부(200)(B2)에 적재되기 적합한 상태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중앙 제어부에서 수하물(10)의 적재 가능 여부를 판단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 고속 이송 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수하물(10)은 저속 이송부(100)로 이송되는 도중, 수하물 식별부(300)를 통과하게 되는데, 수하물 식별부(300)는 수하물(10)에 부착되는 식별코드를 독출하여 중앙 제어부로 전송하며, 중앙 제어부는 전송된 식별코드를 수하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수하물(10)은 터브(210)에 적재될 때까지 저속 이송부(100) 상에서 위치 추적되고, 후술된 바와 같이 각각의 컨베이어 벨트에 의한 이송 거리, 및 각각의 컨베이어 벨트의 수하물(10) 진입 지점에 배치되는 진입 센서에 의해 추적 가능하다.
즉, 저속 이송부는 다양한 길이를 가지는 복수의 컨베이어 벨트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각각의 컨베이어 벨트의 길이는 알려진 것이다. 따라서, 중앙 제어부는 컨베이어 벨트의 회전 이동 거리를 컨베이어 벨트 상의 수하물(10) 이동 거리로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컨베이어 벨트의 회전 이동 거리는 엔코더가 부착된 컨베이어 벨트 구동 모터의 회전수에 의해 구해질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각각의 컨베이어 벨트의 수하물(10) 진입 지점에는 진입 센서가 배치되어 수하물(10)이 컨베이어 벨트로 진입하는 것을 감지한다.
따라서, 중앙 제어부는 진입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진입 검출신호를 이용하여 수하물(10)이 컨베이어 벨트로 진입하는 것을 감지하고, 컨베이어 벨트의 회전 이동 거리를 이용하여 컨베이어 벨트로 진입한 수하물(10)의 위치를 추적한다. 컨베이어 벨트의 연결지점에 도달한 수하물(10)은 이웃하는 컨베이어 벨트로 이송되고, 마찬가지로 진입 센서는 수하물(10)의 진입을 감지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중앙 제어부는 진입 센서와 컨베이어 벨트의 회전 이동 거리에 의해 수하물(10)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추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컨베이어 벨트에서 이웃하는 컨베이어 벨트로 수하물(10)이 건네지는 수하물(10) 퇴출 지점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퇴출 센서가 더 배치되어 수하물(10)의 퇴출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중앙 제어부는 컨베이어 벨트로의 수하물(10) 진입, 및 퇴출을 모두 감지함으로써 수하물(10)의 위치를 더욱 확실하게 추적할 수 있다.
저속 이송부(100)(A1)에 도달한 수하물(10)은 제1, 및 제2 구간 센서(400b, 400b')의 사이(a)를 지나고, 이웃하는 수하물(10) 사이의 간격이 소정 거리 이상으로 유지된다. 또한, 확인 센서(400c)는 a 구간의 수하물(10) 존재를 감지하고, 제1 구간 센서(400b), 제2 구간 센서(400b'), 및 확인 센서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중앙 제어부는 a 구간에 수하물(10)이 존재하는 것으로 인식한다.
이때, 고속 이송부(200)(B2)에서 고속으로 이동하는 터브(210)는 제1 감속 센서(400f)를 통과하는 순간, 속력이 감속되고, 정지 센서(400g)에서 정지한다. 여기서, 무선 리드/라이트부(230)는 터브(210)에 무착되는 무선 태그(220) 정보를 독출하여 전송하고, 중앙 제어부는 무선 태그(220) 정보를 수신한다.
수하물(10)이 조건 센서(400a)에 도달하면, 중앙 제어부는 수하물(10)의 터브(210) 적재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즉, 다음의 경우에 비정상 적재로 판단할 수 있는 바, 예컨대, 1)터브(210)가 고속 이송부(200)(B2)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 또는 2)저속 이송부(100)(A3)가 구동하지 않는 경우 비정상으로 판단하며, 저속 이송부(100)(A3)의 구동 여부는 저속 이송부(100)(A3) 일측에 배치되는 센서(미도시)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비정상으로 판단한 경우에 중앙 제어부는 저속 이송부(100)(A2, A1)의 동작을 멈추어 수하물(10)을 정지시킨다. 여기서, 정지 센서(400g)에 의해 고속 이송부(200)(B2) 상의 터브(210) 존재 여부가 감지되고, 저속 이송부(100)(A3)에 배치되는 구동 센서(미도시)에 의해 저속 이송부(100)(A3)의 구동이 감지된다.
상기와 같이 수하물(10)이 비정상으로 정지된 경우, 관리자는 장애가 있는 수하물(10)을 제거하거나 올바른 위치에 적재하며, 비정상으로 판단되는 센서(400)의 정보를 초기화시키고 수하물(10)을 다시 적재한다.
이와 달리, 수하물(10)의 터브(210) 적재가 가능한 경우에, 수하물(10)은 조건 센서(400a)를 지나 계속 이동된다. 수하물이 제2 감속 센서(400h)에 도달하면, 중앙 제어부는 저속 이송부(100)(A3)의 속력을 감속시킨다. 수하물(10)이 터브 작동 센서(400d)에 도달하면, 중앙 제어부는 고속 이송부(200)(B2)에 정지되어 있던 빈 터브(210)의 이송을 시작하고, 수하물(10)은 이송이 시작된 터브(210)에 낙하하여 적재된다. 수하물(10)이 적재될 때, 터브 적재 센서(400e)는 터브(210)로부터의 수하물(10) 추락 여부를 확인하고, 수하물(10)이 추락된 경우에, 중앙 제어부는 터브(210)의 이동을 정지시킨다.
중앙 제어부는 수하물(10)의 식별코드를, 수하물(10)이 적재되는 터브(210)에 부착된 무선 태그(220)에 라이트(Write)할 수 있다. 또한, 중앙 제어부는 무선 리드/라이트부(230)를 통하여 터브(210)의 무선 태그(220) 정보를 독출, 및 저장할 수 있으며, 식별코드가 부착된 수하물(10)을, 무선 태그(220) 정보가 기저장된 터브(210)에 적재할 수 있다. 더하여, 중앙 제어부는 수하물(10)의 식별코드를 수하물(10)이 적재되는 터브(210)의 무선 태그(220)에 라이트하고, 상기 정보를 중앙 제어부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코드 C를 가지는 수하물(10)이 이송되면, 중앙 제어부는 식별코드 C를 수하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수하물(10)을 추적한다. 또한, 중앙 제어부는 무선 태그(220) 정보 5를 가지는 터브(210)의 정보를 독출하여 저장한다. 식별코드 C를 가지는 수하물(10)이 무선 태그(220) 정보 5를 가지는 터브(210)에 적재되면, 중앙 제어부는 무선 리드/라이트부(230)를 통하여 식별코드 C를 무선 태그(220)에 라이트하고, 중앙 제어부는 식별코드 C와 무선 태그(220) 정보 5를 매칭시켜 수하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여기서, 무선 태그(220) 정보를 독출하고, 식별코드를 무선 태그(220)에 라이트(Write)하는 시점은 다양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태그(220) 정보의 독출, 및 식별코드의 무선 태그(220) 라이트는, 수하물(10)이 적재될 예정인 터브(210)를 대상으로 수하물(10)이 터브에 적재되기 전에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수하물(10)이 터브(210)에 적재되는 시점에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수하물(10)이 터브(210)에 적재된 후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리드/라이트부(230)를 복수로 배치하여 수하물(10)이 터브(210)에 적재되기 전에 터브(210)의 무선 태그(220) 정보를 독출하고, 수하물(10)이 터브(210)에 적재된 후에 수하물(10)의 식별코드를 터브(210)의 무선 태그(220)에 라이트할 수 있다.
공항에서의 수하물 이송 과정은 매우 복잡하며, 동시에 많은 항공기에 적재되거나, 또는 많은 항공기로부터 하역되는 수하물이 발생하는 경우에 수하물 이송 지연으로 인한 항공기 출발 지연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 과정에서 수하물을 고속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면 수하물의 빠른 처리가 가능할 것이다. 하지만, 각각의 컨베이어 벨트는 수하물을 적재 또는 하역하기 위하여 정지와 구동을 반복하고, 각각의 수하물을 서로 다른 목적지로 분류하여 이송하기 위하여 다른 컨베이어 벨트로 옮겨 실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고려하지 않고 고속으로 하는 경우에 수하물의 추락으로 인해 파손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저속의 컨베이어 벨트에서 고속의 컨베이어 벨트로 수하물을 옮기는 과정에서 각각의 수하물의 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하기 곤란하며, 이에 따라 수하물의 위치 확인이 불가능하여 수하물 분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 고속 이송 장치는, 수하물(10)을 저속 이송부(100)에서 고속 이송부(200)의 터브(210)로 정확하고 빠르게 적재할 수 있으므로, 수하물(10) 낙하로 인한 파손, 및 이의 처리를 위한 시간 지연을 방지할 수 있고, 수하물(10)을 고속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적재되는 수하물(10) 정보를 저속 이송부(100) 측에서 고속 이송부(200) 측으로 정확하고 신속하게 전송할 수 있으므로, 수하물(10)을 목적지로 정확히 이송하고, 수하물(10) 처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 수하물 100: 저속 이송부
200: 고속 이송부 210: 터브
220: 무선 태그 230: 무선 리드/라이트부
300: 수하물 식별부 310: 프레임
320: 스캐너 400a: 조건 센서
400b: 제1 구간 센서 400b’: 제2 구간 센서
400c: 확인 센서 400d: 터브 작동 센서
400e: 터브 적재 센서 400f: 제1 감속 센서
400g: 정지 센서 400h: 제2 감속 센서

Claims (13)

  1. 식별코드가 부착된 수하물을 이송하기 위한 수하물 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하물을 제1 위치로 이송하는 제1 이송부;
    상기 제1 이송부 상에서 상기 수하물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제1 센서부;
    상기 수하물을 적재하기 위한 이송용기;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와 다른 높이를 갖는 제2 위치로 낙하된 상기 수하물이 적재되는 상기 이송용기를 제3 위치로 이송하는 제2 이송부;
    상기 제2 이송부 상에서 상기 이송용기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제2 센서부;
    상기 제1 이송부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식별코드를 독출하기 위한 수하물 식별부;
    상기 이송용기의 일측에 부착되어 상기 이송용기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식별 태그; 및
    상기 제2 이송부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식별 태그의 식별 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수하물 식별부로부터 독출되는 상기 식별코드를 상기 식별 태그에 전송하기 위한 리드/라이트부를 포함하고,
    제2 이송부는 상기 제1 센서부의 검출신호 또는 상기 제2 센서부의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구동되는 수하물 고속 이송 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부, 상기 제2 이송부의 구동을 제어하고, 수신된 상기 식별코드를 상기 리드/라이트부에 전송하기 위한 중앙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수하물 고속 이송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부는, 상기 제1 이송부의 수하물 진입 지점에 배치되고, 상기 수하물을 감지하여 진입 신호를 발생시키는 진입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송부는, 복수의 이송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진입 신호, 및 상기 이송벨트의 회전 이동 거리에 의해 상기 수하물의 위치를 추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하물 고속 이송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부는, 제 1 내지 제3 이송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서부는, 상기 제3 이송벨트에 배치되어 상기 수하물을 감지하면 이송용기 이동 시작 신호를 발생시키는 이송용기 작동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이송용기 이동 시작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2 이송부의 구동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하물 고속 이송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부는, 상기 제1 이송벨트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하물의 감지에 따라 제1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제1 구간 센서; 및
    상기 제1 구간 센서와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상기 제2 이송벨트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수하물의 감지에 따라 제2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제2 구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제1 감지 신호의 수신 후 상기 제2 감지 신호의 수신 시까지 상기 수하물이 하나인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하물 고속 이송 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부는, 상기 제2 이송부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이송용기의 감지에 따라 제1 감속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 감속 센서; 및
    상기 제2 이송부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감속 센서를 통과한 상기 이송용기의 감지에 따라 정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정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제1 감속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이송용기의 이송 속력을 감속시키고, 상기 정지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이송용기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하물 고속 이송 장치.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부는, 상기 제3 이송벨트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수하물이 감지되면 제2 감속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 감속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이송벨트는 상기 수하물이 낙하하는 단부가 소정 각도를 가지고 하측으로 기울어지며,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제2 감속 신호의 수신시 상기 제3 이송벨트의 구동 속력을 감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하물 고속 이송 장치.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부는, 상기 제2 이송벨트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수하물이 감지되면 조건 신호를 발생시키는 조건 센서; 및
    상기 제3 이송벨트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3 이송벨트의 구동여부를 감지하여 구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구동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 제어부가 상기 조건 신호와 상기 구동 신호, 또는 상기 조건 신호와 상기 정지 신호의 유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이송벨트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하물 고속 이송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태그와 상기 (무선) 리드/라이트부는 RFID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하물 고속 이송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송부의 양측부와 각각 소정 간격을 가지고 배치되고, 상기 이송용기로부터 추락하는 상기 수하물을 감지하기 위한 한 쌍의 적재 센서
    를 더 포함하는 수하물 고속 이송 장치.
  12.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부의 이송 속력과 상기 제2 이송부의 이송 속력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하물 고속 이송 장치.
  13.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부의 이송 방향과 상기 제2 이송부의 이송 방향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하물 고속 이송 장치.
KR1020100067986A 2010-07-14 2010-07-14 수하물 고속 이송 장치 KR101242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986A KR101242082B1 (ko) 2010-07-14 2010-07-14 수하물 고속 이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986A KR101242082B1 (ko) 2010-07-14 2010-07-14 수하물 고속 이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291A KR20120007291A (ko) 2012-01-20
KR101242082B1 true KR101242082B1 (ko) 2013-03-11

Family

ID=45612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7986A KR101242082B1 (ko) 2010-07-14 2010-07-14 수하물 고속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20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8706B1 (ko) * 2019-04-15 2019-08-09 주식회사 보우시스템 이송 컨베이어용 방향전환장치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8213A (ja) * 1983-04-21 1984-11-10 Sumitomo Metal Ind Ltd 原料輸送方法
KR19990002792U (ko) * 1997-06-30 1999-01-25 양재신 저속컨베이어에서 고속컨베이어로 이재시의 고속컨베이어 속도조절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8213A (ja) * 1983-04-21 1984-11-10 Sumitomo Metal Ind Ltd 原料輸送方法
KR19990002792U (ko) * 1997-06-30 1999-01-25 양재신 저속컨베이어에서 고속컨베이어로 이재시의 고속컨베이어 속도조절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8706B1 (ko) * 2019-04-15 2019-08-09 주식회사 보우시스템 이송 컨베이어용 방향전환장치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291A (ko) 2012-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18071B2 (ja) 物品の分類及び仕分けシステム
TWI702178B (zh) 物品搬送設備
JP7292447B2 (ja) 動的に構成可能な仕分け列構造体を用いてアイテムを自動及び手動で仕分ける方法
JP2020529303A5 (ko)
JP4296601B2 (ja) 搬送台車システム
CN107697533B (zh) 一种传输系统及方法
KR20130084597A (ko) 운송 컨테이너를 보관 및 운반하는 시스템
CN106715235A (zh) 用于传输散装材料的改进轨道运输系统的控制系统
US20180148271A1 (en) Conveyor system comprising an aligner for aligning items
TWI740999B (zh) 物品搬送設備
CN108838094B (zh) 一种交叉带式物流分拣方法
KR101242082B1 (ko) 수하물 고속 이송 장치
WO2019192327A1 (zh) 集装箱检查系统、转运方法及港口设施
CN106081549A (zh) 移动分拣设备
KR101190209B1 (ko) 수하물 수직 이송 장치 및 방법
CN212284929U (zh) 一种物流分拣台
CN108993905A (zh) 一种分拣系统及分拣方法
JP5895793B2 (ja) 仕分け方法および仕分け設備
CN110841923A (zh) 防跟包动态称上包控制方法、系统及防异形件误触发dws的交叉带上包线
JP4895079B2 (ja) 天井走行車システム
CN211678805U (zh) 防异形件误触发dws的交叉带上包线
JP2010275107A (ja) 物品仕分け装置及び仕分け物品管理システム
JP5874579B2 (ja) 物品搬送設備及びそれを備えたピッキング設備
JP2021107260A (ja) 物品仕分システム
JP7005387B2 (ja) 機械式格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