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6654B1 -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6654B1
KR101366654B1 KR1020080033465A KR20080033465A KR101366654B1 KR 101366654 B1 KR101366654 B1 KR 101366654B1 KR 1020080033465 A KR1020080033465 A KR 1020080033465A KR 20080033465 A KR20080033465 A KR 20080033465A KR 101366654 B1 KR101366654 B1 KR 101366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storage
heat exchanger
integrated
coolant
storag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3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8173A (ko
Inventor
권대복
이대웅
서정훈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3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6654B1/ko
Publication of KR20090108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8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6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6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02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latent heat
    • F28D20/023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latent heat the latent heat storage material being enclosed in granular particles or dispersed in a porous, fibrous or cellular stru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9/0031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 F28D9/004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plates having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at least on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 F28D9/0056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plates having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at least on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with U-flow or serpentine-flow inside conduits; with centrally arranged openings on th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20/0004Particular heat storage apparatus
    • F28D2020/0008Particular heat storage apparatus the heat storage material being enclosed in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e.g. in plates having internal compart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20/0065Details, e.g. particular heat storage tanks, auxiliary members within tanks
    • F28D2020/0078Heat exchanger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열교환기 일측에 부피팽창흡수부가 형성되어 온도에 따른 축냉재의 부피변화를 효과적으로 흡수하고 축냉 및 열교환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는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는 한 쌍의 플레이트가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튜브; 상기 튜브 사이에 개재되는 핀; 상기 튜브의 상부 또는 하부에 상기 튜브와 연통되는 탱크; 상기 탱크에 형성되어 열교환매체가 유입되는 입구 파이프 및 배출되는 출구파이프; 및 상기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어 축냉재가 저장되는 축냉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는 상기 축냉부에 축냉재를 장입하는 축냉재장입부가 형성되며, 높이방향으로 내부에 축냉재가 이동되는 "ㄷ"자의 공간을 형성하여 축냉재의 체적 변화를 흡수하는 중공부와, 상기 중공부 및 축냉재장입부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연통홀, 상기 중공부를 밀폐하는 밀폐수단을 포함하는 부피팽창흡수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교환기, 축냉, 하이브리드

Description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Cold reserving part equipped Heat Exchanger}
본 발명은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열교환기 일측에 부피팽창흡수부가 형성되어 온도에 따른 축냉재의 부피변화를 효과적으로 흡수하고 축냉 및 열교환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는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 자동차 산업에 있어서 세계적으로 환경과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연비 개선을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경량화ㆍ소형화 및 고기능화를 위한 연구개발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동력과 전기에너지를 동시에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에 대한 연구 개발이 증가되는 추세이다.
상기 하이브리드 차량은 신호대기 등의 정차시 자동으로 엔진을 정지하고 다시 변속기의 조작으로 엔진이 재시동되도록 하는 아이들 스톱/고 시스템을 채택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상기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우에도 냉방장치는 엔진에 의해 작동되므 로 엔진이 정지될 경우, 압축기도 정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증발기의 온도가 상승되어 사용자의 쾌적함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증발기 내부의 냉매는 상온에서도 쉽게 기화되므로 압축기가 동작되지 않는 짧은 시간동안 냉매가 기화되어 다시 엔진이 작동되어 압축기 및 증발기가 작동되더라도 기화된 냉매를 압축하여 액화해야하므로 실내에 냉풍이 공급되기 위한 시간이 오래 소요될 뿐만 아니라 전체 에너지 소요량을 높이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축냉재가 저장되어 증발기 내부 냉매의 열을 저장하였다가 압축기가 동작되지 않은 시간동안 냉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축냉기가 제안된 바 있으나, 공조장치의 소형화에 따라 한정된 공조 케이스 내부의 공간에 별도의 축냉기를 구비하는 것은 그 한계가 있으며, 상기 축냉기 내부에 저장된 축냉재는 온도에 따라 수축 및 팽창되므로 부피 팽창에 의한 응력때문에 축냉기에 균열이 생기는 등 사용수명이 짧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축냉재의 부피변화에 따라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축냉재가 저장되는 용기가 탄성이 있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열전도도가 낮아져 열교환 성능이 저하됨에 따라 상기 축냉재에 의한 충분한 축냉효과를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본특허공보 2002-071285호(축냉 열교환기 및 차량용 공조 장치)가 개시된 바 있으며, 이를 도 1에 도시하였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축냉 열교환기는 2중관(110) 구조로 형성되어 내측(110a)을 통해 냉매가 유동되며, 외측(110b)에 축냉재(120) 및 수지재 튜 브(130)가 삽입되어 상기 수지재 튜브(130)에 의해 축냉재(120)의 부피 팽창을 흡수하고, 상기 2중관(110)의 외측에 핀(14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 1에 도시한 축냉 열교환기는 상기 수지제 튜브가 상기 축냉재가 저장되는 2중관의 외측에 구비되고, 축냉재의 부피팽창을 흡수할 수 있는 수지제로 형성되며, 상기 수지재 튜브 내부에는 공기가 유동되도록 하여 부피 팽창에 의한 높은 응력이 2중관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장점이 있으나, 2중관 형태로 내측에 냉매가 이동되는 통로가 형성되고 외측에 축열재가 저장되므로 상기 축열재가 내부의 냉매의 냉기를 저장하기에는 용이하지만, 상기 이중관 구조의 외부를 통과하는 공기는 상기 축열재실과 접촉되므로 냉매와 공기의 열전달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이중관 튜브 외측에 개재되는 핀 역시 냉매와는 직접 연결되지 않게 되어 열교환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축냉 열교환기는 축냉재의 장입과 함께 상기 수지재 튜브가 삽입되어야 하며, 상기 수지재 튜브의 양 단부는 상기 2중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외부 공기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야 하므로, 그 구조가 복잡하여 생산효율을 저하시키고, 저장된 축냉재가 쉽게 유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측에 부피팽창흡수부가 형성되어 내부에 저장된 축냉재의 온도에 따른 체적변화를 흡수할 수 있어 엔진 정지시에도 축냉부에 저장된 냉기를 이용하여 차량 실내의 급격한 온도 상승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의 냉방쾌적성을 유지할 수 있고 냉매의 급격한 온도상승을 방지하며, 다시 냉매 압축기의 작동시 빠르게 축냉될 수 있어 재 냉방시 소모되는 에너지와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는 한 쌍의 플레이트가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튜브; 상기 튜브 사이에 개재되는 핀; 상기 튜브의 상부 또는 하부에 상기 튜브와 연통되는 탱크; 상기 탱크에 형성되어 열교환매체가 유입되는 입구 파이프 및 배출되는 출구파이프; 및 상기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어 축냉재가 저장되는 축냉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는 상기 축냉부에 축냉재를 장입하는 축냉재장입부가 형성되며, 높이방향으로 내부에 축냉재가 이동되는 "ㄷ"자의 공간을 형성하여 축냉재의 체적 변화를 흡수하는 중공부와, 상기 중공부 및 축냉재장입부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연통홀, 상기 중공부를 밀폐하는 밀폐수단을 포함하는 부피팽창흡수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축냉재장입부는 상기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의 측면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연통홀은 상기 부피팽창흡수부의 측면 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밀폐수단을 제외한 상기 부피팽창흡수부는 상기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와 브레이징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는 축냉재의 장입시 상기 축냉부 내부에 잔존하는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는 최대 체적변화흡수율이 상기 축냉부 내부에 저장된 축냉재 상온 체적의 105 내지 115 %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는 상기 플레이트의 좌ㆍ우 양측에 냉매 유로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축냉부가 상기 냉매 유로 사이에 상기 냉매 유로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는 일측에 부피팽창흡수부가 형성되어 축냉재의 온도에 따른 체적 변화를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축냉 효과를 극대화하고 열교환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열교환기의 재질과 같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축냉 및 열교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의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는 열교환기와 일체로 축냉부가 형성되고 상기 축냉부와 연통된 부피팽창흡수부가 형성되어 온도에 따른 부피 변화와는 상관없이 엔진 정지시 축냉부에 저장된 냉기를 이용하여 차량 실내 온도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냉방 쾌적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축냉재의 재냉각시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축냉부와 냉매 유로를 일체로 형성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제조가 용이하고,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차량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으며 연비의 향상과 유해 배기물질의 배출이 저감되어 부가적으로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70)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7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부피팽창흡수부(50)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70)의 온도 변화에 따른 축냉재 변화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는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70)의 다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70)를 형성하는 튜브(3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연통부(33)가 형성된 플레이트(10)의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70)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70)는 한 쌍의 플레이트(10)가 접합되어 이 루어지는 복수개의 튜브(30); 상기 튜브(30) 사이에 개재되는 핀(60); 상기 튜브(3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상기 튜브(30)와 연통되는 탱크(40); 상기 탱크(40)에 형성되어 열교환매체가 유입되는 입구 파이프(31) 및 배출되는 출구 파이프(32); 및 상기 플레이트(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축냉재가 저장되는 축냉부(2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70)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70)는 상기 축냉부(20)에 축냉재를 장입하는 축냉재장입부(41)가 형성되며, 높이방향으로 내부에 축냉재가 이동되는 "ㄷ"자의 공간을 형성하여 축냉재의 체적 변화를 흡수하는 중공부(51)와, 상기 중공부(51) 및 축냉재장입부(41)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연통홀(52), 상기 중공부(51)를 밀폐하는 밀폐수단(53)을 포함하는 부피팽창흡수부(50)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축냉재장입부(41)는 상기 축냉부(20)에 축냉재를 장입하기 위해 중공형성된 영역이며, 상기 높이방향이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30)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부피팽창흡수부(50)는 축냉재가 온도에 따른 부피변화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높이방향으로 "ㄷ"자의 공간을 형성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홀(52)이 형성된 하부 부피팽창흡수부(50)와 상부 부피팽창흡수부(50)의 결합에 의해 중공부(51)를 형성하고, 밀폐수단(53)이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부피팽창흡수부(50)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형태 외에도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밀폐수단(53)은 개폐가능하여 초기 축냉재의 장입 및 사용 도중 축냉재의 교환이나 추가 장입시 개방하여 축냉재의 제거 또는 장입이 이 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축냉재장입부(41)는 상기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70)의 측면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부피팽창흡수부(50)의 연통홀(52) 역시 상기 축냉재장입부(41)와 연결되도록 상기 부피팽창흡수부(50)의 측면 하부에 형성된다.
즉, 상기 부피팽창흡수부(50)는 측면 하부에서 상기 축냉재장입부(41)를 통해 상기 축냉부(20)와 연통되는 연통홀(52)이 형성되고, 높이방향으로 증가될수록 축냉부(20)가 이동가능한 "ㄷ"자형 공간인 중공부(51)가 형성된다.
상기 부피팽창흡수부(50)는 축냉재가 누설되지 않도록 개폐가능한 밀폐수단(53)을 제외하고 상기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70)와 브레이징 고정되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70)의 온도 변화에 따른 축냉재 변화를 나타낸 개략도로, 상기 도 4 (a)는 축냉재가 장입 된 후 상온 상태의 경우를, 도 4 (b)는 온도 상승시 축냉재의 부피가 증가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상기 도 4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냉부(20)에 축냉재를 장입하면, 상기 축냉부(20) 전체의 공간 및 부피팽창흡수부(50)의 하측 일정영역에 축냉재가 구비되고, 도 4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 상승에 따라 축냉재의 부피가 증가할 경우에 빈공간이었던 부피팽창흡수부(50)의 상부 영역까지 축냉재가 자리 잡게 된다.
상기 도 4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냉재가 최대로 부피 팽창했을 때, 본 발명의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의 최대 체적변화흡수율은 상기 축냉부(20) 내부에 저 장된 축냉재 상온 체적의 105 내지 115 % 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상기 부피팽창흡수부(50)는 축냉재의 상온 체적을 100 % 로 보았을 때, 최대로 팽창한 상온 체적의 105 내지 115 % 만큼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는 크기로 제조되어야 한다.
이 때, 상기 축냉부(20) 내부에는 잔존하는 공기가 없이, 상기 부피팽창흡수부(50)의 상부 영역에만 빈 공간이 형성되어야 하므로,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70)는 축냉재의 장입시 상기 축냉부(20) 내부에 잔존하는 공기가 배출되도록 상기 축냉부(20)와 연결되어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부(42)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축냉부(20)는 일정 공간이 형성되므로 내부에 공기가 포함된 상태에서 축냉재가 장입될 수 있다. 따라서 일측에 형성된 축냉재장입부(41)를 통해 축냉재를 주입하는 경우, 축냉부(20) 내부에 존재하던 공기는 배출되지 않고 축냉재가 유입될 수 없는 일정 공간을 차지하게 되므로 특정 공간에 축냉재가 장입되지 않음에 따라 특정 영역에서는 축냉부(20)에 의한 축냉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70)는 상기 축냉재장입부(41)를 통한 축냉재 장입시, 상기 축냉재장입부(41)와는 별도로 상기 축냉부(20)와 연통된 공기배출부(42)를 통해 축냉부(20) 내부에 잔존하던 공기가 원활히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축냉부(20) 전체에 고르게 축냉재를 장입하도록 한다.
상기 도 5에 도시한 상기 공기배출부(42)는 축냉재가 누설되지 않도록 내측 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배출부(42)와 브레이징 결합되는 캡(43)과, 상기 캡(43)의 나사산에 결합되어 상기 공기배출부(42)를 밀폐시키는 마개(44)가 구비되어 기밀을 유지하도록 한 예를 도시하였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70)를 형성하는 플레이트(10) 또는 튜브(3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들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 6 내지 도 7에 도시한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70)는 플레이트(10)의 좌ㆍ우 양측에 냉매 유로(11a, 11b)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냉매 유로(11a, 11b) 사이에 상기 냉매 유로(11a, 11b)와 평행하게 형성된다.
상기 축냉부(20)가 상기 냉매 유로(11a, 11b) 사이에 형성됨으로써, 냉매의 흐름에는 변화를 주지 않으면서도 상기 공기와 냉매의 열교환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축냉부(20)가 냉매의 냉기를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어 축냉 효과를 극대화하도록 한다.
상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10)는 좌ㆍ우 양측에 독립적인 냉매 유로(11a, 11b)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냉매 유로(11a, 11b)에는 비드(12)가 돌출 형성되어 냉매의 유동흐름을 난류화함으로써 열교환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하며, 상부 또는 하부에 이웃하는 튜브(30)로 냉매가 유동되는 냉매유출입컵(13)이 형성된다.
상기 축냉부(20)는 상기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70)의 전체 영역에 연통되어 축냉 효과를 극대화 할 뿐만 아니라, 한 번의 장입을 통해 축냉재를 장입할 수 있도록 상기 플레이트(10)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축냉부(2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이웃하는 축냉부(20)(튜브(30)와 튜브(30)) 간 축냉재가 유통되는 홀(21)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도 6에는 상기 냉매유출입컵(13)이 상기 냉매 유로(11a, 11b) 각각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고, 홀(21)의 상부 및 하부에 홀(21)이 형성된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70)는 이 외에도 냉매의 흐름 및 축냉부(20)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아울러, 냉매 유로(11a, 11b)가 상기 플레이트(10)의 좌ㆍ우에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냉매 유로(11a, 11b) 간의 냉매가 연통될 수 있도록 상기 축냉부(20)의 상부 또는 하부 영역에 냉매가 유통되는 연통부(3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예를 도 7에 도시하였다.
도 8은 상기 도 6 및 도 7과 같은 플레이트(10)의 조합으로 4-탱크식 냉매흐름을 갖는 본 발명의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70)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70)는 상기 탱크(40)의 양측에 입구 파이프(31)), 및 출구 파이프(32)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입구 파이프(31)를 통해 유입된 냉매는 상기 일측 탱크(40)로 유입되어 일측 냉매 유로(11b)를 통해 타측 탱크(40)로 이동되는 제 1 영역(A1), 상기 제 1 영역(A1)을 통과하여 상기 타측 탱크(40)로 이동된 냉매가 일측 냉매 유로(11b)를 통해 다시 일측 탱크(40)로 이동되고 상기 제 1 영역(A1)에 이웃 하여 위치되는 제 2 영역(A2), 상기 일측 탱크(40)의 연통부(33)를 통해 이동된 냉매가 타측 냉매 유로(11a)를 통해 타측 탱크(40)로 이동되는 제 3 영역(A3), 및 상기 제 3 영역(A3)을 통과하여 타측 탱크(40)로 이동된 냉매가 상기 타측 냉매 유로(11a)를 통해 다시 일측 탱크(40)로 이동되고 상기 제 3 영역(A3)에 이웃하여 위치하는 제 4 영역(A4)을 거쳐 상기 출구 파이프(32)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70)(4-탱크식)는 제 1 영역(A1) 내지 제 4 영역(A4)을 통과하면서 상기 축냉부(20) 및 외부 핀(60)과 열교환되며, 기존 4-탱크식 열교환기(70)의 냉매 흐름에는 어떠한 변화도 주지 않게 되며 축냉부(20)가 냉매 유로(11a, 11b)의 흐름 전체에 걸쳐 있어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의 축냉 열교환기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의 사시도.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부피팽창흡수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의 온도 변화에 따른 축냉재 변화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의 다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를 형성하는 튜브의 분해사시도.
도 7은 연통부가 형성된 플레이트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플레이트 11a, 11b : 냉매 유로
12 : 비드 13 : 냉매유출입컵
20 : 축냉부 21 : 홀(hole)
30 : 튜브 31 : 유입파이프
32 : 배출파이프 33 : 연통부
40 : 탱크 41 : 축냉재장입부
42 : 공기배출부 43 : 캡
44 : 마개 45 : 실링부재
50 : 부피팽창흡수부
51 : 중공부 52 : 연통홀
53 : 밀폐수단
60 : 핀
70 :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

Claims (6)

  1. 한 쌍의 플레이트(10)가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튜브(30); 상기 튜브(30) 사이에 개재되는 핀(60); 상기 튜브(3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상기 튜브(30)와 연통되는 탱크(40); 상기 탱크(40)에 형성되어 열교환매체가 유입되는 입구 파이프(31) 및 배출되는 출구 파이프(32); 및 상기 플레이트(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축냉재가 저장되는 축냉부(2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70)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70)는
    상기 축냉부(20)에 축냉재를 장입하는 축냉재장입부(41)가 형성되며,
    높이방향으로 내부에 축냉재가 이동되는 "ㄷ"자의 공간을 형성하여 축냉재의 체적 변화를 흡수하는 중공부(51)와, 상기 중공부(51) 및 축냉재장입부(41)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연통홀(52), 상기 중공부(51)를 밀폐하는 밀폐수단(53)을 포함하는 부피팽창흡수부(50)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냉재장입부(41)는 상기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70)의 측면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연통홀(52)은 상기 부피팽창흡수부(50)의 측면 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수단(53)을 제외한 부피팽창흡수부(50)는 상기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70)와 브레이징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70)는 축냉재의 장입시 상기 축냉부(20) 내부에 잔존하는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부(4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70)는
    최대 체적변화흡수율이 상기 축냉부(20) 내부에 저장된 축냉재 상온 체적의 105 내지 115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70)는
    상기 플레이트(10)의 좌ㆍ우 양측에 냉매 유로(11a, 11b)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축냉부(20)가 상기 냉매 유로(11a, 11b) 사이에 상기 냉매 유로(11a, 11b)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
KR1020080033465A 2008-04-11 2008-04-11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 KR101366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3465A KR101366654B1 (ko) 2008-04-11 2008-04-11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3465A KR101366654B1 (ko) 2008-04-11 2008-04-11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8173A KR20090108173A (ko) 2009-10-15
KR101366654B1 true KR101366654B1 (ko) 2014-02-25

Family

ID=41551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3465A KR101366654B1 (ko) 2008-04-11 2008-04-11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66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48034B2 (ja) * 2013-02-25 2017-06-14 株式会社ヴァレオジャパン 熱交換器の製造方法
WO2014129621A1 (ja) * 2013-02-25 2014-08-28 ヴァレオ システム テルミク 熱交換器及び車両用空調装置
JP6148066B2 (ja) * 2013-05-08 2017-06-14 株式会社ヴァレオジャパン 熱交換器
KR102312333B1 (ko) * 2019-07-23 2021-10-13 주식회사 석영 제빙장치용 증발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37859A1 (fr) 1998-12-21 2000-06-29 Bosch Automotive Systems Corporation Echangeur de chaleur a doubles tubes feuilletes et systeme de conditionnement d'air regeneratif
KR101170610B1 (ko) 2006-01-04 2012-08-02 한라공조주식회사 축냉 열교환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37859A1 (fr) 1998-12-21 2000-06-29 Bosch Automotive Systems Corporation Echangeur de chaleur a doubles tubes feuilletes et systeme de conditionnement d'air regeneratif
KR101170610B1 (ko) 2006-01-04 2012-08-02 한라공조주식회사 축냉 열교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8173A (ko) 200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4516B1 (ko) 축냉부를 구비한 증발기
US20100223949A1 (en) Evaporator with cool storage function
CN108826758B (zh) 带蓄冷功能的蒸发器
WO2010150774A1 (ja) 蓄冷機能付きエバポレータ
US9746245B2 (en) Heat exchanger equipped with cold reserving par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00186440A1 (en) Thermal storage for co2 system
KR101291029B1 (ko)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
KR101318620B1 (ko) 축냉 열교환기
KR101366654B1 (ko) 일체형 축냉 열교환기
KR101756213B1 (ko) 축냉 열교환기
KR101320329B1 (ko) 축냉 증발기
KR101551692B1 (ko) 축냉 열교환기
KR101947659B1 (ko) 축냉 열교환기
WO2007133052A1 (en) Cold reserving part equipped evaporator
KR101385203B1 (ko) 증발기
KR20100067151A (ko) 축냉 열교환기
KR101527892B1 (ko) 축냉 열교환기
KR101437055B1 (ko) 축냉 열교환기
KR101238688B1 (ko) 축냉 열교환기 및 그 제조 방법
KR101170690B1 (ko) 축냉 열교환기
KR20170022015A (ko) 축냉 증발기
KR20080026738A (ko) 증발기
KR20100056644A (ko) 축냉 열교환기
KR101250780B1 (ko) 증발기
KR101329756B1 (ko) 증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