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0466B1 - 복수의 컴퓨터와 복수의 터미널 간 상호 연결을 지원하는 전자 교환기, 전자 교환 시스템 및 전자 교환 시스템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복수의 컴퓨터와 복수의 터미널 간 상호 연결을 지원하는 전자 교환기, 전자 교환 시스템 및 전자 교환 시스템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0466B1
KR101240466B1 KR1020090058617A KR20090058617A KR101240466B1 KR 101240466 B1 KR101240466 B1 KR 101240466B1 KR 1020090058617 A KR1020090058617 A KR 1020090058617A KR 20090058617 A KR20090058617 A KR 20090058617A KR 101240466 B1 KR101240466 B1 KR 101240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uter
terminals
computers
information
switching ele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8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1205A (ko
Inventor
이재성
권원옥
김성운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058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0466B1/ko
Priority to CN2009102250354A priority patent/CN101937411A/zh
Priority to JP2009267544A priority patent/JP2011010259A/ja
Publication of KR20110001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0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0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5/00Selecting arrangements wherein two or more subscriber stations are connected by the same line to the exch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Multi Processor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교환기, 전자 교환 시스템 및 전자 교환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면에 전자 교환 시스템은, 복수의 컴퓨터를 포함하는 컴퓨터 그룹과, 복수의 터미널을 포함하는 터미널 그룹 및 컴퓨터 그룹의 각 컴퓨터와 터미널 그룹의 각 터미널을 동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전자 교환기를 포함한다.
Figure R1020090058617
유틸리티 컴퓨팅 환경, KVM, 동적 연결

Description

 복수의 컴퓨터와 복수의 터미널 간 상호 연결을 지원하는 전자 교환기, 전자 교환 시스템 및 전자 교환 시스템의 제어 방법{ELECTRONIC EXCHANGER FOR SUPPORTING INTERCONNECTIONS BETWEEN MULTIPLE COMPUTERS AND MULTIPLE TERMINALS,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복수의 컴퓨터와 복수의 터미널 장치 간 상호 연결을 지원하는 전자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복수의 컴퓨터 중 임의의 한 대와 복수의 터미널 장치 중 임의의 한대가 서로 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고 같은 방식으로 다른 여러 쌍의 논리적 연결도 동시에 가능하도록 하는 교환기의 구성 방법 및 내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의 IT신성장동력핵심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7-S-016-03, 과제명: 저비용 대규모 글로벌 인터넷 서비스 솔루션 개발].
KVM 스위치는, 복수의 서버가 존재하는 데이터 센터 등에서 각 서버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 한 대 또는 소수의 터미널과 복수의 서버들 간 멀티플렉싱(multiplexing)을 통해 관리자가 각 서버들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스위치이다. KVM은 Keyboard, Video, Mouse의 약자로서 일반적으로 한 명 또는 소수의 관리자가 복수의 서버를 관리하는데 있어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 최적화된 것이다. 즉, KVM 스위치는 1:N (N은 컴퓨터의 대수) 연결을 위한 멀티플렉싱/디멀티플렉싱 기술이다.
그러나 주어진 환경이 서버관리를 위한 환경이 아니라 복수의 사용자가 복수의 컴퓨터라는 리소스를 상황에 따라 서로 바꾸어가면서 연결해 사용하고자 하는 형태의 유틸리티 컴퓨팅 환경(예컨대 공공 서비스 시설, 콜 센터, PC 방, (대)학교 및 학원 컴퓨터실, CBT 시험기관 등)이라면 KVM 스위치는 그 환경에는 적합하지 않게 된다. 즉, 유틸리티 컴퓨팅 환경에서 복수의 컴퓨터들이 제각각 터미널을 가지고 운영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비효율적 공간 활용, 개별 컴퓨터 관리의 어려움, 사용자 자리 할당의 문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보수에 따른 비즈니스의 불연속성 문제, 전체 컴퓨팅 환경의 비효율적 전력관리 등의 문제 해결에는 기존 1:N (N은 컴퓨터의 대수) 연결을 위한 멀티플렉싱/디멀티플렉싱 기술은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컴퓨터 그룹과 복수의 터미널 그룹에서 임의의 한 컴퓨터와 임의의 한 터미널이 논리적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기반으로 가용한 컴퓨터 또는 터미널 수가 다 소진될 때까지 복수 쌍의 컴퓨터-터미널 논리적 연결이 동적으로 생성/소멸 가능하도록 하는 전자교환기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전자 교환기는, 복수의 컴퓨터와 복수의 터미널을 각각 상호 연결하는 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컴퓨터와 상기 복수의 터미널 간의 연결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상태 저장부 및 상기 연결 상태에 관한 정보에 따라 온 또는 오프하여 상기 복수의 터미널을 상기 복수의 컴퓨터와 각각 연결시키는 복수의 스위칭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전자 교환 시스템은, 복수의 컴퓨터를 포함하는 컴퓨터 그룹과, 복수의 터미널을 포함하는 터미널 그룹 및 상기 컴퓨터 그룹의 상기 각 컴퓨터와 상기 터미널 그룹의 상기 각 터미널을 동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전자 교환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 따른 전자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복수의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여 복수의 컴퓨터와 복수의 터미널을 각각 상호 연결하는 전자 교환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과 상기 컴퓨터 간의 연결의 요청되면, 상기 각 스위칭 소자의 온 또는 오프를 나타내는 복수의 온/오프 정보를 이용하여 가용한 컴퓨터를 검색하는 단계와, 가용한 컴퓨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터미널과 상기 가용한 컴퓨터를 연결하는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갱신된 온/오프 정보에 따라 상기 스위칭 소자를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최근에 이슈화 되고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 유틸리티 컴퓨팅 환경에서 복수의 사용자 각각이 복수의 컴퓨터를 동적으로 바꿔가면서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또는 사업자 측면에서는, 컴퓨터의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업그레이드나 수리를 할 때 위치를 이동해 다니면서 할 필요가 없어서, 각 컴퓨터 별로 터미널을 한대씩 직접 연결하여 쓰는 경우에 비해 컴퓨터 유지 및 보수가 한결 수월해질 수 있다.
또한, 유틸리티 컴퓨팅 환경에서 현재 사용하고자 하는 컴퓨터에 문제가 있을 경우 다른 컴퓨터를 할당받을 수 있어 사업의 연속성이 보장되며, 공간 활용 등 의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소자(elements)가 다른 소자와 "연결된(connected to)" 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와 직접 연결 또는 커플링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컴퓨터’라 함은 일반 데스크톱 PC, 노트북 뿐만 아니라 볼륨서버용 랙에 마운트 가능한 유닛 서버, 블레이드 서버, 또는 이에 상응하는 형태 즉, 메인 보드, 중앙처리장치(CPU), 메모리, IO 브릿지 칩셋들로 구성된 단위 시스템을 통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터미널’ 이라 함은 LCD, PDP, CRT 등으로 구성 된 디스플레이 장치와 키보드, 마우스, 스피커, 마이크, USB 포트 등으로 구성된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묶음을 일컫는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컴포지트 케이블, S-VIDEO 케이블, 컴포넌트 케이블, D-SUB 케이블(일명 VGA 케이블), DVI 케이블, HDMI 케이블, 기타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영상 관련 케이블들을 통해 영상 신호를 입력 받아 디스플레이 패널에 그 신호의 내용을 출력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마우스 라 함은 PS2 나 USB 포트를 통해 컴퓨터와 상호 통신하는 마우스를 의미하며, 키보드 역시 PS2 나 USB 포트를 통해 컴퓨터와 상호 통신하는 키보드를 의미한다. 스피커는 RCA, OFC 등 다양한 형태의 오디오 케이블을 통해 컴퓨터와 연결되는 스피커를 일컫는다. USB 포트는 각 컴퓨터에 부착된 하나의 연결구로서 USB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며 싱글 케이블 포트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고 USB 허브 형태로 존재하여 복수의 포트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USB 포트/허브는 모니터의 옆면이나 앞면 하단 또는 키보드 등 다른 터미널 구성요소에 합본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USB 마우스나 USB 키보드를 사용한다면 USB 포트에 연결하여 터미널을 구성하게 되며 USB PC 카메라 등 다양한 USB 부착 장치들도 마찬가지로 USB 포트에 연결하여 터미널을 구성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전자 교환기 및 전자 교환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전자교환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교환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교환 시스템(10)은, 컴퓨터 그룹, 터미널 그룹 및 전자 교환기(100)를 포함하여, 복수의 컴퓨터(C_1~C_N)와 복수의 터미 널(T_1~T_M)간 상호 연결을 지원한다.
컴퓨터 그룹은, 예컨대 N개(N은 자연수)의 PC 본체들이 집합적으로 모여 있는 것을 말하고, 터미널 그룹은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 스피커, 마이크, USB 포트 등 사용자와 직접 인터페이스하는 M개(M은 자연수)의 터미널(T_1~T_M)들이 모여 있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컴퓨터 그룹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볼륨 서버(S_1~S_N)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복수의 블레이드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교환기(100)는, 컴퓨터 그룹과 터미널 그룹 사이에서 컴퓨터(C_1~C_N)와 터미널(T_1~T_M)을 논리적으로 연결한다. 컴퓨터 그룹의 각 컴퓨터(C_1~C_N)와 전자 교환기(100) 간의 연결선과, 터미널 그룹의 각 터미널(T_1~T_M)과 전자 교환기(100) 간의 연결선은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 스피커, 마이크, USB 포트 각각의 전용 케이블로 구성된 개별 케이블 선들로 구현될 수도 있고 하나로 단일화된 또는 몇 개로 그룹화 된 케이블 묶음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전자 교환기(100)는 터미널 그룹의 터미널(T_1~T_M)들을 컴퓨터 그룹의 컴퓨터(C_1~C_N)와 동적으로 상호 연결시켜 주거나, 이미 연결된 컴퓨터(C_1~C_N)와 터미널(T_1~T_M)을 분리할 수 있다. 이 상호 연결 및 분리는 수동으로 케이블을 착/탈함으로서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터미널(T_1~T_M)들은 복수의 컴퓨터(C_1~C_N)와 동적으로 바꿔가면서 연결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사용자들은 복수의 컴퓨터(C_1~C_N)를 동적으로 바꿔가면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C_1~C_N)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다른 컴퓨터(C_1~C_N)를 할당받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업의 연속성이 보장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또는 사업자는, 컴퓨터(C_1~C_N)의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업그레이드나 수리를 할 때, 위치를 이동해 다니면서 할 필요가 없어서, 컴퓨터 그룹의 유지 및 보수가 수월해질 수 있다.
이하에서 도 3을 참조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전자 교환기(100)에 대해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교환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교환기(100)는 복수의 스위칭부(SW_1~SW_M)와, 상태 저장부(110) 및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도 3에는 N개의 컴퓨터(C_1~C_N)와 M개의 터미널(T_1~T_M)이 1개의 신호선으로 연결되는 경우가 예로 도시되어 있다.
각 스위칭부(SW_1~SW_M)는 터미널 그룹의 각 터미널(T_1~T_M)을 컴퓨터그룹의 각 컴퓨터(C_1~C_N)와 선택적으로 연결시킨다. 구체적으로 스위칭부(SW_1~SW_M)는 M개가 구비되며, 각 스위칭부(SW_1~SW_M)는, 컴퓨터 그룹을 구성하는 컴퓨터(C_1~C_N)의 수, 예컨대 N개의 스위치를 포함하여, M개의 터미널(T_1~T_M) 각각을 N개의 컴퓨터(C_1~C_N)와 선택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제어부(120)는 상태 저장부(110)를 통해 각 스위칭 소자(SW(1,1)~SW(N,M))의 온 또는 오프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태 저장부(110)는 각 스위칭 소자(SW(1,1)~SW(N,M)) 온 또는 오프의 상태를 저장한다. 예컨대 상태 저장부(110)는 스위칭 소자(SW(1,1)~SW(N,M))의 N×M개의 온/오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20)가 제1 터미널(T_1)을 제1 컴퓨터(C_1)와 연결하기 위해, 상태 저장부(110)에 저장된 제1 스위칭 소자(SW(1,1))의 온/오프 정보를 1(또는 온)로 하고, 제2 내 지 제N 스위칭 소자(SW(1,1)~SW(N,M))의 온/오프 정보를 0(또는 오프)으로 하면, 제1 스위칭 소자(SW(1,1))만 온되고 제2 내지 제N 스위칭 소자(SW(2,1)~SW(N,M))는 오프되어, 제1 터미널(T_1)이 제1 컴퓨터(C_1)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태 저장부(110)는, 터미널(T_1~T_M)과 스위칭 소자(SW(1,1)~SW(N,M))를 연결하는 케이블 및 컴퓨터(C_1~C_N)와 스위칭 소자(SW(1,1)~SW(N,M))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인식할 수 있다. 예컨대 각 케이블에 고유번호가 부여되어 있을 수 있다. 상태 저장부(110)는 스위칭 소자(SW(1,1)~SW(N,M))에 접속된 케이블의 고유번호를 인식하고, 그로 인해 어떤 터미널이 어떤 컴퓨터에 연결되어 있는지 파악할 수 있다. 또는 상태 저장부(110)는, 터미널(T_1~T_M) 및 컴퓨터(C_1~C_N)를 구별할 수 있는 신호를 각 터미널(T_1~T_M) 및 각 컴퓨터(C_1~C_N)로부터 입력받아 터미널(T_1~T_M) 및 컴퓨터(C_1~C_N)의 연결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파악한 결과를 전술한 바와 같이 0 또는 1로 저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예컨대 관리자가 수동으로 케이블을 탈착하는 경우 또는 케이블을 바꿔 끼우는 경우에도, 케이블의 고유번호를 인식하거나 또는, 터미널(T_1~T_M) 및 컴퓨터(C_1~C_N)를 구별할 수 있는 신호를 입력받아, 현재 어떤 터미널이 어떤 컴퓨터에 연결되어 있는지 파악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 케이블 커넥터에 케이블의 고유 번호를 저장한 메모리가 구비될 수 있으며, 커넥터의 탈착 여부를 알 수 있는 핀을 별도로 정의할 수도 있다.
제어부(120)는 시스템 관리자 또는 관리 컴퓨터의 프로그램일 수 있고, 또는 시스템 관리자 또는 관리 컴퓨터에 의해 동작을 수행하는 유닛일 수 있다. 또한 상 태 저장부(110)는 현재 전자 교환 시스템의 논리적 연결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서, 이이피롬(EEPROM), 플래쉬(flash) 메모리, 레지스터(registers) 등 어떠한 형태의 기억 소자로도 구현될 수 있다. 상태 저장부(110)는 제어부(120)에 의해 연결 상태 정보가 읽혀지거나 또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새로운 연결 상태로 갱신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교환기 및 전자 교환 시스템은,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터미널(T_1~T_M)과 컴퓨터(C_1~C_N)을 동적으로 연결시키지 않고, 관리자에 의해 수동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태 저장부(11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각 스위칭 소자(SW(1,1)~SW(N,M))의 온 또는 오프 상태를 저장 및 갱신하여 각 스위칭 소자(SW(1,1)~SW(N,M))를 온 또는 오프시키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이, 관리자가 터미널(T_1~T_M)과 스위칭 소자(SW(1,1)~SW(N,M))를 연결하는 케이블 및 컴퓨터(C_1~C_N)와 스위칭 소자(SW(1,1)~SW(N,M))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수동으로 탈착하여 터미널(T_1~T_M)과 컴퓨터(C_1~C_N)을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각 케이블에 고유번호가 부여되어 있고, 상태 저장부(110)는 스위칭 소자(SW(1,1)~SW(N,M))에 접속된 케이블의 고유번호를 인식하여, 어떤 터미널이 어떤 컴퓨터에 연결되어 있는지 파악할 수 있다. 상태 저장부(110)는 파악된 결과를 저장 또는 갱신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각 스위칭 소자(SW(1,1)~SW(N,M))에 대한 구체적인 예를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는 도 3에 도시된 스위칭 소자(SW(1,1)~SW(N,M))에 대한 예시도이다.
터미널(T_1~T_M)과 컴퓨터(C_1~C_N) 간에 단방향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터미널(T_1~T_M)과 컴퓨터(C_1~C_N)를 연결하는 스위칭 소자(SW(1,1)~SW(N,M))는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3상태(tri-state) 버퍼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터미널(T_1~T_M)과 컴퓨터(C_1~C_N) 간에 양방향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터미널(T_1~T_M)과 컴퓨터(C_1~C_N)를 연결하는 스위칭 소자(SW(1,1)~SW(N,M))는 도 6에 도시된 양방향(bilateral) 스위치처럼 pass transistor 소자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서 제어신호(control)는, 제어부(120)에 의해 설정되어 상태 저장부(110)에 저장된 온/오프 정보일 수 있다.
한편, 스위칭이 불필요한 신호들, 예를 들어 VGA 모니터 케이블(D-SUB)의 R, G, B 신호들과 같이, HSYNC, VSYNC에 따라 그 신호들의 의미가 on/off 되는 신호들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스위칭 소자(SW(1,1)~SW(N,M))로 구현되지 않을 수 있다. 단지 하나의 소스 신호를 모든 싱크 핀에 연결시키기면 된다. 또한, 팬인(fan-in), 팬아웃(fan out)의 문제가 발생하여 신호가 약해지는 경우 리피터나 버퍼링 회로 등을 추가 할 수 있다.
이하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교환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교환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스위칭 소자(SW(1,1)~SW(N,M))들을 초기화한다(S710). 예컨대 상태 저장부(110)에 저장된 모든 스위칭 소자(SW(1,1)~SW(N,M))의 온/오프 정보를 0으로 설정하여, 모든 스위칭 소자(SW(1,1)~SW(N,M))들을 오프 시킨다.
그리고 제어부(120)의 요청을 대기한다(S720). 제어부(120)가 요청하면, 그 요청이 컴퓨터(C_1~C_N)와 터미널(T_1~T_M)간 논리적 연결에 대한 요청인지를 판단한다(S730).
논리적 연결에 대한 요청이 아닌 경우, 예컨대 컴퓨터(C_1~C_N)와 터미널(T_1~T_M)간 연결 상태 정보에 대한 요청이라면 스위칭 소자(SW(1,1)~SW(N,M))의 논리적 연결 상태를 알려준다(S710). 즉 상태 저장부(110)에 저장된 스위칭 소자(SW(1,1)~SW(N,M))의 온/오프 정보를 제어부(120)에게 알려준다.
컴퓨터(C_1~C_N)와 터미널(T_1~T_M)간 논리적 연결에 대한 요청이라면, 특정 컴퓨터를 지정해서 연결 요청을 한 것인지 판단한다(S750). 특정 컴퓨터를 지정해서 연결 요청한 경우라면, 그 지정된 컴퓨터가 현재 가용 상태인지를 파악한다(S760). 가용 상태 여부는 상태 저장부(110)에 저장된 스위칭 소자(SW(1,1)~SW(N,M))의 온/오프 정보를 통해 파악될 수 있다.
예컨대 지정된 컴퓨터가 제N 컴퓨터(C_N)인 경우, 제N 컴퓨터와 관련된 스위치들(SW(N,1) ~ SW(N,M))의 M개의 온/오프 정보가 모두 0인 경우 가용 상태로 파악할 수 있다. 지정된 컴퓨터(C_N)가 가용 상태로 판명이 되면, 지정된 컴퓨터(C_N)를 제어부(120)가 요청한 터미널(T_1~T_M)과 연결시킨다. 예컨대 제i 터미널(T_1~T_M)(1≤i≤M)과 지정된 컴퓨터(C_N)간의 논리적 연결 상태를 만들어주기 위해 SW(M,i)에 대한 온/오프 정보를 1로 설정할 수 있다. 논리적 연결이 완료되면 다시 제어부(120)의 요청 대기 상태(S720)로 들어간다.
만약 지정된 컴퓨터(C_N)가 가용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명되면 경고메시지와 함께 제어부(120)에게 연결이 불가능함을 알리고(S780), 제어부(120) 요청 대기 상태로 들어간다.
논리적 연결 요청 내용이 특정 컴퓨터에 대한 연결 요청이 아니었다면, 즉 특정 컴퓨터가 지정되지 않았다면, 가용 상태의 컴퓨터가 있는지 확인한다(S790). 이 과정은 j를 1부터 N까지 1씩 증가하면서 스위칭 소자(SW(j,1) ~ SW(j,M))의 비트 값들이 모두 0인 j를 찾음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j=1일 때 M개의 스위칭 소자(SW(1,1) ~ SW(1,M))의 온/오프 정보를 읽고, 모두 0인지 판단하고, 모두 0이면 제1 컴퓨터가 가용한 것으로 판단한다. 모두 0이 아니면 j=2일 때 M개의 스위칭 소자(SW(2,1) ~ SW(2,M))의 온/오프 정보를 읽고, 모두 0인지 판단한다. 즉, 스위칭 소자(SW(j,1) ~ SW(j,M))의 온/오프 정보가 모두 0인 j를 찾으면, 제j 컴퓨터(C_j)를 제어부(120)가 요청한 터미널과 연결시키고(S770), 가용한 컴퓨터가 없는 경우에는, 즉 스위칭 소자(SW(j,1) ~ SW(j,M))의 온/오프 정보 값들이 모두 0인 j가 없는 경우에는 경고메시지와 함께 경고메시지와 함께 제어부(120)에게 연결이 불가능함을 알리고(S780), 제어부(120)의 요청 대기 상태로 들어간다.
이하에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교환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교환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단계와 동일한 단계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사용하며,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스위치를 초기화하고(S710), 케이블의 연결 상태를 스캐닝한다(S820). 구체적으로 터미널(T_1~T_M)과 스위칭 소자(SW(1,1)~SW(N,M))를 연결하는 케이블 및 컴퓨터(C_1~C_N)와 스위칭 소자(SW(1,1)~SW(N,M))를 연결하는 케이블의 연결 상태를 스캐닝한다. 이때, 케이블의 고유 번호를 이용하여 터미널(T_1~T_M)과 스위칭 소자(SW(1,1)~SW(N,M)) 및 컴퓨터(C_1~C_N) 간의 연결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파악한 결과를 토대로 상태 저장부에 터미널(T_1~T_M) 및 컴퓨터(C_1~C_N) 간의 연결 상태를 저장 또는 갱신한다(S830). 예컨대 상태 저장부에 스위칭 소자(SW(1,1)~SW(N,M))의 온/오프 정보를 갱신한다. 예컨대 상태 저장부는 N×M 의 행렬 형태로 스위칭 소자(SW(1,1)~SW(N,M))의 온/오프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스캐닝 후에는 행과 열을 재배치함으로써 파악된 결과를 갱신할 수 있다.
S820 단계는 인터럽트가 발생되는 경우에도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교환 시스템이 동작 중에, 관리자가 수동으로 케이블을 탈착하여 컴퓨터와 터미널 간의 연결 또는 분리가 발생되는 경우, 인터럽트를 발생할 수 있다. 인터럽트가 발생되는 경우, 케이블의 연결 상태를 스캐닝한다(S820). 스캐닝 결과를 상태 저장부에 갱신할 수 있다(S830).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의 요청을 대기하고(S720), 도 7의 S730 단계 내지 S79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어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의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교환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교환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교환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 내지 도 6는 도 3에 도시된 스위칭 소자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교환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교환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Claims (20)

  1. 복수의 컴퓨터를 포함하는 컴퓨터 그룹;
    복수의 터미널을 포함하는 터미널 그룹; 및
    상기 컴퓨터 그룹의 상기 각 컴퓨터와 상기 터미널 그룹의 상기 각 터미널을 상호 연결하는 전자 교환기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 교환기는,
    온 또는 오프되어, 상기 복수의 터미널을 상기 복수의 컴퓨터와 각각 상호 연결 또는 분리시키는 복수의 스위칭 소자; 상기 복수의 스위칭 소자의 온 또는 오프를 나타내는 온/오프 정보를 저장하는 상태 저장부; 및 상기 복수의 터미널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복수의 컴퓨터 중 임의의 컴퓨터를 상호 연결할 때, 상기 복수의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터미널 중 어느 것과도 연결되지 않은 가용 상태의 컴퓨터를 검색하고, 상기 가용 상태의 컴퓨터가 있는 경우 상기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정보를 갱신하여, 상기 터미널 및 상기 가용 상태의 컴퓨터를 상호 연결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인 전자 교환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N개(N은 자연수)의 컴퓨터와 M개(M은 자연수)의 터미널을 각각 상호 연결하는 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온 시에 상기 N개의 터미널을 상기 M개의 컴퓨터와 각각 연결하고, 오프시에는 상기 N개의 터미널과 상기 M개의 컴퓨터를 각각 분리하는 N × M개의 스위칭 소자;
    상기 각 스위칭 소자의 온 또는 오프를 나타내는 N×M개의 온/오프 정보를 저장하는 상태 저장부; 및
    상기 복수의 터미널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복수의 컴퓨터 중 임의의 컴퓨터를 상호 연결할 때, 상기 복수의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정보를 읽고, 상기 읽혀진 온/오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터미널 중 어느 것과도 연결되지 않은 가용 상태의 컴퓨터를 검색하고, 상기 가용 상태의 컴퓨터가 있는 경우 상기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정보를 갱신하고, 상기 터미널 및 상기 가용 상태의 컴퓨터를 상호 연결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전자 교환기.
  8. 삭제
  9. 삭제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터미널과 특정 컴퓨터와 상호 연결할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컴퓨터와 관련된 M개의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정보를 상기 상태 저장부로부터 읽고, 상기 읽혀진 온/오프 정보로부터 상기 특정 컴퓨터가 가용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가용 상태인 경우 상기 터미널 및 상기 특정 컴퓨터를 상호 연결하는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정보를 갱신하는 것
    인 전자 교환기.
  11. 삭제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소자는 3상태(tri-state) 버퍼 또는 양방향(bilateral) 스위치
    인 전자 교환기.
  13.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과 상기 스위칭 소자를 연결하는 케이블 및 상기 컴퓨터와 상기 스위칭 소자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고유 번호가 부여되어, 상기 상태 저장부는 상기 고유 번호를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컴퓨터와 상기 복수의 터미널 간의 현재의 연결 상태를 파악하는 것
    인 전자 교환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인터럽트 발생시, 상기 상태 저장부는 상기 케이블의 연결 상태를 스캐닝하고, 상기 스위칭 소자에 연결된 상기 케이블의 고유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 상태에 관한 정보를 갱신하는 것
    인 전자 교환기.
  15. 복수의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며 복수의 컴퓨터와 복수의 터미널을 각각 상호 연결하는 전자 교환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중 적어도 하나의 터미널과 임의의 컴퓨터 간의 연결이 요청되면, 상기 각 스위칭 소자의 온 또는 오프를 나타내는 복수의 온/오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터미널의 어느 것과도 연결되지 않은 가용한 컴퓨터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가용한 컴퓨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터미널과 상기 가용한 컴퓨터를 연결하는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갱신된 온/오프 정보에 따라 상기 스위칭 소자를 스위칭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터미널과 상기 가용한 컴퓨터를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 교환 시스템의 제어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컴퓨터가 N개(N은 자연수)이고, 상기 복수의 터미널이 M개(M은 자연수)일 때,
    상기 복수의 스위칭 소자는, 상기 N개의 컴퓨터와 상기 M개의 터미널을 각기 연결하는 N×M개의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온/오프 정보는 N×M개
    인 전자 교환 시스템의 제어 방법.
  17. 삭제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하는 단계는,
    상태 저장부로부터 상기 복수의 컴퓨터 중 어느 하나의 컴퓨터와 관련된 M개의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정보를 읽는 단계;
    상기 읽혀진 온/오프 정보로부터 상기 M개의 스위칭 소자가 모두 오프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모두 오프가 아니라면, 다른 하나의 컴퓨터와 관련된 M개의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읽는 단계와 판단하는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
    인 전자 교환 시스템의 제어 방법.
  19.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한 컴퓨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경고 메시지 및 연결 불가능을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
    인 전자 교환 시스템의 제어 방법.
  20.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과 상기 스위칭 소자를 연결하는 케이블 및 상기 컴퓨터와 상기 스위칭 소자를 연결하는 케이블의 연결 상태를 스캐닝하는 단계; 및
    상기 스캐닝 결과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온/오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교환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090058617A 2009-06-29 2009-06-29 복수의 컴퓨터와 복수의 터미널 간 상호 연결을 지원하는 전자 교환기, 전자 교환 시스템 및 전자 교환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1240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8617A KR101240466B1 (ko) 2009-06-29 2009-06-29 복수의 컴퓨터와 복수의 터미널 간 상호 연결을 지원하는 전자 교환기, 전자 교환 시스템 및 전자 교환 시스템의 제어 방법
CN2009102250354A CN101937411A (zh) 2009-06-29 2009-11-24 电子交换器、电子交换系统和电子交换器系统的控制方法
JP2009267544A JP2011010259A (ja) 2009-06-29 2009-11-25 複数のコンピュータと複数のターミナル間の相互連結を支援する電子交換機、電子交換システム及び電子交換システムの制御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8617A KR101240466B1 (ko) 2009-06-29 2009-06-29 복수의 컴퓨터와 복수의 터미널 간 상호 연결을 지원하는 전자 교환기, 전자 교환 시스템 및 전자 교환 시스템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205A KR20110001205A (ko) 2011-01-06
KR101240466B1 true KR101240466B1 (ko) 2013-03-11

Family

ID=43390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8617A KR101240466B1 (ko) 2009-06-29 2009-06-29 복수의 컴퓨터와 복수의 터미널 간 상호 연결을 지원하는 전자 교환기, 전자 교환 시스템 및 전자 교환 시스템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1010259A (ko)
KR (1) KR101240466B1 (ko)
CN (1) CN10193741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02467A (zh) * 2014-07-15 2014-10-15 山东超越数控电子有限公司 一种基于dvi平台的刀片服务器kvm管理系统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77525A (ja) * 1990-11-09 1992-06-2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切替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ES990431A2 (en) * 1999-05-26 2000-11-26 Cybex Comp Products Internat L High end KVM switching system
DE10147757C2 (de) * 2001-09-27 2003-07-31 Siemens Ag Verfahren zum Konfigurieren einer Anlage mit mehreren Peripheriebaugruppen sowie Anlage und Steckverbinder zur Realisierung des Verfahrens
JP4935210B2 (ja) * 2006-07-08 2012-05-23 Kddi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接続形態検出方法及びシステム、並びにネットワーク機器
JP4957225B2 (ja) * 2006-12-11 2012-06-20 村田機械株式会社 中継サーバおよび中継通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77525A (ja) * 1990-11-09 1992-06-2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切替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010259A (ja) 2011-01-13
CN101937411A (zh) 2011-01-05
KR20110001205A (ko) 201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50393B1 (en) Determining the configuration of a power distribution system
US7305494B2 (en) Multiplexed computer peripheral device connection switching interface
US6710753B2 (en) Multi-screen session mobility between terminal groups
US8407347B2 (en) Method of operating multiple input and output devices through a single computer
US20060262138A1 (en) KVM switch and a computer switching method
CN114866424B (zh) 服务器管理方法、装置、系统、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US7797475B2 (en) Flexibly configurable multi central processing unit (CPU) supported hypertransport switching
US1130800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expected user intervention across multiple blades during a keyboard, video, and mouse (KVM) session
CN114417373A (zh) 一种NVMe-oF用户态客户端的数据访问方法和装置
CN103164182B (zh) 一种显示端口扩展方法及电子设备
US7590786B2 (en) Server system and signal processing unit, server, and chassis thereof
JP2005018135A (ja) Kvm切替器及びkvm切替方法
CN102457392B (zh) 共用基板管理控制器的方法
KR101240466B1 (ko) 복수의 컴퓨터와 복수의 터미널 간 상호 연결을 지원하는 전자 교환기, 전자 교환 시스템 및 전자 교환 시스템의 제어 방법
US20130305237A1 (en) Grandfathering Configurations in a Distributed Environment
US20100223366A1 (en) Automated virtual server deployment
CN1294506C (zh) 利用远端操作装置控制多个电脑装置开机程序的系统及方法
US20070153009A1 (en) Display chip sharing method
JP5235435B2 (ja) Kvmスイッチ及びkvmシステム
CN114283565A (zh) 多屏席位机预警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030069961A1 (en) Mechanism for the dynamic detection of graph based connectivity among PCI devices
US10649941B2 (en) Server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two baseboard management controllers
CN115951788B (zh) 用于视频输出的装置、计算机实施的方法以及存储介质
US20080178103A1 (en) Copying data between computer systems
KR20110057580A (ko) 전자 교환 시스템, 전자교환기를 통한 컴퓨터의 자원 분배 방법 및 중앙 제어 컴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