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0532B1 - 단어조합을 이용한 양방향 통역방법 - Google Patents

단어조합을 이용한 양방향 통역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0532B1
KR101240532B1 KR1020110014478A KR20110014478A KR101240532B1 KR 101240532 B1 KR101240532 B1 KR 101240532B1 KR 1020110014478 A KR1020110014478 A KR 1020110014478A KR 20110014478 A KR20110014478 A KR 20110014478A KR 101240532 B1 KR101240532 B1 KR 101240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d
language
user
bidirectional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4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5065A (ko
Inventor
윤현식
Original Assignee
윤현식
(주)글로벌토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현식, (주)글로벌토크 filed Critical 윤현식
Priority to KR1020110014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0532B1/ko
Publication of KR20120095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5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0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0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40Processing or translation of natural language
    • G06F40/42Data-driven trans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어조합을 이용한 양방향 통역방법으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단어나 문장을 입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되는 예제문을 검색한 후 조합하여, 사용자가 상대방에게 이야기하고자 하는 내용을 어떠한 표현이라도 실시간으로 정확히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대방과의 대화 내용을 즐겨찾기에 저장하여 복습함으로써 언어습득을 조기에 달성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단어조합을 이용한 양방향 통역방법{METHOD FOR INTERPRETING IN FULL DUPLEX USING WORD COMBINATION}
본 발명은 단어조합을 이용한 양방향 통역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원하는 단어나 문장을 예제문을 통해 검색한 후 조합하여 상대방의 언어로 통역할 수 있는 단어조합을 이용한 양방향 통역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교통수단이 발달하고 경제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해외여행이 빈번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외국 관광객의 방문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해외여행이나 외국 관광객과의 대화시 상대방의 언어에 능통하지 않아서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와 같은 언어 장벽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대방의 외국어를 직접 습득하는 방법, 통역가능한 여행 가이드를 대동하는 방법 및 회화서적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대방의 언어인 외국어를 직접 습득하는 방법은 자국어 수준으로 대화를 하기까지는 시간이 오래 소요되고 조기 유학 등이 수반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통역가능한 여행 가이드를 대동하는 방법은 비용이 많이 들고 다국어 통역은 사실상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회화서적을 이용하는 방법은 정형화된 문장만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때문에 적절한 대화가 어려우며, 해당 문장을 찾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대화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위와 같은 방법 이외에 입력되는 음성을 인식하여 통역하는 장치를 구비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은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4-0083921호(명칭 : 휴대용 통역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즉, 상기 종래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상되는 자국어 음성신호에 대응되는 외국어 음성데이터 및 예상되는 외국어 음성신호에 대응되는 자국어 음성데이터가 일정한 시나리오 넷 구조로 저장되어 있는 저장수단(10);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자국어 음성신호 또는 외국어 음성신호를 디지털 방식의 자국어 음성데이터 또는 외국어 음성데이터로 변환하는 음성 입력수단(20); 상기 음성 입력수단(20)으로부터 변환된 디지털 방식의 자국어 음성데이터를 인식하여 인식결과에 따라 시나리오 넷 번호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시나리오 넷 번호에 의해 상기 저장수단(10)에 저장된 해당 외국어 음성데이터를 독출하거나 상기 음성 입력수단(20)으로부터 변환된 디지털 방식의 외국어 음성데이터를 인식하여, 그 인식결과에 따라 시나리오 넷 번호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시나리오 넷 번호에 의해 상기 저장수단(10)에 저장된 자국어 음성데이터를 독출하는 음성 처리수단(30); 상기 음성 처리수단(30)으로부터 독출된 외국어 음성데이터 또는 자국어 음성데이터를 아날로그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음성 출력수단(40); 상기 음성 처리수단(3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저장수단(10)으로부터 독출된 외국어 음성데이터 또는 자국어 음성데이터를 문자 메시지로 변환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문자 표시수단(50); 상기 음성 처리수단(30)의 제어에 따라 시스템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동작상태 표시수단(60)을 포함하며, 상기 음성 입력수단(20)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아날로그 방식의 자국어 음성신호 또는 외국어 음성신호의 크기를 소정 레벨로 조정하는 레벨 조정부(21)와, 상기 레벨 조정부(21)로부터 레벨 조정된 아날로그 방식의 자국어 음성신호 또는 외국어 음성신호를 디지털 방식의 자국어 음성데이터 또는 외국어 음성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음성 처리수단(30)으로 출력하는 A/D 컨버터(22)로 구성되고, 음성 처리수단(30)은 음성 입력수단(20)으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방식의 자국어 음성데이터 또는 외국어 음성데이터를 소정의 음성데이터 인식방식에 따라 인식하여 인식결과를 출력하는 음성 인식부(31)와, 상기 음성 인식부(31)의 인식결과에 의해 시나리오 넷 번호를 검출하여, 그 검출된 시나리오 넷 번호에 의해 저장수단(10)에 저장된 외국어 음성데이터 또는 자국어 음성데이터를 독출하는 제어부(32)와, 상기 저장수단(10)으로부터 독출된 외국어 음성데이터 또는 자국어 음성데이터를 소정의 음성데이터 신장방식에 따라 신장하여 음성 출력수단(40)으로 출력하는 음성 신장부(33)와, 외부 컴퓨터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34)로 구성되고, 상기 음성 출력수단(40)은 상기 음성 처리수단(30)으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방식의 외국어 음성데이터 또는 자국어 음성데이터를 아날로그 방식의 외국어 음성신호 또는 자국어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D/A 컨버터(41)와 상기 D/A 컨버터(41)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방식의 외국어 음성신호 또는 자국어 음성신호를 전력 증폭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전력 증폭부(42)로 구성되어, 입력되는 자국어 음성을 인식함으로써 외국어로 실시간 통역하거나 외국인의 외국어 음성을 인식하여 자국어로 실시간 통역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입력되는 음성을 인식하여 통역하는 종래기술은 입력되는 음성신호의 억양, 발음, 표준어 및 각 지역의 사투리에 따른 사용자의 개인차 때문에 정확한 통역이 이루어지지 않고 오역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사용자가 원하는 단어나 문장을 입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되는 예제문을 검색한 후 조합하여, 어떠한 표현이라도 상대방의 언어로 신속하고 정확히 통역할 수 있는 단어조합을 이용한 양방향 통역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어조합을 이용한 양방향 통역방법은, (A1) 양방향 통역장치가 터치펜(120)의 터치에 따라 키패드(112)를 통해 제 1 단어를 입력받는 단계(S214); (B1) 양방향 통역장치가 상기 입력된 제 1 단어와 형태적으로 유사한 단어나 문장을 예제 DB(153)에서 검색하여 통역기능창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216); (C1) 터치펜(120)을 통해 제 1 단어에 해당하는 단어가 선택되면(S218), 상기 선택된 제 1 단어에 해당하는 자국어가 사용자언어 표시창(115)에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선택된 제 1 단어에 해당하는 외국어가 상대방언어 표시창(114)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S220); (D1) 터치펜(120)을 통해 상기 사용자언어 표시창(115) 또는 상대방언어 표시창(114)이 터치되면 상기 선택된 제 1 단어의 자국어 또는 외국어가 음성 출력부(180)를 통해 출력되는 단계(S222); (E1) 키패드 전환창(118)이 선택(S228)되면, 양방향 통역장치가 사전기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230); (F1) 양방향 통역장치가 터치펜(120)의 터치에 따라 키패드(112)를 통해 제 2 단어를 입력받는 단계(S232); (G1) 양방향 통역장치가 상기 입력된 제 2 단어와 형태적으로 유사한 단어나 문장을 예제 DB(153)에서 검색하여 통역기능창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234); (H1) 터치펜(120)을 통해 제 2 단어에 해당하는 단어가 선택되면(S236), 단어조합부(160)가 상기 (C1) 단계를 통해 선택된 제 1 단어와 상기 제 2 단어를 조합하여 사용자언어 표시창(115) 또는 상대방언어 표시창(114)에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S238); (I1) 터치펜(120)을 통해 상기 사용자언어 표시창(115) 또는 상대방언어 표시창(114)이 터치되면 상기 제 1 단어와 제 2 단어가 조합된 문장이 음성 출력부(180)를 통해 출력되는 단계(S24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A1) 단계 이전에, (A11) 양방향 통역장치의 사전기능창에서, 터치펜(120)을 이용하여 사용자언어 변환부(130)와 상대방언어 변환부(140)를 터치함으로써 자국어 및 외국어를 선택하는 단계(S210)를 더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A12) 상기 사용자언어 변환부(130)를 통해 사용자의 자국어가 선택됨에 따라 제어부(190)가 키패드(112)의 자판 배열을 사용자 국가의 언어에 맞게 변환하는 단계(S212)를 더 포함한다.
또한, (D11) 상기 (D1) 단계에서, 북마크 입력창(116)을 통해 상기 선택된 제 1 단어에 대한 저장 신호가 요청(S224)되면, 상기 제 1 단어를 즐겨찾기 DB(154)에 저장(S226)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단어조합을 이용한 양방향 통역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원하는 단어나 문장을 입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되는 예제문을 검색한 후 조합하여, 사용자가 상대방에게 이야기하고자 하는 내용을 어떠한 표현이라도 실시간으로 정확히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대방과의 대화 내용을 즐겨찾기에 저장하여 복습함으로써 언어습득을 조기에 달성할 수 있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음성을 인식하여 통역하는 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단어조합을 이용한 양방향 통역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양방향 통역장치의 사전기능창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양방향 통역장치의 통역기능창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어조합을 이용한 양방향 통역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통역기능창의 제 1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즐겨찾기 팝업창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통역기능창의 제 2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통역기능창의 제 3 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어조합을 이용한 양방향 통역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단어조합을 이용한 양방향 통역장치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단어조합을 이용한 양방향 통역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양방향 통역장치의 사전기능창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양방향 통역장치의 통역기능창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양방향 통역장치(100)는, 입력부(110), 터치펜(120), 사용자언어 변환부(130), 상대방언어 변환부(140), 저장부(150), 단어조합부(160), 음성출력부(170), 화면출력부(18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입력부(110)는 사용자가 통역하기를 희망하는 단어를 입력하거나 사용자언어 및 상대방언어를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하는 터치스크린이다.
예를 들면, 상기 입력부(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방향 통역장치의 사전기능창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키패드(112)를 통해 단어에 대한 선택신호를 입력받고, 엔터키(113)를 누름에 따라 입력되는 단어를 입력창(111)에 디스플레이시킨다. 또한, 상기 입력부(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방향 통역장치의 통역기능창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예제문 표시창(117)을 통해 단어나 문장에 대한 선택신호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상대방언어 표시창(114)과 사용자언어 표시창(115)에 상대방언어와 사용자언어를 디스플레이시키거나, 북마크 입력창(116)을 통해 기입력된 단어나 문장을 즐겨찾기창(119)에 추가시키거나, 키패드 전환창(118)을 통해 도 3에 도시된 사전기능창을 디스플레이시킨다.
터치펜(120)은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키패드(112)를 통해 통역하고자 하는 단어나 문장의 자음 및 모음을 입력하거나, 도 3 및 도 4를 통해 예를 들어 상술한 각 종 입력신호를 입력하는 수단이다.
사용자언어 변환부(130) 및 상대방언어 변환부(140)는 각각 사용자 또는 상대방 국가의 선택신호에 따라 한국어, 영어, 중국어, 일본어, 러시아어, 독일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포르투칼어, 아랍어, 베트남(남부/북부)어, 태국어, 몽골어, 인니(인도네시어)어, 필리핀어 등으로 변환한다.
이때,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양방향 통역장치가 상술한 16개국의 다국어 통역을 지원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체코어 및 말레이시아어와 같은 세계의 모든 다국어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저장부(150)는 상기 양방향 통역장치를 운영하기 위한 운영정보 및 다국어 통역관련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수단으로서, 사용자가 통역하기를 희망하는 수십만 가지의 단어나 문장이 저장된 단어 DB(151)와, 상기 영어, 중국어, 일본어, 러시아어, 독일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포르투칼어, 아랍어, 베트남(남부/북부)어, 태국어, 몽골어, 인니(인도네시어)어, 필리핀어 등의 외국어가 저장된 외국어 DB(152)와,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와 형태적으로 유사한 단어나 평서문, 의문문, 감탄문 및 명령문과 같은 서술어 문장이 저장된 예제 DB(153)와, 사용자가 선택하여 이전에 통역한 단어 및 문장, 또는 자주 사용하는 단어 및 문장이 저장된 즐겨찾기 DB(154)를 포함한다.
단어조합부(160)는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단어나 문장을 순차적으로 매칭하여 완성된 문장으로 조합하는 수단이다.
음성출력부(170)는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단어 및 문장 또는 상기 단어조합부(160)를 통해 조합된 문장을 음성을 통해 출력한다.
화면출력부(18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희망하는 단어 및 문장을 입력하는 사전기능창을 디스플레이하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희망하는 단어 및 문장을 통역하는 통역기능창을 디스플레이한다.
제어부(190)는 상기 입력부(110), 사용자언어 변환부(130), 상대방언어 변환부(140), 저장부(150), 단어조합부(160), 음성출력부(170) 및 화면출력부(180)의 기능을 제어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단어나 문장을 조합하여 상대방의 언어로 정확히 통역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어조합을 이용한 양방향 통역방법을 상술한 도면과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어조합을 이용한 양방향 통역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통역기능창의 제 1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즐겨찾기 팝업창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통역기능창의 제 2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통역기능창의 제 3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사용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출력부(18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양방향 통역장치의 사전기능창에서, 터치펜(120)을 이용하여 사용자언어 변환부(130)와 상대방언어 변환부(140)를 터치함으로써 사용자언어 및 상대방언어를 선택한다(S210).
이때, 제어부(190)는 사용자언어 변환부(130)를 통해 해당 사용자의 국가가 선택됨에 따라 키패드(112)를 사용자 국가의 언어에 맞게 변환한다(S212).
다음에, 양방향 통역장치는 터치펜(120)의 터치에 따라 키패드(112)를 통해 사용자가 통역하기를 희망하는 제 1 단어나 문장을 입력받는다(S214).
그 다음, 양방향 통역장치는 상기 S214 단계를 통해 입력되는 제 1 단어를 입력창(111)에 디스플레이하며, 엔터키(113)를 통해 입력되는 전환신호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역기능창을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입력된 제 1 단어와 형태적으로 유사한 단어나 문장을 예제 DB(153)에서 검색하여 예제문 표시창(117)을 통해 디스플레이한다(S216).
예를 들어, 사용자가 터치펜(120)을 통해 키패드(112)를 터치하여 '사과'를 입력하고 엔터키(113)를 더블클릭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과'와 형태적으로 유사한 단어인 '사과', '사과(과일)', 사과나무, 사과문 등의 단어가 예제문 표시창(117)을 통해 열거된다.
이후, 사용자가 통역하기를 희망하는 제 1 단어, 예를 들어 '사과(과일)'를 터치펜(120)을 통해 터치하여 선택하면(S218), 상기 선택된 '사과'라는 단어가 사용자언어 표시창(115)에 디스플레이됨과 동시에, 'apple'이라는 영어 단어가 상대방언어 표시창(114)에 디스플레이 된다(S220).
이때, 사용자가 터치펜(120)을 통해 상기 사용자언어 표시창(115) 또는 상대방언어 표시창(114)을 터치하면 상기 선택된 '사과' 또는 'apple'이 음성 출력부(180)를 통해 출력된다(S222).
여기서, 사용자가 상기 선택된 제 1 단어인 '사과'를 자주 사용하는 단어로 저장하기를 요청(S224)하면, 북마크 입력창(116)을 터치펜(120)으로 터치함으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되는 팝업창을 통해 즐겨찾기 DB(154)에 저장(S226)한 후, 즐겨찾기창(119) 메뉴를 통해 수시로 활용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키패드 전환창(118)을 선택(S228)하면, 양방향 통역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전기능창을 다시 디스플레이한다(S230)
다음에, 양방향 통역장치는 터치펜(120)의 터치에 따라 키패드(112)를 통해 사용자가 통역하기를 희망하는 제 2 단어를 입력받는다(S232).
그 다음, 양방향 통역장치는 상기 S232 단계를 통해 입력되는 제 2 단어를 입력창(111)에 디스플레이하며, 엔터키(113)를 통해 입력되는 전환신호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역기능창을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입력된 제 2 단어와 형태적으로 유사한 단어나 문장을 예제 DB(153)에서 검색하여 예제문 표시창(117)을 통해 디스플레이한다(S234).
예를 들어, 사용자가 터치펜(120)을 통해 키패드(112)를 터치하여 '얼마'를 입력하고 엔터키(113)를 더블클릭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마'와 형태적으로 유사한 단어 또는 문장인 '얼마나 지났나요?', '얼마나 지연되나요?', '얼마인가요?' 등이 예제문 표시창(117)을 통해 열거된다.
이후, 사용자가 통역하기를 희망하는 단어, 예를 들어 '얼마인가요?'를 터치펜(120)을 통해 터치하여 선택하면(S236), 단어조합부(16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S218 단계를 통해 선택된 제 1 단어인 '사과' 또는 'apple' 에 이어서, 상기 선택된 '얼마인가요?' 또는 'How much is it?'라는 문장을 조합하여, 사용자언어 표시창(115) 또는 상대방언어 표시창(114)에 디스플레시킨다(S238).
이때, 사용자가 터치펜(120)을 통해 상기 사용자언어 표시창(115) 또는 상대방언어 표시창(114)을 터치하면 상기 선택된 '사과 얼마인가요?' 또는 'apple how much is it'이라는 음성이 음성 출력부(180)를 통해 출력된다(S240).
여기서, 사용자가 상기 S236 단계를 통해 선택된 단어인 '얼마인가요?'를 자주 사용하는 단어로 저장하기를 요청(S242)하면, 북마크 입력창(116)을 터치펜(120)으로 터치함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되는 팝업창을 통해 즐겨찾기 DB(154)에 저장(S224)한 후, 즐겨찾기창(119) 메뉴를 통해 수시로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외국어에 능통하지 않더라도 상기와 같은 본원발명에 따른 단어조합을 이용한 양방향 통역방법을 통해 외국인에게 사용자가 원하는 의사표현을 신속하면서도 정확히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
100 : 양방향 통역장치 110 : 입력부
120 : 터치펜 130 : 사용자언어 변환부
140 : 상대방언어 변환부 150 : 저장부
151 : 단어 DB 152 : 외국어 DB
153 : 예제 DB 154 : 즐겨찾기 DB
160 : 단어조합부 170 : 음성출력부
180 : 화면출력부 190 : 제어부

Claims (4)

  1. (A1) 양방향 통역장치가 터치펜(120)의 터치에 따라 키패드(112)를 통해 제 1 단어를 입력받는 단계(S214);
    (B1) 양방향 통역장치가 상기 입력된 제 1 단어와 형태적으로 유사한 단어나 문장을 예제 DB(153)에서 검색하여 통역기능창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216);
    (C1) 터치펜(120)을 통해 제 1 단어에 해당하는 단어가 선택되면(S218), 상기 선택된 제 1 단어에 해당하는 자국어가 사용자언어 표시창(115)에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선택된 제 1 단어에 해당하는 외국어가 상대방언어 표시창(114)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S220);
    (D1) 터치펜(120)을 통해 상기 사용자언어 표시창(115) 또는 상대방언어 표시창(114)이 터치되면 상기 선택된 제 1 단어의 자국어 또는 외국어가 음성 출력부(180)를 통해 출력되는 단계(S222);
    (E1) 키패드 전환창(118)이 선택(S228)되면, 양방향 통역장치가 사전기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230);
    (F1) 양방향 통역장치가 터치펜(120)의 터치에 따라 키패드(112)를 통해 제 2 단어를 입력받는 단계(S232);
    (G1) 양방향 통역장치가 상기 입력된 제 2 단어와 형태적으로 유사한 단어나 문장을 예제 DB(153)에서 검색하여 통역기능창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234);
    (H1) 터치펜(120)을 통해 제 2 단어에 해당하는 단어가 선택되면(S236), 단어조합부(160)가 상기 (C1) 단계를 통해 선택된 제 1 단어와 상기 제 2 단어를 조합하여 사용자언어 표시창(115) 또는 상대방언어 표시창(114)에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S238);
    (I1) 터치펜(120)을 통해 상기 사용자언어 표시창(115) 또는 상대방언어 표시창(114)이 터치되면 상기 제 1 단어와 제 2 단어가 조합된 문장이 음성 출력부(180)를 통해 출력되는 단계(S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조합을 이용한 양방향 통역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1) 단계 이전에,
    (A11) 양방향 통역장치의 사전기능창에서, 터치펜(120)을 이용하여 사용자언어 변환부(130)와 상대방언어 변환부(140)를 터치함으로써 자국어 및 외국어를 선택하는 단계(S2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조합을 이용한 양방향 통역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A12) 상기 사용자언어 변환부(130)를 통해 사용자의 자국어가 선택됨에 따라 제어부(190)가 키패드(112)의 자판 배열을 사용자 국가의 언어에 맞게 변환하는 단계(S21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조합을 이용한 양방향 통역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D11) 상기 (D1) 단계에서, 북마크 입력창(116)을 통해 상기 선택된 제 1 단어에 대한 저장 신호가 요청(S224)되면, 상기 제 1 단어를 즐겨찾기 DB(154)에 저장(S226)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조합을 이용한 양방향 통역방법.
KR1020110014478A 2011-02-18 2011-02-18 단어조합을 이용한 양방향 통역방법 KR101240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478A KR101240532B1 (ko) 2011-02-18 2011-02-18 단어조합을 이용한 양방향 통역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478A KR101240532B1 (ko) 2011-02-18 2011-02-18 단어조합을 이용한 양방향 통역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5065A KR20120095065A (ko) 2012-08-28
KR101240532B1 true KR101240532B1 (ko) 2013-03-11

Family

ID=46885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4478A KR101240532B1 (ko) 2011-02-18 2011-02-18 단어조합을 이용한 양방향 통역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05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2096B1 (ko) * 2017-11-10 2019-10-1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음성인식과 게임 콘텐츠를 활용한 언어 학습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6044A (ko) * 2001-03-27 2002-10-09 삼성전자 주식회사 대화 모델을 이용한 자동 통역 장치 및 방법
KR20050119808A (ko) * 2004-06-17 2005-12-22 윤병원 음성인식을 이용한 다국어 통역/학습 장치 및 방법과 그저장매체
KR20110010916A (ko) * 2009-07-27 2011-02-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의미 표현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6044A (ko) * 2001-03-27 2002-10-09 삼성전자 주식회사 대화 모델을 이용한 자동 통역 장치 및 방법
KR20050119808A (ko) * 2004-06-17 2005-12-22 윤병원 음성인식을 이용한 다국어 통역/학습 장치 및 방법과 그저장매체
KR20110010916A (ko) * 2009-07-27 2011-02-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의미 표현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5065A (ko) 2012-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27929B2 (en) Voice command matching during testing of voice-assisted application prototypes for languages with non-phonetic alphabets
JP2009205579A (ja) 音声翻訳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40035823A1 (en) Dynamic Context-Based Language Determination
KR101717488B1 (ko) 문자입력 방법 및 장치
US20150032440A1 (en) Method for Providing Translations to an E-Reader and System Thereof
CN107632982B (zh) 语音控制外语翻译设备用的方法和装置
KR101626109B1 (ko) 통역 장치 및 방법
WO2014183435A1 (en) A method, system, and mobile terminal for realizing language interpretation in a browser
KR101240532B1 (ko) 단어조합을 이용한 양방향 통역방법
Chomchalerm et al. Braille dict: Dictionary application for the blind on android smartphone
JP5998298B1 (ja) 音声翻訳装置、音声翻訳方法、及び音声翻訳プログラム
KR101554619B1 (ko) 터치 스크린을 활용한 어학 학습 시스템 및 어학 학습 방법
JP2018072509A (ja) 音声読み上げ装置、音声読み上げシステム、音声読み上げ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3136344A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literating text from one language to multiple language scripts
KR20120077800A (ko) 자동 번역 시스템에서 외국어 문장에 포함된 단어의 유의어를 제공하는 방법, 번역 장치 및 단말기, 그리고 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20110072496A (ko) 특정기능어를 이용한 전자사전 검색 장치 및 검색 방법
JP2011243011A (ja) 入力支援装置、抽出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JP2008217770A (ja) 言語データ表示システム、言語データ表示方法、及び言語データ表示プログラム
KR101447388B1 (ko) 로마자 표기법을 따르는 한글 입력 방법에서의 제안어 자동 생성 방법
JP2010055506A (ja) 音声翻訳装置および方法
WO2007121614A1 (fr) Procédé de traduction automatisée pour la traduction d'une langue en plusieurs langues
KR20150084186A (ko) 한글 독음 입력에 의한 한자 제안어 목록 자동 생성 및 입력 방법
TWI238946B (en) Language communication computer
GB2580755A (en) Voice command matching during testing of voice-assisted application prototypes for languages with non-phonetic alphabets
JP2015170093A (ja) 未知語抽出装置及び未知語抽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