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6190B1 - 세척효율이 향상된 계란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세척효율이 향상된 계란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6190B1
KR101236190B1 KR1020110120558A KR20110120558A KR101236190B1 KR 101236190 B1 KR101236190 B1 KR 101236190B1 KR 1020110120558 A KR1020110120558 A KR 1020110120558A KR 20110120558 A KR20110120558 A KR 20110120558A KR 101236190 B1 KR101236190 B1 KR 101236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brush
egg
brush pl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0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승원
Original Assignee
심승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승원 filed Critical 심승원
Priority to KR1020110120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61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6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6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3/00Testing, sorting or cleaning eggs ; Conveying devices ; Pick-up devices
    • A01K43/005Cleaning, washing of eg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브러시가 계란과 접촉하지 않는 세척작업의 사각지대를 최소화하고, 상기 계란의 형상에 따라 세척브러시의 위치를 자유롭게 가변하는 세척효율이 향상된 계란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계란을 맞물리듯 회전하는 한 쌍의 세척브러시의 사이를 통과시키면서 계란의 세척작업에 따른 사각지대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세척력을 배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세척브러시의 위치를 사방으로 자유롭게 가변하여 계란의 중앙부분 및 양쪽 부분을 각각 집중적으로 구분하여 세척하면서 상기 계란의 외면 전체를 빠짐없이 골고루 세척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세척효율이 향상된 계란 세척장치{Egg washing apparatus with improved washing efficiency}
본 발명은 세척브러시가 계란과 접촉하지 않는 세척작업의 사각지대를 최소화하고, 상기 계란의 형상에 따라 세척브러시의 위치를 자유롭게 가변하면서 계란의 외면 전체를 빠짐없이 세척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계란 산란장에서는, 닭이 계란을 낳을 때 주위의 오물이나 분비물 등이 계란의 껍질에 묻기 쉽고, 이 오물들은 살모넬라 등의 미생물에 오염되어 있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식품의 안전성을 저해하며, 상기 계란 표면의 백색 요산은 잘 지워지지 않고 식품의 부가가치를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계란의 분류 및 포장 작업을 하기 이전에 계란을 깨끗하게 세척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만 한다.
한편, 대형 농장에서는 계란의 수집부터 세척, 선별, 집란까지 기계화하고 있으나, 중소규모의 산란계 농장에서는 사람이 수세미나 걸레 등을 이용하여 세척하고 있기 때문에, 계란의 세척 시간이 많이 걸리고 계란껍질이 깨끗하게 세척되지 못해 계란의 부가가치를 떨어뜨리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개시된 종래의 계란 세척장치는 송란 체인컨베이어를 이용하여 계란을 연속적으로 수평 이송하는 과정에서 회전하는 세척브러시를 이용하여 계란의 표면을 털어주면서 세척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계란 세척장치는 상기 송란 체인컨베이어의 상부에 계란의 이송방향과 직교상태를 이루는 다수의 원통형 세척브러시가 연속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세척브러시의 사이사이 하측 공간은 세척의 사각지대로 남아 있는 것이었다.
즉 상기 세척브러시의 사이사이 하측 공간을 통과하는 계란에는 브러시가 미처 접촉하지 않아 이 구간을 통과할 때에는 세척이 이루어지지 못해 세척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됨은 물론 상기 세척브러시의 회전작동시 발생하는 원심력은 계란을 미약하게 나마 튕기는 역할을 하여 계란의 세척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또한, 통상의 계란(E)은 도 11과 같이 타원형으로 이루어진 것에 반해, 상기 세척브러시(3)의 선단은 직선을 형성함에 따라 볼록한 계란의 중앙부위에는 세척브러시(3)가 강하게 압박하면서 필요 이상으로 과도한 세척력이 가해져 계란에 손상을 입힐 우려가 크며, 상기 계란의 양쪽 부위에는 세척브러시가 미처 닿지 않아 계란의 외면 전체가 골고루 세척되지 못하고 국부적으로 세척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계란 세척장치가 내포하고 있는 제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계란을 맞물리듯 회전하는 한 쌍의 세척브러시의 사이를 통과시키면서 계란의 세척작업에 따른 사각지대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세척력을 배가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해결과제로 한다.
또한, 상기 세척브러시의 위치를 사방으로 자유롭게 가변하여 계란의 중앙부분 및 양쪽 부분을 각각 집중적으로 구분하여 세척하면서 상기 계란의 외면 전체를 빠짐없이 골고루 세척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해결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세척브러시의 위치이동과 병행하여 상기 세척브러시와 브러시모터 간에 연결된 동력전달부재의 장력을 최적의 상태로 알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또 다른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한 쌍의 측판 사이에 송란 체인컨베이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송란 체인컨베이어의 상부에 상하 연결된 한 쌍의 연결바에 프런트 브러시판을 부착하며, 상기 프런트 브러시판의 후방 상하에 연결된 한 쌍의 연결바에 리어 브러시판을 부착하는 한편, 상기 프런트 브러시판 및 리어 브러시판의 사이에는 한 쌍의 세척 브러시를 양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세척브러시는 동력전달부재를 매개로 측판의 상단에 설치된 브러시모터와 연결 설치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런트 브러시판 및 리어 브러시판의 상하 양측에 형성된 상하위치 조절장공을 체결구로 관통하여 상하위치 가변가능하게 부착 설치하고, 상기 프런트 브러시판 및 리어 브러시판의 양측에 형성된 브러시 축공에 브러시 축을 관통하여 설치하되 상기 브러시 축의 양단에 결합된 유니트 베어링은 브러시 축공의 상하에 형성된 좌우위치 조절장공과 함께 체결구로 관통하여 좌우위치 가변가능하게 결합 설치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브러시모터를 모터 장착판에 형성된 장력 조절장공과 함께 체결구로 관통하여 좌우위치 가변가능하게 고정 설치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맞물리듯 회전하는 한 쌍의 세척브러시가 계란의 이송방향과 동일한 병렬상태로 설치됨으로써 세척작업에 따른 사각지대를 최소화하여 상기 세척브러시의 사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중단없이 계란을 연속적으로 세척하며, 상기 세척브러시의 원심력은 상호 맞물리듯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쇄함으로써 계란에 영향을 주지 않아 파란 방지 및 세척력을 더욱 향상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계란의 형상에 따라 상기 세척브러시의 위치를 사방으로 자유롭게 가변하여 상기 계란의 중앙부분 및 양쪽 부분을 각각 단계별로 구분하여 세척함으로써 계란의 외면 전체를 빠짐없이 세척할 수 있어 세척효율이 뛰어나고, 상기 계란에는 필요 이상의 강한 세척력이 집중됨을 억제하여 계란의 파손률을 낮추면서 세척효율을 높여 더욱 위생적인 계란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계란 세척장치의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세척장치 및 제2 세척장치의 설치상태 확대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세척장치 및 제2 세척장치, 건조기의 설치상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세척브러시가 계란의 양쪽부분을 세척하는 상태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 프런트 브러시판 및 리어 브러시판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세척브러시가 계란의 중앙부분을 세척하는 상태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 브러시 축의 좌우위치 가변상태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프런트 브러시판 및 리어 브러시판의 상하위치 가변상태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브러시모터의 좌우위치 가변상태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송란 체인컨베이어 및 제1 세척장치가 2열로 설치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11은 종래의 세척브러시와 계란의 접촉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을 보다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체적인 기술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하부에 지지다리(101)가 설치되고, 상부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측판(102)이 다수의 연결바(103)를 매개로 일체화 연결된 세척기 본체(100)와; 상기 측판(102)의 사이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송란 체인컨베이어(200)와; 상기 송란 체인컨베이어(200)의 상측 상하에 연결된 한 쌍의 연결바(103)에 부착된 프런트 브러시판(310)과, 상기 프런트 브러시판(310)의 후방 상하에 연결된 한 쌍의 연결바(103)에 부착된 리어 브러시판(320)과, 상기 송란 체인컨베이어(200)와 병렬상태로 배치되되 상기 프런트 브러시판(310)과 리어 브러시판(320)의 사이 양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세척브러시(330)와, 상기 측판(102)의 상단에 안착된 모터 장착판(341)에 설치되고 상기 세척브러시(330)에 동력전달부재(343)를 매개로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브러시모터(340)를 포함하여 구성된 제1 세척장치(300)의 유기적인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이하, 상기 개략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실시 용이하도록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적으로 본 발명의 세척기 본체(100)는 지상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부에 다수의 지지다리(101)가 설치되고, 상부 양측에는 한 쌍의 측판(102)이 직립 설치되며, 상기 측판(102)은 다수의 연결바(103)를 매개로 상호 일체화 연결된다.
상기 측판(102)의 사이 중앙에는 모터와 같은 동력발생수단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계란(E)을 수평상으로 운반 이송하는 통상의 송란 체인컨베이어(20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송란 체인컨베이어(200)의 상측은 상부가 개방된 받침홀더(210)의 내측에 위치함으로써 하부로 쳐짐 방지되며, 상기 송란 체인컨베이어(200)에 낱개씩 놓이는 계란(E)은 받침홀더(210)의 상단에 안착된 상태로 운반 이송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송란 체인컨베이어(200)의 상측에는 이송중인 계란(E)을 맞물리듯 회전하는 한 쌍의 세척브러시(330)를 이용하여 말끔하게 세척하는 제1 세척장치(300)가 설치되되, 상기 세척브러시(330)는 계란(E)의 이송방향과 직교된 상태로 설치됨을 탈피하여 계란(E)의 이송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됨으로써 세척브러시(330)가 계란(E)에 접촉하는 구간을 최대한 확장하여 세척작업의 사각지대를 최소화하는 기술이 접목된다.
이를 위한 제1 세척장치(3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란 체인컨베이어(200)의 상측 상하에 각각 연결된 한 쌍의 연결바(103)에 프런트 브러시판(310)이 부착되고, 상기 프런트 브러시판(310)의 후방 상하에 각각 연결된 다른 한 쌍의 연결바(103)에는 리어 브러시판(320)이 부착됨으로써 상기 프런트 브러시판(310)과 리어 브러시판(320)의 사이에 세척브러시(330)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세척브러시(330)는 송란 체인컨베이어(200)와 병렬상태로 배치됨으로써 계란(E)의 이송방향과 동일하게 위치함에 따라 세척작업시 계란과 최대한 접촉하면서 세척효율을 향상하는 것으로, 상기 프런트 브러시판(310) 및 리어 브러시판(320)의 사이 양측에 이격된 상태로 한 쌍을 1조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호 맞물리듯 회전하면서 계란(E)을 세척할 수 있으며, 특히 이와 같은 세척과정에서 세척브러시(330)의 원심력은 양쪽에서 맞물리는 상태로 동일하게 작용함에 따라 서로 상쇄됨으로써 계란(E)에 영향을 주지 않아 파란을 방지함은 물론 세척력을 더욱 향상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측판(102)의 상단에는 모터 장착판(341)이 안착되고, 상기 모터 장착판(341)의 양측에 각각 브러시모터(340)가 설치되며, 상기 브러시모터(340)의 모터축(342)과 세척브러시(330)의 브러시 축(331)은 체인이나 벨트와 같은 동력전달부재(343)를 매개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브러시모터(340)의 회전동력을 세척브러시(330)에 전달하여 세척브러시(330)가 상호 맞물리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프런트 브러시판(310) 및 리어 브러시판(320)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됨은 물론 상기 세척브러시(330)의 위치를 사방으로 자유롭게 가변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계란(E)이 타원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외면 전체를 골고루 완벽하게 세척하지 못하던 종래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한 프런트 브러시판(310) 및 리어 브러시판(320)은 도 5와 같이 하부 중앙에 송란 체인컨베이어(200)가 통과할 수 있도록 컨베이어 통로(311)가 관통형성되고, 양측 상하에는 각각 상하위치 조절장공(312)이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컨베이어 통로(311)의 양측에 브러시 축공(313)이 관통형성되고, 이 브러시 축공(313)의 상하에는 각각 한 쌍의 좌우위치 조절장공(314)이 좌우로 길게 형성되는 기술이 접목된다.
따라서, 상기 프런트 브러시판(310) 및 리어 브러시판(320)은 체결구(1)가 상기 상하위치 조절장공(312)을 관통하여 연결바(103)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함은 물론 나아가 상기 체결구(1)를 느슨하게 풀어준 상태에서 상기 프런트 브러시판(310) 및 리어 브러시판(320)을 도 8과 같이 상하로 위치 이동하는 간단한 방법을 통해 세척브러시(330)의 위치를 상하로 자유롭게 가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세척브러시(330)는 브러시 축(331)의 양측에 각각 유니트 베어링(333)이 끼움 결합되고, 상기 유니트 베어링(333)의 상하에 관통 설치되는 한 쌍의 체결구(1)는 상기 좌우위치 조절장공(314)을 관통하여 너트(2)가 나사결합됨으로써 평상시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하면서 세척브러시(330)의 원활한 회전작동을 보장함은 물론 나아가 상기 체결구(1)를 느슨하게 풀어준 상태에서 상기 유니트 베어링(333)을 좌우로 위치 이동하면 도 7과 같이 브러시 축(331)이 함께 이동함으로써 세척브러시(330)의 위치를 좌우로 자유롭게 가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유니트 베어링(333)을 지지하는 프런트 브러시판(310) 및 리어 브러시판(320)은 얇은 판상으로 형성되는 특성상 휘어지거나 변형이 발생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유니트 베어링(333)의 타측에 위치한 좌우위치 조절장공(314)에는 도 5와 같은 반원형의 보강편(316)이 추가로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유니트 베어링(333)을 관통 설치된 체결구(1)는 상기 좌우위치 조절장공(314)과 보강편(316)을 동시에 관통하여 너트(2)가 나사결합됨으로써 강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세척브러시(330)를 도 4와 같이 이격된 상태로 계란(E)의 양쪽에 위치시켜 계란(E)의 형상에 따라 양쪽 부분을 집중적으로 구분하여 세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택적으로 상기 세척브러시(330)를 도 6과 같이 계란(E)의 중앙에 위치시켜 중앙 부분을 집중적으로 구분하여 세척함으로써 전체적으로 계란의 외면 전체를 빠짐없이 골고루 세척할 수 있는 특별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세척브러시(330)의 위치를 이동함에 따라 동력전달부재(343)의 장력이 느슨하거나 과도하게 팽팽하게 되는 현상을 십분 고려하여 상기 세척브러시(330)의 위치이동과 병행하여 상기 동력전달부재(343)의 장력을 최적의 상태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추가로 접목된다.
이를 위한 기술구성으로 상기 모터 장착판(341)의 양측에는 각각 한 쌍의 장력 조절장공(345)이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브러시모터(340)의 고정브라켓(346)을 관통하여 결합된 체결구(1)는 상기 장력 조절장공(345)을 관통하여 결합됨으로써 상기 장력 조절장공(345)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브러시모터(340)의 위치를 가변하면서 동력전달부재(343)의 장력을 항상 정상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송란 체인컨베이어(200)가 도 10과 같이 이격된 상태로 2열로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송란 체인컨베이어(200)와 대응하여 각각 한 쌍의 세척브러시(330)가 2열로 설치됨으로써 한꺼번에 다량의 계란을 세척할 수도 있으며, 상기한 2열에 국한되지 않고 더 나아가 다수의 열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상기 제1 세척장치(300)의 세척브러시(330)를 도 4와 같이 위치시켜 계란(E)의 양쪽 부분을 집중적으로 세척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세척장치(300)의 후방에는 제1 세척장치(30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제2 세척장치(300a)가 추가로 설치되되, 상기 제2 세척장치(300a)의 세척브러시(330)는 도 6과 같이 위치를 가변함으로써 계란(E)의 중앙 부분을 집중적으로 구분하여 세척함으로써 계란의 세척효율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한 쌍의 제1, 제2 세척장치(300)(300a)를 이용하여 계란(E)을 세척한 후 순차적으로 건조작업 및 광택작업을 원스톱으로 진행할 수 있는 기술이 추가로 접목되는 것으로, 상기 건조작업은 제1, 제2 건조장치(400)(400a)를 이용하여 시행되고, 상기 광택작업은 제1, 제2 광택장치(500)(500a)를 이용하여 시행된다.
아울러 상기 제1, 제2 세척장치(300)(300a)와, 제1, 제2 건조장치(400)(400a)와, 제1, 제2 광택장치(500)(500a)는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제2 건조장치(400)(400a)의 건조브러시(430)가 상기 제1, 제2 세척장치(300)(300a)의 세척브러시(330)보다 긴 폭으로 형성됨은 물론 더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제2 광택장치(500)(500a)의 광택브러시(530)는 상기 제1, 제2 건조장치(400)(400a)의 건조브러시(430)보다 긴 폭으로 형성됨은 물론 더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된 점이 다소 상이하다.
즉 상기 제1 건조장치(400)는 제2 세척장치(300a)의 후방에 추가로 구비되는 것으로, 전체적인 구성은 송란 체인컨베이어(200)의 상측 상하에 연결된 한 쌍의 연결바(103)에 부착된 프런트 브러시판(310)과, 상기 프런트 브러시판(310)의 후방 상하에 연결된 한 쌍의 연결바(103)에 부착된 리어 브러시판(320)과, 상기 송란 체인컨베이어(200)와 병렬상태로 배치되되 상기 프런트 브러시판(310)과 리어 브러시판(320)의 사이 양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건조브러시(430)와, 상기 측판(102)의 상단에 안착된 모터 장착판(341)에 설치되고 상기 건조브러시(430)에 동력전달부재(343)를 매개로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브러시모터(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1 건조장치(400)의 후방에는 제1 건조장치(40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제2 건조장치(400a)가 추가로 설치되고, 상기 제1 건조장치(400)의 상단에는 건조휀(410)이 추가로 설치됨으로써 건조작업의 성능을 개선한다.
또한, 상기 제1 광택장치(500)는 제2 건조장치(400a)의 후방에 추가로 구비되는 것으로, 전체적인 구성은 송란 체인컨베이어(200)의 상측 상하에 연결된 한 쌍의 연결바(103)에 부착된 프런트 브러시판(310)과, 상기 프런트 브러시판(310)의 후방 상하에 연결된 한 쌍의 연결바(103)에 부착된 리어 브러시판(320)과, 상기 송란 체인컨베이어(200)와 병렬상태로 배치되되 상기 프런트 브러시판(310)과 리어 브러시판(320)의 사이 양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광택브러시(530)와, 상기 측판(102)의 상단에 안착된 모터 장착판(341)에 설치되고 상기 광택브러시(530)에 동력전달부재(343)를 매개로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브러시모터(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1 광택장치(500)의 후방에는 제1 광택장치(50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제2 광택장치(500a)가 추가로 설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계란의 기본적인 세척작업은 물론 건조 및 광택작업을 원스톱으로 시행함은 물론 상기 건조 및 광택작업을 계란의 외면 전체에 빠짐없이 골고루 수행할 수 있는 특별한 효과를 제공한다.
E: 계란 1: 체결구
100: 세척기 본체 102: 측판
103: 연결바 200: 송란 체인컨베이어
210: 받침홀더 300: 제1 세척장치
300a: 제2 세척장치 310: 프런트 브러시판
311: 컨베이어 통로 312: 상하위치 조절장공
313: 브러시 축공 314: 좌우위치 조절장공
320: 리어 브러시판 330: 세척브러시
340: 브러시모터 341: 모터 장착판
343: 동력전달부재 345: 장력 조절장공
400: 제1 건조장치 400a: 제2 건조장치
430: 건조브러시 500: 제1 광택장치
500a: 제2 광택장치 530: 광택브러시

Claims (11)

  1. 하부에 지지다리(101)가 설치되고, 상부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측판(102)이 다수의 연결바(103)를 매개로 일체화 연결된 세척기 본체(100)와;
    상기 측판(102)의 사이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송란 체인컨베이어(200)와;
    상기 송란 체인컨베이어(200)의 상측 상하에 연결된 한 쌍의 연결바(103)에 부착된 프런트 브러시판(310)과, 상기 프런트 브러시판(310)의 후방 상하에 연결된 한 쌍의 연결바(103)에 부착된 리어 브러시판(320)과, 상기 송란 체인컨베이어(200)와 병렬상태로 배치되되 상기 프런트 브러시판(310)과 리어 브러시판(320)의 사이 양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세척브러시(330)와, 상기 측판(102)의 상단에 안착된 모터 장착판(341)에 설치되고 상기 세척브러시(330)에 동력전달부재(343)를 매개로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브러시모터(340)를 포함하여 구성된 제1 세척장치(3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효율이 향상된 계란 세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프런트 브러시판(310) 및 리어 브러시판(320)은 하부 중앙에 컨베이어 통로(311)가 관통형성되고, 양측 상하에는 상하위치 조절장공(312)이 형성되며, 상기 컨베이어 통로(311)의 양측에 형성된 브러시 축공(313)의 상하에는 좌우위치 조절장공(31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효율이 향상된 계란 세척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프런트 브러시판(310) 및 리어 브러시판(320)은 체결구(1)가 상하위치 조절장공(312)을 관통하여 연결바(103)에 결합되고, 상기 세척브러시(330)는 브러시 축(331)의 양측에 유니트 베어링(333)이 끼움 결합되며, 상기 유니트 베어링(333)의 상하에 관통 설치된 체결구(1)는 좌우위치 조절장공(314)을 관통하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효율이 향상된 계란 세척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유니트 베어링(333)의 타측에 위치한 좌우위치 조절장공(314)에는 보강편(316)이 추가로 밀착 설치되고, 상기 유니트 베어링(333)에 관통 설치된 체결구(1)는 좌우위치 조절장공(314) 및 상기 보강편(316)을 관통하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효율이 향상된 계란 세척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모터 장착판(341)은 양측에 장력 조절장공(345)이 상하로 관통형성되고, 상기 브러시모터(340)의 고정브라켓(346)을 관통한 체결구(1)는 상기 장력 조절장공(345)을 관통하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효율이 향상된 계란 세척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세척장치(300)의 후방에는 제1 세척장치(30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제2 세척장치(300a)가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효율이 향상된 계란 세척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제2 세척장치(300a)의 후방에는 송란 체인컨베이어(200)의 상측 상하에 연결된 한 쌍의 연결바(103)에 부착된 프런트 브러시판(310)과, 상기 프런트 브러시판(310)의 후방 상하에 연결된 한 쌍의 연결바(103)에 부착된 리어 브러시판(320)과, 상기 송란 체인컨베이어(200)와 병렬상태로 배치되되 상기 프런트 브러시판(310)과 리어 브러시판(320)의 사이 양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건조브러시(430)와, 상기 측판(102)의 상단에 안착된 모터 장착판(341)에 설치되고 상기 건조브러시(430)에 동력전달부재(343)를 매개로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브러시모터(340)를 포함하여 구성된 제1 건조장치(400)가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효율이 향상된 계란 세척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제1 건조장치(400)의 후방에는 제1 건조장치(40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제2 건조장치(400a)가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효율이 향상된 계란 세척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제2 건조장치(400a)의 후방에는 송란 체인컨베이어(200)의 상측 상하에 연결된 한 쌍의 연결바(103)에 부착된 프런트 브러시판(310)과, 상기 프런트 브러시판(310)의 후방 상하에 연결된 한 쌍의 연결바(103)에 부착된 리어 브러시판(320)과, 상기 송란 체인컨베이어(200)와 병렬상태로 배치되되 상기 프런트 브러시판(310)과 리어 브러시판(320)의 사이 양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광택브러시(530)와, 상기 측판(102)의 상단에 안착된 모터 장착판(341)에 설치되고 상기 광택브러시(530)에 동력전달부재(343)를 매개로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브러시모터(340)를 포함하여 구성된 제1 광택장치(500)가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효율이 향상된 계란 세척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제1 광택장치(500)의 후방에는 제1 광택장치(50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제2 광택장치(500a)가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효율이 향상된 계란 세척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송란 체인컨베이어(200)는 2열로 설치되고, 상기 송란 체인컨베이어(200)와 대응하여 각각 한 쌍의 세척브러시(330)가 2열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효율이 향상된 계란 세척장치.
KR1020110120558A 2011-11-18 2011-11-18 세척효율이 향상된 계란 세척장치 KR101236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0558A KR101236190B1 (ko) 2011-11-18 2011-11-18 세척효율이 향상된 계란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0558A KR101236190B1 (ko) 2011-11-18 2011-11-18 세척효율이 향상된 계란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6190B1 true KR101236190B1 (ko) 2013-02-22

Family

ID=47900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0558A KR101236190B1 (ko) 2011-11-18 2011-11-18 세척효율이 향상된 계란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61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94686A (zh) * 2014-12-31 2016-07-27 郑经伟 鸭蛋的全自动洁蛋、检测及分类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701Y1 (ko) 2002-11-21 2003-02-15 양인근 계란세척기
KR20030086121A (ko) * 2002-05-03 2003-11-07 오윤식 자동 신발세척기
KR20110029615A (ko) * 2009-09-16 2011-03-23 최관수 계란세척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6121A (ko) * 2002-05-03 2003-11-07 오윤식 자동 신발세척기
KR200304701Y1 (ko) 2002-11-21 2003-02-15 양인근 계란세척기
KR20110029615A (ko) * 2009-09-16 2011-03-23 최관수 계란세척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94686A (zh) * 2014-12-31 2016-07-27 郑经伟 鸭蛋的全自动洁蛋、检测及分类装置
CN105794686B (zh) * 2014-12-31 2018-12-18 郑经伟 鸭蛋的全自动洁蛋、检测及分类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86673B1 (ja) 長尺根菜類の洗浄装置
KR101352613B1 (ko) 농산물 세척장치
CN205409020U (zh) 方便清理兔舍积粪的养殖设备
CN204811924U (zh) 一种水果清洗设备
KR101236190B1 (ko) 세척효율이 향상된 계란 세척장치
KR101691895B1 (ko) 고추세척기
US5758378A (en) Machine for washing eggs
KR101033753B1 (ko) 기립형 식판공급장치를 구비한 식판 세척장치
KR20120084097A (ko) 브러쉬를 이용한 식판 세척장치
KR200476184Y1 (ko) 계란세척기
KR200458608Y1 (ko) 식기 세척기용 컨베이어
KR200321630Y1 (ko) 과일세척장치
CN109316096A (zh) 一种用于学校食堂的豆芽清洗装置
JP4168175B2 (ja) 鶏卵あるいは球状果菜類の表面付着物除去装置
JP5395408B2 (ja) 揚送研磨装置
CN106665410B (zh) 一种用于鹅蛋表面自动清洁装置
KR20200111542A (ko) 채소 다듬기 장치
KR20120003643U (ko) 다용도 과일 세척기
US2292143A (en) Washing machine
JP3388436B2 (ja) 大根、長芋などの長物根菜類用自動洗浄装置
KR101664386B1 (ko) 브러시의 틸팅을 가능하게 한 자동세차기용 브러시장치
KR200304701Y1 (ko) 계란세척기
US1980602A (en) Tray cleaner
CN214126932U (zh) 一种食品加工用蔬菜清洗装置
US2679060A (en) Scrubbing and wash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