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7680B1 -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 - Google Patents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7680B1
KR101237680B1 KR1020120135229A KR20120135229A KR101237680B1 KR 101237680 B1 KR101237680 B1 KR 101237680B1 KR 1020120135229 A KR1020120135229 A KR 1020120135229A KR 20120135229 A KR20120135229 A KR 20120135229A KR 101237680 B1 KR101237680 B1 KR 101237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nozzle connector
main body
hair dryer
inlet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5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상환
Original Assignee
하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상환 filed Critical 하상환
Priority to KR1020120135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7680B1/ko
Priority to PCT/KR2012/010160 priority patent/WO201408441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7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7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36Hair curlers or hair winders with incorporated heating or drying means, e.g. electric, using chemical re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7/00Processes of waving, straightening or curling hai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002/003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002/006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wisting hai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7/00Processes of waving, straightening or curling hair
    • A45D2007/002Processes of dressing hair
    • A45D2007/004Processes of dressing hair for braiding, twisting, locking, wrapping or beading hair

Landscapes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가 개시된다. 개시된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는 상협하광의 콘 형상을 갖으며, 상하가 개방된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 일측에 공기유입포트가 형성된 본체; 및, 전단부는 상기 공기유입포트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후단부는 헤어드라이어의 배출구에 장착되는 노즐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 커넥터가 상기 유입포트에 대해 회동된 상태에 따라, 상기 헤어드라이어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공기는 상기 노즐 커넥터를 거쳐 상기 공기유입포트를 통해 상기 본체 내부에서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의 하향 선회기류를 형성하여, 상기 본체의 하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 {HAIR TREATMENT DEVICE FOR SETTLED WITH HAIR DRIER}
본 발명은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통상의 헤어드라이어의 배출구에 장착하여 사용함으로써 모발을 건조함과 동시에 모발에 형성된 웨이브를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게 하는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인들은 비누 등의 세제를 사용하여 모발을 샴푸하고 젖은 모발을 헤어드라이어로 건조시켜 모발을 처리한다.
모발이 비교적 길고, 모발에 웨이브가 있는 사람의 경우, 손가락으로 모발을 꼬아주는 동작을 한 다음, 헤어드라이어로 모발을 건조시키거나, 손가락으로 모발을 꼬아주면서 헤어드라이어로 모발을 건조시켜 모발을 처리하였다.
이처럼, 종래에는 모발에 형성된 웨이브가 보다 뚜렷하게 나타나도록 하기 위해 번거롭게 손가락으로 모발을 꼬아 주는 동작을 한 다음, 헤어드라이어로 모발을 건조시켰기 때문에 샴푸후 젖은 모발을 처리하는 시간이 대단히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손가락으로 모발을 꼬아주면서 헤어드라이어로 모발을 건조시키는 동작이 어려워서 웨이브가 뚜렷하게 나타나도록 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은 등록실용신안 20-0463385호에서 통상의 헤어드라이어의 배출구에 장착하여 사용함으로써 모발을 건조함과 동시에 모발에 형성된 웨이브를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게 하는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를 제시하였다.
다만, 등록실용실용 20-0463385호에 개시된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는 본체에 노즐커넥터가 결합 고정된 형태이므로, 본체 내에서 선회기류는 한 방향으로 밖에 형성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즉, 노즐커넥터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본체 내에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방향으로만 선회기류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웨이브의 방향을 바꾸고 싶더라도 그러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상기 선회기류의 방향과 반대 방향의 모발 웨이브를 가진 사용자는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헤어드라이어에 장착하여 사용함으로써, 모발을 건조함과 동시에 자동으로 모발을 꼬아줌으로써, 웨이브가 뚜렷하게 나타나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웨이브의 형성 방향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모발을 건조함과 동시에 자동으로 모발을 꼬아줄 뿐 아니라, 모발의 단부에 불륨헤어드라이에 장착하여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은 모발을 건조함과 동시에 아울러, 머리카락의 단부에 더 큰 볼륨이 형성되도록 구조가 개선된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는 상협하광의 콘 형상을 갖으며, 상하가 개방된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 일측에 공기유입포트가 형성된 본체; 및, 전단부는 상기 공기유입포트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후단부는 헤어드라이어의 배출구에 장착되는 노즐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 커넥터가 상기 유입포트에 대해 회동된 상태에 따라, 상기 헤어드라이어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공기는 상기 노즐 커넥터를 거쳐 상기 공기유입포트를 통해 상기 본체 내부에서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의 하향 선회기류를 형성하여, 상기 본체의 하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 내에 시계방향의 하향 선회기류를 형성하도록 상기 노즐 커넥터가 상기 공기유입포트에 회전된 제 1 회전위치; 및, 상기 본체 내에 시계반대방향의 하향 선회기류를 형성하도록 상기 노즐 커넥터가 상기 공기유입포트에 회전된 제 2 회전위치;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공기유입포트의 끝단 일측에 형성된 제 1 고정돌기; 상기 노즐 커넥터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노즐 커넥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노즐 커넥터가 상기 제 1 회전위치에 있도록 상기 제 1 고정돌기와 스냅결합되는 제 1 고정홈; 상기 공기유입포트의 끝단 타측에 형성된 제 2 고정돌기; 및, 상기 노즐 커넥터의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노즐 커넥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노즐 커넥터가 상기 제 2 회전위치에 있도록 상기 제 2 고정돌기와 스냅결합되는 제 2 고정홈;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노즐 커넥터의 전단부는 상기 본체의 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노즐 커넥터의 후방부에 원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헤어드라이어의 배출구가 착탈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노즐 커넥터의 전방부에 상기 결합부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보다 작은 폭을 갖는 직사각형 단면 형상의 토출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길이가 연장되도록 상기 본체의 하단에 결합하는 길이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내부를 측면으로 개폐 가능한 도어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하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밑뚜껑을 더 구비하며, 상기 밑뚜껑의 저면은 공기가 통할 수 있는 망사구조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모발을 건조함과 동시에 자동으로 모발을 꼬아줘 웨이브를 보다 뚜렷하게 나타나게 함으로써 샴푸 후 모발처리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모발에 형성되는 웨이브의 꼬임방향을 조절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모발을 모아 뭉쳐진 상태에서 모발을 꼬아줌으로써, 웨이브가 더욱더 뚜렷하게 형성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모발 단부의 볼륨을 더 크게 만들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가 헤어드라이어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 선을 따라 절단한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III-III 선을 따라 절단한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선회기류가 시계방향으로 형성되도록 노즐 커넥터가 동작된 모발처리기구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은 도 3에서 선회기류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형성되도록 노즐 커넥터가 동작된 모발처리기구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가 헤어드라이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 에에 따른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100)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100)는 본체(110)와 노즐 커넥터(11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협하광의 콘 형상을 갖으며, 상하가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S)가 형성된 통상으로 이루어진다.
본체(110)의 상부 외주면 일측에는 내부에 공기유입유로(114)가 형성된 공기유입포트(115)가 본체(11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공기유입유로(114)는 외측으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지도록 서로 마주하는 측벽(114a,114b)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며, 측벽(114a,114b)의 외측단에는 각각 제 1 고정돌기(117a)와 제 2 고정돌기(117b)가 형성된다. 또한, 공기유입포트(115)의 내측 상측과 하측에는 회전축홈(116)이 각각 형성된다.
노즐 커넥터(120)는 통상의 헤어드라어용 악세사리 노즐과 같은 외형을 갖어, 후방부에는 헤어드라이어(1)의 배출구(2)가 억지끼움에 의해 장착되는 원형 단면으로 형성된 결합구(121)가 형성되고, 전방부에는 결합부(121)로부터 연장형성되며, 결합부(121)보다 작은 폭을 갖는 직사각형 단면을 으로 형성된 토출부(123)가 구비된다.
이때, 토출부(123)의 토출부(123) 끝단은 공기유입포트(115) 내부에 삽입되고, 공기유입포트(115) 내부에서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아울러, 노즐 커넥터(120)는 본체(110)의 하방향을 향하도록 약간경사진다.
구체적으로, 노즐 커넥터(120)의 토출부(123)의 상측과 하측에는 각각 회전축(126)이 돌출형성되며, 이 회전축(126)은 공기유입포트(115)에 형성된 회전축홈(116)에 삽입 결합되어, 노즐 커넥터(120)가 공기유입포트(115)에 대해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된다. 노즐 커넥터(120)의 토출부(123) 양 측부에는 제 1 고정홈(127a)와 제 2 고정홈(127b)이 형성된다.
노즐 커넥터(120)가 공기유입포트(115)에 대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4와 같이, 제 1 고정돌기(117a)와 제 1 고정홈(127a)이 서로 스냅결합되며, 노즐 커넥터(120)의 토출부(123)가 공기유입포트(115)의 일측벽(114a)에 근접하게 되어, 토출부(123)를 통해 본체(110)의 상부 내측으로 배출되는 공기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하향 선회기류를 형성한다{노즐 커넥터(120)의 제 1 회전위치}.
반대로, 노즐 커넥터(120)가 공기유입포트(115)에 대해 타방향으로 회전하면, 도5와 같이, 제 2 고정돌기(117a)와 제 2 고정홈(127b)이 서로 스냅결합되며, 노즐 커넥터(120)의 토출부(123)가 공기유입포트(115)의 타측벽(114b)에 근접하게 되어, 토출부(123)를 통해 본체(110)의 상부 배측으로 배출되는 공기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하향 선회기를 형성한다{노즐 커넥터(120)의 제 2 회전위치}.
본 실시 예에서 본체(110)와 노즐 커넥터(120)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며, 필요에 따라 투명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도 4와 같이, 노즐 커넥터(120)가 공기유입포트(115)에 대해, 제 1 회전위치에 있을 경우, 헤어드라이어(1)의 배출구(2)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노즐 커넥터(120)를 거쳐 대략 본체(110)의 접선방향으로 공간(S1)에 유입되어 시계방향의 하향 선회기류 A(cw)를 형성한 후, 본체(110)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배출된다.
반대로, 도 5와 같이, 노즐 커넥터(120)가 공기유입포트(115)에 대해, 제 2 회전위치에 있을 경우, 헤어드라이어(1)의 배출구(2)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노즐 커넥터(120)를 거쳐 대략 본체(110)의 접선방향으로 공간(S)에 유입되어 시계반대방향의 하향 선회기류 A(ccw)를 형성한 후, 본체(110)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배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모발을 시계방향으로 꼬아주길 원할 경우, 노즐 커넥터(120)를 도 4와 같이 제 1 회전위치에 있도록 조작한 후, 헤어드라이어(1)의 배출구(2)를 노즐 커넥터(120)의 결합부(121)에 장착하고, 모발을 본체(110)의 상부 개구를 통해 공간(S)으로 집어 넣은 후, 헤어드라이어(1)를 가동시키면, 헤어드라이어(1)로부터 공기가 노즐 커넥터(120)를 통해 공간(S)에서 시계방향으로 하향 선회하면서, 모발을 건조시킴과 동시에 시계방향으로 모발을 꼬아준다.
한편, 사용자가 모발을 시계반대방향으로 꼬아주길 원할 경우, 노즐 커넥터(120)를 도 5와 같이, 제 2 회전위치에 있도록 조작한 후, 헤어드라이어(1)를 결합부(121)에 장착하고 가동시키면, 헤어드라이어(1)로부터 공기가 노즐 커넥터(120)를 통해 공간(S)에서 시계반대방향으로 하향 회전하면서, 모발을 건조시킴과 동시에 시계방향으로 모발을 꼬아준다.
이처럼, 본 발명은 노즐 커넥터(120)가 본체(110)의 공기유입포트(115)에 회전되게 설치되므로, 노즐 커넥터(120)를 회전되게 조작하여, 본체(110) 내에 형성되는 선회기류의 방향을 정할 수 있기 때문에, 모발을 꼬아주는 방향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의 헤어 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100)는 본체(110) 내에 놓인 모발이 한 뭉치로 뭉쳐지도록 모발을 모아주는 링부재(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링부재(30)는 일측이 절단되고, 각각의 단부(132a,132b)가 둥글게 마감처리된 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직경은 대략 본체(110) 상단의 직경의 반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링부재(30)는 본체(110) 상단에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즉, 링부재(30)는 양 단부(132a,132b)와 반대되는 위치에 힌지핀(135)이 형성되고, 이 힌지핀(135)이 공기유입포트(115)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사용자는 본체(110) 내에 집어 넣은 모발을 링부재(130)의 단부(132a,132b) 사이를 통해 링부재(130)에 끼워넣어 하나로 뭉쳐지도록 모아준 다음, 헤어드라이어(1)를 가동시키면, 본체(110) 내에 형성된 선회기류(A)가 뭉쳐져 있는 모발을 건조시키면서 꼬아주기 때문에, 모발을 뭉쳐주지 않고, 그냥 본체(110) 내에 넣었을 때보다 더 뚜렷한 웨이브가 나타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는 링부재(130)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링부재(130)를 회전시켜 세워 놓을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100')를 설명한다.
제 2 실시 예는 제 1 실시 에에 비해, 추가적으로 길이보강부재(150)이 설치된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길이보강부재(150)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되 설명은 생략한다.
길이보강부재(150)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재질의 투명체로 이루어지며, 상협 하광의 콘형상을 갖는 통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길이보강부재(150)의 상단은 외통(111)의 하단과 억지끼움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갖으며, 하단으로 갈수록 직격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사용자의 모발 길이가 본체(110)의 길이보다 월등히 길 경우, 길이보강부재(150)를 본체(110)의 하단에 결합하여 본체(110)의 길이를 연장시킨 다음, 헤어드라이어(1)을 가동시켜 모발을 건조시킴과 동시에 꼬아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의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100'')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100'')를 설명한다.
본 실시 예의 본체(110)는 측면방향으로 오픈될 수 있는 도어부(212)를 구비하며, 도어부(212)는 본체(110)의 나머지 부분과 경첩(216)으로 연결되어 있어, 도 7의 x방향으로 열리고 그 반대방향으로 닫히는 구조를 갖는다.
본체(210)의 일측에 노즐커넥터(120)가 연결되어 있으며, 연결 구조 및 노즐 커넥터(120)의 구성은 상술한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다. 본체(210)의 하단부 외면에는 나사산(221)이 형성되어 있어, 후술되는 중간지지통(220)이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중간지지통(220)은 내측 상단부 및 외측 하단부에 나사산(222,225)이 형성되어 있고, 본체(110)의 하단부 나사산(221)과 결합된다.
밑뚜껑(230)은 저면(232)이 평평한 형상이며, 공기가 통할 수 있는 망사구조(232)를 갖는다. 망사구조로 이루어진 저면(232)의 재질은 플라스틱 또는 금속부재가 될 수 있다. 밑뚜껑(230)의 상단부 내측에는 나사산(226)이 형성되어 있어 중간지지통(220)의 나사산(225)에 결합된다.
밑뚜껑(230)의 저면 망사구조로 인해 모발(머리카락)의 끝단은 저면(232)을 통과하지 못하고 공기만 밑뚜껑(230)의 하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모발 단부에 볼륨이 더 커지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 예의 본체(110)의 하단에 중간지지통(220)과 본체(110) 사이에 상술한 제 2 실시 예에서 언급한 길이보강부재(150,도 6 참조)를 머리카락의 길이에 따라 더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중간지지통(220) 없이 밑뚜껑(230)을 본체(110)에 직접 체결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10...본체
114...공기유입유로
115...공기유입포트
116...회전축홈
117a...제 1 고정돌기
117b...제 2 고정돌기
120...노즐 커넥터
121...결합부
123...토출부
126...회전축
127a...제 1 고정홈
127b...제 2 고정홈
130...링부재
220...중간지지통
230...밑뚜껑

Claims (8)

  1. 상협하광의 콘 형상을 갖으며, 상하가 개방된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 일측에 공기유입포트가 형성된 본체; 및,
    전단부는 상기 공기유입포트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후단부는 헤어드라이어의 배출구에 장착되는 노즐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 커넥터가 상기 유입포트에 대해 회동된 상태에 따라, 상기 헤어드라이어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공기는 상기 노즐 커넥터를 거쳐 상기 공기유입포트를 통해 상기 본체 내부에서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의 하향 선회기류를 형성하여, 상기 본체의 하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에 시계방향의 하향 선회기류를 형성하도록 상기 노즐 커넥터가 상기 공기유입포트에 회전된 제 1 회전위치; 및,
    상기 본체 내에 시계반대방향의 하향 선회기류를 형성하도록 상기 노즐 커넥터가 상기 공기유입포트에 회전된 제 2 회전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포트의 끝단 일측에 형성된 제 1 고정돌기;
    상기 노즐 커넥터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노즐 커넥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노즐 커넥터가 상기 제 1 회전위치에 있도록 상기 제 1 고정돌기와 스냅결합되는 제 1 고정홈;
    상기 공기유입포트의 끝단 타측에 형성된 제 2 고정돌기; 및,
    상기 노즐 커넥터의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노즐 커넥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노즐 커넥터가 상기 제 2 회전위치에 있도록 상기 제 2 고정돌기와 스냅결합되는 제 2 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커넥터의 전단부는 상기 본체의 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커넥터의 후방부에 원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헤어드라이어의 배출구가 착탈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노즐 커넥터의 전방부에 상기 결합부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보다 작은 폭을 갖는 직사각형 단면 형상의 토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길이가 연장되도록 상기 본체의 하단에 결합하는 길이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내부를 측면으로 개폐 가능한 도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밑뚜껑을 더 구비하며, 상기 밑뚜껑의 저면은 공기가 통할 수 있는 망사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


KR1020120135229A 2012-11-27 2012-11-27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 KR101237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5229A KR101237680B1 (ko) 2012-11-27 2012-11-27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
PCT/KR2012/010160 WO2014084414A1 (ko) 2012-11-27 2012-11-28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5229A KR101237680B1 (ko) 2012-11-27 2012-11-27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7680B1 true KR101237680B1 (ko) 2013-02-28

Family

ID=47900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5229A KR101237680B1 (ko) 2012-11-27 2012-11-27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37680B1 (ko)
WO (1) WO201408441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4677A (ko) * 2014-08-26 2016-03-07 강철원 긴머리용 헤어드라이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1021238S1 (en) 2022-06-02 2024-04-02 Sharkninja Operating Llc Hair care applian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6813A (ko) * 2002-03-21 2003-09-29 권영호 헤어드라이어
KR200463385Y1 (ko) 2012-04-05 2012-11-05 하상환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2755Y1 (ko) * 2002-02-14 2002-07-23 김주환 헤어드라이어용 노즐
KR200338713Y1 (ko) * 2003-06-03 2004-01-16 유닉스전자주식회사 노즐의 풍향 조절이 가능한 헤어 드라이어
WO2011150689A1 (zh) * 2010-06-03 2011-12-08 Yoe Han Hian 吹风机的集风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6813A (ko) * 2002-03-21 2003-09-29 권영호 헤어드라이어
KR200463385Y1 (ko) 2012-04-05 2012-11-05 하상환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4677A (ko) * 2014-08-26 2016-03-07 강철원 긴머리용 헤어드라이기
KR101616062B1 (ko) 2014-08-26 2016-04-27 강철원 긴머리용 헤어드라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84414A1 (ko) 2014-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87387B1 (en) Dryer door and dryer comprising the same
KR101237680B1 (ko)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
KR200463385Y1 (ko)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
EP2547229B1 (en) Accessory for hair treatment device
KR20170049257A (ko) 펫 그루밍용 에어 브러쉬
CN105297324B (zh) 波轮洗衣机和波轮洗衣机的桶盖
CN202744831U (zh) 具有排水软管的洗衣机
CN109487507A (zh) 一种衣物处理设备
CN109487508A (zh) 一种衣物处理设备
CN208339131U (zh) 一种折叠电吹风
CN106567231B (zh) 洗衣机及其添加衣物通道结构
CN106032636B (zh) 用于洗衣机的门体组件及洗衣机
KR20140108019A (ko)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
KR102510111B1 (ko) 모발 관리 기구용 에어롤
KR20150017572A (ko) 헤어 컬링용 기구
US5983517A (en) Hair drying and styling appliance
KR101192876B1 (ko) 헤어드라이어용 노즐
JP2004215830A (ja) 脱水兼用洗濯機
CN220403369U (zh) 一种双向可调的风吸直发风嘴
TW202122661A (zh) 旋風式乾衣裝置
KR102499276B1 (ko) 헤어 스타일링 장치
TWI540241B (zh) 溫水潔身器
CN209114211U (zh) 一种可收纳折叠的电热干衣架
CN217266493U (zh) 一种干衣设备
CN217556523U (zh) 一种线屑过滤器及使用该线屑过滤器的干衣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