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0103B1 - 액체를 이용한 유리 썬팅시스템 - Google Patents

액체를 이용한 유리 썬팅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0103B1
KR101240103B1 KR1020100101333A KR20100101333A KR101240103B1 KR 101240103 B1 KR101240103 B1 KR 101240103B1 KR 1020100101333 A KR1020100101333 A KR 1020100101333A KR 20100101333 A KR20100101333 A KR 20100101333A KR 101240103 B1 KR101240103 B1 KR 101240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liquid
color
injection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1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9888A (ko
Inventor
류철하
Original Assignee
류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철하 filed Critical 류철하
Priority to KR1020100101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0103B1/ko
Publication of KR20120039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9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0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0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001General methods for coat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07Sunglare reduction by coatings, interposed foils in laminar windows, or permanent scree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18/00Methods for coating glass
    • C03C2218/10Deposition methods
    • C03C2218/11Deposition methods from solutions or suspen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32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arrangements reducing the heat transmission, other than an interruption in a metal section
    • E06B2003/2632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arrangements reducing the heat transmission, other than an interruption in a metal section with coatings reducing the rad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또는 건물의 일측에 설치되고 내측에 공간부를 갖는 제1유리(2)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흡,배기수단(4)과, 차량의 엔진룸 내부 일측 또는 건물의 타측에 설치되며 액체가 충진된 액체탱크(6)와, 상기 제1유리(2)와 액체탱크(6)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주입호수(8)와, 상기 주입호수(8)의 일단에 설치되는 주입노즐(10)과, 상기 주입호수(8)의 일측에 개재되어 액체탱크(6)로부터 액체를 상기 주입호수(8)를 통해 제1유리(2)로 공급하기 위한 주입모터(12)와, 상기 주입모터(12)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1전원부(14)와, 상기 주입모터(12)와 제1전원부(14) 사이에 개재되는 주입모터배선(16)과, 상기 제1유리(2)의 하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액체탱크(6)에 연결 설치되는 배출호수(18)와, 상기 배출호수(18)의 일측에 개재되고 상기 제1전원부(14)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제1유리(2) 내부의 액체를 상기 액체탱크(6)로 배출하는 배출모터(20)와, 상기 배출모터(20)와 제1전원부(14) 사이에 개재되는 배출모터배선(22)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건물의 창유리 또는 차량유리 등의 차광이 필요한 유리의 내부공간에 일정농도의 다양한 선팅액을 선택적으로 주입 또는 배출시킬 수 있게 하여 차량과 건물 등의 유리를 편리하게 썬팅할 수 있는 액체를 이용한 유리 썬팅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액체를 이용한 유리 썬팅시스템{The separation which uses the liquid cut, [thing] system}
본 발명은 액체를 이용한 유리 썬팅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창유리 또는 차량유리 등의 차광이 필요한 유리의 내부공간에 일정농도의 다양한 선팅액을 선택적으로 주입 또는 배출시킬 수 있게 하여 차량과 건물 등의 유리를 편리하게 썬팅할 수 있는 액체를 이용한 유리 썬팅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썬팅(Window Tinting)' 이란 유리에 착색필름을 부착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주로 자동차의 유리에 적용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일반주택, 또는 고층빌딩 등의 유리에도 적용되고 있다.
차량의 유리에 썬팅을 하는 경우, 낮에는 자외선, 그리고 밤에는 후방차량의 헤드라이트로부터 발생하는 빛을 반감시켜 운전자의 시야 확보에 도움을 주게 되고, 개인의 프라이버시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건물의 유리에 썬팅을 하는 경우, 거주자 또는 생활자의 피부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되고, 실내 인테리어 또는 물품이 탈색되거나 변색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되며, 아울러 외부로부터의 열이 실내로 전달되는 것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종래의 판유리는 통상의 판유리, 페어글라스(pair glass)등 여러 종류가 시판되고 있는데, 이들 판유리들은 생산과정에서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되어 생산되며, 또한 반투명, 불투명인 경우에도 그 색상이 선택되어 생산된다.
따라서 시공업자들은 여러 종류의 유리 중에서 한 종류의 유리를 선택하여서 시공을 하게 되며, 투명유리를 선택하여 시공한 경우에 색상을 입히고자 할 때에는 원하는 색상의 비닐필름을 유리에 접착(썬팅)하였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판유리들을 쇼윈도, 건물의 창 또는 실내칸막이 등에 일단 설치한 경우에 필요한 때마다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으로 수시로 변경할 수 없으며, 그 색상도 임의로 변경할 수 없다.
예를 들면 쇼윈도판유리는 통상적으로 내부가 잘 들여다보이도록 투명한 것이 사용되는 데 햇빛이 들어올 때에는 전시물품의 탈색 등의 변질을 막기 위해서 별도의 차광수단을 이용하여 차광하기 때문에 내부가 전혀 보이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창유리도 통상적으로 투명의 것이 사용되는데, 햇빛이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차광수단을 이용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창유리, 쇼윈도유리는 차광수단을 별도로 설치하여야 하는 것 외에도 그 색상을 임의로 변경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실내칸막이 유리는 사무실을 넓게 보이게 하거나 전체를 쳐다볼 수 있도록 할 때는 투명, 상호 쳐다볼 수 없도록 할 때는 반투명 또는 불투명으로 하는 등 수시로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의 변경 및 색상변경을 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나 종래의 유리는 필요할 때 또는 원할 때 임의로 투명에서 반투명 또는 불투명으로의 색상 변경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햇빛 가리개는 차내에 설치되는 썬 바이저와 차체의 외부에 설치되는 윈도우 바이저로 분류될 수 있으며, 차내에 설치되는 썬 바이저는 앞좌석 차창 바로 위의 탑 실링부에 설치되고, 차외부에는 전방 도어의 윈도우 프레임에 고정된다.
한편, 이렇게 차체에 장착되는 부착물로서의 썬 바이저외에도 차체의 윈도우에 썬 코팅을 함으로써, 햇빛을 차단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하나의 특정 색상의 착색필름을 유리와 유리 사이에 개입 시켜 반영구적으로 고정시킨 구조이었기 때문에 두 유리 사이에 한번 썬팅을 하고 나면 사용자의 임의대로 썬팅색상을 바꿀 수 없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량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변상황에 따라 사용자의 임의대로 편리하게 유리를 썬팅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차체 내로 들어오는 햇빛을 충분히 차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체를 이용한 썬팅시스템은 썬팅액의 색상을 다양화하여 사용자가 연출하고자 하는 색상으로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액체를 이용한 유리 썬팅시스템은 차량 또는 건물의 일측에 설치되고 내측에 공간부를 갖는 제1유리(2)와, 상기 제1유리(2)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흡,배기수단(4)과, 차량의 엔진룸 내부 일측 또는 건물의 타측에 설치되며 액체가 충진된 액체탱크(6)와, 상기 제1유리(2)와 액체탱크(6)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주입호수(8)와, 상기 주입호수(8)의 일단에 설치되는 주입노즐(10)과, 상기 주입호수(8)의 일측에 개재되어 액체탱크(6)로부터 액체를 상기 주입호수(8)를 통해 제1유리(2)로 공급하기 위한 주입모터(12)와, 상기 주입모터(12)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1전원부(14)와, 상기 주입모터(12)와 제1전원부(14) 사이에 개재되는 주입모터배선(16)과, 상기 제1유리(2)의 하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액체탱크(6)에 연결 설치되는 배출호수(18)와, 상기 배출호수(18)의 일측에 개재되고 상기 제1전원부(14)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제1유리(2) 내부의 액체를 상기 액체탱크(6)로 배출하는 배출모터(20)와, 상기 배출모터(20)와 제1전원부(14) 사이에 개재되는 배출모터배선(2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체를 이용한 유리 썬팅시스템은 차체 및 건물에 조사되는 햇빛의 조도에 따라 유리의 음영을 제어함으로써, 썬 바이저나 썬 코팅 없이도 차체 및 건물에 조사되는 햇빛을 차단시켜 사용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게 됨과 더불어 상기 썬바이저 등에 의한 운전 시야의 방해를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강한 자외선에 의해 건물 내부의 물건에 탈색 및 변질을 막아줌과 더불어 그리고, 사용자의 임의대로 편리하게 다양한 색상의 썬팅환경을 연출해 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를 이용한 유리 썬팅시스템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를 이용한 유리 썬팅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액체를 이용한 유리 썬팅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를 이용한 유리 썬팅시스템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를 이용한 유리 썬팅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일 실시 예로 도시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를 이용한 유리 썬팅시스템은 차량 또는 건물의 일측에 설치되고 내측에 공간부를 갖는 제1유리(2)와, 상기 제1유리(2)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흡,배기수단(4)과, 차량의 엔진룸 내부 일측 또는 건물의 타측에 설치되며 액체가 충진된 액체탱크(6)와, 상기 제1유리(2)와 액체탱크(6)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주입호수(8)와, 상기 주입호수(8)의 일단에 설치되는 주입노즐(10)과, 상기 주입호수(8)의 일측에 개재되어 액체탱크(6)로부터 액체를 상기 주입호수(8)를 통해 제1유리(2)로 공급하기 위한 주입모터(12)와, 상기 주입모터(12)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1전원부(14)와, 상기 주입모터(12)와 제1전원부(14) 사이에 개재되는 주입모터배선(16)과, 상기 제1유리(2)의 하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액체탱크(6)에 연결 설치되는 배출호수(18)와, 상기 배출호수(18)의 일측에 개재되고 상기 제1전원부(14)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제1유리(2) 내부의 액체를 상기 액체탱크(6)로 배출하는 배출모터(20)와, 상기 배출모터(20)와 제1전원부(14) 사이에 개재되는 배출모터배선(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흡,배기수단(4)은 세로방향으로 제1공기순환구(4a-2)가 형성된 제1덮개(4a)와, 상기 제1덮개(4a)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유리(2)의 내부에 공급되는 액체와의 부력에 의해 상기 제1공기순환구(4a-2)를 밀폐 및 개방하는 제1도어(4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원부(14)에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ON/OFF스위치(14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를 이용한 유리 썬팅시스템의 다른 실시 예로는 차량의 일측 또는 건물 일측에 설치되고 내측에 공간부를 갖는 제2유리(24)와, 상기 제2유리(24)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흡,배기수단(26)과, 차량의 엔진룸 내부 일측 또는 건물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1색액체탱크(28)와, 상기 제2유리(24)와 제1색액체탱크(28)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제1색주입관(30)과, 상기 제1색주입관(30)의 일측에 개재되어 제1색액체탱크(28)로부터 액체를 상기 제1색주입관(30)을 통해 제2유리(24)로 공급하기 위한 제1색주입모터(32)와, 상기 제1색주입모터(3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제2전원부(34)와, 상기 제1색주입모터(32)와 제2전원부(34) 사이에 개재되는 제1주입모터배선(36)과, 상기 제2유리(24)의 하부 일측에 연결되는 제1배수관(38)과, 상기 제1배수관(38)의 일측에 개재되고 상기 제2전원부(34)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제2유리(24) 내부의 액체를 상기 제1색액체탱크(28)로 배수하는 제1배수모터(40)와, 상기 제1배수모터(40)와 제2전원부(34) 사이에 개재되는 제1배수모터배선(42)과,
차량의 엔진룸 내부 타측에 설치되는 제2색액체탱크(44)와, 상기 제2유리(24)와 제2색액체탱크(44)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제2색주입관(46)과, 상기 제2색주입관(46)의 일측에 개재되어 제2색액체탱크(44)로부터 액체를 상기 제2색주입관(46)을 통해 제2유리(24)로 공급하기 위한 제2색주입모터(48)와, 상기 제2색주입모터(48)와 상기 제2전원부(34) 사이에 개재되는 제2색주입모터배선(50)과, 상기 제2유리(24)의 하부 타측에 연결되는 제2배수관(52)과, 상기 제2배수관(52)의 일측에 개재되고 상기 제2전원부(34)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제2유리(24) 내부의 액체를 상기 제2색액체탱크(44)로 배수하는 제2배수모터(54)와, 상기 제2배수모터(54)와 제2전원부(34)사이에 개재되는 제2배수모터배선(5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흡,배기수단(26)은, 세로방향으로 제2공기순환구(26a-2)가 형성된 제2덮개(26a)와, 상기 제2덮개(26a)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2유리(24)의 내부에 공급되는 액체와의 부력에 의해 상기 제2공기순환구(26a-2)를 밀폐 및 개방하는 제2도어(26b)가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색액체탱크(44)는 내부에 설치되어 액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44a) 및 액체를 가온하는 히팅부(44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전원부(3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제2색액체탱크(44) 내부 액체의 온도가 기 설정된 값보다 떨어지게 되면 히팅부(44b)에 가온 신호를 전달 및 시스템을 프로세스 하는 제어부(5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전원부(34)에 하나 이상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ON/OFF스위치(34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액체를 이용한 유리 썬팅시스템의 조립과정 및 사용과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조립과정은 당업자에 따라 변형 및 다양한 타 실시 예가 시행될 수 있다.
먼저, 내측에 공간부를 갖는 제2유리(24)를 차량 및 건물에 설치하고 상기 제2유리(24)의 내, 외부로 공기가 유입 배출 될 수 있도록 제2유리(24) 상부에 제2흡,배기수단(26)을 설치한다.
그리고 차량의 엔진룸 내부 일측 또는 건물의 일측에 내부에 액체가 충진된 제1색액체탱크(28)를 설치한 후 상기 제2유리(24)와 연결되도록 제1색주입관(30)을 설치한다.
여기서 차량에 사용될 때 상기 제1액체탱크(28) 내부의 액체는 검정색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색액체탱크(28) 내부의 액체를 제2유리(24)로 공급하기 위한 제1색주입모터(32)를 설치하고, 상기 제1색주입모터(32)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2전원부(34)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제1색주입모터(32)와 제2전원부(34)는 무선 또는 전기배선으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유리(24)의 하부 일측에 제1배수관(38)을 설치하고 상기 제1배수관(38)의 일측에 제1배수모터(40)를 개재하여 설치한 후 상기 제2전원부(34)와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한편, 차량의 엔진룸 내부 타측 또는 건물의 타측에 내부에 액체가 충진된 제2색액체탱크(44)를 설치한 후 상기 제2유리(24)와 연결되도록 제2색주입관(46)을 설치한다.
여기서 차량에 사용될 때 상기 제2색액체탱크(44) 내부의 액체는 투명한 액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색액체탱크(44) 내부의 액체를 제2유리(24)로 공급하기 위한 제2색주입모터(48)를 설치하고, 제2전원부(34)와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제2유리(24)의 하부 타측에 제2배수관(52)을 설치하고 상기 제2배수관(52)의 일측에 제2배수모터(54)를 개재하여 설치한 후 상기 제2전원부(34)와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또한, 상기 제2색액체탱크(44) 내부에 액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44a) 및 액체를 가온하는 히팅부(44b)를 설치하고, 상기 제2전원부(3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제2색액체탱크(44) 내부 액체의 온도가 기 설정된 값보다 떨어지게 되면 히팅부(44b)에 가온 신호를 전달 및 시스템을 프로세스 하는 제어부(58)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2전원부(34)에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ON/OFF스위치(34a)를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조립이 완료되면 차량 또는 건물 내부로 들어오는 햇빛을 차단시 제2전원부(24)에 설치된 하나의 ON/OFF스위치(34a)를 ON으로 동작하게 되면 제어부(58)가 신호를 인가받아 제1색주입모터(32)를 작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색주입모터(32)를 작동하면 제1주입모터(32)와 연결된 제1색주입관(30)이 제1색액체탱크(28) 내부의 액체를 끌어올려 제2유리(24)로 공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유리(24)의 내부에 액체가 서서히 차오르게 되면 상부에 설치된 제2흡,배기수단(26)의 제2도어(26b)가 부력에 의해 제2덮개(26a)의 제2공기순환구(26a-2)를 밀폐하게 된다.
따라서, 햇빛에 의한 외부의 자외선 및 직사광선을 차단하게 되는 것과 더불어 햇빛의 조도가 낮거나 또는 내부로 빛을 들이고 싶을 시에는 상기 ON/OFF스위치(34a)를 OFF로 동작하게 되면 제어부(58)가 신호를 인가받아 제1배수모터(40)를 작동하게 된다.
이에 상기 제2유리(24) 내부의 충진된 액체가 제1배수관(38)을 통해 제1색액체탱크(28)로 다시 유입됨과 아울러 제2유리(24)의 상부에 제2흡,배기수단(26)의 제2도어(26b)가 개방되면서 공기를 유입하여 제2유리(24) 내부의 액체를 더욱 원활하게 배수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수분이 유입되었던 제2유리(24)의 내부에 차량 내, 외부의 온도차에 의해 습기가 생성될 경우 미관상 또는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할 수 있음은 물론 겨울철 외부의 찬 공기에 의해 유리 외부에 성해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이 제2유리(24)의 내부에 제1색액체탱크 내부에서 공급되었던 액체가 모두 배수되면 제2전원부(34)에 다른 하나의 ON/OFF스위치(34a)를 ON으로 작동한다.
이에 제2전원부(34)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은 제어부(58)의 신호에 의해 제2색주입모터(48)를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유리(24)의 내부에 제2색액체탱크(44)에 충진되었던 액체가 제2색주입관(46)을 따라 제2유리(24)로 공급됨과 아울러 액체의 부력에 의해 제2흡,배기수단(26)의 제2도어(26b)가 닫혀 제2유리(24)의 내부가 밀폐된다.
또한, 상기 제2색액체탱크(44) 내부의 액체가 히팅부(44b)에 의해 항시 일정온도 가온 되어 있어 제2유리(24) 내부에 습기가 발생방지는 물론 히팅부(44b)에 의해 액체가 일정 온도 가온 되어있기에 성해방지 및 제거가 가능한 것이다.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일 뿐,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2 : 제1유리 4 : 제1흡,배기수단
4a : 제1덮개 4a-2 : 제1공기순환구
4b : 제1도어 6 : 액체탱크
8 : 주입호수 10 : 주입노즐
12 : 주입모터 14 : 제1전원부
14a : ON/OFF스위치 16 : 주입모터배선
18 : 배출호수 20 : 배출모터
22 : 배출모터배선 24 : 제2유리
26 : 제2흡,배기수단 26a : 제2덮개
26a-2 : 제2공기순환구 26b : 제2도어
28 : 제1색액체탱크 30 : 제1색주입관
32 : 제1색주입모터 34 : 제2전원부
34a : ON/OFF스위치 36 : 제1주입모터배선
38 : 제1배수관 40 : 제1배수모터
42 : 제1배수모터배선 44 : 제2색액체탱크
44b : 히팅부 46 : 제2색주입관
48 : 제2색주입모터 50 : 제2색주입모터배선
52 : 제2배수관 54 : 제2배수모터
56 : 제2배수모터배선 58 : 제어부

Claims (9)

  1. 차량 또는 건물의 일측에 설치되고 내측에 공간부를 갖는 제1유리(2)와; 상기 제1유리(2)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흡,배기수단(4)과; 차량의 엔진룸 내부 일측 또는 건물의 타측에 설치되며 액체가 충진된 액체탱크(6)와; 상기 제1유리(2)와 액체탱크(6)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주입호수(8)와; 상기 주입호수(8)의 일단에 설치되는 주입노즐(10)과; 상기 주입호수(8)의 일측에 개재되어 액체탱크(6)로부터 액체를 상기 주입호수(8)를 통해 제1유리(2)로 공급하기 위한 주입모터(12)와; 상기 주입모터(12)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1전원부(14)와; 상기 주입모터(12)와 제1전원부(14) 사이에 개재되는 주입모터배선(16)과; 상기 제1유리(2)의 하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액체탱크(6)에 연결 설치되는 배출호수(18)와; 상기 배출호수(18)의 일측에 개재되고 상기 제1전원부(14)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제1유리(2) 내부의 액체를 상기 액체탱크(6)로 배출하는 배출모터(20)와; 상기 배출모터(20)와 제1전원부(14) 사이에 개재되는 배출모터배선(22)으로 구성된 유리 썬팅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흡,배기수단(4)은,
    세로방향으로 제1공기순환구(4a-2)가 형성된 제1덮개(4a)와;
    상기 제1덮개(4a)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유리(2)의 내부에 공급되는 액체와의 부력에 의해 상기 제1공기순환구(4a-2)를 밀폐 및 개방하는 제1도어(4b)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를 이용한 유리 썬팅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차량의 일측 또는 건물 일측에 설치되고 내측에 공간부를 갖는 제2유리(24)와;
    상기 제2유리(24)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흡,배기수단(26)과;
    차량의 엔진룸 내부 일측 또는 건물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1색액체탱크(28)와;
    상기 제2유리(24)와 제1색액체탱크(28)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제1색주입관(30)과;
    상기 제1색주입관(30)의 일측에 개재되어 제1색액체탱크(28)로부터 액체를 상기 제1색주입관(30)을 통해 제2유리(24)로 공급하기 위한 제1색주입모터(32)와;
    상기 제1색주입모터(3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제2전원부(34)와;
    상기 제1색주입모터(32)와 제2전원부(34) 사이에 개재되는 제1주입모터배선(36)과;
    상기 제2유리(24)의 하부 일측에 연결되는 제1배수관(38)과;
    상기 제1배수관(38)의 일측에 개재되고 상기 제2전원부(34)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제2유리(24) 내부의 액체를 상기 제1색액체탱크(28)로 배수하는 제1배수모터(40)와;
    상기 제1배수모터(40)와 제2전원부(34) 사이에 개재되는 제1배수모터배선(42)과;
    차량의 엔진룸 내부 타측에 설치되는 제2색액체탱크(44)와;
    상기 제2유리(24)와 제2색액체탱크(44)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제2색주입관(46)과;
    상기 제2색주입관(46)의 일측에 개재되어 제2색액체탱크(44)로부터 액체를 상기 제2색주입관(46)을 통해 제2유리(24)로 공급하기 위한 제2색주입모터(48)와;
    상기 제2색주입모터(48)와 상기 제2전원부(34) 사이에 개재되는 제2색주입모터배선(50)과;
    상기 제2유리(24)의 하부 타측에 연결되는 제2배수관(52)과;
    상기 제2배수관(52)의 일측에 개재되고 상기 제2전원부(34)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제2유리(24) 내부의 액체를 상기 제2색액체탱크(44)로 배수하는 제2배수모터(54)와;
    상기 제2배수모터(54)와 제2전원부(34)사이에 개재되는 제2배수모터배선(56)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를 이용한 유리 썬팅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흡,배기수단(26)은,
    세로방향으로 제2공기순환구(26a-2)가 형성된 제2덮개(26a)와;
    상기 제2덮개(26a)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2유리(24)의 내부에 공급되는 액체와의 부력에 의해 상기 제2공기순환구(26a-2)를 밀폐 및 개방하는 제2도어(26b)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를 이용한 유리 썬팅시스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색액체탱크(44)는,
    내부에 설치되어 액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44a)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를 이용한 유리 썬팅시스템.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색액체탱크(44)는,
    내부에 설치되어 액체를 가온하는 히팅부(44b)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를 이용한 유리 썬팅시스템.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원부(3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제2색액체탱크(44) 내부 액체의 온도가 기 설정된 값보다 떨어지게 되면 히팅부(44b)에 가온 신호를 전달 및 시스템을 프로세스 하는 제어부(58)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를 이용한 유리 썬팅시스템.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원부(34)에 하나 이상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ON/OFF스위치(34a)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를 이용한 유리 썬팅시스템.
KR1020100101333A 2010-10-18 2010-10-18 액체를 이용한 유리 썬팅시스템 KR101240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1333A KR101240103B1 (ko) 2010-10-18 2010-10-18 액체를 이용한 유리 썬팅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1333A KR101240103B1 (ko) 2010-10-18 2010-10-18 액체를 이용한 유리 썬팅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9888A KR20120039888A (ko) 2012-04-26
KR101240103B1 true KR101240103B1 (ko) 2013-03-06

Family

ID=46140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1333A KR101240103B1 (ko) 2010-10-18 2010-10-18 액체를 이용한 유리 썬팅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01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3456A (ko) * 2012-09-20 2015-04-22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기지국 장치, 이동국 장치,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0943B1 (ko) * 2013-01-04 2013-06-11 권용진 썬팅필름 부착용 룸타입 클리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썬팅필름 부착방법
KR200485022Y1 (ko) 2017-06-13 2017-12-20 (주)에핏라이트 터치 방식을 이용한 자동차용 차폐 필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68943A (ja) * 1988-04-19 1989-10-26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可変熱貫流壁
KR19980039465U (ko) * 1996-12-20 1998-09-15 양재신 액체를 이용한 후방유리 햇빛 차단장치
KR20040106667A (ko) * 2003-06-11 2004-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액체를 이용한 가변 가능한 썬팅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070251164A1 (en) * 2006-04-27 2007-11-01 Zoltan Egeresi Liquid window shad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68943A (ja) * 1988-04-19 1989-10-26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可変熱貫流壁
KR19980039465U (ko) * 1996-12-20 1998-09-15 양재신 액체를 이용한 후방유리 햇빛 차단장치
KR20040106667A (ko) * 2003-06-11 2004-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액체를 이용한 가변 가능한 썬팅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070251164A1 (en) * 2006-04-27 2007-11-01 Zoltan Egeresi Liquid window shad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3456A (ko) * 2012-09-20 2015-04-22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기지국 장치, 이동국 장치,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9888A (ko) 2012-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79919T3 (es) Parabrisas panorámico extendido con persiana integrada inamovible
ES2842798T3 (es) Cristal compuesto con iluminación
BR112012018665B1 (pt) Vidraça luminosa para veículo, veículo, e processo de fabricação de vidraça luminosa para veículo
US20130264017A1 (en) Modular window for an aircraft including an spd lens and an opaque shade
KR101240103B1 (ko) 액체를 이용한 유리 썬팅시스템
BR112012018663B1 (pt) vidraça luminosa para veículo, e, veículo
BR112018009491B1 (pt) Vidraça compósita, arranjo da vidraça compósita, método para produção de uma vidraça compósita, uso da vidraça compósita ou do arranjo da vidraça compósita, e, uso de um meio de iluminação
EA036300B1 (ru) Многослойное стекло
KR101054637B1 (ko) 차량용 선루프
US10807452B2 (en) Roof system for a vehicle
BR112021003738A2 (pt) janela de veículo com módulo de sensor integrado
BR112020023455A2 (pt) elemento funcional com propriedades óticas eletricamente controláveis
KR101007598B1 (ko) 건축물의 자연채광이 가능한 문 구조
CN210027201U (zh) 基于psct光阀的智能车载天窗
CN211497398U (zh) 一种可变光玻璃
KR200416342Y1 (ko) 탈,부착이 용이한 자동차용 윈도우 바이저
KR200389972Y1 (ko) 다용도 차량용 햇빛 가리개
CN206074851U (zh) 车窗总成和车辆座舱窗户
CN212313243U (zh) 一种车窗玻璃组件和车辆
CN110126596A (zh) 一种多颜色变化的汽车玻璃
CN208277806U (zh) 一种内嵌除霜风道的车门内饰板
CN215124782U (zh) 一种可变色的头盔挡风镜面罩
KR102667490B1 (ko) 차량의 유리창 투명도 조절장치
CA2668080C (en) Modular window for an aircraft including an spd lens and an opaque shade
CN108128119B (zh) 一种汽车气体流通自动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