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5949B1 - 보조 전조등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보조 전조등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5949B1
KR101235949B1 KR1020100140325A KR20100140325A KR101235949B1 KR 101235949 B1 KR101235949 B1 KR 101235949B1 KR 1020100140325 A KR1020100140325 A KR 1020100140325A KR 20100140325 A KR20100140325 A KR 20100140325A KR 101235949 B1 KR101235949 B1 KR 101235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auxiliary
unit
headlight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40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8121A (ko
Inventor
정지훈
최용상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40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5949B1/ko
Publication of KR20120078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8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5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5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 B60Q1/08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due to special conditions, e.g. adverse weather, type of road, badly illuminated road signs or potential da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17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 B60Q1/0023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the element being a sensor, e.g. distance sensor,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76Switch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eing additional front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2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driver or the passengers
    • B60Q2300/23Driver's line of sight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자의 시야를 감지하는 영상 센서를 포함하는 감지부; 탑승자에 의하여 조작 가능한 입력 스위치부; 상기 감지부 및 상기 입력 스위치부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운전자의 시야를 판단하기 위한 시야 기준 데이터를 사전 설정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빛의 조사 방향을 조정하는 보조 전조등 유니트;를 포함하는 보조 전조등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보조 전조등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AUXILIARY HEADLIGH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조등 장치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운전자의 시야에 따라 가동 가능한 보조 전조등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조등의 경우 차량의 각도가 회전 해야만 조명 시야 확보가 가능하였다. 이에 다양한 연구를 통하여 운전자의 스티어링 휠 조작에 대응하여 전조등의 조사각이 변화하는 기술도 등작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은 조향을 전제하기 때문에, 비조향 영역, 특히 야간시 비조향 영역에서의 운전자의 전방 주의력이 상당히 전해되는 문제점이 수반되었다.
본 발명은 보조 전조등을 통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따라 가동되는 구조를 취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명확하게 하고 안전 운전을 유도하는 보조 전조등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운전자의 시야를 감지하는 영상 센서를 포함하는 감지부; 탑승자에 의하여 조작 가능한 입력 스위치부; 상기 감지부 및 상기 입력 스위치부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운전자의 시야를 판단하기 위한 시야 기준 데이터를 사전 설정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빛의 조사 방향을 조정하는 보조 전조등 유니트;를 포함하는 보조 전조등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보조 전조등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전조등 유니트는: 상기 제어부의 조명 제어 신호에 따라 빛을 조사하는 보조 전조등과, 상기 제어부의 가동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보조 전조등을 가동시키는 보조 전조등 구동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보조 전조등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전조등 구동부는: 상기 보조 전조등을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기와, 상기 구동기로부터 전달된 동력을 상기 보조 전조등으로 전달하는 구동 회동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보조 전조등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는: 상기 보조 전조등을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상하 구동기와, 상기 보조 전조등을 좌우 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좌우 구동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보조 전조등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동부는: 상기 좌우 구동기와 연결되는 좌우 구동 기어와, 상기 보조 전조등이 배치되고 회동 가능하게 상기 좌우 구동 기어와 외접하는 좌우 피동 기어를 포함하는 좌우 회동부를 포함하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보조 전조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하 구동기는 상기 좌우 피동 기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상하 구동기는 상기 보조 전조등와 직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운전자의 시야를 감지하는 영상 센서를 포함하는 감지부; 탑승자에 의하여 조작 가능한 입력 스위치부; 상기 감지부 및 상기 입력 스위치부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운전자의 시야를 판단하기 위한 시야 기준 데이터를 사전 설정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빛의 조사 방향을 조정하는 보조 전조등 유니트;를 포함하는 보조 전조등 장치를 제공하는 제공 단계와, 상기 감지부 및 상기 입력 스위치부가 운전자의 시야를 감지하는 영상 정보 및 입력 신호를 포함하는 감지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 단계와, 상기 감지 신호 및 상기 시야 기준 데이터에 기초하여 적용 모드와 비적용 모드 중 하나를 설정하는 모드 선택 단계와, 상기 모드 선택 단계에서 설정된 모드를 실행하는 모드 실행 단계를 포함하는 보조 전조등 장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보조 전조등 장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선택 단계는: 상기 보조 전조등의 가동 여부를 판단하는 적용 판단 단계와, 상기 적용 판단 단계에서 가동 여부 판단에 따른 모드를 설정하는 모드 설정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보조 전조등 장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용 판단 단계는: 상기 영상 센서의 영상 정보로부터 특징을 추출하는 특징 추출 단계와, 상기 특징 추출 단계에서 추출된 특징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시야의 배향을 판단하는 배향 단계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보조 전조등 장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향 판단 단계는: 상기 추출된 특징으로부터 운전자의 정면 배향 기준을 추출하는 정면 배향 기준 추출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보조 전조등 장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면 배향 기준 추출 단계에서 운전자의 정면 배향 기준이 추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추출된 특징으로부터 운전자의 보조 정면 배향 기준을 추출하는 보조 정면 배향 기준 추출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전조등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전조등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은, 전조등 이외에 보조 전조등을 통하여 야간 주행시 보다 정확한 시인성 확보를 이룰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전조등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은, 운전자의 시야를 따라 보조 전조등이 가동됨으로써 운전자의 시야 확보를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 전조등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 선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 전조등 장치의 보조 전조등 구동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 전조등 장치 제어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 전조등 장치 제어 방법의 모드 선택 단계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 전조등 장치 제어 방법의 모드 선택 단계에 대한 구체적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 전조등 장치 제어 방법의 모드 실행 단계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 전조등 장치의 작동에 따른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 전조등 장치의 운전자의 눈의 이동 변위를 파악하기 위한 특징을 나타내는 선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 전조등 장치의 보조 전조등이 조사되는 영역의 다른 시점에서의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보조 전조등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 전조등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 선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 전조등 장치의 보조 전조등 구동부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 전조등 장치 제어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가 도시되고,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 전조등 장치 제어 방법의 모드 선택 단계에 대한 흐름도가 도시되고,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 전조등 장치 제어 방법의 모드 선택 단계에 대한 구체적인 흐름도가 도시되고,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 전조등 장치 제어 방법의 모드 실행 단계의 흐름도가 도시되고,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 전조등 장치의 작동에 따른 상태도가 도시되고,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 전조등 장치의 운전자의 눈의 이동 변위를 파악하기 위한 특징을 나타내는 선도가 도시되고, 도 9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 전조등 장치의 보조 전조등이 조사되는 영역의 다른 시점에서의 상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 전조등 장치(10)는 감지부(100)와, 입력 스위치부(200)와 제어부(20)와 저장부(30)와 보조 전조등 유니트(300)를 포함하는데, 보조 전조등 장치(10)는 차량에 배치되고, 특히 보조 전조등 유니트(300)는 차량의 전방 하단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지부(100)는 영상 센서(110)를 포함하는데, 영상 센서(110)는 차량의 실내를 영상 취득하도록 차량 실내에 배치된다. 영상 센서(110)는 운전자의 안면 영상을 취득하여 운전자의 눈(眼) 영상을 취득하여 이로부터 운전자의 시야를 감지한다.
감지부(100)는 또한 조도 센서(120)를 구비할 수도 있는데, 조도 센서(120)를 통하여 차량 주행 환경의 조도를 측정함으로써 본 발명의 보조 전조등 장치(10)의 가동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입력 스위치부(200)는 탑승자, 특히 운전자에 의하여 조작되는 스위치로 구현되는데, 입력 스위치부(200)를 통하여 운전자에 의한 보조 전조등 장치(10)의 작동 지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감지부(100) 및 입력 스위치부(200)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데, 제어부(20)는 하기되는 저장부(30) 및 연산부(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저장부(30)에는 운전자의 시야를 판단하기 위한 시야 기준 데이터가 사전 설정되어 저장된다. 시야 기준 데이터는 운전자가 정면을 주시하는지 등을 판단하기 위한 사전 설정된 정명 배향 기준 및 사전 설정된 보조 정면 배향 기준을 포함한다.
연산부(40)는 감지 신호로부터 현재 운전자의 눈의 주시 방향 등을 판단하기 위한 연산 과정에 있어 제어부(20)의 연산 제어 신호에 따라 소정의 연산 과정을 실행한다.
보조 전조등 유니트(300)는 제어부(20)의 보조 전조등 제어 신호에 따라 가동 여부 및 빛의 조사 방향을 조정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 전조등 유니트(300)는 보조 전조등(310)과 보조 전조등 구동부(320)를 포함하는데, 보조 전조등(310)은 제어부(20)의 조명 제어 신호에 따라 빛을 조사한다. 보조 전조등 구동부(320)는 제어부(20)의 가동 제어 신호에 따라 보조 전조등(310)을 가동시키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보조 전조등 구동부(320)는 구동기(320a,320b)와 구동 회동부(330)을 포함한다. 구동기(320a,320b)는 보조 전조등(310)을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데, 구동기(320a,320b)는 전기 모터로 구현된다. 구동기(320a, 320b)는 상하 구동기(320b)와 좌우 구동기(320a)를 포함하는데, 상하 구동기(320b)는 보조 전조등(310)을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생성하고 좌우 구동기(320a)는 보조 전조등(310)을 좌우 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생성한다. 구동 회동부(330,340)는 좌우 회동부(330)를 포함하는데, 좌우 회동부(330)는 좌우 구동 기어(331)와 좌우 피동 기어(333)를 포함한다. 좌우 구동 기어(331)는 좌우 구동기(320a)와 연결되는데, 좌우 구동 기어(331)는 좌우 구동기(320a)의 좌우 구동축과 연결된다. 좌우 피동 기어(333)는 플레이트 타입으로 형성되는데, 좌우 피동 기어(333)는 중앙이 차량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좌우 피동 기어(333)의 외주에는 치차 형성이 이루어지는데, 좌우 피동 기어(333)는 좌우 구동 기어(331)와 외접하도록 배치된다. 좌우 피동 기어(333)의 일면에 보조 전조등(310)이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좌우 피동 기어(333)의 일면에는 구동 회동부의 구동 회동 지지부(340)가 배치된다. 구동 회동 지지부(340)는 구동 회동 지지 수직부(341)와 구동 회동 지지 수평부(343)를 포함하는데, 상하 구동기(310b)는 구동 회동 지지 수직부(341)와 구동 회동 지지 수평부(343)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상하 구동기(310b)의 구동축은 보조 전조등(310)과 직결되는 구조를 취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구동 상태를 형성할 수도 있는데, 보조 전조등(310)는 스텝 모터로 구현될 수도 있고, DC 모터로 구현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상하 구동기는 직결되는 구조 이외에 동력 전달부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보조 전조등 장치(10)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 전조등 장치(10)의 제어 방법은 제공 단계(S10)와, 감지 단계(S20)와, 모드 선택 단계(S30)와 모드 실행 단계(S40)를 포함한다. 제공 단계(S10)에서 상기한 보조 전조등 장치(10)가 제공되는데, 보조 전조등 장치(10)에 대한 설명은 상기로 대체한다. 제공 단계(S20) 후, 제어부(20)는 감지 단계(S20)를 실행하는데, 제어부(20)는 감지부(100) 및 입력 스위치(200)로 감지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영상 센서(110)로부터 감지된 운전자의 안면 및 눈에 대한 영상 정보와 운전자에 의하여 입력된 입력 신호를 포함하는 감지 신호를 감지하여 제어부(20)로 전송하도록 한다.
그런 후, 제어부(20)는 감지 신호 및 저장부(30)에 사전 설정되어 저장된 시야 기준 데이터에 기초하여 보조 전조등 장치(10)의 운전자의 시야에 따른 보조 전조등 조사 방향 조정을 이룰 것인지 여부를 설정하는 모드 선택 단계(S30)를 실행한다. 모드 선택 단계(S30)는 적용 판단 단계(S31)와 모드 설정 단계(S33)를 포함하는데, 적용 판단 단계(S31)에서 보조 전조등(310)의 가동 여부를 제어부(20)가 판단한다. 적용 판단 단계(S31)는 보다 구체적으로 특징 추출 단계(S310)와 배향 판단 단계(S32)를 포함하는데, 제어부(20)는 특징 추출 단계(S310)에서 영상 정보로부터 특징을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눈의 이동 변위를 산출한다. 특징으로는 눈, 코, 입, 귀, 머리, 눈썹과 같은 안면 영상 정보로부터 추출 가능한 것으로서, 이는 영상 센서(310)의 영상 정보를 사용하여 통상적인 영상 처리를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이러한 추출된 특징 중 코는 눈(1, 도 8 참조)의 이동 변위를 파악하기 위한 기준으로 사용된다. 즉, 제어부(20)는 연산부(40)로 하여금 기준인 코(2)와 눈(1)을 연결하는 역삼각형의 눈 이동 변위 기준부(5)의 각각의 눈(2)과 코(5)를 연결하는 선분의 변동을 산출하여 눈의 이동 변위를 산출할 수도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눈 이동 변위 기준부(5) 및 이를 통한 눈의 이동 변위 산출은 단계 S40에서 실행되는 것으로 기술한다. 다만, 경우에 따라 눈 이동 변위 산출이 단계 S310에서 실행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그런 후, 제어부(20)는 추출된 특징 중에서 정면 배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정면 배향 기준을 추출하는 정면 배향 기준 추출 단계(S311)를 실행한다. 정면 배향 기준 추출 단계(S311)에서 특징 추출 단계(S310)에서 추출된 특징 중 귀(4)와 입(3)을 사용하여 정면 배향 기준(6)을 제어부(20)가 추출하고 제어부(20)는 연산부(40)로 하여금 정면 배향 기준(6)의 양변 또는 세변의 길이를 연산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얼굴 정면의 배향 각도를 연산 산출할 수 있다(S311).
그런 후, 제어부(20)는 정면 배향 기준을 사용하여 현재 운전자의 얼굴이 정면을 향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정면 배향 판단 단계(S313)를 실행하는데, 정면 배향 판단 단계(S313)에서 운전자의 얼굴이 정면을 향하고 있다고 판단된 경우,제어부(20)는 특징 추출 단계(S310)에서 산출된 눈 이동 변위를 사용하여 보조 전조등의 배향을 조정하는 적용 모드를 실행되어야 할 모드로 설정하는 적용 모드 설정 단계(S331)를 실행한다. 반면, 단계 S313에서 운전자의 얼굴이 정면을 향한 것으로 판단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20)는 운전자가 고개를 돌린 경우 또는 정면 배향 기준의 추출이 용이하지 않아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단계 S315로 제어 흐름을 전환한다.
보조 정면 배향 기준 추출 단계(S315)에서 제어부(20)는 단계 S310에서 추출된 특징을 활용하여 보조 정면 배향 기준을 추출한다. 즉, 제어부(20)는 추출된 특징 중에서 보다 정확하게 보완적으로 정면 배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보조 정면 배향 기준을 추출하는 보조 정면 배향 기준 추출 단계(S311)를 실행한다. 보조 정면 배향 기준 추출 단계(S315)에서, 특징 추출 단계(S310)에서 추출된 특징 중 상단 머리카락부분(7) 및 측면 머리카락부분(8)과, 영상 센서(110)가 최초 획득한 영상 정보로부터 추출되어 저장부(30)에 저장된 최초 보조 정면 배향 기준(Aaux)을 사용하여, 제어부(20)와 연산부(40)는 최초 보조 정면 배향 기준(Aaux)의 음영 영역 변화로부터 운전자의 얼굴을 움직였는지 여부 및 움직인 각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정면 배항 기준(7,8)으로 인한 최초 보조 정면 배향 기준의 음영 범위로부터 운전자의 얼굴이 정면을 향하고 있는 지 여부를 제어부(20)가 판단하는 보조 정면 배향 판단 단계(S317)를 실행하여 운전자의 얼굴이 정면을 향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 흐름을 단계 S331로 전환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제어부(20)는 제어 흐름을 단계 S333으로 전환하여 비적용 모드로 실행될 모드를 설정한다.
이와 같은 실행되어야 할 모드가 설정된 후, 제어부(20)는 모드 실행 단계(S40)를 실행하는데, 단계 S410에서 설정된 모드가 어느 것인지를 판단하여 비적용 모드라고 판단된 경우, 제어부는 보조 전조등을 가동시키기 않고 제어 흐름을 감지 단계로 전환시킬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어부(20)는 비적용 모드인 경우에도 보조 전조등은 가동시키되 보조 전조등 구동부(320)를 비활성화시켜 운전자의 시야 이동에 따른 빛의 조사 방향 조정은 실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단계 S410에서 적용 모드라고 판단된 경우 단계 S310에서 추출 특징으로부터 제어부(20)는 연산부(40)로 하여금 기준인 코(2)와 눈(1)을 연결하는 역삼각형의 눈 이동 변위 기준부(5)의 각각의 눈(2)과 코(5)를 연결하는 선분의 변동을 산출하는 이동량 기준 추출 단계(S411)를 실행한다. 단계 S411에서 추출된 눈 이동 변위 기준부를 사용하여 눈의 이동 변위를 단계 S413에서 산출한다. 저장부(30)에는 눈의 이동 변위에 따른 보조 전조등의 대응 가동 각도가 사전 설정 저장될 수 있는데, 제어부(20)는 단계 S413에서 눈의 이동 변위와 저장부에 사전 설정 저장된 대응 가동 각도를 사용하여 연산부(40)로 하여금 현재 보조 전조등 구동부(320)의 구동 각도를 산출하도록 한다.
이러한 보조 전조등의 가동 각도가 산출된 경우, 제어부(20)는 보조 전조등(310)에 가동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소정의 가동 상태로 절환시키고, 보조 전조등 구동부(320)를 가동시켜 보조 전조등의 빛의 조사 방향을 조정한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눈의 주시 방향과 전조등 및 보조 전조등이 조사되는 조사 영역(AH,AS)를 도시하는데, (a)는 눈이 정면을 주시한 경우, (b)는 눈이 좌측을 주시한 경우, (c)는 우측을, (d)는 상단을, (e)는 하단을 주시한 경우를 나타내는데, 본 발명의 보조 전조등 장치에 의하여 전조등의 조사 영역(AH)은 일정한 방향을 나타내나 보조 전조등의 조사 영역(As)은 눈의 운동과 대응하여 가동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도 9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 전조등을 통한 조사 영역의 다양한 위치를 나타내는데, 운전자가 소정의 위치(B,C,D)를 주시하는 경우 보조 전조등(310)의 원활한 조사가 가능하나. 도면 부호 E, F로 지시되는 선에 대응한 눈의 이동 한정 영역을 형성하여 눈이 해당 영역을 벗어나서 이동하는 경우 운전자가 센터페시아(G) 등이나 또는 동승객을 일시적으로 지시하거나 하는 등의 상황으로 판단하고 보조 전조등은 선 E,F를 벗어난 영역으로 눈이 이동하더라도 대응하여 가동되지 않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들로,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조도 센서를 사용한 가동 여부 결정 또는 차선 인식을 통한 보조 전조등의 조사 범위 제한 등과 같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10...보조 전조등 유니트 20...제어부
30...저장부 40...연산부
100...감지부 110...영상 센서
120...조도 센서 200...입력 스위치
300...보조 전조등 유니트 310...보조 전조등
320...보조 전조등 구동부

Claims (11)

  1. 운전자의 시야를 감지하는 영상 센서를 포함하는 감지부; 탑승자에 의하여 조작 가능한 입력 스위치부; 상기 감지부 및 상기 입력 스위치부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운전자의 시야를 판단하기 위한 시야 기준 데이터를 사전 설정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빛의 조사 방향을 조정하는 보조 전조등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전조등 유니트는, 상기 제어부의 조명 제어 신호에 따라 빛을 조사하는 보조 전조등과, 상기 제어부의 가동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보조 전조등을 가동시키는 보조 전조등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보조 전조등 구동부는, 상기 보조 전조등을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기와, 상기 구동기로부터 전달된 동력을 상기 보조 전조등으로 전달하는 구동 회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기는, 상기 보조 전조등을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상하 구동기와, 상기 보조 전조등을 좌우 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좌우 구동기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회동부는, 상기 좌우 구동기와 연결되는 좌우 구동 기어와, 상기 보조 전조등이 배치되고 회동 가능하게 상기 좌우 구동 기어와 외접하는 좌우 피동 기어를 포함하는 좌우 회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하 구동기는 상기 좌우 피동 기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상하 구동기는 상기 보조 전조등와 직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전조등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운전자의 시야를 감지하는 영상 센서를 포함하는 감지부; 탑승자에 의하여 조작 가능한 입력 스위치부; 상기 감지부 및 상기 입력 스위치부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운전자의 시야를 판단하기 위한 시야 기준 데이터를 사전 설정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빛의 조사 방향을 조정하는 보조 전조등 유니트;를 포함하는 보조 전조등 장치를 제공하는 제공 단계와, 상기 감지부 및 상기 입력 스위치부가 운전자의 시야를 감지하는 영상 정보 및 입력 신호를 포함하는 감지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 단계와, 상기 감지 신호 및 상기 시야 기준 데이터에 기초하여 적용 모드와 비적용 모드 중 하나를 설정하는 모드 선택 단계와, 상기 모드 선택 단계에서 설정된 모드를 실행하는 모드 실행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모드 선택 단계는: 상기 보조 전조등의 가동 여부를 판단하는 적용 판단 단계와, 상기 적용 판단 단계에서 가동 여부 판단에 따른 모드를 설정하는 모드 설정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용 판단 단계는: 상기 영상 센서의 영상 정보로부터 특징을 추출하는 특징 추출 단계와, 상기 특징 추출 단계에서 추출된 특징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시야의 배향을 판단하는 배향 판단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배향 판단 단계는: 상기 추출된 특징으로부터 운전자의 정면 배향 기준을 추출하는 정면 배향 기준 추출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정면 배향 기준 추출 단계에서 운전자의 정면 배향 기준이 추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추출된 특징으로부터 운전자의 보조 정면 배향 기준을 추출하는 보조 정면 배향 기준 추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전조등 장치 제어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00140325A 2010-12-31 2010-12-31 보조 전조등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235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40325A KR101235949B1 (ko) 2010-12-31 2010-12-31 보조 전조등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40325A KR101235949B1 (ko) 2010-12-31 2010-12-31 보조 전조등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8121A KR20120078121A (ko) 2012-07-10
KR101235949B1 true KR101235949B1 (ko) 2013-02-28

Family

ID=46711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40325A KR101235949B1 (ko) 2010-12-31 2010-12-31 보조 전조등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59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5353B1 (ko) 2020-01-31 2021-07-08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조등 제어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11720B (zh) * 2023-08-28 2024-01-23 常州星宇车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追踪眼球动态的灯具控制系统及灯具控制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6803A (ja) * 1993-08-04 1995-04-11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インタフェース
JPH09315210A (ja) * 1996-05-29 1997-12-09 Niles Parts Co Ltd 車両灯制御方式、車両の安全制御方式、およびオートライトシステム
KR100532822B1 (ko) * 2001-07-04 2005-12-12 이종목 자동차용 일체식 전조등의 회동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6803A (ja) * 1993-08-04 1995-04-11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インタフェース
JPH09315210A (ja) * 1996-05-29 1997-12-09 Niles Parts Co Ltd 車両灯制御方式、車両の安全制御方式、およびオートライトシステム
KR100532822B1 (ko) * 2001-07-04 2005-12-12 이종목 자동차용 일체식 전조등의 회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5353B1 (ko) 2020-01-31 2021-07-08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조등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8121A (ko) 2012-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87781B2 (ja) 駐車支援装置
JP5692049B2 (ja) ステアリング位置制御システム
JP4730191B2 (ja) 車両用運転支援装置、及び、脇見状態検出装置
JP5644477B2 (ja) 運転支援表示装置
WO2007122863A1 (ja) 駐車支援装置及び駐車支援方法
KR200441761Y1 (ko) 회전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장착된 로봇
US9474678B2 (en) Pushcart
JP2016505450A (ja) 車両用のカメラシステム、車両用の車載カメラの画像の画像領域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109131532A (zh) 用于控制自动驾驶车辆的手动驾驶模式的方法
KR101235949B1 (ko) 보조 전조등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5027756B2 (ja) 運転支援装置
JP2019200544A (ja) 安全運転支援装置
JP4677877B2 (ja) 駐車支援装置および駐車支援方法
KR102321522B1 (ko) 접이식 사이드 미러 어라운드 뷰 모니터링 시스템
KR20170011817A (ko)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6644576B2 (ja) 車両用表示装置
US10227043B2 (en) Viewing control device for vehicle
KR20230043293A (ko) 스티어링 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2003285694A (ja) 車両用モニタ装置の駆動及び位置決め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
KR20170025175A (ko) 차량 조향 보조 장치 및 방법
JP2010254209A (ja) 車両用ミラーの角度自動調整装置
JP2009149230A (ja) 車両用表示装置
JP2008041370A (ja) 車両用操作装置
JP6390651B2 (ja) 車両の室内指標表示装置
KR20140023488A (ko) 차량의 미러 제어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7