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6895B1 - 휴대폰 거치대 - Google Patents

휴대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6895B1
KR101236895B1 KR1020110031220A KR20110031220A KR101236895B1 KR 101236895 B1 KR101236895 B1 KR 101236895B1 KR 1020110031220 A KR1020110031220 A KR 1020110031220A KR 20110031220 A KR20110031220 A KR 20110031220A KR 101236895 B1 KR101236895 B1 KR 101236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main body
support
elevating member
operating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1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3486A (ko
Inventor
이계윤
송기수
온도근
Original Assignee
(주)굿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굿센스 filed Critical (주)굿센스
Priority to KR1020110031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6895B1/ko
Publication of KR20120113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3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6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6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 F16B47/003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using adhesives for attaching purpo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6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uction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71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latches,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의 자중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한 휴대폰 거치대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끝단에 흡착판이 설치된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선단에 회전지지부를 장착한 장착부재와, 상기 장착부재의 회전지지부에 휴대폰을 안착시키기 위한 거치부를 장착한 휴대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가이드레일을 형성하고 이 가이드레일의 양측에 고정용 힌지핀을 돌출 형성시킨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가이드레일에 끼워져 안내되는 슬라이더가 중앙에 형성되고, 이 슬라이더 상측에 관통공을 형성하며, 하측에 받침대를 형성하여 휴대폰의 자중에 의해 하강하는 승강부재와; 상기 본체의 힌지핀에 결합되어 일단이 본체의 고정홀에 걸리는 토션스프링과; 상기 본체의 힌지핀에 결합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토션스프링의 타단에 접촉되어 탄성력을 받고 휴대폰의 양측면에 밀착되는 지지봉을 일단에 돌출 형성한 작동레버와; 상기 승강부재의 관통공으로 일단을 관통시키고 타단은 힌지 역할을 하는 작동핀을 탄성편으로 지지하도록 장착하고, 상기 본체의 가이드레일 내측에 형성된 안내홈과 걸림홈을 따라 이동하다가 걸림홈에서 정지되도록 이루어지는 안내부재; 및 휴대폰을 안착 또는 분리할 때 승강부재와 작동레버가 작동할 수 있도록 승강부재 및 작동레버에 상호 맞물려 작동되도록 슬라이딩수단 또는 기어수단이 마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폰 거치대{HOLDER FOR MOBILE PHONE}
본 발명은 휴대폰의 자중을 이용하는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폰을 승강부재의 받침대에 얹으면 휴대폰의 자중에 의하여 승강부재가 하강하면서 작동레버를 회전시켜 휴대폰의 측면을 밀착함으로써 움직이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안착할 수 있으며 분리 역시 매우 편리하도록 한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거치대는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휴대폰을 고정시키는 기구로서, 그 구성은 소정 장소에 장착을 위한 흡착판 또는 고정편을 갖는 장착부재와 이 장착부재에 결합되는 거치부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재는 사무용 책상이나 차량에 사용자가 취급하기 편리하게 설치되고, 상기 거치부를 이용하여 휴대폰을 끼우거나 얹은 상태에서 사용하게 된다.
상기 종래의 거치대는 휴대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석, 접착 패드 또는 파지(把持)를 위한 레버, 기어 및 스프링을 이용하게 된다. 자석을 이용하는 거치대는 휴대폰 배면 및 거치부에 부착된 자성체 및 금속판이 자력에 의해 휴대폰을 고정하게 된다. 상기 자력을 이용하면 탈착의 편리성은 있으나, 자력에 의한 내부회로에 악영향을 발생시킬 수 있고, 부착되는 자석 및 금속판은 휴대폰의 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거치대 중 접착 패드를 사용하는 경우 먼지 등이 묻으면 휴대폰의 접착력 약화로 이어져 충격이 발생하면 휴대폰이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거치대 중 휴대폰을 파지하는 장치들은 탄성본체 및 스프링을 이용하는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00-0003580호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토션 스프링 및 고정홀더를 이용하는 등록특허 제10-0540398호 " 휴대폰 거치대", 스프링과 고정클립을 이용하는 갖는 공개특허 제10--2005-0020901호 "휴대폰 휴대케이스 장치", 스프링과 지지바를 이용하는 공개특허 제10-2007-0059366호 " 휴대폰 충전 거치대" 및 스프링 및 래치트 기구를 이용하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등이 제안되었다.
상기 파지 타입의 거치대들은 휴대폰을 강압적으로 밀어넣으면 스프링의 탄성력을 통해 본체들이 벌어졌다가 다시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휴대폰을 밀착시키는 원리와, 스프링 탄성력에 위해 벌어진 래치트 기구가 좁혀지면서 휴대폰을 밀착시키는 원리를 이용하므로 휴대폰을 거치하기 위해 휴대폰을 강압적으로 밀어넣을 때 거치대가 책상이나 차량의 유리 또는 대시보드로부터 분리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항상 스프링의 강한 탄성력이 휴대폰의 측면을 밀착하므로 분리가 수월하지 못하며, 래치트 기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양손을 사용하여 휴대폰과 래치트 기구를 작동시켜야 하는 불편 때문에 운전에 방해를 끼쳐 위험한 사고를 초래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력을 이용하지 않고 휴대폰의 자중을 이용하여 승강부재를 하강시키면 동시에 작동레버의 회전이 이루어져 휴대폰의 양측면을 밀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내부회로의 악영향을 방지하면서 더욱 간편하고 안전하게 휴대폰을 안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한 휴대폰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폰 거치대는 끝단에 책상 및 차량의 유리면 또는 대시보드에 부착되는 흡착판이 설치된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선단에 각도 조절이 가능한 회전지지부로 이루어지는 장착부재와, 상기 장착부재의 회전지지부에 결합되어 휴대폰을 안착시키기 위한 거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회전지지부에 고정되면서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가이드레일을 형성하고 이 가이드레일의 양측에 고정용 힌지핀을 돌출 형성시킨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가이드레일에 끼워져 상하 이동시 안내되는 슬라이더가 중앙에 형성되고, 이 슬라이더 상측에 관통공을 형성하며, 하측에 휴대폰 하단이 접촉되어 안착하는 받침대를 형성하여 휴대폰의 자중에 의해 하강하는 승강부재와; 상기 본체의 힌지핀에 결합되어 일단이 본체의 고정홀에 걸리는 토션스프링과; 상기 본체의 힌지핀에 결합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토션스프링의 타단에 접촉되어 탄성력을 받고 휴대폰의 양측면에 밀착되는 지지봉을 일단에 돌출 형성한 작동레버와; 상기 승강부재가 하강 상태에서 정지되고 다시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승강부재의 관통공으로 일단을 관통시키고 타단은 힌지 역할을 하는 작동핀을 탄성편으로 지지하도록 승강부재에 장착하고, 상기 본체의 가이드레일 내측에 안내홈과 걸림홈을 형성하여 상기 작동핀이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다가 걸림홈에서 정지되도록 이루어지는 안내부재; 및 휴대폰을 안착시키거나 분리할 때 승강부재와 작동레버가 연동하여 작동할 수 있도록 승강부재 및 작동레버에 상호 맞물려 작동되도록 슬라이딩수단 또는 기어수단이 마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강부재의 받침대 및 작동레버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노출되지 않도록 마련되는 보호커버를 본체에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력을 이용하지 않으므로 휴대폰의 내부회로의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으며, 휴대폰의 자중을 이용하여 승강부재를 하강시키면 동시에 작동레버의 회전이 이루어져 휴대폰의 양측면을 작동레버의 지지봉이 밀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더욱 간편하고 안전하게 휴대폰을 안착하게 되고, 안착된 휴대폰을 인위적인 힘으로 하강시키면 승강부재가 토션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부로 이동하면서 휴대폰 양측면을 밀착하고 있던 작동레버의 지지봉이 벌어짐과 동시에 분리가 이루어지므로 휴대폰의 안착 및 분리가 매우 편리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보호커버를 장착하여 작동하는 부품들의 노출을 차단하므로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를 일부 생략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a 및 3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의 안내부재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휴대폰 거치대를 일부 생략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a 및 6b는 도 5 실시 예의 휴대폰 거치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에 보호커버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따른 휴대폰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a 및 3b는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부호 1은 장착부재, 2는 거치부, 3은 본체, 4는 승강부재, 5는 토션스프링, 6은 작동레버, 7은 안내부재를 나타낸다.
장착부재(1)는 휴대폰이 안착된 거치부(2)를 지지하면서 휴대폰이 사용자의 시선과 일치할 수 있도록 각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갖는 회전지지부(13)와, 상기 회전지지부(13)를 일단에 고정하고 끝단에는 책상 및 차량의 유리면 또는 대시보드에 부착되는 흡착판(11)이 설치된 지지대(12)로 이루어진다. 이 장착부재(1)는 흡착판(11)을 사용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양면테이프 또는 나사못 등을 이용하여 유리면 또는 대시보드 등에 부착할 수 있는 것들을 사용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따라서, 상기 장착부재(1)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모든 것들을 접목하여 사용이 가능하므로 구성 및 작동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은 본 발명의 핵심 기술인 거치부(2)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 2에서와 같이 거치부(2)는 본체(3)와 승강부재(4), 토션스프링(5), 작동레버(6) 및 안내부재(7)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3)는 장착부재(1)의 회전지지부(13)에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도록 고정되면서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가이드레일(31)을 형성하게 되고, 이 가이드레일(31)의 양측에 고정용 힌지핀(32)을 돌출 형성하며, 이 가이드레일(31)의 중앙에는 수직방향으로 단계적으로 높낮이가 변화하는 안내홈(35)과 하측에 걸림홈(35)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부재(4)는 본체(3)의 가이드레일(31)에 끼워져 상하 이동시 안내되도록 판 형태의 슬라이더(41)가 중앙에 형성되고, 이 슬라이더(41) 상측에 관통공(42)을 형성하게 되며, 하측에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휴대폰 하단이 안착하는 받침대(43)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받침대(43)에 휴대폰이 얹히면 휴대폰 자중에 의해 승강부재(4) 전체가 하강할 때 슬라이더(41)는 본체(3)의 가이드레일(31)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토션스프링(5)은 2개가 한 조를 이루면서 작동레버(6) 및 승강부재(4)를 초기 대기 상태로 복귀하는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본체(3)의 힌지핀(32)에 중앙부분이 끼워져 결합되고 일단은 본체(3)의 고정홀(33)에 걸리며, 타단은 작동레버(6)의 측면에 접촉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토션스프링(5)의 일단이 끼워지는 본체(3)의 고정홀(33)은 별도로 성형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체(3)를 형성할 때 무게 및 재료비의 절감을 위하여 내부에 골조(리브)를 형성하고, 이 골조(리브)에 토션스프링(5)의 일단이 걸리도록 변경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작동레버(6)는 2개가 한 조를 이루면서 상기 본체(3)의 힌지핀(32)에 각각 대응하도록 결합된 후 상기 토션스프링(5)의 타단에 의해 탄성력을 제공받으면서 회전하여 승강부재(4)에 안착된 휴대폰의 양측 면을 밀착시킬 수 있도록 지지봉(61)이 일단에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안내부재(7)는 상기 승강부재(4)가 하강 상태에서 정지되고 다시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승강부재(4)의 관통공(42)으로 일단을 관통시키고 타단은 힌지축 역할을 하는 작동핀(71)을 탄성편(72)으로 지지하도록 승강부재(4)에 나사못으로 장착하게 되고, 이 작동핀(71)은 상기 본체(3)의 가이드레일(31) 내측에 형성된 안내홈(34)을 따라 이동하다가 걸림홈(35)에서 정지된 후 재작동에 의해 이동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휴대폰을 안착시키거나 분리할 때 승강부재(4)와 작동레버(6)가 연동하여 작동할 수 있도록 승강부재(4) 및 작동레버(6)에 상호 맞물려 작동되도록 슬라이딩수단 또는 기어수단을 각각 마련하게 된다.
상기 전자의 슬라이딩수단은 도 2에서와 같이 작동레버(6)에 형성된 지지봉(61)의 타측을 연장하여 가이드핀(62)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핀(62)이 끼워진 후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부재(4)에 수평방향으로 안내홈(44)을 형성하며, 승강부재(4)가 상하이동할 때 안내홈(44)에 끼워진 작동레버(6)의 가이드핀(62)이 안내되면서 이동하면 힌지핀(32)을 중심으로 작동레버(6)가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후자의 기어수단은 도 5에서와 같이 작동레버(6)에 형성된 지지봉(61)의 타측에 피니언(63)을 형성하고, 상기 피니언(63)이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부재(4)에 수직방향으로 랙(45)을 형성하며, 승강부재(4)가 상하이동할 때 랙(45)에 맞물린 작동레버(6)의 피니언(63)이 회전하면 힌지핀(32)을 중심으로 작동레버(6)가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도 7에서와 같이 승강부재(4)의 받침대(43) 및 작동레버(6)의 지지봉(61) 부분만 외부로 노출되도록 보호커버(8)를 마련하여 본체(3)에 부착할 수 있다. 상기 보호커버(8)를 본체(3)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우선 본체(3)와 보호커버(8)의 외곽형태를 동일하게 형성하면서 보호커버(8)의 측면과 하측면에 작동레버(6) 및 승강부재(4)의 받침대(43)가 작동할 수 있도록 개방시키게 되고, 본체(3)의 돌출된 상하부분을 이용하여 나사못(81)으로 보호커버(8)를 고정할 수 있게 그 구조를 개량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그리고 승강부재(4)의 받침대(43) 및 작동레버(6)의 지지봉(61)은 휴대폰이 직접 접촉되는 부분이므로 흠집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무 또는 탄성고무를 접착 또는 끼우거나 표면에 피복하여 형성된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46은 승강부재(4)에 장착된 안내부재(7)를 노출되지 않도록 가리는 커버이다.
다음으로,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의 핵심기술인 거치부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승강부재(4) 및 작동레버(6)에 상호 맞물려 작동되는 슬라이딩수단을 구비한 거치부(2)의 작동을 살펴본다.
첨부된 도 3a 상태에서 휴대폰을 승강부재(4)의 받침대(43)에 얹으면 휴대폰 자체의 무게에 의해 승강부재(4)가 하강하게 되고, 승강부재(4)의 하강은 곧 슬라이더(41)가 본체(3)의 가이드레일(31) 안내에 따라 이동하게 되며, 동시에 승강부재(4)의 안내홈(44) 위치가 변화하게 된다.
상기 승강부재(4)의 안내홈(44) 위치 변화는 곧 작동레버(6)의 가이드핀(62)의 위치변화로 이어지고, 상기 가이드핀(62)의 위치변화는 본체(3)의 힌지핀(32)을 중심으로 작동레버(6)가 회전하여 일단에 형성된 지지봉(61)이 상측으로 선회하여 도 3b에서와 같이 휴대폰의 측면을 밀착하게 된다.
상기 휴대폰의 자중에 의하여 승강부재(4)가 하강할 때 연동하는 작동레버(6)에 토션스프링(5)의 탄성력이 작용하므로 승강부재(4)는 느린 하강이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부재(4) 하강을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휴대폰을 잡은 손으로 힘을 부가하여 누르면 빠른 휴대폰의 하강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승강부재(4)가 하강할 때 연동하여 작동레버(6)의 회전만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승강부재(4)에 장착되어 있는 안내부재(7)도 함께 하강하게 된다.
상기 안내부재(7)가 하강하면 탄성편(72)에 의해 지지되는 작동핀(71)의 상측에 위치하는 자유단이 하측에 위치하는 고정단을 축으로 본체(3)의 안내홈(34)을 따라 도 4 (a) 내지(f)에서와 같이 좌우로 이동하면서 작동하게 된다.
이때 작동핀(71)의 자유단은 도 4의 (a) 내지 (c)와 같이 안내홈(34)을 따라 하강하다가 도 4의 (d)의 위치에 도달하면 높이가 낮아진 안내홈(34)의 안내를 받은 후 상승하여 도 4의 (e)에서와 같이 걸림홈(35)에 걸려 정지된 상태가 되므로 승강부재(4) 역시 정지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핀(71)의 정지와 함께 승강부재(4) 역시 이동이 정지된 상태이고, 작동레버(6)의 지지봉(61)은 회전한 후 휴대폰의 양측면을 밀착하고 있는 상태로서 휴대폰의 안착 과정이 완료된 매우 안정적인 휴대폰 고정상태가 된다.
상기 상태로 휴대폰을 안착하여 사용하다가 휴대폰을 분리하여 휴대하기 위해서는 휴대폰의 상단부분에 인위적인 힘을 가해 하측으로 누르면 휴대폰을 안착시키고 있던 승강부재(4)가 함께 하강하면서 도 4의 (f)에서와 같이 작동핀(71)은 다시 높이가 낮아진 안내홈(34)으로 낙하한 후 토션스프링(5)의 복원력으로 상승하면서 안내되어 도 4의 (g)에서 도 4의 (a)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승강부재(4)에 장착된 안내부재(7)의 작동핀(71)이 승강부재(4)의 상하 작동시 본체(3)의 안내홈(34)을 따라 상하 이동하다가 1차적으로 본체(3)의 걸림홈(35)에 걸려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다시 원상태로 승강부재(4)가 상승하는 2차 과정을 행하게 된다. 상기 과정 중 승강부재(4)의 하강 및 상승 과정에서 승강부재(4)의 안내홈(44)에 끼워진 작동레버(6)의 가이드핀(62) 이동으로 이어지고 이에 대응하는 지지봉(61)은 작동레버(6)가 힌지핀(3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휴대폰의 측면을 밀착하여 고정하거나 이격되어 편리하게 휴대폰을 안착 및 분리 가능하도록 작동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승강부재(4) 및 작동레버(6)에 상호 맞물려 작동되는 기어수단을 구비한 거치부(2)의 작동을 도 5와 도 6a 및 6b를 통해 살펴본다.
기어수단을 구비한 거치부(2)는 승강부재(4)의 수직방향에 형성된 랙(45)에 작동레버(6)에 형성된 피니언(63)이 맞물려 회전하도록 이루어진 것으로, 첨부된 도 6a의 상태에서 휴대폰을 승강부재(4)의 받침대(43)에 얹은 후 자중 및 인위적인 힘을 가해 승강부재(4)를 도 6b와 같이 하강시키면 랙(45)에 맞물린 작동레버(6)의 피니언(63)이 회전하게 되고 동시에 힌지핀(32)을 중심으로 작동레버(6) 전체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안내부재(7)의 작동핀(71)은 상기 슬라이딩수단의 작동과 동일하게 본체(3)의 안내홈(34)을 따라 이동하면서 걸림홈(35)에 걸려 고정되고, 다시 안내홈(34)을 따라 상승하여 승강부재(4)에 안착되어 있는 휴대폰의 분리 또는 안착을 위한 초기 상태로 안내하게 된다.
한편, 도 6b와 같이 휴대폰과 함께 승강부재(4)가 하강하면 랙(45)에 맞물린 작동레버(6)의 피니언(63)이 회전하여 힌지핀(32)을 중심으로 작동레버(6) 전체가 회전하게 되고, 이때 작동레버(6)의 지지봉(61)은 휴대폰의 양측면을 밀착하는 상태로서 휴대폰의 안착 과정이 완료된 매우 안정적인 휴대폰 고정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상기 상태로 휴대폰을 안착하여 사용하다가 휴대폰을 분리하여 휴대하기 위해서는 휴대폰의 상단부분에 인위적인 힘을 가해 하측으로 누르면 휴대폰을 안착시키고 있던 승강부재(4)가 함께 하강하면서 도 4의 (f)에서와 같이 작동핀(71)은 다시 높이가 낮아진 안내홈(34)으로 낙하한 후 안내를 받아 상승하여 도 4의 (g)에서 도 4의 (a)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때 승강부재(4)가 상승하면 랙(45)에 맞물린 작동레버(6)의 피니언(63)이 회전하여 힌지핀(32)을 중심으로 작동레버(6) 전체가 회전하게 되고, 곧 작동레버(6)의 지지봉(61)은 휴대폰의 양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초기상태로 복귀되므로 휴대폰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승강부재(4)에 장착된 안내부재(7)의 작동핀(71)이 승강부재(4)의 상하 작동시 본체(3)의 안내홈(34)을 따라 상하 이동하다가 1차적으로 본체(3)의 걸림홈(35)에 걸려 정지상태를 유지하고, 다시 원상태로 승강부재(4)가 상승하는 2차 과정을 행하게 된다. 상기 과정 중 승강부재(4)의 하강 및 상승 과정에서 승강부재(4)의 랙(45)에 맞물린 작동레버(6)의 피니언(63) 회전으로 이어지고 이에 대응하는 지지봉(61)은 작동레버(6)가 힌지핀(3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휴대폰의 측면을 밀착하여 고정하거나 이격되어 편리하게 휴대폰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작동되는 것이다.
한편, 도 7에서와 같이 나사못(81)에 의해 본체(3)에 고정되는 보호커버(8)를 마련하면, 보호커버(8)의 측면 개방부분으로 작동레버(6) 및 승강부재(4)의 받침대(43)만 노출된 상태로 작동되므로 외관이 미려한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상기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실시 예를 적절히 변형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하여야 할 것이다.
1: 장착부재 11: 흡착판
12: 지지대 13: 회전지지부
2: 거치부 3: 본체
31: 가이드레일 32: 힌지핀
33: 고정홀 34: 안내홈
35: 걸림홈 4: 승강부재
41: 슬라이더 42: 관통공
43: 받침대 44: 안내홈
45: 랙 5: 토션스프링
6: 작동레버 61: 지지봉
62: 가이드핀 63: 피니언
7: 안내부재 71: 작동핀
72: 탄성편 8: 보호커버
81: 나사못

Claims (4)

  1. 끝단에는 책상 및 차량의 유리면 또는 대시보드에 부착되는 흡착판(11)이 설치된 지지대(12) 및 상기 지지대(12)의 선단에 각도 조절이 가능한 회전지지부(13)로 이루어지는 장착부재(1)와, 상기 장착부재(1)의 회전지지부(13)에 결합되어 휴대폰을 안착하기 위한 거치부(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2)는 ,
    상기 회전지지부(13)에 고정되면서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가이드레일(31)을 형성하고 이 가이드레일(31)의 양측에 고정용 힌지핀(32)을 돌출 형성시킨 본체(3)와;
    상기 본체(3)의 가이드레일(31)에 끼워져 상하 이동시 안내되는 슬라이더(41)가 중앙에 형성되고, 이 슬라이더(41) 상측에 관통공(42)을 형성하며, 하측에 휴대폰 하단이 접촉되어 안착하는 받침대(43)를 형성하여 휴대폰의 자중에 의해 하강하는 승강부재(4)와;
    상기 본체(3)의 힌지핀(32)에 결합되어 일단이 본체(3)의 고정홀(33)에 걸리는 토션스프링((5)과;
    상기 본체(3)의 힌지핀(32)에 결합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토션스프링(5)의 타단에 접촉되어 탄성력을 받고 휴대폰의 양측면에 밀착되는 지지봉(61)을 일단에 돌출 형성한 작동레버(6)와;
    상기 승강부재(4)가 하강 상태에서 정지되고 다시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승강부재(4)의 관통공(42)으로 일단을 관통시키고 타단은 힌지 역할을 하는 작동핀(71)을 탄성편(72)으로 지지하도록 승강부재(4)에 장착하고, 상기 본체(3)의 가이드레일(31) 내측에 안내홈(34)과 걸림홈(35)을 형성하여 상기 작동핀(71)이 상기 안내홈(34)을 따라 이동하다가 걸림홈(35)에서 정지되도록 이루어지는 안내부재(7); 및
    휴대폰을 안착시키거나 분리할 때 승강부재(4)와 작동레버(6)가 연동하여 작동할 수 있도록 승강부재(4) 및 작동레버(6)에 상호 맞물려 작동되도록 슬라이딩수단 또는 기어수단이 마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4)와 작동레버(6)를 연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딩수단은,
    상기 작동레버(6)에 형성된 지지봉(61)의 타측을 연장하여 가이드핀(62)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핀(62)이 끼워진 후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부재(4)에 수평방향으로 안내홈(44)을 형성하며, 승강부재(4)가 상하이동할 때 안내홈(44)에 끼워진 작동레버(6)의 가이드핀(62)이 안내되어 이동하면 힌지핀(32)을 중심으로 작동레버(6)가 회전하도록 이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4)와 작동레버(6)를 연동시키기 위한 기어수단은,
    상기 작동레버(6)에 형성된 지지봉(61)의 타측에 피니언(63)을 형성하고, 상기 피니언(63)이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부재(4)에 수직방향으로 랙(45)을 형성하며, 승강부재(4)가 상하이동할 때 랙(45)에 맞물린 작동레버(6)의 피니언(63)이 회전하면 힌지핀(32)을 중심으로 작동레버(6)가 회전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4)의 받침대(43) 및 작동레버(6)의 지지봉(61) 부분만 외부로 노출되도록 나사못(81)에 의해 본체(3)에 장착되는 보호커버(8)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대.
KR1020110031220A 2011-04-05 2011-04-05 휴대폰 거치대 KR101236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1220A KR101236895B1 (ko) 2011-04-05 2011-04-05 휴대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1220A KR101236895B1 (ko) 2011-04-05 2011-04-05 휴대폰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3486A KR20120113486A (ko) 2012-10-15
KR101236895B1 true KR101236895B1 (ko) 2013-02-27

Family

ID=47283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1220A KR101236895B1 (ko) 2011-04-05 2011-04-05 휴대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68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9239B1 (ko) 2014-03-13 2015-10-14 박성남 모바일기기용 거치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430B1 (ko) * 2014-08-06 2015-06-10 주식회사 프리텍 날개 연동식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KR101628630B1 (ko) * 2015-09-03 2016-06-08 윤양준 휴대단말기 거치대
CN107404555A (zh) * 2016-05-21 2017-11-28 麦广树 具有宽度自适应机构的手机架
JP6528045B2 (ja) * 2016-12-20 2019-06-12 株式会社ユピテル 車載機器
CN106585508B (zh) * 2017-02-06 2019-04-23 成都锐奕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折叠式车载移动终端固定架
CN110784577A (zh) * 2019-10-24 2020-02-11 江苏天隆富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具有升降支架的手机
CN211943169U (zh) * 2020-04-22 2020-11-17 苏州车邦智能科技有限公司 车载电子产品充电座
CN114030426B (zh) * 2021-11-29 2023-09-26 深圳市欧凯德科技有限公司 一种多向车载支架
KR102510075B1 (ko) * 2022-08-01 2023-03-14 주식회사 쎄쎄쎄 송도점 맞춤형 음식 세트 제공 시스템
KR102606301B1 (ko) * 2022-12-26 2023-11-27 (주)테이스티브라더스 Erp시스템에 기반한 브랜치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8182Y1 (ko) 1999-08-28 2000-02-15 안인기 휴대폰착탈장치
KR200220934Y1 (ko) 2000-11-09 2001-04-16 이건식 차량용 핸즈프리 키트
KR100361686B1 (ko) 1999-12-11 2002-11-2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컵홀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8182Y1 (ko) 1999-08-28 2000-02-15 안인기 휴대폰착탈장치
KR100361686B1 (ko) 1999-12-11 2002-11-2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컵홀더
KR200220934Y1 (ko) 2000-11-09 2001-04-16 이건식 차량용 핸즈프리 키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9239B1 (ko) 2014-03-13 2015-10-14 박성남 모바일기기용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3486A (ko) 2012-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6895B1 (ko) 휴대폰 거치대
JP6422741B2 (ja) 車両用スマートフォン据置台
EP2209289B1 (en) Universal holder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
KR100996722B1 (ko) 휴대기기용 수납케이스
CN105691317B (zh) 用于车辆座椅的电子设备夹持装置
KR101426915B1 (ko)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장치
CN207997821U (zh) 用于放置电子设备的智能型电动支架
KR20080035316A (ko) 휴대 단말기의 내장형 배터리팩 커버 락킹 장치
CN205039868U (zh) 一种手机界面放大装置
CN107589853B (zh) 一种计算机用键盘
WO2015057851A1 (en) Mobile device holder
WO2008097032A1 (en) Multi-purpose mobile phone station
KR101494800B1 (ko) 절첩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JP6236234B2 (ja) 貯蔵庫の扉開閉構造
JP2012224237A (ja) スマートフォンの取付構造
CN109040390B (zh) 电子设备支架
CN108819865B (zh) 一种手机重力支架
CN213935458U (zh) 一种可收放手机支架的显示设备
KR20120113487A (ko) 휴대폰 거치대
CN210106983U (zh) 一种教学书本辅助固定装置
JP2012011108A (ja) 物干しアーム取り付け支柱の昇降装置
CN111137402A (zh) 驾控台功能单元
JP3132879U (ja) 杖固定具および杖固定具を有する杖
CN213502127U (zh) 一种仪表台副驾驶侧上的装饰板
CN106686189A (zh) 一种具有智能手机控制的汽车音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