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1767B1 - 파종기의 종자 배출량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파종기의 종자 배출량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1767B1
KR101241767B1 KR1020120088926A KR20120088926A KR101241767B1 KR 101241767 B1 KR101241767 B1 KR 101241767B1 KR 1020120088926 A KR1020120088926 A KR 1020120088926A KR 20120088926 A KR20120088926 A KR 20120088926A KR 101241767 B1 KR101241767 B1 KR 101241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
opening
control device
discharg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8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식
Original Assignee
지금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금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금강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8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17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1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1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12Seeders with feeding wheels
    • A01C7/121Seeders with feeding wheels for sowing seeds of different siz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49/00Combined machines
    • A01B49/04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 A01B49/06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for sowing or fertilis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9/00Arrangements for driving working parts of fertilisers or seeders
    • A01C19/04Arrangements for driving working parts of fertilisers or seeders by a ground-engaging whee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6Seeders combined with fertilising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Abstract

파종기의 종자 배출량 조절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파종기의 종자 배출량 조절 장치는 저장조 수용공간의 배출구에 대향하여 개폐 가능한 상단 개구가 마련되고, 상기 상단 개구에 수직 하방으로 연통하여 하단 개구가 마련되며, 상기 연통된 방향을 교차하여 수평 방향으로 축 삽입공을 구비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축 삽입공을 통해 중심축이 연결되는 동시에 연결되는 동시에 외부로부터 회전력을 도입 받아 회전하며,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종자 수용홈을 갖는 롤러부; 상기 복수의 종자 수용홈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복수의 종자 수용홈을 개폐하는 개폐 슬라이드부; 및 상기 몸체부의 외측으로 연장된 가이드 몸체를 따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일측은 사용자에 의해 당김 조작 후 회동 위치의 고정을 위한 조절 레버가 구비되며, 타측은 상기 롤러부의 중심축을 따라 상기 개폐 슬라이드를 이동시키도록 힌지 연결되는 회동 링크가 구비되는 개폐 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저장조는, 내부 수용공간이 복수 개로 분할 형성되며, 일측의 분할된 수용공간으로는 종자가 보관되고 타측의 분할된 수용공간으로는 비료가 수용되는 한편, 상기 분할된 각각의 수용공간에 대해 상기 몸체부는 개별적으로 연결 장착되어 종자 및 비료의 배출량이 동시에 조절 가능하며,
상기 롤러부의 중심축은, 길이 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을 수 있게 전동축이 삽입 체결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전동축은 트랙터의 바퀴로부터 회전력을 인가받아 설정된 속도 비로 감속된 후 회전함에 따라, 상기 롤러부의 회전은 트랙터의 주행 속도에 연동하여 조절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파종기의 종자 배출량 조절 장치{ADJUSTING QUANTITY OF SOWED SEEDS AND FERTILIZER APPARATUS IN DIRECT SEEDING MACHINE}
본 발명은 파종기의 종자 배출량 조절 장치로서, 여러 종류의 종자 별로 그 크기 및 형상에 적합하게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비료의 배출량 조절까지 동시 구현이 가능한 파종기의 종자 배출량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종은 이랑을 만들고 비료를 뿌리고서 흙을 조금 덮은 후 종자를 뿌린다. 그 다음으로 다시 흙덮기를 실시하여 파종을 마무리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왔다. 이때, 비료를 뿌린 후 흙을 조금 덮어주는 까닭은 종자가 비료에 직접적으로 접촉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화학적 피해를 줄여주기 위함이며, 마무리 작업으로서 흙덮기를 실시하는 이유는 종자의 수분 증발을 방지하고 비, 바람의 폐해로부터 종자의 생육을 유리하게 해주기 위함이다.
최근 들어서는 농촌의 인구가 급격히 감소되어 농가구당 농사를 짓는 면적은 점차 더 확대되고 있으나, 실제로 농작에 참여하고 있는 작업 연령은 점차 더 노령화 되고 있다. 따라서 적은 노동력을 투입하여 다작을 실현할 수 있는 각종 방안이 모색되고 있는데, 그 해결 방안의 하나로서 자동화된 농업 기계의 보급을 들 수 있다.
직파재배법은 씨앗을 못자리에서 키우지 않고 직접 논밭에 파종하여 수확하는 방법으로서, 현재까지 보편적인 경작 방법으로 이용되고 있는 이양재배법에 비해 묘상관리나 이식노력 등에 따르는 작업자의 수고를 덜어 줄 수 있는 신개념 작물재배법이다.
직파재배법은 직파기(또는 파종기)라 불리는 자동화 방식 농업 기계의 등장을 통해 그 활용도가 더욱 증가하게 되었다. 직파기는 트랙터나 경운기 등의 후미에 연결되어 지면상에 파종골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파종골을 따라 설정된 양의 종자를 뿌리는 장치를 말한다.
그러나 종자의 경우, 그 종류에 따라 형상 및 입경의 크기가 조금씩 차이가 있다. 또한, 종자의 종류에 따라 종자의 배출량에 조금씩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연유로, 종자의 종류마다 그 배출되는 경로(이하, '종자 배출골'이라 함)의 크기 및 형상이 장치마다 다르게 설계되어야 하나 이는 농가구의 경제적인 부담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파종해야할 종자의 크기 및 형상에 조금씩 차이가 있을 경우 또는 파종 작업 환경에 따라 종자의 배출량을 적절히 조절해 주어야 할 경우, 단일의 장치 내에서 종자 배출골의 크기를 손쉽게 조절하여 파종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시켜 줄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는 바이다. 아울러, 종자의 파종과 동시 또는 선후로 함께 배출해야 하는 비료의 배출량까지 손쉽게 조절해 줄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청되는 바이다.
본 발명은 종자의 크기 및 형상이 달라질 경우에도 사용자로 하여금 적절히 대응하여 종자의 배출량을 조절해 줄 수 있는 파종기의 종자 배출량 조절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간단한 조절 레버의 당김 및 회동 조작을 통해 종자의 배출량은 물론 비료의 배출량까지 간편하고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는 파종기의 종자 배출량 조절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조 수용공간의 배출구에 대향하여 개폐 가능한 상단 개구가 마련되고, 상기 상단 개구에 수직 하방으로 연통하여 하단 개구가 마련되며, 상기 연통된 방향을 교차하여 수평 방향으로 축 삽입공을 구비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축 삽입공을 통해 중심축이 연결되는 동시에 연결되는 동시에 외부로부터 회전력을 도입 받아 회전하며,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종자 수용홈을 갖는 롤러부;
상기 복수의 종자 수용홈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복수의 종자 수용홈을 개폐하는 개폐 슬라이드부; 및
상기 몸체부의 외측으로 연장된 가이드 몸체를 따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일측은 사용자에 의해 당김 조작 후 회동 위치의 고정을 위한 조절 레버가 구비되며, 타측은 상기 롤러부의 중심축을 따라 상기 개폐 슬라이드를 이동시키도록 힌지 연결되는 회동 링크가 구비되는 개폐 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저장조는,
내부 수용공간이 복수 개로 분할 형성되며, 일측의 분할된 수용공간으로는 종자가 보관되고 타측의 분할된 수용공간으로는 비료가 수용되는 한편, 상기 분할된 각각의 수용공간에 대해 상기 몸체부는 개별적으로 연결 장착되어 종자 및 비료의 배출량이 동시에 조절 가능하며,
상기 롤러부의 중심축은,
길이 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을 수 있게 전동축이 삽입 체결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전동축은 트랙터의 바퀴로부터 회전력을 인가받아 설정된 속도 비로 감속된 후 회전함에 따라, 상기 롤러부의 회전은 트랙터의 주행 속도에 연동하여 조절되는 파종기의 종자 배출량 조절 장치를 제공한다.

저장조 수용공간의 배출구에 대향하여 개폐 가능한 상단 개구가 마련되고, 상기 상단 개구에 수직 하방으로 연통하여 하단 개구가 마련되며, 상기 연통된 방향을 교차하여 수평 방향으로 축 삽입공을 구비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축 삽입공을 통해 중심축이 연결되는 동시에 연결되는 동시에 외부로부터 회전력을 도입 받아 회전하며,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종자 수용홈을 갖는 롤러부; 상기 복수의 종자 수용홈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복수의 종자 수용홈을 개폐하는 개폐 슬라이드부; 및 상기 몸체부의 외측으로 연장된 가이드 몸체를 따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일측은 사용자에 의해 당김 조작 후 회동 위치의 고정을 위한 조절 레버가 구비되며, 타측은 상기 롤러부의 중심축을 따라 상기 개폐 슬라이드를 이동시키도록 힌지 연결되는 회동 링크가 구비되는 개폐 조절부;를 포함하는 파종기의 종자 배출량 조절 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상기 개폐 슬라이드부는, 상기 롤러부재의 중심축을 따라 슬라이딩 하는 연결 플레이트; 및 일측은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원주 방향으로 고정되며, 타측은 상기 복수 개의 종자 수용홈의 형상 및 개수에 대응하여 상호 대향된 상태에서 개폐 유동하는 복수의 슬라이딩 편;을 포함한다.
상기 조절 레버는, 상기 회동 링크와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 몸체의 안내장공을 관통하여 연장 형성된 핀부재와, 상기 핀부재의 끝단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되 상기 핀부재와의 사이에 탄성 부재가 내장되어 당김 및 해제가 가능한 사각단면의 그립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그립부재의 상, 하면을 통해 마련된 제1나사 돌기 및 상기 그립부재의 좌, 우면을 통해 마련된 제2나사 돌기는 상기 안내장공에 마련된 나사 홈에 대응하여 치합 가능한 형상을 가지는 한편, 상기 제1나사 돌기 및 상기 제2나사 돌기는 상호 피치 간격이 어긋나게 배열되어, 상기 그립부재의 회전 조작에 따라 상기 제1나사 돌기 및 상기 제2나사 돌기 중 선택된 하나를 상기 나사 홈에 체결하여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롤러부의 중심축을 관통하여 연결되는 전동축은 외부 동력장치의 주행 속도에 연동하여 설정된 회전 속도로 회전하되, 상기 외부 동력장치의 출력축과 상기 전동축 사이에는 변속 조절이 가능한 다단감속기어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간단한 조절 레버의 당김 및 회동 조작을 통해 저장조로부터 공급 받은 종자의 배출량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조절해 줄 수 있다.
특히, 트랙터의 주행 속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롤러 부재 내에 마련된 종자 수용홈의 크기를 간단한 조작을 통해 조절해 줄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사용자의 수고를 경감시켜 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저장조의 내부 수용공간을 복수로 분할하고, 종자가 저장되는 공간 및 비료가 저장되는 공간을 구분 활용함으로써, 종자의 배출량은 물론 비료의 배출량까지 동시에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파종된 종자의 발아 및 생육 조건이 향상되어, 농산물의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자 배출량 조절 장치가 장착된 파종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저장조에 보관된 종자 또는 비료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자 배출량 조절 장치를 통해 지면까지 배출되는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자 배출량 조절 장치를 저장조와 분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자 배출량 조절 장치의 세부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자 배출량 조절 장치의 조절 레버를 회동 조작하기 전의 모습을 간략히 도시한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자 배출량 조절 장치의 조절 레버를 당김 조작한 모습을 간략히 도시한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자 배출량 조절 장치의 조절 레버를 당긴 상태에서 회동 조작한 이후의 모습을 간략히 도시한 작동상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 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단지 여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파종기의 종자 배출량 조절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자 배출량 조절 장치가 장착된 파종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파종기는 트랙터(10)의 후방에 연결되어, 트랙터(10)의 후륜 중심에 연결된 기어모듈(20)을 통해 회전력을 전달 받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기어모듈(20)은 트랙터(10)의 바퀴(11) 축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21)와, 상기 기어와 파종기 사이에 연결된 구동샤프트(23)와, 상기 구동샤프트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을 일정 속도 비로 감속해주는 기어박스(27)를 포함한다. 그리고 구동샤프트(23)와 기어박스(27) 사이에는 유압 제어를 통해 동력 전달을 온/오프 시켜주는 클러치(25)를 포함한다.
한편, 파종기의 후방 상단에는 종자(또는 비료)가 수용 보관되는 저장조(200)가 구비된다. 그리고 저장조(200)의 수직 하방으로 연통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자 배출량 조절 장치(100)가 배치된다. 종자 배출량 조절 장치(100)는 저장조(200)로부터 토출된 종자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장치이다.
그리고 종자 배출량 조절 장치(100)를 경유하여 배출되는 종자는 공급 라인(300)을 통해 종자 배출 롤러(400)로 공급되며, 지면 상부로 배출된다.
도 2는 저장조에 보관된 종자 또는 비료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자 배출량 조절 장치를 통해 지면까지 배출되는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저장조(200)는 수용공간이 이중으로 분할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일측의 수용공간(210) 내에는 종자가 보관되고 타측의 수용공간(220) 내에는 비료가 보관된다.
그리고 상기 분할된 각각의 수용공간(210, 220)에 대해 종자 배출량 조절 장치(100)가 연결 설치된다. 엄밀하게 말하자면, 종자가 보관되는 일측의 수용공간(210)에는 종자 배출량 조절 장치가 연결되며, 이와 동일한 형상 및 구조를 갖는 비료 배출량 조절 장치는 비료가 보관되는 타측의 수용공간(220)을 통해 연결된다. 이에 따라 종자의 배출량은 물론 비료의 배출량까지 동시에 조절 가능하다.
한편, 종자 배출량 조절 장치(100)는 공급 라인(300)을 통해 지면 상부로 배치되는 종자 배출 롤러(400)까지 연결되며, 이로써, 종자는 지면 상부로 파종될 수 있다. 여기서, 비료 배출량 조절 장치의 경우 별도의 공급 라인(300′)만이 연결되어 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적인 형상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지 않는다. 즉,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조금씩 다른 형상으로 실시되어도 무방하다.
여기서, 상기 종자 배출량 조절 장치(100) 및 종자 배출 롤러(400)의 구성은 도 1을 통해 설명한 바 있는 기어모듈(20)을 통해 회전력을 전달 받아 회전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파종기의 전방에 연결된 트랙터의 주행 시, 후륜 중심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이를 적절한 감속비로 조절한 후 종자 배출량 조절 장치(100) 및 종자 배출 롤러(400)를 작동시키는 구동력으로 활용한다. 이는 트랙터의 주행 조건(예: 주행 속도)에 연동하여 파종되는 종자의 배출속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 온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자 배출량 조절 장치를 저장조와 분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자 배출량 조절 장치와 저장조의 결합 구조를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시된 저장조(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종자가 수용되는 수용공간(210)과 비료가 수용되는 수용공간(220)을 동시에 구비한다. 각각의 수용공간(210, 220)은 종자 또는 비료를 담아 보관할 수 있도록 용기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상부에는 덮개(211, 221)가 마련된다. 그리고 이러한 저장조(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수용공간(210, 220)을 연결해주는 연결수단(201, 20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저장조(200)의 하면에는 종자 또는 비료가 수직 하방으로 낙하될 수 있도록 배출구(210a, 220a)가 마련되며, 상기 배출구를 통해 종자 또는 비료 배출량 조절 장치(100, 100′)를 향하여 종자 또는 비료가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조(200)는 종자 또는 비료 배출량 조절 장치(100, 100′)와 탈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이를 위해 종자 또는 비료 배출량 조절 장치에는 저장조 탈착 수단(101, 101′)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와 대응하여 저장조(200) 쪽에는 탈착 체결 홈(213, 223)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저장조(200)와 종자 또는 비료 배출량 조절 장치(100, 100′) 간의 연결부위에는 서로 간의 연통 부위인 배출량 조절 장치의 상단 개구(100a, 100a′)를 개폐 조절하는 개폐 수단(100a, 100b)이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저장조(200)로부터 종자 또는 비료의 공급을 강제적으로 개방 또는 차단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여기서, 종자 배출량 조절 장치(100)와 비료 배출량 조절 장치(100′)는 서로 방향만 달리하여 저장조(200)의 하부에 연결되는 동일한 구성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7을 병행 참조하여 본 발명의 종자 배출량 조절 장치(100)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자 배출량 조절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시된 종자 배출량 조절 장치(100)는, 전체적인 외장을 형성하는 몸체부(110)와, 몸체부에 내장되어 회전하는 동시에 크기가 가변되는 복수의 종자 수용홈(133)을 갖는 롤러부(130)와, 복수의 종자 수용홈(133)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종자가 적재되는 공간을 조절하는 개폐 슬라이드부(150) 및, 개폐 슬라이드부를 이동시키는 개폐 조절부(170)를 포함한다.
몸체부(110)는, 저장조 수용공간의 배출구에 대향하여 개폐 가능한 상단 개구(100a)를 구비하며, 이 상단 개구에 수직 하방으로 연통된 하단 개구가 마련되어 있는 하우징이다. 여기서, 상단 개구는 저장조로부터 종자를 공급 받는 입구의 역할을 하며, 이와 달리 하단 개구는 본 실시예를 통해 배출량이 조절된 종자가 전술된 공급라인(도 3의 도면부호 300)을 통해 배출되는 출구의 역할을 한다.
한편, 몸체부(110)의 상단 개구 및 하단 개구가 연통된 방향을 교차하여 수평 방향(즉, Y축 방향)으로 축 삽입공(111)이 더 마련되어 있다. 상기 축 삽입공(111)은 후술될 롤러부(130)의 중심축(131)이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는 공간으로 이용된다.
이러한 몸체부(110)는 앞서 도 1 내지 3을 통해 살펴본 바와 같이 저장조의 종자와 비료를 각각 구분하여 보관하는 수용공간이 별도로 마련되어 있을 경우에는 각각의 수용공간의 하측에 개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10)의 일측으로는 'ㄷ'형상으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 몸체(120)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가이드 몸체(120)는 후술될 개폐 조절부(170)의 회동 조작을 안내해주는 구성으로서, 후술될 개폐 조절부(170)의 설명 시 상세하게 다루기로 한다.
롤러부(130)는 몸체부(110)의 내측 중심을 따라 수평 방향(즉, Y축 방향)으로 마련된 축 삽입공(111)을 통해 중심축(131)이 연결되어 회전 작동하는 롤러 형상 부재이다.
이때, 롤러부(130)의 회전 작동에 필요한 구동력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트랙터의 주행 시 후륜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력을 이용한다. 이를 위해 롤러부(130)의 중심축(131)에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중공(131a)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중공(131a)을 통해 트랙터의 후륜으로부터 회전력을 인가받아 회전하는 전동축(도 3의 도면부호 T)이 삽입 체결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상기 롤러부(130)의 회전은 트랙터의 주행 속도에 연동하여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전동축과 트랙터의 후륜으로부터 회전력을 인출하는 구동샤프트 간의 동력 전달 관계는 도 1을 통해 상세하게 다루었으므로, 불필요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롤러부(130)의 외주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예: 30도의 중심각)을 두고 원주 방향을 교차하는 방향(즉, X축 방향)으로 복수의 종자 수용홈(133)이 마련되어 있다.
복수의 종자 수용홈(133)은, 원호 형상 또는 타원 형상 단면으로 롤러부(130)의 외주면으로부터 요입 형성된 홈 공간을 의미한다. 즉, 복수의 종자 수용홈(133)은 몸체부(110)의 상단 개구를 통해 저장조로부터 공급된 종자가 적재되어 수용되는 공간을 의미한다.
롤러부(130)가 설정된 속도로 회전할 경우, 원주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종자 수용홈(133)이 일정한 시간 간격마다 차례대로 하향 위치하게 되는데, 이때 종자 수용홈(133)에 수용 가능한 양만큼의 종자가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복수의 종자 수용홈(133)의 크기가 조절됨에 따라 종자의 배출량이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개폐 슬라이드부(150)는 복수의 종자 수용홈(133)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종자가 수용되는 공간의 크기를 조절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개폐 슬라이드부(150)는 롤러부(130)에 인접 배치되어 롤러부의 중심축(131)을 따라 슬라이딩 하는 연결 플레이트(151)와, 상기 연결 플레이트로부터 복수의 종자 수용홈(133)을 향해 돌출된 슬라이딩 편(153)을 포함한다.
연결 플레이트(151)는 롤러부의 중심축(131)에 관통하여 이동 가능한 원판 부재로서, 롤러부에 대하여 동축 방향(즉, Y축 방향)으로 근접 및 이격하는 움직임을 갖는다.
그리고 슬라이딩 편(153)은 연결 플레이트(151)로부터 롤러부(130) 쪽을 향해 돌출된 복수 개의 진퇴 구동 부재이다. 이를 위해 슬라이딩 편(153)의 일측은 연결 플레이트(151)의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고정 형성된다. 그리고 슬라이딩 편(153)의 타측은 복수 개의 종자 수용홈의 형상 및 개수에 대응하여 상호 대향된 상태에서 개폐 유동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복수 개의 슬라이딩 편(153)은 복수의 종자 수용홈(133)의 형상 및 개수에 대응하는 형태로 제작되어, 연결 플레이트(151)의 동작에 연동하여 동시에 복수의 종자 수용홈(133) 쪽으로 밀려 나가거나 빠져 나오는 모션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다만, 여기서 도시된 종자 수용홈(133) 및 슬라이딩 편(153)의 단면 형상 및 크기는 하나의 예시 형태에 불과할 뿐 이와 다른 실시예를 통해 조금씩 다르게 실시되어도 무방하다.
개폐 조절부(170)는 몸체부(110)의 외측으로 연장된 가이드 몸체(120)를 따라 회동 조작됨에 따라 상기 개폐 슬라이드부(150)의 모션 위치를 달리하여 종자 수용홈(133)의 크기를 조절하는 구성이다. 즉, 사용자로 하여금 개폐 조절부(170)를 간단하게 조작하게 하여 롤러부(130)를 통해 배출되는 종자의 배출량을 조절하게 해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개폐 조절부(170)는 그 세부 구성으로서,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어 회동 조작되는 조절 레버(180)와, 상기 조절 레버의 회동 조작에 따라 상기 개폐 슬라이드부(150)를 좌우 방향(즉, Y축 방향)으로 이동 시켜주는 회동 링크(190)를 포함한다.
조절 레버(180)는 사용자에 의해 당김 조작 후 회동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가이드 몸체(120)의 안내장공(121)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용이하게 파지될 수 있도록 끝단에는 마감 단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회동 링크(190)는 롤러부(130)의 중심축(131)을 따라 개폐 슬라이드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힌지(191)에 의해 연결된다. 회동 링크(190)의 개략적인 형상은 말굽 형상(즉, 'ㄷ' 단면 형상)과 같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말굽 형상 중 개방된 양단이 가이드 몸체(120)에 힌지(11)로 연결되어 일정 범위 이내에서 롤러부(130)의 중심축(131)에 간섭되지 않고 자유롭게 회동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한편, 롤러부(130)의 중심축(131)에는 상기 회동 링크(190)에 걸려 동축 방향으로 유동하는 가이드 편(193)이 더 배치되는데, 이는 회동 링크(190)의 모션 변화에 연동하여 상기 개폐 슬라이드부(`50)의 연결 플레이트(151)를 밀거나 당길 수 있도록 연결된 부재이다.
여기서, 조절 레버(180)의 세부 구성에 대해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조절 레버(180)는 상기 회동 링크(190)와 연결되는 핀부재(181)와 상기 핀부재의 끝단에 마련되어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어 당겨지거나 또는 핀부재를 중심으로 회전 조작 가능한 그립부재(183)를 포함한다.
핀부재(181)의 일측은 회동 링크(190)와 연결되며 가이드 몸체(120)에 마련된 안내 장공(121)을 관통하여 외부까지 타측이 돌출하여 마련된 부재이다. 그리고 그립부재(183)는 핀부재(181)의 돌출된 타측 끝단을 감싸는 형태로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며, 핀부재와의 연결 부위를 통해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도 5의 도면부호 K)를 내장한다. 이로써, 그립부재(183)는 사용자에 의해 핀부재(181)의 중심 방향(즉, X축 방향)을 향해 신축되는 모션을 가질 수 있다.
한편, 그립부재(183)의 선단 둘레에는 나사 돌기(184a, 184b)가 마련된다. 이러한 나사 돌기(184, 184b)는 가이드 몸체(120)의 안내장공(121)을 통해 마련된 나사 홈(121a)에 대응하여 치합 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그립 부재(183)는 사각 단면을 가지며, 그 둘레를 따라 상, 하면을 통해서는 제1나사 돌기(184a)가 구비되며, 좌, 우면을 통해서는 제2나사 돌기(184b)가 구비된다. 그리고 제1나사 돌기(184a)는 물론 제2나사 돌기(184b)는 안내장공(121)의 나사 홈(121a)과 각각 치합 가능한 형상을 가진다.
다만, 제1나사 돌기(184a)와 제2나사 돌기(184b)의 상호 피치 간격은 어긋나게 배열된다.
이에 따라 안내 장공(121)의 나사 홈(121a)을 따라 그립 부재(183)의 상, 하면을 접촉시켜 그대로 한 칸씩 이동시킬 경우와 달리, 그립 부재(183)를 동일한 위치에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축 회전시킨 후 그립 부재(183)의 좌, 우면을 상기 나사 홈(121a)에 접촉시켜 치합 고정할 경우에는 "제1나사 돌기(184a)와 제2나사 돌기(184b)의 상호 피치 간격"만큼 미세한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그립 부재(183)의 회전을 통해 제1나사 돌기(184a) 또는 제2나사 돌기(184b) 중에서 선택하여 안내장공(121)의 나사 홈(121a)에 위치 고정시킴으로써, 종자 배출량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면부호 140은 롤러부(130)의 원주 방향을 향해 대향 배치된 브러시(brush) 부재로서, 종자 수용홈(133)으로 채워진 종자의 양을 고르게 해주는 것으로서, 도시된 특정 형상에 본 발명이 제한될 필요는 없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7을 병행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자 배출량 조절 장치의 조절 레버 조작을 통해 종자 수용홈의 크기가 변경되는 작용 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면에서,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자 배출량 조절 장치의 조절 레버를 회동 조작하기 전의 모습, 도 6은 조절 레버를 당김 조작한 모습, 도 7은 조절 레버를 당긴 상태에서 회동 조작한 후 위치 조정을 완료한 모습을 간략히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도시된 상태는 롤러부(130)메 마련된 종자 수용홈(133)의 안쪽까지 개폐 슬라이드부의 슬라이딩 편(153)이 밀려나온 모습으로서, 종자 수용홈(133)을 통해 수용된 종자(S)의 양이 매우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만일, 씨알이 굵은 종자(예: 옥수수) 또는 파종 시 다량의 종자를 배출해하 하는 파종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이 같은 장치의 상태는 적합하지 못하다. 조절 레버(180) 상의 그립부재(183)를 핀부재(181)의 바깥쪽으로 당김 조작한다. 이러한 동작은 핀부재(181)와 그립부재(183) 사이에 내장된 탄성 부재(K)에 의해 가능해 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앞서 도 5에서 설명하였던 장치의 상태로부터 조절 레버의 그립부재(183)가 핀부재(181)로부터 당김 조작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면, 앞서 도 6을 통해 사용자의 힘에 의해 핀부재(181)로부터 당김 조작된 그립부재(183)가 도 5의 초기 위치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소정 거리 회동한 다음, 사용자에 의해 인가된 힘이 제거됨에 따라 그립부재(183)가 가이드 몸체(120)의 안내장공을 향해 탄성 복원되어 위치가 조절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도 7의 롤러부(130) 내의 종자 수용홈(133)을 살펴보면, 도 5에서 종자 수용홈(133)의 안쪽까지 밀려 들어와 있던 슬라이딩 편(153)이 모두 이동하여, 종자 수용홈(133)의 개방 부위 면적이 크게 증가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이와 같이 종자 수용홈(133)의 개방 면적이 증가할 경우 더 많은 양의 종자(S)가 한꺼번에 적재될 수 있으며, 씨알이 굵은 종자(S)의 경우에도 원활하게 수용될 수 있다. 이로써, 종자의 배출량이 신속하고 간단하게 조절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조절 레버의 간단한 당김 및 회전 조작을 통해 파종기 내의 저장조로부터 공급되는 종자 및 비료의 배출량을 간편하고 신속 정확하게 조절해 줄 수 있다.
특히, 저장조의 하부에 트랙터의 주행 속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롤러 부재를 마련하고, 이 롤러 부재의 외경을 통해 폭 조절이 가능한 종자 수용홈을 구비해 둠으로써, 저장조로부터 낙하되는 종자의 일회적인 배출량을 적절히 조절해 줄 수 있다. 여기서, 이 종자 수용홈의 폭 조절은 당김 조작 후 수평 이동 가능한 조절레버를 통해 간단, 신속,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저장조의 내부공간을 전후로 구획하고, 이를 종자 저장부 및 비료 저장부로 나누어 활용하는 동시에, 배출량 조절 장치를 각 부위마다 마련해 둠으로써, 종자의 배출량 조절은 물론 비료의 배출량 조절까지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직파재배법을 통해 파종된 종자의 발아 및 생육 조건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의 종자 배출량 조절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전술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종자 배출량 조절 장치
100a, 100a′: 상단 개구
100b, 100b′: 개폐 수단
101, 101′: 저장조 탈착 수단
110: 몸체부
111: 축 삽입공
120: 가이드 몸체
121: 안내장공 121a: 나사 홈
130: 롤러부
131: 중심축 131a: 중공
133: 종자 수용홈
150: 개폐 슬라이드부
151: 연결 플레이트 153: 슬라이딩 편
170: 개폐 조절부
180: 조절 레버
181: 핀부재 183: 그립부재
184a: 제1나사 돌기 184b: 제2나사 돌기
190: 회동 링크
190: 힌지
200: 저장조
201, 203: 연결수단 210, 220: 수용공간
211, 221: 커버 213, 223: 탈착 체결 홈

Claims (4)

  1. 저장조 수용공간의 배출구에 대향하여 개폐 가능한 상단 개구가 마련되고, 상기 상단 개구에 수직 하방으로 연통하여 하단 개구가 마련되며, 상기 연통된 방향을 교차하여 수평 방향으로 축 삽입공을 구비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축 삽입공을 통해 중심축이 연결되는 동시에 연결되는 동시에 외부로부터 회전력을 도입 받아 회전하며,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종자 수용홈을 갖는 롤러부;
    상기 복수의 종자 수용홈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복수의 종자 수용홈을 개폐하는 개폐 슬라이드부; 및
    상기 몸체부의 외측으로 연장된 가이드 몸체를 따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일측은 사용자에 의해 당김 조작 후 회동 위치의 고정을 위한 조절 레버가 구비되며, 타측은 상기 롤러부의 중심축을 따라 상기 개폐 슬라이드를 이동시키도록 힌지 연결되는 회동 링크가 구비되는 개폐 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저장조는,
    내부 수용공간이 복수 개로 분할 형성되며, 일측의 분할된 수용공간으로는 종자가 보관되고 타측의 분할된 수용공간으로는 비료가 수용되는 한편, 상기 분할된 각각의 수용공간에 대해 상기 몸체부는 개별적으로 연결 장착되어 종자 및 비료의 배출량이 동시에 조절 가능하며,
    상기 롤러부의 중심축은,
    길이 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을 수 있게 전동축이 삽입 체결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전동축은 트랙터의 바퀴로부터 회전력을 인가받아 설정된 속도 비로 감속된 후 회전함에 따라, 상기 롤러부의 회전은 트랙터의 주행 속도에 연동하여 조절되는 파종기의 종자 배출량 조절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 슬라이드부는,
    상기 롤러부의 중심축을 따라 슬라이딩 하는 연결 플레이트; 및
    일측은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원주 방향으로 고정되며, 타측은 상기 복수 개의 종자 수용홈의 형상 및 개수에 대응하여 상호 대향된 상태에서 개폐 유동하는 복수의 슬라이딩 편;을 포함하는 파종기의 종자 배출량 조절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 레버는,
    상기 회동 링크와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 몸체의 안내장공을 관통하여 연장 형성된 핀부재와,
    상기 핀부재의 끝단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되 상기 핀부재와의 사이에 탄성 부재가 내장되어 당김 및 해제 가능한 사각 단면의 그립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그립부재의 상, 하면을 통해 마련된 제1나사 돌기 및 상기 그립부재의 좌, 우면을 통해 마련된 제2나사 돌기는 상기 안내장공에 마련된 나사 홈에 대응하여 치합 가능한 형상을 가지는 한편,
    상기 제1나사 돌기 및 상기 제2나사 돌기는 상호 피치 간격이 어긋나게 배열되어, 상기 그립부재의 회전 조작에 따라 상기 제1나사 돌기 및 상기 제2나사 돌기 중 선택된 하나를 상기 나사 홈에 체결하여 위치 고정시키는 파종기의 종자 배출량 조절 장치.
KR1020120088926A 2012-08-14 2012-08-14 파종기의 종자 배출량 조절 장치 KR101241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926A KR101241767B1 (ko) 2012-08-14 2012-08-14 파종기의 종자 배출량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926A KR101241767B1 (ko) 2012-08-14 2012-08-14 파종기의 종자 배출량 조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1767B1 true KR101241767B1 (ko) 2013-03-11

Family

ID=48181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8926A KR101241767B1 (ko) 2012-08-14 2012-08-14 파종기의 종자 배출량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176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1319A (ko) * 2014-04-18 2015-10-29 국제종합기계 주식회사 비료입자 파손방지기능을 가진 이앙기용 시비모듈
KR20150121318A (ko) * 2014-04-18 2015-10-29 국제종합기계 주식회사 비료방출량 조절기능을 가진 이앙기용 시비장치
KR20160064290A (ko) * 2014-11-27 2016-06-08 호산테크 주식회사 이앙기용 자유 낙하식 약제 살포기
KR20180124183A (ko) * 2017-05-10 2018-11-21 호산테크 주식회사 작동이 원활한 이앙기용 약제 살포기
CN114592405A (zh) * 2022-03-30 2022-06-07 东营派克赛斯石油装备有限公司 一种道路用石油沥青生产混合沥青的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8030A (ja) * 2003-03-28 2004-10-28 Agritecno Yazaki Kk 繰出装置
KR20120033938A (ko) * 2010-09-30 2012-04-09 유한회사 웅진기계 건습답형 씨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8030A (ja) * 2003-03-28 2004-10-28 Agritecno Yazaki Kk 繰出装置
KR20120033938A (ko) * 2010-09-30 2012-04-09 유한회사 웅진기계 건습답형 씨더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1319A (ko) * 2014-04-18 2015-10-29 국제종합기계 주식회사 비료입자 파손방지기능을 가진 이앙기용 시비모듈
KR20150121318A (ko) * 2014-04-18 2015-10-29 국제종합기계 주식회사 비료방출량 조절기능을 가진 이앙기용 시비장치
KR101663094B1 (ko) 2014-04-18 2016-10-07 국제종합기계 주식회사 비료입자 파손방지기능을 가진 이앙기용 시비모듈
KR101663093B1 (ko) 2014-04-18 2016-10-07 국제종합기계 주식회사 비료방출량 조절기능을 가진 이앙기용 시비장치
KR20160064290A (ko) * 2014-11-27 2016-06-08 호산테크 주식회사 이앙기용 자유 낙하식 약제 살포기
KR101628293B1 (ko) 2014-11-27 2016-06-09 호산테크 주식회사 이앙기용 자유 낙하식 약제 살포기
KR20180124183A (ko) * 2017-05-10 2018-11-21 호산테크 주식회사 작동이 원활한 이앙기용 약제 살포기
KR101953539B1 (ko) 2017-05-10 2019-03-05 호산테크 주식회사 작동이 원활한 이앙기용 약제 살포기
CN114592405A (zh) * 2022-03-30 2022-06-07 东营派克赛斯石油装备有限公司 一种道路用石油沥青生产混合沥青的设备
CN114592405B (zh) * 2022-03-30 2024-03-01 山西中交汇通建材有限公司 一种道路用石油沥青生产混合沥青的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22733B2 (en) Multiple agricultural product application method and systems
KR101241767B1 (ko) 파종기의 종자 배출량 조절 장치
CN203251609U (zh) 可调控播种量的新型人力播种机
KR20120114496A (ko) 마늘 파종기
CN106973590B (zh) 多功能大蒜种植机
CN201947632U (zh) 手推滚轮式播种机
CN201957423U (zh) 玉米精量播种机
CN201267095Y (zh) 小型山地免耕播种机
KR101228242B1 (ko) 점파식 파종기
KR101241768B1 (ko) 파종량 조절 기능을 갖는 종자 배출 롤러
RU175203U1 (ru) Доз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посевного комплекса с групповым высевом семян
KR101290720B1 (ko) 트랙터 주행속도 연동형 파종장치
CN102450127A (zh) 一种播种机分种器
CN211353055U (zh) 一种用于精量播种机的小颗粒种子播种器
CN203984989U (zh) 气动播种机
CN111615897A (zh) 一种烟苗移栽计量施肥器
CN201422252Y (zh) 水稻播种机的排种器结构
CN211184921U (zh) 小区免耕精量播种机
CN204119783U (zh) 小区试验播种机
CN215819353U (zh) 一种蔬菜大棚培育用播种装置
KR102622248B1 (ko) 고랑성형 비료살포기
JPH1189359A (ja) 追肥機
CN205213364U (zh) 组合式播种施肥机
CN111587648A (zh) 一种烟苗移栽计量施肥器
CN117981532A (zh) 一种播种施肥一体的种植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