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8688B1 - 축냉 열교환기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축냉 열교환기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8688B1
KR101238688B1 KR1020100033100A KR20100033100A KR101238688B1 KR 101238688 B1 KR101238688 B1 KR 101238688B1 KR 1020100033100 A KR1020100033100 A KR 1020100033100A KR 20100033100 A KR20100033100 A KR 20100033100A KR 101238688 B1 KR101238688 B1 KR 101238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cold storage
header
heat exchang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3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1976A (ko
Inventor
임홍영
전영하
오광헌
지용준
이덕호
구중삼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10041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1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8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8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5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 F28D1/0535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the conduits having a non-circular cross-section
    • F28D1/05366Assemblies of conduits connected to common headers, e.g. core type radiators
    • F28D1/05391Assemblies of conduits connected to common headers, e.g. core type radiators with multiple rows of conduits or with multi-channel conduits combined with a particular flow pattern, e.g. multi-row multi-stage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02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latent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20/0004Particular heat storage apparatus
    • F28D2020/0013Particular heat storage apparatus the heat storage material being enclosed in elements attached to or integral with heat exchange condu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냉 열교환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축냉재가 열교환매체 유로의 전 영역을 감싸도록 위치되어 열교환매체의 냉기를 효과적으로 저장하고, 엔진 정지 시 냉기를 방출하여 차량 실내의 급격한 온도 상승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의 냉방 쾌적성을 높일 수 있으며, 재 냉방 시 소모되는 에너지와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축냉 열교환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축냉 열교환기 및 그 제조 방법{COLD RESERVING HEAT EXCHANG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축냉 열교환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축냉재가 열교환매체 유로의 전 영역을 감싸도록 위치되어 열교환매체의 냉기를 효과적으로 저장하고, 엔진 정지 시 냉기를 방출하여 차량 실내의 급격한 온도 상승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의 냉방 쾌적성을 높일 수 있으며, 재 냉방 시 소모되는 에너지와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축냉 열교환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자동차 산업에 있어서 세계적으로 환경과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연비 개선을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경량화ㆍ소형화 및 고기능화를 위한 연구개발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자동차 운행 시, 정차되면 자동으로 엔진을 정지하고 다시 변속기의 조작으로 엔진이 재시동되도록 하는 아이들 스톱/고 시스템을 채택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자동차의 냉방장치는 엔진에 의해 작동되므로 엔진이 정지될 경우, 압축기도 정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증발기의 온도가 상승되어 사용자의 쾌적함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증발기 내부의 냉매는 상온에서도 쉽게 기화되므로 압축기가 동작되지 않는 짧은 시간동안 냉매가 기화되어 다시 엔진이 작동되어 압축기 및 증발기가 작동되더라도 기화된 냉매를 압축하여 액화해야하므로 실내에 냉풍이 공급되기 위한 시간이 오래 소요될 뿐만 아니라 전체 에너지 소요량을 높이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냉기를 저장하는 축냉재를 이용한 열교환기의 다양한 형태가 제안된 바 있으나, 축냉재와 열교환매체의 독립적인 공간을 형성하기 어려워 그 구조가 복잡하며 생산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축냉 열교환기는 축냉재가 열교환매체의 흐름을 방해하거나 서로 혼용될 가능성이 높아 또 다른 문제점을 유발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축냉재가 열교환매체 유로의 전 영역을 감싸도록 위치되어 열교환매체의 냉기를 저장하고, 엔진 정지 시 냉기를 방출하여 차량 실내의 급격한 온도 상승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의 냉방 쾌적성을 높일 수 있으며, 재 냉방 시 소모되는 에너지와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축냉 열교환기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열교환매체와 축냉재 각각의 독립적인 유로를 안정적으로 형성하여 내부 리크 가능성을 낮출 수 있으며 제조가 용이한 축냉 열교환기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축냉 열교환기(1000)는 높이방향으로 내부 공간이 구획되는 제1공간부(110) 및 제2공간부(120)가 형성되며, 일정거리 이격되어 서로 대칭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헤더탱크(100); 상기 헤더탱크(100)의 제1공간부(110)에 양 단이 고정되어 열교환매체 유로를 형성하는 제1튜브(200); 상기 제1튜브(200)의 둘레에 축냉재가 저장되도록 상기 제1튜브(200)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튜브(200)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공간부(120)와 연통되는 제2튜브(500); 상기 헤더탱크(100)의 제1공간부(110)와 연통되어 열교환매체가 유입되는 입구파이프(310) 및 배출되는 출구파이프(3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축냉 열교환기(1000)는 열교환매체가 상기 헤더탱크(100)의 제1공간부(110) 및 제1튜브(200) 내부를 유동하고, 축냉재가 상기 헤더탱크(100)의 제2공간부(120) 및 상기 제1튜브(200)와 제2튜브(500) 사이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헤더탱크(100)는 제1헤더(111) 및 제1탱크(112)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제1공간부(110)가 형성되고, 제2헤더(121) 및 제2탱크(122)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제1공간부(110)를 내부에 포함도록 제2공간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더탱크(100)는 제1헤더(111) 및 제1탱크(112)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제1공간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제1헤더(111)와 제2헤더(121)의 결합에 의해 제2공간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냉 열교환기(1000)는 상기 제2튜브(500)의 일정영역이 상기 제1튜브(200) 외측에 맞닿도록 돌출되는 돌출접합부(5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축냉 열교환기(1000)는 상기 제1튜브(200)의 양 단부에 상기 제1공간부(110)에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돌출안착부(2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축냉 열교환기(1000)는 상기 제2튜브(500)의 양 단부에 상기 제2공간부(120)에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돌출안착부(5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축냉 열교환기(1000)는 상기 헤더탱크(100)의 제2공간부(120)에 축냉재를 장입하기 위한 축냉재장입부(411) 및 축냉재 장입시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부(41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축냉 열교환기(1000)는 상기 제2튜브(500) 사이에 핀(600)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축냉 열교환기(1000) 제조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축냉 열교환기(1000)의 특징을 가지며, 상기 제1튜브(200) 외측에 제2튜브(500)를 형성하는 튜브(200, 500) 조립 단계(S10); 조립된 제1튜브(200) 및 제2튜브(500)의 상기 제2튜브(500) 사이에 핀(600)을 형성하는 핀 형성 단계(S20); 조립된 제1튜브(200), 제2튜브(500), 및 핀(600)의 상기 제2튜브(500) 양 단부에 제2헤더(121)를 가조립하는 제2헤더 조립 단계(S30); 상기 제1튜브(200)의 양 단부에 상기 제1공간부(110)를 형성하는 제1헤더(111) 및 제1탱크(112)를 조립하는 조립 단계; 및 브레이징 단계(S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브레이징 단계(S50)에서, 상기 제2헤더(121)와 제1헤더(111)는 서로 접합되어 제2공간부(12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축냉 열교환기(1000) 제조 방법은 상기 브레이징 단계(S50) 이후에, 상기 제2헤더(121)에 제2탱크(122)를 조립하여 제1공간부(110)를 내부에 포함하는 제2공간부(120)를 형성하는 제2탱크 조립 단계(S60); 가 더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축냉 열교환기(1000) 제조 방법은 상기 브레이징 단계(S50)와 제2탱크 조립 단계(S60) 사이에, 열교환매체의 리크(Leak) 유무를 검사하는 제1리크 검사 단계(S71)와, 상기 제2탱크 조립 단계(S60) 이후에 축냉재의 리크 유무를 검사하는 제2리크 검사 단계(S72)가 더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축냉 열교환기 및 그 제조 방법은 축냉재가 열교환매체 유로의 전 영역을 감싸도록 위치되어 열교환매체의 냉기를 저장하고, 엔진 정지 시 냉기를 방출하여 차량 실내의 급격한 온도 상승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의 냉방 쾌적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축냉부에 의해 열교환매체의 급격한 온도 상승을 방지하여, 열교환기의 재가동 시 소요되는 에너지와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열교환매체와 축냉재 각각의 독립적인 유로를 안정적으로 형성하여 내부 리크 가능성을 낮출 수 있으며 제조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축냉 열교환기를 나타낸 사시도, 부분 분해사시도, 및 AA'방향 단면도.
도 4는 상기 도 3의 축냉 열교환기의 BB'방향 및 CC'방향 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축냉 열교환기의 다른 사시도, 부분 절개 사시도, 및 부분 분해 사시도.
도 8은 상기 도 4에 도시한 축냉 열교환기의 DD'방향 단면도.
도 9는 상기 도 4에 도시한 축냉 열교환기의 EE'방향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축냉 열교환기 제조 방법의 개략도.
도 11 내지 도 14는 상기 도 10에 도시한 축냉 열교환기 제조 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축냉 열교환기 제조 방법의 다른 개략도.
도 16 및 도 17은 상기 도 15에 도시한 축냉 열교환기 제조 방법의 단계를 나타낸 도면.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축냉 열교환기 제조 방법의 또 다른 개략도.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의 축냉 열교환기(1000) 및 그 제조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축냉 열교환기(1000)는 한 쌍의 헤더탱크(100); 제1튜브(200); 제2튜브(500); 입구파이프(310) 및 출구파이프(32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헤더탱크(100)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한 쌍이 서로 대칭되게 구비되며, 높이방향으로 내부 공간이 구획되는 제1공간부(110) 및 제2공간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헤더탱크(100)의 제1공간부(110)와 제2공간부(120)는 각각 열교환매체가 유동되고, 축냉재가 저장되는 공간으로서, 다양한 방법을 통해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구체적인 내용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
상기 입구파이프(310) 및 출구파이프(320)는 상기 헤더탱크(100)에 형성되어 열교환매체가 유입, 배출되는 부분으로, 상기 헤더탱크(100)의 제1공간부(110)에 열교환매체가 유동되므로, 상기 입구파이프(310) 및 출구파이프(320)는 상기 헤더탱크(100)의 제1공간부(110)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튜브(200)는 상기 헤더탱크(100)의 제1공간부(110)에 양 단이 고정되어 열교환매체 유로를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제2공간부(120) 부분을 관통하여 상기 제1공간부(110)와 서로 연통된다.
도면에서 상기 제1튜브(200)는 내부에 복수개의 포트로 구획된 형태를 나타내었으며, 상기 제1튜브(200)는 압출 튜브 및 폴디드(Folded) 튜브가 이용될 수도 있으며, 내부에 열교환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이너핀이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2튜브(500)는 상기 제1튜브(200)의 둘레에 축냉재가 저장되도록 상기 제1튜브(200)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제1튜브(200)에 비하여 낮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공간부(120)와 연통된다.
도면에서 상기 제2튜브(500)는 판재가 프레스 가공되어 조립된 형태를 나타내었으며, 상기 제1튜브(200)가 2열을 형성하되, 상기 제2튜브(500)가 상기 2열의 제1튜브(200)를 모두 감싸도록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도 4 (a)는 도 3의 BB' 단면도를 도 4 (b)는 도 3의 CC'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4 (a)를 참조하면, 상기 제2공간부(120) 영역에서는 상기 제2튜브(500)와 연통되어 축냉재가 저장되며, 상기 제1튜브(200)는 상기 제2공간부(120)와 격리된 공간을 형성한다.
도 4 (b)를 참조하면, 상기 제1공간부(110) 영역에서는 상기 제1튜브(200)만이 연통되어 열교환매체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축냉 열교환기(1000)는 상기 헤더탱크(100)가 높이방향으로 제1공간부(110) 및 제2공간부(120)로 구획되고, 상기 제1튜브(200)가 상기 제1공간부(110)와 연통되며, 상기 제2튜브(500)가 상기 제2공간부(120)와 연통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축냉재가 열교환매체가 유동되는 전체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열교환매체의 냉기를 효과적으로 저장하고, 엔진 정지 시 냉기를 방출하여 차량 실내의 급격한 온도 상승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의 냉방 쾌적성을 높일 수 있으며, 재냉방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상기 제2튜브(500)는 상기 제1튜브(200)와의 결합력을 증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튜브(200) 외측에 맞닿도록 돌출되는 돌출접합부(51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접합부(510)는 다양한 형태 및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튜브(200)는 상기 헤더탱크(100)의 제1공간부(110)에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양 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돌출안착부(21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튜브(500) 역시 상기 제1튜브(200)와 마찬가지로, 상기 헤더탱크(100)의 제2공간부(120)에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양 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돌출안착부(52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 상기 제1돌출안착부(210) 및 제2돌출안착부(520)는 각각 상기 제1튜브(200) 및 제2튜브(500)의 일측 면에 2개씩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축냉 열교환기(1000)는 상기 제2공간부(120) 및 제1튜브(200)와 제2튜브(500) 사이에 축냉재가 저장되도록 상기 제2헤더(121)탱크(100)의 제2공간부(120)에 축냉재를 장입하기 위한 축냉재장입부(41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축냉재장입부(411)는 추가 보충이 용이하도록 상기 헤더탱크(100)의 제2공간부(120)에 중공된 부분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된 부분이 별도의 마개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축냉 열교환기(1000)는 상기 축냉재장입부(411)와 함께 축냉재 장입시,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어 축냉재의 장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공기배출부(412)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기배출부(412)의 형태는 상기 축냉재장입부(411)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 상기 입구파이프(310), 출구파이프(320), 축냉재장입부(411) 및 공기배출부(412)가 상측에 위치한 헤더탱크(100)에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열교환매체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입구파이프(310), 출구파이프(320), 축냉재장입부(411) 및 공기배출부(412)의 형성 위치는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단, 상기 입구파이프(310) 및 출구파이프(320)는 상기 헤더탱크(100)의 제1공간부(110)와 연통되고, 상기 축냉재장입부(411) 및 공기배출부(412)는 상기 헤더탱크(100)의 제2공간부(120)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축냉 열교환기(1000)는 외부 공기와의 열교환효율을 보다 향상할 수 있도록 상기 제2튜브(500) 사이에 복수개의 핀(600)이 개재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응축기는 상기 헤더탱크(100)가 제1헤더(111), 제1탱크(112), 및 제2헤더(121)에 의해 형성된 예를 나타내었으며, 도 5 내지 도 9는 상기 헤더탱크(100)가 제1헤더(111), 제1탱크(112), 제2헤더(121), 및 제2탱크(122)에 의해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헤더탱크(100)의 형태를 설명한다.
상기 헤더탱크(100)는 상기 제1공간부(110)가 상기 제1헤더(111) 및 제1탱크(11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2공간부(120)가 상기 제1헤더(111)와 제2헤더(121)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다.
즉, 상기 제2헤더(121)는 상기 제1헤더(111)의 하측 또는 양측과 결합되어 제2공간부(120)를 형성할 수 있는 너비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제2헤더(121)와 제1헤더(111)는 브레이징 결합에 의해 일체화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헤더(111)는 상기 제1튜브(200)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1튜브(200)의 형태에 대응되는 제1튜브삽입홀(111')이 형성되고, 상기 제2헤더(121)는 제2튜브(500)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2튜브(500)의 형태에 대응되는 제2튜브삽입홀(121')이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5 내지 도 9에 도시한 헤더탱크(100)의 형태는 상기 제1헤더(111) 및 제1탱크(112)의 결합에 의해 제1공간부(110)가 형성되고, 제2헤더(121) 및 제2탱크(122)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제1공간부(110) 내부를 포함하도록 제2공간부(120)가 형성된다.
즉, 상기 헤더탱크(100)는 외부에서 보았을 때 노출되는 부분은 제2헤더(121)와 제2탱크(122)로서, 그 내부에 제1헤더(111) 및 제1탱크(112)가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제1공간부(110)는 제1헤더(111) 및 제1탱크(112)에 의해 제2공간부(120) 내부에 형성되므로, 상기 입구파이프(310) 및 출구파이프(320)는 상기 헤더탱크(100)의 제2공간부(120) 영역을 관통하여 상기 제1공간부(110)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축냉 열교환기(1000)는 상술한 예 외에도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제1튜브(200) 및 제2튜브(500)가 각각 연통되는 제1공간부(110) 및 제2공간부(120)를 형성하는 다양한 헤더탱크(100)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축냉 열교환기(1000) 제조 방법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튜브(200, 500) 조립 단계(S10); 핀 형성 단계(S20); 제2헤더 조립 단계(S30); 제1헤더(111) 및 제1탱크 조립 단계(S40); 브레이징 단계(S5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튜브(200, 500) 조립 단계(S10)는 상기 제1튜브(200) 외측에 제2튜브(500)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도 11 참조)
상기 핀 형성 단계(S20)는 상기 튜브(200, 500) 조립 단계(S10)를 통해 조립된 제1튜브(200) 및 제2튜브(500) 조립체의 제2튜브(500) 사이에 핀(60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도 12 참조)
이 때, 상기 제2튜브(500)의 최외측에 형성되어 튜브를 지지하는 사이드 플레이트(700)는 상기 핀 형성 단계(S20)에서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제2헤더 조립 단계(S30)는 상기 제1튜브(200), 제2튜브(500), 및 핀(600) 조립체에서, 상기 제2헤더(121)의 제2튜브삽입홀(121')에 상기 제2튜브(500)의 양단부가 삽입되도록 제2헤더(121)를 조립하는 단계이다. (도 13 참조)
상기 제1헤더(111) 및 제1탱크 조립 단계(S40)는 상기 제2헤더(121)의 개방된 일측에 결합되어 제2공간부(120)를 형성하는 제1헤더(111)와, 상기 제1헤더(111)와 결합되어 제1공간부(110)를 형성하는 제1탱크(112)를 조립하는 단계이다. (도 14 참조)
상기 브레이징 단계(S50)는 조립된 부품을 브레이징 결합하여 일체화하는 단계로서, 이를 통해 열교환매체가 누설되지 않는 열교환매체 유로와 축냉재가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다. (도 1참조)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축냉 열교환기(1000) 제조 방법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징 단계(S50) 이후에, 제2탱크 조립 단계(S60)가 더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도 15에 도시한 축냉 열교환기(1000) 제조 방법은 상기 제2헤더(121)가 상기 제1헤더(111)에 비하여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2헤더(121) 및 제2탱크(122) 내부에 상기 제1헤더(111) 및 제2탱크(122)가 구비되는 예이다.
이 때, 상기 제1헤더(111) 및 제1탱크 조립 단계(S40)는 상기 제1헤더(111)의 제1튜브삽입홀(111')에 제1튜브(200)의 양단부가 조립되되, 상기 제1헤더(111)는 상기 제2헤더(121) 내부에 상기 제1헤더(111)가 포함되도록 상기 제2헤더(121)보다 작게 형성된다. (도 16 참조)
상기 제2탱크 조립 단계(S60)는 상기 제2헤더(121)에 제2탱크(122)를 조립하여 상기 제1공간부(110)를 내부에 포함하는 제2공간부(120)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즉, 브레이징되어 일체화된 구성품 중 상기 제2헤더(121)에 제2탱크(122)를 조립하여 축냉재가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도 17 참조)
또한, 본 발명의 축냉 열교환기(1000) 제조 방법은 열교환매체와 축냉재가 서로 혼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기 브레이징 단계(S50)와 제1탱크 조립 단계(S40) 사이에 열교환매체의 리크(Leak) 유무를 검사하는 제1리크 검사 단계(S71)가 더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1리크 검사 단계(S71)는 상기 브레이징 단계(S50)가 적절하게 수행되어 독립적인 열교환매체 유로를 형성하였는지 검사하는 단계이다.
또한, 본 발명의 축냉 열교환기(1000) 제조 방법은 축냉재의 리크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탱크 조립 단계(S40) 이후에 축냉재의 리크 유무를 검사하는 제2리크 검사 단계(S72)가 더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축냉 열교환기(1000) 제조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간단한 방법으로, 열교환매체 유로와 축냉재가 저장될 수 있는 독립적인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열교환매체 또는 축냉재의 리크에 대한 위험성을 낮추어 안정적인 장치 구동이 가능하며,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0 : 축냉 열교환기
100 : 헤더탱크 110 : 제1공간부
111 : 제1헤더 111' : 제1튜브삽입홀
112 : 제1탱크
120 : 제2공간부 121 : 제1헤더
121' : 제2튜브삽입홀 122 : 제2탱크
200 : 제1튜브 210 : 제1돌출안착부
310 : 입구파이프 320 : 출구파이프
411 : 축냉재장입부
412 : 공기배출부
500 : 제2튜브 510 : 돌출접합부
520 : 제2돌출안착부
600 : 핀
700 : 사이드 플레이트
S10 ~ S72 : 본 발명의 축냉 열교환기의 제조 방법 각 단계

Claims (14)

  1. 높이방향으로 내부 공간이 구획되는 제1공간부(110) 및 제2공간부(120)가 형성되며, 일정거리 이격되어 서로 대칭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헤더탱크(100);
    상기 헤더탱크(100)의 제1공간부(110)에 양 단이 고정되어 열교환매체 유로를 형성하는 제1튜브(200);
    상기 제1튜브(200)의 둘레에 축냉재가 저장되도록 상기 제1튜브(200)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튜브(200)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공간부(120)와 연통되고, 일정영역이 상기 제1튜브(200) 외측에 맞닿도록 돌출되는 돌출접합부(510)가 형성되는 제2튜브(500);
    상기 헤더탱크(100)의 제1공간부(110)와 연통되어 열교환매체가 유입되는 입구파이프(310) 및 배출되는 출구파이프(320); 를 포함하고,
    열교환매체가 상기 헤더탱크(100)의 제1공간부(110) 및 제1튜브(200) 내부를 유동하고, 축냉재가 상기 헤더탱크(100)의 제2공간부(120) 및 상기 제1튜브(200)와 제2튜브(500) 사이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냉 열교환기(1000).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탱크(100)는
    제1헤더(111) 및 제1탱크(112)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제1공간부(110)가 형성되고, 제2헤더(121) 및 제2탱크(122)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제1공간부(110)를 내부에 포함도록 제2공간부(1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냉 열교환기(1000).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탱크(100)는
    제1헤더(111) 및 제1탱크(112)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제1공간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제1헤더(111)와 제2헤더(121)의 결합에 의해 제2공간부(1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냉 열교환기(1000).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냉 열교환기(1000)는 상기 제1튜브(200)의 양 단부에 상기 제1공간부(110)에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돌출안착부(2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냉 열교환기(1000).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축냉 열교환기(1000)는 상기 제2튜브(500)의 양 단부에 상기 제2공간부(120)에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돌출안착부(5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냉 열교환기(1000).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냉 열교환기(1000)는 상기 헤더탱크(100)의 제2공간부(120)에 축냉재를 장입하기 위한 축냉재장입부(411) 및 축냉재 장입시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부(41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냉 열교환기(1000).
  9. 제1항, 제3항, 제4항, 및 제6항 내지 제8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냉 열교환기(1000)는
    상기 제2튜브(500) 사이에 핀(600)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냉 열교환기(1000).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00033100A 2009-10-16 2010-04-12 축냉 열교환기 및 그 제조 방법 KR1012386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98908 2009-10-16
KR1020090098908 2009-10-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1976A KR20110041976A (ko) 2011-04-22
KR101238688B1 true KR101238688B1 (ko) 2013-03-04

Family

ID=44047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3100A KR101238688B1 (ko) 2009-10-16 2010-04-12 축냉 열교환기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86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9463B1 (ko) * 2013-04-03 2019-06-14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축냉 열교환기 및 축냉 열교환기 제조 방법
CN110118505A (zh) * 2019-06-19 2019-08-13 浙江银轮机械股份有限公司 集流管组件及热交换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0576A (ja) * 1996-01-31 1997-08-12 Kubota Corp 二重管式熱交換器
JP2000205777A (ja) * 1999-01-18 2000-07-28 Denso Corp 蓄熱用熱交換装置および車両用空調装置
KR20070049763A (ko) * 2005-11-09 2007-05-14 한라공조주식회사 축냉 열교환기
JP2009166529A (ja) 2008-01-11 2009-07-30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凝縮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0576A (ja) * 1996-01-31 1997-08-12 Kubota Corp 二重管式熱交換器
JP2000205777A (ja) * 1999-01-18 2000-07-28 Denso Corp 蓄熱用熱交換装置および車両用空調装置
KR20070049763A (ko) * 2005-11-09 2007-05-14 한라공조주식회사 축냉 열교환기
JP2009166529A (ja) 2008-01-11 2009-07-30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凝縮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1976A (ko) 2011-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4516B1 (ko) 축냉부를 구비한 증발기
JP5674388B2 (ja) 蓄冷機能付きエバポレータ
WO2010150774A1 (ja) 蓄冷機能付きエバポレータ
JP6180281B2 (ja) 蓄熱機能付き熱交換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486837B2 (ja) 蓄冷機能付きエバポレータ
JP6540190B2 (ja) 蓄冷熱交換器
JP2019507053A (ja) 自動車両空調設備の熱交換器用のタンクを充填するための充填チューブを有する相変化材料のタンク
JP2015087086A5 (ko)
US10337808B2 (en) Condenser
KR101318620B1 (ko) 축냉 열교환기
JP5865616B2 (ja) 蓄冷機能付きエバポレータ
KR101238688B1 (ko) 축냉 열교환기 및 그 제조 방법
JP2012137199A (ja) 蓄冷機能付きエバポレータ
KR101756213B1 (ko) 축냉 열교환기
US10670342B2 (en) Cold reserving heat exchanger
JP2011242098A (ja) 蓄冷機能付きエバポレータ
JP2012126149A (ja) 蓄冷機能付きエバポレータ
KR20120129417A (ko) 축냉 증발기
KR20110034145A (ko) 축냉 열교환기
KR101366654B1 (ko)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
KR101170690B1 (ko) 축냉 열교환기
JP3955766B2 (ja) レシーバタンク付き熱交換器、レシーバタンク結合部材、熱交換器のレシーバタンク組付構造及び冷凍システム
JP2016176676A (ja) 蓄冷熱交換器
KR101461077B1 (ko) 열교환기
KR102173343B1 (ko) 축냉 열교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