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9758B1 - 현가부재용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현가부재용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9758B1
KR101239758B1 KR1020110051729A KR20110051729A KR101239758B1 KR 101239758 B1 KR101239758 B1 KR 101239758B1 KR 1020110051729 A KR1020110051729 A KR 1020110051729A KR 20110051729 A KR20110051729 A KR 20110051729A KR 101239758 B1 KR101239758 B1 KR 101239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block
support
fastening memb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1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3189A (ko
Inventor
이상우
전재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화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화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화신
Priority to KR1020110051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9758B1/ko
Publication of KR20120133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3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9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9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suspensions, brakes or wheel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21/00Machines for assembling a multiplicity of different parts to compose units, with or without preceding or subsequent working of such parts, e.g. with programme control
    • B23P21/004Machines for assembling a multiplicity of different parts to compose units, with or without preceding or subsequent working of such parts, e.g. with programme control the units passing two or more work-stations whilst being composed
    • B23P21/006Machines for assembling a multiplicity of different parts to compose units, with or without preceding or subsequent working of such parts, e.g. with programme control the units passing two or more work-stations whilst being composed the conveying means comprising a rotating 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가부재용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현가부재에 복수 개의 부시 및 연결부재를 연속하여 조립할 수 있고, 현가부재에 체결부재를 압입하는데 요구되는 유압을 줄일 수 있는 현가부재용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베이스프레임과, 체결부재가 연결부에 가조립된 작업 대상물을 베이스프레임을 따라 공급하는 컨베이어와, 연결부를 지지하는 결합지지부와, 체결부재를 연결부에 압입하는 압입력을 제공하는 결합부와, 결합부의 압입력을 체결부재에 단계적으로 전달하는 결합이동부를 포함하는 현가부재용 조립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현가부재용 조립장치 {ASSEMBLING APPARATUS FOR SUSPENSION}
본 발명은 현가부재용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현가부재에 복수 개의 부시 및 연결부재를 연속하여 조립할 수 있고, 현가부재에 체결부재를 압입하는데 요구되는 유압을 줄일 수 있는 현가부재용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불균일한 노면을 주행하게 되므로 소음을 수반하는 진동을 받게 되는데, 차체가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스프링과 쇽 업소버 및 스태빌라이저 등의 부재가 설치된다.
이러한 부재들은 댐핑력 및 차고 조종의 기능을 주로 행하면서 차량의 승차감과 안정성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현가장치 중 리어 현가장치는 보통 3개 내지 5개의 링크를 사용하여 액슬의 위치를 결정하는 멀티링크 리어 현가장치를 이룬다.
이러한 현가장치가 지지되는 로워암의 일단은 차륜의 너틀(또는 캐리어)부위에 부시에 의해 체결되고, 로워암의 타단은 크로스멤버(또는 서브프레임)에 부시 체결된다.
여기서, 로워암 및 크로스멤버와 같은 부재를 현가부재라 하며, 소형차에는 로워암 및 크로스멤버 대신에 트레일링암과 토션빔이 설치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인 로워암은 크로스멤버와 결합되는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에 부시가 설치되고 현가장치와 연결되는 연결부에는 볼조인트가 결합되는데, 각각의 부시와 볼조인트를 결합하는 방향이 서로 다르므로 부시와 볼조인트를 조립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로워암은 연결부와 볼조인트를 결합하는 복수 개의 체결부재가 동시에 압입되기 때문에 체결부재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유압장치가 설정치 이상의 유압을 유지해야 하므로 유압장치의 용량이 커지고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현가부재에 복수 개의 부시 및 연결부재를 연속하여 조립할 수 있고, 현가부재에 체결부재를 압입하는데 요구되는 유압을 줄일 수 있는 현가부재용 조립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베이스프레임과, 체결부재가 연결부에 가조립된 작업 대상물을 베이스프레임을 따라 공급하는 컨베이어와, 연결부를 지지하는 결합지지부와, 체결부재를 연결부에 압입하는 압입력을 제공하는 결합부와, 결합부의 압입력을 상기 체결부재에 단계적으로 전달하는 결합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지지부는, 작업 대상물이 안착되는 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출몰되고 상기 연결부를 지지하는 지지블록과, 상기 지지블록을 승강시키는 지지실린더와, 상기 지지블록을 구속하는 구속블록과, 구속블록을 이동시키는 구속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부재용 조립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결합이동부를 상기 지지블록 측으로 이동시키는 가압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가압프레임을 승강시키는 결합실린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이동부는, 상기 가압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블록; 상기 가압블록을 이동시키는 이송실린더; 상기 가압블록의 이동여부를 감지하는 이동센서; 및 상기 이동센서에서 송신되는 감지신호를 판단하여 상기 결합실린더에 구동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베이스프레임과, 체결부재가 연결부에 가조립된 작업 대상물을 베이스프레임을 따라 공급하는 컨베이어와, 연결부를 지지하는 결합지지부와, 체결부재를 연결부에 압입하는 압입력을 제공하는 결합부와, 결합부의 압입력을 상기 체결부재에 단계적으로 전달하는 결합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지지부는, 작업 대상물이 안착되는 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출몰되고 상기 연결부를 지지하는 지지블록과, 상기 지지블록을 승강시키는 지지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결합이동부를 상기 지지블록 측으로 이동시키는 가압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가압프레임을 승강시키는 결합실린더; 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이동부는, 상기 가압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블록; 상기 가압블록을 이동시키는 이송실린더; 상기 가압블록의 이동여부를 감지하는 이동센서; 및 상기 이동센서에서 송신되는 감지신호를 판단하여 상기 결합실린더에 구동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부재용 조립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현가부재용 조립장치는 작업 대상물에 체결부재, 제1부시, 제2부시 및 결합부재를 연속하여 결합할 수 있으므로 작업 대상물 조립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체결부재를 압입한 후에 제1부시 및 제2부시를 압입하고 연결부에 결합부재를 체결하므로 제1부시 및 제2부시를 압입하는 동안에 체결부재가 압입되면서 변형되었던 연결부가 복원되어 연결부의 변형에 의해 발생되는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체결부재를 단계적으로 압입하므로 비교적 적은 용량의 유압장치를 사용하여 복수 개의 체결부재를 압입할 수 있어 유압장치의 용량이 작아지고 간단해지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용 조립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용 조립장치의 가조립부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용 조립장치의 분배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용 조립장치의 분배부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용 조립장치의 이송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용 조립장치의 삽입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용 조립장치의 삽입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용 조립장치의 삽입부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용 조립장치의 걸림부 장착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용 조립장치의 걸림부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용 조립장치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용 조립장치의 압입부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용 조립장치의 결합부, 결합지지부 및 결합이동부가 도시된 부분 확대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용 조립장치의 결합지지부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용 조립장치의 결합이동부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용 조립장치의 제1부시조립부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용 조립장치의 제1부시조립부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용 조립장치의 제2부시조립부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용 조립장치의 제2부시조립부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용 조립장치의 체결부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용 조립장치의 체결부가 도시된 부분 확대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용 조립장치에 의해 조립된 로워암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용 조립장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용 조립장치의 가조립부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용 조립장치의 압입부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현가부재용 조립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용 조립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용 조립장치의 가조립부가 도시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용 조립장치의 분배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용 조립장치의 분배부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용 조립장치의 이송부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용 조립장치의 삽입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용 조립장치의 삽입부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용 조립장치의 삽입부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용 조립장치의 걸림부 장착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용 조립장치의 걸림부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용 조립장치가 도시된 블록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용 조립장치의 압입부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또한,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용 조립장치의 결합부, 결합지지부 및 결합이동부가 도시된 부분 확대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용 조립장치의 결합지지부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용 조립장치의 결합이동부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또한,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용 조립장치의 제1부시조립부가 도시된 측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용 조립장치의 제1부시조립부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용 조립장치의 제2부시조립부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또한,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용 조립장치의 제2부시조립부가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용 조립장치의 체결부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용 조립장치의 체결부가 도시된 부분 확대도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용 조립장치에 의해 조립된 로워암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용 조립장치는 작업 대상물이 안착되는 플레이트(36)를 공급하는 이동부(95)와, 이동부(95)를 통해 공급되는 작업 대상물의 연결부(830)에 체결부재(100)를 삽입하는 가조립부(10, 50, 70)와, 작업 대상물에 삽입된 체결부재(100)를 가압하는 압입부(200)와, 작업 대상물의 제1결합부(810)에 제1부시(910)를 압입하는 제1부시조립부(300)와, 작업 대상물의 제2결합부(820)에 제2부시(920)를 압입하는 제2부시조립부(400)와, 연결부(830)에 결합부재(550)를 결합하는 체결부(500)를 포함한다.
작업 대상물의 연결부(830)에 볼조인트(930)가 겹쳐진 상태로 플레이트(36)에 안착되고, 이동부(95)를 따라 플레이트(36)가 가조립부(10, 50, 70)로 이동되면 가조립부(10, 50, 70)에서 공급되는 체결부재(100)가 연결부(830) 및 볼조인트(930)에 삽입된다.
이후에, 플레이트(36)가 압입부(200)로 이동되고, 플레이트(36)의 안착이 감지되면 압입부(200)의 작동에 의해 체결부재(100)가 연결부(830)와 볼조인트(930)에 압입된다.
체결부재(100)가 압입된 작업 대상물은 제1로봇암(710)에 의해 제1부시조립부(300)로 이동되고, 제1부시피더(340)로부터 공급되는 제1부시(910)가 제1부시공급부(350)에 의해 제1부시지지부(320) 측으로 이동된 후에 작업 대상물에 압입된다.
제1로봇암(710)은 작업 대상물을 제2부시조립부(400)로 이동시키고, 제2부시조립부(400)의 작동에 의해 제2부시피더(440)로부터 공급되는 제2부시(920)가 작업 대상물에 압입된다.
제2부시(920)가 압입된 작업 대상물은 제2로봇암(720)에 의해 체결부(500)의 회전플레이트(510)에 안착되고, 회전플레이트(510)의 회전운동에 의해 결합부재체결부(530)로 이동된 작업 대상물에 결합부재피더(520)로부터 공급되는 결합부재(550)가 체결된다.
이렇게 체결부재(100) 압입작동에 의해 소정량 변형되었던 작업 대상물의 연결부(830)는 제1부시(910)와 제2부시(920)가 압입되는 동안에 복원이 이루어지므로 결합부재(550)를 체결할 때에 변형된 연결부(830)에 의해 오조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용 조립장치의 가조립부(10, 50, 70)는 체결부재(100)를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하여 배출하는 공급부(10)와, 공급부(10)에서 배출되는 체결부재(100)를 이동시키는 이송부(50)와, 이송부(50)를 따라 이동되는 체결부재(100)를 조립 대상물에 끼우는 삽입부(70)를 포함한다.
컨베이어(90)와 같은 이동장치를 따라 이동되는 플레이트(36)에 안착된 조립 대상물이 공급되면 공급부(10)로부터 배출되는 체결부재(100)가 이송부(50)에 의해 삽입부(70)로 이동되고, 삽입부(70)의 작동에 의해 체결부재(100)가 조립 대상물의 체결홀부(82a)에 삽입된다.
이렇게 조립 대상물의 체결홀부(82a)에 체결부재(100)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므로 작업자가 체결부재(100)를 조립 대상물에 가조립하는 작업을 생략하여 연속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삽입부(70)는 체결부재(100)를 조립 대상물의 체결홀부(82a)에 매번 같은 방향으로 체결부재(100)를 공급하므로 체결부재(100)가 오조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공급부(10)는 다수 개의 체결부재(100)가 수납되는 케이스를 회전시키면서 원심력에 의해 체결부재(100)를 동일한 방향으로 정렬시키고, 정렬된 체결부재(100)를 토출구(12) 측으로 일정한 속도로 배출하는 장치로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도면이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송부(50)는 공급부(10)와 삽입부(70)를 연결하는 이송관(32)과, 이송관(32)과 연통되고 삽입부(70) 측으로 작동유체를 분사하는 토출부(34)를 포함한다.
공급부(10)의 토출구(12)를 통해 배출되는 체결부재(100)는 이송관(32)을 따라 하강하게 되고, 이송관(32)을 따라 하강하는 체결부재(100)는 토출부(34)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작동유체에 의해 삽입부(70) 측으로 이동된다.
이송관(32)은 공급부(10)의 토출구(12)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된 후에 상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삽입부(70)의 상측으로 연결되므로 탄성재질의 주름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송부(50)와 삽입부(70) 사이에 별도의 기둥을 설치하여 이송관(32)이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송부(50)는 공급부(10)와 복수개의 이송관(32) 사이에 설치되고 이송관(32)에 체결부재(100)를 공급하는 분배부(40)와, 삽입부(70)에 설치되고 체결부재(100)의 공급여부를 감지하는 제1센서(36)와, 제1센서(36)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따라 체결부재(100)가 공급되지 않은 삽입부(70) 측으로 체결부재(100)가 공급되도록 분배부(40)를 제어하는 제어부(38)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조립 대상물인 로워암(800)에는 한 쌍의 체결홀부(82a)가 나란히 형성되므로 후술될 삽입부(70)에는 한 쌍의 토출홀부(72a)가 형성되고, 토출홀부(72a)에는 한 쌍의 이송관(32)이 설치된다.
따라서 공급부(10)로부터 배출되는 체결부재(100)는 분배부(40)에 의해서 한 쌍의 이송관(32)에 각각 순차적으로 공급된다.
분배부(40)는 공급부(10)의 토출구(12)와 연통되고 이송관(32)이 연결되는 박스부(42)와, 박스부(42)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토출구(12)와 이송관(32)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통로(44a)가 형성되는 가이드블록(44)과, 가이드블록(44)을 이동시키는 구동부(46)를 포함한다.
따라서 체결부재(100)가 일측 통로(44a) 및 이송관(32)을 따라 일측 토출홀부(72a)에 공급되면, 제1센서(36)에 의해 체결부재(100)가 감지되므로 구동부(46)가 작동되어 가이드블록(44)을 이동시키게 된다.
이렇게 가이드블록(44)이 이동되면 공급부(10)의 토출구(12)와 가이드블록(44)의 타측 통로(44a)가 연통되므로 공급부(10)로부터 배출되는 체결부재(100)가 타측 통로(44a) 및 이송관(32)을 따라 삽입부(70)의 타측 토출홀부(72a)에 공급된다.
제1센서(36)에 의해 한 쌍의 토출홀부(72a)에 체결부재(100)의 공급 여부가 확인되면 삽입부(70)의 구동에 의해 토출되는 체결부재(100)가 조립 대상물의 체결홀부(82a)에 삽입된다.
또한, 박스부(72)에는 통로(44a)에 공급되는 체결부재(100)를 감지하는 제2센서(42a)가 설치되므로 공급부(10)로부터 토출구(12)를 따라 배출되는 체결부재(100)가 통로(44a)에 대향되는 위치까지 배출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이송부(50)의 구동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삽입부(70)는 이송관(32)이 연통되는 토출홀부(72a)가 형성되는 본체(72)와, 토출홀부(72a)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체결부재(100)가 거치되는 걸림부(74)와, 본체(72)와 걸림부(74) 사이에 개재되어 걸림부(74)가 체결부재(100)를 가압하도록 하는 탄성부재(76)와, 토출홀부(72a) 측으로 돌출되어 체결부재(100)를 조립 대상물 측으로 토출시키는 가압부(78)를 포함한다.
본체(72)는 조립 대상물이 이동되는 컨베이어(90)의 일측에 설치되는 지지대(77)에서 컨베이어(90)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지지대(77a)에 고정되며, 제1지지대(77a)와 비교하여 상측에 배치되는 제2지지대(77b)에 가압부(78)가 설치된다.
본체(72)에는 이송관(32)을 따라 공급되는 체결부재(100)가 삽입되는 한 쌍의 토출홀부(72a)가 형성되고, 각각의 토출홀부(72a)와 연통되는 가압홀부(72b)가 형성된다.
토출홀부(72a)는 본체(72)의 측면으로부터 하단으로 연결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고, 가압홀부(72b)는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본체(72)의 하단에서 토출홀부(72a)와 가압홀부(72b)가 연결된다.
한 쌍의 토출홀부(72a)의 하단에는 걸림부(74)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각각의 토출홀부(72a)에 한 쌍의 걸림부(74)가 설치되므로 토출홀부(72a)에 공급되는 체결부재(100)는 한 쌍의 걸림부(74)에 의해 거치된다.
걸림부(74)는 하단에 가압경사부(74a)가 형성되는 회전편으로써, 토출홀부(72a)의 하단에 걸림부(74)의 중앙부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걸림부(74)의 상단과 본체(72) 사이에 탄성부재(76)가 개재된다.
따라서 탄성부재(76)에 의해 걸림부(74)의 상단이 외측 방향으로 가압되므로 걸림부(74)의 하단이 내측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체결부재(100)의 머리부를 가압경사부(74a)가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가압부(78)에서 로드(78a)가 돌출되면 본체(72)의 가압홀부(72b)를 따라 로드(78a)가 삽입되면서 체결부재(100)의 머리부를 토출홀부(72a) 외측으로 밀게 된다.
로드(78a)에 의해 체결부재(100)가 토출홀부(72a) 외측으로 이동되면 탄성부재(76)가 압축되면서 걸림부(74)가 회전되므로 체결부재(100)가 본체(72) 외측으로 토출되면서 조립 대상물의 체결홀부(82a)에 삽입된다.
이때, 본체(72)가 설치되는 지지대(77)에는 조립 대상물의 안착여부를 감지하는 제3센서(79)가 설치되므로 조립 대상물이 삽입부(70)의 토출홀부(72a)에 대향되는 위치에 안착되었는지를 감지하여 체결부재(100)의 오조립을 방지토록 한다.
또한, 제3센서(79)는 로워암(800)에 결합되는 볼조인트(930)의 크기 및 디자인이 설계자가 요구하는 사양의 제품인지를 감지하여 다른 사양의 볼조인트(930)가 결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2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압입부(200)는, 베이스프레임(202)과, 체결부재(100 : 도 22 참조)가 연결부(830)에 가조립된 작업 대상물을 베이스프레임(202)을 따라 공급하는 컨베이어(90)와, 연결부(830)를 지지하는 결합지지부(212)와, 체결부재(100)를 연결부(830)에 압입하는 압입력을 제공하는 결합부(223)와, 결합부(223)의 압입력을 체결부재(100)에 단계적으로 전달하는 결합이동부(220)를 포함한다.
컨베이어(90)의 작동에 의해 작업 대상물이 안착된 플레이트(36)가 베이스프레임(202)에 공급되면 결합지지부(212)의 작동에 의해 연결부(830)가 지지되고, 결합부(223)의 작동에 의해 복수 개의 체결부재(100) 중 어느 하나의 체결부재(100)가 연결부(830)에 압입된다.
이후에, 결합이동부(220)의 작동에 의해 후술될 가압블록(224)이 다른 체결부재(100)에 대향되는 위치로 이동되고, 결합부(223)의 작동에 의해 가압블록(224)이 체결부재(100)를 압입하여 작업 대상물의 연결부(830)에 체결부재(100)가 압입된다.
이렇게 복수 개의 체결부재(100)가 하나씩 단계적으로 압입되므로 복수 개의 체결부재(100)를 동시에 압입하는 작동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유압으로 체결부재(100)를 압입할 수 있게 된다.
베이스프레임(202)은, 결합지지부(212)가 설치되는 하부프레임(206)과, 하부프레임(206)과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치되고 결합이동부(220)가 설치되는 상부프레임(204)을 포함한다.
하부프레임(206)의 상면에는 컨베이어(90)가 설치되므로 컨베이어(90)의 작동에 의해 하부프레임(206)의 상면으로 작업 대상물이 안착된 플레이트(36)가 이송된다.
결합지지부(212)는, 작업 대상물이 안착되는 플레이트(36)를 관통하도록 출몰되고 연결부(830)를 지지하는 지지블록(210)과, 지지블록(210)을 승강시키는 지지실린더(214)를 포함한다.
지지실린더(214)는 하부프레임(206)의 저면으로부터 하부프레임(206)을 상측으로 관통하여 로드가 출몰되도록 설치되고, 지지실린더(214)의 로드에 지지블록(210)이 설치된다.
따라서 작업 대상물이 안착된 플레이트(36)가 컨베이어(90)의 작동에 의해 하부프레임(206) 상면에 공급되면 지지실린더(214)로부터 로드가 돌출되므로 지지블록(210)이 플레이트(36)를 관통하여 작업 대상물의 연결부(830) 저면을 지지하게 된다.
결합지지부(212)는, 지지블록(210)을 구속하는 구속블록(216)과, 구속블록(216)을 이동시키는 구속실린더(218)를 더 포함한다.
구속실린더(218)는 하부프레임(206)의 상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지지실린더(214)와 직교되도록 배치된다.
구속블록(216)은, 평면 형상이 'ㄷ' 모양으로 형성되고 하부프레임(206)의 상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속실린더(218)의 로드에 연결된다.
따라서 지지실린더(214)로부터 로드가 돌출되어 지지블록(210)이 상승된 후에 구속실린더(218)로부터 로드가 돌출되면 지지블록(210)이 구속블록(216)의 내부에 삽입되어 체결부재(100)를 압입할 때에 지지블록(210)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결합부(223)는, 베이스프레임(20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결합이동부(220)를 지지블록(210) 측으로 이동시키는 가압프레임(221)과, 베이스프레임(202)의 상부프레임(204)에 설치되고 가압프레임(221)을 승강시키는 결합실린더(222)를 포함한다.
결합실린더(222)는 상부프레임(204)의 상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상부프레임(204)을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결합실린더(222)의 로드에 가압프레임(221)이 설치된다.
따라서 결합실린더(222)로부터 로드가 돌출되면 가압프레임(221)이 하강하면서 결합이동부(220)를 작업 대상물의 연결부(830) 측으로 하강시키게 된다.
결합이동부(220)는, 가압프레임(22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블록(224)과, 가압블록(224)을 이동시키는 이송실린더(226)와, 가압블록(224)의 이동여부를 감지하는 이동센서(228)와, 이동센서(228)에서 송신되는 감지신호를 판단하여 결합실린더(222)에 구동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지지블록(210)이 상승되어 연결부(830)의 저면에 밀착된 후에 결합실린더(222)로부터 로드가 돌출되면 가압블록(224)이 하강하면서 복수 개의 체결부재(100) 중 어느 하나의 체결부재(100)를 연결부(830)에 압입하고, 다시 결합실린더(222) 내부로 로드가 삽입되면서 가압블록(224)이 상승하게 된다.
이후에, 이송실린더(226)로부터 로드가 돌출되면 가압블록(224)이 가압프레임(221)을 따라 측 방향으로 이동된 후에 결합실린더(222)로부터 로드가 돌출되면 가압블록(224)이 하강하면서 복수 개의 체결부재(100) 중 다른 하나의 체결부재(100)를 연결부(830)에 압입하고, 다시 결합실린더(222) 내부로 로드가 삽입되면서 가압블록(224)이 상승하게 된다.
체결부재(100) 압입작동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볼조인트(930)와 연결부(830)가 지지블록(210)에 의해 고정되지만 소정의 변형이 발생될 수 있고, 이때 발생되는 변형은 제1부시(910) 및 제2부시(920)가 압입되는 동안에 원상태와 유사하거나 동일하게 복원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제1부시조립부(300)는 제1부시(910)가 안착되고 제1부시(910)를 작업 대상물의 제1결합부(810)에 압입하는 제1안착부(310)와, 제1안착부(310)에 대향되게 배치되고 제1부시(910)를 지지하는 제1부시지지부(320)와, 제1부시(910)를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하여 배출하는 제1부시피더(340)와, 제1부시피더(340)로부터 배출되는 제1부시(910)를 제1안착부(310)에 공급하는 제1부시공급부(350)를 포함한다.
제1부시피더(340)로부터 배출되는 제1부시(910)는 제1부시공급부(350)에 의해 제1안착부(310)에 안착되고, 제1로봇암(710)에 의해 작업 대상물의 제1결합부(810)가 제1안착부(310)와 제1부시지지부(320) 사이에 배치되면 가압실린더(312)로부터 암이 돌출되면서 제1안착부(310)를 제1결합부(810) 측으로 이동시켜 제1부시(910)가 제1결합부(810)에 압입된다.
제1부시공급부(350)는 제1부시피더(340)로부터 배출되는 제1부시(910)를 구속하는 가압돌기(352)와, 가압돌기(352)를 제1안착부(310) 측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실린더(354)를 포함한다.
가압돌기(352)는 이동실린더(354)로부터 돌출되는 암에 설치되고 제1부시(910)의 테두리를 한 쌍의 가압돌기(352)가 구속하므로 이동실린더(354)로부터 암이 돌출되면 제1부시(910)를 구속한 가압돌기(352)가 제1안착부(310) 상측에 배치되고, 가압돌기(352)가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제1부시(910)가 제1안착부(310)에 공급된다.
이후에, 가압실린더(312)로부터 암이 돌출되어 제1안착부(310)가 제1부시지지부(320) 측으로 이동되면서 제1부시(910)를 상측으로 가압한다.
이때, 제1로봇암(710)의 작동에 의해 작업 대상물의 제1결합부(810)가 제1부시지지부(320)와 제1부시(910) 사이에 배치되므로 제1부시(910)가 작업 대상물의 제1결합부(810)에 압입된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제2부시조립부(400)는 제2부시(920)가 안착되는 제2안착부(410)와, 제2안착부(410) 측으로 이동되면서 제2부시(920)를 작업 대상물의 제2결합부(820)에 압입하는 제2부시압입부(420)와, 제2부시(920)를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하여 배출하는 제2부시피더(440)와, 제2부시피더(440)로부터 배출되는 제2부시(920)를 제2안착부(410)에 공급하는 제2부시공급부(430)를 포함한다.
제1로봇암(710)에 의해 제1부시(910)가 결합된 작업 대상물이 제2안착부(410)에 공급되면 제2부시피더(440)로부터 배출되는 제2부시(920)가 제2부시공급부(430)의 작동에 의해 작업 대상물의 제2결합부(820)에 안착되고, 압입실린더(422)로부터 돌출되는 암에 의해 제2부시압입부(420)가 하강하면서 제2부시(920)를 작업 대상물의 제2결합부(820)에 압입한다.
제2부시공급부(430)는 제2부시(920)를 구속하는 거치돌기(432)와, 제2부시피더(440)로부터 배출되는 제2부시(920)를 거치돌기(432) 측으로 이동시키는 공급핀(436)과, 거치돌기(432)를 제2안착부(410) 측으로 이동시키는 안착실린더(434)를 포함한다.
제2부시피더(440)로부터 제2부시(920)가 배출되면 공급핀(436)이 상측으로 돌출되면서 제2부시(920)의 홀부에 삽입되고, 공급핀(436)이 더 상승하면서 제2부시(920)가 상승되어 거치돌기(432)의 내측에 배치된다.
이후에, 한 쌍의 거치돌기(432)가 내측으로 이동되어 제2부시(920)를 구속하고, 안착실린더(434)로부터 암이 돌출되면서 암의 단부에 연결된 거치돌기(432)가 제2안착부(410) 상측에 배치되고, 거치돌기(432)가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제2부시(920)가 제2안착부(410)에 공급된다.
제2안착부(410)에 제2부시(920)가 안착되면 압입실린더(422)로부터 암이 돌출되면서 제2부시압입부(420)를 제2안착부(410) 측으로 이동시키므로 제2부시(920)가 작업 대상물의 제2결합부(820)에 압입된다.
도 20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체결부(500)는 작업 대상물이 안착되는 연결안착부(512)가 구비되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플레이트(510)와, 연결안착부(512)에 안착된 작업 대상물의 연결부(830)에 결합부재(550)를 체결하는 결합부재체결부(530)와, 연결부(830)에 압입된 체결부재(100)에 너트를 결합하는 너트결합부(540)와, 결합부재체결부(530)에 결합부재(550)를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하여 공급하는 결합부재피더(520)와, 너트결합부(540)에 너트를 공급하는 너트피더(522)를 포함한다.
제2로봇암(720)에 의해 작업 대상물이 연결안착부(512)에 공급되면 회전플레이트(510)가 회전되어 작업 대상물이 안착된 연결안착부(512)를 결합부재체결부(530)에 대향되는 위치로 이동시키다.
작업 대상물이 결합부재체결부(530) 측으로 이동되는 동안에 결합부재체결부(530)는 이동레일(532)을 따라 결합부재피더(520) 측으로 이동된 후에 결합부재(550)를 거치하고, 다시 이동레일(532)을 따라 연결안착부(512)의 상측으로 이동되고, 결합부재체결부(530)가 하강하여 회전되면서 결합부재(550)를 작업 대상물의 연결부(830)에 체결한다.
이때, 너트피더(522)로부터 공급되는 너트는 너트결합부(540)에 안착되고, 너트결합부(540)가 상승하여 체결부재(100)에 너트를 삽입한 후에 너트결합부(540)가 회전되면서 체결부재(100)와 너트를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용 조립장치 제어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용 조립장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고,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용 조립장치의 가조립부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고,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용 조립장치의 압입부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용 조립장치 제어방법은 작업 대상물의 연결부(830)에 체결부재(100)를 삽입하는 단계(S100)와, 체결부재(100)를 압입하는 단계(S200)와, 작업 대상물의 제1결합부(810)에 제1부시(910)를 압입하는 단계(S300)와, 작업 대상물의 제2결합부(820)에 제2부시(920)를 압입하는 단계(S400)와, 체결부재(100)에 너트를 결합하고 연결부(830)에 결합부재(550)를 체결하는 단계(S500)를 포함한다.
이동부(95)의 작동에 의해 작업 대상물이 안착된 플레이트(36)가 가조립부(10, 50, 70)에 공급되면 가조립부(10, 50, 70)로부터 토출되는 체결부재(100)가 작업 대상물의 연결부(830) 및 볼조인트(930)에 삽입된다.
체결부재(100)가 삽입된 작업 대상물이 압입부(200)에 공급되면 지지블록(210)이 플레이트(36)의 통과홀부(36a)를 지나 볼조인트(930)와 연결부(830)를 지지하고, 체결부재결합부(220)가 체결부재(100)를 지지블록(210) 측으로 가압하여 체결부재(100)의 압입을 행한다.
제1로봇암(710)은 작업 대상물을 거치하여 제1부시조립부(300)의 제1안착부(310)와 제1부시지지부(320) 사이에 작업 대상물의 제1결합부(810)가 배치되도록 작업 대상물을 수직방향으로 세워 이동시킨다.
이때, 제1부시피더(340)로부터 공급되는 제1부시(910)는 가압돌기(352)와 이동실린더(354)의 작동에 의해 제1안착부(310)에 공급된다.
이후에, 가압실린더(312)로부터 돌출되는 암이 제1안착부(310)를 제1부시지지부(320) 측으로 가압하여 제1부시(910)가 제1결합부(810)에 압입된다.
제1로봇암(710)은 제1부시(910)가 압입된 작업 대상물을 제2부시조립부(400)의 제2안착부(410)에 공급한다.
이때, 제2부시피더(440)로부터 공급되는 제2부시(920)는 제2부시공급부(430)의 작동에 의해 제2안착부(410)에 공급되고, 압입실린더(422)로부터 돌출되는 암에 의해 제2부시압입부(420)가 제2부시(920)를 제2안착부(410) 측으로 가압하여 제2부시(920)를 제2결합부(820)에 압입한다.
제2로봇암(720)은 제1부시(910) 및 제2부시(920)가 압입된 작업 대상물을 회전플레이트(510)의 연결안착부(512)에 공급하고, 회전플레이트(510)가 회전되어 작업 대상물이 결합부재체결부(530)의 하측에 배치된다.
이때, 결합부재체결부(530)는 이동레일을 따라 결합부재피더(520) 측으로 이동되어 결합부재(550)를 거치한 후에 다시 연결안착부(512)의 상측으로 이동되고, 연결안착부(512) 측으로 하강하여 회전되면서 연결부(830) 및 볼조인트(930)에 결합부재(550)를 체결한다.
또한, 너트결합부(540)에는 너트피더(522)로부터 너트가 공급되고, 너트결합부(540)가 상승한 후에 회전되면서 체결부재(100)에 너트를 결합하게 된다.
이렇게 체결부재(100)가 연결부(830) 및 볼조인트(930)에 압입된 후에 제1부시(910) 및 제2부시(920)가 압입되는 동안 연결부(830), 볼조인트(930) 및 체결부재(100)가 원상태로 복원된다.
따라서 체결부재(100)를 압입할 때에 변형된 연결부(830)가 원상태로 복원되기 전에 결합부재(550) 및 너트를 체결하여 발생되는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가조립부 제어방법은 이송부(50)를 구동시켜 공급부(10)에서 배출되는 체결부재(100)를 삽입부(70)에 공급하는 단계(S20)와, 체결부재(100)가 공급되지 않은 삽입부(70)의 토출홀부(72a)가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S30)와, 토출홀부(72a)에 체결부재(100)의 공급이 완료되면 조립 대상물에 체결부재(100)를 삽입하는 단계(S50)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는 삽입부(70)에 대향되는 위치에 조립 대상물이 공급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S10)가 더 포함되므로 컨베이어(90)를 따라 이송되는 조립 대상물이 삽입부(70)에 대향되는 위치에 안착되면 제3센서(79)에서 조립 대상물을 감지한다.
이후에, 제2센서(42a)에서 체결부재(100)가 감지되면 제어부(38)에서 송신되는 신호에 따라 토출부(34)로부터 작동유체가 이송관(32)으로 분사된다.
따라서 공급부(10)로부터 배출되는 체결부재(100)가 이송관(32)을 따라 삽입부(70)로 이동되고, 가압부(78)에 의해 체결부재(100)가 삽입부(70) 외측으로 토출되면 조립 대상물의 체결홀부(82a)에 체결부재(100)가 삽입되면서 가조립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실시예는 토출홀부(72a)에 체결부재(100)가 감지되지 않으면 토출홀부(72a) 측으로 이송부(50)를 이동시키는 단계(S40)를 더 포함하므로 공급부(10)로부터 배출되는 체결부재(100)가 가이드블록(44)의 일측 통로(44a) 및 이송관(32)을 따라 일측 토출홀부(72a)에 공급된 후에는 제1센서(36)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따라 구동부(46)가 작동되어 가이드블록(44)을 이동시키게 된다.
이렇게 가이드블록(44)이 이동되면 공급부(10)의 토출구(12)와 가이드블록(44)의 타측 통로(44a)가 대향되게 배치된다.
이후에, 공급부(10)로부터 배출되는 체결부재(100)는 토출부(34)로부터 분사되는 작동유체에 의해 타측 토출홀부(72a)로 공급되고, 제1센서(36)에 의해 한 쌍의 체결부재(100)가 감지되면 가압부(78)의 로드(78a)가 돌출되면서 한 쌍의 체결부재(100)를 본체(72) 외측으로 토출시켜 조립 대상물의 체결홀부(82a)에 삽입시킨다.
본 실시예의 압입부 제어방법은 복수 개의 체결부재(100)가 가조립된 작업 대상물이 안착되는 플레이트(36)가 베이스프레임(202)에 공급되는지 판단하는 단계(S210)와, 플레이트(36)가 공급되면 지지블록(210)을 상승시켜 연결부(830)를 지지하는 단계(S220)와, 가압블록(224)을 지지블록(210) 측으로 하강시켜 체결부재(100)를 연결부(830)에 압입하는 단계(S230)와, 가압블록(224)을 이동시키는 단계(S240)와, 가압블록(224)이 이동 위치에서 감지되는지 판단하는 단계(S250)와, 가압블록(224)이 이동 위치에서 감지되지 않으면 지지블록(210)을 하강시키고 플레이트(36)를 이동시키는 단계(S260)를 포함한다.
컨베이어(90)에 의해 하부프레임(206)에 플레이트(36)가 공급되면 지지실린더(214)로부터 로드가 돌출되어 지지블록(210)이 플레이트(36)를 관통하여 작업 대상물의 연결부(830)를 지지하게 되고, 구속실린더(218)로부터 로드가 돌출되므로 지지블록(210)이 구속블록(216) 내부에 삽입된다.
이후에, 결합실린더(222)로부터 로드가 돌출되면 가압프레임(221) 및 가압블록(224)이 하강하면서 복수 개의 체결부재(100) 중 어느 하나의 체결부재(100)를 연결부(830)에 압입하고, 결합실린더(222) 내부로 로드가 삽입되어 가압프레임(221) 및 가압블록(224)이 상승된다.
가압작동이 완료되면 제어부에서 송신되는 작동신호에 따라 이송실린더(226)로부터 로드가 돌출되어 가압블록(224)이 가압프레임(221)을 따라 슬라이딩된다.
가압블록(224)이 이송실린더(226)에 의해 이동되는 위치를 이동 위치라 하며, 가압블록(224)이 이동 위치에 배치되면 이동센서(228)에 의해 가압블록(224)이 감지된다.
가압블록(224)의 이동이 완료된 후에 이동센서(228)에 의해 이동 위치에서 가압블록(224)이 감지되면 제어부로부터 송신되는 작동신호에 따라 결합실린더(222)로부터 로드가 돌출된다.
따라서 복수 개의 체결부재(100) 중에 나머지 체결부재(100)가 가압블록(224)에 의해 연결부(830)에 압입된다.
압입작동이 완료되면 이송실린더(226) 내부로 로드가 삽입되므로 가압블록(224)이 원상태로 복귀되고 이동센서(228)에 인접한 이동 위치에서 가압블록(224)이 감지되지 않게 된다.
이동센서(228)에서 가압블록(224)이 감지되지 않으면, 복수 개의 체결부재(100)가 모두 연결부(830)에 압입된 상태이므로 지지블록(210)이 하강하고 컨베이어(90)가 구동되어 플레이트(36)가 다음의 공정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써, 작업 대상물에 다수 개의 부시 및 연결부재를 연속하여 조립할 수 있는 현가부재용 조립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현가부재용 조립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현가부재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조립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공급부 12 : 토출구
32 : 이송관 34 : 토출부
36 : 제1센서 38 : 제어부
40 : 분배부 42 : 박스부
42a : 제2센서 44 : 가이드블록
44a : 통로 46 : 구동부
50 : 이송부 70 : 삽입부
72 : 본체 72a : 토출홀부
72b : 가압홀부 74 ; 걸림부
74a : 가압경사부 76 : 탄성부재
77 : 지지대 77a : 제1지지대
77b : 제2지지대 78 : 가압부
78a : 로드 79 : 제3센서
100 : 체결부재 200 : 압입부
300 : 제1부시조립부 400 : 제2부시조립부
500 : 체결부 710 : 제1로봇암
720 : 제2로봇암

Claims (7)

  1. 베이스프레임;
    체결부재가 연결부에 가조립된 작업 대상물을 상기 베이스프레임을 따라 공급하는 컨베이어;
    상기 연결부를 지지하는 결합지지부;
    상기 체결부재를 상기 연결부에 압입하는 압입력을 제공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압입력을 상기 체결부재에 단계적으로 전달하는 결합이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지지부는,
    작업 대상물이 안착되는 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출몰되고 상기 연결부를 지지하는 지지블록;
    상기 지지블록을 승강시키는 지지실린더;
    상기 지지블록을 구속하는 구속블록; 및
    상기 구속블록을 이동시키는 구속실린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부재용 조립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결합이동부를 상기 지지블록 측으로 이동시키는 가압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가압프레임을 승강시키는 결합실린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부재용 조립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이동부는,
    상기 가압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블록;
    상기 가압블록을 이동시키는 이송실린더;
    상기 가압블록의 이동여부를 감지하는 이동센서; 및
    상기 이동센서에서 송신되는 감지신호를 판단하여 상기 결합실린더에 구동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부재용 조립장치.
  4. 베이스프레임;
    체결부재가 연결부에 가조립된 작업 대상물을 상기 베이스프레임을 따라 공급하는 컨베이어;
    상기 연결부를 지지하는 결합지지부;
    상기 체결부재를 상기 연결부에 압입하는 압입력을 제공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압입력을 상기 체결부재에 단계적으로 전달하는 결합이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지지부는,
    작업 대상물이 안착되는 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출몰되고 상기 연결부를 지지하는 지지블록; 및
    상기 지지블록을 승강시키는 지지실린더; 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결합이동부를 상기 지지블록 측으로 이동시키는 가압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가압프레임을 승강시키는 결합실린더; 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이동부는,
    상기 가압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블록;
    상기 가압블록을 이동시키는 이송실린더;
    상기 가압블록의 이동여부를 감지하는 이동센서; 및
    상기 이동센서에서 송신되는 감지신호를 판단하여 상기 결합실린더에 구동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부재용 조립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10051729A 2011-05-30 2011-05-30 현가부재용 조립장치 KR101239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729A KR101239758B1 (ko) 2011-05-30 2011-05-30 현가부재용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729A KR101239758B1 (ko) 2011-05-30 2011-05-30 현가부재용 조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3189A KR20120133189A (ko) 2012-12-10
KR101239758B1 true KR101239758B1 (ko) 2013-03-06

Family

ID=47516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1729A KR101239758B1 (ko) 2011-05-30 2011-05-30 현가부재용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97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8384B1 (ko) * 2017-12-28 2018-03-29 정순백 차량용 안테나의 커버 체결장치 및 이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CN108213945A (zh) * 2017-12-30 2018-06-29 芜湖瑞佑工程设备技术有限公司 仪表自动化生产线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80915B (zh) * 2017-12-14 2019-09-03 四川福德机器人股份有限公司 一种燃气表的智能化连杆选型装配设备及其应用方法
CN108637638B (zh) * 2018-05-17 2020-04-07 安徽铸机机械智能有限公司 一种万向节流水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5999A (ja) * 2003-09-22 2005-04-14 Hirata Corp 組立加工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組立加工システム
KR20060005112A (ko) * 2004-07-12 2006-01-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로어암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5999A (ja) * 2003-09-22 2005-04-14 Hirata Corp 組立加工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組立加工システム
KR20060005112A (ko) * 2004-07-12 2006-01-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로어암 어셈블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8384B1 (ko) * 2017-12-28 2018-03-29 정순백 차량용 안테나의 커버 체결장치 및 이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CN108213945A (zh) * 2017-12-30 2018-06-29 芜湖瑞佑工程设备技术有限公司 仪表自动化生产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3189A (ko) 2012-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3837B1 (ko) 현가부재용 조립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239758B1 (ko) 현가부재용 조립장치
CN101161404B (zh) 用于紧固螺栓的夹具
CN104210396A (zh) 车辆座椅、机动车辆或多用途机动车辆
KR101496117B1 (ko) 차량 부시용 조립장치
CN103180154A (zh) 车辆悬架支撑结构
US11691471B2 (en) Automobile suspension device
CN110023117A (zh) 车辆用悬架装置
CN114746331B (zh) 车辆的悬架装置的组装方法、组装装置以及混流生产线
KR100666248B1 (ko) 차량 바디의 셔틀라인 시스템
KR100828788B1 (ko) 차량용 현가 장치의 스프링 좌굴 방지 장치
KR101369179B1 (ko) 현가부재용 조립장치
KR101282639B1 (ko) 현가부재용 조립장치
KR102320225B1 (ko) 전장 및 감쇠력 조절식 역립식 에어서스펜션
KR102111901B1 (ko) 차량 쇼바 브라켓 볼트 자동 장착 시스템
CN108482046B (zh) 一种限位支架及钢板弹簧悬架系统
KR102471660B1 (ko) 스프링 시트 조립장치
KR101211425B1 (ko) 로워암부시용 방향성 측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127803B1 (ko) 체결부재 가조립장치
KR101101406B1 (ko) 토션빔 가공장치
JP2924591B2 (ja) 車体へのサスペンション組付け方法とその位置決め装置
CN108569354A (zh) 悬架组件的组装方法和其装置
KR102335144B1 (ko) 대용량 가스 배럴의 교체 시스템
KR102297079B1 (ko) 자동차의 크로스멤버 위치 정렬장치
KR102553906B1 (ko) 에어 서스펜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