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0454B1 - 수전박스 배관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수전박스 배관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0454B1
KR101240454B1 KR1020110056209A KR20110056209A KR101240454B1 KR 101240454 B1 KR101240454 B1 KR 101240454B1 KR 1020110056209 A KR1020110056209 A KR 1020110056209A KR 20110056209 A KR20110056209 A KR 20110056209A KR 101240454 B1 KR101240454 B1 KR 101240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ucet
water
faucet box
pipe
wat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6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6964A (ko
Inventor
하기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조이포라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조이포라이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조이포라이프
Priority to KR1020110056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0454B1/ko
Publication of KR20120136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6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0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0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2Arrangements on taps for wash-basins or baths for connecting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12Covers for hous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전박스 배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건물의 콘크리트 타설시 벽체에 매설되고, 내주연 소정위치에 형성되는 제1나사부 및 외주연 하단부에 형성되는 제2나사부가 구비되는 수전박스를 포함하되, 상기 수전박스에 내설되고, 콘크리트 벽체 안쪽으로 매설되는 수도관에 배수 연결구의 일단이 이음연결되고, 상기 배수 연결구의 타단에 수전회전체의 수밀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면서 수평선상으로 이음연결되는 수전구; 및 상기 수전구의 하부에 연장 이음연결되되 소정의 각으로 절곡을 이루어 수도관에 연결된 배수 연결구를 통해 외부로 물을 토수할 수 있도록 형성된 토수구와; 수전박스 내부 전방에 매립되면서 수전구는 수평을 유지하도록 고정하며, 토수구는 경사면에서 하방향 기울기를 가지도록 고정 지지하는 밸브 지지부재와; 상기 토수구를 외부로 돌출되도록 개구된 공간을 하부에 형성하면서 수전박스의 전면을 커버하도록 하는 마감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전박스 배관 연결장치{Water valve box plumbing coupling device}
본 발명은 수전박스 배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전박스에 내설되고, 콘크리트 벽체 안쪽으로 매설되는 수도관과 수평선상으로 접속하여 물의 공급 및 차단을 조절하여 수밀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수전구와 수도관을 연결하는 배관 연결구 사이에 원터치 호스 접속구가 일체로 조립된 토수구를 두어 급수구가 원터치 방식으로 착탈되도록하는 배관 연결장치로 수전박스를 매입 공간이 많이 차지하지 않는 컴팩트한 형태로 구성하여 수도관의 배관 접속 작업의 편리성 및 신뢰성 등의 취급성이 양호해 지고, 유지 보수 관리 작업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수전박스 배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발코니 또는 다용도실 등에 설치되어 세척호스나 급수호스 등을 연결하여 사용하기 위한 수전으로는 흔히 일반 수도꼭지가 사용되었다.
그러나 상기 일반 수도꼭지는 벽체의 마감면으로부터 약 80 ~ 100 m/m정도 돌출되어 있고 핸들을 여러번 회전시켜 밸브를 개폐시키므로 수도꼭지에 내장되어 있는 패킹의 마모에 의한 누수의 염려가 있으며, 급수호스 등과의 연결시 별도의 연결장치를 필요로 하는 등의 불편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수전박스의 연결장치는 콘크리트 벽체로 매립된 케이스내에 원수관과 연결되는 연결용 니플과, 토수구와 연결되는 밸브 몸체가 나사 결합방식으로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 타설시 케이스의 매립 시공이 잘못된 경우에 상기 밸브몸체의 위치도 부정확해져 밸브몸체의 설치가 불가능할 뿐 만 아니라, 이를 바로 잡기 위해서는 상기 케이스의 매립시공을 다시 해야하는 불편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수전박스는 그 내부에 상기 수전구를 수납하여 보호하도록 된 구성으로서 콘크리트 타설시 그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단순한 박스 형태로 되어 있었다.
한편, 종래의 수전박스는 단순한 박스 형태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건물바닥에서 분배되어 수직으로 올라오는 수도관과 벽체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전구를 상기 수전박스 내부에서 직각형태로 접속되는 구조로 인하여 수전박스의 크기가 매우 커지고 그에 따른 벽체 매입 공간이 많이 차지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시공 후에 유지 보수 작업시에도 수전구에 연결된 수도관을 수전박스로부터 쉽게 인출하여 보수 및 교체하기 용이하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공급되는 원수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아 이로 인한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도 있었다.
한편, 건물의 내부에 설치되는 수전금구는 실내 인테리어나 기타 개보수에 따라 수시로 교체되고 있는 상황이며, 누수에 의한 수전구 및 수도관을 교체 또는 수리 작업이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상황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전박스 배관 연결장치는, 수전박스에 내설되고, 콘크리트 벽체 안쪽으로 매설되는 수도관과 수평선상으로 접속하여 물의 공급 및 차단을 조절하여 수밀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수전구와 수도관을 연결하는 배관 연결구 사이에 원터치 호스 접속구가 일체로 조립된 토수구를 두어 급수구가 원터치 방식으로 착탈되도록하는 배관 연결장치로 수전박스를 매입 공간이 많이 차지하지 않는 컴팩트한 형태로 구성하여 수도관의 배관 접속 작업의 편리성 및 신뢰성 등의 취급성이 양호해 지고, 유지 보수 관리 작업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수전박스 배관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전박스 배관 연결장치는, 건물의 콘크리트 타설시 벽체에 매설되고, 내주연 소정위치에 형성되는 제1나사부 및 외주연 하단부에 형성되는 제2나사부가 구비되는 수전박스를 포함하되, 상기 수전박스에 내설되고, 콘크리트 벽체 안쪽으로 매설되는 수도관에 배수연결구의 일단이 이음연결되고, 상기 배수 연결구의 타단에 수전회전체의 수밀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면서 수평선상으로 이음연결되는 수전구; 상기 수전구의 하부에 연장 이음연결되되 소정의 각으로 절곡을 이루어 수도관에 연결된 배수 연결구를 통해 외부로 물을 토수할 수 있도록 형성된 토수구; 수전박스 내부 전방에 매립되면서 수전구는 수평을 유지하도록 고정하며, 토수구는 경사면에서 하방향 기울기를 가지도록 고정 지지하는 밸브 지지부재; 상기 토수구를 외부로 돌출되도록 개구된 공간을 하부에 형성하면서 수전박스의 전면을 커버하도록 하는 마감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전구는 배관 연결구와 수전회전체의 사이에 수밀상태가 유지되게 구성한 디스크 패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배수 연결구는 수도관 내에 합성 고무제 오링을 개재하여 수고관과 기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수도관 내에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토수구는 원터치 호스 접속구가 일체로 조립되어 원터치 방식으로 급수구가 착탈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밸브 지지부재는 상부에 수전구가 수평하게 관통되어 수평을 유지하도록 관통형성된 관통구; 상기 관통구 측의 상부에서 하부로 연이어지되 경사면이 서로 대칭되는 구조로 절곡을 이루어 상측의 경사면에 하방향 기울기를 가지는 토수구를 고정 지지하게 되는 지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밸브 지지부재는 관통구의 둘레에 회전 조작을 통해 기울기 조정이 가능하게 결합 설치하는 복수의 조정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벽체의 두께에 따라 수도관과 배관 연결구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연결하는 연장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시공 건물의 콘크리트 타설되는 벽체에 매설되는 수전박스 내의 수전구에 대해 콘크리트 타설시 벽체 또는 바닥에 매설되는 수도관과 수전구를 이음연결하는 경우, 작업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고, 수전박스 배관을 이음연결하는 작업시간의 단축으로 인해 공사기간이 줄어들어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수도관을 연결하는 배관 연결구 사이에 원터치 호스 접속구가 일체로 조립된 토수구를 두어 급수구가 원터치 방식으로 컴팩트한 형태로 구성하여 수도관의 배관 접속 작업의 편리성 및 신뢰성 등의 취급성이 양호해 지고, 유지 보수 관리 작업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도관과 연결된 수전구 사이에 거리편차는 연장관에 의해 연결되고, 각도 편차는 수전구를 고정 지지하는 밸브 지지부재에 의해 기울기를 가변조정할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전박스 배관 연결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전박스 배관 연결장치의 일측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전박스 배관 연결장치의 토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전박스 배관 연결장치의 토수구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전박스 배관 연결장치의 밸브 지지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전박스 배관 연결장치의 마감커버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전박스 배관 연결장치의 다른 일예로 연장관 설치를 나타낸 단면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물의 콘크리트 타설시 벽체에 매설되고, 내주연 소정위치에 형성되는 제1나사부 및 외주연 하단부에 형성되는 제2나사부가 구비되는 수전박스를 포함하되,
상기 수전박스에 내설되고, 콘크리트 벽체 안쪽으로 매설되는 수도관에 배수연결구의 일단이 이음연결되고, 상기 배수 연결구의 타단에 수전회전체의 수밀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면서 수평선상으로 이음연결되는 수전구; 및
상기 수전구의 하부에 연장 이음연결되되 소정의 각으로 절곡을 이루어 수도관에 연결된 배수 연결구를 통해 외부로 물을 토수할 수 있도록 형성된 토수구와;
수전박스 내부 전방에 매립되면서 수전구는 수평을 유지하도록 고정하며, 토수구는 경사면에서 하방향 기울기를 가지도록 고정 지지하는 밸브 지지부재와;
상기 토수구를 외부로 돌출되도록 개구된 공간을 하부에 형성하면서 수전박스의 전면을 커버하도록 하는 마감커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박스 배관연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전박스 배관 연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전박스 배관 연결장치는 수전박스(110)에 내설되고, 콘크리트 벽체 안쪽으로 매설되는 수도관(10)과 수평선상으로 접속하여 물의 공급 및 차단을 조절하여 수밀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수전구(120)와 수도관(10)을 연결하는 배관 연결구(122) 사이에 원터치 호스 접속구(132)가 일체로 조립된 토수구(130)를 두어 급수구(160)가 원터치 방식으로 착탈되도록하는 배관 연결장치로 수전박스(110)를 매입 공간이 많이 차지하지 않는 컴팩트한 형태로 구성하여 수도관(10)의 배관 접속 작업의 편리성 및 신뢰성 등의 취급성이 양호해 지고, 유지 보수 관리 작업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수전박스 배관 연결장치는 크게 수전박스(110)와, 그 내부에 수전구(120), 토수구(130), 밸브 지지부재(140), 마감커버(15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수전박스(110)는 건물의 콘크리트 타설시 벽체에 매설되고, 내주연 소정위치에 형성되는 제1나사부(102) 및 외주연 하단부에 형성되는 제2나사부(104)가 구비된다.
상기 수전박스(110)는 대략적인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볼트에 의해 벽체에 고정된다.
이때, 콘크리트 벽체 안쪽으로 매설되는 수도관(10)에 배관 연결구(122)의 일단이 이음연결된다.
그리고, 수전박스(110)에 내설되어 상기 배관 연결구(122)의 타단에 수전구(120)가 연결된다.
상기 배관 연결구(122)는 수도관(10) 내에 합성 고무제 오링(126)을 개재하여 수도관(10)과 기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배관 연결구(122)는 수도관(10) 내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배관 연결구(122)의 오링(126)은 기밀유지를 위해 두 개 설치됨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배관 연결구(122)에 합성 고무제 오링(126)을 개재하여 수도관(10)과 배관 연결구(122)의 몸체와 기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배관 연결구(122)가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외면에 오링(126)을 개재한다.
상기 배관 연결구(122)의 오링(126)에 의해 수도관(10)과 수전구(120) 사이의 틈새를 통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상기 수도관(10)에 삽입되어 있는 배관 연결구(122)의 일측으로 수전구(120)가 연결되되 배관 연결구(122)와 접촉되는 수전구(120)의 일단에 디스크 패킹(124)을 두어 수밀상태가 유지되게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수전구(120)는 수도관(10)으로부터 수밀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면서 수평선상으로 이음연결된다.
상기 수전구(120)의 전방에는 수전회전체(112)가 구성되고, 상기 수전회전체(112)는 회전가능하여 회전에 따라 물의 공급과 차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전회전체(112)의 회전정도에 따라 토출량이 조절된다.
한편, 상기 수전회전체(112)를 구성하는 수전구(120)의 하부에 토수구(130)가 이음연결로 연장된다.
상기 토수구(130)는 소정의 각으로 절곡을 이루어 수도관(10)에 연결된 배관 연결구(122)를 통해 외부로 물을 토수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토수구(13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터치 호스 접속구(132)가 일체로 조립되어 원터치 방식으로 급수구(160)가 착탈되도록한다.
상기 급수구(160)는 세탁기, 스프레이건 등의 원터치 호스들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수전박스(110) 내부 전방에 매립되면서 수전구(120)는 수평을 유지하도록 고정하며, 토수구(130)는 경사면에서 하방향 기울기를 가지도록 밸브 지지부재(140)가 고정지지한다.
상기 밸브 지지부재(14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에 수전구(120)가 관통구(142)를 수평하게 관통하여 수평을 유지하도록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관통구(142) 측의 상부에서 하부로 연이어지되 경사면이 서로 대칭되는 구조로 절곡을 이루어 상측의 경사면에 하방향 기울기를 가지는 토수구(130)를 고정 지지하게 되는 지지판(14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밸브 지지부재(140)는 수전박스(110) 전방에서 수전박스(110) 내부에 존재하는 수전구(120)를 지지고정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밸브 지지부재(140)는 관통구(142)의 둘레에는 복수의 조정볼트(146)가 체결되어 있으며, 상기 조정볼트(146)의 회전 조작을 통해 기울기 조정이 가능하게 결합설치한다.
이는, 수전구(120)가 수전박스(110) 내에 존재하면서 벽체에 부착시 기울어지는 부분에 대해 조정볼트(146)를 이용해 수평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조정볼트(146)는 건물의 작업현장 조건에 따라 기울기를 가변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밸브 지지부재(140)를 통해 하부로 돌출을 이루는 토수구(130)를 외부로 돌출되도록 개구된 공간을 하부에 형성하면서 수전박스(110)의 전면을 커버하도록 하는 마감커버(150)로 마감한다.
상기 마감커버(15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전박스(110)를 커버하는 마감하지만 상부로는 수전회전체(112)와 하부로는 토수구(130)를 외부로 노출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실시예로서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공 건물의 벽체를 콘크리트 타설하기 전에 수전박스(110)를 철근 구조물에 미리 가 고정시켜 설치한다.
전술한 수전박스(110)에 대해 배관 연결구(122)가 신장된 상태에서, 수도관(10)의 일단부를 배관 연결구(122)와 연결되어 수전박스(110)에 내설된 수전구(120)에 결합시킨다.
상기 수도관(10)에 내장을 이루는 배관 연결구(122)의 일측으로 디스크 패킹(124)을 구비한 수전구(120)가 연결되어 수전회전체(112)의 조임 회전에 디스크 패킹(124)이 배관 연결구(122)를 차폐시키게 되고 수밀상태를 유지하여 지수상태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토수 시에는 수전구(120)의 수전회전체(112)가 풀림 회전에 디스크 패킹(124)이 배관 연결구(122)에서 이격되고 수도관(10)이 개방되어 배관 연결구(122)를 통해 물이 토수구(130) 측으로 배수될 수 있는 형태가 된다.
이렇게, 콘크리트 타설되는 콘크리트 벽체에 매설되는 수전박스(110)의 수전구(120)에 연결된 토수구(130)에 대해 원터치 방식으로 이음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수전박스(110)의 토수구(130)에 급수구(160) 교체 작업을 선택적으로 더욱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수전박스(110)를 매입 공간이 많이 차지하지 않는 컴팩트한 형태로 구성하여 수도관(10)의 배관 접속 작업의 편리성 및 신뢰성 등의 취급성이 양호해 진다.
그리고, 상기 수전박스(110) 내부에 설치되는 수전구(120)의 수전회전체(112)에 의해 물의 공급 및 차폐를 조절할 수 있으며, 토수구(130)에 다양한 급수구(160)가 원터치 방식으로 착탈되도록 구성함므로서 조립 호완성을 제공한다.
한편,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전박스(110)가 건물의 콘크리트 타설시 벽체에 깊게 매설될 때, 벽체의 두께에 따라 수도관(10)과 배관 연결구(122) 사이가 소정의 이격된 공간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연결하는 연장관(170)을 중간에 삽입하여 수도관(10)과 배관 연결구(122)를 연결한다.
상기 수도관(10)에 연장관(170)의 일면이 삽입되고, 연장관(170)의 타면에 배관 연결구(122)가 접촉되고, 디스크 패킹(124)을 구비한 수전구(120)가 연결되어 수전회전체(112)의 조임 회전에 디스크 패킹(124)이 배관 연결구(122)를 차폐시키게 되고 수밀상태를 유지하여 지수상태가 되고, 수전회전체(112)의 풀림 회전에 수도관(10)에서 연장관(170)을 통해 배관 연결구(122)로 물이 유입되어 토수구(130) 측으로 배출된다.
이때, 전술한 연장관(170)은 건물의 작업현장 조건에 따라 길이를 가변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이격된 공간을 연결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해, 벽체의 마감시공에 따른 시공상태가 불량하더라도, 연장관(170)과 수전구(120) 간의 거리편차에 대한 보정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수도관 102:제1나사부
104:제2나사부 110:수전박스
112:수전회전체 120:수전구
122:배관 연결구 124:디스크 패킹
126:오링 130:토수구
132:원터치 호수 접속구 140:밸브 지지부재
142:관통구 144:지지판
146:조정볼트 150:마감커버
160:급수구 170:연장관

Claims (7)

  1. 건물의 콘크리트 타설시 벽체에 매설되고, 내주연 소정위치에 형성되는 제1나사부 및 외주연 하단부에 형성되는 제2나사부가 구비되는 수전박스를 포함하되,
    상기 수전박스에 내설되고, 콘크리트 벽체 안쪽으로 매설되는 수도관에 배수 연결구의 일단이 이음연결되고, 상기 배수 연결구의 타단에 수전회전체의 수밀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면서 수평선상으로 이음연결되는 수전구;
    상기 수전구의 하부에 연장 이음연결되되 소정의 각으로 절곡을 이루어 수도관에 연결된 배수 연결구를 통해 외부로 물을 토수할 수 있도록 형성된 토수구;
    수전박스 내부 전방에 매립되면서 수전구는 수평을 유지하도록 고정하며, 토수구는 경사면에서 하방향 기울기를 가지도록 고정 지지하는 밸브 지지부재; 및
    상기 토수구를 외부로 돌출되도록 개구된 공간을 하부에 형성하면서 수전박스의 전면을 커버하도록 하는 마감커버를 포함하는 수전박스 배관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전구는, 배관 연결구와 수전회전체의 사이에 수밀상태가 유지되게 구성한 디스크 패킹을 더 포함하는 수전박스 배관연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연결구는, 수도관 내에 합성 고무제 오링을 개재하여 수도관과 기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수도관 내에서 회전 가능한 수전박스 배관연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수구는, 원터치 호스 접속구가 일체로 조립되어 원터치 방식으로 급수구가 착탈되는 수전박스 배관연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지지부재는, 상부에 수전구가 수평하게 관통되어 수평을 유지하도록 관통형성된 관통구; 및
    상기 관통구 측의 상부에서 하부로 연이어지되 경사면이 서로 대칭되는 구조로 절곡을 이루어 상측의 경사면에 하방향 기울기를 가지는 토수구를 고정 지지하게 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수전박스 배관연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지지부재는, 관통구의 둘레에 회전 조작을 통해 기울기 조정이 가능하게 결합 설치하는 복수의 조정볼트를 더 포함하는 수전박스 배관연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의 두께에 따라 수도관과 배관 연결구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연결하는 연장관을 더 포함하는 수전박스 배관연결장치.
KR1020110056209A 2011-06-10 2011-06-10 수전박스 배관 연결장치 KR101240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6209A KR101240454B1 (ko) 2011-06-10 2011-06-10 수전박스 배관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6209A KR101240454B1 (ko) 2011-06-10 2011-06-10 수전박스 배관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964A KR20120136964A (ko) 2012-12-20
KR101240454B1 true KR101240454B1 (ko) 2013-03-06

Family

ID=47904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6209A KR101240454B1 (ko) 2011-06-10 2011-06-10 수전박스 배관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045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2638A (ja) * 2000-03-15 2001-09-26 San-Ei Faucet Mfg Co Ltd 水道用コンセント
JP2001348919A (ja) * 2000-06-07 2001-12-21 San-Ei Faucet Mfg Co Ltd 水道用コンセント
KR200280081Y1 (ko) * 2002-04-11 2002-06-27 (주) 동남기연 다용도 코크
JP2004108120A (ja) * 2002-09-20 2004-04-08 Toto Ltd 壁埋め込み水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2638A (ja) * 2000-03-15 2001-09-26 San-Ei Faucet Mfg Co Ltd 水道用コンセント
JP2001348919A (ja) * 2000-06-07 2001-12-21 San-Ei Faucet Mfg Co Ltd 水道用コンセント
KR200280081Y1 (ko) * 2002-04-11 2002-06-27 (주) 동남기연 다용도 코크
JP2004108120A (ja) * 2002-09-20 2004-04-08 Toto Ltd 壁埋め込み水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964A (ko) 2012-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3948B1 (ko) 벽체 매립형 수전장치
KR20210000431U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급수전
KR200481708Y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소화전
CA2401468A1 (en) Installation device for yard hydrant
KR101240454B1 (ko) 수전박스 배관 연결장치
KR20180116555A (ko) 수전 설치구 및 이를 이용한 수전 설치구조
KR20110014441A (ko) 싱크대 배수유닛
KR100634186B1 (ko) 도로 배수구 집수맨홀
JP6029130B2 (ja) 排水トラップ
KR101570379B1 (ko) 상수도용 부동전
CN104329513B (zh) 改进型家用燃气管道系统安装方法及装置
KR100886360B1 (ko) 벽체 매립형 수전장치 및 벽체 매립형 수전장치용 챔버
KR101633706B1 (ko) 역체크 밸브를 구비한 오,배수용 횡주관 소제구 마개
KR101767657B1 (ko) 일체형 스핀들 내장 제수변 보호통
CN204717058U (zh) 一种手持喷枪淋浴多功能水龙头
KR100886361B1 (ko) 벽체 매립형 수전함
KR101766896B1 (ko) 욕실 배관 고정장치
CN205118375U (zh) 一种分水式淋浴龙头
CN209703626U (zh) 一种水龙头的旋转式安装结构
KR101994941B1 (ko) 철개 각도 조절형 제수변 보호통
KR200304839Y1 (ko) 관붙이 앵글밸브
KR200391554Y1 (ko) 복합 수도용 앵글 밸브
CN208668543U (zh) 一种地漏下水导流管接头
JP3202968U (ja) 有効容量水位調整管付水槽
KR100988937B1 (ko) 소화전 송수구 개폐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