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7708B1 - 수로교 및 수로교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수로교 및 수로교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7708B1
KR101237708B1 KR1020120148120A KR20120148120A KR101237708B1 KR 101237708 B1 KR101237708 B1 KR 101237708B1 KR 1020120148120 A KR1020120148120 A KR 1020120148120A KR 20120148120 A KR20120148120 A KR 20120148120A KR 101237708 B1 KR101237708 B1 KR 101237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steel
girder
coupling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8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시은
구미숙
이복현
Original Assignee
(주)에이치엔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치엔피테크 filed Critical (주)에이치엔피테크
Priority to KR1020120148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77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7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7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8/00Brid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or func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aqueducts, bridges for supporting pipe-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the pipes all along their length, e.g. pipe channels or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수로교는 콘크리트 기초위에 세워지는 교각; 상기 교각 상단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상기 교각 양측에 배치되는 지지팔을 구비하는 지지대; 상기 교각 및 상기 지지팔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강거더;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강거더와 일체화되도록 결합되는 강관; 및 상기 강거더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밀폐시켜 상기 강관이 직사광선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크플레이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로교 및 수로교의 시공방법{Aqueduct And Installation Methods Thereof}
본 발명은 수로교 및 수로교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강구조를 이용한 수로교 및 수로교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로교(水路橋)는 원수지(原水池)에서 소정의 장소로 물의 유동을 안내하기 위해 수평을 적절하게 조정하도록 설치된 구조물을 말한다.
이러한 수로교는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교각과 교각에 의해 지지되는 수로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수로교를 형성하는 교각 및 수로관은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로 제작된다.
한편 교각의 상부에 수로관을 형성할 경우, 다수개의 수로관이 맞대음 연결되어 연속배열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리고 수로관의 연결부위는 교각의 상부에서 일반적으로 결합된다.
그러나 콘크리트로 제작되는 수로관의 경우, 수로관의 자중이 크기 때문에 교각 사이의 간격을 짧게 해서 세워야 했다. 이에 따라 재료의 소모가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교각 사이의 간격이 10미터 정도로 짧기 때문에 수로교 하부에 하천이나 도로를 형성하는 경우 물의 흐름 또는 교통 흐름에 장애가 된다.
또한 수로관의 맞대음 연결부위에서 그 결합이 정교하지 못해 틈이 발생하는 경우 누수의 우려가 항상 존재하게 된다. 그리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자중 또는 유동되는 수압에 의해 수로관의 결합부위에 틈이 발생될 수 있어 수로교로서의 기능이 상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콘크리트 수로교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강구조를 이용한 수로교의 설치가 검토되었다.
그러나 강관의 경우 부식이 심한 단점이 있는데, 피복 등의 방식공법으로 보완하여도 강관이 직사광선에 노출될 경우 피복이 단기간에 벗겨지는 등 방식의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강구조를 이용한 수로교의 시공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에 비해 자중이 가벼운 강구조를 이용한 수로교 및 수로교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청처리된 강구조물의 피복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로교 및 수로교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로관의 맞대음 연결부위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로교 및 수로교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로교의 시공 기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수로교 및 수로교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로교의 관리가 편리한 수로교 및 수로교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수로교는 콘크리트 기초위에 세워지는 교각; 상기 교각 상단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상기 교각 양측에 배치되는 지지팔을 구비하는 지지대; 상기 교각 및 상기 지지팔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강거더;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강거더와 일체화되도록 결합되는 강관; 및 상기 강거더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밀폐시켜 상기 강관이 직사광선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거더의 상단에는 데크플레이트가 결합되고,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양측단에는 안전난간이 설치되어 상기 데크플레이트가 점검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교각의 상단부에는 두께가 얇아지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에는 상기 삽입부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가 상기 관통홀을 관통함으로써 상기 지지대가 상기 교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데크플레이트가 상기 강거더와 결합할 때 상기 데크플레이트와 상기 강거더 사이에 게재되는 기밀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강관이 서로 결합되어 형성되는 수로관의 단부에는 상기 수로관 내부를 흐르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침전되는 침전공간을 가지는 침전부와, 상기 침전공간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침전공간에 침전된 이물질을 배출시키는 이물질 배출구를 개폐하는 배출밸브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강거더의 내측면에서 돌출된 플랜지와, 상기 강관의 외측면에서 돌출된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와 상기 플레이트가 서로 결합되어 상기 강거더와 상기 강관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강관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강관의 외주면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된 가스켓과, 일측 상기 강관의 가스켓과 타측 상기 강관의 가스켓이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양측 강관의 가스켓을 수용하는 가스켓 수용홈을 구비하여 양측 강관을 서로 결합시키는 브라켓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강관의 상부를 감싸며 지지하는 상부 브라켓과, 상기 강관의 하부를 감사며 지지하는 하부 브라켓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 브라켓과 상기 하부 브라켓에는 각각 결합부가 구비되어,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결합부를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하부 브라켓은 상기 강거더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수로교의 시공방법은 지반에 콘크리트 기초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콘크리트 기초위에 지지대를 구비하는 교각을 세우는 단계;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을 가지는 강거더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에 상기 강거더와 일체화되도록 강관을 수용하는 단계; 및 상기 강거더의 상부에 커버를 결합하여 상기 강관이 직사광선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거더의 상단에 데크플레이트를 결합하고,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양측단에는 안전난간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기초위에 지지대를 구비하는 교각을 세우는 단계 이전에, 교각의 상단부에는 두께가 얇아지는 삽입부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대에는 상기 삽입부가 관통하는 관통홀을 형성한 후, 상기 삽입부가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지지대를 상기 교각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에 상기 강거더와 일체화되도록 강관을 수용하는 단계는 일측 상기 강관의 가스켓 및 타측 상기 강관의 가스켓을 서로 밀착시킨 상태로 가스켓 수용홈을 가지는 하부 브라켓에 끼우는 단계와, 상부 브라켓을 상기 하부 브라켓과 결합시킴으로써 일측 상기 강관과 타측 상기 강관을 서로 결합시키는 단계와, 상기 강관과 상기 강거더를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로교 및 수로교의 시공방법에 의하면, 콘크리트에 비해 자중이 가벼운 강구조를 이용하여 교각 사이의 간격을 넓힐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로교 하부에 하천이나 도로를 형성하는 경우 물의 흐름 또는 교통 흐름에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교각의 개수를 줄일 수 있어 재료의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방청처리된 강구조물의 피복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오랜 기간 동안 수로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수로관의 맞대음 연결부위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수로교의 역할을 오랜 기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콘크리트 타설식 수로교에 비해 시공 기간을 줄일 수 있어 수로교의 공사에 드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수로교 상부에 설치되는 점검로를 이용함으로써 수로교의 관리가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로교의 입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로교에서 Ⅰ-Ⅰ'를 따라 바라본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수로교에서 수로관을 형성하는 강거더 및 강관이 서로 결합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강거더 및 강관이 서로 결합된 후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로교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로교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순서도에 따라 수로교가 시공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로교 및 수로교의 시공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로교의 입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로교에서 Ⅰ-Ⅰ'를 따라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로교는 콘크리트 기초(10)위에 세워지는 교각(20)과, 교각(20)의 상부에 지지되어 원수지(原水池)에서 소정의 장소로 물의 유동을 안내하는 수로관(30)을 구비한다.
콘크리트 기초(10)는 지반에 형성되며, 교각(2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교각(20)은 콘크리트 기초(10)에 지지되며 수로관(3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교각(20) 두께 및 간격은 교각(20)이 지지하는 구조물인 수로관(30)의 무게에 의해 결정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수로관(30)이 콘크리트 구조물에 비해 무게가 훨씬 가벼운 강 구조물로 형성되기 때문에 교각(20)의 두께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각(20) 사이의 간격은 넓힐 수 있다. 따라서 수로교 하부에 하천이나 도로를 형성하는 경우 물의 흐름 또는 교통 흐름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교각(20)의 상단에는 교각(20) 상단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교각(20) 양측에 배치되는 지지팔(26)을 구비하는 지지대(25)가 설치된다.
지지팔(26)을 가지는 지지대(25)를 교각(20)의 상단에 설치하기 위해, 교각(20)의 상단부에는 두께가 얇아지는 삽입부(20a)가 형성되고, 지지대(25)에는 삽입부(20a)가 관통하는 관통홀(25a)이 형성된다. 그리고 삽입부(20a)를 관통홀(25a)을 통해 관통시킴으로써 지지대(25)를 교각(20)에 쉽게 결합시킬 수 있다.
지지대(20)는 교각(20)의 상단에 설치되며, 교각(20)에 대해 Y자 형상을 가지는 지지팔(26)을 구비함으로써 수로관(3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교각(20)의 상부에는 원수지(原水池)에서 소정의 장소로 물의 유동을 안내하는 수로관(30)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수로관(30)을 형성하기 위해 교각(20) 및 지지팔(26)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101)을 형성하는 강거더(100)와, 수용공간(101)의 내부에 수용되며 강거더(100)와 일체화되도록 결합되는 강관(200)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강거더(100) 및 강관(200)을 이용하여 수로관(30)을 형성할 때, 강거더(100) 또는 강관(200)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강거더(100)와 강관(200)은 방청코팅 될 수 있다. 강거더(100)와 강관(200)을 방청코팅을 하기 위해 폴리머계 복합수지 등이 강거더(100) 및 강관(200)에 피복될 수 있다.
한편, 강관(200)을 방청코팅을 하더라도 강관(200)이 직사광선에 오랜 기간 노출되는 경우, 강관(200)의 피복이 벗겨질 수 있다. 강관(200) 물이 항상 접하고 있는 부재이므로, 강관(200)의 방청 피복이 벗겨지는 경우 강관(200)에 녹이 발생하며 부식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강관(200)의 피복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강관(200)을 직사광선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강관(200)을 직사광선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강관(200)을 수용공간(101)을 가지는 강거더(100)의 내부에 삽입하며, 강거더(100)의 상부에 커버(300)를 결합하여 수용공간(101)을 밀폐시킴으로써 강관(200)이 직사광선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강관(200)의 하측면 및 좌,우측면은 강거더(100)에 의해 차단되고, 상측면은 커버(300)에 의해 차단된다.
한편 강거더(100)의 상단에는 데크플레이트(110)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데크플레이트(110)를 점검로로 사용하기 위해 데크플레이트(110)의 양측단에는 안전난간(120)이 설치된다. 따라서 관리자가 수로교를 점검할 필요가 있는 경우 데크플레이트(110)의 상부를 걸어다니면서 점검할 수 있으므로 수로교의 관리가 편리하다.
한편, 데크플레이트(110)와 강거더(100)를 결합할 때, 데크플레이트(110)와 강거더(100) 사이에 기밀부재를 게재하여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데크플레이트(110)와 강거더(100) 사이에 기밀부재를 게재하여 결합함으로써 데크플레이트데크플레이트(110)와 강거더(100) 사이에 발생하는 틈을 통해 직사광선이 유입되어 강관(200)을 비추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수로교는 강관(200)이 서로 결합되어 형성되는 수로관(30)의 단부에는 수로관(30) 내부를 흐르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침전되는 침전공간(41)을 가지는 침전부(40)와, 침전공간(41)의 하단에 구비되어 침전공간(41)에 침전된 이물질을 배출시키는 이물질 배출구(50)를 개폐하는 배출밸브(51)를 구비할 수 있다.
강관(200)을 따라 흐르는 물에는 토사 등의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해 수로관(30)의 단부에 침전부(40)를 형성한다. 침전부(40)에는 수로관(30)의 바닥 높이보다 낮은 바닥 높이를 가지는 침전공간(41)이 형성되어 있어, 침전공간(41)을 흐르는 물의 유속이 늦어지기 때문에 이물질들은 침전공간(41)에 쌓이게 된다.
이물질들이 침전공간(41)에 일정량 이상 쌓이게 되면 배출밸브(51)를 개방시켜 침전공간(41)에 쌓인 이물질들이 배출구(50)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로교에서는 강거더와 강관이 일체화되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하중 및 내력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수로관을 형성하는 강관 끼리의 결합, 강거더와 강관의 결합 및 강거더 끼리의 결합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수로교에서 수로관을 형성하는 강관이 서로 결합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강거더 및 강관이 서로 결합된 후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강관(200)이 서로 연결되는 부위의 누수를 막기 위해 강관(200)의 양측 단부에는 강관(200)의 외주면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된 가스켓(210)이 구비된다. 그리고 일측 강관(200)과 타측 강관(200)을 서로 결합시키기 위해 일측 강관(200)과 타측 강관(200)이 서로 맞닿은 후 양측 강관(200)의 가스켓(210)을 감싸며 양측 강관(200)을 서로 결합시키는 브라켓(250)이 구비된다.
브라켓(250)은 강관(200)의 상부를 감싸며 지지하는 상부 브라켓(250a)과, 강관(200)의 하부를 감사며 지지하는 하부 브라켓(250b)을 구비한다.
상부 브라켓(250a)과 하부 브라켓(250b)에는 각각 양측 강관(200)의 가스켓(210)을 수용하기 위한 한쌍의 가스켓 수용홈(25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 브라켓(250a)과 하부 브라켓(25b)에는 각각 상부 브라켓(250a)과 하부 브라켓(250b)을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252)를 구비한다.
일측 강관(200)과 타측 강관(200)을 서로 결합시키기 위해 일측 강관(200)과 타측 강관(200)의 단부에 구비되는 가스켓(210)을 하부 브라켓(250b)에 구비된 가스켓 수용홈(251)에 각각 안착시킨 후, 상부 브라켓(250a)을 하부 브라켓(250b)의 상부에 덮은 후, 결합부재(253)를 이용하여 결합부(252)를 서로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브라켓(250)을 이용하여 일측 강관(200)과 타측 강관(200)을 용이하게 서로 결합시킬 수 있으며, 일측 강관(200)에 구비된 가스켓(210)과 타측 강관(200)에 구비된 가스켓(210)이 서로 맞닿음으로써 강관(200)이 서로 연결되는 부위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강거더(100)와 강관(200)의 결합에 대해 설명한다.
강거더(100)와 강관(200)이 일체화되도록 결합시키기 위해 강거더(100)의 내측면에서 돌출된 플랜지(102)가 구비되고, 강관(200)의 외측면에서 돌출된 플레이트(202)가 구비된다. 강거더(100)와 강관(200)을 서로 결합하기 위해 강거더(100)에 구비된 플랜지(102)와 강관(200)에 구비되는 플레이트(202)가 서로 겹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볼트 등의 결합수단(105)을 이용하여 강거더(100)에 구비된 플랜지(102)와 강관(200)에 구비되는 플레이트(202)를 서로 결속시킴으로써 강거더(100)와 강관(200)이 일체화되도록 결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강거더(100)와 강관(200)이 일체화되도록 결합됨으로써 강구조물의 자중에 의한 하중 및 지진 등에 의해 발생되는 내력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구조가 된다.
다음으로 강거더 끼리의 결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일측 강거더(100)와 타측 강거더(100)를 서로 결합시키기 위해 일측 강거더(100)와 타측 강거더(200)가 서로 맞대음되어 형성되는 연결부위에는 연결부재(106)가 체결부재(107)에 의해 양측 강거더(200)에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재(106)는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강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연결부재(106)를 이용하여 양측 강거더(200)의 양측면 및 하측면을 서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충분한 구조적 강도를 가지는 연결부재(106)에 의해 강거더(100) 끼리 서로 결합되므로 강거더(100)가 서로 결합되는 결합부에서 강도를 보강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로교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로교를 설명함에 있어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수로교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 참조번호를 사용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로교에서는 강관(200)을 서로 결합시키는 브라켓(250)에서 하부 브라켓(250b)이 강거더(10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부 브라켓(250b)을 강거더(100)와 일체화시키기 위해 하부 브라켓(250b)의 하측면은 평평한 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하부 브라켓(250b)의 상측면은 반원 형상을 가지며 강관(200)의 단부에 구비되는 가스켓(210)을 수용하는 가스켓 수용홈(25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 브라켓(250b)과 상부 브라켓(250a)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하부 브라켓(250b)의 양측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볼트(255)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브라켓(250a)은 전체적으로 반원 형상을 가지며, 상부 브라켓(250a)의 양측면에는 하부 브라켓(250b)에 구비된 볼트(255)가 통과하는 통과홀(256)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양측 강관(200)의 단부에 구비되는 가스켓(210)을 하부 브라켓(250b)의 가스켓 수용홈(251)에 수용시킨 다음, 상부 브라켓(250a)이 하부 브라켓(250b)을 덮도록 한다. 이때 하부 브라켓(250b)에 구비된 볼트(255)는 상부 브라켓(250a)에 형성된 통과홀(256)을 관통하게 되고, 너트(257)를 하부 브라켓(250b)에 구비된 볼트(255)에 체결함으로써 상부 브라켓(250a)을 하부 브라켓(250b)에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로교에 의하면, 하부 브라켓(250b)이 강거더(10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양측 강관(200)의 단부에 구비되는 가스켓(210)을 브라켓(250)으로 감싸는 작업이 수월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로교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수로관의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로교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순서도에 따라 수로교가 시공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로교의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로교를 시공하기 위해 먼저 지반에 콘크리트 기초(10)를 형성한다(S110).
콘크리트 기초(10)를 세울 때에는 지반을 판 후, 지반을 다진 후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콘크리트 기초(10)를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콘크리트 기초(10) 위에 지지대(25)를 구비하는 교각(20)을 세운다(S120).
콘크리트 기초(10) 위에 교각(20)을 세울 때에는 콘크리트 기초(10)에 사용되는 철근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하고, 콘크리트 기초(10)의 철근과 교각(20)의 철근이 연속되도록 함으로써 교각(20)을 콘크리트 기초(10)에 튼튼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콘크리트 기초(1) 위에 교각(20)을 세우기 이전에 교각(20)의 상단부에는 두께가 얇아지는 삽입부(20a)를 형성하고, 지지대(25)에는 삽입부(20a)가 관통하는 관통홀(25a)을 형성한 후, 삽입부(20a)가 관통홀(25a)을 관통하도록 함으로써 지지대(25)를 교각(2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방식을 사용하여 콘크리트 기초(1) 위에 교각(20)을 세운 후, 교각(20)의 상부에 지지대(25)를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지지대(25)의 상부에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101)을 가지는 강거더(100)를 결합한다(S130).
강거더(100)는 상부가 개방된 ㄷ자 형상을 가지는 구조물로, 수로관(30)의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강거더(100)는 기중기와 같은 양중수단을 사용하여 지지대(25)의 상부에 올려질 수 있으며, 강거더(100)는 볼트접합, 용접접합 등의 방법으로 지지대(25)에 접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수용공간(101)의 내부에 강거더(100)와 일체화되도록 강관(200)을 수용한다(S140).
강관(200)을 강거더(100)의 내부에 수용할 경우에도, 기중기와 같은 양중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강관(200)를 강거더(100) 내부의 수용공간(101) 내부에 수용하면서 일체화시킬 때에는 다음 순서로 조립할 수 있다.
먼저, 일측 강관(200)의 가스켓(210) 및 타측 강관(200)의 가스켓(210)을 서로 밀착시킨 상태로 가스켓 수용홈(251)을 가지는 하부 브라켓(250b)에 끼운다. 그런 다음, 상부 브라켓(250a)을 하부 브라켓(250b)과 결합시킴으로써 일측 강관(200)과 타측 강관(200)을 서로 결합시키다. 이와 같이 강관(200) 끼리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강관(200)에 구비된 플레이트(202)와 강거더(100)에 구비된 플랜지(102)를 서로 결합함으로써 강관(200)과 강거더(100)를 일체화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강거더(100)의 상부에 커버(300)를 결합하여 강관(200)이 직사광선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S150). 따라서 강관(200)의 방청을 위해 강관에 피복된 피복재가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강거더(100)의 상단에 데크플레이트(110)를 결합한다. 그리고 데크플레이트(110)가 점검로로 사용되도록 데크플레이트(110)의 양측단에 안전난간(120)을 설치한다(S160). 따라서 관리자가 데크플레이트(110) 위를 걸을 때 관리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로교의 시공방법에서는 지지대(25)의 상부에 강거더(100)를 설치한 상태에서, 강관(200)을 강거더(100)의 내부에 수용하여 결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강관(200)을 강거더(100)와 미리 조립한 상태에서 강관(200)과 강거더(100)가 조립된 조립체를 지지대(25)의 상부에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로교 및 수로교의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로교의 시공방법에 의하면 종래의 콘크리트 타설식 수로교에 비하여 공사기간이 매우 짧아진다. 그리고 비계 위에 작업자들이 올라가 작업하는 것을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대체할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를 크게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로교 및 수로교의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콘크리트 기초 20: 교각
25: 지지대 30: 수로관
40: 침전부 50: 이물질 배출구
100: 강거더 110: 데크플레이트
120: 난간 130: 기밀부재
200: 강관

Claims (13)

  1. 콘크리트 기초위에 세워지는 교각;
    상기 교각 상단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상기 교각 양측에 배치되는 지지팔을 구비하는 지지대;
    상기 교각 및 상기 지지팔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강거더;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강거더와 일체화되도록 결합되는 강관; 및
    상기 강거더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밀폐시켜 상기 강관이 직사광선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수로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거더의 상단에는 데크플레이트가 결합되고,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양측단에는 안전난간이 설치되어 상기 데크플레이트가 점검로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교각의 상단부에는 두께가 얇아지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에는 상기 삽입부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가 상기 관통홀을 관통함으로써 상기 지지대가 상기 교각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플레이트가 상기 강거더와 결합할 때 상기 데크플레이트와 상기 강거더 사이에 게재되는 기밀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교.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이 서로 결합되어 형성되는 수로관의 단부에는 상기 수로관 내부를 흐르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침전되는 침전공간을 가지는 침전부와,
    상기 침전공간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침전공간에 침전된 이물질을 배출시키는 이물질 배출구를 개폐하는 배출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거더의 내측면에서 돌출된 플랜지와,
    상기 강관의 외측면에서 돌출된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와 상기 플레이트가 서로 결합되어 상기 강거더와 상기 강관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교.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강관의 외주면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된 가스켓과,
    일측 상기 강관의 가스켓과 타측 상기 강관의 가스켓이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양측 강관의 가스켓을 수용하는 가스켓 수용홈을 구비하여 양측 강관을 서로 결합시키는 브라켓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교.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강관의 상부를 감싸며 지지하는 상부 브라켓과,
    상기 강관의 하부를 감사며 지지하는 하부 브라켓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 브라켓과 상기 하부 브라켓에는 각각 결합부가 구비되어,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결합부를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교.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브라켓은 상기 강거더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교.
  10. 지반에 콘크리트 기초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콘크리트 기초위에 지지대를 구비하는 교각을 세우는 단계;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을 가지는 강거더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에 상기 강거더와 일체화되도록 강관을 수용하는 단계; 및
    상기 강거더의 상부에 커버를 결합하여 상기 강관이 직사광선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로교의 시공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강거더의 상단에 데크플레이트를 결합하고,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양측단에는 안전난간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로교의 시공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기초위에 지지대를 구비하는 교각을 세우는 단계 이전에,
    교각의 상단부에는 두께가 얇아지는 삽입부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대에는 상기 삽입부가 관통하는 관통홀을 형성한 후, 상기 삽입부가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지지대를 상기 교각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교의 시공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에 상기 강거더와 일체화되도록 강관을 수용하는 단계는
    일측 상기 강관의 가스켓 및 타측 상기 강관의 가스켓을 서로 밀착시킨 상태로 가스켓 수용홈을 가지는 하부 브라켓에 끼우는 단계와,
    상부 브라켓을 상기 하부 브라켓과 결합시킴으로써 일측 상기 강관과 타측 상기 강관을 서로 결합시키는 단계와,
    상기 강관과 상기 강거더를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교의 시공방법.
KR1020120148120A 2012-12-18 2012-12-18 수로교 및 수로교의 시공방법 KR101237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8120A KR101237708B1 (ko) 2012-12-18 2012-12-18 수로교 및 수로교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8120A KR101237708B1 (ko) 2012-12-18 2012-12-18 수로교 및 수로교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7708B1 true KR101237708B1 (ko) 2013-02-27

Family

ID=47900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8120A KR101237708B1 (ko) 2012-12-18 2012-12-18 수로교 및 수로교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770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7161B1 (ko) * 2015-10-26 2017-08-10 (주)에이치엔피테크 강관보조장치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847902B1 (ko) * 2017-10-20 2018-04-11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강재형 수로교
KR101886661B1 (ko) * 2018-02-08 2018-08-08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강재 수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997720B1 (ko) * 2018-12-13 2019-07-08 (주)에이치엔피테크 아치형 수로교 및 그 시공방법
CN113152248A (zh) * 2021-01-06 2021-07-23 中铁大桥局集团有限公司 一种高墩支架结构及渡槽施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667Y1 (ko) 2001-08-10 2001-12-01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복합재료를 이용한 수로교 구조물
KR100365331B1 (en) 2002-05-13 2002-12-20 Park Young Sook Channe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hanne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667Y1 (ko) 2001-08-10 2001-12-01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복합재료를 이용한 수로교 구조물
KR100365331B1 (en) 2002-05-13 2002-12-20 Park Young Sook Channe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hannel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7161B1 (ko) * 2015-10-26 2017-08-10 (주)에이치엔피테크 강관보조장치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847902B1 (ko) * 2017-10-20 2018-04-11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강재형 수로교
KR101886661B1 (ko) * 2018-02-08 2018-08-08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강재 수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997720B1 (ko) * 2018-12-13 2019-07-08 (주)에이치엔피테크 아치형 수로교 및 그 시공방법
CN113152248A (zh) * 2021-01-06 2021-07-23 中铁大桥局集团有限公司 一种高墩支架结构及渡槽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7708B1 (ko) 수로교 및 수로교의 시공방법
CN110513130A (zh) 一种隧道防排水系统
CN107575264A (zh) 一种复合材料波纹板支护防排水系统
CN109183614A (zh) 一种电缆槽主承载t梁复合材料人行道及其安装方法
CN111980020A (zh) 特大桥主桥承台双壁钢吊箱围堰施工方法
CN108252220A (zh) 一种特大跨度劲性骨架的施工方法
CN110820587A (zh) 一种城市桥梁暗埋式泄水管安装施工工法
CN110183080B (zh) 一种钢筋混凝土化粪池及其吊装方法
KR100877322B1 (ko) 조립식 복합 맨홀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조립식 복합 맨홀
CN109024324A (zh) 用于管道免拆除和保护的陡坡阶梯涵洞及施工方法
JP2013151788A (ja) セグメント桁、塩害対応外ケーブル桁橋の構築およびその施工法
WO2014017891A1 (fr) Poutre de couronnement de quai betonnee sur elements prefabriques formant coffrage
CN110106772A (zh) 一种公路冷弯u形组合梁桥及其施工方法
CN212130145U (zh) 一种人工挖孔桩桩孔围护装置
CN211368952U (zh) 一种隐藏式雨水收集装置
CN211948028U (zh) 一种利用既有箱涵的管线过河结构
CN209584878U (zh) 用于管道免拆除和保护的大跨径涵洞
CN210599100U (zh) 一种有砟隧道中心水沟检修井
CN111236253A (zh) 一种水上安装钢围檩及钢支撑施工工艺
CN218263454U (zh) 一种钢桥面u形肋排水装置
CN112302140A (zh) 一种隐藏式雨水收集装置
CN113374936B (zh) 下穿施工中顶部承插管道的托换保护系统及施工方法
CN217984394U (zh) 一种具备防水性能的屋面电缆桥架支架结构
CN114991811B (zh) 一种岩溶隧道穿越暗河区段的结构设计与防排水方法
CN218813910U (zh) 一种预防施工阶段地下室上浮装置及其限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