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8019A -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 - Google Patents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8019A
KR20140108019A KR1020130022439A KR20130022439A KR20140108019A KR 20140108019 A KR20140108019 A KR 20140108019A KR 1020130022439 A KR1020130022439 A KR 1020130022439A KR 20130022439 A KR20130022439 A KR 20130022439A KR 20140108019 A KR20140108019 A KR 20140108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main body
nozzle connector
rib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2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상환
Original Assignee
하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상환 filed Critical 하상환
Priority to KR1020130022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8019A/ko
Publication of KR20140108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80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 A45D20/122Diffusers, e.g. for variable air flow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36Hair curlers or hair winders with incorporated heating or drying means, e.g. electric, using chemical reaction
    • A45D2/367Hair curlers or hair winders with incorporated heating or drying means, e.g. electric, using chemical reaction with electrical heating means

Landscapes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가 개시된다. 개시된 모발처리기구는 상협하광의 콘 형상을 갖으며, 상하가 개방된 통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 전단부는 상기 본체의 상부 일측을 관통하여 결합되고, 후단부는 헤어드라이어의 배출구에 장착되는 노즐 케넥터; 및,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노즐 커넥터로부터 본체내로 배출된 공기로부터 선회기류를 형성시키는 나선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헤어드라이어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공기는 상기 노즐 커넥터를 거쳐 상기 본체 내에 유입되어 상기 나선 리브에 의해 안내되어 하향 선회기류가 형성된 후, 상기 본체의 하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 {HAIR TREATMENT DEVICE FOR SETTLED WITH HAIR DRIER}
본 발명은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통상의 헤어드라이어의 배출구에 장착하여 사용함으로써 모발을 건조함과 동시에 모발에 형성된 웨이브를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게 하는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인들은 비누 등의 세제를 사용하여 모발을 샴푸하고 젖은 모발을 헤어드라이어로 건조시켜 모발을 처리한다.
모발이 비교적 길고, 모발에 웨이브가 있는 사람의 경우, 손가락으로 모발을 꼬아주는 동작을 한 다음, 헤어드라이어로 모발을 건조시키거나, 손가락으로 모발을 꼬아주면서 헤어드라이어로 모발을 건조시켜 모발을 처리하였다.
이처럼, 종래에는 모발에 형성된 웨이브가 보다 뚜렷하게 나타나도록 하기 위해 번거롭게 손가락으로 모발을 꼬아 주는 동작을 한 다음, 헤어드라이어로 모발을 건조시켰기 때문에 샴푸후 젖은 모발을 처리하는 시간이 대단히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손가락으로 모발을 꼬아주면서 헤어드라이어로 모발을 건조시키는 동작이 어려워서 웨이브가 뚜렷하게 나타나도록 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은 등록실용신안 20-0463385호에서 통상의 헤어드라이어의 배출구에 장착하여 사용함으로써 모발을 건조함과 동시에 모발에 형성된 웨이브를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게 하는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를 제시하였다.
다만, 등록실용신안 20-0463385에 개시된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는 노즐 커넥터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본체내에서 강한 선회기류를 생성되도록 하는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아울러, 본체에 삽입된 모발이 모아지지 않고 흐트러진 상태에서 꼬아지기 때문에 뚜렷한 웨이브 형성을 저해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헤어드라이어에 장착하여 사용함으로써, 모발을 건조함과 동시에 자동으로 모발을 꼬아줌으로써, 웨이브가 뚜렷하게 나타나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기존에 비해 선회기류를 더욱 강하게 생성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회기류를 더욱 강하게 생성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별도의 조작없이 모발이 모아진 상태로 모발을 꼬아줄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는 상협하광의 콘 형상을 갖으며, 상하가 개방된 통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 전단부는 상기 본체의 상부 일측을 관통하여 결합되고, 후단부는 헤어드라이어의 배출구에 장착되는 노즐 케넥터; 및,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노즐 커넥터로부터 본체내로 배출된 공기로부터 선회기류를 형성시키는 나선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헤어드라이어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공기는 상기 노즐 커넥터를 거쳐 상기 본체 내에 유입되어 상기 나선 리브에 의해 안내되어 하향 선회기류가 형성된 후, 상기 본체의 하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선리브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삽입된 모발의 상부를 하나로 뭉쳐지도록 안내하는 모발수집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나선 리브는 상기 본체의 내주면을 따라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나선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나선 리브의 하단은 상기 본체의 하단까지 형성되며, 상기 나선리브의 상단은 상기 본체의 상부를 관통한 상기 노즐 커넥터의 전단까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모발수집 가이드부재는, 상기 나선리브의 상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모발이 모여지는 모발 수용홈을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모발수집 가이드부재는, 상기 나선 리브와 동일한 경사도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나선 리브보다 폭이 증가하도록 형성되는 확장부; 및, 상기 확장부로부터 두 갈래로 갈라져 사이에 상기 모발 수용홈이 형성되는 모발 수용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모발 수용부의 일측부와 타측부는 서로 다른 경사도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노즐 커넥터는 상기 본체에 접선방향을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는 상협하광의 콘 형상을 갖으며, 상하가 개방된 통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 전단부는 상기 본체의 상부 일측을 관통하여 결합되고, 후단부는 헤어드라이어의 배출구에 장착되는 노즐 케넥터; 및, 상기 본체의 내주면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노즐 커넥터로부터 상기 본체 내로 배출되어 선회하는 공기에 의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삽입된 모발의 상부가 하나로 뭉쳐지도록 안내하는 모발수집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모발을 건조함과 동시에 자동으로 모발을 꼬아줘 웨이브를 보다 뚜렷하게 나타나게 함으로써 샴푸 후 모발처리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선회 리브에 의해 선회기류가 강하게 형성되어 기존에 비해 더욱더 뚜렷하게 모발에 웨이브가 형성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선회리브 상단에 형성된 가이드부재에 의해, 모발의 상부가 자연스럽게 모아지고, 이러한 상태에서 모발이 꼬아지기 때문에 모발에 더욱더 뚜렷한 웨이브가 형성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헤어드라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모발처리기구를 후방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에서 본체를 반으로 절개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의 선회리브 및 모발수집 가이드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선회리브의 상측 일부와 모발수집 가이드부재를 측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가 헤어드라이어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100)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100)는 본체(110)와 노즐 커넥터(12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협하광의 콘 형상을 갖으며, 상하가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S)가 형성된 통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노즐 커넥터(120)는 통상의 헤어드라어용 악세사리 노즐과 같은 외형을 갖으며, 후방부에는 헤어드라이어(1)의 배출구(2)가 억지끼움에 의해 장착되는 원형 단면으로 형성된 결합구(121)가 형성되고, 전방부에는 결합부(121)로부터 연장형성되며, 결합부(121)보다 작은 폭을 갖는 직사각형 단면으로 형성된 토출부(123)가 구비된다. 이때 토출부(123)는 본체(111)의 상부 일측을 관통하여 본체(111)의 외주면에 결합고정된다.
노즐 커넥터(120)의 토출부(123)는 본체(110)의 외주면에 접선방향으로 설치되며, 도 2와 같이, 본체(110)의 하방향을 향하도록 약간 경사지게 설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 본체(110)와 노즐 커넥터(120)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되며, 필요에 따라 투명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노즐 커넥터(120)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노즐 커넥터(120)가 본체(110)에 접착되거나, 노즐 커넥터(120)와 본체(11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구성으로, 헤어드라이어(1)의 배출구(2)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노즐 커넥터(120)를 거쳐, 대략 본체(110)의 접선방향으로 공간(S)에 유입되어 하향 선회기류를 형성한 후, 본체(110)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나선 리브(131)는 선회력을 향상시키도록 본체(110)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본체(110)의 내면을 따라 하향되는 나선형상으로 형성된다. 특히, 나선 리브(131)는 상협하광의 본체(110) 내면 형상과 대응되도록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나선 리브(131)의 하단은 본체(110)의 하단까지 형성되며, 나선 리브(131)의 상단은 토출부(123)의 전단(123a) 부근까지 형성된다.
따라서, 노즐 커넥터(120)를 거쳐, 본체(110)의 접선방향으로 유입된 공기는 나선 리브(131)를 따라 가이드 되면서 더욱더 강한 선회기류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 도 3,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모발수집 가이드부재(133)는 나선 리브(131)의 상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본체(110)에 삽입된 모발이 한 뭉치로 뭉쳐지도록 모발을 모아주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모발수집 가이드부재(133)는 나선 리브(131)의 상단으로부터 나선 리브(131)와 동일한 경사도로 연장형성되되, 나선 리브(131)보다 폭이 증가하도록 형성되는 확장부(134)와, 상기 확장부(134)로부터 두 갈래로 갈라져 사이에 모발 수용홈(136)이 형성되는 모발 수용부(135a,135b)로 구성된다.
이때, 모발수집 가이드부재(133)는 토출부(123)의 전단(123a)의 상단부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설치된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모발 수용부(135a,135b)의 일측부(135a)는 타측부(135b)와 서로 다른 경사도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일측부(135a)가 타측부(135b) 보다 큰 경사도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본체(110)의 내주면에 접한 타측부(135b)는 확장부(134)와 동일한 경사도로 형성되고, 타측부(135b)에 대해, 본체(110)의 내측 방향에 위치한 일측부(135a)는 타측부(135a) 보다 더 큰 각도로 상향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사용자는 모발을 꼬아주길 원할 경우, 헤어드라이어(1)의 배출구(2)를 노즐 커넥터(120)의 결합부(121)에 장착하고(도 6 참조), 모발을 본체(110)의 상부 개구를 통해 공간(S)로 집어 넣은 후, 헤어 드라이어(1)를 가동시키면, 헤어 드라이어(1)로부터 공기가 노즐 커넥터(120)를 통해 공간(S)로 유입되고, 나선 리브(131)에 의해 강한 선회기류가 형성되면서 모발을 건조시킴과 동시에 모발을 꼬아준다.
이때, 본체(110) 내에서 선회기류에 의해 꼬아지는 모발의 상부는 선회하다가 나선 리브(131)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모발수집 가이드부재(13)의 모발수용홈(136)에 모여 뭉쳐지게 되고, 이렇게 상부가 하나로 뭉쳐진 모발은 본체(110) 내에서 선회기류에 의해 건조되면서 꼬아지기 때문에, 보다 더 뚜렷한 웨이브가 나타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모발 수용부(135a,135b)의 일측부(135a가 타측부(135b)에 비해 더 큰 각도로 상향경사지게 되어 있고, 이에 따라, 본체(110) 내에서 선회하던 모발이 모발수용홈(136)에 들어간 후, 모발 수용부의 일측부(135a)에 의해 모발 수용홈(136)으로부터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모발 수용홈(136)에 모발이 보다 쉽게 모이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선회 리브(131)와 모발수집 가이드부재(133)가 서로 일체로 연장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별도로 구성하여 접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체(110)의 겉표면 즉 외주면에는 부식이나 샌딩가공을 통해 나선 리브(131)와 동일한 방향으로 나선방향 표시해 줌으로써, 모발이 회전되는 방향을 밖에서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10...본체
120...노즐 커넥터
121...결합부
123...토출부
131...나선 리브
133...모발수집 가이드부재
134...확장부
135a,135b...모발 수용부
136...모발 수용홈

Claims (8)

  1. 상협하광의 콘 형상을 갖으며, 상하가 개방된 통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
    전단부는 상기 본체의 상부 일측을 관통하여 결합되고, 후단부는 헤어드라이어의 배출구에 장착되는 노즐 케넥터; 및,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노즐 커넥터로부터 본체내로 배출된 공기로부터 선회기류를 형성시키는 나선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헤어드라이어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공기는 상기 노즐 커넥터를 거쳐 상기 본체 내에 유입되어 상기 나선 리브에 의해 안내되어 하향 선회기류가 형성된 후, 상기 본체의 하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리브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삽입된 모발의 상부를 하나로 뭉쳐지도록 안내하는 모발수집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 리브는 상기 본체의 내주면을 따라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나선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나선 리브의 하단은 상기 본체의 하단까지 형성되며, 상기 나선리브의 상단은 상기 본체의 상부를 관통한 상기 노즐 커넥터의 전단까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
  4. 제 2 항에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수집 가이드부재는, 상기 나선리브의 상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모발이 모여지는 모발 수용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수집 가이드부재는,
    상기 나선 리브와 동일한 경사도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나선 리브보다 폭이 증가하도록 형성되는 확장부; 및,
    상기 확장부로부터 두 갈래로 갈라져 사이에 상기 모발 수용홈이 형성되는 모발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 수용부의 일측부와 타측부는 서로 다른 경사도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커넥터는 상기 본체에 접선방향을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
  8. 상협하광의 콘 형상을 갖으며, 상하가 개방된 통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
    전단부는 상기 본체의 상부 일측을 관통하여 결합되고, 후단부는 헤어드라이어의 배출구에 장착되는 노즐 케넥터; 및,
    상기 본체의 내주면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노즐 커넥터로부터 상기 본체 내로 배출되어 선회하는 공기에 의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삽입된 모발의 상부가 하나로 뭉쳐지도록 안내하는 모발수집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


KR1020130022439A 2013-02-28 2013-02-28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 KR201401080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2439A KR20140108019A (ko) 2013-02-28 2013-02-28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2439A KR20140108019A (ko) 2013-02-28 2013-02-28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8019A true KR20140108019A (ko) 2014-09-05

Family

ID=51755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2439A KR20140108019A (ko) 2013-02-28 2013-02-28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801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4677A (ko) * 2014-08-26 2016-03-07 강철원 긴머리용 헤어드라이기
KR101985160B1 (ko) * 2019-01-17 2019-05-31 (주)인트로퍼블릭 헤어드라이어 및 핸디 청소기용 청소 헤드
KR20200002476U (ko) * 2019-05-03 2020-11-11 안량준 웨이브 머리카락을 만들기 위한 헤어드라이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4677A (ko) * 2014-08-26 2016-03-07 강철원 긴머리용 헤어드라이기
KR101985160B1 (ko) * 2019-01-17 2019-05-31 (주)인트로퍼블릭 헤어드라이어 및 핸디 청소기용 청소 헤드
KR20200002476U (ko) * 2019-05-03 2020-11-11 안량준 웨이브 머리카락을 만들기 위한 헤어드라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991700B (zh) 手持式器具
US11076671B2 (en) Vacuum assisted systems and methods for grooming hair
KR20140108019A (ko)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
CN104510137A (zh) 手持式器具
US20140190983A1 (en) Towelette Dispenser
KR101392490B1 (ko) 배수구용 머리카락 거름망
KR101859376B1 (ko) 배수구용 머리카락 제거기
CN208339131U (zh) 一种折叠电吹风
US7861362B2 (en) Compound water-wiper apparatus
KR101237680B1 (ko) 헤어드라이어 결착용 모발처리기구
CN201451884U (zh) 带梳子的吹风机
KR20150003074U (ko) 엣지부를 갖는 솔대가 구비된 마스카라 용기
TWM526358U (zh) 濕巾保濕盒蓋
KR200477198Y1 (ko) 가변형 듀얼 브러쉬
CN211559868U (zh) 沐浴刷
CN214677947U (zh) 一种美发设备
KR102499276B1 (ko) 헤어 스타일링 장치
CN208724660U (zh) 一种多功能宠物梳
KR200453815Y1 (ko) 소형가전의 탈부착가능한 전원케이블
KR200436776Y1 (ko) 염색도구
CN208875495U (zh) 一种挤压式化妆品容器
KR100913150B1 (ko) 스패출러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뚜껑 및 화장품 용기
CN208658121U (zh) 一种化妆瓶
JP3058540U (ja) 洗髪洗剤容器
CN205518282U (zh) 一种带有电吹风的沐浴喷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