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0816B1 - 미백 및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삼나무 정유 추출물 - Google Patents

미백 및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삼나무 정유 추출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0816B1
KR101240816B1 KR1020100129552A KR20100129552A KR101240816B1 KR 101240816 B1 KR101240816 B1 KR 101240816B1 KR 1020100129552 A KR1020100129552 A KR 1020100129552A KR 20100129552 A KR20100129552 A KR 20100129552A KR 101240816 B1 KR101240816 B1 KR 101240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ity
essential oil
cedar
antioxidant
whi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9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8111A (ko
Inventor
김선홍
이수연
홍창영
곽기섭
여환명
이전제
최인규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129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0816B1/ko
Publication of KR20120068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8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0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0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61K36/14Cupressaceae (Cypress family), e.g. juniper or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조성물로 활용될 수 있는 미백 및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삼나무 정유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티로시나제(tyrosinase) 저해 활성과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라디칼 소거 활성, SOD(superoxide dismutase) 유사 활성을 가지는 수증기 증류를 통해 추출된 삼나무 정유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미백 및 항산화 활성이 높은 borneol 및 nezukol 성분이 함유된 미백 및 항산화 효과를 보이는 삼나무 정유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미백 및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삼나무 정유 추출물{Cryptomeria japonica extracts having whitening effect and anti-oxydation activity}
본 발명은 화장조성물로 활용될 수 있는 미백 및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삼나무 정유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티로시나제(tyrosinase) 저해 활성과 DPPH(1,1 diphenyl-2-picryl-hydrazyl) 라디칼 소거 활성, SOD (superoxide dismutase) 유사 활성을 가지는 수증기 증류를 통해 추출된 삼나무 정유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미백 및 항산화 활성이 높은 보르네올(borneol) 및 네주콜(nezukol) 성분이 함유된 미백 및 항산화 효과를 보이는 삼나무 정유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의 색을 결정하는 인자는 헤모글로빈, 카로틴, 멜라닌 등으로 그 중 멜라닌에 의한 영향이 가장 크다고 밝혀졌다(송 등., 2007). 멜라닌은 인간을 포함한 동물뿐만 아니라 식물, 원핵생물에서도 발견되는 물질로 이미노산인 티로신으로부터 유도되는 물질이다. 피부가 햇빛을 받으면 표피 기저층에 있는 색소세포의 L-티로신이 티로시나제에 의해 L-DOPA가 만들어지고 다시 산화반응을 거쳐 이종 고분자인 멜라닌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멜라닌은 자외선에 의해 과량 생산되어 턴 오버 이상에 의해 기미, 주근깨와 같은 현상도 동반하게 된다. 따라서 미백 효능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멜라닌 색소 생장 억제 및 이미 생성된 멜라닌의 제거 또는 환원해 탈색시키는 기능이 필요하다(Jin 등., 1999).
한편, 인체는 산소와 자외선에 노출되어 활성산소종 (reactive oxygen species, ROS)이 유도되며 이로 인하여 산화적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활성산소종 중 피부 광 손상의 중요한 인자인 O2 및 OH는 피부에 존재하는 항산화 물질의 파괴, 지질과산화반응의 개시, 단백질의 산화, DNA 산화, 결합조직 성분인 콜라겐과 엘라스틴 및 히알루론산 등의 결합 사슬 절단 및 비정상적인 교차결합에 의한 주름생성, 멜라닌 생성촉진 등 피부의 노화를 가속화한다(Fantone & Ward, 1982; Park, 2003). 피부조직에서 일어나는 노화현상은 체내 대사 작용, 환경오염물질에 노출, 자외선의 노출, 각종 스트레스 등에 의하여 체내 자유 라디칼 생성이 촉진되며 생성된 자유라디칼은 체내 방어시스템인 항산화계 효소와 항산화 물질에 의하여 제거되지만 이러한 보호망이 점차 파괴되면서 잔존하는 자유라디칼은 생체조직을 손상시킬 뿐만 아니라 노화를 촉진한다. 그러므로 이들 활성산소들은 피부노화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각종 암 촉진을 야기하며 염증이나 각종 성인병을 일으키는 요소로 작용한다(Sies, 2003). 따라서 활성산소종과 자외선에 의한 피부노화를 감소 또는 방어하기 위해서는 피부에 적용 가능한 항산화제가 필요하다. 종래 항산화제 성분은 비타민C, 비타민E, 카로티노이드, 플라보노이드, 셀레늄, 코엔자임Q 등이 있다.
본 발명은 국내에서 다수 식재되는 삼나무로부터 분리된 정유의 미백 및 항산화 효과에 대한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삼나무 정유의 티로시나제(tyrosinase) 저해 활성, DPPH(1,1 diphenyl-2-picryl-hydrazyl) 라디칼 소거능, SOD(superoxide dismutase) 유사활성을 측정하여 삼나무 정유의 미백 및 항산화 제품으로서의 이용가능성을 제안하는 것이다.
놀랍게도 본 발명자들은 국내 자생 삼나무 잎에서 추출된 정유 추출물이 미백 및 항산화 활성을 가진다는 것을 알았다.
본 발명은 미백 및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화장품 또는 피부과학적 약물 제조 용도의 삼나무 정유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삼나무 정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 및 미용 조성물 및/또는 피부과학적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 제한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삼나무 정유 추출물은 카우렌(kaurene), 보르네올(borneol) 및 네주콜(nezukol)로 이루어진 성분 군들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및 본 발명에 의한 정유 추출물은 삼나무 잎을 증기 증류하여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삼나무 정유추출물의 미백 및 항산화 효과를 보인 것이다. 이에 의하면, 삼나무 정유 추출물은 미백 및 항산화 활성을 가지므로 화장품 또는 피부과학적 약물 제조 용도의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정유 분획 A, B 성분들이 티로시나제 저해율이 높았으며 항산화 효과는 삼나무 분획 B에서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삼나무 A 분획의 주성분은 카우렌(kaurene)으로 확인되며, 삼나무 정유 분획 B의 주성분은 보르네올(borneol) 및 네주콜(nezukol)로 분석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삼나무 정유 추출물을 대상으로 수행된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TLC) 결과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삼나무 정유 추출물의 티로시나제 저해활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A)는 L-티로신이 기질, (B)는 L-DOPA가 기질로 이용.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삼나무 정유 추출물의 항산화활성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시간 경과에 따른 항산화 활성도 지속성을 보이는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삼나무 정유 추출물의 SOD 유사 활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삼나무 정유 추출물 주요 성분 확인을 위한 GC MS 분석도이다. (A)는 카우렌(kaurene)을 확인한 것이고, (B)는 보르네올(borneol) 및 네주콜(nezukol) 성분을 확인한 GC-MS 피크들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예로 설명하며, 이하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재료 및 실험 예를 우선적으로 기술한다.
재료 및 방법
재료
본 예에 사용된 수종은 천연목인 삼나무(Cryptomeria japonica)의 잎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증기증류법으로 정유를 추출하기 위해 생재 상태로 -39℃에서 냉동 보관하였다.
삼나무 정유추출
실험실 규모의 수증기 증류장치에 500g의 삼나무 잎과 4ℓ의 증류수를 첨가하여 정유를 추출하였다. 온도를 점차 승온시켜 100℃에서 24시간 동안 휘발 성분들을 포집하였다. 발생한 휘발 성분들은 응축액 형태로 포집되도록 하였다. 응축액은 에틸 아세테이트를 100㎖씩 첨가하여 3회 추출하고 회전식 증발기를 통해 농축시켜 최종 정유를 얻은 뒤 4℃에서 냉장 보관하였다.
삼나무 정유추출물 분획
상기 방법에 따라 획득된 삼나무 정유의 활성물질을 탐색하고자 TLC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분석을 통해 화합물들의 분리 양상을 확인한 후 일차 분획을 위해 개방 관 크로마토그래피(column chromatography)를 실시하였다. 정유 성분들은 비교적 비극성이기 때문에 실리카겔 60 (40~100㎛)을 고정상으로 하여 정상상(normal phase)으로 진행하였다. 지름이 8cm인 관을 사용하였으며 실리카겔 450g을 헥산 고 혼합하여 관에 부어준 후 용매의 조건을 고려하여 5시간 동안 팩킹 하였다. 5시간이 지난 후 팩킹된 실리카의 약 3%에 해당하는 시료 15g을 로딩 하였다. 전개용매는 헥산 및 에틸 아세테이트 비율을 49:1, 30:1, 18:1, 9:1, 4:1, 1:1로 하여 총 12L를 사용하였다. 용매 전개 속도는 20㎖/분으로 한 뒤 50㎖씩 분취하여 총 10L 정도의 분취물을 획득하였다.
정유추출물 생리활성 측정방법
1) 정유의 미백 효과 측정
티로시나제(tyrosinase) 저해 활성은 Yagi 등(1986)에 의해 제안된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측정 시 기질은 L-티로신(L-tyrosine)과 L-DOPA를 사용하였다. 기질 농도로 L-티로신은 0.3㎎/㎖, L-DOPA는 2㎎/㎖를 인산칼륨 완충액(0.1 M, pH 6.8)에 완전히 용해시켰다. 티로시나제의 양은 기질이 L-티로신일 경우 125units/㎖, 기질이 L-DOPA일 경우 25units/㎖의 농도로 준비하였다. L-티로신과 L-DOPA를 450㎕를 가하고 에탄올에 용해시킨 삼나무 정유 추출물 100㎕를 가한 후 티로시나제 100㎕를 처치하여 37℃에서 각각 20분 반응시킨 후 492nm에서 UV-Vis 분광기를 사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아스코르브산 및 히드로퀴논을 사용하였다. 티로시나제 저해율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구하였다.
티로시나제 저해율 (%) = [ 1 - ( As / Ac ) ] × 100
As : 시료 첨가군의 흡광도
Ac : 무 첨가군의 흡광도
2) 정유의 항산화 활성 측정
a) DPPH 라디칼 소거능
DPPH(1,1 diphenyl-2-picryl-hydrazyl) 라디칼 소거능(electron donating ability, EDA)은 Blois(1958)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메탄올에 녹인 5000ppm의 삼나무 정유 추출물 0.2㎖에 6Х10-5mol/ℓ의 DPPH 용액 1.8㎖를 가하여 10초간 진탕한 후 상온에서 30분간 반응시킨 다음 517nm에서 UV-Vis 분광기를 사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율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구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 = [ 1 - ( As / Ac ) ] × 100
As : 시료 첨가군의 흡광도
Ac : 무 첨가군의 흡광도
b) 과산화물제거효소 ( Superoxide dismutase ) 유사 활성
SOD(superoxide dismutase) 유사활성은 Marklund(1974)의 방법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Tris-HCl 완충용액(50mM tris+10mM EDTA, pH 8.8) 2.6㎖와 메탄올에 용해시킨 삼나무 정유 추출물 0.2㎖을 혼합 후 7.2mM의 피로갈롤(pyrogallol) 0.2㎖를 가하여 25℃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그 후 1.0M HCl를 0.1㎖를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켜 반응액 중 산화된 피로갈롤(pyrogallol)의 함량에 대한 흡광도를 420nm에서 UV-Vis 분광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SOD 유사활성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구하였다.
SOD 유사활성 (%) = [ 1 - ( As / Ac ) ] × 100
As : 시료 첨가군의 흡광도
Ac : 무 첨가군의 흡광도
삼나무 정유 활성분획 주성분 확인을 위한 GC / MS 분석
삼나무 잎의 정유 활성분획의 주성분을 확인하고자 GC/MS분석을 하였으며 그 조건은 다음과 같다. GC (model-Agilent 6890)분석을 위해 칼럼은 HP5를 사용하였다. 이송 가스는 헬륨을 사용하였고 온도 조건은 인젝터 260℃, 검출기 280℃, 오븐 온도는 초기온도 120℃에서 5분간 유지시킨 후 4℃/분씩 상승시켜 최종온도 280℃까지 올린 후 10분간 유지시켜서 분석하였다. MS는 모델 Agilent 5973을 사용하고 EI 모드로 분석하였다. 얻어진 시료 피크의 질량 데이터와 표준 라이브러리 데이터 (Willy 7th ed)와 비교하여 피크의 화합물 구조를 동정하였다.
정유 추출 및 분획
수증기 증류법에 의해 삼나무 잎 500g로부터 추출된 정유의 수율은 4.7%이다. 이렇게 모은 정유 15g을 관 크로마토그래피(column chromatography)를 통한 일차 분획하여 50㎖씩 총 300여 개의 삼각 플라스크에 분취하였고 이 분취물을 헥산 및 에틸 아세테이트 (8:1, v/v)의 전개용매로 TLC(thin layer chromatography) 판에 전개하였을 때의 양상에 따라 A (1~117), B (118~128), C (129~138), D (139~162), E (163~191), F (192~) 분획으로 나누었다. 각각의 분획물은 농축하여 미백 및 항산화 검정을 위한 시료로 사용하였다. 농축된 시료의 양은 A - 4.12g, B - 0.50g, C - 0.07g, D - 0.16g, E - 1.73g, F - 6.04g이었다. 하지만 C와 D의 분획 량이 소량이어서 TLC plate 전개 양상에 따라 C를 B분획에 D는 E분획과 합쳐 최종적으로 A~D의 네 가지 분획으로 나누었다(도 1).
정유의 미백 효과
멜라닌 생합성에 있어서 중요한 핵심 효소인 티로시나제는 구리를 함유한 모노산소첨가효소(nooxygenase)로, 티로신을 DOPA(3,4-dihydroxyphenylalanine), DOPA 퀴논, 멜라닌으로 변형시킨다(Piao 등., 2002). 따라서 티로시나제 활성을 저해 시킨다면 피부에 멜라닌이 생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티로시나제 저해 효과를 통해 미백 효과를 관찰하였다.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은 두 가지 기질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멜라닌 생합성 과정에서 티로시나제가 처음에 수산화 시키는 물질인 L-티로신과 티로시나제에 의해 티로신이 수산화된 L-DOPA를 이용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비타민 C인 아스코르브산 및 시중에 시판되고 있는 미백 화장품 원료인 히드로퀴논을 사용하였다.
도 2는 삼나무 정유의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을 보인다. 대조군 및 삼나무 정유 분획들은 농도가 높아질수록 티로시나제 저해율이 높게 나타났다. 대조군보다는 삼나무 정유 효과는 미약하지만 2000ppm의 농도에서의 삼나무 정유의 조성분(crude oil)은 L-티로신을 기질로 하였을 때는 88.35%, L-DOPA를 기질로 하였을 때는 76.77%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며 높은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 효과를 보였다. L-티로신을 기질로 하여 티로시나제 저해율을 알아보았을 때 삼나무 정유 분획 중 효과를 나타낸 분획은 2000ppm의 농도 결과에 따르면 분획 A(86.76%)와 B(87.53%)이었다. L-DOPA를 기질로 사용했을 때는 L-티로신 보다는 효과가 다소 낮았지만 효과가 있는 물질은 분획 A(88.45%)와 B(85.03%) 이었다. 분획 A와 B는 1000ppm의 농도에서도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에 따라 티로시나제 저해에 효과가 있는 분획은 A와 B로 판단된다.
히드로퀴논은 기질로 L-티로신을 사용하였을 때에는 낮은 농도에서도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지만 L-DOPA를 기질로 하였을 때에는 2000ppm의 농도에서만 49.21%의 효과를 나타내며 삼나무 정유 분획보다 낮은 효과를 보였다. 이로써 삼나무 정유의 미백 활성은 비타민 C인 아스코르브산보다는 효과를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미백 제품에 사용되는 히드로퀴논과 대비하여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정유의 항산화 효과
a) DPPH 라디칼 소거능
정유 성분이 라디칼을 제거하거나 수소 라디칼을 제공함으로써, 또는 전자를 공여함으로써 DPPH의 자유라디칼을 전자적으로 안정하게 만들어 자유라디칼의 독성을 감소시키는 기작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Brand-Williams et al., 1995) 이를 바탕으로 자유라디칼을 가지고 있는 활성 산소의 피부 노화를 방지할 가능성 여부를 판단하여 삼나무 정유추출물이 항산화 소재로 이용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현재 항산화제로 이용되고 있고 불포화지방산, 비타민 A, 베타카로틴, 성 호르몬 등의 산화를 방지하는 항산화 작용이 있다고 알려진 비타민 E의 α-토코페롤을 대조군으로 하여 실험을 하였다(Kamal-Eldin & Appelqvist, 1996). 실험의 결과는 도 3에 도시된다. α-토코페놀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90.19%로 매우 높았지만 44.11%의 활성을 나타낸 삼나무 분획 B를 제외한 나머지 분획들에서는 10% 미만의 낮은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반응 시간을 더 오래 할수록 삼나무 정유 분획 B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선행 연구들에 따르면 DPPH 라디칼 소거능은 기질의 극성에는 영향을 받지 않으며 정유의 라디칼 소거능력은 그들의 각기 다른 운동학적 거동(kinetic behaviour)를 가지므로 복잡한 반응 메커니즘의 영향으로 천천히 반응을 시켜야 한다고 보고 하였다(Koleva et al., 2002; Kulisic et al., 2004). 따라서 다른 물질 보다 DPPH 라디칼 효과가 있다고 생각한 삼나무 분획 B의 반응 시간을 높여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도 4와 같이 5시간을 반응시켰을 때 DPPH 라디칼 소거능이 58.9%까지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고 그래프의 양상을 지켜보면 계속 해서 라디칼 소거능은 지속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삼나무 정유 분획 B는 DPPH 라디칼 소거능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되었고 천연 항산화제 적용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c) SOD(superoxide dismutase) 유사 활성
SOD(superoxide dismutase)란 우리 몸 안에 필요 이상으로 생성되는 활성산소를 중화시키며 인체에 들어오는 유해산소와 싸우는 자체 방어 시스템 중 가장 우수한 항산화 효소를 말한다. 두 개의 평행하게 회전하는 비 공유 전자쌍을 가진 산소분자는 전자쌍이 환원될 때 전자의 회전이 제한되기 때문에 1가 환원이 잘 일어난다. SOD는 과산화된 음이온 라디칼인 환원된 산소에 수소를 제공함으로써 활성산소를 제거 시킨다(MARKLUND & MARKLUND, 1974). 따라서 삼나무 정유가 활성산소를 중화시키는 항산화 효소인 SOD와 같은 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강력한 환원제인 피로갈롤을 이용하여 SOD 유사 활성을 확인하였다. 피로갈롤은 물에 존재하는 과산화물 라디칼에 의해 자동 산화가 일어나 갈색 물질을 형성하여 과산화물 포착활성이 있는 물질이 존재시 피로갈롤의 산화속도가 낮아지는 원리를 이용하여 과산화물 포착활성을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조 등., 2007).
도 5는 항산화제인 α-토코페놀과 삼나무 정유의 조성분(crude oil)과 분획물들 SOD 유사활성 결과이다. 대조구인 α-토코페롤(40.93%) 보다 삼나무 조성분(43.24%)과 삼나무 분획 B(96.19%), D(49.82%)가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삼나무 분획 B는 96% 이상의 효과를 보이며 높은 SOD 유사활성 효과를 나타내었다. DPPH 라디칼 소거능 실험에서는 효과가 없었던 삼나무 정유 조성분과 삼나무 정유 분획 D에서도 SOD 유사활성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삼나무 정유의 조성분과 분획 B와 D는 항산화에 효과가 있다고 판단된다.
SOD 유사 활성이 높았던 삼나무 분획 B는 DPPH 라디칼 소거능에서도 다른 분획들 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므로 항산화제로 잠재적이 높다고 판단된다.
미백 및 항산화 활성 성분 탐색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이 높았던 분획 A의 주요 성분은 GC MS의 결과에 따르면 카우렌(kaurene)이다(도 6a, 표 1). 카우렌은 디테르펜(diterpene)으로 삼나무(C. japonica)잎의 주요 성분으로 밝혀져 있으며(Appleton 등., 1968) 식물과 균류의 생장 호르몬인 지베렐린의 전구물질로 알려져 있다(Otsuka 등., 2004). 이러한 카우렌은 항산화 효과가 있다고 밝혀졌다(Liu 등., 2006). 삼나무 분획 A는 카우렌(kaurene) 성분 외에 모노테르펜(monoterpene)의 γ-테르피넨(γ-terpinene), α-리모넨(α-limonene) 등이 포함되어 있었지만 그 함유량은 카우렌(kaurene)에 비해 매우 적은 양이 포함되어 있다. 카우렌(kaurene)은 표준 물질로 판매가 되고 있지 않아 표준물질의 실험은 하지 못하였지만 분획 A의 티로시나제 저해율이 높고 주요 성분이 카우렌(kaurene)이기 때문에 카우렌(kaurene)은 미백에 효과가 있는 물질이라 사료된다.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과 DPPH 라디칼 소거능, SOD 유사 활성에서 모두 높은 활성을 나타낸 분획 B의 주요 성분은 모노테르펜(monoterpene)의 보르네올(borneol) 및 디테르펜(diterpene)의 네주콜(nezukol)이었다(도 6b, 표 2). 두 물질은 비슷한 함량으로 삼나무 분획 B에 포함되어 있다.
보느네올 (borneol)은 많은 약용 식물의 추출 성분에 포함된 물질로 항미생물 활성, 항산화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물질이다(Tabanca 등., 2001; Vardar-Unlu et al., 2003). 하지만 네주콜(nezukol)은 수목 잎의 정유 성분으로의 연구만이 발표되어 있고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지 않고 있다. 네주콜(nezukol) 또한 카우렌(kaurene)과 같이 표준물질로의 판매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표준물질로 판매되고 있는 보르네올(borneol)로 미백 및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34.42%의 티로시나제 저해율과 1.95%의 DPPH 라디칼 소거능, 16.65%의 SOD 유사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에 따라 네주콜(nezukol)이 보르네올(borneol) 보다 미백 및 항산화에 효과가 있는 물질이거나 두 물질 사이의 시너지 효과가 일어나는 것이라 사료된다.
삼나무 분획 B는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과 DPPH 라디칼 소거능, SOD 유사활성 측정에서 모두 높은 활성을 나타내며 미백 및 항산화에 효과가 좋은 물질이라 사료된다. 또한 삼나무 분획 B는 주성분인 네주콜(nezukol)의 영향으로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과 DPPH 라디칼 소거능, SOD 유사 활성 시험에서 효과를 나타낸 것이라 판단된다.
화합물들 상대비율 (%) 체류시간
카우렌(kaurene) 61.07 33.39
γ-테르피넨(γ-terpinene) 6.06 9.48
α-리모넨(α-limonene) 3.49 8.68
화합물들 상대비율 (%) 체류시간
보르네올(borneol) 28.07 15.93
네주콜(nezukol) 26.89 34.97
β-오플로페논(β-oplopenone) 6.58 24.05
크립토피논(cryptopinone) 5.11 35.85
* 참고 문헌*
강정란, 이미경, 강상모. 2008. 국화류 추출물의 항산화 및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51(4), 321-328;
송호선, 문효진, 박병언, 최방실, 이동자, 이지윤, 김창종, 심상수. 2007. 대나무 추출액의 항산화 작용과 미백작용. 약학회지, 51(6) 500-507;
조민정, 박미정, 이흠숙. 2007. 쑥갓 스테롤배당체의 아질산염소거작용 및 SOD 유사활성. 한국식품과학회지, 39(1), 77-82;
Appleton, R., McCrindle, R., Overton, K. 1968. The alternative occurrence of (-)-kaurene or (+)-phyllocladene in the leaves of cryptomeria japonica D.Don. Phytochemistry, 7(1), 135-137;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Brand-Williams, W., Cuvelier, M., Berset, C. 1995. Use of a free radical method to evaluate antioxidant activity. LWT - Food Science and Technology, 28(1), 25-30;
Chem, J. 1991. In vitro effectiveness of several whitening cosmetic components in human melanocytes. J. Soc . Cosmet . Chem, 42, 361-368;
Fantone, J., Ward, P. 1982. Role of oxygen-derived free radicals and metabolites in leukocyte-dependent inflammatory reactions. The American Journal of Pathology, 107(3), 395;
Jin, Y., Lee, S., Chung, M., Park, J., Park, Y., Cho, T., Lee, S. 1999. Aloesin and arbutin inhibit tyrosinase activity in a synergistic manner via a different action mechanism.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22(3), 232-236;
Kamal-Eldin, A., Appelqvist, L. 1996. The chemistry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tocopherols and tocotrienols. Lipids, 31(7), 671-701;
Koleva, I., van Beek, T., Linssen, J., Groot, A., Evstatieva, L. 2002. Screening of plant extracts for antioxidant activity: a comparative study on three testing methods. Phytochemical analysis, 13(1), 8-17;
Kooyers, T., Westerhof, W. 2006. Toxicology and health risks of hydroquinone in skin lightening formulations. Journal of the European Academy of Dermatology and Venereology, 20(7), 777-780;
Kulisic, T., Radonic, A., Katalinic, V., Milos, M. 2004. Use of different methods for testing antioxidative activity of oregano essential oil. FoodChemistry, 85(4), 633-640;
Liu, G., Ding, L., Yang, Y., Yang, H., Yang, Q., Wang, H. 2006. Anti-oxidative action of ent-kaurene diterpenoids. Research on Chemical Intermediates, 32(8), 787-794;
Marklund, S., Marklund, G. 1974. Involvement of the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aut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opean Journal of Biochemistry, 47(3), 469-474;
Sakuma, K., Ogawa, M., Sugibayashi, K., Yamada, K., Yamamoto, K. 1999. Relationship between tyrosinase inhibitory action and oxidation-reduction potential of cosmetic whitening ingredients and phenol derivatives.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22(4), 335-339;
Otsuka, M., Kenmoku, H., Ogawa, M., Okada, K., Mitsuhashi, W., Sassa, T., Kamiya, Y., Toyomasu, T., Yamaguchi, S. 2004. Emission of ent-kaurene, a diterpenoid hydrocarbon precursor for gibberellins, into the headspace from plants. Plant and Cell Physiology, 45(9), 1129;
Park, S. 2003. Protective Effect of Isoflavone, Genistein from Soybean on Singlet Oxygen Induced Photohemolysis of Human Erythrocytes.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35(3), 510-518;
Piao, L., Park, H., Park, Y., Lee, S., Park, J., Park, M. 2002. Mushroom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of some chromones. Chemical & pharmaceutical bulletin, 50(3), 309-311;
Sies, H. 2003. Biochemistry of oxidative stress. Angewandte Chemie International Edition in English, 25(12), 1058-1071;
Tabanca, N., Kirimer, N., Demirci, B., Demirci, F., Baser, K. 2001. Composi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ssential oils of Micromeria cristata subsp. phrygia and the enantiomeric distribution of borneol. J. Agric. Food Chem, 49(9), 4300-4303;
Vardar-Unlu, G., Candan, F., Sokmen, A., Daferera, D., Polissiou, M., Sokmen, M., Donmez, E., Tepe, B. 2003.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e essential oil and methanol extracts of Thymus pectinatus Fisch. et Mey. var. pectinatus (Lamiaceae). J. Agric . Food Chem, 51(1), 63-67; 및
Yagi, A., Kanbara, T. and Morinobu, N. 1986. The effect of tyrosinase inhibition for aloe. Plant a Medica, 3981, 517-519.

Claims (5)

  1. 삭제
  2. 삼나무 잎을 증기 증류하여 추출되는 삼나무 정유 추출물에 있어서, 헥산 및 에틸아세테이트를 전개용매로 이용하여 분획되는, 보르네올 및 네주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의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 및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삼나무 정유 추출물.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00129552A 2010-12-17 2010-12-17 미백 및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삼나무 정유 추출물 KR101240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9552A KR101240816B1 (ko) 2010-12-17 2010-12-17 미백 및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삼나무 정유 추출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9552A KR101240816B1 (ko) 2010-12-17 2010-12-17 미백 및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삼나무 정유 추출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8111A KR20120068111A (ko) 2012-06-27
KR101240816B1 true KR101240816B1 (ko) 2013-03-07

Family

ID=46686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9552A KR101240816B1 (ko) 2010-12-17 2010-12-17 미백 및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삼나무 정유 추출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08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8303B1 (ko) 2015-06-12 2016-11-22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755B1 (ko) * 2012-06-29 2014-04-08 (주)에이씨티 비활성 다당체가 제거된 삼나무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8115141A (ja) * 2017-01-16 2018-07-26 良子 千葉 薬用を含む化粧品基剤および化粧品
CN108338934B (zh) * 2017-01-23 2020-11-27 珠海联邦制药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眼部护理的多肽组合物及其应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6246A (ja) 1996-07-24 1998-02-10 Pola Chem Ind Inc メラニン産生抑制剤及び皮膚外用剤
JP2003073290A (ja) * 2001-08-31 2003-03-12 Kao Corp 外用剤組成物
JP2008247841A (ja) 2007-03-30 2008-10-16 Shiseido Co Ltd 美白剤およびメラニン生成抑制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6246A (ja) 1996-07-24 1998-02-10 Pola Chem Ind Inc メラニン産生抑制剤及び皮膚外用剤
JP2003073290A (ja) * 2001-08-31 2003-03-12 Kao Corp 外用剤組成物
JP2008247841A (ja) 2007-03-30 2008-10-16 Shiseido Co Ltd 美白剤およびメラニン生成抑制剤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Microbiology, Weong-jong Yoon et al., V.58, no.1, pp61-68, 2009 *
Journal of Microbiology, Weong-jong Yoon et al., V.58, no.1, pp61-68, 2009*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8303B1 (ko) 2015-06-12 2016-11-22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8111A (ko) 2012-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ablonsky et al. Valorisation of softwood bark through extraction of utilizable chemicals. A review
Shahidi Antioxidant factors in plant foods and selected oilseeds
Ammar et al. Anti-inflammatory activity and phenolic composition of prickly pear (Opuntia ficus-indica) flowers
Fonseca et al. Evaluation of the potential of Brazilian propolis against UV-induced oxidative stress
Surget et al. Structural elucidation, in vitro antioxidant and photoprotective capacities of a purified polyphenolic-enriched fraction from a saltmarsh plant
Diniyah et al. Antioxidant potential of non-oil seed legumes of Indonesian’s ethnobotanical extracts
Yagi et al. Antioxidant and antiglycation properties of Hydnora johannis roots
Monforte et al. Phytochemical composition and gastroprotective effect of Feijoa sellowiana Berg fruits from Sicily
Jeong et al. Neuronal cell protective and antioxidant effects of phenolics obtained from Zanthoxylum piperitum leaf using in vitro model system
Baghiani et al. Antioxidants, Free Radicals Scavenging and Xanthine Oxidase Inhibitory Potentials of Ajuga iva L. Extracts.
Ngo et al. Topical application of neem leaves prevents wrinkles formation in UVB-exposed hairless mice
Zhu et al. Influence of harvest season on antioxidant activity and constituents of rabbiteye blueberry (Vaccinium ashei) leaves
Pascoal et al.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Determination of Phenolic Compounds and HPLC-DAD/ESIMS Profile of Campomanesia Adamantium Leaves
Huang et al. In vitro and in vivo evaluation of inhibition activity of lotus (Nelumbo nucifera Gaertn.) leaves against ultraviolet B-induced phototoxicity
Graf et al. Compounds leached from quinoa seeds inhibit matrix metalloproteinase activity and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KR101240816B1 (ko) 미백 및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삼나무 정유 추출물
Angerhofer et al. The use of natural compounds and botanicals in the development of anti-aging skin care products
WO2016110276A1 (zh) 含有黄柏酮的局部组合物及用其美白皮肤的方法
JP5751981B2 (ja) 新規フェニルエタノイド配糖体及び皮膚化粧料
Vichit et al. Effect of germination on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keratinocyte proliferation of rice.
KR100699302B1 (ko) 석류 씨 오일을 함유하는 화장료의 제조방법
Choi et al. Antioxidant activity of Gomchi (Ligularia fischeri) leaves
US10695283B2 (en) Extract of Greyia radlkoferi and use thereof
Santos et al. Phytochemical profiles and inhibitory effect on free radical-induced human erythrocyte damage of Dracaena draco leaf: A potential novel antioxidant agent
El Omari et al. Expediting Multiple Biological Properties of Limonene and α-Pinene: Main Bioactive Compounds of Pistacia lentiscus L., Essential Oi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