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0081Y1 - 다용도 코크 - Google Patents

다용도 코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0081Y1
KR200280081Y1 KR2020020010886U KR20020010886U KR200280081Y1 KR 200280081 Y1 KR200280081 Y1 KR 200280081Y1 KR 2020020010886 U KR2020020010886 U KR 2020020010886U KR 20020010886 U KR20020010886 U KR 20020010886U KR 200280081 Y1 KR200280081 Y1 KR 2002800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unit
case
valve
cock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08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성현
Original Assignee
(주) 동남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동남기연 filed Critical (주) 동남기연
Priority to KR20200200108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00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00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00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2Arrangements on taps for wash-basins or baths for connecting to the wal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Valve Housing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벽체에 매립되는 다용도 콕에서 다용도 콕의 밸브 유니트를 수용하여 벽체에 매립되는 케이스에 시공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밸브 유니트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케이스의 위치에 관계없이 정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다용도 콕에 관한 것으로서, 원호 형상의 제1슬롯이 양 측면에 형성된 몸체, 토수구, 밸브를 포함하는 밸브 유니트, 원호 형상의 제2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에 나사결합되는 브라켓, 상기 몸체와 배관을 연결하는 배관연결수단, 배관연결용 니플, 상기 몸체를 수용하여 벽체에 매립되는 케이스 및 케이스 커버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밸브 유니트를 수용하여 벽체에 매립되는 케이스에 시공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재시공할 필요없이 상기 밸브 유니트의 위치를 정상 위치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시공성이 증대되며, 하자의 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벽체에 매립되는 구조이므로 동파방지에도 유리한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다용도 코크 {multipurpose cock}
본 고안은 위치 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발코니 또는 다용도실 등의 벽체에 설치되는 다용도 콕의 밸브 유니트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밸브 유니트를 수용하여 벽체에 매립되는 케이스의 시공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밸브 유니트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은 정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다용도 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발코니 또는 다용도실 등에 설치되어 세척호스나 급수호스 등을 연결하여 사용하기 위한 수전으로는 흔히 일반 수도꼭지가 사용되었다. 그러나 상기 일반 수도꼭지는 벽체의 마감면으로부터 약 80 ~ 100 m/m정도 돌출되어 있고 핸들을 여러번 회전시켜 밸브를 개폐시키므로 수도꼭지에 내장되어 있는 패킹의 마모에 의한누수의 염려가 있으며, 급수호스 등과의 연결시 별도의 연결장치를 필요로 하는 등의 불편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 수도꼭지의 문제점을 상당 부분 해소한 것으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고안자의 등록실용신안인 다용도 콕(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188802호)이 있다. 상기 다용도 콕은 몸체를 벽체에 매립함으로써 외부 돌출을 최소화하고, 핸들을 90°만 회전시켜 밸브를 개폐시키므로 편리하며, 별도의 연결장치 없이 급수호스 등과 연결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다용도 콕은 케이스를 벽체에 매립하여 시공하고 몸체를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하므로 상기 케이스의 매립 시공이 잘못된 경우에 상기 몸체의 위치도 부정확해지며, 이를 바로 잡기 위해서는 상기 케이스의 매립시공을 다시 해야하는 불편이 있었다.
또한 상기 다용도 콕은 일반 수도꼭지에 비하여 하자의 보수가 용이하기는 하나 상기 몸체 또는 몸체와 배관 연결부분의 하자를 보수하기 위해서는 상기 케이스가 매립된 벽체의 일부를 파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벽체에 매립되는 케이스의 시공오차가 발생하더라도 밸브 유니트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정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다용도 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밸브 유니트와 배관과의 결합 및 분해가 용이하여 다용도 콕이 매립된 벽체를 파쇄하지 않고도 하자보수가 가능한 다용도 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1은 종래 다용도 콕의 분해 사시도.
도2 및 도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콕의 분해 사시도 및 결합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몸체의 사시도(a), 정면도(b), 단면도(c).
도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사시도.
도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설치 상태도.
도7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원래 위치에 의한 정면도(a), 변형된 위치에 의한 정면도(b).
도8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원래 위치에 의한 단면도(a), 변형된 위치에 의한 단면도(b).
도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커버의 사시도(a), 정면도(b), 단면도(c).
도10은 본 고안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호의 설명 >
1 : 밸브 유니트 10 : 몸체
11 : 밸브 카트리지 체결부 12 : 토수구 체결부
13 : 유입구 16 : 제1슬롯
17 : 멈춤너트 18 : 장볼트
20 : 토수구 30 : 밸브
31 : 밸브 카트리지 32 : 핸들
40 : 브라켓 43 : 제2슬롯
50 : 배관연결수단 60 : 배관연결용 니플
70 : 케이스 80 : 케이스 커버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크게 밸브 유니트, 상기 밸브 유니트와 배관을 연결하는 배관연결용 니플, 상기 밸브 유니트를 수용하여 벽체에 매립되는 케이스 및 상기 밸브 유니트에 나사결합되는 케이스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의 구체적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2 및 도3은 본 고안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및 결합 사시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위치 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콕은 크게 몸체(10), 토수구(20), 밸브(30), 및 배관연결수단(50)을 포함하는 밸브 유니트(1), 브라켓(40), 배관 연결용 니플(60), 케이스(70) 및 케이스 커버(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몸체(1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의 상부 및 하부에 원통형상의 밸브 카트리지 체결부(11)와 토수구 체결부(12)가 형성되고, 후면에는 유입구(13)가 형성된 사각기둥 형상으로 전면의 중앙에는 후술하는 케이스 커버(80)를 결합하기 위한 나사홈(14)이 형성되고, 후면 중앙 부분에는 후술하는 브라켓(40)을 연결하기 위한 나사홈(15)이 형성되어 밸브 유니트(1)를 구성한다.
한편 상기 몸체의 하부 양면에는 도4(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 유니트(1)를 후술하는 케이스(70)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1슬롯(16)이 구비된다. 상기 제1슬롯(16)은 상기 몸체(10)의 토수구 체결부(12)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원호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슬롯(16)을 통해 나사결합이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밸브 유니트가 케이스에 결합되어 수용된다.
상기 브라켓(40)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형상으로 절곡되어 중앙부(41)와 양 측면부(42)로 구성되며, 상기 양 측면부(42)의 양 끝단(44)은 바깥쪽으로 굴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중앙부(41)의 중앙에는 상기 제1슬롯(16)과 마찬가지로 원호 형상의 제2슬롯(43)이 형성되며, 상기 제2슬롯(43)과 상기 몸체(10)의 후면 중앙부에 형성된 나사홈(15)을 통하여 나사 결합이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브라켓(40)이 상기 몸체(10)에 결합된다.
이렇게 브라켓(40)이 고정된 밸브 유니트(1)는 벽체에 매립된 케이스(70)에 결합되어 수용된다. 상기 밸브 유니트(1)와 상기 케이스(70)의 결합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제1슬롯(16)을 통한 나사결합인 바, 도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볼트(18)와 멈춤너트(17)로 상기 밸브 유니트(1)와 케이스(70)를 체결하면 상기 브라켓(40)의 양 끝단(44)이 벽체 마감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밸브 유니트(1)와 상기 케이스(70)는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제1슬롯(16)과 제2슬롯(43)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몸체(10)는 케이스(70)의 중심축 좌우방향으로 소정의 각만큼 회전이 가능할 뿐 아니라, 도6(b) 및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70)가 벽체 마감면보다 깊게 설치된 경우에도 상기 브라켓(40)의 양 끝단(44)이 벽체 마감면에 밀착되어 상기 밸브 유니트(1)는 정상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토수구(20)는 중공 원통형상으로 상기 몸체(10)의 토수구 체결부(12)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10) 내부의 유출부의 물이 토출되는 통로가 되며, 후술하는 케이스 커버(80)의 토수구 구멍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토수구(20)와 토수구 체결부(12)의 결합부에는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오링(O-RING)이 설치된다.
상기 토수구(20)의 끝단은 기존의 세탁기 급수밸브 또는 세척호스 등의 연결부와 별도의 결합체 없이 원터치로 결합될 수 있는 형상이며, 상기 연결부의 형상에 맞추어 그 형상을 달리할 수 있다.
상기 밸브(30)는 밸브 카트리지(31)와 핸들(32)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10)의 밸브 체결부(11)에 상기 밸브 카트리지(31)가 결합되어 상기 몸체(10) 내부의 유입통로를 개폐하게 된다. 상기 핸들(32)은 상기 밸브 카트리지(31)에 연결되어 밸브의 개폐 및 수량을 조절하는 것으로서 90°회전만으로 밸브의 개폐 및 수량 조절이 가능한 구조이며, 케이스 커버의 핸들 구멍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한편 상기 밸브로는 종래의 고무 패킹도 가능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세라믹 디스크 밸브를 사용하였는 바, 상기 세라믹 디스크 밸브는 재료의 강도가 종래의 고무보다 우수하고, 세라믹의 면과 면의 마찰만으로 개폐 및 수량조절이 되기 때문에 내마모성에서도 매우 유리하다.
상기 배관연결수단(50)은 상기 몸체(10)의 유입구(13)와 후술하는 배관연결용 니플(60) 사이에 삽결되어 상기 몸체(10)의 유입구(13)와 배관연결용 니플(60)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배관연결수단(50)은 상기 유입구(13)와 배관연결용 니플(6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는 관형상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나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오링(O-RING) 커넥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오링(O-RING) 커넥터를 사용하게 되면 상기 밸브 유니트(1)와 배관과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므로 시공성이 증대되고 하자의 보수 또한 편리하다. 또한 상기 밸브 유니트(1)와 배관 사이에서 자요로운 회전이 가능하므로 상기 밸브 유니트(1)를 케이스(70)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좌우 방향으로 위치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배관연결용 니플(60)은 중공 원통 형상으로 내부 중앙에는 육각기둥 형상으로 절삭되어 있으며, 케이스(70) 후면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배관연결수단(50)에 의하여 상기 몸체(10)와 연결되고, 외부로 돌출된 부분은 배관과 연결된다.
상기 배관연결용 니플(60)의 내부 중앙 부분이 육각기둥 형상으로 절삭되어 있으므로, 상기 배관연결용 니플(60)과 배관과의 연결부에서 누수 등 하자가 발생한 경우 육각 렌치를 이용하여 상기 배관연결용 니플(60)을 상기 배관으로부터 손쉽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하자의 보수가 용이하다.
한편, 상기 배관연결용 니플(60)은 피비(PB) 소켓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70)는 전면이 개방된 상자 형상으로서, 후면에는 상기 배관연결용 니플(60)이 삽결되는 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70)는 벽체에 매립되어 상기 밸브 유니트(1)를 수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배관연결용 니플(60)이 삽결된 상태로 선시공된다.
상기 케이스(70)는 소정의 위치의 벽체 철근 등에 고정 설치된 후 벽체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벽체에 매립되는데, 벽체 콘크리트의 타설 과정에서 상기 케이스(70)의 위치가 원래 계획했던 위치에서 어긋나는 경우가 있다. 즉 벽체 콘크리트의 타설과정에서 상기 케이스(70)가 좌우로 삐뚤어지거나, 또는 벽체의 마감면이 원래 계획면보다 튀어 나와 상기 케이스(70)가 원래 계획했던 위치보다 깊이 묻히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렇게 케이스(70)가 원래 위치와 어긋나게 시공되면 상기 케이스(70)에 수용되는 밸브 유니트(1)도 마찬가지로 어긋나게 된다.
어긋난 정도가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어긋난 상태로 마감할 수도 있으나 이는 외관상 바람직하지 않으며, 특히 어긋난 정도가 심한 경우에는 벽체를 파쇄하고 재시공을 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밸브 유니트(1)를 상기 케이스(70)에 고정시키는 제1슬롯(16)과 상기 브라켓(40)을 상기 밸브 유니트(1)에 고정시키는 제2슬롯(2)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밸브 유니트(1)와 배관연결용 니플(60)이 상기한 바와 같이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한 오링(O-RING) 커넥터에 의하여 연결되므로 도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로 소정의 각만큼 위치 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70)가 좌우 방향으로 삐뚤어지게 시공되더라도 상기 밸브 유니트(1)는 위치를 조절하여 원래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70)가 도6(b) 및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시공오차가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오링(O-RING) 커넥터 및 브라켓(40)에 의하여시공오차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밸브 유니트(1)에 고정되는 브라켓(40)의 양 끝단(44)이 벽체의 마감면에 밀착되어 상기 밸브 유니트(1)를 정상 위치로 유지시키고, 상기 오링(O-RING) 커넥터는 상기 배관연결용 니플(60)에 삽입되는 위치가 가변적이므로 상기 유입구(13)와 상기 배관연결용 니플(60)을 상기 케이스(70)가 묻힌 깊이에 따라 상기 오링(O-RING) 커넥터를 슬라이딩하여 연결시키면 상기 밸브 유니트의 위치를 정상적인 위치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커버(80)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에 상기 토수구(20) 및 핸들(32)이 돌출되기 위한 구멍(81, 82)이 형성되어 상기 구멍으로 상기 토수구(20) 및 핸들(32)이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토수구 및 핸들 구멍이 형성된 부분은 상기 케이스 커버의 표면보다 함몰되어 형성되므로 상기 토수구(20) 및 핸들(32)의 외부 돌출이 최소화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 커버(80)는 상기 몸체(10)에 나사결합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케이스 커버(80)의 중앙에는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홈(83)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홈을 통해 나사 결합이 이루어지면 상기 나사홈의 외부 노출을 막기 위해 마크 캡(84)이 상기 나사홈(83)에 설치된다. 상기 마크 캡(84)에는 마크 캡의 개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작은 홈이 형성된다.
한편 도10은 본 고안의 변형예의 사시도로서 본 실시예의 다용도 콕 2개가 합쳐진 형태이다. 즉 본 고안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70) 속에 상기 밸브 유니트 2개가 구비된 형태로도 가능하다. 이 때 상기 밸브 유니트는 냉,온수 배관과 연결되어 각각 냉수 및 온수를 토출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위치 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콕의 시공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실시예의 다용도 콕을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의 벽체 철근 등에 상기 배관연결용 니플(60)이 삽결된 상태로 상기 케이스(70)를 고정시키고, 배관과 상기 배관연결용 니플(60)을 연결시킨다.
다음에 벽체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케이스(70)를 벽체에 매립시킨다.
벽체 콘크리트의 거푸집 탈형 후 상기 밸브 유니트(1)에 상기 브라켓을 고정시키고 상기 케이스(70) 내부에 나사결합을 통해 장착시킨다. 이 때 상기 케이스(70)가 원래 계획된 위치대로 시공되었다면 별 문제없으나 시공오차가 발생하였다면 상기한 바와 같이 밸브 유니트(1)의 위치를 조절하여 정확한 위치로 고정시킨다.
상기 작업 후 상기 케이스 커버(80)를 상기 밸브 유니트(1)에 결합시키고, 상기 케이스 커버(80)의 밸브 구멍(81)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 밸브 카트리지(31)에 핸들(32)을 결합시킨다.
본 고안은 벽체에 매립되어 외부 돌출이 최소화되는 다용도 콕에서 벽체에 매립되어 선시공되는 다용도 콕의 케이스가 잘못 시공되어 계획된 위치를 벗어나더라도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어 수용되는 밸브 유니트를 전후좌우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케이스의 위치에 관계없이 밸브 유니트는 원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성이 증대된다.
또한 배관과 밸브 유니트가 착탈이 용이한 오링(O-RING) 커넥터에 의하여 연결됨으로써 상기 밸브 유니트만의 분리가 용이하고, 배관과 연결되는 배관연결용 니플의 내부 중앙 부분이 육각기둥 형상으로 절삭되어 있어 육각 렌치에 의하여 배관으로부터 손쉽게 분리되므로 하자의 보수가 매우 용이하다.
한편 본 고안의 다용도 콕은 밸브 유니트가 벽체에 매립되므로 동파방지에 유리하다.

Claims (6)

  1. 밸브 유니트;
    상기 밸브 유니트와 배관을 연결하는 배관연결용 니플;
    상기 밸브 유니트를 수용하여 벽체에 매립되는 케이스; 및
    상기 밸브 유니트에 나사결합되는 케이스 커버;
    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 유니트의 양 측면부에 상기 케이스와의 나사결합을 위한 원호형상의 제1슬롯이 구비되어 상기 밸브 유니트의 위치를 좌우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콕.
  2. 제1항에서, 상기 밸브 유니트는
    전면 상부에 밸브 카트리지 체결부가 형성되고, 전면 하부에 토수구 체결부가 형성되고, 후면에 유입구가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토수구 및 밸브 카트리지;
    상기 밸브 카트리지에 연결되는 핸들; 및
    상기 몸체의 유입구와 상기 배관연결용 니플 사이에 삽결되는 배관연결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콕.
  3. 제2항에서, 상기 배관연결수단은
    상기 배관연결용 니플에 삽입되는 위치가 가변적인 오링(O-RING) 커넥터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콕.
  4. 제1항에서, 상기 배관연결용 니플은
    내부 중앙 부분이 육각기둥 형상으로 절삭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콕.
  5. 제1항에서, 상기 밸브 유니트에는
    'ㄷ'형상으로 절곡되어 중앙부와 양 측면부로 구성되고 상기 양 측면부의 양 끝단은 바깥쪽으로 굴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중앙부에는 원호 형상의 제2슬롯이 형성된 브라켓이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케이스에는 2개의 밸브 유니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콕.
KR2020020010886U 2002-04-11 2002-04-11 다용도 코크 KR2002800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886U KR200280081Y1 (ko) 2002-04-11 2002-04-11 다용도 코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886U KR200280081Y1 (ko) 2002-04-11 2002-04-11 다용도 코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6210A Division KR100524553B1 (ko) 2002-09-16 2002-09-16 다용도 코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0081Y1 true KR200280081Y1 (ko) 2002-06-27

Family

ID=73074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0886U KR200280081Y1 (ko) 2002-04-11 2002-04-11 다용도 코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008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454B1 (ko) * 2011-06-10 2013-03-06 주식회사 조이포라이프 수전박스 배관 연결장치
KR101493948B1 (ko) * 2014-01-27 2015-02-17 주식회사 엔에코 벽체 매립형 수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454B1 (ko) * 2011-06-10 2013-03-06 주식회사 조이포라이프 수전박스 배관 연결장치
KR101493948B1 (ko) * 2014-01-27 2015-02-17 주식회사 엔에코 벽체 매립형 수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93053C (en) Mixing sillcock
JP4536719B2 (ja) 液体ジョイントの関節デバイス、および熱放射器でのその関節デバイスの使用
KR100524553B1 (ko) 다용도 코크
KR200280081Y1 (ko) 다용도 코크
US7478645B2 (en) Hot and cold hydrant with swivel outlet
US20120292901A1 (en) Plumbing fitting
KR100886360B1 (ko) 벽체 매립형 수전장치 및 벽체 매립형 수전장치용 챔버
KR200273561Y1 (ko) 다용도 혼합수전
KR100952119B1 (ko) 보일러용 개량 볼밸브
KR200364752Y1 (ko) 가변형 다용도 콕크
KR100886361B1 (ko) 벽체 매립형 수전함
KR101195895B1 (ko) 벽면설치용 수전
JP2005314937A (ja) 混合水栓
JP2000329601A (ja) メータ設置器
KR100685857B1 (ko) 분리형 수도전
KR101021884B1 (ko) 워터햄머 흡수기용 밸브조립체
KR0124148Y1 (ko) 보조출수관을 구비한 동파방지용 수도전
KR200247669Y1 (ko) 수도전의 잠금장치
KR102305480B1 (ko) 다용도 수도전
KR100817878B1 (ko) 밸브기능을 갖는 엘보우
KR102199609B1 (ko) 수전헤드
US4830044A (en) Piping connector
WO2007145445A1 (en) Angle valve cap having bidet connection distribution hole
JP2007247195A (ja) 水栓
KR200187830Y1 (ko) 유량조절 및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40821

Effective date: 20050628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40816

Effective date: 20050831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