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6468B1 -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 - Google Patents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6468B1
KR101236468B1 KR1020120039979A KR20120039979A KR101236468B1 KR 101236468 B1 KR101236468 B1 KR 101236468B1 KR 1020120039979 A KR1020120039979 A KR 1020120039979A KR 20120039979 A KR20120039979 A KR 20120039979A KR 101236468 B1 KR101236468 B1 KR 101236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ing
piston
valve
pressure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9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요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일루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일루브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일루브텍
Priority to KR1020120039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64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6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6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6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 F16K11/07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with cylindrical sl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16K17/06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opening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 F16K27/041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cylindrical slide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30Details
    • F16K3/314Forms or constructions of slides; Attachment of the slide to the spi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03Multiple-way valves
    • F16K31/061Sliding valves
    • F16K31/0613Sliding valves with cylindrical sl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Abstract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를 개시한다. 상기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는 압력유체 유입구로 공급되는 압력유체에 의해 발생하는 관로 내의 압력을 제어하는 컨트롤 밸브부; 상기 컨트롤 밸브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압력유체를 제1스위칭 유로 또는 제 2스위칭 유로로 배출시키도록, 그루브가 형성된 스위칭 피스톤을 구비한 스위칭 밸브부; 및 상기 제1 스위칭 유로 또는 상기 상기 제2스위칭 유로로 인입된 상기 압력유체에 의하여 동작하면서 상기 압력유체 유입구로 공급되는 압력유체를 제1토출구 또는 제2토출구 중 어느 하나로 흐르도록 그루브가 형성된 메인 피스톤을 구비한 메인 밸브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토출구 및 상기 제2토출구 중 어느 하나는 하는 상기 압력유체를 토출시키며, 다른 하나는 압력이 해제된 유체를 방출구로 방출시키도록 상기 방출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Pressure Controlled Flow Change-over Valve}
본 발명은 방향절환 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력식 및 모듈러식 방향절환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의 수동식 방향절환 밸브를 사용한 공압 또는 유압시스템으로서, 크게 압력 유체 공급원, 방향절환 밸브, 액츄에이터로 구성되어 있다.
압력유체 공급원은 유압시스템에서는 유압펌프를, 공압시스템에서는 공기 압축기를 사용하게 된다. 액츄에이터는 유입되는 압력유체의 힘으로 로드를 전후진 시켜 동력을 전달하는 기구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압력유체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압력유체(압축 공기 또는 유압 오일)가 방향절환 밸브의 유입구 P로 유입된 후 밸브 내부를 거쳐 출구 A로 토출된 후 관로 A를 통해 이동하여 액츄에이터 포트 A를 통해 액츄에이터 내로 유입되어 액츄에이터 피스톤을 가압하여 동 피스톤에 연결되어 있는 로드를 후진시키는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액츄에이터 포트 A로 유입된 압력 유체가 피스톤을 우측에서 좌측으로 미는 동안 피스톤의 좌측에 있는 유체는 액츄에이터 포트 B를 통해 관로 B를 거쳐 방향절환 밸브의 출구 B로 유입된 후 밸브 내부를 거쳐 방출구 T로 이동된다. 압력유체가 압축 공기인 경우 방출구 T를 통과한 압력유체는 대기로 방출되고 압력유체가 유압오일인 경우에는 배유관을 통해 탱크로 되돌아가게 된다.
액츄에이터의 피스톤이 좌측 끝까지 이동하고 나면 압력 유체를 계속 공급하여도 액츄에이터의 동작은 더 이상 발생하지 않는다. 액츄에이터의 로드가 튀어 나오도록 하려면 피스톤의 좌측으로 즉 액츄에이터 포트 B로 압력유체가 공급되도록 해야 한다. 압력유체의 흐름을 바뀌도록 하는 것 즉 흐름을 절환시키는 것이 필요하고 이 목적은 수동식 방향절환 밸브를 통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수동식 방향절환 밸브의 손잡이를 앞으로 당겨 밸브 내부의 유로 구조가 변경된 상태로서 압력유체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압력유체(압축 공기 또는 유압 오일)가 방향절환 밸브의 유입구 P로 유입된 후 밸브 내부를 거쳐 출구 B로 토출된 후 관로 B를 통해 이동하여 액츄에이터 포트 B를 통해 액츄에이터 내로 유입되어 액츄에이터 피스톤을 가압하여 동 피스톤에 연결되어 있는 로드를 전진시킬 수 있다.
액츄에이터 포트 B로 유입된 압력 유체가 피스톤을 좌측에서 우측으로 미는 동안 피스톤의 우측에 있는 유체는 액츄에이터 포트 A를 통해 관로 A를 거쳐 방향절환 밸브의 출구 A로 유입된 후 밸브 내부를 거쳐 방출구로 이송된다. 압력유체가 압축 공기인 경우 방출구를 통과한 압력유체는 대기로 방출되고 압력유체가 유압오일인 경우에는 배유관을 통해 탱크로 되돌아가게 된다.
도 1의 과정을 통해 액츄에이터는 1회의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단 수동식 방향절환 밸브를 적용하였으므로 액츄에이터의 전진 후진 완료 상태를 육안 확인 후 방향절환 밸브를 조작해 주어야 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솔레노이드 구동형 방향절환 밸브를 사용한 윤활시스템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윤활제가 토출구 A 방향으로 토출되는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솔레노이드 구동형 방향절환 밸브를 사용한 윤활시스템으로서, 크게 윤활펌프, 솔레노이드 구동형 방향절환 밸브, 압력스위치, 복수 개의 윤활 밸브(1000)로 구성되어 있다. 윤활펌프는 윤활제(그리스 또는 윤활유)를 토출시켜 윤활 밸브(1000)를 거쳐 윤활을 필요로 하는 마찰 개소(통상 베어링)에 윤활제가 공급되도록 하는 장치이고, 솔레노이드 구동형 방향절환 밸브는 솔레노이드 즉 전자석의 힘으로 밸브 내에 있는 피스톤을 움직여 유로의 절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향절환 밸브이며, 윤활 밸브(1000)는 유입되는 윤활제의 압력에 의해 파일롯 피스톤(1001)과 계량변 피스톤이 동작하여 일정량의 윤활제가 윤활개소로 공급되도록 하는 밸브로서, 파일롯 피스톤(1001)과 계량 피스톤(1002)은 일회의 행정이 이루어지면 더 이상 동작하지 않도록 되어 있어, 펌프가 윤활제를 계속 토출시키면 관로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일정압력을 압력스위치에 설정해 놓으면 설정된 압력에서 압력스위치가 작동하여 펌프를 멈추고, 방향절환 밸브를 작동시켜 압력이 작용하는 공급관로를 절환시키도록 함으로써 다시 펌프가 가동하여 윤활제를 공급할 때는 반대편 공급관로로 윤활제가 흐르고 윤활 밸브(1000)의 반대편 공급구로 유입되어 각 피스톤을 동작시킴으로써 다른 쪽 토출구로 윤활제가 토출되도록 한다.
통상 윤활 분배변은 관로 상에 복수 개 구비하여 복수 개의 마찰 개소에 급유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2를 보면 윤활펌프로부터 토출된 윤활제가 방향절환 밸브의 유입구 P로 유입된 후 밸브 내부를 거쳐 출구 A로 토출된 후, 관로 A를 통해 이동하여 윤활 밸브(1000) 공급구 A를 통해 윤활 밸브(1000) 내로 유입되어 파일롯 피스톤(1001)을 위로 밀어 올린 후, 유로 A를 통해서 계량변 피스톤을 밀어 올리게 되는데, 이때 계량 피스톤(1002) 상부에 차 있던 윤활제가 유로 B를 통과하여 파일롯 피스톤(1001)을 거친 후 토출구 B로 토출되어 나오게 된다. 토출구 B로 나온 윤활제는 배관을 통해 마찰개소로 보내지게 된다.
파일롯 피스톤(1001)을 밀어 올리는 과정에서 파일롯 피스톤(1001) 상부에 차 있던 윤활제는 윤활 밸브(1000)의 공급구 B를 통해 밀려나가서 관로 B를 거쳐 방향절환 밸브의 출구 B로 들어간 후 내부유로를 거쳐 방출구 T를 거쳐 펌프탱크로 되돌아 가게 된다.
파일롯 피스톤(1001)과 계량변 피스톤의 상향 행정이 이루어지면서 윤활 밸브(1000)의 공급구 A로 윤활제가 가압되어 들어와도 윤활제가 이동할 공간이 없게 되며 이로 인해 관로 A에서는 압력이 계속 상승하게 된다. 압력스위치는 설정된 압력에서 스위치 작동을 하는 계기로서 관로 A의 압력이 압력스위치에 설정된 압력에 도달하면 압력스위치가 작동하여 윤활펌프를 정지시키도록 하고 솔레노이드 구동형 방향절환 밸브의 유로가 절환되어 가압되는 관로가 관로 A에서 관로 B로 바뀌도록 한다.
도 2를 보면 윤활펌프로부터 토출된 윤활제가 방향절환 밸브의 유입구 P로유입된 후 밸브 내부를 거쳐 출구 B로 토출된 후, 관로 B를 통해 이동하여 윤활 밸브(1000) 공급구 B를 통해 윤활 밸브(1000) 내로 유입되어 파일롯 피스톤(1001)을 아래로 밀어 내린 후, 유로 B를 통해서 계량변 피스톤을 밀어 내리게 되는데, 이때 계량 피스톤(1002) 하부에 차 있던 윤활제가 유로 A를 통과하여 파일롯 피스톤(1001)을 거친 후 제1토출구로 토출되어 나오게 된다. 토출구 A로 나온 윤활제는 배관을 통해 마찰개소로 보내지게 된다.
파일롯 피스톤(1001)을 밀어 내리는 과정에서 파일롯 피스톤(1001) 하부에 차 있던 윤활제는 윤활 밸브(1000)의 공급구 A를 통해 밀려나가서 관로 A를 거쳐 방향절환 밸브의 출구 A로들어간 후 내부유로를 거쳐 방출구 T를 거쳐 펌프탱크로 되돌아 가게 된다.
파일롯 피스톤(1001)과 계량변 피스톤의 하향 행정이 이루어지면서 윤활 밸브(1000)의 공급구 B로 윤활제가 가압되어 들어와도 윤활제가 이동할 공간이 없게 되며, 이로 인해 관로 B에서는 압력이 계속 상승하게 된다. 압력스위치는 설정된 압력에서 스위치 작동을 하는 계기로서 관로 B의 압력이 압력스위치에 설정된 압력에 도달하면 압력스위치가 작동하여 윤활펌프를 정지시키도록 하고, 솔레노이드 구동형 방향절환 밸브의 유로가 절환되어 가압되는 관로가 관로 B에서 관로 A로 바뀌도록 한다.
도 2를 통해 윤활 밸브(1000)의 각 피스톤은 1회의 왕복운동을 하게 되고 두 개의 토출구로 윤활제가 토출되게 된다.
여기서 솔레노이드 구동형 방향절환 밸브를 적용하였으므로 방향절환 밸브를 구동하기 위하여 전기적인 장치가 구비되어야 하며 또한 압력스위치도 구비하여야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보다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이 용이하며 확실한 작동으로 성능이 보증되는 압력식 방향전환 밸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일정 압력에 따라 유체의 흐름을 자동 전환시킬 수 있는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모듈러 형태로 조립가능한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는 유입구로 공급되는 압력유체에 의해 발생하는 관로 내의 압력을 제어하는 컨트롤 밸브부; 상기 컨트롤 밸브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압력유체가 제1스위칭 유로 또는 제 2스위칭 유로로 배출되도록 그루브가 형성된 스위칭 피스톤을 구비한 스위칭 밸브부; 및 상기 제1 스위칭 유로 또는 상기 제2스위칭 유로로 인입된 상기 압력유체에 의하여 동작하면서 상기 유입구로 공급되는 압력유체를 제1토출구 또는 제2토출구 중 어느 하나로 흐르도록 그루브가 형성된 메인 피스톤을 구비한 메인 밸브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토출구 및 상기 제2토출구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압력유체를 토출시키면, 다른 하나는 압력이 해제된 유체를 방출구로 방출시키도록 상기 방출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밸브는 상기 스위칭 피스톤 및 상기 메인 피스톤 양단에 자석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컨트롤 밸브부는, 상기 압력유체 유입구와 연결된 컨트롤 유로가 파일롯 유로로 개폐되도록 하는 컨트롤 피스톤; 상기 컨트롤 피스톤에 반발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컨트롤 피스톤 상부에 구비된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의 반발력을 조절하도록 상기 컨프롤 피스톤을 감싸도록 형성된 압력조정캡을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의 반발력은, 상기 압력조정캡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위칭 밸브부는 일단이 상기 제1토출유로와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제2토출유로와 연결되도록 구성된 스위칭 밸브부 챔버; 및 상기 스위칭 밸브부 챔버 내에 구비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3개의 그루브가 형성된 스위칭 피스톤을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 밸브부 챔버 측면의 일단은 상기 컨트롤 밸브부와 연결된 파일롯 유로와 연결되며, 상기 타단은 2개의 스위칭 유로와 연결되되, 상기 2개의 스위칭 유로 중 한 개는 상기 스위칭 피스톤의 가운데 그루브를 통해 파일롯 유로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위칭 밸브부는, 일단이 상기 제1토출유로와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제2토출유로와 연결되도록 구성된 스위칭 밸브부 챔버; 및 상기 스위칭 밸브부 챔버 내에 구비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2개의 그루브가 형성된 스위칭 피스톤을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 밸브부 챔버 측면의 일단은 상기 컨트롤 밸브부와 연결된 파일롯 유로와 연결되며, 상기 타단은 2개의 스위칭 유로와 연결되되, 상기 2개의 스위칭 유로 중 한 개는 상기 스위칭 피스톤의 그루브를 통해 파일롯 유로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 밸브부는 일단이 상기 제1스위칭 유로와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제2스위칭 유로와 연결되는 챔버; 상기 챔버 내에 구비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3개의 랜드부가 형성된 메인 피스톤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밸브부 측면부는 메인 유로, 제1토출유로, 제2토출유로, 제1방출유로, 제2방출유로와 연결되되, 상기 각 유로들 각각은 메인 피스톤의 움직임에 따라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 밸브부는 일단이 상기 제1스위칭 유로와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제2스위칭 유로와 연결되는 챔버; 상기 챔버 내에 구비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4개의 그루브가 형성된 메인 피스톤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밸브부 측면부는 메인 유로, 제1토출유로, 제2토출유로, 제1방출유로, 제2방출유로와 연결되되, 상기 각 유로들 각각은 메인 피스톤의 움직임에 따라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모듈러형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는 파일롯 유로를 통해 제공되는 압력유체를 제1스위칭 유로 또는 제 2스위칭 유로로 배출되도록 그루브가 형성된 스위칭 피스톤을 구비한 스위칭 밸브부가 구비된 제1모듈; 및 상기 제1모듈과 착탈되며, 상기 제1 스위칭 유로 또는 상기 제2스위칭 유로로 인입된 상기 압력유체에 의하여 동작하면서 유입구로 공급되는 압력유체를 제1토출구 또는 제2토출구 중 어느 하나로 흐르도록 그루브가 형성된 메인 피스톤을 구비한 메인 밸브부가 구비된 제2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모듈 또는 상기 제2모듈 중 어느 하나는 유입구로 공급되는 압력유체에 의해 발생하는 관로 내의 압력을 제어하는 컨트롤 밸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밸브는 상기 스위칭 피스톤 및 상기 메인 피스톤 양단에 자석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컨트롤 밸브부는, 상기 압력유체 유입구와 연결된 컨트롤 유로가 파일롯 유로로 개폐되도록 하는 컨트롤 피스톤; 상기 컨트롤 피스톤에 반발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컨트롤 피스톤 상부에 구비된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의 반발력을 조절하도록 상기 컨프롤 피스톤을 감싸도록 형성된 압력조정캡을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의 반발력은, 상기 압력조정캡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위칭 밸브부는 일단이 상기 제1토출유로와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제2토출유로와 연결되도록 구성된 스위칭 밸브부 챔버; 및 상기 스위칭 밸브부 챔버 내에 구비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3개의 그루브가 형성된 스위칭 피스톤을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 밸브부 챔버 측면의 일단은 상기 컨트롤 밸브부와 연결된 파일롯 유로와 연결되며, 상기 타단은 2개의 스위칭 유로와 연결되되, 상기 2개의 스위칭 유로 중 한 개는 상기 스위칭 피스톤의 가운데 그루브를 통해 파일롯 유로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위칭 밸브부는, 일단이 상기 제1토출유로와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제2토출유로와 연결되도록 구성된 스위칭 밸브부 챔버; 및 상기 스위칭 밸브부 챔버 내에 구비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2개의 그루브가 형성된 스위칭 피스톤을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 밸브부 챔버 측면의 일단은 상기 컨트롤 밸브부와 연결된 파일롯 유로와 연결되며, 상기 타단은 2개의 스위칭 유로와 연결되되, 상기 2개의 스위칭 유로 중 한 개는 상기 스위칭 피스톤의 그루브를 통해 파일롯 유로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 밸브부는 일단이 상기 제1스위칭 유로와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제2스위칭 유로와 연결되는 챔버; 상기 챔버 내에 구비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3개의 그루브가 형성된 메인 피스톤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밸브부 측면부는 메인 유로, 제1토출유로, 제2토출유로, 제1방출유로, 제2방출유로와 연결되되, 상기 각 유로들 각각은 메인 피스톤의 움직임에 따라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 밸브부는 일단이 상기 제1스위칭 유로와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제2스위칭 유로와 연결되는 챔버; 상기 챔버 내에 구비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2개의 그루브가 형성된 메인 피스톤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밸브부 측면부는 메인 유로, 제1토출유로, 제2토출유로, 제1방출유로, 제2방출유로와 연결되되, 상기 각 유로들 각각은 메인 피스톤의 움직임에 따라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는 수동식 방향절환 밸브나 솔레노이드 구동식 방향절환 밸브와 달리 사람의 인력이나 전기적 장치 없이 유체 흐름을 자동 절환할 수 있어 조작이 편리하고 구조가 단순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수동조작 방향절환 밸브를 사용한 공압 또는 유압 시스템의 도시한 블럭도이며, 액츄에이터의 전진동작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솔레노이드 구동형 방향절환 밸브를 사용한 윤활시스템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윤활제가 토출구 A 방향으로 토출되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의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3에 도시된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의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5에 도시된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의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8a 내지 도 8c는 도 7에 도시된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의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도 9에 도시된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의 모듈러형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도 11에 도시된 모듈러형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의 모듈러형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도 13에 도시된 모듈러형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5은 본 발명의 제7실시 예의 모듈러형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6a 내지 도 16c는 도 15에 도시된 모듈러형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8실시 예의 모듈러형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8a 내지 도 18c는 도 17에 도시된 모듈러형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 내지 제4실시 예에 기재된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의 전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 내지 제4실시 예에 기재된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의 후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5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의 사시도이다.
도 26는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의 사시도이다.
도 27는 본 발명의 제7실시 예에 따른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의 사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8실시 예에 따른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의 사시도이다.
도 29은 본 발명의 제9실시 예에 따른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의 사시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 내지 제8실시 예에 기재된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의 전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 내지 제8실시 예에 기재된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의 후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제1실시 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의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의 단면도를 나타내며, 도 4a 내지 도 4c는 도 3에 도시된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100)는 밸브 몸체부(150), 컨트롤 밸브부(120), 스위칭 밸브부(130) 및 메인 밸브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밸브 몸체부(150)는 압력 유체 유입구(IN), 방출구(P3, P4), 토출구(P1, P2)가 형성되며, 내부에 복수 개의 유로들이 형성된다.
상기 복수 개의 유로들은 파일롯 유로(125), 컨트롤 유로(124), 제1토출 유로(126a), 제2토출 유로(126b), 제1스위칭 유로(133a), 제2스위칭 유로(133b), 제1방출 유로(134a), 제2방출 유로(134b), 제3방출 유로(134c), 제4방출 유로(134d)를 포함한다.
상기 컨트롤 밸브부(120)는 압력유체 유입구(IN)로 공급되는 압력유체에 의해 발생하는 관로 내의 압력을 제어한다.
상기 컨트롤 밸브부(120)는 컨트롤 피스톤(122), 스프링(123), 압력 조정 캡(121)을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 피스톤(120)은 상기 압력유체 유입구(IN)와 연결된 상기 컨트롤 유로(124) 파일롯 유로로 개폐되도록 하는 피스톤이며, 상기 스프링(123)은 상기 컨트롤 피스톤(120)에 반발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컨트롤 피스톤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 압력 조정 캡(121)은 상기 스프링(123)의 반발력을 조절하도록 상기 컨트롤 피스톤(122)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123)의 반발력은 상기 압력 조정 캡(121)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조절된다. 예컨대, 압력 조정 캡(121)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돌려 스프링의 반발력을 크게 하여 동작 압력을 높이거나 스프링(123)의 반발력을 작게 하여 동작 압력을 낮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스위칭 밸브부(130)는 상기 밸브 몸체부(150) 내에 구비되며, 상기 컨트롤 밸브부(120)의 동작에 따라 상기 압력유체 제1스위칭 유로(133a) 또는 제 2스위칭 유로(133b)로 배출되도록 그루브가 형성된 스위칭 피스톤(131)을 포함한다.
상기 스위칭 밸브부(130)는 스위칭 밸브 챔버(132) 및 스위칭 피스톤(131)을 포함한다. 상기 스위칭 밸브부(130)는 일단이 제1 토출유로(126a)와 연결되며, 타단이 제2 토출유로(126b)와 연결된다. 또한, 측면부의 일단은 상기 파일롯 유로(125)와 연결되며, 측면부의 타단은 제1스위칭 유로(133a) 및 제2스위칭 유로(133b)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1스위칭 유로(133a) 및 상기 제2스위칭 유로(133b)는 각각 2개의 유로로 구성되며, 상기 제1스위칭 유로(133a) 중 하나는 제1 방출유로(134a)와 연결되며, 다른 하나는 상기 메인 밸브부(160)의 일단과 연결된다.
상기 제2스위칭 유로(133b) 중 하나는 제2방출 유로(134b)와 연결되며, 다른 하나는 상기 메인 밸브부(160)의 타단과 연결된다.
상기 스위칭 피스톤(131)은 3단형 피스톤으로서, 챔버의 내경면에 밀착되는 3개의 랜드부와 랜드부 사이에는 압력유체를 수용할 수 있는 그루브 2개가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위칭 밸브 챔버(132) 내의 스위칭 피스톤(131)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움직임에 따라 상기 그루브를 통해 유로들이 연결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컨대, 상기 스위칭 피스톤(131)이 하방에 있을 때, 파일롯 유로(125)를 통해 유입되는 압력 유체는 상기 스위칭 피스톤의 상부 그루브를 통해 제1스위칭 유로(133a)로 유입된다. 하부 그루브를 통해서는 제2스위칭 유로(133b)가 제2방출유로 (134b)와 연결된다.
상기 메인 밸브부(160)는 상기 제1 스위칭 유로(133a) 또는 상기 제2스위칭 유로(133b)로 유입된 상기 압력유체에 의하여 동작하면서 상기 압력유체 유입구( IN )로 공급되는 압력유체가 제1토출구( P1 ) 또는 제2토출구( P2 ) 중 어느 하나로 흐르도록 만드는 그루브가 형성된 메인 피스톤을 구비한다.
상기 메인 밸브부(160)는 챔버(162) 및 메인 피스톤(161)을 포함하며, 상기 챔버(162)는 일단이 상기 제1스위칭 유로(133a)와 연결되며, 타단은 제2스위칭 유로(133b)와 연결된다.
상기 측면부는 상기 메인 유로(127), 제1 토출유로(126a), 제2 토출유로(126b), 제1 방출유로(134a), 제2 방출유로(134b)와 연결된다.
상기 메인 피스톤(161)은 상기 스위칭 피스톤(131)과 동일한 3단형 피스톤으로서, 챔버의 내경면에 밀착되는 3개의 랜드부와 랜드부 사이에는 압력유체를 수용할 수 있는 그루브 2개가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챔버(162) 내의 메인 피스톤(161)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움직임에 따라 상기 그루브를 통해 유로들이 연결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 피스톤(161) 상기 스위칭 피스톤(131) 같은 방향으로 동작하게 되며, 도 3에서처럼 상기 메인 피스톤(161)이 하방에 위치할 때, 메인 유로(127)를 통해 유입되는 압력유체는 상기 메인 피스톤의 상부 그루브를 통해 제1토출유로 ( 126a)를 거쳐 제1토출구( P1 )를 통해 토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메인 피스톤의 하부 그루브를 통해서는 제2토출유로 (126b)와 제2방출유로 ( 134b)가 서로 연결되어 압력이 해제된 유체가 제2토출구( P2 )로 유입되어 방출구( P4 )로 방출되도록 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100)에서는, 방향절환 작동이 이루어지는 압력의 설정은 컨트롤 밸브부(120)에서 이루어지며, 유입된 압력유체는 스위칭 밸브부(130)와 메인 밸브부(160)를 통해서 두 개소의 토출구 중 한곳으로 토출되고, 이중 한 곳으로는 압력이 해제된 유체가 유입되어 방출구를 통해 방출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밸브로 압력 유체가 유입되면 두 곳의 토출구 중 어느 한곳으로 토출이 진행되며 다른 한 곳의 토출구로는 압력이 해제된 유체가 회귀하여 방출구로 배출된다.
이 과정은 최초 동작시는 순서가 정해져 있지 않은 임의의 성질의 것이나 동작이 진행되면서 어느 한 곳이 토출 측이 되면 어느 한 곳은 방출구로 연결된게 된다.
동시에 유입된 압력 유체는 컨트롤 밸브부(120)의 피스톤에도 압력을 가하게 된다. 압력유체가 유입되어 본 밸브에 연결된 액츄에이터 또는 윤활 밸브(1000)를 어느 한 방향으로 동작시킨 후 액츄에이터 또는 윤활 밸브(1000)가 더 이상 움직이게 되지 않는 상태에서 압력 유체의 유입이 계속 이루어지면 토출이 이루어지던 관로 내에서는 압력이 상승하게 된다.
상승된 압력은 컨트롤 밸브부(120)의 컨트롤 피스톤(122)의 하방에 작용하여 컨트롤 피스톤(122)을 위로 밀어 올리려하게 되는데 압력이 컨트롤 피스톤(122)을 누르는 스프링 힘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면 컨트롤 피스톤(122)이 점차 위로 이동하게 되고 컨트롤 밸브부(120)의 일정 거리에 있는 유로를 통해 압력 유체가 흘러나가게 된다.
이후, 압력 유체는 스위칭 밸브부(130)를 거쳐 파일롯 유로(125)를 통해 메인 밸브부(160)로 유입되게 된다. 메인 피스톤의 이동으로 메인 밸브부의 유로 형성이 변경되면 압력유체의 토출구가 절환되게 되고 이로 인해 종전에 압력을 가하던 관로측의 유체는 압력이 해제되면서 방출구로 배출되게 된다.
압력유체가 압축공기인 경우 압력유체는 대기로 방출되며 유압 또는 윤활제인 경우에는 유체가 담기는 탱크로 되돌아 가게 된다.
이하에서는 제1실시 예에 따른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와 윤활 밸브(1000)로 구성된 윤활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윤활 밸브(1000)는 도 2에 도시된 윤활 밸브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윤활펌프에서 토출된 윤활제는 방향절환 밸브의 유입구(IN)로 들어와서 메인 유로(127)를 따라 흐르면서 메인 밸브부(160)의 유로를 거쳐 제1 토출유로(126a)를 거쳐 토출구(P1)를 통해 윤활 밸브(1000)의 공급구 B로 유입된다. 이후, 윤활 밸브(1000)의 파일롯 피스톤(1001)을 밀어 내리고 계량 피스톤(1002)을 아래로 밀면서 윤활제를 윤활 밸브(1000)의 토출구 A로 토출시키게 된다.(상기 윤활 밸브(1000)는 도 2를 참조한다)
한편 방향절환 밸브의 유입구(IN)로 들어온 윤활제는 컨트롤 유로(124)를 통해 컨트롤 밸브부(120)로 유입되어 컨트롤 피스톤(122)에 압력을 가하게 되며, 동시에 메인 유로(127)를 거쳐 제1토출유로(126a)를 통해 제1토출구( P1 )으로 토출되면서 스위칭 밸브부 챔버(132)로 유입되어 스위칭 피스톤(131)을 아래로 누르게 된다.
윤활 밸브(1000)의 파일롯 피스톤(1001)을 밀어 내릴 때 파일롯 피스톤(1001) 하부에 있던 윤활제가 관로 A를 통해 절환 밸브의 제2토출구(P2)로 유입되어 제2 토출유로(126b)를 거쳐 메인 밸브부로 흐르다가 제2 방출유로(134b)를 거쳐 방출구(P4)로 방출된다.
이후, 윤활 밸브(1000)의 계량 피스톤(1002)을 아래로 밀어서 계량 피스톤(1002)이 바닥에 닿게 되면 각 관로 및 유로 내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고 이 압력 상승은 방향절환 밸브(100)의 컨트롤 피스톤(122)을 상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컨트롤 피스톤(122)이 스프링(123)의 저항력을 이기고 상부로 이동하게 되면 컨트롤 밸브부(120)를 통해 가압되던 윤활제는 파일롯 유로(125)를 통과하여 스위칭 밸브부(130)로 유입되게 되며 스위칭 밸브부(130)에 연결된 제1 스위칭 유로(133a)를 통해 메인 밸브부 챔버(162)로 유입되어 메인 피스톤을 위로 가압하기 시작한다.
상기 메인 피스톤(161)이 위로 밀려 올라가면 메인 밸브부 챔버(162)에 차 있던 윤활제는 제2스위칭 유로(133b)를 통해 스위칭 밸브부(130)로 유입되어 방출유로(134a)로 흐르다가 방출구(P4)로 방출된다.
이후, 메인 피스톤(161)이 최상부에 닿게 되면 메인 밸브부(160)의 유로 구성이 변경되며 유입구를 통해 들어온 윤활제는 메인 유로(127)를 따라 흐르면서 메인 밸브부(160)의 유로를 거쳐 제2 토출유로(126b)를 통해서 제2토출구(P2)를 통해 윤활 밸브(1000)의 공급구 A로 유입되어 윤활 밸브(1000)의 파일롯 피스톤(1001)을 밀어 올리고 계량 피스톤(1002)을 위로 밀어 올리면서 윤활제를 윤활 밸브(1000)의 토출구 B로 토출시킨다.
한편 방향절환 밸브의 유입구로 들어온 윤활제는 컨트롤 유로(124)를 통해 컨트롤 밸브부(120)로 유입되어 컨트롤 피스톤(122)에 압력을 가하고 있으며 동시에 메인 유로(127)를 거쳐 제2토출유로(126b)를 통해 제2토출구( P2 )로 토출되면서 스위칭 밸브부 챔버(132)로도 유입되어 스위칭 피스톤(131)을 위로 밀어 올리게 된다.
메인 피스톤의 위치(161)와 스위칭 피스톤(131)의 위치가 모두 바뀌면 윤활제의 흐름에 대한 방향 절환이 완료된다.
제2 토출구( P2 )로 토출되어 관로 A를 거쳐 공급구 A로 유입된 윤활제가 윤활 밸브(1000)의 파일롯 피스톤(1001)을 밀어 올릴 때 파일롯 피스톤(1001) 상부에 있던 윤활제가 관로 B를 통해 방향절환 밸브의 제1토출구(P1)로 유입되어 제1 토출유로(126a)를 거쳐 메인 밸브부(160)로 흐르다가 제3 방출 유로(134c)를 거쳐 방출구(P3)로 방출된다.
-제2실시 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의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5에 도시된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윤활 밸브(1000)는 도 2에 도시된 윤활 밸브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인 압력식 방향 절환 밸브는 상기 제1실시 예인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되, 스위칭 피스톤과 메인 피스톤의 형태만 다르며, 상기 스위칭 피스톤(231) 및 상기 메인 피스톤(261)은 각각 4단 형태로서 챔버 내경면에 밀착되는 4개의 랜드부와 상기 4개 랜드부 사이에 압력유체를 수용할 수 있는 그루브 3개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제2실시 예의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의 세부 동작과정을 개시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윤활 밸브(1000)는 도 2에 도시된 윤활 밸브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윤활펌프에서 토출된 윤활제는 방향절환 밸브의 유입구(IN)로 들어와서 메인 유로(227)를 따라 흐르면서 메인 밸브부(260)의 유로를 거쳐 제1토출유로(226a)를 거쳐 제1 토출구(P1)를 통해 윤활 밸브(1000)의 공급구 B(도 1을 참조)로 유입되어 윤활 밸브(1000)의 파일롯 피스톤(1001)을 밀어 내리고 계량 피스톤(1002)을 아래로 밀면서 윤활제를 윤활 밸브(1000)의 토출구 A로 토출시키고 있다.
한편 방향절환 밸브(200)의 유입구(IN)로 들어온 윤활제는 컨트롤 유로(224)를 통해 컨트롤 밸브부(220)의 챔버로 유입되어 컨트롤 피스톤(222)에 압력을 가하고 있으며 동시에 메인 유로(227)를 거쳐 제1토출유로(226a)를 통해 제1토출구( P1 )로 토출되면서 스위칭 밸브부 챔버(232)로도 유입되어 스위칭 피스톤(231)을 아래로 누르고 있다.
윤활 밸브(1000)의 파일롯 피스톤(1001)을 밀어 내릴 때 파일롯 피스톤(1001) 하부에 있던 윤활제가 관로 A를 통해 방향절환 밸브(200)의 토출구(P2)로 유입되어 제2토출유로(226b)를 거쳐 메인 밸브부로 흐르다가 제2방출유로(234b)를거쳐 방출구(P4)로 방출된다.
이후, 윤활 밸브(1000)의 계량 피스톤(1002)을 아래로 밀어서 계량 피스톤(1002)이 바닥에 닿게 되면 각 관로 및 유로 내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고 이 압력 상승은 절환밸브의 컨트롤 피스톤(222)을 상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컨트롤 피스톤(222)이 스프링(223)의 저항력을 이기고 상부로 이동하게 되면 컨트롤 밸브부(220)를 통해 가압하던 윤활제는 파일롯 유로(225)를 통과하여 스위칭 밸브부(230)로 유입되게 되며 스위칭 밸브부(230)에 연결된 제2스위칭 유로(233b)를 통해 메인 밸브부 챔버(262)로 유입되어 메인 피스톤(261)을 아래로 누르기 시작한다.
메인 피스톤(261)이 아래로 내려가면 메인 밸브부 챔버(262)에 차 있던 윤활제는 제1스위칭 유로(233a)를 통해 스위칭 밸브부(230)로 유입되어 제4방출유로(234d)로 흐르다가 방출구(P3)로 방출된다.
그리고 나서, 메인 피스톤(261)이 바닥에 닿게 되면 메인 밸브부(260)의 유로 구성이 변경되며 유입구를 통해 들어온 윤활제는 메인(227)를 따라 흐르면서 메인 밸브부(260)의 유로를 거쳐 제2토출유로(226b)를 통해서 제2토출구(P2)를 통해 윤활 밸브(1000)의 공급구 A로 유입되어 윤활 밸브(1000)의 파일롯 피스톤(1001)을 밀어 올리고 계량 피스톤(1002)을 위로 밀어 올리면서 윤활제를 윤활 밸브(1000)의 토출구 B로 토출 시키게 된다.
한편 방향절환 밸브의 유입구(IN)로 들어온 윤활제는 컨트롤 유로(224)를 통해 컨트롤 밸브부(220)로 유입되어 컨트롤 피스톤(222)에 압력을 가하고 있으며 동시에 메인 유로(127)를 거쳐 제2토출유로(226b)를 통해 제2토출구( P2 )로 토출되면서 스위칭 밸브부 챔버(232)로도 유입되어 스위칭 피스톤(231)을 위로 밀어 올리게 된다.
메인 피스톤의 위치(261)와 스위칭 피스톤(231)의 위치가 모두 바뀌면 윤활제흐름에 대한 방향 절환이 완료된다.
제2 토출구( P2 )로 토출되어 관로 A를 거쳐 공급구 A로 유입된 윤활제가 윤활 밸브(1000)의 파일롯 피스톤(1001)을 밀어 올릴 때 파일롯 피스톤(1001) 상부에 있던 윤활제가 관로 B를 통해 방향절환 밸브의 제1토출구( P1 )로 유입되어 제1토출유로(226a)를 거쳐 메인 밸브부(260)로 흐르다가 제3방출 유로 (234c)를 거쳐 방출구(P3)로 방출된다.
-제3실시 예-
도 7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의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8a 내지 도 8c는 도 7에 도시된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윤활 밸브(1000)는 도 2에 도시된 윤활 밸브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실시 예의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300)에 구비된 스위칭 피스톤(331)은 3단 형태로서 챔버 내경면에 밀착되는 3개의 랜드부와 상기 3개 랜드부 사이에 압력유체를 수용할 수 있는 그루브 2개로 구성되며, 메인 피스톤(361)은 4단 형태로서 챔버 내경면에 밀착되는 4개의 랜드부와 상기 4개 랜드부 사이에 압력유체를 수용할 수 있는 그루브 3개로 구성된다.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제3실시 예의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300)와 윤활 밸브(1000)의 동작설명을 개시한다.
윤활 펌프에서 토출된 윤활제는 방향절환 밸브의 유입구( IN )로 들어와서 메인 유로(327)를 따라 흐르면서, 메인 밸브부(360)의 유로를 거쳐 제1 토출유로(326a)를 통해서 토출구(P1)를 거쳐 윤활 밸브(1000)의 공급구 B로 유입되고, 윤활 밸브(1000)의 파일롯 피스톤(1001)을 밀어 내리고 계량 피스톤(1002)을 아래로 밀면서 윤활제를 윤활 밸브(1000)의 토출구 A로 토출시키고 있다.
한편 방향절환 밸브의 유입구(IN)로 들어온 윤활제는 컨트롤 유로(324)를 통해 컨트롤 밸브부(320)로 유입되어 컨트롤 피스톤(322)에 압력을 가하고 있으며 동시에 메인 유로(327)를 거쳐 제1 토출유로 (326a)를 통해 제1토출구( P1 )로 토출되면서 스위칭 밸브부 챔버(332)로도 유입되어 스위칭 피스톤(331)을 아래로 누르고 있다.
한편, 윤활 밸브(1000)의 파일롯 피스톤(1001)을 밀어 내릴 때 파일롯 피스톤(1001) 하부에 있던 윤활제가 관로 A를 통해 방향절환 밸브의 토출구(P2)로 유입되어 제2토출유로(326b)를 거쳐 메인 밸브부(360)로 흐르다가 제2 방출유로(334b)를 거쳐 방출구(P4)로 방출된다.
이후, 윤활 밸브(1000)의 계량 피스톤(1002)을 아래로 밀어서 계량 피스톤(1002)이 바닥에 닿게되면 각 관로 및 유로 내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고 이 압력 상승은 방향절환 밸브(300)의 컨트롤 피스톤(322)을 상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컨트롤 피스톤(322)이 스프링(323)의 저항력을 이기고 상부로 이동하게 되면 컨트롤 밸브부(320)를 통해 가입하던 윤활제는 파일롯 유로(325)를 통과하여 스위칭 밸브부(330)로 유입되게 되며 스위칭 밸브부(330)에 연결된 제2 스위칭 유로(333b)를 통해 메인 밸브부 챔버(362)로 유입되어 메인 피스톤(361)을 아래로 가압하기 시작한다.
메인 피스톤(361)이 아래로 밀려 내려가면 메인 밸브부 챔버(362)에 차 있던 윤활제는 제 1 스위칭 유로(333a)를 통해 스위칭 밸브부(330)로 유입되어 제1 방출유로(334a)로 흐르다가 방출구(P4)로 방출된다.
그리고 나서, 메인 피스톤(361)이 바닥에 닿게 되면 메인 밸브부(360)의 유로 구성이 변경되며 유입구를 통해 들어온 윤활제는 메인 유로(327)를 따라 흐르면서 메인 밸브부(360)의 유로를 거쳐 제2 토출유로(326b)를 통해서 토출구(P2)를 통해 윤활 밸브(1000)의 공급구 A로 유입되어 윤활 밸브(1000)의 파일롯 피스톤(1001)을 밀어 올리고 계량 피스톤(1002)을 위로 밀어 올리면서 윤활제를 윤활 밸브(1000)의 토출구 B로 토출시키게 된다.
한편 방향절환 밸브의 유입구로 들어온 윤활제는 컨트롤 유로(324)를 통해 컨트롤 밸브부(320)로 유입되어 컨트롤 피스톤(322)에 압력을 가하게 되며 동시에 메인 유로(327)를 거쳐 제2토출유로(326b)를 통해 제2토출구( P2 )로 토출되면서 스위칭 밸브부 챔버(332)로도 유입되어 스위칭 피스톤(331)을 위로 밀어 올리게 된다.
메인 피스톤의 위치(361)와 스위칭 피스톤(331)의 위치가 모두 바뀌면 윤활제흐름에 대한 방향 절환이 완료된다.
제2 토출구( P2 )로 토출되어 관로 A를 거쳐 공급구 A로 유입된 윤활제가 윤활 밸브(1000)의 파일롯 피스톤(1001)을 밀어 올릴 때 파일롯 피스톤(1001) 상부에 있던 윤활제가 관로 B를 통해 방향절환 밸브의 제1토출구(P1)로 유입되어 제1 토출유로(326a)를 거쳐 메인 밸브부(360)로 흐르다가 제3 방출유로(334c)를 거쳐 방출구(P3)로 방출된다.
-제4실시 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의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도 9에 도시된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상기 제4실시 예의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400)에 구비된 스위칭 피스톤(431)은 4단 형태로서 챔버 내경면에 밀착되는 4개의 랜드부와 상기 4개 랜드부 사이에 압력유체를 수용할 수 있는 그루브 3개로 구성되며, 메인 피스톤(461)은 3단 형태로서 챔버 내경면에 밀착되는 3개의 랜드부와 상기 3개 랜드부 사이에 압력유체를 수용할 수 있는 그루브 2개로 구성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윤활 밸브(1000)는 도 2에 도시된 윤활 밸브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윤활펌프에서 토출된 윤활제는 방향절환 밸브의 유입구(IN)로 들어와서 메인 유로(427)를 따라 흐르면서 메인 밸브부(460)의 유로를 거쳐 제1 토출유로(426a)를 통해서 윤활 밸브(1000)의 공급구 B로 유입되어 윤활 밸브(1000)의 파일롯 피스톤(1001)을 밀어 내리고 계량 피스톤(1002)을 아래로 밀면서 윤활제를 윤활 밸브(1000)의 토출구 A로 토출시키 된다.
한편 방향절환 밸브의 유입구로 들어온 윤활제는 컨트롤 유로(424)를 통해 컨트롤 밸브부(420)로 유입되어 컨트롤 피스톤(422)에 압력을 가하게 되며 동시에 메인 유로(427)를 거쳐 제1 토출유로(426a)를 통해 제1토출구( P1 )으로 토출되면서 스위칭 밸브부 챔버(432)로도 유입되어 스위칭 피스톤(431)을 아래로 누르게 된다.
윤활 밸브(1000)의 파일롯 피스톤(1001)을 밀어 내릴 때 파일롯 피스톤(1001) 하부에 있던 윤활제가 관로 A를 통해 절환 밸브의 제2토출구(P2)로 유입되어 제2 토출유로(426b)를 거쳐 메인 밸브부(460)로 흐르다가 제2 방출유로(434b)를 거쳐 방출구(P4)로 방출된다.
윤활 밸브(1000)의 계량 피스톤(1002)을 아래로 밀어서 계량 피스톤(1002)이 바닥에 닿게되면 각 관로 및 유로 내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고 이 압력 상승은 방향절환 밸브의 컨트롤 피스톤(422)을 상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컨트롤 피스톤(422)이 스프링의 저항력을 이기고 상부로 이동하게 되면 컨트롤 밸브부(420)를 통해 가압하던 윤활제는 파일롯 유로(425)를 통과하여 스위칭 밸브부(430)로 유입되게 되며 스위칭 밸브부(430)에 연결된 제1 스위칭 유로(433a)를 통해 메인 밸브부 챔버(462)로 유입되어 메인 피스톤(461)을 위로 밀어 올리기 시작한다.
메인 피스톤(461)이 위로 밀려 올라가면 메인 밸브부 챔버(462)에 차 있던 윤활제는 제2 스위칭 유로(433b)를 통해 스위칭 밸브부로 유입되어 제4 방출유로(434d)로 흐르다가 방출구(P3)로 방출된다.
메인피스톤이 최상부에 닿게 되면 메인 밸브부의 유로 구성이 변경되며 유입구를 통해 들어온 윤활제는 메인 유로(427)를 따라 흐르면서 메인 밸브부(460)유로를 거쳐 제2 토출유로(326b)를 통해서 제2토출구( P2 )를 통해 윤활 밸브(1000)의 공급구 A로유입되어 윤활 밸브(1000)의 파일롯 피스톤(1001)을 밀어 올리고 계량 피스톤(1002)을 위로 밀어 올리면서 윤활제를 윤활 밸브(1000)의 토출구 B로 토출시키게 된다.
한편 방향절환 밸브의 유입구(IN)로 들어온 윤활제는 컨트롤 유로(424)를 통해 컨트롤 밸브부(420)로 유입되어 컨트롤 피스톤(422)에 압력을 가하게 되며 동시에 메인 유로(427)를 거쳐 제2 토출유로(426b)를 통해 제2토출구( P2 )로 토출되면서 스위칭 밸브부 챔버(432)로도 유입되어 스위칭 피스톤(431)을 위로 밀어 올리게 된다.
메인 피스톤의 위치(461)와 스위칭 피스톤(431)의 위치가 모두 바뀌면 윤활제의 흐름에 대한 방향 절환이 완료된다.
제2 토출구( P2 )로 토출되어 관로 A를 거쳐 공급구 A로 유입된 윤활제가 윤활 밸브(1000)의 파일롯 피스톤(1001)을 밀어 올릴 때 파일롯 피스톤(1001) 상부에 있던 윤활제가 관로 B를 통해 방향절환 밸브의 제1토출구(P1)로 유입되어 제 1토출유로(426b)를 거쳐 메인 밸브부(460)로 흐르다가 제3 방출유로(434c)를 거쳐 방출구(P3)로 방출된다.
-제5실시 예-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의 모듈러형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도 11에 도시된 모듈러형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윤활 밸브(1000)는 도 2에 도시된 윤활 밸브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5실시 예의 모듈러형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500)는 상기 제1실시 예의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의 스위칭 밸브부(530)와 메인 밸브부(560)가 분리된 형태를 갖는 모듈로서 제1모듈(M1)(상기 스위칭 밸브부가 구비됨) 및 제2모듈(M2)(상기 메인 밸브부가 구비됨)로 구성된다. 또한, 컨트롤 밸브부(520)는 제1모듈(M1) 또는 제2모듈(M2)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칭 밸브부(630)에 구비되는 스위칭 피스톤(631)은 3단형 피스톤으로서, 챔버의 내경면에 밀착되는 3개의 랜드부와 랜드부 사이에는 압력유체를 수용할 수 있는 그루브 2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메인 밸브부(660)에 구비되는 메인 피스톤(661)은 3단형 피스톤으로서, 챔버의 내경면에 밀착되는 3개의 랜드부와 랜드부 사이에는 압력유체를 수용할 수 있는 그루브 2개가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모듈러형 밸브(500)는 일체형 구조에서 스위칭 밸브부(530)를 별도 분리하여 메인 밸브부(560)와 분리/결합되도록 한 것으로서 스위칭 밸브부(530)를 기준으로 다양한 규격의 메인 밸브부(560)를 대응시킬 수 있어 보다 제작이 용이하고 유지보수가 편리한 구조이다.
상기 제1모듈( M1 )과 제2모듈( M2 )에는 상호 대응되는 유로 접속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접속구를 밀봉하는 씰(seal)은 제1모듈( M1 )이나 제2모듈( M2 ) 중 한 곳에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2a 내지 도 12c를 참조하여 제5실시 예의 모듈러형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의 동작과정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윤활펌프에서 토출된 윤활제는 방향절환 밸브(500)의 유입구(IN)로 들어와서 메인 유로(527)를 따라 흐르면서 메인 피스톤(561)의 그루브를 타고 제1 토출유로(526a)를 거쳐서 제1토출구(P1)를 통과하여 윤활 밸브(1000)의 공급구 B로 유입되어 윤활 밸브(1000)의 파일롯 피스톤(1001)을 밀어 내리고 계량 피스톤(1002)을 아래로 밀면서 윤활제를 윤활 밸브(1000)의 토출구 A로 토출 시키게 된다.
한편 방향절환 밸브(500)의 유입구(IN)로 들어온 윤활제는 컨트롤 유로(524)를 통해 컨트롤 밸브부(520)로 유입되어 컨트롤 피스톤(522)에 압력을 가하고 있으며 동시에 메인 유로(127)를 거쳐1 토출유로(526a)를 통해 제1토출구( P1 )으로 토출되면서 스위칭 밸브 챔버 (532)로도 유입되어 스위칭 피스톤을 아래로 누르고 있다.
윤활 밸브(1000)의 파일롯 피스톤(1001)을 밀어 내릴 때 파일롯 피스톤(1001) 하부에 있던 윤활제는 관로 A를 통해 방향절환 밸브의 토출구(P2)로 유입되어 제2 토출유로(526b)를 거쳐 메인 피스톤(561)의 그르부를 타고 제2 방출유로(534b)를 거쳐 방출구(P3)로 방출된다.
이후, 윤활 밸브(1000)의 계량 피스톤(1002)이 아래로 밀려서 바닥에 닿게 되면 연결된 관로 및 유로 내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고 이 압력 상승은 방향절환 밸브(500)의 컨트롤 피스톤(522)을 상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컨트롤 피스톤(522)이 스프링(523)의 저항력을 이기고 상부로 이동하게 되면 컨트롤 밸브부(520)를 통해 가압하던 윤활제는 파일롯 유로(525)를 통과하여 스위칭 밸브부(530)로 유입되게 되며 스위칭 밸브부(530)에 연결된 제1 스위칭 유로(533a)를 통해 챔버(562)로 유입되어 메인 피스톤(561)을 위로 밀어올리기 시작한다.
메인 피스톤이 위로 밀려 올라가면 메인 밸브부 챔버(562)에 차 있던 윤활제는 제1 스위칭 유로(533a)를 통해 스위칭 밸브부(530)로 유입되어 스위칭 피스톤(531)의 그루브를 타고 제1 방출유로(534a)로 흐르다가 방출구(P3)로 방출된다.
메인 피스톤(561)이 최상부에 닿게 되면 메인 밸브부(560)의 유로 구성이 변경되며 유입구를 통해 들어온 윤활제는 메인 유로(527)를 따라 흐르면서 메인 피스톤의 그루브을 타고 제2 토출유로(526b)를 거쳐 토출구(P2)를 통과하여 윤활밸브의 공급구 A로 유입되어 윤활 밸브(1000)의 파일롯 피스톤(1001)을 밀어 올리고 계량 피스톤(1002)을 위로 밀어 올리면서 윤활제를 윤활 밸브(1000)의 토출구B로 시키게 된다.
한편 방향절환 밸브의 유입구(IN)로 들어온 윤활제는 컨트롤 유로(524)를 통해 컨트롤 밸브부(520)로 유입되어 컨트롤 피스톤(522)에 압력을 가하고 있으며 동시에 메인 유로(527)를 거쳐 제2 토출유로(526b)를 통해 제2토출구( P2 )으로 토출되면서 스위칭 밸브부 챔버(532)로도 유입되어 스위칭 피스톤(531)을 위로 밀어 올리게 된다.
메인 피스톤의 위치(561)와 스위칭 피스톤(531)의 위치가 모두 바뀌면 윤활제의 흐름에 대한 방향 절환이 완료된다.
제2 토출구( P2 )로 토출되어 관로 A를 거쳐 공급구 A로 유입된 윤활제가 윤활 밸브(1000)의 파일롯 피스톤(1001)을 밀어 올릴 때 파일롯 피스톤(1001) 상부에 있던 윤활제가 관로 B를 통해 방향절환 밸브의 토출구(P1)로 유입되어 제1 토출유로(526b)를 거쳐 메인 피스톤(561)의 그루브을 타고 제3 방출유로(534c)를 거쳐 방출구(P3)로 방출된다.
-제6실시 예-
도 13은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의 모듈러형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도 13에 도시된 모듈러형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윤활 밸브(1000)는 도 2에 도시된 윤활 밸브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6실시 예의 모듈러형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600)는 상기 제2실시 예의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의 스위칭 밸브부(630)와 메인 밸브부(660)가 분리된 형태를 갖는 모듈로서 제1모듈(M1)(상기 스위칭 밸브부(630)가 구비됨) 및 제2모듈(M2)(상기 메인 밸브부가 구비됨)로 구성된다. 또한, 컨트롤 밸브부(620)는 제1모듈(M1) 또는 제2모듈(M2)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칭 밸브부(630)에 구비되는 스위칭 피스톤(631)은 4단형 피스톤으로서, 챔버의 내경면에 밀착되는 4개의 랜드부와 랜드부 사이에는 압력유체를 수용할 수 있는 그루브 3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메인 밸브부(660)에 구비되는 메인 피스톤(661)은 4단형 피스톤으로서, 챔버의 내경면에 밀착되는 4개의 랜드부와 랜드부 사이에는 압력유체를 수용할 수 있는 그루브 3개가 형성된다.
즉, 본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모듈러형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600)는 일체형 구조에서 스위칭 밸브부(630)를 별도 분리하여 메인 밸브부(660)와 분리/결합되도록 한 것으로서 스위칭 밸브부(630)를 기준으로 다양한 규격의 메인 밸브부(660)를 대응시킬 수 있어 보다 제작이 용이하고 유지보수가 편리한 구조이다.
이하에서는 제6실시 예의 모듈러형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의 동작과정으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윤활펌프에서 토출된 윤활제는 방향절환 밸브의 유입구로 들어와서 메인 유로(627)를 따라 흐르면서 메인 피스톤(661)의 그루브을 타고 제1 토출유로(526a)를 거쳐서 제1토출구(P1)를 통과하여 윤활 밸브(1000)의 공급구 B로 유입되어 윤활 밸브(1000)의 피일롯 피스톤을 밀어 내리고 계량 피스톤(1002)을 아래로 밀면서 윤활제를 윤활 밸브(1000)의 토출구 A로 토출 시키게 된다.
한편 방향절환 밸브의 유입구로 들어온 윤활제는 컨트롤 유로(624)를 통해 컨트롤 밸브부(620)로 유입되어 컨트롤 피스톤(622)에 압력을 가하고 있으며 동시에 메인 유로(127)를 거쳐 제1 토출유로 (626a)를 통해 제1토출구( P1 )으로 토출되면서 스위칭 밸브 챔버(632)로도 유입되어 스위칭 피스톤(631)을 아래로 누르게 된다.
윤활 밸브(1000)의 파일롯 피스톤(1001)을 밀어 내릴 때 파일롯 피스톤(1001) 하부에 있던 윤활제는 관로 A를 통해 절환 밸브의 토출구(P2)로 유입되어 제2 토출유로(626b)를 거쳐 메인 피스톤(661)의 그루브를 타고 제2 방출유로(634b)를 거쳐 방출구(P3)로 방출된다.
윤활 밸브(1000)의 계량 피스톤(1002)이 아래로 밀려서 바닥에 닿게 되면 연결된 관로 및 유로 내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고 이 압력 상승은 절환밸브의 컨트롤 피스톤(623)을 상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컨트롤 피스톤(622)이 스프링의 저항력을 이기고 상부로 이동하게 되면 컨트롤 밸브부(620)를 통해 가압하던 윤활제는 파일롯 유로(635)를 통과하여 스위칭 밸브부(630)로 유입되게 되며 스위칭 밸브부(630)에 연결된 제1 스위칭 유로(633a)를 통해 메인 밸브부 챔버(662)로 유입되어 메인 피스톤(661)을 아래로 누르기 시작한다.
메인 피스톤(661)이 아래로 밀려 내려오면 메인 밸브부 챔버(662)에 차 있던 윤활제는 제2 스위칭 유로(633b)를 통해 스위칭 밸브부(630)에 유입되어 스위칭 피스톤(631)의 그루브를 타고 제4 방출유로(634d)로 흐르다가 방출구(P3)로 방출된다.
메인 피스톤(661)이 바닥에 닿게 되면 메인 밸브부(660)의 유로 구성이 변경되며 유입구(IN)를 통해 들어온 윤활제는 메인 유로(627)를 따라 흐르면서 메인 피스톤(661)의 그루브 타고 제2 토출유로(626b)를 거쳐서 토출구(P2)를 통과하여 윤활 밸브(1000)의 공급구 A로 유입되어 윤활 밸브(1000)의 파일롯 피스톤(1001)을 밀어 올리고, 계량 피스톤(1002)을 위로 밀어 올리면서 윤활제를 윤활 밸브(1000)의 토출구 B로 토출시킨다.
한편 방향절환 밸브의 유입구로 들어온 윤활제는 컨트롤 유로(624)를 통해 컨트롤 밸브부(620)로 유입되어 컨트롤 피스톤(623)에 압력을 가하고 있으며 동시에 메인 유로(627)를 거쳐 제2 토출유로(626b)를 통해 제2토출구( P2 )으로 토출되면서 스위칭 밸브부 챔버(632)로도 유입되어 스위칭 피스톤(631)을 위로 밀어 올리게 된다.
메인 피스톤의 위치(661)와 스위칭 피스톤(631)의 위치가 모두 바뀌면 윤활제의 흐름에 대한 방향 절환이 완료된다.
제2 토출구( P2 )로 토출되어 관로 A를 거쳐 공급구 A로 유입된 윤활제가 윤활 밸브(1000)의 파일롯 피스톤(1001)을 밀어 올릴 때 파일롯 피스톤(1001) 상부에 있던 윤활제가 관로 B를 통해 방향절환 밸브의 토출구(P1)로 유입되어 제1 토출유로(626a)를 거쳐 메인 피스톤(661)의 그루브를 타고 제3 방출유로(634c)를 거쳐 방출구(P3)로 방출된다.
-제7실시 예-
도 15은 본 발명의 제7실시 예의 모듈러형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6a 내지 도 16c는 도 15에 도시된 모듈러형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상기 제7실시 예의 모듈러형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는 상기 제3실시 예의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의 스위칭 밸브부(730)와 메인 밸브부(760)가 분리된 형태를 갖는 모듈로서 제1모듈(M1)(상기 스위칭 밸브부가 구비됨) 및 제2모듈(M2)(상기 메인 밸브부가 구비됨)로 구성된다. 또한, 컨트롤 밸브부(720)는 제1모듈(M1) 또는 제2모듈(M2)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칭 밸브부(730)에 구비되는 스위칭 피스톤(731)은 3단형 피스톤으로서, 챔버의 내경면에 밀착되는 3개의 랜드부와 랜드부 사이에는 압력유체를 수용할 수 있는 그루브 2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메인 밸브부(760)에 구비되는 메인 피스톤(761)은 4단형 피스톤으로서, 챔버의 내경면에 밀착되는 4개의 랜드부와 랜드부 사이에는 압력유체를 수용할 수 있는 그루브 3개가 형성된다.
즉, 본 모듈러형 밸브는 일체형 구조에서 스위칭 밸브를 별도 분리하여 메인 밸브와 분리/결합되도록 한 것으로서 스위칭 밸브를 기준으로 다양한 규격의 메인 밸브를 대응시킬 수 있어 보다 제작이 용이하고 유지보수가 편리한 구조이다.
이하에서는 제7실시 예의 모듈러형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의 동작과정으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윤활펌프에서 토출된 윤활제는 방향절환 밸브의 유입구로 들어와서 메인 유로(727)를 따라 흐르면서 메인 피스톤의 그루브를 타고 제1 토출유로(726a) 를 거쳐서 제1토출구(P1)를 통과하여 윤활 밸브(1000)의 공급구 B로 유입되어 윤활 밸브(1000)의 파일롯 피스톤(1001)을 밀어 내리고 계량 피스톤(1002)을 아래로 밀면서 윤활제를 윤활 밸브(1000)의 토출구 A로 토출시키게 된다.
한편 방향절환 밸브의 유입구(IN)로 들어온 윤활제는 컨트롤 유로(724)를 통해 컨트롤 밸브부(720)로 유입되어 컨트롤 피스톤(722)에 압력을 가하고 있으며 동시에 메인 유로(727)를 거쳐1 토출유로(726a)를 통해 제1토출구( P1 )으로 토출되면서 스위칭 밸브부 챔버(732)로도 유입되어 스위칭 피스톤(731)을 아래로 누르게 된다.
윤활 밸브(1000)의 파일롯 피스톤(1001)을 밀어 내릴 때 파일롯 피스톤(1001) 하부에 있던 윤활제는 관로 A를 통해 방향절환 밸브의 토출구(P2)로 유입되어 제1 토출유로(726a)를 거쳐 메인 피스톤(761)의 그루브(홈)를 타고 제2 방출유로(734b)를 거쳐 방출구(P3)로 방출된다.
이후, 윤활 밸브(1000)의 계량 피스톤(1002)이 아래로 밀려서 바닥에 닿게 되면 연결된 관로 및 유로 내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고 이 압력 상승은 방향절환 밸브(700)의 컨트롤 피스톤(722)을 상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컨트롤 피스톤(722)이 스프링의 저항력을 이기고 상부로 이동하게 되면 컨트롤 밸브부(720)를 통해 가압하던 윤활제는 파일롯 유로(725)를 통과하여 스위칭 밸브부(730)로 유입되게 되며 스위칭 밸브부(730)에 연결된 제2 스위칭 유로(733b)를 통해 메인 밸브부 챔버(762)로 유입되어 메인 피스톤(761)을 아래로 밀어 내리기 시작한다.
메인 피스톤이 아래로 밀려 내려가면 메인 밸브부 챔버(762)에 차 있던 윤활제는 제1 스위칭 유로(733a)를 통해 스위칭 밸브부(730)로 유입되어 스위칭 피스톤(731)의 그루브를 타고 제1 방출유로(734a)로 흐르다가 방출구(P3)로 방출된다
메인 피스톤(761)이 바닥에 닿게 되면 메인 밸브부(760)의 유로 구성이 변경되며 유입구(IN)를 통해 들어온 윤활제는 메인 유로(727)를 따라 흐르면서 메인 피스톤의 그루브을 타고 제2 토출유로(726b)를 거쳐서 토출구(P2)를 통과하여 윤활 밸브(1000)의 공급구 A로 유입되어 윤활 밸브(1000)의 파일롯 피스톤(1001)을 밀어 올리고 계량 피스톤(1002)을 위로 밀어 올리면서 윤활제를 윤활 밸브(1000)의 토출구 B로 시키게 된다.
한편 방향절환 밸브의 유입구(IN)로 들어온 윤활제는 컨트롤 유로를 통해 컨트롤 밸브부(720)로 유입되어 컨트롤 피스톤(722)에 압력을 가하고 있으며 동시에 메인 유로(727)를 거쳐2 토출유로(726a)를 통해 제 2 토출구(P2)으로 토출되면서 스위칭 밸브부 챔버(732)로도 유입되어 스위칭 피스톤(731)을 위로 밀어 올리게 된다.
메인 피스톤의 위치(761)와 스위칭 피스톤(731)의 위치가 모두 바뀌면 윤활제의 흐름에 대한 방향 절환이 완료된다.
제2 토출구( P2 )로 토출되어 관로 A를 거쳐 공급구 A로 유입된 윤활제가 윤활 밸브(1000)의 파일롯 피스톤(1001)을 밀어 올릴 때 파일롯 피스톤(1001) 상부에 있던 윤활제가 관로 B를 통해 절환 밸브의 토출구(P1)로 유입되어 제2 토출유로(726a)를 거쳐 메인 피스톤(761)의 그루브(홈)를 타고 제3 방출유로(734c)를 거쳐 방출구(P3)로 방출된다.
-제8실시 예-
도 17은 본 발명의 제8실시 예의 모듈러형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의 단면도를 나타내며, 도 18a 내지 도 18c는 도 17에 도시된 모듈러형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상기 제7실시 예의 모듈러형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는 상기 제4실시 예의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의 스위칭 밸브부(830)와 메인 밸브부(860)가 분리된 형태를 갖는 모듈로서 제1모듈(M1)(상기 스위칭 밸브부가 구비됨) 및 제2모듈(M2)(상기 메인 밸브부가 구비됨)로 구성된다. 또한, 컨트롤 밸브부(820)는 제1모듈(M1) 또는 제2모듈(M2)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칭 밸브부(830)에 구비되는 스위칭 피스톤(831)은 4단형 피스톤으로서, 챔버의 내경면에 밀착되는 4개의 랜드부와 랜드부 사이에는 압력유체를 수용할 수 있는 그루브 3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메인 밸브부(860)에 구비되는 메인 피스톤(861)은 3단형 피스톤으로서, 챔버의 내경면에 밀착되는 3개의 랜드부와 랜드부 사이에는 압력유체를 수용할 수 있는 그루브 2개가 형성된다.
즉, 본발명의 제8실시 예에 따른 모듈러형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800)는 일체형 구조에서 스위칭 밸브부(830)를 별도 분리하여 메인 밸브부(860)와 분리/결합되도록 한 것으로서 스위칭 밸브부(830)를 기준으로 다양한 규격의 메인 밸브부(860)를 대응시킬 수 있어 보다 제작이 용이하고 유지보수가 편리한 구조이다.
이하에서는 제 8 실시 예의 모듈러형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의 동작과정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윤활펌프에서 토출된 윤활제는 방향절환 밸브의 유입구로 들어와서 메인 유로(827)를 따라 흐르면서 메인 피스톤(861)의 그루브를 타고 제1 토출유로(826a)를 거쳐서 제1토출구(P1)를 통과하여 윤활 밸브(1000)의 공급구 B로 유입되어 윤활 밸브(1000)의 파일롯 피스톤(1001)을 밀어 내리고 계량 피스톤(1002)을 아래로 밀면서 윤활제를 윤활 밸브(1000)의 토출구 A로 토출시키게 된다.
한편 방향절환 밸브의 유입구로 들어온 윤활제는 컨트롤 유로(824)를 통해 컨트롤 밸브부(820)로 유입되어 컨트롤 피스톤(823)에 압력을 가하고 있으며 동시에 메인 유로(827)를 거쳐 제1토출유로(826a)를 통해 피스톤 제1토출구( P1 )으로 토출되면서 스위칭 밸브부 챔버(832)로도 유입되어 스위칭 피스톤을 아래로 누르게 된다.
이후, 윤활 밸브(1000)의 파일롯 피스톤(1001)을 밀어 내릴 때 파일롯 피스톤(1001) 하부에 있던 윤활제는 관로 A를 통해 절환 밸브의 토출구(P2)로 유입되어 제2 토출유로(826b)를 거쳐 메인 피스톤(861)의 그루브(홈)를 타고 제2 방출유로(834b)를 거쳐 방출구(P3)로 방출된다.
윤활 밸브(1000)의 계량 피스톤(1002)이 아래로 밀려서 바닥에 닿게 되면 연결된 관로 및 유로 내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고 이 압력 상승은 절환밸브의 컨트롤 피스톤을 상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컨트롤 피스톤(822)이 스프링(823)의 저항력을 이기고 상부로 이동하게 되면 컨트롤 밸브부(820)를 통해 가압하던 윤활제는 파일롯 유로(825)를 통과하여 스위칭 밸브부(830)로 유입되게 되며 스위칭 밸브부(830)에 연결된 제1 스위칭 유로(833a)를 통해 메인 밸브부 챔버(862)로 유입되어 메인 피스톤(861)을 위로 밀어 올리기 시작한다.
메인 피스톤(861)이 위로 밀려 올라가면 메인 밸브부 챔버(862)에 차 있던 윤활제는 제2 스위칭 유로(833b)를 통해 스위칭 밸브부(830)로 유입되어 스위칭 피스톤(831)의 그루브를 타고 제4 방출유로(834d)로 흐르다가 방출구(P3)로 방출된다.
그리고 나서, 메인 피스톤(861)이 최상부에 닿게 되면 메인 밸브부(860)의 유로 구성이 변경되며 유입구( IN )를 통해 들어온 윤활제는 메인 유로(827)를 따라 흐르면서 메인 피스톤(861)의 그루브을 타고 제2 토출유로(826b)를 거쳐서 토출구(P2)를 통과하여 윤활 밸브(1000)의 공급구 A로 유입되어 윤활 밸브(1000)의 파일롯 피스톤(1001)을 밀어 올리고 계량 피스톤(1002)을 위로 밀어 올리면서 윤활제를 윤활 밸브(1000)의 토출구 B로 토출 시키게 된다.
한편 방향절환 밸브의 유입구(IN)로 들어온 윤활제는 컨트롤 유로(824)를 통해 컨트롤 밸브부(820)로 유입되어 컨트롤 피스톤(822)에 압력을 가하고 있으며 동시에 메인 유로(827)를 거쳐 제2 토출유로(826b)를 통해 제2토출구( P2 )으로 토출되면서 스위칭 밸브부 챔버(832)로도 유입되어 스위칭 피스톤(831)을 위로 밀어 올리게 된다.
메인 피스톤의 위치(861)와 스위칭 피스톤(831)의 위치가 모두 바뀌면 윤활제의 흐름에 대한 방향 절환이 완료된다.
제2 토출구( P2 )로 토출되어 관로 A를 거쳐 공급구 A로 유입된 윤활제가 윤활 밸브(1000)의 파일롯 피스톤(1001)을 밀어 올릴 때 파일롯 피스톤(1001) 상부에 있던 윤활제가 관로 B를 통해 절환 밸브의 토출구(P1)로 유입되어 제1 토출유로(826a)를 거쳐 메인 피스톤(861)의 그루브(홈)를 타고 제3 방출유로(834c)를 거쳐 방출구(P3)로 방출된다.
-제9실시 예-
제9실시 예의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는 수평상태로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나 동 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장치나 기계가 회전하거나 일정 각도로 기울어질 수도 있다.
이럴 경우 방향절환 밸브 내에 있는 스위칭 피스톤과 메인 피스톤은 자중에 의해 또는 기계적인 진동 등으로 인해 상부에 위치하다가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각 피스톤이 각각의 동작 위치에서 고정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피스톤의 양단에 자석을 설치하거나 플러그에 자석을 설치하여 피스톤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한다. 자석의 힘은 적정 정도의 것으로 한다. 피스톤 및 플러그의 재질이 자석에 작동하지 않는 비자성체인 경우 피스톤과 플러그 양쪽에 자석을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 내지 제9실시 예를 통해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는 수동식 방향절환 밸브나 솔레노이드 구동식 방향절환 밸브와 달리 사람의 인력이나 전기적 장치없이 유체 흐름을 자동 절환할 수 있으므로 조작이 편리하고 구조가 단순한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에서는 방향절환 작동이 이루어지는 압력의 설정은 컨트롤 밸브부에서 이루어지며 유입된 압력유체는 스위칭 밸브부와 메인 밸브부를 통해서 두 개소의 토출구 중 한곳으로 토출되고 한 곳으로는 압력이 해제된 유체가 유입되어 방출구를 통해 방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동작 압력의 설정은 컨트롤 피스톤을 누르는 스프링의 반발력을 조정함으로써 이루어지는데 압력조정캡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돌려 스프링의 반발력을 크게 하여 동작 압력을 높이거나 스프링의 반발력을 작게 하여 동작 압력을 낮게 할 수 있다.
본 밸브로 압력 유체가 유입되면 두 곳의 토출구 중 어느 한곳으로 토출이 진행되며 다른 한 곳의 토출구로는 압력이 해제된 유체가 회귀하여 방출구로 배출되는데(이 과정은 최초 동작 시는 순서가 정해져 있지 않은 임의의 성질의 것이나 동작이 진행되면서는 어느 한 곳이 토출 측이 되면 어느 한 곳은 방출구로 연결되게 된다) 동시에 유입된 압력 유체는 컨트롤 밸브부의 피스톤에도 압력을 가하게 된다.
압력유체가 유입되어 본 밸브에 연결된 액츄에이터 또는 윤활 밸브(1000)를 어느 한 방향으로 동작시킨 후 액츄에이터 또는 윤활 밸브(1000)가 더 이상 움직이게 되지 않는 상태에서 압력유체의 유입이 계속 이루어지면 토출이 이루어지던 관로 내에서는 압력이 상승하게 되며 이 압력 상승은 컨트롤 밸브부의 컨트롤 피스톤의 하방에 작용하여 컨트롤 피스톤을 위로 밀어 올리려하게 되는데 압력이 컨트롤 피스톤을 누르는 스프링의 힘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면 컨트롤 피스톤이 점차 위로 이동하게 되고 컨트롤 밸브부의 챔버의 일정 거리에 있는 파일롯 유로를 통해 압력 유체가 흘러 나가게 되 파일롯 유로를 통과한 압력 유체는 스위칭 밸브부로 유입되고 스위칭 유로를 거쳐 메인 밸브부로 유입되어 메인 피스톤에 힘을 가하게 된다.
메인 피스톤의 이동으로 메인 밸브부의 유로 형성이 변경되면 압력유체의 토출구가 절환되게 되고 이로 인해 종전에 압력을 가하던 관로측의 유체는 압력이 해제되면서 방출구로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공압, 유압 또는 윤활 시스템에서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밸브나 액츄에이터가 왕복운동하는 경우 압력을 가하는 유체의 흐름을 역전시키는 것이 필요한데 본 발명의 압력식 방향전환 밸브는 밸브에 내장되어 있는 콘트롤 밸브로 일정 압력에서 유체의 흐름을 자동 전환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세 개의 밸브부와 한 개의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단순한 구조이므로 가공 및 조립이 용이하고 경제적인 제조가 가능하다.
또한 구성 부품이 적어 고장 요소가 적고 확실한 동작을 보증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의 사시도이며, 도 20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의 사시도이며, 도 21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의 사시도이며, 도 22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 내지 제4실시 예에 기재된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의 전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 내지 제4실시 예에 기재된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의 후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9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 내지 제4실시 예에 기재된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는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며, 이하에서는 제1실시 예에 기재된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밸브 몸체 상부에 압력조정 캡, 고정 너트, 밸브 하우징, 스프링, 지시봉, 컨트롤 피스톤, 실린더 및 씰이 순차적으로 결합되며, 전면에는 제1토출구, 제2 토출구가 형성되며, 양 측면의 일단은 메인 피스톤 및 스위칭 피스톤이 형성되며, 타단은 플러그와 씰이 순차적으로 결합된다.
또한,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 예의 방향절환 밸브의 전면은 두개의 토출구(P1,P2)가 형성되며, 후면은 두개의 방출구 및 압력유체 유입구가 형성된다.
도 25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의 사시도이며, 도 26는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의 사시도이며, 도 27는 본 발명의 제7실시 예에 따른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의 사시도이며, 도 28은 본 발명의 제8실시 예에 따른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의 사시도이며, 도 29은 본 발명의 제9실시 예에 따른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의 사시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 내지 제8실시 예에 기재된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의 전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1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 내지 제8실시 예에 기재된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의 후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실시 예의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는 메인 밸브 몸체 상부에 압력조정 캡, 고정 너트, 밸브 하우징, 스프링, 지시봉, 컨트롤 피스톤, 실린더 및 씰이 순차적으로 결합되며, 측면에는 메인 피스톤이 결합된다.
또한, 스위칭 밸브 몸체 내에는 스위칭 피스톤이 결합되며, 스위칭 피스톤 일 끝단은 플러그가 결합된다.
상기 메인 밸브 몸체와 상기 스위칭 밸브부가 마주보는 면은 유로 접속구가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유로 접속구는 실과 결합된다.
또한,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실시 예의 방향절환 밸브의 전면은 두개의 토출구(P1,P2)가 형성되며, 후면은 두 개의 방출구 및 압력유체 유입구가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공압, 유압 또는 윤활 시스템에서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밸브나 액츄에이터가 왕복운동하는 경우 압력을 가하는 유체의 흐름을 역전시키는 것이 필요한데 본 발명의 압력식 방향전환 밸브는 밸브에 내장되어 있는 콘트롤 밸브로 일정 압력에서 유체의 흐름을 자동 전환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세 개의 밸브부와 한 개의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단순한 구조이므로 가공 및 조립이 용이하고 경제적인 제조가 가능하다.
또한 구성 부품이 적어 고장 요소가 적고 확실한 동작을 보증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200, 300, 400: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
500, 600, 700, 800: 모듈러식 방향절환 밸브
120, 220, 320, 420, 520, 620, 720, 820: 컨트롤 밸브부
121, 221, 321, 421, 521, 621, 721, 821: 압력조정 캡
121a, 221a, 321a, 421a, 521a, 621a, 721a, 821a : 고정 너트
121b, 221b, 321b, 421b, 521b, 621b, 721b, 821b : 밸브 하우징
122, 222, 322, 422, 522, 622, 722, 822: 컨트롤 피스톤
122a, 222a, 322a, 422a, 522a, 622a, 722a, 822a: 실린더
123, 223, 323, 423, 523, 623, 723, 823 : 스프링
123a, 223a, 323a, 423a, 523a, 623a, 723a, 823a : 지시봉
124, 224, 324, 424, 524, 624, 724, 824 : 컨트롤 유로
125, 225, 325, 425, 525, 625, 725, 825 : 파일롯 유로
126a, 226a, 326a, 426a, 526a, 626a, 726a, 826a : 제1 토출유로
126b, 226b, 326b, 426b, 526b, 626b, 726b, 826b : 제2 토출유로
127, 227, 327, 427, 527, 627, 727, 827 : 메인 유로
129, 229, 329, 429, 529, 629, 729, 829 : 플러그
129a, 229a, 329a, 429a, 529a, 629a, 729a, 829a : 씰
130, 230, 330, 430, 530, 630, 730, 830 : 스위칭 밸브부
131, 231, 331, 431, 531, 631, 731, 831: 스위칭 피스톤
132, 232, 332, 432, 532, 632, 732, 832: 스위칭 밸브부 챔버
133a, 233a, 333a, 433a, 533a, 633a, 733a, 833a : 제1스위칭 유로
133b, 233b, 333b, 433b, 533b, 633b, 733b, 833b : 제2스위칭 유로
134a, 234a, 334a, 434a, 534a, 634a, 734a, 834a : 제1 방출 유로
134b, 234b, 334b, 434b, 534b, 634b, 734b, 834b : 제2 방출 유로
134c, 234c, 334c, 434c, 534c, 634c, 734c, 834c : 제3 방출 유로
134d, 234d, 334d, 434d, 534d, 634d, 734d, 834d : 제4 방출 유로
150, 250, 350, 450, 550, 650, 750, 850 : 밸브 몸체
160, 260, 360, 460, 560, 660, 760, 860: 메인 밸브부
161, 261, 361, 461, 561, 661, 761, 861 : 메인 피스톤
162, 262, 362, 462, 562, 662, 762, 862 : 챔버
1000: 윤활 밸브
1001 : 파일롯 피스톤
1002 : 계량 피스톤
1100 : 취부 좌대
P1: 제1 토출구 , P2: 제2 토출구
P3, P4: 방출구
IN : 압력유체 유입구
seal : 씰

Claims (14)

  1. 압력유체 유입구로 공급되는 압력유체에 의해 발생하는 관로 내의 압력을 제어하는 컨트롤 밸브부;
    상기 컨트롤 밸브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압력유체를 제1스위칭 유로 또는 제 2스위칭 유로로 배출시키도록, 그루브가 형성된 스위칭 피스톤을 구비한 스위칭 밸브부; 및
    상기 제1 스위칭 유로 또는 상기 제2스위칭 유로로 인입된 상기 압력유체에 의하여 동작하면서 상기 압력유체 유입구로 공급되는 압력유체를 제1토출구 또는 제2토출구 중 어느 하나로 흐르도록 그루브가 형성된 메인 피스톤을 구비한 메인 밸브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토출구 및 상기 제2토출구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압력유체를 토출시키며, 다른 하나는 압력이 해제된 유체를 방출구로 방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스위칭 피스톤 및 상기 메인 피스톤 양단에 자석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밸브부는,
    상하 동작에 따라 상기 압력유체 유입구와 연결된 컨트롤 유로와 파일롯 유로가 연결되도록 하는 컨트롤 피스톤;
    상기 컨트롤 피스톤에 반발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컨트롤 피스톤 상부에 구비된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의 반발력을 조절하도록 상기 컨트롤 피스톤을 감싸도록 형성된 압력조정캡을 포함하며,
    상기 압력조정캡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스프링의 반발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밸브부는,
    일단이 제1토출유로와 연결되며, 타단이 제2토출유로와 연결되도록 구성된 스위칭 밸브부 챔버; 및
    상기 스위칭 밸브부 챔버 내에 구비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3개의 랜드부가 형성된 스위칭 피스톤을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 밸브부 챔버 측면의 일단은 상기 컨트롤 밸브부와 연결된 파일롯 유로와 연결되며, 타단은 제1 및 제2 스위칭 유로와 연결되되,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 유로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스위칭 피스톤의 그루브를 통해 파일롯 유로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밸브부는,
    일단이 제1토출유로와 연결되며, 타단이 제2토출유로와 연결되도록 구성된 스위칭 밸브부 챔버; 및
    상기 스위칭 밸브부 챔버 내에 구비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4개의 랜드부가 형성된 스위칭 피스톤을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 밸브부 챔버 측면의 일단은 상기 컨트롤 밸브부와 연결된 파일롯 유로와 연결되며, 타단은 제1 및 제2 스위칭 유로와 연결되되,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 유로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스위칭 피스톤의 그루브를 통해 파일롯 유로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밸브부는,
    일단이 상기 제1스위칭 유로와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제2 스위칭 유로와 연결된 챔버; 및
    상기 챔버 내에 구비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3개의 랜드부가 형성된 메인 피스톤을 포함하며,
    메인 유로, 제1토출유로, 제2토출유로, 제1방출유로, 제2방출유로와 연결되되, 상기 유로들 각각은 메인 피스톤의 움직임에 따라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피스톤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4개의 랜드부를 구비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
  8.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압력유체를 제1 스위칭 유로 또는 제 2스위칭 유로로 배출시키도록 그루브가 형성된 스위칭 피스톤을 구비한 스위칭 밸브부가 구비된 제1모듈; 및
    상기 제1모듈과 착탈되며, 상기 제1 스위칭 유로 또는 상기 제2 스위칭 유로로 인입된 상기 압력유체에 의하여 동작하면서 유입되는 압력유체를 제1토출구 또는 제2토출구 중 어느 하나로 흐르도록 그루브가 형성된 메인 피스톤을 구비한 메인 밸브부가 구비된 제2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모듈 또는 상기 제2모듈 중 어느 하나는 압력유체 유입구(IN)로 공급되는 압력유체에 의해 발생하는 관로 내의 압력을 제어하는 컨트롤 밸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형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스위칭 피스톤 및 상기 메인 피스톤 양단에 자석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형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밸브부는,
    상하 동작에 따라 상기 압력유체 유입구와 연결된 컨트롤 유로와 파일롯 유로가 연결되도록 하는 컨트롤 피스톤;
    상기 컨트롤 피스톤에 반발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컨트롤 피스톤 상부에 구비된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의 반발력을 조절하도록 상기 컨트롤 피스톤을 감싸도록 형성된 압력조정캡을 포함하며,
    상기 압력조정캡을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스프링의 반발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형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밸브부는,
    일단이 제1토출유로와 연결되며, 타단이 제2토출유로와 연결되도록 구성된 스위칭 밸브부 챔버; 및
    상기 스위칭 밸브부 챔버 내에 구비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4개의 랜드부가 형성된 스위칭 피스톤을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 밸브부 챔버 측면의 일단은 상기 컨트롤 밸브부와 연결된 파일롯 유로와 연결되며, 타단은 제1 및 제2 스위칭 유로와 연결되되,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 유로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스위칭 피스톤의 그루브를 통해 파일롯 유로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형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밸브부는,
    일단이 상기 제1토출구와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제2토출구와 연결되도록 구성된 스위칭 밸브부 챔버; 및
    상기 스위칭 밸브부 챔버 내에 구비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4개의 랜드부가 형성된 스위칭 피스톤을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 밸브부 챔버 측면의 일단은 상기 컨트롤 밸브부와 연결된 파일롯 유로와 연결되며, 타단은 제1 및 제2 스위칭 유로와 연결되되,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 유로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스위칭 피스톤의 그루브를 통해 파일롯 유로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형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밸브부는,
    일단이 상기 제1스위칭 유로와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제2스위칭 유로와 연결되는 챔버; 및
    상기 챔버 내에 구비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3개의 랜드부가 형성된 메인 피스톤을 포함하며,
    메인 유로, 제1토출유로, 제2토출유로, 제1방출유로, 제2방출유로와 연결되되, 상기 유로들 각각은 메인 피스톤의 움직임에 따라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형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피스톤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4개의 랜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형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
KR1020120039979A 2012-04-17 2012-04-17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 KR101236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979A KR101236468B1 (ko) 2012-04-17 2012-04-17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979A KR101236468B1 (ko) 2012-04-17 2012-04-17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6468B1 true KR101236468B1 (ko) 2013-02-22

Family

ID=47900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9979A KR101236468B1 (ko) 2012-04-17 2012-04-17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646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0805A (en) 1979-07-26 1981-02-26 Toyooki Kogyo Co Ltd Fluid control system
JPS571805A (en) 1980-05-31 1982-01-07 Nippon Air Brake Co Ltd Composite valve
JP2007177821A (ja) 2005-12-27 2007-07-12 Nachi Fujikoshi Corp 油圧駆動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0805A (en) 1979-07-26 1981-02-26 Toyooki Kogyo Co Ltd Fluid control system
JPS571805A (en) 1980-05-31 1982-01-07 Nippon Air Brake Co Ltd Composite valve
JP2007177821A (ja) 2005-12-27 2007-07-12 Nachi Fujikoshi Corp 油圧駆動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16957A2 (en) Reciprocating pump
KR20100038298A (ko) 실린더 윤활유를 공급하는 급유장치 및 급유방법
KR101236468B1 (ko) 압력식 방향절환 밸브
KR101653839B1 (ko) 윤활제를 정해진 양으로 분배하기 위한 장치
CN100416082C (zh) 燃料喷射装置
JP2016518554A (ja) アキシャルピストンポンプ
CN104417770A (zh) 将灌装产品计量注入待灌装的容器的装置
GB2437028A (en) Hydraulic piston pump
KR100439895B1 (ko) 모터
KR101589741B1 (ko) 연료 펌프
US20230175530A1 (en) Hydraulic booster using variable-volume piston
KR100442384B1 (ko) 대향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윤활유 공급 장치
CN103061845A (zh) 一种气门机构
KR20120092823A (ko) 솔레노이드 펌프 및 이를 포함한 액추에이터
KR100414910B1 (ko) 그리스 공급기
JP2009133232A (ja) 往復動式真空ポンプ及びその排気方法
JP2015230008A (ja) 潤滑剤ポンプ
RU2565932C1 (ru) Способ работы поршневого гидропневматического агрегат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US8720601B2 (en) Pressurised air pick device with variable control
AU2007271190B2 (en) Hydraulic pump
KR20000022653A (ko) 에어 하이드로펌프
CN212338879U (zh) 气动高压注油机自动往复推动机构
CN204284037U (zh) 一种液压系统、泵送系统及混凝土泵送设备
RU2342560C1 (ru) Модуль гидроприводного компрессора
US1625500A (en) Pu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