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8524B1 - 적응형 파일럿 전력 전송을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적응형 파일럿 전력 전송을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8524B1
KR101238524B1 KR1020117010266A KR20117010266A KR101238524B1 KR 101238524 B1 KR101238524 B1 KR 101238524B1 KR 1020117010266 A KR1020117010266 A KR 1020117010266A KR 20117010266 A KR20117010266 A KR 20117010266A KR 101238524 B1 KR101238524 B1 KR 101238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nb
enodeb
factor
delete delete
pilot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0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3646A (ko
Inventor
사얀탄 초우두리
케네스 제이 박
아마드 코쉬네비스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83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3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8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8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2TPC of broadcast or control channels
    • H04W52/325Power control of control or pilot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32Hierarchical cell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5Hand-off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3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inter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4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 H04W52/343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taking into account loading or congestion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6Deriving transmission power values from another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ath lo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5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private Base Stations, e.g. femto Base Stations, home Node 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2개의 기지국 사이에 오프셋 인자의 자가 구성을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제1 기지국에 의해 제1 오프셋 인자를 제1 사용자 장치(UE)로 송출한다. 오프셋 인자는 홈 진화형 nodeB(HeNB) 주위의 재선택 영역의 표시이다. 제2 UE로부터 제2 오프셋 인자를 수신한다. 상기 제2 오프셋 인자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오프셋 인자를 수정한다. 상기 수정된 제1 오프셋 인자를 상기 제1 UE로 송출한다.

Description

적응형 파일럿 전력 전송을 위한 방법{SYSTEMS AND METHODS FOR CONFIGURATION OF OFFSET FACTORS AND MAINTENANCE OF CONSTANT RESELECTION RANG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본 개시 내용은 전체적으로 통신 및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개시 내용은 일정한 폐쇄된 가입자 그룹 셀 재선택 반경을 유지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즉, 오프셋 인자의 구성 및 무선 통신 환경에서의 일정한 재선택 범위의 유지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3GPP"로도 언급되는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는 3세대 시스템을 위해 세계적으로 적용 가능한 기술 지침(specification) 및 기술 보고서를 규정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공동 협약이다. 3GPP LTE(Long Term Evolution)는 미래의 요구에 대처하기 위해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휴대 전화 또는 장치 표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젝트에 주어진 명칭이다. 3GPP는 차세대 이동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및 장치를 위한 지침을 규정할 수 있다. 일 태양에서, UMTS는 E-UTRA(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및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에 대한 지원 및 지침을 제공하도록 수정되었다. 3GPP LTE에서 휴대 단말기 또는 장치는 "사용자 장치"(UE)로 불린다. 기지국은 진화형(evolved) NodeB(eNodeB)로 불릴 수 있다. 반자율적(semi-autonomous) 기지국/펨토-셀(femto-cell)은 홈 eNodeB(HeNB)로 불릴 수 있다.
UE는 eNodeB 또는 HeNB와의 확립된 접속을 가질 수 있다. UE는 오프셋 인자를 이용하여 접속을 위해 HeNB 또는 eNodeB를 재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UE는 Q 인자를 이용하여 접속을 위해 HeNB 또는 eNodeB를 재선택할 수 있다.
HeNB 또는 eNodeB의 재선택 시에 Q 인자를 이용하는 개념은 동일한 우선 순위의 인근 셀들에 대해 등급을 매길(rank) 때, 현재 표준 3GPP-LTE Release 8에서 제안된다. 예를 들면, 참고 문헌 1은 방정식 Rn = QMeas,n - Qoffset을 채택함으로써 Q 인자(Qoffset)를 채용한다. 상기 방정식에서, Rn은 서빙 셀(serving cell)과 동일한 우선 순위를 갖는 N번째 인근 셀의 등급(rank)을 나타낸다. Qoffset은 N번째 인근 셀과 서빙 셀 사이의 오프셋을 나타낸다. QMeas,n은 N번째 인근 셀의 측정된 RSRP(Reference Symbol Received Power)를 나타낸다.
Qoffset은 RF(radiofrequency) 환경으로부터 준독립적인(quasi-independent) UE의 이동성(mobility)을 시스템이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수단이다. Qoffset은 UE가 현재 캠핑된(camped) 셀이 아닌 다른 소정의 적합한 셀을 선택하도록 격려할 수 있거나, 또는 Qoffset은 UE가 현재 캠핑된 셀이 아닌 다른 소정의 적합한 셀을 선택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UE가 2개의 (또는 그 이상의) eNodeBs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RF 환경에 있을 때, 수신된 신호가 거의 동등한 상태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로케이션(location)(즉, 거의 동등한 신호 강도)의 UE가 하나의 eNodeB를 다른 것보다 지지하는(favor) 것을 시스템 운영자가 선호한다면, 시스템 운영자는 2개 셀 사이에 Qoffset을 특정할 수 있다. 수신된 신호 강도의 차이가 미국의 재선택 알고리즘에 의해 평가될 때, 응용(applied) Qoffset은 바람직한 eNodeB가 더 선택될 가능성이 있도록 결과를 스큐(skew)할 것이다.
참고 문헌 1: 36.304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Radio Access Network; E-UTRA(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UE(User Equipment) procedures in idle mode (Release 9)
셀에 대해 일정한 Q 인자를 이용함에 의해, 셀에서 각 HeNB에 대한 전송 범위가 상이하게 될 수 있다. 셀에서 모든 HeNB에 대해 균일한 전송 범위를 달성함으로써 향상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2개의 기지국 사이에 오프셋 인자의 자가 구성을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제1 기지국에 의해 제1 오프셋 인자를 제1 사용자 장치(UE)로 송출하는 단계 - 상기 제1 오프셋 인자는 홈 진화형 nodeB(HeNB) 주위의 재선택 영역의 표시임 - 와, 제2 UE로부터 제2 오프셋 인자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오프셋 인자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오프셋 인자를 수정하는 단계와, 상기 수정된 제1 오프셋 인자를 상기 제1 UE로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셀 내의 홈 진화형 NodeBs(HeNBs)에 대해 일정한 재선택 범위를 유지하기 위해 적응형 파일럿 전력 전송을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HeNB 주위의 재선택 영역을 확립하기 위해 오프셋 인자 및 HeNB 파일럿 전력을 이용하는 단계 - 오프셋 인자는 상기 HeNB 주위의 재선택 영역의 표시임 - 와, 상기 HeNB와 진화형 NodeB(eNodeB) 사이의 경로 손실을 추정하는 단계와, 추정된 경로 손실을 이용하여 셀 내의 HeNBs에 대해 일정한 재선택 범위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HeNB 파일럿 전력을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기지국이 제공된다. 상기 기지국은 제1 오프셋 인자를 제1 사용자 장치(UE)로 송출하는 유닛 - 상기 제1 오프셋 인자는 홈 진화형 nodeB(HeNB) 주위의 재선택 영역의 표시임 - 과, 제2 UE로부터 제2 오프셋 인자를 수신하는 유닛과, 상기 제2 오프셋 인자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오프셋 인자를 수정하는 유닛과, 상기 수정된 제1 오프셋 인자를 상기 제1 UE로 송출하는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홈 진화형 NodeB(HeNB)가 제공된다. 상기 HeNB는 상기 HeNB 주위의 재선택 영역을 확립하기 위해 Q 인자 및 HeNB 파일럿 전력을 이용하는 유닛 - Q 인자는 상기 HeNB 주위의 재선택 영역의 표시임 - 과, 상기 HeNB와 진화형 NodeB(eNodeB) 사이의 경로 손실을 추정하는 유닛과, 추정된 경로 손실을 이용하여 셀 내의 HeNBs에 대해 일정한 재선택 범위를 유지하기 위해 HeNB 파일럿 전력을 갱신하는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5 양태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상기 기지국 또는 홈 진화형 NodeB와 사용자 장치(UE)를 포함한다.
상술된 그리고 다른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고려할 때 보다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시스템 및 방법이 실시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HeNB로부터 eNodeB로의 또는 eNodeB로서부터 HeNB로의 UE에 의한 재선택이 발생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eNodeB, HeNB, 및 2개의 UEs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2개의 기지국 사이에 Q 인자의 자가 구성을 위한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HeNB와 eNodeB 사이에 Q 인자의 자가 구성을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eNodeB, 다중 HeNBs, 및 다중 UEs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은 셀에서 HeNBs를 위한 일정한 범위를 유지하는 적응형(adaptive) 파일럿 전력 전송을 위한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셀에서 HeNBs를 위한 일정한 범위를 유지하는 적응형 파일럿 전력 전송을 위한 대안적인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셀에서 HeNBs를 위한 일정한 범위를 유지하는 적응형 파일럿 전력 전송을 위한 다른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HeNB의 컴포넌트와 셋팅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설명된 시스템 및 방법의 일 구성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2개의 기지국 사이에 오프셋 인자의 자가 구성(self configuration)을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제1 오프셋 인자는 제1 기지국에 의해 제1 사용자 장치(UE)로 송출된다. 오프셋 인자는 홈 진화형(evolved) nodeB(HeNB) 주위의 재선택 영역의 표시이다. 제2 오프셋 인자는 제2 UE로부터 수신된다. 제1 오프셋 인자는 제2 오프셋 인자를 이용하여 수정된다. 수정된 제1 오프셋 인자는 제1 UE에 송출된다.
오프셋 인자는 Q 인자의 수퍼 세트(super set)이고, 오프셋 인자는 UE가 캠핑되어 있는 인근 셀에 대해 취해지는 신호 강도 측정에 적용되는 무단위(unit-less) 조정이다.
제1 오프셋 인자는 제1 Q 인자일 수 있고, 제2 오프셋 인자는 제2 Q 인자일 수 있다. 제1 기지국은 HeNB 일 수 있다. 제1 Q 인자는 제1 기지국 주위의 재선택 영역의 표시일 수 있다. 제2 UE는 진화형 NodeB(eNodeB)로부터 제2 Q 인자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Q 인자는 제1 기지국 주위의 재선택 영역의 표시일 수 있다.
제2 UE는 제2 UE가 제2 기지국에 가입했을 때 제2 기지국으로부터 제2 Q 인자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UE로부터 제2 Q 인자를 수신하는 것은 제2 UE가 제1 기지국에 가입하기 시작한 후에 발생할 수 있다.
제2 UE는 제2 UE가 제1 기지국에 가입할 때 방송 채널을 통해 제2 기지국으로부터 제2 Q 인자를 수신할 수 있고, 제1 기지국에 가입한 동안 정기적으로 제2 기지국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제2 UE는 제2 기지국으로부터 제2 Q 인자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기지국은 HeNB일 수 있다. 제2 Q 인자는 제2 기지국 주위의 재선택 영역의 표시일 수 있다. 재선택 영역은 수정된 제1 Q 인자를 이용하여 제1 기지국 주위에 재확립될 수 있다.
제1 기지국은 진화형 NodeB(eNodeB)일 수 있다. 제1 Q 인자는 eNodeB 셀 내의 HeNB 주위의 재선택 영역의 표시일 수 있다. 제2 Q 인자는 HeNB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제2 Q 인자는 HeNB 주위의 재선택 영역의 표시일 수 있다.
제1 UE는 제1 기지국에 가입할 수 있다. 제2 UE는 제2 기지국에 가입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제2 Q 인자를 이용하여 제1 Q 인자를 수정하기 전에 특정된 시간량을 대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Q 인자를 이용하여 제1 Q 인자를 수정하는 단계는 갱신된 Q 인자를 획득하기 위해 제1 Q 인자와 제2 Q 인자의 조합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셀내의 홈 진화형 NodeBs(HeNBs)에 대해 일정한 범위를 유지하기 위해 적응형 파일럿 전력 전송을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오프셋 인자와 HeNB 파일럿 전력을 사용하여 HeNB 주위의 재선택 영역을 확립한다. 오프셋 인자는 HeNB 주위의 재선택 영역의 표시이다. HeNB와 진화형 NodeB(eNodeB) 사이의 경로 손실을 추정한다. 추정된 경로 손실을 이용하여 셀 내의 HeNBs에 대해 일정한 재선택 범위를 유지하기 위해 HeNB 파일럿 전력을 갱신한다.
eNodeB 파일럿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UE)가 eNodeB 파일럿 신호로 인해 수신하게 되는 간섭(interference)을 추론할 수 있다. 간섭은 HeNB와 eNodeB 사이의 경로 손실을 추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HeNB에 가입하여 HeNB의 재선택 영역 내에 있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치(UEs)와 접속이 유지될 수 있다. HeNB와 eNodeB 사이의 이격 거리는 하나 이상의 UEs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HeNB와 eNodeB 사이의 이격 거리는 HeNB와 eNodeB 사이의 경로 손실을 추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수신된 eNodeB 신호 강도는 하나 이상의 UEs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수신된 eNodeB 신호 강도는 HeNB와 eNodeB 사이의 경로 손실을 추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기지국이 개시된다. 기지국은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실행 가능 명령이 메모리에 저장된다. 제1 오프셋 인자는 제1 사용자 장치(UE)에 송출된다. 오프셋 인자는 홈 진화형 nodeB(HeNB) 주위의 재선택 영역의 표시이다. 제2 오프셋 인자는 제2 UE로부터 수신된다. 제1 오프셋 인자는 제2 오프셋 인자를 이용하여 수정된다. 수정된 제1 오프셋 인자는 제1 UE에 송출된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홈 진화형 NodeB(HeNB)가 개시된다. 홈 진화형 NodeB는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실행 가능 명령이 메모리에 저장된다. Q 인자 및 HeNB 파일럿 전력은 HeNB 주위의 재선택 영역을 확립하는데 사용된다. Q 인자는 HeNB 주위의 재선택 영역의 표시이다. HeNB와 진화형 NodeB(eNodeB) 사이의 경로 손실을 추정한다. HeNB 파일럿 전력은 추정된 경로 손실을 이용하여 셀 내의 HeNBs에 대해 일정한 재선택 범위를 유지하도록 수정된다.
본 시스템 및 방법은 무선 네트워크에 의해 이용되는 물리층 액세스 기술과 무관하게 동작할 수 있다. 액세스 기술의 예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DMA), 시분할 다중 접속(TDMA), 및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을 포함한다. 또한, 본 시스템 및 방법은 시스템이 양방향 통신(full duplex) 또는 반이중 통신인지에 무관하게 동작할 수 있다.
예를 위해, 본 시스템 및 방법은 3GPP LTE 시스템에 의하여 설명된다. 그러나, 본 시스템 및 방법은 IEEE 802.16(e, m)과 같은 다른 통신 시스템, WiMAX 시스템, 및 반자율적(semi-autonomous) 기지국의 사용이 보증되는 다른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시스템 및 방법이 실시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을 설명한다. 이동 기지국은 사용자 장치(UE)(104)로서 언급될 수 있다. 셀방식 무선 통신 시스템(100)에서, 중심 기지국은 진화형 NodeB(eNodeB)(102)일 수 있다. eNodeB(102)는 하나 이상의 UEs(104)(이동 기지국, 사용자 장치, 통신 장치, 가입자 유닛, 액세스 단말, 단말 등으로도 언급될 수 있음)와 무선 통신할 수 있다.
eNodeB(102)는 셀로 언급되는 eNodeB(102)의 근처의 특정 지리적 영역을 커버하여,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실제 통신을 처리할 수 있다. 섹터링(sectoring)에 따라, 하나 이상의 셀이 eNodeB(102)에 의해 서빙될(served) 수 있고, 따라서 eNodeB(102)는 UEs(104)가 어디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하나 이상의 UEs(104)를 지원할 수 있다. UE(104)는 eNodeB(102) 또는 홈 eNodeB(HeNB)(106)와의 확립된 접속을 가질 수 있다. UE(104)가 eNodeB(102)와의 확립된 접속을 가질 때, UE(104)가 eNodeB(102)에 가입되어 있다고 언급될 수 있다. UE(104)가 HeNB(106)와의 확립된 접속을 가질 때, UE(104)가 HeNB(106)에 가입되어 있다고 언급될 수 있다. eNodeB(102) 또는 HeNB(106)에 가입한 UE(104)는 수 개의 동작 모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UE(104)는 아이들 모드 또는 접속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아이들 모드로 동작하는 UE(104)에는, UE가 가입한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방송하는 임의의 데이터 채널 리소스(resource)가 할당되지 않는다. 그러나, 아이들 모드로 동작하는 UE(104)는 셀의 방송 채널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셀 내에서 아이들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UE(104)는 셀에 캠핑된(camped) 것으로 언급된다. 아이들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UE(104)가 하나의 기지국에의 가입으로부터 다른 기지국에의 가입으로 전환되면, 이 프로세스는 재선택으로 언급된다.
접속 모드로 동작하는 UE(104)에는, UE(104)가 셀에 대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허용되는 데이터 채널 리소스가 할당된다. UE(104)가 eNodeB(102)와 접속 모드로 동작하고 있을 때, UE(104)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다른 셀을 선택할 수 있다. 이 프로세스는 핸드오버(handover) 또는 핸드오프(handoff)로 언급된다.
하나의 구성에서, eNodeB(102)는 3GPP (Release 8) LTE(Long Term Evolution)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통신 시스템(100)을 위한 무선 리소스 관리를 행한다. 셀 구조 외에, 3GPP는 홈 eNodeBs(HeNBs)(106)로 알려진 반자율적 기지국에 의해 제어되는 셀 내의 소영역을 허락한다. HeNB(106)는 또한 펨토-셀로서 언급될 수도 있다. HeNB(106)는 CSG(Closed Subscriber Group)으로 알려진 사적 그룹의 일부인 하나 이상의 UEs(104)와 전자 통신할 수 있다. UE(104)는 HeNB(106) 또는 eNodeB(102)에 가입할 수 있다. 환경이 전환을 보증한다면, CSG의 일부인 UEs(104)는 eNodeB(102)에의 가입으로부터, CSG와 관련된 HeNB(106)에의 가입으로 전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전환은 재선택으로 언급될 수 있다. 환경이 전환을 보증한다면, UEs(104)는 또한 HeNB(106)에의 가입으로부터 eNodeB(102)에의 가입으로 전환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하나보다 많은 eNodeB(102) 및 하나보다 많은 HeNB(10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하나보다 많은 UE(104)를 포함할 수 있다.
eNodeB(102)는 하나 이상의 UEs(104)와 전자 통신할 수 있다. eNodeB(102)는 무선 주파수(RF) 통신 채널을 통해 UEs(104)로 데이터를 송신하고 UEs(104)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HeNB(106)는 하나 이상의 UEs(104)와 전자 통신할 수 있다. HeNB(106)는 또한 RF 통신 채널을 통해 UEs(104)로 데이터를 송신하고 UEs(104)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eNodeB(102)는 유선 또는 무선 수단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HeNBs(106)와 전자 통신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HeNB(106)는 유선 또는 무선 수단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eNodeBs(102)와 전자 통신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HeNB(106)는 코어 네트워크를 통해 eNodeB(102)와만 통신할 수 있다. 3GPP (Release 8) LTE가 eNodeB(104)와 HeNB(106) 사이의 직접 무선 접속을 지원하지 않을지라도, 이 접속을 위한 지원은 미래의 3GPP LTE 릴리즈에서 가능하게 될 수 있다.
UE(104)가 특정 HeNB(106)의 CSG에 속하는 경우, UE(104)가 eNodeB(102)와는 대조적으로, HeNB(106)에 가입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UE(104)가 HeNB(106)에의 가입으로부터 eNodeB(102)에의 가입으로 전환하게 하는 프로시저(procedure)는 UE(104)가 접속 모드에 있을 때 핸드오버 또는 핸드오프로 언급될 수 있다. 핸드오버는 코어 네트워크의 보조를 요구할 수 있다. UE(104)는 UE(104)가 음성 또는 데이터를 송출하거나 수신하고 있을 때 접속 모드에 있을 수 있다. 아이들 모드의 UE(104)가 eNodeB(102)에의 가입으로부터 HeNB(106)에의 가입으로 전환하거나 또는 HeNB(106)에의 가입으로부터 eNodeB(102)에의 가입으로 전환하게 하는 프로시저는 재선택으로 언급될 수 있다.
도 2는 eNodeB(202), UE(204) 및 HeNB(206)와의 무선 통신 시스템(2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HeNB(206)는 HeNB(206) 주위의 재선택 영역(216)을 한정할 수 있다. eNodeB(202)는 또한 HeNB(206) 주위의 재선택 영역(218)을 한정할 수 있다. HeNB(206) 및 eNodeB(202)는 HeNB(206)의 주위의 상이한 재선택 영역을 한정할 수 있다. HeNB(206) 및 eNodeB(202)가 HeNB(206)의 주위의 동일한 재선택 영역을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200)은 하나보다 많은 HeNB(206)를 포함할 수 있다.
HeNB(206)는 반경 rHeNB(212)를 갖는 원의 중앙에 있을 수 있다. 반경 rHeNB(212)를 갖는 원내의 영역은 HeNB 재선택 영역(216)으로 언급될 수 있다. HeNB 재선택 영역(216)은 재선택이 바람직한 HeNB(206)과 UE(204) 사이의 거리를 한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UE(204)는 UE(204)가 HeNB 재선택 영역(216) 외부에 있을 때eNodeB(202) 상에 캠핑할 수 있다. UE(204)가 HeNB 재선택 영역(216) 내부로 이동하면, UE(204)가 eNodeB(202)에의 가입으로부터 HeNB(206)에의 가입으로 재선택 또는 전환되는 것이 보증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UE(204)가 HeNB 재선택 영역(216) 내부로부터 HeNB 재선택 영역(216) 외부로 이동하면, UE(204)가 HeNB(206)에의 가입으로부터 eNodeB(202)에의 가입으로 재선택되는 것이 보증될 수 있다. 실제로, eNodeB 또는 HeNB 주위의 영역은 일정한 RSSI/RSRP를 갖는 윤곽을 통해 설명되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고, 선택/재선택 영역은 주어진 위치에서의 RSSI 또는 RSRP에 의존할 수 있다. 3GPP (릴리스 8) LTE는 UE(204)가 접속 모드에 있을 때 UE(204)가 eNodeB(202)에의 가입으로부터 HeNB(206)에의 가입으로 전환되는 것을 제공하지 않더라도, 미래 3GPP 릴리스는 이러한 기능성을 허용할 수 있다.
UE(204)는 오프셋 인자를 이용하여 언제 재선택이 보증되는지 결정할 수 있다. 오프셋 인자는 HeNB 주위의 재선택 영역의 표시이다. 예를 들면, UE(204)는 Q 인자와 같은 오프셋 인자를 이용하여 언제 재선택이 보증되는지 결정할 수 있다. Q 인자는 3GPP LTE 무선 인터페이스 표준에 특유한 오프셋 인자일 수 있다. Q 인자는 UE(204)가 HeNB 재선택 영역(216) 내에 있는지를 결정함에 있어서 UE(204)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 UE(204)는 UE(204) 상의 Q 인자가 아직 갱신되지 않았다면 더 오래된 Q 인자를 이용할 수 있다. Q 인자는 각 HeNB(206)을 위한 내부 파라미터일 수 있다. UE(204)는 HeNB(206)로의 재선택 시에 HeNB(206)로부터 갱신된 Q 인자 QHeNB(208b)를 수신할 수 있다. RSSIHeNB가 HeNB(206)(dB)로부터 수신된 UE(204)에서의 신호 강도 지시자(RSSI)이고, RSSIeNB가 eNodeB(202)(dB)로부터의 UE(204)에서의 RSSI일 때, RSSIHeNB+Q≥RSSIeNB 인 경우에 재선택이 보증될 수 있다. 주파수에 대해 행해지는 측정인 RSSI 대신에, 재선택은 또한 셀에 대해 행해지는 측정인 참조 신호 수신 파워(RSRP)에 기반할 수 있다. RSRP는 아래의 모든 연산에 대해 RSSI 대신에 이용될 수 있다. RSSI 및 RSRP는 UE(204)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 강도의 표시일 수 있다. Q 인자는 또한 dB의 수일 수 있다. Q 인자는 셀에 걸쳐 일정한 것보다는 오히려 셀 내에의 HeNB(206)의 위치에 의존할 수 있다.
eNodeB(202)는 또한 각 HeNB(206)에 대한 Q 인자 QeNodeB(210a)를 저장할 수 있다. eNodeB(202)는 셀 내에서의 각 HeNB(206)에 대한 고유한 Q 인자를 저장할 수 있다. eNodeB(202) 및 HeNB(206)은 HeNB(206) 주위의 재선택 영역을 한정하기 위해 상이한 Q 인자를 각각 이용할 수 있다. eNodeB(202) 및 HeNB(206)가, 사용되는 Q 인자와 코디네이션되지(coordinate) 않으면, eNodeB(202) 및 HeNB(206)는 각각 HeNB(206)의 주위의 상이한 재선택 영역을 한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HeNB(206)은 2개의 재선택 영역을 가질 수 있는데, 제1 재선택 영역(216)은 HeNB(206)의 제1 반경 rHeNB(212) 내의 영역일 수 있다. 제1 재선택 영역(216)은 QHeNB(208b)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제2 재선택 영역(218)은 HeNB(206)의 제2 반경 reNodeB(214) 내의 영역일 수 있다. 제2 재선택 영역(218)은 QeNodeB(210a)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UE(204)는 HeNB(206) 또는 eNodeB(202)에 가입할 수 있다. 가입의 시기에, UE(204)는 HeNB(206) 또는 eNodeB(202)로부터 Q 인자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UE(204)가 HeNB(206)에 가입되기 시작할 때, UE(204)는 HeNB(206)로부터 QHeNB(208b)를 수신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UE(204)가 eNodeB(202)에 가입되기 시작할 때, UE(204)는 eNodeB(202)로부터 QeNodeB(210a)를 수신할 수 있다.
QHeNB(208b) 및 QeNodeB(210a)가 코디네이션되지 않으면, UE(204)는 끊임없이 HeNB(206)와 eNodeB(202)에의 가입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거나 또는 커버리지 갭(coverage gap)이 존재할 수 있다. HeNB(206)은 Q 인자 QHeNB(208b)에 의존하는 반경 rHeNB(212)를 이용하여 HeNB(206) 주위의 재선택 영역(216)을 한정한다. eNodeB(202)는 Q 인자 QeNodeB(210a)에 의존하는 반경 reNodeB(214)를 이용하여 HeNB(206) 주위의 재선택 영역(218)을 한정한다. eNodeB(202)에 가입한 UE(204)는 Q 인자 QeNodeB(210a)를 이용할 수 있고, HeNB(206)에 가입한 UE(204)는 Q 인자 QHeNB(208b)를 이용할 수 있다.
반경 reNodeB(214)가 반경 rHeNB(212)보다 크면, eNodeB(202)에 가입한 UE(204)는 반경 reNodeB(214)를 입력할 때 HeNB(206)로 전환되거나 또는 이를 재선택할 수 있다. UE(204)가 재선택 후에 HeNB(206)의 범위 내에 있다면, UE(204)는 HeNB(206)로부터 QHeNB(208b)를 수신할 수 있다. UE(204)가 반경 reNodeB(214) 내부에 있지만 반경 rHeNB(212) 외부에 있다면, UE(204)는 이 때 eNodeB(202)로 전환되거나 또는 이를 재선택할 수 있다. UE(204)가 HeNB(206)의 범위 외부에 있지만 반경 reNodeB(214) 내에 있다면, UE(204)는 커버리지 갭 내에 있을 수 있고, UE(204)는 HeNB(206) 또는 eNodeB(202)에 가입하고 있지 않다.
일정한 재선택 및/또는 UE(204) 커버리지 갭을 회피하기 위해, QHeNB(208b) 및 QeNodeB(210a)는 코디네이션될 수 있다. HeNB(206)은 eNodeB(202)로부터의 QeNodeB(210a)의 전송을 감지할 수 없을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eNodeB(202)는 HeNB(206)로부터의 QHeNB(208b)의 전송을 감지할 수 없을 수도 있다. QHeNB(208b)와 QeNodeB(210a)를 코디네이션하기 위해 코어 네트워크를 사용함으로써, 코어 네트워크의 불필요한 부담을 야기할 수 있다. eNodeB(202)와 HeNB(206)은 코어 네트워크에 의존하지 않고 자율적으로 QHeNB(208b)와 QeNodeB(210a)를 코디네이션할 수 있다.
도 3은 eNodeB(302), HeNB(306) 및 2개의 UEs(304)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300)의 블록도이다. 제1 UE(304a)는 eNodeB(302)에 가입할 수 있고, 제2 UE(304b)는 HeNB(306)에 가입할 수 있다. 제2 UE(304b)는 HeNB(306)의 재선택 영역(316) 내에 있을 수 있다. HeNB(306)는 eNodeB(302)의 셀(32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UE(304a)는 양 eNodeB(302) 및 HeNB(306)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UE(304b)는 양 HeNB(306) 및 eNodeB(302)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UE(304a) 및 제2 UE(304b)는 각각 eNodeB(302)로부터 QeNodeB(210a)를, HeNB(306)로부터 QHeNB(208b)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UE(304a)가 eNodeB(302)에 가입하기 때문에, 제1 UE(304a)는 QeNodeB(210a)를 Q 인자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UE(304a)는 HeNB(306)로부터 QHeNB(208b)를 수신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UE(304a)는 이전에 HeNB(306)에 가입했을 수 있으므로, 제1 UE(304a)는 HeNB(306)로부터 QHeNB(208b)를 수신했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UE(304a)는 신호 강도를 측정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eNodeB(302)로부터 HeNB(306)로 튜닝 어웨이(tune away)될 수 있다. 제1 UE(304a)는 일시적으로 eNodeB(302)에의 가입으로부터 HeNB(306)에의 가입으로 전환함으로써 eNodeB(302)로부터 HeNB(306)로 튜닝 어웨이될 수 있다. eNodeB(302)로부터 튜닝 어웨이된 동안, 제1 UE(304a)는 방송 채널을 통해 HeNB(306)로부터 QHeNB(208b)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UE(304a)는 QHeNB(208b)를 제1 UE(304a)에 저장할 수 있다. 제1 UE(304a)는 QHeNB(208b)를 수신할 때 제1 UE(304a)가 사용하는 Q 인자를 수정/갱신할 수 있다. 제1 UE(304a)는 주기적 방식으로, eNodeB(302)로부터의 요구 또는 다른 종류의 트리거링에 기반하여 QHeNB(208b)를 eNodeB(302)로 송출할 수 있다.
제2 UE(304b)가 HeNB(306)에 가입하기 때문에, 제2 UE(304b)는 QHeNB(208b)를 Q 인자로 사용할 수 있다. 제2 UE(304b)는 eNodeB(302)로부터 QeNodeB(210a)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UE(304b)는 HeNB(306)로부터 eNodeB(302) 또는 다른 HeNB로 정기적으로 튜닝 어웨이할 수 있고, 신호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HeNB(306)로부터 튜닝 어웨이되는 동안, 제2 UE(304b)는 방송 채널을 통해 eNodeB(302) 또는 다른 HeNB로부터 QeNodeB(210a)를 수신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2 UE(304b)는 이전에 eNodeB(302)에 가입했을 수 있으므로, 제2 UE(304b)는 이전에 eNodeB(302)로부터 QeNodeB(210a)를 수신했을 수 있다. 제2 UE(304b)는 QeNodeB(210a)의 수신 시에 제2 UE(304b)에 의해 이용되는 Q 인자를 수정/갱신할 수 있다. 제2 UE(304b)는 QeNodeB(210a)를 저장하고, QeNodeB(210a)를 HeNB(306)에 포딩(forward)할 수 있다.
3GPP (릴리스 8) LTE에서, 기지국에 가입한 UE는 단지 정보를 그 기지국에 송출할 수만 있을 수 있다. 그러나, 3GPP LTE의 미래 릴리스에서는, 기지국에 가입한 UE(304)는 정보를 HeNB(306) 및/또는 eNodeB(302)와 같은 다른 인접 기지국으로 송출할 수 있을 수 있다.
eNodeB(302)가 제1 UE(304a)로부터 QHeNB(208b)를 수신했다면, eNodeB(302)는 QHeNB(208b)를 이용하여 QeNodeB(210a)를 수정/갱신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eNodeB(302)는 제1 UE(304a)로부터 수정된/갱신된 Q 인자를 수신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HeNB(306)가 제2 UE(304b)로부터 QeNodeB(210a)를 수신했다면, HeNB(306)는 QeNodeB(210a)를 이용하여 QHeNB(208b)를 수정/갱신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HeNB(306)는 제2 UE(304b)로부터 수정된/갱신된 Q 인자를 수신할 수 있다. 양 eNodeB(302)와 HeNB(306)는 Q 인자 피드백이 UEs(304)로부터 수신되는 시간 프레임을 결정하기 위해 타이머-기반 인터럽트를 이용할 수 있다. eNodeB(302)와 HeNB(306)는 현재의 Q 인자가 갱신될 시간을 결정하기 위해 또한 타이머-기반 인터럽트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도 4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2개의 기지국 사이에 Q 인자의 자가 구성을 위한 방법(400)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기지국 중 하나 또는 양쪽이 HeNB(306)일 수 있다. 따라서 Q 인자의 자가 구성을 위한 방법(400)은 인접하는 HeNBs(306) 사이에 Q 인자를 구성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기지국 중 하나는 eNodeB(302)일 수 있다. 제1 기지국은 제1 UE(304)에 제1 Q 인자를 송출할 수 있다(402). 제1 Q 인자는 HeNB(306)을 위한 재선택 영역을 한정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제1 기지국이 eNodeB(302)라면, 제1 Q 인자는 인접 HeNB(306)를 위한 재선택 영역을 한정할 수 있다. 제1 기지국이 eNodeB(302)이라면, 제1 기지국은 수 개의 Q 인자를 가질 수 있고, 여기서 각 Q 인자는 eNodeB 셀(320) 내의 HeNB(302)와 관련된다.
제1 기지국은 방송 채널을 통해 제1 UE(304)에 제1 Q 인자를 송출할 수 있다(402). 대안적으로, 제1 기지국은 전용 시그널링(signaling)을 이용하여 제1 UE(304)에 제1 Q 인자를 송출할 수 있다(402). 제1 UE(304)는 제2 기지국에 가입할 수 있다. 제1 기지국은 이 때 제2 UE(304)로부터 제2 Q 인자를 수신할 수 있다(404). 제2 UE(304)는 제1 기지국에 가입할 수 있다. 제1 기지국은 이 때 지정된 시간량을 대기할 수 있다(406). 제1 기지국이 지정된 시간량을 대기한 후, 제1 기지국은 제2 Q 인자를 이용하여 제1 Q 인자를 수정할 수 있다(408). 제1 기지국은 이 때 제1 UE(304)에 수정된 제1 Q 인자를 송출할 수 있다(410).
도 5는 HeNB(306)와 eNodeB(302) 사이에 Q 인자의 자가 구성을 위한 방법(500)의 흐름도이다. HeNB(306)는 제1 Q 인자를 이용하여 HeNB(306)에 대한 재선택이 바람직한 HeNB(306) 주위의 영역(316)을 확립할 수 있다(502). 확립된 재선택 영역(316) 내에 있는 하나 이상의 UEs(304)는 HeNB(306)에 가입할 수 있다.
HeNB(306)는 이 때 제1 Q 인자를 하나 이상의 UEs(304)로 방송할 수 있다(506). HeNB(306)는 HeNB(306)에 가입한 하나 이상의 UEs(304)로 제1 Q 인자를 방송할 수 있다(506). HeNB(306)에 가입한 UEs(304) 외의 추가의 UEs는 또한 방송된 제1 Q 인자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Q 인자는 Q 인자의 소스의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Q 인자는 제1 Q 인자를 HeNB(306)에 링크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HeNB(306)는 UE(304)가 HeNB(306)에 가입하기 시작한 때에 제1 Q 인자를 UE(304)로 명확하게 송출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HeNB(306)는 HeNB(306)가 Q 인자를 결정한 후 임의의 포인트에서 제1 Q 인자를 UE(304)로 송출할 수 있다. HeNB(306)는 방송 채널을 이용하여 제1 Q 인자의 값을 송출할 수 있다(506). 대안적으로, HeNB(306)는 전용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제1 Q 인자의 값을 송출할 수 있다(506). UE(304)는 접속 모드 및/또는 아이들 모드에서 방송 채널을 통해 제1 Q 인자를 수신할 수 있다. 방송 채널의 콘텐츠는 시스템 파라미터에 관련될 수 있다.
HeNB(306)는 하나 이상의 UEs(304)로부터 제2 Q 인자를 수신할 수 있다(508). HeNB(306)는 HeNB(306)에 가입한 하나 이상의 UEs(304)로부터 제2 Q 인자에 수신할 수 있다(508). 제2 Q 인자는 Q 인자의 소스의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Q 인자는 제2 Q 인자를 eNodeB(302)에 링크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UEs(304)는 UEs(304)가 이전에 eNodeB(302)에 가입했을 때 eNodeB(302)로부터 제2 Q 인자를 수신했을 수 있다.
HeNB(306)는 이 때 일정한 시간 주기 동안 지연될 수 있다(510). HeNB(306)는 HeNB(306)가 지연될 수 있는(510) 타임 윈도우를 결정하기 위해 타이머를 이용할 수 있다. 타이머는 제2 기지국으로 코디네이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타이머는 코어 네트워크를 통해 제2 기지국과 코디네이션될 수 있다. HeNB(306)는 이 때 제1 Q 인자와 제2 Q 인자의 조합을 사용하여 제1 Q 인자를 갱신할 수 있다(512). 예를 들면, HeNB(306)는 제1 Q 인자와 제2 Q 인자의 평균을 이용하여 제1 Q 인자를 갱신할 수 있다(512). 대안적으로, HeNB(306)는 제2 Q 인자의 값으로 제1 Q 인자를 갱신할 수 있다(512).
HeNB(306)는 타임 윈도우의 말단에 제1 Q 인자를 갱신할 수 있다(512). 제2 기지국은 또한 타임 윈도우의 말단에 제2 Q 인자를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기지국이 eNodeB(302)라면, eNodeB(302)는 HeNB(306)가 제1 Q 인자의 값을 갱신하는 때(512)와 동일한 때에 제2 Q 인자의 값을 갱신할 수 있다. 제2 기지국은 갱신된 제1 Q 인자와 동일한 값으로 제2 Q 인자의 값을 갱신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2 기지국은 제1 Q 인자에 더 가까운 제2 Q 인자를 인크리먼트(increment)함으로써 제2 Q 인자의 값을 갱신할 수 있다. HeNB(306)는 이 때 갱신된 제1 Q 인자를 이용하여 HeNB(306) 주위의 재선택 영역(316)을 재확립할 수 있다(514). 제1 Q 인자와 제2 Q 인자를 인크리먼트함으로써 포지티브 피드백 루프가 생성되지 않도록 보장하기 위해 조정이 행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Q 인자와 제2 Q 인자는 각각, 커버리지 홀 또는 중첩되는 커버리지 영역이 생기게 하는 불안정 시스템 거동을 야기하지 않도록 수정될 수 있다.
도 6은 eNodeB(602), 다중 HeNBs(606) 및 다중 UEs(604)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600)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제1 HeNB(606a)는 eNodeB(602)로부터 거리 dl(620)만큼 떨어져 위치할 수 있다. 제1 HeNB(606a)는 반경 rHeNBa(616)에 의해 한정되는 제1 HeNB(606a) 주위의 확립된 재선택 영역(626)을 가질 수 있다. 제1 HeNB(606a) 주위의 재선택 영역(626) 내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UEs(604)는 제1 HeNB(606a)에 가입할 수 있다. 제2 HeNB(606b)는 eNodeB(602)로부터 거리 d2(622)만큼 떨어져 위치할 수 있다. 제2 HeNB(606b)는 반경 rHeNBb(618)에 의해 한정되는 제2 HeNB(606b) 주위의 확립된 재선택 영역(624)을 가질 수 있다. 제2 HeNB(606b) 주위의 재선택 영역(624) 내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UEs(604)는 제2 HeNB(606b)에 가입할 수 있다. 각 HeNB(606)는 eNodeB(602)에 의해 커버되는 셀(320) 내에서의 동일한 재선택 영역의 양을 커버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각 HeNB(606)을 위한 재선택 영역을 한정하는 반경이 eNodeB(602) 셀(320)에 걸쳐 일정한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제1 HeNB(606a) 및 제2 HeNB(606b)가 각각의 재선택 영역을 한정하기 위해 동일한 전송 파일럿 전력 및 동일한 Q 인자를 사용하면, rHeNBa(616)은 dl(620)에 의존할 수 있고, rHeNBb(618)은 d2(622)에 의존할 수 있다. 이는 eNodeB(602)에 가깝게 위치된 HeNB(606)가 eNodeB(602)로부터 멀리 떨어져 위치된 HeNB(606)보다 eNodeB(602)로부터 더 많은 간섭을 수신하기 때문이다.
각 HeNB(606)에 대해 Q 인자를 조절하는 것보다는, 각 HeNB(606)는 eNodeB(602)로 인한 상이한 간섭 레벨을 보상하고 동일한 전송 범위를 유지하기 위해 파일럿 전송 전력 수준을 적응시킬 수 있다. 각 HeNB(606)를 위한 바람직한 범위가 r이고, HeNB(606)로부터 거리 r만큼 떨어져 있는 UE(304)에 대해 요구되는 최소 신호 레벨이 Pr이라고 가정되면, 이 때 수신 전력은 방정식(1)을 이용하여 근사값을 구할 수 있다:
Pr,UE = Pcsg,pilot - Pcsg,losses(r) - PenB,interference(d) (1)
여기서, Pcsg,pilot은 HeNB(606)의 파일럿 전송 전력이고, Pcsg,losses(r)은 HeNB(606)로부터 UE(304)로의 거리 r에서의 경로 손실이고, PenB,interference(d)는 HeNB(606)로부터 거리 d에서의 eNodeB(602)에 의해 야기되는 간섭이다. PenB,interference(d)는 방정식(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근사값을 구할 수 있다:
PenB,interference(d) = Penb,pilot - Penb,losses(d) (2)
여기서, Penb,pilot은 eNodeB(602)의 파일럿 전송 전력이고, Penb,losses(d)는 eNodeB(602)로부터 UE(304)로의 거리 d에서의 경로 손실이다.
경로 손실은 표준 무선 경로 손실 모델을 사용하여 획득될 수 있다. 경로 손실 모델은 HeNB(606)와 eNodeB(602) 사이의 거리, eNodeB(602)의 전송 전력, 이용된 주파수,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극단적으로 단순화된 경로 손실 표현식이 방정식(3)에 의해 주어진다:
L = 10 n log10 * (d) + C (3)
여기서, L은 손실(dB)이고, n은 경로 손실 멱지수(exponent)이고(2와 6 사이에서 변화될 수 있음), d는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의 거리이고, C는 시스템 손실을 설명하는 상수이다.
대안적으로, 경로 손실을 위한 보다 개선된 무선 채널 모델은 방정식(4)로 나타내어지는 COST-Hata 모델이다:
L =46.3 + 33.9logf - 13.82loghB - CH +[44.9-6.55loghB]logd + C
C = 중간 도시 및 도시 근교 지역에 대해 0dB
대도시 지역에 대해 3 dB (4)
여기서, L은 중간(median) 경로 손실(dB)이고, f는 전송 주파수(MHz)이고, hB는 기지국 안테나 유효 높이(m)이고, d는 링크 거리(km)이고, CH는 도시 지역에 대한 Hata 모델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이동국 안테나 높이 보정 인자이다. 작은 또는 중간 규모 도시에 대해서는, CH는 방정식(5)를 이용하여 구해질 수 있다:
CH = 0.8 + (1.1 logf - 0.7)hM - 1.56logf (5)
큰 도시에 대해서는, CH는 방정식(6)을 이용하여 구해질 수 있다:
Figure 112011033274465-pct00001
HeNB(606)가 예상 경로 손실을 계산했다면, HeNB(606)는 HeNB(606) 주위의 특정 범위를 커버하기 위해 파일럿 전송 전력을 갱신할 수 있다. 따라서 HeNB(606)는 셀 매개변수에 따라 재선택 영역을 설정하는 파일럿 전송 전력을 채용함으로써, 셀(320) 내의 각 HeNB(606)가 동일한 재선택 영역(316) 크기를 갖도록 보장된다.
HeNB(606)가 eNodeB(602)로부터의 전송을 검출할 수 있고, eNodeB(602)가 고정된 또는 알려진 전송 전력을 이용하는 현존하는 것들 및 미래에 발전되는 것들과 같은 무선 기술에서는, HeNB(606)는 수신된 eNodeB(602) 전송으로부터 PenB,interference(d)의 값을 추론할 수 있다. 이 때 HeNB(606)는 셀(320)내에 다른 HeNBs(606)을 갖는 동일한 전송 범위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방정식(1)을 이용하여 Pcsg,pilot을 계산할 수 있다.
HeNB(606)가 eNodeB(602)와 HeNB(606) 사이의 거리를 추정할 수 없고, HeNB(606)가 eNodeB(602)로부터의 전송을 검출할 수 없다면, HeNB(606)는 HeNB(606)에 가입한 하나 이상의 UEs(304)로부터 추가적 피드백을 간청할 수 있다. HeNB(606)에 가입한 UE(304)는 eNodeB(602)로부터 파일럿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UE(304)는 이 때 HeNB(606)에 대해, UE(304)가 eNodeB(602)로부터 수신한 기준 신호 수신 전력을 피드백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UE(304)는 eNodeB(602)로부터 기준 신호 수신 전력을 이용하여 UE(304)와 eNodeB(602) 사이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UE(304)는 이 때 HeNB(606)에 대한 거리를 피드백할 수 있다.
HeNB(606)가 UE(304)로부터 기준 신호 수신 전력을 수신하면, HeNB(606)는 이를 방정식(1)에서 PenB,interference(d)로 사용하여, HeNB(606)의 전송 파일럿 전력, Pcsg,pilot를 추정할 수 있다. HeNB(606)가 UE(304)와 UE(304)로부터의eNodeB(602) 사이의 거리를 수신하면, HeNB(606)는 이 값을 사용하여 방정식(2)의 PeNB,interference(d)를 계산할 수 있다. 이는 방정식(3)의 극단적으로 단순화된 경로 손실 표현식, 방정식(4)의 COST-Hata 모델, 또는 다른 경로 손실 모델을 이용하여 행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언급된 것들 외에 다른 경로 손실 모델도 이용될 수 있다. 이 때 HeNB(606)는 방정식(1)에서 PenB,interference(d)의 값을 사용하여, 셀(320)내에 다른 HeNBs(606)을 갖는 동일한 전송 범위를 유지하기 위해 HeNB(606)의 전송 파일럿 전력, Pcsg,pilot을 추정할 수 있다.
도 7은 셀(320) 내에서의 HeNBs(606)에 대해 일정한 범위를 유지하기 위해 적응형 파일럿 전력 전송을 위한 방법(700)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HeNB(606)는 HeNB(606) 주위의 재선택 영역(316)을 확립하기 위해 Q 인자 및 HeNB(606) 파일럿 전력을 이용할 수 있다(702). HeNB(606)는 이 때 HeNB(606)와 eNodeB(602) 사이의 경로 손실을 추정할 수 있다(704). HeNB(606)는 eNodeB(602) 셀(320) 내의 모든 HeNBs(606)에 대해 일정한 재선택 영역(316)을 유지하기 위해 HeNB(606)와 eNodeB(602) 사이의 경로 손실에 따라 HeNB(606) 파일럿 전력을 갱신할 수 있다(706). 대안적으로, HeNB(606)와 eNodeB(602) 사이의 이격 거리를 알고 있다면, HeNB(606)는 eNodeB(602) 셀(320) 내의 모든 HeNBs(606)에 대해 일정한 재선택 영역(316)을 유지하기 위해 알고 있는 이격 거리에 따라 HeNB(606) 파일럿 전력을 갱신할 수 있다(706). HeNB(606)와 eNodeB(602) 사이의 이격 거리는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정보로부터 알 수 있다.
도 8은 셀(320) 내의 HeNBs(606)에 대해 일정한 범위를 유지하기 위해 적응형 파일럿 전력 전송을 위한 대안적인 방법(800)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HeNB(606)는 HeNB(606) 주위의 재선택 영역(316)을 확립하기 위해 Q 인자 및 HeNB(606) 파일럿 전력을 이용할 수 있다(802). HeNB(606)는 이 때 eNodeB(602) 파일럿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804). HeNB(606)는 eNodeB(602) 파일럿 신호로 인한 간섭을 추론할 수 있다(806). HeNB(606)는 이 때 셀(320) 내의 모든 HeNBs(606)에 대해 일정한 재선택 범위(316)를 유지하는 HeNB(606) 파일럿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808).
도 9는 셀(320) 내의 HeNBs(606)에 대해 일정한 범위를 유지하기 위해 적응형 파일럿 전력 전송을 위한 다른 방법(900)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HeNB(606)는 HeNB(606) 주위의 재선택 영역(316)을 확립하기 위해 Q 인자 및 HeNB(606) 파일럿 전력을 이용할 수 있다(902). HeNB(404)는 HeNB(606)의 재선택 영역(316) 내에 있는 하나 이상의 UEs(304)와의 가입을 확립할 수 있다(904). HeNB(606)는 HeNB(306)와 eNodeB(602) 사이의 이격 거리 및/또는 eNodeB(602)로부터의 수신 신호 강도에 관해 하나 이상의 UEs(304)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906). HeNB(306)에 가입한 UE(304)는 UE(304)와 eNodeB(302) 사이의 거리가 HeNB(306)와 eNodeB(302) 사이의 거리와 유사하도록 HeNB(306)에 충분히 가깝고 eNodeB(302)로부터 충분히 멀리 떨어져 있는 것으로 가정된다. HeNB(606)는 이때 셀(320) 내의 모든 HeNBs(606)에 대해 일정한 재선택 범위(316)를 유지하게 되는 HeNB(606) 파일럿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908).
도 10은 HeNB(1006)의 컴포넌트와 셋팅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HeNB(1006)는 현재의 Q 인자, QHeNB(10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QHeNB(1030)은 HeNB(1006)의 원근법(perspective)으로부터 HeNB(1006) 주위의 재선택 영역(316)을 한정할 수 있다. HeNB(1006)는 또한 eNodeB(602)로부터 수신된 Q 인자, QeNodeB(10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QeNodeB(1032)는 eNodeB(602)의 원근법으로부터 HeNB(1006) 주위의 재선택 영역(316)을 한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HeNB(1006)는 (도시되지 않은) 다른 HeNB로부터 수신된 Q 인자를 포함할 수 있다.
HeNB(1006)는 갱신 Q 인자 모듈(1034)을 포함할 수 있다. 갱신 Q 인자 모듈(1034)은 현재의 Q 인자를 갱신하기 위해 수신된 Q 인자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갱신 Q 인자 모듈(1034)은 QHeNB(1030)을 갱신하기 위해 QHeNB(1030) 및 QeNodeB(1032)를 이용할 수 있다. 갱신 Q 인자 모듈(1034)은 QHeNB(1030)을 갱신하기 위해 다양한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HeNB(1006)는 또한 HeNB(1006)가 하나 이상의 UEs(304)와 통신하기 위해 이용하는 HeNB 파일럿 전력(1036)을 포함할 수 있다. HeNB(1006)는 eNodeB-HeNB 이격 거리(10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eNodeB-HeNB 이격 거리(1038)는 알려진 값일 수 있거나 또는 eNodeB-HeNB 이격 거리(1038)는 HeNB(1006) 또는 UE(304)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HeNB(1006)는 또한 수신된 eNodeB 신호 강도(1040)를 포함할 수 있다. HeNB(1006)는 직접적으로 eNodeB 신호 강도(1040)를 검출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HeNB(1006)는 eNodeB 신호 강도(1040)를, eNodeB 신호 강도(1040)를 검출한 UE(304)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HeNB(1006)는 전파(propagation) 손실 계산 모듈(1042)을 포함할 수 있다. 전파 손실 계산 모듈(1042)은 eNodeB(602) 전송 신호로 인한 UE(304)에서의 간섭을 계산하기 위해 상기 방정식(3)-(6)에서 발견된 것들과 같은 계산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HeNB(1006)는 또한 파일럿 전력 재계산 모듈(1044)을 포함할 수 있다. 파일럿 전력 재계산 모듈(1044)은 셀(320) 내의 다른 HeNBs(1006)와 비교될 때 HeNB(1006)의 일정한 재선택 영역(316)을 유지할 HeNB 파일럿 전력(1036)을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파일럿 전력 재계산 모듈(1044)은 HeNB(1006)의 일정한 재선택 영역(316)을 유지할 HeNB 파일럿 전력(1036)을 추정하기 위해 상기 방정식(1)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1은 상술된 시스템 및 방법의 일 구성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1102)의 블록도이다. 무선 통신 장치(1102)는 eNodeB(102), UE(104), HeNB(106) 등일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102)는 송신기(1110) 및 수신기(1112)를 포함하는 송수신기(112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1120)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1118)에 결합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102)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1114), 범용 프로세서(1116), 메모리(1108), 및 통신 인터페이스(1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102)의 여러 컴포넌트는 하우징(1122) 내에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1116)는 무선 통신 장치(110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6)는 또한 CPU로 언급될 수 있다. ROM(read-only memory) 및 RAM(random access memory)를 포함할 수 있는 메모리(1108)는 명령어(1136a) 및 데이터(1134a)를 프로세서(1116)에 제공한다. 메모리(1108)의 일부는 또한 NVRAM(non-volatile random access memory)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08)는 전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전자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고, ROM, RAM,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광 저장 매체, 플래시 메모리, 프로세서(1116)에 포함된 온보드(on-board)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휴대용 디스크, CD-ROM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108)는 프로그램 명령어(1136a) 및 다른 유형의 데이터(1134a)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어(1136a)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들 중 일부 또는 모두를 구현시키기 위해 프로세서(1116)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프로세서(1116)는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들 중 일부 또는 모두를 구현시키기 위해 메모리(1108)에 저장된 데이터(1134a)를 사용할 수 있다. 그 결과, 명령어(1136b) 및 데이터(1134b)는 프로세서(1116)에 의해 로딩되고/되거나 다르게 이용될 수 있다.
개시된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안테나(1118)는 UE(104), eNodeB(102) 또는 HeNB(106)와 같은, 가까운 통신 장치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안테나(1118)는 신호를 필터링 및 증폭하는 송수신기(1120)에 이들 수신 신호를 제공한다. 신호는 복조, 디코딩, 추후의 필터링 등을 위해 송수신기(1120)로부터 DSP(1114) 및 범용 프로세서(1116)로 제공된다.
무선 통신 장치(1102)의 여러 컴포넌트는 데이터 버스 뿐만 아니라 파워 버스, 제어 신호 버스, 및 상태 신호 버스를 포함할 수 있는 버스 시스템(1126)에 의해 함께 접속된다. 그러나, 명료성을 위해, 여러 버스는 도 11에서 버스 시스템(1126)으로서 도시된다.
당업자라면 상기 도 10 및 도 11의 표시에 따라 기지국의 다양한 구조를 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기지국은 제1 오프셋 인자를 제1 사용자 장치(UE)로 송출하는 송출 유닛[송신기(1110)] - 제1 오프셋 인자는 홈 진화형 nodeB(HeNB) 주위의 재선택 영역의 표시임 - 과; 제2 UE로부터 제2 오프셋 인자를 수신하는 수신 유닛[수신기(1112)]과; 제2 오프셋 인자를 이용하여 제1 오프셋 인자를 수정하는 수정 유닛[프로세서(1116)] - 송출 유닛은 수정된 제1 오프셋 인자를 제1 UE로 송출함 -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홈 진화형 NodeB(HeNB)는 HeNB 주위의 재선택 영역을 확립하기 위해 Q 인자 및 HeNB 파일럿 전력을 이용하는 확립 유닛 - Q 인자는 HeNB 주위의 재선택 영역의 표시임 - 과; HeNB와 진화형 NodeB(eNodeB) 사이의 경로 손실을 추정하는 추정 유닛과; 추정된 경로 손실을 이용하여 셀 내의 HeNBs에 대해 일정한 재선택 범위를 유지하기 위해 HeNB 파일럿 전력을 갱신하는 갱신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설립 유닛, 추정 유닛 및 갱신 유닛은 본 출원의 상기 방법 단계에서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개별 유닛으로서 프로세서에 포함될 수 있거나 또는 전체로 일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결정(determining)"은 폭넓은 다양한 액션을 포함하므로, "결정"은 계산(calculating), 컴퓨팅(computing), 처리(processing), 유도(deriving), 연구(investigating), 찾기(looking up)(예를 들어, 테이블, 데이터베이스 또는 다른 데이터 구조에서 찾기), 확인(ascertaining)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정"은 수신(예를 들어, 정보 수신), 액세스(예를 들어, 메모리 내의 데이터에 액세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정"은 결심(resolving), 선택(selecting), 고름(choosing), 확립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문 "-에 기반하는"은 명확하게 다른 언급이 없다면 "-에만 기반하는"을 의미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구문 "-에 기반하는"은 "-에만 기반하는"과 "적어도 -에 기반하는" 모두를 기술한다.
용어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중앙 처리 유닛(CPU),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컨트롤러, 마이크로컨트롤러, 상태 머신 등을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어떤 환경에서는, "프로세서"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을 언급할 수 있다. 용어 "프로세서"은 처리 장치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DSP 코어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을 언급할 수 있다.
용어 "메모리"는 전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전자 컴포넌트를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용어 "메모리"는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only memory), NVRAM(non-volatile random access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M), 플래시 메모리, 자기 또는 광 데이터 스토리지, 레지스터 등의 다양한 유형의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를 언급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가 메모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하거나 메모리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면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한다고 언급된다. 메모리는 프로세서에 일체형일 수 있고, 여전히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하는 것으로 언급될 수 있다.
용어 "명령어" 및 "코드"는 임의의 종류의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문(들)[statement(s)]을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용어 "명령어" 및 "코드"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루틴, 서브루틴, 함수, 프로시저 등을 언급할 수 있다. "명령어" 및 "코드"는 단일의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문 또는 많은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함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에 구현된다면, 함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상에 하나 이상의 명령어로서 저장될 수 있다. 용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를 언급한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스토리지, 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또는 다른 자기 기억 장치, 또는 명령어 또는 데이터 형태의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운반 또는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디스크(disk and disc)는 컴팩트 디스크(CD), 레이저 디스크, 광 디스크, 디지털 다용도 디스크(DVD), 플로피 디스크 및 Blu-ray
Figure 112011033274465-pct00002
디스크를 포함하고, 여기서 디스크(disk)는 일반적으로 자기 방식으로 데이터를 재생하고 디스크(disc)는 레이저로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소프트웨어 또는 명령어는 또한 전송 매체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가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티드 페어(twisted pair),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을 사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전송되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티드 페어, DSL,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은 전송 매체의 정의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은 상술된 방법을 달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단계 또는 액션을 포함한다. 방법 단계 및/또는 액션은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서로 교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단계 또는 액션의 특정 순서가 기술되고 있는 방법의 적절한 동작에 요구되지 않는다면, 특정 단계 및/또는 액션의 순서 및/또는 사용은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될 수 있다.
청구범위는 상술된 정확한 구성 및 컴포넌트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시스템, 방법 및 장치의 배열, 동작 및 상세에서 다양한 수정, 변화 및 변형이 행해질 수 있다.
100: 무선 통신 시스템
102: eNodeB
104: UE
106: HeNB
216: 재선택 영역

Claims (3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매크로 eNB(eNodeB)의 셀 내에 있는 홈 eNB(HeNB)로부터 사용자 장치(UE)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에 의해 신호 전송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UE에 대한 HeNB의 적응형 파일럿 전력의 전송 방법으로서,
    상기 eNodeB로부터 수신한 파일럿 전력을 상기 HeNB가 측정하는 측정 단계와,
    측정된 파일럿 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HeNB의 파일럿 전력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UE를 대상으로 하는 상기 HeNB의 커버리지를 유지하는 조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단계에 있어서, 제1 오프셋 인자를 사용하여 상기 HeNB의 파일럿 전력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방법.
  27. 매크로 eNB(eNodeB)의 셀 내에 있는 홈 eNB(HeNB)로부터 사용자 장치(UE)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에 의해 신호 전송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적응형 파일럿 전력의 전송 방법으로서,
    상기 HeNB로부터 상기 UE로의 신호 전송에 대하여, 상기 eNodeB로부터 받는 간섭을 포함하는 측정 리포트를 UE로부터 수신하는 수신 단계와,
    수신한 상기 측정 리포트에 기초하여 상기 HeNB의 파일럿 전력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UE를 대상으로 하는 상기 HeNB의 커버리지를 유지하는 조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단계에 있어서, 제1 오프셋 인자를 사용하여 상기 HeNB의 파일럿 전력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방법.
  29. 제25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HeNB가 전송한 파일럿 신호의 상기 UE에서의 수신 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UE가 행하는 HeNB의 재선택 처리에 사용하는 제2 오프셋 인자를 상기 UE에 대하여 전송하는 파라미터 전송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방법.
  30. 매크로 eNB(eNodeB)의 셀 내에 있는 홈 eNB(HeNB)로부터 사용자 장치(UE)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에 의해 신호 전송을 행하고,
    상기 HeNB는, 상기 eNodeB로부터 수신한 파일럿 전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파일럿 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HeNB의 파일럿 전력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UE를 대상으로 하는 상기 HeNB의 커버리지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eNB.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HeNB는, 제1 오프셋 인자를 사용하여 상기 HeNB의 파일럿 전력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eNB.
  32. 매크로 eNB(eNodeB)의 셀 내에 있는 홈 eNB(HeNB)로부터 사용자 장치(UE)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에 의해 신호 전송을 행하고,
    상기 HeNB는, 상기 HeNB로부터 상기 UE로의 신호 전송에 대하여, 상기 eNodeB로부터 받는 간섭을 포함하는 측정 리포트를 UE로부터 수신하며,
    수신한 상기 측정 리포트에 기초하여 상기 HeNB의 파일럿 전력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UE를 대상으로 하는 상기 HeNB의 커버리지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eNB.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HeNB는, 제1 오프셋 인자를 사용하여 상기 HeNB의 파일럿 전력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eNB.
  34. 제30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HeNB는, 상기 HeNB가 전송한 파일럿 신호의 상기 UE에서의 수신 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UE가 행하는 HeNB의 재선택 처리에 사용하는 제2 오프셋 인자를 상기 UE에 대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eNB.
  35. 매크로 eNB(eNodeB)의 셀 내에 있는 홈 eNB(HeNB)로부터 사용자 장치(UE)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에 의해 신호 전송을 행하고,
    상기 HeNB에 탑재된 집적 회로는, 상기 eNodeB로부터 수신한 파일럿 전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파일럿 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HeNB의 파일럿 전력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UE를 대상으로 하는 상기 HeNB의 커버리지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회로.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HeNB에 탑재된 집적 회로는, 제1 오프셋 인자를 사용하여 상기 HeNB의 파일럿 전력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회로.
  37. 매크로 eNB(eNodeB)의 셀 내에 있는 홈 eNB(HeNB)로부터 사용자 장치(UE)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에 의해 신호 전송을 행하고,
    상기 HeNB에 탑재된 집적 회로는, 상기 HeNB로부터 상기 UE로의 신호 전송에 대하여, 상기 eNodeB로부터 받는 간섭을 포함하는 측정 리포트를 UE로부터 수신하며,
    수신한 상기 측정 리포트에 기초하여 상기 HeNB의 파일럿 전력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UE를 대상으로 하는 상기 HeNB의 커버리지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회로.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HeNB에 탑재된 집적 회로는, 제1 오프셋 인자를 사용하여 상기 HeNB의 파일럿 전력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회로.
  39. 제35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HeNB에 탑재된 집적 회로는, 상기 HeNB가 전송한 파일럿 신호의 상기 UE에서의 수신 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UE가 행하는 HeNB의 재선택 처리에 사용하는 제2 오프셋 인자를 상기 UE에 대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회로.
KR1020117010266A 2008-11-04 2009-11-04 적응형 파일럿 전력 전송을 위한 방법 KR1012385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264,846 2008-11-04
US12/264,846 US8600370B2 (en) 2008-11-04 2008-11-04 Systems and methods for maintaining constant closed subscriber group cell reselection radius
PCT/JP2009/069145 WO2010053202A1 (en) 2008-11-04 2009-11-04 Systems and methods for configuration of offset factors and maintenance of constant reselection rang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3646A KR20110083646A (ko) 2011-07-20
KR101238524B1 true KR101238524B1 (ko) 2013-02-28

Family

ID=42132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0266A KR101238524B1 (ko) 2008-11-04 2009-11-04 적응형 파일럿 전력 전송을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600370B2 (ko)
EP (1) EP2345290B1 (ko)
JP (1) JP5085786B2 (ko)
KR (1) KR101238524B1 (ko)
CN (1) CN102197686B (ko)
WO (1) WO20100532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26056B2 (en) * 2009-07-13 2014-01-07 Qualcomm Incorporated Adjustable transmitter for privacy protection of content broadcast from a transmitting device to a receiving device
US20110263260A1 (en) * 2009-10-22 2011-10-27 Qualcomm Incorporated Determining cell reselection parameter for transmission by access point
US10448292B2 (en) 2009-10-22 2019-10-15 Qualcomm Incorporated Determining handover parameter for transmission by access point
WO2011129070A1 (en) * 2010-04-16 2011-10-20 Panasonic Corporation Handover method, handover system, and apparatus for a ue attaching to a local ip network
JP5303538B2 (ja) * 2010-11-19 2013-10-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WO2012100822A1 (en) * 2011-01-26 2012-08-0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A method and a network node for determining an offset for selection of a cell of a first radio network node
JP5954434B2 (ja) * 2012-01-24 2016-07-20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基地局及び無線基地局の制御方法
GB2506888B (en) * 2012-10-10 2015-03-11 Broadcom Corp Reselection
JP5647663B2 (ja) * 2012-11-30 2015-01-07 ソフトバンクモバイル株式会社 フェムトセル基地局、出力制御方法、及び出力制御プログラム
WO2016155775A1 (en) * 2015-03-30 2016-10-06 Sony Corporatio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mobile network positioning of mtc devices using partial power boosting
CN107852731B (zh) * 2015-08-12 2020-09-04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全双工通信的装置和方法
US10455520B2 (en) * 2017-03-30 2019-10-2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ltitude based device manag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8921A (ko) * 2004-07-29 2006-05-18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유효성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및 장치
KR20060094104A (ko) * 1996-06-27 2006-08-28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기지국과 다른 통신 유닛 간의 통신의 확립 동안 전송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기지국
WO2008093100A2 (en) * 2007-02-02 2008-08-07 Ubiquisys Limited A method and base station to control access point transmit powe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43845A1 (en) * 1999-04-06 2000-10-1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A method of and equipment for performing radio communication in a plurality of radio communication environments
WO2003037020A1 (en) * 2001-10-18 2003-05-01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harmonizing an operation area for a mobile device in a cellular radio network
US20070042799A1 (en) * 2005-06-03 2007-0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to adaptive technique to provide adequate coverage and mitigate RF interference
JP2007068007A (ja) 2005-09-01 2007-03-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ネットワーク間干渉を制御する通信装置及び方法
US8909279B2 (en) * 2007-08-10 2014-12-09 Qualcomm Incorporated Adaptation of transmit power for neighboring nodes
US8340060B2 (en) * 2008-03-03 2012-12-25 Ntt Docomo, Inc. OFDMA-based co-channel femtocell
US8072914B2 (en) * 2008-05-08 2011-12-06 At&T Mobility Ii Llc Location survey for power calibration in a femto cel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4104A (ko) * 1996-06-27 2006-08-28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기지국과 다른 통신 유닛 간의 통신의 확립 동안 전송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기지국
KR20060048921A (ko) * 2004-07-29 2006-05-18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유효성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및 장치
WO2008093100A2 (en) * 2007-02-02 2008-08-07 Ubiquisys Limited A method and base station to control access point transmit pow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506643A (ja) 2012-03-15
EP2345290A4 (en) 2014-09-10
EP2345290B1 (en) 2019-12-25
US8600370B2 (en) 2013-12-03
WO2010053202A1 (en) 2010-05-14
EP2345290A1 (en) 2011-07-20
JP5085786B2 (ja) 2012-11-28
KR20110083646A (ko) 2011-07-20
US20100112998A1 (en) 2010-05-06
CN102197686B (zh) 2014-04-16
CN102197686A (zh) 2011-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8524B1 (ko) 적응형 파일럿 전력 전송을 위한 방법
US8611938B2 (en) Cellular basestation
JP5689889B2 (ja) セルラ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モビリティの制御
KR102103992B1 (ko) 이종 무선 네트워크용 사용자 이동성 제어
TWI526095B (zh) 在異質網路中閒置模式混合式行動程序
US9042918B2 (en) Using fingerprints in proximity detection of wireless devices
KR101496386B1 (ko) 셀룰러 전기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셀 재선택
US944531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ell reselections
JP5366888B2 (ja) 無線基地局及びその制御方法
US9008659B1 (en) Cell reselection methods based on tracking area for cellular systems
KR101595682B1 (ko)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아이들 모드 이동성 측정 실행
KR20130042617A (ko) 통신 네트워크에서 셀을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JP2013058826A (ja) 無線基地局装置、通信制御方法およ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US850340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losed subscriber group cell reselection
US9801080B2 (en) Interference-aware frequency selection for small cells in wireless networks
WO2013143908A1 (en) Trust based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a handover from a source base station to a target base station
US20190200250A1 (en) Wireless Device, First Network Node, and Methods Performed Thereby to Handle a Log of Information About a Set of Beams
JP2022521073A (ja) ハンドオーバを開始するための方法、ノード、およびue
WO2014163571A1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relating to proximity detection in a wireless network
JP5577540B2 (ja) ハンドオーバ制御方法、移動局装置、及び基地局装置
KR2013007818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선택적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